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045B1 - 환경장애 현장 진단키트 - Google Patents
환경장애 현장 진단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9045B1 KR101579045B1 KR1020150129326A KR20150129326A KR101579045B1 KR 101579045 B1 KR101579045 B1 KR 101579045B1 KR 1020150129326 A KR1020150129326 A KR 1020150129326A KR 20150129326 A KR20150129326 A KR 20150129326A KR 101579045 B1 KR101579045 B1 KR 1015790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paper sensor
- fixed block
- sample
- b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71—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thermally excite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2—LE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4—Color im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장애 현장 진단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환경장애에 따른 작물의 상태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진단키트로서, 진단키트는, 현장에서 채취한 작물의 샘플을 흡수하는 종이센서; 종이센서가 투입되어 구비되는 본체; 본체 내에 구비되어 종이센서를 히팅하는 히터; 및 본체에 구비되어 히팅되는 종이센서의 발색반응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갖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진단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환경장애 현장 진단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뭄이나 저온 또는 수분스트레스 현상 등의 환경장애에 따른 작물의 생장 및 생육 상태를 현장에서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환경장애 현장 진단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이나 작물(이하 '작물'이라 한다)은 이동이 불가하기 때문에, 생장하는 내내 다양한 환경 요인들로부터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다양한 환경 요인 중 가뭄, 고염(high salinity), 중금속, 냉해, 고온 및 오존 등과 같은 환경장애 즉 작물 환경스트레스에 직면하게 되고, 이러한 환경장애는 작물의 생장과 발달의 제한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이 작물이 환경장애에 영향을 받게 되면, 작물 세포 내 세포질에 아미노산의 일종인 프롤린을 축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러한 프롤린은 환경장애 즉 환경스트레스에 대해 작물이 생장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물질이며, 단백질 합성 뿐만 아니라 광합성 효율, 개화시기 및 배유 발달에 아주 중요한 신호 분자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환경장애에 따라 세포질에 축적되는 프롤린의 농도 변화를 이용하여 환경장애가 작물의 생장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측정하여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측정은 채취한 작물을 실험실로 가져가야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분석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물의 생장 측정 및 분석이 늦어질 뿐 아니라 환경장애에 대한 작물의 생장 상태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환경장애가 작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술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환경장애에 따른 작물의 생장 상태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신속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 환경장애 현장 진단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단키트는, 환경장애에 따른 작물의 생장상태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진단키트로서, 진단키트는, 현장에서 채취한 작물의 샘플을 흡수하는 종이센서; 종이센서가 투입되어 구비되는 본체; 본체 내에 구비되어 종이센서를 히팅하는 히터; 및 본체에 구비되어 히팅되는 종이센서의 발색반응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갖는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그리고, 종이센서는, 작물의 샘플이 흡수되는 친수성 영역과, 샘플의 흡수가 차단되는 샘플 유량 제어가 가능하도록 소수성 영역으로 구획되어 구비될 수 있고, 종이센서의 친수성 영역에는 닌하이드린 물질이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와 종이센서의 친수성 영역 간의 초점거리를 보정해 줄 수 있는 포커스 렌즈가 더 구비될 수 있고, 본체에는 스마트폰을 고정시켜 스마트폰의 카메라와 포커스 렌즈가 일치되게 구비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거치대는, 본체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일측에는 포커스 렌즈가 고정되게 구비되는 베이스; 베이스 상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블럭; 및 고정블럭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고정블럭과 같이 스마트폰을 고정시키는 이동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에는 이동되는 고정블럭이 걸림되어 정지되는 스톱퍼 또는 요철부가 구비되고, 고정블럭에는 베이스에 구비되지 않는 스톱퍼 또는 요철부 중 나머지 하나가 구비되어, 베이스 상에서 이동되는 고정블럭이 스톱퍼와 요철부의 걸림 작용으로 정지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톱퍼는, 그 일단부는 고정되고 타단부는 자유단부로 구비되는 한편 그 중앙부는 베이스 또는 고정블럭을 향해 돌출되는 판스프링으로 구비되고, 고정블럭과 이동블럭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양 블럭은 탄성부재로 연결되어, 고정블럭 상에서 이동된 이동블럭을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체는 그 내부가 암실로 구비되는 한편 스마트폰의 카메라 촬영 시 일정한 광원을 제공하는 LED가 더 구비될 수 있고, 히터는 80∼120℃로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를 포함한 장치 내에서 종이센서를 가열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환경장애 현장 진단키트에 따르면, 채취한 작물을 별도의 분석과정 없이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환경장애에 