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442B1 -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한 오디오 장치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한 오디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442B1
KR101580442B1 KR1020140040936A KR20140040936A KR101580442B1 KR 101580442 B1 KR101580442 B1 KR 101580442B1 KR 1020140040936 A KR1020140040936 A KR 1020140040936A KR 20140040936 A KR20140040936 A KR 20140040936A KR 101580442 B1 KR101580442 B1 KR 101580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bluetooth module
hole
module substrate
main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6147A (ko
Inventor
남선우
Original Assignee
남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선우 filed Critical 남선우
Priority to KR1020140040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442B1/ko
Publication of KR20150116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8Insulation or absorption of undesired vibrations or sou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한 오디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통공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설치된 메인 기판; 상기 메인 기판의 일측에 설치되는 장착 슬롯; 상기 장착 슬롯의 일측에 장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통공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 블루투스 모듈 기판; 및 상기 바디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로 연장된 블루투스 모듈 기판이 외부 노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통공을 차폐하는 보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블루투스 안테나 영역이 바디로 인해 차폐되지 않고 개방되므로 블루투스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통공을 차폐하는 보호 캡이 연성 또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블루투스 안테나 부분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모듈 기판이 수직 설치되어 바디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는 수 있다.

Description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한 오디오 장치{ Audio Apparatus Having Bluetooth Function }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한 오디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안테나의 일부가 오디오 장치의 바디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블루투스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한 오디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는 10m 이내의 근거리에 위치한 단말기와 단말기,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기들을 무선으로 연결해 양방향으로 실시간으로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무선 통신 규격으로서, 통신 기기들은 케이블 연결 없이 2.4GHz 대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밴드를 이용해 1M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통신은 적외선 통신에 비하여 송수신 거리가 길고 통신 에러가 적으며 비교적 간단히 구현 가능하므로 여러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오디오 장치와 무선 헤드셋을 무선으로 연결함으로써 무선 헤드셋을 통하여 오디오 장치에서 제공하는 음성 데이터를 청취할 수 있는 오디오 장치가 소개되고 있다.
종래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오디오 시스템은, 한국 등록특허 제10-058105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오디오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의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출력부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블루투스신호로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블루투스신호를 증폭하고, 상기 증폭된 블루투스신호를 송신하는 블루투스 모듈부와, 각 부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오디오 장치 및 하나의 상기 디지털 오디오 장치에 대응하여 사용되고, 적어도 상기 증폭된 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모듈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스피커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오디오 시스템은 디지털 오디오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외부로 무선 송출할 수 있고, 송출된 데이터는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는 다수의 외부 스피커를 통해 청취가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소비자가 원하는 음악을 디지털 오디오 장치에 저장시키면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다수의 청취자들이 원하는 음악을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범위의 어느 곳에서도 무선으로 청취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오디오 시스템은 디지털 오디오 장치의 메인보드의 일측 영역에 블루투스 기능에 필요한 블루투스 모듈부를 구성하여 해당 영역에 블루투스 모듈부의 부품을 장착하여 블루투스 기능을 구현한다.
이러한 블루투스를 이용한 오디오 시스템은 소형으로 제작될 경우에 대부분 디지털 오디오 장치의 바디를 제작이 간편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한다. 이러한 플라스틱 재질의 디지털 오디오 장치의 바디는 미관상 저가의 제품으로 보여질 수 있고, 충격 등으로 인해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소형 디지털 오디오 장치의 바디가 미관상 고가의 제품으로 보여질 수 있고, 견고성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소형 디지털 오디오 장치의 바디를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할 경우에, 바디 내부에 블루투스 모듈부의 부품을 장착한 메인 기판이 장착된다. 이때, 블루투스 신호는 바디를 통과하여 무선 송신 또는 수신되는데, 바디가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어 있어 신호 차폐 역할을 하게 되므로 블루투스 신호의 무선 통신 성능이 저하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블루투스 모듈부를 블루투스 동글(dongle) 형태로 제작하고, 알루미늄 재질의 바디 내부에 장착된 메인 기판과 접속할 수 있는 접속단자를 바디의 외주면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블루투스 동글을 접속단자에 끼운 후에 블루투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런데, 블루투스 모듈부를 동글 형태로 제작할 경우에, 블루투스 동글이 착탈식으로 제작되므로 분실 우려가 있고, 블루투스 기능을 수행할 때마다 블루투스 동글을 장착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581053호 "블루투스를 이용한 오디오 시스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2127호 "여러 채널을 갖춘 음향 장치"
