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079B1 - eye glasses frame - Google Patents

eye glasses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079B1
KR101580079B1 KR1020150065189A KR20150065189A KR101580079B1 KR 101580079 B1 KR101580079 B1 KR 101580079B1 KR 1020150065189 A KR1020150065189 A KR 1020150065189A KR 20150065189 A KR20150065189 A KR 20150065189A KR 101580079 B1 KR101580079 B1 KR 101580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user
temple
spectac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1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재천
이유신
Original Assignee
오재천
이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0852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8007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재천, 이유신 filed Critical 오재천
Priority to KR1020150065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0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079B1/en
Priority to PCT/KR2016/002344 priority patent/WO201618218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20Side-members adjustable, e.g. telescop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yeglasses frame, comprises: right and left outer eyeglasses temples which hinge-couples to both right and left ends of a lens part, and delivers wear support elastic force; and right and left inner temples which respectively couples to an end of the outer eyeglasses temples corresponding to an inner side of the outer eyeglasses temples among the corresponding right and left outer eyeglasses temples, and contacted along a temple of a user applying the wear support elastic force along the temple of the user. Here, the eyeglasses frame is capable of maintaining a wearing state without the support of a nose pad, but with only the wear support elastic force due to the right and left inner side temples.

Description

안경테{eye glasses frame}Eye glasses frame}

본 발명은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 안경 다리와 외측 안경 다리로 이루어진 이중 다리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착용 지지 탄성력을 분산 작용시킬 수 있는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yeglass fr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yeglass frame capable of dispersing the elastic force of a wearer along a temple of a user by a double leg structure composed of an inner eyeglass leg and an outer eyeglass leg.

일반적으로 안경테의 안경 다리는 사용자의 관자놀이 부분에 그 일부가 접촉되어 착용 지지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나, 코받침없이 단독으로 착용 지지 탄성력을 제공하지는 못한다.Generally, the eyeglass legs of the eyeglass frame come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user's temple to provide a wearable elastic force, but do not provide elastic support force without a nose.

그리고 일반적으로 안경테의 코받침은 안경테의 양측에 부착된 코다리(bridge)에 결합되거나, 렌즈테(lens rim)에 결합되거나, 무테 안경의 경우에는 직접 렌즈에 결합되어, 안경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렌즈와 눈 사이에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하여 시력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얼굴형에 따라 코받침의 높이와 각도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하게 된다.In general, the nose of the eyeglass frame is coupled to a bridg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eyeglass frame, coupled to a lens rim, or, in the case of rimless eyeglasses, directly coupled to the lens to prevent glasses from flowing down , And a predetermined interval is maintained between the lens and the eye to compensate for the visual acuity. Thus, the height and angle of the nose support ar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face type of the user.

그러나, 안경의 앞 부분에서 렌즈의 유동을 방지하는 코받침은 개개인에 따라 적절한 코받침의 각도와 높이 등을 조절하기가 어렵고, 안경테와 렌즈의 무게에 따라 과도하게 피부를 압박하여 콧잔등 양쪽이 눌려 피부가 변형되거나 상할 수도 있고, 이로 인해 통증이 유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angle and the height of the nose proper to the individual according to the individual, and the nose of the no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kin may be deformed or damaged, and the pain may be caused thereb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측 안경 다리와 외측 안경 다리로 이루어진 이중 다리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착용 지지 탄성력을 분산 작용시킬 수 있는 안경테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rame structure capable of dispersing the elasticity of wear and tear along the user's temple by a double leg structure composed of an inner glasses leg and an outer glasses leg.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안경코 받침에 의한 지지 없이 이중 다리 구조에 의한 착용 지지 탄성력 만으로도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안경테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yeglass frame which can maintain the wearing state by only the elasticity of the wear and support by the double leg structure without the support by the eyeglass nose suppor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중 다리 구조에 의한 착용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안경테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yeglass frame which can stably maintain a wear state by a double leg structur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s disclosed. Other objects,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possibl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좌우 양단에 힌지 결합되어 착용 지지 탄성력을 전달하는 좌우 외측 안경 다리; 및 각각이, 상기 좌우 외측 안경 다리 중 대응되는 외측 안경 다리의 내측에서 상기 대응되는 외측 안경 다리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착용 시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접촉되어 상기 착용 지지 탄성력을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작용시키는 좌우 내측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yeglass frame comprising: a lens unit; Left and right outer glasses hinged to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lens unit to transmit a wear-supporting elastic force; And each of the right and left outer glasses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rresponding outer glasses leg on the inner side of the corresponding outer glasses legs of the left and right outer glasses legs and is contacted along the temple of the user when worn to fix the wear support elastic force to the user's temple And thus may include left and right medial legs to act upon.

