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270B1 -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8270B1 KR101578270B1 KR1020130148575A KR20130148575A KR101578270B1 KR 101578270 B1 KR101578270 B1 KR 101578270B1 KR 1020130148575 A KR1020130148575 A KR 1020130148575A KR 20130148575 A KR20130148575 A KR 20130148575A KR 101578270 B1 KR101578270 B1 KR 1015782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dex
- questionnaire
- classification
- result
- infectious dise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장치는 표시부, 입력부, 연산부 및 결과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가 분류 기준에 의해 분류되는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설문을 표시하고, 입력부를 통해 수치화된 응답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받은 입력값을 합산하고 미병지수로 환산하여 각 설문 전체 및 분류 기준 별로 환산된 미병지수 및 신뢰도 측정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설문에 대한 응답을 토대로 미병지수를 측정하여 결과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의학적으로 몸에 특별한 이상이 발견되지는 않으나 사람이 다양한 형태의 불편감을 가지고 있는 상태를 반건강 상태라 하고, 한의학에서는 이를 미병(未病)이라고 한다.
신체적으로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지만 병원의 진단 결과 정상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같이 병원에서 수행되는 의학적인 검사 및 진단으로는 이상을 발견할 수 없으나 다양한 형태의 불편감을 가지고 있는 상태를 반건강 상태, 미병이라 한다.
의학적 검사를 통해 신체에 증상이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의학적으로는 '미병'이라는 개념이 인정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건강 진단에서의 수치가 정상이더라도 몸 상태가 좋지 않고 몸 상태에 대해 불편감을 느끼는 사람이 적지 않다.
한의학에서는 환자의 증상과 환자가 가진 일반적인 특성 등 모든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해서 '부조화의 유형'을 질병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앞에서 언급한 반건강 상태를 의학적으로는 진단할 수는 없으나 한의학적으로는 진단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람들이 느끼는 여러가지 불편감을 진단하고, 이에 따라 자신의 신체 상태 및 증상을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분류 기준에 의하여 분류되는,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설문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문에 대한 수치화된 응답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문 전체에 대한 응답값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문을 상기 분류 기준 별로 응답값을 합산하고, 설문 전체에 대한 합산 결과 및 분류 기준에 대한 합산 결과를 미병지수로 환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설문 전체 및 상기 분류 기준별로 환산된 미병지수 및 상기 각 설문에 대한 신뢰도 측정 결과를 출력하는 결과 출력부를 포함하는 미병지수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산부는 상기 환산된 미병지수를 다른 건강 지수와의 연계하여 상기 연계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건강 지수는 SF-12이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SF-12의 복수 개의 요소 및 상기 환산된 미병 지수 사이의 연관도를 연산하고, 연산 결과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SF-12 요소를 상기 연계 결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산부는, 상기 합산된 응답값을 상기 각 설문 전체 또는 상기 분류 기준 별로 정규화하여 상기 미병지수를 환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 기준은 상위 분류 기준, 하위 분류 기준 및 세부 분류 기준으로 계층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위 분류 기준은 신체 미병지수 및 정신 미병지수이고, 상기 하위 분류 기준은 상태 미병지수 및 행위 미병지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체 상태 분류 기준은 현재 미병지수를 파악할 수 있는 분류 기준이고, 상기 건강 행위 분류 기준은 미래 미병지수를 예측할 수 있는 분류 기준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태 미병지수는, 상기 상위 분류 기준이 상기 신체 미병지수인 경우, 병증 지수, 발한 지수, 활동 지수, 소화 지수 또는 한열불편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세부 분류 기준으로 가지고, 상기 상위 분류 기준이 상기 정신 미병지수인 경우, 감정 지수, 광제 지수, 외향 지수 또는 항심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세부 분류 기준으로 가질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행위 미병지수는, 상기 상위 분류 기준이 상기 신체 미병지수인 경우, 수면 지수, 운동 지수, 배변 지수, 음수 지수, 또는 식이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세부 분류 기준으로 가지고, 상기 상위 분류 기준이 상기 정신 미병지수인 경우, 찰심 지수, 표현 지수 도는 성취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세부 분류 기준으로 가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과 출력부는, 상기 상위 분류 기준 및 상기 하위 분류 기준 각각에 대한 미병지수에 기초하여 각 분류 기준 별 미병지수 관계를 그래프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과 출력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문에 대한 신뢰도 측정 결과 및 상기 연계 결과를 3차원 그래프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분류 기준에 의하여 분류되는,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설문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문에 대한 수치화된 응답값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문 전체에 대한 응답값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문을 상기 분류 기준 별로 응답값을 합산하는 단계, 설문 전체에 대한 합산 결과 및 분류 기준에 대한 합산 결과를 미병지수로 환산하는 단계 및 상기 설문 전체 및 상기 분류 기준별로 환산된 미병지수 및 상기 각 설문에 대한 신뢰도 측정 결과를 출력하는 결과 단계를 포함하는 미병지수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환산하는 단계는, 상기 환산된 미병지수를 다른 건강 지수와의 연계하여 상기 연계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산하는 단계는, 상기 합산된 응답값을 상기 각 설문 전체 또는 상기 분류 기준 별로 정규화하여 상기 미병지수를 환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문에 대한 신뢰도 측정 결과 및 상기 연계 결과를 3차원 그래프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미병 지수 측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미병지수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미병지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기본적인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미병지수 측정 결과를 상위 분류 기준 및 하위 분류 기준 별로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미병지수 측정 결과를 세부 분류 기준 별로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미병지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미병지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기본적인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미병지수 측정 결과를 상위 분류 기준 및 하위 분류 기준 별로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미병지수 측정 결과를 세부 분류 기준 별로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미병지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미병지수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를 도시한다.
