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050B1 -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 Google Patents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050B1
KR101584050B1 KR1020130055159A KR20130055159A KR101584050B1 KR 101584050 B1 KR101584050 B1 KR 101584050B1 KR 1020130055159 A KR1020130055159 A KR 1020130055159A KR 20130055159 A KR20130055159 A KR 20130055159A KR 101584050 B1 KR101584050 B1 KR 101584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unit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4995A (ko
Inventor
안치득
이승엽
유주완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55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050B1/ko
Publication of KR20140134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의 수신자가 복수의 단말을 동시에 시청 또는 청취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단말을 이용하여 하나의 주제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복수의 서로 다른 구성원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가 효율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은,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및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합 컨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에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Contents Complex Providing Terminal}
본 발명은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복수의서로 다른 구성원 컨텐츠를 포함하여 구성 된 하나의 복합 컨텐츠를 재생함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복합 컨텐츠가 재생 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스마트 이동 단말은 데스크탑 컴퓨터 못지 않은 연산 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동영상 등의 컨텐츠 재생 용도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한 개인이 스마트 폰 뿐만 아니라 태블릿 PC도 소유하는 경우가 발생함에 따라 1인 N 단말 환경이 갖춰지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에서 소위 N-스크린 기술이 활용 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N-스크린 기술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N-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13)는 N-스크린 서비스 사용자가 소유한 복수의 단말(10, 11, 12)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가입자 갑이 이동함에 따라 재생 대상 컨텐츠의 수신 단말이 순차적으로 바뀌도록 상기 컨텐츠를 송신해 준다. 예를 들어, 서비스 사용자가 학생이고, 집, 학교, 버스 안 순서로 이동하는 경우, 집에서는 동영상 강의를 PC 모니터 또는 TV(10)를 통하여 재생할 수 있고, 집이 아닌 외부에 있는 동안은 사용자가 소유한 태블릿 PC(11), 스마트 폰(12)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쉽게 말하면, 컨텐츠가 가입자를 '따라다니는' 환경이 조성 되는 것이다.
그러나, 도 1에 도시 된 것과 같은 N-스크린 서비스는 하나의 컨텐츠가 특정 가입자 소유의 복수 단말 간에 연계 되어 재생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복수 단말이 동시에 동작할 수 있는 상황에는 별다른 효용성이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컨텐츠의 수신자가 복수의 단말을 동시에 시청 또는 청취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단말을 이용하여 하나의 주제를 전달하는데 사용 되는 복수의 서로 다른 구성원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가 효율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은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및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합 컨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에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은,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컨텐츠 재생부가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재생부는,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를 하나의 디스플레이 일부 영역에서 각각 재생하며, 상기 컨텐츠 전송부가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하지 않는 구성원 컨텐츠를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전체 영역에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는 상기 복합 컨텐츠 전체의 타임 라인과 동일한 타임 라인을 가지는 주(main) 구성원 컨텐츠이고,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는 상기 복합 컨텐츠 전체의 타임 라인 중 일부 구간 동안에만 재생 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보조(sub) 구성원 컨텐츠일 수 있다.
상기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UI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전송부의 전송에 의하여 상기 제1 단말에서 상기 구성원 컨텐츠가 재생되는 중, 상기 UI 처리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부는 상기 제1 단말에서 재생하는 상기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재생부는 상기 제1 단말에서 재생하는 상기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시키면,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복합 컨텐츠 중 컨텐츠 재생부에서 재생되고 있지 않는 구성원 컨텐츠를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제 1 단말의 인증 정보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저장하는 프로필 저장부; 및 상기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재생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제1 단말의 종류, 상기 제1 단말의 사양 정보 및 상기 제1단말의 컨텐츠 접근 권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저장하는 프로필 저장부; 및 상기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재생 요청에 승낙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은,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제1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프로필 정보는 제1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프로필 저장부;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접속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에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상기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하는 컨텐츠 지정부; 및 상기 지정된 구성원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 요청은, 상기 제1 단말의 연결, 상기 제1 단말의 로그인(Login), 상기 제1 단말의 전원 온(On) 상태 정보 전송, 상기 제1 단말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실행 중 어느 하나의 형태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접속 요청이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로부터 존재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접속 요청된 각각의 단말로 상기 구성원 컨텐츠의 전송 승낙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접속 요청된 각 단말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 승낙을 거절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지정부는 승낙을 거절한 단말을 제외하고 나머지 단말들 각각에 대해서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지정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은,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사양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컨텐츠 재생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접속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제1 단말의 사양 정보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재생부가 재생 중이던 컨텐츠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재생부는 상기 복합 컨텐츠 중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한 컨텐츠가 아닌 구성원 컨텐츠 만을 재생하도록 재생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복합 컨텐츠 중에서 상기 컨텐츠 재생부가 재생할 수 없는 구성원 컨텐츠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컨텐츠 재생부가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재생부는,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를 하나의 디스플레이 일부 영역에서 각각 재생하며, 상기 컨텐츠 전송부가 상기 지정된 구성원 컨텐츠를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하는 경우, 상기 지정되지 않은 구성원 컨텐츠를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전체 영역에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UI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전송부의 전송에 의하여 상기 제1 단말에서 상기 구성원 컨텐츠가 재생되는 중, 상기 UI 처리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부는 상기 제1 단말에서 재생하는 상기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재생부는 상기 제1 단말에서 재생하는 상기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시키면,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복합 컨텐츠 중 컨텐츠 재생부에서 재생되고 있지 않는 구성원 컨텐츠를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필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의 인증 정보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말의 인증 정보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은,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제1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프로필 