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125B1 - Bed for change position of the body with Double Lock - Google Patents

Bed for change position of the body with Double 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125B1
KR101585125B1 KR1020140049294A KR20140049294A KR101585125B1 KR 101585125 B1 KR101585125 B1 KR 101585125B1 KR 1020140049294 A KR1020140049294 A KR 1020140049294A KR 20140049294 A KR20140049294 A KR 20140049294A KR 101585125 B1 KR101585125 B1 KR 101585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ocking
spring
longitudinal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2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23012A (en
Inventor
이대훈
Original Assignee
(주)정인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인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정인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140049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125B1/en
Publication of KR20150123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0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1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 A47C19/122Folding bedsteads foldable head to foot on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 A47C19/124Folding bedsteads foldable side to side on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 A47C19/126Folding bedsteads foldable side to side and head to foot, e.g. umbrella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 A47C19/128Folding bedsteads only legs being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록커를 구비한 체위변환 침대는, 메인프레임, 각각 종선회축을 구비한 복수의 서포트분체로 각각 구성된 상체 및 하체 서포트유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프레임 상부에 배열된 서포트패널, 상기 각 서포트유니트를 종선회축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승하강시키는 종방향 변위수단 및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에 의하여 각 서포트유니트가 종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승하강하는 서포트분체는 풀고, 정지된 서포트분체는 잠그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수단은, 스프링부재의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서포트분체의 잠금을 풀게 되어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상품성을 향상시킨다.A position changing bed having a double lo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frame, a support panel composed of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support unit each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pport powders each having a longitudinal pivot, A vertical displacement means for rotating the support units about their longitudinal pivot shafts to move up and down, and a support powder moving upward and downward about the longitudinal pivot shafts by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means, And the locking means releases the lock of the support powder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improving the merchantability.

Figure R1020140049294
Figure R1020140049294

Description

이중 록커를 구비한 체위변환 침대{Bed for change position of the body with Double Lock}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본 발명은 이중 록커를 구비한 체위변환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종횡으로 자유롭게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한 이중 록커를 구비한 체위변환 침대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on changing bed having a double loc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sition changing bed having a double locker capable of freely folding or unfolding.

특수 침대, 특히 환자용 침대, 보다 상세하게는 장기간 누워 생활할 수밖에 없는 중증환자, 예를 들어 중풍환자 또는 근육병(예: 루게릭 병) 환자 등과 같이 신체 장애로 주로 침대에서 생활을 하고 보호자 등 타인의 도움에 의해서만 생활하는 환자는 욕창 등의 2차적인 질병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침대 접촉 부위를 바꿔 통풍 및 혈액순환을 유도할 필요가 있고, 식사 후 등의 경우에도 신체 각도를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Special beds, especially bed for patients, more particularly severe patients who are forced to live for a long period of time, such as paralytic patients or patients with muscular dystrophy (eg, Lou Gehrig's disease) It is necessary for the patient living only by the patient to change the contact area of the bed periodically to induce ventilation and blood circulation so that a secondary disease such as a pressure ulcer does not occur and to change the body angle even after the meal.

이러한 특수 침대에 대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나 주로 상체나 무릎을 접는 정도의 횡방향 폴딩에 중점을 두고 있다.Various kinds of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for these special beds, but they mainly focus on the lateral folding of the upper body or the knees.

이에 비하여 본 발명자에 의한 특허공개 제10-2011-0043357호(공개일자 2011년04월27일) [접이식 침대]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는 다수개로 분할 구성되는 접이식 침대의 상부 프레임을 제1 실린더와 연설된 제1 절곡로드를 통해 90도 이상의 각도로 접혀질 수 있도록 하면서, 하측 중간 프레임 및 이와 힌지부로서 연설되는 하부 프레임을 제2 실린더와 연설된 제2 절곡로드를 통해 일정각도 자유롭게 접혀질 수 있도록 하여, 근육병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의 프레임 자체를 전방 및 후방으로 원하는 각도만큼 절곡하여 엉덩이 및 다리등과 같은 상,하 운동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는 설치된 제3 및 제4 실린더 및 이와 연설된 제3 및 제4 절곡로드를 통하여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면부를 각각 원하는 각도만큼 일정각도 자유롭게 접혀질 수 있도록 하여, 근육병 환자가 누워있는 침대의 프레임 측면 자체를 좌측 및 우측으로 원하는 각도만큼 절곡하여, 근육병 환자의 몸을 좌,우측으로 뒤집어 주는 동작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신체를 움직일 수 없는 근육병 환자의 신체 근육 운동을 환자가 온돌방등에 설치된 침대 프레임의 상측 라텍스 매트리스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침대 프레임을 통하여 손쉽고, 용이하게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한 접이식 침대를 제시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folding bed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1-0043357 (Apr. 27, 2011) by the present inventor, wherein the upper frame of the foldable bed, So that the lower intermediate frame and the lower frame, which is provided as the hinge portion, can be fold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rough the second bending rod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cylinder So that the frame itself of the bed in which the muscular disease patient is lying can be bent forward and backward at a desired angle to automatically perform up and down movements such as the hips and legs, The third and fourth cylinders and the third and fourth bending rods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So that the side of the frame of the bed where the muscular patient is lying is bent to the left and right sides by a desired angle to automatically perform the operation of turning the body of the muscular patient to the left and right side, In which the patient is lying on the upper latex mattress of the bed frame provided in the ondol room or the like, so that the patient can easily and easily perform the folding bed automatically through the bed frame.

그러나 추가적인 개량 과정에서 횡방향 폴딩모드 후, 이 상태에서 종방향 폴딩모드가 진행할 필요가 있어 이에 대한 방안 제시가 필요하며, 또 양상성을 높이고 경량화를 달성하고,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 제1200721호 '자유 접이 침대'(2012.11.01 등록)을 제안한 바 있다. However, in the further improvement process, the longitudinal folding mode needs to proceed in this state after the lateral folding mod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pose a solution to this, and in order to enhance the appearance and lightness and to increase the durability, I proposed the 'Free Roller Bed' (Registration on November 1, 2012).

그러나, 상기 특허등록 제1200721호 '자유 접이 침대'는 안전을 위해 안전상승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안전상승수단을 통해 종방향 폴딩모드를 위한 록킹수단이 잠금 해제되고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안전상승수단에 의해 록킹수단의 구조가 복잡해지며,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atent registration No. 1200721 " free-floating bed " includes a safety raising means for safety, and the locking raising means for the longitudinal folding mode is unlocked and structured through the safety raising means, The structure of the locking means is complicated by the means,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cost and a deterioration of the merchantability.

1. 국내특허공개 제2011-0043357호 '접이식 침대'(2011.04.27 공개)1. Korean Patent Laid-Open No. 2011-0043357 'folding bed' (disclosed on April 24, 2011) 2. 국내특허등록 제1200721호 '자유 접이 침대'(2012.11.01 등록)2. 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o. 1200721 'Free-folding bed' (registered on November 1, 2012) 3. 국내특허등록 제0887728호 '체위변환용 매트리스'(2009.03.02 등록)3. 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o. 0887728 'Changeable mattress' (Registered on Mar. 3, 2009) 4. 국내실용신안등록 제0356761호 '접이침대'(2004.07.08 등록)4. Domestic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56761 'Folding Bed' (Registered July 7, 2004)

본 발명은 서포트패널의 상체 및 하체를 위한 서포트패널이 횡방향으로 접힌 상태에서 다시 종방향으로 접히는 것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종횡으로 폴딩 또는 언폴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또는 보호자의 의도에 맞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 이중 록커를 구비한 체위변환 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support panel for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of the support panel can be fol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gain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anel is laterally folded so that it can be freely folded or unfolded in the longitudinal and lateral directions as necessar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sition changing bed equipped with a double locker, which can be used easily, thereby greatly improving convenience.

본 발명은 서포트패널의 종방향 폴딩을 제어하는 록킹수단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원가를 줄이고 상품성을 향상시킨 이중 록커를 구비한 체위변환 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sition changing bed equipped with a double locker which simplifies the structure of the lock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longitudinal folding of the support panel,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improving the merchantability.

이러한 본 발명의 과제는, 메인프레임;SUMMARY OF THE INVENTION [0006]

각각 종선회축을 구비한 복수의 서포트분체로 각각 구성된 상체 및 하체 서포트유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프레임 상부에 배열된 서포트패널; A support panel composed of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support unit each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pport powders each having a longitudinal pivot shaft and arranged above the main frame;

상기 각 서포트유니트를 종선회축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승하강시키는 종방향 변위수단; 및 A vertical displacement means for rotating each of the support units about a vertical pivot axis to move up and down; And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에 의하여 각 서포트유니트가 종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승하강하는 서포트분체는 풀고, 정지된 서포트분체는 잠그는 록킹수단;을 포함하며, And a locking means for unlocking the support powder that is lifted and lowered by each of the support units by the vertical displacement means about the vertical pivot axis and locks the stationary support powder,

상기 록킹수단은, Wherein the locking means comprises:

상기 서포트분체를 걸어 고정하는 록커부재; 및 A locker member for holding and fixing the support powder; And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과 상기 록커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의 작동에 의해 상기 록커부재로 상기 서포트분체의 잠금을 풀거나 걸리도록 하는 록커 작동부를 포함한 이중 록커를 구비한 체위변환 침대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And a locker operating portion that connects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means and the locker member to unlock or catch the support powder by the locker member by operation of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means. .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록커 작동부는, 상기 록커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재; 상기 스프링부재를 가압하며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의 작동 시 상기 스프링부재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는 스프링가압부재; 및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성 복원력을 상기 록커부재로 전달하는 작동링크부재를 포함한다.The rocker actuat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ring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cker member; A spring biasing member that presses the spring member and is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means to release the pressurized state of the spring member during operation of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means; And an actuating link member for transmitt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to the locker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은, 종방향작동 엑츄에이터 및 승강체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체는 상기 종방향작동 엑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부의 회전에 의해 상, 하 회전하는 상승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가압부재는 상기 회동부에 연결되어 상, 하 회전하며, 상기 작동링크부재는, 상기 스프링가압부재로 가압되어 상기 스프링부재를 가압하는 스프링가압링크; 상기 스프링가압링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지지체; 및 상기 스프링가압링크와 상기 제1록킹구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링크를 포함한다. The longitudinal direction displacement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ngitudinal direction actuator and an elevator body, the elevator body includes a turning portion that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tuator and a turning portion that is fixed to the turning portion, Wherein the spring bias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portion and rotates up and down, and the operation link member is biased by a spring for biasing the spring member by the spring biasing member, Pressure link; A link support on which the spring pressurizing link is rotatably engaged; And a connection link connecting the spring-biasing link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apertur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프링가압링크는, 상기 링크지지체에 연결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스프링부재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가압부재에 의해 눌려 상기 스프링부재의 상부를 가압하는 스프링가압부; 및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연결링크에 연결되는 작동회전부를 포함한다. The spring-biased l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ring-biasing portion that is protruded toward the spring member about a rotation axis connected to the link support and is pressed by the spring biasing member to press the upper portion of the spring member; And an operating rotation part extending downward about the rotation axis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k.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록커 작동부는,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의 작동 시 회전하는 제1회전링크부재; 회전링크 지지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회전링크부재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회전링크부재;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의 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3회전링크부재; 및 상기 제3회전링크부재와 상기 록커부재를 연결하는 작동연결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링크부재의 단부 측에는 캠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에는 상기 캠돌기부가 삽입되어 이동하여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캠이동라인이 형성된다.The rocker actuat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rotating link member that rotates upon operation of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means; A second rotating link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tating link support and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link member and rotating; A third rotating link member project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rotating link member and rotating in association with the second rotating link member; And an operation connecting link connecting the third rotating link member and the locker member, wherein a cam protrusion is provided on an end side of the first rotating link member, and the cam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otating link member Thereby forming a cam movement line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tating link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록커부재는, 상기 록커 작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서포트분체의 양 측에 구비된 걸림축 중 어느 한측의 걸림축을 걸어 고정하며, 제1록킹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록킹구; 상기 서포트분체의 양 측에 구비된 걸림축 중 다른 한측의 걸림축을 걸어 고정하며, 제2록킹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록킹구; 및 상기 제1록킹구의 회전축과 상기 제2록킹구의 회전축을 연결하여 상기 제1록킹구와 상기 제2록킹구를 연동시키는 록킹연동축부;를 포함한다.
The lock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er member is connected to the locker actuating portion so as to engage and fix an engagement shaft on one side of the engagement shaf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owder, phrase; A second lock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locking support body by engaging a locking axis on the other of the locking axl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owder; And a locking interlocking shaft portion connecting the rotary shaft of the first locking hole and the rotary shaft of the second locking hole to interlock the first locking hole and the second locking hole.

