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165B1 - Vegetation media containing biodegradable fiber for vegetation measures and vegetation measures utilizing the same - Google Patents

Vegetation media containing biodegradable fiber for vegetation measures and vegetation measures utiliz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165B1
KR101579165B1 KR1020110138481A KR20110138481A KR101579165B1 KR 101579165 B1 KR101579165 B1 KR 101579165B1 KR 1020110138481 A KR1020110138481 A KR 1020110138481A KR 20110138481 A KR20110138481 A KR 20110138481A KR 101579165 B1 KR101579165 B1 KR 101579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fibers
biodegradable
fib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84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13268A (en
Inventor
곽동헌
최원현
유종성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8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165B1/en
Publication of KR20120013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2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1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0Open-work fabrics
    • D04B21/12Open-work fabric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녹화 공법용 식생 기재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섬유를 포함하는 인공 토양, 식생 네트, 식생 매트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식생 기재는 천연 섬유보다는 생분해 속도가 느리고,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PVC 등 합성섬유보다는 생분해가 원활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섬유를 포함하는 인공 토양, 식생 네트, 또는 식생 매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를 녹화공법에 적용시 종자의 발아율, 피복율이 높고, 토양의 유실율이 낮으며, 균열 및 이격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균일한 식생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시간 경과 시 생분해성 섬유가 생분해되어 퇴비 역할을 함으로써 식물의 생육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The vegetation substrate for a gre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rtificial soil, vegetation net, vegetation mat, etc. containing biodegradable fibers composed of aliphatic polyester biodegradable fibers,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 biodegradable fibers or a mixture thereof . The vegetabl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getable substrate having a biodegradation rate lower than that of the natural fiber, an aliphatic 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which is biodegradable rather than synthetic fibers such as nylon, polypropylene, polyethylene and PVC, an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A vegetation net, a vegetation mat, or a combination thereof. When applied to a greening method, the seed germination rate and coverage rate are high, the soil loss rate is low, and cracks And the spacing is hardly generated, so that a uniform vegetation can be formed. In addition, biodegradable fibers are biodegraded over time to act as a compost, thereby further promoting plant growth.

Description

생분해성 섬유를 포함하는 녹화공법용 식생 기재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Vegetation media containing biodegradable fiber for vegetation measures and vegetation measures utilizing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vegetation-based biodegradable fibers containing biodegradable fibers and a vegetation-based biodegradable fiber-

본 발명은 생분해성 섬유를 포함하는 녹화공법용 식생 기재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섬유를 포함하는 녹화공법용 인공 토양, 식생 네트, 식생 매트 등의 식생 기재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substrate for a greening method comprising a biodegradable fiber and a greening method using the vegetation substrat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iphatic polyester biodegradable fiber, an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 biodegradable fiber, A vegetation net, a vegetation mat and the like, and a greening method using the same.

식생공법 또는 녹화공법은 식생 조성, 녹의 본원에 의해 환경, 경관 및 토지의 보전을 도모하는 것을 총칭한다. 특히 녹화공법 중 사면보호공법은 절토사면에 식생을 피복하여 우수에 의한 침식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공법으로 풍화가 심하게 진행된 풍화암층이나 토층에 주로 적용된다. 절토사면이 점성토, 풍화암, 또는 연암 지반이고 경사가 1:1.2보다 급하거나, 또는 절토사면이 사질토 지반이고 경사가 1:1.5보다 급하면 일반적인 식생공법만으로 절토사면의 안정을 유지하기 어려우므로 일반적인 식생공법 이외의 사면보호공법을 검토해야 한다.The vegetation construction method or the greening method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preserving the environment, scenery and land by the vegetation composition, the nature of the rust. In particular, the slope protection method in the greening method is a method for covering the vegetation on slope slope and preventing erosion by rainfall, and is mainly applied to a weathered layer or a soil layer which is highly weathered. If slope slope is clay, weathered, or soft rock, slope is more than 1: 1.2, or slope slope is sandy soil and slope is more than 1: 1.5, it is difficult to maintain slope stability by general vegetation method only. Other slope protection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일반적으로 사면보호공법의 종류에는 시드스프레이(seed spray) 공법, 매트(mat) 공법, 네트(net) 공법, 녹생토 공법 등이 있다. 이 중 시드스프레이(seed spray) 공법은 식물종자 또는 식물종자에 비료, 피복 양생제, 침식방지 안정제, 착색제, 정제수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고압의 펌프로 녹화할 지반에 살포하여 녹화하는 방법이다. 네트(Net) 공법은 주로 코이어(Coir, 코코넛 껍질), 황마(Jute), 볏짚 등으로 이루어진 천연섬유 또는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PVC 등으로 이루어진 합성섬유를 실, 밧줄 형태로 만들고 네트(Net) 형태로 엮은 후 지반에 취부하고, 잔디 등 식물 씨앗 또는 시드 스프레이와 같은 씨앗복합재료를 살포하여 녹화하는 공법이다. 매트(Mat) 공법은 코이어(Coir), 황마, 볏짚 등으로 이루어진 천연섬유 단독, 합성섬유 단독, 또는 천연섬유 및 합성섬유의 혼합 섬유로부터 웹(Web) 형태 또는 부직포 형태의 매트를 만들고, 상기 네트 공법에서 사용하는 네트, 종이층, 씨줄층 등과 복합층 또는 단독층으로 녹화할 지반에 취부하고, 잔디 등 식물씨앗 또는 시드 스프레이와 같은 씨앗복합재료를 살포하여 녹화하는 공법이다. 매트 제조단계에서 매트 내부에 씨앗을 삽입하면서 제조할 경우 네트 취부 후 씨앗을 살포하는 단계를 줄일 수 있다. 녹생토 공법은 토양과 다양한 복합유기물(톱밥, 제지슬러지, 천연섬유질, 비료질, 퇴비, 분뇨 등), 다양한 접착제, 미생물 등을 배합한 인공토양(녹생토)을 제조하고, 이를 녹화 대상 지반에 건식 또는 습식으로 취부하여 녹화하는 공법이다. 급경사지나 암반에는 부착성을 높이기 위해 철망, 고분자 네트 등을 먼저 설치하고 녹생토를 취부하기도 한다.In general, slope protection methods include seed spray, mat, net, and lime soil. Among them, the seed spray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mixture of a fertilizer, a coating curing agent, an anti-erosion stabilizer, a coloring agent, purified water, etc. is sprayed on a ground to be recorded with a high-pressure pump to record seeds or plant seeds. The net method is a method of making synthetic fibers consisting of nylon, polypropylene, polyethylene, PVC, etc., made of natural fibers consisting mainly of coir (coir), jute, rice straw, Net) and then attached to the ground, and seed composite such as grass seed seed spray or seed spray is sprayed to record. The mat method is a method of making a web or non-woven mat from natural fiber alone, synthetic fiber alone, or mixed fibers of natural fibers and synthetic fibers, such as coir, jute and rice straw, It is a method of applying a seed composite material such as a grass seed or a seed spray by applying a net, a paper layer, a seed layer and the like used in the net method to a green or a composite layer or a single layer to be recorded. In the case of making the mat while inserting the seed into the m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tep of spraying the seed after netting. The Roksan soil method is a method to produce artificial soil (rye soil) containing soil and various complex organic materials (sawdust, paper sludge, natural fiber, fertilizer, compost, manure etc.), various adhesives and microorganisms, It is a wet method to record by attaching. In order to increase the adhesion to steep slopes and rocks, wire netting, polymer netting and so on are installed first, and then rye soil is installed.

이러한 기존의 공법들을 사용하는 경우, 하기와 같은 문제점들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시드스프레이 공법은 척박한 비탈면에서는 강우 또는 바람에 의해 토양 양분 및 씨앗이 유실되거나, 세골 현상이 발생하여 원활한 식생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네트 공법 및 매트 공법은 녹화시공 이후 코이어(Coir), 황마(Jute), 볏짚 등의 천연섬유로 이루어진 네트의 생분해가 너무 빠르게 진행되어 씨앗 발아와 생육이 충분히 일어나기 전에 네트의 보호기능(강도 저하, 씨앗 유실, 토양침식 등)이 상실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PVC 등의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네트는 생분해가 되지 않아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비 생분해성 소재의 네트 조직이 식생(식물생장)에 방해를 주는 문제가 발생한다. 녹생토 공법은 인공토양(인공토양이 사용되는 경우)이 녹화대상인 원지반 토양과의 활착력 부족 등으로 인해 시공 후에 흘러내림(슬라이딩) 현상이나 시공 후 건조시에 인공 토양의 흡착력 부족에 의한 기존 토양과 인공토양층의 심각한 이격현상과 균열현상 및 보습력 부족으로 인한 녹화용 식물의 생육불량, 강우가 심할 경우에 과다한 수분흡수로 인하여 그 토양이 자체 무게를 이기지 못하여 붕괴됨으로써 공사의 하자를 초래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When these existing methods are used, the following problems are continuously being raised. The seed spraying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smooth vegetation because of the loss of soil nutrients and seeds due to rainfall or wind on a sloping slope, or a phenomenon of skewness. In the net method and the matting method, since the biodegradation of a net made of natural fibers such as coir, jute, rice straw and the like has progressed too quickly after the recording, the protective function of the net , Seed loss, soil erosion, etc.) are often lost. In addition, nets composed of synthetic fibers such as nylon, polypropylene, polyethylene, and PVC are not biodegradable and therefore not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the net structure of non-biodegradable materials interferes with vegetation (plant growth). In the case of artificial soil (when artificial soil is used), the Rokto soil method is applied to the existing soil due to lack of adsorption capacity of artificial soil at the time of drying (sliding) In case of severe disturbance and cracking phenomenon of artificial soil layer and deficiency of moisturizing power, poor growth of greenery plants and excessive rainfall in case of heavy rainfall, the soil can not overcome its own weight and collapse, There is a problem that occurs.

