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623B1 -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623B1
KR101584623B1 KR1020140077367A KR20140077367A KR101584623B1 KR 101584623 B1 KR101584623 B1 KR 101584623B1 KR 1020140077367 A KR1020140077367 A KR 1020140077367A KR 20140077367 A KR20140077367 A KR 20140077367A KR 101584623 B1 KR101584623 B1 KR 101584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care service
health care
service
index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538A (ko
Inventor
정경렬
최준호
김사엽
박성빈
형준호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77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623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대상자들이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은 전후의 건강상태 변화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마련하고 이에 따라 제공된 건강 관리 서비스 전후의 유의미한 건강 상태 변화를 판단할 수 있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전후 건강 지표값을 입력 받고,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에게 건강 상태 판단 정보를 출력하는 데이터 입출력부;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전후 건강 지표값 및 상기 건강 상태 판단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전 건강 지표값을 이용하여 건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을 산출하는 건강 상태 평가 기준 산출부; 및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후 건강 지표값에 대해 상기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건강 관리 서비스에 따른 건강 상태 변화를 판단하는 건강 상태 판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MANAGEMENT SERVICE}
본 발명은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대상자들이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은 전후의 건강상태 변화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마련하고 이에 따라 제공된 건강 관리 서비스 전후의 유의미한 건강 상태 변화를 판단할 수 있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특별한 질병이 없는 건강인이나 만성질환자 등 다양한 대상자에 대한 웰니스, 피트니스, 식이요법 등과 같은 건강관련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IT 기술, 생체 센서 기술 등이 발달함에 따라 IT 기술을 이용한 개인별 맞춤형 건강 관리를 위한 진단과 처방을 위한 기술이 더욱 관심을 받고 있다.
개인 건강정보는 건강 정보 중 개개인에 초점을 맞춘 개념으로 개인건강과 관련된 광범위한 정보를 포함하여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며, 개인 스스로 자신의 건강정보를 통합적으로 유지하는 개인 건강정보 관리가 필요하다. 건강 관리 서비스는 금연, 절주, 식이요법 등 생활습관을 개선하여 스스로 건강을 증진하도록 평가 및 상담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국민들의 자가 건강 관리 활동의 증대와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지도와 체계적인 건강한 생활습관을 형성하여 만성질환을 포함한 질환의 악화와 합병증 예방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건강행태 개선과 질환관리 능력의 제고는 국민들이 사전예방적인 건강 관리를 손쉽게 하도록 하여 국민 건강수준 향상과 더불어 단순한 치료에서 돌봄과 건강증진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건강 관리 서비스는 의료서비스와 구분되며, 정상인에 대한 건강지원 뿐 아니라 질환자에 대한 교육, 식이, 운동처방 등의 관리지원을 포함하며, 그 대상자의 종류에 따라 건강인을 위한 서비스, 위험인자 보유자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로 구분될 수 있다. 예방적 건강 관리는 단기적으로는 가계 의료비 절감과 중장기적으로는 국가 의료재정 절감에 효과적이고, 건강 관리 서비스 관련 고용 증가와 신규 사업 활성화를 통한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종래의 건강 관리 서비스는 통상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검진결과에 기반한 문진상담과 문자메시지, 콜센터 운영 등 대상자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해 만족도가 매우 낮았다. 특히, 종래의 건강 관리 서비스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전후의 건강 지표값 변화에 대한 의미를 의사나 상담원의 개인적인 소견 정도의 수준으로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들에게 제공하였으므로, 객관적이고 의미있는 건강 상태 변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었다.
