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680B1 - Floating type combined structure combining a plurality of floating type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ors - Google Patents

Floating type combined structure combining a plurality of floating type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680B1
KR101578680B1 KR1020130165927A KR20130165927A KR101578680B1 KR 101578680 B1 KR101578680 B1 KR 101578680B1 KR 1020130165927 A KR1020130165927 A KR 1020130165927A KR 20130165927 A KR20130165927 A KR 20130165927A KR 101578680 B1 KR101578680 B1 KR 101578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floating body
rail
body fixing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9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77072A (en
Inventor
박기주
구윤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박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박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to KR1020130165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680B1/en
Publication of KR20150077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0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68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의 부유본체들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수면으로 전파되는 파동(예를 들어, 파도 등)에 대해 상기 부유본체들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가 결합된 부유식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태양전지모듈을 지지하며 수상에 부유하는 부유본체를 포함하는 태양광발전장치가 복수 개 결합된 부유식 결합구조체로서, 복수 개의 부유본체 각각의 모든 측면에서 상기 부유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형 삽입홈과; 상기 복수 개의 부유본체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부유본체에 구비되며 대향되게 배치되는 두 개의 레일형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두 개의 부유본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커플링부재;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가 결합된 부유식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system and method for easily connecting floating bodies of a plurality of floating photovoltaic apparatuses and capable of stably maintaining the coupled state of the floating bodies with respect to waves (e.g., wav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coupling structure to which a plurality of floating solar photovoltaic devices are combined.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ating coupling structure comprising a solar cell module and a plurality of photovoltaic devices supporting the solar cell module and including a floating body suspended on the water main body, A rail-shaped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And a plurality of floating members inserted into two rail-shaped insertion grooves provid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provided on two floating bodies adjacent to each other of the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the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connecting the two floating bodies To a floating coupling structure to which a photovoltaic device is coupled.

Description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가 결합된 부유식 결합구조체{FLOATING TYPE COMBINED STRUCTURE COMBINING A PLURALITY OF FLOATING TYPE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ORS}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coupling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loat solar photovoltaic devices are combined,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가 결합된 부유식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의 부유본체들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수면으로 전파되는 파동(예를 들어, 파도 등)에 대해 상기 부유본체들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가 결합된 부유식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coupling structure to which a plurality of float solar photovoltaic devices are combined, and which can easily combine floating bodies of a plurality of float solar photovoltaic devices and generate waves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coupling structure to which a plurality of float solar photovoltaic devices are coupled so as to stably maintain the state of engagement of the floating bodies with respect to the float.

에너지 문제와 결부되어 신재생 에너지의 개발 및 이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태양광 발전은 다른 에너지를 이용하는 발전 방법에 비해 설치 및 운영이 용이하고, 비교적 안정적인 발전전력의 확보가 가능하여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설치 및 운영 비중도 상대적으로 큰 편이다.The development and use of renewable energy is actively being done in conjunction with the energy problem. Among them, solar power generation is the most attracted to solar power generation because it is easy to install and operate,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relatively stable power generation power, compared to other power generation methods using other energy, and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proportion is also relatively large.

이러한 태양광 발전은 태양광을 받아 광전효과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와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발전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거나, 변승된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변환기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된다.Such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is constituted based on a solar cell that receives solar light and generates electric power by a photoelectric effect, and a converter that converts generated electric power produced by the solar battery into AC power or converts it into direct DC power.

이 태양광 발전은 타 발전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설치 및 운영이 용이하고 빠른 설치가 가능한 장점은 있으나, 발전량이 설치 면적에 비례하기 때문에 원하는 발전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설치 및 운영을 위한 부지의 확보가 필연적이다. 하지만, 입지조건에 부합하는 부지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This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is relatively easy to install and operate compared to other power generation methods, but it can be installed quickly. However, since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is proportional to the installation area, it is inevitable to secure a site for installation and operation to be. However, it is not easy to secure sites that meet site conditions.

이와 같은 어려움을 회피하여 발전부지를 확보하기 위해 건물의 벽면, 지붕 및 소규모 나대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소의 부지 확보가 가능해졌다. 그렇지만 이 역시 태양전지 구조물의 설치 및 이를 위한 설계의 어려움과 이로 인한 발전단가의 상승을 야기하고 있으며, 소규모 발전시설의 난립으로 인해 유지 관리의 어려움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강, 호수, 저수지와 같은 수상과 해상에 설치하여 운영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In order to avoid the difficulties and to secure the development site, the method of using the wall, roof and small scale of the building is used, and it is possible to secure some site. However, this also causes a difficulty in installing and designing a solar cell structure,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unit price of power generation, and the difficulty in maintenance due to the scarcity of a small power generation facility is increas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being sought to install and operate water and marine facilities such as rivers, lakes and reservoirs.

수상 및 해상 공간은 일부 공간만이 양식장 또는 레저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어, 육상부지에 비해 막대한 면적의 부지를 발전설비의 운영공간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It is anticipated that water and maritime space will be used as a farm or leisure space for only a part of the space.

하지만, 이러한 기대와는 달리 수상 및 해상 공간에 실제적으로 태양광 발전 설비가 설치되어 운영되는 비율을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왜냐하면, 태양광 발전은 태양광의 입사량이 변동되는 요인, 즉, 입사각의 변화, 구름과 같은 음영의 발생, 공기 중의 물 또는 먼지 입자와 같은 요인에 의해 발전량이 크게 변화한다. 그런데 수상 또는 해상에서는 이와 같이 태양광의 전지면 입사량을 저해하는 요소들이 육상에 비해 많으며 특히, 태양전지가 수면 또는 해면의 파동에 따라 요동하게 되어 발전량을 최적으로 유지하는게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더욱이, 복수의 태양전지 구조물을 수면(이하에서는 '수면'이라 함은 '강', '호수', '하천', '저수지'와 같은 '수상' 및 '해상'의 의미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에 안정정으로 부유시키는 것 또한 해상 태양광 발전의 운영을 곤란하게 하는 한 요인으로 작용한다.However, contrary to this expectation, the fact that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re actually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waterfront and sea areas is very low. This is because solar power generation greatly changes in the amount of generated power due to factors such as variations in the incidence of sunlight, that is, changes in incident angle, generation of shadows such as clouds, and factors such as water or dust particles in the air. However, in the case of water or sea, there are many factors that inhibit the incident light amount of solar light on the ground surface, especially solar cell is fluctuated according to the waves of water surface or sea surface, and it is very difficult to maintain optimal generation amount. Further, it is assumed that a plurality of solar cell structures include the meaning of 'water' and 'sea' such as 'sleep', 'lake', 'river', 'reservoir' ) Is also a factor that makes operation of marin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difficult.

