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489B1 - 골절 정복 로봇용 사용자 조종 장치 - Google Patents

골절 정복 로봇용 사용자 조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489B1
KR101578489B1 KR1020140050438A KR20140050438A KR101578489B1 KR 101578489 B1 KR101578489 B1 KR 101578489B1 KR 1020140050438 A KR1020140050438 A KR 1020140050438A KR 20140050438 A KR20140050438 A KR 20140050438A KR 101578489 B1 KR101578489 B1 KR 101578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eering module
leg
us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4469A (ko
Inventor
이춘무
박태곤
박태상
권성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레스토솔루션
(주)트리엔
이춘무
박태곤
박태상
권성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레스토솔루션, (주)트리엔, 이춘무, 박태곤, 박태상, 권성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레스토솔루션
Priority to KR1020140050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489B1/ko
Priority to PCT/KR2015/004202 priority patent/WO2015167193A1/ko
Publication of KR20150124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6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조종 장치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과, 각각 일단이 상기 제 1 프레임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프레임에 지지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복수의 가변 레그(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퍼레이션 모듈(110)을 조종하기 위한 사용자 조종 장치로서, 상기 제 1 프레임(110)에 대응하는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 상기 제 2 프레임에 대응하며 상기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과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220); 각각 일단이 상기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220)에 지지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과 상기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22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또는 자세가 가변됨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복수의 조종 모듈 레그(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조종 장치는, 의료진과 같은 사용자가 매우 직관적인 방법으로 오퍼레이션 모듈을 조종할 수 있어서, 익숙해지기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 없고 조종 기술을 보다 쉽게 습득할 수 있으며, 오페레이션 모듈에 대한 잘못된 조종의 가능성을 저감하며, 조종 미숙이나 실수로 인한 조종 오류 또는 사고 발생의 가능성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절 정복 로봇용 사용자 조종 장치{User Control Appratus For Fracture Reduction Robot}
본 발명은 환자의 팔 또는 다리 등이 골절된 경우 이를 정복(reduction)하는 골절 정복 로봇을 조종하는 데 이용되는 골절 정복 로봇용 사용자 조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격된 한 쌍의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프레임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는 복수의 가변 레그를 포함하는 구성되는 오퍼레이션 모듈을 조종하기 위한 사용자 조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최소 침습 골절 정복을 위한 수술 상황을 모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최소 침습 골절 정복 수술은 환자에 대한 절개 등을 최소화하는 골절 정복 수술로서, 이와 같은 골절 정복 수술에서는 C-ARM(10)과 같은 실시간 엑스선 촬영 장비를 이용하여 어긋한 뼈를 제자리로 돌리는 교정을 수행하고 교정 상태에서 골수강내 금속정을 삽입하는 것 등에 의해 교정된 골편들을 고정한다.
이와 같은 골정 정복 수술 과정에서는 C-ARM(10)의 엑스선 소스와 2차원 센서 사이에 환자의 골절 부분이 위치한 상태로 실시간 엑스선 영상이 획득되며 의사(20)는 이러한 실시간 엑스선 영상을 보면서 골절 정복 수술을 진행한다.
특히, 뼈의 골절 부분은 피부로부터 깊숙한 내측에 위치하므로 뼈의 골절 상태, 정복 과정 및 정복에 따른 교합 상태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곤란하므로, C-ARM과 같은 실시간 엑스선 영상 장비의 도움을 받아 골절 정복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C-ARM과 같은 엑스선 영상 장비는 실시간 영상을 얻기 위하여 엑스선의 지속적인 조사가 필요하므로, 환자 및 의료진(20) 등에 대한 피폭량이 스틸 영상을 얻는 다른 엑스선 장비에 비하여 현저히 높다. 특히, 골절 정복 수술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의료진으로서는 방사능 피폭의 위험성이 큰 문제가 된다.
또한, 뼈에는 각종 근육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골절된 뼈의 정복을 위해서는 큰 힘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여러 명의 의료진(20)이 서로 협력하여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골절 정복 수술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의료진이 필요한 문제가 있으며 이는 수술 비용 등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어긋난 뼈의 교정이 의료진의 인력에 의해 수행되고 난 후, 골수강내에 금속정을 삽입하는 등의 방법으로 교정 상태를 고착화하기까지 교정 상태를 정확히 유지하기가 쉽지 않으며, 이러한 이유 등으로 인해 부정확한 골절 정복이 될 가능성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정하여 골절 정복 수술을 위한 로봇을 구현하는 경우 이러한 골절 정복용 로봇을 조종하기 위한 사용자 조종 장치가 필요한 바, 의료진과 같은 사용자가 조종 장치에 익숙해지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조종 미숙이나 실수로 인해 조종 오류 또는 사고 발생의 가능성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한 인식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선행기술들과 대비한 본 발명의 진보성을 판단하여서는 아니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의료진과 같은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조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익숙해지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고 조종 미숙이나 실수로 인한 조종 오류 또는 사고 발생의 가능성을 저감하는 사용자 조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사용자 조종 장치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과, 각각 일단이 상기 제 1 프레임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프레임에 지지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복수의 가변 레그(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퍼레이션 모듈(110)을 조종하기 위한 사용자 조종 장치로서,
상기 제 1 프레임(110)에 대응하는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 상기 제 2 프레임에 대응하며 상기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과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220); 각각 일단이 상기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220)에 지지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과 상기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22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또는 자세가 가변됨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복수의 조종 모듈 레그(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퍼레이션 모듈(100)은 골절 정복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종 모듈 레그(230)는, 상기 조종 모듈 레그(230)의 가변되는 길이를 센싱하는 엔코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종 모듈 레그(230)는, 양단에 구비되는 유니버셜 조인트 또는 볼 조인트를 이용하여 각각 상기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 및 상기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220)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종 