KR101585760B1 - Conference table - Google Patents

Conference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760B1
KR101585760B1 KR1020140033009A KR20140033009A KR101585760B1 KR 101585760 B1 KR101585760 B1 KR 101585760B1 KR 1020140033009 A KR1020140033009 A KR 1020140033009A KR 20140033009 A KR20140033009 A KR 20140033009A KR 101585760 B1 KR101585760 B1 KR 101585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ngle
upper plate
leg
le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0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09768A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1020140033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760B1/en
Publication of KR20150109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7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7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회의용 탁자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회의용 탁자는: 상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와, 제1지지부에 구비되어 제1지지부를 지지하는 레그부와, 제1지지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판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및 제1지지부에 제2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vention for a conference table is disclosed. The conference table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provided on both side edges of an upper plate; a leg portion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portion to support the first support portion; a second support portion interconnect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supporting the upper plate; And a connecting part connecting the first supporting part to the first supporting part.

Description

회의용 탁자{CONFERENCE TABLE}Conference Table {CONFERENCE TABLE}

본 발명은 회의용 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판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조립성을 향상시키며, 현장에서 조립이 가능하여 운반이 용이한 회의용 탁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ference t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ference table that improves the supporting force of the upper plate, improves the assembling performance, and is assembled in the field and is easy to carry.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물실 등에서 책을 읽거나, 사무를 하는데 필요한 책상은 책이나 각종 서류 및 물품 등을 올려 놓는 상판과, 이 상판의 하중을 지지하는 다리와 각종 사물 및 서랍을 보관하는 서랍으로 구성되어 있고, 서랍의 위치에 따라 편수책상과 양수책상으로 구분되어 사용해오고 있다.In general, the desk needed to read books or work in the home or office room is a drawer that holds a top plate on which books, various documents and articles are placed, a bridge supporting the load of the top plate, and various objects and drawers And it is divided into a number desk and a pumping desk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drawer.

또한, 책상의 재질에 따라서도 철재와 목재로 구분되고 있으나, 철재 책상의 경우에는 부식으로 인해 녹이 발생되어 장기간 사용이 매우 힘들고, 서랍장이 뒤틀어지는 문제가 있어 근래에는 목재 책상 또는 상판은 목재로, 다리 및 지지부는 철재로 구성된 책상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In the case of a steel desk, rust is generated due to corrosion, which makes it difficult to use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awer is twisted. In recent years, a wooden desk or a top plate is made of wood, The legs and supports are mainly made of steel.

통상, 이러한 목재 책상은 원목 또는 한쌍의 합판으로 이루어진 외측판재 사이에 보강재를 넣어 판재를 절단하여 다양한 형태의 상판을 제작하고, 이 상판의 양측 하방으로 측판을 세워 구비하되, 이들 양측판을 연결함과 아울러 후방을 막음으로 뒷판이 갖추어진 구성으로 측판의 저부에 지지부를 두어 흔들림을 방지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In general, such a wooden desk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member between outer plate members made of wood or a pair of plywood plates to cut the plate material to manufacture various types of upper plates, and a side plate is provided below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And a rear panel is provided by blocking the rear panel. In this configuration, a support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ide panel to prevent the panel from shaking.

한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96365호(등록일:2005.09.13)에는 "책상용 다리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omestic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96365 (Registered on Sep. 13, 2005), a "desk leg structure"

일반적인 책상 다리는 상판의 모서리에 각각의 다리가 구비되므로 책상의 사용시 사용자의 다리가 책상다리에 걸리게 되어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으며, 책상과 다리가 결합된 상태로 운반되므로, 많은 양의 운반이 어렵고, 상판을 직선의 획일적인 다리로 지지하는 구조에 의해 디자인이 획일적인 문제점이 있다.Since a common desk leg is provided with each leg on the corner of the top plate, the user's leg is caught on the desk leg when the desk is used, and the desk leg and the leg are combin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sign is monotonous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late is supported by a uniform straight leg.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각각의 부품별로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조립성이 향상되고, 각 부품이 정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어 조립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해에 의해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운반이 용이한 회의용 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nee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disassembly and assembly of each component, thereby improving assembling performance,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olume and to carry the conference table easil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곡 형성된 레그부에 의해 상판 하부의 공간을 넓게 형성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고, 레그부의 각도지정이 가능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회의용 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ference table capable of forming a space at a lower portion of a top plate by a bent leg portion to provide ease of use and designing an angle of the leg portion, have.