본 발명은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으로 서포트분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므로, 서포트분체를 잠금하는 록킹수단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lock state of the support powder is releas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the structure of the locking means for locking the support powder is simplified,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improving the merchantability.

본 발명에 따른 자유 접이 침대는 서포트패널의 등 및 허벅지 등을 위한 서포트패널이 횡방향으로 접힌 상태에 서 다시 종방향으로 접히는 것이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종횡으로 폴딩 또는 언폴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또는 보호자의 의도에 맞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free float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folding the support panel for the back and thighs of the support pan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being folded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it can be freely folded or unfolded in the longitudinal and lateral directions as needed, It can be modified and us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ion of the caregiver so that the convenience is greatly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록커를 구비한 체위변환 침대에서 서포트유니트의 횡방향 폴딩 모드와 관련된 전체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록커를 구비한 체위변환 침대에서 베이스 부위를 중심으로 나타낸 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도 2와는 다른 구조의 침대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록커를 구비한 체위변환 침대에서 서포트패널에 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록커를 구비한 체위변환 침대의 전체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록커를 구비한 체위변환 침대에서 종방향 폴딩 모드와 관련된 전체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록커를 구비한 체위변환 침대에서 종방향 폴딩 모드를 위한 종방향 변위수단 및 록킹수단을 도시한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록커를 구비한 체위변환 침대에서 록킹수단에 의해 잠금상태가 풀리는 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비한 체위변환 침대에서 록킹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비한 체위변환 침대에서 록킹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유 접이 침대에서 종, 횡방향 폴딩을 위한 공용상승체를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overall side view related to a lateral folding mode of a support unit in a position changing bed with a double lo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centered on a base portion in a transducer bed with a double lo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to 2D are views showing a bed base having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FIG.
3 is a view of a support panel in a transducer bed with a double lo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verall plan view of a transducer bed with a double lock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verall side view related to a longitudinal folding mode in a transducer bed with a double lock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longitudinal displacement means and locking means for a longitudinal folding mode in a transducer with double lockers according to the invention
7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locking state is released by the locking means in the position changing bed equipped with the double lo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locking means in a position changing bed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locking means in a position changing bed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common elevator for longitudinal and transverse folding in a free-lying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발명에 따른 자유 접이 침대(B)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0048]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3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좌우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설명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한다. 다만 서포트패널(P) 및 공용상승체(45)의 종방향 폴딩 모드 설명에서는 관착자의 입장에서 등 받침 서포트유니트(P1)를 상부에 둔 상태에서 좌우를 구분하여 설명한다(침대(B)를 사용하는 환자 입장에서는 반대로 우측과 좌측임).In describing the free-lying bed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specifi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for the sake of convenience, referring to FIGS. 1 and 3,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descriptions related to other drawings, direction is specified according to this criter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longitudinal folding mode of the support panel P and the common elevator 45, the right and left sides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support unit P1 is placed on the upper side in the standpoint of the person in question The right side and the left side).

먼저 도 1의 자유 접이 침대(B) 결합 측면도, 도 2의 베이스(10) 관련 도면, 도 3의 서포트패널(P) 관련 도면, 도 4의 전체 평면도, 도 5의 종방향 폴딩모드 관련 측면도, 도 6의 메인프레임(20) 및 종방향 변위수단 관련 도면, 도 8의 공용상승체 및 횡방향 변위수단 관련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유 접이 침대(B)는 크게 메인프레임(20), 분체화 서포트유니트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서포트패널(P), 횡방향 폴딩모드를 위한 횡방향 변위수단, 그리고 종방향 폴딩모드를 위한 종방향 변위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2 is a front view of the free folding bed B of FIG. 1,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base 10 of FIG. 2,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support panel P, As can be seen from the drawings relating to the main frame 20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displacement means of FIG. 6, the common lift body and the lateral displacement means of FIG. 8, the free- A support panel P composed of a set of powdering support units, a lateral displacement means for a lateral folding mode, and a longitudinal displacement means 40 for a longitudinal folding mode.

도 1, 도 4, 도 5, 도 6에서, 지지틀 역할을 하는 메인프레임(20)은 그 자체로 활용될 수 있으나 이동성 확보를 위하여 별도의 베이스(10)를 도입하고 또 매트리스의 전체 승하강을 위한 수단이 도입될 수 있다. 또 메인프레임은 머리와 발치에 각각 안전펜스(25A)(25B)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특히 청구범위에서 '메인프레임'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과 관련된 메인프레임에 국한되지 않고 이를 넘어 각 변위수단이나 서포트패널 등을 위한 임의의 '지지수단'을 의미한다.1, 4, 5, and 6, the main frame 20 serving as a supporting frame can be used as it is, but a separate base 10 is introduced to secure mobility, May be introduced.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main frame has safety fences 25A and 25B on its head and feet, respectively. In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in the claims, 'main frame' means not only a main frame related to the shape shown in the drawings but also any 'support means' for angular displacement means, support panels and the like.

도 1 및 도 5와 도 2에서, 베이스(10)는 하부에 네 바퀴, 특히 캐스터타입의 바퀴(10W)가 구비되어 있다.In Figs. 1, 5 and 2, the base 10 is provided with four wheels, in particular a caster type wheel 10W at the bottom.

또 매트리스(미도시 됨)가 배열되는 서포트패널(P)이 위치하는 메인프레임(20)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메인승강수단(10A)은 구동수단, 특히 모터조립체(10)와 승강체(13)로 이루어진다.The main elevating means 10A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main frame 20 on which the support panel P on which the mattress (not shown) is dispose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eans, particularly the motor assembly 10 and the elevator 13, .

구동수단을 구성하는 모터조립체(11)는 모터(11), 모터의 움직임과 지지 기능을 위한 지지축(11b)이 배열된 베이스(10)측의 지지부(11a), 그리고 모터의 동작에 따라 진퇴하는 플런져를 구비한 실린더(11B)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데, 일종의 액추에이터로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다양한 액추에이터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모터의 작동에 따라 실린더에 내장된 스크류가 선회하고, 이에 따라 대응 나사부를 갖는 플런져가 진퇴하게 된다.The motor assembly 11 constituting the drive means includes a motor 11, a support portion 11a on the side of the base 10 on which a support shaft 11b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motor is arranged, And a cylinder 11B having a plunger for supplying a fluid to the cylinder 11B. The actuator 11B can be replaced with various actuators commercially available as a kind of actuator. The screw incorporated in the cylinder is pivo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tor, so that the plunger having the corresponding thread portion moves forward and backward.

이러한 실린더를 구비한 모터 타입의 구동수단을 구비한 변위수단은 횡방향 폴딩 모드를 위한 횡방향 변위수단 및 종방향 폴딩 모드를 위한 종방향 변위수단(40)에서도 동일하게 도입되어 있는데, 이는 정숙성과 동력 면에서 검증된 제품을 채용한 것에 불과하며, 다양한 전동모터와 동력전달 기어 유니트를 이용하거나 유압 또는 공압 유니트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메인승강수단이나 종횡 변위수단은 다양한 방식을 채용할 수 있으며, 도면과 이를 기초로 한 기재에 의하여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The displacement means with motor-type drive means with such a cylinder is equally introduced in the lateral displacement means for the transverse folding mode and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means 40 for the longitudinal folding mode, The main elevating means and the longitudinal and lateral displacement means can adopt various methods because they can be constructed by using various electric motors and power transmission gear units or by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units. , Drawings and descriptions based on them.

한편, 승강체(13)는 실린더(11b)의 플런져 단부에 연결되어 힘을 받는 가압부(13a)와 회동부(13A), 상승부(13B)로 이루어지고, 크랭크 타입의 구조를 가지며, 최종적으로 연결체(13C)가 메인프레임(20) 하부를 가압하여 상승시킨다.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13 is composed of a pressing portion 13a, a rotating portion 13A, and a rising portion 13B connected to the plunger end of the cylinder 11b and receiving a force.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13 has a crank- Finally, the connector 13C presses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frame 20 to raise it.

모터조립체(11)가 구비된 메인승강수단(10A)의 타측에는 구동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연동승강수단(10B)이 구비되어 있는데, 모터조립체를 제외하면 크랭크 타입으로 구조면에서 대동소이하다.The other side of the main elevating means 10A provided with the motor assembly 11 is provided with an interlocking elevating means 10B which is not provided with a driving means and is crank type except the motor assembly.

한편, 도 2a 내지 도 2d는 도 2와는 다른 구조의 침대 베이스에 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조는 메인프레임(20)을 움직이는 승강체(13) 최종적으로 연결체(13C) 형상을 고려하여 '칼럼(column) 타입' 구동 구조라고 할 수 있음에 비하여, 도 2a 내지 도 2d의 구조는 복수의 링커를 이용한 '스윙 링커 타입' 구동 구조라고 할 수 있다.2 (a) to 2 (d) are views showing a bed base having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FIG. The structure shown in FIG. 2 can be referred to as a 'column-type' driving structure considering the shape of the connecting body 13C finally, the elevating body 13 moving the main frame 20, The structure of 2d is a 'swing linker type' drive structure using a plurality of linkers.

도 2와 비교하여 도 2a 내지 도 2d의 메인승강수단(110A)(110B)은 베이스([0061] 110) 상하 양측 모두에 모터조립체(111)가 구비된 구조로 서포트패널과 무관하게 메인프레임(20)의 전체 수평 승하강은 물론 상체 또는 하체만의 편중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Compared with FIG. 2, the main elevating units 110A and 110B of FIGS. 2A to 2D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motor assembly 111 is provid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ase 110, 20 as well as the upper and lower bodies can be raised and lowered in one direction.