모듈 레그(230)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대하여 부하를 부여하는 조작 부하 부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 부하 부여부는, 상기 조종 모듈 레그(230)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이동되는 격막 또는 플런저를 구비한 에어 실린더(237); 및 상기 격막 또는 플런저의 이동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에어 플로우 조절부(2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의 파지를 위하여, 상기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 및 상기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220)에 각각 결합되는 작동 노브(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종 모듈 레그(230)는 엔코더 및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가변 레그(130)의 길이, 속도 및 가속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힘을 느끼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햅틱부(2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햅틱부(290)는, 상기 가변 레그(130)로부터 적어도 상기 가변 레그(130)의 변위를 입력받는 함수부(291); 상기 조종 모듈 레그(230)의 엔코더로부터 상기 조종 모듈 레그(230)의 변위를 입력받는 제어루프(293);상기 함수부(291) 및 상기 제어 루프(293)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할 구동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앰프(2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함수부(291)는, 상기 가변 레그(130)의 변위를 입력받아, 상기 변위에 비례하는 값, 또는 상기 가변 레그(130)의 변위를 입력받아 상기 변위를 미분한 값인 속도에 비례하는 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요소로 하는 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사용자 조종 장치는, 의료진과 같은 사용자가 매우 직관적인 방법으로 오퍼레이션 모듈을 조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서는 익숙해지기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 없고 조종 기술을 보다 쉽게 습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조종 장치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사용자 조종 장치는, 오페레이션 모듈에 대한 잘못된 조종의 가능성을 저감하며, 조종 미숙이나 실수로 인한 조종 오류 또는 사고 발생의 가능성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사용자 조종 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에 따른 조작감을 느낄 수 있는 반대 방향의 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정확한 조작을 유도하며, 과도한 조작에 따른 위험 등을 사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최소 침습 골절 정복을 위한 수술 상황을 모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정복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수술 상황을 모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정복 로봇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퍼레이션 모듈(1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종 모듈(2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사용자 조종 모듈(200)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종 모듈 레그(230)를 도시한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300)의 제어 흐름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논리적인 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종 모듈(200-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종 모듈(200-1)과 함께 동작하는 햅틱부(290)와 제어 모듈(300)의 제어 흐름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논리적인 블럭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햅틱부(290)의 세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명칭 및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정복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수술 상황을 모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정복 로봇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와 같이 C-ARM(10) 등은 환자의 팔 또는 다리(1)의 골절 부분에 대한 실시간 엑스선 영상을 얻기 위하여 사용되며, 획득된 실시간 엑스선 영상은 통합 운영 장치(400) 등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오퍼레이션 모듈(100)은 팔 또는 다리(1)의 골절 부분에 장착되되, 후술할 고정 수단(140; 도 4 참조)에 의해서 오퍼레이션 모듈(100)은 팔 또는 다리(1)의 골편과 서로 결합된다. 오퍼레이션 모듈(100)은 정위치에서 어긋난 골편에 힘을 가해서 교정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또한 교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사용자 조종 모듈(200)은 사용자, 예를 들면 의료진(20)로부터 오퍼레이션 모듈(100)을 조종하기 위한 조작을 입력받는 모듈로서, 상기한 오퍼레이션 모듈(100)은 사용자 조종 모듈(200)에서 입력받은 조작에 응답해서 동작한다.
이하, 사용자 조종 모듈(200)은 사용자 조종 장치라는 용어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 사용자 조종 장치는 사용자 조종 모듈(200-1)과 햅틱부(290)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 모듈(300)은 사용자 조종 모듈(200)과 오퍼레이션 모듈(100)의 사이에서, 사용자 조종 모듈(200)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오퍼레이션 모듈(100)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신호 처리, 연산, 피드백 제어 및 구동 전류의 공급 등을 수행한다.
통합 운영 장치(400)는 골절 정복 로봇 시스템 및 골절 정복 수술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 운영하기 위한 장치이다. 통합 운영 장치(400)는 C-ARM(10), 제어 모듈(300), 사용자 조종 모듈(200) 및 오퍼레이션 모듈(100)을 관리하고 초기 상태를 지정하며, 이들의 운영 상태, 동작 상태 및 획득 정보 등을 보고받고 표시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운영 장치(400)는 C-ARM(10)을 이용하여 획득된 실시간 엑스선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표시된 실시간 엑스선 영상을 참조하여 의료진(20)은 사용자 조종 모듈(200)을 조작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퍼레이션 모듈(1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퍼레이션 모듈(100)은 제 1 프레임(110), 제 2 프레임(120), 복수의 가변 레그(130) 및 고정 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프레임(110)은 환자의 팔 또는 다리가 관통되면서 환자의 팔 또는 다리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지며, 제 2 프레임(120)은 제 1 프레임(110)과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서, 역시 환자의 팔 또는 다리가 관통되면서 환자의 팔 또는 다리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진다.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은 환자의 팔 또는 다리가 관통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가지면서 이를 둘러싸는 대략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고정 수단(140) 및 가변 레그(110)와 결합하기 용이한 형상이면 더욱 좋다.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은 오퍼레이션 모듈(100)의 골격을 이루며, 고정 수단(140)이 탑재되고 가변 레그(140)가 결합된다.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은 각각 제 1 서브 프레임(111, 121)과 제 2 서브 프레임(112,121)이 볼트 및 너트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환자의 다리 또는 팔의 말단, 즉 발 또는 손으로부터 오퍼레이션 모듈(100)을 끼우지 않고 제 1 서브 프레임(111, 121)과 제 2 서브 프레임(112,121)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다리 또는 팔의 골절 부분에 위치시키고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조립할 수 있게 된다.
