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784B1 - Floating waste removal machine having variable main-screen structure - Google Patents
Floating waste removal machine having variable main-screen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5784B1 KR101575784B1 KR1020140003496A KR20140003496A KR101575784B1 KR 101575784 B1 KR101575784 B1 KR 101575784B1 KR 1020140003496 A KR1020140003496 A KR 1020140003496A KR 20140003496 A KR20140003496 A KR 20140003496A KR 101575784 B1 KR101575784 B1 KR 1015757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screen
- variable
- contaminants
- fixed
- rod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Abstract
본 발명은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프레임, 가이드레일, 주스크린, 전위스크린, 레이크, 에이프런, 엔드리스 체인, 구동모터, 컨베이어를 포함하되, 특히 상기 주스크린은 다수 개로 구비되되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열 고정되는 고정 주스크린과, 상기 고정 주스크린의 각 사이 중앙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한 후 일 측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 주스크린의 후면에 배치되는 가변 주스크린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가변 주스크린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가변 주스크린을 선택적으로 후방이동시킨 후, 측방이동시켜 상기 고정 주스크린의 후면에 배치시키거나 상기 고정 주스크린의 사이 중앙의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가변유닛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통하여, 주스크린의 구조가 고정 주스크린과 고정 주스크린의 사이마다 고정 주스크린과 교번하여 배열되어 선택적으로 가변유닛에 의해 고정 주스크린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가변 이동되는 가변 주스크린으로 적용됨으로써 초기우수 또는 초기우수 이후의 수류에 순차적으로 떠내려오는 미세협잡물 및 거대협잡물과 같은 협잡물의 크기와 대응되어 가변 주스크린을 선택적으로 이동 및 복귀시켜 주스크린의 이웃하는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아울러 주스크린의 이웃하는 사이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초기우수나 초기우수 이후에 순차적으로 각기 떠내려오는 미세협잡물 또는 거대협잡물의 협잡물에 대한 협잡물의 크기와 상관없이 협잡물 전체에 걸쳐 수거효율이 현저히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damper having a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and in particular, to a vibration damper having a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which comprises a frame, a guide rail, a main screen, a dislocation screen, a rake, an apron, an endless chain, a drive motor and a conveyor, A fixed main screen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frames and arranged at a center between the fixed main screen and selectively moved rearward and moved in one direction to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main screen; Wherein the variable main screen is disposed rearward of the variable main screen to selectively move backward the variable main screen and laterally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 fixed main screen, To the home position of the main screen, Is applied as a variable main screen which is arranged alternately with the fixed main screen between the fixed main screen and the fixed main screen and is variably moved so as to be selectively arranged behind the fixed main screen by the variable unit, And the size of the contaminants such as micro-contaminants and macro contaminants that sequentially drift into the main screen are selectively moved and returned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contaminants, so that the spacing between neighboring screens of the main screen can be adjusted, The efficiency of collecting can be remarkably increased over the entire contaminant irrespective of the size of the contaminants to the contaminants of the micro-contaminants or macro-contaminants which are sequentially washed out after the initial storm or the initial storm.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스크린의 구조가 고정 주스크린과 고정 주스크린의 사이마다 고정 주스크린과 교번하여 배열되어 선택적으로 가변유닛에 의해 고정 주스크린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가변 이동되는 가변 주스크린으로 적용됨으로써 초기우수 또는 초기우수 이후의 수류에 순차적으로 떠내려오는 미세협잡물 및 거대협잡물과 같은 협잡물의 크기와 대응되어 가변 주스크린을 선택적으로 이동 및 복귀시켜 주스크린의 이웃하는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스크린의 이웃하는 사이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초기우수나 초기우수 이후에 순차적으로 각기 떠내려오는 미세협잡물 또는 거대협잡물의 협잡물에 대한 협잡물의 크기와 상관없이 협잡물 전체에 걸쳐 수거효율이 현저히 증대될 수 있도록 한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damper having a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bration damper having a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bration damper having a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So as to selectively move and return the variable main screen in correspondence with the sizes of the contaminants such as fine contaminants and macro contaminants that sequentially flow into the water stream after the initial storm or the initial storm, The spacing between neighboring screens of the main screen can be adjusted so that the spacing between neighboring screens of the main screen can be easily adjusted to reduce the size of the contaminants to the contaminants of the fine contaminant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collection efficiency To a vibration damper having a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so as to be remarkably increased.