미병지수 측정 장치(100)는 표시부(110), 입력부(120), 연산부(130) 및 결과 출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미병지수 측정 장치(100)는 한의학적 개념인 미병을 지수화 하여, 개개인의 건강에 대한 미병 지수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병 지수란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 지수로서, 의학적으로는 특정 증상이나 이상으로 진단되지 않더라도,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을 수치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미병 지수를 통해 사람의 건강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분류 기준에 의하여 분류되는,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설문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설문은 의학에서 중요시하는 항목을 설문 문항으로 개발한 것이다. 또한,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설문을 미병지수 개발에 중요한 개념을 중심으로 분류기준을 설정하여 표 1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분류 기준은 상위 분류 기준, 하위 분류 기준 및 세부 분류 기준를 포함하는 계층화된 분류 기준일 수 있다. 상위 분류 기준은 신체 미병지수와 정신 미병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설문 각각은 신체 미병지수에 대응하는 상위 분류 기준 또는 정신 미병지수에 대응하는 상위 분류 기준 중 하나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신체 미병지수에 대응하는 분류 기준에는 사람이 신체적으로 불편감을 느끼는 부분과 관련된 설문이 분류될 수 있으며, 정신 미병지수에 대응하는 분류기준에는 정신사회적으로 불편감을 느끼는 부분과 관련된 설문이 분류될 수 있다.
계층 순위에서 각 상위 분류 기준의 하위 계층에 해당하는 하위 분류 기준에는 상태 미병지수와 행위 미병지수가 포함될 수 있다. 상태 미병지수는 사용자의 현재 미병지수를 파악할 수 있는 분류 기준일 수 있으며, 행위 미병지수는 사용자의 미래 미병지수를 예측할 수 있는 분류 기준일 수 있다. 따라서, 미병 지수 측정 장치(100)는 상기 하위 분류 기준을 통해 현재 미병 지수 및 미래 예측 미병 지수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현재 건강상태뿐만 아니라 미래의 예측 건강 상태를 파악하여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하위 분류 기준인 상태 미병지수는 상위 분류 기준이 신체 미병지수인 경우, 병증 지수, 발한 지수, 활동 지수, 소화 지수 또는 한열불편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세부 분류 기준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병증 지수는 생활에 불편함을 주는 한의 증상 상태를 점수화 한 것이고, 발한 지수는 일상생활에서 땀을 흘리는 한의학적 상태를 점수화 한 것이고, 활동 지수는 일상생활에서 활동하는 상태를 점수화 한 것이고, 소화 지수는 일상 식이에서 한의학적 소화 상태를 점수화한 것이며, 한열불편 지수는 일상생활에서의 불편 사항 및 추위나 더위를 타는 한의학적 균형 상태를 점수화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위 분류 기준이 상기 정신 미병지수인 경우, 감정 지수, 광제 지수, 외향 지수 또는 항심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세부 분류 기준으로 포함할 수 있다.
감정 지수는 일상생활에서 불편한 한의학적 정서 상태를 점수화한 것이고, 광제 지수는 일상생활에서 사람과의 한의학적 관계 상태를 점수화한 것이고, 외향 지수는 일상생활에서 마음의 한의학적 외향 상태를 점수화 한 것이며, 항심 지수는 일상생활에서 본 마음의 한의학적 편향 상태를 점수화한 것일 수 있다.
반면에, 하위 분류 기준인 행위 미병지수는, 상위 분류 기준이 신체 미병지수인 경우, 수면 지수, 운동 지수, 배변 지수, 음수 지수 또는 식이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세부 분류 기준으로 포함할 수 있다.
수면 지수는 일상생활에서 수면의 질을 점수화 한 것이고, 운동 지수는 일상생활에서 운동하는 행위를 점수화 한 것이고, 배변 지수는 일상생활에서 대변을 보는 상태를 점수화 한 것이고, 음수 지수는 일상생활에서 물을 마시는 행위를 점수화 한 것이며, 식이 지수는 일상생활에서 식사하는 행위를 점수화 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위 분류 기준이 상기 정신 미병지수인 경우, 찰심 지수, 표현 지수 또는 성취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세부 분류 기준으로 포함할 수 있다.
찰심 지수는 일상생활에서 마음의 한의학적 살핌상태를 점수화 한 것이고, 표현 지수는 일상생활에서 마음의 한의학적 표현행위를 점수화 한 것이며, 성취 지수는 일상생활에서 마음의 한의학적 성취행위를 점수화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분류 기준은 미병지수 측정에 요구되는 요소들을 중심으로 설정한 것으로 설명의 목적을 위한 일 예일 뿐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미병지수 측정에 요구되는 다른 요소를 분류 기준에 포함시켜 미병지수를 측정할 수 있다.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설문은 상기한 바와 같은 분류 기준을 통해 나뉘어서 표시될 수 있다. 표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미병 지수 측정 설문을 나타낸 것이다.