정보는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을 포함하는 단말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필 저장부;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합 컨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의 재생 단말로 지정하고,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하나를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의 재생 단말로 지정하되,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이 각각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재생 단말을 지정하는 재생단말 지정부; 및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를 각각의 상기 재생 단말로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은,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필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의 사양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단말 지정부는,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의 사양 정보를 고려하여 재생 단말을 지정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은,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상기 복합 컨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재생한 적이 있는 제1 사용자의 단말 정보를 저장하는 프로필 저장부;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 및 상기 컨텐츠 재생부가 컨텐츠를 재생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컨텐츠 재생부에서 재생되지 않는 구성원 컨텐츠의 전송 승낙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발신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신된 전송 요청 메시지에 승낙의 응답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컨텐츠 재생부에서 재생되지 않는 구성원 컨텐츠를 상기 승낙의 응답이 있는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은,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상기 복합 컨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재생한 적이 있는 제1 사용자의 단말 정보를 저장하는 프로필 저장부;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를 하나의 디스플레이 일부 영역에 각각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 및 상기 컨텐츠 재생부가 컨텐츠를 재생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전송 승낙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발신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신된 전송 요청 메시지에 승낙의 응답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승낙의 응답이 있는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은,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서버로부터 제1 사용자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및 상기 접속 요청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에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 요청에는 상기 제1 단말의 통신 연결 정보, 상기 제1 단말의 종류, 상기 제1 단말의 사양 정보, 상기 제1 사용자의 요청 컨텐츠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제1 사용자의 요청 컨텐츠 정보, 제1 단말의 종류 및 상기 제1 단말의 사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구성원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컨텐츠 지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지정된 구성원 컨텐츠를 상기 제1 단말의 통신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컨텐츠 지정부에서 지정된 구성원 컨텐츠의 전송 승낙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요청 수신부가 상기 전송 승낙에 대하여 승낙의 응답을 받은 경우에, 상기 컨텐츠 전송부가 상기 컨텐츠 지정부에서 지정된 구성원 컨텐츠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구성원 컨텐츠로 구성 된 복합 컨텐츠를 복수의 단말을 통하여 복합 컨텐츠 전체 재생 시간 중 적어도 일부 시간에는 동시 재생함으로써 새로운 컨텐츠 유통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복합 컨텐츠에 대하여 재생 요청을 하는 것 만으로, 상기 복합 컨텐츠에 속한 복수의 구성원 컨텐츠들이 상기 사용자가 소유한 복수의 단말에 분배 되어 제공 될 수 있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복합 컨텐츠에 포함 된 각각의 구성원 컨텐츠를 독립적으로 감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장에서 복수의 단말을 통하여 입체적인 메시지 수신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상기 복합 컨텐츠가 제공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말의 입장에서 복합 컨텐츠에 포함 된 복수의 구성원 컨텐츠에 대한 재생 연산 부하(computational load)를 다른 단말과 분담할 수 있으므로, 복합 컨텐츠 전체의 재생을 위한 연산 부하가 분배 되어, 연산 부하를 과도하게 부담하게 되는 특정 단말의 동작이 느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N-스크린 기술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의 동작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4, 5 및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의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와 6b는, 도 5와 같은 경우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에서 재생되는 디스플레이 화면과 제1 단말에서 재생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의 동작 개요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100)의 동작을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이 포함된 단말 그룹(200)의 각각의 단말로 복합 컨텐츠(20)를 분배하여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위해 단말 그룹(200)을 하나의 단말 또는 두 개의 단말로 구성된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 개 이상의 단말로 확장 해석 될 수 있다.
도 2에서 노트북이 복합 컨텐츠(20) 제공 단말이 될 수 있으며, 제1 단말(210)과 제2 단말(220)이 단말 그룹(200)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20) 제공 단말은 복합 컨텐츠(20)를 저장하고 있는 단말이며, 복합 컨텐츠(20)를 저장하고 있는 단말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20) 제공 단말이 될 수 있다. 즉, 스마트폰에 복합 컨텐츠(20)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황에 따라서 제1 단말(210)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20) 제공 단말이 될 수 있다. 단말 그룹(200)에 포함된 복수의 단말은 동일한 기종의 단말들일 수 있으며, 다른 기종의 단말들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20) 제공 단말도 단말 그룹(200)에 포함된 단말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기종일 수 있다. 도 2에서 제시하고 있는 단말로 노트북, 스마트폰, 스마트 TV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100)과 단말 그룹(200)의 사용자는 동일인일 수도 있고 동일인이 아닐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복합 컨텐츠(20)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100) 외부에 복합 컨텐츠(20) 외부에 도시하고 있으나, 복합 컨텐츠(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100)에 내장된 것이다.
복합 컨텐츠(20)는 제1 구성원 컨텐츠(21) 및 제2 구성원 컨텐츠(22)를 포함한다.
제1 구성원 컨텐츠(21)는 복합 컨텐츠(20) 전체의 타임 라인과 동일한 타임 라인을 가지는 주(main) 구성원 컨텐츠이고,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22)는 상기 복합 컨텐츠(20) 전체의 타임 라인 중 일부 구간 동안에만 재생 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보조(sub) 구성원 컨텐츠일 수 있다.
복합 컨텐츠(20)에 포함된 복수개의 구성원 컨텐츠 중 2개 이상은 상기 복합 컨텐츠(20) 전체의 재생 시간 내의 적어도 일부 시점에서 동시에 재생 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구성원 컨텐츠 중 적어도 일부 구성원 컨텐츠는 다른 구성원 컨텐츠 들과 재생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이 다를 수 있다.
복합 컨텐츠(20)에 포함된 복수의 구성원 컨텐츠는 각자가 하나의 완성된 컨텐츠이나, 복수의 구성원 컨텐츠가 정해진 스케쥴 또는 시나리오에 따라 각자의 재생 단말에서 재생 됨으로써, 전체적으로 하나의 복합 컨텐츠(20)를 구성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구성원 컨텐츠는 서로 다른 컨텐츠 타입을 가진 것일 수도 있고, 서로 같은 컨텐츠 타입을 가진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 동영상 하나 및 보조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컨텐츠(20)가 존재할 수 있고, 주 동영상 하나 및 보조 동영상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 되는 복합 컨텐츠(20)도 존재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컨텐츠 타입은 컨텐츠의 종류를 지칭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컨텐츠 타입은 동영상, 이미지, 플래시 동영상, 프리젠테이션 자료, 문서, 3D 오브젝트 및 사운드 파일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구성원 컨텐츠는 하나의 컨텐츠 타입 또는 둘 이상의 컨텐츠 타입이 결합된 것일 수 있다. 구성원 컨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는 광고를 목적으로 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가 "재생" 되는 것의 의미는, 동영상, 플래시 동영상, 사운드 파일의 재생뿐만 아니라, 비-동영상(non-video) 타입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비-동영상(non-video) 타입의 컨텐츠는 동영상이 아닌 모든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100)은 컨텐츠 저장부(110), 요청 수신부(120), 컨텐츠 전송부(130) 및 컨텐츠 재생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저장부(110)는 복합 컨텐츠(20)를 저장한다. 컨텐츠 저장부(110)가 저장하는 복합 컨텐츠(2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100)의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일 수 있으며, 컨텐츠 저장부(110)에 내장된 컨텐츠 일 수도 있다.
