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273B1 - System for recovering bullet warheads at indoor shooting ranges for firing with live ammunition - Google Patents

System for recovering bullet warheads at indoor shooting ranges for firing with live ammun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273B1
KR101575273B1 KR1020150033777A KR20150033777A KR101575273B1 KR 101575273 B1 KR101575273 B1 KR 101575273B1 KR 1020150033777 A KR1020150033777 A KR 1020150033777A KR 20150033777 A KR20150033777 A KR 20150033777A KR 101575273 B1 KR101575273 B1 KR 101575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head
rubber
filler
bulle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7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휘중
강민아
김선구
김선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김휘중
강민아
김선구
김선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김휘중, 강민아, 김선구, 김선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Priority to KR1020150033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2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2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3/00Bullet catc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1/00Target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0Projectiles or missi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mmunition class or type, e.g. by the launching apparatus or weapon used
    • F42B30/04Rifle grenades
    • F42B30/06Bullet traps or bullet decelerat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to recover bullets at an indoor shooting range, comprising: a gun firing position (5); a target plate (70); a bullet collecting device (10); a filler replacing device (10); and a recovering device (40). The gun firing position (5) allows a bullet (6b) to be fired from a gun (6a) with live ammunition. The target plate (7) is installed and spaced from the gun firing position (5) at a first distance, and has a target displayed on or attached to the target plate (7). The bullet collecting device (10) is positioned on a rear side of the target plate (7), including a plurality of impact absorbing members made of rubber materials to collect the bullet (6b) after being fired from the gun (6a), and has an interior space filled with fillers (13)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a diameter of 0.1-3 mm. The filler replacing device (20) transfers the bullet (6b) collected by the bullet collecting device (10) together with the rubber fillers (13) to the bullet recovering device (40). The recovering device (40) separates the bullet (6b) and the rubber fillers (13) transferred through the filler replacing device (20) from each other to recover the bullet (6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ubber fillers, which consist of microparticles made of a rubber material with heat resistance and fire resistance and include no lead element, are used as an impact absorbing material such that a bullet can safely be recovered in its nearly original shape. A carrying out/in-automated facility using a vacuum pump and an air blower is used to separate the bullet warhead and restore the fillers to their original state.

Description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System for recovering bullet warheads at indoor shooting ranges for firing with live ammunition}{System for recovering bullet warheads at indoor shooting ranges for firing with live ammunition}

본 발명은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군부대 및 경찰청 소속의 실내 실탄 사격장들에서 실탄을 사용하여 사격훈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산발되는 탄두들을 모두 안전하게 포집하여 탄두만을 분리해서 회수할 수 있도록 하고, 탄두를 포집하는데 있어서는 납 성분이 전혀 포함되지 않고 내열성 및 내화성을 가진 고무 재질의 미세 입자들로 이루어진 고무 충전재를 충격흡수재로 사용함으로써 탄두가 파쇄됨이 없이 원형에 가까운 상태로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며, 진공펌프와 에어 블로어를 이용한 반출, 반입 설비를 이용해서 탄두의 분리와 충전재를 원상태로 복구하는 작업을 자동설비에 의해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lvage recovery system for an indoor chamber shot range,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salvage recovery system of an indoor chamber shot rang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ollecting the warhead, it is possible to safely recover the bullet close to the circular shape without crushing by using the rubber filler made of the rubber particles made of the rubber material having the heat resistance and the refractory property as the shock absorber. This system is designed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the warhead by using the vacuum pump and air blower and the recovery of the filler by the automatic equipment. will be.

업무의 특성상 소총, 권총 등과 같은 총기를 취급하는 군부대나 경찰 등에서는 유사시 필요한 사격능력을 배양하고 전투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이들 개인화기의 사격훈련을 꾸준히 실시해 오고 있다. 이들 개인화기를 이용한 사격훈련은 실내 또는 야외의 영점사격장과 실거리 사격장에서 주로 실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실탄사격장에서 발사된 탄두에 포함된 중금속이 주변 환경을 심각하게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어서 탄두의 처리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Due to the nature of work, military personnel and police officers handling firearms such as rifles and pistols have been conducting fire drills for these personal firearms in order to cultivate the necessary fire capability in case of emergency and to maintain their combat power. These personalized fire drills are mainly carried out at indoor and outdoor zero and range shooting ranges. Heavy metals contained in warheads launched from such a range of shotguns cause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I was having a lot of difficulties.

우선 군부대의 경우에는 M16, K1 등의 소총으로 사격할 경우 주로 실내 실탄사격장을 이용하는데, 대한민국 육군에만도 약 240여개의 실내 실탄사격장이 설치되어 있으나, 최근 사격장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탄두에서 비산되어 발생하는 납 등 중금속 성분들의 오염으로 인한 사격장 인근 주민들의 민원제기와 환경보호단체들의 문제 제기로 인해 거의 대부분의 실내 실탄 사격장들이 폐쇄되어서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First, in the case of military units, M16, K1 and other rifles mainly use indoor chamber shooting ranges. There are about 240 indoor chamber shooting ranges only in ROK Army, but they are scattered from noise and warheads Due to the pollution of heavy metal components such as lead, complaints from residents near the shooting range,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groups' problems, most of the indoor shooting ranges are closed.

실제로 군에서 운영하는 실내 실탄사격장의 경우 권총, 소총 등의 총기에서 발사된 탄두가 표적지 부근의 벽면과 시설물에 부딪쳐 큰 소음과 분진 등을 발생하고, 특히 벽면과의 충격으로 으깨진 탄두에서 중금속 성분이 비산하여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등의 각종 문제가 제기되었다. 그리고 실내 사격장의 경우에는 탄두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폐타이어나 타이어 칩을 표적지 뒤에 두기도 하지만, 탄두와의 충돌로 폐타이어에 포함된 납, 카드뮴 등의 중금속 성분이 분진으로 공기 중에 비산되게 되므로 오히려 실내공기 오염을 더 높이는 단점이 있었다. Indeed, in the case of an indoor chamber shooting range operated by the military, the warhead fired from a gun such as a pistol or a rifle strikes against walls and facilities near the target area, causing a large noise and dust. In particular, Thereby causing various problems such as polluting indoor air. In the case of an indoor shooting range, a waste tire or a tire chip may be placed behind the target in order to absorb the impact of the warhead, but heavy metal components such as lead and cadmium contained in the waste tire are scattered in the air due to collision with the warhead Rather, indoor air pollution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higher.

이처럼 실내 사격장에서 실탄의 탄두가 주변의 콘크리트 방호벽이나 시설물에 그대로 맞아 깨지고 비산됨으로써 탄두에 포함된 납 등의 중금속 성분들이 공기와 토양 속으로 그대로 축적되어 공기, 토양 및 수질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으며, 최근의 조사에 따르면 군부대의 실탄사격장 인근의 토양에서 납 성분이 기준치의 1200배까지 더 많이 검출된 사례도 있었다. In this way, the bullet of the bullet in the indoor shooting range collapsed and collapsed into the surrounding concrete wall or facilities, and the heavy metals such as lead contained in the bullet were accumulated in the air and the soil to contaminate air, soil and water quality. Recent studies have found that the lead content in the soil near the military site of a military unit is more than 1,200 time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그리고 경찰에서 운영하는 실내 실탄 사격장과 일부 상업적 실내 사격장 시설들의 경우에도 환경오염과 주민들의 민원제기라는 동일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서, 국내의 실내 실탄 사격장들이 그 목적에 맞게 제대로 운영되기 어려운 상황에 봉착되어 있었다. In addition, the sam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omplaints of the residents is raised in the case of the indoor and outdoor shooting ranges operated by the police and some commercial indoor shooting range facilities, and it is difficult for domestic indoor shooting ranges to be operated properly for the purpose there was.

