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952B1 - Learning device is applied to the internet of the things - Google Patents

Learning device is applied to the internet of the thin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952B1
KR101575952B1 KR1020140047175A KR20140047175A KR101575952B1 KR 101575952 B1 KR101575952 B1 KR 101575952B1 KR 1020140047175 A KR1020140047175 A KR 1020140047175A KR 20140047175 A KR20140047175 A KR 20140047175A KR 101575952 B1 KR101575952 B1 KR 101575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identification signal
desired content
unit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1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59768A (en
Inventor
김희정
Original Assignee
김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정 filed Critical 김희정
Priority to KR1020140047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952B1/en
Publication of KR20140059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7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9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도의 저연령 학습자를 위해 학습관리자가 지정한 집 안팎의 다양한 일반 물품마다 저연령 학습자가 누를 경우 그 눌러진 해당 사물에 대한 관련 학습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저연령 학습자가 관심을 갖는 기존의 모든 물품들이 동적인 네트워크 기반의 통신시설의 추가 없이 단지, 만지고 노는 놀이를 통해 해당 물품에 관련된 다양한 학습정보가 출력되는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연령 학습자가 거주하는 집 안팎에 구비되는 사물(100)과;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사물(100)에 고정되는 몸체(201)를 갖는 것으로, 상기 사물(100)에 고정된 몸체(201)를 누를 경우 그 몸체(201)가 고정된 해당 사물(100)을 식별하는 사물별 식별신호를 생성하고 송신하는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와; 정보입력부(310)와; 상기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로부터 사물별 식별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사물별 식별신호를 생성한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가 고정된 사물(100)에서 표현되기를 희망하는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의 저장위치를 나타내는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가 상기 정보입력부(310)를 통해 선택시, 저연령 학습자가 상기 사물(100)에 고정된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를 누르면 상기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에 위치된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사물별 식별신호 및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를 포함하는 학습관리자 지정 사물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350)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output of related learning information about a pressed object of a low age learner to various general merchandise inside and outside a house designated by a learning manager for a low-age learner of a degre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apparatus based on a non-play object to which a variety of learning information related to a corresponding item is output through all of the existing items, without touching the dynamic network-based communication facilities, An object (100) provided inside and outside the house where the learner resides; And a body 201 fixed to the object 100 through fixing means so that when the body 201 fixed to the object 100 is pressed, the corresponding object 100 to which the body 201 is fixed is identified An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An information input unit 310;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which has received the identification signal for each object from the object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and generates the identification signal for each object, When the age learner presses the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fixed to the object 100 when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ndicating the storage position of the output desired content is selected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310, And a control unit 350 for generating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learning manager designated object including an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and an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so that the desired content output desired content located on the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can be output.

Description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Learning device is applied to the internet of the thing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device based on a non-play object to which an object Internet is applied,

본 발명은 정도의 저연령 학습자를 위해 학습관리자가 지정한 집 안팎의 다양한 일반 물품마다 저연령 학습자가 누를 경우 그 눌러진 해당 사물에 대한 관련 학습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저연령 학습자가 관심을 갖는 기존의 모든 물품들이 동적인 네트워크 기반의 통신시설의 추가 없이 단지, 만지고 노는 놀이를 통해 해당 물품에 관련된 다양한 학습정보가 출력되는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output of related learning information about a pressed object of a low age learner to various general merchandise inside and outside a house designated by a learning manager for a low-age learner of a degre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apparatus based on a non-play object to which a variety of learning information relating to a corresponding item is displayed through play, such as touching and playing, without adding any existing network-based communication facilities.

오늘날, 사회 소득의 증가 및 핵가족화에 따라 자녀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실정이다.Today, with the increase of social income and the nuclear family, interest in education for children is increasing.

특히, 영아 및 유아를 포함하는 저연령 학습자의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저연령 학습자의 집중력이 낮아 쉽게 흥미를 잃기 때문에 저연령 학습자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시켜줄 수 있는 학습장치가 제안되어야 한다는 것이다.Especially, the important point of education for low age learners, including infants and young children, is that since the age of learners is not easily focused due to low concentration of learners, a learn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ly inducing interest of low age learners should be proposed.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선등록(특허등록 제10-1336454호)된 것으로, 도 1은 종래의 저연령 학습자용 학습교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From this point of view, the applicant has already been registered with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patent registration No. 10-1336454) by the present applicant.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learning material for low-age learners.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저연령 학습자용 학습교재는 일면에 위치별 좌표코드(11)를 갖는 학습내용영역(12)이 표시된 학습교재(10)와, 해당 학습교재(10)에 표시된 상기 학습내용영역(12)에 접촉되면, 그 접촉된 학습내용영역(12)의 위치별 좌표코드(11)를 스캔하여, 이를 구획별 좌표접점신호로 생성하는 전자펜(20)과, 스피커 및 조명부를 갖는 것으로 전자펜(20)으로부터 생성되는 구획별 좌표접점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구획별 좌표접점신호에 해당하는 구획에 구비된 학습내용영역(12)에 관한 학습내용인 구획별 학습정보 및 그 구획별 학습정보에 해당하는 학습내용에 부합되는 색상인 학습 내용별 몰입유도용 조명정보를 데이터 저장부에서 추출하며, 이를 스피커 및 조명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박스(30)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ventional learning material for low-age learners includes a learning material 10 on which a learning content area 12 having a position-specific coordinate code 11 is displayed on one side, An electronic pen 20 that scans the coordinate code 11 for each position of the contacted learning content area 12 and generates the coordinate code as a segmented coordinate point contact signal when the touch panel 12 is in contact with the content area 12, And receives compartment-specific coordinate signal generated from the electronic pen 20, and compartment-specific learning information, which is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learning contents area 12 provided in the compartment corresponding to the inputted compartment- And a control box 30 for extracting illumination information for immersion induction for each learning content, which is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segment-by-segment learning information, from the data storage unit and controlling the output to be outputted through the speaker and illumination unit .