본 발명에 따른 회의용 탁자는: 상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지부를 지지하는 레그부와, 상기 제1지지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 상기 제2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ferenc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upport portion provided on both side edges of an upper plate; a leg portion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portion to support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to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또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레그부를 한 쌍식 상호 연결하고, 상기 상판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각각의 상기 레그부의 접촉면적을 넓게 형성하도록 각각의 상기 레그부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a support fram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each leg portion to form a contact area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each of the leg portions, And a connection bracket.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지지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안착홀부 및 상기 안착홀부에 안착된 상기 제2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지지부가 상기 안착홀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portion may include a seating hole portion formed in the support frame so that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seated, and a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seated in the seating hole portion to prevent the second support portion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eating hole portion. And a bracket.

또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양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1지지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extends in both directions of the upper plate to connect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portions.

또한, 상기 레그부는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수직레그부와, 상기 수직레그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레그부의 중심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레그부 및 상기 절곡레그부의 각도를 지정하여 고정하는 각도지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g portion includes a vertical leg portion for supporting the upper plate, a bent leg portion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leg portion and bent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vertical leg portion, and an angle designation portion for specifying and fixing an angle of the bent leg portion .

또한, 상기 각도지정부는 상기 수직레그부의 하단에 구비되고, 결합공이 형성되며, 각도변경부에 의해 지정각도로 고정되는 각도지정플레이트 및 상기 절곡레그부에 구비되고, 상기 각도지정플레이트의 결합공과 대응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ngle designating portion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leg portion and is formed with an engaging hole. The angle designating plate is fixed to the angle regulating portion at a specified angle. The angle designa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bending leg portion. And a coupling portion in which a coupling hole is formed.

또한, 상기 각도변경부는 상기 수직레그부의 내경에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는 고정돌기부 및 상기 고정돌기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각도지정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각도변경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ngle changing portion may include a fixing protrusion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the inner diameter of the vertical leg portion and a plurality of angle changing holes formed in the edge of the angle specifying plate to correspond to the fixing protrusion.

본 발명에 따른 회의용 탁자는 각각의 부품별로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조립성이 향상되고, 각 부품이 정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어 조립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해에 의해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운반이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The conferenc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by each part, so that the assembling property can be improved, each component can be coupled to the correct position, thereby preventing the assembly failure, This has an easy effect.

또한, 본 발명은 제2지지부가 상판의 양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개의 제1지지부를 연결할 수 있어 사용자가 요구에 만족할 수 있는 긴 탁자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연장이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ong table that can be satisfied by a user because the second support part extends in both side directions of the upper plate to connect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parts, and the extension can be easily effected.

또한, 본 발명은 절곡형성되는 레그부에 의해 상판의 하부의 공간을 넓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다리와 접촉을 회피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를 지닌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space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by the bent leg portion, thereby avoiding contact with the user's leg,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부품별로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현장에서 직접 조립이 가능하고, 레그부의 각도지정이 가능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각도지정에 있어 정확한 조립이 가능하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disassemble and assemble according to each part, it is possible to assemble directly in the field, and it is possible to specify the angle of the leg portion, so that various designs are provided. It has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용 탁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용 탁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용 탁자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용 탁자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용 탁자의 레그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용 탁자의 레그부 각도조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용 탁자의 확장을 보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ferenc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ferenc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conferenc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a conferenc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g portion of a conferenc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and 7 illustrate adjustment of a leg angle of a conferenc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view of a conferenc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의용 탁자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conferenc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용 탁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용 탁자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용 탁자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용 탁자의 요부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용 탁자의 레그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용 탁자의 레그부 각도조정을 보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용 탁자의 확장을 보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ferenc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ferenc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a conferenc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a conferenc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g part of a conference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 conference tab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용 탁자(100)는 제1지지부(110), 레그부(120), 제2지지부(150), 연결부(160)를 포함한다.1 to 8, a conference tab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110, a leg portion 120, a second support portion 150, and a connection portion 160 .

