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131B1 -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 - Google Patents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131B1
KR101580131B1 KR1020150128895A KR20150128895A KR101580131B1 KR 101580131 B1 KR101580131 B1 KR 101580131B1 KR 1020150128895 A KR1020150128895 A KR 1020150128895A KR 20150128895 A KR20150128895 A KR 20150128895A KR 101580131 B1 KR101580131 B1 KR 101580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power
power supply
switch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기호
Original Assignee
(주)하나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나위즈 filed Critical (주)하나위즈
Priority to KR1020150128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22Emergency lighting devices
    • F21S9/024Emergency lighting devices using a supplementary light source for emergency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H05B37/0209
    • H05B37/0227
    • H05B37/024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평상 시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램프를 점등시키고, 정전 시 배터리를 이용하여 램프를 점등시키되, 조명 스위치의 온/오프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램프를 점등시키고,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램프를 소등시키는 조명 본연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LIGHT APPARATUS WHICH IS AVAILABLE IN BLACKOUT}
본 발명은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전원공급장치의 전원을 이용하여 램프를 점등시키고, 정전 시에 스위치를 켜거나 점등 중에 정전이 되면 배터리를 이용하여 램프를 점등시키는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명 램프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며, 정전 등으로 인한 상용전원 차단 시 조명의 기능을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이러한 비상 상황을 대비하여 랜턴을 따로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비상 상황 발생 시 랜턴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더불어 종래 랜턴은 정전 또는 연무 등으로 인하여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되는 조명장치로서 별도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데 상시 전력이 충분한 배터리를 구비해 두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충전용 배터리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주기적으로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해야 하며,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충전용 배터리를 구비하더라도 랜턴을 적절히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 이외에도 소방용 방범용 등의 조명이 있으나, 이들은 특수 목적용으로 제작된 것으로 조명 스위치의 온/오프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만 조명을 켤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정전 시에 사용자가 원할 때 켜고 원할 때 끌 수 있는 조명 본연의 역할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87133호, 한국등록특허 제10-1021623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306021호에는 조명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87133호 한국등록특허 제10-1021623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0602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전원공급장치의 전원을 이용하여 램프를 점등시키고, 정전 시에 스위치를 켜거나 점등 중에 정전이 되면 배터리를 이용하여 램프를 점등시키되, 조명 스위치의 온/오프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램프를 점등시키고,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램프를 소등시키는 조명 본연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는, 전원을 공급받으면 점등되는 램프(100); 상용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램프(100)의 점등에 필요한 전원을 상기 램프(100)에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200); 상기 전원공급장치(200)와 상용전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200)와 상용전원의 전선로를 온(ON) 또는 오프(OFF)하되, 오프 시 미세전류가 흐르는 스위치(300); 상기 상용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며, 상기 램프(100)의 점등에 필요한 전원을 방전하는 배터리(400); 및 상기 램프(100), 전원공급장치(200), 스위치(300) 및 배터리(4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300)의 온/오프 상태 및 정전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스위치(300)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램프(100)를 점등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스위치(300)가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램프(100)를 소등시키도록 제어하되, 정전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300)를 온 시키거나 점등 중에 정전 상태가 되면 상기 배터리(400)의 전원을 상기 램프(100)에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스위치 오프 상태에서는 정전이 되더라도 램프(100)는 점등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스위치(300)에 미세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정전으로 인식하고, 상기 스위치(300)에 미세전류가 흐르면 정전이 아닌 것으로 인식하며, 정전이 아닌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300)를 온 시키면 상기 전원공급장치(200)의 전원을 상기 램프(100)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스위치(300)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전원공급장치(200)에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정전으로 인식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200)에 상용전원이 공급되면 정전이 아닌 것으로 인식하며, 상기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스위치(300)에 미세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정전으로 인식하고, 상기 스위치(300)에 미세전류가 흐르면 정전이 아닌 것으로 인식하며, 정전이 아닌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300)를 온 시키면 상기 전원공급장치(200)의 전원을 상기 램프(100)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배터리(400)의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가 일정 상태 미만인 경우, 상기 램프(100)의 출력을 낮추는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배터리(400)의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가 일정 상태 미만인 경우, 상기 램프(100)를 소등하는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는 상기 제어부(500)와 연결되며, 정전 여부 및 배터리 상태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는 상기 제어부(500)와 연결되며, 정전 발생 시 정전 여부 및 배터리 상태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정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에 의하면, 정전 시에도 사용자 의도에 따라 램프를 작동시킴으로써, 정전 시에도 평상시와 동일하게 램프를 켜고 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으로 절전모드로 전환함으로써, 램프의 점등 시간을 늘려주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자동으로 대기모드로 전환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정전 시 취해야 할 행동(보조 조명용품(초, 랜턴 등) 휴대, 대피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보다 여유롭게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정전 발생 시 정전 여부 및 배터리 상태 지정 단말기로 송신함으로써, 외부에서 해당 등기구의 정전 여부 및 배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의 블록도.