특히, 수면에 부상하는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의 경우 지면설치형 태양광발전장치에 비해 수면 또는 해면의 파동이나 태풍 등의 자연현상 등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므로, 수면에 부상하는 부유체에 태양전지모듈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고정할 때 수면 또는 해면의 파동이나 태풍 등의 자연현상 등에 의한 외력에 대해서도 지지체와 부유체를 서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s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an external force due to natural phenomena such as waves of the surface of the sea surface or typhoons acts on the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as compared with the ground-mounted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supporting body and the float must be firmly fixed to external forces due to natural phenomena such as wave or sea waves or typhoons.

특히,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를 전체적으로 결합하여 수면 상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Particularly, a method for fixing a plurality of float solar photovoltaic devices together at a mounting position more stably on the water surface is being sought.

이를 위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의 결합구조체는 복수 개의 부유본체에 브라켓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되었다. To this end, a coupling structure of a plurality of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using a bracket or the like.

그러나, 이렇게 브라켓 등으로 복수 개의 부유본체를 연결하는 경우, 브라켓과 같은 연결수단은 진동이나 외력을 흡수하거나 상쇄하는 감쇠기능을 전혀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수면을 따라 전파되는 파동이나 강풍 등의 외력으로 인해 브라켓에 주기적인 스트레스를 가하게 되어 브라켓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고, 이로 인해 결합구조물의 연결이 용이하게 해제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 However, when a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are connected by a bracket or the like, the connecting means such as a bracket does not have any damping function for absorbing or canceling vibrations or external forces. Therefore, the external force such as waves or strong winds propagating along the water surface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bracket is easily broken due to periodic stress applied to the bracke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nection of the coupling structure is easily released.

또한, 브라켓 등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부유본체를 연결하는 경우, 브라켓을 설치위치에 안착한 후 체결용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거나 또는 리벳가공을 실행하여야 하는 설치상의 어려움이 존재하여 왔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의 결합구조체는 결합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Further, in the case of connecting a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by using a bracket or the like, there is a difficulty in installing the bracket by fastening bolts and nuts or by performing riveting after mounting the bracket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That is, the coupling structure of a plurality of floating solar cell device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that the coupling operation is not eas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ating solar photovoltaic device which solv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가 결합된 부유식 결합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Specific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ating coupling structure to which a plurality of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s capable of easily coupling a plurality of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s are combin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가 결합된 부유식 결합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ating coupling structure to which a plurality of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s capable of improv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a plurality of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s are combin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면으로 전파되는 파동(예를 들어, 파도 등) 또는 강풍 등의 외력에 대해 상기 부유본체들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유지보수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가 결합된 부유식 결합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stably maintaining the state of engagement of the floating bodies with respect to an external force such as a wave (e.g., a wave or the like) And to provide a floating coupling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loat solar photovoltaic devices are comb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태양전지모듈을 지지하며 수상에 부유하는 부유본체를 포함하는 태양광발전장치가 복수 개 결합된 부유식 결합구조체로서, 복수 개의 부유본체 각각의 모든 측면에서 상기 부유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형 삽입홈과; 상기 복수 개의 부유본체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부유본체에 구비되며 대향되게 배치되는 두 개의 레일형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두 개의 부유본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커플링부재;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가 결합된 부유식 결합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oating coupling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s including a solar cell module and a floating body that supports the solar cell module, A rail-shaped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at all sides of each of the floating bodies; And a plurality of floating members inserted into two rail-shaped insertion grooves provid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provided on two floating bodies adjacent to each other of the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the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connecting the two floating bodie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oating coupling structure in which a solar power generating device is combin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유본체는 네 개의 측면을 구비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loating body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four side surface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유본체는 정사각형 형상의 횡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preferably, the floating body has a cross-section of a square shap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형 삽입홈은 상기 부유본체의 상면 테두리부분에서부터 소정 깊이까지 두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형 삽입홈은, 상기 부유본체의 모서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폭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삽입부의 외측면에서부터 상기 부유본체의 모서리까지 연통되며 상기 제1 삽입부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 제2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a thickness direction from an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loating body to a predetermined depth,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floating body, And a second insertion portion communicat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to an edge of the floating body and formed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do.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플링부재는, 상기 레일형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레일형 삽입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며,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대향하는 두 개의 부유본체 고정부와; 양단부에서 상기 두 개의 부유본체 고정부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중간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upling member includes two floating body fixing portions inserted into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And an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for detachably fixing the two floating body fixing parts at both ends thereof.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연결부는, 상기 두 개의 부유본체 고정부가 대향하는 방향 및 상기 대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소정 범위만큼 탄성변형하도록 구성된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부유본체 고정부를 관통하여 고정하며, 소정의 길이의 나사산이 형성된 두 개의 체결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n elastic deforming portion configured to elastically deform by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directions in which the two floating body fixing portions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pposing direction; And two fastening end portion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lastic deforming portion and fixed through the floating body fixing por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연결부는, 상기 체결단부가 상기 부유본체 고정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부유본체 고정부의 내측 및 외측에서 상기 체결단부에 체결되는 내측 너트 및 외측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n inner nut and an outer nut which are fastened to the fastening end portion inside and outside the floating body fixing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fastening end portion passes through the floating body fixing portion .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유본체 고정부의 상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handle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loating body fixing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형 삽입홈은, 상기 부유본체의 모서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폭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삽입부의 외측면에서부터 상기 부유본체의 모서리까지 연통되며 상기 제1 삽입부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 제2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부재는, 상기 제1 삽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삽입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는 두 개의 부유본체 고정부와, 상기 제2 삽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두 개의 부유본체 고정부를 연결하며 소정 범위의 탄성변형하도록 구성된 중간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includes a first insertion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edge of the floating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ormed to be elongated in a widthwise direction of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second insertion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edge of the floating body and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wherein the coupl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portion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And an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two floating body fixing portions and configured to elastically deform in a predetermined rang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삽입부의 너비는 상기 부유본체 고정부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width of the first inserting portion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loating body fixing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플링부재는, 상기 중간연결부에 압축 탄성복원력이 가해지는 상태로 상기 레일형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upl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in a state where compression elastic restoring force is applied to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유본체는, 각각의 측면에서 반구형상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돌출부와, 상기 위치결정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loating body includes at least one positioning projection projecting hemispherically on each side, and at least one positioning groove having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ing projection .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유본체는, 일측면의 상부에서 상기 레일형 삽입홈의 양쪽에 각각 상기 위치결정돌출부를 구비하고, 일측면의 하부에서 상기 레일형 삽입홈의 양쪽에 각각 상기 위치결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일측면의 반대측면인 타측면의 상부에서 상기 레일형 삽입홈의 양쪽에 각각 상기 위치결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타측면의 하부에서 상기 레일형 삽입홈의 양쪽에 각각 위치결정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loating body includes the positioning projections on both sides of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at the upper portion of one side, and the positioning projection is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rail- Like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at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one side surface, and the positioning grooves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rail- And a crystal projection is provide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유식 결합구조체는 상기 부유식 결합구조체의 측면 전체를 둘러싸는 와이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loating coupling structure is coupled with a wire surrounding the entire side surface of the floating coupling structur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부유본체 각각의 모든 측면에는, 상기 와이어의 일정부분이 수용되는 와이어홈이 상기 부유본체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wire groove, in which a certain portion of the wire is accommodated,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on all sid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전술한 과제해결수단의 의하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의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결합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mbine a plurality of float solar photovoltaic devices.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mbine a plurality of float solar photovoltaic devices, thereby shortening the joining time,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bonding force between a plurality of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s.

