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900B1 -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900B1
KR101578900B1 KR1020150088959A KR20150088959A KR101578900B1 KR 101578900 B1 KR101578900 B1 KR 101578900B1 KR 1020150088959 A KR1020150088959 A KR 1020150088959A KR 20150088959 A KR20150088959 A KR 20150088959A KR 101578900 B1 KR101578900 B1 KR 101578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reinforcing
insertion groove
groov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진
Original Assignee
(주)대일티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일티이씨 filed Critical (주)대일티이씨
Priority to KR1020150088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수단이 설치된 전신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몸체, 상부몸체 및 설치몸체가 지면에서 수직되게 서로 고정하는 기둥형상의 보강몸체를 사용함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전신부가 부러지거나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몸체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체가 상기 설치몸체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전신주 방향으로 진입하는 변압수단 특히, 전선의 진입방향에 따라 용이하게 회전하여 사용할 수 있고, 보강몸체에 육안으로 식별가능한 조명수단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야간에 일반인들의 시각적 호기심을 유발하는 경관조명의 활용은 물론, 운전자에게 전신주의 위치를 식별가능하게 하는 경고등의 역할도 가능한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는 하부가 타설된 지면에 삽입설치되는 하부기둥과,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상기 하부기둥 상부에 수직되게 다수 설치되는 상부기둥과, 상기 하부기둥 상부에 다수 설치된 상기 상부기둥 최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수용가에 필요한 소비전력을 공급하는 변압수단의 진입방향에 따라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설치기둥 및 상기 하부기둥과 상기 상부기둥 간의 고정, 상기 하부기둥 상부에 다수 설치되는 상기 상부기둥들 간의 고정 및 상기 상부기둥과 상기 설치기둥 간의 고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기둥 또는 상기 상부기둥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야간에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다 상기 하부기둥, 상기 상부기둥 및 상기 설치기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반사되도록 조명을 조사하는 보강기둥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Sectional electric pole}
본 발명은 변압수단이 설치된 전신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몸체, 상부몸체 및 설치몸체가 지면에서 수직되게 서로 고정하는 기둥형상의 보강몸체를 사용함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전신부가 부러지거나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몸체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체가 상기 설치몸체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전신주 방향으로 진입하는 변압수단 특히, 전선의 진입방향에 따라 용이하게 회전하여 사용할 수 있고, 보강몸체에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조명수단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야간에 일반인들의 시각적 호기심을 유발하는 경관조명의 활용은 물론, 운전자에게 전신주의 위치를 식별가능하게 하는 경고등의 역할도 가능한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신 ·전화 ·전등 등의 전선을 늘여 매어 지지하기 위하여 전신주를 이용한다. 이 경우 전선의 늘어진 정도며 두께와 무게, 바람에 의한 흔들림, 전압 등을 모두 고려하여 상황에 알맞은 전신주를 택하게 된다.
그런데 전신주에 대한 개발부족과 비용면의 문제들로 일반적으로 일체형 콘크리트 전신주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일정 전압 이상은 전송할 수 없게 된다.
하여 근래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전신주는 일체형으로 제작한 것으로서, 생산과정에서 설비와 공간 확보 등의 어려움이 있고, 현장으로의 운반 시에 콘크리트 재질상의 중량 문제와 일체형의 길이 문제 등으로 특수 차량으로 운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들로 특수차량이 진입하기 어려운 지역은 콘크리트 철주를 설치할 수 없게 되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분절 즉,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전신주의 등장으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예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소정의 높이를 갖는 다수의 기둥들을 수직되게 조립하여 그 최상부에 전선이나 애자 및 변압기 등과 같은 변압수단을 설치하여 전신주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신주는 도로 주변에 설치되는 경우, 자동차 사고에 의한 충격에 의해 체결부위의 이음부가 쉽게 파손되어 또 다른 안전사고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조립식 전신주로 사용되는 기둥들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고속으로 주행하는 자동차에 의해 그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 쉽게 휘어지는 현상을 나타내며, 휘어진 이후에는 상부에 설치된 변압수단이나 다른 기둥들의 무게의 중력에 의해 휘어진 방향으로 넘어지려는 힘이 작용하여 일정시간 이후에는 부러져 버리는 결과까지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9-24976호(2009.03.10) '조립식 전신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다수의 기둥들이 수직되게 설치된 전신주에 외부충격이 가해져도 휘어지거나 부러짐의 현상이 없는 안전한 전신주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는 하부가 타설된 지면에 고정설치되는 하부기둥과,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상기 하부기둥 상부에 수직되게 다수 설치되는 상부기둥과, 상기 하부기둥 상부에 다수 설치된 상기 상부기둥 최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수용가에 필요한 소비전력을 공급하는 변압수단의 진입방향에 따라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설치기둥 및 상기 하부기둥과 상기 상부기둥 간의 고정, 상기 하부기둥 상부에 다수 설치되는 상기 상부기둥들 간의 고정 및 상기 상부기둥과 상기 설치기둥 간의 고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기둥 또는 상기 상부기둥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야간에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기둥, 상기 상부기둥 및 상기 설치기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반사되도록 조명을 조사하는 보강기둥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기둥은 타설된 지면 내부에 삽입되며 상부가 지면에 일부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부기둥 상부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상기 상부기둥과 상기 설치기둥의 수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중심추 역할을 하는 기초지지물과, 상기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기초지지물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하부기둥이 형상맞춤으로 삽입설치되어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끼움공이 