도 2는 도 1에 표시부가 추가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통신부가 추가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도 1에 표시부 및 통신부가 추가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표시부가 추가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에 통신부가 추가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에 표시부 및 통신부가 추가된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평상시'는 정전 상태가 아닌 경우를 말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는 램프(100), 전원공급장치(200), 스위치(300), 배터리(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램프(100)는 전원을 공급받으면 점등된다.
램프는 백열램프(IL; Incadescent Lamp), 형광램프(FL; Fluorescent Lamp), 할로겐램프(Halogen lamp), 고휘도방전램프(HID;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발광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중 수명이 길고, 전력 소모가 적은 LED램프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 추세다.
전원공급장치(200)는 상용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램프(100)의 점등에 필요한 전원을 상기 램프(100)에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가정에 들어오는 상용전원은 교류 220V로 이를 램프의 특성에 맞는 전원으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형광등의 경우 안정기가 전원공급장치(200)에 해당되며, 안정기는 철심에 가는 구리선을 감은 코일로 점등관의 바이메탈이 전류를 끊는 순간 형광 방전관의 방전에 필요한 높은 전압을 순간적으로 일으키고, 방전을 개시한 뒤 전류를 안정시켜 계속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다른 예로, LED 램프의 경우 직류전원 공급장치(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가 전원공급장치(200)에 해당되며, SMPS는 반도체 스위치 소자의 온오프(on-off) 시간 비율을 제어하여 출력을 안정화시킨 직류 안정화 전원 장치로, 고효율,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여 대부분의 전자기기 및 장비 등에 널리 사용된다. 즉, SMPS는 교류 상용전원을 LED 램프에 필요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스위치(300)는 상기 전원공급장치(200)와 상용전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200)와 상용전원의 전선로를 온(ON) 또는 오프(OFF)하되, 오프 시 미세전류가 흐른다.
상기 스위치(300)는 램프형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고, 저항소자와 커패시터 소자 등을 이용하여 병렬 또는 직병렬 회로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터리(400)는 상기 상용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며, 상기 램프(100)의 점등에 필요한 전원을 방전한다.
상기 배터리(400)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를 말하며, 효율이 높은 리튬이차전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상기 램프(100), 전원공급장치(200), 스위치(300) 및 배터리(4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300)의 온/오프 상태 및 정전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스위치(300)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램프(100)를 점등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스위치(300)가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램프(100)를 소등시키도록 제어하되, 정전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300)를 온 시키거나 점등 중에 정전 상태가 되면 상기 배터리(400)의 전원을 상기 램프(100)에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스위치 오프 상태에서는 정전이 되더라도 램프(100)는 점등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평상시 스위치를 켜면(스위치 온) 전원공급장치(200)의 전원을 램프(100)에 공급하여 램프(100)를 점등시키고, 정전 시 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즉 정전 상태에서 스위치를 온 시키거나 점등 중에 정전 상태가 되는 경우 배터리(400)의 전원을 램프(100)에 공급하여 램프(100)를 점등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평상시 및 정전 시 스위치를 끄면(스위치 오프) 램프(100)를 소등시키고, 스위치 오프 상태에서는 정전이 되더라도 램프(100)는 소등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정전 여부와 관계없이 스위치(300)의 온/오프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램프를 점등시키고,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램프를 소등시키는 조명 본연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스위치(300)에 미세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정전으로 인식하고, 상기 스위치(300)에 미세전류가 흐르면 정전이 아닌 것으로 인식하며, 정전이 아닌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300)를 온 시키면 상기 전원공급장치(200)의 전원을 상기 램프(100)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스위치(300)에 흐르는 미세전류가 감지되지 않으면 정전으로 인식하고, 상기 스위치(300)에 흐르는 미세전류가 감지되면 정전이 아닌 것으로 인식한다.
