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561B1 -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561B1
KR101579561B1 KR1020150113184A KR20150113184A KR101579561B1 KR 101579561 B1 KR101579561 B1 KR 101579561B1 KR 1020150113184 A KR1020150113184 A KR 1020150113184A KR 20150113184 A KR20150113184 A KR 20150113184A KR 101579561 B1 KR101579561 B1 KR 101579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top box
data
vod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메틴 아탈란
최상구
Original Assignee
크레노바멀티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노바멀티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레노바멀티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3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으로 영상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상서버와, 상기 영상서버에서 수신된 영상을 TV로 출력하는 셋탑박스와, 상기 영상 및 데이터를 수신 및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셋탑박스와 사용자 단말기간의 영상 및 데이터를 중계하는 무선중계기를 포함하고,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별로 요청된 데이터를 상기 영상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별로 각각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SET-TOP BOX MULTI RECEIVING SYSTEM CAPABLE OF SERVICE TO MULTI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멀티 수신 셋탑박스 멀티 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셋탑박스(SET-TOP BOX)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복 수개의 디바이스에 서로 다른 방송, PVR(Personal Video Recoder) 및 VOD(Video On Demand)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드라마, 뉴스, 영화, VOD(Video On Demand) 등과 같은 콘텐츠가 실려 있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콘텐츠를 추출하여 추출된 콘텐츠의 영상을 표시한다.
현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상용화된 방법으로는 위성(Satellite) 방송, 지상파(Terrestrial) 방송, 케이블(Cable) 및 인터넷방송 등 다양한 방송매체를 별도의 수신장치를 통해 방송을 수신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디지털 방송수신 장치의 경우 디지털 방송수신 장치 내부에 셋탑박스를 탑재하여 별도의 수신장치 없이 고화질의 디지털 방송을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대중화된 스마트폰과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를 연동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미러(MIRROR) 기능이나, 인터넷과 셋탑박스를 연동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웹서핑이 가능한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었다. 셋탑박스는 선택된 채널만을 연결된 하나의 TV(디스플레이)에 출력함에 따라 많은 사용자가 모이는 장소에서는 채널경쟁을 펼치게 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04320호(2012.04.14)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34076호(2015.04.0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98038호(2011.12.16)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셋탑박스를 이용하여 복 수개의 디바이스에 동시에 방송 및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셋탑박스와 복수개의 디바이스간의 통신에 의하여 VOD 요청에 대한 재생과 저장, PVR 기능의 실행이 모두 가능한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셋탑박스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에 대하여 가입자의 선호도와, 가입자간의 영상 시청을 제한할 수 있도록 시청자의이력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은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및 VOD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영상과, 스케쥴 및 프로그램 설명이 포함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상서버와,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및 VOD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영상과, 데이터의 선택신호를 영상서버에 송신하고, 영상서버에서 수신된 영상 및 데이터를 수신하는 셋탑박스(SET-TOP BOX)와, 셋탑박스로부터 수신되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및 VOD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영상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TV(TELEVISION)와, 앱(App)을 통하여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및 VOD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영상과, 데이터의 선택신호를 셋탑박스에 송신하고, 선택신호에 포함된 영상 및 데이타를 셋탑박스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 및 셋탑박스와 사용자 단말기 간의 영상 및 데이터를 중계하는 무선중계기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는 무선중계기를 통하여 셋탑박스와 각각 연결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PC중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서 셋탑박스를 통하여 개별적으로 영상 및 데이타를 선택 및 요청하고, 셋탑박스를 통하여 영상 서버에서 제공되는 영상 및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고, 셋탑박스는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가 등록되고, TV와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별로 영상 및 데이터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영상서버로부터 해당 영상 및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영상 및 데이터를 요청한 TV와 사용자 단말기에 각각 출력 및 송신하는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위 실시예의 셋탑박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TV의 시청 이력을 누적시켜 통계값을 산출하는 기록생성부와,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등록하는 설정부와, 상기 설정부에 의해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에만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셋탑제어부와, TV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유선 데이터 출력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무선 데이터 출력부와, 리모콘으로부터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와, 상기 영상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셋탑통신부 및 상기 셋탑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유선 데이터 출력부와 무선 데이터 출력부중 하나 이상에 선택적으로 분배하는 신호분배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함에 따라 본 발명은, 하나의 셋탑박스를 이용하여 다 수의 가입자가 동시에 서로 다른 채널이나 영상의 시청이 가능하여 가입자의 편의와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함에 따라 셋탑박스와 복수개의 디바이스간의 통신에 의하여 VOD의 즉시 재생과 저장, PVR 기능의 실행이 모두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동일한 VOD의 시청에 따른 비용 및 시간적인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 번째 목적을 달성함에 따라 셋탑박스에 누적된 이력과 통계값을 통하여 시청자의 선호도를 확인할 수 있어 향후 방송사업자의 사업전력 수립에 효과적이고, 가입자는 미성년자의 유해 프로그램의 시청을 감시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에서 셋탑박스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셋탑박스 구동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셋탑박스의 중계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방송 수신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VOD 수신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단말기 PVR(Personal Video Recorder) 구동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 예 및 실시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 예 및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수단",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인터넷방송, 지상파, 케이블 및 위성방송에서 제공되는 방송, VOD 영상 및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영상서버(200)와, 영상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방송 및 VOD(Video On Demand) 데이터를 TV(400)에서 인식가능한 신호로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셋탑박스(100)와, 영상서버(2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300)와, 셋탑 박스(100)와 사용자 단말기(300)간의 무선신호를 중계하는 무선중계기(500)와, 셋탑박스(100) 및 TV(400)를 원격 조정하는 리모콘(700)을 포함한다.
영상서버(200)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와 셋탑박스(100)에 각각 또는 셋탑박스(10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 디지탈 방송 및 VOD(Video On Demand)를 송신한다. 여기서 영상서버(200)는 지상파, 위성, 인터넷방송과 VOD등의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사업자나 인터넷 망사업자를 의미하여 이하에서는 영상서버로 통칭한다. 영상서버(200)는 방송, VOD 뿐만 아니라 사업자의 계약이나 사업화에 따른 전자북과, 제품 및 제조사 홍보, 여행정보, 인터넷문서와 같이 모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방송과 VOD를 일예로 들어 설명한다.