제1지지부(110)는 상판(105)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제1지지부(110)는 레그부(120)를 한 쌍씩 상호 연결하고, 상판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12) 및 지지프레임(112)과 각각의 레그부(120)의 접촉면적을 넓게 형성하도록 각각의 레그부(12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114)을 포함한다.The first support portions 110 are provided on both side edges of the upper plate 105. The first support part 110 interconnects the leg parts 120 in a pair and forms a contact area between the support frame 112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support frame 112 and the respective leg parts 120 And a connecting bracket 114 provided at an upper end of each leg portion 120 to allow the leg portions 120 to be opened.

지지프레임(112)은 상판의 저면에 밀착되며, 하부가 개구된 'ㄷ'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의 일측 저면과 타측 저면에 각각 나란하게 구비되고, 하나의 지지프레임(112)에 2개의 레그부(120)가 결합된다. 그리고, 각각의 레그부(12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114)은 상부로 개구된 'ㄷ'자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지지프레임(112)의 내부에 수용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The support frame 1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has a "C" shaped cross section with its bottom opened. That is, as shown in FIG. 2, two leg portions 120 are coupled to one support frame 112, which are arranged on one bottom side and the other bottom side of the upper plate, respectively. The connection bracket 114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each of the leg portions 120 has a "C" shaped cross section opened at the top and is received in the support frame 112 and fixed by welding.

제2지지부(150)는 제1지지부(110)를 상호 연결하고, 상판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일측 지지프레임(112)과 타측 지지프레임(112)을 연결하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수평바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지지부(150)는 나란하게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art 150 connects the first support parts 110 and supports the upper plate and is a horizontal bar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connecting one support frame 112 and the other support frame 112. The second support portions 150 may be provided in parallel.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50)는 연결부(160)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부(16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부(150)가 안착되도록 지지프레임(112)에 형성되는 안착홀부(162) 및 안착홀부(162)에 안착된 제2지지부(150)에 결합되어 제2지지부(150)가 안착홀부(16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브라켓(164)을 포함한다. 안착홀부(162)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제2지지부(150)가 안착되도록 절개 형성되고, 이탈방지브라켓(164)은 안착홀부(162)에 안착된 제2지지부(150)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상부가 개구된 'ㄷ'자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안착홀부(162)보다 크게 형성되며, 볼트, 너트에 의해 제2지지부(150)에 결합됨으로써, 안착홀부(162)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The first support portion 110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50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on portion 160. 3, the connection part 160 includes a seating hole part 162 formed in the supporting frame 112 and a second supporting part 150 seated in the seating hole part 162 so that the second supporting part 150 is seated thereon And a separation preventing bracket 164 for preventing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15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eating hole portion 162. [ The seating hole 162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supporting part 150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s seated and the escape prevention bracket 164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ing part 150 which is seated in the seating hole part 162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eating hole portion 162 and is not detached from the seating hole portion 162 by being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150 by bolts and nuts.

이탈방지브라켓(164)은 지지프레임(112)의 저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안착홀부(162)는 지지프레임(112)의 상면에 형성되므로 제2지지부(150)가 지지프레임(112)과 더불어 상판의 저면에 접하는 구조를 지니게 되어 지지강성이 향상된다.Preferably, the departure prevention bracket 164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12 by welding. Since the seating hole portion 16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12, the second support portion 150 has a structur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together with the support frame 112, so that the support rigidity is improved.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제2지지부(150)는 상판의 양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개의 제1지지부(1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는 상판의 크기에 따라 복수개의 제1지지부(110)가 마련되고, 제2지지부(150)가 제1지지부(110)를 상호 연결할 수 있어 상판의 견고한 지탱이 가능하고, 손쉽게 회의용 탁자(100)를 조립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second support portion 150 may extend in both directions of the upper plate to connect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portions 110. This is because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ing portions 110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pper plate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s 150 can mutually connect the first supporting portions 110 to enable the upper plate to be firmly supported, .

