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580B1 - Heat exchanger - Google Patents

Heat exchan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580B1
KR101582580B1 KR1020130011839A KR20130011839A KR101582580B1 KR 101582580 B1 KR101582580 B1 KR 101582580B1 KR 1020130011839 A KR1020130011839 A KR 1020130011839A KR 20130011839 A KR20130011839 A KR 20130011839A KR 101582580 B1 KR101582580 B1 KR 101582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pipe
water pipe
tube portion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8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99070A (en
Inventor
이병휘
이주석
문정욱
김정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1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580B1/en
Priority to EP13193106.5A priority patent/EP2762820B1/en
Priority to ES13193106.5T priority patent/ES2574429T3/en
Priority to US14/089,951 priority patent/US9677819B2/en
Priority to EP14151438.0A priority patent/EP2762821B1/en
Publication of KR20140099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0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5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spirally co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쉘과; 쉘 내부에 위치되는 나선관부과 상기 쉘을 관통하는 제 1, 2 쉘 관통관부를 갖는 냉매튜브와; 쉘 내부로 열원수를 입수 안내하는 입수관과; 상기 쉘 내부에 위치되는 이너 출수관과; 상기 이너 출수관 내부의 열원수가 출수 안내되는 아우터 출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냉매튜브는 상기 제 1, 2 쉘 관통관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이너 출수관을 관통하여 냉매튜브의 유로 면적이 큰 경우에도 컴팩트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The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hell; A refrigerant tube having first and second shell through-pipe portions penetrating the spiral tube portion and the shell; A water inlet tube for guiding the heat source water into the shell; An inner water pipe positioned inside the shell; Wherein the refrigerant tube has a refrigerant tube portion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tube passes, the refrigerant tube having a first refrigerant tube portion and a second refrigerant tube por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made compact.

Description

열교환기{Heat exchanger}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쉘 내부에 나선형으로 감긴 나선관부가 위치된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exchan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 exchanger in which a helical tube portion wound in a spiral shape is located inside a shell.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2개의 유체 사이에서 열을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냉방, 난방, 급탕(給湯) 등으로 폭넓게 사용된다.Generally, a heat exchanger is a device for moving heat between two fluids, and is widely used for cooling, heating, hot water supply, and the like.

열교환기는 폐열을 회수하는 폐열 회수 열교환기로 기능하거나 고온측 유체를 냉각시키는 냉각기로 기능하거나 저온측 유체를 가열시키는 가열기로 기능하거나 증기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로 기능하거나 저온측 유체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다.The heat exchanger functions as a waste heat recovering heat exchanger for recovering the waste heat or as a cooler for cooling the hot fluid or as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vapor or as an evaporator for evaporating the coolant fluid .

열교환기는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고, 제 1 유체가 통과하는 튜브와, 튜브에 설치된 핀을 갖는 핀 튜브형 열교환기와, 제 1 유체가 통과하는 쉘과, 제 1 유체와 열교환되기 위한 제 2 유체가 통과하는 튜브를 포함하는 쉘 튜브형 공기조화기와, 제 1 유체가 통과하는 내측관과 제 1 유체와 열교환되는 제 2 유체가 통과하고 내측관을 둘러싸고 외측관을 갖는 이중관 열교환기와, 제 1 유체와 제 2 유체가 전열판을 사이에 두고 통과하는 판형 열교환기 등이 있다.Various types of heat exchangers may be used, including a tube through which the first fluid passes, a finned tube heat exchanger with the fin provided on the tube, a shell through which the first fluid passes, and a second fluid through which heat exchange with the first fluid passes A dual tube heat exchanger having an inner tube through which the first fluid passes and a second fluid that undergoes heat exchange with the first fluid and surrounds the inner tube and has an outer tube; And a plate heat exchanger in which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heat transfer plate.

열교환기 중 쉘 튜브형 열교환기는 튜브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나선 형상의 튜브가 쉘 내부에서 제 1 유체와 제 2 유체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제 1 유체는 쉘 내부로 유입되어 쉘 내부를 통과하면서 제 2 유체를 가열시키거나 냉각시킬 수 있고, 제 2 유체는 튜브를 통과하면서 제 1 유체와 열교환할 수 있다. The shell tubular heat exchanger in the heat exchanger can be formed in a spiral shape, and the spiral tube can heat exchange the first fluid and the second fluid inside the shell. The first fluid can flow into the shell and pass through the shell to heat or cool the second fluid, and the second fluid can exchange heat with the first fluid as it passes through the tube.

KR 10-0353334 B1(2003.02.07)KR 10-0353334 B1 (2003.02.07)

종래 기술에 따른 열교환기는 흡기 매니폴드 및 배기 매니폴드에 의해 내부 구조가 복잡하고 나선형 코일의 유로 면적을 크게 할 경우 나선형 코일과 쉘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 전체 크기가 커지고 컴팩트화가 쉽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The conventional heat exchanger has a complicated internal structure by the intake manifold and the exhaust manifold, and when the flow passage area of the helical coil is increased, the space between the helical coil and the shell is narrowed to increase the overall size and make it difficult to be compact .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쉘과; 상기 쉘 내부에 위치되는 나선관부과 상기 쉘을 관통하는 제 1, 2 쉘 관통관부를 갖는 냉매튜브와; 상기 쉘 내부로 열원수를 입수 안내하는 입수관과; 상기 쉘 내부에 위치되는 이너 출수관과; 상기 이너 출수관 내부의 열원수가 출수 안내되는 아우터 출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냉매튜브는 상기 제 1, 2 쉘 관통관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이너 출수관을 관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t exchanger including: a shell; A refrigerant tube having a spiral tube portion located in the shell and a first and a second shell-through tube portion penetrating the shell; A water inlet tube for guiding and receiving the heat source water into the shell; An inner water pipe positioned inside the shell; And an outer water pipe through which the heat source water in the inner water pipe is introduced and guided, wherein ei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hell pipe portions passes through the inner water pipe.

상기 이너 출수관은 상기 아우터 출수관보다 유로 단면적이 클 수 있다. The inner water pipe may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outer water pipe.

상기 이너 출수관은 하단이 상기 쉘과 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inner water pipe may be coupled with the shell.

상기 제 1, 2 쉘 관통관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이너 출수관과 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s may pass between the inner water pipe and the shell.

상기 쉘에는 상기 아우터 출수관의 상단이 연결되는 아우터 출수관 연결공과; 상기 제 1, 2 쉘 관통관부 중 상기 이너 출수관을 관통하는 쉘 관통관부가 관통되는 제 1 관통공과; 상기 제 1, 2 쉘 관통관부 중 상기 이너 출수관과 쉘 사이를 통과하는 쉘 관통관부가 관통되는 제 2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An outer water pipe connecting hole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ter pipe is connected; A first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shell through-pipe portion passing through the inner water outlet pipe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hell through-pipe portions; And a second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hell through-pipe portion passing between the inner water outlet pipe and the shell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hell through-pipe portions.

상기 이너 출수관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아우터 출수관 연결공의 면적 및 상기 제 1 관통공의 면적의 합 보다 클 수 있다.The flow channel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water pipe may be larger than the sum of the area of the outer water pipe connecting hole and the area of the first through hole.

상기 아우터 출수관 연결공은 상기 이너 출수관의 내측을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water pipe connecting hol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inner side of the inner water pipe.

상기 제 1 관통공은 상기 이너 출수관의 내측을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through-hol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inner side of the inner water pipe.

상기 제 2 관통공은 상기 이너 출수관과 쉘 사이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through-hol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inner water pipe and the shell.

상기 이너 출수관을 관통하는 쉘 관통부는 나선형으로 형성된 이너 나선관부를 갖을 수 있다.The shell penetrating portion passing through the inner water pipe may have a spiral inner race tube portion.

상기 냉매튜브는 복수개 설치될 수 있고, 복수개 냉매 튜브 중 어느 하나의 나선관부는 상기 이너 출수관과 쉘의 내둘레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 냉매 튜브 중 다른 하나의 나선관부는 상기 복수개 냉매 튜브 중 어느 하나의 나선관부와 상기 쉘의 내둘레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may be provided, and one of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water pip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and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may have a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And may be disposed between any one of the helical tube portions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상기 복수개 냉매튜브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이너 출수관을 관통하는 쉘 관통부가 직관부를 갖고, 상기 복수개 냉매튜브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이너 출수관을 관통하는 쉘 관통부가 나선형으로 감긴 이너 나선관부를 갖는 배치될 수 있다.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has a straight pipe portion passing through the inner water pipe and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pipes has an inner pipe portion spirally wound with a shell penetrating portion passing through the inner water pipe .

상기 이너 나선관부는 상기 직관부의 외둘레면과 이너 출수관의 내둘레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inner sheath tube portion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aight pipe port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ater pipe.

상기 이너 나선관부는 상기 이너 출수관의 내둘레면에 접촉될 수 있다. And the inner sheath tube portion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ater pipe.

