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684B1 - Aerodynamic drag reduction device for under part of vehicle - Google Patents

Aerodynamic drag reduction device for under part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684B1
KR101584684B1 KR1020140052933A KR20140052933A KR101584684B1 KR 101584684 B1 KR101584684 B1 KR 101584684B1 KR 1020140052933 A KR1020140052933 A KR 1020140052933A KR 20140052933 A KR20140052933 A KR 20140052933A KR 101584684 B1 KR101584684 B1 KR 101584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ins
pin
lower pins
lowe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9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25878A (en
Inventor
김규홍
김태경
정성민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52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684B1/en
Publication of KR20150125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8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6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하부에서의 주행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는 차량 하부용 공력저항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차량 하부용 공력저항 저감 장치는, 차량 하부에 적용되는 차량 하부용 공력저항 저감 장치로, 상기 차량 하부의 저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핀을 포함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erodrome resistance reducing apparatus for a vehicle lowering a running resistance at a lower portion of a vehicle. To this end, the vehicle lower aerodynamic resistance redu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lower portion of a vehicle, and includes at least one lower pin protru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Description

차량 하부용 공력저항 저감 장치{Aerodynamic drag reduction device for under part of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erodynamic drag reduction device,

본 발명은 주행저항 저감을 위한 차량 하부용 공력저항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erodrome resistance reducing device for a vehicle lowering device for reducing running resistance.

일반적으로, 차량의 공력저항 저감 장치는 차량의 주행저항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차량의 바디 형상을 변경하거나 차량에 별도의 부재를 부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n aerodynamic resistance reduction device for a vehicle is configured by reducing the running resistance of the vehicle, changing the body shape of the vehicle, or adding a separate member to the vehicle.

최근의 저탄소 녹색성장의 패러다임 변화와 EU 및 북미 등의 각국의 CO2 규제로 인해 차량의 주행저항 저감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대되고 있고, 이는 또한 차량 산업에서 새로운 기술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내뿐 아니라 각국이 요구하는 CO2 배출량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연비 개선 기술로 주행저항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공력저항 저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Recent changes in the paradigm of low-carbon green growth and CO 2 regulations in the EU and North America have led to a growing interest in vehicle driving resistance, which is also a new technology barrier in the automotive industry. In order to satisfy the CO 2 emissions demanded by not only domestic but also other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reduction of aerodynamic resistance which occupies a large part in running resistance by fuel efficiency improvement technology.

특히, 차량의 주행저항 저감을 위해 차량의 하부에 대한 공력특성을 고려하고 있는 실정이다.Particularly, in order to reduce the running resistance of the vehicl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are considered.

하지만, 통상의 차량의 하부는 엔진룸에서 하부로 흐르는 비대칭적인 유동 등에 의해 일직선상으로 후방으로 흐르지 않고 측면으로 유동이 빠져나가거나 차량의 바퀴에 부딪히거나 하면서 유동패턴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유동은 차량의 주행저항을 높아지게 함으로써 연비개선을 방해한다.However, the lower portion of a normal vehicle does not flow backward in a straight line due to an asymmetrical flow flowing from the engine room to the lower portion,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low pattern is complicated while the flow escapes to the side or hits the wheel of the vehicle. Such a flow hinders the fuel economy improvement by increasing the running resistance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하부에서의 주행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는 차량 하부용 공력저항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erodrome resistance lowering device for a vehicle lowering a running resistance at a lower portion of a vehic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하부용 공력저항 저감 장치는, 차량 하부에 적용되는 차량 하부용 공력저항 저감 장치로, 상기 차량 하부의 저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핀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reducing an aerodynamic drag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And a lower pin.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핀은 상기 차량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lower pin may be elongated in a direction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vehicle.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핀은 제1 및 제2 하부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하부핀은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갈수록 그 사이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lower pin includes first and second lower pins, and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may be disposed in such a shape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상기 제1 및 제2 하부핀은 상기 차량의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하부핀의 후단 측의 사이 간격은 상기 뒷바퀴의 사이 간격보다 좁게 설계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of the vehicle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rea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may be designed to be narrow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rear wheels.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핀은 제3 및 제4 하부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하부핀은 상기 제1 및 제2 하부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lower pin may further include third and fourth lower pins, and the third and fourth lower pins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상기 제3 및 제4 하부핀은 상기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And the third and fourth lower pins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상기 제3 및 제4 하부핀은 상기 앞바퀴와 상기 차량의 후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nd the third and fourth lower pins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end of the vehicle.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핀은 제5 및 제6 하부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및 제6 하부핀은 상기 제3 및 제4 하부핀을 그 사이에 두고 상기 뒷바퀴와 상기 차량의 후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Wherein the at least one lower pin further comprises fifth and sixth lower pins and the fifth and sixth lower pins are disposed between the rear wheel and the rear end of the vehicle with the third and fourth lower pins therebetween, .