형성된 지지판과, 소정의 지름 폭을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 외면은 상기 끼움공에 삽입설치되며 상부에는 상기 상부기둥이 상기 보강기둥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보강기둥이 삽입설치되는 제1삽입홈과, 각각의 상기 제1삽입홈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이웃하도록 상기 하부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홈 내부와 연통되게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삽입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된 제1체결홈과, 상기 제1삽입홈 내벽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보강기둥을 통해 조사되는 조명이 난 반사하여 상기 하부몸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반사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기둥은 외경이 상기 하부몸체와 동일한 지름 폭을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면은 상기 하부몸체 상면과 면 접촉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다수 설치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 상부 및 하부에 서로 대칭되게 이웃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 간의 고정 또는 상기 하부몸체 상부에 다수 구비되는 상기 상부몸체들 간의 고정을 위한 상기 보강기둥이 삽입설치되는 제2삽입홈과,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된 한 쌍의 상기 제1삽입홈 사이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각각 상기 제2삽입홈 내부와 연통되게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삽입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2체결홈과,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된 한 쌍의 상기 제2삽입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벽에 구비되며 상기 보강기둥을 통해 조사되는 조명이 난 반사하여 상기 상부몸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2반사체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기둥은 기둥부재 및 회전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기둥부재는 하부 외경이 상기 상부몸체와 동일한 지름 폭을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면은 상기 하부몸체 상부에 상기 보강기둥에 의해 고정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다수 설치된 상기 상부몸체들 중 최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몸체의 상면과 접하도록 설치되고 상부 외면에는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띠 형상의 결합홈이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 형성된 설치몸체와, 상기 설치몸체 하부에 상기 제2삽입홈과 수직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설치몸체 간의 고정을 위한 상기 보강기둥이 삽입설치되는 제3삽입홈과, 상기 제3삽입홈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설치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제3삽입홈 내부와 연통되게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삽입되는 제3관통공이 형성된 제3체결홈과, 상기 제3삽입홈 내벽에 구비되며 상기 보강기둥을 통해 조사되는 조명이 난 반사하여 상기 설치몸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3반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분리 가능한 두 분체가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링 형상을 갖도록 각각의 상기 결합홈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에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돌출형성되며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가이드돌기와, 일측에 상기 가이드돌기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변압수단이 설치되는 설치바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기둥은 각각의 상기 제1삽입홈, 상기 제2삽입홈 및 상기 제3삽입홈에 형상맞춤으로 삽입설치되도록 소정의 지름 폭을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 보강몸체와,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하부몸체, 상기 상부몸체 및 상기 설치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몸체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보강몸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노출홈과, 상기 노출홈 내벽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고정설치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수단과, 상기 조명수단에 외부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몸체에 천공형성된 전원연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몸체는 상기 제1삽입홈, 상기 제2삽입홈 및 상기 제3삽입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벽과 서로 면 접촉하지 않게 간극이 형성되도록 삽입설치되어 상기 조명수단을 통해 조사되는 조명이 상기 제1반사체, 상기 제2반사체 및 상기 제3반사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난 반사하여 상기 하부몸체, 상기 상부몸체 및 상기 설치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하부몸체, 상부몸체 및 설치몸체가 지면에서 수직되게 서로 고정하는 기둥형상의 보강몸체를 사용함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전신부가 부러지거나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설치몸체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체가 상기 설치몸체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전신주 방향으로 진입하는 변압수단 특히, 전선의 진입방향에 따라 용이하게 회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보강몸체에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조명수단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야간에 일반인들의 시각적 호기심을 유발하는 경관조명의 활용은 물론, 운전자에게 전신주의 위치를 식별가능하게 하는 경고등의 역할도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전신주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인 하부기둥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의 하부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대한 A-A'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의 상부기둥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대한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대한 B-B'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의 설치기둥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대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의 기둥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의 회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의 보강기둥을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의 보강기둥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의 결합공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의 노출홈에 대한 다른 실시예.