레그부(120)는 스틸재질로 이루어지며, 인발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레그부(120)는 상판을 지지하는 수직레그부(122) 및 수직레그부(122)의 하부에 결합되고, 수직레그부(122)의 중심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레그부(124) 및 절곡레그부(124)의 각도를 지정하여 고정하는 각도지정부(130)를 포함한다.The leg portion 120 is made of a steel material and is formed by drawing processing. The leg portion 120 includes a vertical leg portion 122 for supporting the upper plate and a bending leg portion 124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leg portion 122 and bent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vertical leg portion 122, And an angle specification unit 130 for specifying and fixing an angle of the part 124. [

수직레그부(122)는 상호 나란하게 구비되며, 상판의 저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수직레그부(122)는 서로 보조프레임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지지강성이 향상된다. 보조프레임은 상호 엇갈리는 'X'자 형상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The vertical leg portions 122 are provided side by side and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vertical leg portions 122 are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by the auxiliary frame to improve the supporting rigidity. Auxiliary frames can be variously modified, such as an interlaced 'X' shape.

그리고, 보조프레임은 수직레그부(122)에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Then, the auxiliary frame is joined to the vertical leg portion 122 by welding.

절곡레그부(124)는 수직레그부(122)의 하단에 결합되고, 일측으로 절곡되어 구비된다. 이는 수직레그부(122)가 상판(10)의 중앙부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절곡레그부(124)가 외측으로 연장되므로 상판(10) 하부의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 사용자의 다리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ending leg portion 124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leg portion 122 and is bent to one side. This is because the vertical leg portion 122 is positioned close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bending leg portion 124 extends outward so that the space under the upper plate 10 can be widely secured, Can be prevented.

절곡레그부(124)의 하단에는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바닥면을 지지하는 받침부재(125)가 각각 구비된다.At the lower end of the bending leg portion 124, a supporting member 125 for supporting the floor surface is provided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각도지정부(130)는 수직레그부(122)의 하단에 구비되고, 결합공(132a)이 형성되며, 각도변경부(135)에 의해 지정각도로 고정되는 각도지정플레이트(132) 및 절곡레그부(124)에 구비되고, 각도지정플레이트(132)의 결합공(132a)과 대응되는 결합공(134a)이 형성되는 결속부(134)를 포함한다.The angle designating portion 13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leg portion 122 and is formed with an engaging hole 132a. The angle designating plate 132 and the bending leg 132, which are fixed at a specified angle by the angle changing portion 135, And a coupling portion 134 provided in the coupling portion 124 and having a coupling hole 134a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132a of the angle designation plate 132. [

각도지정플레이트(132)는 수직레그부(122)의 내부에 함몰되어 형성되고, 결속부(134)는 수직레그부(122)의 내부에 삽입되어 각도지정플레이트(132)와 접한다. 결속부(134)는 절곡레그부(124)의 상단에 구비되어 수직레그부(122)의 하단에 삽입되므로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결속력이 향상된다.The angle designating plate 132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vertical leg portion 122 and the binding portion 134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leg portion 122 to be in contact with the angle designating plate 132. Since the binding portion 134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ending leg portion 124 and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leg portion 122, the contact area is increased and the binding force is improved.

각도변경부(135)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레그부(122)의 내경에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는 고정돌기부(136) 및 고정돌기부(136)에 대응되도록 각도지정플레이트(132)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각도변경홀부(138)로 포함한다.4, the angle changing portion 135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136 and a fixing protrusion 136 formed to face each other on the inner diameter of the vertical leg portion 122, As shown in FIG.

즉, 작업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 맞게 고정돌기부(136)와 각도변경홀부(138)를 일치시킨 후, 수직레그부(122)의 내부에 각도지정플레이트(132)를 용접하여 고정하고, 각도지정플레이트(132)와 결속부(134)를 볼팅 결합하므로써, 레그부(120)가 조립된다.That is, the operator aligns the fixing protrusion 136 and the angle changing hole 138 in accordance with the angle desired by the user, and welds and fixes the angle specifying plate 132 inside the vertical leg 122, The leg portion 120 is assembled by bolting the plate 132 and the binding portion 134 to each other.