이를 통해, 학습교재(10)에 표현된 학습내용이 음성출력되는 것과 더불어 그 학습교재(10)의 학습내용에 부합되는 색상의 조명이 학습내용별로 선별되어 출력되도록 안내하여 주는 수단을 통해 학습물의 학습내용으로 동화와 같은 이야기책의 각 학습내용이 전개될 때마다, 그 학습내용의 이야기 구조에 부합되는 다양한 조합의 색상들이 책을 읽는 등의 학습을 수행하는 저연령 학습자의 주변환경에 발광되도록 제공함으로서, 저연령 학습자가 학습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감정이입이 극대화되도록 하여 몰입을 유도하여 주는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Through this, the learning contents expressed in the learning teaching material 10 are outputted as sounds, and the lighting of colors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learning teaching material 10 is selected and outputted according to the learning contents, When each learning contents of a storybook such as a fairy tale is developed as learning contents, colors of various combinations corresponding to the story structure of the learning contents are displayed so as to be emitted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a low age learner performing learning such as reading a book This provides the advantage of inducing immersion by maximizing empathy for performing lessons at that age.

그런데 종래의 저연령 학습자용 학습교재는 학습대상이 이야기 책과 같은 학습교재로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However, conventional learning materials for low-age learners are restricted to learning materials such as story books.

이에, 1세에서 3세 정도의 저연령 학습자의 경우 해당 저연령 학습자가 바라보는 모든 사물들이 호기심에 따른 관심대상이기 때문에 이야기 책 뿐만 아니라 장난감, 냉장고나 TV 등의 가전이나 식탁 등을 포함하는 생활용품, 문이나 벽지가 도배된 벽 등 저연령 학습자가 거주하는 집 안의 모든 사물들이 저연령 학습자에게는 학습부재로 이용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case of low-age learners of one to three years of age, all objects viewed by the corresponding low-age learners are interested in curiosity. Therefore, not only storybooks, but also life including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toys, All objects in a house where a lesser age learner resides can be used as a lesson for less aged learners, such as supplies, walls with walls or walls.

그러나 1세에서 3세 정도의 저연령 학습자가 눈으로 보는 다양한 사물을 물어볼 경우 부모와 같은 학습관리자가 일일이 설명해 주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학습관리자가 저연령 학습자의 궁금사항에 표현을 인지하지 못할 경우 학습설명 자체가 불가능하다. However, when a child aged between one and three years is asked about various things to see with eyes, it is difficult for the same kind of learning manager to explain it individually. Also, if the learning manager is unable to recognize the expression of the age learner, The explanation itself is impossible.

이 때문에, 현재 일반 사물에 하나 둘씩 적용되고 있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을 기반으로 1세에서 3세 정도의 저연령 학습자가 궁금해 할 집안의 다양한 사물(냉장고, 식탁, 벽지 등등 집안 내 일체의 사물)에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For this reason,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which are currently applied one by one to general objects, various objects (such as refrigerators, tables, wallpapers, etc.) The object).

여기서, 사물인터넷이란 생활 속 사물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으로서 현재는 가전제품이나 전자기기 정도에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Here, the Internet of Things is a system for sharing information on living things through a wired / wireless network, and is currently being applied to a variety of consumer electronics and electronic devices.

이로 인해, 1세에서 3세 정도의 저연령 학습자를 위해 학습관리자가 거주하는 집안의 다양한 사물마다 사물인터넷에 관련된 기반시스템을 개발하여 탑재되어야 함으로써, 막대한 개발 및 설치비용 소요되기 때문에 현재는 적용하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For this reason, for the low-age learners of 1 to 3 years of ag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nstall an infrastructure system related to the Internet of things for various objects of the house where the learning manager resides. There is a problem that is impossible.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도의 저연령 학습자를 위해 학습관리자가 지정한 집 안팎의 다양한 일반 물품마다 저연령 학습자가 누를 경우 그 눌러진 해당 사물에 대한 관련 학습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뿐만 아니라 학습관리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물에 대한 다수의 관련 학습정보를 원할때마다 새롭게 변경하여 출력시키거나 또는 인터넷 상에서 해당 사물에 대해 검색하여 원하는 관련 학습정보로 새롭겨 변경하여 출력시켜주는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 low-age learner, The related learning information is output, and a plurality of related learning information about an object held by the learning manager is newly changed and output, or a search is made for the object on the Internet, And to provide a learning apparatus based on a play member to which object Internet is applied.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는, 저연령 학습자가 거주하는 집 안팎에 구비되는 사물과;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사물에 고정되는 몸체를 갖는 것으로, 상기 사물에 고정된 몸체를 누를 경우 그 몸체가 고정된 해당 사물을 식별하는 사물별 식별신호를 생성하고 송신하는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와; 정보입력부와; 상기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로부터 사물별 식별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사물별 식별신호를 생성한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가 고정된 사물에서 표현되기를 희망하는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의 저장위치를 나타내는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가 상기 정보입력부를 통해 선택시, 저연령 학습자가 상기 사물(100)에 고정된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를 누르면 상기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에 위치된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사물별 식별신호 및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를 포함하는 학습관리자 지정 사물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Technical Solu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arning apparatus based on a play element to which the Intern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omprises: an object placed inside or outside a house where a low age learner resides; An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that identifies the object to which the body is fixed when the body fixed to the object is pressed with the body fixed to the object through the fixing means; An information input unit; An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 identification signal for each object, an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 identification signal for each object, an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 identification signal for each object, When a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s selected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a lower age learner presses an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fixed on the object 100, and a designated object output desired content located on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s output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desired contents output signal for each learning manager designated object including an object 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and an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상기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는, 가압되면 사물별 식별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와; 상기 신호생성부에서 생성된 사물별 식별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부;로 이루어진다. Wherein the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comprises: a signal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when pressed; And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 identification signal for each object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ion unit.