도 17 및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이하, 간략하게 '전신주'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1)는 크게 하부기둥(100), 상부기둥(200), 설치기둥(300) 및 보강기둥(400)을 포함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부기둥(10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가 타설된 지면(G)에 고정삽입되며, 후술하는 상부기둥(200) 및 설치기둥(300)이 상부에 수직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지면(G)에서 소정의 높이를 갖는 기둥형상의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1)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부몸체(111), 제1삽입홈(112), 제1체결홈(113), 제1관통공(114), 제1반사체(115), 기초지지물(116) 및 지지판(117)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몸체(111)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지름 폭을 갖는 원형의 기둥형상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하부는 지지판(117)에 형성된 끼움공(118)에 삽입되어 지면에 상기 지지판(117)과 함께 고정설치된다. 이때, 하부몸체(111)는 후술하는 제1삽입홈(112)이 상기 하부몸체(111) 내측으로 다수 돌출형성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된 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삽입홈(112)은 하부몸체(111) 외면에 소정의 지름 폭을 갖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보강몸체(411) 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삽입홈(112)의 수직길이는 보강몸체(411)의 상면에서 후면까지의 전체길이 중 절반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보강몸체(411) 하부는 제1삽입홈(112)에 삽입설치되고, 상부는 상부몸체(211)의 하부에 형성된 제2삽입홈(212)에 삽입설치되어 하부몸체(111)와 상부몸체(211)가 보강몸체(411)에 의해 서로 고정 및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삽입홈(112)은 하부몸체(111)에 적어도 둘 이상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부몸체(211)와 고정력을 높이도록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몸체(111)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하부몸체(111)와 상부몸체(211) 간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1체결홈(113)은 제1삽입홈(112)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부몸체(111)에 형성되며, 작업자가 공구 등을 이용하여 제1관통공(114)에 관통삽입된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P)을 조이거나 풀어 제1삽입홈(112)에 삽입설치된 보강몸체(411)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관통공(114)은 제1삽입홈(112)과 제1체결홈(113)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하부몸체(111)에 천공형성되어 제1삽입홈(112)에 삽입설치된 보강몸체(411)가 체결수단(P)에 의해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반사체(115)는 제1삽입홈(112) 내벽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1삽입홈(112)에 고정설치되는 보강기둥(400)에 구비된 조명수단(415)에서 조사되는 조명이 난 반사에 의해 육안으로 식별될 수 있도록 조사되어 야간에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1) 외부에서 일반인이나 운전자 등에게 경관조명이나 전신주(1)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리는 경고등의 효과를 갖도록 한다.
또한 지지판(117)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기초지지물(116) 상부에 체결수단(P)으로 고정설치되며, 상부에는 하부몸체(111) 외면이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끼움공(118)이 형성된 돌출부가 소정의 지름 폭을 갖도록 돌출형성된다. 이때, 돌출부 외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끼움공(118)을 통해 관통삽입된 하부몸체(111)와 지지판(117) 간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체결수단이 관통삽입되는 체결공이 방사상으로 다수 천공형성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하부몸체(111) 외면을 가압하거나 또는 관통삽입되어 끼움공(118)에 삽입설치된 하부몸체(111)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초지지물(116)은 지지판(117) 하부와 체결수단(P)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 재질로 응고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타설된 지면에 소장의 깊이를 갖도록 삽입설치되어 지지판(117)에 관통삽입된 하부몸체(111)는 물론, 상기 하부몸체(111) 상부에 수직되게 기둥형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상부기둥(200) 및 설치기둥(300) 등이 수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기초지지물(116)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면에 다수의 지지침(미도시)이 가지 형태로 돌출형성되도록 타설된 지면에 삽입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1)의 수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지지판(117)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상면이 지면에 일부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기둥(200)은 도 2 및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설된 지면에 고정되도록 삽입설치된 하부기둥(100) 상부에 다수가 수직되게 적층형성되어 후술하는 설치기둥(300)에 구비된 변압수단(T)이 상공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부몸체(211), 제2삽입홈(212), 제2체결홈(213) 및 제2반사체(2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몸체(211)는 소정의 지름 폭을 갖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대칭되게 제2삽입홈(212)이 형성되어 하부몸체(111) 상부에 다수가 수직되게 적층된다. 