상기 이너 나선관부는 상기 직관부의 외둘레면에 접촉될 수 있다. The inner sheath tube portion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aight pipe portion.

본 발명은 냉매튜브에 형성된 복수개 쉘 관통관부 중 일부가 이너 출수관의 내부를 통과하므로 냉매튜브의 유로 면적이 큰 경우에도 컴팩트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Since some of the plurality of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s formed in the refrigerant tube pas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inner water tube,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made compact even when the flow passage area of the refrigerant tube is large.

또한, 이너 출수관을 통과하는 열원수가 이너 출수관을 통과하는 동안 추가로 냉매와 열교환되어 열교환 성능이 높은 이점이 있다. Further, the heat source passing through the inner water pipe is further heat 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while passing through the inner water pipe, so that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is advantageous.

또한, 이너 출수관으로 유입된 열원수가 이너 출수관 내부를 나선형 선회 유동되면서 냉매와 열교환되어 열교환 성능이 최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heat source water flowing into the inner water pipe is spirally circulated inside the inner water pipe, and is heat-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so that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can be maximiz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일실시예가 적용된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일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일실시예의 쉘 하판이 도시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일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일실시예의 냉매 튜브가 도시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다른 실시예의 냉매 튜브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to which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sid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bottom shell plate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of a refrigerant tube of an embodiment of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of a refrigerant tub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일실시예가 적용된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to which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2)와 제 1 열교환기(4)와 팽창기구(6)와 제 2 열교환기(8)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열교환기(4)는 냉매를 열원수와 열교환시킬 수 있다. 열원수는 냉매의 열을 흡수하는 냉각수로 기능하거나 냉매로 열을 가하는 가열수로 기능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기(2)와, 냉매가 열원수와 열교환되는 제 1 열교환기(4)와,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기구(6)와, 냉매가 공기와 열교환되는 제 2 열교환기(8)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shown in Fig. 1 may include a compressor 2, a first heat exchanger 4, an expansion mechanism 6, and a second heat exchanger 8. [ The first heat exchanger (4) can heat exchange the refrigerant with the heat source water. The heat source water can function as cooling water for absorbing the heat of the refrigerant or as heating water for heating the refrigerant.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ompressor (2) in which a refrigerant is compressed, a first heat exchanger (4) in which the refrigerant undergoes heat exchange with the heat source water, an expansion mechanism (6) in which the refrigerant expands, and a second heat exchanger (8).

냉매는 압축기(2)와 제 1 열교환기(4)와 팽창기구(6)와 제 2 열교환기(8)의 순서로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압축기(2)에서 압축된 냉매는 제 1 열교환기(4)와, 팽창기구(6)와, 제 2 열교환기(8)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압축기(2)로 회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열교환기(4)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고, 제 2 열교환기(8)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으며, 열원수는 압축기(2)에서 압축된 냉매의 열을 흡열하는 냉각수가 될 수 있다. The refrigerant can pass through the compressor (2), the first heat exchanger (4), the expansion mechanism (6),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8) in this order. That is,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2 can be recovered to the compressor 2 after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4, the expansion mechanism 6,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8. In this case, the first heat exchanger 4 can function as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refrigerant, the second heat exchanger 8 can function as an evaporator for evaporating the refrigerant, and the heat source number is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2 And may be cooling water that absorbs the heat of the refrigerant.

냉매는 압축기(2)와 제 2 열교환기(8)와 팽창기구(6)와 제 1 열교환기(4)의 순서로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압축기(2)에서 압축된 냉매는 제 2 열교환기(8)와, 팽창기구(6)와, 제 1 열교환기(4)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압축기(2)로 회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열교환기(8)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고, 제 1 열교환기(4)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으며, 열원수는 제 1 열교환기(4)를 통과하는 냉매로 열을 가하는 가열수가 될 수 있다.The refrigerant can pass through the compressor (2), the second heat exchanger (8), the expansion mechanism (6), and the first heat exchanger (4) in this order. That is,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2 can be recovered to the compressor 2 after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er 8, the expansion mechanism 6, and the first heat exchanger 4. In this case, the second heat exchanger 8 may function as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refrigerant, the first heat exchanger 4 may function as an evaporator for evaporating the refrigerant, and the heat source water may flow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4, The heat can be heated by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공기조화기는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기(2)와, 냉매가 열원수와 열교환되는 제 1 열교환기(4)와,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기구(6)와, 냉매가 실내 공기와 열교환되는 제 2 열교환기(8)를 포함함과 아울러 압축기(2)에서 압축된 냉매를 제 1 열교환기(4) 또는 제 2 열교환기(8)로 보내는 유로 절환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화기는 압축기(2)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로 절환밸브와, 제 1 열교환기(4)와, 팽창기구(6)와, 제 2 열교환기(8)와 유로 절환밸브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압축기(2)로 회수되는 제 1 순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압축기(2)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로 절환밸브(미도시)와, 제 2 열교환기(8)와, 팽창기구(6)와, 제 1 열교환기(4)와 유로 절환밸브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압축기(2)로 회수되는 제 2 순환 회로를 모두 갖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순환 회로는 제 2 열교환기(8)에 의해 실내가 냉방되는 냉방 운전시의 회로가 될 수 있고, 제 1 열교환기(4)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으며, 제 2 열교환기(8)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다. 제 2 순환 회로는 제 2 열교환기(8)에 의해 실내가 난방되는 난방 운전시의 회로가 될 수 있고, 제 2 열교환기(8)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고, 제 1 열교환기(4)는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ompressor (2) in which a refrigerant is compressed, a first heat exchanger (4) in which the refrigerant undergoes heat exchange with the heat source water, an expansion mechanism (6) in which the refrigerant expands, And a flow switching valve (not shown) which includes the compressor 8 and sends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2 to the first heat exchanger 4 or the second heat exchanger 8. The air condition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2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the first heat exchanger 4, the expansion mechanism 6, the second heat exchanger 8 and the flow path switching valve And a first circulation circuit that is recovered to the compressor (2). The air conditioner is a system in which the refrigerant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2 is supplied to the first heat exchanger 4, the second heat exchanger 8, the expansion mechanism 6, the first heat exchanger 4, And the second circulation circuit which is recovered to the compressor 2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circulation circuit. The first circulation circuit can be a circuit in the cooling operation in which the room is cooled by the second heat exchanger 8. The first heat exchanger 4 can function as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refrigerant, The unit 8 can function as an evaporator for evaporating the refrigerant. The second circulation circuit can be a circuit in the heating operation in which the room is heated by the second heat exchanger 8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8 can function as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refrigerant, The unit (4) can function as an evaporator for evaporating the refrigerant.

열원수는 물이나 부동액 등의 열원수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냉매는 통상적으로 공기조화기에서 사용되는 프레온계 냉매나 이산화탄소 냉매 등의 각종 냉매 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heat source water can be composed of a heat source such as water or an antifreeze, and the refrigerant can be composed of any one of various refrigerants such as a freon refrigerant and a carbon dioxide refrigerant used in an air conditioner.

압축기(2)는 냉매를 압축하는 각종 압축기로 구성될 수 있고, 로터리 압축기, 스크롤 압축기, 스크류 압축기 등의 각종 압축기가 될 수 있다. 압축기(2)는 제 1 열교환기(4)와 압축기 출구 유로(3)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mpressor (2) may be composed of various compressors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nd may be various compressors such as a rotary compressor, a scroll compressor, a screw compressor and the like. The compressor (2)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heat exchanger (4) and the compressor outlet flow path (3).

제 1 열교환기(4)는 쉘 튜브형 열교환기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열교환기(4)는 물이나 부동액 등의 열원수가 통과하는 쉘(20)과,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튜브(24)(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열교환기(4)는 팽창기구(6)와 제 1 열교환기 팽창기구 연결유로(5)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열교환기(4)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e first heat exchanger (4) may be constituted by a shell tubular heat exchanger. The first heat exchanger 4 may include a shell 20 through which a heat source such as water or an antifreeze passes, and a refrigerant tube 24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passes. The first heat exchanger (4) may be connected to the expansion mechanism (6) and the first heat exchanger expansion device connection flow path (5). The first heat exchanger 4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팽창기구(6)는 냉매가 팽창되는 캐필러리 튜브나 전자 팽창밸브가 될 수 있다. 팽창기구(6)는 제 2 열교환기(8)와 팽창기구 제 2 열교환기 연결유로(7)로 연결될 수 있다.The expansion mechanism (6) may be a capillary tube or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in which the refrigerant expands. The expansion mechanism (6)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heat exchanger (8) and the expansion mechanism second heat exchanger connecting flow path (7).

제 2 열교환기(8)는 냉매가 통과하는 핀튜브형 열교환기나 코일형 열교환기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열교환기(8)는 냉매가 통과하면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되는 냉매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열교환기(8)는 냉매튜브와 결합된 전열부재인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열교환기(8)는 압축기(2)와 압축기 흡입유로(9)로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heat exchanger 8 may be constituted by a fin tube type heat exchanger or a coil type heat exchanger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passes. The second heat exchanger 8 may include a refrigerant tube that exchanges heat with indoor air while passing the refrigerant. The second heat exchanger 8 may further include a fin which is a heat transfer member coupled with the refrigerant tube. The second heat exchanger (8) can be connected to the compressor (2) and the compressor suction passage (9).