요청 수신부(120)는 컨텐츠 저장부(110)에 저장된 복합 컨텐츠(20)에 대한 재생 요청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요청 수신부(120)는 단말 그룹(200)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복합 컨텐츠(20)에 대한 재생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 그룹(200)의 각 단말이 발신하는 재생 요청 신호는 직접 요청 수신부(120)에서 전송될 수 있으며, 외부 서버 등의 장치를 거쳐 요청 수신부(120)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요청 수신부(12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100)의 입력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의 재생 요청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100)의 UI가 포함된 입력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가 단말 그룹(200) 중 스마트 폰으로 제2 구성원 컨텐츠(22)를 재생하고자 재생 요청을 입력하면, 입력된 재생 요청을 요청 수신부(120)가 수신할 수 있다.
요청 수신부(120)가 수신하는 재생 요청에는 재생하고자 하는 구성원 컨텐츠의 정보 및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하고자 하는 단말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컨텐츠 전송부(130)는 요청 수신부(120)에서 수신한 재생 요청에 응답하여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하고자 하는 단말로 재생하고자 하는 구성원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부(140)는 복합 컨텐츠(2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100)에서 재생할 수 있다.
컨텐츠 전송부(130)는 컨텐츠 재생부(140)에서 복합 컨텐츠(2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재생하는 동안 단말 그룹(2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부(140)는 컨텐츠 전송부(130)의 전송에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10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의 화면 크기, 컨텐츠의 종류 등을 변경할 수 있다.
도 4, 5 및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의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100)의 컨텐츠 재생부(140)가 제1 구성원 컨텐츠(21)를 재생하고 있는 중(S41 단계) 요청 수신부(120)가 제1 단말(210)로부터 제2 구성원 컨텐츠(22)의 재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42 단계). 요청 수신부(120)가 제1 단말(210)로부터 제2 구성원 컨텐츠(22)의 재생 요청을 수신하면, 컨텐츠 전송부(130)는 제2 구성원 컨텐츠(22)를 제1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S43 단계). 전송된 제2 구성원 컨텐츠(22)는 제1 단말(210)에서 재생될 수 있다(S44 단계).
요청 수신부(120)가 재생 요청을 수신하는 시기는 반드시 컨텐츠 재생부(140)가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중일 필요는 없다. 즉, 요청 수신부(120)가 재생 요청을 수신하면, 컨텐츠 전송부(130)는 재생 요청에 응답하여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으며, 컨텐츠 재생부(140)는 컨텐츠 전송부(130)가 컨텐츠를 전송한 후 또는 컨텐츠 전송과 동시에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20) 단말의 재생 장치에서 컨텐츠를 재생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요청 수신부(120)가 수신하는 재생 요청은 반드시 제1 단말(210)로부터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재생 요청에 어떠한 구성원 컨텐츠 재생을 원하는지 정보가 없는 경우, 제1 단말(210)의 사양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210)로 전송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지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차후 도 8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텐츠 재생부(140)가 제1 구성원 컨텐츠(21) 및 제2 구성원 컨텐츠(22)를 하나의 디스플레이 일부 영역에서 각각 재생하고 있다(S51 단계). 즉, 컨텐츠 재생부(140)는 제1 구성원 컨텐츠(21) 및 제2 구성원 컨텐츠(22)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으며, 하나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분할하여 각각의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부(140)가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제1 단말(210)로부터 제2 구성원 컨텐츠(22)의 재생 요청이 수신되면(S52 단계), 컨텐츠 전송부(130)는 제2 구성원 컨텐츠(22)를 제1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S53 단계). 전송된 제2 구성원 컨텐츠(22)는 제1 단말(210)에서 재생될 수 있다(S54 단계).
컨텐츠 전송부(130)가 재생 요청에 응답하여 제2 구성원 컨텐츠(22)를 제1 단말(210)로 전송한 경우, 컨텐츠 재생부(140)는 제1 단말(210)로 전송한 제2 구성원 컨텐츠(22)의 재생을 중지하고 디스플레이 상의 전체 화면에서 제1 구성원 컨텐츠(21)만이 재생되도록 재생 환경을 변경할 수 있다(S55 단계).
도 6a와 6b는, 도 5와 같은 경우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에서 재생되는 디스플레이 화면과 제1 단말에서 재생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을 참조하면, 컨텐츠 재생부(14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20)의 디스플레이 상에 제1 구성원 컨텐츠(21) 및 제2 구성원 컨텐츠(22)를 함께 재생시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재생 중 요청 수신부(120)가 제1 단말(210)로부터 재생 요청을 수신하면, 컨텐츠 전송부(130)는 제2 구성원 컨텐츠(22)를 제1 단말(210)로 전송하고, 제1 단말(210)은 도 6b와 같이 제2 구성원 컨텐츠(22)를 재생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부(140)는 도 6b와 같이 제1 단말(210)로 전송한 제2 구성원 컨텐츠(22)를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외하고 제1 구성원 컨텐츠(21)만을 디스플레이 상에서 전체 화면으로 재생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100)의 일 동작 예를 설명한다. 도 7에서 설명하고 있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100)은 판단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판단부(150)는 요청 수신부(120)에서 수신한 재생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즉, 판단부(150)는 요청 수신부(120)에서 재생 요청을 수신하면, 수신된 재생 요청의 유효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판단부(150)는 재생 요청이 적법한지, 재생 요청을 발신한 단말이 단말 그룹(200) 내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부(150)는 재생 요청에 유효성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된 경우에는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판단부(150)는 재생 요청의 유효성 판단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재생 요청을 입력했거나 발신한 곳에 요청할 수 있다. 판단부(150)가 재생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예로 들면, 단말 그룹(200)의 식별자, 제1 단말(210)의 인증 정보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 정보, 재생 요청 단말의 식별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 로그인 정보, 암호 신호 등이 될 수 있다.
