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784B1 - Multiple-tap assembly - Google Patents

Multiple-tap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784B1
KR101583784B1 KR1020150083359A KR20150083359A KR101583784B1 KR 101583784 B1 KR101583784 B1 KR 101583784B1 KR 1020150083359 A KR1020150083359 A KR 1020150083359A KR 20150083359 A KR20150083359 A KR 20150083359A KR 101583784 B1 KR101583784 B1 KR 101583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joint body
joint
contact port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3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승도
Original Assignee
백승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도 filed Critical 백승도
Priority to KR1020150083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78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7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le-tap assembly which comprises an exposed switch unit for determining the supply of power, and a hidden outlet unit, thereby providing simple appearance and facilitating switch operation due to the concealment of the outlet unit. The multiple-tap assembly comprises: an outlet unit which comprises plug insertion parts and has a first contact part touching one surface of a holding object; a switch unit which comprises a combination part and a second contact part touching the other surface of the holding object; and a clamping unit which has one end with a control means for pressurizing the first contact part and controlling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tact part and the second contact part, and has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combination part.

Description

스위치 조작이 용이한 클램핑 설치형 멀티탭 어셈블리{MULTIPLE-TAP ASSEMBLY}[0001] MULTIPLE-TAP ASSEMBLY [0002]

본 발명은 스위치 조작이 용이한 클램핑 설치형 멀티탭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mping mount type multi-tap assembly,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유닛이 별도 노출되고, 콘센트유닛은 은닉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콘센트유닛의 은닉을 통해 깔끔한 외관을 제공함과 더불어 스위치조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멀티탭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tap assembly in which a switch unit for determining power supply is separately exposed, and a socket unit is concealed so as to provide a neat appearance through concealment of the socket unit, .

사무실, 가정, 작업장 등 모든 건물은 전원공급 콘센트에 플러그를 연결하는 형태로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전기설비 시설의 한계로 인해 전원공급 콘센트를 모든 위치에 구비할 수는 없기 때문에, 하나의 콘센트에 다수의 플러그를 연결하기 위해 멀티탭(Multiple-Tap)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All buildings, including offices, homes, and workplaces, are powered by plugging into a power outlet.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electrical installation facility, a power supply outlet can not be provided at all locations, so multiple-tap is widely used to connect multiple plugs to a single outlet.

특히 이러한 멀티탭은 다수의 플러그로 인해 쇼트, 과부하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각 플러그 삽입부마다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하지 않는 플러그 삽입부에는 전원을 인가하지 않는 형태로 안정장치를 마련하고 있다.Particularly, in such a multi-tap, a plurality of plugs may cause an accident such as a short circuit or an overload. In order to prevent this, a plug inserting portion having an on / off switch for each plug inserting portion, A stabilizing device is provided.

그러나 종래의 멀티탭에서는 이러한 온/오프 스위치의 위치가 플러그 삽입부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플러그 삽입부는 깔끔한 외관 관리(선 정리 등)를 위해 보통 사용자의 손이 잘 닿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감안할 때, 온/오프 스위치의 위치상의 불편 때문에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플러그 삽입부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스위치 동작은 많은 번거로움이 동반되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ulti-tap, the position of the on / off switch is provided adjacent to the plug inserting portion. Generally, the plug inserting portion is disposed in a position where the hand of the user is not easily accessible for clean appearance management The switch operation for cutting off the power supply of the plug inserting portion which is not actually used is accompanied by a lot of troubles.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035127호 (2011년05월09일)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이하 종래기술1)에는 수동으로 전원콘센트의 제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원격지에서 원격 PC나 휴대폰 등과 같은 원격제어기기를 통해 접속한 후 전원콘센트 접속구나 전원콘센트 접속구에 꽂혀있는 전자기기의 개별적인 제어 및 전원 온/오프 상태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C 전원의 온/오프와 PC 전원이 꺼졌을 때 전원콘센트 각 접속구의 전원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원격 전원제어 및 대기(낭비)전력 차단기능이 구비된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this problem, in a remote controllable power saving receptacle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rior Art 1 ") of Patent Registration No. 10-1035127 (May 09, 2011), not only a power outlet can be manually controlled, It is possible not only to grasp the individual control of the electronic apparatuses plugged into the power outlet receptacle or the power outlet receptacle and the power on / off status after connecting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such as a remote PC or a mobile phone, There is provided a remote controllable power-saving receptacle device having a remote power control and a standby (power-off) power-off function so that the power of each connection port of the power outlet can be shut off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그러나 단순히 전원공급을 위한 온/오프 스위치의 동작만을 위해 종래기술1과 같은 구성을 채택하는 것은 구조의 복잡성 및 기능의 과탑재로 인한 비용증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adopt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prior art 1 only for the operation of the ON / OFF switch for the power supply simply causes a problem of increased complexity due to overloading of the function and structure.

