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111B1 - Terminal fixing device of multitap - Google Patents

Terminal fixing device of multit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111B1
KR101585111B1 KR1020140031956A KR20140031956A KR101585111B1 KR 101585111 B1 KR101585111 B1 KR 101585111B1 KR 1020140031956 A KR1020140031956 A KR 1020140031956A KR 20140031956 A KR20140031956 A KR 20140031956A KR 101585111 B1 KR101585111 B1 KR 101585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witch
fixing member
main switch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9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09033A (en
Inventor
곽창용
조원석
Original Assignee
곽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창용 filed Critical 곽창용
Priority to KR1020140031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111B1/en
Priority to PCT/KR2015/002631 priority patent/WO2015142056A1/en
Publication of KR20150109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0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1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2극 스위치 멀티탭에서 메인스위치 측의 입출력선 및 입출력단자가 연결되는 접점과, 각 분기스위치 측의 입출력단자 및 플러그핀 삽입단자가 연결되는 접점에 특정 구조의 고정부재를 각각 결합시켜 해당 단자를 별도의 일체형 개별스위치 및 납땜 작업 없이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특정 구조를 통해 다양한 형태를 갖는 멀티탭에 범용으로 적용이 가능한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fixture for a multi-tap,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terminal fixture for a multi-tap in which a contact to which an input / output line and an input / output terminal of a main switch side are connected and an input / And the terminal can be firmly fixed without any separate integrated switches and soldering operations. The terminal fastener of the multi-tap which can be universally applied to various types of multi- .

Description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TERMINAL FIXING DEVICE OF MULTITAP}{TERMINAL FIXING DEVICE OF MULTITAP}

본 발명은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극 스위치로 이루어진 멀티탭에서 메인스위치 측의 입출력선 및 입출력단자가 연결되는 접점과, 각 분기스위치 측의 입출력단자 및 플러그핀 삽입단자가 연결되는 접점에 특정 구조의 고정부재를 결합시켜 별도의 납땜 작업 없이도 각 접점에 단자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fastener of a multi-tap,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fastener of a multi-tap in which a contact for connecting an input / output line and an input / output terminal of a main switch side in a multi-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fastener for a multi-tap which can firmly connect terminals to respective contacts without a separate soldering operation by connecting fixing members having a specific structure to the contacts to be connected.

일반적으로, 멀티탭은 한 개의 콘센트에서 다수 개의 전기기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한 개의 콘센트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몸체에 2개 이상의 콘센트가 분기되어 이루어진다.      Generally, a multi-tap is configured to use a plurality of electric appliances at the same time from one outlet, and two or more outlets are branched to a body connected to one outlet and supplied with electricity.

특히, 최근에는 전원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2극 스위치로 이루어진 멀티탭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상술한 멀티탭은 입력선과 출력선 및 접지선이 내장된 전원코드와, 두 개의 플러그핀 삽입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에 입출력단자와 이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접점이 2극으로 형성된 메인스위치 및 보조스위치를 상호 접속하여, 상기 메인스위치 및 보조스위치의 선택적인 조작에 따라 상기 2극의 입출력단자가 동시에 온.오프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a multi-tap having two-pole switches has been commonly used so that power management can be more efficiently performed. The above-described multi-tap includes a power cord having an input line, an output line and a ground line, The main switch and the auxiliary switch having mutually connected contacts for turning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on and off between the termina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of the two terminals are simultaneously turned on according to the selective operation of the main switch and the auxiliary switch. Off.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2극 스위치로 이루어진 멀티탭에 있어서는, 상기 메인스위치 측의 입출력선 및 입출력단자가 접점에 연결되는 경우, 그리고 각 분기스위치 측의 입출력단자 및 플러그핀 삽입단자가 접점에 연결되는 경우 모두 납땜작업 및 일체형 개별스위치를 통해 고정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In a conventional multi-tap having two bipolar switches, when the input / output lines and the input / output terminals of the main switch are connected to the contacts, and the input / output terminals and the plug pin insertion terminals of the respective branch switches are connected to the contacts In this case, all of the soldering operation and the integral operation of the individual switches are performed.

이에, 상기 멀티탭의 제조 시에는 일체형 개별스위치를 사용하거나 또는 각 스위치 마다 4번씩의 납땜작업을 필요로 하게 되며, 또한 일체형 개별 2극스위치의 고장 및 불량 시에는 전체를 교체하여야만 하므로, 그 작업공정이 매우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an integral type individual switch or four soldering operations for each switch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above-mentioned multi tap. In addition, when the integral type two-pole type switch fails or fails, Is very cumbersome and takes a long time,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is deteriorated.

또한, 이에 따라 유해 물질인 납이 멀티탭 제품 내에 포함되게 될 뿐만 아니라, 그 제조공정이나 제품폐기 과정에서 유해 물질이 발생됨에 따라, 친환경적인 추세에 역행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In addition, not only lead as a harmful substance is included in the multi-tap product, but harmful substances are generat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r the product disposal process, which leads to a problem of going against the environment-friendly trend.

