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927B1 - Stapler with safety device - Google Patents

Stapler with safet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927B1
KR101577927B1 KR1020150000039A KR20150000039A KR101577927B1 KR 101577927 B1 KR101577927 B1 KR 101577927B1 KR 1020150000039 A KR1020150000039 A KR 1020150000039A KR 20150000039 A KR20150000039 A KR 20150000039A KR 101577927 B1 KR101577927 B1 KR 101577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apler
safety
unit
iron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0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영기
박혜진
정은영
Original Assignee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00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9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9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0Driving means
    • B25C5/11Driving means operated by manual or foot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02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pler with a safet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stapler with a safety device preventing a metal pin charged in a charging part of the stapler from arbitrarily being injected by an injecting plate and allowing the injecting plate to discharge the metal pin by a pressing plate. The stapler comprises: a support part (110); the charging part (120) coupled to the support part (110) through a hinge having the metal pin (200) to be charged in an interior thereof; and a head part (130) having the injecting plate (131) discharging the metal pin (200) of the charging part (120).

Description

안전장치를 구비한 스테이플러{STAPLER WITH SAFETY DEVICE}[0001] STAPLER WITH SAFETY DEVICE [0002]

본 발명은 안전장치를 구비한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스테이플러의 장전부에 장전된 철심이 격발플레이트에 의해 임의로 격발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시 누름판에 의해 상기 격발플레이트가 상기 철심을 토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안전장치를 구비한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pler having a safety device, which prevents an iron core loaded on a front end portion of a stapler from being arbitrarily triggered by a striking plate, and in which a striking plate To a stapler equipped with an apparatus.

일반적으로 스테이플러는 철심이 장전되어 여러장의 문서, 서류등을 하나의 묶음으로 철할 수 있도록 여러장의 서류 또는 문서를 삽입하여 상부의 누름부를 가압하여 철심이 토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In general, the stapler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documents or documents are inserted so that a plurality of documents, documents, and the like can be bundled into one bundle by mounting an iron core so that the iron core can be discharged by pressing the upper pressing portion.

그러나 상기 스테이플러는 문서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누름판을 가압하게 되면 철심이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안전상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However, in the stapler, when the pressing plate is pressed in the state that the document is not inserted, the iron core is discharged, which poses a safety problem.

또한, 상기 스테이플러는 누름판을 손쉽게 가압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상기 누름판을 임의의 상태에서 가압하게 되면 배출되는 철심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tapler can easily press the pressure plate, and when the pressure plate is pressed in an arbitrary state, the discharged core is wasted.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공지된 기술로 한국공개특허 제2011-0090509호 "스테이플러"가 제시된바 있다.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0090509 "stapler" has been proposed as a conventionally known technique.

이러한 스테이플러는 철심이 수납되는 수납부재의 외측에서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가 형성된다.Such a stapler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member in which the iron core is housed, and a locking device is formed so as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따라서 누름부재를 가압하게 되면 잠금장치에 의해 철심이 배출되는 토출구를 막아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Therefore, when the pressing member is pressed, the locking device prevents the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iron core is discharged, from being discharged.

하지만 누름부재의 가압에 의해 배출되지 않는 철심이 파손되며, 수납부재에 수납된 철심이 토출구를 막아 잠금장치를 개방하여도 철심이 원활히 배출하지 못화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However, the iron core which is not discharged due to the pressing of the pressing member is broken, and the iron cor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member blocks the discharge port to open the locking device, but the iron core can not be discharged smooth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테이플러가 임의로 가압되어 철심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있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스테이플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pler having a safety device in which a safety plate is formed to prevent the stapler from being pressurized arbitrarily, have.

그리고 사용시 용이하게 안전플레이트를 해제하여 철심을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안전장치를 구비한 스테이플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And a safety device for releasing the safety plate so that the iron plate can be easily removed during use.