또한, 본 발명은 수면으로 전파되는 파동(예를 들어, 파도 등) 또는 강풍 등의 외력에 대해 상기 부유본체들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유지보수비용을 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maintain the state of engagement of the floating bodies with respect to external forces such as waves (e.g., waves, etc.) or strong winds propagating to the water surface, and can provide maintenance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결합구조체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본체의 결합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본체 및 커플링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본체의 작동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loating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upled state of a float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loating body and a coupl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s of an operation state of a float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other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And certain features shown in the drawings are to be enlarged or reduced or simplified for ease of explanation, and the drawings and their components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se detai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결합구조체(20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loating coupling structure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결합구조물은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100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1000)는 서로 측면이 맞닿은 상태로 하나의 결합구조체(2000)로서 연결되어 있다.1 and 2, a floating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apparatuses 1000, and the plurality of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apparatuses 1000 Are connected as one coupling structure 2000 with their side surfaces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우선,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발전장치(1000)는, 수면 또는 수상에 부유하는 부유본체(200)와, 태양전지모듈(100)을 지지하는 고정부재(300)와, 상기 부유본체(200)와 상기 고정부재(300)를 고정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A solar cell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ating body 200 floating on a water surface or a water surface, a fixing member 300 supporting the solar cell module 100, And a coupling member for fixedly coupling the floating body 200 and the fixing member 300.

상기 부유본체(200)는 내부에 부력을 증가시키는 중공공간(200a)을 포함한다. 즉, 상기 부유본체(200)는 상면과 하면 사이에서 중공(中空)공간을 구비한다. The floating body 200 includes a hollow space 200a for increasing buoyancy therein. That is, the floating body 200 has a hollow sp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상기 부유본체(200)는 판형의 직육면체로 구성된다.The floating body 200 is formed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공공간(200a) 내에는, 스티로폼 등의 발포제로 구성된 부유부재가 충진될 수 있다.Preferably, a floating member composed of a foaming agent such as styrofoam may be filled in the hollow space 200a.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부에서 태양전지모듈(100)을 지지하고 하부에서 상기 부유본체(200)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The fixing member 30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solar cell module 100 at the upper portion and be fixed to the floating body 200 at the lower portion.

상기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1000)는 각각의 부유본체(200)의 측면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1000)는 각각의 부유본체(200)의 측면이 서로 맞닿아 있고, 이렇게 서로 맞닿아 있는 부유본체(200)들의 측면에는 커플링부재(500)가 결합되어 상기 서로 맞닿아 있는 (즉, 이웃한) 부유본체(200)들을 결합한다.The plurality of float solar photovoltaic devices 10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ide surfaces of the respective floating bodies 200.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float solar photovoltaic devices 1000 each have side surfaces of the respective floating bodies 200, and the coupling members 500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loating bodies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couple the floating bodies 200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e., adjacent to each other).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유식 결합구조체(2000)는 상기 부유식 결합구조체(2000)의 측면 전체를 둘러싸는 와이어(w)로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 개의 부유본체(200) 중 상기 부유식 결합구조체(2000)의 테두리영역에 배치되는 부유본체(200)들의 외측면들 전체를 와이어(w)로 둘러싼 후 와이어(w)에 인장력을 가하여 부유본체(200)들 사이의 상호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1, the floating coupling structure 2000 may be further coupled to a wire w that surrounds the entire side surface of the floating coupling structure 2000. As shown in FIG. That is, after all the outer surfaces of the floating bodies 200 disposed in the rim region of the floating coupling structure 2000 among the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200 are surrounded by the wires w,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wires w So that mutual coupling force between the floating bodies 200 can be improv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결합구조체(2000)에서 부유본체(200)들의 결합방식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upling the floating bodies 200 in the floating coupling structure 2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본체(200)의 결합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본체(200) 및 커플링부재(5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본체(200)의 작동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upled state of the floating bod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ating body 200 and a coupling member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A and 4B are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s of the floating bod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유본체(200)는 레일형 삽입홈(210)을 포함하고, 서로 이웃하여 측면이 맞닿아 있는 두 개의 부유본체(200)의 레일형 삽입홈(210)들은 서로 맞닿아 후술할 커플링부재(50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커플링부재(500)가 이웃하여 측면이 맞닿아 있는 두 개의 부유본체(200)의 레일형 삽입홈(210)들이 형성하는 삽입공간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두 개의 부유본체(200)를 결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나머지 다른 복수 개의 부유본체(200)들은 레일형 삽입홈(210)과 상기 레일형 삽입홈(210)에 삽입방식으로 장착되는 커플링부재(500)로 인해 서로 결합되어, 전체 복수 개의 부유본체(200)가 결합되는 부유식 결합구조체(2000)를 형성하게 된다.2, the floating body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il-shaped insertion groove 210, and two rail-shaped insertion grooves (not shown) of two floating bodies 200, 210 form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 coupling member 5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coupling member 500 has a rail shape of two floating bodies 200,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formed by the insertion grooves 210, thereby coupling the two floating bodies 200. In this way, the other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210 and the coupling member 500 which is inserted in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210 in an insertion manner, Thereby forming a floating coupling structure 2000 to which the floating bodies 200 are coupled.