가변 레그(130)는 일단이 제 1 프레임(110)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 2 프레임(120)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가변 레그(130)와 제 1 프레임(110) 또는 제 2 프레임(120)은 유니버셜 조인트(131) 또는 볼 조인트 등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 레그(130)와 제 1 프레임(110)이 결합하는 각도와 가변 레그(130)와 제 2 프레임(120)이 결합하는 각도는 가변될 수 있다.
가변 레그(130)는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것으로서, 가변 레그(130)는 가변 레그(130)의 길이를 가변하기 하기 위한 액츄에이터와 가변 레그(130)의 길이 또는 변위를 센싱하기 위한 엔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는 가변 레그(130)의 원통형 기둥속에 내장되는 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엔코더는 상기한 모터와 일체로 또는 별도로 가변 레그(130)에 구성될 수 있다.
가변 레그(130)는 오퍼레이션 모듈(100)마다 복수개 구비되며, 특히 6 개로 구현되는 것이 선호된다. 따라서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및 자세는 6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프레임(120)에 대하여 제 1 프레임(110)은 x축 방향의 이동, y축 방향의 이동, z축 방향의 이동, x축 중심의 회전, y축 중심의 회전 및 z축 중심의 회전과 이들의 복합적인 이동 및/또는 회전을 자유롭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 조종 모듈(200)의 조종에 따라 복수의 가변 레그(130)에 구비된 액츄에이터는 병렬로 동작할 수 있으며, 사용자 조종 모듈(200)의 조종에 따라 복수의 가변 레그(130)에 구비된 액츄에이터의 병렬 동작에 따라 원하는 위치 및 자세로 이동되되, 어긋한 골편을 제자리도 돌릴 수 있을 정도의 물리력을 가지면서 이동된다.
액츄에이터는 제어 모듈(30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 전류에 따라 제어되면서 동작하며, 엔코더는 센싱한 길이 또는 변위를 제어 모듈(300)로 제공한다.
그리고 고정 수단(140)은 환자의 팔 또는 다리의 골편을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에 각각 고정하며, 고정 수단(140)은 환자의 골편에 박힌 상태에서 제 1 프레임(110) 또는 제 2 프레임(120)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141)과, 상기 핀(141)을 제 1 프레임(110) 또는 제 2 프레임(120)에 고정하는 지그(142)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핀(141)의 선단부에 형성된 스크류를 이용하여 환자의 골편에 핀(141)의 일단을 삽입하고, 핀(141)이 골편에 고정된 후 지그(142)를 이용하여 핀(141)의 타단을 제 1 프레임(110) 또는 제 2 프레임(120)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골절 정복 수술에서는 골편의 위치를 교정한 후 골수강내에 삽입되는 금속정 등을 이용하여 수술후 교정 자세를 유지하는 방법을 취한다. 그러나, 금속정 등을 이용하는 대신 골절 정복 로봇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 1 프레임(110), 제 2 프레임(120) 및 고정 수단(130)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골절 정복 수술이 완료된 후에도 예를 들면 환자의 회복기 동안에 제 1 프레임(110), 제 2 프레임(120) 및 고정 수단(130)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때 액츄에이터 등이 내장된 가변 레그(130) 대신 나사식으로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별도의 가변 레그를 이용하여 제 1 프레임(110)과 제 1 프레임(120)의 상대적인 위치 및 자세를 고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퍼레이션 모듈(100)의 구조에서는 가변 레그(130)와 가변 레그(130) 사이에 엑스선이 통과할 수 있는 충분한 여유 공간을 가지며, 이에 따라 골절 정복 수술 과정 중 C-ARM(10) 등을 이용하여 골절 부분을 충분히 관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종 모듈(200)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상기 사용자 조종 모듈(200)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조종 모듈(200)은 사용자로부터 오퍼레이션 모듈(100)을 조종하기 위한 조작을 입력받는 모듈이다. 골절 정복 로봇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조종 모듈(200)에서 입력받은 조작에 응답해서, 상기한 오퍼레이션 모듈(100)의 가변 레그(130)에 구비된 액츄에이터가 병렬 동작하고 오퍼레이션 모듈(100)의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및 자세가 가변된다.
원칙적으로 사용자 조종 모듈(200)은 일반적인 마우스, 키보드, 조이스틱 등 여하한 입력장치를 사용해도 가능하나, 특별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종 모듈(200)은 오퍼레이션 모듈(100)을 모델링한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종 모듈(200)은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220), 조종 모듈 레그(230), 작동 노브(240) 및 가이드바(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조종 모듈(200)에서,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은 오퍼레이션 모듈(100)의 제 1 프레임(110)에 대응하며,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220)은 오퍼레이션 모듈(100)의 제 2 프레임(120)에 대응하며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과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 및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220)은 사용자 조종 모듈(200)의 골격을 구성하며, 복수의 조종 모듈 레그(230)와 작동 노브(240) 등이 결합된다.
조종 모듈 레그(230)는 오퍼레이션 모듈(100)의 가변 레그(130)에 대응될 수 있는 것이며, 복수 개 구비될 수 있고 6 개로 구성되는 것이 선호되며, 이에 따라 오퍼레이션 모듈(100)과 동일하게,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과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220) 사이의 위치 및 자세는 6 자유도를 가진다.