또한, 누름판이 임의로 가압되어도 안전플레이트에 의해 철심히 파손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스테이플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pler having a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the safety plate from being damaged or damaged even if the pressure plate is pressed arbitrari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와 힌지 결합되고 내부에는 철심이 장전된 장전부와, 상기 장전부의 상기 철심을 토출시키는 격발플레이트를 갖는 헤드부로 구성된 스테이플러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상부면에 노출되게 탄설되는 누름판; 상기 누름판의 저면에 하향 연장되는 다수의 가이드바, 상기 헤드부의 저면에 힌지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장전부의 양측 테두리에 거치되는 거치부를 통해 상기 헤드부의 하강을 구속하는 안전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안전플레이트의 내벽면에 구름 접촉하고, 상기 안전플레이트는 상기 격발플레이트가 상기 철심을 토출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바의 하강에 의해 상기 거치부가 상기 장전부에서 이탈되어 상기 헤드부의 하강 구속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apler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a stapler which is hinge-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has a head portion having an intestinal portion loaded with an iron core therein and a perforated plate for discharging the iron core of the intestinal portion A pressure plate tangentially ex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A plurality of guide bar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ush plate, and a safety plate hing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d unit and restricting a downward movement of the head unit through a mounting unit, the bottom of which is fixed to both side edges of the mounting unit, The guide bar is brought into rolling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afety plate and the safety plate is detached from the loading part by the lowering of the guide bar so that the percussion plate can discharge the iron core, And releasing the constraint.

상기 안전플레이트는 상호 간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이 상승하면 상기 거치부가 상기 정전부의 양측 테두리에 자동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afety plate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pring so that when the pressure plate rises, the mounting portion can be automaticall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static portion.

상기 각 가이드바는 하단 외측에 상기 안전플레이트의 내벽면 구름접촉하는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each of the guide bars further includes a projection on the oute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afety plate, the projection being in rolling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safety plate.

상기 안전플레이트는 상기 각 가이드바의 상기 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내벽면에 부분 형성되고, 상기 각 가이드바의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에서 벗어나면 상기 돌기의 길이만큼 양측으로 벌여져 상기 거치부가 상기 장전부에서 이탈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safety plate has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projections of the respective guide bars formed partly on the inner wall surface. When the projections of the guide bars are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s, And is separated from the long-term end portion.

상기 헤드부의 저면에는 상기 안전플레이트와 힌지 결합되는 4개의 힌지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head portion has four hinge portions hinged to the safety plate.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를 구비한 스테이플러에 따르면, 보관시 스테이플러의 헤드부를 임의로 가압하여도 철심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시 누름판을 가압하여 용이하게 안전플레이트를 해제할 수 있어 철심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tapler having the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ron core from being discharged even if the head portion of the stapler is arbitrarily pressed during storage, and the safety plate can be easily released by pressing the pressure plate during us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그리고 상기 헤드부를 가압하여도 격발플레이트가 철심을 가압하지 않도록 이루어져 철심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nd the damper plate does not press the iron core even when the head portion is pressed, so that breakage and damage of the iron core can be prevented.

또한, 임의로 철심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철심의 소모를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ron core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arbitrarily, and the consumption of the iron core can be saved.

도 1은 본 발명에 안전장치를 구비한 스테이플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플레이트와 누름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플레이트가 상기 장전부에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플레이트에 거치된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플레이트가 이탈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pler having a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plate and a pressur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afety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long-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safety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safety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확한 위치에 찍히는 스테이플러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sta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안전장치를 구비한 스테이플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플레이트와 누름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플레이트가 상기 장전부에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플레이트에 거치된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플레이트가 이탈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pler having a safet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plate and a pressur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afety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safety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in which the safety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ed.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전장치를 구비한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스테이플러의 장전부에 장전된 철심이 상기 격발플레이트에 의해 임의로 격발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시 누름판에 의해 격발플레이트가 상기 철심을 토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안전장치를 구비한 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이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pler having a safety device, which prevents an iron core loaded on a front end portion of a stapler from being randomly triggered by the striking plate, To a stapler having a safety device that can discharge the iron core.