따라서, 인위적인 식생 조건을 필요로 하는 절토 또는 성토 지역 등의 녹화에 사용될 수 있는 인공 토양 조성물, 이에 적합한 종류 및 치수의 네트, 매트를 사용하는 새로운 녹화 공법에 대한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되어 오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continuing need for a new greening method using an artificial soil composition that can be used for greening in a cut or fill area requiring an artificial vegetation condition, and a net and mat of suitable kinds and sizes.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드스프레이 공법, 녹생토 공법, 네트 공법, 매트 공법 등의 녹화공법에 적용시 향상된 종자의 발아율, 종자의 피복율, 감소된 토양 유실율을 가지고 균열 및 이격이 거의 없고, 균일한 식생을 형성할 수 있는 식생 기재를 제공하는데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improving the seed germination rate, seed coverage rate, reduced seeding rate, And to provide a vegetation base having a soil loss rate and having little cracks and separation and capable of forming a uniform vegeta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식생 기재를 이용한 녹화공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eening method using the vegetation substrate.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섬유를 1~10 중량% 포함하는 인공 토양으로 구성되는 녹화공법용 식생 기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섬유를 3차원 입체 메쉬(3D mesh) 형태 또는 생분해성 섬유의 필름사 형태로 형성한 식생 네트로 구성되는 녹화공법용 식생 기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섬유를 부직포 형태로 형성한 식생 매트 또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및 이들의 혼합 생분해성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분해성 섬유 20~80 중량% 및 천연 섬유 20~8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 섬유를 부직포 형태로 형성한 식생 매트로 구성되는 녹화공법용 식생 기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생 기재는 상기의 인공 토양으로 구성되는 녹화공법용 식생 기재, 상기의 식생 네트로 구성되는 녹화공법용 식생 기재, 상기의 식생 매트로 구성되는 녹화공법용 식생 기재, 종래의 녹생토 공법용 인공 토양, 천연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네트, 및 천연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매트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식생 기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tificial soil comprising 1 to 10% by weight of an aliphatic 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an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And a vegetation base material for a greenhouse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biodegradable fiber comprising an aliphatic 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an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or a mixture thereof, in the form of a three-dimensional mesh (3D mesh) And a vegetation net for a greening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vegetable mat or an aliphatic 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in which an aliphatic 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an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or a biodegradable fiber composed of a mixture thereof is formed into a nonwoven fabric, 20 to 80% by weight of at least one biodegradable fi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lactic acid / aromatic co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s and mixed biodegradable fibers thereof and 20 to 80% by weight of natural fibers are formed into a nonwoven fabric Provided is a vegetation material for greening method comprising a vegetation mat. The vegetation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vegetation substrate for a greening process, a vegetation substrate for a greenery process, a vegetation substrate for a greenery process, A vegetation net formed from natural fibers, and a vegetation mat formed from natural fibe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기재를 지반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녹화공법을 제공한다. 일 예로 본 발명의 녹화공법은 천연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네트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네트를 지반에 고정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섬유를 포함하는 인공 토양과 종자를 혼합하여 형성한 인공토양-종자 혼합물을 상기 식생 네트 위에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일 예로 본 발명의 녹화공법은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네트를 지반에 고정하는 단계; 일반적인 녹생토 공법용 인공 토양과 종자를 혼합하여 형성한 인공토양-종자 혼합물을 상기 식생 네트 위에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eening method comprising a step of fixing a vegetation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ground. For example, the green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fixing a vegetation net formed from natural fibers or a vegetation net formed from biodegradable fi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ground; Spraying an artificial soil-seed mixture formed by mixing seeds and an artificial soil containing biodegradable fi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to the vegetation net. In addition, for example, the green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fixing the vegetation net formed from the biodegradable fi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ground; Spraying an artificial soil-seed mixture formed by mixing an artificial soil and a seed for a common grazing soil method onto the vegetation net.

본 발명의 식생 기재는 천연 섬유보다는 생분해 속도가 느리고,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PVC 등 합성섬유보다는 생분해가 원활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섬유를 포함하는 인공 토양, 식생 네트, 또는 식생 매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를 녹화공법에 적용시 종자의 발아율, 피복율이 높고, 토양의 유실율이 낮으며, 균열 및 이격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균일한 식생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시간 경과 시 생분해성 섬유가 생분해되어 퇴비 역할을 함으로써 식물의 생육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The vegetabl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getable substrate having a biodegradation rate lower than that of the natural fiber, an aliphatic 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which is biodegradable rather than synthetic fibers such as nylon, polypropylene, polyethylene and PVC, an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A vegetation net, a vegetation mat, or a combination thereof. When applied to a greening method, the seed germination rate and coverage rate are high, the soil loss rate is low, and cracks And the spacing is hardly generated, so that a uniform vegetation can be formed. In addition, biodegradable fibers are biodegraded over time to act as a compost, thereby further promoting plant growth.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 식생 기재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섬유로 형성된 종자가 함침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 식생 기재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 및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섬유로 형성된 식생 네트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 식생 기재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섬유로 형성된 종자가 함침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 및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섬유로 형성된 식생 네트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 식생 기재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에 2에 의한 3차원 입체 메쉬(3D mesh) 형태의 녹화공법용 식생 네트의 사진이다.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structure vegetation base including a nonwoven fabric-type vegetation mat formed of biodegradable fi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structure vegetation substrate including a mat.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vegetation substrate comprising a vegetation mat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formed of biodegradable fi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egetation net formed of biodegradable fi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 A vegetation mat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impregnated with seeds formed of a suture fiber, and a vegetation net formed of the biodegradable f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hotograph of a vegetation net for a greening method in the form of a 3D mesh (3D mesh)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녹화공법에 적용시 향상된 종자의 발아율, 종자의 피복율, 감소된 토양 유실율을 가지고 균열 및 이격이 거의 없고, 균일한 식생을 형성할 수 있는 식생 기재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생분해성 섬유에 대해 먼저 설명하고, 이후 식생 기재를 인공 토양, 식생 네트, 식생 매트 등으로 나누어 설명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base material having improved seed germination rate, seed coverage rate, reduced soil erosion rate, and less cracking and separation when applied to a greenery method and capable of forming uniform vegetation. Hereinafter, the biodegradable fib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and then the vegetation substrate will be divided into artificial soil, vegetation net, vegetation mat, and the like.

생분해성 섬유Biodegradable fiber

본 발명의 식생 기재는 천연 섬유보다는 생분해 속도가 느리고,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PVC 등 합성섬유보다는 생분해가 원활한 생분해성 섬유를 포함하며, 이러한 생분해성 섬유로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섬유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는 서로 다른 지방족 에스테르의 코폴리머 섬유를 포함한다.The vegetation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iodegradable fibers that are biodegradable rather than natural fibers and biodegradable rather than synthetic fibers such as nylon, polypropylene, polyethylene, and PVC. Examples of such biodegradable fibers include aliphatic 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s,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s, or biodegradable fibers formed by mixing th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liphatic 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s include copolymer fibers of different aliphatic esters.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라틱산(Polylactic acid, PLA) 섬유, 폴리글리코릭산(Polyglycolic acid, PGA) 섬유,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섬유,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olybutylene succinate, PBS) 섬유, 부틸렌석시네이트와 아디페이트의 코폴리머[Poly(butylene succinate-co-adipate, PBSA] 섬유, 또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olyhydroxyalkanoate, PHA) 섬유 등이 있으며, 상기 섬유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olyhydroxyalkanoate, PHA) 섬유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Polyhydroxybutyrate, PHB) 섬유, 폴리하이드록시발러레이트 (Polyhydroxyvalerate, PHV) 섬유, 또는 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와 하이드록시발러레이트의 코폴리머(PHB-co-PHV) 섬유 등이 있으며, 상기 섬유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의 공중합체로서 생분해성을 가진 섬유인 경우 그 종류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인 예로 부틸렌아디페이트와 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코폴리머[Poly(butylene adipate-co-bytylene terephtalate)] 섬유가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aliphatic 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include polylactic acid (PLA) fiber, polyglycolic acid (PGA) fiber, polycaprolactone (PCL) fiber, polybutylene succinate succinate, PBS) fibers, copolymers of butylene succinate-co-adipate (PBSA) fibers or polyhydroxyalkanoate (PHA) fibers,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hydroxyalkanoate (PHA) fiber include polyhydroxybutyrate (PHB) fiber, polyhydroxyvalerate (PHV) fiber, or polyhydroxybutyrate Copolymers of hydroxybutyrate and hydroxyvalerate (PHB-co-PHV) fibers, and the like, and one or more of these fibers may be sele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is a copolymer of an aliphatic polyester and an aromatic polyester, and the type of the biodegradable fi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butylene adipate and butylene terephthalate Poly (butylene adipate-co-bytylene terephtalate)] fibers.

녹화공법용 인공 토양Artificial soil for greening method

본 발명에 따른 녹화공법용 식생 기재의 일 예인 인공 토양은 녹생토로도 불리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섬유를 1~10 중량% 포함하는 인공 토양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녹화공법용 인공 토양에서 생분해성 섬유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생분해성 섬유의 첨가에 따른 종자의 발아율, 피복율, 토양의 유실율, 균열 및 이격 상태 등에 대한 영향이 미비할 염려가 있고, 생분해성 섬유의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면 생분해성 섬유의 초과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아 경제성이 떨어질 염려가 있다. 이때 생분해성 섬유는 인공 토양의 다른 구성성분과의 양립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단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rtificial soil, which is an example of a vegetation substrate for a gre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alled a rye soil, and is composed of aliphatic polyester biodegradable fiber,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 biodegradable fiber, And 10% by weight of an artificial soil. If the content of the biodegradable fiber in the artificial soil for gre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ess than 1% by weigh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addition of the biodegradable fiber will not affect the germination rate, coverage rate, soil loss rate, If the content of the biodegradable fibers exceeds 10% by weight, the increase in the effect due to the excess of the biodegradable fibers is not so large, and the economical efficiency may deteriorate. At this time, the biodegradable fiber is preferably a monofilament considering the compatibility with other constituents of the artificial soil.

본 발명에 따른 녹화공법용 인공 토양은 특정 생분해성 섬유 외에 바람직하게는 토탄, 마사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부숙수피, 축분, 활성탄, 제지슬러지, 제지화이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및 복합비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녹화공법용 인공 토양은 전제 인공 토양 중량을 기준으로 생분해성 섬유 1~10 중량%, 토탄 3~5 중량%, 부숙수피 5~10 중량%, 축분 10~20 중량%, 마사토 20~25 중량%, 활성탄 2~4 중량%, 제지슬러지 15~25 중량%, 제지화이버 15~25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1~2 중량% 및 복합비료 2~4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rtificial soil for gre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peat, maize, etc., in addition to specific biodegradable fibers, and more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sized bark, barley, activated carbon, paper sludge, paper fiber, carboxymethyl cellulose CMC), and compound fertilizer, and the like. More specifically, the artificial soil for gre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1 to 10% by weight of biodegradable fibers, 3 to 5% by weight of peat, 5 to 10% by weight of resident bark, 10 to 20% (CMC) of 1 to 2% by weight and a compound fertilizer of 2 to 4% by weight, a mixture of 20 to 25% by weight of carnauba wax, 2 to 4% by weight of activated carbon, 15 to 25% by weight of paper sludge, 15 to 25% % ≪ / RTI > by weight.

본 발명에 따른 녹화공법용 인공 토양은 시드스프레이 공법, 녹생토 공법 등에 적용될 수 있고, 네트 공법, 매트 공법 등과 같은 다른 공법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artificial soil for gre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seed spraying method, lime soil method, etc., and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methods such as net method, mat method and the like.