조종 모듈 레그(230)는 각각 일단이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220)에 지지되며, 조종 모듈 레그(230)와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과, 조종 모듈 레그(230)와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220)은 볼 조인트(234) 또는 유니버셜 조인트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의료진과 같은 사용자는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 및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21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및 자세를 손으로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과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22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또는 자세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한 조종 모듈 레그(230)의 길이가 가변된다. 조종 모듈 레그(230)에 대해서는 도 6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작동 노브(240)는 사용자가 사용자 조종 모듈(200)을 파지하기 위하여 이용되며,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 및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220)에 각각 결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이 작동 노브(210)를 잡거나 작동 노브(210)와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의 사이에, 그리고 또다른 작동 노브(210)와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220)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사용자 조종 모듈(200)을 파지할 수 있다.
가이드 바(250)는 조종 모듈 레그(230)와 이웃하는 조종 모듈 레그(230)의 사이에 걸쳐지되, 가이드 바(250)의 홈에 삽입된 조종 모듈 레그(230)의 핀이 일정 거리 유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종 모듈 레그(230)의 길이 변화를 방해하지는 않으면서, 조종 모듈 레그(230) 자체의 회전(자전)을 억제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종 모듈 레그(230)를 도시한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조종 모듈 레그(230)는 엔코더(231 및 232), 조작 부하 부여부(237 및 238), 볼 조인트(234), 스케일 플레이트(233), 엔코더 리더 플레이트(239), LM 가이드(235) 및 LM 블록(2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엔코더(231 및 232)는 조종 모듈 레그(230)의 가변되는 길이 또는 변위를 센싱하는 것으로서, 스케일 플레이트(233)에 부착된 엔코더 스케일(232)과, 엔코더 스케일(232)에 대향하여 엔코더 리더 플레이트(239)에 설치된 엔코더 리더(231)로써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종 모듈 레그(230)는 양단에 구비되는 볼 조인트(234) 또는 유니버셜 조인트 등을 이용하여 각각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 및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220)과 결합하며,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과 조종 모듈 레그(230) 사이의 결합 각도, 또는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220)과 조종 모듈 레그(230) 사이의 결합 각도는 가변할 수 있다.
조작 부하 부여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하여 부하를 부여하는 것으로서, 조작 부하 부여부는 조종 모듈 레그(230)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이동되는 격막 또는 플런저를 내장한 에어 실린더(237); 및 상기한 격막 또는 플런저의 이동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에어 플로우 조절부(238)를 포함할 수 있다.
조종 모듈 레그(230)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한 격막 또는 플런저가 이용하면서 공기를 밀고 가며, 이에 따라 발생된 공기의 흐름은 에어 플로우 조절부(238)의 노즐을 통하여 흡입 또는 배출될 것인 바, 에어 플로우 조절부(238)의 노즐을 조절함으로써, 부여되는 부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LM 가이드(235)는 LM 블록(236)을 가이드함으로써, LM 가이드(235)에 결합된 엔코더 리더 플레이트(239)와 LM 블록(23)에 결합된 스케일 플레이트(233)는 서로 간격을 정확히 유지하면서 상대적인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사용자 조종 모듈(200)에서는 조작 부하 부여부를 구성함으써,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 부하를 느끼게 하고 사용자의 실수 또는 외부로부터의 방해에 의해서 조종 모듈 레그(230)의 과격한 변위를 억제하며 이에 따라 과격한 조작이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300)의 제어 흐름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논리적인 블럭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블럭도의 구성요소들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컴퓨터의 프로세서 및 프로그램 등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8에 예시된 제어 모듈(300)은 사용자 조종 모듈(200)로부터의 입력, 및 통합 운영 장치(400)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오퍼레이션 모듈(100)을 제어하는 기능과 수행한다.
제어 모듈(300)은 각 가변 레그(130)에 대응하는 피드백 제어부(310)와, MUX(340, 350), 포워드 키네마틱스(320) 및 인버스 키네마틱스(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일부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생략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피드백 제어부(310)는 각 가변 레그(130)별로, 가변 레그(130)의 길이 또는 변위를 지정하는 명령인 위치 명령과 가변 레그(130)의 길이 또는 변위를 센싱한 센싱 신호를 입력받고 그 차이를 감소시키는 구동 전류를 출력한다.
피드백 제어부(310)는 각 가변 레그(130)에 구비된 엔코더로부터 가변 레그(130)의 길이 또는 변위를 센싱한 센싱 신호를 입력받으며, 가변 레그(130)의 길이 또는 변위를 지정하는 명령인 위치 명령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MUX(350)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조종 모듈(200)로부터 또는 인버스 키네마틱스(330)로부터 위치 명령을 수신한다. 그리고 피드백 제어부(310)는 오퍼레이션 모듈(100)에 구비된 각 가변 레그(130)의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구동 전류를 출력한다.
피드백 제어부(310)의 제어 루프(312)는 PID 제어 또는 PIV 제어 등을 위한 제어 알고리즘을 구현한 것이며, 전류 앰프(311)는 제어 루프(312)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오퍼레이션 모듈(100)의 액츄에이터를 위한 구동 전류를 출력한다.
그리고, 통합 운영 장치(400)로부터의 입력은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명령(엔드 이펙터)으로서 인버스 키네마틱스(330)를 거쳐서 피드백 제어부(310)로 입력되며, 이러한 명령은 주로 초기 위치를 지정하는 명령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MUX(340) 및 MUX(350)에서는 통합 운영 장치(400)로부터의 제어, 제어 모듈(300) 또는 사용자 조종 모듈(20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서 MUX(340) 및 MUX(350)의 입력 포트가 선택될 수 있다.