공기조화기는 제 1 열교환기(4)와 연결된 열처리유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열처리유닛(10)은 제 1 열교환기(4)가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로 기능할 경우, 열원수를 냉각시키는 냉각기로 구성될 수 있다. 열처리 유닛(10)은 제 1 열교환기(4)가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로 기능할 경우, 열원수를 가열시키는 가열기로 구성될 수 있다. 열처리유닛(10)이 냉각기로 구성될 경우, 열처리 유닛(10)은 열원수를 냉각시키는 냉각탑을 포함할 수 있다. 열처리 유닛(10)은 제 1 열교환기(4)와 수배관(12)(14)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열교환기(4)는 열처리 유닛(10)과 출수배관(12)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 1 열교환기(4)의 열원수는 출수배관(12)을 통해 열처리 유닛(10)으로 출수될 수 있다. 제 1 열교환기(4)는 열처리 유닛(10)과 입수배관(14)으로 연결될 수 있고, 열처리 유닛(10)의 열원수는 입수배관(14)을 통해 제 1 열교환기(4)로 입수될 수 있다. 열처리유닛(10)과 출수배관(12)과 입수배관(14) 중 적어도 하나에는 열원수를 열처리유닛(10)과 제 1 열교환기(4)로 순환시키는 펌프 등의 순환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heat treatment unit (10) connected to the first heat exchanger (4). The heat treatment unit 10 may be configured as a cooler for cooling the heat source water when the first heat exchanger 4 functions as a condenser for condensing the refrigerant. The heat treatment unit 10 may be constituted by a heater for heating the heat source water when the first heat exchanger 4 functions as an evaporator for evaporating the refrigerant. When the heat treatment unit 10 is constituted by a cooler, the heat treatment unit 10 may include a cooling tower for cooling the heat source water. The heat treatment unit 10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heat exchanger 4 and the water pipes 12 and 14. The first heat exchanger 4 can be connected to the heat treatment unit 10 and the water outlet pipe 12 and the heat source water of the first heat exchanger 4 can be connected to the heat treatment unit 10 through the water outlet pipe 12 . The first heat exchanger 4 may be connected to the heat treatment unit 10 and the inlet pipe 14 and the heat source water of the heat treatment unit 1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heat exchanger 4 via the inlet pipe 14 . At least one of the heat treatment unit 10, the water outlet pipe 12 and the water inlet pipe 14 may be provided with a circulation mechanism such as a pump for circulating the heat source water to the heat treatment unit 10 and the first heat exchanger 4 .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제 2 열교환기(8)로 유동시킨 후 다시 실내로 토출하는 실내팬(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n indoor fan (16) for circulating air in the room to the second heat exchanger (8) and then discharging the air to the room again.

압축기(2)와 제 1 열교환기(4)와 팽창기구(6)와 제 2 열교환기(8)와 실내팬(16)은 하나의 공조유닛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실내의 공기가 덕트 등을 통해 제 2 열교환기(8)로 유동된 후 덕트 등을 통해 실내로 다시 토출되어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열처리유닛(10)은 하나의 공조유닛 이외에 설치될 수 있고, 하나의 공조유닛과 수배관(12)(14)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compressor 2, the first heat exchanger 4, the expansion mechanism 6, the second heat exchanger 8, and the indoor fan 16 can be installed in one air conditioning unit, To the second heat exchanger (8), and then discharged back to the room through a duct or the like to cool or heat the room. The heat treatment unit 10 may be installed in addition to one air conditioning unit and may be connected to one air conditioning unit by water pipes 12 and 14. [

압축기(2)와 제 1 열교환기(4)와 팽창기구(6)와 제 2 열교환기(8)와 실내팬(16)은 복수의 공조유닛(I)(O)에 분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 1 열교환기(4)와 실내팬(16)은 실내 유닛(I)에 함께 설치될 수 있고, 압축기(2)와 제 1 열교환기(4)는 압축 유닛(O, 또는 실외 유닛)에 함께 설치될 수 있다. 팽창기구(6)는 실내 유닛(I)과 압축 유닛(O)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팽창기구(6)는 하나의 팽창기구가 실내 유닛(I) 또는 압축 유닛(O)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팽창기구(6)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고, 제 1 팽창기구가 실내 유닛(I)에 설치되고, 제 2 팽창기구가 압축 유닛(O)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팽창기구는 제 1 열교환기(4)와 제 2 열교환기(8) 중 제 1 열교환기(4)에 더 가깝게 설치되는 실외팽창기구로 기능될 수 있다. 제 2 팽창기구는 제 1 열교환기(4)와 제 2 열교환기(8) 중 제 2 열교환기(8)에 더 가깝게 설치되는 실내팽창기구로 기능할 수 있다. 실내 유닛(I)은 냉방 또는 난방시키고자 하는 실내에 설치될 수 있다. 압축 유닛(O)은 건물의 기계실이나 지하실 등이나 옥상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압축 유닛(O)은 열처리유닛(10)은 수배관(12)(14)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compressor 2, the first heat exchanger 4, the expansion mechanism 6, the second heat exchanger 8 and the indoor fan 16 may be install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units I . The first heat exchanger 4 and the indoor fan 16 can be installed together in the indoor unit I and the compressor 2 and the first heat exchanger 4 can be installed together in the compression unit O Can be installed. The expansion mechanism (6)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indoor unit (I) and the compression unit (O). The expansion mechanism (6) can be provided with one expansion mechanism in the indoor unit (I) or the compression unit (O). It is possible that a plurality of expansion mechanisms 6 may be provided, the first expansion mechanism may be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I, and the second expansion mechanism may be installed in the compression unit O. The first expansion mechanism may function as an outdoor expansion mechanism which is installed closer to the first heat exchanger (4) of the first heat exchanger (4)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8). The second expansion mechanism can function as an indoor expansion mechanism that is installed closer to the first heat exchanger (4)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8) of the second heat exchanger (8). The indoor unit (I) can be installed in a room to be cooled or heated. The compression unit (O) may be installed in a machine room, a basement or the like of a building or on the roof. The compression unit (O) can be connected to the heat treatment unit (10) by the water pipes (12) and (14).

이하, 제 1 열교환기(4)를 열교환기로 칭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first heat exchanger 4 will be referred to as a heat exchang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일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일실시예의 쉘 하판이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일실시예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일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일실시예의 냉매 튜브가 도시된 측면도이다.FIG. 2 is a sid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a shell bottom plate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nt tube of an embodiment of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열교환기(4)는 쉘(20)과; 쉘(20) 내부로 열원수를 입수 안내하는 입수관(22)과; 열원수와 열교환되는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튜브와; 냉매튜브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교환된 열원수가 출수 안내되는 출수관(29)(30)을 포함한다. 출수관(29)(30)은 쉘(20) 내부에 위치되는 이너 출수관(29)과; 이너 출수관(29) 내부의 열원수가 출수 안내되는 아우터 출수관(30)을 포함한다.The heat exchanger (4) comprises a shell (20); A water inlet pipe (22) for guiding and receiving the heat source water into the shell (20); A refrigerant tub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to be heat-exchanged with the heat source water passes; And water pipes (29) and (30) through which the heat source heat-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nt tube is introduced and guided. The water outlet pipes (29) and (30) include an inner water outlet pipe (29) located inside the shell (20); And an outer water outlet pipe (30) in which the heat source water inside the inner water outlet pipe (29) is guided to and from which water is guided.