상기 좌우 내측 안경 다리 각각은, 상기 대응되는 외측 안경 다리와의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대응되는 외측 안경 다리와의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each of the right and left inner glasses legs has a first extending part extending forward along a temple of the user based on a connection part between the corresponding outer glasses leg;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rearward along the temple of the user with respect to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rresponding outer eyeglass leg.

상기 좌우 내측 안경 다리 각각은, 일단(一端)은 상기 대응되는 외측 안경 다리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타단(他端)은 상기 사용자의 관자 놀이를 따라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Each of the left and right inner glasses legs has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rresponding outer glasses leg and the other end extending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viewer's play.

상기 안경테는, 코 받침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우 내측 안경 다리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작용되는 상기 착용 지지 탄성력에 의해서만 착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좌우 내측 안경 다리 이외의 부분은 사용자의 머리나 얼굴에 접촉되지 않는다.The spectacle frame may not include a nose support. At this time, the wearing state can be maintained only by the elastic force of the wear support which is acted by the left and right inner glasses legs along the user's temple. That is, portions other than the left and right inner glasses legs do not contact the user's head or face.

상기 안경테는, 상기 좌우 내측 안경 다리의 위치를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정할 수 있는 위치 조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pectacle frame may further include position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eft and right inner glasses legs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user's temple.

상기 좌우 내측 안경 다리 각각은,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측면 하단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귀뿌리 고정 홈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left and right inner glasses legs may include at least one ear rope fixing groove formed on a side lower side along the user's temple.

상기 좌우 내측 안경 다리 각각의 표면 중,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에 접촉하는 부분에는 미끄럼 방지 수단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Slip prevention mean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each of the right and left inner glasses legs in a portion contacting the user's temple.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는, 내측 안경 다리와 외측 안경 다리로 이루어진 이중 다리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착용 지지 탄성력을 분산 작용시켜 편안함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The eyeglass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omfortable wearing comfort by disper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wearer along the temple of the user by the double leg structure composed of the inner eyeglass leg and the outer eyeglass leg.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는, 안경 코받침에 의한 지지 없이 이중 다리 구조에 의한 착용 지지 탄성력 만으로도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코받침에 의한 피부 변형이나 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eyeglass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wearing state only by the elasticity of the wear support by the double leg structure without the support by the eyeglass nose support,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skin deformation by the nose support.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는, 이중 다리 구조의 내측 안경 다리에 마련된 귀뿌리 고정 홈이나 미끄럼 방지 수단을 통하여, 코받침에 의한 지지력 없이도 이중 다리 구조에 의한 착용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안경테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eyeglass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ectacle frame that can more stably maintain the wearing state by the double leg structure without the support force of the nose support through the ear bud fixing groove or the slip prevention means provided on the inner eye leg of the double leg structure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를 위에서 내려다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우 외측 안경 다리와 우 내측 안경 다리의 연결 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가 사용자에 장착된 것을 개념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를 위에서 내려다 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를 측면에서 내려다 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의 우 외측 안경 다리와 우 내측 안경 다리의 연결 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에서 외측 안경 다리와 내측 안경 다리의 결합 구조의 예들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에서 외측 안경 다리와 내측 안경 다리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내측 안경 다리에 마련된 귀뿌리 고정 홈의 예들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내측 안경 다리의 모양의 다양한 예들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내측 안경 다리의 안쪽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 구조의 다양한 예들을 나타낸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ectacle fram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top view of the spectacle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right and left spectacle legs of the spectacl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at the spectacl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user.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ectacle fr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op view of the spectacle fram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a spectacle fr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view of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right and left spectacle legs of the spectacle fram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examples of a coupling structure of the outer spectacle leg and the inner spectacle frame in the spectacl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joining an outer spectacle leg and an inner spectacle frame in an eyeglass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examples of an earlobe fixing groove provided on the inner eyeglass frame of the spectacl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shows various examples of the shape of the inner glasses leg of the spectacl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shows various examples of the anti-slip structur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frame of the spectacl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foregoing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조명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100)를 위에서 내려다 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안경테(100)는 렌즈부(110), 좌우 외측 다리(121 및 122), 및 좌우 외측 다리(121 및 122)를 포함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yeglass frame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top view of the spectacle fram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the spectacle frame 100 includes a lens unit 110, left and right lateral legs 121 and 122, and left and right lateral legs 121 and 122.

