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926B1 - Pressure clothing for lower extremity - Google Patents

Pressure clothing for lower extrem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926B1
KR101579926B1 KR1020140018692A KR20140018692A KR101579926B1 KR 101579926 B1 KR101579926 B1 KR 101579926B1 KR 1020140018692 A KR1020140018692 A KR 1020140018692A KR 20140018692 A KR20140018692 A KR 20140018692A KR 101579926 B1 KR101579926 B1 KR 101579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pressing
wing
correcting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6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97318A (en
Inventor
손태석
Original Assignee
손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태석 filed Critical 손태석
Priority to KR1020140018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926B1/en
Publication of KR20150097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3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9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0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1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덧신, 양말, 스타킹 등과 같이 인체의 하지에 착용할 수 있는 하지(下肢) 착용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지에 신겨지는 몸체에 발가락 교정기와 근육 압박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발가락 교정과 함께 발바닥 및 발가락을 지압하고, 하지의 개별 근육을 각각 압박하여 혈류 개선, 근육 마사지 등의 효과를 제공하여 피로 회복, 하지정맥류나 무지외반증과 같은 질병 예방을 통해 국민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발가락 교정기와 압박수단을 구비한 하지(下地) 착용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지(下地) 착용물은 신체의 하지(下肢)에 착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발가락부에 수용되는 발가락 교정기; 및 상기 몸체에서 발 또는 다리의 개별 근육을 각각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다른 부위보다 강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압박부와, 상기 몸체의 발바닥부에 구비되며, 발바닥의 용천혈을 가압하는 지압체를 포함하는 압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er's lower leg wearable material such as a boot, a sock, a stocking,
More specifically, the toe straightener and the muscle pressing means are provided on the body that is put on the lower limb, so that when the user wears it, the toes and the toes are pressed together with the toe correction and the individual muscles of the lower limbs are pressed to improve blood flow, To provide a toe correction device capable of protecting the public health through prevention of diseases such as restoration of fatigue, varicose veins and hallux valgus, and a press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undergarment comprising: a body to be worn on a lower limb of a body; A toe calibrator accommodated in a toe portion of the body; A pressing part formed to surround the individual muscles of the foot or the legs of the body, the pressing part being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elasticity than the other parts of the body; and a pressing part provided on the sole part of the body, And pressing means including a sieve.

Description

발가락 교정기와 압박수단을 구비한 하지(下地) 착용물{PRESSURE CLOTHING FOR LOWER EXTREMITY}{PRESSURE CLOTHING FOR LOWER EXTREMITY} having a toe straightener and an urging means,

본 발명은 덧신, 양말, 스타킹 등과 같이 인체의 하지에 착용할 수 있는 하지(下肢) 착용물에 관한 것으로,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er's lower leg wearable material such as a boot, a sock, a stocking,

보다 상세하게는 하지에 신겨지는 몸체에 발가락 교정기와 근육 압박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발가락 교정과 함께 발바닥 및 발가락을 지압하고, 하지의 개별 근육을 각각 압박하여 혈류 개선, 근육 마사지 등의 효과를 제공하여 피로 회복, 하지정맥류나 무지외반증과 같은 질병 예방을 통해 국민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발가락 교정기와 압박수단을 구비한 하지(下地) 착용물에 관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toe straightener and the muscle pressing means are provided on the body that is put on the lower limb, so that when the user wears it, the toes and the toes are pressed together with the toe correction and the individual muscles of the lower limbs are pressed to improve blood flow, To provide a toe correction device capable of protecting the public health through prevention of diseases such as restoration of fatigue, varicose veins and hallux valgus, and a pressing device.

소득 수준이 향상되면서 자연스럽게 건강에 대한 인식이 날로 높아져 가고 있는 추세에 발맞춰 발에 인체의 주요 장기와 연결된 혈(穴) 자리가 존재하여 이를 자극함으로써 건강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발을 비롯한 하지(下肢; 다리) 전체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As the income level improves, the awareness of health is increasing day by day. As a result, it is known that there is a hole in the foot which is connected with the main organs of the human body, The importance of the entire lower limb (legs) is emerging.

특히 현대인의 고칼로리 식사로 인한 영양 공급의 과잉과 부족한 운동량으로 인하여 기혈 순환의 장애가 건강 악화를 초래하게 되면서 발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Especially, the health of the feet is increasing due to the deterioration of health due to the hypertrophic circulation caused by excessive and insufficient nutritional supply due to the high calorie diet of modern people.

특히 발바닥은 인체의 축소판이라 불릴 정도로 체내의 모든 장기, 기관과 연결되어 있어 올바를 자세로 걷거나 서 있는 것만으로도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In particular, the sole is connected to all the organs and organs in the body, so called the thumbnail of the human body, so walking or standing in the right posture helps to maintain health.

반면에 바른 걸음걸이 또는 서있는 자세를 유지하지 않을 경우 발가락과 발을 이루는 관절들이 변형되어 관절 연쇄 원리에 따라 발목에서 무릎, 골반, 허리, 척추, 내장기관, 어깨, 목, 머리까지 파급되어 O자 다리, X자 다리, 골반 불균형, 어깨 불균형, 척추 디스크, 측만증, 혈액순환장애, 보행 장애 등 신체 전반에 걸쳐 일어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ight gait or standing posture is not maintained, the joints that form the toe and foot are deformed, so that the knee, pelvis, waist, spine, internal organs, shoulders, neck, Legs, X-legs, pelvic imbalance, shoulder imbalance, spinal disc, scoliosis, blood circulation disorder, and walking disorder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을 건강하게 관리하는 습관으로 꾸준한 발 마사지, 자극 요법 등이 있는데, 이러한 마사지, 자극요법은 발뿐만 아니라 신체 전반에 걸친 질명 예방이나 치료에 효과가 크기 때문에 근래 들어 여러 방법으로 널리 행해지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is a steady foot massage and stimulation therapy as a habit to manage the feet healthily. Such massage and stimulation therapy are effective not only for the feet but also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he vocal cords throughout the body. It is widely practiced in many ways.

따라서 상기와 같은 마사지나 자극요법을 꾸준히 해준다면 만성 피로, 불면증, 두통, 생리통, 관절염 등 신체에 일어난 불균형 장애를 해소해주며, 스트레스를 줄이고 깊은 이완을 얻게 하며, 긴장을 줄여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인체 내의 독소와 노폐물을 제거하고, 면역력을 증가시켜 피로나 공해로 빚어지는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Therefore, if you continue to use the massage or stimulation therapy as described above, it will relieve the unbalance caused by the body such as chronic fatigue, insomnia, headache, menstrual cramps and arthritis, reduce stress and deep relaxation, promote blood circulation , Eliminate toxins and wastes in the body, and increase immunity to prevent diseases caused by fatigue or pollution.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인들은 발을 포함한 하지 건강의 중요성을 간과한 채 미(美)적 관심에만 급급하여 굽이 높은 하이힐이나, 키높이 같은 신발 등의 사용함으로써, 발의 특정부위로 체중이 쏠리면서 어깨 등이 쑤시고 피로감을 더욱 빨리 느끼면서 면역력이 저하되면서 각종 질병에 걸리기 쉬워 국민 건강에 위험을 초래하고 있고, 특히 무지외반증과 같은 발가락의 변형 또는 하지정맥류와 같은 혈류 장애의 발병률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Nonetheless, contemporary people overlooked the importance of health, including feet, and only paid attention to beauty. By using high-heeled shoes and high-heeled shoes, weight is concentrated on specific parts of the foot, And the risk of the public health is increased because it is easy to take various kinds of diseases as the immune power is lowered. In particular, the incidence of blood flow disorders such as deformity of the toe or varicose veins of the lower limb is increasing graduall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72903호 "발가락 지압기의 제조방법"이 있는데,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4-0072903 entitled "Method of manufacturing a toe shaker"

상기 종래 기술의 지압기는 발가락을 지압하는데만 중점을 두고 개발된 것임에 따라 발가락의 기형을 고정하는 것에는 특징적인 효과는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Since the conventional articulator has been developed with an emphasis on shaking the toe only, there is no characteristic effect in fixing the deformity of the toe.

이에 따라 발을 포함한 하지의 개별 부위에 대한 적당한 마사지 효과를 갖으면서, 동시에 발가락의 형태를 교정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capable of correcting the shape of the toe while having a proper massage effect on the individual parts of the foot including the foot.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몸무게의 3~7배 이상의 무게를 발가락을 통해 지면으로 고르게 분산시키고, 교정과 지압을 통하여 혈액 순환을 도와주어 발가락의 굳은살, 티눈, 습진, 무종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잘못된 습관으로 일어나는 발가락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변형된 발가락을 교정할 수 있도록 신체의 하지(下肢)에 착용되는 몸체의 발가락부에 발가락 교정기가 구비되어 있고,It can distribute the weight more than 3 ~ 7 times of the weight evenly on the ground through the toes and help the blood circulation through the correction and the acupressure to prevent the hardened flesh of the toe, corn, eczema and omnivorous. A toe straightener is provided on the toe portion of the body to be worn on the lower leg of the body so as to prevent deformation and correct the deformed toe,

특히, 신체의 근간인 발의 교정을 통해 굽은 다리, O자 다리, 굽은 어깨, 휘어진 척추 등 체형 전체를 전반적으로 교정하는 효과가 있어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도록In particular, it has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entire body such as bent legs, O-legs, curved shoulders and curved spine through the correction of the foot of the body to help improve health.

