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014B1 - 멀티 티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신호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티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신호 수신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8014B1 KR101578014B1 KR1020147022118A KR20147022118A KR101578014B1 KR 101578014 B1 KR101578014 B1 KR 101578014B1 KR 1020147022118 A KR1020147022118 A KR 1020147022118A KR 20147022118 A KR20147022118 A KR 20147022118A KR 101578014 B1 KR101578014 B1 KR 1015780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rn
- terminal
- transmission point
- base station
- time interv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멀티 티어(Mult Tier)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송포인트의 안테나 턴온/턴오프(turn on/turn off)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턴온/턴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전송포인트에 관련된 단말의 연결 천이를 위한 것인, 신호 수신 방법이다.
Description
이하의 설명은 멀티 티어 무선통신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송포인트의 안테나 턴 온/오프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음성이나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전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대역폭, 전송 파워 등)을 공유하여 다중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시스템이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들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MC-FDMA(multi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멀티 티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송포인트의 안테나 턴 온/오프 및 이를 위한 전송포인트 및 단말의 동작을 정의함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인 측면은, 멀티 티어(Mult Tier)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송포인트의 안테나 턴온/턴오프(turn on/turn off)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턴온/턴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전송포인트에 관련된 단말의 연결 천이를 위한 것인, 신호 수신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2 기술적인 측면은, 멀티 티어(Mult Tier)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수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전송포인트의 안테나 턴온/턴오프(turn on/turn off)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안테나 턴온/턴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전송포인트에 관련된 단말의 연결 천이를 위한 것인, 단말 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2 기술적인 측면은 다음 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RRC 연결(RRC_connected)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은 셀 탐색 수행에 대한 지시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셀 탐색 수행에 대한 지시는 상기 단말이 셀 탐색을 수행하여야 하는 셀 후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 탐색에 기초해 다른 전송포인트에 접속하여도, 상기 단말이 상기 전송포인트에서 할당 받은 단말 식별자는 유지되는 것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안테나 턴오프 시간 구간이 종료되면 상기 전송포인트에 재접속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턴온/턴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전송포인트와 소정 시간 이후에 송수신을 수행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턴온/턴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전송포인트에 소정 시간 이후에 진입을 시도할 것을 지시하는 지시자일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유휴상태(IDLE_STATE)인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턴오프 시간 종료 이후에 제어신호의 수신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턴온/턴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는 방송 채널(Broadcast Channel) 상으로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턴온/턴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는 시스템 정보로써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턴온/턴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는 라디오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간 단위의 정수배일 수 있다.
상기 전송포인트는 마이크로 기지국, 펨토 기지국, 피코 기지국 또는 릴레이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으로부터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인접 셀 또는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던 간섭이 줄어 들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적은 용량을 요구하는 셀에서 특정 기지국 또는 안테나의 전력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내고 명세서의 기재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이종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핸드오버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핸드오버 절차에서 측정보고 전송 여부의 판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랜덤 액세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멀티 티어Multi-tier) 형태의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RRC 연결 상태의 단말이 안테나 턴 온/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이종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핸드오버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핸드오버 절차에서 측정보고 전송 여부의 판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랜덤 액세스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멀티 티어Multi-tier) 형태의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RRC 연결 상태의 단말이 안테나 턴 온/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지국과 단말 간의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의 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중계기는 Relay Node(RN), Relay Station(RS)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WiMAX는 IEEE 802.16e 규격(WirelessMAN-OFDMA Reference System) 및 발전된 IEEE 802.16m 규격(WirelessMAN-OFDMA Advanced system)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하여 이하에서는 3GPP LTE 및 3GPP LTE-A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를 참조하여 무선 프레임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셀룰라 OFDM 무선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상/하향링크 데이터 패킷 전송은 서브프레임 (subframe) 단위로 이루어지며, 한 서브프레임은 다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는 일정 시간 구간으로 정의된다. 3GPP LTE 표준에서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1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와 TDD(Time Division Duplex)에 적용 가능한 타입 2의 무선 프레임 구조를 지원한다.