판단부(150)가 재생 요청의 유효성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 재생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판단부(150)가 재생 요청의 유효성이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도, 재생 요청의 승낙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 단말(210)이 제1 구성원 컨텐츠(21) 재생을 요청하는 재생 요청을 한 경우, 판단부(150)는 제1 단말(210)의 종류, 제1 단말(210)의 사양 정보, 제1 단말(210)의 컨텐츠 접근 권한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 요청을 승낙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양 정보는 각 단말의 종류, 디스플레이 크기, 디스플레이 해상도, 운영체제, 통신 성능, 하드웨어 사양 또는 입력 방식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사양 정보에는 단말 그룹(200)의 사양 정보뿐만 아니라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100)의 사양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부(150)의 역할은 재생단말 지정부(830)에서 수행할 수도 있으며, 재생단말 지정부(830)에 관하여는 도 8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계속하여 도 7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100)이 제1 구성원 컨텐츠(21)를 재생하는 중(S71 단계), 제1 단말(210)의 재생 요청이 수신되면(S72 단계), 판단부(150)가 수신된 재생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S73 단계). 판단부(150)가 수신된 재생 요청에 유효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1 단말(210)로 재생 요청 거절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74 단계). 또는 재생 요청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20) 단말의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되어 수신된 경우, 판단부(150)는 거절 응답을 팝업이나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알릴 수도 있다. 즉, 판단부(150)는 제1 단말(210)의 사용자인 제1사용자에게 거절 메시지를 알릴 수 있다.
판단부(150)가 수신된 재생 요청의 유효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재생 요청 승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5 단계). S75 단계는 반드시 S74 단계 이후에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S74 단계 없이도 S75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판단부(150)가 재생 요청 승낙하지 않는 경우, 재생 요청 거절 제1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S76 단계). 판단부(150)가 재생 요청을 승낙하는 경우, 재생 요청된 제2 구성원 컨텐츠(22)를 제1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S77 단계).
상기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예로 든 내용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100)의 동작 일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상기 도 4 내지 도 7에서 예로 든 내용과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100)을 설명한 내용은 단말 그룹(200)에 속한 단말이 복수개인 경우에도 확장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하기 도 8에서 설명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800)은 컨텐츠 저장부(110), 프로필 저장부(810), 요청 수신부(120), 컨텐츠 지정부(820), 재생단말 지정부(830), 컨텐츠 전송부(130) 및 컨텐츠 재생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저장부(110), 컨텐츠 전송부(130) 및 컨텐츠 재생부(14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100)과 유사한다.
프로필 저장부(810)는 각 서비스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프로필 정보는 서비스 회원 가입 시 입력 되었던 신상 정보 및 서비스 이용에 따라 부여 되는 동적 속성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적 속성 정보는 회원 레벨, 성적 등이 포함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필 정보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단말 그룹(20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그룹(200)에 대한 정보는 단말 그룹(200)에 포함되는 각 단말들에 대한 접속 정보, 식별 정보 및 사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그룹(200)에 포함되는 각 단말들의 사양 정보는 각 단말의 종류, 각 단말의 디스플레이 크기, 각 단말의 디스플레이 해상도, 각 단말의 운영체제, 각 단말의 통신 성능, 각 단말의 하드웨어 사양, 각 단말의 입력 방식 등이 될 수 있다.
프로필 저장부(810)는 단말 그룹(200)의 각 단말로부터 단말들에 대한 접속 정보, 식별 정보, 구성원 컨텐츠 접근 권한 및 사양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프로필 저장부(810)는 단말 그룹(200)의 각 단말로부터 단말들에 대한 접속 정보, 식별 정보 및 사양 정보를 서비스 회원 가입 시 이용된 서버나 컨텐츠 제공자의 스토리지 장치와 같은 단말 그룹(200)이 아닌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요청 수신부(120)는 재생 요청 또는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재생 요청은 단말 그룹(2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서 복합 컨텐츠(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재생하고자 요청하는 것이다. 재생 요청에 관한 본 발명의 동작 예는 도 4 내지 7에서 설명하고 있다.
접속 요청은 단말 그룹(2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서 복합 컨텐츠(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재생하고자 하는 요청하는 정보가 아닌,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800)에 접속하고자 요청하는 것을 말한다.
제1 단말(210)을 예로 들어 접속 요청의 예를 설명하면, 제1 단말(210)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800)에 연결, 제1 단말(210)의 로그인(Login), 제1 단말(210)의 전원 온(On) 상태 정보 전송, 제1 단말(210)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실행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접속 요청은 요청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으나, 요청 수신부(120)에서 수신하는 접속 요청은 요청의 메시지가 아닌 알림의 메시지 일 수 있다. 즉, 제1 단말(210)이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요청 수신부(120)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단말(210)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8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 경우, 그러한 연결 상태 알림을 요청 수신부(120)에서 수신할 수 있다. 제1 단말(210)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800)의 승낙이 존재해야 연결이 가능한 경우에는 연결 요청의 신호를 제1 단말(210)이 발신할 수 있고, 요청 수신부(120)는 연결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연결의 권한을 판단하여 연결 요청을 승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요청 수신부(120)가 수신하는 접속 요청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800)에서 제공하는 복합 컨텐츠(2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전송 받아 재생할 수 있는 상태임을 알리거나 기 설정된 약속에 따라서 복합 컨텐츠(20) 중 전부나 일부를 전송 받아 재생하여도 되는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 수신부(120)가 수신하는 제1 단말(210)의 접속 요청에는 제1 단말(210)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구성원 컨텐츠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요청 수신부(120)가 접속 요청을 수신한 경우 컨텐츠 지정부(820)가 제1 단말(210)로 전송하여 제1 단말(210)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구성원 컨텐츠를 지정하고, 지정된 구성원 컨텐츠를 컨텐츠 전송부(130)에서 전송할 수 있다.