또 다른 종래기술로, 종래기술1 보다 간편한 구조를 취하면서도 스위치를 콘센트에서 분리한 기술인 공개특허 제10-2014-0105172호 (2014년09월01일) [리드선 권취형 콘센트](종래기술2)가 있는데, 종래기술2에서는 리드선을 통해 스위치를 콘센트에서 분리한 개념이 제시되어 있다.Another prior art is disclosed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4-0105172 (Sep. 01, 2014), which is a technique of separating a switch from a socket while taking a simpler structure than the prior art 1 [Prior Art 2] There is a concept that the switch is disconnected from the outlet through the lead wire.

그러나 역시 리드선의 노출은 단선, 합선 등의 위험이 잔재하고 있기 때문에 스위치의 분리를 제공하면서도 불량발생 및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는 기술의 필요성이 재고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 exposure of the lead wire is left with the danger of disconnection or short circuit, the necessity of the technology which provides the separation of the switch and does not have the risk of defects and safety accidents is reconsidered.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object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유닛이 테이블 상부 또는 측부에 별도 노출되고, 콘센트유닛은 테이블 하부 등에 은닉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콘센트유닛의 은닉을 통해 깔끔한 외관을 제공함과 더불어 스위치조작의 간편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switch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ower is supplied is separately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r the side portion of the table and the socket unit is concea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able or the like so as to provide a neat appearance through concealment of the socket unit, The purpose.

또한 클램핑유닛의 클램핑 정도를 조절볼트의 회동을 통해 제공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거치대상체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the clamping unit of the clamping unit is provided through the rotation of the adjusting bol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ount the clamping unit on the cradle.

아울러 스위치유닛과 클램핑유닛이 슬라이딩 탈착 결합으로 이루어져,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witch unit and the clamping unit are formed by the slidable attachment and detachment coupl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and separate the switch unit and the clamping unit.

나아가 다양한 방향으로 스위치유닛과 클램핑유닛의 슬라이딩 탈착 결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it is possible to slide and attach / detach the switch unit and the clamping unit in various directions so that the mounting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object

복수의 플러그 삽입부를 구비하고 거치대상체의 일면에 접촉하는 제1접촉부를 갖는 콘센트유닛과, 결합부 및 상기 거치대상체의 타면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를 갖는 스위치유닛 및, 일단은 상기 제1접촉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이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클램핑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socket unit having a plurality of plug inserting portions and having a first contact portion contacting one surface of the cradle body; a switch unit having a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contact portion contacting the other surface of the cradle; And a clamping unit coupled to the coupling unit, wherein the clamping un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tact unit and the second contact unit.

또한 상기 클램핑유닛은 상기 스위치유닛의 결합부에 삽입되는 제1관절체, 이 제1관절체에 절곡 연장된 제2관절체 및, 제2관절체에 절곡 연장된 제3관절체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제3관절체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조절볼트, 이 조절볼트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접촉부를 가압하는 밀착판 및, 상기 조절볼트의 하단에 구비된 회전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lamping unit may include a first joint body inserted into a joint portion of the switch unit, a second joint body bent and extended to the first joint body, and a third joint body bent and extended to the second joint body, The adjusting means includes an adjusting bolt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third joint body, a contact plate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adjusting bolt to press the first contacting portion, and a rotating handl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adjusting bolt .

아울러 상기 스위치유닛의 결합부는 결합공 및 단턱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관절체는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되, 상기 단턱홈에 삽입되는 단턱돌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스위치유닛과 상기 클램핑유닛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upling unit of the switch unit includes a coupling hole and a step groove, and the first joint body further includes a step protrusion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the step protrusion being inserted into the single step groove, And are coupled in a sliding manner.

나아가 상기 제2관절체는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되, 상기 단턱홈에 삽입되는 제2단턱돌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스위치유닛과 상기 클램핑유닛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econd joint body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tep protrusion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and inserted into the step groove, wherein the switch unit and the clamping unit are coupled in a sliding manner.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콘센트유닛의 은닉을 통해 깔끔한 외관을 제공함과 더불어 스위치조작의 간편성을 제공하고, 또한 간편하게 거치대상체에 거치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ean appearance through the concealment of the outlet unit, simplif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and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cradle.

아울러 클램핑유닛과 스위치유닛이 간편하게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여, 고장 발생 시 쉽게 분리하여 수리가 가능하고, 나아가 다양한 방향으로 스위치유닛과 클램핑유닛의 슬라이딩 탈착 결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clamping unit and the switch uni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so that they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paired in the event of a failure. Further, the switch unit and the clamping unit can be slidably engaged and disengaged in various directions, .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클램핑유닛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클램핑유닛)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view of a clamping unit)
4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mping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유닛(2)이 테이블 상부에 별도 노출되어 스위치 조작이 용이한 클램핑 설치형 멀티탭 어셈블리(M)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mping mount type multi-tap assembly (M) in which a switch unit (2)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supply power is separately exposed on an upper part of a table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switch.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조작이 용이한 클램핑 설치형 멀티탭 어셈블리(이하 본 멀티탭 어셈블리(M))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lamping mount type multi-tap assemb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ulti-step assembly M) that facilitates operation of a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멀티탭 어셈블리(M)는 크게 콘센트유닛(1), 스위치유닛(2) 및 클램핑유닛(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rst, as shown in Fig. 1, this multi-tap assembly M mainly comprises an outlet unit 1, a switch unit 2 and a clamping unit 3. [

각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유닛(1)은 복수의 플러그 삽입부(11)를 구비하고 거치대상체의 일면에 접촉하는 제1접촉부(1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and 2, the receptacle unit 1 includes a plurality of plug inserting portions 11 and a first contact portion 13 which contacts one surface of the cradle body .