일반적으로, 제진기는 수면보다 낮은 저지대의 배수 펌프장, 상수도 취수장, 관계용 수로, 하수 처리장 및 댐 등의 개수로에 설치되어 수류와 함께 부유하는 협잡물(挾雜物)을 주스크린으로 거른 다음 그 협잡물(지푸라기, 나뭇가지, 바인더, 비닐 또는 수초 등)을 수거하기 위한 장치이다.Generally, a damper is installed in a repair channel such as a drainage pumping station, a water supply depot, a related water supply channel, a sewage disposal plant, and a dam, which is lower than the water surface, and a floating screen is screened with a main screen, (Such as straws, branches, binders, vinyls or aquatic plants).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제진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 는 종래기술에 따른 제진기를 보인 측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nti-vibration device, and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nti-vibration device.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제진기(10)는 프레임(12), 가이드레일(14), 주스크린(16), 전위스크린(18), 레이크(20), 에이프런(22), 엔드리스 체인(24), 구동장치(26) 및 컨베이어(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여기서, 상기 프레임(12)은 수면보다 낮은 저지대의 배수 펌프장, 상수도 취수장, 관계용 수로, 하수 처리장 및 댐 등의 수로 벽면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4)은 상기 프레임(12)의 내측에 설치된다.Here, the
이때, 상기 주스크린(16)은 상기 가이드레일(14) 사이에 설치되며, 특히 수류와 함께 떠내려 오는 협잡물을 걸러내기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다수 개가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전위스크린(18)은 상기 주스크린(16)과 바닥면 사이로 통과하는 협잡물을 거르기 위하여 상기 주스크린(16)의 전방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레이크(20)는 상기 전위스크린(18)과 상기 주스크린(16)에 걸린 협잡물을 상향으로 걸러 이동시킨다.The
그리고 상기 에이프런(22)은 협잡물이 걸러진 상기 레이크(20)를 후방으로 안내하여 협잡물을 수거하기 위하여 상기 주스크린(16)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엔드리스 체인(24)은 양측 가이드레일(14)에 설치되어 상기 레이크(20)를 연속 회전시켜 일 방향으로 순환 이송시킨다.The
이때, 상기 엔드리스 체인(24)은 상기 구동장치(26)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컨베이어(28)는 상기 에이프런(22)의 후방으로 떨어진 협잡물(挾雜物)을 수거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기술에 따른 제진기(10)는 상기 구동장치(26)를 작동시켜 상기 가이드레일(14)에 안내되는 상기 엔드리스 체인(24)을 회전시키면, 양측 엔드리스 체인(24)에 고정된 레이크(20)가 주스크린(16)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주스크린(16)에 걸린 협잡물을 걸러낸다.The
이후, 협잡물을 걸러낸 레이크(20)는 상기 에이프런(22)을 따라 후방으로 안내되다가 상기 에이프런(22)의 후방에서 상기 가이드레일(14)을 따라 하향으로 이동되면서 협잡물을 떨어뜨리며, 떨어진 협잡물은 컨베이어(28)에 의하여 수거된다.The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제진기(10)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26)는 엔드리스 체인(24)과 레이크(20)를 원활하게 회전시켜 협잡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회전력을 갖는 구동모터(26a)와 구동모터(26a)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엔드리스 체인(24)과 치합되는 스프로켓(26b)으로 이루어진다.The
여기서, 상기 레이크(20)는 상기 엔드리스 체인(24)에 의해 상기 전위스크린(18) 및 주스크린(16)을 거쳐 상향 이송된다.Here, the
이러한 이송을 통하여 상기 에이프런(22)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레이크(20)는 후단이 상기 에이프런(22)의 표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협잡물을 상향 이송방향으로 이송하며, 상기 에이프런(22)의 상단부에 이르게 되면, 상기 에이프런(22)의 후방으로 상기 가이드레일(14)을 따라 상기 레이크(20)가 하향으로 이송되면서 협잡물을 떨어뜨려 상기 컨베이어(28)를 통해 수거된다.The rear end of the
즉, 상기 레이크(20)가 하향으로 이송되면서 협잡물을 떨어뜨려 상기 컨베이어(28) 상에 안착시키며, 이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28)에 안착된 협잡물은 상기 컨베이어(28)의 단부 측에 대기하고 있는 트럭의 화물칸으로 안내된다.That is, the
따라서, 트럭의 화물칸에 수집된 협잡물은 트럭에 의해 운반되어 최종 처리장소로 이송되며, 이를 통하여 협잡물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impurities collected in the cargo compartment of the truck are carried by the truck and transported to the final processing site, through which the contamination can be processed.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제진기는 초기우수 시에 수류에 떠내려오는 미세협잡물과, 초기우수 이후에 수류에 떠내려오는 거대협잡물과 같은 협잡물의 크기와 대응되어 주스크린의 이웃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 vibration damp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can adjust the neighboring intervals of the main screen in correspondence with the size of the contaminants such as micro-contaminants floating in the water stream at the time of initial storm and huge contaminants floating in the water stream after the initial storm There was a problem that it could not.