또한, 이와 같이 군과 경찰에서 운영하는 실내 실탄사격장의 경우 환경오염의 문제뿐만 아니라 탄두가 으깨어져 버리거나 또는 땅에 박혀 회수 불가능한 상태로 방치됨으로써 귀중한 자원이 재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미 2010년에 '사격장 및 영점사격장용 탄두회수장치'를 발명하고 특허출원 제10-2010-0132832호로서 출원을 한 바 있으며, 이후 이 출원은 특허 제1262298호로서 특허 등록되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indoor chamber shooting range operated by the military and the pol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aluable resources can not be recycled due to the environmental pollution, the warhead being broken, The inventor has already invented the "gunshot recovery device for shooting range and zero shooting range" in 2010 and filed it as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132832, and this application was later patented as patent No. 1262298.

상기 특허 제1262298호의 탄수회수기의 발명에 의해서 사격장들에서 탄두를 손상없이 포집하는 일은 성공적이었으나, 탄수회수함 안에 포집된 탄두들을 충격흡수용 내부충진물들로부터 신속하게 분리해서 회수하는 일은 꽤 번거롭고 수고가 많이 드는 일이었다. 그리고 사격장에서 실제로 사격을 하다보면 표적지를 훨씬 벗어난 곳에 탄두가 박히는 일도 허다하게 많아서 소형의 탄두회수함만으로는 모든 탄두들을 안전하게 회수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The invention of the above-mentioned patent 1262298 allows the capture of the warheads at the shooting ranges without any damage, but it is quite cumbersome to collect and retrieve the warheads caught in the cargo returning containers from the shock absorbing inner packings quickly It was a lot of work. There was also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retrieve all warheads safely with only a small salvage box because there were so many bullet holes in the area far from the target when shooting in the shooting range.