상기 신호생성부는 메카니컬 스위치 타입, 리드타입, 폼 엘레먼트 타입, 컨덕티브 러버 타입, 멤브레인 타입 및 멤브레인과 메커니컬 타입의 혼합 방식을 포함하는 스위치 접점 방식;을 이용한다. The signal generating unit uses a switch contact method including a mechanical switch type, a lead type, a form element type, a conductive rubber type, a membrane type, and a mixed type of membrane and a mechanical type.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에는, 상기 제어부의 작동방식을 설정하는 모드로서, 학습관리자가 보유하고 있는 상기 사물에서 표현되기를 희망하는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상기 학습관리자 지정 사물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가 생성되는 절차를 안내하는 정보지정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지정모드 하에서 상기 학습관리자 지정 사물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된다. In the learning apparatus based on the play object to which the object Intern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designated object output desired content desired to be expressed by the object held by the learning manager is output as a mode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section And an information designation mode for guid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learning manager designated object in the information designation mode, wherein the control section is controlled to generate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learning manager designated object under the information designation mode.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에는, 상기 제어부의 작동방식을 설정하는 모드로서, 상기 사물에 고정된 사물별 식별신호 생성부재를 누르면, 학습관리자가 지정한 경로에 위치되는 상기 학습관리자 지정 사물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관리자 지정 사물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며, 정보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출력모드 하에서 상기 사물별 식별신호가 입력되면, 그 입력된 사물별 식별신호를 상기 메모리부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학습관리자 지정 사물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에 포함된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를 참조하여 해당 경로에 위치하는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가 상기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A learning apparatus based on a play element to which the object Intern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mode for setting an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section, and when an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on member fixed on the object is pressed, And an information output mode in which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learning manager designated object is output, and a memory unit for storing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learning manager designated object, wherein the information output unit comprises: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output an identification signal for each object, which is input in the information output mode, to an output The desired contents output desired content located in the route is referred to as the information output The controls to be output through.

본 발명은 정도의 저연령 학습자를 위해 학습관리자가 지정한 집 안팎의 다양한 일반 물품마다 저연령 학습자가 누를 경우 그 눌러진 해당 사물에 대한 관련 학습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저연령 학습자가 관심을 갖는 기존의 모든 물품들이 동적인 네트워크 기반의 통신시설의 추가 없이 단지, 만지고 노는 놀이를 통해 해당 물품에 관련된 학습정보가 출력될 뿐만 아니라 학습관리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물에 대한 다수의 관련 학습정보를 원할때마다 새롭게 변경하여 출력시키거나 또는 인터넷 상에서 해당 사물에 대해 검색하여 원하는 관련 학습정보로 새롭겨 변경하여 출력시켜주기 때문에 저연령 학습자가 관심을 갖는 해당 사물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게 제공하여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output of related learning information about a pressed object of a low age learner to various general merchandise inside and outside a house designated by a learning manager for a low-age learner of a degree, Not only does all of the existing items have a dynamic network-based communication facility, but the learn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item is displayed through play, play, and play, as well as a large number of related learning information about objects held by the learning manager Or the like, or by searching for relevant objects on the Internet, and outputting the new learning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sired learning information, thereby providing a variety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of interest of the low age learner .

도 1은 종래의 저연령 학습자용 학습교재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사물별 식별신호 생성부재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사물별 식별신호 생성부재에 속하는 신호생성부의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사물지정정보 관리단말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learning material for a low-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learning apparatus based on a play member to which the object Intern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bject-by-object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of a learning apparatus based on a play member to which the object Intern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signal generating unit belonging to an object-by-object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of a learning apparatus based on a play member to which an object Intern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object specifying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of a learning apparatus based on a play member to which the object Intern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an ope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사물별 식별신호 생성부재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사물별 식별신호 생성부재에 속하는 신호생성부의 블록구성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사물지정정보 관리단말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learning apparatus based on a play member to which the object Intern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earning apparatus based on a play member to which the object Intern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signal generating unit belonging to an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of a learning apparatus based on a play member to which an object Intern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signal generating unit Objects of the Invention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a learning apparatus based on a play member to which the Internet is applied, a block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object specifying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는 크게, 사물(100),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 및 사물지정정보 관리단말(300)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learning apparatus based on the play member to which the object Intern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n object 100, an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and a object specifying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300.

먼저, 사물(100)은 저연령 학습자가 놀이부재로 생각하는 물품으로 거주하는 집 안팎에 구비되는 다양한 물품으로서, 집 안의 물품인 경우 이야기 책, 장난감, 냉장고나 TV 등의 가전이나 식탁 등을 포함하는 생활용품, 문이나 벽지가 도배된 벽 등과, 집 밖의 물품인 경우 부모인 학습관리자의 자동차나 저연령 학습자가 자주 가는 집 주변 놀이터에 설치된 다양한 놀이시설(시소나 그네 등) 등이 적용될 수 있다. First, the object 100 includes various items provided inside and outside the house where the learner considers it as a play item, and includes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a story book, a toy, a refrigerator, and a TV, etc. (Such as a sisso or a swing) installed in a playground around a home where a learner who is a frequent visitor of a car or an aged learner who is a parent of a learning manager may be applied .