이때, 고정돌기부(136)에는 수직레그부(122)에서 각도지정플레이트(132)의 삽입거리를 제한하는 제한턱(137)이 구비되고, 제한턱(137)에 의해 각도지정플레이트(132)의 위치는 고정되며, 용접작업이 용이하다.At this time, the fixing protrusion 136 is provided with a restriction jaw 137 for limiting the insertion distance of the angle designation plate 132 in the vertical leg 122, The position is fixed and welding work is easy.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용 탁자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conference tab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지지프레임(112)의 양측에는 수직레그부(122)가 각각 연결되고, 각각의 지지프레임(112)은 상판의 양측 저면에 각각 볼팅되어 결합된다. 이때, 수직레그부(122)의 상단부에는 'ㄷ'자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브라켓(114)이 용접에 의해 결합되고, 연결브라켓(114)과 수직레그부(122)의 상단부는 'ㄷ'자 단면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12)에 수용되어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수직레그부(122)는 연결브라켓(114)에 의해 지지프레임(112)과 접촉면적이 넓어져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Vertical leg portions 122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112, and the support frames 112 are bolt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upper plate. The connection bracket 114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leg portion 122 by welding and the upper ends of the connection bracket 114 and the vertical leg portion 1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U- And is joined by welding. The vertical leg portion 122 is widened in contact area with the support frame 112 by the connection bracket 114, so that the vertical leg portion 122 can be firmly fixed.

그리고, 각각의 지지프레임(112)은 제2지지부(15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지지프레임(112)의 상면에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제2지지부(150)가 안착되는 안착홀부(162)가 형성되어 안착홀부(162)에 제2지지부(150)가 안착된다. 이때, 안착홀부(162)에는 제2지지부(150)의 상면을 제외한 둘레면을 감싸도록 'ㄷ'자 단면을 갖는 이탈방지브라켓(164)이 구비되어 제2지지부(150)가 안착되며, 제2지지부(150)와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므로써, 제2지지부(150)를 견고히 고정한다. 이탈방지브라켓(164)은 지지프레임(112)에 저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다.Each of the support frames 112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econd support portion 150. A seating hole portion 162 on which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150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s mount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12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150 is seated on the seating hole portion 162. At this time, in the seating hole portion 162, the second support portion 150 is seated with the release prevention bracket 164 having a 'C' -perpendicular cross-section so as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except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150, 2 support portion 150 and the bolt and nut, thereby securing the second support portion 150 securely.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164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112 by welding on the bottom surface.

이처럼,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50)는 상호 연결되어 상판(10)을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부(150)는 상판의 양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개의 제1지지부(1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는 긴 상판을 이용하여 긴 회의용 탁자(100)를 형성하고자 할 때, 복수개의 제1지지부(110)를 일정간격 이격 배치하고, 하나의 제2지지부(150)에 의해 제1지지부(110)를 연결할 수 있는 구조에 의해 조립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현장에서 제2지지부(150)의 절단에 의해 다양한 길이의 회의용 탁자(100)를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upport part 110 and the second support part 150 are mutually connected to firmly support the upper plate 10. [ Meanwhile, as shown in FIG. 8, the second support part 150 may extend in both directions of the upper plate to connect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parts 110. [0054] FIG. This is because when a long table is used to form a long conference table 100, a plurality of first supports 1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first support 110 The assembling structure is improved by the connectable structure. Accordingly, the conference table 100 having various lengths can be quickly manufactured by cutting the second support part 150 in the field.

수직레그부(122)의 하단부는 보강프레임(140)이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상호 연결함으로써, 상판의 하중을 견고히 지지하고, 복수개의 수직레그부(122)가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화된다.The lower ends of the vertical leg portions 122 firmly support the load of the upper plate and the plurality of vertical leg portions 122 ar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by the welding of the reinforcing frames 140 by mutual connection.

이후, 수직레그부(122) 각각에 각도지정플레이트(132)를 고정한다. 각도지정플레이트(132)는 수직레그부(122)의 하단에 결합되는 절곡레그부(124)의 각도를 지정하는 구성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각도를 지정하여 절곡레그부(124)를 고정하는 것이다.Then, the angle designating plate 132 is fixed to each of the vertical leg portions 122. The angle specifying plate 132 is configured to specify the angle of the bending leg portion 124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leg portion 122 and fix the bending leg portion 124 by designating an angle suitable for a user's request .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 4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레그부(122)의 내경에는 상호 마주보는 고정돌기부(136)가 형성되고, 고정돌기부(136)에 각도지정플레이트(132)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각도변경홀부(138)를 각도에 맞게 선택하여 용접에 의해 고정한다. 이때, 각도지정플레이트(132)는 고정돌기부(136)에 형성되는 제한턱(137)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며, 제한턱(137)에 의해 용접작업이 용이하다.4 and 5, the vertical protruding portion 136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vertical leg portion 122 so as to be opposed to the edge of the angle designating plate 132 The angle changing hole portion 138 to be formed is selected by an angle and fixed by welding. At this time, the angle designating plate 132 is fixed in position by the limiting jaws 137 formed on the fixing protrusions 136, and the welding operation is facilitated by the limiting jaws 137.