따라서 이러한 소형의 탄두회수함 대신에 실내 실탄 사격장 자체에 탄두를 포집할 수 있는 대형의 새로운 특수 설비를 마련하고, 이 탄두 포집설비에 의해 포집된 탄두들을 자동화된 분리 회수 시스템을 이용해서 손쉽게 탄두 분리 회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타입의 탄두 회수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Therefore, instead of such a small salvage tank, a large new special facility capable of collecting the salvage in the indoor shotgun range itself can be provided, and the warheads collected by this salvage facility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warhead by an automated separation and recovery system There was a need to develop a new type of gunshot recovery system that would allow recovery operations to be carried out.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군부대 및 경찰에서 운영하는 실내 실탄 사격장들에서 실탄을 사용하여 사격훈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산발되는 탄두들을 모두 안전하게 포집하여 탄두만을 분리해서 회수할 수 있도록 하고, 탄두를 포집하는데 있어서는 납 성분이 전혀 포함되지 않고 내열성 및 내화성을 가진 고무 재질의 미세 입자들로 이루어진 고무 충전재를 충격흡수재로 사용함으로써 탄두가 파쇄됨이 없이 원형에 가까운 상태로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실내 실탄 사격장을 위한 전혀 획기적인 새로운 방식의 탄두 회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 by collecting safely all the warheads in the course of performing the shooting training using the bullet in the indoor and outdoor shooting range operated by the military unit and the police, In collecting the warhead, a rubber filler made of rubber particles of heat-resistant and refractory rubber material is used as a shock absorber, so that the warhead can be recovered safely in a state close to a circular shape without being broken It is aimed to provide a completely new and innovative method for the salvage recovery system for indoor chamber shooting range.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진공펌프와 에어 블로어를 이용한 자동화된 반출, 반입 설비를 이용해서 탄두의 분리와 고무 충전재의 원상 복구 작업을 자동설비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using an automatic venting and taking-in facility using a vacuum pump and an air blower to separate the warhead and to restore the original state of the rubber filling material,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hothole recovery system of a shooting ran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은, 실내 실탄사격장(1)에 있어서 실탄을 사용하는 총기(6a)로부터 탄두(6b)를 발사하는 총기 발사위치(5); 상기 총기 발사 위치(5)로부터 제1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며, 표적이 표시 또는 부착 설치된 표적판(7); 상기 표적판(7)의 후방에 위치하며,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충격 흡수부재들을 포함하여 상기 총기(6a)에 의해 발사되어 비행한 탄두(6b)를 포집하되, 그 내부공간은 직경이 0.1~3㎜인 고무 재질의 충전재들(13)로 채워진 탄두 포집장치(10); 상기 탄두 포집장치(10)에서 포집한 탄두(6b)를 고무 충전재(13)와 함께 탄두 분리 회수장치(40)로 이송하는 충전재 교체장치(20); 및 상기 충전재 교체장치(20)를 통하여 전달받은 탄두(6b) 및 고무 충전재(13)를 서로 분리하여 탄두(6b)를 회수하는 탄두 분리 회수장치(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mpty chamber retrieval system of a room temperature range, comprising a firearm position (5) for emitting a warhead (6b) from a firearm (6a) ; A target plate (7) spaced a first distance from the gun firing position (5) and having a target displayed or attached thereto; A plurality of impact absorbing members located behind the target plate 7 and containing a plurality of impact absorbing members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collecting the warhead 6b fired by the firearm 6a and having a diameter of 0.1 A warhead collecting device 10 filled with fillers 13 of rubber material of ~ 3 mm; A filling material replacing device 20 for transferring the warhead 6b collected in the warhead collecting device 10 to the bulle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40 together with the rubber filling material 13; And a bulle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40 for separating the bullet 6b and the rubber filling material 13 transferred through the filler replacing device 20 and collecting the bullet 6b.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의 탄두 포집장치(10)는, 상기 표적판(7)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실내 실탄사격장(1)의 뒤쪽 벽체(3)까지의 공간 안에 위치하며, 상면이 경사진 형태로 표적판(7) 쪽을 향하도록 하고, 후면은 실내 실탄사격장(1)의 뒤쪽 벽체(3)에 접함으로써, 그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단면 구조가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단면 구조를 갖고, 내부에는 고무 재질의 충전재들(13)이 채워진 탄두 포집공간(10a);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 안에 쌓인 고무 충전재들(13)의 위를 덮는 고무매트(12); 및 서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고무매트(12) 위에 설치되어서 고무매트(12)를 덮는 복수 개의 고무블록들(11);을 포함하며, 상기 고무매트(12)는 3~30㎜의 두께를 갖고, 상기 고무블록들(11)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평면 모양을 가지고 두께가 30~150㎜이며 상기 평면 모양에 있어서의 한 변의 길이가 200~7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of a salvage collecting system of an indoor room of a commercial artillery range is provided with a rear wall (3) of the indoor chamber shot range (1) from the rear of the target plate (7) And the rear fac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ar wall 3 of the indoor chamber shooting range 1 so as to exte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warhead collecting space 10a having a triang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as a whole and filled with fillers 13 made of rubber; A rubber mat (12) covering the top of the rubber fillers (13) stacked in the warhead capture space (10a); And a plurality of rubber blocks (11) mounted on the rubber mat (12) in such a manner that they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cover the rubber mat (12), the rubber mat (12) having a thickness of 3 to 30 mm , The rubber blocks 11 have a planar shape selected from a triangle, a rectangle, a pentagon, a hexagon, and an octagon and have a thickness of 30 to 150 mm and a length of one side of the planar shape of 200 to 700 mm .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의 탄두 포집장치(10)는,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의 상단에 설치된 살수관(14); 상기 살수관(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살수관(14)의 둘레를 감쌈으로써 상기 총기(6a)에서 발사된 탄두(6b)에 의해 상기 살수관(14)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케이스(14a); 상기 살수관(14)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 상기 급수수단과 상기 살수관(14) 간의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에 의해서 개방 또는 폐쇄되는 솔레노이드 밸브(140);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의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센서(16); 상기 화재감지센서(16) 및 솔레노이드 밸브(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화재감지센서(16)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의해서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 안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40)에 개방 제어신호를 출력해서 살수관(14)으로부터 물이 방출되도록 하는 제어부(15); 및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의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살수관(14)으로부터 방출된 물을 모아서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of a salvage collecting system of an indoor chamber discharge range, comprising: a water spray pipe (14)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warhead collecting space (10a); And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 spray pipe 14 and covers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spray pipe 14 to protect the water spray pipe 14 from breakage by the warhead 6b fired by the firearm 6a A protective case 14a;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pray pipe (14); A solenoid valve 140 install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water supply means and the water spray pipe 14 and opened or closed by an electrical signal; At least one fire detection sensor 16 installed inside the warhead capture space 10a; When a fire is detected in the warhead trapping space 10a by a signal received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16, the solenoid valve 1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e detection sensor 16 and the solenoid valve 140, A control unit 15 for outputting an open control signal to discharge water from the water spray pipe 14; And draining mean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warhead capturing space 10a for collect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pray pipe 14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은, 충전재 교체장치(20)가, 상기 탄두 포집장치(10)와 상기 탄두 분리 회수장치(40) 간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고무 충전재(13)의 이송 통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충전재 이송호스(23); 및 상기 충전재 이송호스(23)의 배치 형태 및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호스 위치 가변수단;를 포함하며, 상기 호스 위치 가변 수단은, 상기 탄두 포집장치(10)가 설치된 영역의 상방에서 실내 실탄사격장(1)의 천장(2)에 고정되며, 상기 탄두 포집장치(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배치된 제1레일수단(21); 상기 제1레일수단(21)에 결합되어 상기 제1레일수단(21)을 따라서 주행 가능한 캐리어(21a); 상기 캐리어(21a)에 결합되어 상기 제1레일수단(21)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1레일수단(2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2레일수단(22); 및 상기 제2레일수단(22)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2레일수단(22)을 따라 주행 가능하며, 권양기(22c)에 의해 로프(22b)를 감아올리거나 풀어서 내릴 수 있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호이스트(hoist, 22a);를 포함하며, 상기 권양기(22c)에 연결된 로프(22b)에는 상기 충전재 이송호스(23)의 일부가 매달림으로써, 상기 충전재 이송호스(23)는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의 상방에서 공중에 떠진 상태로 지지되고, 상기 캐리어(21a) 및 호이스트(22a)는 리모콘(15a)에 의해 원격 운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llet recovery system for indoor chamber shot range, wherein a filler replacement device (20) is disposed between the bullet trapping apparatus (10) and the bullet separating / collecting apparatus A filler transfer hose 23 which can be used as a transfer passage of the rubber filler 13; And a hose position varying means capable of varying the arrangement and position of the filler conveying hose (23), wherein the hose position varying means comprises a hood position varying means (21) fixed to the ceiling (2) of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 and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A carrier (21a) coupled to the first rail means (21) and capable of traveling along the first rail means (21); Second rail means (22) coupled to the carrier (21a) and positioned below the first rail means (21) and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rail means (21); And at least one hoist which is coupled to the second rail means and which is capable of traveling along the second rail means and which can be lifted or lowered by the hoist 22c, a part of the filler conveying hose 23 is hung in a rope 22b connected to the winch 22c so that the filler conveying hose 23 is guided to the warhead collecting space 10a, And the carrier 21a and the hoist 22a can be remotely operated by the remote controller 15a.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의 탄두 분리 회수장치(40)는, 탄두 포집장치(10)와 상기 탄두 분리 회수장치(40) 간을 서로 연결하는 충전재 이송호스(23)에 음압(陰壓)을 걸어서,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 안의 고무 충전재(13)를 상기 충전재 이송호스(23) 안으로 빨아들이고, 이어 상기 충전재 이송호스(23)를 따라 탄두 분리 회수 장치(40) 쪽으로 이동되게끔 하는 진공펌프(43);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 내의 고무 충전재(13) 및 포집된 탄두들(6b)을 상기 충전재 이송호스(23)를 통해서 전달받아 탄두(6b)를 분리하고 고무 충전재(13)는 그대로 통과시키는 탄두분리기(41); 상기 탄두분리기(41)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고무 충전재(13)를 골라내고 공기만을 통과시키는 충전재 거름부(42); 상기 탄두분리기(41)에 의해서 분리된 탄두들을 보관하는 탄두 저장탱크(41c); 및 상기 충전재 거름부(42)에 의해서 걸러진 고무 충전재(13)를 보관하는 충전재 저장호퍼(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lle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40) of a salvage collecting system of indoor chamber shot range, comprising: a filler collecting and collecting device (10) A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transfer hose 23 so that the rubber filler 13 in the warhead accommodation space 10a is sucked into the filler transfer hose 23 and then along the filler transfer hose 23, A vacuum pump 43 for moving the vacuum pump 43 toward the separation / recovery device 40; The rubber filling material 13 in the warhead collecting space 10a and the collected warheads 6b are received through the filling material transfer hose 23 to separate the warhead 6b and the warp- A separator 41; A filler pouring portion 42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bullet separator 41 to extract the rubber filler 13 and to allow only air to pass therethrough; A warhead storage tank 41c for storing the warheads separated by the warhead separator 41; And a filler storage hopper (45) for storing the rubber filler (13) filtered by the filler filter (42).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은 군부대 및 경찰에서 운영하는 실내 실탄 사격장들에서 실탄을 사용하여 사격훈련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산발되는 탄두들을 모두 안전하게 포집하여 탄두만을 분리해서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탄두를 포집하는데 있어서는 납 성분이 전혀 포함되지 않고 내열성 및 내화성을 가진 고무 재질의 미세 입자들로 이루어진 고무 충전재를 충격흡수재로 사용함으로써 탄두가 파쇄됨이 없이 원형에 가까운 상태로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하여 환경보호와 자원재활용의 효과를 거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salvage collecting system of the indoor chamber shot range can safely collect all the warheads collected during the shooting training using the bullet in the indoor chamber shot range operated by the military unit and the police, so that only the warhead can be separated and recovered In particular, when collecting the warhead, it is possible to use a rubber filler made of fine particles of a rubber material having heat resistance and refractory property as a shock absorber without any lead component, so that the warhead is close to a circle And it is advantageous to protect the environment and recycle resources by making it possible to recover it safely.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은 실내 사격장과 별도로 탄두 분리 회수 장치를 설치하거나 또는 이동식 차량에 탑재하는 형식으로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진공펌프와 에어 블로어를 이용한 자동화된 반출, 반입 설비를 이용해서 탄두의 분리와 고무 충전재의 원상 복구 작업을 자동화된 방식으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The salvage collecting system of indoor chamber shot r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the form of a salvage collecting / collecting device separate from the indoor shooting range or mounted on a movable vehicle, so that an automated exporting and importing facility using a vacuum pump and an air blower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eparation of the warhead and the restoration of the rubber filler can be carried out conveniently in an automated manner.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1)의 탄두 회수 시스템(100)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발사위치(5)로부터 표적판(7) 및 탄두 포집장치(10)에 이르기까지의 구간을 단면도 형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실내 실탄사격장(1)의 평면도이다.
도3 및 도4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실내 실탄사격장(1)에 있어서 탄두 포집장치(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에 있어서 탄두 포집장치(10) 안에서 탄두의 충격에 따른 마찰열에 의해 화재(19)가 발생한 경우 살수관(14)에서 물(W)을 신속히 방출하여 소화하는 장면을 도시하는데, 이 중 도5는 탄두 포집장치의 탄두 포집공간(10a) 안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살수관(14)에서 물(W)을 방출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6은 살수관(14)에서 방출한 물(W)에 의해 화재가 소화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에 있어서 탄두 포집장치(1)의 고무 충전재들(13) 사이에 탄두들(6b)이 다수 박혀서 포집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에 있어서 탄두(6b)를 회수하기 위한 1차 작업단계로서 탄두 포집공간(10a)안의 고무 충전재들(13)과 탄두(6b)들을 충전재 이송호스(23)를 이용해서 탄두 분리 회수 장치(40)로 이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며, 이와 함께 2차 작업단계로서 탄두 분리 회수장치(40)에서 고무 충전재들로부터 탄두를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의 평면 구조도로서, 탄두 포집장치(10)의 상방에 설치된 충전재 교체장치(20)의 평면 배치구조를 도시함과 아울러 상기 탄두 포집장치(10)와 탄두 분리 회수 장치(40)간이 충전재 이송호스(23)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에 있어서 탄두(6b)를 모두 분리해 낸 고무 충전재들(13)을 다시 충전재 이송호스(23)를 이용하여 탄두 포집장치(10)로 돌려보내서 탄두 포집공간(10a)을 원래대로 채워 넣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탄두 포집장치(10)의 탄두 포집공간(10a) 안에 화재감지센서(16)와 살수관(14)이 추가로 설치되어 탄두 포집공간(10a)안에서의 화재 발생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도시한다.
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salvage collecting system 100 of an indoor chamber shot rang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lvage collecting system 1 includes a target plate 7 and a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In the form of a sectional view.
2 is a plan view of the indoor chamber shot range 1 shown in Fig.
Figs. 3 and 4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in the indoor chamber shot range 1 shown in Figs. 1 and 2 in more detail.
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recovering water W from a water spray pipe 14 when a fire 19 is generated by a frictional heat due to an impact of a warhead in a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in an empty chamber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a fire occurs in the warhead trapping space 10a of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and the water starts to discharge water W from the water spray pipe 14,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e is extinguished by the water W discharged from the water spray pipe 14.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warheads 6b are trapped between the rubber fillers 13 of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 in the salvage collecting system of the indoor chamber shot r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ubber filling materials 13 and the warhead 6b in the warhead collecting space 10a are filled with the filler material 6b as a primary work step for collecting the warhead 6b in the salvage collecting system of the indoor chamber shot r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ing device 40 by using the hose 23. At the same time, a process of separating the warhead from the rubber fillers by the separator-collecting device 40 as a secondary working step is shown.
FIG. 9 is a plan view of an empty chamber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filling material replacing apparatus 20 installed above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and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And the bullet-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ller-conveying hose 23.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ubber fillers 13 separated from the warhead 6b are returned to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by using the filler transfer hose 23 in the salvage collec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lling the bullet trapping space 10a with the original bullet trapping space 10a.
FIG. 11 is a block diagram of an empty chamber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ire detection sensor 16 and a water spray pipe 14 are installed in a warhead collection space 10a of a warhead collector 10, So as to more effectively cope with the occurrence of fire in the warhead trapping space 10a.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effect of the salvage gun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1)의 탄두 회수 시스템(100)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발사위치(5)로부터 표적판(7) 및 탄두 포집장치(10)에 이르기까지의 구간을 단면도 형식으로 도시한 것이다. 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salvage collecting system 100 of an indoor chamber shot rang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lvage collecting system 1 includes a target plate 7 and a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In the form of a sectional view.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내 실탄사격장(1)의 구조는 발사대(5a)로부터 L1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표적판(7)이 설치되고, 상기 표적판(7)의 후방으로부터 사격장의 벽체(3)에 이르기까지의 공간에는 총기(6a)로부터 발사되어서 날아온 탄두(6b)가 들어가 박힐 수 있는 탄두 포집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1, the structure of the indoor chamber shooting range 1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provided with a target plate 7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aunching platform 5a by a distance of L 1 , A warhead collecting device 10 is provided in the space from the rear to the wall 3 of the shooting range so that the warhead 6b fired from the gun 6a can be inserted into the warhead 6b.