이러한 안전장치를 구비한 스테이플러는 철심이 임의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받침부(110), 장전부(120), 헤드부(130)로 이루어진 스테이플러(100)와 누름판(10), 안전플레이트(30)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prevent the iron core from being discharged arbitrarily, the stapler having such a safety device includes a stapler 100 composed of a receiving unit 110, a loading unit 120 and a head unit 130, a pressure plate 10, a safety plate 30 ).

상기 스테이플러(100)는 지면을 지지하는 받침부(110)와, 상기 받침부(1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내부에는 철심이 장전된 장전부(120)와, 상기 받침부(1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장전부(120)의 철심을 토출시키는 격발플레이트(131)를 갖는 헤드부(130)로 구성되어 일측의 힌지결합을 통해 개별적으로 회동되도록 이루어진다.The stapler 100 includes a receiving unit 110 for supporting a paper surface, a charger 120 hinged to one side of the receiving unit 110 and having an iron core loaded therein, And a head 130 having a striking plate 131 that is hinged to the striking plate 120 and discharges the iron core of the loading unit 120. The striking plate 131 is pivoted individually through hinge engagement on one side.

이와 같은 상기 스테이플러(100)의 구성은 공지된 기술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stapler 100 is well known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further.

상기 누름판(10)은 상기 헤드부(130)의 상부면에 노출되게 탄설된다.The presser plate 10 is tacked to b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art 130.

그리고 상기 누름판(10)의 저면에 하향 연장되는 다수의 가이드바(20)가 형성된다.And a plurality of guide bars 2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10 are formed.

따라서 상기 헤드부(130)의 타측에는 상기 누름판(10)이 탄설되는 삽입홈(132)과, 상기 가이드바(20)가 관통되어 하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바(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홈(133)이 형성된다.Therefore, the other end of the head part 130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groove 132 in which the pressing plate 10 is laid a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bar 20 so that the guide bar 20 can penetrate and protrude downward. Through grooves 133 are formed.

여기서 상기 누름판(10)과 상기 삽입홈(132)의 사이에는 스프링(S)이 결합되어 가압에 의해 하강된 상기 누름판(10)의 가압이 제거되면 탄성에 의해 상승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spring S is engaged between the press plate 10 and the insertion groove 132 so that the press plate 10 can be raised by elasticity when the pressing plate 10 is pressed down by pressing.

또한, 상기 누름판(10)은 임의로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시 상기 헤드부(130)와 함께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ure plate 10 is prevented from being pressed arbitrarily,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ure plate 10 can be easily pressed together with the head part 130 when used.

상기 안전플레이트(30)는 상기 헤드부(130)의 저면에 힌지결합되며, 하부가 상기 장전부(120)의 양측 테두리에 거치되도록 거치부(32)가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130)의 상기 격발플레이트(131)가 상기 철심(200)을 가압할 수 없도록 이루어진다.The safety plate 30 is hing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d part 130 and has a mounting part 3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art 120 to support the safety part 30, So that the perforating plate 131 can not press the iron core 200.

여기서 상기 거치부(32)는 상기 양측테두리에 거치된 후 외측으로 이탈되며, 내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스테이플러(100) 내부에서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mounting portion 32 may be mounted on both side edges of the stapler 100, and then may be detached outwardly and may be prevented from being rotated inward. Preferably, the stapler 100 may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안전플레이트(30)가 내측으로 일정각도 이상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전플레이트(30)의 내측 상부면에 격판(33)이 형성된다.A diaphragm 33 is form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safety plate 30 to prevent the safety plate 30 from being rotated inwar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따라서 상기 격판(33)은 힌지부(H) 또는 상기 헤드부(130)의 저면에 접촉하여 상기 안전플레이트(30)가 상기 장전부(120)의 양측 테두리보다 내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diaphragm 33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hinge portion H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30 to prevent the safety plate 30 from being rotated inward than both side edges of the loading portion 120 desirable.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20)는 상기 안전플레이트(30)의 내벽면에 구름 접촉되며, 상기 안전플레이트(30)는 상기 격발플레이트(131)가 상기 철심(200)을 토출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바(20)의 하강에 의해 상기 거치부(32)가 상기 장전부(120)에서 이탈되어 상기 헤드부(130)의 하강 구속을 해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 guide bar 20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afety plate 30. The safety plate 30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guide bar 20 so that the percussion plate 131 can discharge the iron core 200. [ 20 can be released from the loading part 120 and the lowering restraint of the head part 130 can be released.