셋탑박스(100)는 영상서버(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방송 및 VOD(Video On Demand) 영상을 수신하여 TV(400)에 출력함과 동시에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300)로 중계한다. 여기서 셋탑박스(100)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정보가 등록되고, 각 사용자 단말기(300)의 방송 및 VOD(Video On Demand) 영상의 시청 이력에 관한 기록을 생성한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셋탑박스(100)에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영상서버(200)의 디지탈 방송 및 VOD(Video On Demand)를 선택 및 시청 가능한 앱(App)이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300)는 TV(400)에 출력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별개의 영상을 선택하여 수신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300)는 셋탑박스(100)와 무선 연결된 무선중계기(500)를 통하여 영상을 수신받게 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데스크탑, PDA, PDP와 같은 무선중계기(500) 및 영상서버(200)와 통신 가능한 단말기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셋탑박스(100)에 연결되는 외부저장부(600)를 더 포함한다.
외부저장부(600)는 USB와 같이 외장형 하드디스크로서 영상 데이터나 오디오파일을 저장한다.
즉, 본 발명은 가정 내에서 케이블, 위성방송, 지상파 및 인터넷 방송을 수신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셋탑박스(100)와 무선랜 통신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300)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TV(400)가 동시에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한 방송과 VOD(Video On Demand) 영상을 수신 및 출력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에서 셋탑박스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셋탑박스(100)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300)에 고유 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정보DB(181)에 저장시키는 설정부(160)와, 디바이스별 시청 이력을 생성하고 통계값을 산출하여 기록DB(182)에 저장하는 기록생성부(170)와, 외부저장부(600)가 연결되는 외부장치 연결부(120)와, TV(400)에 유선 연결되는 유선 데이터 출력부(131)와, 무선중계기(5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셋탑통신부(141)와, 셋탑통신부(141)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무선 데이터 출력부(132)와, 셋탑통신부(141)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디코딩 또는 인코딩하는 데이터수신부(142)와,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수신부(143)와, 리모콘수신부(143) 및 데이터 수신부(143)를 통하여 수신된 명령어에 따라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셋탑제어부(100)와, 셋탑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유선 데이터 출력부(131)와 무선 데이터 출력부(132)에 선택적으로 데이터를 분배하는 신호분배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셋탑박스(100)는 상술한 구성 외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영상의 재생이나 양방향 통신을 위한 장치가 구비됨은 당연하기에 상세한 설명에서 생략하였다.
설정부(160)는 입력된 사용자 단말기(300)에 고유 식별정보를 부여하고, 정보DB(181)에 등록한다. 여기서 고유 식별정보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자체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기록생성부(17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 송출한 영상의 정보(예를 들면, 제목과 채널, 시청시간)와, 시청 디바이스(TV, 사용자 단말기)가 포함된 이력(일별, 월별 시청횟수)을 생성하여 누적시키고, 누적된 시청 이력의 통계치를 연산한다. 통계치는 기간별, 날짜별로 시청횟수가 많은 채널이나 방송을 포함할 수 있다. 기록생성부(170)는 시청 이력과 통계치를 기록DB(182)에 저장한다.
신호분배부(150)는 셋탑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하여 유선 데이터 출력부(131)와 무선 데이터 출력부(132)에 선택적으로 데이터를 분배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유선 데이터 출력부(131)는 유선으로서 TV(400)에 연결되고, 무선 데이터 출력부(132)는 하나 이상(1~N)으로 셋탑통신부(141)를 통하여 데이터를 출력한다.
즉, 신호분배부(150)는 리모콘(700)을 통하여 선택된 채널이나 영상을 유선 데이터 출력부(131)로 분배하여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선택된 채널이나 영상을 무선 데이터 출력부(132)로 분배한다.
셋탑통신부(141)는 무선중계기(500) 또는 기타 통신수단(유선, 위성 안테나, 모뎀)을 통하여 영상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중에서 셋탑통신부(141)는 무선 데이터 출력부(132)를 통하여 출력된 무선 데이터를 무선중계기(500)로 송신한다.
또는, 셋탑통신부(141)는 영상서버(200)와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 수신부(143)로 출력한다.
리모콘수신부(143)는 원거리에 위치된 리모콘(700)과 사용자 단말기(300)의 원격 리모콘(700) 신호를 수신하여 셋탑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셋탑제어부(100)는 데이터수신부(142)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가 리모콘(700) 또는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요청된 데이터인지를 확인하여 신호분배부(150)를 제어하여 영상서버에서 제공된 영상을 유선 데이터 출력부(131) 및/또는 무선 데이터 출력부(132)로서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셋탑제어부(100)는 사용자 단말기(300) 또는 리모콘(700)으로부터 송신된 VOD(Video On Demand) 수행 명령에 따라서 신호분배부(150)를 통하여 제어하여 영상서버(20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외부장치 연결부(120)를 통하여 출력한다.
또한, 셋탑제어부(100)는 사용자 단말기(300) 및/또는 리모콘(700)에서 PVR(Personal Video Recorder) 명령이 수신되면, 외부장치 연결부(120)에 연결된 외부저장부(600)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져와서 사용자 단말기(300)로 송신하거나 또는 유선 데이터 출력부(131)를 통하여 TV(400)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300)는 인터넷(앱스토어등)으로부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320)와, 영상서버(200) 및 셋탑박스(100)와 통신하는 단말통신부(330)와, 영상 출력 및 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340)와, 어플리케이션 구동부(320) 내지 디스플레이(340)를 제어하는 단말제어부(310)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구동부(320)는 영상서버(200) 및 셋탑박스 멀티 수신 시스템(100)으로 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실행시키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모듈(321)과, 방송채널 리스트 정보 및 수신된 방송을 출력하는 방송수신모듈(326)과, 영상서버(200)의 VOD(Video On Demand) 정보 및 영상을 출력하는 VOD 실행모듈(322)과, PVR(Personal Video Recorder)를 기능을 수행하는 PVR 실행모듈(323)과, 영상서버(200) 및 셋탑박스(100)와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모듈(324)과, 수신된 영상을 재생시키는 재생모듈(325)과, 음향을 출력하는 오디오모듈(327)과, 셋탑박스(100)의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콘모듈(328)을 포함한다.
단말통신부(330)는 무선중계기(500)를 통하여 셋탑박스(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유무선 모뎀 및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영상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340)는 터치형 디스플레이(340)로서 입력과 영상의 출력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모듈(321)은 인터넷망(앱스토어등)으로부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디스플레이(340)에 앱을 구현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실행모듈(321)은 앱에서 표현된 각각의 메뉴를 통하여 입력되는 명령어에 따라서 VOD 실행모듈(322) 내지 리모콘모듈(328)을 구동시킨다.