이에, 본 출원인은 국내 등록특허 제10-1164431호를 통하여, "2극 스위치 멀티탭에서 메인스위치의 접점 측에는 부도체인 제 1고정부재가 장착되어 입출력선 및 입출력단자를 해당 지점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 1고정부재는, 직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스위치에 형성된 4개의 접점 상단과 대응되는 지점에 각각 사각형상의 관통홀이 천공된 상판 및, 상기 상판의 관통홀과 인접한 지점 하면에서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메인스위치에 형성된 4개의 접점 양면에 각각 한 쌍씩 밀착되도록 4쌍이 대응되게 배열 형성되며 한 쌍 중 일측 하단에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고정부재의 상판 하면에는, 상기 메인스위치의 각 접점을 격리시키는 "+" 형상의 격벽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끼워지도록 그 평면이 "⊂" 형상 및 "⊃" 형상을 갖도록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부 및, 상기 격벽 상단에 끼워지도록 그 평면이 "│"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보조끼움부가 상호 엇갈린 위치에 일체로 형성된 것." 및, "2극 스위치 멀티탭에서 각 분기스위치의 접점 측에는 부도체인 제 2고정부재가 장착되어 입출력단자 및 플러그핀 삽입단자를 해당 지점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 2고정부재는, 하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 또는 타원통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 상면에는 상기 분기스위치에 배열 형성된 4개의 접점과 대응되게 관통홀이 천공되고, 상기 몸체의 전면 및 후면에는 한 개의 입출력단자 및 한 쌍의 플러그핀 삽입단자가 관통되도록 각각 3개씩의 단자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 하면에는 각 접점에 결합되는 단자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탄성돌기를 갖는 한 쌍의 가압부가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몸체의 전면 양측에는 분기스위치의 외면에 밀착되어 몸체가 지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지지부가 하단에 걸턱이 구비된 상태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의 단자고정구'를 등록받은 바 있다.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164431, "In a bipolar switch tap, a first fixing member, which is a nonconductor, is mounted on a contact side of a main switch to fix an input / output line and an input / output terminal to a corresponding point , The first fixing member includes an upper plat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having square through hol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s of the four contacts formed on the main switch and a lower plate disposed adjacent to the through hole of the upper plate, And four pairs of contacts are arrang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four contacts formed on the main switch, and a coupling part having a pressing projection formed at one lower side of the pair is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of the main switch, the " + " And a pair of auxiliary fitting portions having a plane shape of "" -shaped so as to be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wall, . " And "a second fixing member, which is an insulator, is mounted on the contact side of each branch switch in the bipolar switch tap, so that the input / output terminal and the plug pin insertion terminal are fixed to the corresponding point, And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four contact points arranged on the branch switch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one input / output terminal and a pair of input / output terminals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ody, A pair of pressing portions having elastic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so as to firmly support the terminals coupled to the respective contacts,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a pair of supporting portions,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ranch switch to support the body, One extending "has been registered to the bar, the terminal fixture of the multi-tap, characterized in that.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멀티탭의 단자고정구'는 그 구조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 1고정부재 및 제 2고정부재와 대응되는 특정 형태를 갖는 멀티탭에만 적용이 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갖는 멀티탭에 범용으로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terminal fastener of a multi-tap'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has a problem in that it can be applied only to a multi-tap having a specific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it is limited in general application to multi-tap having various shap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2극 스위치 멀티탭에서 메인스위치 측의 입출력선 및 입출력단자가 연결되는 접점과, 각 분기스위치 측의 입출력단자 및 플러그핀 삽입단자가 연결되는 접점에 특정 구조의 고정부재를 각각 결합시켜 해당 단자를 별도의 일체형 개별스위치 및 납땜 작업 없이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특정 구조를 통해 다양한 형태를 갖는 멀티탭에 범용으로 적용이 가능한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wo-pole switch multi-tap which has a contact connected to an input / And a fixing member of a specific structure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contacts to which the plug pin inserting terminals are connected so that the terminals can be firmly fixed without any separate integrated switches and soldering work. And to provide a terminal fastener of a multi-tap which can be applied for general purpos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 고정구는, 2극 스위치 멀티탭에서 메인스위치의 접점 측에는 부도체인 제 1고정부재가 장착되어 입출력선 및 입출력단자를 해당 지점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 1고정부재는, 직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스위치에 형성된 4개의 접점 상단과 대응되는 지점에 각각 사각형상의 관통홀이 천공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일측 2개의 관통홀과 인접한 지점 하면에서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메인스위치에 형성된 일측 2개의 접점 양면에 각각 한 쌍씩 밀착되도록 2쌍이 대응되게 배열 형성되며 한 쌍 중 일측 하단에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상판의 타측 2개의 관통홀과 인접한 지점 하면에서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메인스위치에 형성된 타측 2개의 접점 일면에 밀착되며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는 밀착돌기가 형성된 밀착부 및, 상기 상판의 타측 2개의 관통홀과 인접한 측단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메인스위치의 외면에 밀착되며 그 하단에는 걸턱이 구비된 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fixture for a multi-tap in which a first fixing member, which is nonconductive, is mounted on a contact side of a main switch in a bipolar switch tap to fix input / output lines and input / Wherein the first fixing member comprises a top plate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having square through hol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ops of four contacts formed on the main switch, A pair of vertically extending portions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switch, two pairs of the pair of main body portions being formed on both sides of one of the two contact surfaces of the main switch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a lower surface adjacent to the other two through holes of the main body And a contact portion having a contact protrusion formed at a point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a side end portion adjacent to the other two through holes of the upper plate, And a supporting portion having a protrusion is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end thereof.