재생 요청은 요청 수신부(120)의 재생요청 수신부(122)에서 수신할 수 있고, 접속 요청은 요청 수신부(120)의 접속요청 수신부(124)에서 수신할 수도 있다.
컨텐츠 지정부(820)는 프로필 저장부(810)에 저장된 제1 단말(210)의 종류, 제1 단말(210)의 사양 정보 또는 제1 단말(210)의 구성원 컨텐츠 접근 권한 등을 이용하여 제1 단말(210)에서 재생이 적합한 구성원 컨텐츠를 컨텐츠 전송부(130)에서 제1 단말(210)로 전송할 컨텐츠로 지정할 수 있다.
컨텐츠 지정부(820)는 접속 요청이 있는 제1 단말(210)에 대하여 접속 요청의 유효성 판단, 프로필 저장부(810)에 제1 단말(210)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 판단을 컨텐츠 지정부(820)가 컨텐츠를 지정하거나 컨텐츠 전송부(130)가 전송하기 이전에 수행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지정부(820)는 제1 단말(210)의 접속 요청이 적법한지, 제1 단말(210)이 단말 그룹(200)에 포함되는 단말인지, 제1 단말(210)의 접속 요청 승인 기록이 있는지, 제1 단말(210)이 복합 컨텐츠(20)를 배분하여 재생한 기록이 있는지 여부 등을 프로필 저장부(810)에서 수집되고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210)의 유효성 존재를 판단할 수 있다. 컨텐츠 지정부(820)가 제1 단말(210)의 유효성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컨텐츠 지정부(820) 또는 컨텐츠 전송부(130)는 컨텐츠의 지정 또는 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지정부(820)는 접속 요청이 있는 제1 단말(210)에 대한 정보가 프로필 저장부(81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단말(210) 정보를 제1 단말(210)의 사용자 또는 제1 단말(210)에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지정부(820)가 제1 단말(210)에 대한 정보가 프로필 저장부(810)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거나 정보 요청에 거절 또는 무응답의 경우, 컨텐츠 지정부(820) 또는 컨텐츠 전송부(130)는 컨텐츠의 지정 또는 전송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컨텐츠 지정부(820)는 단말 그룹(200)에 포함된 둘 이상의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프로필 저장부(810)에 저장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 요청이 있는 각각의 단말에서 재생이 적합한 구성원 컨텐츠를 지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지정부(820)는, 각 단말의 종류, 각 단말의 사양정보, 각 단말의 구성원 컨텐츠 접근 권한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요청이 있는 각각의 단말에서 재생이 적합한 구성원 컨텐츠를 지정할 수 있다.
컨텐츠 지정부(820)가 접속 요청한 컨텐츠에 대하여 재생이 적합한 구성원 컨텐츠를 지정하기 이전에, 컨텐츠 전송부(130)는 접속 요청된 각각의 단말로 구성원 컨텐츠의 전송 승낙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각 단말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 승낙을 거절하는 경우, 컨텐츠 지정부(820)는 승낙을 거절한 단말을 제외하고 나머지 단말들에 대해서 재생이 적합한 구성원 컨텐츠를 지정할 수 있다.
요청 수신부(120)가 단말 그룹(200)에 포함된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들로부터 재생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재생단말 지정부(830)는 재생 요청에 응답하여, 재생 단말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단말 지정부(830)는 재생 요청에 응답하여, 단말 그룹(200)에 포함된 제1 단말(210) 및 제2 단말(220)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21)의 재생 단말로 지정하고, 상기 제2 단말(220) 중 하나를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22)의 재생 단말로 지정할 수 있다. 재생단말 지정부(830)는 상기 제1 단말(210) 및 제2 단말(220)이 각각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재생 단말을 지정할 수도 있다.
재생단말 지정부(830)는 재생 단말을 지정하기 전 재생 요청이 있는 단말들이 복합 컨텐츠(20)의 접근 및 재생 권한 있는 단말 그룹(200)에 속하는지 여부를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재생단말 지정부(830)는 구성원 컨텐츠와 재생 요청한 각 단말이 일대일 관계를 가지도록 각 구성원 컨텐츠의 재생 단말을 지정할 수도 있다. 또는, 재생단말 지정부(830)는 일부 구성원 컨텐츠가 2 이상의 재생 단말을 갖도록 각 구성원 컨텐츠의 재생 단말을 지정할 수 있다.
재생단말 지정부(830)는 재생 요청에 재생하고자 하는 구성원 컨텐츠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구성원 컨텐츠 정보가 재생 요청하는 단말에 재생되도록 재생 단말을 지정할 수도 있다. 또는, 재생단말 지정부(830)는 상기 재생 요청한 단말의 종류, 사양 정보, 구성원 컨텐츠 접근 권한 등을 참조하여 재생 단말을 지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재생단말 지정부(830)는 재생단말 지정부(830)는 재생하고자 하는 구성원 컨텐츠의 재생이 적합한 단말을 각 단말의 종류 또는 사양 정보 등을 참조하여 재생 적합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재생 적합도에 따라서 재생 단말을 지정할 수 있다.