상기 제어부(500)는 스위치(300) 오프 상태에서 미세전류가 감지되지 않아도(정전 상태이어도) 상기 램프(100)를 점등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정전이 아닌 상태(평상시)에서 상기 스위치(300)를 온 시키면 상기 전원공급장치(200)의 전원을 상기 램프(100)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정전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300)를 온 시키거나 스위치 온 상태에서 정전이 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400)의 전원을 상기 램프(100)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스위치(300)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전원공급장치(200)에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정전으로 인식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200)에 상용전원이 공급되면 정전이 아닌 것으로 인식하며, 상기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스위치(300)에 미세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정전으로 인식하고, 상기 스위치(300)에 미세전류가 흐르면 정전이 아닌 것으로 인식하며, 정전이 아닌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300)를 온 시키면 상기 전원공급장치(200)의 전원을 상기 램프(100)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가 정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상기 스위치(300)에 흐르는 미세전류의 감지 여부에 따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스위치(300)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전원공급장치(200)에 상용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로도 판단이 가능하다.
여기서, 평상시(정전이 아닌 상태) 스위치(300)를 온 시키면 전원공급장치(200)의 전원으로 램프(100)를 구동하는 것은, 평상 시 배터리(400)의 충전을 충분히 시켜, 정전 시 배터리(400) 전원으로 램프(100)를 구동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의 제어부(500)는 상기 배터리(400)의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가 일정 상태 미만인 경우, 상기 램프(100)의 출력을 낮추는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400)의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가 50% 미만인 경우 램프(100)의 출력을 70%로 낮추는 절전 모드로 전환할 수 있으며, 배터리(400)의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가 30% 미만인 경우 램프(100)의 출력을 50%로 낮추는 절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절전 모드를 여러 단계로 나누어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배터리(400)의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가 일정 상태 미만인 경우, 상기 램프(100)를 소등하는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400)의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가 5% 미만인 경우 램프(100)를 소등 대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는 배터리(400)의 완전방전을 방지하여 배터리의 수명을 늘리기 위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는 상기 제어부(500)와 연결되며, 정전 여부 및 배터리 상태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정전 시 정전여부와 배터리 상태(배터리 충전 상태, 배터리의 잔여량)를 R,G,B 색상의 LED 색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정전시 정전여부를 나타내는 표시부와 배터리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표시부가 구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정전 여부는 평상시 녹색, 정전상태일 때 적색 점등 등으로 표시하거나, 평상시 적색 등 소등, 정전상태일 때 적색 등 점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잔여량이 100~70%일 때 파랑, 70~50%일 때 녹색, 50~30%일 때 노랑, 5% 미만일 때 빨강색 점등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위에서 배터리의 잔여량을 나타내는 표시부로 색상으로 구분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배터리의 잔여량에 따른 램프의 숫자(100% 5개, 75% 4개, 50% 3개, 25% 2개, 5% 1개 등) 등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는 상기 제어부(500)와 연결되며, 정전 발생 시 정전 여부 및 배터리 상태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정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700)는 무선 통신 모듈로서 비상시 통신망을 통하여 정해진 단말기에 정전여부와 배터리 상태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700)는 정전 시 상기 배터리(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정 단말기는 해당 등기구의 소유주, 관리자의 단말기일 수도 있으나, 한전 등과 같은 전력을 관리하는 기관의 통제실 등도 해당될 수 있으며, 전력을 관리하는 기관에 정전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면, 전력을 관리하는 기관에서도 전선로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여 정전 사태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때, 전력을 관리하는 기관에는 정전 여부에 대한 정보만 보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통신부(700)는 인터넷 망과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통신부(700)는 무선으로 인터넷 망과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당 