온몸의 기혈을 순환시켜 전신에 에너지를 공급하여 정신의 안정 및 신체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발바닥의 용천혈을 자극하는 지압체와, 하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근육들에 대하여 상시적으로 개별적인 마사지 효과를 제공하여 혈류 장애 개선, 피로 회복에 효과가 있도록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몸체의 다른 부위보다 강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각 근육을 개별적으로 압박하는 압박부를 포함하는 압박수단을 구비한 하지 착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o provide energy to the whole body by circulating the blood of the whole body and to prevent mental stability and the body diseases, it is possible to apply the massage effect which constantly stimulates the chiropractic body to stimulate the dragon blood of the sole and the muscles most used in the legs And an urging means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so as to be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blood flow disorder and fatigue recovery and which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tronger elasticity than the other parts of the body so as to urge the muscles individually,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 본 발명은 하지 착용물의 용도에 따라 주로 사용되는 근육에 대하여 마사지 효과를 집중시켜, 덧신, 발목 양말, 레포츠용 양말, 스타킹 등 다양한 종류의 하지 착용물에 본 발명의 압박부를 적용할 수 있고,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kinds of undergarments such as footwear, ankle socks, socks for athletics, stockings and the like by concentrating the massaging effect on muscles mainly us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undergarment,

특히, 레포츠 또는 스포츠 양말에 본 발명을 활용할 경우 부상, 상해 예방과 동시에 지속된 마사지 효과로 인한 연습 효과 증대 및 경기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발바닥부에서 발바닥을 감싸는 제1압박부와, 상기 몸체의 종아리부에서 다리의 발목을 감싸는 제2압박부와, 상기 몸체의 종아리부에서 다리의 후방을 감싸는 제3압박부와, 상기 몸체의 종아리부에서 다리의 전방을 감싸는 제4압박부 중 하나 이상의 압박부를 포함하는 압박수단을 구비한 하지 착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particular,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ports or sports sock, a first pressing unit that wraps the soles of the soles of the body so as to increase the exercise effect and improve the performance due to the massage effect sustained simultaneously with injuries, injuries, A third pressing part for wrapping the back of the leg in the calf part of the body and a third pressing part for wrapping the front part of the leg in the calf part of the body, And a pressing means including at least one pressing portion.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습관, 생활 패턴, 직업 등에 따라 압박부를 통한 마사지 효과의 집중 및 필요 부위에만 압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과도한 자극에 따른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4압박부의 탄성 강도가 서로 상이하도록 제작되어지는 하지 착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ity of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ortions is adjusted so as to prevent the adverse effects due to excessive stimulation by allowing the massaging effect to be concentrated through the pressing portion according to the user's habit, life pattern, And which is made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양한 신발 또는 일과 또는 발가락 형태 등에 맞춰 발가락 교정기를 필요로 하지 않을 때에도 압박수단을 구비한 하지 착용물만을 따로 착용하여 마사지 효과가 나타나도록 탈착 가능한 발가락 교정기를 구비한 하지 착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mean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user does not need a toe straightener corresponding to various shoe, work or toe shape, etc.,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oe correcting device having a removable toe straightener And to provide the above object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지(下地) 착용물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nder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신체의 하지(下肢)에 착용되는 몸체;A body worn on the lower limbs of the body;

상기 몸체의 발가락부에 수용되는 발가락 교정기; 및A toe calibrator accommodated in a toe portion of the body; And

상기 몸체에서 발 또는 다리의 일부를 각각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다른 부위보다 강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압박부와, A pressing part formed to surround a part of a foot or a leg of the body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elasticity than other parts of the body;

상기 몸체의 발바닥부에 구비되어, 발바닥을 가압하는 지압체를 포함하는 압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d pressing means provided on the sole portion of the body, the pressing means including a pressing member pressing the sole.

또 본 발명에 따른 하지(下地) 착용물에서 상기 압박수단은 상기 몸체의 발바닥부에서 발바닥을 감싸는 제1압박부와, 상기 몸체의 종아리부에서 다리의 발목을 감싸는 제2압박부와, 상기 몸체의 종아리부에서 다리의 후방을 감싸는 제3압박부와, 상기 몸체의 종아리부에서 다리의 전방을 감싸는 제4압박부 중 하나 이상의 압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under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ing means includes a first pushing portion for wrapping the sole at the sole of the body, a second pushing portion for wrapping the ankle of the leg at the calf portion of the body, And a fourth pressing part for covering the front of the leg in the calf part of the body.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하지(下地) 착용물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압박부의 탄성 강도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under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ortions have different elastic strength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지(下地) 착용물에서 상기 발가락 교정기는 상기 몸체의 발가락부에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in the under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e calibrator is detachable to the toe portion of the body.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와 압박수단을 구비한 하지(下地) 착용물은 교정돌기와 압박수단을 통한 각 부위별 지압 효과와 함께 발가락의 기형을 예방하고 교정할 수 있으며, 특히 무지외반증과 같은 심한 질병을 예방함과 동시에 별도의 수술을 필요로 하지 않더라고 무지외반증을 치료할 수 있기 때문에 국민 건강을 유지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The undergarment provided with the toe straightener and the press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nd correct the deformity of the toe with the acupressure effect and the pressing effect of each part through the pressing means, And it is very advantageous to maintain the public health because it can treat the hallux valgus if 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operation.

특히, 신체의 근간인 발의 교정을 통해 굽은 다리, O자 다리, 굽은 어깨, 휘어진 척추 등 체형 전체를 전반적으로 교정하는 효과가 있어 건강 증진에 매유 유익한 발명이다.
In particular, it is a beneficial invention for health promotion because it has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whole body such as bent leg, O leg, curved shoulder, and curved vertebra through the correction of the foot of the body.

또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와 압박수단을 구비한 하지(下地) 착용물은 신체의 건강에 중요한 혈자리인 용천혈을 압박하는 지압체를 도입하여, 온몸의 기혈을 순환시켜 전신에 에너지를 공급하여 정신의 안정 및 신체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지압체와 함께 발 또는 다리의 개별 근육을 각각 감싸면서 강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압박부를 포함한 압박수단을 도입하여, 혈액 순환을 도와 혈류 장애를 개선하여 하지정맥류와 같은 질병을 예방, 치료하는데 효과가 크고, 실생활에서 불편함 없이 항상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시간을 쪼개서 마사지를 받지 않더라도 상시적인 마사지 효과에 따라 만성 피로 등을 예방함으로써 면역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ndergarment provided with the toe straightener and the press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the body pressure which presses the dragon blood which is an important hemisphere for the health of the body, circulates the blood of the whole body and supplies energy to the whole body And a pressure unit including a pressing part made of a material having strong elasticity while wrapping individual muscles of a foot or a leg together with the above-mentioned tympanic body is introduced to help blood circulation, It is effective to prevent and treat diseases such as varicose veins, and it can be used without any inconvenience in the real life. Therefore, even if massage is not performed separately, the immunity is reduced by preventing chronic fatigue according to the usual massage effect Can be prevented.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와 압박수단을 구비한 하지(下地) 착용물은 상기 몸체의 발바닥부에서 발바닥을 감싸는 제1압박부와, 상기 몸체의 종아리부에서 다리의 발목을 감싸는 제2압박부와, 상기 몸체의 종아리부에서 다리의 후방을 감싸는 제3압박부와, 상기 몸체의 종아리부에서 다리의 전방을 감싸는 제4압박부를 포함하는 압박수단을 구비하여, 덧신, 발목 양말, 레포츠용 양말, 스타킹 등 다양한 종류의 하지 착용물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국민 건강을 위한 대중화에 유리하고, 상업적으로도 범용성 및 효용성이 매우 뛰어나다.Further, the undergarment provided with the toe straightener and the urg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ressing part for wrapping the soles of the feet at the sole of the body, a second pressing part for wrapping the ankles of the legs at the calf part of the body, And a pushing means including a third pushing portion for wrapping the back of the leg in the calf portion of the body and a fourth pushing portion for wrapping the front of the leg in the calf portion of the body so that the sock for the ankle sock, , Stockings, and the like, it is advantageous for popularization for the public health, and it is excellent in versatility and utility in commercial us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하지 착용물을 레포츠 또는 스포츠 양말에 활용할 경우 부상, 상해 예방과 동시에 지속된 마사지 효과로 인한 연습 효과 증대 및 경기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Particularly, when the under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sports shoes or sports sock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xercise effect and improve the athletic performance due to the massage effect sustained simultaneously with injuries and injuri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와 압박수단을 구비한 하지(下地) 착용물은 서로 상이한 탄성 강도를 갖는 제1 내지 제4압박부를 도입함에 따라 착용물의 종류, 용도 등에 따른 개별 압박과 함께 사용자의 습관, 생활 패턴, 직업 등에 따라 압박부를 통한 마사지 효과의 집중 및 필요 부위에만 압박이 이루어짐으로써 효용성이 매우 뛰어나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arts having elastic strengths different from each other are introduced, the undergarment provided with the toe correcting device and the pressing means is subjected to individual pressing according to the type, , Life pattern, occupation, etc., the effect of massage is concentrated through the pressing part and the pressure is applied only to the necessary part, which is very useful.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와 압박수단을 구비한 하지(下地) 착용물은 탈착 가능한 발가락 교정기를 도입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신발 또는 일과 또는 발가락 형태 등에 맞춰 발가락 교정기를 필요로 하지 않을 때에도 압박수단을 구비한 하지 착용물만을 따로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Further, the under wearable article having the toe straightener and the press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a detachable toe straightener, so that even when the user does not need the toe corrector in accordance with various shoes, work or toe shape, It is very convenient because it can be used by wearing only the wearer's footwear.

도 1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하지(下肢) 구조도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지(下地) 착용물의 개념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지(下肢) 착용물에서 발가락 교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지(下肢) 착용물에서 발가락 교정기의 다양한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of a lower limb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base wear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3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a toe corrective device in a lower limb wear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toe straightener in the lower leg wear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의 하지(下肢)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에서 사람의 몸통 아래에 붙어 몸통을 지탱하거나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신체기관을 말하는 것으로, 둔부(엉덩이), 넓적다리(대퇴부), 무릎부위(슬), 종아리부위(하퇴), 발목(족관절), 발(족부)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고,Prior to the description, the lower limb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s to a bodily organ which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a human body under a human body to support or move the body, as shown in Fig. 1A, and includes a hip (hip), a thigh ), A knee area (sled), a calf area (lower limb), an ankle (ankle joint), and a foot (foot)

따라서 하지 착용물이란 상기한 부위에 밀착되면서 신어서 착용할 수 있는 모든 의류 제품, 즉 덧신, 각종 양말(예를 들어 발목 양말, 일반 양말, 무릎까지 올라오는 레포츠, 스포츠용 양말), 각종 스타킹(팬티스타킹 포함), 타이즈 및 내의 등을 포괄하는 개념을 말한다.Accordingly, the undergarment means all kinds of clothing products that can be worn while wearing on the above-mentioned parts such as a boot, various socks (for example, ankle socks, general socks, lap tops, sports socks) Pantyhose), tights, and underwear.