상기 제5 및 제6 하부핀은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갈수록 그 사이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And the fifth and sixth lower pins may be disposed in such a shape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fifth and sixth lower pins decreases gradually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하부용 공력저항 저감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for reducing aerodynamic resistan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하부에 하부핀을 제공하므로, 차량 하부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의 패턴이 이 하부핀을 통해 단순해져 차량의 주행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wer pin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a pattern of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can be simplified through the lower pin, so that the running resistance of the vehicle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 하부핀이 차량의 후방으로 갈수록 그 사이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차량의 뒤쪽의 양 사이드에 놓인 뒷바퀴로 향하는 공기의 유동을 줄여 차량의 주행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 하부핀은 차량의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하부핀의 후단 측의 사이 간격은 뒷바퀴의 사이 간격 보다 좁게 설계되므로, 제1 및 제2 하부핀을 통해 뒷바퀴로 향하는 공기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lower pin and the second lower pin are disposed in such a shape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gradually becomes narrower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The running resistance of the vehicle can be reduced. In particular, since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are disposed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of the vehicle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rea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is designed to be narrow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rear wheels, Thereby minimizing air flow to the rear wheel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3 및 제4 하부핀은 제1 및 제2 하부핀 사이에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제1 및 제2 하부핀 사이의 공기 유동을 거의 똑바로 안내하여 그 패턴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hird and fourth lower pins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The air flow between them can be guided almost straight and the pattern can be further simplifi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5 및 제6 하부핀이 뒷바퀴와 차량의 후단 사이에 배치되되 차량의 후방으로 갈수록 그 사이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공기의 유동이 차량의 후단에서 퍼지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차량의 주행저항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fth and sixth lower pins are disposed between the rear wheel and the rear end of the vehicle, and are arranged in such a shape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rear wheels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w of air from spreading at the rear end of the vehicle, thereby preventing running resistance of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하부용 공력저항 저감 장치가 차량 하부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력저항 저감 장치가 차량 하부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3은 하부핀 설치 전인 언더커버만 있는 상태의 차량 상단, 측면, 하부의 압력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언더커버에 하부핀 설치 후의 차량 상단, 측면, 하부의 압력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1 및 제2 하부핀이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한 형상을 가진 비교 대상 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은 제1 및 제2 하부핀이 차량의 후방으로 갈수록 그 사이의 간격이 점점 넓어지는 형상을 가진 비교 대상 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하부핀과 유동의 경계층 높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하부핀 설치 전인 언더커버만 있는 상태에서 공기 유동의 하부 유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은 하부핀 설치 후 하부핀에 따른 공기 유동의 하부 유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pparatus for lowering an aerodynamic drag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lower portion of a vehicle.
FIG. 2 is a bottom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aerodynamic resistance reduction device of FIG. 1 is applied to a lower portion of a vehicle.
3 is a view showing the pressure distribution at the top, side, and bottom of the vehicle in the state where only the under cover is provided before the lower pin is installed.
4 is a view showing pressure distribution at the vehicle top, side, and bottom of the under cover after the lower pin is installed.
5 is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parison target vehicl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have a shap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FIG. 6 is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parison target vehicle having a shape in which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FIG.
Figure 7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e height of the boundary layer between the lower pin and the flow.
8 is a schematic view of a lower stream line of the air flow in the state of only an under cover before the lower pin is installed.
9 is a schematic view of a lower stream line of the air flow along the lower pin after the lower silver pin is install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하부용 공력저항 저감 장치가 차량 하부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력저항 저감 장치가 차량 하부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FIG. 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pparatus for reducing aerodynamic resistance for a vehicle lowe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lower part of a vehicle,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aerodynamic resistance- It is the bottom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하부용 공력저항 저감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V)의 하부에 적용되는 차량 하부용 공력저항 저감 장치로, 적어도 하나의 하부핀(200)을 포함한다.1 and 2, an apparatus for lowering an aerodynamic drag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lowering aerodynamic drag resistance for a vehicle applied to a lower portion of a vehicle V, And includes a pin 200.