VOD 실행모듈(322)은 영상서버(200)에서 제공되는 VOD(Video On Demand) 리스트를 수신 및 출력하고, 선택된 VOD(Video On Demand)의 다운로드 진행율을 감지 및 연산하여 디스플레이(340)에 출력한다.
PVR 실행모듈(323)은 셋탑박스(100)에 연결된 외부저장부(600)의 저장된 파일 리스트를 수신 및 출력하고, 셋탑박스(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외부저장부(600)에 저장된 파일을 사용자 단말기(300)로 가져온다. 아울러 PVR 실행모듈(323)은 외부저장부(600)에서 셋탑박스(100) 또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완료 예상 시간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340)를 통하여 출력한다.
인증모듈(324)은 셋탑박스(100)와 영상서버(200)와 인증을 수행한다. 여기서 인증정보는 셋탑박스(100)에서 사용 인가된 사용자 단말기(300)의 고유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고유 식별정보가 저장된다.
재생모듈(325)은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340)를 통하여 재생한다. 이때 재생모듈(325)은 영상파일에 포함된 자막을 포함하여 재생시킨다.
오디오모듈(327)은 음향신호의 높낮이나 믹싱과 같이 음향 조절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하여 음향을 출력시킨다.
방송수신모듈(326)은 셋탑박스(100)를 통해 제공되는 방송채널별 리스트 및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의 환경에 맞도록 변환시켜 실시간으로 재생시킨다.
리모콘모듈(328)은 셋탑박스(100)를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는 메뉴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선택된 명령을 출력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TV(400)의 채널 선택, 또는 TV(400)를 이용하여 VOD(Video On Demand)를 시청하고자 할 때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리모콘 선택명령을 입력한다.
그러면, 어플리케이션 실행모듈(321)은 리모콘 선택명령에 따라 리모콘모듈(328)을 실행시킨다. 리모콘모듈(328)은 디스플레이(340)를 통하여 채널의 선택이나 전환, 음향조절과 같은 셋탑박스(100)의 원격조정이 가능한 메뉴나 키를 출력한다.
이후, 리모콘모듈(328)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명령을 단말제어부(310)에 출력한다. 따라서 단말제어부(310)는 단말통신부(330)를 통하여 리모콘모듈(328)에서 출력된 원격제어신호를 셋탑박스(100)에 송신한다.
단말제어부(310)는 디스플레이(340)를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명령이 수신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모듈(321)을 구동시켜 디스플레이(340)를 통하여 영상서버(200)의 방송과 VOD(Video On Demand) 및 PVR(Personal Video Recorder)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앱(App)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출력된 앱(App)은 VOD(Video On Demand)와 방송 및 PVR(Personal Video Recorder)의 선택메뉴와, 리모콘 선택메뉴가 각각 설치되며, 각 메뉴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모듈(321)에 의하여 VOD 실행모듈(322) 내지 리모콘모듈(328)로 명령어를 출력한다.
또한, 단말제어부(310)는 VOD 실행모듈(322) 내지 리모콘모듈(328)를 제어하여 영상서버(200) 및/또는 셋탑박스(1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340)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첨부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인터넷망으로부터 앱을 설치후 사용자 단말기(300)에 셋탑박스(100)를 등록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등록단계(S100)와, 영상서버(200)로 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TV(400)와 사용자 단말기(300)로 출력하는 셋탑박스의 구동단계(S200)와,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영상을 수신 및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구동단계(S300)를 포함한다.
등록단계(S400)는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300)를 등록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셋탑박스(100)는 영상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송신하기 이전에 인증과정을 수행하며, 인증과정에서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300)에만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를 위하여 셋탑박스(100)는 사용가능한 사용자 단말기(300)의 고유 식별정보가 저장된다.
사용자 단말기(300)의 등록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앱(App.)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및 설치를 하고,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와이파이를 통해 무선접속 가능기기를 써치하여 셋탑박스(100)를 선택하게 되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셋탑박스(100)와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셋탑박스(100)의 구동단계(S20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셋탑박스(100)를 이용한 멀티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셋탑박스(100)의 구동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셋탑박스(100) 구동단계(S200)는 사용자 단말기(300) 또는 리모콘(700)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는 명령수신단계(S210)와, 명령수신단계(S210)에서 방송 채널 및 VOD(Video On Demand) 선택명령이 수신되면 영상서버(2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TV에 출력하는 영상출력단계(S220)와, VOD(Video On Demand) 명령이 수신되면 영상서버(200)에서 수신된 영상을 외부저장부(600)로 출력하는 VOD 저장단계(S230)와, PVR(Personal Video Recorder) 명령이 수신되면 외부저장부(600)에 저장된 파일을 송신하는 PVR 송신단계(S240)와, 사용자 단말기(300)에 영상 및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단계(S290)와, 영상서버(200)의 수신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이력정보 저장단계(S250)와, 누적된 이력정보의 통계하여 통계값을 산출하는 통계단계(S260)와, 통계값의 송신 및/또는 출력요청이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는 송신판단단계(S270)와, 송신판단단계(S270)에서 통계값의 송신요청이 수신되면 통계값을 송신하는 송신단계(S280)를 포함한다. 이중에서 중계단계(S290)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명령수신단계(S210)는 셋탑제어부(100)가 사용자 단말기(300) 또는 리모콘(700)으로부터 선택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사용자는 리모콘(700)을 조작하여 자신이 원하는 채널이나 VOD(Video On Demand) 기능을 선택한다.
또는,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300)를 조작하여 방송채널이나 VOD(Video On Demand), PVR(Personal Video Recorder)을 선택할 수 있다.
셋탑제어부(100)는 리모콘수신부(143)를 통하여 리모콘(700) 또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선택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300)는 VOD의 출력명령과, VOD 저장명령을 선택적으로 송신한다. VOD 출력명령은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VOD를 재생하기 위한 명령이며, VOD 저장명령은 셋탑박스(100)에 연결되는 외부저장부(600)에 VOD(Video On Demand)를 저장하기 위한 명령이다.
이중에서 VOD 출력명령은 중계단계(S290)를 통하여 설명하고, 영상출력단계(S220)는 TV(400)에 VOD(Video On Demand)를 출력하는 과정이다.