제 1 실시 모드로서 사용자 조종 모듈(200)로부터의 출력이 포워드 키네마틱스(320) 및 인버스 키네마틱스(330)을 거치지 않고 직접 MUX(350)을 통하여 피드백 제어부(310)에 입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 1 실시 모드에서는 사용자 조종 모듈(200)의 각 조종 모듈 레그(230)의 길이 또는 변위를 오퍼레이션 모듈(100)의 각 가변 레그(130)를 위한 위치 명령으로 직접 이용한다.
오퍼레이션 모듈(100)의 각 가변 레그(130)는 사용자 조종 모듈(200)의 각 조종 모듈 레그(230)와 일대일 대응하며, 특정한 조종 모듈 레그(230)의 변위는 대응하는 가변 레그(130)에서만 상응하는 변위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제 1 실시 모드에서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서 제어 모듈을 구성할 수 있으며 포워드 키네마틱스 등이 필요 없고 그 만큼 신호 처리가 간단해지며 신호 처리 과정에서의 에러 발생 확률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 2 실시 모드에서는 사용자 조종 모듈(200)로부터의 출력이 포워드 키네마틱스(320) 및 인버스 키네마틱스(330)을 거쳐서 피드백 제어부(310)로 입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포워드 키네마틱스(320)는 조종 모듈 레그(230)로부터 조종 모듈 레그(230)의 길이 또는 변위를 입력받고 이러한 길이 또는 변위로부터 엔드 이펙터를 산출하며, 반대로 인버스 키네마틱스(330)는 상기 엔드 인펙터 또는 통합 운영 장치(400)의 위치 명령으로부터 가변 레그(130)의 각각에 대하여 지정될 길이 또는 변위를 산출한다.
제 2 실시 모드에서는 조종 모듈 레그(230)의 길이 또는 변위와 가변 레그(130)의 길이 또는 변위를 일대일 대응시키지 않을 수 있으며, 포워드 키네마틱스(320) 및 인버스 키네마틱스(330)를 이용하여 변환 함수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실시 모드에서는 센싱되는 조종 모듈 레그(230)의 길이 또는 변위와 구동할 가변 레그(130)의 길이 또는 변위 사이에 일대일의 선형 변환 및 비선형 변환과 다대다의 선형 변환 및 비선형 변환 등 다양한 변환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하나의 제어 모듈(300)로서 제 1 실시 모드 및 제 2 실시 모드를 선택적으로 구현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제 1 실시 모드 또는 제 2 실시 모드를 전용으로 구현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제 1 실시 모드의 전용 구현에서는 MUX(340) 및 포워드 키네마틱스(320)가 생략될 수 있으며, 제 2 실시 모드의 전용 구현에서는 MXU(350)가 생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종 모듈(200-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종 모듈(200-1)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종 모듈(200)과 비교하여 조종 모듈 레그(260)만 서로 상이하므로 이하 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조종 모듈 레그(260)는 조종 모듈 레그(260)에 대하여 길이 방향의 힘을 부여하는 액츄에이터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가변되는 조종 모듈 레그(260)의 길이 또는 변위를 센싱하기 위한 엔코더를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사용자가의 조작에 의해 조종 모듈 레그(260)의 길이가 가변되지만,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에 따른 힘을 느끼도록 하기 위하여 액츄에이터를 추가로 구비한다. 그리고 조종 모듈 레그(260)의 액츄에이터는 후술할 햅틱부(290: 도 10)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는 조종 모듈 레그(260)의 원통형 기둥속에 내장되는 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엔코더는 상기한 모터와 일체로 또는 별도로 조종 모듈 레그(260)에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종 모듈(200-1)과 함께 동작하는 햅틱부(290)와 제어 모듈(300)의 제어 흐름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논리적인 블럭도이다.
제어 모듈(300)의 동작은 도 8에 도시된 제어 모듈(300)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생략하며, 이하 햅틱부(290)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햅틱부(290)는 사용자 조종 모듈(200-1)과 일체로 구성되거나, 제어 모듈(300)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햅틱부(290)가 어디에 위치되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햅틱부(290)는 함수부(291), 제어 루프(293) 및 전류앰프(29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햅틱부(290)는 사용자로 하여금 가변 레그(130)의 길이, 속도 및 가속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힘을 느끼도록 액츄에이터를 제어한다. 함수부(291)는 오퍼레이션 모듈(100)의 가변 레그(130)로부터 적어도 가변 레그(130)의 길이 또는 변위를 입력받으며, 나아가 속도 및/또는 가속도 등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리고 함수부(291)는 지정된 변환 함수를 이용하여 입력에 대응하는 출력을 생성한다.