또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족부)에 대하여 발뒤꿈치 부위인 후족부, 발의 중앙 부위로써 상측으로 함몰된 아치를 포함하고 발가락 관절과 연결되는 중족부 및 발의 전방 부위로써 발가락을 포함하는 전족부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As shown in FIG. 1C,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foot portion, which is a hee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oot (foot portion), a middle portion including an upwardly depressed arch as a central portion of the foot, Describe the anterior segment of the foot as a forefoot containing fores.

본 발명에 따른 하지(下肢) 착용물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의 [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측방향 개념도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고, 몸체(10)의 발가락부(12)가 구비된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상하전후를 정하고, In describing the lower limb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unambiguous approximate direction reference for convenience is specified with reference to the lateral conceptual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A] of Fig. 2, The upper and lower and front and rear directions are determined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e portion 12 of the body 10 is provided forward,

도 2의 [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상측방향 개념도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을 횡방향으로 하고, 도 2의 [A]에서 수직방향을 종방향으로 정하여,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2,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is defined as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of Fig. 2, with reference to the upward directional conceptual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B]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in the claims, specify directions in accordance with these Standard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와 압박수단을 구비한 하지(下地) 착용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우선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지(下地) 착용물은 크게 하지에 착용하는 몸체(10)와, 몸체(10) 내부에 구비되는 발가락 교정기(20)및 몸체(10)의 일부에 걸쳐 구비되는 압박수단(30)을 포함한다.2 to 5, the under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 to be worn on the lower limb, a toe straightener 20 provided in the body 10, (10).

상기 몸체(10)는 섬유사 등을 사용하여 면직되어 내측에 수용부(10A)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수용부(10A)에 하지를 삽입,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착용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며, The body 10 is made of cotton yarn or the like so that the receiving portion 10A is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the user can insert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ortion 10A and wear the body 10A. It is a concept that includes all kinds of wearing materials,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무릎 부위까지 올라오는 레포츠용 양말을 대표하여 도시하고 있고, 이하에서는 레포츠용 양말을 참고하여 설명하나, 상기 몸체(10)의 본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신어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착용물로써 레포츠용 양말이 아닌 다른 종류의 착용물에 후술하는 발가락 교정기(20) 및 압박수단(30)을 적용하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충분히 예측하여 재현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가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In the drawings of this specification,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ocks for lap tops which are brought up to the knees are shown as examples, and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socks for lap tops. The nature of the body 10,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applying the toe straightener 20 and the pressing means 30 to be described later to all kinds of wearing materials other than the socks for raffors with all wearing materials that can be worn and used can be sufficiently predicted and reproduced The rights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상기 몸체(1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의 발바닥을 감싸는 발바닥부(11)와, 발바닥부(11)의 전방에서 상측으로 연결되어 발가락을 감싸는 발가락부(12)와, 발가락부(12)에서 발등을 감싸도록 연결된 발등부(13) 및 발등부(13)와 발바닥부(11)의 후방에서 상호 연결되어 발목과 종아리를 감싸도록 연결되며 발가락부(12)를 투입할 수 있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종아리부(14)로 구성된다(이하 발의 뼈 또는 다리 근육의 개별 명칭은 도 1 참고).As shown in FIG. 2, the body 10 includes a sole portion 11 surrounding the sole of the body, a toe portion connected upward from the front of the sole portion 11 to surround the toe, A foot portion 13 and a foot portion 13 which are connected to the foot portion 12 so as to surround the foot portion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back of the foot portion 11 so as to surround the ankle and the calf, And a calf portion 14 including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legs 12 can be inserted (hereinafter, the individual names of the foot or leg muscles of the foot are shown in Fig. 1).

또 상기 몸체(10)는 경우에 따라 발바닥이나 발가락의 일부 또는 발전체를 감싸는 구성이 생략된 타이즈나 발 토시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10 may be replaced with a tights or a footstool in which the footsteps, a part of the toes, or the footsteps are omitted.

이밖에 상기 몸체(10)의 면직 구조, 재질 등은 착용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 이와 관련된 구체 구성은 본 발명의 본질적은 특징과는 관련성이 적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body structure, material and the like of the body 10 may be variously form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material to be worn, and detailed structures are not related to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어서 본 발명의 압박수단(30)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에서 발 또는 다리의 일부를 각각 감싸도록 형성되는 압박부(31)와, 상기 몸체(10)의 발바닥부(11)에 구비되어, 발바닥을 가압하는 지압체(36)를 포함한다.2, the pushing means 30 includes a pushing portion 31 formed to enclose a part of a foot or a leg of the body 10, (34) provided on the sole (11) of the sole (11) to press the sole.

상기 압박부(31)는 몸체(10)와 같이 섬유사 등으로 면직되는데, 이때 몸체(10)의 다른 부위에 사용되는 재질보다 강한 탄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여 부분적인 압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pressing portion 31 is folded with a fiber yarn or the like as in the case of the body 10. At this time, the pressing portion 31 is partially pressed by using a material having stronger elasticity than the material used for other portions of the body 10.

즉, 사용자가 착용하는 몸체(10) 전부를 강한 탄성을 갖도록 제작할 경우 발 또는 다리 전체가 조여지게 되어 혈액의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혈류 장애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본 발명은 압박을 통한 지압, 마사지 효과가 필요한 부위에만 강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압박부(31)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혈액 순환을 개선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entire body 10 to be worn by the user is made to have a high elasticity, the whole foot or leg is tightened and the circulation of the blood is not perform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lood circulation by placing the pressing portion 31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trong elasticity only in a necessary portion.

또한 압박부(31)를 통해 개별 근육에 대한 마사지 효과가 발생하므로 등산이나 운동을 장시간동안 하더라도 경직되기 쉬운 근육에 대하여 즉각적인 마사지 효과가 발휘되므로 일반 양말이나 스타킹뿐만 아니라 레포츠, 스포츠용 양말로도 본 발명의 착용물을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assaging effect for individual muscles is generated through the pressing portion 31, instant massage effect is exhibited on the muscles that are liable to be rigid even during climbing or exercise for a long time. Therefore, not only general socks and stockings, but also laports and sports socks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wearing material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압박수단(30)으로써 상기 압박부(31)는 착용물의 종류나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다리 근육 사용 시 가장 많이 사용되어 피로 누적 및 경직되기 쉬운 근육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As the pressing means 3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portion 31 can b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depending on the kind and use of the worn material. In general, when the leg muscle is used, More preferably, it is formed.

이를 위하여 상기 압박부(31)는 상기 몸체(10)의 발바닥부(11)에서 발바닥을 감싸는 제1압박부(32)와, 상기 몸체(10)의 종아리부(14)에서 다리의 발목을 감싸는 제2압박부(33)와, 상기 몸체(10)의 종아리부(14)에서 다리의 후방을 감싸는 제3압박부(34)와, 상기 몸체(10)의 종아리부(14)에서 다리의 전방을 감싸는 제4압박부(35)로 구성될 수 있으며,The pressing portion 31 includes a first pressing portion 32 for covering the soles of the feet at the foot portion 11 of the body 10 and a second pressing portion 32 for covering the ankles of the legs at the calf portion 14 of the body 10. [ A third pressing portion 34 surrounding the back of the leg in the calf portion 14 of the body 10 and a third pressing portion 34 surrounding the back of the leg in the calf portion 14 of the body 10, And a fourth pressing part 35 surrounding the first pressing part 35,

본 발명의 몸체(10)는 상기 압박부(31)들 중 하나 이상의 압박부(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body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pressing portion 31 of the pressing portions 31.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착용물로써 상기 몸체(10)가 덧신이나 발목 양말일 경우에는 상기 제1압박부(32)만이 압박수단(30)으로써 구비될 것이고,For example, when the body 10 is a sock or ankle sock as a wearing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first pressing portion 32 will be provided as the pressing means 30,

상기 몸체(10)가 일반 양말일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압박부(32)(33)가 압박수단(30)으로써 구비될 것이며,When the body 10 is a general sock, the first and second pressing portions 32 and 33 will be provided as the pressing means 30,

상기 몸체(10)가 무릎 부위까지 올라오는 레포츠, 스포츠용 양말 또는 스타킹 등일 경우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압박부(32~35) 모두가 압박수단(30)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이 경우에도 제1 내지 제4압박부(32~35) 중 일부만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body 10 is a lap top up to the knee, a sports sock or a stocking, all of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arts 32 to 35 may be provided as the pressing means 30 And may include only a part of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arts 32 to 35.)

상기 제1 내지 제4압박부(32~35)를 통해 개별적인 지압, 마사지 효과가 뛰어난 근육들을 살펴보면 우선 발바닥의 후족부는 발가락과 같이 신체의 하중이 집중되는 부위로 서있는 상태뿐만 아니라 보행 시 더욱 많은 하중이 쏠리면서 충격이 전달되는 부위로 상기 제1압박부(32)가 발바닥의 후족부를 감싸면서 탄성을 통한 지압, 마사지 효과가 발휘되어 발바닥의 후족부 근육을 풀어주어 발의 피로를 저하시킬 수 있다.As for the muscles having superior individual acupressure and massage effect through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arts 32 to 35, the hind part of the sole is not only a state where the load of the body is concentrated such as a toe, As the load is concentrated and the impact is transmitted, the first pressing part 32 surrounds the hind part of the sole while applying pressure and massage effect through the elasticity to release the hindfoot muscles of the sole, thereby reducing foot fatigue have.

또 다리의 가자미근은 걷거나 뛸 경우 발목 관절과 연결되어 근육의 수축 및 이완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부위로 상기 제2압박부(33)가 다리의 가자미근을 감싸면서 탄성을 통한 지압, 마사지 효과가 발휘되어 장시간 활동 시 발목 부근이 뻐근해지면서 아프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egs of the legs are walked or run, it is connected to the ankle joints so that the muscles are most contracted and relaxed. The second pushing portions 33 wrap the legs of the leg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nkle from becoming sick due to the stiffness during activity.