그러므로, 초기우수 시 및 초기우수 이후에 각기 수류에 떠내려오는 미세협잡물과 거대협잡물과 대응되어 주스크린의 이웃하는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스크린의 이웃하는 사이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초기우수나 초기우수 이후에 순차적으로 각기 떠내려오는 미세협잡물 또는 거대협잡물의 협잡물에 대한 협잡물의 크기와 상관없이 협잡물 전체에 걸쳐 수거효율이 현저히 증대될 수 있도록 한 제진기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nterval between adjacent screens of the main screen in correspondence with the microscopic contaminants and macro contaminants floating in the water stream after the initial stormwater and the initial stormwater, It is required to research and develop a dust collector which can remarkably increase the collection efficiency over the entire contaminants irrespective of the size of the contaminants in the contaminants of the fine contaminants or the large contaminants that sequentially drift after each storm or the initial storm.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초기우수 또는 초기우수 이후의 수류에 순차적으로 떠내려오는 미세협잡물 및 거대협잡물과 같은 협잡물의 크기와 대응되어 가변 주스크린을 선택적으로 이동 및 복귀시켜 주스크린의 이웃하는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lectively moving and returning a variable main screen in correspondence with the sizes of contaminants such as fine contaminants and macro contaminants that sequentially flow into a stream after an initial storm or an initial storm, And to provide a vibration damper having a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so as to be able to adjust an interval between neighboring ones of the main screen.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초기우수 또는 초기우수 이후의 수류에 순차적으로 떠내려오는 미세협잡물 및 거대협잡물과 같은 협잡물의 크기와 대응되어 가변 주스크린을 선택적으로 이동 및 복귀시켜 주스크린의 이웃하는 사이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주스크린의 이웃하는 사이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초기우수나 초기우수 이후에 순차적으로 각기 떠내려오는 미세협잡물 또는 거대협잡물의 협잡물에 대한 협잡물의 크기와 상관없이 협잡물 전체에 걸쳐 수거효율이 현저히 증대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In addition,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selectively move and return the variable primary screen to correspond to the size of contaminants such as micro-contaminants and macro contaminants that sequentially drift into the stream after initial storm or initial storm, By adjusting the interval,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adjacent screens of the main screen,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collecting the contaminants throughout the contaminants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contaminants of the fine contaminants or macro contaminants, So that it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는 수로의 양측 벽면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한 쌍으로 구비되는 상기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수류와 함께 떠내려 오는 협잡물을 걸러내기 위한 다수의 주스크린, 상기 주스크린의 전방 하단에 설치되어 주스크린과 수로의 바닥면 사이로 통과하는 협잡물을 거르기 위한 다수의 전위스크린, 상기 전위스크린과 주스크린에 걸러진 협잡물을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레이크, 협잡물이 걸러진 상기 레이크를 후방으로 안내하여 협잡물을 수거하기 위한 에이프런,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에 설치되어 레이크를 연속 회전시키기 위한 엔드리스 체인, 상기 엔드리스 체인과 치합되어 회전하는 스프로켓의 회전축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 상기 에이프런의 후방으로 떨어진 협잡물을 일측 방향으로 수거하여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에 있어서, 상기 주스크린은 다수 개로 구비되되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열 고정되는 고정 주스크린과, 상기 고정 주스크린의 각 사이 중앙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한 후 일 측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 주스크린의 후면에 배치되는 가변 주스크린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가변 주스크린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가변 주스크린을 선택적으로 후방이동시킨 후, 측방이동시켜 상기 고정 주스크린의 후면에 배치시키거나 상기 고정 주스크린의 사이 중앙의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가변유닛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objects is as follows. That is, the vibration damper having the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installed on both side walls of a water channel, a guide rail installed inside the frame, a pair of damper installed between the frames, A plurality of electric potential screens installed at a lower front end of the main screen for filtering contaminants passing between the main scree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channel, An endless chain for continuously rotating the rake provided on the both side guide rails, a drive shaft for rotating the spindle of the sprocket engaged with the endless chain, A driving motor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And a conveyor for collecting and transporting contaminants that have fallen into the main screen in one direction, the main screen having a plurality of main screens, the main screen having a fixed main screen And a variable main screen disposed at the center between the fixed main screen and movable rearward and then moved in one side direction to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main screen, Further comprising a variable unit for selectively moving the variable main screen backward and laterally moving the movable main screen to a rear surface of the fixed main screen or returning the movable main screen to its original center position between the fixed main screens.
여기서, 상기 고정 주스크린은 폭 방향 중앙을 관통하여 양단이 각각 상기 프레임 상에 너트로 고정되는 고정봉에 의해 상기 프레임 사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열고정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xed main screen is arranged and fix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frames by a fixing bar passing through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and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frame with a nut.
이때, 상기 가변 주스크린은 다수 개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열된 상태로 선택적으로 후방 또는 측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후면에 고정바가 밀착고정되는 한편, 상기 고정봉과 대응되어 상기 고정봉에 선택적으로 삽입고정되는 고정홈이 전단으로부터 후향 함몰 형성됨이 양호하다.At this time, the variable main screen is fixedly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so that the variable main screen can be selectively rearward or laterally moved in a state of being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variable main screen is selectively inserted and fix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xed ba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groove is formed backward from the front end.