영상출력단계(S220)는 명령수신단계(S210)에서 방송 및 VOD(Video On Demand) 선택명령이 수신되면, 영상서버(200)에 해당 영상을 요청 후 수신하는 영상수신단계(S221)와, 수신된 영상을 TV(400)로 출력하는 TV 출력단계(S222)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수신단계(S221)는 셋탑제어부(100)가 리모콘(700) 또는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선택된 채널이나 영상의 선택신호를 영상서버(200)에 송신한다. 이때 셋탑제어부(100)의 영상 선택신호는 무선중계기(500)와 사용자 단말기(300)를 경유하여 영상서버(200)로 송신된다.
또는 셋탑박스(100)가 위성을 이용한 무선통신 또는 케이블이나 전력선을 이용한 유선으로 영상서버(200)에 연결될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영상서버(200)로 송신됨도 가능하다.
TV 출력단계(S222)는 셋탑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하여 영상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TV(400)로 출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셋탑제어부(100)는 데이터수신부(142)를 통하여 방송 및 VOD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신호분배부(150)를 제어하여 데이터를 분배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신호분배부(150)는 유선 데이터 출력부(131)로 데이터를 출력하고, 유선 데이터 출력부(131)는 TV(400)로 전송한다.
VOD 저장단계(S230)는 리모콘(700) 또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VOD(Video On Demand) 선택명령이 수신되면, 선택 VOD(Video On Demand)를 영상서버(200)에 요청 및 수신하는 영상수신단계(S231)와, 영상 수신단계(S231)에서 수신된 VOD(Video On Demand)를 TV(400)에 출력하거나 또는 외부저장부(600)에 저장하는 외부장치 출력단계(S232)를 포함한다.
VOD(Video On Demand) 영상 수신단계(S231)는 셋탑제어부(100)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VOD(Video On Demand) 선택명령에 따라 영상서버(200)로부터 선택된 영상의 데이터를 요청 및 수신하는 단계이다.
먼저, 사용자는 셋탑박스(100)의 외부장치 연결부(120)에 외부저장부(600)를 연결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VOD(Video On Demand)의 영상의 저장 기능을 선택한다.
따라서 셋탑제어부(100)는 데이터 수신부(143)를 통하여 수신된 선택명령에 따라 영상서버(200)에 VOD(Video On Demand) 영상을 요청 및 수신한다.
외부장치 출력단계(S232)는 셋탑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하여 수신된 VOD(Video On Demand)를 외부저장부(600)로 출력하여 저장하는 단계이다. 셋탑제어부(100)는 신호분배부(150)를 제어하여 영상 서버로부터 수신된 VOD(Video On Demand) 데이터를 외부저장부(600)로 출력한다.
이때 신호분배부(150)는 데이터 수신부(143)를 통하여 수신된 VOD(Video On Demand)의 데이터를 외부장치 연결부(120)를 통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외부저장부(600)는 외부장치연결부(120)를 통하여 출력된 VOD(Video On Demand)를 저장한다.
PVR(Personal Video Recorder) 송신단계(S240)는 연결된 외부저장부(600)에 저장된 파일리스트를 수신하는 외부저장부 정보확인단계(S241)와, 외부저장부(600)에 저장된 파일중에 선택된 파일을 읽어들여 사용자 단말기(300)로 송신하는 출력단계(S242)를 포함한다.
외부저장부 정보확인단계(S241)는 명령수신단계(S210)에서 PVR(Personal Video Recorder) 선택 명령이 수신되면, 연결된 외부저장부(600)에 저장된 파일을 확인하고,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셋탑제어부(100)는 셋탑통신부(141)를 PVR(Personal Video Recorder) 선택명령이 수신되면, 외부장치 연결부(120)에 연결되는 외부저장부(600)의 파일정보를 불러들여 파일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셋탑제어부(100)의 파일정보 리스트는 셋탑통신부(141)를 통하여 출력되어 무선중계기(5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로 송신된다.
또는 셋탑제어부(100)는 유선 데이터 출력부(131)를 통하여 TV(400) 화면에 연결된 외부저장부(600)의 파일 리스트를 출력함도 가능하다.
출력단계(S242)는 셋탑제어부(100)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선택된 파일을 사용자 단말기(300)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셋탑제어부(100)는 셋탑통신부(141)를 통하여 외부저장부(600)에 저장된 파일을 사용자 단말기(300)에 송신한다. 이때 외부저장부(600)의 데이터는 신호분배부(150)와 무선 데이터 출력부(132)를 통하여 신호변환과정을 거친 뒤에 송신된다. 이와 같은 신호처리 과정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로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는 셋탑제어부(100)는 리모콘 수신부(143)를 통하여 선택명령에 따라서 외부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을 재생하여 TV로 출력함도 가능하다.
이력정보 저장단계(S250)는 상술한 영상출력단계(S220)와 VOD(Video On Demand) 저장단계(S230)와 PVR(Personal Video Recorder) 송신단계(S240) 이후에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기록DB(182)에 누적시키는 단계이다.
셋탑제어부(100)는 기록생성부(170)를 제어하여 영상출력 내지 PVR 송신단계dh와, 중계단계(S220~S240, S290)의 이력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이력정보는 기록DB(182)에 저장된다.
통계값 산출단계(S260)는 셋탑제어부(100)가 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기록생성부(170)를 제어하여 누적된 이력정보의 통계값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산출된 통계값은 리모콘(700)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300)별로 설정된 기간동안에 시청횟수나 다운로드 횟수와 시청 및 다운로드 일시를 포함한다.
송신요청 판단단계(S270)는 셋탑제어부(100)가 사용자 단말기(300), 리모콘(700) 및/또는 영상서버(200)로부터 이력정보 및 통계값의 송신 요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송신단계(S280)는 송신요청 판단단계(S270)에서 이력 정보 및/또는 통계값의 송신요청이 수신되면, 기록DB(182)에 저장된 이력 정보 및/또는 통계값을 송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이력정보 및/또는 통계값은 사용자 단말기(300)와 리모콘(700) 및 영상서버(200)로부터 송신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자가 자녀가 부적절한 프로그램이나 영상의 시청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사업자측에서는 시청자들의 선호도 및 과금을 확인할 수 있는 기초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셋탑박스의 중계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중계단계(S29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영상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요청 수신단계(S291)와, 영상요청 수신단계(S291)에서 접수된 사용자 단말기(300)와 인증을 진행하여 등록된 단말기인지를 판단하는 설정단말기 판단단계(S292)와, 설정단말기 판단단계(S292) 이후에 설정 단말기가 아니면 차단하고 거부 메세지를 송신하는 차단단계(S295)와, 설정단말기 판단단계(S292) 이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와 일치되면 영상서버(200)에 영상을 요청하고, 수신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300)에 송신하는 영상 중계단계(S293)와, 영상 중계단계 (S293)이후에 사용자 단말기(300)의 영상 수신 이력을 기록 및 저장하는 이력저장단계(S294)를 포함한다.