플러그 삽입부(11)는 공급되는 전원을 분배하여 다수의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도록 홈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lug inserting portion 11 is provided in a groove shape so that a plurality of plugs can be inserted by distributing supplied power.

제1접촉부(13)는 거치대상체의 일면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여기에서 거치대상체는 테이블, 작업대, 기둥 등 일정한 두께를 가져 클램핑유닛(3)을 통해 본 멀티탭 어셈블리(M)를 고정할 수 있는 설치대를 의미한다.The first contact portion 13 is configured to contact one surface of the cradle body, wherein the cradle body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such as a table, a work table, a column, or the like so as to fix the multi-tap assembly M seen through the clamping unit 3 Stands for installation.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유닛(1)은 플러그 삽입부(11)를 감싸고 일 측에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15)과 개구부를 덮는 커버(1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and 2, the receptacle unit 1 further comprises a housing 15 which surrounds the plug insertion portion 11 and has an opening at one side thereof and a cover 17 which covers the opening portion.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5)에는 플러그 삽입부(11)에 삽입되는 플러그의 케이블이나 또는 콘센트유닛(1)의 케이블(전원공급용 콘센트에 연결됨)이 통과하는 케이블공(15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공(151)은 삽입된 케이블에 의한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테두리에 두텁부(도 2 참조, 도면참조부호 미병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2, a cable of a plug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portion 11 or a cabl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receptacle) of the outlet unit 1 is passed through the housing 15 A cable hole 151 may be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able hole 151 is provided with a thick part (refer to FIG. 2, not shown in the drawing) on the rim to prevent deformation or damage by the inserted cable.

아울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5)의 개구부 측 단부에는 결속홈(153)이 구비되고, 커버(17)의 양 단부에는 이 결속홈(153)에 삽입되는 결속돌기(173)가 구비될 수 있다. 결속홈(153) 및 결속돌기(173)의 도입을 통해 하우징(15)과 커버(17)는 상호 억지 끼움 형태로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하우징(15) 내 플러그 삽입부(11)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또는 플러그 삽입부(11)에 결합된 각 플러그들을 분리하거나 하는 등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1 and 2, a binding groove 153 is provided at an opening side end portion of the housing 15, and at both ends of the cover 17, a coupling protrusion 173 May be provided. The housing 15 and the cover 17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coupling groove 153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73 so that the plug insertion portion 11 in the housing 15 is broken Or the operation of separating each plug coupled to the plug inserting portion 11 can be facilitated.

또한 결속돌기(173)와 결속홈(153)의 억지 끼움 결합을 지지하기 위해, 결속홈(153)은 결속돌기(173)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수용부(153a) 및 수용부(153a)의 외측 단부에 구비되고 이 수용부(153a)보다 크기가 작은 개구단부(153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upling groove 153 is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153a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173 and the receiving portion 153a having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173 in order to support the interference fit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 173 and the coupling groove 153. [ And an opening end portion 153b provided at the outer end portion and smaller in size than the receiving portion 153a.

따라서 커버(17)의 결속돌기(173) 억지 끼움 결합 시, 외력에 의해 억지로 개구단부(153b)를 통과한 결속돌기(173)가 수용부(153a)에 안착되면, 개구단부(153b)에 의해 결속돌기(173)의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를 갖는다.Therefore,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173, which has forcedly passed through the opening end portion 153b by the external force, is se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53a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173 of the cover 17 is forcibly engaged, the opening end portion 153b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173 is prevented from coming off.

아울러 결속돌기(173) 및 결속홈(153)은 상하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또한 결속홈(153)은 결속돌기(173)의 착탈 시 변형이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두텁부(도 2 참조, 도면참조부호 미병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upling projections 173 and the coupling grooves 153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parts and the coupling grooves 153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tubular portion to prevent the coupling projections 173 from being deformed or damaged when attaching / 2, reference numerals denoted by reference numerals).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스위치유닛(2) 및 클램핑유닛(3)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switch unit 2 and the clamping unit 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유닛(2)은 결합부(21) 및 거치대상체의 타면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2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witch unit 2 is characterized by having the engag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abutting portion 23 contacting the other face of the cradle.

결합부(21)는 클램핑유닛(3)이 결합되는 구성으로, 도 1 및 도 2에서는 결합부(21)가 스위치유닛(2)의 하부에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1 and 2, the engaging portion 21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witch unit 2. As shown in Fig.