즉, 저연령 학습자가 관심을 갖는 모든 기존의 물품들이 동적인 네트워크 기반의 통신시설의 추가 없이 단지, 후술되는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를 해당 사물(100)에 부착함으로써, 해당 사물(100)에 관련된 다양한 학습정보가 사운드, 정지영상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인 멀티미디어 정보로 출력될 수 있게 제공한다. That is, by attaching an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a corresponding object 100 without adding any network-based communication facilities to all existing objects of interest to the low-age learners, 100 can be output as a sound, a still image moving image, or a combination of these as multimedia information.

여기서, 저연령 학습자의 나이연령은 취학 전 아동으로 바람직하기로는 1세에서 3세의 연령대로서, 후술되는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를 눌렀을 때 출력되는 사운드 또는 출력화면에 적극적인 반응을 하며, 반복적으로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를 누르면서 저연령 학습자의 소근육 발달도 유도하여 주는 연령대를 주 사용층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age of the low-age learner is aged from 1 to 3 years, preferably a pre-school child, and reacts positively to a sound or an output screen displayed when the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described later is pressed , It is possible to set the age group to induce the development of the small muscle of the lower age learner while pressing the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repeatedly.

상기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는 고정수단을 통해 사물(100)에 고정되는 몸체(201)를 갖는 것으로, 사물(100)에 고정된 몸체(201)를 누를 경우 그 몸체(201)가 고정된 해당 사물(100)을 식별하는 사물별 식별신호를 생성하고 후술되는 사물지정정보 관리단말(300)로 무선송신하는 부재이다.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has a body 201 fixed to the object 100 through fixing means and when the body 201 fixed to the object 100 is pressed, Designating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300 to be described later, which identifies the fixed object 100,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object specifying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300 to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몸체(201)는 스펀지와 같이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를 사용할 수 있으며, 몸체(201)의 배면에 도포된 점착물질(스티커 타입)을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통해 해당 사물(100)에 부착되는 구조이다. Here, the body 201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 restoring force, such as a sponge, and may be attached to the object 100 through a fixing means including a sticky material appli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ody 201 to be.

앞에서 언급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의 세부구성은 몸체(201) 내부에 탑재되는 것으로, 저연령 학습자가 몸체(201)를 누름에 의해 몸체(201)가 가압되면 사물별 식별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210) 및 신호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사물별 식별신호를 무선으로 후술되는 사물지정정보 관리단말(300)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부(220)로 이루어진다.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for carrying out the above-mentioned function is mounted inside the body 201. When the body 201 is pressed by the lower age learner pressing the body 201 A signal generator 210 for generating an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and a wireless transmitter 220 for transmitting the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or 210 to the object specifying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relessly .

또한, 신호생성부(210)는 도 4를 주로 참조하여, 금속으로 이루어진 상부 전극(211)과 하부 전극(212)을 포함하는 스위치접점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4, the signal generating unit 210 may be of a switch contact type including an upper electrode 211 and a lower electrode 212 made of metal.

이를 통해, 몸체(201)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에 따라, 상부 전극(211)이 하부 전극(212)쪽으로 이동하여 연결되고, 전달된 압력이 제거되면 상부 전극(211)과 하부 전극(21)의 떨어짐으로써, 스위칭 온/오프 신호인 사물별 식별신호가 생성될 수 있게 제공한다. The upper electrode 211 is moved to the lower electrode 212 and connected to the upper electrode 211 and the lower electrode 21 in response to the pressure transmitted through the body 201, Thereby providing an object-by-object identification signal, which is a switching on / off signal, to be generated.

이러한, 스위치 접점 방식의 기술구성에는 다양한 전극 구조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일예로, 하부 전극(212)이 하나의 금속패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Various electrode structures may be used for the switch structure of the switch contact type. For example, the lower electrode 212 may have a single metal pattern.

이러한 기능을 통해 객체별 위치접점신호를 생성시키는 스위치 접점방식의 종류로는 메카니컬 스위치(Mechanical Switch) 타입, 리드(Read) 타입, 폼 엘레먼트(form element) 타입, 컨덕티브 러버(Conductive-Rubber) 타입, 멤브레인(membrane) 타입, 멤브레인과 메커니컬 타입의 혼합 방식 등이 있다. Types of switch contacts that generate position contact signals for each object through these functions include mechanical switch type, read type, form element type, and conductive rubber type , A membrane type, and a membrane-mechanical type mixing method.

먼저, 메카니컬 스위치 타입은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그 아래에 있는 두 개의 전극이 연결되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방식이다. First, the mechanical switch type can generate signals by connecting the two electrodes under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applied pressure.

리드타입은 외압이 발생하면 자석이 함께 내려와서 일정 위치까지 도달하고 움직인 자석은 두 개의 전극 중 철이 함유된 하나의 전극을 다른 전극 쪽으로 끌어당겨 접촉시켜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In the lead type, when the external pressure is generated, the magnet comes down to reach a certain position, and the moving magnet attracts one electrode containing iron among the two electrodes to the other electrode to generate a signal.

폼 엘레먼트 타입은 도 5와 유사하게,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에 인쇄되어 있는 끊겨진 두 전극을 내재시켜 전극이 내려가서 연결시킴으로써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In the form-element type, two broken electrodes pri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substrate are embedded, and the electrodes are lowered and connected to generate a signal.