베이스(110)는 하부에 역시 네 바퀴, 특히 캐스터타입의 바퀴(110W)가 구비되어 있으며, 양 모터조립체(11)는 각각 액추에이터를 채용하여 구성한 것으로, 베이스(10) 중앙을 가로 질러 구비된 중봉(中棒)의 좌우 양측에 각각 지지부(111a) 및 지지축(111b)을 구비하고 있어 승강체(113)의 움직임에 따라 모터(111A)의 각도가 변경되면서 힘을 발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base 110 is also provided with four wheels, particularly a caster-type wheel 110W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The two motor assemblies 11 are each constructed by employing an actuator, And a support shaft 111b ar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rod so that the angle of the motor 111A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ascending / .

모터(111A)의 지지부(111a) 타측으로는 플런져(111C)를 갖는 실린더(111B)가 구비되며, 플런져(111C) 단부는 승강체(113)의 중계링커(113A)와 연결되어 있다.A cylinder 111B having a plunger 111C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111a of the motor 111A and an end of the plunger 111C is connected to the relay linker 113A of the ascending /

각 승강체(113)의 중계링커(113A) 좌우 양측에는 상대적으로 긴 메인링커(113B) 및 상대적으로 짧은 서브링커(113C)가 결합된 조립체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도 2a 및 도 2c 참조).Assemblies each having a relatively long main linker 113B and a relatively short sub-linker 113C are provided on both right and left sides of the intermediate linker 113A of each lifting body 113 (see Figs. 2A and 2C).

도 2a 및 도 2c에서, 각 조립체의 메인링커(113B) 및 서브링커(113C)는 중앙 부위의 제1스윙축(113a)에서 상호 연결되며, 메인링커(113B)의 하단은 베이스(110), 특히 제1가이드(115a)에 활주 가능한 형태로 구비된 제2스윙축(113b)에 연결되어 있고, 메인링커(113B)의 상단은 베이스(110)에 제3스윙축에 연결되어 있다. 특히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 메인승강수단(110A)의 제3스윙축(113c)은 역시 메인프레임(120)의 제2가이드(115b)에 활주 가능한 형태로 조립되어 있고, 우측(도면기준) 메인승강수단(110B)의 제3스윙축(113c')은 단순히 메인프레임(1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승하강에 따라 메인프레임(20)이 안정되고 정확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main linker 113B and the sub linker 113C of the respective assemblies are mutually connected at the first swing shaft 113a at the central portion and the lower end of the main linker 113B is connected to the base 110, And the upper end of the main linker 113B is connected to the base 110 via the third swing shaft 113b. The third swing shaft 113c of the left main lifting unit 110A is also assembled in such a manner that it can slide on the second guide 115b of the main frame 120. The right side The third swing shaft 113c 'of the means 110B is connected to the main frame 120 so as to be rotatable. The third swing shaft 113c' of the means 110B is structured so that the main frame 20 can be stably and accurately operated according to the rising and falling.

한편 도 2c에서, 서브링커(113C)의 하단은 베이스(10)에 제4스윙축(113d)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2C, the lower end of the sub linker 113C is connected to the base 10 via the fourth swing shaft 113d.

이러한 구성을 갖는 메인승강수단(110A)(110B)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된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111A)가 작동되어 메인프레임(120)의 승하강이 이루어진다. In the main elevating units 110A and 110B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motor 111A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s of the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controller to move the main frame 120 upward and downward.

보다 구체적으로, 도 2b 및 도 2c와 도 2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양 메인승강수단(110A)(110B)의 두 모터(111A)가 동시에 움직여 플런져(111C)가 돌출됨에 따라 모터(111a)는 지지축(111B)를 중심으로 선회하고, 플런져가 중계링커(113A)의 중앙에 돌출된 브라켓 타입의 가압부(113A')를 밀면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중계링커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메인링커(113B)의 하부 제2스윙축(113b)이 제1가이드(115a)를 따라 움직이면서 차츰 직립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양단이 제1 및 제4 스윙축(113a)(113d)에 연결된 서프링커(113C) 역시 메인링커(113B)을 보조하면서 차츰 직립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메인프레임(120)은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상승하게 된다. More specifically, as can be seen from Figs. 2B and 2C and 2A, as the two motors 111A of both main elevating means 110A and 110B simultaneously move and the plunger 111C protrudes, the motor 111a Is pivoted about the support shaft 111B and the plunger pushes the bracket type pressing portion 113A 'projecting to the center of the relay linker 113A, the relay linker is rotated by the lever principle, The lower second swinging shaft 113b of the linker 113B moves along the first guide 115a in a gradually upright direction and the surplus linker 113a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fourth swing axes 113a and 113d 113C also move in the upright direction while assisting the main linker 113B, so that the main frame 120 is raised in a state of maintaining the horizontal.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 메인승강수단(110A)의 메인링커(113B) 상부 제3스윙축(113c)은 제2가이드(115b)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손 없고 안정된 메인승강수단(110A)(110B)의 움직임을 보장하게 된다. The third swing shaft 113c on the main linker 113B of the left main lifting means 110A moves up and down along the second guide 115b to move the main lifting means 110A ).

메인프레임(120)의 하강시에는 상기 동작의 역순으로 움직임이 이루어진다.When the main frame 120 is lowered, the movement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mentioned operations.

한편, 도 2b 및 도 2d와 도 2a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느 한 메인승강수단, 예를 들어 우측(도면 기준) 메인승강수단(110B)만의 움직임도 가능하다(도 2d에서 편의상 좌측(도면 기준) 모터조립체는 생략하였다).2B and FIG. 2D and FIG. 2A, it is also possible to move only one main elevating means, for example, only the right elevating means 110B (the left side in FIG. 2D Reference motor assembly is omitted).

상하 어느 한 쪽 만의 움직임은 환자가 추락하거나 환자에게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회동 각도로 제한을 거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각도는 예를 들어 10~15도 일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ovement of onl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should be limited to a pivot angle that prevents the patient from falling or making a load on the patient, and the angle may be, for example, 10 to 15 degrees.

또 메인승강수단에 의한 메인프레임의 수평 상승 후 상하 어느 한 쪽만의 상승이나, 기울어진 상태로 메인프레임이 조정된 상태 그대로의 상태에서 높이 상승 동작이 가능하다. Further, after the main frame is elevated horizontally by the main elevating means, elevation of onl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can be performed, or elevation of height can be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main frame is adjusted in a tilted state.

다음으로 도 1 및 도 3에서, 서포트패널(P)은 각각 종횡 선회축(Sv)(Sh)을 구비한 복수의 서포트분체로 각각 구성된 상체 및 하체 서포트유니트(Pu)(Pℓ)로 구성되며, 1 and 3, the support panel P is composed of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support unit (Pu) (P?) Each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pport powders each having a longitudinal and a horizontal pivot axis Sv (Sh)

변위수단을 구성하는 공용상승체의 서포트(45a)측의 지지부(31a), 그리고 모터의 동작에 따라 진퇴하는 플런져를 구비한 실린더(3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A supporting portion 31a on the support 45a side of the common elevator constituting the displacement means and a cylinder 31B having a plunger moving forward and backwar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motor,

승강체(33)는 실린더(31b)의 플런져 단부에 연결되어 힘을 받는 가압부(33a)와 회동부(33A), 상승부(33B)로 이루어지고, 크랭크 타입의 구조를 갖는다.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33 is composed of a pressing portion 33a, a rotating portion 33A, and a rising portion 33B connected to the plunger end of the cylinder 31b and receiving a force, and has a crank type structure.

최종적으로 승강체(33)의 상승부(33B)의 단부에 구비된 롤러(33b)에 의하여 등 받침 서포트유니트(P1)와 허벅지 받침 서포트유니트(P3)의 하면이 가압되며 각 패널유니트(P1)(P3)가 상승하게 되며, 허벅지 받침 서포트유니트(P3)의 상승에 따라 종아리 받침 서포트유니트(P4)는 해당 횡선회축(Sh)을 축으로 선회하여 접힘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The lower surfaces of the backrest support unit P1 and the thigh support unit P3 are pressed by the roller 33b provided at the end of the ascending portion 33B of the ascending / As the thigh support support unit P3 rises, the calf support support unit P4 pivots about the horizontal shrinkage Sh to provide a folding structur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유접이 침대를 위한 변위수단, 특히 종방향 폴딩모드를 위한 종방향 변위수단(40)은 서포트유니트를 종선회축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승하강시키는 것으로, 도 5 및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특히 제1종열(V1) 또는 제2종열(V2) 사이의 종선회축(Sv1)이나 제3종열(V3) 또는 제2종열(V2) 사이의 종선회축(Sv2)을 선회시키는 구조를 제공하여 보다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5 and 6, the vertical displacement means 40 for the vertical folding mode is configured to rotate the support unit about the vertical pivot axis, As can be seen, the longitudinal pivot axis Sv2 between the longitudinal pivot axis Sv1, the third longitudinal axis V3 or the second longitudinal axis V2 between the first vertical V1 or the second vertical V2,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이 종방향 변위수단(40)은 종방향작동 엑츄에이터(41) 및 승강체(43)로 이루어지며, 구동수단인 종방향작동 엑츄에이터(41)는 모터의 움직임과 지지 기능을 위한 지지축(41b)이 배열된 지제구조체, 특히 메인프레임의 중앙 설치부(21) 외측 프레임에 구비된 지지부(41a), 모터(42)의 동작에 따라 진퇴하는 플런져를 구비한 실린더(41B)를 포함더(41B)를 포함한다. The longitudinal direction displacement means 40 comprises a longitudinal direction actuator 41 and an elevator 43.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tuator 41 as a drive means is supported by a support shaft 41b for motor movement and support functions, A supporting portion 41a provided on the outer frame of the main mounting portion 21 of the main frame and a cylinder 41B having a plunger moving forward and backwar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motor 42, ).

상기 승강체(43)는 실린더(41b)의 플런져 단부에 연결되어 힘을 받는 가압부(43a)와 회동부(43A), 상승부(43B)로 이루어지고, 크랭크 타입의 구조를 갖는다.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43 is composed of a pressing portion 43a, a rotating portion 43A, and a rising portion 43B connected to the plunger end of the cylinder 41b and receiving a force, and has a crank type structure.

최종적으로 승강체(43)의 상승부(43B)의 단부에 구비된 롤러(43b)에 의하여 도 7에 도시된 공용상승체(45)의 센터프레임(45A) 하면이 가압되어 각 종열, 특히 제1 또는 제3 종열(V1)(V3)은 고정되고 다른 두 종열 위치에 배열된 서포트패널이 상승하여 종방향 폴딩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center frame 45A of the common elevating member 45 shown in Fig. 7 is finally pressed by the roller 43b provided at the end of the rising portion 43B of the elevating member 43, 1 or the third row V1 (V3) is fixed and the support panels arranged at the other two column positions are elevated so that the longitudinal folding mode can be implemented.