커플링부재(50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기술하겠지만, 이후의 도 4에 대한 설명시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The coupling member 5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in the description of FIG. 4, although it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부유본체(200)는 네 개의 측면을 구비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복수 개의 부유본체(200)의 측면들을 서로 맞닿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floating body 2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four side surfaces. This is to bring the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200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부유본체(200)는 정사각형 형상의 횡단면을 구비한다. 즉, 상기 부유본체(200)는 평면도를 기준으로 정사각형 형상을 구비한다. 이로 인해, 부유식 결합구조체(2000)에서의 부유본체(200)의 위치에 무관하게 부유본체(200)를 동일한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부유본체(200)의 제조속도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floating body 200 has a square cross section. That is, the floating body 200 has a square shape with reference to a plan view. This makes it possible to manufacture the floating body 200 in the same shape irrespective of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body 200 in the floating coupling structure 2000 so that the manufacturing speed and productivity of the floating body 200 can be improved have.

그리고, 상기 부유본체(200)는 네 개의 측면 각각에서 레일형 삽입홈(210)과, 상기 부유본체(200)를 상하로 관통하는 소정 넓이의 관통개구부(230)를 포함한다.The floating body 200 includes a rail-shaped insertion groove 210 at each of four sides and a through-hole 230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passing through the floating body 200.

상기 레일형 삽입홈(210)은 상기 부유본체(200)의 모든 측면에서 상기 부유본체(200)의 두께 방향으로 소정 깊이까지 형성된다.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210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200 on all sides of the floating body 200.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형 삽입홈(210)은 상기 부유본체(200)의 상면 테두리부분에서부터 소정 깊이까지 두께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 삽입부(211)와 제2 삽입부(213)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210 is formed in a thickness direction from a top edge of the floating body 200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includes a first insertion portion 211 and a second insertion portion 213 .

상기 제1 삽입부(211)는, 상기 부유본체(200)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부유본체(200)의 중심쪽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폭(w1)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 삽입부(211)는 후술할 커플링부재(500)의 부유본체 고정부(510)가 삽입되는 부분이다.The first inserting portion 211 is formed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floating body 200 toward the center of the floating body 200 and is formed long in the lateral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width w1 do.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1 is a portion into which the floating body fixing portion 510 of the coupling member 5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상기 제2 삽입부(213)는, 상기 제1 삽입부(211)의 외측면에서부터 상기 부유본체(200)의 모서리까지 연통되며 상기 제1 삽입부(211)의 폭(w1)보다 작은 폭(w2)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삽입부(213)는 후술할 커플링부재(500)의 중간연결부(520)가 삽입되는 부분이다.The second inserting portion 213 is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floating body 200 from the outer side of the first inserting portion 211 and has a width w1 smaller than the width w1 of the first inserting portion 211 w2.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213 is a portion into which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520 of the coupling member 5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즉, 상기 레일형 삽입홈(210)은 평면도를 기준으로 할 때 전체적으로 'T'형상을 구비하며, 서로 이웃하는 부유본체(200)의 측면이 서로 맞닿을 때 상기 이웃하는 부유본체(200)의 레일형 삽입홈(210)들은 서로 맞닿아 평면도를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工'형상을 형성한다. 후술하겠지만, 커플링부재(500)는 서로 맞닿아 있는 레일형 삽입홈(210)들의 형상에 대응되게 평면도를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工'형상을 구비한다.In other words,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210 has a T shape as a whole when viewed from a plane view, and when the side surfaces of adjacent floating bodies 2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s 2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n overall shape based on the plan view.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oupling member 500 has an overall shape based on the plan view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s 210 contacting with each oth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형 삽입홈(210)은, 상기 제1 삽입부(211)의 너비(d)가 상기 부유본체 고정부(510)의 두께(t)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겠지만, 상기 커플링부재(500)가 상기 커플링부재(500)에 압축 탄성복원력이 가해지는 상태로 상기 레일형 삽입홈(210)에 삽입되어 이웃하는 부유본체(200)의 측면들을 서로 대향되게 잡아당기게 하므로, 상기 커플링부재(500)의 레일형 삽입홈(210)에의 삽입시 삽입과정을 용이하게 하고, 동시에 후술하겠지만 커플링부재(500)의 전체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내측 너트(531)와 외측 너트(533)를 회전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함이다.The width d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1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t of the floating body fixing portion 510. In this case, As described below, the coupling member 500 is inserted into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210 in a state in which the compression elastic restoring force is applied to the coupling member 500,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adjacent floating body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insertion of the coupling member 500 into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210 is facilitated and at the same time, an inner nut (not shown) for adjusting the overall length of the coupling member 500 531 and the outer nut 533 can be rotated.

