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373B1 -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373B1
KR101585373B1 KR1020150050121A KR20150050121A KR101585373B1 KR 101585373 B1 KR101585373 B1 KR 101585373B1 KR 1020150050121 A KR1020150050121 A KR 1020150050121A KR 20150050121 A KR20150050121 A KR 20150050121A KR 101585373 B1 KR101585373 B1 KR 101585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fibers
drainage
slope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식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50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는, 천공된 지반 내에 삽입되고, 내부 공간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의 내부 공간은 팽창 후 형상 유지 가능한 섬유로 채워지고, 상기 섬유의 팽창에 의해 상기 배수부의 일부가 상기 지반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배수부 내 섬유 사이의 공극 또는 상기 배수부와 상기 지반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천공된 지반 내에 유입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REENING AND DRAINING SLOPE USING FIBER}
본 발명은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팽창 후 형상 유지 가능한 섬유로 채워진 배수부를 구비하여, 배수부를 통한 배수 및 녹화를 제공할 수 있는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산, 하천, 아파트 단지, 단지(공동, 택지 등), 공업 단지, 건축물 주변의 절토나 성토로 인하여 발생한 인공적인 비탈면이나 옹벽에는 PVC 재질의 유공관이나 다발관이 전면에 설치하여 비탈면 내 지하수를 전면으로 직접 배수시킨다.
이와 같이 배수용으로 유공관이나 다발관을 사용할 경우 배수관 내부로 점토와 같은 미세한 입자가 유입되어 배수관 내부가 막거나 배수관의 직경이 좁아지면서 비탈면 내부의 지하수가 원활하게 유출되지 않게 된다.
결국 비탈면 내 지하수위가 상승하게 되면서 비탈면의 안정성을 위협하거나 붕괴를 일으키게 된다.
이와 같이 우기 시에 발생하는 비탈면이나 옹벽의 붕괴 사례는 대부분이 비탈면 내 토사 혹은 벽체 뒤채움 토사 내의 지하수위가 상승하면서 토압이 증가하여 붕괴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국토가 좁고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의 경우 대규모 토지조성공사, 도로공사, 철도공사 등에 수반하여 비탈면을 개발하는 것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비탈면은 토사와 암반이 불균질하게 분포되어 있어 강우와 같은 자연재해로 비탈면이 붕괴하여 귀중한 인명과 재산을 손실시키는 불안요소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비탈면이 붕괴하지 않도록 개발하는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인공적인 구조물을 이용하는 것보다, 자연 친화적인 방안으로 비탈면이 형성된 지역에 식물을 식재함으로써, 비탈면이 붕괴하지 않도록 하는 비탈면 녹화공법들이 특히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나대지(裸垈地)의 비탈면에 식물을 식재하여 비탈면이 붕괴하지 않을 정도로 고착하는데 있어서는 상당히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그 전에는 필수불가결하게 인공적인 구조물이 장시간 설치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한편, 최근 국토 해양부에서는 도로 비탈면 녹화공사의 설계 및 시공지침을 수립하여 도로 비탈면을 친환경적 재래종 위주로 복원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도로 비탈면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여름철의 집중호우와 태풍 등으로 비탈면의 침식과 세굴이 자주 발생하여 가능하면 녹화와 동시에 비탈면의 표면 보호를 위한 녹화 공법의 도입이 절실하다. 또한, 기존의 외래종 위주의 조기녹화에서 점차 자연생태와 경관을 고려한 녹화공법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2011년 1월 11일에 출원된 KR 2011-0002771에서는 도로 비탈면 녹화공법을 위한 건식 조성물, 습식 조성물, 도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비탈면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팽창 후 형상이 유지되는 섬유를 구비하여 섬유가 천공된 지반을 채우고 섬유가 지반에 고정되게 할 수 있는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기존 유공관이나 다발관을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배수관의 막힘 현상을 조직이 미세한 섬유로 대체함으로써 비탈면 내 토사 유입을 방지하면서 비탈면 내의 지하수를 원활하게 배수시킴으로써 비탈면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섬유 사이의 공극 또는 복수 개의 망 부재 사이의 공간을 통해 천공된 지반 내 유입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섬유에 씨앗을 포함시켜 씨앗의 발아에 의해 비탈면에 녹화가 조성될 수 있는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비교적 용이하게 비탈면의 배수 및 녹화를 달성할 수 있는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는, 천공된 지반 내에 삽입되고, 내부 공간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의 내부 공간은 팽창 후 형상 유지 가능한 섬유로 채워지고, 상기 섬유의 팽창에 의해 상기 배수부의 일부가 상기 지반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배수부 내 섬유 사이의 공극 또는 상기 배수부와 상기 지반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천공된 지반 내에 유입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는, 천공된 지반 내에 삽입되고, 내부 공간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의 내부 공간은 팽창 후 형상 유지 가능한 단섬유로 채워지고, 상기 단섬유의 