즉, 상기 안전플레이트(30)에 의해 상기 헤드부(130)가 하강되는 것을 구속하여 상기 격발플레이트(131)에 의해 상기 철심(200)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누름판(10)에 의해 상기 안전플레이트(30)가 외측으로 회동하여 하강 구속을 해제되면 상기 격발플레이트(131)에 의해 상기 철심(200)이 토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safety plate 30 restrains the descent of the head unit 130 to prevent the iron core 200 from being discharged by the perforation plate 131, It is preferable that the iron core 200 can be discharged by the perforating plate 131 when the safety plate 30 rotates outward and the lower restraint is released.

그리고 상기 안전플레이트(30)는 상호 간 상기 스프링(S)으로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10)이 상승하면 상기 거치부(32)가 상기 장전부(120)의 양측테두리에 자동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afety plate 30 is connected to the spring S so that when the pressure plate 10 is raised, the mounting portion 32 can be automaticall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ortion 120 .

따라서 상기 스프링(S)에 의해 내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장전부(120)의 양측테두리에 거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So that it can be pivoted inward by the spring S and can b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loading part 120.

이때, 상기 스프링(S)의 탄성에 의해 상기 안전플레이트(30)가 상기 장전부(120)의 양측테부리의 내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기재된 격판(33)에 의해 회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In order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safety plate 30 by the resiliency of the spring S by the diaphragm 33 described above so as to prevent the safety plate 30 from rotating to the inside of both sides of the loading part 120, .

또한, 상기 각 가이드바(20)는 하단 외측에 상기 안전플레이트(30)의 내벽면 구름접촉하는 돌기(21)를 더 포함된다.Each of the guide bars 20 further includes a projection 21 on the outer side of the lower end thereof, the projection 21 of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safety plate 30.

그리고 상기 안전플레이트(30)는 상기 각 가이드바(20)의 상기 돌기(21)를 안내하는 가이드홈(31)이 내벽면에 부분 형성되고, 상기 각 가이드바(20)의 상기 돌기(21)가 상기 가이드홈(31)에서 벗어나면 상기 돌기(21)의 길이만큼 양측으로 벌여져 상기 거치부(32)가 상기 장전부(120)에서 이탈되도록 이루어진다.The safety plate 30 has guide grooves 31 for guiding the projections 21 of the respective guide bars 20 on the inner wall surface and the protrusions 21 of the guide bars 20, The mounting portion 32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ortion 120 by being extended to both sides of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21 when the mounting portion 32 is removed from the guide groove 31.

따라서 상기 가이드바(20)의 상하이동시 상기 돌기(21)에 의해 상기 안전플레이트(30)를 외측으로 회동한다.Therefore, the safety plate 30 is rotated outwardly by the projections 21 simultaneously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guide bar 20.

상기 헤드부(130)의 저면에는 상기 안전플레이트(30)와 힌지 결합되는 4개의 힌지부(H)를 갖도록 이루어진다.The head unit 130 has four hinges H hinged to the safety plate 30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즉, 상기 힌지부(H)는 양측에 상기 각 안전플레이트(30)가 결합된 후, 측면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장전부(120)의 양측테두리에 거치 또는 이탈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hinge portion H is coupled to the safety plates 30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n is pivot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hinge portions H can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both sides of the loading portion 12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130)를 가압하여 하강하게 되면, 상기 안전플레이트(30)가 상기 장전부(120)의 양측테두리에 거치되어 상기 격발플레이트(131)가 상기 철심(200)을 토출할 수 없도록 이루어진다.4, when the head unit 130 is pressed down, the safety plate 30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loading unit 120 so that the percussion plate 131 is moved to the iron core 200 Can not be discharged.