냉매튜브는 쉘(20) 내부에 위치되는 나선관부와 쉘(20)을 관통하는 쉘 관통관부를 갖는다. 냉매튜브는 나선관부와 쉘 관통관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 쉘 관통관부와 하나의 나선관부가 하나의 냉매튜브를 구성할 수 있다. 복수개 쉘 관통관부는 냉매 유동 방향으로 나선관부 전,후에 위치하는 제 1 쉘 관통관부와 제 2 쉘 관통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는 제 1 쉘 관통관부와 제 2 쉘 관통관부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해 나선관부로 유입될 수 있고, 나선관부를 통과한 후 제 1 쉘 관통관부와 제 2 쉘 관통관부 중 다른 하나를 통과할 수 있다. 나선관부는 냉매 유동 방향으로 제 1 쉘 관통관부와 제 2 쉘 관통관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쉘 관통관부와 제 2 쉘 관통관부 중 어느 하나는 이너 출수관(29)의 내부를 관통하고 쉘(20)을 관통하여 쉘(20) 외부로 연장될 수 있고, 제 1 쉘 관통관부와 제 2 쉘 관통관부 중 다른 하나는 이너 출수관(29)과 쉘(20) 사이를 관통하고 쉘(20)를 관통하여 쉘(20)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열교환기(4)는 하나의 냉매튜브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 냉매튜브(24)(26)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쉘(20)에는 복수개 냉매튜브(24)(26)가 설치되는 예로 설명한다. 열교환기(4)는 복수개 냉매튜브(24)(26)가 설치되는 경우, 복수개 냉매튜브(24)(26) 중 어느 하나(24)의 나선관부(45)가 이너 출수관(29)의 외둘레면과 쉘(20)의 내둘레면(21)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복수개 냉매튜브(24)(26) 중 다른 하나(26)의 나선관부(55)가 복수개 냉매튜브(24)(26) 중 어느 하나(24)의 나선관부(45)와 쉘(20)의 내둘레면(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 냉매튜브(24)(26) 각각은 제 1 쉘 관통관부와 제 2 쉘 관통관부 중 어느 하나가 이너 출수관(29) 및 쉘(20)을 관통하여 쉘(20)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개 냉매튜브(24)(26) 각각은 제 1 쉘 관통관부와 제 2 쉘 관통관부 중 다른 하나가 이너 출수관(29)과 쉘(20) 사이 및 쉘(20)을 관통하여 쉘(20)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The refrigerant tube has a spiral tube portion located inside the shell (20) and a shell through tube portion passing through the shell (20). The refrigerant tube may have a helical tube portion and a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integrally formed, and the plurality of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s and one helical tube portion may constitute a single refrigerant tube. The plurality of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s may include a first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and a second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located before and after the spiral tube portion in the refrigerant flow direction. The refrigerant may be introduced into the spiral tube portion through the first shell through-tube portion and the second shell-through tube portion, passes through the first shell-through tube portion and the second shell-through tube portion after passing through the spiral tube portion . The spiral tube portion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and the second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in the refrigerant flow direction. Either one of the first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and the second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can penetrate the inside of the inner water pipe 29 and extend outside the shell 20 through the shell 20, And the other of the second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s may extend between the inner water pipe 29 and the shell 20 and extend outside the shell 20 through the shell 20. [ The heat exchanger 4 can be provided with one refrigerant tube, and a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24 and 26 can be installed. Hereinafter, a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24 and 26 are provided in the shell 20. When the refrigerant tubes 24 and 26 are provided in the heat exchanger 4, the spiral tube portion 45 of any one of the refrigerant tubes 24 and 26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water pipe 29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24 and 26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1 of the shell 20 and the plurality of helical tube portions 55 of the other one of the refrigerant tubes 24 and 26 may be located between the refrigerant tubes 24 26 between the spiral tube portion 45 of the one 24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21 of the shell 20. Each of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24 and 26 may extend out of the shell 20 through either the first shell through-pipe portion or the second shell through-pipe portion through the inner water pipe 29 and the shell 20 . Each of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24 and 26 has a first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and a second one of the second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s penetrating the shell 20 through the inner water pipe 29 and the shell 20, Can be extended outward.

쉘(20)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쉘(20)은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쉘(20)은 하판(31)과, 하판(31) 상측에 배치된 중공 쉘(32)과, 중공 쉘(32) 상측에 배치된 상판(33)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공 쉘(32)은 중공 원통 또는 중공 다각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공 쉘(32)은 하부에 하판(31)과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하부 플랜지(34)가 형성될 수 있다. 중공 쉘(32)은 상부에 상판(33)과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상부 플랜지(35)가 형성될 수 있다. 중공 쉘(32)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중공 쉘(32)의 하측 개구면은 하판(31)에 의해 막힐 수 있으며, 중공 쉘(32)의 상측 개구면은 상판(33)에 막힐 수 있다. The shell 20 may have an empty space formed therein. The shell 20 can be arranged long up and down. The shell 20 may include a lower plate 31, a hollow shell 32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31, and an upper plate 33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llow shell 32. The hollow shell 32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cylinder or a hollow polygonal cylinder. The hollow shell 32 may be formed with a lower flange 34 coupled to the lower plate 31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and a nut. The hollow shell 32 may have an upper flange 35 coupled to the upper plate 33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and a nut. The lower opening surface of the hollow shell 32 may be blocked by the lower plate 31 and the upper opening surface of the hollow shell 32 may be closed by the upper plate 33, .

쉘(20)에는 냉매튜브(24)(26)가 관통되는 냉매튜브 관통공(36a)(36b)(37a)(37b)이 형성될 수 있다. 쉘(20)에는 하나의 냉매튜브 당 2개의 냉매튜브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4)가 2개의 냉매튜브(24)(26)를 포함할 경우, 냉매튜브 관통공(36a)(36b)(37a)(37b)은 4개 형성될 수 있다. 쉘(20)에는 입수관(22)이 관통되는 입수관 관통공(38)이 형성될 수 있다. 쉘(20)에는 아우터 출수관(30)이 연결되는 아우터 출수관 연결공(39)이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4)는 입수관(22)과, 복수개 냉매튜브(24)(26)와, 아우터 출수관(30) 모두가 하판(31)과 중공 쉘(32)과 상판(33)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는 것이 가능하다. 열교환기(4)는 냉매튜브 관통공(36a)(36b)(37a)(37b)이 하판(31)에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4)는 입수관 관통공(38)이 하판(31)에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4)는 아우터 출수관 연결공(39)이 하판(31)에 형성될 수 있다. 냉매튜브 관통공(36a)(36b)(37a)(37b)은 제 1, 2 쉘 관통관부 중 이너 출수관(29)을 관통하는 쉘 관통관부가 관통되는 제 1 관통공(36a)(37a)과; 제 1, 2 쉘 관통관부 중 이너 출수관(29)과 쉘(20) 사이를 통과하는 쉘 관통관부가 관통되는 제 2 관통공(36b)(37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관통공(36a)(37a)은 이너 출수관(29)의 내측을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관통공(36b)(37b)은 이너 출수관(29)과 쉘(20)의 사이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입수관 관통공(38)은 이너 출수관(29)과 쉘(20) 사이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출수관 연결공(39)은 이너 출수관(29)의 내측을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출수관 연결공(39)은 하판(31)의 중심(C)에 대해 편심되게 위치될 수 있다. 출수관 연결공(39)의 중심은 하판(31)의 중심(C)에 불일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4)는 중공 쉘(32)을 하판(31)에서 분리하였을 때 복수개 냉매튜브(24)(26)와 입수관(22) 및 아우터 출수관(30)이 하판(31)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고, 중공 쉘(32)을 하판(31)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복수개 냉매 튜브 등이 세척될 수 있다. The shell 20 may be provided with coolant tube through holes 36a, 36b, 37a, 37b through which the coolant tubes 24, 26 pass. The shell 20 may be provided with two refrigerant tube through holes per one refrigerant tube. When the heat exchanger 4 includes two refrigerant tubes 24 and 26, four refrigerant tube through holes 36a, 36b, 37a and 37b may be formed. The shell 20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inlet pipe through hole 38 through which the water inlet pipe 22 passes. The shell 20 may be formed with an outer water pipe connecting hole 39 to which the outer water pipe 30 is connected. The heat exchanger 4 has a structure in which both the water inlet pipe 22,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24 and 26 and the outer water outlet pipe 30 are connected to one of the lower plate 31 and the hollow shell 32 and the upper plate 33 As shown in FIG. The heat exchanger 4 may be formed with the refrigerant tube through holes 36a, 36b, 37a, 37b in the lower plate 31. [ The heat exchanger (4) can be formed with a water inlet pipe through hole (38) in the lower plate (31). The heat exchanger 4 may be formed with an outer water pipe connecting hole 39 in the lower plate 31. The refrigerant tube through holes 36a, 36b, 37a and 37b are provided with first through holes 36a and 37a through which the shell through-tube portion passing through the inner water outlet pipe 29 of the first and second shell through- and; And a second through hole 36b (37b) through which a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passing between the inner water outlet pipe (29) and the shell (20) in the first and second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s penetrates. The first through holes 36a and 37a may be formed at positions facing the inner side of the inner water pipe 29. The second through holes 36b and 37b may be form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between the inner water pipe 29 and the shell 20. The inlet pipe through-hole 38 may b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inner water pipe 29 and the shell 20. The outer water pipe connecting hole 39 may b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inner side of the inner water pipe 29. The water outlet pipe connection hole 39 can be eccentrical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C of the lower plate 31. [ The center of the water pipe connection hole 39 may be discordant with the center C of the lower plate 31. [ The refrigerant tubes 24 and 26 and the water inlet pipe 22 and the outer water outlet pipe 30 are fixed to the lower plate 31 when the hollow shell 32 is separated from the lower plate 31. [ And a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and the like can be cleaned in a state where the hollow shell 32 is separated from the lower plate 31. [

입수관(22)은 일단이 쉘(20) 외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쉘(2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입수관(22)은 쉘(20) 내부에 위치하는 타단이 복수개 냉매튜브(24)(26) 중 적어도 하나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water inlet pipe 22 may be positioned at one end outside the shell 20 and at the other end inside the shell 20. The other end of the water inlet pipe 22 located inside the shell 20 may be positioned below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24 and 26.