이에, 건강 관리 서비스 분야에서는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들이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 받은 전후의 건강 지표값 변화에 대해 객관적이고 유의미한 건강 상태 변화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이 평가 기준에 따라 건강 상태 변화를 평가하여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대상자들이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은 전후의 유의미한 건강 상태 변화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이 평가 기준에 따라 제공된 건강 관리 서비스 전후의 유의미한 건강 상태 변화를 판단할 수 있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전후 건강 지표값을 입력 받고,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에게 건강 상태 판단 정보를 출력하는 데이터 입출력부;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전후 건강 지표값 및 상기 건강 상태 판단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전 건강 지표값을 이용하여 건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을 산출하는 건강 상태 평가 기준 산출부; 및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후 건강 지표값에 대해 상기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건강 관리 서비스에 따른 건강 상태 변화를 판단하는 건강 상태 판단부
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건강 상태 평가 기준 산출부는,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들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이전 건강 지표값의 일부에 대해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여 건강 지표값에 대한 복수의 등급으로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건강 상태 평가 기준 산출부는,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들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이전 건강 지표값들 중 임상적으로 정상 범위를 벗어난 건강 지표값들을 이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건강 지표값의 특정 구간을 결정하고 구간에 대해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건강 상태 평가 기준 산출부는, 상기 평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표준편차의 일정 배수 단위로 상기 임상적 정상 범위를 벗어난 범위를 다수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간을 상기 평가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전 건강 지표값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전 건강 지표값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건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후 건강 지표값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후 건강 지표값에 대해 상기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건강 관리 서비스에 따른 건강 상태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전 건강 지표값에서 임상적 정상 범위를 벗어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임상적 정상 범위를 벗어난 데이터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평균 및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평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표준편차의 일정 배수 단위로 상기 임상적 정상 범위를 벗어난 범위를 다수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간을 상기 평가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강 관리 서비스의 제공 전후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지표값의 변화를 건강 관리 전문가(또는 의사)의 경험이나 개인적인 주관에 의해 판단하지 않고, 정량적 수치로서 객관적으로 확인하고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결과에 대해 건강 관리 전문가(또는 의사)의 입력이 요구되지 않으며 전산적 처리, 즉 IT 화를 통해 사용자에게 건강 관리 서비스의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의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성된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 집단과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 집단에 대해 제공된 건강 관리 서비스 전후의 각종 건강 지표값의 변화를 도시한 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산출된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을 도시한 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실행된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이 되는 등급들 간의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를 도시한 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결정된 건강 지표별 건강 상태 평가 기준 등급을 도시한 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건강 상태 변화 판단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후 건강 상태를 판단한 결과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데이터 입출력부(11), 데이터 베이스(12), 건강 상태 평가 기준 산출부(13), 건강 상태 판단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입출력부(11)는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여러가지 정보를 입력 받고,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에게 건강 관리 서비스에 의한 건강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입출력부(11)는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PC, 테블릿, 스마트폰)로 구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데이터 입출력부(11)는,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들로부터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이전에 인적 정보(예를 들어, 성명, 주소, 연락처, 나이 등)와 그들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각종 건강 지표값(예를 들어, 체중,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 허리둘레,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혈압, 혈당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입출력부(11)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대상자들로부터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은 이후의 건강 지표값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입출력부(11)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전후의 건강 지표값을 비교하여 건강 상태를 판단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12)는 데이터 입출력부(11)로부터 제공받은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인적 정보 및 건강 관리 서비스 전후의 건강 지표값을 저장하고, 추후에 설명되는 건강 상태 평가 기준 산출부(13)에 의해 산출되는 건강 상태 평가 기준 및 건강 상태 판단부(14)에서 출력된 건강 상태 판단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건강 상태 평가 기준 산출부(13)는 데이터 입출력부(11)로부터 제공받은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들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이전의 건강 지표값을 이용하여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이후 건강 상태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기준을 산출한다.
건강 상태 평가 기준 산출부(13)가 산출하는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은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들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이전 건강 지표값의 일부를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건강 지표값에 대한 복수의 등급으로 산출될 수 있다. 특히, 건강 상태 평가 기준 산출부(13)는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들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이전 건강 지표값들 중 임상적으로 정상 범위를 벗어난 건강 지표값들을 이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건강 지표값의 특정 구간을 결정하고 구간에 대해 등급을 설정할 수 있다.