상기 실내 실탄사격장(1)은 지면(4) 위에 설치되는데, 발사대(5a)의 앞쪽에는 사격자(6)가 머물 수 있는 공간이 있고, 사격자(6)는 발사대(5a) 위에 총기(6a)를 올려놓거나 또는 총기(6a)를 손으로 들고서 사격을 할 수 있다. 도1에서 도면부호 5는 사격자(5)가 총기(6a)를 발사하는 '발사 위치'를 가리킨다. The indoor chamber shot range 1 is installed on the ground surface 4 with a space in which the shooter 6 can stay in front of the launcher 5a and the shooter 6 is mounted on the launcher 5a with a gun 6a ) Or by holding the gun 6a by hand. In FIG. 1, reference numeral 5 denotes a 'firing position' at which the shooter 5 fires a gun 6a.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두 포집장치(10)는 사격장(1)의 길이방향에 따른 단면도를 기준으로 할 때, 전체적으로 직각 삼각형의 구조를 가지는데, 직각의 모서리 부분을 중심으로 한 양측 변(邊) 부분들이 각각 벽체(3)와 바닥층(4a)의 표면에 위치하게 되며, 전방의 뾰족하게 예각(銳角)을 이루는 모서리 부분에는 하단 지지부(17a)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하단 지지부(17a)는 바닥층(4a)에 고정설치된 지지턱(17)에 의해서 그 위치가 단단히 지지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has a rectangular triangular structure as a whole when viewed from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ooting range 1.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has two sides The lower end support portions 17a are provided at the corners forming a pointed acute angle at the front and the lower end support portions 17a are provided at the corners of the front end of the wall 3 and the bottom layer 4a, Is firmly supported in its position by a support jaw 17 fixed to the bottom layer 4a.