즉, 도 6과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부(136)와 각도변경홀부(138)의 결합에 의해 각도지정플레이트(132)의 결합공의 각도는 변경되고, 이와 대응되는 결속부(134)가 결합됨에 따라 절곡레그부(124)는 수직레그부(122)를 중심으로 일정각도에 정확하게 고정될 수 있다.6 and 7, the angle of the engagement hole of the angle designating plate 132 is changed by the engagement of the fixing protrusion 136 and the angle changing hole 138, and the corresponding engagement portion 134 The bending leg portion 124 can be accurately fixed at a certain angle about the vertical leg portion 122. [

그리고, 수직레그부(122)와 절곡레그부(124)를 연결하는 볼팅작업이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이루어지므로 체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각도지정플레이트(132)가 수직레그부(122)의 하단부에 구비되므로 특수공구가 필요치 않아 편의를 제공한다.Since the bolting operation for connecting the vertical leg portion 122 and the bending leg portion 124 is performed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so that the engaging memb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angle designation plate 132 is engaged with the vertical leg portion 122, So that a special tool is not required and convenience is provided.

각각의 절곡레그부(124)의 하단에는 받침부재(125)가 결합되어 회의용 탁자(100)가 완성된다.At the lower end of each bending leg portion 124, a supporting member 125 is coupled to complete the conference table 100.

운반시에는 절곡레그부(124)의 결속을 해체하고 개별적으로 운반할 수 있어 부피가 현저히 줄어 운반이 용이한 효과를 지닌다.The binding of the bending leg portion 124 can be disassembled and transported separately, thereby remarkably reducing the volume and facilitating transporta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의용 탁자에 의하면, 각각의 부품별로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조립성이 향상되고, 각 부품이 정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어 조립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해에 의해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운반이 용이하다. 또한, 제2지지부가 상판의 양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개의 제1지지부를 연결할 수 있어 사용자가 요구에 만족할 수 있는 긴 탁자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erence t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assembly and assembly are facilitated for each part to improve assemblability, each component can be coupled to a correct position, , The volume can be reduced by the decomposition, so that the transportation is easy.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support portions extend in both directions of the upper plate to connect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portion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ong table that the user can satisfy the deman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 회의용 탁자 110 : 제1지지부
112 : 지지프레임 114 : 연결브라켓
120 : 레그부 122 : 수직레그부
124 : 절곡레그부 125 : 받침부재
130 : 각도지정부 132 : 각도지정플레이트
134 : 결속부 135 : 각도변경부
136 : 고정돌기부 137 : 제한턱
138 : 각도변경홀부 140 : 보조프레임
150 : 제2지지부 160 : 연결부
162 : 안착홀부 164 : 이탈방지브라켓
100: conference table 110: first support
112: support frame 114: connection bracket
120: leg portion 122: vertical leg portion
124: bending leg portion 125: receiving member
130: Angle designation 132: Angle designation plate
134: Coupling unit 135: Angle changing unit
136: fixing protrusion 137: limiting jaw
138: angle changing hole part 140: auxiliary frame
150: second support part 160:
162: a seating hole part 164: a separation prevention bracket

Claims (7)