건물에 설치된 라우터(공유기 등)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해당 건물의 정전 시 라우터도 작동을 중지하여 인터넷 망에 접속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해당 건물과 멀리 떨어진 별도의 중앙 통제실에 설치된 라우터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신부(700)는 이동통신 망과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700)를 무선으로 인터넷 망과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경우, 해당 라우터까지 정전으로 인해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인터넷 망과 연결이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통신부(700)는 이동통신 망과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이동통신 망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차이나 유니콤(China Unico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WCDAM(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표시부(600) 또는 통신부(700)를 구비하는 실시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600)와 통신부(700)를 동시에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통신부(700)는 인터넷 망과 이동통신 망에 동시에 접속 가능한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램프
200: 전원공급장치
300: 스위치
400: 배터리
500: 제어부
600: 표시부
700: 통신부

Claims (7)

  1. 전원을 공급받으면 점등되는 램프(100);
    상용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램프(100)의 점등에 필요한 전원을 상기 램프(100)에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200);
    상기 전원공급장치(200)와 상용전원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200)와 상용전원의 전선로를 온(ON) 또는 오프(OFF)하되, 오프 시 미세전류가 흐르는 스위치(300);
    상기 상용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며, 상기 램프(100)의 점등에 필요한 전원을 방전하는 배터리(400); 및
    상기 램프(100), 전원공급장치(200), 스위치(300) 및 배터리(4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300)의 온/오프 상태 및 정전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스위치(300)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램프(100)를 점등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스위치(300)가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램프(100)를 소등시키도록 제어하되, 정전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300)를 온 시키거나 점등 중에 정전 상태가 되면 상기 배터리(400)의 전원을 상기 램프(100)에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스위치 오프 상태에서는 정전이 되더라도 램프(100)는 점등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는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스위치(300)가 온 상태인 경우, 상기 전원공급장치(200)에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정전으로 인식하고, 상기 전원공급장치(200)에 상용전원이 공급되면 정전이 아닌 것으로 인식하며,
    상기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스위치(300)에 미세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정전으로 인식하고, 상기 스위치(300)에 미세전류가 흐르면 정전이 아닌 것으로 인식하며,
    정전이 아닌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300)를 온 시키면 상기 전원공급장치(200)의 전원을 상기 램프(100)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배터리(400)의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가 일정 상태 미만인 경우, 상기 램프(100)의 출력을 낮추는 절전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배터리(400)의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가 일정 상태 미만인 경우, 상기 램프(100)를 소등하는 대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와 연결되며, 정전 여부 및 배터리 상태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600)를 더 포함하는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0)와 연결되며, 정전 발생 시 정전 여부 및 배터리 상태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정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부(700)를 더 포함하는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
KR1020150128895A 2015-09-11 2015-09-11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 KR101580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895A KR101580131B1 (ko) 2015-09-11 2015-09-11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895A KR101580131B1 (ko) 2015-09-11 2015-09-11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131B1 true KR101580131B1 (ko) 2015-12-28

Family