팽창에 의해 상기 배수부의 일부가 상기 지반에 고정되어, 상기 배수부가 상기 지반과 일체화될 수 있고, 상기 배수부 내 단섬유 사이의 공극 또는 상기 배수부와 상기 지반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천공된 지반 내에 유입된 물이 배출될 수 있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단섬유가 비팽창 상태로 채워지고, 상기 천공된 지반 내에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망 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망 부재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망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가 연결된 양단을 향하여 직경이 좁아지며, 상기 천공된 지반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망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가 교대로 배치되어, 상기 배수부는 상기 천공된 지반의 내측으로부터 입구측을 향하여 직경이 넓어지는 부분과 좁아지는 부분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망 부재 중 상기 천공된 지반의 입구 측에 있는 망 부재의 단섬유 내에 씨앗이 포함되고, 상기 천공된 지반 인근 비탈면에도 씨앗이 포설되어, 상기 배수부로부터 배수된 물에 의해 상기 씨앗이 발아되면서 상기 비탈면 전체에 녹화가 조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섬유는 단섬유로 마련되고, 상기 섬유는 셀룰로오스 섬유 또는 폴리머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배수부는 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망 부재 내에 상기 섬유가 채워질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배수부는, 상기 천공된 지반 내에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망 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망 부재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배수부에는 섬유 사이에 씨앗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배수부 내 씨앗의 발아에 의해 비탈면에 녹화가 조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배수부에서 천공된 지반의 입구에 근접한 지점에 씨앗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배수부로부터 상기 천공된 지반의 외측을 향하여 상기 씨앗이 발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방법은, 지반이 천공되는 단계; 천공된 지반 내에 팽창 후 형상 유지 가능한 섬유가 삽입되는 단계; 및 상기 섬유가 상기 지반에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의 상기 지반에 대한 고정에 의해 상기 섬유와 상기 지반이 일체화될 수 있으며, 상기 천공된 지반의 입구 측에 있는 섬유 내에 씨앗이 포함되어, 상기 섬유 내 씨앗의 발아에 의해 비탈면에 녹화가 조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섬유가 상기 지반에 고정되는 단계는, 상기 천공된 지반 내에 물이 유입되는 단계; 상기 섬유에 상기 물이 흡수되는 단계; 상기 섬유가 팽창되는 단계; 및 상기 팽창된 섬유의 형상이 유지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천공된 지반 내에 팽창 후 형상 유지 가능한 섬유가 삽입되는 단계에서, 상기 섬유는 망 부재 내에 채워져서 상기 섬유가 천공된 지반 내에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팽창 후 형상이 유지되는 섬유를 구비하여 섬유가 천공된 지반을 채우고 섬유가 지반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기존 유공관이나 다발관을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배수관의 막힘 현상을 조직이 미세한 섬유로 대체함으로써 비탈면 내 토사 유입을 방지하면서 비탈면 내의 지하수를 원활하게 배수시킴으로써 비탈면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섬유 사이의 공극 또는 복수 개의 망 부재 사이의 공간을 통해 천공된 지반 내 유입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섬유에 씨앗을 포함시켜 씨앗의 발아에 의해 비탈면에 녹화가 조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비교적 용이하게 비탈면의 배수 및 녹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가 천공된 지반 내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가 천공된 지반 내에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에서 배수부에 씨앗이 포함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5a 및 5b는 비탈면에 녹화가 조성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를 도시하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가 천공된 지반 내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가 천공된 지반 내에 고정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에서 배수부에 씨앗이 포함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5a 및 5b는 비탈면에 녹화가 조성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10)는 배수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100)는 천공된 지반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지반은 내측으로부터 입구 측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천공된 지반 내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수부(100)는 섬유(110) 및 망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100)의 내부 공간은 섬유(110)로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섬유(110)는 단섬유(Monofilament)로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섬유는 보통 2.5 내지 3.8cm 이하의 길이를 구비하는 짧은 섬유를 말한다.