번호 | 상위 분류기준 | 하위 분류기준 | 세부 분류기준 |
설문지 |
1 | 신체 | 상태 | 병증 지수 | 건망 증상이 있습니까? |
2 | 신체 | 상태 | 병증 지수 | 갈증이나 입마름 증상이 있습니까? |
3 | 신체 | 상태 | 병증 지수 | 가슴 아픔 혹은 심장 뛰는 느낌(두근거림)이 있습니까? |
4 | 신체 | 상태 | 병증 지수 | 하지무력 증상이 있습니까? |
5 | 신체 | 상태 | 병증 지수 | 몸에 통증이 있습니까? (예:두통, 견비통, 요통, 슬통 등) |
6 | 신체 | 행위 | 수면 지수 | 잠은 잘 주무십니까? |
7 | 신체 | 행위 | 수면 지수 | 잠자리에 드는 시간이 규칙적입니까? |
8 | 신체 | 행위 | 수면 지수 | 수면시간을 적절히 하십니까? (7~8시간) |
9 | 신체 | 행위 | 수면 지수 | 평소 수면의 질은 좋은 편입니까? |
10 | 신체 | 행위 | 수면 지수 | 수면 중 호흡이 안정되어 있습니까? |
11 | 신체 | 상태 | 발한 지수 | 일상생활에서 땀을 어느 정도 흘립니까? |
12 | 신체 | 상태 | 발한 지수 | 운동 시 땀을 어느 정도 흘립니까? |
13 | 신체 | 상태 | 발한 지수 | 긴장 시 땀을 어느 정도 흘립니까? |
14 | 신체 | 상태 | 발한 지수 | 수면 시 땀을 어느 정도 흘립니까? |
15 | 신체 | 행위 | 운동 지수 | 출, 퇴근 시간 걷기 등을 포함하여 하루 30분 이상 걷는 날이 얼마나 있습니까? |
16 | 신체 | 행위 | 운동 지수 | 평소보다 숨이 조금 더 차는 중간 정도의 활동을 하루 30분 이상 시행한 날이 얼마나 있습니까?(예: 가벼운 물건 나르기, 보통 속도로 자전거 타기, 복식 테니스) |
17 | 신체 | 행위 | 운동 지수 | 평소보다 숨이 많이 차는 격렬한 활동을 하루 20분 이상 시행한 날이 얼마나 있습니까? (예: 무거운 물건 나르기, 달리기, 에어로빅, 빠른 속도로 자전거 타기) |
18 | 신체 | 상태 | 활동 지수 | 평소 걷는데 어려움이 있습니까? |
19 | 신체 | 상태 | 활동 지수 | 혼자 목욕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까? |
20 | 신체 | 상태 | 활동 지수 | 계단 오르내리기에 어려움이 있습니까? |
21 | 신체 | 행위 | 배변 지수 | 대변을 1회/1-2일 규칙적으로 보십니까? |
22 | 신체 | 행위 | 배변 지수 | 대변을 보는 시간은 5분 내외로 일정합니까? |
23 | 신체 | 행위 | 배변 지수 | 대변을 아침 시간대에 봅니까? |
24 | 신체 | 행위 | 음수 지수 | 평소 따뜻한 물을 마십니까? |
25 | 신체 | 행위 | 음수 지수 | 몸을 따뜻하게 합니까? (여름제외) |
26 | 신체 | 상태 | 소화 지수 | 입맛은 좋습니까? |
27 | 신체 | 상태 | 소화 지수 | 소화가 잘 되십니까? |
28 | 신체 | 상태 | 소화 지수 | 얼굴 피부는 윤기가 있습니까? |
29 | 신체 | 상태 | 한열불편 지수 | 피로하십니까? |
30 | 신체 | 상태 | 한열불편 지수 | 추위를 많이 느낍니까? |
31 | 신체 | 상태 | 한열불편 지수 | 손이나 발이 차갑고 서늘합니까? |
32 | 신체 | 상태 | 한열불편 지수 | 기타 불편 증상이 있습니까? (예: 어지럼증, 부종 등) |
33 | 신체 | 행위 | 식이 지수 |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십니까? |
34 | 신체 | 행위 | 식이 지수 | 아침식사를 드십니까? |
35 | 정신 | 상태 | 감정 지수 | 평소 정서적으로 불안하십니까? |
36 | 정신 | 상태 | 감정 지수 | 평소 긴장감이 많습니까? |
37 | 정신 | 상태 | 감정 지수 | 스트레스를 많이 받습니까? |
38 | 정신 | 상태 | 감정 지수 | 최근 슬픈 시간이 많았습니까? |
39 | 정신 | 상태 | 감정 지수 | 최근 화난 시간이 많았습니까? |
40 | 정신 | 상태 | 광제 지수 | 가족과 관계가 좋습니까? |
41 | 정신 | 상태 | 광제 지수 | 가족을 위해 봉사하십니까? |
42 | 정신 | 상태 | 광제 지수 | 주변 사람(친구, 동료, 친척 등)과 관계는 좋습니까? |
43 | 정신 | 상태 | 광제 지수 | 배우자 혹은 연인과의 관계는 좋습니까? |
44 | 정신 | 상태 | 광제 지수 | 매사에 근면성실 하십니까? |
45 | 정신 | 상태 | 광제 지수 | 매사에 정리를 잘 하십니까? |
46 | 정신 | 행위 | 찰심 지수 | 다가올 일에 대해 미리 준비하는 편입니까? |
47 | 정신 | 행위 | 찰심 지수 | 평소 자신의 마음을 살피는 편입니까? |
48 | 정신 | 행위 | 찰심 지수 | 주변 환경이나 상황을 잘 살피는 편입니까? |
49 | 정신 | 상태 | 외향 지수 | 성격이 외향적입니까? |
50 | 정신 | 상태 | 외향 지수 | 결정을 쉽게 하는 편인가요? |
51 | 정신 | 상태 | 외향 지수 | 마음을 대범하게 갖는 편입니까? |
52 | 정신 | 행위 | 표현 지수 | 매사에 마음을 넓게 쓰십니까? |
53 | 정신 | 행위 | 표현 지수 | 평소 긍정적으로 생각합니까? |
54 | 정신 | 행위 | 표현 지수 | 마음에 여유를 가지는 편입니까? |
55 | 정신 | 행위 | 표현 지수 | 본인 감정을 잘 조절하는 편입니까? |