도 5의 (a)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판(10)을 가압하면, 상기 헤드부(130)와 같이 하강하게 된다.As shown in FIG. 5 (a), when the pressure plate 10 is pressed, it is lowered like the head portion 130.

이때, 상기 안전플레이트(30)는 상기 가이드바(20)에 의해 외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장전부(120)에서 이탈되어 상기 격발플레이트(131)가 상기 철심(200)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safety plate 30 is rotated outward by the guide bar 20 to be detached from the loading part 120, so that the burst plate 131 can discharge the iron core 200.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발플레이트(131)가 상기 철심(200)을 토출시킨 후 상기 헤드부(13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누름판(10)이 상기 스프링(S)에 의해 상승하며, 상기 안전플레이트(30)에 결합된 상기 스프링(S)에 의해 내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거치부(32)가 상기 장전부(120)에 거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5 (b), when the head part 130 is lifted after the perforation plate 131 discharges the iron core 200, the pressure plate 10 is pressed against the spring S, And may be pivoted inward by the spring S coupled to the safety plate 30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32 can be mounted on the loading portion 120. [

이에 따라 상기 헤드부(130)를 하강시 상기 누름판(10)을 가압하여 상기 철심(200)을 토출할 수 있으며, 상기 누름판(10)을 가압하지 않게 되면 상기 안전플레이트(30)에 의해 상기 철심(200)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Accordingly, when the head unit 130 is lowered, the pressing plate 10 can be pressed to eject the iron core 200. When the pressing plate 10 is not pressed, (200)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hat you can do it.

10: 누름판 20: 가이드바
21: 돌기 30: 안전플레이트
31: 가이드홈 32: 거치부
33: 격판 100: 스테이플러
110: 받침부 120: 장전부
130: 헤드부 131: 격발플레이트
132: 삽입홈 133: 관통홈
200: 철심 H: 힌지부
S: 스프링
10: presser plate 20: guide bar
21: projection 30: safety plate
31: guide groove 32: mounting part
33: diaphragm 100: stapler
110: Support part 120:
130: head part 131: percussion plate
132: insertion groove 133: through groove
200: iron core H: hinge portion
S: Spring

Claims (5)