컨덕티브 러버 타입은, 전자 계산기 등에도 쓰이고 있는 방식으로서, 고무 탄성체 아랫면에는 탄소로 이루어진 접촉 전극이 있고 그 하부의 전극에 닿으면 스위치가 동작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고, 고무 탄성체가 고무의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되는 방식이다.Conductive rubber type is a method which is also used in electronic calculator, etc. When there is a contact electrode made of carbon on the lower side of the rubber elastic body, a switch is activated to generate a signal when it touches the electrode below the rubber elastic body, .

멤브레인 타입은, PCB 기판 상에 형성된 하부 회로막, 절연막, 상부 회로막, 탄성을 위한 러버 돔을 포함하며, 상부 회로막과 하부 회로막은 절연막에 의해 구분되어 있으나 접촉 전극이 있는 부분은 절연막이 없다. 이를 통해, 외압이 발생하면 러버돔을 누르게 되고, 눌린 러버돔은 아래 있는 상부 회로막을 누르며, 상부 회로막이 눌리면, 하부 회로막과의 접촉 전극이 연결되어 키 스트로크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방식이다. The membrane type includes a lower circuit film formed on a PCB substrate, an insulating film, an upper circuit film, and a rubber dome for elasticity. The upper circuit film and the lower circuit film are separated by an insulating film, . In this way, when the external pressure is generated, the rubber dome is pressed, the pressed rubber dome pushes the upper circuit film below, and when the upper circuit film is pressed, the contact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lower circuit film, to be.

멤브레인과 메커니컬 타입의 혼합 방식은, 멤브레인 방식의 고무돔 대신에 메커니컬 스위치 방식의 스프링을 사용하여 키 스트로크가 이루어지도록 한 방식으로서, 멤브레인 방식의 키 스트로크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신뢰성이 높은 키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식이다.Membrane and mechanical type mixing is a method in which a key stroke is performed by using a mechanical switch type spring instead of a membrane type rubber dome. It compensates for the disadvantage of the membrane type key stroke and generates a highly reliable key signal .

또한, 무선송신부(220)는 WLAN(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또는 UWB(Ultra Wideband) 등)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지그비(Zigbee)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지그비(Zigbee)의 특징인 저전력으로 작은 배터리로도 더욱 긴 수명을 유지하게 해주며, 다중 홉(hop) 통신을 지원함으로써 네트워크 범위의 확장 및 신뢰도를 증가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Also,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220 may be a wireless LAN, a wireless LAN, a Wi-Fi, a wireless broadband, a wiromax, a wimax,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Or near-field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Zigbe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or Ultra Wideband (UWB) In the following, Zigbee may be used. This is because Zigbee's low power, longer battery life with a small battery, and support for multi-hop communication can increase network coverage and reliability.

상기 사물지정정보 관리단말(300)은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로부터 사물별 식별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사물별 식별신호를 생성한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가 고정된 사물(100)에서 표현되기를 희망하는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의 저장위치를 나타내는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가 상기 정보입력부(310)를 통해 선택시, 저연령 학습자가 상기 사물(100)에 고정된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를 누르면 상기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에 위치된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사물별 식별신호 및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를 포함하는 학습관리자 지정 사물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350)를 갖는 단말부재로서, 전용 콘트롤러,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내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TV(smart TV),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등 무선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The object designation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300 receives an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and generates an identification signal for each object based on the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100), when an age-learner selects an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that indicates a storage location of a desired object output desired content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310, When the generating member 200 is pressed,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learning manager designated object including an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and an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s generated so that the desired content output desired content located in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can be output A personal computer (PC), a notebook computer, a mobile phone, a tablet PC, a navigation device, a navigation device, and the like. Teupon can be applied to a (smart phone), Smart TV (smart TV),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or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 are different devices available.

이와 같은, 기본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안내용 본체(300)의 세부구성은 정보입력부(310), 메모리부(320), 정보출력부(330), 정보수신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main body of information 300 for performing the basic functions includes an information input unit 310, a memory unit 320, an information output unit 330,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340, and a control unit 350 .

상기 정보입력부(310)는 사물(100)의 설명을 통한 학습을 수행하기 위해 학습관리자가 지정한 음성, 정지영상,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정보의 입력 및 요청을 수행하는 부재로서, 키입력부재, 터치입력부재, 제스처 입력부재 또는 음성 입력부재를 포함하는 다양한 입력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input unit 310 inputs and requests information to output multimedia contents composed of a voice, a still image, a moving picture, or a combination thereof specified by the learning manager in order to perform learning through description of the object 100 A variety of input members including a key input member, a touch input member, a gesture input member, or a voice input member can be used.

