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791B1 - 단말장치의 문답식 잠금해제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장치의 문답식 잠금해제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791B1
KR101583791B1 KR1020140078823A KR20140078823A KR101583791B1 KR 101583791 B1 KR101583791 B1 KR 101583791B1 KR 1020140078823 A KR1020140078823 A KR 1020140078823A KR 20140078823 A KR20140078823 A KR 20140078823A KR 101583791 B1 KR101583791 B1 KR 101583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nswer
customized
terminal devic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079A (ko
Inventor
정원국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78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791B1/ko
Publication of KR20160001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79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단말장치의 문답식 잠금해제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단말장치는 단말장치의 잠금화면에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학습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표시하고, 잠금화면에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받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인지 확인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인 경우, 잠금화면 상태를 해제한다.
따라서, 단말장치의 잠금화면에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학습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표시하여 단말장치의 잠금화면을 해제할 때마다 사용자에게 맞춤형 문제를 제공하여 풀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효과의 증진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장치의 문답식 잠금해제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LOCKING CANCELLATION CONTROL METHOD OF THE INTERROGATORY TYPE FOR TERMINAL DEVIC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단말장치의 문답식 잠금해제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이에 해당하는 답을 입력받아 단말장치의 화면잠금해제를 제어하는 단말장치의 문답식 잠금해제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안드로이드나 아이오에스(IOS) 등의 운영체제로 작동되는 스마트폰이나 아이폰 등의 휴대용 단말장치는 잠금상태로 설정하면, 화면을 껐다가 켰을 때, 잠금화면이 표시된다. 이러한 잠금화면은 숫자를 입력하여 해제하는 형식도 있고, 패턴을 그려서 해제하는 형식도 있으며, 주로 화면터치를 통해서 해제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통신뿐만 아니라, 장소를 불문하고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24시간 휴대용 단말장치를 소지하면서 사용할 때마다 잠금화면을 수시로 해제하여 사용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 폰, 스마트 탭,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장치의 폭발적인 보급과 더불어 휴대용 단말장치의 잠금화면의 해제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어 이러한 잠금화면 해제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사용자 맞춤형 문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문답식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단말장치의 문답식 잠금해제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문답식 잠금해제 제어 방법은, 상기 단말장치의 잠금화면에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학습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잠금화면에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이면, 잠금화면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장치의 잠금화면에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학습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나이, 학년, 단말기 사용빈도, 단말기 사용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상기 사용자 정보와 개인별 진도, 학습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상기 사용자 학습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한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상기 단말장치의 잠금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오답이면 다른 문제를 출력하고, 상기 다른 문제는 이전 문제보다 하위 난이도 레벨의 문제이며, 미리 저장된 최하위 난이도 레벨에 따른 문제에 대한 답을 오답으로 기재하면, 정답을 공개하며 상기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오답이면, 상기 사용자 맞춤형 문제와 연관된 힌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이면, 상기 사용자가 잠금 해제 동작 재시도 시 이전 문제보다 상위 난이도 레벨의 다른 문제를 상기 잠금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단말장치의 문답식 잠금해제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잠금해제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학습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단말장치의 잠금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받아 상기 입력한 답이 정답인지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한 답이 정답인 경우에 잠금화면 상태를 해제하는 단말 장치와 상기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분류하고 저장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오답이면 다른 문제를 출력하고, 상기 다른 문제는 이전 문제보다 하위 난이도 레벨의 문제이며, 미리 저장된 최하위 난이도 레벨에 따른 문제에 대한 답을 오답으로 기재하면, 정답을 공개하며 상기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오답이면, 상기 사용자 맞춤형 문제와 연관된 힌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이면, 사용자가 잠금 해제 동작 재시도 시 이전 문제보다 상위 난이도 레벨의 다른 문제를 상기 잠금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단말장치의 잠금화면에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학습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표시하여 단말장치의 잠금화면을 해제할 때마다 사용자에게 맞춤형 문제를 제공하여 풀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학습효과의 증진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잠금해제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3d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동작 순서도 이다.