그리고 다리의 비복근과 전경골근은 등산이나 운동과 같이 장시간동안 근육을 무리하게 사용할 때 가장 쉽게 근육 경직이 발생하기 쉬운 부위로 상기 제3 및 제4압박부(34)(35)가 다리의 비복근과 전경골근을 감싸면서 탄성을 통한 지압, 마사지 효과가 발휘되어 근육 경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muscles are forcibly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such as climbing or exercising, the gastrocnemius and the tibialis muscles of the legs are most easily susceptible to muscle stiffness, and the third and fourth pressing portions 34 and 35 are located in the leg gut mus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muscle stiffness due to the exertion of pressure and massage through the elasticity while covering the entire tibia muscle.

또 무리한 활동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착용물을 착용한 상태만으로도 상기 제1 내지 제4압박부(32~35)를 통해 상시적인 마사지 효과가 발휘되어 혈액 순환을 도와 하지정맥류와 같은 혈류 장애를 예방, 치료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wearer wears the wearer's body in the state without any unreasonable activities, the massage effect is constantly exercised through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arts 32 to 35 to help the blood circulation. Disability can be prevented and treated.

나아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압박부(32~35) 각각은 서로 상이한 탄성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ortions 32 to 35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different elastic strengths.

즉, 보행과 같은 일반적인 활동 시 비복근 및 전경골근의 경우 가자미근과 달리 근육의 무리가 상대적으로 덜하므로 일반 양말이나 스타킹으로 본 발명의 착용물이 활용될 경우 상기 제2압박부(33)를 상기 제3 및 제4압박부(34)(35)보다 강한 탄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마사지 효과 증대 및 혈류 장애 개선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That is, in general activities such as gait, in the case of the gastrocnemius and the tibialis anterior muscle, the muscles are relatively less unlike the soleus muscles. Therefore, when the wearable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general socks or stockings, 3 and the fourth pressing portions 34, 35 may be more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massage effect and improving the blood flow disorder.

또 등산이나 운동과 같이 근육의 사용이 많은 활동 시 다리의 전경골근에 비하여 비복근이 상대적으로 근육이 경직되어 뭉치기 쉬우므로 레포츠, 스포츠 양말로 본 발명의 착용물이 활용될 경우 상기 제4압박부(35)를 상기 제3압박부(34)보다 강한 탄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근육 이완 효과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gastrocnemius relatively stiffens the muscles of the legs when compared to the tibialis muscle of the legs during the activities such as climbing and exercise, the legs and the sports socks are used as the sock of the present invention, 35 may be made more effective for the muscle relaxation effect by using a material having stronger elasticity than the third pressing portion 34. [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압박부(31)들을 착용물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각기 다른 탄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above effects by making the pressing portions 31 have different elasticity according to the type and use of the wearing material.

한편 상기 지압체(36)는 상기 몸체(10)의 발바닥부(11)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발바닥의 여러 부위를 가압함으로써 지압 효과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는데,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foot rest part (11) of the body (10) may be provided to press the various parts of the sole so that the foot pressure effect is generated.

많은 수의 지압체(36)가 구비될 경우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기 쉬우므로 신체의 건강에 중요한 혈자리인 용천혈을 압박하는 지압체를 도입하여, 온몸의 기혈을 순환시켜 전신에 에너지를 공급하여 정신의 안정 및 신체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Since a user is likely to feel pain when a large number of chiropractic members 36 are provided, by introducing a chiropractic body that presses the yongcheon blood, which is an important hemisphere for the health of the body, circulates the blood of the whole body and supplies energy to the whole body, And can prevent the disease of the body.

이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가락 교정기(20)는 상기 몸체(10)의 발가락부(12)에 수용되어 있고,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써,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전족부를 지지하며 바닥(지면)에 접하는 바닥지지체(21) 및 상기 바닥지지체(21)의 상부면에서 돌설된 복수의 교정돌기(22)가 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As shown in FIG. 2, the toe straighten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the toe portion 12 of the body 10, and is made of a silicone material. As shown in FIGS. 3 to 5 Similarly, a bottom support 21 supporting the forefoot of the user and contacting the bottom (ground), and a plurality of correcting protrusions 22 protruding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support 21 are disposed spaced apart in the lateral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본 발명은 총 3~4개의 교정돌기(22)가 돌설되어 상기 교정돌기(22)들 사이의 공간부(20A)에 사용자의 발가락이 끼워지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반적인 4개의 교정돌기(22)를 갖는 발가락 교정기(20)를 대표하여 설명하며, In the present invention, a total of three to four correcting protrusions 22 are provided so that a user's toe is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20A between the correcting protrusions 22.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oe calibrator 20 having the protrusions 22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와 검지 발가락 사이에는 제1교정돌기(22a)가 끼워지고, 검지와 중지 발가락 사이에는 제2교정돌기(22b)가 끼워지고, 중지와 약지 발가락 사이에는 제3교정돌기(22c)가 끼워지고, 약지와 새끼발가락 사이에는 제4교정돌기(22d)가 끼워진다.As shown in Figs. 3 and 5, the first correcting protrusion 22a is sandwiched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toe, the second correcting protrusion 22b is sandwiched between the index finger and the stop toe, The third correcting projection 22c is fitted, and the fourth correcting projection 22d is fitted between the finger and the toe.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지지체(21)는 상부면에서 길이방향(횡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지지부(21A)가 형성되어 발가락 교정기(20)를 끼웠을 때 상기 돌출지지부(21A)가 발가락들의 아치(발가락의 관절 하측 공간)에 수용되면서 발가락을 지지하면서 접촉이 이루어져 지압 효과가 발생된다.4A and 4B, the bottom support body 21 is formed with a protruding support portion 21A protruding up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ransverse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the toe straightener 20 The protruding support portion 21A is accommodated in the arch of the toes (lower space of the toe of the toe), and the contact is made while supporting the toe, thereby generating a pressurizing effect.

또 상기 바닥지지체(21)는 상기 돌출지지부(21A) 후방에서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면서 연장 형성된 연장지지부(21B)를 포함한다.The bottom support 21 includes an extension supporting portion 21B which extends obliquely downward from the rear of the protruding support portion 21A.

상기 연장지지부(21B)는 상기 돌출지지부(21A) 후방에서 약 1cm 연장 형성되면서 연결되어 있어 발가락 교정기(20)를 끼웠을 때 상기 연장지지부(21B)가 발가락과 이어지는 중족부의 전단에 접촉하면서 지압이 이루어진다.The extended support portion 21B is extended by about 1 cm from the rear of the protruding support portion 21A so that when the toe straightener 20 is inserted, the extended support portion 21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mid- .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지지부(21B)는 중앙이 전방을 향하여 오목 형성되어 발의 중족부의 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제작되어 지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4, the extended support portion 21B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is concave toward the front and has a shap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foot portion of the foot, thereby enhancing the effect of shiatsu pressure.

그리고 상기 바닥지지체(21)는 양측 전방 및 교정돌기(22)들의 공간부(20A) 전방에 발가락들의 하부 형상에 맞게 후방을 향하여 오목 형성된 오목홈부(21C)가 더 구비되어 발가락의 말절골 부위의 근육이 바닥지지체(21)와 접촉되지 않아 보행 시 발가락을 통한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The bottom support body 21 is further provided with concave groove portions 21C recessed rearward in conformity with the lower shape of the toes in front of the space portion 20A of both the front side and the bosses 22, Since the muscles are not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pport 21,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toes during walking.

또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지지체(21)의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 바닥공간부(21D)를 포함한다.As shown in [B] of FIG. 2,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upport body 21 includes a bottom space portion 21D formed upward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바닥공간부(21D)는 발가락 교정기(20)를 끼운 상태에서 보행할 경우 탄성을 통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써, 이를 통해 발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The floor space portion 21D is configured to absorb impact through elasticity when walking with the toe straightener 20 interposed therebetween, thereby reducing foot fatigue.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지지체(21)는 상기 돌출지지부(21A) 전방에서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면서 연장 형성된 개별지지부(21E)를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the bottom support 21 further includes individual supports 21E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from the front of the protruding support 21A.

상기 개별지지부(21E)는 상기 돌출지지부(21A) 전방에서 연장 형성되면서 연결되어 있어 발가락 교정기(20)를 끼웠을 때 상기 개별지지부(21E)가 발가락의 하부, 즉 말절골의 하측 근육에 접촉하면서 지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individual support portions 21E extend from the front of the protruding support portion 21A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when the individual support portion 21E contacts the lower portion of the toe, that is, the lower muscle of the horse's osteotomy while the toe straightener 20 is inserted Make acupressure work.

상기 개별지지부(21E)는 상기 오목홈부(21C)가 형성된 부위에서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가락들이 개별적으로 지지된다.The individual supporting portions 21E are extended forward at a portion where the concave groove 21C is formed, so that the toes are individually supported.

상기 개별지지부(21E)가 도입되는 경우 지압 효과를 더 필요로 하는 사용자를 위하여 선택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는 구성이다.And can be selectively provided for a user who needs further acupressure effect when the individual support portion 21E is introduced.

이때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별지지부(21E) 상부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발가락의 하부 근육을 가압할 수 있는 지압돌기(21e)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At this time, as shown in [B] of FIG. 6, the upper surface of the individual support portion 21E may further include an acupressure projection 21e protruding upward to press the lower muscles of the toes,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압돌기(21e)가 각 개별지지부(21E)에 군집된 형태(엠보싱)로 구현 가능하다.As shown in [C] of Fig. 6, a plurality of acupressure projections 21e can be embodied (embossed) in a cluster on the respective support portions 21E.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지압돌기는 바닥지지체(21)의 개별지지부(21E)만이 아니라, 바닥지지체(21)의 상부면 전반 또는 몸체부(23) 둘레 또는 날개부(24)의 하부면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됨으로써, 교정기(20)와 접촉하는 모든 부위에 엠보싱에 따른 지압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acupressure projection may include not only the individual supporting portion 21E of the bottom supporting body 21, but also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supporting body 21 or around the body portion 23 or the lower surface of the wing portion 24 It is more preferable to increase the effect of acupressure upon embossing in all portions contacting the straightener 20.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정돌기(22)는 상기 바닥지지체(21)와 연결되는 몸체부(23)와 몸체부(23)의 상측 단부에 형성된 날개부(24)로 구성된다.3 to 5, the orthodontic projection 22 includes a body portion 23 connected to the bottom support 21 and a wing portion 24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23 .