이때,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의 상부몸체(211)는 설치기둥(300)이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하부몸체(111) 상부에 다수가 수직되게 적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를 갖는 하나의 상부몸체(211)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삽입홈(212)은 상술한 제1삽입홈(112)과 수직방향으로 대향되게 상부몸체(211)의 외면에 형성되어 보강기둥(400)에 의해 하부몸체(111)와 상부몸체(211) 또는 하부몸체(111) 상부에 다수 적층 구비되는 상부몸체(211)들 간에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2삽입홈(212)은 상부몸체(211)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도록 대칭되게 한 쌍이 형성되어 하부몸체(111) 또는 다른 상부몸체(211)가 보강기둥(400)에 의해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체결홈(213)은 한 쌍으로 형성된 제2삽입홈(212)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부몸체(211)에 형성되며, 작업자가 공구 등을 이용하여 제2관통공(214)에 관통삽입된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P)을 조이거나 풀어 제2삽입홈(212)에 삽입설치된 보강몸체(411)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관통공(214)은 제2삽입홈(212)과 제2체결홈(213)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상부몸체(211)에 천공형성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제2삽입홈(212)에 각각 삽입설치된 보강몸체(411)가 체결수단(P)에 의해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반사체(215)는 제2삽입홈(212) 내벽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2삽입홈(212)에 고정설치되는 보강기둥(400)에 구비된 조명수단(415)에서 조사되는 조명이 난 반사에 의해 육안으로 식별될 수 있도록 조사되어 야간에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1) 외부에서 일반인이나 운전자 등에게 경관조명이나 전신주(1)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리는 경고등의 효과를 갖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기둥(300)은 도 2 및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비전력이 필요한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변압수단(T)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변압수단(T)의 파손이나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를 갖게 하부기둥(100) 상부에 다수 적층 구비된 상부기둥(20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기 위한 구성으로 크게 기둥부재(310) 및 회전부재(320)를 포함한다. 이때, 변압수단(T)은 발전소 등에서 인가되는 고 전력 사용가능한 소비전력으로 변환하는 변압기(미도시)나 발전소와 변압기 또는 변압기와 수용가(주택)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케이블 형태로 설치되는 전선 내지는 상기 전선이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1)에 안전하게 설치되기 위한 통상의 애자(T2) 등을 의미한다.
여기서, 기둥부재(310)는 하부몸체(111)에 수직되게 다수 설치된 상부몸체(211) 최상부에 고정설치되기 위한 구성이며, 설치몸체(311), 제3삽입홈(312), 제3체결홈(313), 제3결합공(412) 및 제3반사체(315)를 포함한다.
예컨대, 설치몸체(311)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지름 폭을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부몸체(111) 상부에 다수 수직되게 설치된 상부몸체(211) 중 최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몸체(211)의 상부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설치몸체(311) 외면에는 후술하는 회전체(321)가 결합한 이후에 상기 회전체(321)가 결합한 위치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1)로 진입하는 변압수단(T)의 진입방향에 따라 다른 변압수단(T)들 간에 서로 간섭을 주지 않게 띠 형태의 결합홈(316)이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3삽입홈(312)은 설치몸체(311)가 구비되는 상부몸체(211)의 상부에 형성된 제2결합홈(316)과 수직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몸체(311) 하부 외면에 다수 형성되어 설치몸체(311)와 상부몸체(211)를 서로 고정결합하는 보강몸체(4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술한 제1삽입홈 및 제2삽입홈(212)을 포함한 제3삽입홈(312) 각각의 수직길이는 동일한 수직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보강몸체(411)의 수직길이에 절반을 넘지 않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미리 정해진 수직길이를 갖는 보강몸체(411)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수단(P)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3체결홈(313)은 제3삽입홈(312) 상부에 소정거리 이웃하도록 형성되며, 작업자가 공구 등을 이용하여 제3관통공(314)에 관통삽입된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P)을 조이거나 풀어 제3삽입홈(312)에 삽입설치된 보강몸체(411)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제3관통공(314)은 제3삽입홈(312)과 제3체결홈(313)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설치몸체(311)에 천공형성되어 제3삽입홈(312)에 삽입설치된 보강몸체(411)가 체결수단(P)에 의해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제3반사체(315)는 제3삽입홈(312) 내벽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3삽입홈(312)에 고정설치되는 보강몸체(411)에 구비된 조명수단(415)에서 조사되는 조명이 난 반사에 의해 육안으로 식별될 수 있도록 조사되어 야간에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1) 외부에서 일반인이나 운전자 등에게 경관조명이나 전신주(1)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리는 경고등의 효과를 갖도록 한다.