영상요청 수신단계(S291)는 셋탑제어부(100)가 사용자 단말기(300)의 영상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방송, VOD(Video On Demand)를 선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셋탑제어부(100)는 데이터수신부(142)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인증을 진행한다.
설정단말기 판단단계(S292)는 셋탑제어부(100)가 인증과정을 통하여 영상요청 신호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기(300)가 설정된 단말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셋탑제어부(100)는 영상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설정부(160)를 제어하여 인증을 진행한다. 따라서 설정부(160)는 정보DB(181)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300)의 고유 식별정보와 영상요청신호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기(300)를 비교하여 설정단말기 여부를 판단하여 셋탑제어부(100)에 그 결과를 출력한다.
차단단계(S295)는 영상요청을 송신한 사용자 단말기(300)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300)와 불일치 되면, 셋탑제어부(100)가 해당 사용자 단말기(300)의 영상송신을 차단하는 단계이다.
영상중계단계(S293)는 영상요청을 송신한 사용자 단말기(300)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300)와 일치되면, 셋탑제어부(100)가 셋탑통신부(141)를 제어하여 영상서버(200)에 해당 영상을 요청하고, 수신된 영상을 셋탑통신부(141)와 무선중계기(5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즉, 상술한 실시예는 가정내에서 방송이나 VOD(Video On Demand)의 시청이 TV(400)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모두 가능하나, 허락되지 않은 무자격 사용자 단말기(300)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셋탑박스(100)를 경유하여 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력저장단계(S294)는 셋탑제어부(100)가 기록생성부(170)를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별로 시청 방송이나 VOD(Video On Demand)의 이력을 설정된 확장자명을 갖는 파일로 기록 및 저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기록생성부(170)는 기록DB(182)에 사용자 단말기(300)별 영상 수신 기록정보를 누적시켜 저장한다. 누적된 이력 정보는 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통계처리된다.
사용자 단말기 구동단계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방송을 수신하는 방송 수신단계(S310)와, 외부저장부에 VOD를 수신 및 저장하는 VOD 수신단계(S320)와, PVR 구동단계(S330)를 포함한다. 이중 방송수신단계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방송 수신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300)의 방송수신단계(S310)는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방송 채널의 선택이 가능한 앱(App)을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단계(S311)와, 영상서버(200)의 채널 리스트 및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는 방송정보 수신단계(S312)와, 입력된 채널선택명령을 송신하는 채널 선택 송신단계(S313)와, 수신된 방송을 출력하는 방송출력단계(S314)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단계(S311)는 단말제어부(31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실행명령이 입력되면, 어플리케이션 구동부(32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340)에 방송 채널의 선택이 가능한 앱을 출력시키는 단계이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모듈(321)은 단말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디스플레이(340)에 방송채널의 선택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앱을 출력시킨다.
방송정보 수신단계(S312)는 단말제어부(310)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320)를 제어하여 일자별 시간대별 방송리스트 및 프로그램에 관련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340)에 출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실행모듈(321)은 앱을 구동시킨 뒤에 방송메뉴가 선택되면, 방송수신모듈(326)을 구동시킨다. 방송수신모듈(326)은 단말통신부(330)를 통하여 영상서버(200)로부터 각 방송채널의 방영 시간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채널선택 송신단계(S313)는 단말제어부(310)가 앱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채널선택 명령에 따라 해당 채널의 방송프로그램을 요청하는 채널선택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거실에 설치된 TV(400)가 아니라 개인 방에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방송을 원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채널을 선택하고 시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앱(App)을 구동시키고, 디스플레이(340)를 통하여 출력된 앱(App)을 통하여 각 채널별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를 확인하여 이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그러면, 방송수신모듈(326)은 앱을 통하여 입력되는 채널선택명령을 단말제어부(310)에 출력하고, 단말제어부(310)는 단말통신부(330)를 통하여 셋탑박스(100)에 송신한다. 셋탑박스(100)는 상술한 중계단계의 과정을 거쳐 영상서버(200)로 선택된 채널의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 및 데이터를 요청한다.
출력단계(S314)는 단말제어부(310)가 단말통신부(330)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340)에 출력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방송수신모듈(326)은 단말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수신된 방송영상을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재생가능한 데이터로 디코딩 또는 인코딩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재생모듈(325) 및 오디오모듈(327)은 방송수신모듈(326)에서 실시간으로 수신 및 변환된 데이터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340)에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TV(400)에서 출력되는 방송 프로그램과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방송 프로그램을 자신이 원하는 장소에서 시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방송뿐만 아니라 영상서버(200)에서 수신되는 VOD(Video On Demand)의 즉시 시청과 USB와 같은 외장 하드디스크에 VOD(Video On Demand)를 저장함도 가능하다.
여기서 본 발명은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VOD를 일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 VOD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영상 서버에서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예를 들면, VOD, 동영상, 게임, 전자도서)가 해당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VOD 수신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300)의 VOD 수신단계(S32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단계(S321)와, 앱(App)을 통하여 VOD(Video On Demand) 리스트를 수신하는 VOD 리스트 수신단계(S322)와, 선택 VOD(Video On Demand)의 세부정보를 출력하는 VOD 정보수신단계(S323)와, 선택된 VOD(Video On Demand)의 즉시 재생(Streaming) 또는 저장 명령을 판단하는 명령판단단계(S324)와, 명령판단단계(S324)에서 저장명령이 인가되면 셋탑박스(100)에 저장명령을 송신하는 저장명령 송신단계(S325)와, 다운로드되는 VOD(Video On Demand)의 진행율을 연산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다운로드 상태 감지단계(S326)와, 다운로드 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S326)와, 명령판단단계(S324)에서 즉시 재생 명령이 인가되면 영상을 요청하는 영상 요청단계(S328)와, 수신된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단계(S329)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단계(S321)는 단말제어부(310)가 어플리케이션 실행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340)에 앱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이다.