복수개 냉매튜브(24)(26)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 냉매튜브(24)(26)는 제 1,2 쉘 관통관부가 쉘(20)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 냉매튜브(24)(26)는 쉘(20)의 외부에 위치하는 일측 단부가 분지관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 냉매튜브(24)(26)는 쉘(20)의 외부에 위치하는 타측 단부가 합지관에 연결될 수 있다. 분지관에는 도 1에 도시된 압축기 출구 유로(3)가 연결될 수 있고, 합지관에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열교환기 팽창기구 연결유로(5)기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 출구 유로(3)의 냉매는 분지관에서 복수개 냉매튜브(24)(26)로 분배될 수 있고, 복수개 냉매튜브(24)(26)를 통과한 냉매는 합지관에서 합쳐진 후 제 1 열교환기 팽창기구 연결유로(5)로 유동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24 and 26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24) and (26)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shell through-pipe portions pass through the shell (20). A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24) and (26) may be connected to branch tubes at one side end located outside the shell (20). A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24) and (26) may be connected to the joint pipe at the other end located outside the shell (20). The compressor outlet line 3 shown in FIG. 1 may be connected to the branch line, and the first heat exchanger expansion device connecting line 5 shown in FIG. 1 may be connected to the composite line. The refrigerant in the compressor outlet flow path 3 can be distributed to the refrigerant tubes 24 and 26 in the branch tube and the refrigerants having passed through the refrigerant tubes 24 and 26 are combined in the composite tube, And can flow to the expansion mechanism connecting passage 5.

복수개 냉매튜브(24)(26) 각각은 복수개 턴이 나선형으로 연속하여 감긴 나선관부(45)(5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 냉매튜브(24)(26)는 나선관부(45)(55)의 반지름(R1)(R2)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복수개 냉매튜브(24)(26) 중 어느 하나(24)의 나선관부 반지름(R1)은 다른 하나(26)의 나선관부 반지름(R2; R2>R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반지름(R1)이 더 작은 나선관부(45)는 이너 출수관(29)의 외둘레면을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반지름(R2)이 더 큰 나선관부(55)는 반지름(R1)이 더 작은 나선관부(45)와 중공 쉘(2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쉘(20)의 수직 중심축(Z)을 기준으로 반지름(R1)이 더 작은 나선관부(45)는 제 1 나선관부가 될 수 있고, 반지름(R2)이 더 큰 나선관부(55)는 제 2 나선관부가 될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24 and 26 may include spiral tube portions 45 and 55 in which a plurality of turns are continuously wound in a spiral shape. The refrigerant tubes 24 and 26 may have different diameters R1 and R2 of the spiral tube portions 45 and 55, respectively. The spiral tube radius R1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24 and 26 may be smaller than the spiral tube radius R2 of the other one of the refrigerant tubes 24 and 26. The spiral tube portion 45 having a smaller radius R1 may be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water pipe 29. [ A spiral tube portion 55 having a larger radius R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ollow shell portion 22 and the spiral tube portion 45 having a smaller radius R1. The spiral tube portion 45 having a smaller radius R1 than the vertical center axis Z of the shell 20 may be a first spiral tube portion and the spiral tube portion 55 having a larger radius R2 may be a 2 can be a spiral tube.

이하, 복수개 냉매튜브(24)(26)는 제 1 냉매튜브(24)와 제 2 냉매튜브(26)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24 and 26 will be described as including the first refrigerant tube 24 and the second refrigerant tube 26. [

제 1 냉매튜브(24)는 이너 출수관(29)의 외둘레면을 둘러싸는 제 1 나선관부(45)와, 제 1 나선관부(45)의 일단측 턴에 형성된 제 1 쉘 관통관부(46)와, 제 1 나선관부(45)의 타단측 턴에 형성된 제 2 쉘 관통관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냉매튜브(24)는 제 1, 2 쉘 관통관부(46)(47) 중 어느 하나(46)가 이너 출수관(29)을 관통하여 쉘(20) 외부로 연장할 수 있다. 제 1 냉매튜브(24)는 제 1, 2 쉘 관통관부(46)(47) 중 다른 하나(47)가 이너 출수관(29)과 쉘(20)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제 1 나선관부(45)는 복수개의 턴(41)(42)(43)(44)이 나선형으로 연속하여 감길 수 있다. 제 1 나선관부(45)는 쉘(20) 내부에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나선관부(45)는 수직 중심축(X)과 거리가 동일한 복수개 턴(41)(42)(43)(44)이 연속될 수 있다. 제 1 나선관부(45)는 최상측 턴(41)과 최하측 턴(44) 사이에 적어도 2개의 중간 턴(42)(43)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나선관부(45)는 그 전체 형상이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 1 나선관부(45)의 내측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나선관부(45)는 최상측 턴(41)이 상판(33)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고, 최하측 턴(44)이 하판(3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외둘레가 쉘(20)의 내둘레면와 이격될 수 있다. 제 1 쉘 관통관부(46)와 제 2 쉘 관통관부(47)는 어느 하나가 제 1 나선관부(45)의 최상측 턴(41)에서 연장될 수 있고, 다른 하나가 제 1 나선관부(45)의 최하측 턴(44)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하, 제 1 쉘 관통관부(46)가 제 1 나선관부(45)의 최상측 턴(41)에서 연장되고, 제 2 쉘 관통관부(47)가 제 1 나선관부(45)의 최하측 턴(44)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 1 쉘 관통관부(46)는 상단이 제 1 나선관부(45)의 최상측 턴(41)에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긴 수직부를 갖을 수 있다. 제 1 쉘 관통관부(46)는 이너 출수관(29)과 쉘(20)의 하판(31)을 관통할 수 있다. 제 1 쉘 관통관부(46)는 쉘(20)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아우터 출수관(30)과 나란할 수 있다. 제 2 쉘 관통관부(47)는 상단이 제 1 나선관부(45)의 최하측 턴(44)에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긴 수직부를 갖을 수 있다. 제 2 쉘 관통관부(47)는 이너 출수관(29)과 쉘(20)의 사이 및 쉘(20)의 하판(31)을 관통할 수 있다. 제 2 쉘 관통관부(47)는 쉘(20)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아우터 출수관(30)과 나란할 수 있다. The first refrigerant tube 24 has a first helical tube portion 45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ater tube 29 and a first helical tube portion 45 formed on the first helical tube portion 45, And a second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47 formed on the other end side turn of the first helical tube portion 45.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hell penetrating pipe portions 46 and 47 may extend through the inner water pipe 29 to the outside of the shell 20 in the first refrigerant tube 24. [ The first refrigerant tube 24 can pass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shell penetrating pipe portions 46 and 47 between the inner water pipe 29 and the shell 20. A plurality of turns 41, 42, 43, 44 of the first spiral tube portion 45 can be wound continuously in a spiral manner. The first spiral tube portion 45 may be vertically disposed inside the shell 20. The first spiral tube portion 45 may be continuous with a plurality of turns 41, 42, 43 and 44 having the same distance as the vertical center axis X. [ The first spiral tube portion 45 may be formed with at least two intermediate turns 42 and 43 between the uppermost turn 41 and the lowermost turn 44. [ The first helical tube portion 45 may be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nd a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 helical tube portion 45. The first spiral tube portion 45 can be positioned such that the uppermost turn 41 can be positioned below the upper plate 33 and the lowermost turn 44 can be positioned above the lower plate 31,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20. One of the first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46 and the second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47 can extend from the uppermost turn 41 of the first helical tube portion 45 and the other can extend from the first helical tube portion 45 ) Of the lowermost turn (44). The first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46 extends from the uppermost turn 41 of the first helical tube portion 45 and the second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47 extends from the lowermost turn 45 of the first helical tube portion 45 44). The upper end of the first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46 may be formed to be round at the uppermost turn 41 of the first helical tube portion 45 and may have a vertically long vertical portion. The first shell penetrating pipe portion 46 can penetrate the inner water pipe 29 and the lower plate 31 of the shell 20. [ At least a part of the portion of the first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46 located outside the shell 20 may be parallel to the outer water pipe 30.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47 may be rounded at the lowermost turn 44 of the first helical tube portion 45 and may have a vertical portion that is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47 can penetrate between the inner water pipe 29 and the shell 20 and the lower plate 31 of the shell 20. [ At least a part of the portion of the second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47) located outside the shell (20) may be parallel to the outer water outlet pipe (30).