도 4a 내지 4h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관리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관리서버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잠금해제 제어 시스템의 타임차트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잠금해제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장치의 잠금해제 제어 시스템(1000)은 관리서버(100)와 단말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단말장치(200)와 통신하며, 단말장치(200)에 사용자 맞춤형 문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사용자 맞춤형 문제 정보를 분류 및 저장하기 위해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단말장치(200)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관리자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다. 관리서버(100)는 수집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학습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하는 사용자 맞춤형 문제 정보를 분류하고 저장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사용자에게 해당하는 사용자 맞춤형 문제 정보를 단말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00)는 클라이언트의 접속요청에 응답하여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일반적인 형태의 서버일 수 있으며, 단말장치(20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단말장치(200)와 소정의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망은 예컨대 일반적인 인터넷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또한, 통신망은 ALL-IP(ALL Internet Protocol) 기반의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망으로 시스템 상호간의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장치(200)는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학습 상황을 반영한 사용자 맞춤형 문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맞춤형 문제 정보는 해당 문제 정보 및 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200)는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잠금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단말장치(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답이 정답인지 확인할 수 있다. 단말장치(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답이 정답일 경우, 화면잠금 해제를 실행할 수 있다. 단말장치(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답이 오답일 경우,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하지 않거나, 다른 문제를 수신하여 새롭게 수신된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잠금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답이 오답일 경우, 정답을 연상할 수 있는 힌트를 잠금화면에 표시하여 정답을 유도하게 할 수 있다.
단말장치(2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장치(200)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넷북, 태블릿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200)는 무선 통신부(210), 사용자 입력부(220), 출력부(230), 메모리부(240), 인터페이스부(250), 제어부(260) 및 전원 공급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단말장치(200)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단말장치(20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단말장치(2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210)는 단말장치(200)와 관리서버(100) 간의 무선 통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부(210)는 이동 통신 모듈(211), 무선 인터넷 모듈(212), 근거리 통신 모듈(213) 및 위치정보 모듈(2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211)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장치(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인터넷 모듈(212)은 관리서버(100)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문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13)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213)은 관리서버(100)와 근접한 위치의 단말장치(200)와 통신하여 사용자 맞춤형 문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214)은 단말장치(2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예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또한 IPS(Indoor Positioning System)도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20)는 사용자가 단말장치(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2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23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220)는 도 4a 내지 도 4h 에서와 같이, 사용자 맞춤형 문제가 디스플레이부(231)에 표시되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한 정답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정답을 입력하는 방법은 도 4a, 도 4c, 도 4e, 도 4f 와 같이 객관식의 문제일 경우,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한 다수의 답 중 하나를 일정 시간 동안 터치하거나 해당하는 숫자를 터치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4b, 도 4d 와 같이 주관식의 문제일 경우, 손이나 터치팬을 이용하여 잠금화면에 글씨를 써서 정답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도 4g 와 같이 객관식의 문제일 경우,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한 다수의 답 중 하나를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출력부(2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231), 음향 출력 모듈(232), 알람 모듈(233), 및 햅틱 모듈(23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1)는 단말장치(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2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2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3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3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2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31)가 2 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31)는 도 4a 내지 도 4h 에서와 같이, 수신된 사용자 맞춤형 문제와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한 다수의 답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31)는 도 4e 에서와 같이,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한 답을 틀렸을 경우, 오답에 대한 힌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32)에는 음향 출력 모듈(23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콘텐츠 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232)은 단말장치(2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32)에는 스피커, 비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 모듈(233)은 단말장치(2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단말장치(2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 모듈(23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 모듈(233)은 잠금화면을 해제하기 위하여 단말장치(200)에 터치가 있을 때, 잠금화면 해제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햅틱 모듈(23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23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23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햅틱 모듈(234) 잠금화면을 해제하기 위하여 단말장치(200)에 터치가 있을 때, 잠금화면 해제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거나 디스플레이부(231)에 표시된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서 정답 및 오답을 선택했을 때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부(240)는 제어부(26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240)는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메모리부(240)는 관리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맞춤형 문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2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50)는 단말장치(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5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장치(2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단말장치(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25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250)는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사용자 맞춤형 문제 정보를 단말장치(200)에 직접 입력하거나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사용자 맞춤형 문제 정보를 다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통상적으로 단말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문제 출제부(261), 정답 및 오답 판단부(262), 잠금해제 제어부(26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관리서버(100)로부터 단말장치(200)에 사용자 맞춤형 문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답의 정답여부를 판단하여 단말장치(200)의 화면잠금해제를 실행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문제 출제부(261)는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학습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디스플레이부(231)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맞춤형 문제는 상황에 따라 객관식 또는 주관식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정답 및 오답 판단부(262)는 디스플레이부(231)에 표시된 맞춤형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한 답이 정답인지 오답인지를 판단하여 정답 또는 오답의 결과를 디스플레이부(231)에 표시할 수 있다.