여기서, 정보입력부(310)를 통해 지정되는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의 경우 인터넷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소리, 정지영상,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콘텐츠인 경우 인터넷주소(URL)(ex; http://study.jr.naver.com/dongyo/view.nhn?dongyoNo=811&categoryId=2)가 적용되거나 또는, 후술되는 메모리부(320)에 저장된 소리, 정지영상,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콘텐츠인 경우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는 메모리부(320)에 저장된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의 저장위치(ex; D:\사물\장난감\자동차소리.mp3)가 적용될 수 있다. Here, in the case of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designated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310, in the case of multimedia contents composed of sounds, still images, moving pictures, or a combination thereof provided on the Internet, an Internet address (URL) //study.jr.naver.com/dongyo/view.nhn?dongyoNo=811&categoryId=2), or a multimedia content composed of a sound, a still image, a moving image, or a combination thereof stored in the memory unit 320 (D: \ object \ toy \ car sound.mp3) of the designated object output desired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unit 320 may be applied to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상기 메모리부(320)는 학습관리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물(100)을 표현하기 위한 소리, 정징영상,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저장과 더불어 사물지정정보 관리단말(300)의 동작에 필요한 모드인 학습관리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물(100)에서 표현되기를 희망하는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학습관리자 지정 사물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가 생성되는 절차를 안내하는 정보지정모드 및 학습관리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물(100)을 누르면, 학습관리자가 지정한 경로에 위치되는 학습관리자 지정 사물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모드와 같은 데이터 혹은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매체이다. The memory unit 320 stores multimedia contents including a sound, a still image, a moving image,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representing the object 100 held by the learning manager,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bject specifying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300 An information designation mode for instructing a process of generating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learning manager designated object so that the desired contents output desired content to be expressed in the object 100 held by the learning manager which is a necessary mode can be output, Such as an information output mode for guiding the output of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learning manager designated object located on a path designated by the learning manager when the object 100 held by the user is pressed.

이처럼, 정보지정모드, 정보출력모드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정보선택모드를 구비함으로써,선택된 모드에 따라 제어부(350)가 선별 제어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화 되어진다.By providing the information selection mode in which the information designation mode, the information output mode, and the like can be select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350 is programmed to be selective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메모리부(320)는 램(RAM, Read Access Memory), 롬(ROM, Read Only Memory), 하드디스크(HDD, Hard Disk Drive), 플래시 메모리, CD-ROM, DVD 및 USB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The memory unit 320 may be implemented as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ead only memory (ROM), a hard disk drive (HDD), a flash memory, a CD- USB memory,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정보출력부(330)는 학습관리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물(100)에서 표현되기를 희망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출력되는 부재로서, 멀티미디어 정보가 출력될 수 있게 스피커(331) 및 디스플레이부(3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formation output unit 330 includes a speaker 331 and a display unit 332 to output multimedia information desired to be displayed in the object 100 held by the learning manager. .

상기 정보수신부(340)는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로부터 무선송신되는 사물별 식별신호를 수신하는 통신인터페이스 부재로서,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지그비를 이용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340 is a communication interface member for receiving an identification signal for each object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and can use the ZigBee as described above.

상기 제어부(350)는 학습관리자가 보유하고 있는 사물(100)에서 학습관리자가 지정한 소리,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도록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부재이다. The control unit 350 is a member that controls the overall control so that the multimedia contents composed of sounds, images, moving pictures, or a combination thereof specified by the learning manager in the object 100 held by the learning manager.

특히, 정보지정모드 하에서 제어부(350)는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로부터 사물별 식별신호가 입력되고, 사물별 식별신호가 생성된 사물(100)에서 출력되기를 희망하는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의 저장위치를 나타내는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가 정보입력부(310)를 통해 선택되면, 그 선택된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에 위치된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사물별 식별신호 및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를 포함하는 학습관리자 지정 사물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particular, under the information designation mode, the control unit 350 receives an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and outputs a designated object output desired content desired to be output from the object 100, When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ndicating the storage location of the selected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s selected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310, And controls to generate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learning manager designated object including the path.

또한, 정보출력모드하에서, 제어부(350)는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로부터 사물별 식별신호가 입력되면, 그 입력된 사물별 식별신호를 상기 메모리부(320)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학습관리자 지정 사물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에 포함된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를 참조하여 해당 경로에 위치하는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가 정보출력부(3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under the information output mode, when the identification signal for each object is input from the object-by-object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the control unit 350 compares the inputted identification signal for each object with the memory unit 320, And controls the output of the designated object to be output located on the path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330 by referring to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ncluded in the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administrator designated object.

이때, 제어부(350)는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가 인터넷주소(URL)이면, 인터넷 웹브라우저를 구동제어한 상태에서 인터넷주소창에 해당 인터넷주소를 입력하여 스피커(431) 및 디스플레이부(432)로 이루어진 정보출력부(3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학습관리자가 지정한 사물(100)의 인쇄면 영역에서 출력되기를 희망하는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제공한다.At this time, if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ing path is an Internet address (URL), the control unit 350 inputs the Internet address to the Internet address window while driving the Internet web browser, and outputs the Internet address to the speaker 431 and the display unit 432 Information output unit 330 so that the designated object output desired content desired to be output from the print surface area of the object 100 specified by the learning manager can be outputted.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를 이용하여 인쇄물의 인쇄면 중 학습관리자가 원하는 인쇄면 영역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도록 진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description will now be made of a process of outputting multimedia contents on a printing surface area desired by a learning manager among printing surfaces of a printed matter using a learning device based on a play member to which the Intern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follows.

먼저, 학습관리자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사물(100)에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를 부착한다. First, the learning manager attaches the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to the object 100 possessed by the learning manager.

이후, 학습관리자는 사물(100)에 부착된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를 누르면, 그 누름에 의해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의 신호생성부(210)에서 사물별 식별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사물별 식별신호가 무선송신부(220)를 통해 사물지정정보 관리단말(400)로 전송된다. Thereafter, the learning manager presses the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attached to the object 100, and the signal generating unit 210 of the object-by-object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outputs the object- And the generated identification signal for each object is transmitted to the object designation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400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220. [

이때, 학습관리자는 사물지정정보 관리단말(400)의 작동방식을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의 지정을 요청하는 정보지정모드 또는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의 출력을 요청하는 정보출력모드인지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설정하여야 하며, 제어부(350)는 어떤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At this time, the learning manager selects either one of an information designation mode for requesting the designation of the object to be designated object output or an information output mode for requesting the output of the object for designation object output, And the control unit 350 should determine which mode is set.