바람직하게, 상기 제 1고정부재의 상판 하면에는, 상기 메인스위치의 각 접점을 격리시키는 "+" 형상을 갖는 격벽의 세로방향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 끼워지도록 그 평면이 "┏┓" 형상 및 "┗┛" 형상을 갖도록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부 및, 상기 격벽의 가로방향 상단에 끼워지도록 그 평면이 "〓"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보조끼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member has a flat surface of "┏┓" shape and a surface of "┗┛" so as to be fitted in a longitudinally upper edge portion of the partition having a "+" And a pair of auxiliary fittings having a "〓" -shaped shape so as to fit at the upper 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 are integrally form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는, 2극 스위치 멀티탭에서 각 분기스위치의 접점 측에는 부도체인 제 2고정부재가 장착되어 입출력단자 및 플러그핀 삽입단자를 해당 지점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 2고정부재는,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 또는 타원통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 하면은 그 측단면이 "

Figure 112014026186350-pat00001
"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져 일정 간격으로 4개의 관통홀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분기스위치에 배열 형성된 4개의 접점이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관통홀의 전후면을 통해 입출력단자 및 플러그핀 삽입단자가 관통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전면 양측에는 상기 분기스위치의 외면에 밀착되어 몸체가 지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지지부가 하단에 걸턱이 구비된 상태로 연장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fixture of a multi-t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 bipolar switch tap, a second fixing member, which is non-conductive, is mounted on the contact side of each branch switch to fix the input / output terminal and the plug pin insertion terminal to the corresponding point, The second fixing member is formed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r a cylindrical body whose upper surface is opened,
Figure 112014026186350-pat00001
So that the four contact points formed in the branch switch are passed through and the input / output terminal and the plug pin insertion terminal are passed throug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through hole. And a pair of support parts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ranch switch to support the body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so as to extend in a state of being provided with a jig at the lower end.

바람직하게, 상기 각각의 관통홀 양측에는 대응되는 접점 및 입출력단자와 플러그핀 삽입단자의 관통 결합 시 가이드 역할을 행함과 아울러, 각 접점에 결합되는 단자를 견고하게 고정 지지하도록 자체 탄성력을 갖는 가압부가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상측을 향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each of the through holes is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ion having a self-elastic force so as to guide the corresponding contact, the input / output terminal, and the plug pin insertion terminal to each other, And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tegrally toward the image side so as to have a constant inclination.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2극 스위치 멀티탭에서 메인스위치의 입출력선 및 입출력단자가 연결되는 접점 측과, 각 분기스위치 측의 입출력단자 및 플러그핀 삽입단자가 연결되는 접점 측에 특정 구조의 고정부재를 각각 결합시켜 해당 단자가 접점에 고정되도록 하므로서, 별도의 납땜 작업 및 일체형 개별스위치 등의 사용 없이도 견고하게 단자를 각 접점에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멀티탭 제조 시의 작업시간 단축 및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가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two-pole switch tap, the contact side to which the input / output line and the input / output terminal of the main switch are connected and the contact side to which the input / output terminal and the plug pin insertion terminal on each branch switch side are connected The fixing terminals are fixed to the contacts so that the terminals can be firmly fixed to the respective terminals without using a separate soldering operation or an integral type of individual switch.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working time and reduce the cost.

또한, 멀티탭의 메인스위치 및 분기스위치의 접점에 각각 특정 구조를 갖는 제 1고정부재 및 제 2고정부재를 매개로 단자를 고정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갖는 멀티탭에 동일한 단자고정구를 범용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terminals can be fixedly connected to the contacts of the main switch and the branch switch of the multi-tap via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having the specific structure, It is possible to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o other applica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가 장착된 멀티탭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가 장착되는 멀티탭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가 멀티탭의 메인스위치 및 분기스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가 멀티탭의 메인스위치 및 분기스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에 적용되는 제 1고정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에 적용되는 제 1고정부재의 평면도와 저면도 및 정면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에 적용되는 제 2고정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에 적용되는 제 2고정부재의 평면도와 저면도 및 정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ulti-tap in which a terminal fixture of a multi-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ulti-tap to which a terminal fixture of a multi-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terminal fixture of a multi-t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main switch and a branch switch of a multi-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erminal fixture of a multi-t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main switch and a branch switch of a multi-
FIG.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fixing member applied to a terminal fixture of a multi-
FIGS. 6A to 6C are a plan view, a bottom view, and a front view, respectively, of a first fixing member applied to a terminal fastener of a multi-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 fixing member applied to a terminal fixture of a multi-
8A to 8C are a plan view, a bottom view, and a front view of a second fixing member applied to a terminal fastener of a multi-t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가 장착된 멀티탭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가 장착되는 멀티탭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가 멀티탭의 메인스위치 및 분기스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가 멀티탭의 메인스위치 및 분기스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에 적용되는 제 1고정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에 적용되는 제 1고정부재의 평면도와 저면도 및 정면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에 적용되는 제 2고정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에 적용되는 제 2고정부재의 평면도와 저면도 및 정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ulti-tap having a terminal fastener of a multi-t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ulti-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erminal fixture of a multi-t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main switch and a branch switch of a multi-tap, Fig. 4 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fixing member applied to a terminal fixture of a multi-t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6A to 6C are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a first fixing member applied to a terminal fastener of a multi- Fig.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cond fixing member applied to a terminal fastener of a multi-t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And 8c are a plan view, a bottom view, and a front view, respectively, of the second fixing member applied to the terminal fastener of the multi-t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멀티탭에서 메인스위치(200) 측의 입출력선 및 입출력단자가 연결되는 접점(210)과, 각 분기스위치(300) 측의 입출력단자 및 플러그핀 삽입단자가 연결되는 접점(310)에 특정 구조의 고정부재(10,30)를 각각 결합시킴에 따라, 해당 단자를 별도의 일체형 개별스위치 및 납땜 작업 없이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First, a terminal fixture of a multi-t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ct 210 to which an input / output line and an input / output terminal of a main switch 200 side are connected, a contact 210 to which an input / output terminal of a branch switch 300, The fixing members 10 and 30 having a specific structure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contact 310 to which the pin insertion terminal is connected so that the corresponding terminal can be firmly fixed without a separate integrated switch and soldering work.