잠금해제 제어부(263)는 사용자가 입력한 답이 오답일 경우, 잠금해제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잠금해제 제어부(263)는 사용자가 입력한 답이 오답일 경우,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연속하여 출력하도록 문제 출제부(261)를 제어할 수 있다. 잠금해제 제어부(263)는 사용자가 입력한 답이 오답일 경우, 해당 문제에 대한 힌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3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잠금해제 제어부(263)는 사용자가 입력한 답이 정답이면,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여러 동작은 설정에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실행되거나, 복수 개의 동작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답이 오답이면 해당 문제에 대한 힌트 표시 후, 해당 문제에 대해 재입력한 답이 오답이면, 다른 문제를 연속하여 출력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70)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d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동작 순서도 이다.
도 3a 를 참조하면 단말장치(200)는 단말장치(200)의 화면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311). 단말장치(200)의 화면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터치동작은 단말장치(200)의 화면 터치, 전원버튼의 터치, 음량조절 버튼의 터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200)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을 인식하여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단말장치(200)의 잠금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312). 사용자 맞춤형 문제는 사용자 정보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학년, 성별,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빈도,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맞춤형 문제는 사용자 학습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 학습 상황은 사용자의 진도, 사용자의 학습능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잠금 해제 시도 시, 해당 문제에 대한 답을 맞추면 그 다음문제는 더욱 난이도가 있는 문제를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나이 등이 변하게 되면 해당 난이도를 더욱 높혀 출제하는 등 사용자의 상태 등에 대한 정보 변화를 반영하여 출제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맞춤형 문제는 단말장치(200) 자체 내의 메모리부(250)에 미리 전송받아 저장된 문제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맞춤형 문제는 관리서버(10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문제일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맞춤형 문제는 사용자의 잠금 해제 동작 시도 시, 관리서버(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문제일 수 있다.
단말장치(200)는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받을 수 있다(313).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받는 것은, 객관식 문제의 경우,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한 다수의 답 중 정답이라고 생각하는 하나를 일정 시간 동안 터치하거나 해당하는 숫자를 터치하여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받는 것은 터치 입력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장치(200) 내에 구성된 마이크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음성이나 모션으로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받는 것은, 주관식 문제의 경우, 손이나 터치팬을 이용하여 잠금화면에 글씨를 써서 정답을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
단말장치(200)는 입력받은 답의 정답여부를 판단(314)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답이 정답일 경우, 화면잠금해제를 실행할 수 있다(315).
단말장치(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답이 오답일 경우, 화면잠금해제 프로그램을 종료할 수 있다.
도 3a 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장치(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답이 오답일 경우, 기출제된 사용자 맞춤형 문제 이외에 다른 문제를 잠금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기출제된 사용자 맞춤형 문제 이외에 다른 문제는 단말장치(200) 자체 내의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문제일 수 있다. 또한 기출제된 사용자 맞춤형 문제 이외에 다른 문제는 관리서버(10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문제일 수도 있다.
기출제된 사용자 맞춤형 문제의 형태는 객관식일 수 있다. 객관식일 경우, 다른 문제는 기출제된 사용자 맞춤형 문제의 오답과 연관된 문제일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오답은 사용자가 선택한 오답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f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b 를 참조하면 단말장치(200)는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잠금화면에 표시(321)하고, 사용자로부터 답을 입력(322)받고, 입력받은 답의 정답여부를 판단(323)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답이 정답일 경우, 화면잠금해제를 실행할 수 있다(324).
단말장치(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답이 오답일 경우, 문제의 난이도가 레벨1 이하일 경우에는 정답을 공개할 수 있다(327).
단말장치(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답이 오답일 경우, 문제의 난이도가 레벨2 이상일 경우에는 현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문제의 난이도 보다 더 낮은 다른 문제를 잠금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326).
한편, 문제의 난이도에 따른 레벨은 사용자 정보 또는 학습 상황을 반영하여 사용자별로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문제의 난이도에 따른 레벨은 관리서버(100)에서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학습 상황에 따라 분류한 레벨을 말하며, 사용자별로 레벨의 난이도 또는 레벨 단위의 수는 달라질 수 있다.