사물지정정보 관리단말(400)의 제어부(350)는 작동방식이 정보지정모드로 설정된 경우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로부터 전송된 사물별 식별신호를 메모리부(320)에 임시저장한 상태에서 사물별 식별신호가 생성된 사물(100)에서 출력되기를 희망하는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의 저장위치를 나타내는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가 선택될 때까지 대기한다. When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the information designation mode, the control unit 350 of the object designation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400 temporarily stores the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on member 200 in the memory unit 320 Until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ndicating the storage location of the designated object output desired content desired to be output from the object 100 in which the object iden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is selected.

이후, 학습관리자는 정보입력부(310)를 조작하여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를 선택한다.Then, the learning manager operates the information input unit 310 to select an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사물지정정보 관리단말(400)의 제어부(350)는 선택된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와 사물별 식별신호를 취합하여 저연령 학습자가 사물(100)에 부착된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를 누르면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에 위치된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안내하는 학습관리자 지정 사물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를 생성하여 메모리부(320)에 저장한다.The control unit 350 of the object specifying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400 collects the identification signal for each object and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and presses the object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attached to the object 100 by the low age learner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learning manager designated object that guides the designated contents output desired content located on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to be outputted is generated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320. [

이러한 학습관리자 지정 사물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 생성과정을 원하는 사물(100)마다 반복 수행한다. The desired contents output signal generation process for each object designated by the learning manager is repeatedly performed for each desired object 100.

그리고 저연령 학습자가 사물(100)에 흥미를 갖아 사물(100)에 부착된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를 누르면 해당 사물(100)에 관련된 학습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사물지정정보 관리단말(400)의 작동방식을 정보출력모드로 설정한다. When the age learner is interested in the object 100 and presses the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attached to the object 100, the object specifying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200 outputs the learn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100, And sets the operation mod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400 to the information output mode.

이후, 사물지정정보 관리단말(400)의 제어부(350)는 작동방식이 어떤 모드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하여 정보지정모드로 설정된 경우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로부터 전송된 사물별 식별신호를 메모리부(320)와 매칭하여 학습관리자 지정 사물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를 추출한다. Then, the control unit 350 of the object specifying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400 determines which mode the operation mode is set to, and when the mode is set to the information specifying mode, the object- (320) and extracts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learning manager designated object.

이후, 제어부(350)는 추출된 학습관리자 지정 사물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에 포함된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를 참조하여 해당 경로에 위치하는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를 정보출력부(3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Thereafter, the control unit 350 refers to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ncluded in the extracted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learning manager designated object, and outputs the designated desired content to be output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330 .

이때, 제어부(350)는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가 인터넷주소(URL)이면, 인터넷 웹브라우저를 구동제어한 상태에서 인터넷주소창에 해당 인터넷주소를 입력하여 정보출력부(3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또는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가 메모리부(320)에 저장된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의 저장위치이면, 해당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를 메모리부(320)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해당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가 정보출력부(3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저연령 학습자가 관심을 갖는 사물(100)에 부착된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를 누를때마다 다양한 학습정보가 출력될 수 있게 안내한다.
At this time, if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s an internet address (URL), the control unit 350 controls the Internet web browser to be output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330 by inputting the Internet address into the Internet address window while driving the Internet web browser , Or if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s the storage position of the designated object output desired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unit 320, the corresponding desired output desired content to be extracted by matching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with the memory unit 320, Output unit 330 so that various learning information can be output every time an object-by-object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attached to an object 100 of interest is pressed.

10 : 학습교재 11 : 위치별 좌표코드
12 : 학습내용영역 20 : 전자펜
30 : 컨트롤박스 100 : 사물
200 : 사물별 식별신호 생성부재 300 : 사물지정정보 단말기
310 : 정보입력부 320 : 메모리부
330 : 정보출력부 340 : 정보수신부
350 : 제어부
10: Learning material 11: Coordinate code by position
12: learning content area 20: electronic pen
30: control box 100: things
200: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300: object specifying information terminal
310: information input unit 320: memory unit
330: Information output unit 340: Information receiving unit
350:

Claims (7)