이에, 상기 2극 스위치 멀티탭(100)에서 메인스위치(200) 및 각 분기스위치(300)의 접점(210,310)에 연결되는 다수의 단자(220,230,320)에 제 1고정부재(10) 또는 제 2고정부재(30)를 장착하여 상호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first fixing member 10 or the second fixing member 30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220, 230 and 320 connected to the contacts 210 and 310 of the main switch 200 and the branching switches 300 in the bipolar switch multi- (30) are mounted and fixed firmly to each other.

즉,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가 적용되는 2극 스위치 멀티탭에는 상기 메인스위치(200)의 접점(210) 측에 제 1고정부재(10)가 장착됨과 아울러, 다수 개의 분기스위치(300) 접점(310) 측에 각각 제 2고정부재(30)가 장착되도록 이루어진다.That is, the first fixing member 10 is mounted on the contact 210 side of the main switch 200 and the plurality of branch switches 300 are connected to the two-pole switch tap, to which the terminal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30 is mounted on the contact 310 side.

주지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콘센트에서 다수 개의 전기기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멀티탭(100)은 한 개의 콘센트에 연결되는 전원을 공급받는 몸체에 다수 개의 콘센트가 분기되어 구성된다.As is well known, a multi-tap 100 configured to be able to use a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at the same time from one outlet is configured by a plurality of outlets branched from a body to which power is supplied, which is connected to one outlet.

이를 위해, 상기 멀티탭(100)은 내부에 소정 공간부를 갖는 직육면체 또는 그와 유사한 형상의 멀티탭 몸체가 구비되고, 그 일측에는 한 쌍의 입출력선(112) 및 접지선(114)을 포함한 전원케이블(110)이 연결된다.The power supply cable 110 includes a pair of input / output lines 112 and a ground line 114 at one side thereof. The power supply cable 11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able 110 ).

또, 상기 멀티탭(100)에는 상기 전원케이블(11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다수 개의 전기기구 측에 나누어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콘센트가 배열되어 구성된다.A plurality of outlets are arranged in the multi-tap 100 so that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cable 110 can be divided and supplied to a plurality of electrical apparatuses.

여기에서, 상기 전원케이블(110)의 연결지점에는 멀티탭(100)으로 공급되는 전체 전원을 온.오프 시키기 위한 메인스위치(200)가 구비됨과 아울러, 다수 개의 콘센트 각각에는 해당 콘센트의 전원만을 온.오프 시키기 위한 분기스위치(30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Here, the main switch 200 for turning on / off the entire power supplied to the multi-tap 100 is provided at a connection point of the power cable 110, and each power outlet of the plurality of outlets is turned on only. And a branching switch 300 for turning off the switch.

이때, 상기 메인스위치(200) 측에는 대략 "+" 형상을 갖는 격벽(240)을 중심으로 4개의 접점(210)이 형성된 상태에서, 한 쌍의 접점에는 연결단자(230)를 매개로 입력선 및 출력선(112)이 각각 연결됨과 아울러, 다른 한 쌍의 접점에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220)가 각각 연결되어 구성된다.At this time, in the main switch 200 side, four contact points 210 are formed around the partition 240 having a substantially "+" shape, and the pair of contacts are connected to the input line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230, Output lines 112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and an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220 are connected to the other pair of contacts, respectively.

또한, 각각의 분기스위치(300) 측에는 4개의 접점(310)이 나란히 배열되어 형성된 상태에서 한 쌍의 접점에는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220)가 각각 연결됨과 아울러, 다른 한 쌍의 접점에는 해당 플러그와 연결된 한 쌍의 플러그핀 삽입단자(320)가 연결되어 구성된다.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22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air of contacts in a state in which four contact points 310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branch switch 300 side, And a pair of plug pin insertion terminals 320 connected to the plug are connected.

이때, 상기 메인스위치(200) 및 분기스위치(300)에 구비되는 각 접점(210,310)은 대략 바(bar) 형상의 전도체가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며, 상기 연결단자(230)와 입출력단자(220) 및 플러그핀 삽입단자(320) 측에는 각 접점에 끼워져 연결될 수 있도록 접점끼움홀(220a,230a)이 형성되어 구성된다.At this time, a substantially bar-shaped conductor is vertically erected and fixed to each of the contacts 210 and 310 of the main switch 200 and the branch switch 300. The connection terminal 230 and the input / And the plug pin insertion terminal 320 are formed with contact fitting holes 220a and 230a so as to be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respective contact points.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메인스위치(200) 및 분기스위치(300)의 해당 접점(210,310)에 해당 단자의 접점끼움홀(220a,230a)이 끼워진 상태에서, 특정 구조를 갖는 제 1고정부재(10) 또는 제 2고정부재(30)가 장착되므로서, 상기 접점끼움홀을 매개로 접점에 결합된 상술한 단자들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in a state where contact-fitting holes 220a and 230a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s are fitted into corresponding contacts 210 and 310 of the main switch 200 and the branch switch 300, Since the member 10 or the second fixing member 30 is moun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bove-described terminals coupled to the contact via the contact-insertion holes from being separated.

먼저, 상기 제 1고정부재(10)는 자체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부도체로 구성되어, 상기 전원케이블의 입출력선(112)이 연결된 연결단자(230) 및 메인스위치(200)와 분기스위치(300)를 연결하는 입출력단자(220)를 메인스위치(200)의 접점(21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The first fixing member 10 is compos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plastic or rubber having a self-elasticity. The first fixing member 10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230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line 112 of the power cable, Output terminal 220 connecting the branch switch 300 and the branch switch 300 to the contact 210 of the main switch 200.