상기 부유본체(200)는, 각각의 측면에서 반구형상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돌출부와, 상기 위치결정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홈(250)을 구비한다.The floating body 200 includes at least one positioning projection 250 projecting in a hemispherical shape on each side and at least one positioning groove 250 having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ing projection .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유본체(200)는, 일측면의 상부에서 상기 레일형 삽입홈(210)의 양쪽에 각각 상기 위치결정돌출부를 구비하고, 일측면의 하부에서 상기 레일형 삽입홈(210)의 양쪽에 각각 상기 위치결정홈(250)을 구비하고, 상기 일측면의 반대측면인 타측면의 상부에서 상기 레일형 삽입홈(210)의 양쪽에 각각 상기 위치결정홈(250)을 구비하고, 상기 타측면의 하부에서 상기 레일형 삽입홈(210)의 양쪽에 각각 상기 위치결정돌기(240)를 구비한다.2 to 4B, the floating body 200 includes the positioning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210 at the upper portion of one side surface thereof,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210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with the positioning groove 250 on both sides of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210, an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ther side, And the positioning protrusions 24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210 at a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surface.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결정돌기(240)와 상기 위치결정홈(250)을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부유본체(200)의 결합작업을 실시할 때 서로 맞닿는 레일형 삽입홈(210)이 서로 정확하게 대향되도록 할 수 있어 결합작업(예를 들어, 부유본체(200) 정렬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상기 위치결정돌기(240)와 상기 위치결정홈(250)이 서로 이웃하는 부유본체(200)들 사이에서 측방향(즉, 좌우방향) 이탈에 대해 구속하고 및/또는 상하방향에 대한 소정의 범위로 구속하므로 커플링부재(500)에 집중되는 결합력을 완화하여 커플링부재(500)의 수명을 향상시키면서 복수 개의 부유본체(200) 전체의 결합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4A, the positioning protrusions 240 and the positioning grooves 25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plurality of the floating bodies 20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alignment protrusions 240 and the positioning recesses 250 can be easily align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engaging operation can be facilitated The coupling force concentrated on the coupling member 500 is relaxed because the coupling member 500 is constrained to the lateral (i.e., lateral) departure from the adjacent floating bodies 200 and restrains to a predetermined rang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upling force of the whole of the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200 can be improved while improving the life of the coupling member 500.

또한,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으로 전파되는 파동(예를 들어, 파도 등) 또는 강풍 등의 외력에 대해 부유본체(200)들이 상하로 요동칠 때도 반구형 형상의 특성상 복수 개의 부유본체(200)가 소정 범위 내에서 상하로 진동한 후 다시 부유본체(200)의 수평위치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부유본체(200)들이 부유식 결합구조체(20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위치 이탈로 인한 부유본체(200) 파손이 방지되어 유지보수비용을 할 수 있다. 4B, when the floating bodies 200 swing up and down against external forces such as waves (e.g., waves) or strong winds propagating to the water surface, due to the nature of hemispherical shape, The floating body 2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floating coupling structure 2000 since the floating body 200 can be guided to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floating body 200 again after vibrating up and dow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Can be stably maintained. As a result, breakage of the floating body 200 due to dislocation can be prevented, and the maintenance cost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부유본체(200) 각각의 모든 측면에는, 와이어(w)의 일정부분이 수용되는 와이어홈(260)이 상기 부유본체(200)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서 구비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부유식 결합구조체(2000)의 측면 전체를 둘러싸는 와이어(w)가 수용되는 홈으로서 수면으로 전파되는 파동(예를 들어, 파도 등) 또는 강풍 등의 외력이 부유식 결합구조체(2000)에 작용하더라도 와이어(w)가 부유본체(200)의 측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부유식 결합구조체(2000)의 결합력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A wire groove 260 accommodating a certain portion of the wire w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200 on all sid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200. This is because the external force such as a wave (for example, a wave or the like) propagating to the water surface as a groove in which the wire w surrounding the entire side surface of the floating coupling structure 2000 is accommodated The wire w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floating body 200 even if it acts on the coupling structure 2000 and the coupling force of the floating coupling structure 2000 can be further improved.

그리고, 부유본체(200)는 상기 부유본체(200)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도록 구성된 관통개구부(230)를 구비한다. 상기 관통개구부(230)는 소정의 넓이(즉, 소정의 표면적)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관통개구부(230)는 상기 부유본체(200)에 복수 개 구비될 수도 있다.The floating body 200 has a through opening 230 configured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loating body 200. The through openings 230 are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i.e., a predetermined surface area). The plurality of penetrating openings 230 may be provided in the floating body 200.

종래기술에 따른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1000)의 부유본체(200)는 관통개구부(230)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수면을 따라 전달되는 수면파동을 저감시키지 못하고 그대로 전달받아 수면파동 등이 발생하는 경우 부유본체(200)의 부유상태가 안정화되지 못하고, 부유본체(200) 전체가 수면을 모두 덮고 있어 부유본체(200) 하부에 위치하는 수면 및 수중에는 산소공급면적이 전혀 존재하지 않아 이렇나 부유본체(200)가 수면 상에 상당히 많은 수 설치되는 경우 심각한 수중오염이 야기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The floating body 200 of the floating solar cell 100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not provided with the penetrating opening 230 and can transmit the water waves transmitted along the water surface without being reduced, The floating state of the floating body 200 can not be stabilized and the entire floating body 200 covers the entire surface of the water so that there is no oxygen supply area in the water surface and water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floating body 200, There is a problem that if the floating body 200 is installed in a considerably large number on the water surface, serious water pollution is caused.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1000)의 부유본체(200)는 관통개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수면을 따라 전달되는 수면파동이 관통개구에서 저감되어 부유본체(200)의 부유상태를 지속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고, 동시에 부유본체(200)가 수면 상에 여러대 설치되더라도 관통개구를 통하여 수면 및 수중에 산소공급면적이 확보될 수 있으므로 수중오염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2, since the floating body 200 of the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through-hole opening, the surface wave transmitted along the water surface is reduced at the through-hole The floating state of the floating body 200 can be continuously stabilized and at the same time, even if several floating units 200 are provided on the water surface, the oxygen supply area can be secured in the water surface and water through the through openings, .