도 1(a)는 타입 1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하고,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을 포함한다. 3GPP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에서 OFDMA 를 사용하므로, OFDM 심볼이 하나의 심볼 구간을 나타낸다. OFDM 심볼은 또한 SC-FDMA 심볼 또는 심볼 구간으로 칭하여질 수도 있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은 자원 할당 단위이고,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개의 연속적인 부반송파(sub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CP(Cyclic Prefix)의 구성(configuration)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CP에는 확장된 CP(extended CP)와 일반 CP(normal CP)가 있다. 예를 들어, OFDM 심볼이 일반 CP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7개일 수 있다. OFDM 심볼이 확장된 CP에 의해 구성된 경우, 한 OFDM 심볼의 길이가 늘어나므로, 한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일반 CP인 경우보다 적다. 확장된 CP의 경우에, 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볼의 수는 6개일 수 있다. 단말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등의 경우와 같이 채널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심볼간 간섭을 더욱 줄이기 위해 확장된 CP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 CP가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슬롯은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므로,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이때, 각 서브프레임의 처음 2개 또는 3개의 OFDM 심볼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할당되고, 나머지 OFDM 심볼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할당될 수 있다.
도 1(b)는 타입 2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타입 2 무선 프레임은 2개의 해프 프레임 (half frame)으로 구성되며, 각 해프 프레임은 5개의 서브프레임과 DwPTS (Downlink Pilot Time Slot), 보호구간(Guard Period; GP), UpPTS (Uplink Pilot Time Slot)로 구성되며, 이 중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DwPTS는 단말에서의 초기 셀 탐색, 동기화 또는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UpPTS는 기지국에서의 채널 추정과 단말의 상향 전송 동기를 맞추는 데 사용된다. 보호구간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사이에 하향링크 신호의 다중경로 지연으로 인해 상향링크에서 생기는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구간이다. 한편, 무선 프레임의 타입에 관계 없이 1개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으로 구성된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또는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 슬롯에 포함되는 심볼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하향링크 슬롯에서의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7 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블록(RB)은 주파수 영역에서 12 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반 CP(Cyclic Prefix)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7 OFDM 심볼을 포함하지만, 확장된 CP(extended-CP)의 경우에는 하나의 슬롯이 6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각의 요소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라 한다. 하나의 자원블록은 12×7 자원 요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들의 NDL의 개수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에 따른다. 상향링크 슬롯의 구조는 하향링크 슬롯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3은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첫 번째 슬롯의 앞 부분의 최대 3 개의 OFDM 심볼은 제어 채널이 할당되는 제어 영역에 해당한다. 나머지 OFDM 심볼들은 물리하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cel; PDSCH)이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에 해당한다. 3GPP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향링크 제어 채널들에는, 예를 들어, 물리제어포맷지시자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물리하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물리HARQ지시자채널(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 Channel; PHICH) 등이 있다. PCFICH는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OFDM 심볼에서 전송되고 서브프레임 내의 제어 채널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볼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PHICH는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으로서 HARQ ACK/NACK 신호를 포함한다. PDCCH를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하향링크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 한다. DCI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거나 임의의 단말 그룹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을 포함한다. PDCCH는 하향링크공유채널(DL-SCH)의 자원 할당 및 전송 포맷, 상향링크공유채널(UL-SCH)의 자원 할당 정보, 페이징채널(PCH)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으로 전송되는 임의접속응답(Random Access Response)과 같은 상위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임의의 단말 그룹 내의 개별 단말에 대한 전송 전력 제어 명령의 세트, 전송 전력 제어 정보, VoIP(Voice over IP)의 활성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PDCCH가 제어 영역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단말은 복수의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PDCCH는 하나 이상의 연속하는 제어채널요소(Control Channel Element; CCE)의 조합(aggregation)으로 전송된다. CCE는 무선 채널의 상태에 기초한 코딩 레이트로 PDCCH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 할당 단위이다. CCE는 복수개의 자원 요소 그룹에 대응한다. PDCCH의 포맷과 이용가능한 비트 수는 CCE의 개수와 CCE에 의해 제공되는 코딩 레이트 간의 상관관계에 따라서 결정된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전송되는 DCI에 따라서 PDCCH 포맷을 결정하고, 제어 정보에 순환잉여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CRC)를 부가한다. CRC는 PDCCH의 소유자 또는 용도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NTI)라 하는 식별자로 마스킹된다. PDCCH가 특정 단말에 대한 것이면, 단말의 cell-RNTI(C-RNTI) 식별자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또는, PDCCH가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것이면, 페이징 지시자 식별자(Paging Indicator Identifier; P-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PDCCH가 시스템 정보(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정보 블록(SIB))에 대한 것이면, 시스템 정보 식별자 및 시스템 정보 RNTI(SI-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단말의 임의 접속 프리앰블의 전송에 대한 응답인 임의접속응답을 나타내기 위해, 임의접속-RNTI(RA-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도 4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어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어 영역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제어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이 할당된다. 데이터 영역에는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물리상향링크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이 할당된다. 단일 반송파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하나의 단말은 PUCCH와 PUSCH를 동시에 전송하지 않는다. 하나의 단말에 대한 PUCCH는 서브프레임에서 자원블록 쌍(RB pair)에 할당된다. 자원블록 쌍에 속하는 자원블록들은 2 슬롯에 대하여 상이한 부반송파를 차지한다. 이를 PUCCH에 할당되는 자원블록 쌍이 슬롯 경계에서 주파수-호핑(frequency-hopped)된다고 한다.