VOD 리스트 수신단계(S322)는 단말제어부(310)가 입력되는 선택명령에 따라 VOD(Video On Demand) 리스트를 요청 및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이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모듈(321)은 디스플레이(340)를 통하여 출력된 앱을 통하여 VOD 메뉴가 선택되면, VOD 실행모듈(322)을 구동시켜 영상서버(200)에 VOD 리스트를 요청한다. 따라서 단말제어부(310)는 단말통신부(330)를 통하여 리스트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영상서버(200)에서 제공된 VOD 리스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340)에 출력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300)의 VOD 요청신호는 셋탑박스(100)를 경유하여 영상서버(200)로 송신되고, 영상서버(200)로부터 송신된 신호 역시 셋탑박스(10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로 수신된다.
VOD 정보수신단계(S323)는 VOD 리스트를 디스플레이(340)에 출력하는 단계이다. VOD 리스트 수신단계(S322)에서 출력된 VOD 리스트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VOD 실행모듈(322)은 해당 VOD(Video On Demand)의, 예를 들면, 제목과 주연배우, 줄거리가 포함된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여 디스플레이(340)에 출력한다.
명령판단단계(S324)는 선택된 VOD(Video On Demand)의 즉시 재생(Streaming) 또는 저장명령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VOD 실행모듈(322)은 VOD 정보수신단계(S323)에서 정보가 출력된 해당 VOD(Video On Demand)에 대한 즉시 재생 명령(Streaming) 또는 영상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의 저장명령중 어느 것이 인가되는 지를 판단한다.
즉시 재생(Streaming)은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영상서버(200)로부터 영상의 수신과 동시에 재생시키기 위한 명령이며, 저장명령은 셋탑박스(100)에 연결되는 외부저장부(600) 또는 사용자 단말기(300) 자체의 하드 디스크에 영상을 저장시키기 위한 명령이다.
저장명령 송신단계(S325)는 명령판단단계(S324)에서 저장명령이 인가되면, 셋탑박스(100)에 선택된 VOD의 저장명령을 송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사용자는 셋탑박스(100)의 외부장치연결부(120)에 외부저장부(600)를 연결시킨 후,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300)를 조작하여 VOD의 저장을 선택한다.
따라서 VOD 실행모듈(322)은 선택된 VOD의 저장명령을 출력하고, 단말제어부(310)는 VOD 저장명령을 단말통신부(330)를 통하여 셋탑박스(100)로 송신한다. 셋탑박스(100)는 이를 수신하여 해당 VOD(Video On Demand)를 영상서버(200)에 요청하고, 수신된 VOD(Video On Demand)를 외부저장부(600)로 저장한다.
다운로드 상태 감지단계(S326)는 단말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하여 다운로드 되는 VOD(Video On Demand)의 상태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VOD 실행모듈(322)은 셋탑박스(100)에서 다운로드 진행율을 감지하여 진행중 상태와 완료 여부를 출력하고, 예상시간과 현재 진행율을 숫자나 문자, 기호, 그림에서 선택된 조합으로 표현하여 디스플레이(340)에 출력한다.
이때, 영상서버(200)로부터 송신되는 VOD(Video On Demand)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경유하여 셋탑박스(100)로 송신된다. 즉, 사용자 단말기(300)는 셋탑박스(100)와 영상서버(200)간의 중계기(500)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VOD 실행모듈(322)은 다운로드되는 VOD(Video On Demand)의 상태를 감지하고, 완료비율을 연산함에 있어 정확한 산출이 가능하다.
저장단계(S327)는 단말제어부(310)가 다운로드가 완료된 이후에 해당 VOD(Video On Demand)의 다운로드 이력을 저장하는 단계이다. VOD 실행모듈(322)은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단말제어부(310)에 완료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단말제어부(310)는 디스플레이(340)에 완료메세지를 출력하고, 다운로드된 VOD(Video On Demand)의 제목과 일시를 포함하는 이력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출력된 완료 메세지를 확인한 뒤에 셋탑박스(100)에 연결되는 외부저장부(600)를 분리시키거나, 리모콘(700)을 조작하여 외부저장부(600)에 저장된 파일을 선택하여 TV(400)를 통하여 시청할 수 있다.
VOD 요청단계(S328)는 명령판단단계(S324)에서 즉시 재생 명령이 선택되면, 단말제어부(310)가 셋탑박스(100)에 선택된 VOD의 즉시 재생을 위한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이다. 이때 송신된 VOD 요청신호는 셋탑박스(100)로 송신되며, 셋탑박스(100)의 인증과정을 거친 뒤에 영상서버(200)에 송신된다.
출력단계(S329)는 단말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하여 수신된 VOD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단말제어부(310)는 단말통신부(330)를 통하여 VOD의 영상 및 데이터가 수신되면, VOD실행모듈(322)을 구동시켜 수신된 영상 및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300)의 환경에 맞는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이후 재생모듈(325)과 오디오모듈(327)은 수신된 VOD를 디스플레이(340)에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원하는 영상을 자신만의 공간에서 시청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00)의 VOD 수신단계(S320)는 영상서버(200)로부터 VOD를 요청하여 재생 또는 외부저장부(600)에 저장시키기 위한 것이며, PVR 구동단계(S330)는 이와 반대로서 외부저장부(600)에 저장된 파일을 사용자 단말기(300)에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PVR(Personal Video Recorder) 구동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300)의 PVR 구동단계(S32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단계(S331)와, 앱(App)을 통하여 PVR 기능을 선택하는 PVR 선택단계(S332)와, 대상파일을 검색하여 출력하는 대상 파일 리스트 출력단계(S333)와, 대상 파일을 수신 및 저장하는 PVR 실행단계(S334)와, 완료되면 완료메세지를 출력하는 메세지 출력단계(S335)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단계(S331)는 단말제어부(31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명령이 입력되면, 어플리케이션 구동부(320)를 구동시키는 단계이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모듈(321)은 단말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340)에 VOD, 방송수신 및 PVR 기능의 선택이 가능한 앱을 출력한다.
PVR선택단계(S332)는 단말제어부(310)가 앱을 통하여 PVR 기능 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대상 파일이 저장된 외부저장부(600)를 셋탑박스(100)에 연결하고,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300)에 출력된 앱을 통하여 PVR 기능을 선택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실행모듈(321)은 PVR 실행모듈(323)을 구동시킨다.
대상파일 리스트 출력단계(S333)는 단말제어부(310)가 PVR 대상 파일을 검색 및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대상파일을 선택한다. 따라서 PVR 실행모듈(323)은 입력된 위치의 대상 파일을 검색하여 디스플레이(340)에 출력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300)와 셋탑박스(100)는 무선 중계기(500)에 의하여 통신연결되었다. 따라서 PVR 실행모듈(323)은 셋탑박스(100)와의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외부저장부(600)의 파일정보를 검색하여 출력한다.