따른 작물의 생장 상태를 현장에서 신속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고, 그에 따른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어 작물 관리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생산량 개선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키트와 종이센서 및 스마트폰의 분리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키트의 분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키트에 구비되는 거치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센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키트를 이용한 측정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진단키트에 구비되는 스마트폰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진단키트에 구비되는 스마트폰의 다른 설치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키트의 분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키트에 구비되는 거치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센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키트를 이용한 측정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진단키트에 구비되는 스마트폰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진단키트에 구비되는 스마트폰의 다른 설치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환경장애 현장 진단키트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단키트(100)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장애에 따른 작물의 생장 및 생육 상태를 현장에서 실시간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진단키트(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와, 본체(110)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종이센서(200)와, 종이센서(200)의 발색반응을 촬영하기 위한 스마트폰(300)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에 종이센서(200)가 삽입되어 구비되는 투입구(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10) 내부에는 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된 종이센서(200)를 히팅시키기 위한 히터(120)가 구비되고, 히터(120)의 히팅온도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80∼120℃로 제어되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로 제어하는 것이 좋다. 이는, 히터(120)의 히팅온도가 80℃ 미만일 경우에는 종이센서(200)의 발색반응이 더디게 나타나거나 선명한 발색 반응을 보이지 않는 등의 단점이 있고, 120℃를 초과하면 종이센서(200)와 시료가 가열되는 열을 견디지 못해 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체(110) 내부에는 히터(120)와 연결되어 히터(120)의 히팅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기(130)가 구비되고, 본체(110)의 내부 양측면에는 후술될 스마트폰(300)으로 종이센서(200)의 발색반응을 촬영할 시 암실인 본체(110) 내부를 밝혀 일정한 광원을 제공하는 LED(17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LED(170)는 스마트폰(300) 자체에 구비되는 LED로 대체할 수도 있지만, 스마트폰(300)의 기종이나 제조사에 따라 스마트폰(300)의 LED 밝기가 다르므로 본체(110)의 내부에 별도의 LED(170)를 구비함으로써 스마트폰(300)의 기종이나 제조사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광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체(110)의 상면에는 히터(120)의 히팅온도 및 히팅시간 등을 나타내는 표시부(140)와, 히터(120) 및 온도조절기(130), LED(170)의 작동 등과 같은 진단키트(100)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되고, 이러한 진단키트(100)의 전반적인 작동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서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체(110) 내의 LED(170)는 별도의 어플이나 블루투스 등을 통해서 스마트폰(300)의 카메라(310)(320)와 연동될 수도 있다. 즉, 스마트폰(300)의 카메라(310)(320)로 종이센서(200)를 촬영힐 때 카메라(310)(320)의 버튼과 연동하여 LED(170)가 작동되면서 촬영 시 광원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체(110)의 내부에는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체(110)의 상면에는 스마트폰(300)을 거치한 상태로 고정시키는 거치대(150)가 구비된다.
이러한 거치대(1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상면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베이스(151)와, 베이스(151) 상에 구비되어 본체(110)의 폭방향(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고정블럭(152)과, 고정블럭(15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블럭(152)과 같이 스마트폰(300)을 고정시키는 이동블럭(153)을 포함한다.
베이스(151)는 그 상면에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151a)이 본체(110)의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되고, 일측의 가이드레일(151a)에는 고정블럭(152)을 정지시키는 스톱퍼(151b)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스톱퍼(151b)는, 그 일단부가 가이드레일(151a)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편 타단부는 자유단부로 구비되고, 그 중앙부에는 가이드레일(151a)로부터 돌출되어 고정블럭(152)에 접하는 판스프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고정블럭(152)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151)의 스톱퍼(151b)에 대향되는 그 일측면에 요철부(152b)가 구비된다. 따라서, 고정블럭(152)을 이동시키는 외력에 의해 고정블럭(152)의 요철부(152b)가 베이스(151)의 스톱퍼(151b)를 탄력적으로 넘어 이동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베이스(151)의 스톱퍼(151b)가 요철부(152b)에 걸림된 상태로서 고정블럭(152)이 베이스(151)에 정지된 상태로 고정된다.