이종 네트워크 환경(Heterogeneous deployments)
도 5는 매크로(macro) 기지국(MeNB)과 마이크로(micro) 기지국(PeNB or FeNB)을 포함하는 이종 네트워크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문서에서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라는 용어는, 동일한 RAT(Radio Access Technology)를 사용하더라도 매크로 기지국(MeNB)과 마이크로 기지국(PeNB or FeNB)이 공존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매크로 기지국(MeNB)은 넓은 커버리지 및 높은 전송 전력을 가지고,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반적인 기지국을 의미한다. 매크로 기지국(MeNB)은 매크로 셀로 칭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 기지국(PeNB or FeNB)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 셀(cell), 피코 셀(pico cell), 펨토 셀(femto cell), 홈(home) eNB(HeNB), 중계기(relay) 등으로 칭하여질 수도 있다(예시된 마이크로 기지국 및 매크로 기지국은 전송 포인트(transmission point)로 통칭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 기지국(PeNB or FeNB)은 매크로 기지국(MeNB)의 소형 버전으로 매크로 기지국의 기능을 대부분 수행하면서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매크로 기지국이 커버하는 영역 내에 설치(overlay)되거나 매크로 기지국이 커버하지 못하는 음영 지역에 설치 될 수 있는(non-overlay) 유형의 기지국이다. 마이크로 기지국(PeNB or FeNB)은 매크로 기지국(MeNB)에 비하여 좁은 커버리지 및 낮은 전송 전력을 가지고 보다 적은 개수의 단말을 수용할 수 있다.
단말은 매크로 기지국(MeNB)으로부터 직접 서빙받을 수도 있고(이하 매크로-단말이라 함), 단말은 마이크로 기지국(PeNB or FeNB)로부터 서빙받을 수도 있다(이하, 마이크로-단말이라 함). 어떤 경우에는, 마이크로 기지국(MeNB)의 커버리지 내에 존재하는 단말(PUE)이 매크로 기지국(MeNB)으로부터 서빙받을 수도 있다.
마이크로 기지국은 단말의 액세스 제한 여부에 따라 두 가지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
첫 번째 타입은 OSG(Open access Subscriber Group) 또는 non-CSG(Closed access subscriber Group) 기지국으로써, 기존 매크로-단말 또는 다른 마이크로 기지국의 마이크로-단말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셀이다. 기존 매크로-단말 등은 OSG 타입의 기지국으로 핸드오버가 가능하다.
두 번째 타입은 CSG 기지국으로써 기존 매크로-단말 또는 다른 마이크로 기지국의 마이크로-단말의 액세스를 허용하지 않으며, 따라서 CSG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도 불가하다.
핸드오버 (Handover)
이하에서는 LTE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핸드오버 및 랜덤 액세스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핸드오버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600)은 현재 접속되어 있는 서빙 기지국(serving eNB, 610) 및 이웃한 셀들로부터의 측정 값들을 모니터링 하고 있다가 핸드오버 트리거(trigger)가 발생되면, 서빙 기지국(610)으로 측정보고(Measurement report) 메시지를 전송한다(S601). 여기서 측정보고에는 참조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 power, RSRP), 수신신호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참조신호수신품질(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등이 해당할 수 있다.
RSRP는 하향링크에서 CRS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측정값이다. RSSI는 해당 단말에 의해 수신되는 총 수신 전력 값으로, 인접한 셀들로부터의 간섭 및 노이즈 전력 등을 포함하는 측정값이다. RSRQ는 N*RSRP/RSSI 형태로 측정되는 값이며, 이때 N은 RSSI 측정 시 해당 대역폭의 RB 개수이다.