녹화공법용 For greening method 식생Vegetation 네트 Net

본 발명에 따른 녹화공법용 식생 기재의 일 예인 식생 네트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섬유를 3차원 입체 메쉬(3D mesh) 형태로 형성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녹화공법용 식생 기재의 일 예인 식생 네트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섬유를 생분해성 섬유의 필름사 형태로 형성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3차원 입체 메쉬(3D mesh) 형태의 식생 네트는 생분해성 섬유를 더블라셀 제편기 등으로 제편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일정 두께를 가지고, 상부와 하부에 다수의 개방된 셀(Open cell)이 형성된다. 또한, 생분해성 섬유 필름사 형태의 식생 네트는 생분해성 모노사와 필름사를 프렌치 제편기 등으로 제편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가진 다수의 필름사가 서로 얽혀 네트를 형성한다.The vegetation net, which is an example of a vegetation base material for a gre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iodegradable fiber comprising an aliphatic polyester biodegradable fiber, an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 biodegradable fiber, or a mixture thereof, ). ≪ / RTI > Also, the vegetation net, which is an example of the vegetation substrate for gre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biodegradable fiber film made of aliphatic polyester biodegradable fiber,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 biodegradable fiber, Or the like. More specifically, the vegetation net in the form of a 3D mesh is formed by fabricating a biodegradable fiber with a double lacquer knitting machine or the like, and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plurality of open cells (upper and lower openings) . In addition, the vegetation net in the form of a biodegradable fiber film yarn is formed by the biodegradable mono yarns and film yarns formed by a French knitting machine or the like, and a plurality of film yarns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idth are entangled with each other to form a ne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녹화공법용 식생 기재의 일예인 식생 네트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및 이들의 혼합 생분해성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분해성 섬유 20~80 중량% 및 천연 섬유 20~8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 섬유,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분해성 섬유 30~70 중량% 및 상기 천연 섬유 30~7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 섬유를 3차원 입체 메쉬(3D mesh) 형태 또는 필름사 형태로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섬유에서 생분해성 섬유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3차원 입체 메쉬(3D mesh) 형태 또는 필름사 형태로의 성형이 어려울 수 있고 식생 네트의 강도와 내구성이 떨어질 염려가 있고, 생분해성 섬유의 함량이 80 중량%를 초과하면 천연 섬유의 첨가에 따른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이때 천연 섬유는 식생 기재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에 제한이 없으며, 구체적으로 황마 섬유, 아마 섬유, 코이어(Coir) 섬유, 또는 볏집 섬유 등이 있고, 상기 섬유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The vegetation net, which is an example of the vegetation base material for the gre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ki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iphatic polyester biodegradable fiber,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 biodegradable fiber and mixed biodegradable fiber thereof Of mixed fibers composed of 20 to 80% by weight of biodegradable fibers and 20 to 80% by weight of natural fibers, preferably 30 to 70% by weight of the biodegradable fibers and 30 to 70%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3D mesh or a film. If the content of the biodegradable fibers in the mixed fibers is less than 20% by weight, it may be difficult to form the fiber in the form of a three-dimensional mesh (3D mesh) or a film, and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vegetation net may deteriorate. Is more than 80% by weight, the effect of adding natural fibers may be insufficient. The natural fi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applied to the vegetation substrate. Specifically, the natural fib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jute fibers, flax fibers, coir fibers, .

본 발명에 따른 녹화공법용 식생 네트는 네트 공법에 적용될 수 있고, 시드스프레이 공법, 녹생토 공법, 매트 공법 등과 같은 다른 공법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녹화공법용 식생 네트는 다른 종류의 식생 네트, 또는 식생 매트와 조합되어 복합 구조의 식생 기재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The vegetation net for gre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netting method,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methods such as a seed spraying method, a lacquer soil method, a matting method,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vegetation net for gre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with other types of vegetation net or vegetation mat to form a composite vegetation base.

녹화공법용 For greening method 식생Vegetation 매트 mat

본 발명에 따른 녹화공법용 식생 기재의 일예인 식생 매트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섬유를 웹 형태 또는 부직포 형태로 형성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녹화공법용 식생 기재의 일예인 식생 매트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및 이들의 혼합 생분해성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분해성 섬유 20~80 중량% 및 천연 섬유 20~8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 섬유,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분해성 섬유 30~70 중량% 및 상기 천연 섬유 30~7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 섬유를 웹 형태 또는 부직포 형태로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섬유에서 생분해성 섬유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카딩이 어려워지고 부직포의 강도 및 내구성이 떨어질 염려가 있고, 생분해성 섬유의 함량이 80 중량%를 초과하면 천연 섬유의 첨가에 따른 종자의 발아율, 특히 쌍떡잎종의 발아율 향상이 미비할 수 있다. 이때 천연 섬유는 식생 기재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에 제한이 없으며, 구체적으로 황마 섬유, 아마 섬유, 코이어(Coir) 섬유, 또는 볏집 섬유 등이 있고, 상기 섬유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웹 또는 부직포는 니들펀칭, 서멀 본딩, 스펀 본딩 등의 방법으로 형성된다.The vegetation mat, which is one example of the vegetation base material for the gre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forming biodegradable fibers composed of aliphatic polyester biodegradable fibers,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 biodegradable fibers or a mixture thereof in the form of a web or a nonwoven fabric It can be done. Also, the vegetation mat, which is one example of the vegetation base material for the gre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ki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iphatic 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Of the biodegradable fibers and 20 to 80% by weight of the natural fibers, preferably 30 to 70% by weight of the biodegradable fibers and 30 to 70% O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If the content of the biodegradable fibers in the mixed fibers is less than 20% by weight, carding becomes difficult and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nonwoven fabric may deteriorate. When the biodegradable fiber content exceeds 80% by weight, Germination rate, especially germination rate of dicotyledonous species, may be insufficient. The natural fi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applied to the vegetation substrate. Specifically, the natural fib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jute fibers, flax fibers, coir fibers, . The web or nonwoven fabric is formed by a method such as needle punching, thermal bonding, spun bonding or the lik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녹화공법용 식생 기재의 일예인 식생 매트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섬유를 웹 형태 또는 부직포 형태로 형성한 식생 매트 또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및 이들의 혼합 생분해성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분해성 섬유 20~80 중량% 및 천연 섬유 20~8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 섬유,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분해성 섬유 30~70 중량% 및 상기 천연 섬유 30~7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 섬유를 웹 형태 또는 부직포 형태로 형성한 식생 매트에 종자가 함침된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생분해성 섬유 또는 생분해성 섬유와 천연 섬유의 혼합 섬유를 카딩하여 웹(web)을 제조하고, 웹을 크로스 랩핑(cross lapping) 하면서 종자를 웹의 상단부에 배치하고, 니들펀칭 공법 등을 이용하여 부직포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일체형 웹 또는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를 형성한다. 이때 종자는 부직포 두께 상의 약 1/2~2/3 지점에 균일하게 분산 및 함침된다.In addition, the vegetation mat, which is one example of the vegetation base material for the gre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biodegradable fiber composed of an aliphatic polyester biodegradable fiber, an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 biodegradable fiber, 20 to 80% by weight of at least one biodegradable fi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iphatic 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s,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s and mixed biodegradable fibers thereof, A mixed fiber composed of 20 to 80% by weight of fibers, preferably 30 to 70% by weight of the biodegradable fiber and 30 to 70% by weight of the natural fiber is formed into a web or a nonwoven fabric, Impregnated one-piece type. That is, a web is manufactured by carding mixed fibers of biodegradable fibers or biodegradable fibers and natural fibers, arranging the seeds on the upper part of the web while cross lapping the web, and using a needle punching method or the like To form an integral web or a nonwoven vegetable mat. At this time, the seeds are uniformly dispersed or impregnated at about 1/2 to 2/3 points on the nonwoven fabric thickness.

본 발명에 따른 녹화공법용 식생 매트는 매트 공법에 적용될 수 있고, 시드스프레이 공법, 녹생토 공법, 네트 공법 등과 같은 다른 공법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녹화공법용 식생 매트는 다른 종류의 식생 매트, 또는 식생 네트와 조합되어 복합 구조의 식생 기재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The vegetation mat for a gre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matting method,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methods such as a seed spraying method, a larding soil method, a netting method,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vegetation mat for gre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form a vegetation base of a composite structure in combination with other kinds of vegetation mat or vegetation net.

녹화공법용 복합 구조 Composite structure for greening method 식생Vegetation 기재 materials

본 발명에 따른 녹화공법용 식생 기재는 인공토양, 식생 네트, 식생 매트 단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이들이 적층된 복합 구조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녹화공법용 복합 구조 식생 기재를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vegetation substrate for gre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rtificial soil, vegetation net, vegetation mat single, but preferably has a composite structure in which these are laminat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mposite vegetation substrate for a gree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 식생 기재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섬유로 형성된 종자가 함침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 식생 기재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structure vegetation base including a nonwoven fabric-type vegetation mat formed of biodegradable fi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structure vegetation substrate including a mat.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구조 식생 기재(100)는 일 예로, 생분해성 섬유로부터 형성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110); 상기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 위에 적층된 종자층(120); 상기 종자층 위에 적층되고, 천연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매트(130); 상기 천연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매트 위에 적층되고, 천연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네트(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110)는 생분해성 섬유와 천연 섬유의 혼합 섬유로부터 형성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를 포함한다. 또한, 천연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매트(130)는 생분해성 섬유 또는 생분해성 섬유와 천연 섬유의 혼합 섬유로부터 형성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로 대체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구조 식생 기재는 천연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네트(140)가 생략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천연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네트(140) 위에 인공 토양이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생분해성 섬유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섬유에서 선택되며, 천연 섬유는 식생 기재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에 제한이 없으며, 구체적으로 황마 섬유, 아마 섬유, 코이어(Coir) 섬유, 또는 볏집 섬유 등이 있고, 상기 섬유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도 1에서 적층된 각 층간의 접착은 니들펀칭, 수지 접착, 스티치본딩 등 다양한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mposite structure vegetation substrat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 example, a vegetation mat 110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formed from biodegradable fibers; A seed layer 120 laminated on the vegetation mat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A vegetation mat (130) formed on the seed layer and formed from natural fibers; And a vegetation net (140) formed on the vegetation mat formed from the natural fibers and formed from natural fibers. Here, the nonwoven fabric-type vegetation mat 110 includes a vegetation mat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formed from mixed fibers of biodegradable fibers and natural fibers. In addition, the vegetation mat 130 formed from natural fibers can be replaced with a non-woven vegetation mat formed from biodegradable fibers or blended fibers of biodegradable fibers and natural fibers. 1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vegetation net 140 formed from natural fibers is omitted, or a structure in which artificial soil is stacked on a vegetation net 140 formed from natural fibers It is possible. The biodegradable fibers are selected from aliphatic 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s,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s, or biodegradable fibers composed of a mixture thereof. If natural fibers are applicable to vegetation base materials, And specifically, jute fibers, flax fibers, coir fibers, or quartz fibers, and more than one kind of fibers may be selected. The adhesion between the respective layers stacked in Fig. 1 can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needle punching, resin bonding, stitch bonding, and the like.