적어도 하나의 하부핀(20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차량의 하부 저면에 언더커버(100) 없이 바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하부 저면에 언더커버(100)가 있을 경우 언더커버(100)의 저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언더커버(100)가 적용된 차량의 경우를 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lthough not shown, at least one lower pin 200 may be provided directly on the lower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without the under cover 100, and the under cover 10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It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nder cover 100. Hereinafter, the case of a vehicle to which the under cover 100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example.

언더커버(100)는,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V)의 하부를 덮는 것으로, 판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언더커버(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V)의 엔진룸 측 하부를 덮는 제1 언더커버(110)와, 차량(V)의 엔진룸 측을 제외한 배기구(미도시), 연료탱크(미도시), 스페어타이어 공간(미도시) 등의 하부를 덮는 제2 언더커버(120)로 분할되는 기술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엔진룸(미도시)으로 유입된 공기의 유동은 제1 및 제2 언더커버(110)(120) 사이의 틈을 통해 배출되어 제2 언더커버(120)의 저면을 따라 차량(V)의 후방으로 이어지게 되고, 차량(V)의 전방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은 제1 및 제2 언더커버(110)(120)를 따라 차량(V)의 후방으로 이어지게 된다. 특히,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언더커버(110)(120)에 의해 공기의 저항체로 작용하는 엔진룸, 배기구, 연료탱크, 스페어타이어 공간 등이 커버링(covering)되므로, 차량(V)의 하부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의 패턴이 이 언더커버(100)를 통해 단순해져 차량(V)의 주행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The under cover 100 covers a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V as already known, and can have a plate shape or the like. 1 and 2, the under cover 100 includes a first under cover 110 covering a lower portion of the engine room side of the vehicle V, (Not shown), a fuel tank (not shown), a spare tire space (not shown),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flow of air introduced into the engine compartment (not shown) is discharge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undercover parts 110 and 120, and is guided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undercover part 120, And the flow of the air flowing in front of the vehicle V leads to the rear of the vehicle V along the first and second undercover 110 and 120. [ Particularly, as already known, since the engine room, the exhaust port, the fuel tank, the spare tire space and the like which function as the resistance of the air are covered by the first and second under covers 110 and 120, The air flow pattern passing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under cover 100 can be simplified through the under cover 100 and the running resistance of the vehicle V can be reduced.