또한, 상기 섬유(110)는 팽창 후 형상 유지 가능한 섬유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유(110)는 수분 함유 시 부풀어오르고 수분 제거 시에도 팽창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스폰지(sponge) 구조의 미세한 망사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팽창 가능한 섬유(110)는 셀룰로오스 섬유 또는 폴리머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는 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섬유를 총칭하며, 천연, 인조를 불문하고 모든 섬유 중 그 생산액이 가장 많고 값싸며 방직 섬유, 종이, 펄프, 셀룰로오스계 플라스틱, 화약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등의 광범위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머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및 제 3성분이 공중합되거나 블랜딩된 폴리아미드 등과 같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제 3성분이 공중합되거나 브랜딩된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과 같은 고분자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부(100)는 셀룰로오스 섬유 또는 폴리머 섬유를 잘게 부순 단섬유를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섬유(110)의 종류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팽창 후 형상 유지 가능한 섬유라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비탈면의 배수를 위하여 배수관으로써 유공관 또는 다발관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배수관에서 토사 또는 이물질에 의해 막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조직이 미세한 섬유를 활용함으로써 배수관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탈면 내 토사 유입을 방지하면서 비탈면에서 천공된 지반 내에 유입된 물, 예를 들어 비탈면 내의 지하수를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다. 결국 섬유를 활용함으로써 비탈면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섬유(110)는 망 부재(12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망 부재(120)에는 섬유(110)가 가득 채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천공된 지반을 가득 채울 수 있을 정도로 하나의 망 부재(120)에 섬유(110)가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부(100)는 복수 개의 망 부재(120) 및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부(100)는 세 개의 망 부재(120) 및 두 개의 연결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망 부재(120) 및 연결 부재(130)의 개수는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천공된 지반의 깊이에 따라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망 부재(120)는 예를 들어 양파망과 같이, 적절한 탄성을 지니고 외부로부터 수분 흡수가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부재(130)는 예를 들어 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망 부재(120)는 섬유(110)가 천공된 지반 내에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섬유(110)는 단섬유의 형태로 마련되기 때문에, 망 부재(120) 내에 삽입되지 않을 경우, 천공된 지반 내에서 무분별하게 분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10)는 천공된 지반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배수부(100)가 천공된 지반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130)에 의해 복수 개의 망 부재(120)가 연결되어, 천공된 지반 내에서 천공된 지반 내에 복수 개의 망 부재(120)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망 부재(120) 중의 일부는 천공된 지반의 내측에 위치되고, 복수 개의 망 부재(120) 중의 일부는 천공된 지반의 입구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배수부(100)가 원상태로 천공된 지반 내에 삽입되었으므로, 섬유(110) 내에 수분이 흡수되지 않아 섬유(110)가 팽창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리고, 망 부재(120)가 천공된 지반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수부(100)와 천공된 지반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배수부(100)의 섬유(110)가 물 흡수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망 부재(120) 내에 삽입된 섬유(110)가 물 흡수에 의해 팽창하게 되면, 섬유(110)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고, 망 부재(120) 또한 팽창하게 될 수 있다.
이때, 망 부재(120)는 천공된 지반을 채우면서 천공된 지반의 내벽을 향하여 팽창하게 되어, 결국 천공된 지반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천공된 지반 내의 빈 공간의 크기가 감소하고, 망 부재(120)의 일부가 천공된 지반과 일체화될 수 있다.