또한,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구조 식생 기재(200)는 앞서 기술한 종자가 함침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210); 상기 종자가 함침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 위에 적층되고, 천연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매트(220); 상기 천연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매트 위에 적층되고, 천연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네트(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210)는 생분해성 섬유와 천연 섬유의 혼합 섬유로부터 형성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를 포함한다. 또한, 천연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매트(220)는 생분해성 섬유 또는 생분해성 섬유와 천연 섬유의 혼합 섬유로부터 형성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로 대체될 수 있다. 아울러,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구조 식생 기재는 천연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네트(230)가 생략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천연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네트(230) 위에 인공 토양이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Also, as shown in FIG. 2, the composite structure vegetation substrat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getation mat 210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impregnated with seeds described above; A vegetation mat 220 laminated on the vegetation mat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impregnated with the seed and formed from natural fibers; And a vegetation net (230) formed on the vegetation mat formed from the natural fibers and formed from natural fibers. Here, the nonwoven fabric-type vegetation mat 210 includes a vegetation mat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formed from mixed fibers of biodegradable fibers and natural fibers. In addition, the vegetation mat 220 formed from natural fibers can be replaced with a non-woven vegetation mat formed from biodegradable fibers or blended fibers of biodegradable fibers and natural fibers. 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vegetation net 230 formed from natural fibers is omitted, or a structure in which artificial soil is stacked on the vegetation net 230 formed from natural fibers It is possibl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 및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섬유로 형성된 식생 네트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 식생 기재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섬유로 형성된 종자가 함침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 및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섬유로 형성된 식생 네트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 식생 기재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vegetation substrate comprising a vegetation mat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formed of biodegradable fi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egetation net formed of biodegradable fi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 A vegetation mat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impregnated with seeds formed of a suture fiber, and a vegetation net formed of the biodegradable f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구조 식생 기재(300)는 일 예로, 생분해성 섬유로부터 형성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310); 상기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 위에 적층된 종자층(320); 상기 종자층 위에 적층되고, 천연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매트(330); 상기 천연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매트 위에 적층되고, 생분해성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네트(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310)는 생분해성 섬유와 천연 섬유의 혼합 섬유로부터 형성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를 포함한다. 또한, 생분해성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네트(340)는 구체적으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섬유를 3차원 입체 메쉬(3D mesh) 형태 또는 생분해성 섬유의 필름사 형태로 형성한 것일 수도 있고,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및 이들의 혼합 생분해성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분해성 섬유 20~80 중량% 및 천연 섬유 20~8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 섬유,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분해성 섬유 30~70 중량% 및 상기 천연 섬유 30~7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 섬유를 3차원 입체 메쉬(3D mesh) 형태 또는 필름사 형태로 형성한 것을 포함한다. 천연 섬유는 식생 기재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에 제한이 없으며, 구체적으로 황마 섬유, 아마 섬유, 코이어(Coir) 섬유, 또는 볏집 섬유 등이 있고, 상기 섬유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천연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매트(330)는 생분해성 섬유 또는 생분해성 섬유와 천연 섬유의 혼합 섬유로부터 형성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로 대체될 수 있다. 아울러, 도 3의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구조 식생 기재는 생분해성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네트(340) 위에 인공 토양이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3, the composite structure vegetation substrat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 example, a vegetation mat 310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formed from biodegradable fibers; A seed layer 320 laminated on the vegetation mat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A vegetation mat (330) formed on the seed layer and formed from natural fibers; And a vegetation net 340 laminated on the vegetation mat formed from the natural fibers and formed from biodegradable fibers. Here, the non-woven vegetation mat 310 includes a non-woven vegetation mat formed from mixed fibers of biodegradable fibers and natural fibers. In addition, the vegetation net 340 formed from the biodegradable fibers may be formed of a biodegradable fiber composed of an aliphatic 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an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 biodegradable fiber, or a mixture thereof, ) Type or a film of biodegradable fibers, or may be formed of one ki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iphatic 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s,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s and mixed biodegradable fibers thereof Of mixed fibers composed of 20 to 80% by weight of biodegradable fibers and 20 to 80% by weight of natural fibers, preferably 30 to 70% by weight of the biodegradable fibers and 30 to 70% Dimensional mesh (3D mesh) shape or a film-like shape. The natural fi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applied to the vegetation substrate. Specifically, the natural fib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jute fibers, flax fibers, coir fibers, and quartz fibers. In addition, the vegetation mat 330 formed from natural fibers can be replaced with a non-woven vegetation mat formed from biodegradable fibers or blended fibers of biodegradable fibers and natural fibers. In addition, the composite structure vegetation bas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3 may have a form in which artificial soil is laminated on the vegetation net 340 formed from biodegradable fibers.

또한,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구조 식생 기재(400)는 앞서 기술한 종자가 함침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410); 상기 종자가 함침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 위에 적층되고, 생분해성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네트(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410)는 생분해성 섬유와 천연 섬유의 혼합 섬유로부터 형성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를 포함한다. 또한, 생분해성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네트(420)는 도 3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구조 식생 기재는 종자가 함침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410)와 생분해성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네트(420) 사이에 천연 섬유, 생분해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와 생분해성 섬유의 혼합 섬유로부터 형성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생분해성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네트(420) 위에 인공 토양이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4, the multi-structure vegetation substrate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getation mat 410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impregnated with seeds described above; And a vegetation net 420 formed from biodegradable fibers, which are laminated on the vegetation mat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impregnated with the seeds. The vegetation mat 410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includes a vegetation mat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formed from mixed fibers of biodegradable fibers and natural fibers. In addition, the vegetation net 420 formed from the biodegradable fibers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In addition, the composite structure vegetation base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includes a biodegradable or biodegradable fiber or a biodegradable fiber between a vegetation mat 410 formed from a seed-impregnated nonwoven fabric and a vegetation net 420 formed from biodegradable fibers. A vegetable mat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formed from mixed fibers of natural fibers, and may have a form in which artificial soil is stacked on a vegetation net 420 formed from biodegradable fibers.

식생Vegetation 기재를 이용한 녹화공법 Recording method using base material

본 발명에 따른 식생 기재를 이용한 녹화공법은 인공 토양의 경우 시드스프레이 공법, 녹생토 공법, 식생 네트의 경우 네트 공법, 식생 매트의 경우 매트 공법에 적용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공법 등이 혼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구조의 식생 기재를 지반에 고정하는 경우 네트 공법과 매트 공법이 혼용된 형태가 된다.The greening method using the vegetation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seed spraying method in the case of artificial soil, a lime soil method in the case of artificial soil, a net method in the case of a vegetation net, and a matting method in the case of a vegetation mat. However, Can be mixed. For example, when the vegetation substrate of the composi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ground, the net construction method and the mat construction method are mix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생 기재를 이용한 녹생토 공법과 네트 공법의 혼용 녹화 공법을 살펴보면, 천연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네트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네트를 지반에 고정하는 단계; 및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섬유를 포함하는 인공 토양과 종자를 혼합하여 형성한 인공토양-종자 혼합물을 상기 식생 네트 위에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생분해성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네트는 구체적으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섬유를 3차원 입체 메쉬(3D mesh) 형태 또는 생분해성 섬유의 필름사 형태로 형성한 것일 수도 있고,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및 이들의 혼합 생분해성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분해성 섬유 10~90 중량% 및 천연 섬유 10~9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 섬유를 3차원 입체 메쉬(3D mesh) 형태 또는 필름사 형태로 형성한 것을 포함한다. 천연 섬유는 식생 기재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에 제한이 없으며, 구체적으로 황마 섬유, 아마 섬유, 코이어(Coir) 섬유, 또는 볏집 섬유 등이 있고, 상기 섬유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greening a greenhouse using a vegetation substrate, the method comprising: fixing a vegetation net formed from natural fibers or a vegetation net formed from biodegradable fi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ground; And spraying an artificial soil-seed mixture formed by mixing artificial soil and seeds containing biodegradable fi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to the vegetation net. The vegetation nets formed from the biodegradable fibers may be formed by forming a biodegradable fiber composed of an aliphatic 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an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or a mixture thereof in the form of a 3D mesh or a biodegradable Or one or more biodegradable fibers 10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iphatic 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s,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s, and mixed biodegradable fibers thereof To 90% by weight of natural fibers and 10 to 90% by weight of natural fibers are formed into a three-dimensional mesh (3D mesh) shape or a film-like shape. The natural fi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applied to the vegetation substrate. Specifically, the natural fiber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jute fibers, flax fibers, coir fibers, and quartz fibers.

또한, 상기의 녹생토 공법과 네트 공법의 혼용 녹화 공법에서 식생 네트를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네트로 선택하는 경우 인공토양은 생분해성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통상적인 인공 토양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인공 토양-종자 혼합물을 분사하는 방법은 건식분사, 또는 습식분사 모두 가능하며, 균일한 분사를 위해서는 습식분사가 바람직하다.
When the vegetation net is selected from the vegetation net formed from the biodegradable fi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tificial soil can be replaced with a conventional artificial soil that does not contain biodegradable fibers . The method of spraying the artificial soil-seed mixture can be either dry spraying or wet spraying, and wet spraying is preferable for uniform spraying.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by way of examples.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for the purpose of more clearly illustrating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 녹화공법용 1. For recording method 식생Vegetation 기재의 제조 Manufacture of substrate

제조예 1 : 녹화공법용 생분해성 섬유 인공 토양Production Example 1: Biodegradable Fiber Artificial Soil for Greening Method

토탄 5 중량부, 부숙수피 7 중량부, 축분 15 중량부, 마사토 22 중량부, 생분해성 섬유(섬도는 6 데니어이고 길이는 10㎜임; PLA 95 중량%와 PBS 5 중량%로 이루어짐) 3 중량부, 활성탄 4 중량부, 제지슬러지 20 중량부, 제지화이버 20 중량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1 중량부, 복합비료 3 중량부를 혼합하여 녹화공법용 생분해성 섬유 인공 토양을 제조하였다.
5 parts by weight of peat, 7 parts by weight of resorptile bark, 15 parts by weight of shredded parts, 22 parts by weight of Masato, 3 parts by weight of biodegradable fiber (fineness of 6 denier and length of 10 mm, consisting of 95% by weight of PLA and 5% by weight of PBS) 4 parts by weight of activated charcoal, 20 parts by weight of paper sludge, 20 parts by weight of paper fiber, 1 part by weight of carboxymethyl cellulose (CMC) and 3 parts by weight of compound fertilizer were mixed to prepare biodegradable fiber artificial soil for greening method.

제조예 2 : 녹화공법용 3D mesh 식생 네트Production Example 2: 3D mesh for greening method Vegetation net

더블라셀 제편기를 이용하여 생분해성 섬유(섬도는 6 데니어이고 길이는 10㎜임; PLA 95 중량%와 PBS 5 중량%로 이루어짐)로부터 3차원 입체 메쉬(3D mesh) 형태의 녹화공법용 식생 네트를 제조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에 2에 의한 3차원 입체 메쉬(3D mesh) 형태의 녹화공법용 식생 네트의 사진이다. 3차원 입체 메쉬는 두께가 12㎜, 평량이 360g/㎡ 이었고, 상부와 하부가 다수의 개방 셀(Open cell)로 이루어진 형태를 가졌다.
Using a double lacquer knitting machine, a vegetative net for a greening method in the form of a 3D mesh (3D mesh) was formed from biodegradable fibers (fineness of 6 denier and length of 10 mm; 95% by weight of PLA and 5% by weight of PBS) . Fig. 5 is a photograph of a vegetation net for a greening method in the form of a 3D mesh (3D mesh)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dimensional solid mesh had a thickness of 12 mm and a basis weight of 360 g / m 2,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had a plurality of open cells.