재생 적합도는 단말 그룹(200)에 포함되어 있는 각 단말의 종류, 디스플레이 크기, 디스플레이 해상도, 운영체제, 통신 성능, 하드웨어 사양 및 입력 방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특성을 이용하여 재생단말 지정부(830)가 판단할 수 있다. 재생 적합도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기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재생 적합도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컨텐츠의 종류나 특성 별로 사양 정보마다 가중치를 상이하게 설정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사양 정보만을 최우선시 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재생단말 지정부(830)는 복합 컨텐츠(20) 중 특정 구성원 컨텐츠와 재생 적합도가 높은 단말을 재생 단말로 지정할 수 있다. 재생단말 지정부(830)는 단말 그룹(200) 중 어느 단말로부터 특정 구성원 컨텐츠의 재생 요청이 존재하는 경우, 재생 요청을 우선시 하여 재생 단말을 지정할 수도 있다. 또는, 재생단말 지정부(830)는 다른 단말로부터 특정 구성원 컨텐츠의 재생 요청이 존재하여도, 재생 적합도가 낮거나 재생이 불가능한 경우, 재생 요청과는 다른 구성원 컨텐츠의 재생 지정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구성원 컨텐츠(21)가 드라마 컨텐츠이고, 제2 구성원 컨텐츠(22)가 광고 컨텐츠이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800)의 종류가 스마트 TV이고, 제1 단말(210)이 태블릿 PC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재생단말 지정부(830)는 드라마 컨텐츠의 컨텐츠 특성상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큰 스마트 TV에서 재생되도록 재생 단말을 지정하고, 광고 컨텐츠는 태블릿 PC에서 재생되도록 재생 단말을 지정할 수 있다. 재생단말 지정부(830)의 재생 단말 지정은 핀치아웃 동작과 같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재생단말 지정부(8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20) 제공 단말과 단말 그룹(200)에 포함된 단말 모두가 동일한 구성원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지정하지 않는 조건 하에서 재생단말을 지정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부(140)에 관하여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합 컨텐츠(20)는 동영상, 이미지, 플래시 동영상, 프리젠테이션 자료, 문서, 3D 오브젝트 및 사운드 파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재생부(140)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800)이 재생 가능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800)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컨텐츠 재생부(140)는 동영상, 이미지, 플래시 동영상, 프리젠테이션 자료, 문서 등의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100)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지 않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문제가 발생하고 오디오 장치만 구비하는 경우 컨텐츠 재생부(140)는 사운드 파일 등 오디오 장치에서 재생 가능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부(14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100)에서 재생할 수 없거나 재생이 적합하지 않은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컨텐츠 전송부(130)는 재생할 수 없거나 재생이 적합하지 않은 컨텐츠를 단말 그룹(200)의 어느 하나로 전송하거나, 전송 승낙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재생할 수 없거나 재생이 적합하지 않은 컨텐츠를 단말 그룹(200)의 어느 하나로 전송할 때, 재생단말 지정부(830)가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적합한 단말을 지정하고, 컨텐츠 전송부(130)가 지정된 단말로 해당 컨텐츠를 전송할 수도 있다.
UI 처리부는 제1 사용자로부터 재생 요청 또는 접속 요청을 입력 받을 수 있다. UI 처리부는 제1 사용자가 재생 요청 또는 접속 요청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UI 처리부에서 입력된 재생 요청 또는 접속 요청은 요청 수신부(120)에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UI 처리부는 단말 그룹(200)에 포함된 각 단말들에 관한 종류, 사양 정보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즉, UI 처리부는 제1 사용자가 단말 그룹(200)에 포함된 각 단말들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UI 처리부는 제1 사용자의 회원 정보, 식별자 정보 등 프로필 저장부(810)에 저장되는 프로필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UI 처리부는 제1 사용자의 핀치아웃 동작 등 다양한 입력 동작을 입력 받아 컨텐츠 재생부(14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전송부(130)에서 전송되는 컨텐츠도 변경할 수 있다. UI 처리부는 제1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동작에 따른 컨텐츠 재생부(140) 및/또는 컨텐츠 전송부(130)에서의 변경 사항을 기 설정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의 동작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800)의 컨텐츠 저장부(110)는 복합 컨텐츠(20)를 저장한다(S910 단계). 프로필 저장부(810)는 프로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920 단계).
제1 단말(210)이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S930 단계), 요청 수신부(120)는 접속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940 단계). 접속 요청을 수신하면, 컨텐츠 전송부(130)는 구성원 컨텐츠 전송 승낙 요청 메시지를 제1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S950 단계).
요청 수신부(120)가 제1 단말(210)로부터 구성원 컨텐츠 전송 승낙을 수신하면(S960 단계), 컨텐츠 지정부(820)가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210)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지정할 수 있다(S970 단계).
컨텐츠 전송부(130)는 지정된 컨텐츠를 제1 단말(210)로 전송하고(S980 단계), 제1 단말(210)은 전송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S990 단계).
도 9에서는 단말 그룹(200)으로 제1 단말(210)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복수개의 단말에도 유추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800)의 컨텐츠 저장부(110)는 복합 컨텐츠(20)를 저장한다(S1010 단계). 프로필 저장부(810)는 프로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1020 단계).
요청 수신부(120)는 제1 단말(210) 및 제2 단말(220)로부터 각각 재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030, S1040 단계). 재생단말 지정부(830)는 재생 요청 및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 단말을 지정한다(S1050 단계).
컨텐츠 전송부(130)는 재생단말 지정부(830)에서 지정된 바에 따라서 제1 구성원 컨텐츠(21)를 제1 단말(210)로 전송하고(S1060 단계), 제2 구성원 컨텐츠(22)를 제2 단말(220)로 전송할 수 있다(S1070 단계). 전송된 각 구성원 컨텐츠는 각 단말에서 재생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800)의 컨텐츠 저장부(110)는 복합 컨텐츠(20)를 저장한다(S1110 단계).
프로필 저장부(810)는 제1 사용자 단말 정보를 저장한다(S1120 단계). 제1 사용자 단말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 중 복합 컨텐츠(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800)과 분배하여 재생한 적이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이다.
컨텐츠 재생부(140)는 복합 컨텐츠(20)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재생한다(S1130 단계). 컨텐츠 재생부(140)가 복합 컨텐츠(20) 중 전부 또는 일부를 재생하면, 컨텐츠 전송부(130)가 제1 사용자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사용자 단말 중 복합 컨텐츠(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재생한 적이 있는 단말로 구성원 컨텐츠 전송 승낙 요청을 전송한다(S1140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정보에 포함된 제1 사용자 단말 중 복합 컨텐츠(20)를 재생한 적이 있는지 여부에서 복합 컨텐츠(20)는 컨텐츠 재생부(140)에서 재생하는 복합 컨텐츠(20)와 동일할 수 있고, 상이한 컨텐츠일 수도 있다.