저연령 학습자가 거주하는 집 안팎에 구비되는 사물(100)과;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사물(100)에 고정되는 몸체(201)를 갖는 것으로, 상기 사물(100)에 고정된 몸체(201)를 누를 경우 그 몸체(201)가 고정된 해당 사물(100)을 식별하는 사물별 식별신호를 생성하고 송신하는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와;
정보입력부(310)와;
학습관리자 지정 사물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가 저장되는 메모리부(320)와;
정보출력부(330)와;
상기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로부터 사물별 식별신호가 수신되고, 상기 사물별 식별신호를 생성한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가 고정된 사물(100)에서 표현되기를 희망하는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의 저장위치를 나타내는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가 상기 정보입력부(310)를 통해 선택시, 저연령 학습자가 상기 사물(100)에 고정된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를 누르면 상기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에 위치된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사물별 식별신호 및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를 포함하는 학습관리자 지정 사물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5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제어부(350)의 작동방식을 설정하는 모드로서, 학습관리자가 보유하고 있는 상기 사물(100)에서 표현되기를 희망하는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게 상기 학습관리자 지정 사물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가 생성되는 절차를 안내하는 정보지정모드에서 상기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로부터 사물별 식별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학습관리자 지정 사물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제어부(350)의 작동방식을 설정하는 모드로서, 상기 사물(100)에 고정된 사물별 식별신호 생성부재(200)를 누르면, 학습관리자가 지정한 경로에 위치되는 상기 학습관리자 지정 사물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가 출력되게 안내하는 정보출력모드에서 상기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로부터 사물별 식별신호가 전송되면, 그 전송된 사물별 식별신호를 상기 메모리부(320)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학습관리자 지정 사물별 희망 콘텐츠 출력신호에 포함된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를 참조하여 해당 경로에 위치하는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가 상기 정보출력부(3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
An object (100) provided inside and outside the house where the age learner resides;
And a body 201 fixed to the object 100 through fixing means so that when the body 201 fixed to the object 100 is pressed, the corresponding object 100 to which the body 201 is fixed is identified An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n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An information input unit 310;
A memory unit 320 for storing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learning manager designated object;
An information output unit 330;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which has received the identification signal for each object from the object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and generates the identification signal for each object, When the age learner presses the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fixed to the object 100 when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ndicating the storage position of the output desired content is selected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310, A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learning manager designated object including an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and an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so that the desired content output desired content located in the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can be output, And a control unit 350 for controlling the storage unit 350 to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350,
The control unit 350 is a mode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unit 350. The control unit 3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350 so that the designated object output desired content to be displayed in the object 100, When the identification signal for each object is transmitted from the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on member 200 for each object in the information designation mode for guiding the procedure of generating the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object, and,
The control unit 350 is a mode for sett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control unit 350. When the user presses the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fixed on the object 100, When the identification signal for each object is transmitted from the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on member 200 for each object in the information output mode in which the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administrator designated object is outputted, And the content to be designated for output located on the route is output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330 with reference to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ncluded in the desired content output signal for each learning manager designated object A learning device based on a non-play element to which the Internet is appl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별 식별신호생성부재(200)는,
가압되면 사물별 식별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210)와;
상기 신호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사물별 식별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송신부(2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generating member 200,
A signal generator 210 for generating an object-specific identification signal when pressed;
And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220)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 identification signal for each object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ion unit (2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생성부(210)는 메카니컬 스위치 타입, 리드타입, 폼 엘레먼트 타입, 컨덕티브 러버 타입, 멤브레인 타입 및 멤브레인과 메커니컬 타입의 혼합 방식을 포함하는 스위치 접점 방식;을 이용하여 사물별 식별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ignal generating unit 210 generates an identification signal for each object by using a switch contact system including a mechanical switch type, a lead type, a form element type, a conductive rubber type, a membrane type, and a mixture method of a membrane and a mechanical type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control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objec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는 인터넷주소(UR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s an Internet address (UR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가 저장되는 메모리부(3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희망 콘텐츠 저장경로는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된 상기 지정사물 출력희망 콘텐츠의 저장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이 적용된 놀이부재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emory unit (320) in which the designated object output desired content is stored,
Wherein the output desired content storage path is a storage location of the designated object output desired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unit (320).
KR1020140047175A 2014-04-21 2014-04-21 Learning device is applied to the internet of the things KR1015759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175A KR101575952B1 (en) 2014-04-21 2014-04-21 Learning device is applied to the internet of the thi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175A KR101575952B1 (en) 2014-04-21 2014-04-21 Learning device is applied to the internet of the thin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768A KR20140059768A (en) 2014-05-16
KR101575952B1 true KR101575952B1 (en) 2015-12-10

Family

ID=5088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175A KR101575952B1 (en) 2014-04-21 2014-04-21 Learning device is applied to the internet of the thin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95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08682A (en) * 2014-05-06 2014-08-27 成都信息工程学院 Training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for teaching
WO2016080572A1 (en) * 2014-11-20 201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Terminal device, image controlling system and terminal device controlling method
KR101712186B1 (en) 2015-07-30 2017-03-03 (주)아람솔루션 Play cure apparatus, play cure system using it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KR101654146B1 (en) 2015-08-29 2016-09-06 ㈜리커시브소프트 Range setting monito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244Y1 (en) * 2001-08-01 2001-11-23 최용준 Voice word card for infa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244Y1 (en) * 2001-08-01 2001-11-23 최용준 Voice word card for inf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768A (en) 201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mara et al. Living in the iworld: Two literacy researchers reflect on the changing texts and literacy practices of childhood.
CN205016091U (en) Wireless teaching system based on intelligent terminal
KR101575952B1 (en) Learning device is applied to the internet of the things
KR101491476B1 (en) Learning system using with OID pen or its method
CN110083319B (en) Note display metho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EP2915567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doll with app and operating the interactive doll
Corbeil et al. E-learning: past, present, and future
Kaye Young children in a digital age
CN103581135A (en) Digital white board, client sides and network side
CN103971548A (en) Interactive device and interactive system with reading function
Hashim et al. Learning through mobile: Exploring the views of polytechnic ESL learners
O'Hara ICT in the early years
CN102522010A (en) Family language learn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05810035A (en) Situational interactive cognitive teaching system and teaching method thereof
CN103366611A (en) A teaching system using hand-held control apparatuses and an operating system
Chung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m-learning service based on 3G cellular phones
CN103606311A (en) Method for paper computer action learning and testing system
JP5534660B2 (en) Data search device and data search system
Mohamed et al. AMMAS: ambient mobile multi-agents system: simulation of the m-learning
TWI581842B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the interactive doll
KR101003117B1 (en) Experience learning system
TW201337862A (en) Handheld control apparatus, tutor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CN203055212U (en) Multimedia teaching system based on Bluetooth
CN108039077B (en) Method and system for quiz answering in class
CN110427141A (en) A kind of method and system of multi-screen interact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