건강 상태 평가 기준 산출부(13)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추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건강 상태 판단부(14)는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후 건강 지표값에 대해 건강 상태 평가 기준 산출부(13)에서 산출된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건강 상태 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건강 상태 판단부(14)에 의해 판단된 건강 상태 변화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 입출력부(11)를 통해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전 건강 지표값을 입력받는 단계(S11)와, 단계(S11)에서 입력받은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전 건강 지표값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건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을 산출하는 단계(S12)와,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후 건강 지표값을 입력받는 단계(S13)와,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후 건강 지표값에 대해 단계(S12)에서 산출된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건강 관리 서비스에 따른 건강 상태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S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계(S11)은 데이터 입출력부(11)가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들로부터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이전에 그들의 건강 지표값(예를 들어, 체중,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 허리둘레,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혈압, 혈당 등)을 입력받는 단계이다. 이 단계(S11)에서 데이터 입출력부(11)는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식별을 위해 그들의 인적 정보(예를 들어, 성명, 주소, 연락처, 나이 등)도 함께 입력 받을 수 있다. 단계(S11)에서 데이터 입출력부(11)에서 입력받은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들의 건강 지표값과 인적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될 수 있다.
단계(S12)는 건강 상태 기준 산출부(13)가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들로부터 입력받은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이전 건강 지표값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이후 건강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기준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단계(S12)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더욱 세부적인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의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을 산출하는 단계(S12)는,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전 건강 지표값에서 임상적 정상 범위를 벗어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121)와, 단계(S121)에서 추출된 임상적 정상 범위를 벗어난 데이터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단계(S122)와, 단계(S122)에서 산출된 평균 및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평가 기준을 산정하는 단계(S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계(S12)는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전후 건강 지표값의 변화에 대해 의미가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는 단계로서 건강 지표값이 임상적으로 정상인 범위를 벗어난 구간에서 특정한 변화를 갖는 경우 이 변화가 유의미한 것인지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단계(S121)에서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전 입력받은 건강 지표값들 중 임상적으로 정상인 범위를 벗어난 데이터를 추출한다(S121).
이어, 임상적 정상 범위를 벗어난 데이터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S122), 단계(S122)에서 산출된 평균 및 표준편차를 활용하여 평가를 위한 기준을 마련한다(S123). 더욱 구체적으로, 단계(S123)은 평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표준편차의 일정 배수 단위로 임상적 정상 범위를 벗어난 범위를 다수의 구간으로 구분하는 단계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단계(S123)에서 시그마 수준을 기준으로 임상적 정상 범위를 벗어난 범위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각 구간을 평가를 위한 기준으로 마련한다.
이러한 평가 기준 마련 기법은 통계학적인 이론을 이론적인 배경으로 한 것으로, 통계적으로 두 모집단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면 두 집단이 서로 다르다고 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건강 관리 기법은, 건강 서비스 대상자 집단을 모집단으로 하고 이 모집단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일 만큼 건강 지표값에서 변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경우 건강 상태가 변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평균값에서 벗어나는 정도를 나타낸 표준편차를 이용한다. 즉, 평균을 중심으로 표준편차의 일정 배수 단위로 전체 구간(임상적으로 정상을 벗어난 구간)을 복수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각 구간을 건강 상태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분할 된 각 구간을 등급으로 표시하고, 등급간 변화가 발생한 경우 유의미한 변화로 인정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계(S13)에서 데이터 입출력부(11)를 통해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후 건강 지표값을 입력받는다. 이어, 단계(S14)에서, 건강상태 판단부(14)가 데이터베이스(12)에 저장된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전 건강 지표와 데이터 입출력부(11)에서 입력된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후 건강 지표에 건강 상태 평가 기준 산출부(13)의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단계(S14)에서, 건강상태 판단부(14)는 건강 상태 평가 기준 산출부(13)의 평가 기준의 각 구간(또는 등급) 중 건강 관리 서비스 전후 건강 지표값이 속하는 구간을 판단하고 구간 변화가 발생한 경우 유의미한 건강 상태의 변화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성된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 집단과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 집단에 대해 제공된 건강 관리 서비스 전후의 각종 건강 지표값의 변화를 도시한 표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도 4의 (a) 및 (b)와 같은 연령별, 성별별, 지역별 현황을 갖는 600 명의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를 선정하고, 일정한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그 결과 도 4의 (c)와 같은 체중, 체질량지수(BMI), 허리둘레,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공복혈당, 수축기 혈압, 확장기 혈압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도 4에 도시된 600명의 대상자 각각에 대한 건강지표값들이 데이터 입출력부(11)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2)로 입력이 되었다(S11).