또 서포트패널(P)의 각 서포트유니트(P1,P2,P3,P4)의 서포트분체는 복수의 동일 종열상에 배열, 특히 각 서포트유니트의 서포트분체들이 세 동일 종열(V1,V2,V3)상에 배열된 경우(도 3 참조)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40)에는 각 서포트유니트의 같은 종열상에 배열된 서포트분체들을 한꺼번에 움직이도록 공용상승체(45)가 구비되어 있다.The support powders of the respective support units P1, P2, P3 and P4 of the support panel P are arranged on a plurality of the same longitudinal columns, in particular, the support powders of the respective support units are arranged on three identical vertical rows V1, V2, (Refer to FIG. 3), the vertical lifting means 40 is provided with a common lifting body 45 for moving the support powers arranged on the same longitudinal row of the respective support units at the same time.

도면에서 공용상승체는 한 종열상에 배열된 모든 서포트분체를 한꺼번에, 동시에 상승하는 구조를 갖지만,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서포트분체들을 '한꺼번'에 움직이는 '공용상승체'의 의미는 동일 종열상에 배열되나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서포트유니트들(인접 여부 불문)의 속한 각 서포트분체를 한꺼번에 승하강시키는 수단을 의미한다.In the drawings, the common lift body has a structure in which all the support powders arranged on one row are simultaneously lifted at the same time, but the meaning of the 'common lift body' moving the support powders 'at once' But means for moving up and down each of the support powders belonging to two or more different support units (whether adjacent or not) at one time.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용상승체(45)는 종축과 윙프레임(45B)을 포함하고, 공용상승체에는 서포트패널(P)이 횡방향 변위수단(30)에 의하여 상체 서포트유니트(Pu) 또는 하체 서포트유니트(Pℓ), 특히 등 받침 서포트유니트(P1)와 허벅지 받침 서포트유니트(P3)가 상승하여 횡방향 폴딩모드가 진행된 상태에서 종방향 폴딩모드가 진행될 수 있도록 횡방향 변위수단(30)을 구성하는 모터조립체(31) 및 승강체(33)가 탑재되어 있어 공용상승체의 승강에 따라 움직이는데, 이를 위하여 공용상승체(45), 특히 중앙에 배열된 센터프레임(45A)의 설치부(45a')에 배열되고, 모터조립체(31)의 모터(31A)의 지지축(31)를 위한 서포트(45a)가 구비되어 있다.7, the common lift member 45 includes a vertical axis and a wing frame 45B, and the support panel P is supported on the common lift member by the lateral displacement means 30, The unit Pu or the lower body support unit P1 and particularly the backrest support unit P1 and the thigh support support unit P3 are raised so that the lateral folding mode is advanced, The motor assembly 31 and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33 constituting the means 30 are mounted and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common lifting body. To this end, the common lifting body 45, in particular, the center frame 45A arranged at the center, And a support 45a for the support shaft 31 of the motor 31A of the motor assembly 31 is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45a '

도 5, 도 6 및 도 7에서,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40)은 제1 및 제2 종열(V1)(V2)상에 배열된 각 서포트유니트의 서포트분체들을 승하강시켜 제1종방향 폴딩모드를 수행하거나, 제2 및 제3 종열상(V2)(V3)에 배열된 각 서포트유니트의 서포트분체들을 승하강시켜 제2종방향 폴딩모드( 도 5[B] 참조)를 수행하게 된다.5, 6 and 7,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means 40 ascends and descends the support powders of the respective support units arranged on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V1 and V2, Mode or perform a second longitudinal folding mode (see FIG. 5 [B]) by moving up and down the support powders of the respective support units arranged in the second and third longitudinal columns (V2) and (V3).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수단을 이루는 종방향작동 엑츄에이터(41)에서 설치부(21), 즉 메인프레임(20)의 상하 사각형(모서리가 라운드 구조를 갖음) 외곽틀을 연결하는 중앙 수직바(미지시됨)에 지지부(41a) 및 지지축(41b)(실린더(41B)의 플런져 돌출에 따라 모터가 약간 선회하여 움직이게 되므로 이를 가능케 하기 위함임)에 연결된 모터(41A)가 작동되면 실린더(41B)의 작동으로 플런져가 돌출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in the longitudinal actuating actuator 41 constituting the driving means, a central vertical bar (not shown)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quadrangles (having rounded corners) of the mounting portion 21, that is, the main frame 20 When the motor 41A connected to the supporting portion 41a and the supporting shaft 41b (the motor is rotated slightly due to the projecting of the plunger of the cylinder 41B to be able to move it) is actuated,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41B So that the plunger protrudes.

이에 따라 플런져와 연결된 승강체(43)의 가압부(43a)가 밀리고, 회동부(43A)가 선회함에 따라 가압부 반대측의 상승부(43B)가 상승하게 되고, 상승부 단부에 구비된 롤러(43b)가 공용상승체(45)의 센터프레임(45A) 중앙의 횡방향 피가압부(45p) 하면을 가압하여 들어 올려 도 5[B]의 상태가 되어 제2 및 제3 종열상(V2)(V3)에 배열된 각 서포트패널(P)의 서포트유니트의 서포트분체들이 상승한다.As a result, the pressing portion 43a of the lifting body 43 connected to the plunger is pushed and the rising portion 43B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rises as the pivoting portion 43A is pivoted, The upper surface 43b of the common lifting body 45 presses and lifts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versely urged portion 45p at the center of the center frame 45A to be in the state of Fig. 5B to form the second and third longitudinal vias V2 The support powders of the support units of the respective support panels P arranged in the V3 are raised.

보다 구체적으로 제1종열상(V1)에 배열된 서포트패널(P)의 서포트유니트의 서포트분체들은 고정되어 있고, 제1 및 제2 종열상(V1)(V2) 서포트분체의 종선회축(Sv1)이 접히고, 공용상승체(45)의 센터프레임(45A) 양측에 구비된 윙프레임(45B) 중 좌측의 윙프레임(45B)은 그대로 있고 제1종축(S1)을 중심으로 접히며 센터프레임(45A)과 우측의 윙프레임(45B)은 직선을 이룬 상태로 상승하게 되어(이 둘은 고정되어 있어 제2종축(S2)은 각도 변화가 없다),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powders of the support units of the support panel P arranged in the first-kind column V1 are fixed, and the vertical axis Sv1 of the first and second columnar phase V1 (V2) The left wing frame 45B of the wing frame 45B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frame 45A of the common elevating body 45 remains unfolded and folds around the first longitudinal axis S1, The first wing frame 45A and the right wing frame 45B ascend in a straight line state (the two are fixed and the second longitudinal axis S2 has no angle change)

제2 및 제3 종열상(V2)(V3)에 배열된 각 서포트패널(P)의 서포트유니트의 서포트분체들이 상승하게 된다.The support powders of the support units of the respective support panels P arranged in the second and third longitudinal rows V2 and V3 rise.

도 6 [B]의 평면도에서, 종방향 변위수단(40) 중 구동수단인 종방향작동 엑츄에이터(41)와 승강체(43)는 2세트 구비되어 있고, 각 승강체의 상승부(43B)는 바(bar) 타입 부재가 2개, 한 쌍 구비되어 있으며, 각 상승부 쌍의 바 타입 부재 각각은 인접하여 엇갈린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In the plan view of Fig. 6 [B], two sets of the longitudinal actuating actuators 41 and the elevating bodies 43, which are the driving means of the longitudinal displacing means 40, are provided, and the elevating portions 43B of each elevating body Two pairs of bar type members are provided, and each of the pair of bar type members is arranged in a staggered manner adjacent to each other.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록커를 구비한 체위변환 침대는,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40)에 의하여 종선회축(Sv)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승하강하는 서포트분체를 잠금, 해제하는 록킹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6 and 7, the position change bed having the double ro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the vertical displacement means 40 so as to swing about the longitudinal pivot Sv, And a locking means (50)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powder.

상기 록킹수단(50)은,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40)에 의하여 각 서포트유니트가 종선회축(Sv)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승하강하는 서포트분체는 풀고, 정지된 서포트분체는 잠그게 된다.In the locking means (50), the support powder is rotated by the vertical displacement means (40) about the longitudinal pivotal axis (Sv) to unroll the support powder, and the stationary support powder is locked.

또한, 상기 록킹수단(50)은, 상기 서포트분체를 걸어 고정하는 록커부재(51),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40)과 상기 록커부재(51)를 연결하여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록커부재(51)로 상기 서포트분체의 잠금을 풀거나 걸리도록 하는 록커 작동부를 포함한다.The locking means 50 includes a locker member 51 for locking and fixing the support powder and a locking member 51 for conn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isplacement means 40 and the locker member 51, And a locker operating portion for unlocking or catching the support powder by the locker member (51) by operation.

상기 록커 작동부는, 상기 록커부재(51)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재(52), 상기 스프링부재(52)를 가압하며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40)에 연결되어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40)의 작동 시 상기 스프링부재(52)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는 스프링가압부재(53)를 포함한다.The rocker actuating portion includes a spring member 52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cker member 51 and a spring member 52 for pressing the spring member 52 and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means 40, And a spring urging member (53) for releasing the pressurized state of the spring member (52) in operation.

상기 스프링가압부재(53)는 상기 록커부재(51)가 상기 서포트분체를 걸어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부재(52)를 가압하여 압축 변형시키고 있으며, 상기 종방향변위수단이 작동되면 상기 스프링부재(52)의 가압상태를 해제하게 된다.The spring urging member 53 presses and compressively deforms the spring member 52 while the locking member 51 is fixed by hanging the support powder. When the longitudinally displacing means is actuated, the spring member 52 Is released.

상기 록커부재(51)는 상기 스프링가압부재(53)에 의한 상기 스프링부재(52)의 가압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스프링부재(5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서포트분체를 풀게된다.The locker member 51 is operat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52 to release the support powder when the spring member 52 is released from the pressing force by the spring urging member 53.

그리고,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40)이 원상태로 이동하면 상기 스프링가압부재(53)는 상기 스프링가압부재(53)를 가압하는 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로커부재는 상기 서포트분체를 걸어 고정한다. When the vertical displacement means 4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spring urging member 53 is returned to a position for pressing the spring urging member 53, and the rocker member is fixed by hanging the support powder.

즉, 상기 록킹수단(50)은 상기 스프링부재(52)의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서포트분체의 잠금을 푼다.That is, the locking means (50) unlocks the support powder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52).

상기 록킹수단(50)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The locking means 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상기 서포트분체는 상기 록커부재(51)에 걸리는 걸림축(50a)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축(50a)은 상기 서포트분체의 종선회축인 것을 일 예로 하며, 상기 서포트분체에 별도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The support powder includes an engagement shaft 50a which is engaged with the locker member 51. The engagement shaft 50a is a longitudinal pivot axis of the support powder and is separately provided on the support powder It is clear that there is a possibility.