측정보고는 다음과 같은 이벤트 기반 측정보고 판정에 의해 그 전송이 결정될 수 있다.
i) 서빙 셀(serving cell)에 대한 측정값이 절대 임계값보다 큰 경우(Serving cell becomes better than absolute threshold),
ii) 서빙 셀에 대한 측정값이 절대 임계값보다 작아지는 경우(Serving cell becomes worse than absolute threshold),
iii) 이웃 셀(neighboring)에 대한 측정값이 서빙 셀의 측정값보다 오프셋 값만큼 커지는 경우(Neighboring cell becomes better than an offset relative to the serving cell),
iv) 이웃 셀의에 대한 측정값이 절대 임계값보다 커지는 경우(Neighboring cell becomes better than absolute threshold),
v) 서빙 셀에 대한 측정값이 절대 임계값보다 작아지며, 이웃 셀에 대한 측정값이 또 다른 절대 임계값보다 커지는 경우(Serving cell becomes worse than one absolute threshold and Neighboring cell becomes better than another absolute threshold)
여기서 측정값은 앞서 언급된 RSRP 등일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측정보고 판정의 각 조건들이 네트워크에서 설정되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상 유지되는 경우에만 측정보고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측정보고 판정 기준 중 iii)의 경우를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은 서빙 셀(serving cell) 및 이웃 셀(neighboring cell)에 대해 RSRP 등을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단말이 계속 이웃 셀에 접근하면서 이웃 셀에 대한 RSRP가 서빙 셀의 RSRP보다 오프셋(offset) 값만큼 더 커지는 시간(t1)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time to trigger)이 경과하면(t2), 단말은 서빙 셀로 측정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오프셋 값 및 미리 설정된 시간 등은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계속해서, 단말(600)으로부터 측정보고를 수신한 서빙 기지국(610)은 타겟 기지국(620)에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Handover request)를 전송한다(S602). 이 때 서빙 기지국(610)은 타겟 기지국(620)으로 단말(600)의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한다.
타겟 기지국(620)은 상기 RRC 컨텍스트 정보를 바탕으로 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여부를 결정한다. 핸드오버가 결정된 경우 타겟 기지국(620)은 핸드오버 명령을 생성하고, 서빙 기지국(610)은 핸드오버 명령을 포함하는 RRC 연결재설정(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단말(600)로 전송한다(S604). RRC 연결재설정 메시지는 타겟 기지국(620) 영역 내 단말들에게 공통으로 적용되는 무선자원 설정 정보, 보안 설정, 셀 식별자(C-RNT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600)은 타겟 기지국(620)으로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하게 된다(S605). 랜덤 액세스 절차가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단말(600)은 타겟 기지국(620)에 RRC 연결재설정 완료(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핸드오버 절차를 종료하게 된다(S606).
앞서 언급된 핸드오버 절차 중 랜덤 액세스 절차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TE 시스템에서 단말은 다음과 같은 경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 단말이 기지국과의 연결 (RRC Connection)이 없어, 초기 접속 (initial access)을 하는 경우
- 단말이 핸드오버 절차에서, 타겟(target) 셀로 처음 접속하는 경우
- 기지국의 명령에 의해 요청되는 경우
- 상향링크의 시간 동기가 맞지 않거나, 무선자원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정된 무선자원이 할당되지 않은 상황에서, 상향링크로의 데이터가 발생하는 경우
- 무선 연결 실패 (radio link failure) 또는 핸드오버 실패 (handover failure) 시 복구 절차의 경우
이를 바탕으로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설명한다.
도 8는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제1 메시지 전송
먼저, 단말은 시스템 정보 또는 핸드오버 명령(Handover Command)을 통해 지시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집합에서 임의로(randomly) 하나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선택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는 PRACH(Physical RACH) 자원을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다(S801).
(2) 제2 메시지 수신
단말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 후에, 기지국이 시스템 정보 또는 핸드오버 명령을 통해 지시된 랜덤 액세스 응답 수신 윈도우 내에서 자신의 랜덤 액세스 응답의 수신을 시도한다(S802). 좀더 자세하게, 랜덤 액세스 응답 정보는 MAC PDU의 형식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MAC PDU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DSCH로 전달되는 정보를 단말이 적절하게 수신하기 위해 단말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PDCCH에는 상기 PDSCH를 수신해야 하는 단말의 정보와, 상기 PDSCH의 무선자원의 주파수 그리고 시간 정보, 그리고 상기 PDSCH의 전송 형식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 단말이 자신에게 전송되는 PDCCH의 수신에 성공하면, 상기 PDCCH의 정보들에 따라 PDSCH로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적절히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구별자(ID; 예를 들어, RAPID(Random Access Preamble IDentifier), 상향링크 무선자원을 알려주는 상향링크 승인(UL Grant), 임시 셀 식별자 (Temporary C-RNTI) 그리고 시간 동기 보정 값(Timing Advance Command: TAC)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랜덤 액세스 응답에서 랜덤 액세스(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구별자가 필요한 이유는, 하나의 랜덤 액세스 응답에는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위한 랜덤 액세스 응답 정보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상향링크 승인(UL Grant), 임시 셀 식별자 그리고 TAC가 어느 단말에게 유효한지를 알려주기 위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단계에서 단말은 단계 S802에서 자신이 선택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과 일치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식별자는 것을 선택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를 통해 단말은 상향링크 승인 (UL Grant), 임시 셀 식별자(Temporary C-RNTI) 및 시간 동기 보정 값 (Timing Advance Command: TAC) 등을 수신할 수 있다.