제 2 냉매튜브(26)는 제 1 나선관부(45)와 중공 쉘(32) 사이에 위치되는 제 2 나선관부(55)와, 제 2 나선관부(55)의 일단측 턴에 형성된 제 1 쉘 관통관부(56)와, 제 2 나선관부(55)의 타단측 턴에 형성된 제 2 쉘 관통관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냉매튜브(26)는 제 1, 2 쉘 관통관부(56)(57) 중 어느 하나(56)가 이너 출수관(29)을 관통하여 쉘(20) 외부로 연장할 수 있다. 제 2 냉매튜브(26)는 제 1, 2 쉘 관통관부(56)(57) 중 다른 하나(57)가 이너 출수관(29)과 쉘(20)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제 2 나선관부(55)는 복수개의 턴(51)(52)(53)(54)이 나선형으로 연속하여 감길 수 있다. 제 2 나선관부(55)는 쉘(20) 내부에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 나선관부(55)는 수직 중심축과 거리가 동일한 복수개 턴(51)(52)(53)(54)이 연속될 수 있다. 제 2 나선관부(55)는 최상측 턴(51)과 최하측 턴(54) 사이에 적어도 2개의 중간 턴(52)(53)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나선관부(55)는 그 전체 형상이 코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나선관부(55)는 최상측 턴(51)이 상판(33)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고, 최하측 턴(54)이 하판(3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외둘레가 쉘(20)의 내둘레면와 이격될 수 있다. 제 1 쉘 관통관부(56)와 제 2 쉘 관통관부(57)은 어느 하나가 제 2 나선관부(55)의 최상측 턴(51)에서 연장될 수 있고, 다른 하나가 제 2 나선관부(55)의 최하측 턴(54)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하, 제 1 쉘 관통관부(56)가 제 2 나선관부(55)의 최상측 턴(51)에서 연장되고, 제 2 쉘 관통관부(57)가 제 2 나선관부(55)의 최하측 턴(54)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 1 쉘 관통관부(56)는 상단이 제 2 나선관부(55)의 최상측 턴(51)에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긴 수직부를 갖을 수 있다. 제 1 쉘 관통관부(56)는 이너 출수관(29)과 쉘(20)의 하판(31)을 관통할 수 있다. 제 1 쉘 관통관부(56)는 쉘(20)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아우터 출수관(30)과 나란할 수 있다. 제 2 쉘 관통관부(57)는 상단이 제 2 나선관부(55)의 최하측 턴(54)에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긴 수직부를 갖을 수 있다. 제 2 쉘 관통관부(57)는 이너 출수관(29)과 쉘(20)의 사이 및 쉘(20)의 하판(31)을 관통할 수 있다. 제 2 쉘 관통관부(57)는 쉘(20)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아우터 출수관(30)과 나란할 수 있다. The second refrigerant tube 26 has a second helical tube portion 55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helical tube portion 45 and the hollow shell 32 and a second helical tube portion 55 disposed between the first helical tube portion 45 and the hollow shell 32, Through tube portion 56 and a second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57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helical tube portion 55.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hell penetrating pipe portions 56 and 57 may extend through the inner water pipe 29 to the outside of the shell 20 in the second refrigerant tube 26. The second refrigerant tube 26 can pass the other one 57 of the first and second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s 56 and 57 between the inner water pipe 29 and the shell 20. A plurality of turns 51, 52, 53, and 54 may be wound continuously in a spiral manner in the second spiral tube portion 55. [ The second helical tube portion 55 may be arranged vertically in the shell 20. The second spiral tube portion 55 may be continuous with a plurality of turns 51, 52, 53, 54 having the same distance as the vertical center axis. The second spiral tube portion 55 may be formed with at least two intermediate turns 52 and 53 between the uppermost turn 51 and the lowermost turn 54. [ The second spiral tube portion 55 may be formed in a coil shape as a whole. The second spiral tube portion 55 can be positioned such that the uppermost turn 51 is positioned below the upper plate 33 and the lowermost turn 54 is positioned above the lower plate 31,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20. One of the first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56 and the second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57 can extend from the uppermost turn 51 of the second helical tube portion 55 and the other can extend from the second helical tube portion 55 ) Of the lowermost turn (54). The first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56 extends from the uppermost turn 51 of the second helical tube portion 55 and the second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57 extends from the lowermost turn of the second helical tube portion 55 54). The first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56 may be formed such that the upper end thereof is rounded at the uppermost turn 51 of the second spiral tube portion 55 and may have a vertically long vertical portion. The first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56 can penetrate the inner water pipe 29 and the lower plate 31 of the shell 20. [ At least a part of the portion of the first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56) located outside the shell (20) may be parallel to the outer water outlet pipe (30).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57 may be rounded at the lowermost turn 54 of the second helical tube portion 55 and may have a vertical portion that is lo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second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57 can penetrate between the inner water pipe 29 and the shell 20 and the lower plate 31 of the shell 20. At least part of the portion of the second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57) located outside the shell (20) may be parallel to the outer water outlet pipe (30).

이너 출수관(29)에는 냉매튜브의 제 1, 2 쉘 관통관부 중 어느 하나가 관통될 수 있다. 제 1 냉매 튜브(24)와 제 2 냉매 튜브(26)가 설치될 경우, 제 1 냉매 튜브(24)의 제 1 쉘 관통관부(46)는 이너 출수관(29)을 관통할 수 있고, 제 2 냉매 튜브(26)의 제 1 쉘 관통관부(56)는 이너 출수관(29)을 관통할 수 있다. 이너 출수관(29)은 하단이 쉘(2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너 출수관(29)은 하단이 쉘(20)의 하판(31)에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너 출수관(29)은 상단(28)이 쉘(20)의 상판(33)과 이격될 수 있다. 이너 출수관(29)의 유로 단면적은 아우터 출수관 연결공(39)의 면적 및 제 1 관통공(36a)(37a)의 면적의 합 보다 클 수 있다. 이너 출수관(29)은 아우터 출수관(30) 보다 유로 단면적이 클 수 있다. 이너 출수관(29)을 관통하는 나선관부를 고려하여 아우터 출수관(30) 보다 유로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hell through-pipe portions of the refrigerant tube may be passed through the inner water pipe 29. When the first refrigerant tube 24 and the second refrigerant tube 26 are installed, the first shell through-pipe portion 46 of the first refrigerant tube 24 can pass through the inner water pipe 29, The first shell penetrating pipe portion 56 of the second refrigerant tube 26 can penetrate the inner water pipe 29.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ter pipe 29 can be engaged with the shell 20.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ter pipe 29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31 of the shell 20 by welding or the like. The inner water pipe 29 can be separated from the upper plate 33 of the shell 20 by the upper end 28. [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water pipe 29 may be larger than the sum of the area of the outer water pipe connecting hole 39 and the area of the first through holes 36a and 37a. The inner water pipe 29 may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outer water pipe 30. It is preferable that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er water pipe 30 is larger than that of the outer water pipe 30 in consideration of the spiral pipe portion penetrating the inner water pipe 29.

아우터 출수관(30)은 쉘(20)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아우터 출수관(30)은 이너 출수관(29)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될 수 있다. 아우터 출수관(30)은 상단이 아우터 출수관 연결공(39)에 연결될 수 있다. 아우터 출수관(30)은 상단이 아우터 출수관 연결공(39)에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The outer water pipe 30 may be located outside the shell 20. The outer water outlet pipe (30) can be install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inner water outlet pipe (29).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ter pipe 30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water pipe connecting hole 39. The upper water outlet pipe 30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water outlet pipe connection hole 39 by welding or the like.

열교환기(4)는 쉘(20)을 받치는 쉘 받침대(60)를 포함할 수 있다. 쉘 받침대(60)는 쉘(20)이 올려지는 받침판(62)과, 받침판(62)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 다리(64)(6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지 다리(64)(66)는 적어도 2개 설치될 수 있다.
The heat exchanger (4) may include a shell support (60) for supporting the shell (20). The shell support 60 may include a support plate 62 on which the shell 20 is mounted and a plurality of support legs 64 and 66 for supporting the support plate 62. At least two support legs 64 (66) may be provided.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냉매는 제 1 냉매튜브(24)의 제 1 쉘 관통관부(46)와 제 2 쉘 관통관부(47)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 1 나선관부(45)로 유입될 수 있고, 제 2 냉매튜브(26)의 제 1 쉘 관통관부(56)와 제 2 쉘 관통관부(57)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 2 나선관부(55)로 유입될 수 있다. 냉매는 제 1 나선관부(45)와 제 2 나선관부(55) 각각을 통과할 수 있고, 제 1 나선관부(45)의 냉매는 제 1 냉매튜브(24)의 제 1 쉘 관통관부(46)와 제 2 쉘 관통관부(47) 중 다른 하나로 유동될 수 있으며, 아우터 나선관부(56)의 냉매는 제 2 냉매튜브(26)의 제 1 쉘 관통관부(56)와 제 2 쉘 관통관부(57) 중 다른 하나로 유동될 수 있다. The refrigerant flows into the first spiral tube portion 45 through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hell spiral tube portions 46 and 47 of the first refrigerant tube 24 dur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spiral tube portion 55 through either the first or second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56 and the second shell tube portion 57 of the second refrigerant tube 26. The refrigerant in the first spiral tube portion 45 can pass through the first shell tube portion 46 of the first refrigerant tube 24 and the refrigerant in the first spiral tube portion 45 can pass through the first spiral tube portion 45 and the second spiral tube portion 55, And the refrigerant of the outer helical tube portion 56 flows into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s 56 and 57 of the second refrigerant tube 26, ). ≪ / RTI >