우선 상기 제1 및 제2교정돌기(22a)(22b)의 몸체부(23)는 제3 및 제4교정돌기(22c)(22d)의 몸체부(23)에 비하여 2~3배 두껍게 형성된다. 즉, 제3 및 제4교정돌기(22c)(22d) 몸체부의 두께는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이 벌어진 간격을 고려하여 1.5~3mm로 형성되는데, 이 두께에 비하여 2~3배 두꺼운 폭을 갖는다.The body portion 23 of the first and second correcting protrusions 22a and 22b is formed to be two to three times thicker than the body portion 23 of the third and fourth correcting protrusions 22c and 22d . In other words, the thicknesses of the body portions of the third and fourth correcting protrusions 22c and 22d are formed to be 1.5 to 3 mm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vals of the stop, the medial finger and the toes, and the thickness is 2 to 3 times larger than the thickness .

특히 상기 제1교정돌기(22a)의 몸체부(23)는 상기 제2교정돌기(22b)의 몸체부(23)보다 1.2~2배 두껍게 형성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20)가 엄지발가락이 안쪽으로 심하게 휘는 무지외반증을 예방하고, 무지외반증에 의한 기형이 발생할 경우 기형적인 발가락을 바깥쪽으로 가압하여 정상적인 형태로 교정하기 위한 구성이다.Particularly, the body portion 23 of the first correcting protrusion 22a is formed to be 1.2 to 2 times thicker than the body portion 23 of the second correcting protrusion 22b. This is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the hallux valgus that the toe straightener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verely bent to the inside of the big toe and correcting the deformed toe to the normal shape by pressing the deformed toe outward when the deformity due to the hallux valgus occurs.

예를 들어 제3 및 제4교정돌기(22c)(22d)의 몸체부(23) 두께는 2mm로 형성하고, 제2교정돌기(22b)의 몸체부(23) 두께는 5mm로 형성하며, 제1교정돌기(22a)의 몸체부(23) 두께는 8mm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23 of the third and fourth correcting protrusions 22c and 22d is 2 mm, the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23 of the second correcting protrusion 22b is 5 mm, The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23 of the one fixing projection 22a may be 8 mm.

상기와 같은 몸체부(23)들의 구성을 통하여 엄지와 검지 발가락 사이와 검지와 중지 발가락 사이를 나머지 발가락 사이보다 더 벌려 주어 정상적인 발 모양으로 교정을 할 수 있다.Through the constitution of the body parts 23 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to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ndex finger and the stop toe can be made larger than between the remaining toes, and calibration can be performed with a normal foot shape.

여기서 발가락은 벌어지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너무 과도하게 벌어지게 되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교정돌기(22)의 몸체부(23)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23 of the correcting protrusion 22 within the above range,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발가락 교정기(20)를 지압용으로 사용하고,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발가락 교정기(20)를 교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A relatively thin toe calibrator 20 may be used for acupressure and a relatively thick toe calibrator 20 may be used for calibrating.

이 경우 발가락 교정기(20)를 몸체(10)의 발가락부(12)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oe straightener 2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toe portion 12 of the body 10, thereby facilitating the replacement.

발가락 교정기(20)를 탈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별도의 벨크로 테이프 등의 탈착 수단이 상기 바닥지지체(21)의 하면과 몸체(10)의 발가락부(12)에 더 구비될 수 있으나 사용이 불편하므로 본 발명은 날개부(24)의 볼록부(27)를 통해 발가락 교정기(20)가 몸체(10)의 발가락부(12)에 안정적으로 삽입, 안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착용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교체가 필요하거나, 또는 발가락 교정기(20)를 필요로 하지 않을 때 몸체(10)에서 발가락 교정기(20)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관련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A detachment means such as a separate Velcro tape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upport body 21 and the toe portion 12 of the body 10 as means for making the toe calibrator 20 detachable, The toe straightener 20 is stably inserted into the toe portion 12 of the body 10 through the convex portion 27 of the wing portion 24 so that the toe straightener 20 can be easily installed The toe straightener 20 can be detached from the body 10 when the toe straightener 20 is not needed at the same time,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한편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정돌기(22)의 몸체부(23)는 발가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형상을 감안하여 전방 협폭부(23A)와, 후방 광폭부(23B)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협폭부(23A)와 상기 후방 광폭부(23B)의 연결부는 내측방향으로 오목 형성된 유선형 구조로 이루어진다.4A, the body portion 23 of the correcting projection 22 has a front narrow portion 23A and a rear wide portion 23B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a space formed between the toes,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ront narrowing portion 23A and the rear wide portion 23B has a streamlined structure recessed inward.

즉, 상술한 몸체부(23)의 두께를 기준으로 전방 협폭부(23A)를 형성하여 발가락들이 벌어지도록 하되, 발의 형상에 따라 중족부와 발가락이 연결되는 부위의 공간이 발가락의 끝마디 사이의 공간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감안하여, 몸체부(23)의 후방 단부가 전방 단부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광폭부(23B)로 구성되도록 하고, That is, the forward narrowing portion 23A is formed on the basis of the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23 so that the toes are opened, and the space between the middle portion and the toe is connected to the space between the e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3 is made to be a relatively wide wider portion 23B than the front end portion,

발가락의 종단면 형상이 유사 'O'자 형임을 감안하여, 상기 협폭부(23A)와 상기 광폭부(23B)와의 연결부를 오목 형성된 유선형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narrow portion 23A and the wide portion 23B has a concave streamlined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shape of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toe is similar to that of the O '

몸체부(23)를 통한 발가락의 교정 및 지압이 발가락의 형상에 상응한 구조로 이루어져 발가락 교정기(20)사용 시 이물감 내지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e correction of the toe through the body portion 23 and the acupressure pressure have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oe, so that the foreign body or inconvenience can be minimized when the toe straightener 20 is used.

상기 후방 광폭부(23B)의 두께는 상기 전방 협폭부(23A)의 두께보다 1.5~2배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rear wide portion 23B is preferably 1.5 to 2 time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ront narrow portion 23A.

또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3)는 전단에 측면 형상이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유사 'C'자 형으로 이루어진 전방돌출부(23C)를 포함한다.Also, as shown in [B] of FIG. 4, the body portion 23 includes a front protruding portion 23C having a similar 'C' shape protruding forward from its side.

상기 전방돌출부(23C)는 보행 시 발가락의 모양 변위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발가락의 측면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발가락의 교정 및 지압 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front protruding portion 23C can increase the side contact area of the toe while preventing the displacement of the shape of the toe during walking, thereby enhancing the function of calibrating the toe and the acupressure function.

또 상기 몸체부(23)는 후단부가 측면 형상이 전방을 향하여 오목된 유사 'C'자형으로 이루어진 후방오목부(23D)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23 includes a rear concave portion 23D whose rear end portion is a concave 'C' -shaped shape whose side shape is recessed forward.

상기 후방오목부(23D)가 중족부의 근육 형상에 상응하는 형태로 지압이 이루어짐으로써, 지압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The back pressure is applied to the rear concave portion 23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uscles of the foot portion,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pressure effect.

이어서 상기 몸체부(23) 상부에 형성된 날개부(24)를 설명한다.Next, the wing portion 24 formed on the body portion 23 will be describ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24)는 상기 몸체부(23)의 상측 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가락의 상면을 가압하는 측면날개(25; 도 4의 [C] 참고)와, 상기 측면날개(25)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가락들 사이의 연결부를 가압하는 후방날개(26; 도 4의 [B] 참고)로 구성된다.4, the wing portion 24 includes side wings 25 (see [C] in FIG. 4) that extend to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23 and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toe And a rear wing 26 (see [B] in FIG. 4) extending rearward from the side wings 25 to press the connection between the toe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 측면날개(25)는 교정돌기(22)가 끼워진 발가락들의 상면을 가압하여 지압 효과가 발생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5, the both side wings 25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toes fitted with the correcting protrusions 22 so as to generate an acupressure effect.

이때 상기 양 측면날개(25)는 발가락의 관절 부위 상부(즉, 엄지발가락의 경우 기절골의 상부, 나머지 발가락의 경우 기절골과 중절골의 상부) 근육을 가압하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both side wings 25 are formed to press the muscles of the upper part of the toe joint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stunning bone in the case of the big toe, the stunning bone and the upper part of the stop bone in the remaining toe).

즉, 상기 교정돌기(22)는 상기 몸체부(23)의 전방돌출부(23C)에 의하여 발가락 측면의 (거의) 모든 면적(기절골에서부터 말절골 부위의 근육까지)에 접촉되면서 가압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날개부(24)는 전방돌출부(23C)가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구비되어 발가락의 관절(기절골 및 중절골) 부위 상부 근육에만 접촉,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을 착용한 상태에서 거부감 없이 정상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correcting protrusion 22 is pressed by almost all the area of the toe side surface (from the stunning bone to the muscle of the horse's osteotomy area) by the front protruding portion 23C of the body portion 23, The wing portion 24 is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 forward projecting portion 23C is not formed so that the wing portion 24 is contacted and pressurized only on the upper muscles of the joints of the toe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normally live without discomfort while wearing the invention.

그리고 상기 측면날개(25)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후방날개(26)는 발가락들 사이의 연결부 근육을 가압하여 지압 효과가 발생되고, 특히 사용자가 본 발명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할 경우 상기 후방날개(26)가 실리콘 재질의 특성에 의하여 휘어지면서 발가락들 사이의 연결부 상면을 가압하여 지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Further, the rear wing 26 extending rearward from the side wing 25 presses the connecting muscles between the toes to produce a shiatsu pressure effect. In particular, when the user walks while wear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wing 26 26) are bent by the characteristic of the silicon material,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toes can be pressed to increase the effect of the acupressure.