또한 회전부재(320)는 수용가에 소비전력을 공급하는 변압수단(T)의 진입방향에 따라 회전가능하게 기둥부재(310)에 설치되고자 하는 구성이며, 회전체(321), 가이드돌기(322) 및 설치바(324)를 포함한다.
예컨대, 회전체(321)는 설치몸체(311)에 형성된 결합홈(316)에 설치 가능하도록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작업자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분리가능한 호(弧) 형상의 두 분체가 체결수단(P)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회전체(321)는 내면이 결합홈(316)에 삽입 및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기둥(300)에 설치되어 변압수단(T)의 진행 방향에 따라 결합홈(316)의 형상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회전체(321)는 설치몸체(311)에 다수 설치 시에 여러 방향에서 진입하는 변압수단(T)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케이블 연결될 수 있도록 후술하는 설치바(324)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된다.
예컨대, 가이드돌기(322)는 회전체(321) 외면과 이어지게 외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후술하는 설치바(324)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예컨대, 설치바(324)는 상술한 가이드돌기(322) 외면을 감싸도록 삽입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며, 상부에는 변압수단(T)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기둥(400)은 도 2 및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몸체(111)와 상기 하부몸체(111) 상부에 다수 적층되게 구비되는 상부몸체(211)들 간의 고정 및 다수 적층된 최상부의 상부몸체(211)와 설치몸체(311) 간의 고정을 비롯하여 야간에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다 조명을 조사하고, 외부충격이 발생시에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1)가 부러지지 않도록 그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구성으로 보강몸체(411), 결합공(412), 노출홈(413), 전원연결공(414) 및 조명수단(415)을 포함한다.
여기서, 보강몸체(411)는 제1 내지 제3삽입홈(312)과 형상맞춤으로 삽입될 수 있게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부충격이 발생 시에 그 충격을 흡수 또는 견뎌낼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횡단면이 채워진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때, 보강몸체(411)는 제1 내지 제3삽입홈(312)에 삽입설치 시에 그 외면이 하부몸체(111), 상부몸체(211) 및 설치몸체(311)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전신주(1)의 부식이나 습기,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마감재(미도시)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립식으로 도로나 보도 등의 실외에 설치되는 전신주(1)는 그 특성상 결합부위에 틈새가 생기게 되며, 이러한 틈새를 통해 우천 시의 습기 또는 차량의 배기가스에 의한 이물질 등이 유입될 수 있어 마감재를 이용하여 그 틈새를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하여, 보강몸체(411) 외면이 제1 내지 제3삽입홈(312)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면 마감재와 전신주(1) 간에 이격이 발생하게 되고, 이 이격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습기나 이물질 등은 다시 틈새로 유입되어 전신주(1)의 부식을 초래하게 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삽입홈(312)에 삽입설치된 보강몸체(411)의 외면이 전신주(1)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함으로써, 틈새로 유입될 수 있는 습기나 이물질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보강몸체(411)는 제1 내지 제3삽입홈(312)에 삽입설치 시에 외면이 제1 내지 제3삽입홈(312) 내벽과 접하지 않도록 삽입설치되어 노출홈(413)을 통해 조사되는 조명수단(415)의 조명이 제1 내지 제3반사체(315)에 반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공(412)은 보강몸체(411)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되어 제1 내지 제3삽입홈(312)에 삽입설치된 보강몸체(411)가 체결수단(P)에 의해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결합공(412)은 보강몸체(411) 상면과 하면에 각각 다수 형성되어 하부몸체(111), 상부몸체(211) 및 설치몸체(311)와 체결수단(P)에 의해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고정력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출홈(413)은 보강몸체(411)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조명수단(415)을 통해 조사되는 조명이 제1 내지 제3반사체(315)에 난 반사되어 야간에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노출홈(413)은 보강몸체(411) 외면에 다수 형성되며, 각각의 노출홈(413)에 조명수단(415)이 조명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색상의 조명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조명수단(415)에 고장이 발생하여도 조명을 외부에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원연결공(414)은 보강몸체(411) 외면에 천공형성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케이블이 관통삽입되어 보강몸체(411) 내부에 형성된 조명수단(415)의 조명이 발광할 수 있도록 전원을 인가시킨다.