상기 제 1고정부재(10)는 대략 직사각판 형상을 갖는 상판(12)이 구비되며, 상기 상판(12)에는 상기 메인스위치(200)에 형성된 4개의 접점(210) 상단과 대응되는 지점에 각각 사각형상의 관통홀(14)이 천공되어 4개의 관통홀(14)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The first fixing member 10 is provided with an upper plate 12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nd the upper plate 1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tact points 210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s of the four contact points 210 formed on the main switch 200 And a rectangular through-hole 14 is formed to have four through-holes 14.

그리고, 상기 상판(12)의 일측 두 개의 관통홀(14)과 인접한 지점의 하면에서 하측을 향해서는 결합부(16)가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결합부(16)는 상기 메인스위치(200)에 형성된 일측 두 개의 접점(210) 양면에 각각 한 쌍씩 밀착되도록 두 쌍이 대응되게 배열 형성되어 구성되며, 한 쌍을 이루는 각 결합부(16)에서 일측 부재의 하단에는 가압돌기(18)가 형성됨과 아울러 타측 부재에는 상기 가압돌기(18)와 엇갈이는 높이에 가압돌부(19)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다.      A coupling portion 16 extending downward from a lower surface of a point adjacent to one of the two through holes 14 of the upper plate 12 is integrally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ntegrally with the coupling portion 16, The main switch 200 is provided with two pairs of contacts 210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n both sides of one of the two contact points 210 formed on the main switch 200. In the pair of connecting parts 16, And a pressing protrusion 19 protrudes from the other member at a height staggered with the pressing protrusion 18.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장착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16)의 가압돌기(18) 및 가압돌부(19)는 상기 접점(210) 및 해당 단자 측에 결합부(16)가 견고하게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 작용을 행하게 된다.      The pressing projections 18 and the pressing protrusions 19 of the engaging portion 16 are firmly fixed to the contact point 210 and the terminal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16 in the mounting state of the first fixing member 10 So that an action of tightly coupling is performed.

또한, 상기 상판(12)의 타측 두 개의 관통홀(14)과 인접한 지점의 하면에서 하측을 향해서는 한 개씩의 밀착부(24)가 수직방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밀착부(24)의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는 밀착돌기(26)가 형성된 상태에서 메인스위치(200)에 형성된 타측 두 개의 접점(210) 일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The top plate 12 is formed integrally with one end of the top plate 12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as to extend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12 adjacent to the other two through holes 14, The contact protrusions 26 are formed on the one side of the two contact points 210 formed on the main switch 200 in a state where the contact protrusions 26 are formed.

또, 상기 상판(12)의 타측 두 개의 관통홀(14)과 인접한 측단부로부터 하측을 향해서는 그 하단에 걸턱(29)이 형성된 한 개의 지지부(28)가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부(28)는 상기 메인 스위치(200)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 1고정부재(10)이 유동이 방지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A support portion 28 having a protrusion 29 formed at a lower end thereof from the side end adjacent to the other two through holes 14 of the upper plate 12 is vertically extended, The support portion 28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switch 200 to support the first fixing member 10 so that the first fixing member 10 is prevented from flowing.

그리고,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상판(12) 하면에는 그 몸체를 상기 메인스위치(200)의 접점(210) 측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끼움부(20) 및 보조끼움부(22)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A pair of fitting portions 20 and an auxiliary fitting portion 20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12 of the first fixing member 10 so that the body can be firmly fixed to the contact 210 side of the main switch 200. [ (22) are integrally formed.

즉, 상기 메인스위치(200)의 접점(210) 측에는 각 접점(210)을 분리시키기 위한 "+" 형상의 격벽(240)이 구비되는데, 상기 한 쌍의 끼움부(20)는 상기 격벽(240)의 세로방향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 끼워지도록 그 평면이 대략 "┏┓" 형상 및 "┗┛" 형상을 갖도록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보조끼움부(22)는 상기 격벽(240)의 가로방향 상단에 끼워지도록 그 평면이 대략 "〓" 형상을 갖도록 한 쌍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다.      That is, the main switch 200 is provided at the contact 210 side with a " + "shape partition wall 240 for separating the contact points 210, , And the pair of auxiliary fitting portions 22 are formed so as to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 240 Shaped so as to have a substantially "〓" -shaped planar shape so as to be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vehicle.

참조부호 27은 상기 지지부(28)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판(12)의 하면 모서리 부분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 돌출부를 나타낸다.      Reference numeral 27 denotes protrusions extending downward from lower edge portions of the upper plate 12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28. [

한편, 상기 제 2고정부재(30)는 자체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부도체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스위치(200)와 분기스위치(300)를 연결하는 입출력단자(220) 및 해당 콘센트의 플러그핀 삽입단자(320)를 해당 분기스위치(300)의 접점(31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The second fixing member 30 is form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plastic or rubber having elasticity and has an input / output terminal 220 connecting the main switch 200 and the branching switch 300, And the plug pin insertion terminal 320 of the socket-outlet is fixed to the contact 310 of the branch switch 300.

상기 제 2고정부재(30)는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 또는 타원통 형상의 몸체(32)를 갖으며, 상기 몸체(32)의 하면은 측단면의 형상이 대략 "

Figure 112014026186350-pat00002
"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 상태에서, 일정 간격으로 4개의 관통홀(33)이 절개된 형태를 갖도록 천공되어, 상기 분기스위치(300)에 배열 형성된 4개의 접점(310)이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관통홀(33)의 전후면을 통해서는 입출력단자(220) 및 플러그핀 삽입단자(320)가 관통되도록 구성된다.The second fixing member 30 has a body 32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ed upper face,
Figure 112014026186350-pat00002
Four through holes 33 are cut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have an incision shape so that four contacts 310 arranged in the branch switch 300 are penetrated and the through holes 33 are formed in the through- Output terminal 220 and the plug pin inserting terminal 320 are passed throug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input / output terminal 33.