한편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날개(25)와 상기 후방날개(26)로 구성되는 날개부(24)는 평면 형상이 유사 'O'자 형으로 이루어져 발가락의 상부 접촉 면적을 확보함과 동시에 발가락들의 관절이 변위되는 부위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보행 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4A, the wings 24, which are formed by the side wings 25 and the rear wings 26, have a similar O-shape in plan view, The area of the toe is minimized by minimizing the contact area of the area where the joints of the toes are displaced.

이어서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24)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As shown in FIG. 7, the wing portion 24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shapes.

이는 상기 날개부(24)가 일괄적으로 유사 'O'자 형으로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발가락 형태에 따라 사용에 불편함을 주는 것이 기인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날개부의 변형례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맞춤 제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is is because if the wing portion 24 is formed in a similar 'O' shape in a lump, it is inconvenient to us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toe.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wing portion described below are applied Customized production can be made possible.

우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24A)는 평면 형상이 유사 '8'자 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irst, as shown in [B] of FIG. 7, the wing portion 24A may have a similar '8' shape in plan view.

이 경우 상기 날개부(24A)의 측면날개(25A)는 몸체부(23)의 상측 단부에서 양측 중앙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되, 후방 단부가 몸체부(23)의 상측 단부의 폭과 동일(또는 상응)하도록 유선형 구조로 이루어지고,In this case, the side wing 25A of the wing portion 24A is extended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23 toward both sides of the center, and the rear end thereof is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3 ),

후방날개(25B)는 유선형 구조의 후방 단부에서 다시 폭이 넓어지면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rear wing 25B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ear wing 25B is extended rearward at a rear end portion of the streamlined structure.

이러한 날개부(24A)는 발가락 관절들의 길이가 일반적인 형태(체형, 길이)와 다른 경우 적용될 수 있으며, 도 7의 [C]에 도시된 다른 형태의 날개부(24B)를 통해 측면날개(25A)(25B)와 후방날개(26A)(26B)가 접촉하여 지압하는 발가락의 상부를 더욱 세분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This wing portion 24A can be applied when the lengths of the toe joints are different from the general shape (body shape, length) and can be applied to the side wing 25A through the other wing portion 24B shown in [C] (25B) and the rear blades (26A) (26B) contact with each other to further subdivide the upper part of the toes which are under pressure.

도 7의 [C]에서 날개부(24B)는 평면 형상이 유사 'ㄷ '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측면날개(25B)는 몸체부(23)의 상측 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두 개 이상이 구비되어 측면날개(25B)의 측면부가 지그재그 구조로 돌출 및 오목이 반복되는 구조를 갖고,In this case, the side wing 25B is extended from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23 to both sides, and the wing portion 24B is formed by extending the wing portion 24B And a side surface of the side blade 25B is protruded and recessed in a staggered structure,

후방날개(26B)는 상기 측면날개(25B)의 최후방 오목부에서 다시 폭이 넓어지면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rear blades 26B are formed to extend rearward from the rear recessed portion of the side blades 25B.

따라서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다양한 형태의 날개부(24)(24A)(24B)를 도입함에 따라 사용자의 체형 등을 고려한 적절한 지압 효과(또는 지압 효과의 극대화)를 보장하며, 사용에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an appropriate acupressure effect (or maximization of an acupressure effect) in consideration of the body shape and the like of the user by introducing the various types of vanes 24 (24A, 24B) shown in Fig. 7, Can be minimized.

또 도 4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24)는 상부면 중앙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볼록부(27)를 포함한다.As shown in [B] and [C] of FIG. 4, the wing portion 24 includes a convex portion 27 protruding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상기 볼록부(27)는 발가락 교정기(20)를 끼웠을 때 몸체부(23)의 탄성(가요성)을 보강하여 몸체부(23) 및 날개부(24)의 지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발가락 교정기(20) 또는 몸체(10)의 내부에 별도의 탈착수단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발가락 교정기(20)를 몸체(10)에 삽입하게 되면 몸체(10)의 발가락부(12)에서 몸체(10)의 탄성에 의하여 고정, 지지되어 이탈하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착용물을 쉽게 착용할 수 있고, 발가락 교정기(20)의 교체 및 분리를 쉽게 행할 수 있으며,The convex portion 27 may reinforce the elasticity of the body portion 23 when the toe straightener 20 is inserted to increase the effect of applying pressure on the body portion 23 and the wing portion 24, If the toe straightener 20 is inserted into the body 10 even if the toe straightener 20 or the body 10 does not have a separate detachment means, The user can easily wear the wearer's water, and the toe straightener 20 can be easily replaced and separated,

경우에 따라 사용자가 발가락 교정기(20)를 발가락에 끼운 상태에서 착용물을 신을 경우 볼록부(27)에 의하여 몸체(10)와의 마찰이 최소화되므로 본 발명의 착용을 더욱 쉽게 할 수 있게 된다.In some cases, when the wearer wears the toe straightener 20 with the toe straightener 20 interposed therebetween, friction with the body 10 due to the convex portion 27 is minimized, so that the wea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easier.

따라서 본 발명의 발가락 교정기(20)를 끼우게 되면 발가락들을 강제로 벌려주면서 교정이 이루어지고, 특히 제1 및 제2교정돌기(22a)(22b)의 몸체부(23)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폭방향 두께를 갖게 되어 있어 엄지발가락이 검지 발가락 쪽으로 심하게 휘는 무지외반증의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해진다.Therefore, when the toe correctors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erted, the toes are forced to be opened while being corrected. Particularly, when the body portion 23 of the first and second correcting protrusions 22a, 22b is relatively thick It is possible to prevent and treat the hallux valgus, which has a thick thickness, and whose big toe is bent strongly toward the index toe of the index finger.

또 본 발명의 발가락 교정기(20)를 끼운 상태로 보행을 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교정돌기(22) 및 바닥지지체(21)가 발가락 및 중족부 발바닥 등을 가압하여 지압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when the user walks with the toe straighten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sandwiched therebetween, the correcting protrusions 22 and the bottom support body 21 naturally press the toes and the feet of the mid-leg so as to apply acupressure.

특히 실리콘 재질의 특성상 수축과 이완이 자유로워 걸을 때마다 전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수축과 이완이 반복되면서 상시적인 지압이 이루어지며, 바닥지지체(21) 바닥면에 형성된 바닥공간부(21D)는 바닥지지체(21)가 쉽게 수축할 수 있도록 하여 보행 시 전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발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Especial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ilicon material, the shrinkage and relaxation are relaxed by the pressure that is transmitted each time the user walks, so that constant pressure is applied, and the bottom space portion 21D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upport body 21, (21) can be easily contracted, thereby effectively absorbing the impact transmitted during walking, thereby reducing foot fatigue.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정돌기(22)들 사이의 공간부(20A)에 끼워지는 발가락들을 위한 완충 수단 및 공기 소통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means and air communication means for toes fitted in the space portion 20A between the bosses 22.

우선 발가락들을 위한 완충 수단으로써,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정돌기(22)는 날개부(24)에서 몸체부(23)로 천공된 완충홈(22A)을 포함한다.First, as a buffering means for the toes, as shown in [A] of FIG. 8, the correcting protrusion 22 includes a buffering groove 22A that is perforated from the wing portion 24 to the body portion 23.

상기 완충홈(22A)은 날개부(24)의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몸체부(23)까지 연결되어 빈 공간이 기능하게 되는데(이 경우 상기 볼록부(27)를 생략하거나, 볼록부가 최상측 중앙 돌출부가 없이 중앙을 향하여 유선형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변형 가능),The buffer groove 22A is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23 in the form of an opening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lade portion 24 so that an empty space is formed (in this case, the convex portion 27 is omitted, It can be deformed into a shape protruding in a streamline toward the center without a central projection)

따라서 실리콘 재질의 특성 상 사용자가 교정기(20)를 발가락에 끼우면 상기 완충홈(22A)이 수축되면서 발가락의 형태에 맞게 몸체부(23)가 변형되어 접촉, 가압 면적을 최대한으로 유지하여 지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inserts the straightener 20 into the toe, the buffer groove 22A is contracted and the body 23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oe to maintain the contact and pressing area at the maximum, Can be increased.

또 상기 완충홈(22A)이 수축된 후 실리콘 재질의 특성 상 발가락의 형태에 맞게 유지되면서 완충홈(22A)이 팽창하게 되므로 접촉, 가압에 의한 지압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Further, after the buffer groove 22A is contracted, the buffer groove 22A is expand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to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licon material, thereby maximizing the effect of contact pressure and pressure.