이는 배수부(100)에 포함되는 섬유(110)의 성질에 기인한 현상이며, 복수 개의 망 부재(120)가 연결됨으로써, 배수부(100)의 지반에 대한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천공된 지반 내에서 섬유(110) 사이의 공극 또는 복수 개의 망 부재(12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천공된 지반 내에 유입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게다가, 지반이 내측으로부터 입구 측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천공되어, 천공된 지반 내의 배수를 촉진시킬 수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여, 배수부(100)에서 천공된 지반의 입구에 근접한 지점에 씨앗(S)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망 부재(120) 중 천공된 지반의 입구 측에 위치한 망 부재(120) 내에 씨앗(S)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씨앗(S)은 망 부재(120) 내 섬유(110) 사이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씨앗(S)은 각종 씨앗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하나의 천공된 지반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탈면에는 복수 개의 천공된 지반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복수 개의 천공된 지반 내에 각각 배수부(100)가 위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배수부(100)의 망 부재(120) 내에는 서로 다른 씨앗(S) 또는 동일한 씨앗(S)이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심미감이 향상되도록 비탈면에 녹화를 조성할 수 있다.
상기 씨앗(S)은 배수부(100)의 망 부재(120)로부터 천공된 지반의 입구의 외측, 즉 외부를 향하여 발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앗(S)의 발아 초기에는 천공된 지반 근처에 녹화가 조성될 수 있으나, 점차 시간이 흐르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탈면 전체에 녹화가 조성될 수 있다.
이때, 섬유(110) 사이에 포함된 씨앗(S)은 섬유(110) 및 망 부재(120)에 의해 원활하게 발아가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섬유(110)가 수분 흡수에 의해 팽창하게 되면 섬유(110) 사이에 씨앗(S)의 유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게다가, 망 부재(120)를 통해 외부와 물질 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씨앗(S)이 발아되기 위해서 필요한 공기, 햇빛, 수분, 영양분 등이 씨앗(S)에 충분히 공급될 수 있다.
게다가, 씨앗(S)이 발아되는데 이로운 미생물들 또한 망 부재(120)를 통해 내부 공간에 유입될 수 있으며, 씨앗(S)이 발아되면서 망 부재(120)를 통해 뿌리가 지반을 향하여 성장하게 되어, 비탈면에 형성된 녹화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섬유(110) 및 망 부재(120)로 구성된 배수부(100)는 천공된 지반 내의 배수뿐만 아니라, 비탈면의 녹화를 조성하는 데에도 이로울 수 있다.
이상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10)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며, 이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지반이 천공된다(S10).
이때, 지반은 내측으로부터 입구 측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천공될 수 있다. 이는 천공된 지반의 배수에 이로울 수 있다.
이어서, 천공된 지반 내에 팽창 후 형상 유지 가능한 섬유가 삽입된다(S20).
상기 팽창 후 형상 유지 가능한 섬유는 예를 들어, 수분 흡수 시 팽창되고, 수분 제거 시에도 팽창된 형상이 유지되는 섬유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섬유는 단섬유로 마련되어 망 부재 내에 삽입되어, 천공된 지반 내에서 분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망 부재가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복수 개의 망 부재 내에 섬유가 채워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천공된 지반 내에는 섬유로 채워진 복수 개의 망 부재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천공된 지반의 입구 측에 있는 섬유 내에는 비탈면에 녹화를 조성하게 할 씨앗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섬유가 지반에 고정된다(S30).
구체적으로, 섬유는 다음과 같이 지반에 고정될 수 있다.
우선, 천공된 지반 내에 물이 유입된다(S32).
이때, 물은 인위적으로 천공된 지반 내에 주입될 수 있다.
이어서, 섬유에 물이 흡수된다(S34).
이에 의해, 섬유가 팽창된다(S36).
섬유가 팽창하게 되면, 섬유의 크기가 증가하게 될 수 있다.
섬유가 망 부재 내에 채워진 경우, 망 부재 또한 섬유의 팽창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망 부재 및 섬유가 지반에 고정되고 지반과 일체화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팽창된 섬유의 형상이 유지된다(S38).