열원수는 입수관(22)을 통해 쉘(20)의 내측 하부로 유입될 수 있다. 쉘(20)의 내측 하부로 유입된 열원수는 이너 출수관(29)에 막혀 아우터 출수관(30)으로 곧바로 유동되지 않고, 이너 출수관(29)의 외둘레면과 중공 쉘(32)의 내둘레면 사이를 통해 쉘(20)의 내측 상부로 유동될 수 있다. 열원수는 쉘(20)의 내측 상부로 유동되는 동안 제 1 냉매튜브(24)의 제 1 나선관부(45) 및 제 2 냉매튜브(26)의 제 2 나선관부(55) 각각과 열교환될 수 있다. 제 1 나선관부(45) 및 제 2 나선관부(55)와 열교환된 열원수는 쉘(20)의 내측 상부에서 이너 출수관(29)의 상단(28)으로 유입되고, 이너 출수관(29)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이너 출수관(29)의 내측 하부로 유동된다. 열원수는 이너 출수관(29)의 내측을 통과하는 동안 이너 출수관(29)을 관통하여 배치된 쉘 관통관부(46)(56)와 추가로 열교환될 수 있고, 이너 출수관(29)의 내측 하부에서 아우터 출수관(30)의 상단으로 유입될 수 있다. 아우터 출수관(30)의 상단으로 유입된 열원수는 아우터 출수관(30)을 통과할 수 있다.
The heat source wa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shell 20 through the water inlet pipe 22. The heat source water flowing into the inner lower part of the shell 20 is blocked by the inner water pipe 29 and does not flow directly to the outer water pipe 30 but passes throug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water pipe 29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low shell 32 And can flow throug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shell 20. The heat source water can be heat exchanged with each of the first spiral tube portion 45 of the first refrigerant tube 24 and the second spiral tube portion 55 of the second refrigerant tube 26 while flowing to the inside upper portion of the shell 20 have. The heat source water heat-exchanged with the first spiral tube portion 45 and the second spiral tube portion 55 flows into the upper end 28 of the inner water pipe 29 from the upper inside of the shell 20, And flows into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inner water pipe 29 through a space formed inside the inner water pipe 29. The heat source water can be further heat exchanged with the shell through-pipe portions 46 and 56 disposed through the inner water outlet pipe 29 while passing through the inner water outlet pipe 29,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water pipe 30 from the inner lower portion. The heat source water flowing in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ter outlet pipe (30) can pass through the outer water outlet pipe (3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다른 실시예의 냉매 튜브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nt tub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열교환기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출수관(29)을 관통하는 쉘 관통부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이너 나선관부를 갖을 수 있다. 이너 나선관부는 복수개의 턴이 수직 중심축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연속하여 감긴 형상일 수 있다. 쉘(20) 내부의 열원수는 이너 출수관(29)의 상단을 통해 이너 출수관(29)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이너 출수관(29)의 내부를 따라 유동될 때 이너 나선관부에 안내되어 나선형으로 선회 유동되면서 쉘 관통부와 열교환될 수 있다. 이너 나선관부는 이너 출수관(29) 내부에 나선형 선회 유로를 형성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열교환기는 이너 나선관부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일실시예 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n inner helix tube portion formed in a spiral shape through a shell penetrating through the inner water pipe 29. The inner sheath tube portion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turns are continuously wound around a vertical center axis in a spiral shape. The heat source water inside the shell 20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water pipe 29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inner water pipe 29 and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water pipe 29 when flowing along the inner water pipe 29 And can be heat exchanged with the shell penetration while being guided and circulating in a spiral shape. The inner screw thread portion can be formed to form a helical swirl path inside the inner water pipe (29). The other components and actions of the heat exchanger of this embodiment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열교환기(4)가 복수개 냉매튜브(24)(26)를 포함할 경우, 복수개의 냉매튜브(24)(26) 각각에 이너 나선관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 냉매튜브(24)(26) 중 어느 하나에만 이너 나선관부가 형성되고, 복수개 냉매튜브(24)26) 중 다른 하나에는 이너 나선관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When the heat exchanger 4 includes a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24 and 26, it is possible to form an inner sheath tube portion in each of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24 and 26, and a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24 , And it is possible that the inner helical tube portion is not formed in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24).

복수개 냉매튜브(24)(26) 중 어느 하나(26)는 이너 출수관(29)을 관통하는 쉘 관통부(46)가 직관부(48)를 갖고, 복수개 냉매튜브(24)(26) 중 다른 하나는 이너 출수관(29)을 관통하는 쉘 관통부(56)가 나선형으로 감긴 이너 나선관부(58)를 갖을 수 있다. 이너 나선관부(58)는 상측 턴과 하측 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고, 이너 출수관(29)의 상단(28)으로 유입된 열원수는 간극을 따라 나선형으로 선회 유동될 수 있다. One of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24 and 26 has a shell penetrating portion 46 penetrating the inner water pipe 29 and a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24 and 26 And the other has a helical tube portion 58 spirally wound around the shell penetrating portion 56 passing through the inner water pipe 29. A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turn and the lower turn of the inner helical tube portion 58 and the heat source water flowing into the upper end 28 of the inner water pipe 29 may be swirled in a spiral manner along the gap.

이너 나선관부(58)는 직관부(48)의 외둘레면과 이너 출수관(29)의 내둘레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직관부(48)과 이너 출수관(29) 사이에 나선형 선회 유로(P)를 형성할 수 있다. 이너 나선관부(58)는 이너 출수관(29)의 내둘레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너 나선관부(58)는 외둘레가 이너 출수관(29)의 내둘레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너 출수관(29)의 상단(28)을 통해 이너 출수관(29)의 공간으로 유입된 열원수는 이너 출수관(29)의 내둘레면과 이너 나선관부(58) 외둘레 사이를 통해 유동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너 나선관부(58)는 직관부(48)의 외둘레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너 나선관부(58)는 내둘레가 직관부(48)의 외둘레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너 출수관(29)의 상단(28)을 통해 이너 출수관(29)의 공간으로 유입된 열원수는 직관부(48)의 외둘레면과 이너 나선관부(58) 내둘레 사이를 통해 유동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The inner helical tube portion 58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aight pipe portion 48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ater pipe 29 and is provided between the straight pipe portion 48 and the inner water pipe 29, The flow path P can be formed. The inner thread tube portion 58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ater pipe 29.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heath tube portion 58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ater pipe 29. The heat source water flowing into the space of the inner water pipe 29 through the upper end 28 of the inner water pipe 29 flows throug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water pipe 29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Can be minimized. The inner helical tube portion 58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raight pipe portion 48. [ The inn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inner helical tube portion 58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aight pipe portion 48. [ The heat source water flowing into the space of the inner water pipe 29 through the upper end 28 of the inner water pipe 29 flows throug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raight pipe portion 48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inner pipe portion 58 Can be minimized.