한편,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1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는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On the other hand,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so that the spectacle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is is the same in other embodiments. 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상기 렌즈부(110)는 각각이 렌즈를 지지하는 좌우측 렌즈 림(lens rim, 111 및 112) 및 상기 좌우측 렌즈 림(111 및 112)을 연결하는 코다리(bridge, 113)를 포함한다. 상기 안경테(100)는 보통 안경테의 렌즈 림이나 코다리에 장착된 코받침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ns unit 110 includes left and right lens rims 111 and 112 for supporting the lens and a bridge 113 for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lens rims 111 and 112. The spectacle frame 1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no lens rim of the spectacle frame nor a nose support mounted on the frame.

상기 좌우 외측 다리(121 및 122)는 상기 렌즈부(110)의 좌우 양단에 힌지 결합되어 착용 지지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좌우 내측 다리(131 및 132)는, 각각이, 상기 좌우 외측 안경 다리(121 및 122) 중 대응되는 외측 안경 다리의 내측에서 상기 대응되는 외측 안경 다리의 일단부에 결합된다.The left and right outer legs 121 and 122 are hinged to both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lens unit 110 to transmit the elastic force of the wearer. The left and right inner legs 131 and 132 are respectively coupled to one ends of the corresponding outer glasses legs on the inside of the corresponding outer glasses legs of the left and right outer glasses legs 121 and 122.

상기 좌우 내측 다리(131 및 132)는 상기 안경테(100) 착용 시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접촉되어 상기 착용 지지 탄성력을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작용시킨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100)는, 내측 안경 다리(131 및 132)와 외측 안경 다리(121 및 122)로 이루어진 이중 다리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착용 지지 탄성력을 분산 작용시켜 편안함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The left and right inner legs 131 and 132 are contacted along the temple of the user when the spectacle frame 100 is worn, so that the elastic support force acts on the user's temple. That is, the eyeglass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ouble leg structure composed of the inner eye legs 131 and 132 and the outer eye legs 121 and 122 to disperse the elastic force of the wearer along the temple of the user,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안경테(100)는 코 받침대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좌우 내측 안경 다리(131 및 132)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작용되는 착용 지지 탄성력에 의해서만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안경테(100)에서는 상기 좌우 내측 다리(131 및 132) 이외의 다른 부분은 사용자의 얼굴이나 머리에 접촉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spectacle frame 100 does not include a nose pedestal, and can be worn only by the elastic force of the wearer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inner glasses legs 131 and 132 along the user's temple. That is, in the spectacle frame 100, portions other than the left and right inner legs 131 and 132 are not in contact with the user's face or head.