이어서 도 8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가락들을 위한 공기 소통 수단을 포함하는데, 이는 상기 완충부(22A)에 의하여 교정돌기(22)가 발가락의 측면에 밀착됨에 따라(상기 완충부가 생략되더라도 교정돌기는 발가락의 측면에 밀착됨은 자명하다.),As shown in FIGS. 8B and 8C,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ir communication means for the toes, in which the cushioning protrusions 22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ides of the toes (Even if the buffering portion is omitted, it is obvious that the correcting projec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toe)

발가락들 사이에 공기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아 땀이 차면서 교정기(20)가 발가락에서 이탈되거나, 습진, 무좀 등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물론 본 발명은 발가락들의 벌림을 통해 발가락들이 기형적으로 접촉되면서 습진, 무좀 등의 질병을 예방, 치료하는 것이 주된 목적 중 하나이며, 다만 이러한 목적은 발가락들을 벌림으로써 발가락들 간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질병들이 유발되는 것을 예방, 치료한다는 의미이고, 상기 공기 소통 수단은 발가락과 교정돌기와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질병들이 유발되는 것을 예방, 치료한다는 의미이므로,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을 통해 주된 목적 달성이 저해된다는 의미가 아님을 밝힌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the straightener 20 from being dislodged from the toe, causing eczema, athlete's foot, etc. due to lack of air communication between the toes. Is intended to prevent and treat diseases such as eczema and athlete's foot while being contacted with the toes, but this purpose means to prevent and treat the diseases caused by contact between the toes by spreading the toes, The means of communication means preventing and treating the diseases caused by contact between the toes and the orthodontic projections.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the main purpose is obstructed by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교정기(20)에 구현될 수 있는 공기 소통 수단은 우선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3; 도 4 참고.) 또는 날개부(24) 또는 이들 모두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공기 소통홈(22B)으로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air communication means which can be embodied in the calibrato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portion 23 (see FIG. 4) or a wing portion 24 or both of them And one or more air communication grooves 22B formed inwardly from both sides of the air communication groove 22B.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날개부(24)에만 공기 소통홈(22B)이 구현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구간이 더욱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몸체부(23)와 날개부(24) 모두에 공기 소통홈(22B)이 구비될 수 있고,Although the air communicating groove 22B is illustrated as being implemented only in the wing portion 24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ection that is recessed inward in the form shown in the drawing is further extended, so that the body portion 23 And air vents 22B may be provided in both the vanes 24 and the vanes 24,

경우에 따라 몸체부(23)의 양측에만 공기 소통홈(22B)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air communication grooves 22B may be provided only on both sides of the body part 23. [

따라서 사용자가 본 발명의 교정기(20)를 착용하게 되면 교정돌기(22)와 발가락들 사이의 접촉에 의한 지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공기 소통홈(22B)이 교정돌기(22)와 발가락들의 접촉부에서 외부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미세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wears the calibrato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between the calibrating protrusion 22 and the toes and the contact of the toes with the calibrating protrusion 22, It is possible to form the fine holes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can circulate, thereby achieving the above object.

또한 본 발명의 교정기(20)에 구현될 수 있는 공기 소통 수단은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24)와 몸체부(23)에 천공된 구멍(22c)이 상호 연통하도록 형성된 공기 소통홀(22C)로 구성될 수 있다.The air communicating means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calibrato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wing portion 24 and the hole 22c formed in the body portion 23 are mutually engaged with each other as shown in [ And an air communication hole 22C formed to communicate therewith.

상기 공기 소통홀(22C) 역시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측 구멍(22c)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공기 소통홀(22C)을 따라 소통되면서 하측 구멍(22c), 즉 공기가 통하지 않는 교정돌기(22)와 발가락의 접촉부에 외부 공기가 순환되므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 할 수 있게 된다.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air communication hole 22C is provided and external air is communicated along the air communication hole 22C through the upper hole 22c and the lower hole 22c, 22 and the toes, the above-described object can be achieved.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특히 엄지발가락의 교정 기능을 강화하여, 엄지발가락이 내측으로 심하게 휘어지는 기형이 발생하는 무지외반증 전용 발가락 교정기를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설명한다(이하 제1 내지 제4교정돌기의 참조부호는 도 3 참고.).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with reference to FIG. 9, in which a toe correction device for a toe bulge, in particular, a toe correction device for enhancing the function of correcting a big toe, (Hereinafter,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first to fourth correcting protrusions are shown in Fig. 3).

우선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정돌기들(22) 중, 제1교정돌기(23a)의 날개부(24)는 상기 측면날개(25)에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된 전방날개(2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9 (A), the wing portion 24 of the first correcting protrusion 23a among the above-mentioned correcting protrusions 22 has a front wing 25 extending forward from the side wing 25, (28).

무지외반증이 심한 환자가 본 발명의 발가락 교정기(20)를 착용하게 되면 엄지와 검지 발가락 사이에 끼워지는 제1교정돌기(23a)의 몸체부(23)에 의하여 엄지발가락이 외측으로 가압되면서 교정 및 지압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엄지발가락이 정확한 형태로 교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전방날개(28)가 엄지발가락의 상면을 잡아주어 엄지발가락이 교정되면서 상측으로 휘는 것을 방지한다.When a patient with severe numbness is worn by the toe straighten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umb toe is pressed outward by the body portion 23 of the first correcting protrusion 23a fitted between the thumb and index toe, The front wing 28 catches the upper surface of the big toe and prevents the upper toe from being bent while the big toe is being calibrated.

특히 무지외반증이 심한 경우 엄지발가락만이 아니라 검지 발가락까지 내측으로 휘어지게 되는데, 제1, 제2교정돌기(23a)(23b)의 몸체부(23)에 의하여 엄지 및 검지 발가락이 벌어지면서 상기 전방날개(28)의 좌우측부가 엄지 및 검지 발가락의 상면을 가압하여 교정 형태를 잡아주므로 정상적인 발 형태로 발가락이 교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thumb and toe are spread by the body 23 of the first and second correcting projections 23a and 23b so that the front and the back of the toe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wing 28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thumb and the index toe to fix the calibration shape so that the toes can be corrected in a normal foot shape.

이때 무지외반증 전용의 발가락 교정기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제1, 제2교정돌기(23a)(23b)의 몸체부(23) 폭, 즉 전방 협폭부(23A)와 후방 광폭부(23B)는 다른 교정돌기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23 of the first and second correcting protrusions 23a and 23b shown in FIG. 3, that is, the width of the front narrow portion 23A and the rear wide portion 23B,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relatively wider than the width of the other correcting projections,

제1교정돌기(23a)와 제2교정돌기(23b)의 몸체부(23)간의 관계에서도 제1교정돌기(23a)의 몸체부(23) 폭(전방 협폭부(23A) 및 후방 광폭부(23B))이 제2교정돌기(23b)의 그것보다 상대적으로 보다 넓은 두께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width of the body portion 23 of the first correcting projection 23a (the width of the front narrowing portion 23A and the width of the rear wide portion 23a) of the first correcting protrusion 23a and the body portion 23 of the second correcting protrusion 23b 23B) have a relatively larger thickness than that of the second correcting projection 23b.

한편 무지외반증이 심한 환자는 엄지 및 검지 발가락의 기형뿐만 아니라, 다른 발가락들 사이의 폭도 정상적인 상태에서 벗어난 기형이 많이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in patients with severe hallucination, not only the anomalies of the thumb and index toe, but also the widening between the other toes, many abnormal deformities occur.

이에 본 발명은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가락 모두의 형태를 올바르게 교정하여 정상적인 발 모양이 이루어지도록 각 교정돌기들(22)의 몸체부(23)의 두께가 상호 상이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B] of FIG. 9, the shape of each of the toes is corrected so that the thicknesses of the body portions 23 of the respective bosses 2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교정돌기(23a)의 몸체부(23)는 전방 협폭부(23A)와 후방 광폭부(23B)를 갖도록 이루어지고,More specifically, the body portion 23 of the first correcting projection 23a is formed to have a front narrow portion 23A and a rear wide portion 23B,

제2교정돌기(23b)의 몸체부(23)는 전방 광폭부(23E)와 후방 협폭부(23F)를 갖도록 이루어지고,The body portion 23 of the second correcting projection 23b is formed to have the front wide portion 23E and the rear narrow portion 23F,

제3교정돌기(23c)의 몸체부(23G)는 전, 후방 폭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며,The body portion 23G of the third correcting projection 23c has uniform front and rear widths,

제4교정돌기(23d)의 몸체부(23H)는 전, 후방 폭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되, 후방 외측(도면 상 우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23h)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body portion 23H of the fourth correcting projection 23d includes a protruding portion 23h having a uniform front and rear width but protruding toward the rear outer side (right side in the drawing).

이는 정상적인 발 모양이 발가락들 사이의 폭이 상호 다르게 형성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이를 토대로 교정돌기들(22)의 몸체부(23)를 제작함으로써, 발가락 교정기를 착용하였을 때 가압에 의한 교정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구성이다.This is because the body part 23 of the correcting protrusions 22 is formed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the normal foot shape is formed differently from the width of the toes and thus the corrective effect by pressurization when the toe straightener is worn This is a configuration for maximizing.

즉, 정상적인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는 발가락의 전방 양측이 상호 접하면서 후방이 벌어지는 유사 물방울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제1교정돌기(23a)의 몸체부(23)에 전방 협폭부(23A)와 후방 광폭부(23B)를 도입하여 교정 후 정상적인 엄지와 검지 발가락 형태와 유사하도록 잡아줄 수 있다.(이때 제1교정돌기의 후방 광폭부는 일반적인 다른 교정돌기의 후방 광폭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normal thumb toe and the index toe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pseudo-droplet in which the front sides of the toe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ile the rear side is opened, the front narrowing portion 23A and the front narrowing portion 23A are formed on the body portion 23 of the first correcting protrusion 23a The rear wider portion 23B may be introduced so as to be similar to the normal thumb and toe shape after calibration. (Here, the rear wider portion of the first bump is relatively thicker than the rear wider portion of the general bump You can.

따라서 엄지 및 검지발가락의 전방 양측은 전방 협폭부(23A)에 의하여 벌어지지만 발이 정상적인 형태로 교정될 경우 발가락 교정기를 제거하면 발가락의의 뼈 구조에 의하여 엄지 및 검지발가락의 전방 양측이 자연스럽게 접하면서 후방 양측이 벌어진 형태를 갖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oot is straightened by the front narrowing portion 23A, the both front sides of the thumb and the index toe are widened by the front narrowing portion 23A. However, if the toe straightener is removed, the forward and rearward sides of the thumb and index toe come into contact naturally Both sides will have a flared shape.

또 무지외반증이 심할 경우 검지발가락이 중지 발가락에 심하게 붙는 경우가 있으므로, 제2교정돌기(23b)의 몸체부(23)에 전방 광폭부(23E) 및 후방 협폭부(23F)를 도입함으로써, 엄지 및 검지발가락 사이의 형태를 정상적으로 교정하면서, 검지발가락뿐만 아니라 엄지발가락의 외측 가압 효과를 동시에 증대시킬 수 있다. 이는 교정기 내측에 위치하는 교정돌기를 통한 발가락 교정효과가 실리콘재질에 의하여 다른 교정돌기들(22)에 끼워진 발가락들에게도 미치는 것에 기인한 구성이다.The front wide portion 23E and the rear narrow portion 23F are introduced into the body portion 23 of the second orthodontic projection 23b so that the thumb 23F and the backward narrow portion 23F are provided, While simultaneously correcting the shape between the toe and the toe, the pushing effect on the outside of the toe as well as the toe on the outside can be increased at the same time. This is because the effect of the toe correction through the correcting projections located inside the calibrator is exerted on the toes fitted to the other correcting projections 22 by the silicone material.