상기 탄두 포집장치(10)는 고무 재질의 충전재들(13)이 가득 채워진 탄두 포집공간(10a)과,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 안에 쌓인 고무 충전재들(13)의 위를 덮는 고무매트(12) 및 상기 고무매트(12) 위에 하나씩 놓여져서 서로 결합되는 형식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고무블록들(1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탄두 포집장치(10)의 상방 모서리 부분에는 물을 방출할 수 있는 살수관(撒水管, 14)이 설치되어 있고, 탄두 포집공간(10a) 내의 고무 충전재들이 쌓인 중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센서(16)가 설치되어 있다.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includes a warhead collecting space 10a filled with rubber fillers 13 and a rubber mat 12 covering the top of the rubber fillers 13 accumulated in the warhead collecting space 10a. And a plurality of rubber blocks 11 laid one on top of the rubber mat 12 and arranged in a manner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 water spray pipe 14 capable of discharging water is provided at an upper corner of the warhead collecting device 10 and at least one fire detection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accumulation of the rubber fillers in the warhead trapping space 10a A sensor 16 is provided.

상기 고무 재질로 된 충전재들(13)은 크기가 0.1~3㎜인 입자 형태로 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구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그 밖에 타원형, 육면체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고무 충전재들(13)은 고분자 탄성 중합체(elastomer)와 같은 합성 고무재질로 제작되는데, 탄두와의 마찰열로 인한 화재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최대한의 우수한 내열성과 내화성을 가진 실리콘 고무 계통의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 납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고무 재질로 제작해야 한다. The fillers 13 made of the rubber material are in the form of particles having a size of 0.1 to 3 mm and preferably have a spherical shape as a whole and can be form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an oval shape or a hexahedral shape . The rubber fillers 13 are made of a synthetic rubber material such as a polymer elastomer and are made of a silicone rubber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fire resistance in order to suppress fire caused by frictional heat with the warhead . In order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it should be made of rubber material not containing lead componen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무 충전재(13)야 말로 탄두(6b)의 충격을 온전히 흡수해서 탄두(6b)를 파손없이 안전하게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품인데,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고무 충전재의 알갱이들의 크기가 3㎜ 이상으로 너무 큰 경우에는 탄두(6b)의 힘에 의해서 고무 충전재들이 너무 많이 파괴되어 탄두 포집공간(10a) 안에 고무 충전재들의 파쇄물들이 너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 고무 충전재들의 재질이 너무 딱딱한 경우에는 탄두가 파손으로 분쇄되거나 혹은 너무 심하게 변형되어서 탄두를 재활용하는데 곤란한 점이 많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ubber filler (13) completely absorbs the impact of the warhead (6b) to stop the warhead (6b) safely without breakage. According to the experiment of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ize of the rubber fillers is too large to be greater than 3 mm, the rubber fillers are excessively broken due to the force of the warhead 6b, so that a lot of rubber fillers are generated in the warhead capture space 10a. If the material is too stiff, the warhead may break down or be too heavily deform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recycle the warhead.

따라서 본 발명에서 고무 재질의 충전재들(13)의 입자 크기를 0.1~3㎜의 범위로 설정한 것은 탄두의 파손과 고무 충전재들의 파손을 함께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입자 크기 범위를 다수의 실험을 통해서 찾은 것이어서 큰 의미가 있는 것이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cle size of the fillers 13 of rubber material is set in the range of 0.1 to 3 mm, which means that the optimal particle size range capable of minimizing both the breakage of the warhead and the breakage of the rubber fillers It is a big meaning because it is found through.

특히, 본 발명자의 실험 결과에 의하면, 내화성과 내열성이 있는 실리콘 고무 계통의 재질로 된 고무 충전재들을 사용하고 그 입자의 크기 범위를 0.3~0.6㎜로 설정했을 때 탄두의 회수 효율과 충전재의 재활용 효율에 장점이 있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고무 충전재의 입자 크기를 0.5㎜로 설정했을 때에 최상의 탄두 회수효율 과 고무 충전재의 재활용 효율을 달성할 수 있었다.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present inventors, it has been found that when rubber fillers made of a silicone rubber-based material having fire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are used and the size range of the particles is set to 0.3 to 0.6 mm, the recovery efficiency of the warhead and the recycling efficiency , And most preferably, when the particle size of the rubber filler is set to 0.5 mm,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best shot recovering efficiency and the recycling efficiency of the rubber filler.

상기 탄두 포집장치(10)의 탄두 포집공간(10a) 안에 다수의 고무 충전재들(13)이 채워진 후에는, 그 충전재들(13)의 상부에 고무매트(12)가 덮이고, 상기 고무매트(12)의 위에는 고무블록들(11)이 깔린다. 상기 고무매트(12)는 3~30㎜의 두께를 갖는 매트로서, 탄두 포집공간(10a)의 전체 면적을 하나의 고무매트만으로 다 덮기는 어려우므로, 적당한 면적 단위로 제작된 고무매트들을 여러 장 나눠 덮음으로써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의 상부 경사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상기 고무매트(12)는 밑의 고무 충전재들(13)이 워낙 미세한 입자들이라서 마치 분진처럼 공중에 날릴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현상을 막기 위해서 고무 충전재들(13)의 위를 덮는 역할을 수행한다.  A plurality of rubber fillers 13 are filled in the warhead collecting space 10a of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so that the rubber mats 12 are cover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fillers 13, The rubber blocks 11 are laid. Since the rubber mat (12) is a mat having a thickness of 3 to 30 mm, it is difficult to cover the entire area of the warhead capturing space (10a) with only one rubber mat. Therefore, Thereby covering the entire upper inclined surface of the warhead capture space 10a. The rubber mat (12) functions to cover the rubber fillers (13) in order to prevent the rubber fillers (13) from being blown into the air as dust because the rubber fillers (13) are so fine particles.

그리고 상기 고무매트(12)의 위에는 복수 개의 고무블록들(11)이 놓여지는데, 상기 고무블록들(11)은 상기 고무매트(12)가 날리거나 들뜨지 않도록 눌러주는 역할을 담당하며, 또한 총탄이 날아왔을 때 일차적으로 관통됨으로써 탄두의 운동량을 일차적으로 크게 감소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A plurality of rubber blocks 11 are placed on the rubber mat 12. The rubber blocks 11 serve to press the rubber mat 12 to prevent the rubber mat 12 from being blown or lifted, It primarily serves to reduce the momentum of the warhead to a large extent by first passing through when it comes.