더욱이, 상기 가변유닛은 상기 가변 주스크린의 고정바 후면 중앙에 단부가 고정되는 전후가변로드와 상기 전후가변로드를 선택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가변실린더로 이루어진 전후가변유닛과, 상기 전후가변유닛의 상기 전후가변로드와 직교하여 상기 전후가변로드와 단부가 고정되는 좌우가변로드와 상기 좌우가변로드를 선택적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가변실린더로 이루어진 좌우가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variable unit includes a front-rear variable rod whose end is fixed at the center of the rear side of the fixed bar of the variable main screen and a front-rear variable unit comprising a front-rear variable cylinder for selectively moving the front-rear variable ro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left and right variable rods being orthogonal to the front and rear variable rods and fixed to the front and rear variable rods and the ends, and left and right variable cylinders constituted of right and left variable cylinders for selectively moving the right and left variable ro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때, 상기 좌우가변로드는 단부가 상기 전후가변로드와 직교하여 고정되되, 상기 전후가변로드를 관통한 후 용접에 의해 고정됨이 양호하다.At this time, the left and right variable rods are fixed at their ends orthogonally to the front and rear variable rods, and are fixed by welding after passing through the front and rear variable rods.
또한, 상기 좌우가변로드는 단부가 상기 전후가변로드와 직교하여 고정되되, 상기 전후가변로드를 관통한 후 관통부분 양측에 너트가 체결되어 상기 너트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variable rods may be fixed at right angles to the front and rear variable rods, and the nuts may be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through portions after passing through the front and rear variable rods.
아울러, 상기 전후가변유닛은 상기 좌우가변로드에 대한 측방으로 이동시에 상기 전후가변실린더가 측방으로 일정길이 안내되도록 상기 전후가변실린더가 설치고정되는 전후가변설치대 상에 좌우안내가이드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좌우가변유닛은 상기 전후가변로드에 대한 후방으로 이동시에 상기 좌우가변실린더가 후방으로 일정길이 안내되도록 상기 좌우가변실린더가 설치고정되는 좌우가변설치대 상에 전후안내가이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ront and rear variable units are provided with right and left guide guides on the front and rear flexible mounts on which the front and rear variable cylinders are installed and fixed so that the front and rear variable cylinders are guided laterally by a predetermined length when the lateral variable guides are laterally moved relative to the left and right variable rods, The left and right variable cylinders are preferably provided with front and rear guide members on the left and right flexible mounting bases on which the left and right variable cylinders are installed and fix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variable cylinders are guided back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when the rear movable bodies are moved rearward relative to the front and rear variable rods.
본 발명에 따른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vibration damper having the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주스크린의 구조가 고정 주스크린과 고정 주스크린의 사이마다 고정 주스크린과 교번하여 배열되어 선택적으로 가변유닛에 의해 고정 주스크린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가변 이동되는 가변 주스크린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적용됨으로써 초기우수 또는 초기우수 이후의 수류에 순차적으로 떠내려오는 미세협잡물 및 거대협잡물과 같은 협잡물의 크기와 대응되어 가변 주스크린을 선택적으로 이동 및 복귀시켜 주스크린의 이웃하는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First, there is a constitution including a variable main screen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main screen is alternately arranged between the fixed main screen and the fixed main screen alternately with the fixed main screen and is variably shifted so as to be arranged behind the fixed main screen selectively by the variable uni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gap between adjacent screens of the main screen by selectively moving and returning the variable main screen in correspondence with the sizes of the contaminants such as fine contaminants and macro contaminants that sequentially flow into the stream after the initial storm or initial storm.
둘째, 주스크린의 구조가 고정 주스크린과 고정 주스크린의 사이마다 고정 주스크린과 교번하여 배열되어 선택적으로 가변유닛에 의해 고정 주스크린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가변 이동되는 가변 주스크린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적용되어 초기우수 또는 초기우수 이후의 수류에 순차적으로 떠내려오는 미세협잡물 및 거대협잡물과 같은 협잡물의 크기와 대응되어 가변 주스크린을 선택적으로 이동 및 복귀시켜 주스크린의 이웃하는 사이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주스크린의 이웃하는 사이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초기우수나 초기우수 이후에 순차적으로 각기 떠내려오는 미세협잡물 또는 거대협잡물의 협잡물에 대한 협잡물의 크기와 상관없이 협잡물 전체에 걸쳐 수거효율이 현저히 증대될 수 있다.
Secondly, the structure of the main screen includes a variable main screen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main screen is alternately arranged between the fixed main screen and the fixed main screen and alternately arranged by the variable unit to be arranged behind the fixed main screen To adjust the interval between adjacent screens of the main screen by selectively moving and returning the variable main screen in correspondence with the size of the contaminants such as fine contaminants and macro contaminants that sequentially flow to the stream after the initial storm or initial storm, The collection efficiency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he entire contaminants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contaminants in the contaminants of the fine contaminants or macro contaminants that sequentially drift after the initial excellent or the initial superior.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제진기를 보인 사시구성도.
도 2 는 종래기술에 따른 제진기를 보인 측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를 나타낸 측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에서 요부인 고정 주스크린과 가변 주스크린의 배열 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에서 요부인 가변 주스크린과 가변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의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나타낸 평면구성도.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의 주스크린 가변구조에 대한 가변 주스크린의 작동상태를 후방이동단계 및 측방이동단계의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에서 가변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평면구성도.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ior art vibration damper. FIG.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prior art damper.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bration damper having a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 vibration damper having a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main fixed screen and a variable main screen in a vibration damper having a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ariable main screen and a variable unit in a main part of a vibration damper having a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of a vibration damper having a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and FIG. 9 are operating stat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states of the variable main screen for the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of the vibration damper having the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s of the backward moving step and the side moving step.