제조예 3 : 녹화공법용 폴리글리코릭산 필름사 식생 네트Production Example 3: Polyglycolic acid film for greening method Vegetation net

프렌치 제편기를 이용하여 폴리라틱산(Polylactic acid, PLA) 모노사(두께가 0.2㎜임)와 폴리라틱산(Polylactic acid, PLA) 필름사(두께가 40㎛이고 폭이 2.5㎜임, Green 색상)로 이루어진 녹화공법용 식생 네트를 제조하였다. 폴리라틱산 필름사 식생 네트의 평량은 40g/㎡ 이었다.
Polylactic acid (PLA) monosaccharide (thickness: 0.2 mm) and polylactic acid (PLA) film (thickness: 40 μm, width: 2.5 mm, green color ) Were prepared. The basis weight of the polylactic acid film vegetation net was 40 g / m 2.

제조예 4 : 녹화공법용 부직포 식생 매트Production Example 4: Nonwoven vegetation mat for greening process

니들펀칭 공법을 이용하여 폴리라틱산(Polylactic acid, PLA) 섬유(섬도는 6 데니어이고 길이는 51㎜임)를 카딩하여 웹(web)을 제조하고, 웹을 크로스 랩핑(cross lapping) 하면서 니들펀칭 공법을 이용하여 부직포 형태의 녹화공법용 식생 매트를 제조하였다. 부직포 식생 매트의 평량은 100g/㎡ 이었다.
A web was manufactured by carding polylactic acid (PLA) fibers (fineness of 6 denier and length of 51 mm) using a needle punching method, and the web was cross lapped while needle punching A vegetation mat for non - woven type greening method was prepared by using the method. The basis weight of the nonwoven vegetable mat was 100 g / m 2.

제조예 5 : 녹화공법용 일체형 부직포 식생 매트Production Example 5: Integrated nonwoven vegetation mat for greening process

폴리라틱산(Polylactic acid, PLA) 섬유(섬도는 6 데니어이고 길이는 51㎜임)를 카딩하여 웹(web)을 제조하고, 웹을 크로스 랩핑(cross lapping) 하면서 종자(페레니알 라이글라스 대 줄사철의 중량비가 4:1임)를 웹의 상단부에 배치하고, 니들펀칭 공법을 이용하여 부직포 형태의 녹화공법용 일체형 식생 매트를 제조하였다. 일체형 부직포 식생 매트의 평량은 150g/㎡ 이었고, 종자는 일체형 부직포 식생 매트의 두께 기준으로 약 2/3 지점에 함침되었다.
A web was made by carding polylactic acid (PLA) fibers (fineness of 6 denier and length of 51 mm), and the web was subjected to cross lapping while seeding 4: 1 weight ratio) was placed on the top of the web, and a monolithic vegetation mat for the greening method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was prepared using the needle punching method. The basis weight of the integral nonwoven vegetation mat was 150 g / m 2, and the seeds were impregnated at about 2/3 point based on the thickness of the integral nonwoven vegetation mat.

제조예 6 : 녹화공법용 일체형 부직포 식생 매트Production Example 6: Integrated nonwoven vegetation mat for greening process

폴리라틱산(Polylactic acid, PLA) 섬유(섬도는 6 데니어이고 길이는 51㎜임) 30 중량%와 황마 7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 섬유를 카딩하여 웹(web)을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 형태의 녹화공법용 일체형 식생 매트를 제조하였다. 일체형 부직포 식생 매트의 평량은 150g/㎡ 이었고, 종자는 일체형 부직포 식생 매트의 두께 기준으로 약 2/3 지점에 함침되었다.
Except that a web was prepared by carding mixed fibers consisting of 30% by weight of polylactic acid (PLA) fibers (fineness of 6 denier and length of 51 mm) and 70% by weight of jute An integral vegetative mat for a greening method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The basis weight of the integral nonwoven vegetation mat was 150 g / m 2, and the seeds were impregnated at about 2/3 point based on the thickness of the integral nonwoven vegetation mat.

제조예 7 : 녹화공법용 일체형 부직포 식생 매트Production Example 7: Integrated nonwoven vegetation mat for greening process

폴리라틱산(Polylactic acid, PLA) 섬유(섬도는 6 데니어이고 길이는 51㎜임) 50 중량%와 황마 5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 섬유를 카딩하여 웹(web)을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 형태의 녹화공법용 일체형 식생 매트를 제조하였다. 일체형 부직포 식생 매트의 평량은 150g/㎡ 이었고, 종자는 일체형 부직포 식생 매트의 두께 기준으로 약 2/3 지점에 함침되었다.
Except that a web was prepared by carding mixed fibers consisting of 50% by weight of polylactic acid (PLA) fibers (fineness of 6 denier and length of 51 mm) and 50% by weight of jute An integral vegetative mat for a greening method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The basis weight of the integral nonwoven vegetation mat was 150 g / m 2, and the seeds were impregnated at about 2/3 point based on the thickness of the integral nonwoven vegetation mat.

제조예 8 : 녹화공법용 일체형 부직포 식생 매트Production Example 8: Integrated nonwoven vegetation mat for greening process

폴리라틱산(Polylactic acid, PLA) 섬유(섬도는 6 데니어이고 길이는 51㎜임) 30 중량%와 황마 7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 섬유를 카딩하여 웹(web)을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 형태의 녹화공법용 일체형 식생 매트를 제조하였다. 일체형 부직포 식생 매트의 평량은 150g/㎡ 이었고, 종자는 일체형 부직포 식생 매트의 두께 기준으로 약 2/3 지점에 함침되었다.
Except that a web was prepared by carding mixed fibers consisting of 30% by weight of polylactic acid (PLA) fibers (fineness of 6 denier and length of 51 mm) and 70% by weight of jute An integral vegetative mat for a greening method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The basis weight of the integral nonwoven vegetation mat was 150 g / m 2, and the seeds were impregnated at about 2/3 point based on the thickness of the integral nonwoven vegetation mat.

제조예 9 :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Production Example 9: Composite vegetation substrate for greening method

제조예 4의 녹화공법용 부직포 식생 매트 위에 종자(페레니알 라이글라스 대 줄사철의 중량비가 4:1임)를 25 g/㎡의 표면 밀도로 고르게 뿌려 종자층을 형성하고, 다시 종자층 위에 코이어(Coir) 매트를 배치시키고, 최상단에 코이어(Coir) 네트를 배치시켜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를 제조하였다. 각 층간은 천연 수지를 이용하여 접착하였다.
On the nonwoven vegetation mat for production method of Production Example 4, seeds (having a weight ratio of 4: 1 in terms of ferroniallayer glass to striae) were uniformly sprayed at a surface density of 25 g / m 2 to form a seed layer, Coir mats were placed at the uppermost stage and coir nets were placed at the uppermost stage to prepare composite vegetation substrates for the greening method. Each layer was bonded using a natural resin.

제조예 10 :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Production Example 10: Composite vegetation base for greening method

제조예 5의 녹화공법용 일체형 부직포 식생 매트 위에 코이어(Coir) 매트를 배치시키고, 최상단에 코이어(Coir) 네트를 배치시켜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를 제조하였다. 각 층간은 천연 수지를 이용하여 접착하였다.
Coir mats were placed on the monolithic nonwoven vegetation mat for greening method of Production Example 5, and coir nets were arranged on the uppermost stage to prepare a composite vegetation substrate for greening method. Each layer was bonded using a natural resin.

제조예 11 :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Production Example 11: Composite vegetation substrate for greening method

제조예 6의 녹화공법용 일체형 부직포 식생 매트 위에 코이어(Coir) 매트를 배치시키고, 최상단에 코이어(Coir) 네트를 배치시켜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를 제조하였다. 각 층간은 천연 수지를 이용하여 접착하였다.
A composite vegetation substrate for a greening method was prepared by placing a Coir mat on a monolithic nonwoven vegetation mat for the greening process of Production Example 6 and placing a Coir net on the top. Each layer was bonded using a natural resin.

제조예 12 :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Production Example 12: Composite vegetation substrate for greening method

제조예 7의 녹화공법용 일체형 부직포 식생 매트 위에 코이어(Coir) 매트를 배치시키고, 최상단에 코이어(Coir) 네트를 배치시켜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를 제조하였다. 각 층간은 천연 수지를 이용하여 접착하였다.
Coir mats were placed on a monolithic nonwoven vegetation mat for the greening process of Production Example 7, and coir nets were placed on the top of the mat. Each layer was bonded using a natural resin.

제조예 13 :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Production Example 13: Composite vegetation substrate for greening method

제조예 8의 녹화공법용 일체형 부직포 식생 매트 위에 코이어(Coir) 매트를 배치시키고, 최상단에 코이어(Coir) 네트를 배치시켜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를 제조하였다. 각 층간은 천연 수지를 이용하여 접착하였다.
A composite vegetation substrate for a greening method was prepared by placing a Coir mat on the monolithic nonwoven vegetation mat for the greening method of Production Example 8 and placing a Coir net on the top. Each layer was bonded using a natural resin.

제조예 14 :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Production Example 14: Composite vegetation substrate for greening method

제조예 4의 녹화공법용 부직포 식생 매트 위에 종자(페레니알 라이글라스 대 줄사철의 중량비가 4:1임)를 25 g/㎡의 표면 밀도로 고르게 뿌려 종자층을 형성하고, 다시 종자층 위에 코이어(Coir) 매트를 배치시키고, 최상단에 제조예 3의 녹화공법용 폴리라틱산(Polylactic acid, PLA) 필름사 식생 네트를 배치시켜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를 제조하였다. 각 층간은 천연 수지를 이용하여 접착하였다.
On the nonwoven vegetation mat for production method of Production Example 4, seeds (having a weight ratio of 4: 1 in terms of ferroniallayer glass to striae) were uniformly sprayed at a surface density of 25 g / m 2 to form a seed layer, Coir mats were placed on the top of the plant, and a vegetation net of Polylactic acid (PLA) film for the greening method of Production Example 3 was placed at the top. Each layer was bonded using a natural resin.

제조예 15 :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Production Example 15: Composite vegetation substrate for greening method

제조예 7의 녹화공법용 일체형 부직포 식생 매트 위에 제조예 3의 녹화공법용 폴리라틱산(Polylactic acid, PLA) 필름사 식생 네트를 배치시켜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를 제조하였다. 각 층간은 니들펀칭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접착하였다.
A composite vegetative substrate for greening method was prepared by placing a netting of polylactic acid (PLA) film for greening method of Production Example 3 on a monolithic nonwoven vegetation mat for greening method of Production Example 7. Each layer was mechanically bonded using needle punching.