PVR 실행단계(S334)는 단말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하여 셋탑박스(100)에 연결된 외부저장부(600)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수신 및 구동시키는 단계이다. PVR 실행모듈(323)은 단말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하여 외부저장부(600)에 저장된 파일을 복사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의 하드디스크에 저장한다.
메세지 출력단계(S335)는 단말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하여 완료 메세지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PVR 실행모듈(323)은 파일의 복사 진행율을 숫자나 기호, 문자등의 기호로써 표시하여 디스플레이(340)에 출력하고, 파일의 복사가 완료되면 완료메세지를 디스플레이(340)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상파, 케이블 및 위성방송을 수신하는 셋탑박스(100)를 이용하여 TV(400)와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서 동시에 서로 다른 방송이나 VOD의 시청과, PVR 기능이 모두 가능하고, 영상서버(200)에서 제공되는 모든 콘텐츠를 셋탑박스(100)에 연결되는 외부저장부(600)에 저장하거나 즉시 재생이 가능하다.
100 : 셋탑박스 110 : 셋탑제어부
120 : 외부장치 연결부 131 : 유선 데이터 출력부
132 : 무선 데이터 출력부 141 : 셋탑통신부
142 : 데이터수신부 143 : 리모콘수신부
150 : 신호분배부 160 : 설정부
170 : 기록생성부 181 : 정보DB
182 : 기록DB 200 : 영상서버
300 : 사용자 단말기 310 : 단말제어부
320 :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321 : 어플리케이션 실행모듈
322 : VOD 실행모듈 323 : PVR 실행모듈
324 : 인증모듈 325 : 재생모듈
326 : 방송수신모듈 327 : 오디오모듈
328 : 리모콘모듈 330 : 단말통신부
340 : 디스플레이 328 : 리모콘모듈
400 : TV 500 : 무선중계기
600 : 외부저장부 700 : 리모콘

Claims (12)

  1.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및 VOD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영상과, 스케쥴 및 프로그램 설명이 포함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상서버;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및 VOD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영상과, 데이터의 선택신호를 상기 영상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영상서버에서 수신된 영상 및 데이터를 수신하는 셋탑박스(SET-TOP BOX);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수신되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및 VOD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영상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TV(TELEVISION);
    앱(App)을 통하여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및 VOD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영상과, 데이터의 선택신호를 상기 셋탑박스에 송신하고, 상기 선택신호에 포함된 영상 및 데이타를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셋탑박스와 사용자 단말기간의 영상 및 데이터를 중계하는 무선중계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무선중계기를 통하여 상기 셋탑박스와 각각 연결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PC중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서 상기 셋탑박스를 통하여 개별적으로 영상 및 데이타를 선택 및 요청하고, 상기 셋탑박스를 통하여 상기 영상 서버에서 제공되는 영상 및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셋탑박스는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가 등록되고, 상기 TV와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별로 영상 및 데이터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영상서버로부터 해당 영상 및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영상 및 데이터를 요청한 상기 TV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각각 출력 및 송신하는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TV의 시청 이력을 누적시켜 통계값을 산출하는 기록생성부;
    사용이 인가된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등록하는 설정부;
    상기 설정부에 의해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셋탑제어부;
    TV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유선 데이터 출력부;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무선 데이터 출력부;
    리모콘으로부터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
    상기 영상서버 및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셋탑통신부; 및
    상기 셋탑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유선 데이터 출력부와 무선 데이터 출력부중 하나 이상에 선택적으로 분배하는 신호분배부;를 포함하는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영상서버의 방송, VOD(VIDEO ON DEMAND) 및 콘텐츠의 선택, 수신 및 실행시킬 수 있는 어플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시키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상기 무선중계기 및 영상서버와 무선통신하는 단말통신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셋탑박스에 데이터를 요청 및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데이터의 선택 및 송수신 요청이 가능한 앱을 구동시키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모듈;
    상기 셋탑박스에 VOD 데이터를 요청 및 수신하는 VOD 실행모듈;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지상파, 케이블, 위성 방송의 채널별 영상을 요청 및 수신하는 방송수신모듈; 및
    상기 VOD 실행모듈과 방송수신모듈에서 방송 및 VOD를 재생하는 재생모듈과, 음향을 출력하는 오디오모듈;을 포함하는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VOD 실행모듈은
    상기 셋탑박스에 연결되는 외부저장부에 데이터의 저장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원격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콘 모듈을 더 포함하는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상기 셋탑박스에 연결되는 외부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PVR(Personal Video Recorder) 실행모듈을 더 포함하는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
  7. 리모콘에 의하여 원격 제어되는 TV;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및 VOD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영상과,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상서버;
    상기 영상서버로부터 수신된 앱(APP)을 통하여 상기 영상서버의 방송채널 및 영상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영상서버의 방송채널 및 영상을 개별적으로 요청 및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리모컨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서버에 영상을 요청하고, 수신된 영상을 상기 TV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셋탑박스(SET-TOP BOX);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셋탑박스간에 선택 신호 및 영상을 중계하는 무선중계기;
    상기 셋탑박스에 연결되는 외부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무선중계기를 통하여 상기 셋탑박스와 각각 연결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PC중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서, 상기 앱(App)을 통하여 상기 영상서버에서 제공되는 영상 및 데이터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셋탑박스에 데이타 저장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셋탑박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데이터 저장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영상서버에서 수신된 영상 및 데이터를 상기 외부저장부에 저장하는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

  8.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및 VOD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을 송신하는 영상서버;
    리모콘에 의하여 원격 제어되는 TV;
    상기 영상서버로부터 수신된 앱(APP)을 통하여 방송채널 및 영상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영상서버의 방송채널 및 영상을 개별적으로 요청 및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리모컨의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서버에 영상을 요청하고, 수신된 영상을 상기 TV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셋탑박스(SET-TOP BOX);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셋탑박스간에 선택 신호 및 영상을 중계하는 무선중계기;
    상기 셋탑박스에 연결되는 외부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무선중계기를 통하여 상기 셋탑박스와 각각 유니캐스팅 방식으로 연결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PC중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서,
    상기 앱(App)을 통하여 상기 외부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셋탑박스에 PVR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셋탑박스는 등록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PVR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외부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