본 발명은 오디오 장치의 바디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 블루투스 모듈 기판이 메인 기판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블루투스 모듈 기판의 외부로 연장된 부분에 블루투스 안테나를 장착함으로써 블루투스 안테나 영역이 바디로 인해 차폐되지 않고 개방되므로 블루투스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한 오디오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한 오디오 장치는,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고, 금속 재질로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설치된 메인 기판; 상기 메인 기판의 일측에 설치되는 장착 슬롯; 상기 장착 슬롯의 일측에 장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통공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 블루투스 모듈 기판; 및 상기 바디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로 연장된 블루투스 모듈 기판이 외부 노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통공을 차폐하는 보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호 캡은, 상기 통공에 삽입된 후 상기 바디 내면 일측에 지지되는 걸림턱; 및 상기 블루투스 모듈 기판의 일측면이 끼워지는 기판 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루투스 모듈 기판은 일측이 외부로 돌출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블루투스 안테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블루투스 모듈 기판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블루투스 모듈 기판과 상기 바디를 고정시키도록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한 오디오 장치는, 오디오 장치의 바디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 블루투스 모듈 기판이 메인 기판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블루투스 모듈 기판의 외부로 연장된 부분에 블루투스 안테나를 장착함으로써 블루투스 안테나 영역이 바디로 인해 차폐되지 않고 개방되므로 블루투스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통공을 차폐하는 보호 캡이 연성 또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블루투스 안테나 부분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모듈 기판이 수직 설치되어 바디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는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한 오디오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바디에 메인 기판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보호 캡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바디와 보호캡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한 오디오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바디에 메인 기판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한 오디오 장치(100)는 바디(110), 메인 기판(101), 장착 슬롯(130), 블루투스 모듈 기판(120), 보호 캡(150) 및 고정 블록(160)을 포함한다.
바디(110)는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고, 알루미늄을 포함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미관상 고가의 제품으로 보여질 수 있으며, 견고성을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메인 기판(101)은 바디(110)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때, 메인 기판(101)은 직사각형 형태뿐만 아니라 바디(110)의 형태에 따라 타원형, 원형 또는 다른 도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메인 기판(101)은 신호 입력/출력 수단, 메모리 수단, 키입력수단,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수단 또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수단, 제어 수단, 스위칭 수단, 전원제공수단,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는 보호수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칭 수단은 외부 전송, 이어폰이나 외부 스피커 연결단자, 내장 스피커를 선택적 출력 가능하게 한다.
장착 슬롯(130)은 메인 기판(101)의 일측에 설치되는데, 메인 기판(101)의 일측 상단 부분에 설치되어 블루투스 모듈 기판(120)이 고정 설치되도록 한다.
블루투스 모듈 기판(120)은 장착 슬롯(130)의 일측에 장착되어 메인 기판(101)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측이 통공(111)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 연장부(141)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모듈 기판(120)은 장착 슬롯(130)에 의해 하단 부분이 고정되어 메인 기판(101)과 연결되어 블루투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블루투스 칩, 블루투스 안테나 매칭 회로, 바이패스 소자 등을 포함한 블루투스 회로, 커넥터, 블루투스 안테나(140) 등의 블루투스 기능에 사용되는 부품들이 실장되어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모듈 기판(120)은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블루투스 신호로 변조하며, 이렇게 변조된 블루투스 신호를 증폭하여 블루투스 안테나(140)를 통해 무선 송출한다. 블루투스 안테나(140)는 블루투스 모듈 기판(120)의 연장부(141)에 설치되고, 2.4㎓의 블루투스 무선 통신 신호의 주파수에 공진하는 안테나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주변 기기와 오디오 장치와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다.
보호 캡(150)은 바디(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로 연장된 블루투스 모듈 기판(120)이 외부 노출을 방지하도록 통공(111)을 차폐한다.
고정 블록(160)은 블루투스 모듈 기판(120)의 일측 상단 부분에 장착되어 블루투스 모듈 기판(120)과 바디(110)를 고정시키도록 나사공(161)이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 블록(160)은 나사공(161)에 고정 나사(162)가 체결되어 바디(110)와 블루투스 모듈 기판(120)의 상단 부분을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보호 캡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바디와 보호캡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보호 캡(150)은 고무 등의 연성 또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걸림턱(151) 및 기판 끼움홈(152)을 포함한다. 이러한 보호 캡(150)은 통공(111)의 내주면(R1)과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한 정도의 지름(R2≥R1)을 가지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51)은 통공(111)에 삽입된 후 바디 내면 일측에 지지되는데, 이러한 걸림턱(151)은 보호캡(15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길이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걸림턱(151)은 통공(111)에 쉽게 끼워지고, 통공(111)에 끼워진 이후에 통공(1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 끼움홈(152)은 블루투스 모듈 기판(120)의 일측면이 끼워지도록 수직 방향으로 2부분에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보호 캡(150)은 통공(111) 부분의 차폐 역할뿐만 아니라 연성 또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인해 블루투스 안테나(140)를 포함한 연장부(141)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 : 메인 기판 110 : 바디
111 : 통공 120 : 블루투스 모듈 기판
130 : 장착 슬롯 140 : 블루투스 안테나
150 : 보호캡 151 : 걸림턱
152 : 기판 끼움홈 160 : 고정 블록