받침부(110)와, 상기 받침부(110)와 힌지 결합되고 내부에는 철심(200)이 장전된 장전부(120)와, 상기 장전부(120)의 상기 철심(200)을 토출시키는 격발플레이트(131)를 갖는 헤드부(130)로 구성된 스테이플러(100)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30)의 상부면에 노출되게 탄설되는 누름판(10);
상기 누름판(10)의 저면에 하향 연장되는 다수의 가이드바(20),
상기 헤드부(130)의 저면에 힌지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장전부(120)의 양측 테두리에 거치되는 거치부(32)를 통해 상기 헤드부(130)의 하강을 구속하는 안전플레이트(30);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바(20)는 상기 안전플레이트(30)의 내벽면에 구름 접촉하고,
상기 안전플레이트(30)는 상기 격발플레이트(131)가 상기 철심(200)을 토출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바(20)의 하강에 의해 상기 거치부(32)가 상기 장전부(120)에서 이탈되어 상기 헤드부(130)의 하강 구속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스테이플러.
A charging unit 120 hinged to the receiving unit 110 and having an iron core 200 mounted therein and a charging plate 120 for discharging the iron core 200 of the charging unit 120. [ (130) having a stapler (131), the stapler (100)
A pressure plate 10 which is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art 130;
A plurality of guide bars 20 extending downwar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ure plate 10,
A safety plate 30 hing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head unit 130 and restraining a descent of the head unit 130 through a mounting part 32 whose lower part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art 120, ≪ / RTI >
The guide bar (20)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afety plate (30)
The safety plate 30 is detached from the loading part 120 by the lowering of the guide bar 20 so that the bursting plate 131 can discharge the iron core 200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 portion (130) is restrained from being restrain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플레이트(30)는 상호 간 스프링(S)으로 연결되어 상기 누름판(10)이 상승하면 상기 거치부(32)가 상기 장전부(120)의 양측 테두리에 자동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스테이플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afety plate 30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pring S so that when the pressure plate 10 is raised, the mounting portion 32 can be automaticall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portion 120 Wherein the stapler is a stapl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바(20)는 하단 외측에 상기 안전플레이트(30)의 내벽면 구름접촉하는 돌기(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스테이플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guide bars (20)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21) on the oute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guide plate (20) in which the safety plate (30) comes into rolling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플레이트(30)는 상기 각 가이드바(20)의 상기 돌기(21)를 안내하는 가이드홈(31)이 내벽면에 부분 형성되고, 상기 각 가이드바(20)의 상기 돌기(21)가 상기 가이드홈(31)에서 벗어나면 상기 돌기(21)의 길이만큼 양측으로 벌여져 상기 거치부(32)가 상기 장전부(120)에서 이탈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스테이플러.
The method of claim 3,
The safety plate 30 has a guide groove 31 for guiding the protrusion 21 of each guide bar 20 on the inner wall surface and the protrusion 21 of each guide bar 20 Wherein the stapler unit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stapler unit moves away from the guide groove, the stapler unit is pulled to both sides of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to release the stapler unit from the load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30)의 저면에는 상기 안전플레이트(30)와 힌지 결합되는 4개의 힌지부(H)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스테이플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inge portion (H) hinged to the safety plate (30) on a bottom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30).
KR1020150000039A 2015-01-02 2015-01-02 Stapler with safety device KR1015779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039A KR101577927B1 (en) 2015-01-02 2015-01-02 Stapler with safet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039A KR101577927B1 (en) 2015-01-02 2015-01-02 Stapler with safet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927B1 true KR101577927B1 (en) 2015-12-17

Family

ID=55081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039A KR101577927B1 (en) 2015-01-02 2015-01-02 Stapler with safet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92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7086B2 (en) 2004-12-10 2006-08-29 Michael P. Joyce Stapler with leaf spring actuation mechanism
US20090159632A1 (en) 2007-12-21 2009-06-25 Peigen Jiang Safety apparatus for spring powered stapl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7086B2 (en) 2004-12-10 2006-08-29 Michael P. Joyce Stapler with leaf spring actuation mechanism
US20090159632A1 (en) 2007-12-21 2009-06-25 Peigen Jiang Safety apparatus for spring powered stapl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7716B2 (en) Tape cartridge
JP5805720B2 (en) Cartridge for drug packaging device with automatic lock function
EP3124262B1 (en) Tape cartridge
CN101238914B (en) Cigarette case with retractile cigarette
BRPI0621859A2 (en) roller dispenser
KR20140137060A (en) a hose rolling device
KR101577927B1 (en) Stapler with safety device
US9682577B2 (en) Paper storage, printer and method for using multiple types of mediums
JP2018521577A (en) Card tray, card connection device and mobile terminal
JP2009158401A (en) Electronic device
US7036649B2 (en) Auto-bill-dispensing machine
KR20070003473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uilt-in battery
CN103692455B (en) A kind of cutter
CN217118169U (en) Base and have its cooking utensil
CN217170272U (en) Disposable printer paper bin and thermal printer
CN213660758U (en) Power supply device convenient to use
CN105668280A (en) Tape take-up device used for plastic film production
JP6947252B2 (en) Drawing device
KR20110090509A (en) Stapler
KR101875289B1 (en) Storage device
JP2013049221A (en) Mobile terminal with roll sheet setting mechanism
KR200350799Y1 (en) Brush stand
CN216453795U (en) Hair straightener
JP3890887B2 (en) Binding device
KR200284443Y1 (en) the pu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