또한 조명수단(415)은 전원연결공(414)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조명을 조사할 수 있도록 노출홈(413) 내벽에 구비되어 제1 내지 제3반사체(315)에 조명을 조사한다. 이때, 조명수단(415)은 조명을 조사 시에 발열이 적고, 설치가 간편한 표면실장형엘이디(SMD)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1)의 조립 및 작용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설된 지면(G)에 상부가 일부 노출될 수 있도록 기초지지물(116)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지면에 일부 노출된 기초지지물(116) 상부에 체결수단(P)을 통하여 지지판(117)을 고정 결합한다.
그 다음, 하부몸체(111)의 하부를 지면에 설치된 지지판(117) 상부의 끼움공(118)에 삽입하고, 그 이음부를 용접하거나 체결수단(P)을 통해 삽입된 하부몸체(111)를 지지판(117)에 고정설치한다. 이때, 지지판(117)의 끼움공(118)에 삽입설치되는 하부몸체(111)는 작업저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제1삽입홈(112) 또는 제1체결홈(113)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하부몸체(111) 외면에 다수 형성된 각각의 제1삽입홈(112)에 보강몸체(411)를 수직길이방향으로 삽입하고, 제1관통공(114)을 통해 보강몸체(411) 하부에 형성된 결합공(412)에 체결수단(P)이 삽입되도록 설치하고, 공구가 인입되는 제1체결홈(113)을 통해 상기 체결수단(P)을 조여 보강몸체(411)와 하부몸체(111)가 서로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보강몸체(411)는 일측에 형성된 노출홈(413)이 제1반사체(115)를 바라보도록 고정설치하여 노출홈(413)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조명수단(415)의 조명이 제1반사체(115)에 난 반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상부몸체(211)의 하부에 형성된 제2삽입홈(212)을 통해 하부몸체(111)에 고정설치된 보강몸체(411)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제2관통공(214)을 통해 보강몸체(411)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412)에 체결수단(P)을 삽입하고, 상기 체결수단(P)을 조일 수 있도록 공구 등을 제2체결홈(213)에 인입시켜 보강몸체(411)를 통해 상부몸체(211)와 하부몸체(111)가 서로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 하부몸체(111) 상부에 고정설치된 상부몸체(211)의 상부에 형성된 제2삽입홈(212)에 다른 보강몸체(411)의 하부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보강몸체(411) 상부에 다른 상부몸체(211)를 고정하는 반복작업을 통해 지면에 고정설치된 하부몸체(111) 상부에 다수의 상부몸체(211)가 적층되도록 보강몸체(411)에 의해 고정되어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수직되게 설치되도록 한다.
그 다음, 하부몸체(111) 상부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상부몸체(211)에 고정설치된 보강몸체(411)가 설치몸체(311) 외면에 형성된 제3삽입홈(3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3삽입홈(312)에 삽입설치된 보강몸체(411)의 결합공(412)에 체결수단(P)이 삽입되도록 제3관통공(314)에 상기 체결수단(P)을 삽입하고, 작업자는 제3체결홈(313)에 공구를 인입하여 체결수단(P)을 조임으로써, 상부몸체(211)와 설치몸체(311)가 서로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 설치몸체(311)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다수 형성된 결합홈(316) 각각에 회전체(321)를 설치하며, 상기 회전체(321)는 변압수단(T) 특히, 전선(T1)의 진입방향에 맞게 결합홈(316) 내에서 회전하여 설치몸체(311)에 고정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1)가 설치된 지점으로 진입하는 변압수단(T)의 진행방향에 따라 가이드돌기(322)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바(324)를 적절히 이동하여 체결수단(P)에 의해 고정설치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1)의 조립이 마무리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하부몸체(111), 상부몸체(211) 및 설치몸체(311)가 지면에서 수직되게 서로 고정하는 기둥형상의 보강몸체(411)를 사용함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전신주(1)가 부러지거나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설치몸체(311)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체(321)가 상기 설치몸체(311)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전신주(1) 방향으로 진입하는 변압수단(T) 특히, 전선의 진입방향에 따라 용이하게 회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보강몸체(411)에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다 조명수단(415)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야간에 일반인들의 시각적 호기심을 유발하는 경관조명의 활용은 물론, 운전자에게 전신주(1)의 위치를 식별가능하게 하는 경고등의 역할도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
100: 하부기둥 111: 하부몸체
112: 제1삽입홈 113: 제1체결홈
114: 제1관통공 115: 제1반사체
116: 기초지지물 117: 지지판
118: 끼움공 200: 상부기둥
211: 상부몸체 212: 제2삽입홈
213: 제2체결홈 214: 제2관통공
215: 제2반사체 300: 설치기둥
310: 기둥부재 311: 설치몸체
312: 제3삽입홈 313: 제3체결홈
314: 제3관통공 315: 제3반사체
316: 결합홈 320: 회전부재
321: 회전체 322: 가이드돌기
323: 체결공 324: 설치바
325: 안내홈 400: 보강기둥
411: 보강몸체 412: 결합공
413: 노출홈 414: 전원연결공
415: 조명수단 G: 지면
P: 체결수단 T: 변압수단
T1: 전선 T2: 애자

Claims (1)