56 | 정신 | 행위 | 표현 지수 | 매사에 한걸음 물러나는 편입니까? |
57 | 정신 | 상태 | 항심 지수 | 평소 마음이 조급한 편입니까? |
58 | 정신 | 상태 | 항심 지수 | 평소 겁이 많은 편입니까? |
59 | 정신 | 상태 | 항심 지수 | 평소 두려움이 많은 편입니까? |
60 | 정신 | 행위 | 성취 지수 | 현재 하고 있는 일에 만족하십니까? |
61 | 정신 | 행위 | 성취 지수 | 꾸준히 자기 개발을 위해 노력합니까? |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설문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위 분류 기준인 신체 미병지수와 정신 미병지수로 나뉠 수 있다. 또한 각 상위 분류기준은 상태 미병지수와 행위 미병지수의 하위 분류기준으로 구분되고, 각 하위 분류 기준인 상태 미병지수와 행위 미병지수는 설문 문항 또는 요인 분석을 통하여 세부 분류 기준으로 나뉠
이와 같이 분류 기준 별로 설문 문항을 구분함으로써 미병지수를 세부 요소 별로 표시할 수 있으며 대상자의 건강을 상기 세부 요소 별로 나타낼 수 있다. 다만, 상기의 설문 내용은 설명의 목적을 위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다른 설문 내용이 추가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설문에 대한 수치화된 응답값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설문에 대한 응답을 단순히 '예/아니오'로만 응답하는 것이 아니라 수치화된 응답값을 통해 더 상세히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각 설문에 대해 자신의 증상 및 이상에 대한 강도를 파악하여 수치화된 응답값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된 응답값은 미병지수 판단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연산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설문 전체에 대한 응답값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문을 상기 분류 기준 별로 응답값을 합산하고, 설문 전체에 대한 합산 결과 및 분류 기준에 대한 합산 결과를 미병지수로 환산할 수 있다.
연산부(130)는 응답값을 합산한 뒤 합산한 결과를 단순히 제시하는 것이 아닌 미병지수로 환산할 수 있다. 응답값을 단순히 합산하여 결과를 제시할 수도 있지만, 합산된 응답값을 정규화하여 환산할 수 있다. 정규화를 통해 미병지수를 환산하여 제시하는 경우 사용자가 미병지수를 더 효율적으로 확인하고, 각 분류 기준 별로 미병지수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산부(130)는 미리 시행된 통계자료에 기초하여 정규화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미리 시행된 통계자료는 충분한 수의 실험 개체군 각각의 미병 지수 및 실제 측정된 건강 상태간의 관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미리 시행된 통계자료는 각각의 분류 기준 별로 평균, 분산 등의 통계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신 미병지수-행위 미병지수-찰심 지수"로 분류되는 분류 기준에서의 위험 정도에 대한 평균은 3으로 설정되는 반면 "정신 미병지수-상태 미병지수-외향 지수"로 분류되는 분류 기준에서의 위험 정도에 대한 평균은 4로 상이한 통계값을 가질 수 있다.
연산부(130)는 각각의 분류 기준 별로 통계값을 이용한 정규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는 각각의 분류 기준들이 일괄적인 평균을 가지는 것과 같은 미병 지수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미병지수는 정규화를 통해 100 분위 점수로 환산하여 점수가 낮을수록 미병지수가 높고, 점수가 높을수록 미병지수가 낮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나타난 미병지수를 통해 미병지수가 높을수록 미병군에 가깝고 미병지수가 낮을수록 건강군에 가까움을 나타낼 수 있다.
결과 출력부(140)는 설문 전체 및 상기 분류 기준별로 환산된 미병지수 및 상기 각 설문에 대한 신뢰도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결과 출력부(140)는 상기 연산부(130)에서 환산된 미병지수를 기초하여, 사용자의 미병 상태를 총점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위 분류 기준인 신체 미병지수, 정신 미병지수로 나누어 제시하고, 상위 분류 기준을 하위 분류 기준인 상태 미병지수와 행위 미병지수로 나누어 미병지수를 출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하위 분류인 상태 미병지수와 행위 미병지수를 세부 분류 기준으로 나누어 각 분류 기준 별로 점수를 출력할 수 있다.