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산출된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을 도시한 표이다. 도 5에 도시된 표는 건강 상태 평가 기준 산출부(13)에서 적용되는 것으로 각 건강 지표값에 대해 임상적 정상범위를 벗어난 값에 대해 도 5와 같이 분할되는 구간으로 표시된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와 같은 표를 적용하기 위해, 건강 상태 평가 기준 산출부(13)는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전 입력받은 건강 지표값들 중 임상적으로 정상인 범위를 벗어난 데이터를 추출하였고(S121), 임상적 정상 범위를 벗어난 데이터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S122), 산출된 평균 및 표준편차를 도 5의 표에 적용하여 각 건강 지표에 대한 등급 구간을 산정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된 건강 지표는 체질량지수(BMI)와 중성지방 및 허리둘레였다. 그리고, 임상적으로 정상을 벗어나는 범위는, 체질량지수의 경우 23 이상(한국비만학회의 과체중 기준), 중성지방의 경우 150 이상(세계보건기주, 미국심장협회의 요주의 대상 기준), 허리둘레의 경우 남자 85.3cm 이상, 여자 79.6cm 이상(WHO의 심뇌혈관질환 발병사전관리 기준)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건강지표에 대해 산출된 등급(또는 구간)이 갖는 통계적 유의 성을 확인하기 위해 등급별로 데이터셋을 분류하고, 등급간 t-test 분석을 실행하여 등급별 데이터셋간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실행된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이 되는 등급들 간의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를 도시한 표이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적용된 건강 지표인 체질량지수(BMI)와 중성지방 및 허리둘레 각각에 대해 각 등급 간의 t-test를 수행한 결과 p-value가 모두 0.001 미만으로 나타나 각 등급간 구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만약, t-test 결과 등급별 의미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시그마 수준을 기준으로한 등급 기준을 재조정하여 유의미한 등급을 다시 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결정된 건강 지표별 건강 상태 평가 기준 등급을 도시한 표이다. 도 7에 도시된 표에서, 기준치는 대상자가 특정 등급에 속하는 범위를 나타내고, 점수기준은 각 등급의 구간 길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건강 상태 변화를 인정할 수 있는 건강지표값 변동의 기준값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기준을 바탕으로, 건강상태 판단부(14)는 도 8과 같이 건강 상태 변화를 판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건강 상태 변화 판단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 원은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이전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들의 건강지표값을 나타내고 화살표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이후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들의 건강지표값 변화 방향 및 변화량을 타나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전후 건강 상태를 판단한 결과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표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및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 데이터 입출력부 12: 데이터 베이스
13: 건강 상태 평가 기준 산출부
14: 건강상태 판단부

Claims (7)

  1.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전후 건강 지표값을 입력 받고,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에게 건강 상태 판단 정보를 출력하는 데이터 입출력부;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전후 건강 지표값 및 상기 건강 상태 판단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전 건강 지표값을 이용하여 건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을 산출하는 건강 상태 평가 기준 산출부; 및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후 건강 지표값에 대해 상기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건강 관리 서비스에 따른 건강 상태 변화를 판단하는 건강 상태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 상태 평가 기준 산출부는,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들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이전 건강 지표값의 일부에 대해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여 건강 지표값에 대한 복수의 등급으로 상기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을 산출하되,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들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이전 건강 지표값들 중 임상적으로 정상 범위를 벗어난 건강 지표값들을 이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건강 지표값의 특정 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특정 구간에 대해 등급을 설정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상태 평가 기준 산출부는,
    상기 평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표준편차의 일정 배수 단위로 상기 임상적 정상 범위를 벗어난 범위를 다수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간을 상기 평가 기준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전 건강 지표값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전 건강 지표값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건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건강 관리 서비스 후 건강 지표값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의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후 건강 지표값에 대해 상기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건강 관리 서비스에 따른 건강 상태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은,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들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이전 건강 지표값의 일부에 대해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여 건강 지표값에 대한 복수의 등급으로 산출하되,