상기 고무블록들(11)과 고무매트(12)는 탄두(6b)에 맞아서 구멍들이 많이 뚫릴 수밖에 없는데, 고무 재질의 특성상 구멍이 한번 뚫렸다고 해서 그 구멍이 그대로 개방된 상태로 머물러 있는 것은 아니며, 주변의 고무에 의해서 구멍이 다시 오므려지는 경향을 갖고 있으므로, 총탄을 수백, 수천 발을 쏘더라도 고무블록들(11)과 고무매트(12)의 총알들이 통과한 구멍들을 통해서 상기 탄두 포집장치(10) 내부의 고무 충전재들(13)이 외부로 새어나오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The rubber blocks 11 and the rubber mat 12 fit into the warhead 6b and are forced to drill a large number of holes. However, since the holes are once open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ubber material, The holes are passed through the holes through which the bullets of the rubber blocks 11 and the rubber mats 12 pass, even though the bullets are shot with hundreds or thousands of bullets, 10 does not leak out to the outside.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두 포집장치(10)는 전체적으로 직각 삼각형의 단면 구조를 갖고, 그 직각의 모서리 부분이 실내 사격장 건물의 벽체(3)와 바닥층(4a)이 만나는 모서리 선을 따라서 위치하게 된다. 상기 탄두 포집장치(10)의 상면은 표적판(7) 쪽으로 경사져 있어서, 표적판(7)을 통과한 탄두(6b)는 그렇게 경사져 있는 탄두 포집장치(10)의 상면으로 입사하게 된다. 이렇게 탄두 포집장치(10)의 상면을 탄두가 날아오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한 이유는, 탄두의 충격량을 최대한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흡수하기 위함이며, 내부에 채워진 고무 충전재들(13)의 쌓인 형태를 가능한 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고무매트(12)와 고무블록들(11)의 배치 구조를 도1과 같이 약 30~50°의 경사각을 갖는 구조로 하지 않고 더 바짝 세워서 배치한다면(예를 들어, 고무매트(12)와 고무블록들(11)을 수직으로 세워 설치한다면), 고무매트(12)와 고무블록들(11)이 탄두(6b)의 충격을 곧바로 100% 받게 되어 탄두의 관통으로 인한 파손 정도가 심해질 뿐만 아니라 고무매트(12)와 고무블록들(11)에 생긴 총알구멍들을 통해서 고무 충전재들(13)이 쉽게 밖으로 새어나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발명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의 상면을 약 30~50°의 각도로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판단을 하게 되었다. As shown in FIG. 1,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ha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a right triangle as a whole, and a corner portion of the right angle is formed along a corner line where the wall 3 of the indoor shooting range building meets the bottom layer 4a . The upper surface of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is inclined toward the target plate 7 so that the warhead 6b passing through the target plate 7 is incid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which is inclined. The reason why the top surface of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is incli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rhead is flying is to absorb the impact amount of the warhead as natural and smooth as possible and to prevent the accumulation of the filled rubber fillers 13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If the arrangement of the rubber mat 12 and the rubber blocks 11 is arranged so as not to have a structure having an inclination angle of about 30 to 50 degrees as shown in FIG. 1 (for example, the rubber mat 12) The rubber mat 12 and the rubber blocks 11 immediately receive 100% of the impact of the warhead 6b so that the degree of damage due to penetration of the warhead is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ubber fillers 13 can easily leak out through the bullet holes formed in the rubber mat 12 and the rubber blocks 11. [ For this reason,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etermined that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warhead capture space 10a is inclined at an angle of about 30 to 50 degrees as shown in FIG.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이 표적판(7) 쪽을 향해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무 충전재들(13)과 고무블록들(11)의 무게에 의해 전체적으로 앞쪽으로 흘러내려 무너지려는 경향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탄두 포집장치(10)의 전방 앞쪽에 지지턱(17)을 설치하였으며, 상기 지지턱(17)은 바닥층(17)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단 지지부(17a)가 지지턱(17)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고무블록들(11) 및 고무 충전재(13)의 아래로 쏠리는 무게를 버틸 수 있도록 하였다. Since the warhead capturing space 10a is inclined toward the target plate 7, the warp capturing space 10a tends to flow downward and collapse as a whole due to the weight of the rubber fillers 13 and the rubber blocks 11. [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jaw 17 is provided in front of the front of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and the support jaw 17 is firmly fixed to the bottom layer 17, So that the weight of the rubber blocks 11 and the rubber filler 13 can be held down.

그리고 상기 탄두 포집장치(1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센서(16)가 설치되며, 상기 화재감지센서(16)는 제어부(15)와 센서케이블(16a)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 내에 화재가 발생하여 온도가 상승한 경우 이를 검출하여 그 검출신호를 제어부(15)로 전송한다. At least one fire detection sensor 16 is installed inside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and the fire detection sensor 16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5 through a sensor cable 16a, When a fire occurs in the space 10a and the temperature rises, it is detect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5.

총기(6a)에서 발사된 탄두(6b)는 상당한 운동 에너지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큰 운동 에너지를 가진 탄두(6b)가 탄두 포집공간(10a)내로 들어와서 고무 충전재들(13)과 마찰을 일으키게 되므로, 이 마찰열에 의해서 고무 충전재들(13)의 사이에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물론, 이러한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무 충전재들(13)의 재질 자체를 내열성과 내화성이 있는 실리콘 고무 계통의 재질로 제작하지만, 혹시라도 고무 충전재들(13)에 불이 붙어 화재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 내에 화재감지센서(16)를 설치하고, 소화를 위한 물을 방출할 수 있는 살수관(14)을 상기 탄두 포집장치(10a)의 상단 모서리 부분에 설치하였다. The warhead 6b emitted from the gun 6a has considerable kinetic energy and the bullet 6b having such a large kinetic energy enters into the warhead capturing space 10a and rubs against the rubber fillers 13 ,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fire may occur between the rubber fillers 13 due to this frictional heat. Of course, in order to prevent such a f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of the rubber fillers 13 is made of a silicone rubber material having heat resistance and fire resistance. However, even if the rubber fillers 13 are ignited, A fire detection sensor 16 is installed in the warhead trapping space 10a and a water spray pipe 14 capable of discharging water for fire extinguishing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warhead trapping apparatus 10a And was installed at the corner portion.

상기 살수관(14)은 급수관(141, 도3 참조)을 포함하는 급수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 연결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40, 도3 참조)와 같은 전동밸브가 설치되어서, 제어부(15)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동밸브가 원격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화재감지센서(16)가 고무 충전재들(13) 중의 온도 상승을 검출하여 제어부(15)에 전송하면, 제어부(15)는 이를 화재 발생으로 판정하고 신속하게 상기 전동밸브에 개방 제어신호를 인가하며, 전동밸브가 개방되면 살수관(14)은 탄두 포집공간(10a) 안으로 다량의 물을 방출하게 된다(도5 및 도6 참조).The water spray pipe 14 is connected to a water supply means including a water supply pipe 141 and a connection portion thereof is provided with a motorized valve such as a solenoid valve 140 The signal enables the motorized valve to be operated remotely. Therefore, when the fire detection sensor 16 detects a temperature rise in the rubber fillers 13 and transmits the detected temperature rise to the control unit 15, the control unit 15 determines that the fire has occurred and promptly issues an open control signal to the electric valve And when the electric valve is opened, the water spray pipe 14 discharges a large amount of water into the warhead storage space 10a (see FIGS. 5 and 6).

한편, 상기 살수관(14)은 총탄에 맞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둘레에 철제로 된 보호케이스(14a)가 설치되어 있다. 도1에서 살수관(14)은 원형의 단면 모양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그 살수관(14)의 둘레에는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단면 형태를 가진 보호 케이스(14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호 케이스(14a)는 강철 또는 스텐레스 등의 충분한 강성을 가진 금속 재질로 제작되며, 총탄에 맞더라도 관통되지 않고 그 내부의 살수관(14)을 충분히 원형 그대로 보호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 및 두께를 가져야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 spray pipe 14 is provided with a protective case 14a made of iron around the bulb to prevent it from being damaged. In FIG. 1, the water spray pipe 14 is shown in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a protective case 14a having a tri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s a whole is provided around the water spray pipe 14. The protection case 14a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sufficient rigidity such as steel or stainless steel. The protection case 14a has sufficient strength and thickness so as not to penetrate even if hit by the bullet, Should have.