Claims (4)

  1. 일측에 통공이 형성되고, 금속 재질로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설치된 메인 기판;
    상기 메인 기판의 일측에 설치되는 장착 슬롯;
    상기 장착 슬롯의 일측에 장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통공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 블루투스 모듈 기판;
    상기 바디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로 연장된 블루투스 모듈 기판이 외부 노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통공을 차폐하는 보호캡; 및
    상기 블루투스 모듈 기판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블루투스 모듈 기판과 상기 바디를 고정시키도록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 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블루투스 모듈 기판은 일측이 외부로 돌출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블루투스 안테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한 오디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캡은,
    상기 통공에 삽입된 후 상기 바디 내면 일측에 지지되는 걸림턱; 및
    상기 블루투스 모듈 기판의 일측면이 끼워지는 기판 끼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한 오디오 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40040936A 2014-04-07 2014-04-07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한 오디오 장치 KR101580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936A KR101580442B1 (ko) 2014-04-07 2014-04-07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한 오디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936A KR101580442B1 (ko) 2014-04-07 2014-04-07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한 오디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147A KR20150116147A (ko) 2015-10-15
KR101580442B1 true KR101580442B1 (ko) 2015-12-28

Family

ID=54356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936A KR101580442B1 (ko) 2014-04-07 2014-04-07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한 오디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44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053B1 (ko) 2003-07-31 2006-05-16 (주)케이원정보통신 블루투스를 이용한 디지털 오디오 시스템
KR20050065285A (ko) * 2003-12-24 2005-06-29 (주)싸이버뱅크 무선랜모듈 장착용 보조기판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90018372A (ko) * 2007-08-17 2009-02-20 주식회사 대우아이에스 블루투스 모듈 장착슬롯이 구비된 카오디오 및 그 제어방법
KR200462127Y1 (ko) 2012-06-15 2012-08-30 이준영 여러 채널을 갖춘 음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147A (ko) 2015-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8542B2 (en) Wireless headset having ear hook
RU2008103864A (ru) Многоцелев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и головной телефон
DK1719384T3 (da) Høreapparat med antenne til modtagelse og transmission af elektromagnetiske signaler og afskærmende batteri
US7864974B2 (en) Earphone device integrated with microphone
US20070286432A1 (en) Speaker system for portable electrical equipment
TW200719520A (en)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KR20100034906A (ko) 잡음차단수단을 갖는 헤드셋
TWI581644B (zh) 耳機介面電路及具該耳機介面電路的可攜式電子裝置
KR20070105555A (ko)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폰
KR101580442B1 (ko) 블루투스 기능을 내장한 오디오 장치
JP3117272U (ja) オーディオ信号用無線送受信装置
CN204425599U (zh) 一种基于骨传导技术的耳机
CN103997698A (zh) 一种带nfc通信的蓝牙音箱
KR101652677B1 (ko) 이어폰 장치
TWI256234B (en) Mobile communication peripheral device
CN201466210U (zh) 一种用作天线插头的金属物体和一种电子设备
CN216162855U (zh) 一种多频道的无线耳机装置
US20050273187A1 (en) Multi-sound source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CN101026385A (zh) 移动通讯装置
CN105072538B (zh) 一种立体声播放系统及立体声播放方法
CN203691459U (zh) 手机挂绳天线
TWI267286B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WM538298U (zh) 通訊系統
CN216626012U (zh) 耳机咪密封结构
CN216217440U (zh) 一种笛箫专用无线麦克风发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