(3) 제3 메시지 전송
단말이 자신에게 유효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에 포함된 정보들을 각각 처리한다. 즉, 단말은 TAC을 적용시키고, 임시 셀 식별자를 저장한다. 또한 유효한 랜덤 액세스 응답 수신에 대응하여 전송할 데이터를 메시지3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수신된 UL 승인을 이용하여, 데이터(즉, 제3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803). 제3 메시지는 단말의 식별자가 포함되어야 한다.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는 기지국에서 어떠한 단말들이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하는지 판단할 수 없는데, 차후에 충돌해결을 하기 위해서는 단말을 식별해야 하기 때문이다.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시키는 방법으로는 두 가지 방법이 논의되었다. 첫 번째 방법은 단말이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 이전에 이미 해당 셀에서 할당 받은 유효한 셀 식별자를 가지고 있었다면, 단말은 상기 UL 승인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전송 신호를 통해 자신의 셀 식별자를 전송한다. 반면에, 만약 랜덤 액세스 절차 이전에 유효한 셀 식별자를 할당 받지 못하였다면, 단말은 자신의 고유 식별자(예를 들면, S-TMSI 또는 임의 ID(Random Id))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상기의 고유 식별자는 셀 식별자보다 길다. 단말은 상기 UL 승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하였다면, 충돌 해결을 위한 타이머 (contention resolution timer; 이하 "CR 타이머")를 개시한다.
(4) 제4 메시지 수신
단말이 랜덤 액세스 응답에 포함된 UL 승인을 통해 자신의 식별자를 포함한 데이터를 전송 한 이후, 충돌 해결을 위해 기지국의 지시를 기다린다. 즉, 특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PDCCH의 수신을 시도한다(S804). 상기 PDCCH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두 가지 방법이 논의되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UL 승인에 대응하여 전송된 제3 메시지가 자신의 식별자가 셀 식별자를 이용하여 전송된 경우, 자신의 셀 식별자를 이용하여 PDCCH의 수신을 시도하고, 상기 식별자가 고유 식별자인 경우에는, 랜덤 액세스 응답에 포함된 임시 셀 식별자를 이용하여 PDCCH의 수신을 시도할 수 있다. 그 후, 전자의 경우, 만약 상기 충돌 해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자신의 셀 식별자를 통해 PDCCH를 수신한 경우에, 단말은 정상적으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수행되었다고 판단하고, 랜덤 액세스 절차를 종료한다.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충돌 해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임시 셀 식별자를 통해 PDCCH를 수신하였다면, 상기 PDCCH가 지시하는 PDSCH이 전달하는 데이터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데이터의 내용에 자신의 고유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다면, 단말은 정상적으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수행되었다고 판단하고, 랜덤 액세스 절차를 종료한다.
한편, 비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의 동작은 도 8에 도시된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와 달리 제1 메시지 전송 및 제2 메시지 전송만으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종료되게 된다. 다만, 제1 메시지로서 단말이 기지국에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하기 전에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할당받게 되며, 이 할당받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기지국에 제1 메시지로서 전송하고,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랜덤 액세스 절차가 종료되게 된다.