  1. 하부가 타설된 지면(G)에 고정설치되는 하부기둥(100);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상기 하부기둥(100) 상부에 수직되게 다수 설치되는 상부기둥(200);
    상기 하부기둥(100) 상부에 다수 설치된 상기 상부기둥(200) 최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수용가에 필요한 소비전력을 공급하는 변압수단(T)의 진입방향에 따라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설치기둥(300); 및
    상기 하부기둥(100)과 상기 상부기둥(200) 간의 고정, 상기 하부기둥(100) 상부에 다수 설치되는 상기 상부기둥(200)들 간의 고정 및 상기 상부기둥(200)과 상기 설치기둥(300) 간의 고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기둥(100) 또는 상기 상부기둥(200)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체결수단(P)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야간에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기둥(100), 상기 상부기둥(200) 및 상기 설치기둥(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반사되도록 조명을 조사하는 보강기둥(400);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기둥(100)은 타설된 지면 내부에 삽입되며 상부가 지면에 일부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하부기둥(100) 상부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상기 상부기둥(200)과 상기 설치기둥(300)의 수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중심추 역할을 하는 기초지지물(116)과, 상기 체결수단(P)을 통해 상기 기초지지물(116)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하부기둥(100)이 형상맞춤으로 삽입설치되어 상기 체결수단(P)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끼움공(118)이 형성된 지지판(117)과, 소정의 지름 폭을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 외면은 상기 끼움공(118)에 삽입설치되며 상부에는 상기 상부기둥(200)이 상기 보강기둥(400)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하부몸체(111)와, 상기 하부몸체(111)의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 형성되며 상기 보강기둥(400)이 삽입설치되는 제1삽입홈(112)과, 각각의 상기 제1삽입홈(112)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이웃하도록 상기 하부몸체(111)에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홈(112) 내부와 연통되게 상기 체결수단(P)이 관통삽입되는 제1관통공(114)이 형성된 제1체결홈(113)과, 상기 제1삽입홈(112) 내벽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보강기둥(400)을 통해 조사되는 조명이 난 반사하여 상기 하부몸체(111)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반사체(115)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기둥(200)은 외경이 상기 하부몸체(111)와 동일한 지름 폭을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면은 상기 하부몸체(111) 상면과 면 접촉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다수 설치되는 상부몸체(211)와, 상기 상부몸체(211)의 상부 및 하부에 서로 대칭되게 이웃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몸체(111)와 상기 상부몸체(211) 간의 고정 또는 상기 하부몸체(111) 상부에 다수 구비되는 상기 상부몸체(211)들 간의 고정을 위한 상기 보강기둥(400)이 삽입설치되는 제2삽입홈(212)과, 상기 상부몸체(211)에 형성된 한 쌍의 상기 제1삽입홈(112) 사이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각각 상기 제2삽입홈(212) 내부와 연통되게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삽입되는 제2관통공(214)이 형성된 제2체결홈(213)과, 상기 상부몸체(211)에 형성된 한 쌍의 상기 제2삽입홈(2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벽에 구비되며 상기 보강기둥(400)을 통해 조사되는 조명이 난 반사하여 상기 상부몸체(211)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2반사체(215)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기둥(300)은 기둥부재(310) 및 회전부재(320)로 이루어지되 상기 기둥부재(310)는 하부 외경이 상기 상부몸체(211)와 동일한 지름 폭을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면은 상기 하부몸체(111) 상부에 상기 보강기둥(400)에 의해 고정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다수 설치된 상기 상부몸체(211)들 중 최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몸체(211)의 상면과 접하도록 설치되고 상부 외면에는 상기 회전부재(3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띠 형상의 결합홈(316)이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 형성된 설치몸체(311)와, 상기 설치몸체(311) 하부에 상기 제2삽입홈(212)과 수직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몸체(211)와 상기 설치몸체(311) 간의 고정을 위한 상기 보강기둥(400)이 삽입설치되는 제3삽입홈(312)과, 상기 제3삽입홈(312)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설치몸체(311)에 형성되며 상기 제3삽입홈(312) 내부와 연통되게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삽입되는 제3관통공(314)이 형성된 제3체결홈(313)과, 상기 제3삽입홈(312) 내벽에 구비되며 상기 보강기둥(400)을 통해 조사되는 조명이 난 반사하여 상기 