10 is a plan view of a principal part of another embodiment of a variable unit in a vibration damper having a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vibration damper having a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를 나타낸 측면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에서 요부인 고정 주스크린과 가변 주스크린의 배열 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에서 요부인 가변 주스크린과 가변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ibration damper having a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vibration damper having a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vibration screen having a screen vari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fixed main screen and a variable main screen,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의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며, 도 8 및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의 주스크린 가변구조에 대한 가변 주스크린의 작동상태를 후방이동단계 및 측방이동단계의 단계별로 나타낸 작동상태구성도이다.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of a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and 9 are views showing a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of a vibration damper having a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states of the main screen in steps of a backward movement step and a lateral movement step; FIG.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에서 가변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평면구성도이다.10 is a plan view of a principal part of another embodiment of a variable unit in a vibration damper having a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 내지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100)는 프레임(110), 가이드레일(130), 다수의 주스크린(200), 다수의 전위스크린(400), 레이크(510), 에이프런(520), 엔드리스 체인(540), 구동모터(700) 및 컨베이어(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주스크린(200)은 다수 개로 구비되되 복수 개의 고정 주스크린(210)과 복수 개의 가변 주스크린(250)으로 구성되며, 가변유닛(300)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3 to 9, a
여기서, 상기 프레임(110)은 수로의 양측 벽면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30)은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 설치된다.Here, the
또한, 상기 주스크린(200)은 상기 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되며 수류와 함께 떠내려 오는 협잡물을 걸러내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구체적으로, 상기 주스크린(200)은 다수 개로 구비되되 상기 프레임(110)의 사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열 고정되는 상기 고정 주스크린(210)과, 상기 고정 주스크린(210)의 각 사이 중앙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한 후, 일 측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 주스크린(210)의 후면에 배치되는 상기 가변 주스크린(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다시 말하면, 상기 주스크린(200)의 구조는 상기 고정 주스크린(210)과 상기 고정 주스크린(210)의 사이마다 상기 고정 주스크린(210)과 교번하여 배열되어 선택적으로 상세하게 후술될 가변유닛(300)에 의해 상기 고정 주스크린(21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가변 이동되는 가변 주스크린(2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적용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structure of the
이를 통하여, 초기우수 또는 초기우수 이후의 수류에 순차적으로 떠내려오는 미세협잡물 및 거대협잡물과 같은 협잡물의 크기와 대응되어 상기 가변 주스크린(250)을 선택적으로 이동 및 복귀시켜 상기 주스크린(200)의 이웃하는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move and return the variable
따라서, 상기 주스크린(200)의 이웃하는 사이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초기우수나 초기우수 이후에 순차적으로 각기 떠내려오는 미세협잡물 또는 거대협잡물의 협잡물에 대한 협잡물의 크기와 상관없이 협잡물 전체에 걸쳐 수거효율이 현저히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arrange the interval between the neighboring screens of the
한편, 상기 다수의 전위스크린(400)은 상기 주스크린(200)의 전방 하단에 설치되어 주스크린(200)과 수로의 바닥면 사이로 통과하는 협잡물을 거르기 위한 것이다.The plurality of
또한, 상기 레이크(510)는 상기 전위스크린(400)과 주스크린(200)에 걸러진 협잡물을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며, 상기 에이프런(520)은 협잡물이 걸러진 상기 레이크(510)를 후방으로 안내하여 협잡물을 수거하기 위한 것이다.The
그리고, 상기 엔드리스 체인(540)은 상기 양측 가이드레일(130)에 설치되어 레이크(510)를 연속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또한, 상기 구동모터(700)는 상기 엔드리스 체인(540)과 치합되어 회전하는 스프로켓(600)의 회전축(62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며, 상기 컨베이어(800)는 상기 에이프런(520)의 후방으로 떨어진 협잡물을 일측 방향으로 수거하여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The driving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100)에서 상기 레이크(510)를 반복 순환하도록 하는 회전 구동을 위한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driving force for rotational driving for repeatedly circulating the
상기 구동모터(700)의 구동축(720)은 상기 스프로켓(60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62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회전축(620)을 연동 회전시키되, 상기 스프로켓(600)의 회전축(620) 일측에 구비된 연동풀리(640)와 상기 구동축(720) 일측에 구비된 구동풀리(660)가 연동벨트(680)로 연결되어 연동 회전되는 것이다.The driving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100)에서, 특히 상기 가변유닛(300)은 상기 가변 주스크린(250)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가변 주스크린(250)을 선택적으로 후방이동시킨 후, 측방이동시켜 상기 고정 주스크린(210)의 후면에 배치시키거나 상기 고정 주스크린(210)의 사이 중앙의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또한, 상기 고정 주스크린(210)은 폭 방향 중앙을 관통하여 양단이 각각 상기 프레임(110) 상에 너트(211)로 고정되는 고정봉(213)에 의해 상기 프레임(110) 사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열고정됨이 바람직한 것이다.The fixed