한편 정상적인 중지발가락과 약지발가락 사이는 양측이 모두 접하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3교정돌기(23c)의 몸체부(23G) 전, 후방 폭이 균일하도록 함으로써 발가락 교정기 착용 시 중지 및 약지발가락이 벌어지면서 교정된 후 발가락 교정기를 제거하면 자연스럽게 중지 및 약지발가락이 접하는 형태를 갖게 된다.Meanwhile, since the both sid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etween the normal stopping toe and the toe toe, th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body portion 23G of the third correcting protrusion 23c are uniform so that when the toe straightener is worn, When you remove the posterior toe brace, you will have a naturally tapered and weak toe contact form.

또 정상적인 약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 사이는 양측이 모두 접하되, 새끼발가락의 후방 내측이 외측방향으로 일부 함몰되어 발가락들 사이가 소폭 벌어진 형태를 가지므로, 제4교정돌기(23d)의 몸체부(23H)가 전, 후방 폭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면서 후방 외측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23h)를 갖도록 함으로써, 발가락 교정기 착용 시 약지 및 새끼발가락이 벌어지면서 교정된 후 발가락 교정기를 제거하면 정상적인 발 모양으로 돌아오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both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to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rear inner side of the toe part is partially depressed in the outward direction to slightly widen the toes. Therefore, the body part 23H of the fourth correcting protrusion 23d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portion 23h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rear with uniform front and rear widths so that when the toe straightener is worn, .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전방날개(28) 및 상기 교정돌기들(22)의 몸체부(23) 형태를 달리한 구성에 대하여 무지외반증 전용의 발가락 교정기를 대표하여 설명하나, 일반적인 발가락 교정기에도 적용하여 무지외반증이 아니더라도 하이힐 착용과 같이, 과도하게 발을 사용하거나 장시간 걷거나 선 상태로 생활하면서 발가락이 기형적으로 변한 경우에 교정 효과가 발휘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발가락 형태 등을 감안하여 상술한 구성을 이용해 일부 조합되거나, 특수 제작된 맞춤형 발가락 교정기를 제공함으로써 발가락 교정기의 효용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description will be made of a toe correcting device for the oblique bulging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blades 28 and the body portions 23 of the correcting protrusions 22, It is possible to apply a correction effect when the toe deforms abnormally, such as wearing a high heel, using an excessive foot, walking for a long time, or living in a good condition. In particular, It is more desirable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toe straightener by providing some combination or custom tailored toe straighteners us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발가락 교정기와 압박수단을 구비한 하지(下地) 착용물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various modifications, alterations, and permut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lterations, and substitution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몸체 10A : 수용부
11 : 발바닥부 12 : 발가락부
13 : 발등부 14 : 종아리부
20 : 발가락 교정기 21 : 바닥지지체
21A : 돌출지지부 21B : 연장지지부
21C : 오목홈부 21D : 바닥공간부
22 : 교정돌기 23 : 몸체부
23A : 전방 협폭부 23B : 후방 광폭부
23C : 전방 돌출부 23D : 후방 오목부
24 : 날개부 25 : 측면날개
26 : 후방날개 27 : 볼록부
30 : 압박수단 31 : 압박부
32~35 : 제1 내지 제4압박부 36 : 지압체
10: Body 10A:
11: sole portion 12: toe portion
13: foot portion 14: calf portion
20: toe straightener 21: bottom support
21A: projected support portion 21B: extended support portion
21C: concave groove portion 21D: bottom space portion
22: correcting projection 23:
23A: front narrow portion 23B: rear wide portion
23C: front projected portion 23D: rear recessed portion
24: wing portion 25: side wing
26: rear wing 27:
30: pressing means 31:
32 to 35: first to fourth pressing parts 36:

Claims (4)

신체의 하지(下肢)에 착용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발가락부(12)에 수용되는 발가락 교정기(20); 및
상기 몸체(10)에서 발 또는 다리의 일부를 각각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10)의 다른 부위보다 강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압박부(31)와,
상기 몸체(10)의 발바닥부(11)에 구비되어, 발바닥을 가압하는 지압체(36)를 포함하는 압박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발가락 교정기(20)는 사용자의 전족부를 지지하며, 바닥에 접하는 바닥지지체(21) 및 상기 바닥지지체(21)의 상부면에서 돌설된 복수의 교정돌기(22)로 구성되고,
상기 교정돌기(22)는 상기 바닥지지체(21)와 연결됨 몸체부(23)와, 상기 몸체부(23)의 상측 단부에 형성된 날개부(24)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23)는 전방 협폭부(23A)와, 후방 광폭부(23B)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협폭부(23A)와, 상기 후방 광폭부(23B)의 연결부는 내측방향으로 오목 형성된 유선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下地) 착용물.
A body 10 to be worn on the lower leg of the body;
A toe straightener 20 housed in the toe portion 12 of the body 10; And
A pressing part 31 formed to enclose a part of a foot or a leg in the body 10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elasticity than other parts of the body 10;
And a pressing means 30 provided on the sole portion 11 of the body 10 and including a pressing body 36 for pressing the sole,
The toe calibrator 20 supports a forefoot of a user and comprises a bottom support 21 contacting the floor and a plurality of correcting protrusions 22 protruding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support 21,
The correcting protrusion 22 comprises a body portion 23 connected to the bottom support 21 and a wing portion 24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23,
The body portion 23 includes a front narrow portion 23A and a rear wide portion 23B,
Wherein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ront narrowing portion (23A) and the rear wide portion (23B) is formed in a streamlined structure which is recessed in the inside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수단(30)은
상기 몸체(10)의 발바닥부(11)에서 발바닥을 감싸는 제1압박부(32)와,
상기 몸체(10)의 종아리부(14)에서 다리의 발목을 감싸는 제2압박부(33)와,
상기 몸체(10)의 종아리부(14)에서 다리의 후방을 감싸는 제3압박부(34)와,
상기 몸체(10)의 종아리부(14)에서 다리의 전방을 감싸는 제4압박부(35) 중 하나 이상의 압박부(32, 33, 34, 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下地) 착용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ing means (30)
A first pressing portion 32 for covering the sole of the foot portion 11 of the body 10,
A second pressing part 33 for covering the ankle of the leg in the calf part 14 of the body 10,
A third pressing part 34 surrounding the back of the leg in the calf part 14 of the body 10,
33, 34, 35) of the fourth pressing part (35) for covering the front of the leg in the calf part (14) of the body (10) Worn wat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압박부(32, 33, 34, 35)의 탄성 강도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下地) 착용물.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elastic strengths of the first to fourth pressing parts (32, 33, 34, 35)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24)는 상기 몸체부(23)의 상측 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가락의 상면을 가압하는 측면날개(25)와, 상기 측면날개(25)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가락들 사이의 연결부를 가압하는 후방날개(26)로 구성되며,
상기 교정돌기(22)는 상기 날개부(24)에서 몸체부(23)로 천공된 완충홈(22A)으로 이루어진 완충 수단 및
상기 몸체부(23) 또는 상기 날개부(24) 또는 이들 모두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공기 소통홈(22B)으로 이루어진 공기 소통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下地) 착용물.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wing portion 24 includes side wings 25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23 to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toes and a rear wing 25 extending rearward from the side wings 25, And a rear wing (26) for pressing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rear wing
The correcting protrusion 22 is composed of a buffering means consisting of a buffering groove 22A punctured from the wing portion 24 to the body portion 23,
And air communication means consisting of at least one air communication groove (22B) formed inwardly recessed from both sides of the body (23) or the wing (24) or both of them.
KR1020140018692A 2014-02-18 2014-02-18 Pressure clothing for lower extremity KR1015799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692A KR101579926B1 (en) 2014-02-18 2014-02-18 Pressure clothing for lower extrem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692A KR101579926B1 (en) 2014-02-18 2014-02-18 Pressure clothing for lower extrem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318A KR20150097318A (en) 2015-08-26
KR101579926B1 true KR101579926B1 (en) 2015-12-28

Family

ID=5405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692A KR101579926B1 (en) 2014-02-18 2014-02-18 Pressure clothing for lower extrem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92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48182A (en) * 2016-02-20 2016-07-13 孙淑杰 Child leg healthcare orthosis
KR102465422B1 (en) * 2020-11-12 2022-11-10 주식회사 메디위너 Compressiong band for applying pressure to the lower extremities to improve blood circulation
KR102618263B1 (en) * 2023-05-12 2023-12-28 김예진 Toe correcter with various massag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943Y1 (en) * 2002-09-24 2002-12-12 김성기 a stock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145B1 (en) * 2003-06-21 2006-11-29 정창민 A functional pressure sock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388609B1 (en) * 2011-09-21 2014-04-23 고영규 Health toe ban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943Y1 (en) * 2002-09-24 2002-12-12 김성기 a stoc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318A (en)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23566A1 (en) High heel for exercising achilles tendons while walking
KR101770617B1 (en) Functional Socks For Preventing Distortion
KR101709735B1 (en) toe corrector
KR101441021B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101615520B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101579926B1 (en) Pressure clothing for lower extremity
KR101622906B1 (en) Footwear for toes correction
KR101522383B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101588651B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101587899B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US20120197171A9 (en) Foot correction device
WO2016036187A1 (en) Toe correction device
KR101995105B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101861912B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101588650B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101781059B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101620715B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101853426B1 (en) Sandal for toes correction
KR101620714B1 (en) Correcting apparatus for toes
KR101755331B1 (en) Sandal for toes correction
KR101722180B1 (en) Shoes for toes correction
KR101535774B1 (en) Acupressure bands for growth
KR102465422B1 (en) Compressiong band for applying pressure to the lower extremities to improve blood circulation
CN217645780U (en) Multifunctional sole trainer
KR101799947B1 (en) Front high-heeled sho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