상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지부를 지지하는 레그부와, 상기 제1지지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에 상기 제2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레그부를 한 쌍식 상호 연결하고, 상기 상판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과 각각의 상기 레그부의 접촉면적을 넓게 형성하도록 각각의 상기 레그부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지지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형성되는 안착홀부; 및
상기 안착홀부에 안착된 상기 제2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지지부가 상기 안착홀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브라켓은 상기 안착홀부에 안착된 상기 제2지지부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상부가 개구된 'ㄷ'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착홀부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홀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상판의 저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의용 탁자.
A first support portion provided on both side edges of the upper plate, a leg portion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portion to support the first support portion, a second support portion interconnect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supporting the upper plate, 1)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to the supporting portion;
The first support portion includes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in a pair manner and interconnecting the leg portions. And
And a connection bracket provided at an upper end of each of the leg portions to form a contact area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each of the leg portions to be wider;
Th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seating hole portion formed in the support frame to seat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And a release preventing bracket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seated in the seating hole portion to prevent the second support portion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eating hole portion;
Wherein the release preventing bracket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U-shaped cross-sectional shape with an upper opening to surround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that is seated in the seating hole portion, and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eating hole portion;
Wherein the seating hole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support frame ar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양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1지지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의용 탁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support portion extends in both side directions of the upper plate to connect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 portio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는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수직레그부;
상기 수직레그부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레그부의 중심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레그부; 및
상기 절곡레그부의 각도를 지정하여 고정하는 각도지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의용 탁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g portion includes a vertical leg portion for supporting the upper plate;
A bending leg portion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leg portion and bent outwardly from a center of the vertical leg portion; And
And an angle designating unit for designating and fixing an angle of the bending leg por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지정부는 상기 수직레그부의 하단에 구비되고, 결합공이 형성되며, 각도변경부에 의해 지정각도로 고정되는 각도지정플레이트; 및
상기 절곡레그부에 구비되고, 상기 각도지정플레이트의 결합공과 대응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의용 탁자.
6. The method of claim 5,
The angle designating portion being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leg portion and having an engaging hole and being fixed at a specified angle by an angle changing portion; And
And a binding portion provided on the bending leg portion and having a coupl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of the angle designating plat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변경부는 상기 수직레그부의 내경에 상호 마주보게 형성되는 고정돌기부; 및
상기 고정돌기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각도지정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각도변경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의용 탁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ngle changing portion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formed opposite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vertical leg portion; And
And a plurality of angle changing holes formed at edges of the angle designating plate to correspond to the fixing protrusions.
KR1020140033009A 2014-03-20 2014-03-20 Conference table KR1015857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009A KR101585760B1 (en) 2014-03-20 2014-03-20 Conference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009A KR101585760B1 (en) 2014-03-20 2014-03-20 Conference t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768A KR20150109768A (en) 2015-10-02
KR101585760B1 true KR101585760B1 (en) 2016-01-15

Family

ID=54341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009A KR101585760B1 (en) 2014-03-20 2014-03-20 Conference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76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160Y1 (en) * 2006-08-17 2006-11-02 주식회사 인테그랄퍼니처 Desk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674B1 (en) * 2012-07-31 2014-04-02 장근대 Leg using des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160Y1 (en) * 2006-08-17 2006-11-02 주식회사 인테그랄퍼니처 Desk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768A (en)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3653B2 (en) Quick assembly table
KR200488279Y1 (en) Furniture assembly frame structure
US9874237B1 (en) Support assembly joint and applications thereof
KR101380674B1 (en) Leg using desk
KR101730963B1 (en) Desk
KR200461772Y1 (en) Netal leg structure for furniture
US20180355901A1 (en) Support beam connector system
KR102283655B1 (en) Fabricable Furniture
KR101379311B1 (en) Leg using table
KR20130005154U (en) Table legs and frame structure
US10039386B2 (en) Bed frame assembly
KR101585760B1 (en) Conference table
KR20160133080A (en) Prefabricated table frame
KR102092858B1 (en) Steel frame connection structure for furniture
KR200425226Y1 (en) an assembly structure of table
KR101656736B1 (en) the connect tool for assembly furniture and the assembly furniture therewith
KR200473695Y1 (en) Table having integrated assembly of leg
KR102270346B1 (en) Desk leg structure based on connection bracket and desk comprising the same
KR102173966B1 (en) Table
KR20170001736U (en) the combine structure for board of table
KR101735070B1 (en) Prefabricated roofing for furniture
KR101714865B1 (en) Desk
JP5191195B2 (en) Furniture top panel connection structure
KR20180000759A (en) Assembly furniture and fastening mechanism of its frame
KR102605623B1 (en) Easy-to-assemble furniture fram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