상기 서포트분체는 세 동일 종열(V1, V2, V3) 상에 배열된 것에서, 중앙에 배치되는 제2종열상(V2), 상기 제2종열상(V2)의 일측에 제1종선회축(Sv1)으로 연결되어 종선회하는 제1종열상(V1), 상기 제2종열상(V2)의 타측에 제2종선회축(Sv2)으로 연결되어 종선회하는 제3종열상(V3)를 포함한다. The support powder is arranged on three identical columns (V1, V2, V3), and a second kind columnar phase (V2) arranged at the center, a first kind pivot axis (Sv1) at one side of the second columnar phase And a third longitudinal row V3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ongitudinal row V2 by a second longitudinally varying pivotal axis Sv2 to form a longitudinally extending third longitudinal row V3, .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40)과 상기 록킹수단(50)은 상기 제1종열상(V1)과 상기 제2종열상(V2)을 종선회시키는 한 세트, 상기 제3종열상(V1)과 상기 제2종열상(V2)을 종선회시키는 다른 한 세트, 즉, 총 2세트로 구비되며 서로 마주보고 장착된다.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means 40 and the locking means 50 are set as one set for longitudinally turning the first longitudinal column V1 and the second longitudinal column V2, And another set for turning the second-type row V2 vertically, that is, two sets in total, and are mounted facing each other.

즉, 상기 제1종열상(V1)과 상기 제2종열상(V2)은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40)의 상승부가 회전하면서 들어올려지거나 내려져 상기 제2종선회축(Sv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제3종열상(V3)과 상기 제2종열상(V2)은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40)의 상승부가 회전하면서 들어올려지거나 내려져 상기 제1종선회축(Sv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That is, the first longitudinal row V1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ow V2 are lifted or lowered while the rising portion of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means 40 is rotated and rotated about the second longitudinal pivot Sv2 do. The third longitudinal row V3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ow V2 are lifted or lowered while the rising portion of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means 40 rotates to rotate about the first longitudinal pivotal axis Sv1 do.

상기 제1종선회축(Sv1)을 중심으로 상기 제3종열상(V3)과 상기 제2종열상(V2)이 회전하여 승강할 때 상기 제2종선회축(Sv2)를 걸어 고정하는 상기 록커부재(51)는 상기 스프링부재(5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종선회축(Sv2)을 풀어 준다. 또한, 상기 제2종선회축(Sv2)을 중심으로 상기 제1종열상(V1)과 상기 제2종열상(V2)이 회전하여 승강할 때 상기 제2종선회축(Sv1)를 걸어 고정하는 상기 록커부재(51)는 상기 스프링부재(5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종선회축(Sv1)를 풀어 준다.And the second longitudinal pivotal axis Sv2 is engaged and fixed when the third longitudinal row V3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ow V2 rotate and ascend around the first longitudinal pivotal axis Sv1, The member 51 releases the second longitudinal pivot Sv2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52. [ Further, when the first longitudinal row V1 and the second longitudinal row V2 rotate and ascend and descend around the second longitudinal pivotal axis Sv2, the second longitudinal pivotal axis Sv1 is engaged and fixed The rocker member 51 releases the first bellows shaft Sv1 by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52. [

상기 록커부재(51)는, 상기 록커 작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분체의 양 측에 구비된 걸림축(50a) 중 어느 한측의 걸림축(50a)을 걸어 고정하며, 제1록킹 지지체(50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록킹구(51a);The locker member 51 is connected to the rocker actuating portion and is engaged with a retaining shaft 50a on one side of a retaining shaft 50a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owder, A first locking member 51a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locking member 51a;

상기 서포트분체의 양 측에 구비된 걸림축(50a) 중 다른 한측의 걸림축(50a)을 걸어 고정하며, 제2록킹 지지체(50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록킹구(51b); 및 A second locking hole 51b which is engaged with a locking axis 50a on the other one of the locking axes 50a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owder and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locking supporting member 50c; And

상기 제1록킹구(51a)의 회전축과 상기 제2록킹구(51b)의 회전축을 연결하여 상기 제1록킹구(51a)와 상기 제2록킹구(51b)를 연동시키는 록킹연동축부(51c);를 포함한다. A locking interlocking shaft portion 51c connecting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locking aperture 51a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locking aperture 51b to interlock the first locking aperture 51a and the second aperture 51b, .

상기 록킹수단(50)은, 상기 스프링부재(52)의 탄성 복원력을 상기 록커부재(51)로 전달하는 작동링크부재(54)를 더 포함한다.The locking means (50) further includes an operating link member (54) for transmitting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52) to the locker member (51).

상기 작동링크부재(54)는, 상기 스프링가압부재(53)로 가압되어 상기 스프링부재(52)를 가압하는 스프링가압링크(54a);The operating link member (54) includes a spring pressurizing link (54a) which is pressed by the spring pressing member (53) to press the spring member (52);

상기 스프링가압링크(54a)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지지체(54b); 및 A link support 54b to which the spring pressurizing link 54a is rotatably engaged; And

상기 스프링가압링크(54a)와 상기 제1록킹구(51a)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링크(54c)를 포함한다.And a connecting link 54c connecting the spring-biasing link 54a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hole 51a.

상기 제1록킹 지지체(50a)와 상기 제2록킹 지지체(50c)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축(50a)이 각각 안착되는 제1축지지홈 및 제2축지지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록킹구(51a) 및 상기 제2록킹구(51b)는 각각 상부 일측에 상기 걸림축(50a)이 삽입되어 걸리는 제1축걸림홈 및 제2축걸림홈이 구비된다. A first shaft support groove and a second shaft support groove are formed on the first locking support body 50a and the second locking support body 50c, respectively, on which the engagement shaft 50a is seated. The first and second locking members 51a and 51b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a first shaft locking groove and a second shaft locking groove on the upper side of which the locking shaft 50a is inserted.

상기 록커부재(51)는 상기 제1록킹구(51a)와 상기 제2록킹구(51b)로 상기 서포트분체의 양 측을 걸어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The locker member 51 is fix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owder by the first locking hole 51a and the second locking hole 51b.

또한, 상기 스프링가압링크(54a)는 상기 링크지지체(54b)에 연결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스프링부재(52)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가압부재(53)에 의해 눌려 상기 스프링부재(52)의 상부를 가압하는 스프링가압부(54d) 및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연결링크(54c)에 연결되는 작동회전부(54e)를 포함한다.The spring pushing link 54a is protruded toward the spring member 52 about a rotation axis connected to the link support body 54b and pressed by the spring pressing member 53 to push the spring member 52 And a working rotation part 54e extending downward about the rotation axis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k 54c.

상기 상승부(43B)는 상기 회동부(43A)의 회전으로 회전되어 단부 측이 들어올려지면서 피가압부(45p) 하면을 가압하여 상기 서포트분체를 들어올리게 올린다. The raised portion 43B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portion 43A, and the end portion is lifted to press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ed portion 45p to lift up the support powder.

상기 상승부(43B)는 상기 제1록킹구(51a)와 상기 제2록킹구(51b)가 상기 걸림축(50a)을 풀도록 기설정된 범위로 회전된 후 상기 서포트분체를 들어올리게 된다.The lifting portion 43B lifts the support powder after the first locking hole 51a and the second locking hole 51b are rotated in a predetermined range to loosen the holding shaft 50a.

즉, 상기 모터(41A)가 작동되면 실린더(41B)의 작동으로 플런져가 돌출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플런져와 연결된 승강체(43)의 가압부(43a)가 밀리고, 회동부(43A)가 선회함에 따라 상기 회동부(43A)에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가압부(54d)를 가압하고 있는 스프링가압부재(53)가 회전되어 승강한다. That is, when the motor 41A is operated, the plunger protrudes due to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41B, whereby the pressing portion 43a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43 connected to the plunger is pushed and the rotating portion 43A The spring pressing member 53, which is connected to the turning portion 43A and is pressing the spring pressing portion 54d, is rotated and elevated as it is turned.

상기 스프링가압부재(53)가 승강하면 상기 스프링가압부(54d)의 가압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스프링부재(5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스프링가압부(54d)가 상기 링크지지체(54b)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승강하도록 회전하고, 상기 스프링가압부(54d)에 고정된 상기 작동회전부(54e)가 상기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링크(54c)를 당겨 수평이동시키고, 상기 연결링크(54c)가 이동되면서 상기 제1록킹구(51a)가 회전하여 상기 제1축걸림홈에 삽입된 상기 걸림축(50a)을 분리하여 잠금상태를 풀게된다. When the spring urging member 53 is lifted or lowered, the pressing state of the spring pressing portion 54d is released and the spring pressing portion 54d is rotat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52, And the operation rotating part 54e fixed to the spring pressing part 54d is rotated while pulling the connecting link 54c horizontally while the connecting link 54c is moved, The first locking hole 51a is rotated to unlock the locking shaft 50a inserted in the first shaft locking groove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그리고, 상기 제2록킹구(51b)는 상기 록킹연동축부(51c)로 상기 제1록킹구(51a)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1록킹구(51a)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2축걸림홈에 삽입된 상기 걸림축(50a)을 분리하여 잠금상태를 풀게된다. The second locking hole 51b is connected to the first locking hole 51a by the locking interlocking shaft portion 51c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locking hole 51a, The inserted locking axis 50a is disengaged to release the locked state.

상기 모터(41A)가 작동되어 상기 플런져가 상기 실린더(41B)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상승부는 하강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며 이 때 상기 스프링가압부재(53)도 함께 하강하여 상기 스프링가압부(54d)를 누르게 되고, 상기 스프링가압부(54d)가 상기 스프링부재(52)를 압축하면서 상기 링크지지체(54b)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강하도록 회전하고, 상기 스프링가압부(54d)에 고정된 상기 작동회전부(54e)가 상기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링크(54c)를 밀어 반대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고, 상기 연결링크(54c)가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록킹구(51a)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축지지홈에 안착된 상기 걸림축(50a)을 상기 제1축걸림홈에 삽입시켜 걸어 잠금한다.When the motor 41A is operated and the plunger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41B, the ascending part descends and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At this time, the spring pressing member 53 also descends, And the spring pressing portion 54d rotates so as to descend around the rotational axis of the link support body 54b while compressing the spring member 52. The spring pressing portion 54d The operating link 54c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first locking hole 51a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hile the operating link 54c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locking shaft 50a, which is seated in the first shaft support groove, is inserted into the first shaft locking groove to engage and lock.

그리고, 상기 제2록킹구(51b)는 상기 록킹연동축부(51c)로 상기 제1록킹구(51a)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1록킹구(51a)와 함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축지지홈에 안착된 상기 걸림축(50a)을 상기 제2축걸림홈에 삽입시켜 걸어 잠금한다.The second locking hole 51b is connected to the first locking hole 51a by the locking interlocking shaft portion 51c and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locking hole 51a, And the engagement shaft 50a seated in the support groov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haft engagement groove to engage and lock.

한편,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록커 작동부는,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40)의 작동 시 회전하는 제1회전링크부재(55);8 and 9, the rocker actua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rotating link member 55 which rotates during operation of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means 40;

회전링크 지지체(59)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회전링크부재(55)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회전링크부재(56); A second rotating link member (56)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tating link support body (59) and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link member (55) and rotating;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56)의 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56)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3회전링크부재(57); 및 A third rotating link member (57) protruding below the second rotating link member (56) and interlocking with the second rotating link member (56); And

상기 제3회전링크부재(57)와 상기 록커부재(51)를 연결하는 작동연결링크(58)를 포함한다.And an operation connection link 58 connecting the third rotating link member 57 and the locker member 51. [

상기 회전링크 지지체(59)는 상기 프레임(20)에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회동부(43A)의 후측에 배치된다. 상기 회동부(43A)의 후측은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40)의 플런져가 후퇴하는 방향이다. The rotary link supporter 59 is installed on the frame 20 and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rotary part 43A. The rear side of the rotary part 43A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nger of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means 40 is retracted.