문제의 난이도가 레벨 2 이상일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문제의 난이도 보다 더 낮은 문제를 잠금화면에 표시하고, 표시하고 난 후의 과정은 도 3a 에서의 과정과 동일하며, 레벨 1이하가 될 때까지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도 3c 를 참조하면 단말장치(200)는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잠금화면에 표시(331)하고, 사용자로부터 답을 입력(332)받고, 입력받은 답의 정답여부를 판단(333)하여 정답일 경우, 화면잠금해제를 실행할 수 있다(334).
단말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오답일 경우, 화면에 정답과 연관된 힌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335). 정답과 연관된 힌트는 문제의 난이도에 따라 자세히 설명될 수 있고, 짧고 간단하게 설명될 수도 있다. 또한, 정답과 연관된 힌트는 문장으로 표현될 수 있고, 그림으로 연관된 힌트를 표현 할 수도 있다.
단말장치(200)는 정답과 연관된 힌트를 화면에 표시한 후, 다시 사용자로부터 답을 입력(336)받을 수 있다.
단말장치(200)는 다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의 정답여부를 판단(337)하여 사용자로부터 다시 입력받은 답이 정답일 경우, 화면잠금해제를 실행할 수 있다(334).
단말장치(200)는 다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오답일 경우, 화면잠금해제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단말장치(200)는 도 3c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오답일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문제의 난이도 보다 더 낮은 문제를 잠금화면에 표시하고, 표시하고 난 후에 도 3a 에서의 과정과 동일하게 레벨 1이하가 될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
도 3d 를 참조하면 단말장치(200)는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잠금화면에 표시(341)하고, 사용자로부터 답을 입력(342)받고, 입력받은 답의 정답여부를 판단(343)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오답일 경우, 화면잠금해제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단말장치(200)는 도 3c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오답일 경우, 기출제된 사용자 맞춤형 문제 이외에 다른 문제를 잠금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일 경우, 화면잠금해제를 실행(344)하고, 잠금 해제 재시도 시, 난이도가 더 높은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잠금화면에 표시하도록 설정 할 수 있다(345). 사용자가 입력한 답이 잠금해제를 시도할 때마다 연속해서 정답일 경우, 레벨은 계속해서 증가될 수 있다. 사용자에 맞추어 미리 설정해 놓은 일정 레벨이 최대 레벨까지 올라갔을 경우, 최대 레벨 수준에서 계속해서 문제를 출제할 수 있으며, 관리자에게 최대 레벨까지 올라간 사실을 통보하여 레벨을 다시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관리자는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학습상황을 잘 알고 있는 교사 또는 학부모일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h 는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를 참조하면 단말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31)는 관리서버(100)로부터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맞춤형 문제는 도 4a 와 같이 객관식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객관식으로 표시된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한 정답의 입력은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한 다수의 답 중 정답이라고 생각하는 하나를 일정 시간 동안 터치하거나 해당하는 숫자를 터치하여 입력할 수 있다.
도 4b 를 참조하면 사용자 맞춤형 문제는 도 4b 와 같이 주관식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주관식으로 표시된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한 정답 입력은 손이나 터치팬을 이용하여 잠금화면에 글씨를 써서 정답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문제에 대한 정답 입력은 단말장치(200)에 설치되어 있는 자판을 이용하여 정답을 입력할 수 있다.
도 4c 를 참조하면 사용자 맞춤형 문제는 도 4c 와 같이 복수개의 객관식 문제로 표시할 수 있다. 복수개의 객관식 문제는 서로 연관된 문제 일 수 있다. 복수개의 객관식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한 정답 입력은 해당하는 문제마다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한 다수의 답 중 정답이라고 생각하는 하나를 일정 시간 동안 터치하거나 해당하는 숫자를 터치하여 입력할 수 있다.
도 4d 를 참조하면 사용자 맞춤형 문제는 도 4d 와 같이 복수개의 주관식 문제로 표시할 수 있다. 복수개의 주관식 문제는 서로 같은 난이도로 조절될 수 있으며, 다른 난이도로도 조절될 수 있다. 복수개의 주관식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한 정답 입력은 해당하는 문제마다 손이나 터치팬을 이용하여 잠금화면에 글씨를 써서 정답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200)에 설치되어 있는 자판을 이용하여 정답을 입력할 수 있다.