제2접촉부(23)는 거치대상체의 타면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거치대상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한 제1접촉부(13)와 거치대상체의 두께만큼 이격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ontact portion 23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cradle body and is position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13 by the thickness of the cradle body via the cradle.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유닛(3)은 일단은 상기 제1접촉부(13)를 가압하여 상기 제1접촉부(13) 및 제2접촉부(23)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수단(40)이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결합부(2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lamping unit 3 is provided with adjusting means 40 for press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13 and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tact portion 13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23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engaging part 21. As shown in FIG.

도 1 및 도 2의 실시에 따르면, 조절수단(40)은 제1접촉부(13)를 가압하여 제1접촉부(13)의 수직 위치를 조절하고, 이를 통해 거치대상체의 일면은 조절수단(40)에 의해 가압되는 콘센트유닛(1)의 제1접촉부(13)가, 타면은 클램핑유닛(3)의 타단(스위치유닛(2)의 제2접촉부(23))이 압박하여 거치대상체를 클램핑할 수 있어, 거치대상체에 콘센트유닛(1)을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ures 1 and 2, the adjusting means 40 presses the first abutment 13 to adjust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irst abutment 13, whereby one side of the abutment is pressed against the adjusting means 40, The first contact portion 13 of the socket unit 1 to be pressed by the clamping unit 3 is pressed by the other end of the clamping unit 3 (the second contact portion 23 of the switch unit 2) So that the socket unit 1 can be fixed to the cradle upper body.

이러한 조절수단(40)은 본 발명의 핵심 특징으로 기인하는데, 예를 들면 본 멀티탭 어셈블리(M)를 사무실의 테이블(거치대상체)에 설치하는 경우, 스위치 온오프 조작의 편의를 위해 테이블의 상면에는 스위치유닛(2)이 거치되고, 테이블의 하부에는 콘센트유닛(1)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이 때 테이블의 상면에는 스위치유닛(2)의 제2접촉부(23)(클램핑유닛(3)의 타단)가 접촉되고, 테이블의 하면에는 콘센트유닛(1)의 제1접촉부(13)가 접촉되며, 제1접촉부(13)를 가압하는 조절수단(40)에 의해 클램핑 동작이 지지되는 식의 실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resent multi-tap assembly M is installed on a table (cradle) of an office, the adjustment means 4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The socket unit 1 can be arranged at the lower part of the table and the second contact part 23 of the switch unit 2 (the other end of the clamping unit 3 And the clamping operation is supported by the adjusting means 40 which presses the first contact portion 13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13 of the socket unit 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table Lt; / RTI >

보다 구체적인 클램핑유닛(3)의 실시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한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The implementation of the more specific clamping unit 3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이하 도 1 및 도 2, 추가로 도 3(클램핑유닛(3)의 상세도)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도 3을 기본으로 설명하되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부분은 도 1 및 도 2를 통해 참고할 수 있다.)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nd further to Fig. 3 (a detailed view of the clamping unit 3) (Fig. 3 will be explained on the basis of Fig. 3, 1 and 2). ≪ RTI ID = 0.0 >

본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클램핑유닛(3)은 스위치유닛(2)의 결합부(21)에 삽입되는 제1관절체(31), 이 제1관절체(31)에 절곡 연장된 제2관절체(33) 및, 제2관절체(33)에 절곡 연장된 제3관절체(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rst, the clamping unit 3 includes a first joint body 31 inserted into the engaging portion 21 of the switch unit 2, a second joint body 31 bending and extending to the first joint body 31, And a third joint body (35) bent and extended to the second joint body (33).

도 3을 기준으로, 제1관절체(31)는 상부에 수평 배치된 구성이고, 제2관절체(33)는 제1관절체(31)와 이어지는 수직 배치된 구성이고, 제3관절체(35)는 제2관절체(33)와 이어지고 제1관절체(31)와 수평을 이루는 구성으로, 제1 내지 제3관절체(31)(33)(35)는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3, the first joint member 31 is horizontally arranged on the upper side, the second joint member 33 is arranged vertically following the first joint member 31, and the third joint member 33 35 are connected to the second joint body 33 and are horizontal with the first joint body 31 and the first to third joint bodies 31, 33, 35 are integrally formed .

상기 구조에서 제1관절체(31)와 제2관절체(33) 사이에는 절곡된 제1관절부(32)가, 제2관절체(33)와 제3관절체(35) 사이에는 절곡된 제2관절부(34)가 구비될 수 있고, 제1관절부(32) 및 제2관절부(34)는 주물 성형 또는 벤딩 작업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structure, the first joint part 32 is bent between the first joint body 31 and the second joint body 33 and the bent joint part 32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joint body 33 and the third joint body 35, The first joint portion 32 and the second joint portion 34 may be formed by casting or bending operations.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수단(40)은 제3관절체(35)에 형성된 관통공(351)에 삽입되는 조절볼트(41), 이 조절볼트(41) 상단에 구비되어 제1접촉부(13)를 가압하는 밀착판(43) 및, 조절볼트(41)의 하단에 구비된 회전손잡이(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the adjusting means 40 includes an adjusting bolt 41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51 formed in the third joint body 35, the adjusting bolt 41, And a rotary knob 45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adjustment bolt 41. The rotary knob 45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adjustment bolt 41,