상기 탄두 포집장치(10)의 하부에는 살수관(14)에서 방출된 물을 외부로 내보낼 수 있는 배수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배수시설에 대해서 설명하면, 탄두 포집공간(10a)의 바닥면에 거름망판(18b)이 설치되어 있고, 그 아래로 경사 집수관부(18a)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 집수관부(18a)는 배수관(18)으로 이어져 있다. A drainage facility for discharg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spray pipe 14 to the outside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The drainage facility will be described below. A drafting plate 18b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rhead collection space 10a and an inclined water collecting pipe 18a is provided thereunder. The inclined water collecting pipe 18a, (18).

화재 소화를 위해 상기 살수관(14)으로부터 방출된 물(W, 도5 및 도6 참조)은 고무 충전재들(13)에 붙은 불을 끄는데 사용된 다음에 계속 아래로 흘러 내려가서 경사 집수관부(18a)와 배수관(18)로 빠져나가게 되며, 계속해서 외부의 배수저장탱크(180, 도6 참조)와 수처리 시설(181)로 가게 된다(도6 참조).5 and 6) discharged from the water spray pipe 14 for fire extinguishing is used to cut off the fire on the rubber fillers 13, and then flows downwardly and downward, And then to the drainage pipe 18a and the drainage pipe 18 and then to the drainage storage tank 180 (see FIG. 6) and the water treatment facility 181 (see FIG. 6).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의 바닥면에 설치된 거름망판(18b)은 고무 충전재들(13)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고 물(W)만을 그 아래로 통과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무 충전재들(13)의 입자 크기가 0.1~3㎜의 범위에 있으므로, 상기 거름망판(18b)의 구멍 크기는 상기 고무 충전재들(13)의 입자 크기보다는 작도록 만들어서 물(W)만이 빠져나가고 고무 충전재들(13)은 걸러지도록 해야 한다. The sieve plate 18b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rhead accommodation space 10a blocks the rubber fillers 13 from passing therethrough and allows only the water W to pass therethrough. Since the particle size of the rubber fillers 13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range of 0.1 to 3 mm, the hole size of the screening plate 18b is made smaller than the particle size of the rubber fillers 13, W only to escape and the rubber fillers 13 to be filtered.

본 발명에서는 사격장(1)의 바닥층(4a)을 지면(4)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올려 설치함으로써 상기 탄두 포집장치(10)의 하부에 배수설비를 형성할 수 있는 높이(공간)를 확보하도록 하였다. 물론, 도1에 도시된 방식 이외에도 탄두 포집장치(10)내의 화재 소화를 위해 뿌린 물을 회수하여 밖으로 빼낼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배수설비와 바닥층의 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space) at which the drainage facility can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is secured by raising the bottom layer 4a of the shooting range 1 from the paper surface 4 by a predetermined height.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system shown in FIG. 1,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the structure of the drainage system and the bottom layer in various ways in which the firewater in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can be siphoned out by withdrawing water for fire extinguishing.

도1에서 도면부호 7a는 표적판(7)을 지지하는 스탠드이며, 6c는 총기(6a)로부터 발사된 탄두(6b)가 날아가는 비행궤적을 가리키고, 14b는 살수관(14)의 전동밸브와 제어부(15)를 연결하는 살수관 제어케이블이다. In Fig. 1, reference numeral 7a denotes a stand for supporting the target plate 7, 6c denotes a flight path of the warhead 6b fired from the gun 6a, 14b denotes a flight valve of the spray pipe 14, (15).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의 구성은 크게 나누어서 상기 탄두 포집장치(10), 충전재 교체장치(20), 탄두 분리 회수 장치(40) 및 환기 장치(100)로 이루어져 있다. In the meantime, the structure of the salvage collecting system of indoor chamber shot r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the filling material replacing apparatus 20, the warhead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40 and the ventilator 100.

이 중에서 탄두 포집장치(10)의 구성과 역할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상기 충전재 교체장치(20)는 상기 탄두 포집장치(10) 내에 포집된 탄두(6b)를 회수하기 위해 고무 충전재들(13)과 탄두들(6b)을 함께 외부에 마련된 탄두 분리 회수장치(40)로 이송하고, 상기 탄두 분리 회수장치(40)에서 탄부를 모두 분리한 후의 고무 충전재들(13)을 다시 탄두 포집장치(10)내로 되돌려 보내 채우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Among them, the structure and role of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are as described above. The filling material exchanging apparatus 20 is provided with the rubber fillers 13 (FIG. 1) for collecting the warhead 6b collected in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And the warheads 6b are transferred together to the bulle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40 provided outside and the rubber fillers 13 after the bullet is separated from the bulle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40 are transferred again to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40 10) to fill it in.

그리고 상기 탄두 분리 회수장치(40)는 상기 충전재 교체장치(20)를 통해서 잔달받은 탄두(6b)와 고무 충전재들(13)을 서로 분리해서, 탄두는 탄두대로 회수하고, 고무 충전재들만을 따로 모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warhead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40 separates the charged warhead 6b and the rubber fillers 13 from each other through the filler replacing device 20 so that the warhead is recovered according to the warhead and only the rubber fillers are collected .

한편, 환기 장치(200)는 실내 실탄사격장(1)에서 다량의 총탄 사격을 실시함에 의해서 발생하는 화약성분들과 분진들로 오염된 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뽑아내서 세정 집진 장치(wet scrubber)와 같은 공기정화 설비를 거쳐 정화하도록 하고 이와 함께 정화된 공기 및/또는 신선한 외부 공기를 실내 사격장 내로 급기해서 실내 사격장의 공기오염을 방지하고 깨끗한 실내 공기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내 실탄사격장(1)의 벽면의 하단부 쪽에는 복수 개의 공기 흡입구들(201, 도2 참조)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흡입구들(201)을 통해서 빨아들인 실내의 탁하고 오염된 공기는 제1 공기배출덕트(201a)를 통해서 외부에 설치된 유인 송풍기(201b, 도2) 및 세정 집진 장치(204)로 이송된다. 도1에는 실내 사격장의 벽면의 하단부 쪽에 설치된 제1 공기배출덕트(201a)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the ventilator 200 quickly draws out the air contaminated with the powder components and dust particles generated by performing a large amount of shotgun fire at the indoor chamber shooting range (1), and the wet scrubber And the fresh air and / or the fresh outside air are supplied into the indoor shooting range to prevent air pollution at the indoor shooting range and to maintain a clean indoor air environment. A plurality of air inlets 201 (see FIG. 2) ar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wall surface of the indoor room shooting range 1. The cloudy and polluted air in the room sucked through the air inlets 201 is supplied to the first air (FIG. 2) and the cleaning and dust collecting device 204 provided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duct 201a. FIG. 1 shows a first air discharge duct 201a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a wall surface of an indoor shooting range.

그리고 상기 탄두 포집장치(10)의 상방에는 제2 공기 흡입구(202) 및 상기 제2 공기 흡입구(202)로부터 연장된 제2 공기배출덕트(202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공기흡입구(202)와 제2 공기배출덕트(202a)는 탄두 포집장치(10)가 탄두(6b)를 맞으면서 풀썩풀썩하고 날리는 분진들을 계속적으로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며, 이렇게 제2공기배출덕트(202a)에 의해 이송된 분진 등의 오염 공기 역시 유인 송풍기(202b, 도2 참조)를 거쳐 외부에 설치된 세정 집진장치(204)로 전달되어서 공기정화 처리된다. A second air intake port 202 and a second air exhaust duct 202a extending from the second air intake port 202 are provided above the warhead collecting device 10. The second air intake port 202 and the second air discharge duct 202a continuously collect dust that is spattered and discharged while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meets the warhead 6b and discharges the dust to the outside, Contaminated air such as dust conveyed by the air discharge duct 202a is also sent to the cleaning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204 installed outside through the artificial blower 202b (see FIG. 2) to be air-treated.