제어 루프(293)는 조종 모듈 레그(230)의 엔코더로부터 조종 모듈 레그(230)의 길이 또는 변위를 입력받는며, 예를 들어 제어 루프(293)은 조종 모듈 레그(230)의 길이 또는 변위를 미분함으로써 속도를 출력하는 미분기와 상기 미분기의 출력을 입력받아 속도에 비례하는 제어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속도 비례 제어 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햅틱부(290)는 사용자 조종 모듈(200-1)의 조종 모듈 레그(230)의 길이 또는 변위를 입력받아 길이 또는 변위가 변화하는 속도에 비례하는 힘을 더 느끼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제어 루프(293)를 통한 사용자 조종 모듈(200-1)로부터의 피드백과 오퍼레이션 모듈(100)로부터의 피드백은 선택적으로 또는 병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전류 앰프(292)는 함수부(291) 및/또는 제어 루프(293)의 출력을 입력받아 조종 모듈 레그(260)의 액추에이터를 제어할 구동 전류를 출력하며, 조종 모듈 레그(260)의 액추에이터를 구동할 수 있는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예를 들면, 햅틱부(290)는 사용자가 사용자 조종 모듈(200-1)을 조작할 때 조작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액츄에이터가 힘을 부여하도록 하며, 조종 모듈 레그(260)에 대하여 조작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변위까지 발생하도록 구동하지는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수부(291)의 세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1에서 예시된 함수부(291)는 가변 레그(130)의 변위를 입력받아, 변위에 비례하는 값, 또는 가변 레그(130)의 변위를 입력받아 변위를 미분한 값인 속도에 비례하는 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요소로 하는 값을 출력한다.
도 11(a)에서 예시된 함수부(291)에서는 가변 레그(130)의 변위를 입력받아 변위에 비례하는 값을 출력하며, 구체적으로 변위에 스프링 상수(K)와 스케일링 팩터(S.F.)를 곱합 값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햅틱부(290)는 가변 레그(130)의 변위에 비례하는 힘을 사용자가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도 11(b)에서 예시된 함수부(291)에서는 가변 레그(130)의 변위를 입력받아 변위에 비례하는 값과 변위를 미분한 값인 속도에 비례하는 값을 더한 값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변위를 미분하고(dx/dt) 미분값에 상수(Kb)를 곱한 값과, 변위에 상수(Kc)를 곱한 값의 양자를 더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라 햅틱부(290)는 가변 레그(130)의 변위에 비례하는 힘과, 가변 레그(130)의 길이가 변화하는 속도에 비례하는 힘의 양자을 더한 힘을 느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 정복 로봇 시스템을 이용하여 골절 정복 수술을 진행하는 과정의 예와 골절 정복 로봇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통합 운영 장치(400)는 오퍼레인션 모듈(100)이 초기 상태가 되도록 하는 위치 명령을 제어 모듈(300)로 출력하며, 이에 따라 제어 모듈(300)에서는 이러한 위치(엔드이펙터) 명령을 입력받아 MUX(340)을 통해 인버스 키네마틱스(330)에 입력되며, 인버스 키네마틱스(330)는 위치(엔드이펙터)를 각 가변 레그(130)의 위치(길이 또는 변위)로 변환한다. 또한, MUX(350)을 통하여 각 가변 레그(130)에 대응하는 각 피드백 제어부(310)에 입력되며, 각 피드백 제어부(310)의 제어 루프(312) 및 전류 앰프(311)는 명령된 위치(길이 또는 변위)와 현재 상태의 오차를 줄이도록 하기 위해 동작하며, 이에 따라 오퍼레이션 모듈(100)의 각 가변 레그(130)를 초기 상태로 하여 유지한다.
상기에서는 통합 운영 장치(400)가 초기 상태가 되도록 하는 위치 명령를 보내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통합 운영 장치(400)가 계산한 자동적인 동작의 실행을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편의 3차원 이미지를 얻은 다음 통합 운영 장치(400)가 교정되어야 할 양을 예측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때 통합 운영 장치(400)는 코아스(Coase) 교정을 실행하며, 사용자 조종 모듈(200)을 이용해서는 파인(Fine) 교정을 실행토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 이러한 초기 상태에 관한 명령은 통합 운영 장치(400)가 제공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오퍼레이션 모듈(100) 또는 제어 장치(300)가 자체적 판단 또는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아울러, 통합 운영 장치(400)의 명령에 의해서, 사용자 조종 모듈(200)의 사용자 입력 등에 의해, 또는 자동으로 사용자 조종 모듈(200)의 각 조종 모듈 레그(230)는 초기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오퍼레이션 모듈(100)의 고정 수단(140)을 이용하여 환자의 골편을 오퍼레이션 모듈(100)의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에 고정한다. 이때 드릴을 이용하여 고정 수단(140)의 핀(141)을 골편에 박은 후 핀(141)의 일단을 지그(142)에 고정토록 할 수 있다.
한편, C-ARM과 같은 실시간 엑스선 영상 장비를 이용하여 골절 부분의 실시간 엑스선 영상을 얻어서 통합 운영 장치(4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그리고 의료진은 상기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면서, 사용자 조종 모듈(200, 200-1)을 조작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 조종 모듈(200, 200-1)에서 각 사용자 조종 모듈(200, 200-1)의 엔코더는 길이 또는 변위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며, 이러한 길이 또는 변위 신호는 포워드 키네마틱스(320) 및 인버스 키네마틱스(330)의 신호처리후, 또는 직접 피드백 제어부(310)에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피드백 제어부(310)의 제어 루프(312) 및 전류 앰프(311)는 명령된 위치(각 가변 레그(130)의 길이 또는 변위)와 현재 상태 사이의 차이를 줄이도록 하기 위해 동작하며, 이에 따라 오퍼레이션 모듈(100)의 각 가변 레그(130)를 명령된 길이 또는 변위가 되도록 한다. 이 때 현재 상태로서 각 가변 레그(130)의 엔코더로부터의 출력이 피드백 제어부(310)로 입력되며 이러한 입력과 명령된 위치의 차이를 연산하고 연산된 차이에 따라 제어 루프(312) 및 전류 앰프(311)가 동작하며, 전류 앰프(311)의 출력은 가변 레그(130)의 액츄에이터를 구동한다.