그리고, 상기 각 관통홀(33) 양측에는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상측을 향해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36)가 구비되는데, 상기 가압부(36)는 대응되는 접점(310) 및 입출력단자(220)와 플러그핀 삽입단자(320)의 관통 결합 시 가이드 역할을 행함과 아울러, 각 접점(310)에 결합되는 단자들에 외력을 인가하여 해당 접점 및 단자를 상호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The pressing portion 36 is integrally formed on both sides of each of the through holes 33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oward the upper side. The pressing portion 36 includes a corresponding contact 310 and an input / output terminal 220 And the plug pin insertion terminal 320. In additio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terminals coupled to the respective contact points 310 to securely fix the contacts and the terminals to each other .

또, 상기 제 2고정부재(30)의 몸체(32) 전면 양측에는 장착 시 해당 분기스위치의 외면에 밀착되어 몸체(32)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지지부(40)가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메인스위치(200)와 연결된 입출력단자(220)와 해당 분기스위치(300) 외면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그 하단에 형성된 걸턱(42)이 상기 분기스위치(300)의 외면 일정 지점에 단속되도록 구성된다.
A pair of supporting portions 4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32 of the second fixing member 3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branch switch at the time of installation so as to support the body 32, The support portion 40 is disposed between the input / output terminal 220 connected to the main switch 2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ranch switch 300, and the jaw 42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branch switch 300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단자고정구를 매개로 멀티탭(100) 내부의 각 단자(220,230,320)들을 메인스위치(200) 및 각 분기스위치(300)의 접점(210,3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메인스위치(200)에 수직으로 배열 형성된 접점(210) 중 일측 한 쌍의 접점에 입력선 및 출력선(112)이 단부 측에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연결단자(230)를 각각 끼워 결합시킴과 아울러, 타측 한 쌍의 접점에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220)를 각각 끼워 결합시켜 다수 개의 분기스위치(300) 측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위치하면서 각 분기스위치(300)의 해당 접점(310)에 한 개씩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220)가 끼워져 연결되도록 한다.      In order to firmly fix the terminals 220, 230 and 320 inside the multi-tap 100 to the contacts 210 and 310 of the main switch 200 and each branch switch 300 through the terminal fastener of the multi-t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connection terminals 230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input line and the output line 112 are connected to a pair of contacts of one of the contacts 210 vertically arranged on the main switch 200 having the main switch 200, And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22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ontacts of the other pair and are positioned on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plurality of the branch switches 300 and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contacts 310 of the branch switches 300 One input terminal and one output terminal 220 are inserted and connected.

또, 멀티탭(100)의 각 콘센트와 연결되는 한 쌍의 플러그핀 삽입단자(320)는 각각 해당 분기스위치(300)의 한 쌍의 접점(310)에 끼워져 연결되도록 한다.      A pair of plug pin insertion terminals 320 connected to the respective outlets of the multi-tap 100 are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a pair of contacts 310 of the corresponding branch switch 300.

그 후, 상기 메인스위치(200)의 접점(210)에 끼워진 연결단자(230) 및 입출력단자(220) 측에는 제 1고정부재(10)를 상측에서 장착하는 한편, 각 분기스위치(300)의 접점(310)에 끼워진 입출력단자(220) 및 플러그핀 삽입단자(320) 측에는 제 2고정부재(30)를 상측에서 장착하여 해당 단자가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fixing member 10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connection terminal 230 and the input / output terminal 220 that are fitted to the contact 210 of the main switch 200 from the upper side, The second fixing member 30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input / output terminal 220 and the plug pin insertion terminal 320 which are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or 310 so that the terminal can be firmly fixed.

즉, 상기 제 1고정부재(10)를 상측에서 장착함에 따라, 상판(12) 하면 양측에 구비된 끼움부(20) 및 보조끼움부(22)가 상기 메인스위치(200)에 구비된 대략 "+" 형상을 갖는 격벽(240)의 상단부분에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28)는 상기 메인 스위치(200)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게 된다.      That is, as the first fixing member 10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the fitting portion 20 and the auxiliary fitting portion 2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12 are formed into a substantially " The first fixing member 10 is prevented from flowing while the support portion 28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switch 200 .

상기 메인스위치(200)에 구비되는 4개의 접점(210)은 상기 제 1고정부재(10)의 상판(12)에 천공된 4개의 관통홀(14)을 관통하여 위치하되, 일측 2개의 접점은 해당 관통홀에 하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한 쌍의 결합부(16) 사이에 고정되며, 타측 2개의 접접은 해당 관통홀 하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밀착부(24)에 밀착 고정되게 된다.      The four contacts 210 provided in the main switch 200 are located through the four through holes 14 formed in the upper plate 12 of the first fixing member 10, Is fixed between a pair of engaging portions (16) integrally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through hole, and the other two engaging portions are tightly fixed to the tightly fitting portion (24) integrally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through hole.

이때,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각 결합부(16)에는 일측 부재 및 타측 부재에 각각 가압돌기(18) 및 가압돌부(19)가 엇갈리게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압돌기(18) 및 가압돌부(19)를 통해 해당 단자가 접점(210)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된다.      Since the pressing protrusions 18 and the pressing protrusions 19 are staggeredly formed on the one and the other members of the pair of coupling portions 16, the pressing protrusions 18 and the pressing protrusions 19, So that the terminal can be firmly attached to the contact 210.