조절볼트(41)는 나사산을 구비하고 관통공(351)에 관통 삽입된 구성으로, 조절볼트(41)의 회동에 의해 나사산을 따라 조절보트 상단에 구비된 밀착판(43)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여 제1접촉부(13) 및 제2접촉부(23)(제1관절체(31)의 하면) 간의 이격 거리를 좁히거나 또는 늘리거나 하여 거치대상체에 콘센트유닛(1)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adjusting bolt 41 has a threaded por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51. The adjusting bolt 41 is pivoted so that the tightening plate 43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adjusting boat is threaded upward or downwar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tact portion 13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23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joint member 31) is narrowed or increased to fix the socket unit 1 to the cradle upper body .

또한 회동손잡이는 조절볼트(41)의 회동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회동손잡이를 돌려서 조절볼트(41)의 승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Further, the turning knob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rotation of the adjusting bolt 41, so that the user can rotate the turning knob to adjust the elevation of the adjusting bolt 41. [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회동손잡이 조작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해, 본 멀티탭 어셈블리(M)는 회전손잡이(45) 외면에 구비된 그립강화돌기(45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3, the multi-tap assembly M further includes a grip reinforcement protrusion 451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rotary knob 45 to provide ease of operation of the user's turning knob. do.

그립강화돌기(451)는 중앙에 편평부(451b)와 이 편평부(451b) 양측에 구비된 라운드부(451a)로 이루어지는데, 사용자가 회전손잡이(45)를 잡고 돌리는 경우, 일정 마찰력이 제공되지 않으면 회전손잡이(45)를 돌리는데 어려움이 따르므로, 회전손잡이(45)는 편평부(451b)를 통해 그립강화돌기(451)와 사용자의 손 피부와의 마찰력을 제공하여 회전력이 부여되도록 한다. 또한 편평부(451b)를 통해 회전손잡이(45)를 회동시킬 때, 너무 강한 마찰력은 사용자의 손에 고통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회전손잡이(45)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편평부(451b)의 양 측에 라운드부(451a)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고통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grip reinforcing projection 451 includes a flat portion 451b at the center and a round portion 451a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flat portion 451b. When the user holds the rotary knob 45 and rotates, The rotary knob 45 provides a friction force between the grip reinforcing protrusion 451 and the skin of the user's hand through the flat portion 451b so that the rotary knob 45 is given a rotational force. Further, when the rotary knob 45 is pivoted through the flat portion 451b, too strong a frictional force may cause pain to the user's hand, so that the rotary knob 45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lat portion 451b The round portion 451a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451a so that the pain of the user can be reduced.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멀티탭 어셈블리(M)는 스위치유닛(2)의 결합부(21)는 결합공(211) 및 단턱홈(213)으로 이루어지고, 제1관절체(31)는 상기 결합공(211)에 결합되되, 단턱홈(213)에 삽입되는 단턱돌기(313)를 더 포함하여, 스위치유닛(2)과 클램핑유닛(3)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in the present multi-tap assembly M, the coupling portion 21 of the switch unit 2 is composed of the coupling hole 211 and the single step groove 213, The one joint body 31 further includes a step protrusion 313 which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11 and is inserted into the end groove 213 so that the switch unit 2 and the clamping unit 3 are slidable .

도 3에서 확인 가능하듯이, 결합공(211)은 제1관절체(31)가 통과하는 구성이고, 단턱홈(213)은 결합공(211) 상부에 외측으로 움푹 들어간 구성으로, 단턱홈(213)에는 제1관절체(31) 상부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단턱돌기(313)가 결합된다.3, the coupling hole 211 is configured to allow the first joint body 31 to pass therethrough, and the step groove 213 is recessed outwar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hole 211, 213 are coupled to a stepped protrusion 313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first joint body 31.

따라서 제1관절체(31)는 단턱돌기(313)를 통해 단턱홈(213)에 안내되어 결합공(211) 내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결합은 클램핑유닛(3)을 통해 거치대상체에 콘센트유닛(1)을 고정시킨 후, 클램핑유닛(3)과 스위치유닛(2) 간의 결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first joint body 31 is guided by the stepped protrusion 313 to be guided by the single-step groove 213 and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11. This coupling is achieved through the clamping unit 3 After the receptacle unit 1 is fixed to the cradle body, the coupling between the clamping unit 3 and the switch unit 2 can be made simple.