설치몸체(311)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3반사체(315)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320)는 분리 가능한 두 분체가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링 형상을 갖도록 각각의 상기 결합홈(31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321)와, 상기 회전체(321)에 한 쌍이 서로 대칭되게 돌출형성되며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삽입되는 체결공(323)이 형성된 가이드돌기(322)와, 일측에 상기 가이드돌기(322)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홈(325)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상기 변압수단(T)이 설치되는 설치바(324)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기둥(400)은 각각의 상기 제1삽입홈(112), 상기 제2삽입홈(212) 및 상기 제3삽입홈(312)에 형상맞춤으로 삽입설치되도록 소정의 지름 폭을 갖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 보강몸체(411)와,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하부몸체(111), 상기 상부몸체(211) 및 상기 설치몸체(3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몸체(411)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된 결합공(412)과, 상기 보강몸체(411)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노출홈(413)과, 상기 노출홈(413) 내벽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고정설치되며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수단(415)과, 상기 조명수단(415)에 외부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몸체(411)에 천공형성된 전원연결공(414)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몸체(411)는 상기 제1삽입홈(112), 상기 제2삽입홈(212) 및 상기 제3삽입홈(3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벽과 서로 면 접촉하지 않게 간극이 형성되도록 삽입설치되어 상기 조명수단(415)을 통해 조사되는 조명이 상기 제1반사체(115), 상기 제2반사체(215) 및 상기 제3반사체(3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난 반사하여 상기 하부몸체(111), 상기 상부몸체(211) 및 상기 설치몸체(3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
KR1020150088959A 2015-06-23 2015-06-23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 KR101578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959A KR101578900B1 (ko) 2015-06-23 2015-06-23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959A KR101578900B1 (ko) 2015-06-23 2015-06-23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900B1 true KR101578900B1 (ko) 2015-12-18

Family

ID=55081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959A KR101578900B1 (ko) 2015-06-23 2015-06-23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9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617B1 (ko) 2007-08-14 2007-10-26 박혜숙 가공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617B1 (ko) 2007-08-14 2007-10-26 박혜숙 가공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25554A1 (en) Modular assembled outdoor lighting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light pole structure
US8931937B2 (en) Bollard light with internal compression support system
KR100684255B1 (ko) 가로등의 베이스플레이트 결합구조
KR101086489B1 (ko) 헤드의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가로등
KR101578900B1 (ko)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
KR100962237B1 (ko) 방음벽용 흡음형 칼라 광고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66451B1 (ko) 경사 조절 엘이디 등기구
KR20090050833A (ko) 다목적설치대
KR101173912B1 (ko) 분해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한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KR102099353B1 (ko) 강성보강 가로등
KR20160077629A (ko) 접지 및 방향표시 기능이 있는 케이블 트레이
KR200450792Y1 (ko) 3단 분리형 조립식 지주
KR200405952Y1 (ko) 전등용 덕트의 플랜지 구조
ITRM20000172A1 (it) Torre faro dotata di stazione radio base per telefonia mobile.
KR100725843B1 (ko) 배전선로 전주 조립체.
KR20220096929A (ko) 난간레일 결합용 led경관조명등
KR20120008696A (ko) 안전 난간 기둥
KR20170029873A (ko)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과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가로등주 및 이를 구비하는 가로등
KR100934431B1 (ko) 건축용 보행자 유도등
KR101163119B1 (ko) 등기구용 고정 브라켓
KR200367411Y1 (ko) 바닥매립형 비상유도등
CN101177982A (zh) 灯饰立柱
CN220567170U (zh) 模块化多功能组合杆
CN218234619U (zh) 建筑工程用安全防护设备
JP2009007871A (ja) パーティション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