한편, 상기 제 2고정부재(30)를 각 분기스위치(300)의 상측에서 장착함에 따라, 상기 분기스위치(300)에 배열된 4개의 접점(310)은 상기 제 2고정부재(30)의 몸체(32) 상면에 천공된 관통홀(33) 측에 각각 대응되게 위치하게 되며, 상기 메인스위치(200)와 연결되는 한 개의 입출력단자(220) 및 해당 플러그 측과 연결된 한 쌍의 플러그핀 삽입단자(320)는 해당 관통홀(33)의 전면부분을 관통하여 위치하게 되며, 상기 메인스위치(200)로부터의 입출력단자(220)는 해당 관통홀(33)의 후면부분을 관통하여 위치하게 된다.      The four contact points 310 arranged on the branch switch 300 are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second fixing member 30 so that the contact points 310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mbers 30, Output terminals 220 connected to the main switch 200 and a pair of plug pin inserting terminals 220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plug sides,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s 220 from the main switch 200 are positioned through the rear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through hole 33. In this case,

또한, 상기 각 관통홀(33)의 양측에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상측을 향해 일체로 돌출 형성된 가압부(36)는 해당 관통홀(33)을 관통하는 접점(310)과 입출력단자(220) 또는 접점(310)과 플러그핀 삽입단자(320)의 결합 시 가이드 작용을 행함과 동시에 접점과 단자의 결합상태에서 자체 탄성력을 통한 외력을 인가하여 상호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The pushing portion 36 integrally protruding upward toward both sides of each of the through holes 33 has a contact 310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33 and a contact 310 connecting the input / The guide pin 310 and the plug pin insertion terminal 32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an external force through self-elastic force is applied in a state where the contact and the terminal are engaged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제 2고정부재(30)의 몸체(32) 전면 양측에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40)는 상기 메인스위치(200)와 연결된 한 개의 입출력단자(220)와 해당 분기스위치(300)의 외면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그 하단에 형성된 걸턱(32)이 상기 분기스위치(300) 외면의 일정 지점에 단속되면서, 제 2고정부재(30)의 임의적인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A pair of support portions 40 formed downwar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32 of the second fixing member 30 are connected to one input / output terminal 220 connected to the main switch 200, The jaw 32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ranching switch 300 is interrupted at a certain poin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ranch switch 300 to prevent any flow and deviation of the second fixing member 30 .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제 1고정부재, 12: 상판,
14: 관통홀, 16: 결합부,
18: 가압돌기, 19: 가압돌부,
20: 끼움부, 22: 보조끼움부,
24: 밀착부, 26: 밀착돌기,
28: 지지부, 29: 걸턱,
30: 제 2고정부재, 32: 몸체,
33: 관통홀, 36: 가압부,
40: 지지부, 100: 멀티탭,
110: 전원케이블, 112: 입출력선(입력선 및 출력선),
114: 접지선, 200: 메인스위치,
210: 접점, 220: 입출력단자(입력단자 및 출력단자),
220a,230a: 접점끼움홀, 230: 연결단자,
240: 격벽, 300: 분기스위치,
310: 접점, 320: 플러그핀 삽입단자.
10: first fixing member, 12: upper plate,
14: through hole, 16: engaging portion,
18: pressing projection, 19: pressing projection,
20: fitting portion, 22: auxiliary fitting portion,
24: tight contact portion, 26: close contact projection,
28: support, 29: jaw,
30: second fixing member, 32: body,
33: through hole, 36: pressing portion,
40: support portion, 100: multi-tab,
110: power cable, 112: input / output line (input line and output line)
114: ground wire, 200: main switch,
210: contact point, 220: input / output terminal (input terminal and output terminal)
220a, 230a: contact fitting hole, 230: connection terminal,
240: partition wall, 300: branching switch,
310: contact point, 320: plug pin insertion terminal.

Claims (4)