도 3에는 본 멀티탭(M)의 추가적인 특징(보강수단(50))에 관한 실시가 도시되어 있다.FIG. 3 shows an implementation of an additional feature (reinforcing means 50) of the present multi-tap M. FIG.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관절체(32)는 제2관절체(33)의 외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관절체(33)보다 큰 폭을 갖는 제2단턱돌기(5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제2단턱돌기(51)는 스위치유닛(2)의 결합부(21)에 구비된 단턱홈(213)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제2관절체(33)를 결합부(21)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게 하는데, 보다 구체적인 제2단턱돌기(51)에 관한 실시는 도 4를 참고하여 후술하기로 한다.3, the second joint body 32 includes a second joint protrusion 51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joint body 33 and having a greater width than the second joint body 33 . This second step projection 51 is inserted into the step groove 213 provided in the engaging portion 21 of the switch unit 2 and the second joint member 33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portion 21 in a sliding manner The embodiment of the second step projection 51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또한, 도 3에는 제1관절체(31)의 절곡부위에 구비되고 측방으로 돌출된 스토퍼(52)의 실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52)는 제1관절체(31)에 강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상기한 단턱홈(213) 및 단턱돌기(313)를 통한 스위치유닛(2)과 클램핑유닛(3)의 슬라이딩 결합에 있어서, 제2관절체(33)(클램핑유닛(3))의 이동을 제한한다.3 shows the embodiment of the stopper 52 provided at the bent portion of the first joint member 31 and projecting laterally. 3, the stopper 52 imparts rigidity to the first joint member 31, and at the same time, the switch unit 2 and the clamping member 31 via the single step groove 213 and the step projection 313, In the sliding engagement of the unit 3, the movement of the second joint body 33 (clamping unit 3) is restricted.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멀티탭 어셈블리(M)는 일단은 제1접촉부(13)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콘센트유닛(1)의 후면에 고정된 보강부(5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강부(53)는 제1접촉부(13)의 하부를 지지하는데, 하우징(15)에서 연장된 위치에 제1접촉부(13)의 구비를 가능하게 하여, 제1접촉부(13)와 거치대상체의 접촉 면적을 보다 넓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설치 시 고정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1, the multi-tap assembly M includes a reinforcing portion 53 having one end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13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ocket unit 1 . The reinforcing portion 53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13 and allows the first contact portion 13 to be provided at a position extending from the housing 15 to allow the first contact portion 13 and the cradle- The contact area can be widened, and the stability of fixing can be ensured through installation.

도 4는 본 발명의 클램핑유닛(3)에 관한 제2실시예다.Fig. 4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clamping uni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르면 본 멀티탭 어셈블리(M)의 제2관절체(32)는 결합공(211)에 결합되되, 단턱홈(213)에 삽입되는 제2단턱돌기(51)를 더 포함하여, 스위치유닛(2)과 클램핑유닛(3)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econd joint body 32 of the present multi-tap assembly M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11, (51), and the switch unit (2) and the clamping unit (3) are coupled in a sliding manner.

상기한 바와 같이 제2단턱돌기(51)는 제2관절체(33)의 외면에 구비되고 제2관절체(32)보다 큰 폭을 갖는데, 이러한 제2단턱돌기(51)를 통해 도 4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콘센트유닛(1)과 함께 거치대상체에 고정된 클램핑유닛(3)의 측부에 스위치유닛(2)을 장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step projection 51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articulation body 33 and has a greater width than the second articulation body 32. Through this second step projection 51, The switch unit 2 can be mounted on the side of the clamping unit 3 fixed to the cradle body together with the receptacle unit 1 as can be confirmed.

아울러 제2관절체(32)를 스위치유닛(2)의 결합부(21)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해, 제2단턱돌기(51)의 단부에는 제2스토퍼(5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토퍼(54)는 제2관절체(32)의 절곡부위, 즉 제2관절부(34) 인접 위치에 형성되고 측방으로 돌출된 구성으로, 제2스토퍼(54)는 제2관절체(32)에 강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상기한 단턱홈(213) 및 제2단턱돌기(51)를 통한 스위치유닛(2)과 클램핑유닛(3)의 슬라이딩 결합에 있어서, 제1관절체(32)(클램핑유닛(3))의 이동을 제한한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second stopper 54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econd step projection 51 in order to couple the second joint body 32 to the coupling part 21 of the switch unit 2 in a sliding manner . 4, the second stopper 54 is formed at a bent portion of the second joint body 32, that is,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joint portion 34, In the sliding engagement between the switch unit 2 and the clamping unit 3 via the single step groove 213 and the second step projection 51, the rigidity is imparted to the second joint body 32, Thereby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joint member 32 (clamping unit 3).

추가로, 도 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관절체(31) 및 제2관절체(32)의 스토핑은 결합공(211)을 폐쇄하는 제3스토퍼(56)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4 (A), the stopping of the first joint body 31 and the second joint body 32 is performed through the third stopper 56 closing the engagement hole 211 It is possible.