요청 수신부(120)가 컨텐츠 전송 승낙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 승낙을 수신하면(S1150 단계) 컨텐츠 전송부(130)는 요청을 승낙한 단말로 구성원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S1160 단계). 컨텐츠 전송부(130)가 요청을 승낙한 단말로 전송하는 구성원 컨텐츠는 컨텐츠 재생부(140)에서 재생되지 않는 구성원 컨텐츠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재생부(140)에서 제1 구성원 컨텐츠(21) 및 제2 구성원 컨텐츠(22) 중 제1 구성원 컨텐츠(21)를 재생하고 있는 경우, 컨텐츠 전송부(130)는 제2 구성원 컨텐츠(22)를 요청을 승낙한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전송부(130)는 컨텐츠 재생부(140)가 제1 구성원 컨텐츠(21) 및 제2 구성원 컨텐츠(22)를 하나의 디스플레이 상에 각각 일부 영역에 재생하고 있는 경우, 컨텐츠 전송부(130)는 제1 구성원 컨텐츠(21) 및 제2 구성원 컨텐츠(22) 중 어느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요청을 승낙한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단말(210)의 접속 요청은 서버(1000)를 통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8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2에서 설명하는 예는, 제1 사용자의 단말 그룹에 속한 단말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800)에 관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아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800)에서 저장된 복합 컨텐츠(20)를 배분 받아 재생할 수 없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피숍, 카페 등 공공장소와 같은 곳에서 제2 사용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800)에서 복합 컨텐츠(20)가 재생 중인 경우, 제1 사용자가 재생 중인 복합 컨텐츠(20)의 제1 구성컨텐츠(21)를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210)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자신이 모르는 제2 사용자의 단말에 저장된 복합 컨텐츠(20)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800)의 컨텐츠 저장부(110)는 복합 컨텐츠(20)를 저장한다(S1205 단계). 프로필 저장부(810)는 제1 사용자 단말 정보를 저장한다(S1210 단계). 프로필 저장부(810)는 서버(1000)로부터 전송되는 접속 요청에 포함된 제1 사용자 단말 정보를 접속 요청에 포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사용자는 제1 단말(210)을 통하여 서버(1000)에 로그인을 하고, 서버(1000)로 접속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215, S1220).
도 12에서 서버(1000)는 회원가입을 통하여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가 각 단말에 저장된 복합 컨텐츠(20)의 전부 또는 일부에 관하여 전송 받아 재생할 수 있는 권한 상호 또는 일방에 부여하는 방식 등이 될 수 있다.
서버(1000)는 기 저장되거나 제1 단말(210)로부터 수신되는 제1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210)의 사양 정보, 제1 사용자의 위치 정보,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210)의 통신 상태 등을 이용하여 전송대상 단말을 선정할 수 있다(S1225 단계). 또는, 서버(1000)는 제1 사용자의 접속 요청에 포함된 요청 컨텐츠의 정보에 따라서, 요청 컨텐츠 정보에 부합하는 복합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단말을 전송대상 단말로 선정할 수도 있다.
서버(1000)는 선정된 전송대상 단말인 제2사용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800)로 제1 단말(210)의 접속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230).
제1 단말(210)의 접속 요청에는 제1 단말(210)의 종류, 제1 단말(210)의 사양정보, 제1 단말의 통신 연결 정보 등의 프로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요청 수신부(120)는 접속 요청을 수신하고, 컨텐츠 지정부(820)가 접속 요청에 포함된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단말(210)로 전송할 컨텐츠를 지정할 수 있다(S1235 단계). 컨텐츠 전송부(130)는 제1 단말(210)의 통신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컨텐츠의 전송 승낙 요청을 제1 단말(210)로 전송할 수 있다(S1240).
요청 수신부(120)가 제1 단말(210)로부터 지정된 컨텐츠의 전송 승낙을 수신하면(S1245 단계), 컨텐츠 전송부(130)가 제1 단말(210)로 지정된 컨텐츠를 전송하고(S1250 단계), 제1 단말(210)은 전송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S1255 단계).
도 9 내지 12에서 설명하고 있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800)의 동작 예는 도 9 내지 12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서 설명된 바에 따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 및 8의 각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hardware)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어드레싱(addressing)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세분화된 구성요소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합하여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30)

  1.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합 컨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에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 및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UI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 전송부의 전송에 의하여 상기 제1 단말에서 상기 구성원 컨텐츠가 재생되는 중, 상기 UI 처리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부는 상기 제1 단말에서 재생되는 상기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컨텐츠 재생부가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부는,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를 하나의 디스플레이 일부 영역에서 각각 재생하며,
    상기 컨텐츠 전송부가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하지 않는 구성원 컨텐츠를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전체 영역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는 상기 복합 컨텐츠 전체의 타임 라인과 동일한 타임 라인을 가지는 주(main) 구성원 컨텐츠이고,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는 상기 복합 컨텐츠 전체의 타임 라인 중 일부 구간 동안에만 재생 되는 적어도 한 종류의 보조(sub) 구성원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부가 상기 제1 단말에서 재생하는 상기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하면,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복합 컨텐츠 중 컨텐츠 재생부에서 재생되고 있지 않는 구성원 컨텐츠를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8.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합 컨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에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
    상기 제 1 단말의 인증 정보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저장하는 프로필 저장부; 및
    상기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재생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9.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합 컨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에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
    상기 제1 단말의 종류, 상기 제1 단말의 사양 정보 및 상기 제1단말의 컨텐츠 접근 권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저장하는 프로필 저장부; 및
    상기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재생 요청에 승낙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10.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제1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프로필 정보는 제1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프로필 저장부;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접속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에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상기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하는 컨텐츠 지정부; 및
    상기 지정된 구성원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요청은,
    상기 제1 단말의 연결, 상기 제1 단말의 로그인(Login), 상기 제1 단말의 전원 온(On) 상태 정보 전송, 상기 제1 단말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실행 중 어느 하나의 형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접속 요청이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로부터 존재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접속 요청된 각각의 단말로 상기 구성원 컨텐츠의 전송 승낙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접속 요청된 각 단말 중 적어도 하나가 전송 승낙을 거절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지정부는 승낙을 거절한 단말을 제외하고 나머지 단말들 각각에 대해서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은,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의 사양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컨텐츠 재생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접속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제1 단말의 사양 정보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재생부가 재생 중이던 컨텐츠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재생부는 상기 복합 컨텐츠 중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한 컨텐츠가 아닌 구성원 컨텐츠 만을 재생하도록 재생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복합 컨텐츠 중에서 상기 컨텐츠 재생부가 재생할 수 없는 구성원 컨텐츠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컨텐츠 재생부가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부는,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를 하나의 디스플레이 일부 영역에서 각각 재생하며,