적어도 하나의 하부핀(200)은 언더커버(100)의 저면에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언더커버(100)가 제1 및 제2 언더커버(110)(120)로 분할된 기술구성을 가질 경우, 적어도 하나의 하부핀(200)은 제2 언더커버(120)에 집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V)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어지는 공기 유동의 패턴과 함께 엔진룸을 통과하여 차량(V)의 후방으로 이어지는 공기 유동의 패턴이 이 언더커버(100) 및 적어도 하나의 하부핀(200)을 통해 보다 단순해져 차량(V)의 주행저항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At least one lower pin (200) may protrud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under cover (100). For example, if the undercover 100 has a technology configuration that is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undercover 110, 120, the at least one lower pin 200 may be intensively As shown in FIG. Thus, a pattern of air flow through the engine compartment, leading to the rear of the vehicle V, with the pattern of air flow lead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vehicle V is transmitted to the under cover 100 and the at least one lower pin 200 The traveling resistance of the vehicle V can be further reduced.

이하, 도 1 및 도 2를 계속 참조하여,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하부핀(2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at least one lower pin 200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적어도 하나의 하부핀(200)은 차량(V)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유동은 차량(V)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안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하부핀(200)은 제1 및 제2 하부핀(210)(22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 하부핀(210)(220)은 차량(V)의 후방으로 갈수록 그 사이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하부핀(210)(220)에 의해 공기의 유동이 차량(V)의 후방으로 갈수록 가운데로 몰리게 되므로 차량(V)의 뒤쪽의 양 사이드에 놓인 뒷바퀴(12)로 향하는 공기의 유동이 줄고 유선이 단순화되어 차량(V)의 주행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At least one lower pin (200) may be formed lo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vehicle (V). Therefore, the flow of air can be guid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vehicle V. [ For example, at least one lower pin 200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210 and 220. Particularly,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210 and 220 can be disposed in such a shap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210 and 220 becomes gradually narrower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V. Accordingly, since the air flows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V by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210 and 220, the air flows toward the rear wheel 12 placed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vehicle V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low of air and simplify the wired line, thereby reducing the running resistance of the vehicle (V).

나아가, 제1 및 제2 하부핀(210)(220)은 차량(V)의 앞바퀴(11)와 뒷바퀴(12)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하부핀(210)(220)의 후단 측의 사이 간격(G1)은 뒷바퀴(12)의 사이 간격(G2) 보다 좁게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하부핀(210)(220)을 통해 뒷바퀴(12)로 향하는 공기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210 and 220 are disposed between the front wheel 11 and the rear wheel 12 of the vehicle V, and the rea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210 and 220 The gap G1 between the rear wheels 12 can be designed to be narrower than the gap G2 between the rear wheels 12. [ Accordingly, the air flow toward the rear wheel 12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210 and 220 can be minimized.

이와 더불어, 적어도 하나의 하부핀(200)은 제3 및 제4 하부핀(230)(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및 제4 하부핀(230)(240)은 제1 및 제2 하부핀(210)(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3 및 제4 하부핀(230)(240)은 차량(V)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및 제4 하부핀(230)(240)을 통해 제1 및 제2 하부핀(210)(220) 사이의 공기 유동의 패턴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lower pin 200 may further include third and fourth lower pins 230 and 240. For example, the third and fourth lower pins 230 and 2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210 and 220. In particular, the third and fourth lower pins 230 and 24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V. [ Accordingly, the pattern of the air flow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210 and 220 can be further simplified through the third and fourth lower pins 230 and 240.

나아가, 제3 및 제4 하부핀(230)(240)은 앞바퀴(11)와 차량(V)의 후단(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하부핀(210)(220)에 의해 가운데 측을 몰리는 공기의 유동을 차량(V)의 후단(13)으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Further, the third and fourth lower pins 230 and 2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ront wheel 11 and the rear end 13 of the vehicle V.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moothly guide the flow of the air, which is driven by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210 and 220 to the center side, to the rear end 13 of the vehicle V smoothly.