비교 제조예 1 : 녹화공법용 인공 토양Comparative Production Example 1: Artificial soil for greening method

토탄 5 중량부, 부숙수피 7 중량부, 축분 15 중량부, 마사토 25 중량부, 활성탄 4 중량부, 제지슬러지 20 중량부, 제지화이버 20 중량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1 중량부, 복합비료 3 중량부를 혼합하여 녹화공법용 인공 토양을 제조하였다.
5 parts by weight of peat, 7 parts by weight of resorptive bark, 15 parts by weight of axilla, 25 parts by weight of Masato, 4 parts by weight of activated carbon, 20 parts by weight of paper sludge, 20 parts by weight of paper fiber, 1 part by weight of carboxymethylcellulose (CMC) 3 parts by weight were mixed to prepare artificial soil for greening method.

비교 제조예 2 : 녹화공법용 황마 식생 네트Comparative Production Example 2: Jute vegetation net for greening method

황마 실로 위사 및 경사가 각각 3㎝인 녹화공법용 황마 식생 네트를 제조하였다.
A jute vegetation net for greening method with a weft yarn and a warp yarn of 3 cm was produced.

비교 제조예 3 : 녹화공법용 PE 필름사 식생 네트Comparative Production Example 3: PE film for greening method Vegetation net

프렌치 제편기를 이용하여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모노사(두께가 0.2㎜임)와 폴리에틸렌(PE) 필름사(두께가 40㎛이고 폭이 2.5㎜임)로 이루어진 녹화공법용 폴리에틸렌 필름사 식생 네트를 제조하였다. 폴리에틸렌 필름사 식생 네트의 평량은 40g/㎡ 이었다.
A polyethylene film for a greening process comprising polyethylene (PE) monosaccharide (thickness 0.2 mm) and polyethylene (PE) film 40 μm thick and width 2.5 mm using a French knitting machine . The basis weight of polyethylene film was 40g / ㎡.

비교 제조예 4 :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Comparative Production Example 4: Composite vegetation substrate for greening method

펄프 시트 위에 종자(페레니알 라이글라스 대 줄사철의 중량비가 4:1임)를 25 g/㎡의 표면 밀도로 고르게 뿌려 종자층을 형성하고, 다시 종자층 위에 코이어(Coir) 매트를 배치시키고, 최상단에 코이어(Coir) 네트를 배치시켜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를 제조하였다. 각 층간은 천연 수지를 이용하여 접착하였다.
A seed layer (a 4: 1 weight ratio of ferrhenic acid to stearic acid) was uniformly sprayed on the pulp sheet at a surface density of 25 g / m < 2 > to form a seed layer. A Coir mat was further placed on the seed layer , And a coir net was arranged at the uppermost stage to produce a composite vegetation substrate for a greening method. Each layer was bonded using a natural resin.

비교 제조예 5.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Comparative Production Example 5. Composite vegetation base for greening method

펄프 시트 위에 종자(페레니알 라이글라스 대 줄사철의 중량비가 4:1임)를 25 g/㎡의 표면 밀도로 고르게 뿌려 종자층을 형성하고, 다시 종자층 위에 코이어(Coir) 매트를 배치시키고, 최상단에 비교 제조예 3의 녹화공법용 PE 필름사 식생 네트를 배치시켜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를 제조하였다. 각 층간은 천연 수지를 이용하여 접착하였다.
A seed layer (a 4: 1 weight ratio of ferrhenic acid to stearate) was uniformly sprayed onto the pulp sheet at a surface density of 25 g / m 2 to form a seed layer, a Coir mat was placed on the seed layer again , And the vegetation net of the PE film for greening method of Comparative Production Example 3 was arranged at the uppermost stage to prepare a composite vegetation base for greening method. Each layer was bonded using a natural resin.

2. 2. 식생Vegetation 기재에 따른 녹화공법 및 그 결과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and the result

시험예 1.Test Example 1

토사가 섞인 리핑암 지반(비탈면 구배는 1:0.7임) 위에 비교 제조예 2의 녹화공법용 황마 식생 네트를 배치하고 가로, 세로 각각 1m 간격으로 앙카핀을 고정하였다. 제조예 1의 녹화공법용 생분해성 섬유 인공 토양 100 중량부에 종자(톨페수쿠 종자, 페레니알 라이글라스 종자, 대 비수리 종자의 중량비가 1:1:1임) 0.2 중량부를 혼합하여 토양-종자 혼합물을 제조하고, 여기에 물을 가해 토양-종자 혼합물의 농도가 70 중량%인 습식 토양-종자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습식 토양-종자 혼합물을 황마 식생 네트 위에 분사하여 2㎝ 두께로 취부하였다.
A jute vegetation net for the greening method of Comparative Example 2 was placed on a ripening rock sole mixed with soil (slope slope = 1: 0.7), and the anchor pin was fixed at 1 m intervals in the later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artificial soil of the biodegradable fiber for greening method of Production Example 1, 0.2 part by weight of seed (a weight ratio of tofuquac seed, ferrernicillai seed and larval seed is 1: 1: 1) A mixture was prepared, and water was added thereto to prepare a wet soil-seed mixture having a concentration of the soil-seed mixture of 70 wt%. The wet soil-seed mixture was sprayed onto the jute vegetation net and mounted 2 cm thick.

시험예 2.Test Example 2

토사가 섞인 리핑암 지반(비탈면 구배는 1:0.7임) 위에 제조예 2의 녹화공법용 3D mesh 식생 네트를 배치하고 가로, 세로 각각 1m 간격으로 앙카핀을 고정하였다. 비교 제조예 1의 녹화공법용 인공 토양 100 중량부에 종자(톨페수쿠 종자, 페레니알 라이글라스 종자, 대 비수리 종자의 중량비가 1:1:1임) 0.2 중량부를 혼합하여 토양-종자 혼합물을 제조하고, 여기에 물을 가해 토양-종자 혼합물의 농도가 70 중량%인 습식 토양-종자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습식 토양-종자 혼합물을 황마 식생 네트 위에 분사하여 2㎝ 두께로 취부하였다.
A 3D mesh vegetation net for the greening method of Production Example 2 was placed on the soil of ripping rock mixed with soil (slope slope is 1: 0.7), and the anchor pin was fixed at 1 m intervals in the later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artificial soil for greening method of Comparative Production Example 1 were mixed 0.2 part by weight of seeds (weight ratio of tosufuki seed, fereniallaiglace seed and larval stock seed is 1: 1: 1) to prepare a soil- And water was added thereto to prepare a wet soil-seed mixture having a concentration of the soil-seed mixture of 70% by weight. The wet soil-seed mixture was sprayed onto the jute vegetation net and mounted 2 cm thick.

비교 시험예 1.Comparative Test Example 1

토사가 섞인 리핑암 지반(비탈면 구배는 1:0.7임) 위에 비교 제조예 2의 녹화공법용 황마 식생 네트를 배치하고 가로, 세로 각각 1m 간격으로 앙카핀을 고정하였다. 비교 제조예 1의 녹화공법용 인공 토양 100 중량부에 종자(톨페수쿠 종자, 페레니알 라이글라스 종자, 대 비수리 종자의 중량비가 1:1:1임) 0.2 중량부를 혼합하여 토양-종자 혼합물을 제조하고, 여기에 물을 가해 토양-종자 혼합물의 농도가 70 중량%인 습식 토양-종자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습식 토양-종자 혼합물을 황마 식생 네트 위에 분사하여 2㎝ 두께로 취부하였다.
A jute vegetation net for the greening method of Comparative Example 2 was placed on a ripening rock sole mixed with soil (slope slope = 1: 0.7), and the anchor pin was fixed at 1 m intervals in the lateral and vertical directions.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artificial soil for greening method of Comparative Production Example 1 were mixed 0.2 part by weight of seeds (weight ratio of tosufuki seed, fereniallaiglace seed and larval stock seed is 1: 1: 1) to prepare a soil- And water was added thereto to prepare a wet soil-seed mixture having a concentration of the soil-seed mixture of 70% by weight. The wet soil-seed mixture was sprayed onto the jute vegetation net and mounted 2 cm thick.

시험예Test Example 1,  One, 시험예Test Example 2, 및 비교  2, and comparison 시험예Test Example 1의 녹화공법 결과 1 Reconstruction method result

식생 기재 시공 후 15일에 한번씩 인공 강우를 조사하였다(50㎜/hr, 2시간). 30일, 90일, 180일째에 시험 시료의 발아율, 피복율, 인공 토양 유실율, 균열 및 이격 상태를 관찰/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Artificial rainfall was irradiated once every 15 days (50 mm / hr, 2 hours) after vegetation base construction. 30 days, 90 days, and 180 days, germination rate, coverage rate, artificial soil loss rate, crack and spacing of the test sample were observed /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피복율 : 시험 시료를 슬라이드 촬영한 후 모눈종이를 이용하여 그 면적을 피복율로 환산하였다.Coverage ratio: The area of the test sample was converted into the covering ratio using a grid paper after taking a slide photograph.

인공 토양 유실율 : 최초 취부한 인공 토양 중량 대비 유실된 인공 토양 중량의 비를 %로 환산하였다(인공 토양 취부면 아래에 인공 강우 및 유실 토양 포집장치 설치함).Artificial soil loss rate: The ratio of the weight of artificial soil lost relative to the weight of artificial soil first installed was converted into% (artificial rainfall and lavatory soil collecting device installed under artificial soil installation surface).

균열 및 이격 상태 : 육안으로 관찰하여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10명의 패널로부터 1~2(매우 불량), 2~4(불량), 5~6(보통), 7~8(양호), 9~10(매우 양호)와 같은 기준으로 점수를 매기고 이를 평균하여 평가하였다.Cracks and separation: 1 to 2 (very poor), 2 to 4 (poor), 5 to 6 (normal), 7 to 8 (good), 9 to 10 (Very good), and evaluated by averaging them.

구분division 피복율(%)Coverage (%) 인공 토양 유실율(중량%)Artificial soil loss rate (% by weight) 균열 및 이격 상태Crack and spacing 30일30 days 90일90 days 180일180 days 30일30 days 90일90 days 180일180 days 30일30 days 90일90 days 시험예 1Test Example 1 7373 9191 9696 99 1414 1616 양호Good 7.8(양호)7.8 (Good) 시험예 2Test Example 2 6565 8888 9898 55 77 99 매우 양호Very good 9.5(매우 양호)9.5 (very good) 비교 시험예 1Comparative Test Example 1 4747 5555 6868 2222 3434 4242 불량Bad 2.4(불량)2.4 (bad)

표 1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생 기재를 이용하여 녹화공법을 실시한 경우(시험예 1 및 시험예 2) 발아율(결과 생략함), 피복율이 높고, 인공 토양의 유실율이 낮으며, 균열 및 이격 상태가 양호하였다. 특히 녹화공법용 3D mesh 식생 네트를 이용한 시험예 2의 경우 인공 토양 유실율이 현저히 낮고, 균열 및 이격이 거의 없어 전체 면적에 대해 균일한 식생을 형성하였다.
As shown in Table 1, when the greenery method (Test Example 1 and Test Example 2) was carried out using the vegetation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rmination rate (result is omitted), the coverage rate was high, the emulsion rate of the artificial soil was low, The spacing was good. Especially, in the case of Test Example 2 using 3D mesh vegetation net for greening method, the artificial soil loss rate was remarkably low, and there was almost no crack and separation, and uniform vegetation was formed over the whole area.