이러한 제1 내지 제3스토퍼(52)(54)(56)를 통해, 스위치유닛(2)은 거치대상체의 상부 또는 측부에 구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본 멀티탭 어셈블리(M)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위치의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Through the first to third stoppers 52, 54 and 56, the switch unit 2 can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r the side portion of the cradle, and the multi-tap assembly M viewed through the switch unit 2 can provide convenience So that it is possible to install various positions.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일면이라 함은 첨부된 도면상의 하면을 의미하고, 타면이라 함은 첨부된 도면상의 상면을 의미하나, 본 멀티탭 어셈블리(M)가 반드시 상하면으로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면'또는'타면'으로 지칭하였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one side " means the lower side of the attached drawings, and the " other side " means the upper side in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 'One side' or 'one side'.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illustration, .

M: 멀티탭 어셈블리
1: 콘센트유닛 11: 플러그 삽입부
13: 제1접촉부 15: 하우징
17: 커버
2: 스위치유닛 21: 결합부
211: 결합공 213: 단턱홈
23: 제2접촉부
3: 클램핑유닛
31: 제1관절체 313: 단턱돌기
32: 제1관절부 33: 제2관절체
34: 제2관절부 35: 제3관절체
351: 관통공
40: 조절수단 41: 조절볼트
43: 밀착판 45: 회전손잡이
50: 보강수단 51: 제2단턱돌기
52: 스토퍼 53: 보강부
M: Multi-tap assembly
1: receptacle unit 11: plug insertion part
13: first contact portion 15: housing
17: cover
2: Switch unit 21:
211: coupling hole 213:
23: second contact portion
3: Clamping unit
31: First articulation body 313:
32: first joint part 33: second joint part
34: second joint 35: third joint
351: Through hole
40: adjusting means 41: adjusting bolt
43: close plate 45: rotary knob
50: reinforcing means 51: second step projection
52: stopper 53: reinforcing portion

Claims (4)

복수의 플러그 삽입부(11)를 구비하고 거치대상체의 일면에 접촉하는 제1접촉부(13)를 갖는 콘센트유닛(1);
결합부(21) 및 상기 거치대상체의 타면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23)를 갖는 스위치유닛(2); 및
일단은 상기 제1접촉부(13)를 가압하여 상기 제1접촉부(13) 및 제2접촉부(23)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수단(40)이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결합부(21)에 결합되는 클램핑유닛(3);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클램핑유닛(3)은 상기 스위치유닛(2)의 결합부(21)에 삽입되는 제1관절체(31), 이 제1관절체(31)에 절곡 연장된 제2관절체(33) 및, 제2관절체(33)에 절곡 연장된 제3관절체(35)를 포함하고,
상기 제1관절체(31)와 상기 제2관절체(33) 사이에 절곡 형성된 제1관절부(32) 및, 상기 제2관절체(33)와 상기 제3관절체(35) 사이에 절곡 형성된 제2관절부(3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수단(40)은 상기 제3관절체(35)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조절볼트(41), 이 조절볼트(41)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접촉부(13)를 가압하는 밀착판(43) 및, 상기 조절볼트(41)의 하단에 구비된 회전손잡이(45)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유닛(2)의 결합부(21)는 결합공(211) 및 단턱홈(2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관절체(31)는 상기 결합공(211)에 결합되되, 상기 단턱홈(213)에 삽입되는 단턱돌기(313)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스위치유닛(2)과 상기 클램핑유닛(3)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1관절체(31)의 절곡부위에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관절체(31)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52)가 구비되고,
상기 제2관절체(33)는 상기 결합공(211)에 결합되되, 상기 단턱홈(213)에 삽입되는 제2단턱돌기(51)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스위치유닛(2)과 상기 클램핑유닛(3)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2관절체(33)의 절곡부위에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관절체(33)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5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어셈블리.
An outlet unit (1) having a plurality of plug inserting portions (11) and having a first contact portion (13) contacting one surface of the cradle;
A switch unit (2) having an engaging portion (21) and a second abutting portion (23) contacting the other face of the cradle body; And
And a control means 40 for controll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tact portion 13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23 by press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13 at one end and the adjusting means 40 for controll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tact portion 13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23, A clamping unit (3) coupled thereto;
≪ / RTI >
The clamping unit 3 includes a first joint body 31 inserted into a coupling portion 21 of the switch unit 2, a second joint body 33 bent and extended to the first joint body 31, And a third joint body (35) which is bent and extended to the second joint body (33)
A first joint part 32 formed between the first joint body 31 and the second joint body 33 and a second joint part 32 formed between the second joint body 33 and the third joint body 35, Further comprising a second joint (34)
The adjusting means 40 includes an adjusting bolt 41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third joint body 35 and a pressing plate 41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adjusting bolt 41 to press the first contacting portion 13, (43), and a rotary knob (45)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adjustment bolt (41)
The coupling unit 21 of the switch unit 2 includes a coupling hole 211 and a single step groove 213. The first joint member 31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11, Further comprising a stepped protrusion (313) inserted into the clamping unit (213), wherein the switch unit (2) and the clamping unit (3)
A stopper 52 protruding sideways and restricting movement of the first joint member 31 is provided at a bent portion of the first joint member 31,
The second joint body 33 further includes a second step projection 51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11 and inserted into the end groove 213. The switch unit 2 and the clamping unit (3) are coupled in a sliding manner,
And a second stopper (54) protruding laterally from the bent portion of the second joint body (33) to restrict movement of the second joint body (3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유닛(1)은 상기 플러그 삽입부(11)를 감싸고 일 측에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15)과 개구부를 덮는 커버(17)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15)에는 상기 플러그 삽입부(11)에 삽입되는 플러그의 케이블 또는 콘센트유닛(1)의 전원공급용 케이블이 통과하고, 테두리에 두텁부가 구비된 케이블공(151)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5)의 개구부 측 단부에는 결속홈(153)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17)의 양 단부에는 상기 결속홈(153)에 삽입되는 결속돌기(17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ptacle unit (1) comprises a housing (15) surrounding the plug insertion portion (11) and having an opening at one side thereof and a cover (17) covering the opening portion,
The housing 15 is formed with a cable hole 151 through which a cable for a plug inserted into the plug insertion portion 11 or a power supply cable for the socket unit 1 passes,
Wherein a binding groove 153 is formed at an opening side end portion of the housing 15 and a coupling protrusion 173 inserted into the binding groove 153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ver 17. [ assembl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속홈(153)은 상기 결속돌기(173)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수용부(153a) 및 수용부(153a)의 외측 단부에 구비되고 수용부(153a)보다 크기가 작은 개구단부(153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2,
The binding groove 153 has a receiving portion 153a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173 and an opening end 153b provided at an out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153a and smaller than the receiving portion 153a, And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ulti-tap assembly.
청구항 3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제1접촉부(13)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콘센트유닛(1)의 후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접촉부(13)의 하부를 지지하는 보강부(53) 및, 상기 결합공(211)을 폐쇄하는 제3스토퍼(5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3,
A reinforcing portion 53 having one end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13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ocket unit 1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13, Further comprising a third stopper (56) for closing the first stopper (56).
KR1020150083359A 2015-06-12 2015-06-12 Multiple-tap assembly KR1015837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359A KR101583784B1 (en) 2015-06-12 2015-06-12 Multiple-tap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359A KR101583784B1 (en) 2015-06-12 2015-06-12 Multiple-tap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784B1 true KR101583784B1 (en) 2016-01-08