이와 더불어, 적어도 하나의 하부핀(200)은 제5 및 제6 하부핀(250)(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및 제6 하부핀(250)(260)은 제3 및 제4 하부핀(230)(240)을 그 사이에 두고 뒷바퀴(12)와 차량(V)의 후단(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5 및 제6 하부핀(250)(260)은 차량(V)의 후방으로 갈수록 그 사이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유동이 차량(V)의 후단(13)에서 퍼지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차량(V)의 주행저항을 보다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lower pin 200 may further include fifth and sixth lower pins 250 and 260. For example, the fifth and sixth lower pins 250 and 2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rear wheel 12 and the rear end 13 of the vehicle V with the third and fourth lower pins 230 and 240 therebetween. As shown in FIG. Particularly, the fifth and sixth lower pins 250 and 260 can be disposed in such a shape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fifth and sixth lower pins 250 and 260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V.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irflow from spreading at the rear end 13 of the vehicle V, thereby further preventing the running resistance of the vehicle V. [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하부핀(200)을 장착한 세단형 차량 모델을 전산해석한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the result of the computerized analysis of the sedan vehicle model equipped with the lower pin 200 will be described.

도 3은 하부핀 설치 전(before)인 언더커버(100)만 있는 상태의 차량 상단, 측면, 하부의 압력분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언더커버(100)에 하부핀 설치 후(after)의 차량 상단, 측면, 하부의 압력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pressure distribution on the top, side, and bottom of the vehicle in a state where only the under cover 100 before the lower pin is installed. FIG. Of the upper, side, and lower portions of the vehicle.

도 5는 제1 및 제2 하부핀(210)(220)이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한 형상을 가진 비교 대상 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6은 제1 및 제2 하부핀(210)(220)이 차량의 후방으로 갈수록 그 사이의 간격이 점점 넓어지는 형상을 가진 비교 대상 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다.5 is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parison target vehicle having a shap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210 and 220 ar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210 (220) are gradually widened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도 7은 하부핀(200)과 유동의 경계층 높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7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e height of the boundary layer of the lower fin (200) and the flow.

언더커버(100)에 하부핀(200)을 설치한 세단형 차량 모델을 전산해석한 결과,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핀(200) 설치 후 차량 후방의 압력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하부핀(200)을 통하여 공기 유동이 제어되어 차량(V)의 하부 후방에서 발생하는 올려흐름(Upwash)을 줄여서 차량 후방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졌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고, 이로 인해 차량(V)의 전후방의 압력차이가 줄어들어 차량(V)의 공력저항 중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압력저항 또한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of a computer analysis of a sedan vehicle model in which the lower pin 200 is installed in the under cover 100, it can be seen that the pressure in the rear of the vehicle is increased after the lower pin 200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3 and FIG. there was. This is a phenomenon which occurs because the air flow through the lower pin 200 is controlled to reduce the upward pressure generat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V so that the pressure in the rear portion of the vehicle is relatively increased.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sides is reduced, and the pressure resistance, which occupies a large portion of the aerodynamic resistance of the vehicle (V), is also reduced.

하부핀(200)의 형상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제1 및 제2 하부핀(210)(220)의 형상을 일직선 형상(도 5 참조), 퍼지는 형상(도 6 참조), 모이는 형상(도 2 참조)과 같이 변경해가면서 해석한 결과 아래 표 1과 같이 뒤쪽으로 갈수록 모이는 형상의 제1 및 제2 하부핀(210)(220)의 효과가 크게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다. 표1의 CD(Coefficient of Drag)는 공력저항계수를 나타낸다. 주행저항은 공력저항계수에 비례하므로 공력저항계수의 개선율은 주행저항의 개선율과 동일하다.5), a spreading shape (see FIG. 6), a gathering shape (see FIG. 6), and a bottoming shape 2).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f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210 and 220, which are gathered toward the rear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1, is largely exhibited. C D (Coefficient of Drag) in Table 1 represents the aerodynamic drag coefficient. Since the running resistance is proportional to the aerodynamic resistance coefficient, the improvement rate of the aerodynamic resistance coefficient is the same as the improvement rate of the traveling resistance.