그리고, 의료진은 어긋난 골편들의 정렬을 마치면, 예를 들어 골절부분이 다리인 경우 대퇴부를 통하여 골수강내에 금속정을 삽입하고 골편의 측면으로부터 금속정에 이르는 스크류를 삽입함으로써 골편들을 고정하며, 고정 수단(140) 및 오퍼레이션 모듈(100)을 탈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양상들이 가지는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래 골절 정복 수술시에는 의료진 등에 대한 방사능 피폭의 문제점이 상존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의료진이 직접 교정을 위하여 다리 또는 팔에 인력을 가할 필요가 없고, 본 발명의 사용자 조종 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본 발명의 오퍼레이션 모듈을 조종하면 되므로, 의료진에 대한 방사능 피폭의 위험성을 원천적으로 제거하거나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인력에 의한 것이나 혹은 다른 골절 정복 장치에 비하여 본 발명의 골절 정복 로봇 시스템은 보다 신속하게 골편들은 교정할 수 있다. 특히, 실시간 엑스선 영상 장치를 이용하면서 수행하는 골편의 교정 시간이 매우 짧게 되며, 이에 따라 환자의 입장에서도 방사능 피폭 시간이 대폭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골절 정복 수술에서는 많은 수의 의료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골절 정보 로봇 시스템은 환자의 팔 또는 다리를 인력으로 교정하지 않으므로, 필요한 의료진의 숫자를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골절 정복 수술은 사람의 인력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진행되다 보니 교정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교정후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고정하는 것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골절 정복 로봇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교정의 정확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교정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고정하는 것이 매우 손쉽게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골절 정복 수술에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됨으로써 환자로서는 마취 시간 및 방사능 노출 시간의 장기화로 인한 부담이 있으며, 의료진 또는 병원으로서는 방사능 노출 시간의 장기화 및 소요 비용 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골절 정복 로봇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골절 정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한 문제점을 대폭 저감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골절 정복 로봇 시스템에서 오퍼레이션 모듈 및 사용자 조종 모듈은 6 자유도를 가진 것으로서, 여하한 방향 및 자세로의 교정도 가능하므로 가령 자유도가 낮은 다른 골절 정복용 장치 또는 기구에 비하여 보다 정확한 골절 정복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골절 정복 로봇 시스템에서는 환자의 다리 또는 팔이 오퍼레이션 모듈을 관통하고 외력 제공을 위한 요소인 복수의 가변 레그가 다리 또는 팔의 주위를 둘러싸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골절 정복 수술시 환자의 다리 또는 팔과 결합되는 장치(오퍼레이션 모듈)의 크기 및 무게를 작게 할 수 있으며, 골절 정복 수술시 환자의 다리 또는 팔이 취할 수 있는 포지션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환자의 팔 또는 다리에 오퍼레이션 모듈을 장착한 이후에도 환자 및 오퍼레이션 모듈의 포지션을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골절 정복 로봇 시스템에서는 환자의 다리 또는 팔을 둘러싸는 복수의 가변 레그가 병렬로 협력하여 동작하는 것이므로, 각 가변 레그가 낼 수 있는 최대의 힘을 초과하여 큰 힘으로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원칙적으로 사용자 조종 장치는 일반적인 마우스, 키보드, 조이스틱 등 여하한 입력장치를 사용해도 가능하나 사용자 입장에서 상기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오퍼레이션 모듈(100)을 조종하는 것은 직관적이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사용자 조종 장치는, 의료진과 같은 사용자가 매우 직관적인 방법으로 오퍼레이션 모듈을 조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서는 익숙해지기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 없고 조종 기술을 보다 쉽게 습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조종 장치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사용자 조종 장치는, 오페레이션 모듈에 대한 잘못된 조종의 가능성을 저감하며, 조종 미숙이나 실수로 인한 조종 오류 또는 사고 발생의 가능성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사용자 조종 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에 따른 조작감을 느낄 수 있는 반대 방향의 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정확한 조작을 유도하며, 과도한 조작에 따른 위험 등을 사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오퍼레이션 모듈 110 : 제 1 프레임
120 : 제 2 프레임 130 : 가변 레그
140 : 고정 수단 141 : 핀
142 : 지그 200, 200-1 : 사용자 조종 모듈
210 :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 220 :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
230, 260 : 조종 모듈 레그 240 : 작동 노브
300 : 제어 모듈 400 : 통합 운영 장치

Claims (10)

  1.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 1 프레임(110) 및 제 2 프레임(120)과, 각각 일단이 상기 제 1 프레임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프레임에 지지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복수의 가변 레그(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퍼레이션 모듈(100)을 조종하기 위한 사용자 조종 모듈로서,
    상기 제 1 프레임(110)에 대응하는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과,
    상기 제 2 프레임에 대응하며 상기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과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220)과,
    각각 일단이 상기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220)에 지지되며,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과 상기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22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또는 자세가 가변됨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복수의 조종 모듈 레그(2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조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션 모듈(100)은 골절 정복 수술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조종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종 모듈 레그(230)는,
    상기 조종 모듈 레그(230)의 가변되는 길이를 센싱하는 엔코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조종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종 모듈 레그(230)는,
    양단에 구비되는 유니버셜 조인트 또는 볼 조인트를 이용하여 각각 상기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 및 상기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220)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조종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종 모듈 레그(230)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대하여 부하를 부여하는 조작 부하 부여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조종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하 부여부는,
    상기 조종 모듈 레그(230)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이동되는 격막 또는 플런저를 구비한 에어 실린더(237); 및
    상기 격막 또는 플런저의 이동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에어 플로우 조절부(23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조종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파지를 위하여, 상기 제 1 조종 모듈 프레임(210) 및 상기 제 2 조종 모듈 프레임(220)에 각각 결합되는 작동 노브(2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조종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종 모듈 레그(230)는 엔코더 및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가변 레그(130)의 길이, 속도 및 가속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힘을 느끼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햅틱부(29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조종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햅틱부(290)는,
    상기 가변 레그(130)로부터 적어도 상기 가변 레그(130)의 길이 또는 변위를 입력받는 함수부(291);
    상기 조종 모듈 레그(230)의 엔코더로부터 상기 조종 모듈 레그(230)의 변위를 입력받는 제어루프(293);
    상기 함수부(291) 및 상기 제어 루프(293)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할 구동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앰프(29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조종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함수부(291)는,
    상기 가변 레그(130)의 변위를 입력받아, 상기 변위에 비례하는 값, 또는 상기 가변 레그(130)의 길이 또는 변위를 입력받아 상기 변위를 미분한 값인 속도에 비례하는 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요소로 하는 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조종 장치.