이때, 상기 가변 주스크린(250)은 다수 개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열된 상태로 선택적으로 후방 또는 측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후면에 고정바(251)가 밀착고정되는 한편, 상기 고정봉(213)과 대응되어 상기 고정봉(213)에 선택적으로 삽입고정되는 고정홈(253)이 전단으로부터 후향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variable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가변유닛(300)은 전후가변유닛(310)과, 좌우가변유닛(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urther, the
여기서, 상기 전후가변유닛(310)은 상기 가변 주스크린(250)의 고정바(251) 후면 중앙에 단부가 고정되는 전후가변로드(311)와 상기 전후가변로드(311)를 선택적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가변실린더(313)로 이루어진다.The front and rear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전후가변유닛(310)은 상기 좌우가변로드(321)에 대한 측방으로 이동시에 상기 전후가변실린더(313)가 측방으로 일정길이 안내되도록 상기 전후가변실린더(313)가 설치고정되는 전후가변설치대(330) 상에 좌우안내가이드(33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When the front and rear
또한, 상기 좌우가변유닛(320)은 상기 전후가변유닛(310)의 상기 전후가변로드(311)와 직교하여 상기 전후가변로드(311)와 단부가 고정되는 좌우가변로드(321)와 상기 좌우가변로드(321)를 선택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가변실린더(323)로 이루어진다.The left and right
상기와 같은 좌우가변유닛(320)은 상기 전후가변로드(311)에 대한 후방으로 이동시에 상기 좌우가변실린더(323)가 후방으로 일정길이 안내되도록 상기 좌우가변실린더(323)가 설치고정되는 좌우가변설치대(340) 상에 전후안내가이드(341)가 구비됨이 바람직한 것이다.The right and left
이때, 상기 좌우가변설치대(340)와 상기 전후가변설치대(330)는 메인설치대(미부호) 상에 설치고정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and right
더욱이, 상기와 같은 메인설치대(미부호)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저면 모소리 부분에 하향 일정길이 연장되는 지지대(미도시)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미도시)에 의해 수로의 바닥 등에 지지고정됨이 바람직한 것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ain installation stand (not shown) is provided with support rods (not shown) extending downward a certain length downward from the bottom roof sound installation portions. The support rods (not shown) It is preferable that it is supported and fixed.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변유닛(300)에서, 특히 상기 좌우가변로드(321)는 단부가 상기 전후가변로드(311)와 직교하여 고정되되, 상기 전후가변로드(311)를 관통한 후 용접에 의해 고정됨이 바람직한 것이다.In the
물론,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변유닛(300)에서 좌우가변로드(321)는 단부가 전후가변로드(311)와 직교하여 고정되되, 상기 전후가변로드(311)를 관통한 후 관통부분 양측에 너트(321a)가 체결되어 상기 너트(321a)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는 것이다.10, the left and right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100)에 의하면, 상기 주스크린(200)의 구조가 상기 고정 주스크린(210)과 상기 고정 주스크린(210)의 사이마다 상기 고정 주스크린(210)과 교번하여 배열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가변유닛(300)에 의해 상기 고정 주스크린(21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가변 이동되는 가변 주스크린(2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적용됨으로써 초기우수 또는 초기우수 이후의 수류에 순차적으로 떠내려오는 미세협잡물 및 거대협잡물과 같은 협잡물의 크기와 대응되어 상기 가변 주스크린(250)을 선택적으로 이동 및 복귀시켜 상기 주스크린(200)의 이웃하는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아울러, 상기 주스크린(200)의 구조가 상기 고정 주스크린(210)과 상기 고정 주스크린(210)의 사이마다 상기 고정 주스크린(210)과 교번하여 배열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가변유닛(300)에 의해 상기 고정 주스크린(21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가변 이동되는 가변 주스크린(25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적용되어 상기 주스크린(200)의 이웃하는 사이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초기우수나 초기우수 이후에 순차적으로 각기 떠내려오는 미세협잡물 또는 거대협잡물의 협잡물에 대한 협잡물의 크기와 상관없이 협잡물 전체에 걸쳐 수거효율이 현저히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The structure of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제진기
110: 프레임 130: 가이드레일
200: 주스크린 210: 고정 주스크린
211: 너트 213: 고정봉
250: 가변 주스크린 251: 고정바
253: 고정홈 300: 가변유닛
310: 전후가변유닛 311: 전후가변로드
313: 전후가변실린더 320: 좌우가변유닛
321: 좌우가변로드 321a: 너트
323: 좌우가변실린더 330: 전후가변설치대
331: 좌우안내가이드 340: 좌우가변설치대
341: 전후안내가이드 400: 전위스크린
510: 레이크 520: 에이프런
540: 엔드리스 체인 600: 스프로켓
620: 회전축 640: 연동풀리
660: 구동풀리 680: 연동벨트
700: 구동모터 720: 구동축
800: 컨베이어100:
110: frame 130: guide rail
200: main screen 210: fixed main screen
211: Nut 213: Fixing rod
250: variable main screen 251: fixed bar
253: Fixing groove 300: Variable unit
310: front and rear variable unit 311: front and rear variable rod
313: front and rear variable cylinder 320: left and right variable unit
321: right and left
323: right and left variable cylinders 330: front and rear variable mounts
331: right and left guiding guide 340: left and right variable mounting base
341: front and rear guide guide 400: dislocation screen
510: Lake 520: Apron
540: Endless chain 600: Sprocket
620: rotating shaft 640: interlocking pulley
660: Driving pulley 680: Interlocking belt
700: drive motor 720: drive shaft
800: Conveyor
Claims (7)