안경코 받침에 의한 지지 없이 이중 다리 구조에 의한 착용 지지 탄성력 만으로도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코받침에 의한 피부 변형이나 손상 또는 고통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wearing state can be maintained only by the elasticity of the wearer's support by the double leg structure without the support by the eyeglass nose support, so that the skin deformation, damage or pain caused by the nose support can be prevented.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좌우 내측 안경 다리(131 및 132) 각각은 대응되는 외측 안경 다리와의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31-1 및 132-1) 및 상기 대응되는 외측 안경 다리와의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131-2 및 132-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each of the left and right inner glasses legs 131 and 132 includes first extension portions 131-1 and 132 (see FIG. 2) extending forward along the user's temple, -1 and the second extending portions 131-2 and 132-2 extending rearward along the temple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rresponding outer glasses le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100)의 우 외측 안경 다리(122)와 우 내측 안경 다리(132)의 연결 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붉은 점선으로 둘러싸인 상기 연결 부위는 탄성 또는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살짝 솟아 올랐다가 비스듬히 경사지면서 상기 우 외측 안경 다리(122)와 우 내측 안경 다리(132) 사이를 연결하는 것을 알 수 있다.3 is an enlarged view of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right outer spectacle leg 122 and the right inner spectacle leg 132 of the spectacle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connecting portion surrounded by a red dotted line is slightly raised so as to give elasticity or flexibility, and is obliquely inclined to connect between the right outer spectacle leg 122 and the right inner spectacle leg 132, .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100)가 사용자(200)에 장착된 것을 개념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안경테(100)는 안경코 받침에 의한 지지 없이 이중 다리 구조(121, 122, 131, 및 132)에 의한 착용 지지 탄성력 만으로도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FIG. 4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at the spectacle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user 200. FIG. Referring to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eyeglass frame 100 can be worn only by the supporting elastic force by the double leg structures 121, 122, 131, and 132 without being supported by the eyeglass nose glasses.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10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100')를 위에서 내려다 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100')를 측면에서 내려다 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100')의 우 외측 안경 다리(122)와 우 내측 안경 다리(132)의 연결 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yeglass frame 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op view of the spectacle fram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the spectacle fram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view of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right outer spectacle leg 122 and the right inner spectacle leg 132 of the spectacle fram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100')는 앞서 살펴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경테(100)와 그 구조가 전반적으로 유사다. 그러므로 상기 안경테(100')와 상기 안경테(100)의 공통적 특징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안경테(100')가 상기 안경테(100)와 다른 점에 대해서만 상세히 살펴본다.The eyeglass fram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similar in structure to the eyeglass fram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common features of the spectacle frame 100 'and the spectacle frame 100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spectacle frame 100' and the spectacle fram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양자의 공통적 특징을 살펴보면, 상기 안경테(100') 역시 이중 다리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착용 지지 탄성력을 분산 작용시킬 수 있으며, 안경코 받침에 의한 지지 없이 이중 다리 구조에 의한 착용 지지 탄성력 만으로도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며, 좌우 내측 안경 다리(131 및 132)가 좌우 외측 안경 다리(121 및 122)와의 연결 부위를 기준을 제1 연장부(131-1 및 132-1)와 제2 연장부(131-2 및 132-2)로 구분되는 특징을 가진다.The eyeglass frame 100 'has a double leg structure that can disperse the elastic force of the wearer along the temple of the user, and the eyeglass frame 100' And the left and right inner glasses legs 131 and 132 are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outer glasses 121 and 122 with reference to the first extensions 131-1 and 132-1, 2 extensions 131-2 and 132-2, respectively.

그러나, 상기 안경테(100')는 좌우 외측 안경 다리(121 및 122)와 좌우 내측 안경 다리(131 및 132)의 연결 부분(140)에서 상기 안경테(100)와는 다른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안경테(100')는 좌우 내측 안경 다리(131 및 132)의 구조 및 형상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100)와는 다른 특징을 가진다. 이하 상기 특징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However, the eyeglass frame 100 'has a feature different from the eyeglass frame 100 in the connecting portion 140 between the left and right outer glasses legs 121 and 122 and the left and right inner glasses legs 131 and 132. The eyeglass frame 100 'has a fea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eyeglass frame 100 in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left and right inner glasses legs 131 and 132. Hereinafter, the featur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안경테(100')는 우 외측 안경 다리(122)와 우 내측 안경 다리(132)의 연결 부분(140)에 우 내측 안경 다리(132)의 위치를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정할 수 있는 위치 조정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좌 외측 안경 다리(121)와 좌 내측 안경 다리(131)의 연결 부분에서도 마찬가지이므로 우측 부분에 대해서만 살펴본다.The eyeglass frame 100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right inner spectacle leg 132 to the connecting portion 140 between the right outer spectacle leg 122 and the right inner spectacle leg 132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along the user's temple And a position adjusting means. This is also true at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left outer spectacle leg 121 and the left inner spectacle leg 131, and therefore only the right por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연결 부위(140)를 확대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위치 조정 수단은 상기 우 내측 안경 다리(132)에 고정된 연결 부재(141), 상기 연결 부재(141)과 상기 우 외측 다리(122)의 일단부에 마련된 홈(122-1), 상기 홈(122-1)을 통하여 상기 연결 부재(141)을 고정하는 스크류(142 및 143)를 포함한다.8,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141 fixed to the right inner side eyeglass leg 132, a connecting member 141 fixed to the right inner side eye leg 132, And a screw 142 and 143 for fixing the connecting member 141 through the groove 122-1.