시험예 3.Test Example 3.

사질토와 점성토가 섞인 사면 지반(비탈면 구배는 1:1.2임) 위에 제조예 9의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를 배치하고 가로, 세로 각각 1m 간격으로 앙카핀을 고정하였다.
The composite vegetation base for the greening method of Production Example 9 was placed on slope ground (slope slope of 1: 1.2) mixed with sandy soil and clayey soil, and the anchor pin was fixed at 1 m intervals in each of the width and height.

시험예 4.Test Example 4.

사질토와 점성토가 섞인 사면 지반(비탈면 구배는 1:1.2임) 위에 제조예 10의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를 배치하고 가로, 세로 각각 1m 간격으로 앙카핀을 고정하였다.
The composite vegetation base for the greening method of Production Example 10 was placed on slope ground (slope slope of 1: 1.2) mixed with sandy soil and clayey soil, and the anchor pin was fixed at intervals of 1 m each in width and height.

시험예 5.Test Example 5

사질토와 점성토가 섞인 사면 지반(비탈면 구배는 1:1.2임) 위에 제조예 11의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를 배치하고 가로, 세로 각각 1m 간격으로 앙카핀을 고정하였다.
The composite vegetation base for the greening method of Production Example 11 was placed on a slope ground (slope slope of 1: 1.2) mixed with sandy soil and clayey soil, and the anchor pin was fixed at 1 m intervals in each of the width and height.

시험예 6.Test Example 6.

사질토와 점성토가 섞인 사면 지반(비탈면 구배는 1:1.2임) 위에 제조예 12의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를 배치하고 가로, 세로 각각 1m 간격으로 앙카핀을 고정하였다.
The composite vegetation base for the greening method of Production Example 12 was placed on a slope ground (slope slope of 1: 1.2) mixed with sandy soil and clayey soil, and the anchor pin was fixed at 1 m intervals in the lateral and vertical directions.

시험예 7.Test Example 7.

사질토와 점성토가 섞인 사면 지반(비탈면 구배는 1:1.2임) 위에 제조예 13의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를 배치하고 가로, 세로 각각 1m 간격으로 앙카핀을 고정하였다.
The composite vegetation base for the greening method of Production Example 13 was placed on a slope ground (slope slope of 1: 1.2) mixed with sandy soil and clayey soil, and the anchor pin was fixed at 1 m intervals in the lateral and vertical directions.

비교 시험예 2.Comparative Test Example 2

사질토와 점성토가 섞인 사면 지반(비탈면 구배는 1:1.2임) 위에 비교 제조예 4의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를 배치하고 가로, 세로 각각 1m 간격으로 앙카핀을 고정하였다.
A composite vegetation base for the greening method of Comparative Production Example 4 was placed on a slope ground (slope slope of 1: 1.2) mixed with sandy soil and clayey soil, and the anchor pin was fixed at 1 m intervals in the lateral and vertical directions.

시험예Test Example 3 내지 7 및 비교  3 to 7 and comparison 시험예Test Example 2의 녹화공법 결과 2 Recording method result

식생 기재 시공 후 15일에 한번씩 인공 강우를 조사하였다(50㎜/hr, 2시간). 30일, 90일, 180일째에 시험 시료의 피복율, 및 줄사철 발아율을 관찰/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Artificial rainfall was irradiated once every 15 days (50 mm / hr, 2 hours) after vegetation base construction. 30 days, 90 days, and 180 days, the coverage rate of the test sample and the germination rate of the silkworm were observed /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피복율 : 시험 시료를 슬라이드 촬영한 후 모눈종이를 이용하여 그 면적을 피복율로 환산하였다.Coverage ratio: The area of the test sample was converted into the covering ratio using a grid paper after taking a slide photograph.

줄사철 발아율 : 식생 기재 설치 180일 후 4㎡ 면적에서의 줄사철 발아 개수를 측정하고, 비교 시험예 2의 발아 개수에 대한 비율로 발아율을 환산하였다.Germination rate of gypsum gypsum: The number of gypsum gypsum gypsum was measured at an area of 4 ㎡ after 180 days of vegetation foundation installation, and the germination ratio was calculated as a ratio to the germination number of Comparative Example 2.

구분division 피복율(%)Coverage (%) 줄사철 발아율(180일때)Germination rate (180) 30일30 days 90일90 days 180일180 days 시험예 3Test Example 3 5555 8282 8888 33 시험예 4Test Example 4 5858 8585 9292 66 시험예 5Test Example 5 7575 9595 9898 99 시험예 6Test Example 6 6969 9292 9696 88 시험예 7Test Example 7 6262 9090 9494 77 비교 시험예 2Comparative Test Example 2 3838 5050 6161 1One

표 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생분해성 섬유 부직포 형태, 또는 종자 일체형 생분해성 섬유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를 사용하는 경우 펄프 시트 형태의 식생 기재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높은 피복율 및 줄사철(쌍떡잎종) 발아율을 보였다. 또한, 생분해성 섬유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 특히 종자 일체형 생분해성 섬유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에서 천연 섬유인 황마와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섬유를 혼합한 혼합 섬유로 제조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에서 피복율 및 줄사철(쌍떡잎종) 발아율 증가가 월등하였다. 이는 비교적 경질의 황마가 PLA 섬유와 혼합되면서 종자 상부의 부직포 공극이 증가하고 황마가 PLA 대비 수분 흡수율 및 생분해가 빠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천연 섬유와 본 발명의 생분해성 섬유를 혼합한 혼합 섬유를 식생 네트나 식생 매트의 소재로 이용하는 경우 제조비용이 감소하여 경제성 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표 2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식생 기재를 이용하여 녹화공법을 실시한 경우(시험예 3 내지 시험예 7) 종자를 균일하게 배치할 수 있고, 강우 등 외력에 의한 종자의 이동과 유실을 방지하고, 강우의 지표면(보다 구체적으로 매트와 지표면 사이) 유속을 감속시킴으로써 토사의 유실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시간 경과 시 생분해성 섬유가 생분해되어 퇴비 역할을 함으로써 식물의 생육을 더욱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As shown in Table 2, when a biodegradable fibrous nonwoven fabric or a seed-integrated biodegradable fibrous nonwoven fabric-type vegetation mat is used, a higher covering ratio and a germination rate of dapper It looked. In addition, in a vegetable mat in the form of a biodegradable fiber nonwoven fabric, in particular a vegetation mat in the form of a seed-integrated biodegradable fibrous nonwoven fabric, a nonwoven vegetable mat made of mixed fibers obtained by mixing the natural fiber jute and the biodegradable f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rmination rate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species. It is considered that this is because the relatively hard jute is mixed with the PLA fiber, the nonwoven fabric voids on the seed surface increase, and the jute is faster in water absorption rate and biodegradation than PLA, and the mixed fiber, which is a mixture of the natural fiber and the biodegradable fib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used as a material for a net or a vegetative mat,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economy.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able 2, it is possible to uniformly arrange the seeds when the greenery method (Test Examples 3 to 7) was carried out using the vegetation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eds could be moved and lost due to external forces such as rainfall (More specifically, between the mat and the ground surface) of the rainfall, thereby reducing the loss of the soil. In addition, biodegradable fibers are biodegraded over time to act as a compost, thereby further promoting plant growth.

시험예 8.Test Example 8

사질토와 점성토가 섞인 사면 지반(비탈면 구배는 1:1.2임) 위에 제조예 14의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를 배치하고 가로, 세로 각각 1m 간격으로 앙카핀을 고정하였다.
The composite vegetation base for the greening method of Production Example 14 was placed on slope ground (slope slope of 1: 1.2) mixed with sandy soil and clayey soil, and the anchor pin was fixed at intervals of 1 m each in width and length.

시험예 9.Test Example 9

사질토와 점성토가 섞인 사면 지반(비탈면 구배는 1:1.2임) 위에 제조예 15의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를 배치하고 가로, 세로 각각 1m 간격으로 앙카핀을 고정하였다.
The composite vegetation base for the greening method of Production Example 15 was placed on a slope ground (slope slope of 1: 1.2) mixed with sandy soil and clayey soil, and the anchor pin was fixed at 1 m intervals in each of the width and height.

비교 시험예 3.Comparative Test Example 3.

사질토와 점성토가 섞인 사면 지반(비탈면 구배는 1:1.2임) 위에 비교 제조예 5의 녹화공법용 복합 식생 기재를 배치하고 가로, 세로 각각 1m 간격으로 앙카핀을 고정하였다.
The composite vegetation base for the greening method of Comparative Production Example 5 was placed on a slope ground (slope slope of 1: 1.2) mixed with sandy soil and clayey soil, and the anchor pin was fixed at 1 m intervals in each of the width and height.

시험예Test Example 8,  8, 시험예Test Example 9, 및 비교  9, and comparison 시험예Test Example 3의 녹화공법 결과 3,

식생 기재 시공 후 15일에 한번씩 인공 강우를 조사하였다(50㎜/hr, 2시간). 30일, 90일, 180일째에 시험 시료의 피복율, 및 줄사철 발아율을 관찰/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Artificial rainfall was irradiated once every 15 days (50 mm / hr, 2 hours) after vegetation base construction. 30 days, 90 days, and 180 days, the coverage rate of the test sample and the germination rate of the jellyfish were observed /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피복율 : 시험 시료를 슬라이드 촬영한 후 모눈종이를 이용하여 그 면적을 피복율로 환산하였다.Coverage ratio: The area of the test sample was converted into the covering ratio using a grid paper after taking a slide photograph.

줄사철 발아율 : 식생 기재 설치 180일 후 4㎡ 면적에서의 줄사철 발아 개수를 측정하고, 비교 시험예 2의 발아 개수에 대한 비율로 발아율을 환산하였다.Germination rate of gypsum gypsum: The number of gypsum gypsum gypsum was measured at an area of 4 ㎡ after 180 days of vegetation foundation installation, and the germination ratio was calculated as a ratio to the germination number of Comparative Example 2.