    상기 컨텐츠 전송부가 상기 지정된 구성원 컨텐츠를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하는 경우, 지정되지 않은 구성원 컨텐츠를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 전체 영역에서 재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UI 처리부; 및
    상기 컨텐츠 전송부의 전송에 의하여 상기 제1 단말에서 상기 구성원 컨텐츠가 재생되는 중, 상기 UI 처리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에서 재생하는 상기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시키는 컨텐츠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부는 상기 제1 단말에서 재생하는 상기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시키면,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복합 컨텐츠 중 컨텐츠 재생부에서 재생되고 있지 않는 구성원 컨텐츠를 상기 제1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2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의 인증 정보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말의 인증 정보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유효성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21.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제1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프로필 정보는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을 포함하는 단말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필 저장부;
    상기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합 컨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의 재생 단말로 지정하고,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하나를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의 재생 단말로 지정하되, 상기 제1 단말 및 제2 단말이 각각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재생 단말을 지정하는 재생단말 지정부; 및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를 각각의 상기 재생 단말로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은,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의 사양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단말 지정부는,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의 사양 정보를 고려하여 재생 단말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24.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상기 복합 컨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재생한 적이 있는 제1 사용자의 단말 정보를 저장하는 프로필 저장부;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 및
    상기 컨텐츠 재생부가 컨텐츠를 재생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컨텐츠 재생부에서 재생되지 않는 구성원 컨텐츠의 전송 승낙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발신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된 전송 요청 메시지에 승낙의 응답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컨텐츠 재생부에서 재생되지 않는 구성원 컨텐츠를 상기 승낙의 응답이 있는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26.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상기 복합 컨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재생한 적이 있는 제1 사용자의 단말 정보를 저장하는 프로필 저장부;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를 하나의 디스플레이 일부 영역에 각각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 및
    상기 컨텐츠 재생부가 컨텐츠를 재생하면, 상기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전송 승낙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발신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된 전송 요청 메시지에 승낙의 응답이 있는 경우,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승낙의 응답이 있는 제1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28.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제2 구성원 컨텐츠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서버로부터 제1 사용자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상기 접속 요청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에 상기 제1 구성원 컨텐츠 및 상기 제2 구성원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원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
    상기 제 1 단말의 인증 정보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저장하는 프로필 저장부; 및
    상기 프로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요청에는 상기 제1 단말의 통신 연결 정보, 상기 제1 단말의 종류, 상기 제1 단말의 사양 정보, 상기 제1 사용자의 요청 컨텐츠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제1 사용자의 요청 컨텐츠 정보, 제1 단말의 종류 및 상기 제1 단말의 사양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구성원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정하는 컨텐츠 지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지정된 구성원 컨텐츠를 상기 제1 단말의 통신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송부는 상기 컨텐츠 지정부에서 지정된 구성원 컨텐츠의 전송 승낙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요청 수신부가 상기 전송 승낙에 대하여 승낙의 응답을 받은 경우에, 상기 컨텐츠 전송부가 상기 컨텐츠 지정부에서 지정된 구성원 컨텐츠를 상기 제1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KR1020130055159A 2013-05-15 2013-05-15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KR101584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159A KR101584050B1 (ko) 2013-05-15 2013-05-15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159A KR101584050B1 (ko) 2013-05-15 2013-05-15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995A KR20140134995A (ko) 2014-11-25
KR101584050B1 true KR101584050B1 (ko) 2016-01-22

Family

ID=52455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159A KR101584050B1 (ko) 2013-05-15 2013-05-15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05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1162A (ko) * 2007-09-21 2009-03-25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광고데이터 출력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800011B1 (ko) * 2010-08-24 2017-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1292487B1 (ko) * 2011-08-25 2013-08-01 주식회사 팬택 컨텐츠 공유 단말기
KR101830867B1 (ko) * 2011-09-19 2018-02-22 주식회사 케이티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995A (ko) 201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49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pplication
KR102122483B1 (ko) 미디어 데이터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266194B1 (ko)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장치들간 출력 장치 공유 방법 및 시스템
US20200267195A1 (en) Closed network video presentation
KR20150026367A (ko) 화면 미러링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201603603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application
KR101702563B1 (ko) 직관적인 선택에 기초해 디바이스에 액세스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404638A (zh) 一种媒体信息分享的方法及系统
US20240007510A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FOR SHARING CONTENT DURING VoIP-BASED CALL
US11943515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CN105260131A (zh) 内容处理装置及其内容处理方法
US20170278537A1 (en) Content playback apparatus, content playback system, content information program, and content playback method
US10708330B2 (en) Multimedia resource management method, cloud server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7010950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ntent sharing system
US201501931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image
CN108882004B (zh) 视频录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A3098735C (en) Display interface switching method, display interface switch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20110052817A (ko) 외부기기로의 컨텐츠 제공방법
JP2015050631A (ja) 表示システム、情報端末、選択制御プログラム及び選択制御方法
KR101584050B1 (ko) 복합 컨텐츠 제공 단말
US20140294194A1 (en) Terminal to control audio output path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path between terminals
US2012028106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2447174B (zh) 服务提供方法、装置和系统、计算设备和存储介质
JP7100468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943247B1 (en) Media sink device input ident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