상기 작동 연결링크(57)는 상기 제1록킹구(51a)의 하부에 연결된다. The operating connection link 57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hole 51a.

상기 제1회전링크부재(55)의 단부 측에는 캠돌기부(55a)가 구비되고,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56)에는 상기 캠돌기부(55a)가 삽입되어 이동하여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56)의 회전을 안내하는 캠이동라인(56a)이 형성된다. 상기 캠이동라인(56a)은 상기 캠돌기부(55a)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홈 또는 구멍 형태로 형성되며, 소정의 원호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캠돌기부(55a)가 상기 제1회전링크부재(55)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56)가 회전되도록 안내한다.A cam protrusion 55a is provided on an end side of the first rotating link member 55 and the cam protrusion 55a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otating link member 56 to move the second rotating link member 56 The cam movement line 56a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cam follower 56a is formed. The cam movement line 56a is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or a hole through which the cam protrusion 55a is inserted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c so that the cam protrusion 55a contacts the first rotation link member 55 And guides the second rotating link member 56 to rotate.

상기 캠이동라인(56a)은 소정의 원호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회전링크부재(55)가 플런져의 전방측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56)가 하향 회전하여 상기 작동연결링크(58)가 상기 제1록킹구(51a)의 하부를 밀어 상기 제1록킹구(51a)가 상부 측에서 걸린 상기 걸림축(50a)를 해제할 수 있도록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이에 상기 제1회전링크부재(55)가 플런져의 후방측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56)가 상향 회전하여 상기 작동연결링크(58)가 상기 제1록킹구(51a)의 하부를 당겨 상기 제1록킹구(51a)가 상부 측에서 상기 걸림축(50a)을 걸어 잠금하도록 회전할 수 있게 한다. The cam movement line 56a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c, and when the first rotation link member 55 rotates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plunger, the second rotation link member 56 rotates downward, The link 58 pushes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hole 51a so that the first locking hole 51a can be rotated to release the hooking shaft 50a hooked on the upper side. When the first rotating link member 55 rotates to the rear side of the plunger, the second rotating link member 56 rotates upward so that the operating connecting link 58 rotates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locking hole 51a So that the first locking hole 51a can be rotated to lock the locking axis 50a at the upper side.

상기 제1회전링크부재(55)는, 상기 회동부(43A)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43A)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56)는, 상기 제1회전링크부재(55)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작동연결링크(58)를 좌, 우로 이동시켜 상기 제1록킹구를 회전시킨다.The first rotating link member 55 is fixed to the rotating portion 43A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ng portion 43A and the second rotating link member 56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rotating link member 55 to move the operating connection link 58 to the left and right to rotate the first locking opening.

상기 제1회전링크부재(55)는 상기 회동부(43A)의 후측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캠돌기부(55a)가 상기 캠이동라인(56a)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된다. The first rotating link member 55 is disposed in a rearward direction of the rotary portion 43A and the cam protrusion 55a is inserted into the cam movement line 56a.

즉, 상기 모터(41A)가 작동되면 실린더(41B)의 작동으로 플런져가 돌출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플런져와 연결된 승강체(43)의 가압부(43a)가 밀리고, 회동부(43A)가 선회함에 따라 상기 제1회전링크부재(55)가 상기 플런져의 전방측으로 회전하고, 이 때 상기 캠돌기부(55a)는 상기 캠이동라인(56a)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56)를 밀어 하향 회전시킨다.That is, when the motor 41A is operated, the plunger protrudes due to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41B, whereby the pressing portion 43a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43 connected to the plunger is pushed and the rotating portion 43A The first rotation link member 55 rotates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plunger and the cam protrusion 55a moves along the cam movement line 56a while the second rotation link member 56 ).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56)가 하향 회전되면 상기 작동연결링크(58)를 당겨 수평이동시키고, 상기 작동연결링크(58)가 이동되면서 상기 제1록킹구(51a)가 회전하여 상기 제1축걸림홈에 삽입된 상기 걸림축(50a)을 분리하여 잠금상태를 풀게된다. When the second rotation link member 56 is rotated downward, the operation connection link 58 is pulled to horizontally move. When the operation connection link 58 is moved, the first locking aperture 51a rotates, The locking shaft 50a inserted in the shaft locking groove is separated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그리고, 상기 제2록킹구(51b)는 상기 록킹연동축부(51c)로 상기 제1록킹구(51a)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1록킹구(51a)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제2축걸림홈에 삽입된 상기 걸림축(50a)을 분리하여 잠금상태를 풀게된다.The second locking hole 51b is connected to the first locking hole 51a by the locking interlocking shaft portion 51c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locking hole 51a, The inserted locking axis 50a is disengaged to release the locked state.

또한, 상기 모터(41A)가 작동되어 상기 플런져가 상기 실린더(41B)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회전부가 반대방향으로 선회하고 상승부는 하강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며, 이 때 상기 제1회전링크부재(55)가 상기 플런져의 후방측으로 회전하고, 이 때 상기 캠돌기부(55a)는 상기 캠이동라인(56a)을 따라 반대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56)를 당겨 상향 회전시킨다.When the motor 41A is operated and the plunger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41B, the rotation part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rising part is rotated downwar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At this time, The cam protrusion 55a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long the cam movement line 56a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ile pulling the second rotation link member 56 upward .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56)가 상향 회전되면 상기 작동연결링크(58)를 당겨 반대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고, 상기 연결링크(54c)가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록킹구(51a)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축지지홈에 안착된 상기 걸림축(50a)을 상기 제1축걸림홈에 삽입시켜 걸어 잠금한다.When the second rotating link member 56 is rotated upward, the operating link 58 is pulled and horizontally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the connecting link 54c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first locking hole 51a The engaging shaft 50a, which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seated in the first shaft supporting groove, is inserted into the first shaft engaging groove to engage and lock.

그리고, 상기 제2록킹구(51b)는 상기 록킹연동축부(51c)로 상기 제1록킹구(51a)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1록킹구(51a)와 함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축지지홈에 안착된 상기 걸림축(50a)을 상기 제2축걸림홈에 삽입시켜 걸어 잠금한다.The second locking hole 51b is connected to the first locking hole 51a by the locking interlocking shaft portion 51c and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locking hole 51a, And the engagement shaft 50a seated in the support groov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haft engagement groove to engage and lock.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40)은 엇갈림수단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횡방향 변위수단에 의하여 각 서포트유니트가 횡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횡방향 접힘 상태에서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에 의하여 각 서포트유니트가 종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경우 각 서포트유니트 구성 서포트분체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The vertical displacement means (40) includes a displacement means, wherein each support unit is pivoted about the horizontal axis by the lateral displacement means, and in the transversely folded state, each of the support units It is possible to prevent collision of the respective support unit constituent support powder when it is pivoted about the pivot axis.

이러한 엇갈림수단은 각 서포트패널(P)의 각 분체를 따로 움직이도록 구동수단을 도입하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으나 보다 단순한 구조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공용상승체(45)에 그 방안을 구현하였다.Such a shifting means can be solved by introducing a driving means to move each powder of each support panel P separately. However, in order to simplify the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method in the common elevator 45.

즉, 도 10에서, 센터프레임(45S) 양측에 제1 및 제2 종축(S1)(S2)에 의하여 연결된 윙프레임(45B)에서 제1 및 제2 종축(S1)(S2)과 링크바(45w)를 통하여 연결된 사이드바(45W), 특히 중앙에 리세스바(45r)를 형성하여, 이 리세스바가 엇갈림수단의 기능을 하도록 하였다.10,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axes S1 and S2 and the link bar (not shown) in the wing frame 45B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center frame 45S by the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axes S1 and S2, The side bars 45W, particularly the center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rear wheels 45r through the rear wheels 45w, serve to function as a displacement means.

즉 종방향 폴딩모드가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립된 침대(B)는 서포트패널(P)의 각 분체가 평면을 이루게 되는데, 제1 및 제2 종열(V1)(V2) 상의 패널 분체 외곽은 메인프레임(20)의 외곽 부위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longitudinal folding mode is not performed, each powder of the support panel P is flat in the assembled bed B, and the outline of the panel powder on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V1 and V2 And is supported by the outer frame portion of the main frame 20.

그러나 종방향 폴딩모드를 위하여 어느 한 윙프레임(45B)이 상승하는 경우 제1 및 제3 종열(V1)(V3) 상의 패널분체 외곽은 메인프레임(20)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때 특히 엉덩이 서포트유니트(P2)의 외곽(제1 또는 제3 종열상)의 서포트패널 분체는 엇갈림수단을 이루는 리세스바(45r)에 위치하게 되어 다른 분체들과 어긋나므로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지 않는다.However, when one of the wing frames 45B rises for the longitudinal folding mode, the outline of the panel powder on the first and third columns V1 and V3 is displaced from the main frame 20, P2) is located on the recessed bar 45r constituting the shifting means and is out of alignment with the other powders, so that it is not located on the same plane.

횡방향 변위수단(30)이 움지여 등 또는 허벅지 서포트유닛(P1)(P3)이 움직여 횡방향 폴딩모드가 진행하여도 양 윙프레임(45B)의 리세스바(45r)에 위치한 엉덩이 서포트유니트(P2)의 외곽 서포트패널 분체와 충돌 문제가 없어 원활한 종방향 폴딩모드 및 횡방향 폴딩모드의 진행이 가능하다.The hip support unit P1 (P3) located in the recess bar 45r of the both wing frame 45B can be moved in the lateral folding mode by moving the lateral displacement unit 30 or the thigh support unit P1 ), It is possible to proceed in the longitudinal folding mode and the transverse folding mode in a smooth manner.

각 도면을 참조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자유 접이 침대(B)에서 승강운동, 특히 횡방향 변위수단 및 종방향 변위수단과 관련한 변위모드는 자동 또는 수동 모드로 유선 또는 무선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With reference to the figures, the displacement mode in relation to the lifting, in particular the transverse displacement means and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means in the free-lying bed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using a wired or wireless controller in an automatic or manual mode have.

먼저 도 4의 평면도 및 도 2를 참조하여 수동모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작동 및 오류,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불과하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passive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lan view of FIG. 4 and FIG. 2 (this is merely a preferred embodiment for preventing malfunction, error, and side effects).

1) 공용상승체(45), 특히 센터프레임(45A)과 함께 움직이는 횡방향 변위수단(30)을 구성하는 모터조립체(31)의 어느 한 모터(31A)(도 4에서, M1 및 M2, 이하 제1 및 제2 모터)가 작동되면 종방향 변위수단(40)을 구성하는 종방향작동 엑츄에이터(41)의 어느 한 모터(41A)(도 4에서 M3 및 M4, 이하 제3 및 제4 모터)는 동작하지 않는다. 1) One of the motors 31A (M1 and M2 in FIG. 4, of the motor assembly 31) constituting the common elevator 45, in particular, the transverse displacement means 30 moving together with the center frame 45A One of the motors 41A (M3 and M4 in Fig. 4,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rd and fourth motors) of the longitudinal actuating actuator 41 constituting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means 40, Does not operate.