본 실시예의 열교환기는 열원수가 입수관(22)을 통해 쉘(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쉘(20) 내부로 유입된 열원수는 쉘(20)의 내측 하부에서 쉘(20)의 내측 상부로 유동될 수 있고, 열원수는 상승되는 동안 제 2 나선관부(55)에 의해 나선형 선회 유동으로 선회 유동되면서 제 1 나선관부(45) 및 제 2 나선관부(55)와 열교환될 수 있고, 쉘(20)의 내측 상부로 상승된 열원수는 이너 출수관(29)의 상단(28)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너 출수관(29)의 상단(28)으로 유입된 열원수는 이너 나선관부(58)의 외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출수관(29)의 상단(28)으로 유입된 열원수는 이너 출수관(29) 내부에 형성된 나선형 선회 유로(P)를 따라 나선형으로 선회 유동되면서 낙하될 수 있고, 이때, 이너 나선관부(58) 및 직관부(48)와 열전달될 수 있다. 열원수는 나선형 선회 유로(P)를 따라 이너 출수관(29)의 내측 하부로 유동될 수 있고, 이후 이너 출수관(29)의 내측 하부에서 아우터 출수관(30)의 상단으로 유입될 수 있다. 아우터 출수관(30)의 상단으로 유입된 열원수는 아우터 출수관(30)을 통과할 수 있다. In the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heat sources can be introduced into the shell 20 through the inlet pipe 22, and the number of heat sources introduced into the shell 20 can be increased from the inner lower side of the shell 20 to the inner side And the heat source water can be heat exchanged with the first spiral tube portion 45 and the second spiral tube portion 55 while swirling by the second spiral tube portion 55 into the spiral circulating flow, The number of heat sources raised to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shell 20 can flow into the upper end 28 of the inner water outlet pipe 29. The heat source water flowing into the upper end 28 of the inner water pipe 29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piral pipe portion 58. The heat source water flowing into the upper end 28 of the inner water pipe 29 can be dropped while swirling along the spiral orifice passage P formed in the inner water pipe 29. At this time, 58 and the straight pipe portion 48. [0054] The heat source water can flow into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inner water pipe 29 along the spiral circulation passage P and then can flow in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ter pipe 30 from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inner water pipe 29 . The heat source water flowing in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ter outlet pipe (30) can pass through the outer water outlet pipe (30).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도 1에 도시된 입수배관(14)이 아우터 출수관(30)에 연결됨과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출수배관(12)이 입수관(22)에 연결되어 입수배관(14)의 열원수가 아우터 출수관(30)과 이너 출수관(29)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쉘(20) 내부로 유입된 후 냉매 튜브와 열교환될 수 있고, 냉매 튜브와 열교환된 열원수가 입수관(22)을 통해 출수배관(12)으로 출수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is connected to the outflow pipe 30 and the outflow pipe 12 shown in FIG. 1 is connected to the inlet pipe 22 (see FIG. 1).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The heat source of the intake pipe 14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outer water pipe 30 and the inner water pipe 29 and flows into the shell 20 to be heat-exchanged with the refrigerant tube, It is possible that the heat-exchanged heat source water can flow out to the outflow pipe 12 through the water inlet pipe 22, and various implement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technical scop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4: 열교환기 20: 쉘
22: 입수관 24,26: 냉매튜브
29: 이너 출수관 30: 아우터 출수관
45: 나선관부 55: 나선관부
46: 제 1 쉘 관통관부 47: 제 2 쉘 관통관부
48: 직관부 56: 제 1 쉘 관통관부
57: 제 2 쉘 관통관부 58: 이너 나선관부
4: Heat exchanger 20: Shell
22: inlet pipe 24,26: refrigerant pipe
29: Inner water pipe 30: Outer water pipe
45: spiral tube 55: spiral tube
46: first shell penetrating tube part 47: second shell penetrating tube part
48: straight pipe portion 56: first shell penetrating pipe portion
57: second shell penetrating tube portion 58: inner helical tube portion

Claims (15)

쉘과;
상기 쉘 내부에 위치되는 나선관부와 상기 쉘을 관통하는 제 1, 2 쉘 관통관부를 각각 갖는 복수개 냉매튜브와;
상기 쉘 내부로 열원수를 입수 안내하는 입수관과;
상기 쉘 내부에 위치되는 이너 출수관과;
상기 이너 출수관 내부의 열원수가 출수 안내되는 아우터 출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 냉매튜브 각각은 상기 제 1, 2 쉘 관통관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이너 출수관을 관통하며,
상기 복수개 냉매 튜브 중 어느 하나의 나선관부는 상기 이너 출수관과 쉘의 내둘레면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복수개 냉매 튜브 중 다른 하나의 나선관부는 상기 복수개 냉매 튜브 중 어느 하나의 나선관부와 상기 쉘의 내둘레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개 냉매튜브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이너 출수관을 관통하는 쉘 관통부가 직관부를 갖고,
상기 복수개 냉매튜브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이너 출수관을 관통하는 쉘 관통부가 나선형으로 감긴 이너 나선관부를 갖으며,
상기 이너 나선관부는 상기 직관부의 외둘레면과 상기 이너 출수관의 내둘레면 사이에 위치하는 열교환기.
A shell;
A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each having a spiral tube portion positioned in the shell and first and second shell tube portions penetrating the shell;
A water inlet tube for guiding and receiving the heat source water into the shell;
An inner water pipe positioned inside the shell;
And an outer water outlet pipe through which the heat source water inside the inner water outlet pipe is guided out,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penetrates the inner water pipe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hell water pipe portions,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is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water pip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is disposed between the spiral tube portion of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ll,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has an introductory portion through which the shell penetrates through the inner water outlet pipe,
And the other of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has an inner spiral tube portion wound in a helical shape through a shell penetrating through the inner water pipe,
Wherein the inner sheath tube portion is located betwee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aight pipe portion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ater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출수관은 상기 아우터 출수관보다 유로 단면적이 큰 열교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water pipe has a larger flow passage area than the outer water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출수관은 하단이 상기 쉘과 결합되는 열교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lower end of the inner water pipe is coupled with the she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쉘 관통관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이너 출수관과 쉘 사이를 통과하는 열교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shell through-pipe portions passes between the inner water outlet pipe and the shel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쉘에는 상기 아우터 출수관의 상단이 연결되는 아우터 출수관 연결공과,
상기 제 1, 2 쉘 관통관부 중 상기 이너 출수관을 관통하는 쉘 관통관부가 관통되는 제 1 관통공과;
상기 제 1, 2 쉘 관통관부 중 상기 이너 출수관과 쉘 사이를 통과하는 쉘 관통관부가 관통되는 제 2 관통공이 형성된 열교환기.
5. The method of claim 4,
An outer water pipe connecting hole to which an upper end of the outer water pipe is connected,
A first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shell through-pipe portion passing through the inner water outlet pipe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hell through-pipe portions;
And a second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shell through-pipe portion passing between the inner water outlet pipe and the shell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hell through-pipe portion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출수관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아우터 출수관 연결공의 면적 및 상기 제 1 관통공의 면적의 합 보다 큰 열교환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low channel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water pipe is larger than the sum of the area of the outer water pipe connecting hole and the area of the first through ho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출수관 연결공은 상기 이너 출수관의 내측을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열교환기.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outer water pipe connecting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inner side of the inner water pip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공은 상기 이너 출수관의 내측을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열교환기.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first through-hole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inner side of the inner water pip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관통공은 상기 이너 출수관과 쉘 사이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열교환기.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second through-hole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between the inner water pipe and the shel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나선관부는 상기 이너 출수관의 내둘레면에 접촉되는 열교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inner thread tub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ater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나선관부는 상기 직관부의 외둘레면에 접촉되는 열교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inner sheath tub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raight pipe portion.
KR1020130011839A 2013-02-01 2013-02-01 Heat exchanger KR1015825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839A KR101582580B1 (en) 2013-02-01 2013-02-01 Heat exchanger
EP13193106.5A EP2762820B1 (en) 2013-02-01 2013-11-15 Air conditioner and heat exchanger therefor
ES13193106.5T ES2574429T3 (en) 2013-02-01 2013-11-15 Air conditioning and heat exchanger for this one
US14/089,951 US9677819B2 (en) 2013-02-01 2013-11-26 Air conditioner and heat exchanger therefor
EP14151438.0A EP2762821B1 (en) 2013-02-01 2014-01-16 Air conditioner and heat exchanger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839A KR101582580B1 (en) 2013-02-01 2013-02-01 Heat exchan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070A KR20140099070A (en) 2014-08-11
KR101582580B1 true KR101582580B1 (en) 2016-01-05

Family

ID=51745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839A KR101582580B1 (en) 2013-02-01 2013-02-01 Heat exchan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58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2936A (en) * 2010-09-28 2012-04-12 Orion Machinery Co Ltd Heat exchanger for coolant chill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3378A (en) 1994-03-07 1995-06-13 Dunham-Bush Heat exchanger element and heat exchanger using same
CN1227492C (en) * 2003-03-11 2005-11-16 张跃 Main body of absorbing air-conditioner
KR101176564B1 (en) * 2010-01-29 2012-08-23 주식회사 엔에코 Heat exchanger using ice-storage with ceramic layer for cold water dispenser or purifi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2936A (en) * 2010-09-28 2012-04-12 Orion Machinery Co Ltd Heat exchanger for coolant chi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070A (en) 2014-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7819B2 (en) Air conditioner and heat exchanger therefor
EP2685196B1 (en) Heat exchanger
US9389026B2 (en) Heat exchanger
JP3100074B2 (en) Cooling system
KR101727914B1 (en) Heat exchanger
KR101382084B1 (en) An air conditioner
KR102136878B1 (en) An air conditioner
KR101582580B1 (en) Heat exchanger
KR20190027577A (en) Air conditioner with radiation panel
KR101546903B1 (en) Heat exchanger
KR101679575B1 (en) Heat exchanger
CN208091295U (en) Heat exchanger
KR20140099069A (en) Heat exchanger
JP2008089252A (en) Cooling apparatus
KR102015034B1 (en) Heat exchanger
KR101661954B1 (en) Heat exchanger
CN219414991U (en) Air conditioner
KR20010090934A (en) Multi type air conditioner
KR200314025Y1 (en) Fin tube type heat exchanger and airconditioner and refrigerator using the heat exchanger
CN213421284U (en) Air conditioner
KR20140099380A (en) Heat exchanger
KR20090110647A (en) Internal heat exchanger with accumulator of air conditioner using CO2
KR20170082821A (en) Air conditioner
KR200385569Y1 (en) Condenser for water cooled air conditioner with high thermal efficiency
KR0161033B1 (en) Absorptive type air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126

Effective date: 2015101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