  9. 스마트폰, 태블릿PC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기에 영상서버에서 제공되는 지상파, 위성방송, 케이블 방송채널 및 VOD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및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는 앱(App)을 설치하고, 상기 앱을 통하여 통신 연결된 셋탑박스를 등록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등록단계;
    상기 셋탑박스에서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에 한하여 영상 및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를 등록하는 셋탑박스의 사용자 단말기 등록단계;
    상기 셋탑박스의 사용자 단말기 등록단계에서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명령에 따라 상기 영상서버에 영상을 요청 및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송신하고, 리모콘(REMOCON)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상기 영상서버에 요청 및 수신하여 TV에 출력하는 셋탑박스(SET-TOP BOX)의 구동단계; 및
    상기 앱(App)을 통하여 선택된 영상 및 데이터의 선택명령을 상기 셋탑박스와 유니캐스팅 방식으로 각각 송신하고, 수신된 영상 및 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구동단계를 포함하는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 구동단계는
    리모콘으로부터 방송 또는 VOD(Video On Demand) 선택명령이 수신되면 영상서버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TV에 출력하는 영상출력단계;
    상기 등록단계에서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방송 또는 VOD 선택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영상서버에서 수신된 해당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중계단계;
    상기 등록단계에서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VOD 저장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영상서버에서 수신된 영상을 외부저장부로 출력 및 저장시키는 VOD 저장단계; 및
    상기 등록단계에서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PVR(Personal Video Recorder) 명령이 수신되면 외부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는 PVR 송신단계;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박스 구동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TV에 출력되는 영상의 이력 정보를 누적시키고, 설정된 기간별로 통계값을 산출하는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구동단계는
    상기 셋탑박스에 상기 영상서버의 방송중 어느 하나의 선택명령을 송신하여 해당 방송을 수신 및 출력하는 방송수신단계;
    상기 영상서버에서 제공된 VOD중 어느 하나의 선택명령을 상기 셋탑박스에 송신하여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수신된 VOD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셋탑박스에 VOD의 저장명령 송신 후, 상기 셋탑박스에 연결된 외부저장부의 다운로드 진행율을 감지하여 완료 메세지를 출력하는 VOD 수신단계; 및
    상기 셋탑박스에 외부저장부에 저장된 파일의 PVR 명령을 송신하고, 수신된상기 외부저장부의 파일을 저장 또는 실행시키는 PVR 구동단계;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50113184A 2015-08-11 2015-08-11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79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184A KR101579561B1 (ko) 2015-08-11 2015-08-11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184A KR101579561B1 (ko) 2015-08-11 2015-08-11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561B1 true KR101579561B1 (ko) 2015-12-23

Family

ID=55082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184A KR101579561B1 (ko) 2015-08-11 2015-08-11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5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509B1 (ko) * 2018-03-28 2018-09-04 메틴 아탈란 셋탑박스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2018596B1 (ko) * 2018-03-28 2019-09-06 크레노바시스템스 주식회사 대인용 수송부재의 디지탈 비디오 방송 컨텐츠 서비스 수신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2030042B1 (ko) * 2018-03-28 2019-11-08 크레노바시스템스 주식회사 지능정보 기술을 활용한 ict 기반의 tv 모니터링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200A (ko) * 2005-02-03 2005-04-15 (주)인피넥스 Ap(access point)가 장착된 일체형pdptv(ip셋탑박스포함)로one souce multi-use를 위한 통합디바이스환경의 쌍방향광고솔루션의 운영 및 그 방법( bm )
KR20090017155A (ko) * 2007-08-14 2009-02-18 주식회사 케이티 시청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 연동형 vod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120004320A (ko) 2010-07-06 2012-01-12 김덕중 모바일 환경에서 tv 화면과 연동하는 증강 현실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위한 부가 서비스 서버 및 방송 시스템
KR20150034076A (ko) 2013-09-25 2015-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200A (ko) * 2005-02-03 2005-04-15 (주)인피넥스 Ap(access point)가 장착된 일체형pdptv(ip셋탑박스포함)로one souce multi-use를 위한 통합디바이스환경의 쌍방향광고솔루션의 운영 및 그 방법( bm )
KR20090017155A (ko) * 2007-08-14 2009-02-18 주식회사 케이티 시청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 연동형 vod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120004320A (ko) 2010-07-06 2012-01-12 김덕중 모바일 환경에서 tv 화면과 연동하는 증강 현실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위한 부가 서비스 서버 및 방송 시스템
KR20150034076A (ko) 2013-09-25 2015-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509B1 (ko) * 2018-03-28 2018-09-04 메틴 아탈란 셋탑박스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2018596B1 (ko) * 2018-03-28 2019-09-06 크레노바시스템스 주식회사 대인용 수송부재의 디지탈 비디오 방송 컨텐츠 서비스 수신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2030042B1 (ko) * 2018-03-28 2019-11-08 크레노바시스템스 주식회사 지능정보 기술을 활용한 ict 기반의 tv 모니터링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8353B (zh) 全球互動節目指南應用及裝置
US7140033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consumer electronics external devices via data delivered to a device
US9294797B2 (en)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control of devices
JP5873006B2 (ja) 選択されたユーザと視聴覚コンテントを共有する方法
US89550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 content access
CN101005564B (zh) 并行电视遥控器、遥控系统及遥控电路
US878856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356490B1 (ko)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방법
US93384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commended content playback on a display device
US96354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s between client devices of a broadcast system
KR100617309B1 (ko) Epg 제공 장치 및 그 방법과 epg를 제공받는 단말기및 epg 표시방법
EP3416026A1 (en) Remote access to personal video profile
US11463780B1 (en) Locally relayed broadcast and community service television
KR101579561B1 (ko) 복수 디바이스에 서비스 가능한 셋탑박스 멀티 수신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1015188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端末の設定情報更新システム
KR101050656B1 (ko) Iptv 콘텐츠를 휴대단말로 이어보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1361364B (zh) 电子节目指南提供设备和方法
US20090013346A1 (en) Method for restricting viewing access to broadcast program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EP2012534A1 (en) Broadcast scheduling method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901347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동시 시청 기능을 구비한 셋톱박스 및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서버
KR20040075549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네트워크를 이용한 방송 프로그램의 재시청 시스템과 재 시청 방법
KR101653627B1 (ko) 시청 모드 전환 방법, 시스템 및 미디어 재생 장치
WO200905138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ervation recording of broadcasting program
KR20100043630A (ko) 영상 재생 장치, 통화 내역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