물론, 이러한 스톱퍼(151b)와 요철부(152b)를 전술한 예와는 달리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스톱퍼(151b)를 고정블럭(152)에 구비하고, 요철부(152b)를 베이스(151)의 가이드레일(151a)에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정블럭(152)에는 이동블럭(153)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152a)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152a)은 고정블럭(152)의 하면에 형성되는 것이 공간 활용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이동블럭(153)은 고정블럭(152)에 대향되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하단부에 고정블럭(152)의 결합홈(152a)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돌부(153a)가 형성되고, 이동블럭(153)의 결합돌부(153a)와 고정블럭(152)의 결합홈(152a)은 견고한 결합구조와 더불어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도브테일(dovetail)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고정블럭(152)의 결합홈(152a)에는 이동된 이동블럭(153)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154)가 구비된다.
즉, 탄성부재(154)는 압축 코일스프링으로서, 그 일단부는 고정블럭(152)의 결합홈(152a)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이동블럭(153)의 결합돌부(153a)에 연결된 상태로서, 이동블럭(153)을 항상 고정블럭(152) 측으로 당기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블럭(153)과 고정블럭(152)에는 각각 쿠션재인 가압패드(155)가 구비되고, 이 가압패드(155)에 의해서 이동블럭(153)과 고정블럭(152) 사이에서 스마트폰(300)의 훼손이나 손상없이 안전하면서도 견고하게 스마트폰(300)을 홀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거치대(150)는, 이동블럭(153)을 고정블럭(152)에서 인출시킬 수 있으므로 기종이나 제조사에 따라 각기 다른 크기와 폭을 갖는 스마트폰(300)을 모두 구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베이스(151) 상에서 고정블럭(152)을 이동시켜 주므로 기종이나 제조사마다 스마트폰(300)에 각기 다양한 위치로 구비되는 카메라(310)(320)를 후술될 본체(110)의 포커스 렌즈(160)에 일치되게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거치대(150)의 베이스(151)에는 포커스 렌즈(160)가 구비되고, 이 포커스 렌즈(160)에 의해 스마트폰(300)의 카메라(310)(320)와 종이센서(200) 간의 촛점을 맞출 수 있게 된다.
한편, 종이센서(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에서 채취한 작물의 샘플을 즙 상태로 투여하여 흡수되게 하고, 이러한 종이센서(200)는 작물의 샘플 즉 즙 상태의 샘플이 흡수되는 친수성 영역(210)과, 흡수가 차단되는 소수성 영역(220)으로 구획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현장에서 채취된 작물의 샘플이 친수성 영역(210)에서만 흡수됨으로써 보다 정확한 범위 내에서 측정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종이센서(200)의 친수성 영역(210)에는 닌하이드린 물질이 도포되어 있어, 도 5에서와 같이, 작물의 샘플을 투여한 상태에서 히터(120)로 종이센서(200)의 친수성 영역(210)을 가열하면, 닌하이드린 반응에 의한 발색반응이 나타나게 되고, 이러한 발색반응을 정량화하여 환경장애를 진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마트폰(300)에는 상기와 같이 정량화된 발색반응 측정용 별도의 어플이 제공될 수 있고,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스마트폰(300)의 기종이나 제조사에 따라 카메라(310)(320)의 위치가 제각기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거치대(150)에 의해서 항상 스마트폰(300)의 카메라(310)(320)를 포커스 렌즈(160) 상에 일치시켜 구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진단키트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현장에서 채취한 작물의 샘플에서 프롤린을 검출하기 위해, 채취한 작물의 샘플을 분쇄기 등을 이용하여 착즙한 후, 단백질 응집을 유발하는 Sulphosalicylic Acid를 넣어 혼합한다.