상기 우 내측 다리(132)를 옮김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141)의 고정 위치를 가변한 다음, 상기 스크류(142 및 143)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 부재(141)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우 내측 다리(132)의 위치를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메커니즘에 따라, 상기 안경테(100')의 사용자는 얼굴 또는 머리 형태를 고려하거나 안경 착용 취향에 따라 좌우 내측 안경 다리(131 및 13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The fixing posi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41 is changed by moving the right inner leg 132 and then the connecting member 141 is fixed by using the screws 142 and 143, Can be adjusted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along the user's temple. According to such a mechanism, the user of the spectacle frame 100 'can adjust the positions of the left and right inner glasses legs 131 and 132 in consideration of the face or hair shape or the glasses wearing preference.

한편, 내측 안경 다리의 위치를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조정할 수 있는 방법은, 외측 안경 다리에 고정된 연결 부재가 내측 안경 다리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 외측 안경 다리와 내측 안경 다리가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 안경 다리의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상술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ethod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inner glasses legs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user's temple includes a method of adjusting the position where the connecting member fixed to the outer glasses leg is coupled to the inner glasses leg, And a method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outer glasses legs while the legs are fixedly coupled.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xamples.

상기 안경테(100)는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측면 하단에 형성된 3개의 귀뿌리 고정 홈(132-3)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귀뿌리 고정 홈이라 함은 착용 시 사용자의 귀뿌리가 접촉되는 홈을 의미한다. 상기 안경테(100')에서는 금속성 내측 다리를 둘러싼 검은 색의 표면 부재의 형태에 의하여 고정 홈(132-3)이 형성되어 있다.The eyeglass frame 100 includes three ear roots fixing grooves 132-3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ide of the user's temple. Here, the term 'root fixing groove' refers to a groove in which a user's ear roots contact when worn. In the eyeglass frame 100 ', a fixing groove 132-3 is formed by the shape of a black surface member surrounding the metallic inner leg.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경테(100')에서와 달리 하나 또는 두 개의 귀뿌리 고정 홈이 좌우 내측 안경 다리에 마련될 수도 있고 3개 이상의 귀뿌리 홈이 내측 안경 다리에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귀뿌리 홈은 상기 좌우 내측 안경 다리(131 및 132)에 의한 착용 지지 탄성력에 기초한 착용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귀뿌리 홈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얼굴 또는 머리 형태를 고려하거나 안경 착용 취향에 따라 자신의 귀뿌리가 접촉될 귀뿌리 홈을 선택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unlike the spectacle frame 100 ', one or two earlobe fixing grooves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inner glasses legs, or three or more earlobe grooves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glasses legs. This ear-shaped groove can serve to stably maintain the wearing state based on the elastic force of the left and right inner glasses 131 and 132. And, if there are a plurality of ear loops, the user may consider the shape of the face or hair, or may choose a loops of ear loops to which their ear loops will be touched according to their wearing styl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100)에서 외측 안경 다리(121)와 내측 안경 다리(131)의 결합 구조의 예들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examples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outer spectacle leg 121 and the inner spectacle frame 131 in the spectacle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의 (a) 내치 도 9의 (c)를 참조하면, 상기 내측 안경 다리(131)의 일단(一端)이 외측 안경 다리(121)의 일단에 연결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 안경 다리(131)의 타단(他端)은 착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도 9의 (a)), 착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도 9의 (b) 및 (c)). 한편, 두 안경 다리 사이의 연결 부위는 도 9의 (a) 및 (b)의 예와 같이 직선형일 수도 있고, 도 9의 (c)의 예에서와 같이 탄성의 부여를 위해 비스듬히 경사질 수도 있다.Referring to (c) of FIG. 9 (a), it can be seen that one end of the inner spectacle leg 13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uter spectacle leg 121. At this time, the other end of the inner spectacle leg 131 may extend forward along the wearer's temple (Fig. 9 (a)) and extend rearward along the wearer's temple (Fig. 9 (B) and (c) of FIG. 9 (a) and 9 (b), or may be inclined obliquely to impart elasticity as in the example of Fig. 9 (c) .