상기 고정 주스크린(210)은 폭 방향 중앙을 관통하여 양단이 각각 상기 프레임(110) 상에 너트(211)로 고정되는 고정봉(213)에 의해 상기 프레임(110) 사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열고정되고, 상기 가변 주스크린(250)은 다수 개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배열된 상태로 선택적으로 후방 또는 측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후면에 고정바(251)가 밀착고정되는 한편, 상기 고정봉(213)과 대응되어 상기 고정봉(213)에 선택적으로 삽입고정되는 고정홈(253)이 전단으로부터 후향 함몰 형성되며, 상기 가변유닛(300)은 상기 가변 주스크린(250)의 고정바(251) 후면 중앙에 단부가 고정되는 전후가변로드(311)와 상기 전후가변로드(311)를 선택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후가변실린더(313)로 이루어진 전후가변유닛(310)과, 상기 전후가변유닛(310)의 상기 전후가변로드(311)와 직교하여 상기 전후가변로드(311)와 단부가 고정되는 좌우가변로드(321)와 상기 좌우가변로드(321)를 선택적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좌우가변실린더(323)로 이루어진 좌우가변유닛(3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후가변유닛(310)은 상기 좌우가변로드(321)에 대한 측방으로 이동시에 상기 전후가변실린더(313)가 측방으로 일정길이 안내되도록 상기 전후가변실린더(313)가 설치고정되는 전후가변설치대(330) 상에 좌우안내가이드(331)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좌우가변유닛(320)은 상기 전후가변로드(311)에 대한 후방으로 이동시에 상기 좌우가변실린더(323)가 후방으로 일정길이 안내되도록 상기 좌우가변실린더(323)가 설치고정되는 좌우가변설치대(340) 상에 전후안내가이드(341)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
A frame 110 installed on both side walls of the water channel, a guide rail 130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frame 110, and a plurality of main windings 130 installed between the frames 110 for filtering the contaminants, A plurality of electric potential screen 400 installed at a lower front end of the main screen 200 to filter contaminants passing between the main screen 2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channel, An apron 520 for guiding rearward the raked rake 510 and collecting contaminants, a rake 510 for transporting the impurities filtered on the screen 200 in one direction, An endless chain 540 for continuously rotating the rake 510 and a drive motor 700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rotary shaft 620 of the sprocket 600 rotating in engagement with the endless chain 540, 520) And a conveyor (800) for collecting and transporting contaminants that have fallen into the room in one direction, wherein the main screen (200) includes a plurality of main screens (200) and a fixed main screen A variable main screen 250 disposed at the center between the respective sides of the fixed main screen 210 and selectively moved backward and laterally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main screen 210; While being disposed behind the variable main screen 250 to selectively move the variable main screen 250 rearward and laterally move it to the rear of the fixed main screen 210, A vibration damper (100) having a main screen variable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variable unit (300) for returning to a home position in the center between screens (210)
The fixed main screen 210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frames 110 by a fixing rod 213 passing through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and having both ends fixed to the frame 110 with nuts 211, The fixed bar 251 is fixedly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variable main screen 250 so that the variable main screen 250 can be selectively rearwardly or laterally moved in a state of being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fixing groove 253 selectively inserted and fixed in the fixing rod 213 is formed in a rearwardly facing depression from the front end of the fixing bar 251 of the variable main screen 250, And a front and rear variable cylinder 313 for selectively moving the front and rear variable rods 31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front and rear variable rods 311 and the front and rear variable rods 311, The front and rear variable rods 311, Left and right variable rods 321 for fixing the front and rear variable rods 311 and the ends thereof and left and right variable cylinders 323 for selectively moving the left and right variable rods 32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front and rear variable cylinders 313 are fixedly installed so that the front and rear variable cylinders 313 are laterally guided for a predetermined length when the lateral variable rods 321 are laterally moved relative to the left and right variable rods 321, The right and left guide cylinders 331 ar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variable mounting base 330 and the left and right variable cylinders 323 ar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and rear variable rods 311, Wherein the front and rear guide guides (341)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variable mounting brackets (340) on which the left and right variable cylinders (323) are installed and fixed so as to be gui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좌우가변로드(321)는 단부가 상기 전후가변로드(311)와 직교하여 고정되되, 상기 전후가변로드(311)를 관통한 후 용접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ft and right variable rods (321) are fixed at an end orthogonal to the front and rear variable rods (311), and are fixed by welding after passing through the front and rear variable rods (311).