멀티 티어(Multi-tier) 네트워크 환경
도 9는 최근 이동통신에서 셀 용량(Cell capacity)을 높이기 위해 대두되고 있는 멀티 티어Multi-tier) 형태의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멀티 티어 네트워크에서는 라지 셀(Large cell, 910) 커버리지(coverage)를 갖는 셀(cell)내에 스멀 셀(Small cell, 921~926) 커버리지를 갖는 다수의 셀을 배치함으로써 셀 분산 이득(Cell-splitting gain)을 기대할 수 있다. 스멀 셀의 전송인트로써는, 도 9에 예시된 것과 같이, 펨토 기지국(Femto BS), 릴레이 기지국(Relay BS), D2D를 수행하는 단말 중 어느 하나의 단말, 협력적 스멀 기지국(cooperative small BSs), 마이크로 기지국(Micro BS), 피코 기지국(Pico BS)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멀티 티어 네트워크에서 스멀 셀과 라지 셀간의 간섭은 통신 성능의 제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멀티 티어 네트워크에서 고려해야 될 사항으로써, 시간에 따라서 특정 지역에는 요구되는 통신 용량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핫 스팟(Hot spot)과 같이 통신을 위한 사용자가 많은 경우 스멀 셀을 도입함으로써 용량를 향상시켜 줄 수 있는데, 통신 요구량이 적을 때는 라지 셀만으로도 충분한 용량을 제공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스멀 셀의 기지국/전송포인트에서 사용하는 전력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멀티 티어 네트워크 환경에 있어서, 기지국의 안테나를 끄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제안 방법의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인접 셀 또는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던 간섭이 줄어 들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적은 용량을 요구하는 셀에서 특정 기지국 또는 안테나의 전력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기지국 안테나의 전력을 끄게 되면 해당 기지국을 통한 통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끄고 켜는 구간 동안 해당 기지국 주변에 있는 단말의 동작과 이를 위한 제어신호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기지국(이하, 전송포인트라 함)의 안테나를 끄는 동작을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한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
전송포인트의 동작에 있어서, 전송포인트는 안테나 턴 온/오프(turn on/off)를 위한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를 해당 전송포인트에 관련된 단말들(해당 전송포인트로 측정 및/또는 핸드오버를 수행하려는 단말, 해당 전송포인트에 속해 있는 단말 등을 포함하는)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는, RRC_연결(RRC_CONNECTED) 상태인 상황에서 전송포인트가 특정 시간 동안 전력을 보내지 않는다면, 전송포인트가 전력을 켜기 전까지의 시간 동안 단말은 다른 상태로 변환(예를 들어, 해당 전송포인트와의 연결(connection)을 다른 인접한 전송포인트와의 연결로 천이)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송포인트가 전력을 보내기 시작하는 시점을 알게 된다면 그 이후에 단말은 해당 전송포인트에 진입(entry)을 시도하거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정보를 주고 받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안테나 턴 온/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는, 턴 온 시간 구간 및/또는 턴 오프 시간 구간을 알려주는 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턴 온/오프 시간 구간의 최소 단위가 라디오 프레임인 경우, 턴 온/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는 턴 오프 시간 구간에 해당하는 라디오 프레임들이 1로 표시된 비트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테나 턴 온/오프 정보는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RRC_CONNECTED 상태에서 정보를 주고 받았는데, 특정 시간 구간 후에 정보를 주고 받으라고 지시하는 지시자 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RRC_CONNECTED 상태에서 특정 시간 후에 ENTRY를 시도하라는 지시자일 수 있다.
안테나 턴 온/오프를 위한 정보가 포함되는 채널로는 전송포인트의 모든 사용자가 바라볼 수 있는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특성의 채널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브로드캐스팅 채널(Broadcasting channel, BCH)에 전송포인트가 활성/비활성(Activation/deactivation)되는 시간 구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에 전송포인트의 활성/비활성 시간 구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전송포인트의 활성/비활성 시간 구간은 그 최소단위가 라디오 프레임 또는 수퍼프레임(super subfram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오 프레임이 기본 단위이고 ‘N’개의 라디오 프레임이 비활성 시간 구간이면 ‘N’ 값이 지시자를 통해 지시될 수 있다.
계속해서 단말의 동작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안테나 턴 온/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단말의 경우, RRC 연결(RRC_CONNECTED) 상태와 유휴상태(IDLE_STATE), 두 가지 상태가 있을 수 있는데, 각 경우를 나누어 설명한다.
도 10은 RRC 연결 상태의 단말이 안테나 턴 온/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S1001에서 단말은 전송포인트로부터 안테나 턴 온/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전송포인트는 멀티 티어 네트워크 환경의 라지 셀에 해당되는 것 또는 스멀 셀에 해당되는 것일 수 있다. 단계 S1002에서 단말은 셀 탐색(cell search)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RC 연결 상태인 단말은 네트워크에 연결을 유지시키기 위해,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air interface)에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전송포인트는 단말에게 연결(connection)을 지시하게 되고, 지시를 받은 단말은 인접 셀을 탐색 하여 진입(entry)을 시도한다. 여기서 셀 탐색의 대상이 되는 셀에 대한 후보군이 별도로 지시될 수도 있다. 즉, 전송포인트가 다른 스멀 셀들의 안테나 턴 온/오프 시간 구간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셀 탐색의 대상이 되는 후보군을 지시해 줄 수 있으며, 이는 단계 S1001에서의 안테나 턴 온/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에 포함되어, 또는 상술한 전송포인트의 연결 지시에 포함되어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단말이 이와 같은 셀 탐색의 대상이 되는 셀에 대한 후보군에 대한 지시를 받은 경우, 이 정보를 기반으로 진입을 위한 셀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인접 셀을 찾게 되면 해당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을 시도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단계 S1003에서와 같이, 발견된 인접 셀에 대해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004에서, 단말은 상기 에어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핸드오버를 통해 접속된 인접 셀)과 데이터 송수신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 S1003 및/또는 S1004는 단말이 기존에 접속해 있던 전송포인트에서 할당 받은 단말 식별자(UE-ID)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단계, S1005에서 턴 오프 시간 구간이 종료되는지(또는 종료가 임박한지) 판단하고, 턴 오프 시간 구간이 종료되면, 즉 안테나 턴 온 시간 구간이 시작되면 기존의 셀/전송포인트에 대해 동기화(synchronization) 및/또는 측정을 시도하고, 단말에게 할당된 단말 식별자 기반으로 전송되는 제어 채널을 검출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시도한다.