도 4e 를 참조하면 사용자 맞춤형 문제는 도 4e 와 같이 오답을 입력했을 경우, 오답이라는 표시와 함께 정답을 유도할 수 있는 힌트 창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f 를 참조하면 사용자 맞춤형 문제는 도 4f 와 같이 오답을 입력했을 경우, 오답이라는 표시와 함께 정답을 표시하여 보여주고, 다음문제를 출제할 때 오답으로 입력했던 답과 연관된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도 4g 를 참조하면 사용자 맞춤형 문제는 도 4g 와 같이 정답 및 오답을 포함한 다수의 답을 단말장치(200)의 화면에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으며, 정답이라고 생각하는 아이콘을 터치하고 드레그 하여 정답입력칸에 입력할 수 있다. 정답입력칸에 정답을 드래그하여 넣는 순간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진동 등의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 시킬 수 있다.
도 4h 를 참조하면 사용자 맞춤형 문제는 도 4h 와 같이 주관식 문제로 표시할 수 있다. 주관식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한 정답 입력은 손이나 터치팬을 이용하여 잠금화면에 글씨를 써서 정답을 입력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관리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및 사용자 입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관리서버(100)와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10)는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단말장치(200)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단말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부합하는 사용자 맞춤형 문제 정보를 단말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소정의 외부 장치와 통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맞춤형 문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관리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사용자 맞춤형 문제 분류부(121) 및 사용자 맞춤형 문제 추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맞춤형 문제 분류부(121)는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맞춤형 문제 정보를 분류할 수 있다. 사용자 맞춤형 문제 분류부(121)는 분류된 사용자 맞춤형 문제 정보를 메모리부(130)에 저장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맞춤형 문제 분류부(121)는 단말장치(200)를 통해 수신되거나 관리자에 의해 직접 관리서버(100)에 입력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정보와 연관되도록 각각의 사용자 맞춤형 문제 정보를 사용자별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맞춤형 문제 분류부(121)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맞춤형 문제 정보를 소정의 기준으로 검색하여 분류할 수 있다.
사용자 맞춤형 문제 정보를 검색하여 분류하는 소정의 기준은 사용자의 나이, 사용자의 진도 및 학습능력 등의 학습상황,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빈도, 단말기 사용시간 등 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맞춤형 문제 분류부(121)는 사용자의 나이, 학년, 진도, 학습능력, 단말기 사용빈도, 단말기 사용시간에 따라 난이도를 조정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문제를 검색하여 각각의 사용자별로 문제를 분류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별로 분류된 문제는 난이도별로 재 분류하여 레벨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레벨은 사용자마다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 학습 상황에 따라 분류한 레벨을 말하며, 사용자별로 레벨의 난이도 또는 레벨 단위의 수는 달라질 수 있다.
사용자 맞춤형 문제 추출부(12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한 답이 오답인 경우, 레벨의 난이도를 현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문제의 난이도 보다 더 낮은 다른 문제를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 맞춤형 문제 추출부(122)에서 생성된 상기 다른문제는 실시간으로 관리서버(100)와 단말장치(200)에서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맞춤형 문제 추출부(122)에서 생성된 상기 다른문제는 단말장치(200)에 일괄적으로 레벨별로 분류된 문제를 관리서버(100)로부터 수신하고, 단말장치(200)의 메모리부(240)에 저장하여 단말장치(200) 자체내에서 문제를 추출하고, 필요시에 관리서버(100)에서 재수신 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130)는 제어부(1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부(130)는 사용자 맞춤형 문제 분류부(121)에서 분류된 사용자 맞춤형 문제 목록과 사용자 맞춤형 문제 추출부(122)에서 사용할 사용자 맞춤형 문제의 검색 기준인 미리 설정된 기준 범위를 상기 사용자 맞춤형 문제 목록과 연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관리자가 직접 사용자를 등록하거나, 관리자가 직접 난이도를 조절하여 사용자별 문제를 등록 또는 선택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문제 추출방식이나 문제 난이도 조절 및 패턴을 제어하기 위하여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관리자는 사용자의 정보에 대해 잘 알고 사용자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나 학부모 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한 내용을 토대로 관리자가 직접 사용자를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원하는 문제의 난이도로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관리서버의 동작 순서도이다.