도 9의 (d) 내지 도 9의 (f)의 예는 도 9의 (a) 내지 (c)의 예에 비하여 외측 안경 다리(121)의 구조 또는 연결 구조에만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도 9의 (d) 내지 도 9의 (f)의 예에서 대해서는 도 9의 (a) 내지 (c)의 예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살펴본다. 상기 차이점은 내측 안경 다리(131)가 외측 안경 다리(121)의 바로 끝단이 아니라 외측 안경 다리(121)의 일단에서 조금 들어온 일단부에 연결되는 것이다.9 (d) to 9 (f) differ only in the structure or connection structure of the outer spectacle leg 121 in comparison with the examples of FIGS. 9 (a) to 9 (c). Therefore, in the examples of FIGS. 9 (d) to 9 (f), only differences from the examples of FIGS. 9 (a) to 9 (c) will be discussed. The difference is that the inner spectacle leg 13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outer spectacle leg 121, which is not slightly at the end of the outer spectacle leg 121,

도 9의 (g) 내지 (i)를 참조하면 외측 안경 다리(121)의 일단부는 부드러운 곡선형을 이루며, 내측 안경 다리(131)는 상기 외측 안경 다리(121)의 일단의 연결 부위를 중심을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거나(도 9의 (g)), 전방으로만 연장되거나(도 9의 (h)), 후방으로만 연장되는 것을 알 수 있다(도 9의 (i)).9 (g) to 9 (i), one end of the outer spectacle leg 121 has a smooth curved shape, and the inner spectacle leg 131 is centered on the connection part of one end of the outer spectacle leg 121 (Fig. 9 (g)) or extend only forward (Fig. 9 (h)) or extend backward only (Fig. 9 (i)).

도 9의 (k) 내지 (m)를 참조하면 외측 안경 다리(121)의 일단부는 경사진 직선을 이루며, 내측 안경 다리(131)는 상기 외측 안경 다리(121)의 일단의 연결 부위를 중심을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거나(도 9의 (k)), 전방으로만 연장되거나(도 9의 (l)), 후방으로만 연장되는 것을 알 수 있다(도 9의 (m)).9 (k) to 9 (m), one end of the outer spectacle leg 121 forms an inclined straight line, and the inner spectacle leg 131 is centered on the connection part of one end of the outer spectacle leg 121 (Fig. 9 (k)), or only forward (Fig. 9 (1)) or backward (Fig. 9 (m)).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100)에서 외측 안경 다리(121)와 내측 안경 다리(131)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joining the outer spectacle leg 121 and the inner spectacle frame 131 in the spectacle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의 (a) 내지 도 10의 (c)를 참조하면 외측 안경 다리(121)의 일단이 내측 안경 다리(131)에 접촉된 상태에서, 용접에 의하여 내/외측 다리(121 및 131)가 결합되거나(도 10의 (a)), 스크류에 의하여 상기 내/외측 다리(121 및 131)가 결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도 10의 (b) 및 (c)).10 (a) to 10 (c), when one end of the outer spectacle leg 121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pectacle leg 131, the inner / outer legs 121 and 131 (Fig. 10 (a)), it can be seen that the inner / outer legs 121 and 131 can be engaged by screws (Figs. 10 (b) and (c)).