환산된 미병지수를 이용하여 고미병지수, 중간미병지수 또는 저미병지수로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판단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고미병지수는 현재 사용자의 미병 상태가 위험함을 나타내고, 중간미병지수는 현재 사용자의 미병 상태가 위험과 양호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며, 저미병지수는 현재 사용자의 미병 상태가 양호함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미병 상태를 구분하는 기준은 상기 미병지수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을 이용하여 임상증례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결정할 수 있다. 임상증례에서 나타나는 환산된 미병지수를 그룹별로 분류하고 그 차이를 비교하여 상기와 같이 3 가지의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분은 총점을 기준으로도 구분할 수 있고, 각 분류 기준 별로도 구분하여 그룹을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병 지수를 3 가지 그룹으로 분류한 결과를 설문 전체에 대해 적용하여 출력할 수도 있고, 각 분류 기준 별로 적용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전체적인 미병 상태 또는 각 분류 기준 별로 미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세부 분류 기준 별로도 자신의 미병 상태를 판단할 수 있어 현재 사용자의 미병 상태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결과 출력부(140)는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설문에 대한 응답값을 통해 미병지수를 출력하는 것뿐만 아니라 각 설문에 대한 신뢰도도 출력할 수 있다.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설문을 설정하면서 건강 구간별 신뢰도 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
미병지수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을 이용하여 임상증례를 수집하고 획득된 자료를 바탕으로 신뢰도 검증을 위해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α) 및 문항 내적 일치도(bItem-internal consistency)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일정 기간 후에 요인별 급내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을 분석하여 신뢰도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크론바하 알파는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설문의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0 내지 1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1에 가까울수록 내적 일치도가 높아 신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0.6 이상이면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신뢰도 검증을 수행한 뒤, 결과 출력부(140)는 신뢰도 검증 결과를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각 설문별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미병지수 결과 값에 대한 신뢰도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신뢰성 있는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표 3은 표 2의 설문을 바탕으로 신뢰도 검증을 수행한 결과이다.
범주 | ka | 상태 /행위 |
Mean (SD) |
Cronbach`s α | IICb | ICCc (95% CI) (n=348) |
신체 미병지수 | ||||||
병증 지수 | 5 | 상태 | 71.7 (18.9) | 0.724 | 0.652-0.719 | 0.697 (0.639-0.747) |
수면 지수 | 5 | 행위 | 53.5 (22.7) | 0.758 | 0.565-0.835 | 0.769 (0.723-0.809) |
발한 지수 | 4 | 상태 | 48 (20) | 0.723 | 0.651-0.801 | 0.749 (0.699-0.792) |
운동 지수 | 3 | 행위 | 41.7 (26.7) | 0.736 | 0.742-0.885 | 0.643 (0.577-0.701) |
활동 지수 | 3 | 상태 | 87.2 (17.8) | 0.691 | 0.583-0.890 | 0.670 (0.608-0.724) |
배변 지수 | 3 | 행위 | 66.9 (26.4) | 0.721 | 0.774-0.884 | 0.707 (0.650-0.756) |
음수 지수 | 2 | 행위 | 46.1 (26.7) | 0.669 | 0.853-0.881 | 0.720 (0.665-0.767) |
소화 지수 | 3 | 상태 | 55.9 (21.7) | 0.574 | 0.663-0.773 | 0.638 (0.571-0.696) |
한열불편 지수 | 4 | 상태 | 61.8 (22.3) | 0.643 | 0.568-0.773 | 0.738 (0.687-0.783) |
식이 지수 | 2 | 행위 | 71 (28.9) | 0.707 | 0.855-0.808 | 0.790 (0.747-0.827) |
신체 미병지수 요약 | 34 | 60.4 (10.2) | 0.758 | - | 0.788 (0.745-0.825) | |
정신 미병지수 | ||||||
감정 지수 | 5 | 상태 | 73.3 (19.9) | 0.823 | 0.722-0.808 | 0.751 (0.701-0.793) |
광제 지수 | 6 | 상태 | 67.3 (17.9) | 0.792 | 0.618-0.757 | 0.698 (0.640-0.749) |
찰심 지수 | 3 | 행위 | 56.6 (21.6) | 0.756 | 0.786-0.846 | 0.563 (0.487-0.631) |
외향 지수 | 3 | 상태 | 45.5 (24.2) | 0.686 | 0.775-0.793 | 0.689 (0.629-0.740) |
표현 지수 | 5 | 행위 | 57.6 (18.1) | 0.749 | 0.655-0.746 | 0.680 (0.619-0.733) |
항심 지수 | 3 | 상태 | 63.9 (25) | 0.761 | 0.751-0.861 | 0.691 (0.632-0.742) |
성취 지수 | 2 | 행위 | 49.2 (25.8) | 0.605 | 0.844-0.850 | 0.637 (0.571-0.696) |
정신 미병지수 요약 | 27 | 59.1 (12.2) | 0.843 | - | 0.782 (0.738-0.820) |
결과 출력부(140)는 각 분류 기준 별로 신뢰도 값을 z 축으로 표시하여 각 건강지수 결과 값을 판단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그 값을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 지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신뢰도 값이 z축으로 표시됨에 따라서 3차원의 미병 지수 결과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결과 출력부(140)는 기존의 건강 설문지, 예를 들어 SF-12와 연계하여 미병지수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과의 연관 관계를 출력할 수 있다. 미병지수와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 도구의 대표적인 SF-12와의 연관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미병지수의 하위 분류 기준과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의 대표적인 설문인 SF-12의 8개 하위 분류 기준과의 연계 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표 4는 SF-12의 신체적(PCS), 정신적(MCS) 2개 요소 요약 점수를 4 분위로 나눈 후 4개 그룹 간의 미병지수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를 나타낸다.