    상기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대상자들의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전 건강 지표값에서 임상적 정상 범위를 벗어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임상적 정상 범위를 벗어난 데이터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건강 지표값의 특정 구간을 결정는 단계; 및
    상기 특정 구간에 대해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상태 평가 기준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평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표준편차의 일정 배수 단위로 상기 임상적 정상 범위를 벗어난 범위를 다수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간을 상기 평가 기준으로 결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40077367A 2014-06-24 2014-06-24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84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367A KR101584623B1 (ko) 2014-06-24 2014-06-24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367A KR101584623B1 (ko) 2014-06-24 2014-06-24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538A KR20160000538A (ko) 2016-01-05
KR101584623B1 true KR101584623B1 (ko) 2016-01-14

Family

ID=55164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367A KR101584623B1 (ko) 2014-06-24 2014-06-24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6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613A (ko) 2016-05-10 2017-11-20 주식회사 스마티랩 사물인터넷 기반 건강 모니터링 및 평가 플랫폼
KR20230024014A (ko) 2021-08-11 2023-02-20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건강 프로그램의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426B1 (ko) * 2019-01-03 2020-01-08 (주)바이오인프라생명과학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웰니스 건강 다이어리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613A (ko) 2016-05-10 2017-11-20 주식회사 스마티랩 사물인터넷 기반 건강 모니터링 및 평가 플랫폼
KR20230024014A (ko) 2021-08-11 2023-02-20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건강 프로그램의 건강관리 행동 습관화 지표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538A (ko) 201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ante et al. Validation of the instant blood pressure smartphone app
Golub et al. Association of audiometric age-related hearing loss with depressive symptoms among Hispanic individuals
Coresh et al. Prevalence of high blood pressure and elevated serum creatinine level in the United States: finding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88-1994)
Wilson et al. Parkinsonianlike signs and risk of incident Alzheimer disease in older persons
Chia et al. Validation of the Framingham general cardiovascular risk score in a multiethnic Asian population: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Brown et al. Is resistant hypertension really resistant?
He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control in the general population of the United States
Freire et al.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in two diverse older adult populations in Quebec and Brazil
Ensrud et al. Comparison of 2 frailty indexes for prediction of falls, disability, fractures, and death in older women
Wolf-Maier et al. Hypertension prevalence and blood pressure levels in 6 European countries,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Kuk et al. Edmonton Obesity Staging System: association with weight history and mortality risk
Age-Related Eye Disease Study Research Group A simplified severity scale fo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REDS report no. 18
Muntner et al. Trends in blood pressure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Swedko et al. Serum creatinine is an inadequate screening test for renal failure in elderly patients
Wong et al. Global cardiovascular risk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and extent of treatment and control according to risk group
Peeters et al. Changes in abdominal obesity and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the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Study
US11244764B2 (en) Monitoring predictive models
Manard et al. Patient portal use and blood pressure control in newly diagnosed hypertension
Crossland et al. Evaluation of a home-printable vision screening test for telemedicine
Chandak et al. Self-management of hypertension using technology enabled interventions in primary care settings
WO20190351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CLINICALLY SIMILAR INDIVIDUALS, AND INTERPRETATIONS OF A TARGET INDIVIDUAL
Patel et al. Association of pain with physical function, depressive symptoms, fatigue, and sleep quality among veteran and non-veteran postmenopausal women
Amusat et al. Diabetes that impacts on routine activities predicts slower recovery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an observational study
Gutacker et al. Comparing hospital performance within and across countries: an illustrative study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in England and Spain
KR101584623B1 (ko)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