ID=55085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895A KR101580131B1 (ko) 2015-09-11 2015-09-11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13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184A (ko) * 2020-06-03 2021-12-10 주식회사 에이비 계통 정전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10150183A (ko) * 2020-06-03 2021-12-10 주식회사 에이비 계통 정전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조명시스템
KR20210150186A (ko) * 2020-06-03 2021-12-10 주식회사 에이비 비상시 대응 하이브리드 조명 장치
KR20220154874A (ko) * 2021-05-14 2022-11-22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운전자 안전을 위한 터널 스마트 하이브리드 조명장치와 그 제어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133A (ko) 2002-05-06 2003-11-13 장성완 휴대용 비상 조명등
KR101021623B1 (ko) 2010-11-16 2011-03-16 박성훈 정전보상기능을 구비한 엘이디 조명 장치
JP2012174678A (ja) * 2011-02-24 2012-09-10 Value Frontier株式会社 既存照明器具に接続可能なled非常灯
KR101285304B1 (ko) * 2013-04-30 2013-07-11 엘이디라이팅 주식회사 비상 엘이디 조명 기구
KR101306021B1 (ko) 2012-12-06 2013-09-12 다온 주식회사 비상시 저전압 배터리로 동작 가능한 led 조명 구동 장치
JP2014120316A (ja) * 2012-12-17 2014-06-30 Kawaju Sharyo Techno Kk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JP2014197494A (ja) * 2013-03-29 2014-10-16 株式会社エルコ 停電検知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7133A (ko) 2002-05-06 2003-11-13 장성완 휴대용 비상 조명등
KR101021623B1 (ko) 2010-11-16 2011-03-16 박성훈 정전보상기능을 구비한 엘이디 조명 장치
JP2012174678A (ja) * 2011-02-24 2012-09-10 Value Frontier株式会社 既存照明器具に接続可能なled非常灯
KR101306021B1 (ko) 2012-12-06 2013-09-12 다온 주식회사 비상시 저전압 배터리로 동작 가능한 led 조명 구동 장치
JP2014120316A (ja) * 2012-12-17 2014-06-30 Kawaju Sharyo Techno Kk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JP2014197494A (ja) * 2013-03-29 2014-10-16 株式会社エルコ 停電検知装置
KR101285304B1 (ko) * 2013-04-30 2013-07-11 엘이디라이팅 주식회사 비상 엘이디 조명 기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184A (ko) * 2020-06-03 2021-12-10 주식회사 에이비 계통 정전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210150183A (ko) * 2020-06-03 2021-12-10 주식회사 에이비 계통 정전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조명시스템
KR20210150186A (ko) * 2020-06-03 2021-12-10 주식회사 에이비 비상시 대응 하이브리드 조명 장치
KR102421789B1 (ko) 2020-06-03 2022-07-18 주식회사 에이앤디에스 계통 정전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421783B1 (ko) 2020-06-03 2022-07-18 주식회사 에이앤디에스 계통 정전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조명시스템
KR102421792B1 (ko) 2020-06-03 2022-07-18 주식회사 에이앤디에스 비상시 대응 하이브리드 조명 장치
KR20220154874A (ko) * 2021-05-14 2022-11-22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운전자 안전을 위한 터널 스마트 하이브리드 조명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2594474B1 (ko) * 2021-05-14 2023-10-25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운전자 안전을 위한 터널 스마트 하이브리드 조명장치와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15173A1 (ja) 蛍光灯型led照明装置
US20120326614A1 (en) Luminaire
KR101580131B1 (ko) 정전 시에도 사용 가능한 등기구
TWI499357B (zh) 停電照明與一般照明整合燈
US10638564B2 (en) Retrofit light emitting diode, LED, tube for enabling step dimming in a multilamp luminaire lighting system
JP2011119136A (ja) Led照明装置
KR100715282B1 (ko) 비상조명등용 배터리의 충전 제어장치
KR101684384B1 (ko) Led 조명 등기구의 잔광 방지회로와, 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led 조명 등기구
CN206439648U (zh) 一种智能型led应急灯
CN103687241A (zh) 应急led灯
CN206442561U (zh) 一种应急灯控制电路
US20160377246A1 (en) Lighting apparatus including primary and secondary illumination sources and circuit controlling the same
US10660184B2 (en) Solid-state lighting with multiple time delays
CN101446400A (zh) 一体化led应急灯
JP2004103256A (ja) 非常灯
US20200041076A1 (en) A retrofit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ing device for connection to an electronic ballase
CN102413609A (zh) 小功率led灯具照明系统
JP2015232990A (ja) 停電時点灯用のled照明装置
US11019698B2 (en) Retrofit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ing device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in standby mode
CN205648069U (zh) 一种应急灯照明控制电路
JP4429143B2 (ja) 照明器具
CN207486645U (zh) 一种智能控制的led工矿灯
WO2014038104A1 (ja) Led照明装置および点灯制御方法
CN205137295U (zh) 一种带应急调光功能的灯具
TWM499517U (zh) 停電延時照明燈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