이 결과 SF-12의 PCS, MCS 점수가 낮을수록 미병지수의 점수도 낮은 경향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미병지수와 기존의 건강 설문지와의 연계 관계를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미병지수 결과가 실제 기존에 사용하는 건강값과 연관성을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의 미병상태에 대해 보다 신뢰성을 가지면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결과 출력부(140)는 그래프를 통해 환산된 미병지수 값을 나타낼 수 있고 신뢰도 및 기존 건강 설문과의 연관관계는 상기 그래프의 z 축 방향으로 나타내어 3차원 그래프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미병지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기본적인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2는 결과 출력부(140)를 통해 미병지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기본적인 그래프이다. 상기 그래프는 상위 분류 기준을 x 축으로 하고, 하위 분류 기준을 y 축으로 설정한뒤 각 세부 분류 기준이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환산된 미병지수는 3 개의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고, 3 개의 그룹으로 구분되는 경계 지표(210, 220) 역시 도시되어 있어, 사용자는 자신의 미병 상태가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경계지표(210)는 중간미병지수와 저미병지수를 구분되는 지점을 나타내고, 경계지표(220)는 고미병지수와 중간미병지수로 구분되는 지점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측정된 미병 지수에 대해 그래프로 표시하면서 동시에 각 분류 기준 별 수치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그래프뿐만 아니라 분류 기준 별 수치를 통해서도 자신의 미병지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하위 분류 기준인 상태 미병지수를 통해서는 사용자의 현재 미병 지수를 파악할 수 있고, 하위 분류 기준인 행위 미병지수를 통해서는 사용자의 미래 미병 지수를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미병지수의 점수를 통해 현지 자신의 미병 상태가 양호한지, 위험한지를 판단할 수 있고, 행위 미병지수의 점수를 통해 미래 미병 상태가 더 악화될 수 있는지, 더 호전 될 수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미병지수 측정 결과를 상위 분류 기준 및 하위 분류 기준 별로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3에서는 사용자가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설문을 수행한 후 각 미병지수 값을 환산하여 상위 분류 기준 및 하위 분류 기준 별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결과 값은 4 개의 포인트(310, 320, 330, 340)를 통해 사각형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
결과 포인트(310)는 상위 분류 기준이 신체 미병지수이고 하위 분류 기준이 상태 미병지수인 경우의 미병지수 환산 값을 나타낸다. x 축 방향은 상위 분류 기준인 신체 미병지수를 나타내고, y 축 방향은 하위 분류 기준이 상태 미병지수를 나타낸다.
결과 포인트(320)는 상위 분류 기준이 신체 미병지수이고 하위 분류 기준이 행위 미병지수인 경우의 미병지수 환산 값을 나타낸다. x 축 방향은 상위 분류 기준인 신체 미병지수를 나타내고, y 축 방향은 하위 분류 기준인 행위 미병지수를 나타낸다.
결과 포인트(330)는 상위 분류 기준이 정신 미병지수이고, 하위 분류 기준이 행위 미병지수인 경우의 미병지수 환산 값을 나타낸다. x 축 방향은 상위 분류 기준인 정신 미병지수를 나타내고, y 축 방향은 하위 분류 기준인 행위 미병지수를 나타낸다.
결과 포인트(340)는 상위 분류 기준이 정신 미병지수이고, 하위 분류 기준이 상태 미병지수인 경우의 미병지수 환산 값을 나타낸다. x 축 방향은 상위 분류 기준인 정신 미병지수를 나타내고, y 축 방향은 하위 분류 기준인 상태 미병지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상기 미병지수 환산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통해 상위 분류 기준 및 하위 분류 기준에 따른 미병지수 환산 값을 표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미병 상태가 어떠한 부분으로 치우쳐 있는지 및 각 분류 기준 별로 자신의 미병 상태가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미병지수 측정 결과를 세부 분류 기준 별로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4에서는 사용자가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설문을 수행한 후 각 미병지수 값을 환산하여 세부 분류 기준 별로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결과 값은 각 세부 분류 기준별로 출력될 수 있다.