Family

ID=55170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359A KR101583784B1 (en) 2015-06-12 2015-06-12 Multiple-tap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78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591A (en) * 2021-04-06 2022-10-13 이석환 Concentric plug and wall fixing apparatus
KR102617243B1 (en) * 2023-08-29 2023-12-27 윤범식 Multi-purpose multi-ta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995Y1 (en) * 2002-06-07 2002-10-04 주식회사 텔리넷 Concentric plug with clamp
KR200335092Y1 (en) * 2003-09-18 2003-12-06 이강일 Switch separation type multi concent
JP2012053990A (en) * 2010-08-31 2012-03-15 Kokuyo Co Ltd Outlet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995Y1 (en) * 2002-06-07 2002-10-04 주식회사 텔리넷 Concentric plug with clamp
KR200335092Y1 (en) * 2003-09-18 2003-12-06 이강일 Switch separation type multi concent
JP2012053990A (en) * 2010-08-31 2012-03-15 Kokuyo Co Ltd Outlet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591A (en) * 2021-04-06 2022-10-13 이석환 Concentric plug and wall fixing apparatus
KR102520461B1 (en) 2021-04-06 2023-04-10 이석환 Concentric plug and wall fixing apparatus
KR102617243B1 (en) * 2023-08-29 2023-12-27 윤범식 Multi-purpose multi-ta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003B1 (en) Multi concent equipped with wireless charger
EP2806765B1 (en) Reduced profile pop-up electrical receptacle assembly
US8237064B2 (en) Cover plate and kit of parts, including said plate, for wall mounting of an electrical apparatus
CA2832523C (en) Child-resistant plug
US8193447B2 (en) Electrical outlet plate control arrangement
CN111082273B (en) Rotary socket
KR101583784B1 (en) Multiple-tap assembly
US11239647B2 (en) System for coupling accessories and/or components
JP5212709B2 (en) Electrical equipment mounting structure
US9300086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lip connector
US20100264008A1 (en) Standby power cut-off switch
WO2018126537A1 (en) Connec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8604371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witch control unit
US7820929B2 (en) Electrical interface shield and method
KR101323598B1 (en) Multi-tap
US11258202B2 (en) Secure outlet device and method
KR101459093B1 (en) Multi-tap fixed on hole of desk
CA3068493A1 (en) Wireless charger device
EP2541933B1 (en) Assembly and connection device of a video door entry system monitor
KR20130112396A (en) Connector
JP2008187069A (en) Mounting structure for remote controller
KR101925207B1 (en) one touch typed concent
WO2016193734A1 (en) Improvements to apparatus and a method to a charger assembly to facilitate electrical device charging and/or operation
AU2006341200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component installation
JP3095215U (en) Socket assembly with switch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