관리서버(100)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610).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관리서버(100)의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해 관리자가 직접 입력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200)와의 통신을 통해 단말장치(200)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사용자 맞춤형 문제 분류부(121)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분류할 수 있다(620). 사용자 맞춤형 문제 분류부(121)에서는 사용자와 관련된 분류기준을 토대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문제를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 맞춤형 문제 분류부(121)를 통해 검색된 사용자 맞춤형 문제는 통신부(110)를 통해 단말장치(200)로 전송(640)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사용자 맞춤형 문제 추출부(122)를 통해 사용자가 단말장치(200)를 통해 표시된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해 입력한 답이 오답일 경우 난이도를 낮추거나 조절하여 문제를 재검색하여, 통신부(110)를 통해 단말장치(200)로 전송(640)할 수 있다.
일괄적으로 레벨별로 분류된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관리서버(100)로부터 단말장치(200)로 전송한 경우,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해 입력한 답이 오답일 때, 난이도를 낮추거나 조절하여 문제를 재검색하는 것은 단말장치(200) 자체내에서 해결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장치의 잠금해제 제어 시스템의 타임차트이다.
단말장치(200)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S10)받아,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서버(100)로 전송(S20)할 수 있다.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관리서버(100)는 수신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 맞춤형 문제 를 분류할 수 있다(S30). 관리서버(100)는 단말장치(200)는 단말장치(200)를 통해 표시된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해 입력한 답이 오답일 경우 난이도를 낮추거나 조절하여 문제를 재검색하여,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S40). 관리서버(100)는 사용자 맞춤형 문제 및 답을 단말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50). 사용자 맞춤형 문제 및 답을 수신한 단말장치(200)는 단말장치(200)의 화면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터치동작이 인식(S60)되면, 수신된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잠금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70). 단말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잠금화면에 표시된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 받을 수 있다(S80). 단말장치(200)는 입력받은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한 답이 정답인지 오답인지 판단할 수 있다(S90). 단말장치(200)는 입력받은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한 답이 정답으로 판단되어질 경우, 화면잠금해제를 실행할 수 있다(S100). 단말장치(200)는 입력받은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한 답이 오답으로 판단되어질 경우, 다른 문제를 수신하여 잠금화면에 표시하고 상기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다른 문제는 이전 문제보다 난이도가 낮은 문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장치 및 관리서버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제공하는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관리서버
200: 단말장치
1000: 단말장치의 잠금해제 제어 시스템

Claims (10)

  1. 관리서버와 연결된 단말장치의 문답식 잠금해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나이, 단말기 사용시간, 단말기 사용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적합한 맞춤형 문제를 자동 분류하고, 상기 자동 분류된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사용자별로 설정되는 각 레벨의 난이도 또는 레벨 단위의 수에 따라 재분류하고 각각 레벨을 표시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수신하여 잠금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잠금화면에 상기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이면, 잠금화면 상태를 해제하고, 추후 상기 사용자가 잠금화면 상태 해제를 재시도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맞춤형 문제 중에서 이전 시점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정답을 입력받은 문제보다 상위 레벨이 표시된 문제를 상기 잠금화면에 표시하되, 이전 시점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정답을 입력받은 문제가 상기 사용자 맞춤형 문제 중에서 최대 레벨이 표시된 문제인 경우, 상기 사용자 맞춤형 문제 중에서 최대 레벨이 표시된 다른 문제를 상기 잠금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 레벨의 난이도 또는 상기 레벨 단위의 수를 달리하여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다시 분류할 수 있도록 상기 관리서버에 해당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오답이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정답을 입력받아 상기 잠금화면 상태를 해제할 수 있을 때까지 다른 문제를 계속하여 표시하되,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맞춤형 문제 중 현재 표시한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표시된 레벨보다 하위 레벨이 표시된 문제를 순차적으로 상기 잠금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 맞춤형 문제 중에서 가장 낮은 레벨이 표시된 문제가 표시되고 해당 문제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오답이면, 상기 가장 낮은 레벨이 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을 공개하고 상기 잠금화면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문답식 잠금해제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오답이면, 상기 사용자 맞춤형 문제와 연관된 힌트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문답식 잠금해제 제어 방법.