이와 같이 준비된 작물의 샘플을 종이센서(200)에 떨어뜨리면, 샘플은 모세관 현상을 통해 종이센서(200)의 친수성 영역(210)으로 흡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샘플이 흡수된 종이센서(200)를 본 발명에 따른 진단키트(100)의 투입구(111)로 밀어넣는다. 그러면, 종이센서(200)의 친수성 영역(210)은 본체(110) 내에 구비된 히터(120) 위에 놓여져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진단키트(100)를 작동시키면, 히터(120)의 히팅온도가 100℃까지 신속하게 올라가 종이센서(200)의 친수성 영역(210)을 가열하게 된다. 이때, 가열되는 종이센서(200)의 친수성 영역(210)에서는 가열로 인한 고온 상태에서 단백질의 가수분해가 촉진되어 프롤린과 닌하이드린 분자의 결합 시간이 단축되면서 발색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종이센서(200)의 친수성 영역(210)에서 나타나는 발색반응은 그 농도에 따른 발색 변화의 정도가 작물의 환경장애를 진단하는 중요한 지표로서 현장에서의 조기 진단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발색반응을 스마트폰(300)의 카메라(310)(320)로 촬영하여 검출된 프롤린의 농도에 따른 가뭄·저온 등의 환경장애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발색반응에 따른 색상 강도를 정량화할 수 있다.
즉, 진단키트(100)의 본체(110) 상면에 구비된 거치대(150)에 스마트폰(300)을 구비하되, 고정블럭(152)에서 이동블럭(153)을 당겨내 인출시킨 상태에서 이동블럭(153)과 고정블럭(152) 사이에 스마트폰(300)을 구비한 후, 당겨낸 이동블럭(153)을 천천히 놓는다. 그러면, 인출된 이동블럭(153)에 의해 인장되어 있던 탄성부재(154)가 압축되면서 이동블럭(153)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면서 이동블럭(153)과 고정블럭(152) 사이에서 스마트폰(300)을 가압한 상태로 고정시키게 된다. 물론, 이때 스마트폰(300)의 카메라(310)(320)는 포커스 렌즈(160)와 동일선상으로 구비된 상태이다.
이후, 상기와 같이 스마트폰(300)을 거치대(150)에 고정한 후,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거치대(150)의 고정블럭(152)을 베이스(151) 상에서 본체(110)의 폭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스마트폰(300)의 카메라(310)(320)를 포커스 렌즈(160)에 일치시켜 구비한다. 이때, 베이스(151) 상에서 이동되는 고정블럭(152)은 스톱퍼(151b)와 요철부(152b)의 걸림작동으로 베이스(151) 상에 고정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거치대(150)에 구비되어 포커스 렌즈(160)와 일치된 스마트폰(300)의 카메라(310)(320)로 종이센서(200)의 발색반응을 촬영할 시 본체(110) 내부에 구비된 LED(170)가 촬영을 위한 광원을 제공함으로써 어떤 스마트폰(300)을 사용하더라도 촬영 시 일정한 광원을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발색반응에 대한 정확하면서도 일정한 색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획득된 영상은 스마트폰(300)의 어플에서 제공되는 영상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색상 강도가 정량화되고, 환경장애의 단계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진단키트 110 : 본체
111 : 투입구 120 : 히터
130 : 온도조절기 140 : 표시부
150 : 거치대 151 : 베이스
151a : 가이드레일 151b : 스톱퍼
152 : 고정블럭 152a : 결합홈
152b : 요철부 153 : 이동블럭
153a : 결합돌부 154 : 탄성부재
155 : 가압패드 160 : 포커스 렌즈
170 : LED 200 : 종이센서
210 : 친수성 영역 220 : 소수성 영역
300 : 스마트폰 310,320 : 카메라
111 : 투입구 120 : 히터
130 : 온도조절기 140 : 표시부
150 : 거치대 151 : 베이스
151a : 가이드레일 151b : 스톱퍼
152 : 고정블럭 152a : 결합홈
152b : 요철부 153 : 이동블럭
153a : 결합돌부 154 : 탄성부재
155 : 가압패드 160 : 포커스 렌즈
170 : LED 200 : 종이센서
210 : 친수성 영역 220 : 소수성 영역
300 : 스마트폰 310,320 : 카메라
Claims (11)
- 환경장애에 따른 작물의 생장상태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진단키트로서,
진단키트는, 현장에서 채취한 작물의 샘플을 흡수하는 종이센서;
종이센서가 투입되어 구비되는 본체;
본체 내에 구비되어 종이센서를 80∼120℃로 히팅하는 히터; 및
본체에 구비되어 히팅되는 종이센서의 발색반응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갖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되,
종이센서는, 작물의 샘플이 흡수되는 친수성 영역과, 샘플의 흡수가 차단되는 소수성 영역으로 구획되어 샘플 유량 제어가 가능하게 구비되고, 종이센서의 친수성 영역에는 닌하이드린 물질이 도포되며,
본체에는 스마트폰의 카메라와 종이센서의 친수성 영역 간의 촛점을 맞춰주는 포커스 렌즈 및 스마트폰을 고정시켜 스마트폰의 카메라와 포커스 렌즈가 일치되게 구비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고,