유휴 상태(IDLE_STATE)의 단말의 경우, 전송포인트로부터 Antenna 안테나 턴 온/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후, 안테나 턴 온 시간 구간 이후의 시점에서부터 제어 신호의 수신을 시도한다. 유휴 상태의 단말은 재어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이 정의가 되는데, 안테나 턴 온 상황에서는 안테나 턴 온 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시간이 재정의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전송포인트는 단말에게 재어 신호 수신 시간을 재설정하고 그 시간 구간 동안에는 측정을 한정하도록 함으로써 안테나 턴 온/오프 시간 구간을 간접적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송포인트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송포인트 장치(1110)는, 수신모듈(1111), 전송모듈(1112), 프로세서(1113), 메모리(1114) 및 복수개의 안테나(111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111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전송포인트 장치를 의미한다. 수신모듈(1111)은 단말로부터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모듈(1112)은 단말로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3)는 전송포인트 장치(111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포인트 장치(1110)의 프로세서(1113)는, 앞서 설명된 안테나 턴 온/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등 필요한 동작들을 처리할 수 있다.
전송포인트 장치(1110)의 프로세서(1113)는 그 외에도 전송포인트 장치(111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111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1120)는, 수신모듈(1121), 전송모듈(1122), 프로세서(1123), 메모리(1124) 및 복수개의 안테나(11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안테나(1125)는 MIMO 송수신을 지원하는 단말 장치를 의미한다. 수신모듈(1121)은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모듈(1122)은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상의 각종 신호,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123)는 단말 장치(1120)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120)의 프로세서(1123)는, 앞서 설명된 안테나 턴 온/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등 필요한 동작들을 처리할 수 있다.
단말 장치(1120)의 프로세서(1123)는 그 외에도 단말 장치(1120)가 수신한 정보, 외부로 전송할 정보 등을 연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1124)는 연산 처리된 정보 등을 소정시간 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버퍼(미도시) 등의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전송포인트 장치 및 단말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들이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2 이상의 실시예가 동시에 적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내용은 명확성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1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전송포인트 장치(111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전송 주체 또는 상향링크 수신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단말 장치(1120)에 대한 설명은 하향링크 수신 주체 또는 상향링크 전송 주체로서의 중계기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110 : 전송포인트 장치
Claims (13)
- 멀티 티어(Mult Tier)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신호 수신 방법에 있어서,
전송포인트의 안테나 턴온/턴오프(turn on/turn off)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턴온/턴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전송포인트에 관련된 단말의 연결 천이를 위한 것이며,
상기 단말이 RRC 연결(RRC_connected)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은 셀 탐색 수행에 대한 지시를 더 수신하는, 신호 수신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탐색 수행에 대한 지시는 상기 단말이 셀 탐색을 수행하여야 하는 셀 후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탐색에 기초해 다른 전송포인트에 접속하여도, 상기 단말이 상기 전송포인트에서 할당 받은 단말 식별자는 유지되는, 신호 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안테나 턴오프 시간 구간이 종료되면 상기 전송포인트에 재접속하는, 신호 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턴온/턴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전송포인트와 소정 시간 이후에 송수신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지시자인, 신호 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턴온/턴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전송포인트에 소정 시간 이후에 진입을 시도할 것을 지시하는 지시자인, 신호 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유휴상태(IDLE_STATE)인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턴오프 시간 종료 이후에 제어신호의 수신을 시도하는, 신호 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턴온/턴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는 방송 채널(Broadcast Channel) 상으로 수신되는, 신호 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턴온/턴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는 시스템 정보로써 수신되는, 신호 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턴온/턴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는 라디오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간 단위의 정수배인, 신호 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포인트는 마이크로 기지국, 펨토 기지국, 피코 기지국 또는 릴레이 기지국 중 어느 하나인, 신호 수신 방법. - 멀티 티어(Mult Tier)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수신 모듈;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전송포인트의 안테나 턴온/턴오프(turn on/turn off)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안테나 턴온/턴오프 시간 구간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전송포인트에 관련된 단말의 연결 천이를 위한 것이며, 상기 단말이 RRC 연결(RRC_connected) 상태인 경우, 상기 단말은 셀 탐색 수행에 대한 지시를 더 수신하는,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261589235P | 2012-01-20 | 2012-01-20 | |
US61/589,235 | 2012-01-20 | ||