도 10의 (d) 내지 도 10의 (f)를 참조하면 내측 안경 다리(131)의 일단이 외측 안경 다리(121)에 접촉된 상태에서, 용접에 의하여 내/외측 다리(121 및 131)가 결합되거나(도 10의 (d)), 스크류에 의하여 상기 내/외측 다리(121 및 131)가 결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도 10의 (e) 및 (f)). 한편, 도 10의 (f)의 예에서는 상기 내측 안경 다리(131)의 일단부가 상기 외측 안경 다리(121)에 마련된 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크류가 체결된다.10 (d) to 10 (f), when one end of the inner spectacle leg 131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pectacle leg 121, the inner / outer legs 121 and 131 are welded (Fig. 10 (d)), it can be seen that the inner / outer legs 121 and 131 can be engaged by screws (Fig. 10 (e) and (f)). On the other hand, in the example of FIG. 10 (f), the screw is engaged in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inner spectacle leg 131 is engaged with a groove provided in the outer spectacle leg 121.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100)의 내측 안경 다리(131)에 마련된 귀뿌리 고정 홈의 예들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examples of a rootstock fixing groove provided on the inner spectacle leg 131 of the spectacle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귀뿌리 고정 홈이 상기 내측 안경 다리(131)의 측면 하단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귀뿌리 고정 홈의 모양은 잘려진 타원(또는 원)형(도 11의 (a) 내지 (c))일 수 있고, 사인파 형(도 11의 (c) 및 (d))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귀뿌리 고정 홈은 일정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을 수도 있고(도 11의 (a) 내지 (c)), 서로 붙어 있을 수도 있다(도 11의 (c) 및 (d)).Referring to FIG. 11, it can be seen that one or more ear roots fix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side lower end of the inner spectacle leg 131. 11 (a) to (c)) and may be a sinusoidal wave (Fig. 11 (c) and (d)). 11 (a) to 11 (c)) and may be attached to each other (Figs. 11 (c) and 11 (d)).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100)의 내측 안경 다리(131)의 모양의 다양한 예들을 나타낸다. 참고로 상기 내측 안경 다리(131)의 모양은 상기 내측 안경 다리(131)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전반적 모양을 의미한다.12 shows various examples of shapes of the inner spectacle leg 131 of the spectacle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ference, the shape of the inner spectacle frame 131 refers to the overall shape when the inner spectacle frame 131 is viewed from the side.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내측 안경 다리(131)의 모양은 막대형, 타원형, 아령형 등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 안경 다리(131)의 모양은 좌우 또는 상하 대칭형일 수도 있고 비대칭형일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2, it can be seen that the shape of the inner spectacle frame 131 can be variously embodied including a bar-shaped, an elliptical, and a dumbbell-shaped.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inner frame 131 may be left-right or up-down, symmetrical, or asymmetrical.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100)의 내측 안경 다리(131)의 안쪽(즉, 착용자의 관자놀이에 접촉되는 쪽)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 구조의 다양한 예들을 나타낸다. 참고로 이러한 미끄럼 방지 수단은 상기 내측 안경 다리(131) 자체에 마련된 것일 수도 있고, 상기 내측 안경 다리(131)를 감싸는 수단에 형성될 수도 있다.13 shows various examples of the anti-slip structur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spectacle leg 131 of the spectacle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e., on the sid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earer's temple). For the sake of reference, the non-slip preventing means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glass leg 131 itself or may be formed on the inner glass leg 131.

도 13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상기 내측 안경 다리(131) 중앙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미끄럼 방지 수단(빗금 친 부분)이 배치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 수단은 고무 재질이나 실리콘 재질일 수 있다.13 (a) to 13 (c), it can be seen that at least one anti-slip device (hatched portion) is dispos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frame 131. Such non-slip means may be a rubber material or a silicon material.

도 13의 (d) 및 (e)를 참조하면, 돌출형의 미끄럼 방지 수단이 상기 내측 안경 다리(131) 전체에 일정하게 배열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13의 (f) 및 (g)를 참조하면, 미끄럼 방지 수단(빗금친 부분)이 상기 내측 안경 다리(131)의 가장자리를 중심으로 배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3 (d) and 13 (e), it can be seen that the protruding type anti-slip means is uniformly arranged on the entire inner eye leg 131. 13 (f) and (g), it can be seen that the anti-slip means (hatched portion) can be arranged around the edge of the inner spectacle leg 131. [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안경 다리(131)에는 사용자의 관자놀이에 접촉하는 부분에는 미끄럼 방지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 수단은 앞서 살펴본 귀뿌리 고정 홈과 마찬가지로, 코받침에 의한 지지력이 없이도 이중 다리 구조에 의한 착용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ner spectacle leg 131 may be formed with a non-slip device at a portion contacting the user's temple. Such a non-slip device can help to maintain the wearing state more stably by the double leg structure without the support force of the nose support, as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ear rope fixing groov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100, 100': 안경테 110: 렌즈부
111: 좌측 렌즈 림 112: 우측 렌즈 림
113: 코다리 121: 좌 외측 다리
122: 우 외측 다리 131: 좌 내측 다리
132: 우 내측 다리
100, 100 ': eyeglass frame 110: lens part
111: Left lens rim 112: Right lens rim
113: Cradle 121: left lateral leg
122: right outer leg 131: left inner leg
132: right medial leg