거치대는, 본체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일측에는 포커스 렌즈가 고정되게 구비되는 베이스, 베이스 상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블럭, 및 고정블럭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고정블럭과 같이 스마트폰을 고정시키는 이동블럭을 포함하고,
베이스에는 이동되는 고정블럭이 걸림되어 정지되는 스톱퍼 또는 요철부가 구비되고, 고정블럭에는 베이스에 구비되지 않는 스톱퍼 또는 요철부 중 나머지 하나가 구비되어, 베이스 상에서 이동되는 고정블럭이 스톱퍼와 요철부의 걸림 작용으로 정지되며,
스톱퍼는, 그 일단부는 고정되고 타단부는 자유단부로 구비되는 한편 그 중앙부는 베이스 또는 고정블럭을 향해 돌출되는 판스프링으로 구비되고,
고정블럭과 이동블럭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양 블럭은 고정블럭 상에서 이동된 이동블럭을 원상태로 복귀시키한 탄성부재로 연결되고,
본체는 그 내부가 암실로 구비되는 한편 스마트폰의 카메라 촬영 시 일정한 광원을 제공하는 LED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색반응은 친수성 영역의 닌하이드린 물질과 작물 샘플에 함유된 프롤린의 분자결합에 의해 발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
- 청구항 2에서 있어서,
상기 작물 샘플은 작물 샘플에서 프롤린을 검출하기 위해, 착즙된 상태에서 단백질 응집을 유발하는 Sulphosalicylic Acid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100℃로 히팅되어 종이센서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9326A KR101579045B1 (ko) | 2015-09-11 | 2015-09-11 | 환경장애 현장 진단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9326A KR101579045B1 (ko) | 2015-09-11 | 2015-09-11 | 환경장애 현장 진단키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79045B1 true KR101579045B1 (ko) | 2015-12-18 |
Family
ID=5508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9326A KR101579045B1 (ko) | 2015-09-11 | 2015-09-11 | 환경장애 현장 진단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9045B1 (ko)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9667B1 (ko) | 2016-06-21 | 2017-01-24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탈부착형 센서모듈을 구비한 환경장애 예방용 진단키트 |
KR101809359B1 (ko) | 2016-03-31 | 2017-12-14 | 전자부품연구원 | 휴대용 분자 진단 시스템 |
KR101821093B1 (ko) * | 2017-04-21 | 2018-01-22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환경장애 진단용 종이센서 |
KR101821063B1 (ko) | 2016-11-29 | 2018-01-23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트립 분석 장치 |
KR101881009B1 (ko) | 2017-12-15 | 2018-07-23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히터 및 온도센서가 집적된 다층구조의 환경장애 진단용 종이센서 |
KR101896007B1 (ko) | 2017-12-01 | 2018-10-04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다층구조의 환경장애 진단용 종이센서 및 이의 제작방법 |
KR20180114833A (ko) * | 2017-04-11 | 2018-10-19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휴대기기 영상 기반 점도 측정장치 |
KR20180118481A (ko) | 2017-04-21 | 2018-10-31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가뭄 진단용 종이기반 전기화학적 바이오 센서 및 그 제조방법 |
KR20190025594A (ko) | 2019-02-27 | 2019-03-11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가뭄 진단용 종이기반 전기화학적 바이오 센서 |
CN109856100A (zh) * | 2019-03-22 | 2019-06-07 | 格瑞复斯(武汉)生化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采集蛋白印迹荧光信号的装置 |
KR20190077974A (ko) * | 2017-12-26 | 2019-07-04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마트폰 기반 농작물 잎의 엽록소 측정장치 |
CN113358652A (zh) * | 2021-06-06 | 2021-09-07 | 武汉易般科技有限公司 | 用于对侧流试纸检测的通用小型手机拍摄分析装置 |
-
2015
- 2015-09-11 KR KR1020150129326A patent/KR101579045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09359B1 (ko) | 2016-03-31 | 2017-12-14 | 전자부품연구원 | 휴대용 분자 진단 시스템 |