KR1020140050438A 2014-04-28 2014-04-28 골절 정복 로봇용 사용자 조종 장치 KR101578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438A KR101578489B1 (ko) 2014-04-28 2014-04-28 골절 정복 로봇용 사용자 조종 장치
PCT/KR2015/004202 WO2015167193A1 (ko) 2014-04-28 2015-04-28 골절 정복 로봇용 사용자 조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438A KR101578489B1 (ko) 2014-04-28 2014-04-28 골절 정복 로봇용 사용자 조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469A KR20150124469A (ko) 2015-11-06
KR101578489B1 true KR101578489B1 (ko) 2015-12-18

Family

ID=54358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438A KR101578489B1 (ko) 2014-04-28 2014-04-28 골절 정복 로봇용 사용자 조종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78489B1 (ko)
WO (1) WO201516719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797B1 (ko) * 2018-01-17 2018-07-05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골절 정복장치용 조종장치
WO2019083237A1 (ko) * 2017-10-24 2019-05-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능동형 견인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225B1 (ko) 2016-01-26 2017-09-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외고정 장치 및 외고정 시스템
CN106539617B (zh) * 2017-01-24 2019-03-29 清华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骨科机械牵引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058Y1 (ko) 2005-12-29 2009-01-09 페드럴 스테이트 인스티튜션 (러시안 일리자로브 사이언티픽센터 (레스토러티브 트라우마톨로지 앤드 오르토패딕스) 오브 페드럴 에이젼시 온 하이 테크놀로지 메디컬 케어) 압축-신연 장치
JP2014049136A (ja) 2012-08-29 2014-03-17 Immersion Corp センサ入力を触覚的に表すための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13558A1 (en) * 1995-03-01 1996-09-06 Harold S. Taylor Spatial frame
KR100719347B1 (ko) * 2005-11-18 2007-05-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술도구 위치 설정용 3자유도 직교형 수술로봇
GB201008281D0 (en) * 2010-05-19 2010-06-30 Nikonovas Arkadijus Indirect analysis and manipulation of objec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058Y1 (ko) 2005-12-29 2009-01-09 페드럴 스테이트 인스티튜션 (러시안 일리자로브 사이언티픽센터 (레스토러티브 트라우마톨로지 앤드 오르토패딕스) 오브 페드럴 에이젼시 온 하이 테크놀로지 메디컬 케어) 압축-신연 장치
JP2014049136A (ja) 2012-08-29 2014-03-17 Immersion Corp センサ入力を触覚的に表すための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3237A1 (ko) * 2017-10-24 2019-05-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능동형 견인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74797B1 (ko) * 2018-01-17 2018-07-05 삼익티에이치케이 주식회사 골절 정복장치용 조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469A (ko) 2015-11-06
WO2015167193A1 (ko) 2015-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798B1 (ko) 골절 정복 로봇 시스템
US11890066B2 (en) Surgical robot with passive end effector
EP2180830B1 (en) Robotically controlled catheter and method of its calibration
CN112334116B (zh) 用于自动化手术中的患者摆位的系统及方法
US20140379038A1 (en) System for anatomical reduction of bone fractures
EP3932628A1 (en) Collision avoidance during controlled movement of image capturing device and manipulatable device movable arms
US11864857B2 (en) Surgical robot with passive end effector
KR101578489B1 (ko) 골절 정복 로봇용 사용자 조종 장치
EP3926639A1 (en) Machine learning system for navigated orthopedic surgeries
US202100933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xating a navigation array
WO2022267838A1 (zh) 用于置钉操作的脊柱手术机器人系统
KR101896443B1 (ko) 골절 및 골변형 교정을 위한 모듈형 복원기기
KR101896444B1 (ko) 골절 및 골변형 교정을 위한 링크절 복원기기
EP39813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obot-assisted knee arthroplasty surgery
EP39779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xating a navigation array
CN113907886A (zh) 脊柱手术机器人的手术执行臂、系统及控制系统
Lin et al. Parallel manipulator robot assisted femoral fracture reduction on traction table
CN112618234B (zh) 一种辅助机器人脊柱微创手术定位的手术床及其定位方法
US11185376B2 (en) Robot for placement of spinal instrumentation
US202200157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obot-assisted knee arthroplasty surgery
JP2023551531A (ja) 医療処置の生成及び評価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