Claims (7)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좌우 양단에 힌지 결합되어 착용 지지 탄성력을 전달하는 좌우 외측 안경 다리; 및
각각이, 상기 좌우 외측 안경 다리 중 대응되는 외측 안경 다리의 내측에서 상기 대응되는 외측 안경 다리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착용 시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접촉되어 상기 착용 지지 탄성력을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작용시키는 좌우 내측 안경 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 내측 안경 다리 각각은,
상기 대응되는 외측 안경 다리와의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대응되는 외측 안경 다리와의 연결 부위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관자놀이를 따라서 측면 하단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귀뿌리 고정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A lens portion;
Left and right outer glasses hinged to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lens unit to transmit a wear-supporting elastic force; And
Each of the right and left outer glasses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corresponding outer glasses leg on the inner side of the corresponding outer glasses legs and is contacted along the temple of the user when worn to support the wear support elasticity along the user's temple And a left and right inner glasses legs,
Each of the right and left inner glasses legs
A first extension extending forward along a temple of the user with respect to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rresponding outer eyeglass leg; And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rearward along the temple of the user with respect to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orresponding outer eyeglass leg,
And at least one ear rope fixing groov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ide of the user along the temple of the us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065189A 2015-05-11 2015-05-11 eye glasses frame KR1015800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189A KR101580079B1 (en) 2015-05-11 2015-05-11 eye glasses frame
PCT/KR2016/002344 WO2016182185A1 (en) 2015-05-11 2016-03-09 Eyeglasses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189A KR101580079B1 (en) 2015-05-11 2015-05-11 eye glasses fr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079B1 true KR101580079B1 (en) 2015-12-29

Family

ID=55085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189A KR101580079B1 (en) 2015-05-11 2015-05-11 eye glasses fr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80079B1 (en)
WO (1) WO2016182185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4925A1 (en) * 2019-05-17 2020-11-26 Tamura Shinzo Spectacle frame with side part pad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781B1 (en) * 1990-07-02 1992-09-17 심재영 Goggles a bow settle
KR20090000160U (en) * 2007-06-29 2009-01-08 송혜림 control glasses
KR20090089042A (en) * 2008-02-18 2009-08-21 최부영 The glasses without nose pa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7830A (en) * 2001-03-22 2002-09-25 Seiko Epson Corp Spectacle frame
KR101508871B1 (en) * 2014-02-03 2015-04-07 최관락 Glasses not having nose suppor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781B1 (en) * 1990-07-02 1992-09-17 심재영 Goggles a bow settle
KR20090000160U (en) * 2007-06-29 2009-01-08 송혜림 control glasses
KR20090089042A (en) * 2008-02-18 2009-08-21 최부영 The glasses without nose pa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4925A1 (en) * 2019-05-17 2020-11-26 Tamura Shinzo Spectacle frame with side part pa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82185A1 (en)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22841A1 (en)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headset
JP6233994B1 (en) Nose pad and glasses equipped with the same
JP2020034939A5 (en)
WO2010086650A1 (en) Spectacle frames
US11281021B2 (en) Eyeglasses
JP5199511B1 (en) glasses
KR101093870B1 (en) Goggles for vision correction
KR101580079B1 (en) eye glasses frame
KR20080070211A (en) A structure of glasses legs having no nose pad
KR20170140797A (en) Detachable weight for glasses
KR101562750B1 (en) Hair fixing typed glasses
KR20180032276A (en) Wide Use Auxiliary Glasses
US20200310155A1 (en) Eyeglass frame supported by cheek bones
KR20120035349A (en) Eyeglasses
GB2497727A (en) Temples-less eyewear
KR101602051B1 (en) Supporting means for spectacles
KR101972667B1 (en) Head fixed type glasses for a surgical patient of skin incision
TW201224578A (en) Protective glasses
US10274747B1 (en) Glasses nose pad adjustment structure
KR20090005955U (en) Nose prop that Attacheed and Detached is possible for glasses that angle adjustment is available
KR200485014Y1 (en) A glasses frame support by zygomatic bone
KR101508871B1 (en) Glasses not having nose supporter
KR102132368B1 (en) Glasses with minimized nose irritation
JP2022123254A (en) Eyeglasses
TWM647620U (en) Glasses re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