2극 스위치 멀티탭에서 메인스위치의 접점 측에는 부도체인 제 1고정부재가 장착되어 입출력선 및 입출력단자를 해당 지점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 1고정부재는,
직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스위치에 형성된 4개의 접점 상단과 대응되는 지점에 각각 사각형상의 관통홀이 천공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일측 2개의 관통홀과 인접한 지점 하면에서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메인스위치에 형성된 일측 2개의 접점 양면에 각각 한 쌍씩 밀착되도록 2쌍이 대응되게 배열 형성되며 한 쌍 중 일측 하단에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상판의 타측 2개의 관통홀과 인접한 지점 하면에서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메인스위치에 형성된 타측 2개의 접점 일면에 밀착되며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는 밀착돌기가 형성된 밀착부와,
상기 상판의 타측 2개의 관통홀과 인접한 측단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메인스위치의 외면에 밀착되며 그 하단에는 걸턱이 구비되어 상기 제 1고정부재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판의 하면 모서리 부분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 1고정부재의 상판 하면에는,
상기 메인스위치의 각 접점을 격리시키는 "+" 형상을 갖는 격벽의 세로방향 상단 가장자리 부분에 끼워지도록 그 평면이 "┏┓" 형상 및 "┗┛" 형상을 갖도록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부 및, 상기 격벽의 가로방향 상단에 끼워지도록 그 평면이 "〓"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보조끼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의 단자고정구.
In a bipolar switch multi-tap, a first fixing member, which is a nonconductor, is mounted on the contact side of the main switch to fix the input / output line and the input / output terminal to the corresponding point,
Wherein the first fixing member comprises:
An upper plat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having square through hol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s of four contacts formed on the main switch;
Two pairs of contacts are arrang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n both sides of one of the two contacts formed on the main switch, and one pair of the contacts are arranged in a corresponding one of the lower ends of the pair, An engaging portion formed with a pressing projection,
A tight contact portion formed in the main switch so as to be vertically extended from a bottom surface adjacent to the other two through holes of the upper plate and closely contacting one surface of the other two contacts formed on the main switch,
A supporting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a side end portion adjacent to the other two through holes of the upper plate to closely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switch and having a jig at a lower end thereof to prevent the first fixing member from flowing; ,
And protrusions extending downward from lower edge portions of the upper plat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first fixing member,
A pair of vertically elongated fittings each having a "┓" shape and a "┛" shape so as to fit into a longitudinally upper end edge portion of a partition having a "+" shape for isolating each contact of the main switch And a pair of auxiliary fittings having a shape of "〓" in plan view is formed integrally so as to be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in the widthwise direction.
삭제delete 2극 스위치 멀티탭에서 각 분기스위치의 접점 측에는 부도체인 제 2고정부재가 장착되어 입출력단자 및 플러그핀 삽입단자를 해당 지점에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제 2고정부재는,
상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 또는 타원통 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 하면은 그 측단면이 "
Figure 112015082028516-pat00003
"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져 일정 간격으로 4개의 관통홀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분기스위치에 배열 형성된 4개의 접점이 관통됨과 아울러 상기 관통홀의 전후면을 통해 입출력단자 및 플러그핀 삽입단자가 관통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전면 양측에는 상기 분기스위치의 외면에 밀착되어 몸체가 지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지지부가 하단에 걸턱이 구비된 상태로 연장 형성되어, 메인스위치와 연결된 입출력단자와 해당 분기스위치 외면 사이에 위치하면서 상기 걸턱이 상기 분기스위치의 외면 일정 지점에 단속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관통홀 양측에는 대응되는 접점 및 입출력단자와 플러그핀 삽입단자의 관통 결합 시 가이드 역할을 행함과 아울러, 각 접점에 결합되는 단자를 견고하게 고정 지지하도록 자체 탄성력을 갖는 가압부가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상측을 향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의 단자고정구.
In the bipolar switch tap, a second fixing member, which is an insulator, is mounted on the contact side of each branch switch to fix the input / output terminal and the plug pin insertion terminal to the corresponding point,
Wherein the second fixing member comprises:
A body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surface,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is "
Figure 112015082028516-pat00003
So that the four contact points formed in the branch switch are passed through and the input / output terminal and the plug pin insertion terminal are inserted throug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through hole. Lt; / RTI &
A pair of support portions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branch switch and are supported by the body, the pair of support portions being extended at a lower end with a jaw provided therebetween, the I / O terminal connected to the main switch, The jig is interrupted at a certain poin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ranch switch,
And a pressing portion having a self-elastic force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slope so as to firmly support the terminals coupled to the respective contact points, And the terminal fastener of the multi-tap is integrally formed so as to protrude upward.
삭제delete
KR1020140031956A 2014-03-19 2014-03-19 Terminal fixing device of multitap KR1015851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956A KR101585111B1 (en) 2014-03-19 2014-03-19 Terminal fixing device of multitap
PCT/KR2015/002631 WO2015142056A1 (en) 2014-03-19 2015-03-18 Power strip terminal re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956A KR101585111B1 (en) 2014-03-19 2014-03-19 Terminal fixing device of multita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033A KR20150109033A (en) 2015-10-01
KR101585111B1 true KR101585111B1 (en) 2016-01-13

Family

ID=54144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956A KR101585111B1 (en) 2014-03-19 2014-03-19 Terminal fixing device of multitap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85111B1 (en)
WO (1) WO2015142056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166A (en) 2017-11-02 2019-05-10 최인철 Multi tap having a substrate mounted a metal terminal for switch and plu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6625B1 (en) * 2020-09-08 2022-10-18 David Stansbury Repair electrical plug adapt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431B1 (en) 2012-01-27 2012-07-12 곽창용 Terminal fixing device of multitap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1088A (en) * 2002-06-25 2004-01-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Plug connector for wiring
JP4238763B2 (en) * 2004-03-30 2009-03-18 住友電装株式会社 Electrical junction box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431B1 (en) 2012-01-27 2012-07-12 곽창용 Terminal fixing device of multita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166A (en) 2017-11-02 2019-05-10 최인철 Multi tap having a substrate mounted a metal terminal for switch and pl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42056A1 (en) 2015-09-24
KR20150109033A (en)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667B1 (en) socket apparatus with earthing plug
US10965042B2 (en) Electrical wiring devices with screwless connection terminals
US2890436A (en) One-piece screwless wire terminal and contact for duplex electric receptacles
US3998517A (en) Multiple outlet electrical connector
KR101881107B1 (en) socket apparatus with earthing plug
KR101585111B1 (en) Terminal fixing device of multitap
KR100965367B1 (en) The power connector
US7329131B1 (en) Electrical track and connector assembly
US9385486B2 (en) Socket module, electrosurgical device, and set with a socket module
KR101164431B1 (en) Terminal fixing device of multitap
CN106500064B (en) Electric connector and LED lighting device
JP5354573B2 (en) Electrical cross connector
EP2272133B1 (en) Terminal board for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in particular for the connection of rigid cables
US20040050573A1 (en) Receptacle pre-mold assembly with integral breaker
US9819106B2 (en) Male strip connector
US3036285A (en) Wiring device
US20020102875A1 (en) Fret assembly
US10847921B2 (en) Test plug for a FT switch
KR101803796B1 (en) a cable connecter
KR101973090B1 (en) Multi-stage prefabricated outlet
KR101931260B1 (en) A multi receptacle
KR20170002802A (en) Wire connector free from wire stripping
KR20100100102A (en) A power socket
KR101428511B1 (en) Electrical plug with easy confirmation of connectionwith concent
CN209823029U (en) Improve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