2) 횡방향 폴딩모드를 위한 제1 및 제2 모터(M1,M2)가 움직여 서포트유니트가 횡방향으로 접힌 상태에서도, 종방향 폴딩모드를 위한 제3 및 제4 모터(M3,M4)가 움직일 수 있다.2) The third and fourth motors M3 and M4 for the longitudinal folding mode are moved even when the first and second motors M1 and M2 for the lateral folding mode are moved and the support unit is folded in the lateral direction .

3) 종방향 폴딩모드를 위한 제3 또 제4 모터(M3,M4)가 움직인 상태에서는 제4 또 제3 모터(M4,M3)는 동작하지 않는다. 3) When the third and fourth motors M3 and M4 for the longitudinal folding mode are moving, the fourth and third motors M4 and M3 do not operate.

4) 메인승강수단(10A)을 구성하는 모터조립체(11)의 모터(11A)(도 2에서 M5, 이하 제5 모터)는 모터 1 내지 4(M1,M2,M3,M4)와 무관하게 동작할 수 있다.4) The motor 11A (M5 in Fig. 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fth motor) of the motor assembly 11 constituting the main elevating means 10A operates independently of the motors 1 to 4 (M1, M2, M3 and M4) can do.

5) 횡방향 폴딩모드를 위한 제1 및 제2 모터(M1,M2)는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5) The first and second motors M1 and M2 for the transverse folding mode can move simultaneously.

또 만약 메인프레임(20)의 승하강을 위한 메인승강수단(10A)을 위한 모터(11A)가 둘 이상 구비되는 경우 이 제5모터(M5)는 동시에 움직일 수 있다. If more than one motor 11A is provided for the main elevating means 10A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main frame 20, the fifth motor M5 can move at the same time.

6) 선택적으로, 자동모드에서는 제1, 제2, 제5 모터(M1,M2,M5)는 동작하지 않는다. 즉 종방향 폴딩모드만이 진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6) Alternatively, in the automatic mode, the first, second, and fifth motors M1, M2, and M5 do not operate. That is, only the longitudinal folding mode can be configured to proceed.

7) 침대 사용자가 선호하는 종횡 틸팅 각도를 메모리할 수 있다. 7) Bed user can memorize preferred vertical and horizontal tilting angle.

다음으로 자동모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오작동 및 오류,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불과하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mod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malfunction, error, and prevention of side effects).

1) 자동 또는 수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1) Be able to select automatic or manual mode.

2) 제3 및 제4 모터(M3,M4)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설정이 가능해야 한다. 2) The third and fourth motors M3 and M4 should be set as follows.

- 동작시간 설정 범위 : 0 ~ 120분(상승 상태, 즉 종방향 폴딩 상태로 유지하는 시간과 펼쳐진 상태에서 대기하는 시간을 각각 별도로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폴딩 또는 언폴딩을 위한 동작 시간은 계산하지 않고 무시한다.) - Operation time setting range: 0 ~ 120 minutes (It is necessary to set the time for holding in the rising state, that is, the longitudinal folding state and the time for waiting in the expanded state, respectively. Ignore it.)

- 시간 설정은 최소 단위를 52분으로 하고, 제어 버튼 한 번씩 누를 때마다 5분씩 증감되도록 한다.- Set the time to 52 minutes for the minimum unit, and increase or decrease by 5 minutes each time the control button is pressed.

-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을 때는 0.5초 간격으로 5분씩 증감한다. - Press and hold the button for 0.5 second increments, 5 minutes increments.

- 동작 각도 설정 범위 : 0 ~ 40도 - Operating angle setting range: 0 ~ 40 degrees

- 각도 설정은 최소 단위를 5도로 하고, 제어 버튼을 한 번씩 누를 때마도 5도씩 증감한다.- Angle setting is 5 degrees in minimum unit and it increases or decreases by 5 degrees when pressing the control button once.

- 각도와 시간의 최소단위도 파라미터를 설정할 때 변경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The minimum unit of angle and time can be changed when setting parameters.

3) 모드 선택 기능3) Mode selection function

- 모드1 : 제3모터(M3) 단독 운전 - Mode 1: Third motor (M3) single operation

- 모드2 : 제4모터(M4) 단독 운전 - Mode 2: Fourth motor (M4) single operation

- 모드3 : 제3 및 제4 모터(M3)(M4) 연동운전- Mode 3: Interlocking operation of 3rd and 4th motor (M3) (M4)

4) 수동에서 자동으로 전환하거나, 자동에서 수동으로 전환할 때는 일단 모든 모터가 원위치로 복귀한 후, 다음 동작이 진행되도록 한다.4) When switching from manual to automatic, or from automatic to manual, all motors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 and then proceed to the next operation.

5) "설정변경" 위치에서는 자동 모드 설정내욜을 확인하거나 초기 또는 재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다.5) In the "Change setting" position, check the automatic mode setting item or make it possible to initialize or reset.

6) 자동 설정 내용은 최소, 서로 다른 3개의 동작순서를 메모리할 수 있어야 한다.6) The contents of automatic setting shall be able to memorize at least three different operation sequences.

7) 설정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있어야 한다.7) There must be a display to confirm the setting.

그 외 수동 또는 자동 모드에서 공통사항을 다음과 같다.In other manual or automatic modes, the following are common.

1) 운전 중 에러 발생시 모든 모트는 동작을 정지하여야 한다.1) All motes should stop operation when an error occurs during operation.

2) 비상시 모든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 정지스위치가 있어야 한다.2) There must be an emergency stop switch that can stop all operations in case of emergency.

3)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스위치가 있어야 한다.3) There must be a switch that can turn on / off the power.

4) 버튼 조작시에 동작 확인 음(약 10db)이 나거나, (또는 동시에) 램프가 점등 또는 점멸하도록 한다.4) Make sure that the operation confirmation sound (approx. 10db) is produced when the button is operated, or (or simultaneously) the lamp lights or flashes.

5). 제 1 내지 제5 모터의 하강시에는 감속기능과,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정지 기능이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5). It is preferable that a deceleration function and a relatively soft stop function are introduced when the first to fifth motors are lowered.

그러면서도 빠른 구동을 위하여 최대 상승각에 대한 80% 정도의 하강 지점에서 감속기능이 실행되며, 이때 1/2 정도의 속도로 감속한다.At the same time, the deceleration function is executed at the falling point of about 80% of the maximum rising angle for the fast driving, and at this time, the speed decelerates to about 1/2 speed.

6) 각 각도조절 부위의 최대 상승각은 출하시나 A/S 시 PC를 이용하여 콘트롤보다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6) The maximum angle of elevation of each angle adjusting part should be able to be input at the time of shipment or A / S by PC.

제1 내지 제4 모터의 인터락 관계도 파라미터 설정시 "사용함" 또는 "사용 안함"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The interlock relationship of the first to fourth motors must be able to select "enabled" or "disabled" when setting parameters.

각 모드의 운전사양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specifications of each mode are as follows.

1) 등 서포트유니트(P1)을 위한 제1모터(M1)1) and the like for the support unit P1,

등 서포트유니트(P1)의 상승 각은 최대 85도, 승강체(33)의 상승부(33B) 각도는 98도 정도이다. 제1모터의 스트로크는 100mm이다.The rising angle of the support unit P1 is at most 85 degrees and the angle of the rising portion 33B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33 is about 98 degrees. The stroke of the first motor is 100 mm.

2) 제4모터(M4)2) the fourth motor M4;

제1종열(V1) 및 제2종열(V2) 상에 배열된 서포트패널(P) 분체(이하 '좌측 판'이라 함)의 상승을 위한 제4모터(M4)의 상승 각은 최대 50도이며, 승강체(43)의 상승부(43B) 각도는 55.8도이고, 모터의 스트로크는 90mm이며, 0~18mm까지는 아이들(idle) 상태로 운전되고, 18~90mm까지의 구간에서 좌측 판을 상승시킨다.The rising angle of the fourth motor M4 for lifting the support panel P powd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left plate") arranged on the first column V1 and the second column V2 is maximum 50 degrees , The angle of the ascending portion 43B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43 is 55.8 degrees, the stroke of the motor is 90 mm, the idle state is operated from 0 to 18 mm, and the left plate is lifted up to 18 to 90 mm .

3) 제3모터(M3)3) The third motor (M3)

제2종열(V2) 및 제3종열(V3) 상에 배열된 서포트패널(P) 분체(이하 '우측 판' 이라 함)의 상승을 위한 제3모터(M3)의 상승 각은 최대 50도±2.5도이며, 승강체(43)의 상승부(43B) 각도는 55.8도이고, 모터의 스트로크는 90mm이며, 0~18mm까지는 아이들(idle) 상태로 운전되고, 18~90mm까지의 구간에서 좌측 판을 상승시킨다.The elevation angle of the third motor M3 for raising the support panel P powd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right plate") arranged on the second column V2 and the third column V3 is maximum 50 degrees ± The angle of the ascending portion 43B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43 is 55.8 degrees and the stroke of the motor is 90 mm. In the range of 18 to 90 mm, .

4) 제2모터(M2)4) The second motor M2,

허벅지 서포트유니트(P3)를 위한 제2모터(M1)의 상승 각은 최대 40도±2.5도, 승강체(33)의 상승부(33B) 각도는 49.4도. 제2모터의 스트로크는 50mm이다.The elevation angle of the second motor M1 for the thigh support unit P3 is at most 40 degrees +/- 2.5 degrees and the elevation angle 33B of the elevation member 33 is 49.4 degrees. The stroke of the second motor is 50 mm.

5) 제5모터(M5) 5) The fifth motor (M5)

메인프레임(20)의 승하강을 위한 제5모터(M5)는 수평 승하강만 가능하도록 [0208] 구성하거나, 사용자의 머리쪽만을 들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fifth motor M5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main frame 20 may be constructed so as to be capable of only horizontal descending or descending, or may be configured to hold only the head of the user.

또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쪽과 발 쪽에 각각 별도의 모터를 도입하여 메인프레임(20) 자체의 틸팅 기능을 도입할 수 있다. 이때 각 모터(M5)는 칼럼형 액추에이터를 사용하며, 스트로크는 300mm일 수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motor can be introduced to the head and foot sides of the user as necessary to introduce the tilting function of the main frame 20 itself. At this time, each motor M5 uses a column-type actuator, and the stroke may be 300 mm.

틸팅 운전시 머리 쪽이나 다리 쪽 모터 중 어느 하나씩만 구동하며, 수평을 유지한 승하강시에는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침상의 최대 기울기는 12.5±0.5도.
Only one of the head side and leg side motors is driven during the tilting operation, and can be driven at the same time during the ascending / descending operation in which the level is maintained. The maximum slope of the bed is 12.5 ± 0.5 degrees.