KR101699667B1 (ko) | 2016-06-21 | 2017-01-24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탈부착형 센서모듈을 구비한 환경장애 예방용 진단키트 |
KR101821063B1 (ko) | 2016-11-29 | 2018-01-23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트립 분석 장치 |
KR20180114833A (ko) * | 2017-04-11 | 2018-10-19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휴대기기 영상 기반 점도 측정장치 |
KR102079609B1 (ko) * | 2017-04-11 | 2020-02-20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휴대기기 영상 기반 점도 측정장치 |
KR101821093B1 (ko) * | 2017-04-21 | 2018-01-22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환경장애 진단용 종이센서 |
KR20180118481A (ko) | 2017-04-21 | 2018-10-31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가뭄 진단용 종이기반 전기화학적 바이오 센서 및 그 제조방법 |
KR101967652B1 (ko) * | 2017-04-21 | 2019-04-10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가뭄 진단용 종이기반 전기화학적 바이오 센서 및 그 제조방법 |
KR101896007B1 (ko) | 2017-12-01 | 2018-10-04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다층구조의 환경장애 진단용 종이센서 및 이의 제작방법 |
KR101881009B1 (ko) | 2017-12-15 | 2018-07-23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히터 및 온도센서가 집적된 다층구조의 환경장애 진단용 종이센서 |
KR20190077974A (ko) * | 2017-12-26 | 2019-07-04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마트폰 기반 농작물 잎의 엽록소 측정장치 |
KR102025888B1 (ko) * | 2017-12-26 | 2019-09-27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마트폰 기반 농작물 잎의 엽록소 측정장치 |
KR101987200B1 (ko) * | 2019-02-27 | 2019-06-10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가뭄 진단용 종이기반 전기화학적 바이오 센서 |
KR20190025594A (ko) | 2019-02-27 | 2019-03-11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가뭄 진단용 종이기반 전기화학적 바이오 센서 |
CN109856100A (zh) * | 2019-03-22 | 2019-06-07 | 格瑞复斯(武汉)生化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采集蛋白印迹荧光信号的装置 |
CN113358652A (zh) * | 2021-06-06 | 2021-09-07 | 武汉易般科技有限公司 | 用于对侧流试纸检测的通用小型手机拍摄分析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79045B1 (ko) | 환경장애 현장 진단키트 | |
CN103712777B (zh) | 检测紫外光电成像系统性能参数的装置及检测方法 | |
KR101699667B1 (ko) | 탈부착형 센서모듈을 구비한 환경장애 예방용 진단키트 | |
WO2015070023A3 (en) | Automated detection of eye alignment | |
JP2012093275A5 (ko) | ||
CN105011898A (zh) | 一种自助式红外偏心摄影验光仪及自助验光方法 | |
KR102034352B1 (ko) |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부착형 광학계를 구비하는 체외 진단 시스템 | |
JP2012213449A5 (ja) | 医療装置および医療システム | |
EP1560015A3 (en) | Lens meter | |
JP2015029527A5 (ko) | ||
CN102589938B (zh) | 转炉煤气人工取样装置 | |
JP2014150857A5 (ko) | ||
CN101893542A (zh) | 一种多孔介质材料孔隙度量测的实验室测试设备 | |
CN110025286A (zh) | 一种验光镜片箱自动检定装置及检定方法 | |
CN208568081U (zh) | 一种新型光纤光谱仪 | |
CN108426528A (zh) | 一种测量物体离面与面内位移的激光散斑装置及测量方法 | |
WO2024066397A1 (zh) | 可见光与红外相机融合式种鸡参数测定仪及柔性夹持器 | |
EP1771108A4 (en) | OPHTHALMIC IMAGE EXPLORATION APPARATUS | |
CN210071291U (zh) | 一种光学镜头色差测量装置 | |
KR101512964B1 (ko) | 휴대용 자동차 배기 입자 측정기 | |
KR101693819B1 (ko) | 초음파 열분포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초음파 성능 분석 장비 | |
CN204302181U (zh) | 一种水体盐度检测装置 | |
CN204044428U (zh) | 一种显微镜监控摄像装置 | |
CN208505902U (zh) | 钻石检测中自动优化收集光谱的系统 | |
CN213580677U (zh) | 一种包虫病检测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