CD C D 개선율(%)Improvement rate (%) 기존차량Existing vehicle 0.3101210.310121 00 일직선 형상Straight shape 0.3042690.304269 1.8871.887 퍼지는 형상Spreading shape 0.2999810.299981 3.2703.270 모이는 형상Gathering shape 0.2999400.299940 3.2823.282

표 1. 하부핀 형상에 따른 주행저항저감효과
Table 1. Reduction effect of running resistance according to lower pin shape

또한, 하부핀(200)의 두께와 높이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효과가 큰 모이는 형상(도 2 참조)의 하부핀(200)을 최소두께에서 법정 최저지상고를 지키는 최대높이의 하부 핀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하부의 경계층(Boundary layer)에 완전하게 잠기지 않는 범위에서 최소높이인 하부핀을 해석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와 같이 높이가 작은 하부핀(200)이 전면적이 작아서 가장 큰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최종 선정된 하부핀의 주행저항저감효과는 5.876%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hickness and the height of the lower pin 200, the lower pin 200 of the highly congested shape (see FIG. 2) is provided with the lower pin having the maximum height As shown in Fig. 7, the lower pin is interpreted as a minimum height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completely submerge in the boundary lay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2, it was confirmed that the bottom pin 200 having a small height had a small total area, and the largest effect was obtain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reducing the running resistance of the finally selected lower pin was 5.876%.

CD C D 개선율(%)Improvement rate (%) 기존차량Existing vehicle 0.3101210.310121 00 최대높이Maximum height 0.3026500.302650 2.4092.409 최소높이Minimum height 0.2918970.291897 5.8765.876

표 2. 하부핀 높이에 따른 주행저항저감효과
Table 2. Reduction effect of running resistance according to lower pin height

한편, 도 8은 하부핀 설치 전인 언더커버만 있는 상태에서 공기 유동의 하부 유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하부핀 설치 후 하부핀에 따른 공기 유동의 하부 유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8 is a schematic view of a lower stream line of the air flow in the state of only an under cover before the lower pin is installed, and FIG. 9 is a schematic view of a lower stream line of the air flow along the lower pin after the lower pin is installed.

하부핀이 설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하부의 공기 유동이 뒷바퀴(12) 등에 부딪히면서 복잡해지는 반면, 하부핀이 설치된 경우에는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하부의 복잡한 공기 유동을 정리하여 차량 측면으로 공기 유동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고 차량의 압력회복을 도울 수 있다.
When the lower pin is not provided, the air flow in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is complicated as it collides with the rear wheel 12 or the like as shown in FIG. 8.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wer pin is installed, Complex air flows can be organized to prevent airflow from entering the vehicle side and help to restore pressure in the vehicl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V: 차량 11: 앞바퀴
12: 뒷바퀴 13: 차량의 후단
100: 언더커버 110: 제1 언더커버
120: 제2 언더커버 200: 적어도 하나의 하부핀
210: 제1 하부핀 220: 제2 하부핀
230: 제3 하부핀 240: 제4 하부핀
250: 제5 하부핀 260: 제6 하부핀
V: vehicle 11: front wheel
12: rear wheel 13: rear end of the vehicle
100: under cover 110: first under cover
120: second undercover 200: at least one lower pin
210: first lower pin 220: second lower pin
230: third lower pin 240: fourth lower pin
250: fifth lower pin 260: sixth lower pin

Claims (9)