상기 좌우가변로드(321)는 단부가 상기 전후가변로드(311)와 직교하여 고정되되, 상기 전후가변로드(311)를 관통한 후 관통부분 양측에 너트(321a)가 체결되어 상기 너트(321a)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스크린 가변구조를 갖는 제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ft and right variable rods 321 are fixed at right angles to the front and rear variable rods 311. The right and left variable rods 321 pass through the front and rear variable rods 311 and then the nuts 321a are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through portions, Wherein the main screen has a variable struc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3496A KR101575784B1 (en) | 2014-01-10 | 2014-01-10 | Floating waste removal machine having variable main-screen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3496A KR101575784B1 (en) | 2014-01-10 | 2014-01-10 | Floating waste removal machine having variable main-screen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83668A KR20150083668A (en) | 2015-07-20 |
KR101575784B1 true KR101575784B1 (en) | 2015-12-08 |
Family
ID=53873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3496A KR101575784B1 (en) | 2014-01-10 | 2014-01-10 | Floating waste removal machine having variable main-screen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578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0969A (en) * | 2016-10-13 | 2018-04-23 | 황명회 | Dust removing machine with open and close screen |
KR102243084B1 (en) | 2021-01-02 | 2021-04-22 | 성도메카텍(주) | Dust removing machin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79648A (en) * | 2000-03-30 | 2001-10-10 | Yamanashi Prefecture | Screen device of water intake port |
JP2002356832A (en) | 2001-06-04 | 2002-12-13 | Chubu Electric Power Co Inc | Bar screen device |
KR200351873Y1 (en) * | 2004-02-17 | 2004-06-01 | 황명회 | Floating waste removal machine having auxiliary screen |
JP2009243263A (en) * | 2009-07-29 | 2009-10-22 | Maezawa Ind Inc | Scale spacing adjusting bar screen, and drainage pump protective system having scale spacing adjusting bar screen |
-
2014
- 2014-01-10 KR KR1020140003496A patent/KR10157578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79648A (en) * | 2000-03-30 | 2001-10-10 | Yamanashi Prefecture | Screen device of water intake port |
JP2002356832A (en) | 2001-06-04 | 2002-12-13 | Chubu Electric Power Co Inc | Bar screen device |
KR200351873Y1 (en) * | 2004-02-17 | 2004-06-01 | 황명회 | Floating waste removal machine having auxiliary screen |
JP2009243263A (en) * | 2009-07-29 | 2009-10-22 | Maezawa Ind Inc | Scale spacing adjusting bar screen, and drainage pump protective system having scale spacing adjusting bar scre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0969A (en) * | 2016-10-13 | 2018-04-23 | 황명회 | Dust removing machine with open and close screen |
KR101962440B1 (en) | 2016-10-13 | 2019-03-26 | 황명회 | Dust removing machine with open and close screen |
KR102243084B1 (en) | 2021-01-02 | 2021-04-22 | 성도메카텍(주) | Dust removing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83668A (en) | 2015-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42238B1 (en) | Floating waste removal machine | |
KR20160040916A (en) | Dust removing machine with improved rake | |
KR100987812B1 (en) | dust removing machine for sewage and draining disposal | |
KR101084319B1 (en) | Remaining rubbish removal apparatus of floating waste removal machine | |
KR101666028B1 (en) | Rotary type screen | |
KR101408394B1 (en) | Pull-up screen type of dust removing machine with separable screen by the upper and lower sides | |
KR101752106B1 (en) | Pulling up screen type ratary dust removing machine with double rake | |
KR101738838B1 (en) |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having blocking screen for gap | |
KR100944815B1 (en) | dust removing machine for sewage and draining disposal | |
KR101575784B1 (en) | Floating waste removal machine having variable main-screen structure | |
KR100893393B1 (en) | Dust removing machine for sewage and draining disposal | |
CN210367032U (en) | Prevent blockking up cascaded grid de-dirt machine | |
KR101969529B1 (en) | Floating waste removal machine having structure for reducing rotation radius of rake plate | |
KR101735693B1 (en) | Rotary type scraper for prevent of neck clog | |
KR101331968B1 (en) | A rotary screen which is possessed of a cutting apparatus | |
KR101406712B1 (en) | Apparatus with double screen for removing trash | |
KR102243084B1 (en) | Dust removing machine | |
KR101421280B1 (en) | Floating waste removal machine with remaining rubbish crushing apparatus | |
KR101887831B1 (en) | Stepwise filter equipped with structure of preventing contaminant sedimentation | |
KR101973628B1 (en) | Wider channel type dust separator | |
KR101330187B1 (en) | Rotary type dust removing apparatus | |
KR101254694B1 (en) | Dust removing machine | |
KR101731933B1 (en) |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adulteration escape | |
KR20020092765A (en) |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 |
KR101044248B1 (en) | A rotational plate type screen for water-treat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