  5. 삭제
  6. 제 1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단말장치의 문답식 잠금해제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7. 관리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의 잠금해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나이, 단말기 사용시간, 단말기 사용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적합한 맞춤형 문제를 자동 분류하고, 상기 자동 분류된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사용자별로 설정되는 각 레벨의 난이도 또는 레벨 단위의 수에 따라 재분류하고 각각 레벨을 표시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수신하여 잠금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잠금화면에 상기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받아 정답인지 확인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이면, 상기 잠금화면 상태를 해제하고, 추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잠금화면 상태 해제를 재시도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맞춤형 문제 중에서 이전 시점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정답을 입력받은 문제보다 상위 레벨이 표시된 문제를 상기 잠금화면에 표시하되, 이전 시점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정답을 입력받은 문제가 상기 사용자 맞춤형 문제 중에서 최대 레벨이 표시된 문제인 경우, 상기 사용자 맞춤형 문제 중에서 최대 레벨이 표시된 다른 문제를 상기 잠금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 레벨의 난이도 또는 상기 레벨 단위의 수를 달리하여 사용자 맞춤형 문제를 다시 분류할 수 있도록 상기 관리서버에 해당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오답이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정답을 입력받아 상기 잠금화면 상태를 해제할 수 있을 때까지 다른 문제를 계속하여 표시하되,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맞춤형 문제 중 현재 표시한 사용자 맞춤형 문제에 표시된 레벨보다 하위 레벨이 표시된 문제를 순차적으로 상기 잠금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 맞춤형 문제 중에서 가장 낮은 레벨이 표시된 문제가 표시되고 해당 문제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오답이면, 상기 가장 낮은 레벨이 표시된 문제에 대한 정답을 공개하고 상기 잠금화면 상태를 해제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잠금해제 제어 시스템.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오답이면, 상기 사용자 맞춤형 문제와 연관된 힌트 정보를 출력하는 잠금해제 제어 시스템.
  10. 삭제
KR1020140078823A 2014-06-26 2014-06-26 단말장치의 문답식 잠금해제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KR101583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823A KR101583791B1 (ko) 2014-06-26 2014-06-26 단말장치의 문답식 잠금해제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823A KR101583791B1 (ko) 2014-06-26 2014-06-26 단말장치의 문답식 잠금해제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079A KR20160001079A (ko) 2016-01-06
KR101583791B1 true KR101583791B1 (ko) 2016-01-19

Family

ID=55165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823A KR101583791B1 (ko) 2014-06-26 2014-06-26 단말장치의 문답식 잠금해제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7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8993A1 (en) 2016-06-17 2017-12-21 Predictive Safety Srp, Inc. Interlock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190127608A (ko) 2018-05-04 2019-11-1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학습 경험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CN114625302A (zh) * 2020-12-10 2022-06-14 炬芯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做题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KR102360797B1 (ko) * 2021-04-30 2022-02-08 조재학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642B1 (ko) 2012-06-19 2014-01-02 유영택 모바일 단말에서의 디스플레이 잠금 상태의 해제 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711B1 (ko) * 2004-11-23 2012-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별 잠금 설정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잠금 설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642B1 (ko) 2012-06-19 2014-01-02 유영택 모바일 단말에서의 디스플레이 잠금 상태의 해제 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079A (ko)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3797B1 (en) Virtual assistant identification of nearby computing devices
US20220121348A1 (en) Method for processing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3040684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EP29528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CN105117146B (zh) 信息提供设备及其方法
EP2395326B1 (en) Method for guiding rout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EP3509330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current geographical location on emergency call interface
CN106797553B (zh) 用于连接到外部设备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电子设备
US20150051913A1 (en) Unlock method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terminal for performing same
US10989559B2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displaying maps
US10742808B2 (en) Mobile terminal for automatically making a telephone convers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101583791B1 (ko) 단말장치의 문답식 잠금해제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US20150319569A1 (en) Mobil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or configuring a remote device
US10740798B2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EP3247170B1 (en) Mobile terminal
JP2018535462A (ja) タッチヒートマップ
CN105526944B (zh) 信息提示方法及装置
US20190346937A1 (en) Mobil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operativ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CN103327445A (zh) 用于提供位置搜索服务的方法及电子设备
EP3280149B1 (en)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contents at terminal, and terminal using same
KR20150108592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2178552B1 (ko) 전자 기기 구동 방법
US9998587B2 (en) Rearranging display of mobile applications based on geolo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