도 3에서와는 달리 도 4에서는 세부 분류 기준 별로 환산된 미병지수 값이 출력될 수 있으므로, 더 자세하게 자신의 미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미병상태를 보다 자세하게 판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향후 건강 계획을 세울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4는 환산된 미병지수를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일 뿐이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미병지수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510)에서 표시부(110)는 분류 기준에 의하여 분류되는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설문을 표시할 수 있다.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설문은 의학에서 중요시하는 항목을 설문 문항으로 개발한 것이다. 또한,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설문을 미병지수 개발에 중요한 개념을 중심으로 분류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110)를 통해 상기 설문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520)에서 입력부(120)는 상기 설문에 대한 수치화된 응답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각 설문에 대해 자신의 증상 및 이상에 대한 강도를 파악하여 수치화된 응답값을 입력할 수 있고, 이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입력된 응답값은 미병지수 판단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단계(530)에서 연산부(130)는 입력받은 응답값 전체 및 입력받은 응답값을 분류 기준 별로 합산할 수 있다. 입력받은 전체 응답값뿐만 아니라 입력받은 응답값을 분류 기준 별로 합산하여 각 분류 기준 별 미병지수 환산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단계(540)에서 연산부(130)는 상기 합산 결과를 미병지수로 환산할 수 있다. 응답값을 단순히 합산하여 결과를 제시할 수도 있지만, 더 효율적으로 미병지수를 측정하기 위해 연산부(130)는 합산된 응답값을 정규화하여 환산할 수 있다. 정규화를 통해 미병지수를 환산하여 제시하는 경우 사용자가 미병지수를 더 효율적으로 확인하고, 각 분류 기준 별로 미병지수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단계(550)에서 결과 출력부(140)는 환산된 미병지수 및 각 설문에 대한 신뢰도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문별로 기존 건강 설문과의 연계관계를 출력할 수 있다. 결과 출력부(140)는 상기 미병지수 및 신뢰도 측정 결과를 그래프로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자신의 미병 상태 및 각 설문의 신뢰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기존 건강 설문과의 연계관계를 통해 자신의 미병상태에 대해 보다 신뢰성을 가지면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6)
- 상위 분류 기준, 하위 분류 기준 및 세부 분류 기준으로 계층적으로 구분된 분류 기준에 의하여 분류되는,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설문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문에 대한 수치화된 응답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문 전체에 대한 응답값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문을 상기 분류 기준 별로 응답값을 합산하고, 설문 전체에 대한 합산 결과 및 분류 기준에 대한 합산 결과를 미병지수로 환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설문 전체 및 상기 분류 기준별로 환산된 미병지수 및 상기 각 설문에 대한 신뢰도 측정 결과를 출력하는 결과 출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상위 분류 기준은 신체 미병지수 및 정신 미병지수이고, 상기 하위 분류 기준은 상태 미병지수 및 행위 미병지수이고,
상기 상태 미병지수는: 상기 상위 분류 기준이 상기 신체 미병지수인 경우, 병증 지수, 발한 지수, 활동 지수, 소화 지수 또는 한열불편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세부 분류 기준으로 가지고, 상기 상위 분류 기준이 상기 정신 미병지수인 경우, 감정 지수, 광제 지수, 외향 지수 또는 항심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세부 분류 기준으로 가지며,
상기 행위 미병지수는: 상기 상위 분류 기준이 상기 신체 미병지수인 경우, 수면 지수, 운동 지수, 배변 지수, 음수 지수 또는 식이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세부 분류 기준으로 가지고, 상기 상위 분류 기준이 상기 정신 미병지수인 경우, 찰심 지수, 표현 지수 또는 성취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세부 분류 기준으로 가지는 미병지수 측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환산된 미병지수를 다른 건강 지수와의 연계하여 상기 연계 결과를 생성하는 미병지수 측정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건강 지수는 SF-12이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SF-12의 복수 개의 요소 및 상기 환산된 미병 지수 사이의 연관도를 연산하고, 연산 결과가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SF-12 요소를 상기 연계 결과로서 출력하는, 미병지수 측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합산된 응답값을 상기 각 설문 전체 또는 상기 분류 기준 별로 정규화하여 상기 미병지수를 환산하는, 미병지수 측정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출력부는, 상기 상위 분류 기준 및 상기 하위 분류 기준 각각에 대한 미병지수에 기초하여 각 분류 기준 별 미병지수 관계를 그래프로 출력하는, 미병지수 측정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 출력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문에 대한 신뢰도 측정 결과 및 상기 연계 결과를 3차원 그래프로 출력하는, 미병지수 측정 장치. - 미병지수 측정장치가 미병지수를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표시부가, 상위 분류 기준, 하위 분류 기준 및 세부 분류 기준으로 계층적으로 구분된 분류 기준에 의하여 분류되는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설문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장치의 입력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문에 대한 수치화된 응답값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장치의 연산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문 전체에 대한 응답값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문을 상기 분류 기준 별로 응답값을 합산하는 단계;
상기 연산부가, 설문 전체에 대한 합산 결과 및 분류 기준에 대한 합산 결과를 미병지수로 환산하는 단계; 및
상기 장치의 출력부가, 상기 설문 전체 및 상기 분류 기준별로 환산된 미병지수 및 상기 각 설문에 대한 신뢰도 측정 결과를 출력하는 결과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상위 분류 기준은 신체 미병지수 및 정신 미병지수이고, 상기 하위 분류 기준은 상태 미병지수 및 행위 미병지수이고,
상기 상태 미병지수는: 상기 상위 분류 기준이 상기 신체 미병지수인 경우, 병증 지수, 발한 지수, 활동 지수, 소화 지수 또는 한열불편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세부 분류 기준으로 가지고, 상기 상위 분류 기준이 상기 정신 미병지수인 경우, 감정 지수, 광제 지수, 외향 지수 또는 항심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세부 분류 기준으로 가지며,