차량의 하부에 적용되는 차량 하부용 공력저항 저감 장치로,
상기 차량의 하부의 저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핀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핀은 제1 및 제2 하부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하부핀은,
상기 차량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갈수록 그 사이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핀은 제3 및 제4 하부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하부핀은,
상기 제1 및 제2 하부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차량의 앞바퀴와 상기 차량의 후단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 하부용 공력저항 저감 장치.
An aerodrome resistance reducing device for a vehicle lower portion applied to a lower portion of a vehicle,
At least one lower pin protru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Wherein the at least one lower pin includes first and second lower pin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The vehicle is formed to be long in a direction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vehicle,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rear portions of the vehicle is gradually narrowed,
Wherein the at least one lower pin further comprises third and fourth lower pins,
Wherein the third and fourth lower pins
A lower pin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Disposed between a front wheel of the vehicle and a rear end of the vehicle
An aerodynamic resistance reduction device for a vehicle lower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하부핀은 상기 차량의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하부핀의 후단 측의 사이 간격은 상기 뒷바퀴의 사이 간격보다 좁은 차량 하부용 공력저항 저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are disposed between a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of the vehicle,
Wherein an interval between the rea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ower pins is narrower than an interval between the rear wheel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핀은,
제5 및 제6 하부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및 제6 하부핀은,
상기 제3 및 제4 하부핀을 그 사이에 두고 상기 차량의 뒷바퀴와 상기 차량의 후단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 하부용 공력저항 저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lower pin comprises:
Fifth and sixth lower pins,
Wherein the fifth and sixth lower pins
And the third and fourth lower pins are disposed between the rear wheel of the vehicle and the rear end of the vehicle.
제8항에서,
상기 제5 및 제6 하부핀은,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갈수록 그 사이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차량 하부용 공력저항 저감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fth and sixth lower pins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vehicle is gradually reduced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KR1020140052933A 2014-04-30 2014-04-30 Aerodynamic drag reduction device for under part of vehicle KR1015846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933A KR101584684B1 (en) 2014-04-30 2014-04-30 Aerodynamic drag reduction device for under part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933A KR101584684B1 (en) 2014-04-30 2014-04-30 Aerodynamic drag reduction device for under part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878A KR20150125878A (en) 2015-11-10
KR101584684B1 true KR101584684B1 (en) 2016-01-13

Family

ID=54605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933A KR101584684B1 (en) 2014-04-30 2014-04-30 Aerodynamic drag reduction device for under part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68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8355A (en) 2005-03-10 2006-09-21 Mitsubishi Motors Corp Lift reduction device
JP2009029334A (en) * 2007-07-30 2009-02-12 Nissan Motor Co Ltd Lower part structure of vehicle bod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8355A (en) 2005-03-10 2006-09-21 Mitsubishi Motors Corp Lift reduction device
JP2009029334A (en) * 2007-07-30 2009-02-12 Nissan Motor Co Ltd Lower part structure of vehicle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878A (en) 201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8075B2 (en) Front end structure for vehicle
CN100500497C (en) Underplate bottom structure for vehicle
CN103895715A (en) Rectifier of vehicle wheel house
CN107628121A (en) Engine room component and vehicle
CN104943639A (en) Crossmember
US20190072023A1 (en) Bottom cover and cooling duct
US20130341962A1 (en) Air dam
WO2010147131A1 (en) Dump truck
CN107107971A (en) Vehicle with the air deflector for wheel
CN107776688A (en) A kind of front spoiler and automotive front flow guide system
KR101997819B1 (en) Commercial vehicle including superstructure and chassis
WO2017183269A1 (en) Air intake duct
KR101584684B1 (en) Aerodynamic drag reduction device for under part of vehicle
CN204095496U (en) A kind of car engine lower guard board and there is its automobile
DE102019100167A1 (en) Vehicle front structure
CN206086358U (en) Initiative intake grille device of car
JP2002362429A (en) Underfloor structure of automobile
JP5849922B2 (en) Rectification structure for vehicles
US11225137B1 (en) Vehicle air induction assembly
KR20160118189A (en) Side skirt structure for car
US9359017B2 (en) System for controlling the aerodynamic drag of a motor vehicle, designed to cause detachment of the boundary layer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motor-vehicle body, using passive jets, and motor vehicle equipped with this system
KR101744802B1 (en) Under cover for vehicle
US10363967B2 (en) Front side member
JP6556587B2 (en) Air intake duct
CN205601936U (en) Floor and vehicle before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