PCT/KR2013/000392 WO2013109077A1 (en) | 2012-01-20 | 2013-01-18 | Method for receiving signal at user equipment in a multi-t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1337A KR20140111337A (ko) | 2014-09-18 |
KR101578014B1 true KR101578014B1 (ko) | 2015-12-16 |
Family
ID=48799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22118A KR101578014B1 (ko) | 2012-01-20 | 2013-01-18 | 멀티 티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신호 수신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591568B2 (ko) |
KR (1) | KR101578014B1 (ko) |
WO (1) | WO201310907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0740B1 (ko) * | 2013-03-13 | 2018-02-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온오프 스몰셀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
WO2014178662A1 (ko) * | 2013-04-30 | 2014-11-06 |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 공통참조신호를 이용한 스몰셀 네트워크 데이터 자원 추가 구성 |
US9936450B2 (en) * | 2013-11-01 | 2018-04-03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Communication system |
US10149280B2 (en) | 2014-01-21 | 2018-12-04 | Qualcomm Incorporated | Device-to-device discovery signaling for radio resource allocation |
US9723630B2 (en) * | 2014-03-21 | 2017-08-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ntention-based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ow power D2D communication |
US10275148B2 (en) * | 2015-04-21 | 2019-04-30 | Facebook, Inc. | Methods and systems for transitioning between native content and web content |
US10542469B2 (en) * | 2015-08-21 | 2020-01-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handover with multi-connectiv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KR101711332B1 (ko) * | 2016-04-22 | 2017-03-02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멀티 티어 무선 네트워크에서 보안 에너지 효율성을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US10367565B2 (en) | 2017-12-12 | 2019-07-30 |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using multiple beams |
US10797927B2 (en) * | 2017-12-12 | 2020-10-06 |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use of multiple beams for communications purposes |
US11088750B2 (en) * | 2018-02-16 | 2021-08-10 | Qualcomm Incorporated | Feedback of beam switch time capability |
CN110740452B (zh) * | 2018-07-20 | 2024-10-18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发现干扰的方法、装置、接收设备、发射设备及存储介质 |
US11671885B2 (en) * | 2019-10-03 | 2023-06-06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Restriction based handov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002284A1 (en) | 2009-07-06 | 2011-01-06 | Shilpa Talwar | Multi-tier network interference mitigatio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743783B2 (en) * | 2008-11-14 | 2014-06-03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CN102362441B (zh) * | 2009-03-22 | 2016-12-21 | Lg电子株式会社 | 使用多个天线的信道探测方法以及用于其的装置 |
KR20120105558A (ko) * | 2010-01-07 | 2012-09-25 |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 업링크 안테나 전송 다이버시티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KR102172014B1 (ko) * | 2014-08-13 | 2020-10-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통신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2013
- 2013-01-18 KR KR1020147022118A patent/KR10157801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3-01-18 WO PCT/KR2013/000392 patent/WO201310907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1-18 US US14/369,944 patent/US9591568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002284A1 (en) | 2009-07-06 | 2011-01-06 | Shilpa Talwar | Multi-tier network interference mitig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003310A1 (en) | 2015-01-01 |
KR20140111337A (ko) | 2014-09-18 |
WO2013109077A1 (en) | 2013-07-25 |
US9591568B2 (en) | 2017-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10729B2 (en) | Enhanced random access channel (RACH) procedure | |
KR101578014B1 (ko) | 멀티 티어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신호 수신 방법 | |
US939849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EP293814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EP3166358B1 (en) |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9894627B2 (en) |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synchronization of user equipment by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 |
EP3846573B1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channel access failure in unlicensed band | |
US957855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JP2019533374A (ja) | 上りリンク信号を送信する方法及び装置 | |
KR101887063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을 고려한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KR20150024333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KR101979851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획득 방법 및 장치 | |
EP4443968A1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mobility | |
CN118785283A (zh) | 移动性控制方法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