즉, 관통개구부(230)로 인해, 본 발명은 부유본체(200)에 외력으로 작용하는 수면의 파동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어 부유본체(200)의 부유상태를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고, 동시에 수면이 대기와 접촉할 수 있도록 수면을 대기 중에 노출시키는 수면 노출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수면에 산소 공급 부족으로 인한 수상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due to the penetration opening 230,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wave resistance of the water surface acting as an external force on the floating body 200, thereby stabilizing the floating state of the floating body 20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xposed surface area of the water surface for exposing the water surface to the atmospher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atmosphere, thereby preventing water contamination due to insufficient oxygen supply to the water surfac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부재(500)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5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member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링부재(500)는 상기 복수 개의 부유본체(200)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부유본체(200)에 구비되며 대향되게 배치되는 두 개의 레일형 삽입홈(210)에 삽입되어 상기 두 개의 부유본체(200)를 연결한다.5, the coupling member 500 includes two rail-shaped insertion grooves 210 which are provided in two floating bodies 200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200 and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So that the two floating bodies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구체적으로, 상기 커플링부재(500)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되는 두 개의 부유본체 고정부(510)와, 상기 두 개의 부유본체 고정부(510)를 연결하는 중간연결부(5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부재(500)는 전체적으로 '工'형상을 구비한다.Specifically, the coupling member 500 includes two floating body fixing portions 5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520 connecting the two floating body fixing portions 510, . In addition, the coupling member 500 has an overall shape.

상기 부유본체 고정부(510)는 상기 레일형 삽입홈(210)에 삽입되고, 상기 레일형 삽입홈(210)(즉, 제1 삽입부(21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부유본체 고정부(510)는 직사각형 금속블록으로 구성된다. The floating body fixing portion 510 is inserted into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210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210 (i.e.,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1). The floating body fixing portion 510 is formed of a rectangular metal block.

상기 부유본체 고정부(510)의 상부에는 손잡이(513)가 구비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가 부유본체 고정부(510)의 레일형 삽입홈(210)에의 삽입과정을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 handle 513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loating body fixing portion 510. Therefore, the worker can more easily and safely carry out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floating body fixing portion 510 into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210.

상기 부유본체 고정부(510)의 양면 중에서 상기 중간연결부에 가까이 위치하는 일측면(즉, 양면 중 내측면)에는, 마찰력 증대부(515)가 구비된다. 이렇게 마찰력 증대부(515)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일측면은 레일형 삽입홈을 가압하는 부분이고 마찰력 증대부로 인해 부유본체 고정부와 레일형 삽입홈 사이에 마찰력이 상당히 증가되므로, 부유본체에 파도 등의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부유본체 고정부가 레일형 삽입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frictional force increasing portion 515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loating body fixing portion 510, which is positioned near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i.e., on the inner side in both surfaces). By providing the frictional force increasing portion 515 in this way, the one side surface presses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and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loating body fixing portion and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is significantly increased due to the frictional force increas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ating body fixing portion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찰력 증대부(515)는 고무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마찰력 증대부를 고무패드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부유본체 고정부가 레일형 삽입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상기 부유본체 고정부의 일측면과 레일형 삽입홈 사이에 충격이나 충돌을 완충하여 부유본체 고정부 및/또는 레일형 삽입홈이 서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찰력 증대부는 상기 부유본체의 일측면에 고정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상기 부유본체 고정부를 레일형 삽입홈에 삽입 후 상기 부유본체 고정부의 일측면과 레일형 삽입홈 사이에 별도로 삽입될 수도 있다.Preferably, the frictional force increasing portion 515 may be formed of a rubber pad. By constituting the frictional force increasing portion with the rubber pa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ating body fixing portion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while at the same time, shock and impact are buffered between one side of the floating body fixing portion and the rai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in body fixing portion and / or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from being damaged from each other. The frictional force increasing portion may be fixedly attach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floating body, or may be inserted between one side of the floating body fixing portion and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after inserting the floating body fixing portion into the rail- May be inserted.

상기 부유본체 고정부(510)의 일측면이 레일형 삽입홈(210) 내에서 상기 레일형 삽입홈(210)을 상기 두 개의 부유본체 고정부(510)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때 When one side of the floating body fixing portion 510 presses the rail type insertion groove 210 in the rail type insertion groove 21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wo floating body fixing portions 510 are opposed to each other

상기 중간연결부(520)는, 양단부에서 상기 두 개의 부유본체 고정부(510)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한다. 상기 중간연결부(520)는 상기 레일형 삽입홈(210)의 제2 삽입부(213)에 삽입된다.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520 detachably fixes the two floating body fixing parts 510 at both ends.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52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part 213 of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210.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연결부(520)는, 탄성변형부(521)와, 상기 탄성변형부(521)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두 개의 체결단부(523)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520 includes an elastic deformation part 521 and two fastening end parts 523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lastic deformation part 521.

상기 탄성변형부(521)는 상기 두 개의 부유본체 고정부(510)가 대향하는 방향 및 상기 대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소정 범위(즉, 길이)만큼 탄성변형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변형부(521)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521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by a predetermined range (i.e., length)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wo floating body fixing portions 510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pposed direction. Preferably, the resiliently deformable portion 521 may be constituted by a tension spring.

상기 두 개의 체결단부(523)는 상기 탄성변형부(521)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부유본체 고정부(510)를 관통하여 고정하며, 소정의 길이만큼 나사산이 형성된다.The two fastening end portions 523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lastic deforming portion 521, and are fixed through the floating body fixing portion 510, and are threa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체결단부(523)에는 상기 체결단부(523)가 상기 부유본체 고정부(510)를 관통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부유본체 고정부(510)의 내측에 체결되는 내측 너트(531)와, 상기 부유본체 고정부(510)의 외측에 체결되는 외측 너트(533)가 구비된다.The fastening end portion 523 has an inner nut 531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floating body fixing portion 510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end portion 523 penetrates the floating body fixing portion 510, And an outer nut 533 which is fastened to the outside of the floating body fixing part 510 is provided.