이는 섬유의 팽창 후 형상 유지 가능한 성질에 기인하며, 섬유와 지반의 고정력이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섬유 사이의 공극 또는 복수 개의 망 부재 사이의 공간을 통해 천공된 지반 내 유입된 물을 배출시킬 수 있으며, 섬유에 씨앗을 포함시켜 씨앗의 발아에 의해 비탈면에 녹화가 조성될 수 있고, 비교적 용이하게 비탈면의 배수 및 녹화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
100: 배수부
110: 섬유
120: 망 부재
130: 연결 부재
S: 씨앗

Claims (9)

  1. 천공된 지반 내에 삽입되고, 내부 공간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의 내부 공간은 팽창 후 형상 유지 가능한 단섬유로 채워지고,
    상기 단섬유의 팽창에 의해 상기 배수부의 일부가 상기 지반에 고정되어, 상기 배수부가 상기 지반과 일체화될 수 있고,
    상기 배수부 내 단섬유 사이의 공극 또는 상기 배수부와 상기 지반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천공된 지반 내에 유입된 물이 배출될 수 있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단섬유가 비팽창 상태로 채워지고, 상기 천공된 지반 내에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망 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망 부재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망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가 연결된 양단을 향하여 직경이 좁아지며, 상기 천공된 지반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망 부재 및 상기 연결 부재가 교대로 배치되어, 상기 배수부는 상기 천공된 지반의 내측으로부터 입구측을 향하여 직경이 넓어지는 부분과 좁아지는 부분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망 부재 중 상기 천공된 지반의 입구 측에 있는 망 부재의 단섬유 내에 씨앗이 포함되고, 상기 천공된 지반 인근 비탈면에도 씨앗이 포설되어, 상기 배수부로부터 배수된 물에 의해 상기 씨앗이 발아되면서 비탈면 전체에 녹화가 조성되는,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섬유는 셀룰로오스 섬유 또는 폴리머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050121A 2015-04-09 2015-04-09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 및 방법 KR101585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121A KR101585373B1 (ko) 2015-04-09 2015-04-09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121A KR101585373B1 (ko) 2015-04-09 2015-04-09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373B1 true KR101585373B1 (ko) 2016-01-14

Family

ID=55173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121A KR101585373B1 (ko) 2015-04-09 2015-04-09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3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835B1 (ko) * 2016-05-17 2018-06-01 시지엔지니어링(주) 지반 보강용 셀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835B1 (ko) * 2016-05-17 2018-06-01 시지엔지니어링(주) 지반 보강용 셀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90931B (zh) 一种水库消落带陡坡地区受损生态系统修复方法
KR101821553B1 (ko) 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구조물
KR101055566B1 (ko) 친환경 식생옹벽
KR101585373B1 (ko) 섬유를 활용한 비탈면 배수 및 녹화 장치 및 방법
JP2009270387A (ja) ネコヤナギを用いた既設のコンクリート護岸における水辺の環境改善工法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CN108951542A (zh) 一种高流速河道生态笼网箱护岸方法
WO2009111995A1 (en) Vegetation roof, especially pitched,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CN105970977A (zh) 一种涌水边坡的生态修复方法及系统
CN206467677U (zh) 基坑侧壁排水装置
KR200420824Y1 (ko) 식물 성장이 불가능한 콘크리트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녹화 구조
CN112411581A (zh) 防雨水冲刷边坡施工方法
CN111886959A (zh) 一种矿山陡坡面的生态复绿方法
KR100946760B1 (ko) 간척지 나무 식재방법
KR200412590Y1 (ko) 사면녹화용 식생블록
CN213233311U (zh) 自然荒坡及直立硬质护岸快速生态化改造及修复的装置及生态种植框
KR100883897B1 (ko) 하천변 식물성장불가능한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녹화방법
CN211671537U (zh) 一种矿山坡面绿化结构
KR101664736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식생토낭
CN113529753A (zh) 速凝高聚物注浆快速治理崩岗的施工方法
CN110984191A (zh) 一种斜坡植被附着装置
CN206529792U (zh) 一种挡土墙
KR101003737B1 (ko) 친환경 사면 보호공법 및 그 구조체
CN203795382U (zh) 生态型水渠
CN209099437U (zh) 一种喷微灌农田蓄雨降渍渗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