구분division 피복율(%)Coverage (%) 줄사철 발아율(180일때)Germination rate (180) 30일30 days 90일90 days 180일180 days 시험예 8Test Example 8 5252 8080 9191 66 시험예 9Test Example 9 7373 9595 9898 1010 비교 시험예 3Comparative Test Example 3 3030 4545 5858 1One

표 3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생분해성 섬유 부직포 형태, 또는 종자 일체형 생분해성 섬유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와 생분해성 필름사 형태의 식생 네트를 사용한 시험예 8 및 시험예 9에서 높은 피복율과 줄사철 발아율을 보였다. 특히 종자 일체형 생분해성 섬유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를 사용한 경우 가장 높은 피복율과 발아율을 보였다. 본 발명의 식생 기재를 이용하여 녹화공법을 실시한 경우(시험예 8 및 시험예 9) 100% 친환경 소재로 구성되어 환경오염이 없고, 생분해성 필름사 식생 네트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생분해에 따른 강도 저하 및 분해가 발생하므로 식물의 성장에 장애를 주지 않았다. 본 발명의 식생 기재를 이용하여 녹화공법을 실시한 경우 종자가 균일하게 배치되고, 강우 등 외력에 의한 종자의 이동과 유실을 방지함으로써 피복율이 월등히 향상되었다. 또한, 강우의 지표면(보다 구체적으로 매트와 지표면 사이) 유속을 감속시킴으로써 토사의 유실을 감소시키고, 종자층 하부의 부직포가 수분을 흡수/보습함으로써 종자의 발아율과 발아 속도를 향상시켰다. 아울러 시간 경과 시 생분해성 섬유가 생분해되어 퇴비 역할을 함으로써 식물의 생육을 더욱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As shown in Table 3, in the case of Test Example 8 and Test Example 9 using a vegetative net in the form of a biodegradable fibrous nonwoven fabric or a seed-integrated biodegradable fibrous nonwoven fabric and a vegetative net in the form of a biodegradable film, the high coverage rate and the germination rate It looked. Especially, the highest coverage rate and germination rate were obtained when using vegetable mat of seedless biodegradable fiber nonwoven fabric. In the case of the greening method (Test Example 8 and Test Example 9) using the vegetation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mposed of 100%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and has no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biodegradable film vegetation net has a low intensity And decomposition occurred, so that the growth of the plant was not impaired. When the greenery method was carried out using the vegetation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eds were uniformly arranged, and the coating rate was remarkably improved by preventing movement and loss of seeds due to external forces such as rainfall. In addition, by reducing the flow velocity of the surface of the rainfall (more specifically, between the mat and the surface), the loss of soil is reduced and the nonwoven fabric under the seed layer absorbs / moisturizes the water to improve the germination rate and germination rate of the seed. In addition, biodegradable fibers are biodegraded over time to act as a compost, thereby further promoting plant growth.

110, 310 : 생분해성 섬유로부터 형성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
210, 410 : 생분해성 섬유로부터 형성되고 종자가 함침된 부직포 형태의 식생 매트
120, 320 : 종자층
130, 220, 330 : 천연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매트
140, 230 : 천연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네트
340, 420 : 생분해성 섬유로부터 형성된 식생 네트
110, 310: a vegetable mat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formed from biodegradable fibers
210, 410: a vegetable mat in the form of non-woven fabric formed from biodegradable fibers and impregnated with seeds
120, 320: seed layer
130, 220, 330: Vegetation mat formed from natural fibers
140, 230: Vegetation net formed from natural fibers
340, 420: vegetation net formed from biodegradable fibers

Claims (9)

삭제delete 삭제delete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섬유를 부직포 형태로 형성한 식생 매트, 또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및 이들의 혼합 생분해성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생분해성 섬유 20~80 중량% 및 천연 섬유 20~80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 섬유를 부직포 형태로 형성한 식생 매트; 및
상기 식생 매트 위에 적층되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섬유로 이루어진 3차원 입체 메쉬 형태의 식생 네트, 또는 상기 생분해성 섬유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모노사와 필름사를 제편하여 형성된 필름사 형태의 식생 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녹화공법용 식생기재.
An aliphatic 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an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or a biodegradable fiber composed of a mixture of these, in a nonwoven fabric form, or an aliphatic 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s and mixed biodegradable fibers of 20 to 80% by weight of at least one biodegradable fiber and 20 to 80% by weight of natural fibers in the form of a nonwoven fabric; And
A vegetation net in the form of a three-dimensional solid mesh composed of an aliphatic 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an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or a biodegradable fiber composed of a mixture thereof, which is laminated on the vegetation mat, And a vegetation net in the form of a film yarn formed by film yarns formed from the biodegradable monosaurus and film yarn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매트에는 종자가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공법용 식생기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vegetation mat is impregnated with seeds.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섬유를 3차원 입체 메쉬(3D mesh) 형태로 또는 생분해성 섬유의 필름사 형태로 제편 형성한 식생 네트를 지반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생분해성 섬유, 토탄, 부숙수피, 축분, 마사토, 활성탄, 제지슬러지, 제지 화이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및 복합비료로 이루어진 인공 토양과 종자를 혼합하여 형성한 인공토양-종자 혼합물을 상기 식생 네트 위에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분해성 섬유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공 토양에 대해 1~10 중량%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공법.
Biodegradable fibers composed of aliphatic 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s,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s or a mixture thereof are formed in the form of a three-dimensional mesh (3D mesh) or a film of biodegradable fibers Securing the vegetation net to the ground; And
Seed mixture prepared by mixing an artificial soil and seeds made of biodegradable fibers, peat, peat bran, millet, masato, activated carbon, paper sludge, paper fiber, carboxymethyl cellulose (CMC), and compound fertilizer, And spraying the mixture onto the substrate,
Wherein the biodegradable fiber is composed of an aliphatic 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an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or a mixture thereof, and the biodegradable fib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artificial soil.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토양에 포함된 생분해성 섬유는 단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공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iodegradable fibers contained in the artificial soil are short fibers.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토양에 포함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는 폴리라틱산(Polylactic acid, PLA) 섬유, 폴리글리코릭산(Polyglycolic acid, PGA) 섬유,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섬유,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olybutylene succinate) 섬유, 부틸렌석시네이트와 아디페이트의 코폴리머[Poly(butylenes succinate-co-adipate] 섬유, 및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olyhydroxyalkanoate) 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인공 토양에 포함된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계 생분해성 섬유는 부틸렌아디페이트와 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코폴리머[Poly(butylene adipate-co-bytylene terephtalate)]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공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aliphatic polyester-based biodegradable fiber contained in the artificial soil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lactic acid (PLA) fiber, polyglycolic acid (PGA) fiber, polycaprolactone fiber, polybutylene succinate Polybutylene succinate fibers, copolymers of butylene succinate and adipate [poly (butylenes succinate-co-adipate) fibers, and polyhydroxyalkanoate fibers, Wherein the aliphatic / aromatic copolyester biodegradable fiber contained in the artificial soil is a copolymer of butylene adipate and butylene terephthalate (Poly (butylene adipate-co-bytylene terephthalate)] fiber.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토양은 전제 인공 토양 중량을 기준으로 생분해성 섬유 1~10 중량%, 토탄 3~5 중량%, 부숙수피 5~10 중량%, 축분 10~20 중량%, 마사토 20~25 중량%, 활성탄 2~4 중량%, 제지슬러지 15~25 중량%, 제지화이버 15~25 중량%,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1~2 중량% 및 복합비료 2~4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공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rtificial soil comprises 1 to 10% by weight of biodegradable fibers, 3 to 5% by weight of peat, 5 to 10% by weight of resorcinol bark, 10 to 20% by weight of shredded starch, 20 to 25% by weight of Masato, , 2 to 4% by weight of paper mill, 15 to 25% by weight of paper sludge, 15 to 25% by weight of paper fiber, 1 to 2% by weight of carboxymethyl cellulose (CMC) and 2 to 4% by weight of compound fertilizer.
삭제delete
KR1020110138481A 2011-12-20 2011-12-20 Vegetation media containing biodegradable fiber for vegetation measures and vegetation measures utilizing the same KR1015791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481A KR101579165B1 (en) 2011-12-20 2011-12-20 Vegetation media containing biodegradable fiber for vegetation measures and vegetation measures utiliz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8481A KR101579165B1 (en) 2011-12-20 2011-12-20 Vegetation media containing biodegradable fiber for vegetation measures and vegetation measures utiliz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454A Division KR101226452B1 (en) 2010-03-31 2010-03-31 Vegetation media containing biodegradable fiber for vegetation measures and vegetation measures utiliz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268A KR20120013268A (en) 2012-02-14
KR101579165B1 true KR101579165B1 (en) 2015-12-23

Family

ID=45836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481A KR101579165B1 (en) 2011-12-20 2011-12-20 Vegetation media containing biodegradable fiber for vegetation measures and vegetation measures utiliz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16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0689A1 (en) * 2018-08-24 2020-02-27 Yilmaz Haakan Isak A machine and a method of producing biodegradable nonwoven textile comprising see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949B1 (en) * 2013-10-18 2014-07-0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Artificial soil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rtificial flowerpot using the composition
CN104292785B (en) * 2014-10-29 2016-11-16 正业包装(中山)有限公司 A kind of recovery paper fiber lactic acid composite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7721227A (en) * 2017-11-27 2018-02-23 倪修俊 A kind of PLA wheat straw fiber composi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6351A (en) * 2005-08-10 2007-02-22 Takinou Filter Kk Biodegradable top soil protective sheet and vegetation shee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016A (en) * 2008-06-27 2010-01-06 박공영 The vegetation basis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6351A (en) * 2005-08-10 2007-02-22 Takinou Filter Kk Biodegradable top soil protective sheet and vegetation shee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0689A1 (en) * 2018-08-24 2020-02-27 Yilmaz Haakan Isak A machine and a method of producing biodegradable nonwoven textile comprising seeds
CN112601449A (en) * 2018-08-24 2021-04-02 汉肯·伊萨克·伊尔马兹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biodegradable nonwoven fabrics comprising seeds
EP3720263B1 (en) 2018-08-24 2022-11-02 Yilmaz, Håkan Isak A machine and a method of producing biodegradable nonwoven textile comprising seeds
US11889781B2 (en) 2018-08-24 2024-02-06 Håkan Isak Yilmaz Machine and a method of producing biodegradable nonwoven textile comprising see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268A (en) 201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452B1 (en) Vegetation media containing biodegradable fiber for vegetation measures and vegetation measures utilizing the same
US5226255A (en) Plant mat and method
CN205040304U (en) Skeleton adds muscle can regulate and control vegetable fibre blanket
EP1907628B1 (en) Artificial turf structur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e
US9949444B2 (en) Pre-vegetated vegetation element
KR101043567B1 (en) Environmental planting mat
KR101579165B1 (en) Vegetation media containing biodegradable fiber for vegetation measures and vegetation measures utilizing the same
CA2371251C (en) Striplike body of vegetation for covering roofs with thin layers of vegetation
KR101061036B1 (en) Coconut vegetation mat for bank protection and surface of slope protection planting trees
RU2321982C1 (en) Biomat
US7638445B2 (en) Membrane encapsulated fib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090176422A1 (en) Membrane encapsulated fib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448451B1 (en) A Vegetation Mat for Ecological Restoration and method thereof
PL189130B1 (en) Plant vegetation bedding consisting of a mat made of irregularly interleaved organic fibres
EP1467029A2 (en) Turf reinforcement mat composite
Pillai et al. Applications of coir in agricultural textiles
JP4546865B2 (en) Surrounding vegetation introduction type erosion prevention material and surrounding vegetation introduction type erosion prevention method
JPH10121480A (en) Method of forming slope face
EP0728410A1 (en) Use of a fabric in a precultivation method for planting substrates and various media, and resulting precultivation mat
CN105165455A (en) Degradable environment-friendly vegetation carpet
JP4717673B2 (en) Water absorption / water retention sheet
KR102651453B1 (en) Composite geo cell and ground reinforcement system
AU2012203383A1 (en) A horticultural mat
JP4322953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topsoil protection sheet
WO2020146586A1 (en) Erosion control and turf reinforcement m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