상기 내측 너트(531)와 상기 외측 너트(533)를 체결단부(523)에 체결하여 상기 내측 너트(531)의 체결위치와 상기 외측 너트(533)의 체결위치를 조절하여 두 개의 부유본체 고정부(5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그 결과 복수 개의 부유본체(200) 사이의 결합력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The inner nut 531 and the outer nut 533 are fastened to the fastening end 523 to adjust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inner nut 531 and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outer nut 533, It is possible to further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200 and to further improv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200.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플링부재(500)는, 상기 중간연결부(520)에 압축방향(즉, 상기 두 개의 부유본체 고정부(510)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의 탄성복원력이 가해지는 상태로 상기 레일형 삽입홈(2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부유본체 고정부(510)의 일측면이 레일형 삽입홈(210) 내에서 상기 레일형 삽입홈(210)을 상기 두 개의 부유본체 고정부(510)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으므로, 복수 개의 부유본체(200) 사이의 결합력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Preferably, the coupling member 500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elastic restoring force is applied to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520 in the compressing direction (i.e., the direction in which the two floating body fixing portions 510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210. One side of the floating body fixing portion 510 is pressed into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21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wo floating body fixing portions 510 are opposed to each other,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200 can be further improved.

이렇게, 중간연결부(520)를 탄성변형부(521)로 구성함으로써, 수면으로 전파되는 파동(예를 들어, 파도 등) 또는 강풍 등의 외력에 대해 부유본체(200)들이 상하로 또는 좌우로 요동칠 때 상기 중간연결부(520)가 상기 외력을 소정 범위 상쇄하거나 제거하여 부유식 결합구조체(2000)에 미치는 외력의 영향력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고, 결합력이 집중되는 중간연결부(520)에서 외력에 의한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중간연결부(520)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By configuring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520 as the elastic deforming portion 52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ating bodies 200 from swinging up and down or from side to side with respect to external forces such as waves (e.g., waves)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force exerted on the floating coupling structure 2000 can be considerably reduced by canceling or eliminating the external force to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520 slip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eakage from occurring and the lifetim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520 can be improved.

전술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의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결합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mbine a plurality of float solar photovoltaic devices.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mbine a plurality of float solar photovoltaic devices, thereby shortening the joining time,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bonding force between a plurality of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s.

또한, 본 발명은 수면으로 전파되는 파동(예를 들어, 파도 등) 또는 강풍 등의 외력에 대해 상기 부유본체들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유지보수비용을 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maintain the state of engagement of the floating bodies with respect to external forces such as waves (e.g., waves, etc.) or strong winds propagating to the water surface, and can provide maintenance cost.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 ≪ / RTI >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are deem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2000 : 부유식 결합구조체
1000 :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
100 : 태양전지모듈
200 : 부유본체
300 : 고정부재
2000: floating coupling structure
1000: Floating solar power system
100: solar cell module
200: Floating body
300: Fixing member

Claims (15)

태양전지모듈과 상기 태양전지모듈을 지지하며 수상에 부유하는 부유본체를 포함하는 태양광발전장치가 복수 개 결합된 부유식 결합구조체로서,
복수 개의 부유본체 각각의 모든 측면에서 상기 부유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형 삽입홈과;
상기 복수 개의 부유본체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부유본체에 구비되며 대향되게 배치되는 두 개의 레일형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두 개의 부유본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커플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부재는 상기 레일형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레일형 삽입홈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며,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대향하는 두 개의 부유본체 고정부와; 양단부에서 상기 두 개의 부유본체 고정부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중간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연결부는 상기 두 개의 부유본체 고정부가 대향하는 방향 및 상기 대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소정 범위만큼 탄성변형하도록 구성된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부유본체 고정부를 관통하여 고정하며, 소정의 길이의 나사산이 형성된 두 개의 체결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가 결합된 부유식 결합구조체.
A floating coupling structure comprising a solar cell module and a plurality of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s including a floating body suspended on the water phase supporting the solar cell module,
A rail-shaped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loating body at all sid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And a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inserted in two rail-shaped insertion grooves provid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provided in two adjacent floating bodies of the plurality of floating bodies, the coupling members connecting the two floating bodies,
The coupling member includes two floating body fixing portions inserted into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and facing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And an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for detachably fixing the two floating body fixing portions at both ends,
Wherein the intermediate connec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deform the two floating body fixing portions by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pposite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threaded fastening end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elastic deforming part and fixed through the floating body fixing part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loating coupling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본체는 네 개의 측면을 구비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가 결합된 부유식 결합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oating body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four sides. ≪ RTI ID = 0.0 > 11. < / RTI >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형 삽입홈은 상기 부유본체의 상면 테두리부분에서부터 소정 깊이까지 두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레일형 삽입홈은, 상기 부유본체의 모서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폭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삽입부의 외측면에서부터 상기 부유본체의 모서리까지 연통되며 상기 제1 삽입부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 제2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가 결합된 부유식 결합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il-shaped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a thickness direction from an edge of an upper surface of the floating body to a predetermined depth,
The rail type insertion groove includes a first insertion portion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edge of the floating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which is elongat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second insertion portion which is communicated from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to the edge of the floating body And a second inserting portion formed at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insert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연결부는, 상기 체결단부가 상기 부유본체 고정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부유본체 고정부의 내측 및 외측에서 상기 체결단부에 체결되는 내측 너트 및 외측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가 결합된 부유식 결합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portion further includes an inner nut and an outer nut which are fastened to the fastening end portion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loating body fixing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fastening end portion passes through the floating body fixing portion. Floating coupling structure combined with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본체 고정부의 상부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가 결합된 부유식 결합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oat body fixing part is provided with a handle on an upper portion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형 삽입홈은, 상기 부유본체의 모서리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좌우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폭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삽입부와, 상기 제1 삽입부의 외측면에서부터 상기 부유본체의 모서리까지 연통되며 상기 제1 삽입부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 제2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부재는, 상기 제1 삽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삽입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는 두 개의 부유본체 고정부와, 상기 제2 삽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두 개의 부유본체 고정부를 연결하며 소정 범위의 탄성변형하도록 구성된 중간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가 결합된 부유식 결합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ail type insertion groove includes a first insertion portion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edge of the floating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which is elongat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second insertion portion which is communicated from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to the edge of the floating body And a second inserting portion formed at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inserting portion,
Wherein the coupling member includes two floating body fixing portion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portion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and two floating body fixing portion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And an intermediate connection part configured to elastically deform a predetermined range b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loat solar photovoltaic devices to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본체는, 각각의 측면에서 반구형상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돌출부와, 상기 위치결정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개의 부유식 태양광발전장치가 결합된 부유식 결합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ating body has at least one positioning projection projecting hemispherically on each side and at least one positioning groove having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ing projection. Floating coupling structure combined with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165927A 2013-12-27 2013-12-27 Floating type combined structure combining a plurality of floating type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ors Active KR1015786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927A KR101578680B1 (en) 2013-12-27 2013-12-27 Floating type combined structure combining a plurality of floating type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927A KR101578680B1 (en) 2013-12-27 2013-12-27 Floating type combined structure combining a plurality of floating type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072A KR20150077072A (en) 2015-07-07
KR101578680B1 true KR101578680B1 (en) 2015-12-18