상기 행위 미병지수는: 상기 상위 분류 기준이 상기 신체 미병지수인 경우, 수면 지수, 운동 지수, 배변 지수, 음수 지수 또는 식이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세부 분류 기준으로 가지고, 상기 상위 분류 기준이 상기 정신 미병지수인 경우, 찰심 지수, 표현 지수 또는 성취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세부 분류 기준으로 가지는 미병지수 측정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환산하는 단계는, 상기 환산된 미병지수를 다른 건강 지수와의 연계하여 상기 연계 결과를 생성하는 미병지수 측정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환산하는 단계는, 상기 합산된 응답값을 상기 각 설문 전체 또는 상기 분류 기준 별로 정규화하여 상기 미병지수를 환산하는, 미병지수 측정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문에 대한 신뢰도 측정 결과 및 상기 연계 결과를 3차원 그래프로 출력하는, 미병지수 측정 방법. - 제12항 내지 제15항 중에서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8575A KR101578270B1 (ko) | 2013-12-02 | 2013-12-02 |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8575A KR101578270B1 (ko) | 2013-12-02 | 2013-12-02 |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3779A KR20150063779A (ko) | 2015-06-10 |
KR101578270B1 true KR101578270B1 (ko) | 2015-12-16 |
Family
ID=53505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8575A KR101578270B1 (ko) | 2013-12-02 | 2013-12-02 |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827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4028B1 (ko) * | 2016-05-25 | 2018-06-20 | 한국 한의학 연구원 | 미병의 발현 주기에 따른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보조 컴퓨팅 장치 및 방법 |
KR101867166B1 (ko) * | 2016-08-01 | 2018-07-23 | 한국 한의학 연구원 | 증상 요약 방법 |
WO2019225805A1 (ko) * | 2018-05-23 | 2019-11-28 | 주식회사 3업플러스 | 미병 분석을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식품보조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
KR102134227B1 (ko) * | 2019-06-05 | 2020-07-15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작업능력 회복 정도를 예측하기 위한 중증도 지수 개발 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33501A (ja) | 2010-12-21 | 2012-07-12 | Akio Sano | 未病判定指標および未病判定方法 |
-
2013
- 2013-12-02 KR KR1020130148575A patent/KR1015782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33501A (ja) | 2010-12-21 | 2012-07-12 | Akio Sano | 未病判定指標および未病判定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3779A (ko) | 2015-06-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Leenen et al. | Current evidence for continuous vital signs monitoring by wearable wireless devices in hospitalized adults: systematic review | |
Staudenmayer et al. | Methods to estimate aspects of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r from high-frequency wrist accelerometer measurements | |
Soundy et al. | Selection, use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physical activity measures to assess individuals with severe mental illness: a narrative synthesis | |
Hall et al. | METs and accelerometry of walking in older adults: standard versus measured energy cost | |
Panhwar et al. | Assessment of frailty: a survey of quantitative and clinical methods | |
Millor et al. | An evaluation of the 30-s chair stand test in older adults: frailty detection based on kinematic parameters from a single inertial unit | |
Staudenmayer et al. |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o estimate physical activity energy expenditure and identify physical activity type from an accelerometer | |
Musaad et al. | Comparison of anthropometric measures of obesity in childhood allergic asthma: central obesity is most relevant | |
Robusto et al. | Comparison of three generations of ActiGraph™ activity monito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
Lyden et al. |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commonly used accelerometer energy expenditure and MET prediction equations | |
Badnjević et al. | Classification of asthma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 |
Banerjee et al. | Validating a commercial device for continuous activity measurement in the older adult population for dementia management | |
Ummels et al. | Counting step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eople with a chronic disease using nine commercially available fitness trackers: Cross-sectional validity study | |
Lee et al. | Toward using a smartwatch to monitor frailty in a hospital setting: using a single wrist-wearable sensor to assess frailty in bedbound inpatients | |
Similä et al. | Accelerometry-based berg balance scale score estimation | |
KR101578270B1 (ko) | 미병지수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
Davoudi et al. | The effect of sensor placement and number on physical activity recognition and energy expenditure estimation in older adults: Validation study | |
Bolton et al. | The impact of nursing interventions | |
Bagula et al. | Cyber-healthcare kiosks for healthcare support in developing countries | |
Fakir et al. | Prediction of individual thermal sensation from exhaled breath temperature using a smart face mask | |
Hsu et al. | A novel approach for fall risk prediction using the inertial sensor data from the timed-up-and-go test in a community setting | |
KR101653502B1 (ko) | 미병 분류를 보조하는 컴퓨팅 장치 및 방법 | |
Reis et al. | Determination of anaerobic threshold through heart rate and near infrared spectroscopy in elderly healthy men | |
Cosoli et al. | Methods for the metrological characterization of wearable devices for the measurement of physiological signals: state of the art and future challenges | |
Han et al. |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in married women: a longitudinal study utilizing data from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