이상의 설명에서 구동수단인 각 모터조립체의 모터 및 실린더 구조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While the above description excludes the conventionally known techniques relating to the motor and cylinder structure of each motor assembly, which is the driving mean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guess, deduce, and reproduce this.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접이 침대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Various modifications, And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 침대 10: 베이스
10A: 메인승강수단 11,31,41: 모터조립체
13,33,43: 승장체 11A,31A,41A: 모터
20: 프레임 21: 설치부
23: 캐쳐핀 P,Pu,Pℓ,P1,P2,P3,P4: 서포트유니트
Sv,Sv1,Sv2,Sh: 선회축 V1,V2,V3: 종열
30: 횡방향변위수단 40: 종방향변위수단
45: 공용상승체 45a: 센터프레임
45b: 윙프레임 50: 록킹수단
50a: 걸림축 50b: 제1록킹지지체
50c: 제2록킹지지체 51: 록커부재
51a: 제1록킹구 51b: 제2록킹구
51c: 록킹연동축부 52: 스프링부재
53: 스프링가압부재 54: 작동링크부재
54a: 스프링가압링크 54b: 링크지지체
54c: 연결링크 54d: 스프링가압부
54e: 작동회전부 55: 제1회전링크부재
55a: 캠돌기부 56: 제2회전링크부재
56a: 캠이동라인 57: 제3회전링크부재
58: 작동연결링크 59: 회전링크지지체

B: Bed 10: Base
10A: Main elevating means 11, 31, 41: Motor assembly
13, 33, 43: Transfer unit 11A, 31A, 41A: motor
20: Frame 21: Installation section
23: Catcher pins P, Pu, Pℓ, P1, P2, P3, P4: Support unit
Sv, Sv1, Sv2, Sh: Pivot axis V1, V2, V3:
30: transverse displacement means 40: longitudinal displacement means
45: Common elevating body 45a: Center frame
45b: wing frame 50: locking means
50a: Retaining shaft 50b: First locking bearing
50c: second locking supporting body 51:
51a: first locking portion 51b: second locking portion
51c: locking interlocking shaft portion 52: spring member
53: spring biasing member 54: actuating link member
54a: spring-biasing link 54b: link support
54c: connecting link 54d: spring pressing portion
54e: operating rotation part 55: first rotation link member
55a: cam protrusion 56: second rotation link member
56a: cam movement line 57: third rotation link member
58: Operation connection link 59: Rotation link support

Claims (4)

메인프레임(20);
각각 종선회축을 구비한 복수의 서포트분체로 각각 구성된 상체 및 하체 서포트유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프레임 상부에 배열된 서포트패널(P); 및
상기 각 서포트유니트를 종선회축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승하강시키는 종방향 변위수단(40); 및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40)에 의하여 각 서포트유니트가 종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승하강하는 서포트분체는 풀고, 정지된 서포트분체는 잠그는 록킹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수단(50)은,
상기 서포트분체를 걸어 고정하는 록커부재(51); 및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40)과 상기 록커부재(51)를 연결하여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4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록커부재(51)로 상기 서포트분체의 잠금을 풀거나 걸리도록 하는 록커 작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록커 작동부는,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40)의 작동 시 회전하는 제1회전링크부재(55);
회전링크 지지체(59)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회전링크부재(55)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회전링크부재(56);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56)의 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56)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3회전링크부재(57); 및
상기 제3회전링크부재(57)와 상기 록커부재(51)를 연결하는 작동연결링크(58)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링크부재(55)의 단부 측에는 캠돌기부(55a)가 구비되고,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56)에는 상기 캠돌기부(55a)가 삽입되어 이동하여 상기 제2회전링크부재(56)의 회전을 안내하는 캠이동라인(56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록커부재(51)는,
상기 록커 작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서포트분체의 양 측에 구비된 걸림축 중 어느 한측의 걸림축을 걸어 고정하며, 제1록킹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록킹구(51a);
상기 서포트분체의 양 측에 구비된 걸림축 중 다른 한측의 걸림축을 걸어 고정하며, 제2록킹 지지체(50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록킹구(51b); 및
상기 제1록킹구(51a)의 회전축과 상기 제2록킹구(51b)의 회전축을 연결하여 상기 제1록킹구(51a)와 상기 제2록킹구(51b)를 연동시키는 록킹연동축부(51c);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록커를 구비한 체위변환 침대.
A main frame 20;
A support panel (P) composed of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support unit each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pport powders each having a longitudinal pivot shaft and arranged above the main frame; And
Longitudinal direction displacement means (40) for rotating the support units about their longitudinal pivot shafts and moving them up and down; And
And locking means (50) for releasing the support powder which is lifted and lowered by each of the support units by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means (40) about the longitudinal pivot axis and for locking the stationary support powder,
The locking means (50)
A locker member (51) for hanging and fixing the support powder; And
A locker member (51) is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means (40) and the locker member (51) to lock or unlock the support powder by the operation of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means , ≪ / RTI >

Wherein the rocker actuating part comprises:
A first rotating link member (55) rotating during operation of said longitudinal displacement means (40);
A second rotating link member (56)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tating link support body (59) and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link member (55) and rotating;
A third rotating link member (57) protruding below the second rotating link member (56) and interlocking with the second rotating link member (56); And
And an operating connection link (58) connecting the third rotating link member (57) and the locker member (51)
A cam protrusion 55a is provided on an end side of the first rotating link member 55 and the cam protrusion 55a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otating link member 56 to move the second rotating link member 56 And a cam movement line 56a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cam 54a,

The locker member (51)
A first locking hole (51a) connected to the rocker actuating part and fixed to one side of a retaining shaf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owder, and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locking retainer;
A second locking hole (51b) fixed to the other of the locking axl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owder by being engaged with the locking axis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locking supporting body (50c); And
A locking interlocking shaft portion 51c connecting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locking aperture 51a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locking aperture 51b to interlock the first locking aperture 51a and the second aperture 51b, And a second locker for locking the second lock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커 작동부는,
상기 록커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재(52);
상기 스프링부재(52)를 가압하며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40)에 연결되어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40)의 작동 시 상기 스프링부재(52)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는 스프링가압부재(53); 및
상기 스프링부재(52)의 탄성 복원력을 상기 록커부재(51)로 전달하는 작동링크부재(5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록커를 구비한 체위변환 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cker actuating part comprises:
A spring member (52)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ocker member;
A spring urging member 53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ly displacing means 40 for releasing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52 during operation of the longitudinally displacing means 40; And
And an operating link member (54) for transmitt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member (52) to the locker member (5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변위수단(40)은,
종방향작동 엑츄에이터(41) 및 승강체(43)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체(43)는 상기 종방향작동 엑츄에이터(41)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동부(43A) 및 상기 회동부(43A)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부(43A)의 회전에 의해 상, 하 회전하는 상승부(43B)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가압부재(53)는 상기 회동부(43A)에 연결되어 상, 하 회전하며,
상기 작동링크부재(54)는,
상기 스프링가압부재(53)로 가압되어 상기 스프링부재(52)를 가압하는 스프링가압링크(54a);
상기 스프링가압링크(54a)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지지체(54b); 및
상기 스프링가압링크(54a)와 상기 제1록킹구(51a)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링크(54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록커를 구비한 체위변환 침대.
The method of claim 2,
The longitudinal displacement means (40)
A longitudinal actuating actuator 41 and an elevating member 43,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43 includes a pivoting portion 43A which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longitudinal actuating actuator 41 and a pivoting portion 43A which is fixed to the pivoting portion 43A and rotates up and down And a lifting portion 43B for lifting,
The spring urging member 53 is connected to the rotary part 43A and rotates up and down,
The operating link member (54)
A spring pressurizing link 54a which is pressed by the spring pressing member 53 to press the spring member 52;
A link support 54b to which the spring pressurizing link 54a is rotatably engaged; And
And a connecting link (54c) connecting the spring pressurizing link (54a)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locking hole (51a).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가압링크(54a)는,
상기 링크지지체(54b)에 연결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스프링부재(52)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가압부재(53)에 의해 눌려 상기 스프링부재(52)의 상부를 가압하는 스프링가압부(54d); 및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향 연장되어 상기 연결링크(54c)에 연결되는 작동회전부(54e)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록커를 구비한 체위변환 침대.
The method of claim 3,
The spring-biasing link 54a,
A spring pressing portion 54d protruding toward the spring member 52 about a rotation axis connected to the link support body 54b and pressed by the spring pressing member 53 to press the upper portion of the spring member 52; And
And a working rotation part (54e) extending downward about the rotation axis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k (54c).
KR1020140049294A 2014-04-24 2014-04-24 Bed for change position of the body with Double Lock KR1015851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294A KR101585125B1 (en) 2014-04-24 2014-04-24 Bed for change position of the body with Double 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294A KR101585125B1 (en) 2014-04-24 2014-04-24 Bed for change position of the body with Double 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012A KR20150123012A (en) 2015-11-03
KR101585125B1 true KR101585125B1 (en) 2016-01-13

Family

ID=5459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294A KR101585125B1 (en) 2014-04-24 2014-04-24 Bed for change position of the body with Double 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12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454B1 (en) * 2016-10-12 2018-07-24 이대훈 The folding bed
CN212139978U (en) * 2020-03-11 2020-12-15 锐迈机械科技(吴江)有限公司 Connecting rod assembly for folding bed and folding be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4993A (en) 2010-05-26 2011-12-08 Takano Co Ltd Lock device for locking mechanism of chair and chair incorporating the same
KR101200721B1 (en) 2011-07-25 2012-11-12 이대훈 Free folding be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4993A (en) 2010-05-26 2011-12-08 Takano Co Ltd Lock device for locking mechanism of chair and chair incorporating the same
KR101200721B1 (en) 2011-07-25 2012-11-12 이대훈 Free folding b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012A (en) 201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42799A1 (en) Medical support apparatus
CN103533865A (en) Free folding bed, displacement means for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A2242320A1 (en) Apparatus for handling incapacitated patients
CN1946360B (en) Bed
JP2010178783A (en) Bed apparatus
KR101585125B1 (en) Bed for change position of the body with Double Lock
CN104083261A (en) Multifunctional all-electric nursing bed
KR101200721B1 (en) Free folding bed
JP2022186990A (en) Bed device
KR20140011229A (en) Operation method for free folding bed and displacement means for the same
CN114028098B (en) Nursing transfer system
CN210903720U (en) Transfer robot
KR20030076330A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lifting of bottom sections in lying furniture such as a bed
KR20030076347A (en) Lifting control method for lying furniture such as a bed
KR101392948B1 (en) Operation method for free folding bed and displacement means for the same
TWI593370B (en) Supine bed's bottom controlling method and device
EP1723874A1 (en) Lectern-table which can be coupled to an auxiliary piece of furniture
JPH04819Y2 (en)
TWM578158U (en) Structure of bed frame
KR20130071599A (en) Free folding bed and displacement means for the same
CN107802424A (en) A kind of wheelchair pedal device and the section bar on wheelchair pedal
JP6340352B2 (en) Bed equipment
JP2018023569A (en) Chair
JP2003275061A (en) Bed
CN213308561U (en) Sofa frame lifting limiting mechanism, sofa frame and sof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