Family

ID=5378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927A Active KR101578680B1 (en) 2013-12-27 2013-12-27 Floating type combined structure combining a plurality of floating type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68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63145A (en) * 2016-04-27 2016-07-13 常熟市亚德实业有限公司 Split type floating buoy structure for solar photovoltaic water-surface power station
KR101852991B1 (en) * 2018-03-16 2018-04-27 주식회사 위더스이엔씨 Field fabricated base platform construction method and field fabricated base platrorm for floating marine structure
JP2019093951A (en) * 2017-11-24 2019-06-20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Water float
KR20200081981A (en) * 2018-12-28 2020-07-08 스코트라 주식회사 Bird-repelling device for connection between units of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on the water and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23629A (en) * 2017-07-20 2017-11-07 青岛迪玛尔海洋工程有限公司 A kind of photovoltaic transformer pier
KR102038512B1 (en) * 2017-11-10 2019-10-31 스코트라 주식회사 Elastic brackets for connection between units of solar power system constructed on the water and solar power system constructed on the water with the same
KR101878156B1 (en) * 2017-11-10 2018-07-16 주식회사 대경산전 Connecting unit of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KR101895586B1 (en) * 2017-12-28 2018-09-05 주식회사 이토피아이앤씨 Seismic isolation assembly for photovoltaic module
KR102164248B1 (en) * 2019-05-20 2020-10-12 주식회사 대경산전 A water photovoltaic system that includes hybrid connectors and determines its structural health
WO2021145489A1 (en) * 2020-01-17 2021-07-22 스코트라 주식회사 Elastic bracket for interconnecting units of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and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comprising same
KR102560916B1 (en) * 2023-04-12 2023-07-28 (주)카로스테크 Connecting Structures for Solar Power Plan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9769A (en) * 2005-10-12 2007-04-26 Takiron Co Ltd Float equipment
KR101282521B1 (en) 2013-04-15 2013-07-04 김주성 Floating solar cell panel frame
KR101339358B1 (en) * 2013-05-27 2013-12-09 홍형의 Direct molded buoyancy body for solar cell installation above wa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9769A (en) * 2005-10-12 2007-04-26 Takiron Co Ltd Float equipment
KR101282521B1 (en) 2013-04-15 2013-07-04 김주성 Floating solar cell panel frame
KR101339358B1 (en) * 2013-05-27 2013-12-09 홍형의 Direct molded buoyancy body for solar cell installation above wat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63145A (en) * 2016-04-27 2016-07-13 常熟市亚德实业有限公司 Split type floating buoy structure for solar photovoltaic water-surface power station
JP2019093951A (en) * 2017-11-24 2019-06-20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Water float
KR101852991B1 (en) * 2018-03-16 2018-04-27 주식회사 위더스이엔씨 Field fabricated base platform construction method and field fabricated base platrorm for floating marine structure
KR20200081981A (en) * 2018-12-28 2020-07-08 스코트라 주식회사 Bird-repelling device for connection between units of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on the water and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the same
KR102255890B1 (en) * 2018-12-28 2021-05-26 스코트라 주식회사 Bird-repelling device for connection between units of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on the water and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072A (en) 201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680B1 (en) Floating type combined structure combining a plurality of floating type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ors
KR101450846B1 (en) The floating structure for sunlight generation
KR101642387B1 (en)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TWI696797B (en) Floating device for photovoltaic panel and photovoltaic module having the same
KR101718001B1 (en) Floating type solar power device
JP6446761B1 (en) Mounting base for photovoltaic panels on the water
KR102147244B1 (en) Mooring Structure for Construction of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KR101785579B1 (en)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KR20120004314A (en) Seismic device of solar power plant
KR101632004B1 (en) Sunlight structure for water surface
KR101194783B1 (en) Float type construction
KR200412251Y1 (en) PV Module Structure for Solar Power Generation
KR101261406B1 (en) Anchor and solar energy collec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493723B1 (en) Coupling member and floating type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180025370A (en) Floating facility for solar-cell power generation
KR101268176B1 (en) Float type construction
KR101578682B1 (en) Sunlight structure for stabilizing azimuth angle on water surface
CN206939010U (en) Floating on water device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pparatus
KR101628863B1 (en) Fix Structure of Photovoltaic Module for Sound Proof Tunnel
KR101626357B1 (en) Solar generating system
KR102663765B1 (en)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KR101302311B1 (en) Connect member and photovoltaic system
KR101770957B1 (en) Solar cell generating system
JP6723508B2 (en) Photovoltaic module installation structure
KR20150069886A (en) Mooring system for floating photovoltaic power plan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