도1을 참고하면, 상기 충전재 교체장치(20)는 충전재 이송호스(23)를 포함하는데, 상기 충전재 이송호스(23)는 그 일단(제1단부)이 상기 탄두 포집장치(10)의 상방에 위치하며, 나머지 타단(제2단부)은 실내 실탄사격장(1) 외부의 탄두 분리 회수장치(40)에 연결되어 있다. 1, the filling material exchanging apparatus 20 includes a filling material transfer hose 23, and one end (first end) of the filling material transfer hose 23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And the other end (second end) is connected to the bullet-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40 outside the indoor chamber shooting range 1. [

상기 충전재 교체장치(20)는 실내 실탄사격장(1)에서 탄두 포집장치(10)의 상방에 설치되며, 이때 충전재 이송호스(23)의 호스 헤드(23a) 부분이 상기 탄두 포집장치(10)의 전체 면적 구간을 훑을 수 있도록 상기 호스 헤드(23a)를 탄두 포집장치(10)의 상방에서 위치 이동시킬 수 있게끔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호스 헤드(23a)의 위치가 변경되면, 자연적으로 그 호스 헤드(23a)에 이어진 충전재 이송호스(23)의 다른 뒷부분들도 같이 따라서 이동해야 하므로, 이를 위해 상기 충전재 교체장치(20)는 호스 헤드(23a)에 이어진 충전재 이송호스(23)의 다른 부분들의 위치들까지도 동시에 변경시킬 수 있는 구성을 갖고 있다. The filling material replacing device 20 is installed above the warhead collecting device 10 at the indoor chamber shooting range 1 and the hose head 23a of the filling material conveying hose 23 is positioned above the warhead collecting device 10 So that the hose head 23a can be moved from above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so as to scan the whole area sec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hose head 23a is changed, naturally the other rear portions of the filler transfer hose 23 connected to the hose head 23a must also move accordingly. To this end, the filler replacement device 20 The positions of other parts of the filler transfer hose 23 connected to the hose head 23a can be changed at the same time.

상기 충전재 교체장치(20)의 전방에는, 혹시라도 총기(6a)에서 발사된 탄두가 잘못해서 충전재 교체장치(20)를 파손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금속 재질 혹은 콘크리트 재질로 제작된 차단판(2a)이 천장(2)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사격자는 표적을 향해서 총기를 발사해야 하는 것이 당연한 일이지만, 사격장에서 사격훈련을 진행하다보면 예기치 않은 실수로 엉뚱한 곳에 총알이 날아가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그러한 잘못 발사된 총탄에 의해서 충전재 교체장치(20)의 기계부품들이 파손된다면 큰 손실이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충전재 교체장치(20)의 전방에 충분한 면적과 두께 및 강성을 가진 차단판(2a)을 설치함으로써 총알이 잘못 발사되더라도 충전재 교체장치(20)를 파손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A shield plate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concrete material is provided in front of the filler material replacement device 20 so that the filler material replacement device 20 may not be accidentally damaged by the warhead fired from the firearm 6a 2a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iling 2. [ It is natural that the shooter should fire the gun toward the target. However, when shooting training is conducted in the shooting range, the bullet may fly in the wrong place due to an unexpected mistake. ) Are damaged if they are damaged. 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blocking plate 2a having a sufficient area, thickness and rigidity in front of the filling material replacing device 20, even if the bullet is erroneously fired, Respectively.

한편, 탄두 분리 회수장치(40)에는 진공펌프(43, 도8 참조)가 설치되어 있어서 충전재 이송호스(23)를 통해 고무 충전재들(13)을 빨아들일 수 있는데, 이렇게 충전재 이송호스(23)를 이용해서 사격장(1) 내부의 고무 충전재들(13)을 외부로 옮기기 위해서는, 충전재 이송호스(23)의 제1단부측을 상기 탄두 포집장치(10)의 고무 충전재들(13)이 있는 곳에다가 적절하게 갖다 댈 필요가 있다. 상기 충전재 이송호스(23)의 제1단부측에는 호스 헤드(23a)가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호스 헤드(23a)를 고무 충전재들(13)이 쌓인 곳에다가 적절히 갖다 대면 진공펌프(43)의 힘에 의해서 고무 충전재들(13)이 충전재 이송호스(23) 안으로 빨려 들어가고 이후 충전재 이송호스(23)를 따라서 외부의 탄두 분리 회수장치(40) 쪽으로 이동된다. A vacuum pump 43 (see FIG. 8) is provided in the salvage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40 to suck up the rubber fillers 13 through the filler conveying hose 23. The filler conveying hose 23, The first end side of the filler conveyance hose 23 is moved to the position where the rubber fillers 13 of the warhead collecting device 10 are located in order to transfer the rubber fillers 13 inside the shooting range 1 to the outside I need to get it properly. A hose head 23a is provided on the first end side of the filler conveyance hose 23. When the hose head 23a is properly positioned at the place where the rubber fillers 13 are stacked, The rubber fillers 13 are sucked into the filler conveying hose 23 and then moved to the external salvage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40 along the filler conveying hose 23. [

도1을 참고하면, 상기 충전재 교체장치(20)의 충전재 이송호스(23)는 탄두 포집장치(10)의 상방에서 로프들(22b)에 의해 지지되어 공중에 뜬 상태로 존재하며, 상기 로프들(22b)은 호이스트들(hoists, 22a)에 부설된 권양기(22c, 도8 참조)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권양기(22c)는 로프(22b)를 끌어당겨 감아올리거나 또는 풀어서 내릴 수 있는 기계이며, 권양기(22c)의 로프 권양 정도에 따라 충전재 운반호스(23)의 각 부분의 자세가 결정된다. 1, the filling material transfer hose 23 of the filling material replacing device 20 is supported by the ropes 22b above the warhead collecting device 10 and is floating in the air, (22b) is connected to a hoist 22c (see Fig. 8) attached to hoists 22a. The hoist 22c is a machine that can pull the hoist 22b up or down or unwind the hoist 22c and the posture of each part of the hoist 23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hoist degree of the hoist 22c.

실내 실탄사격장(1)의 천장(2)에는 사격장(1)의 폭 방향을 따라서 제1레일수단(21)이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레일수단(21)은 2개의 I빔들이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천장(2)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레일수단(21)에는 각각 캐리어(21a)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캐리어(21a)는 모터를 내장하고 있고 그 모터의 회전력이 구동벨트(21c, 도8 참조)를 통해서 레일바퀴(21b, 도8 참조)로 전달되게끔 되어 있어서, 레일바퀴(21b)의 회전에 따라 캐리어(21a)가 제1레일수단(21)을 타고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first rail means 21 is provided on the ceiling 2 of the indoor chamber shot range 1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ooting range 1 and preferably the first rail means 21 comprises two I beams And are fixed to the ceiling 2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intervals. A carrier 21a is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rail means 21 and the carrier 21a incorporates a motor and the rotating force of the motor is transmitted to the rail wheels 21b (See FIG. 8), so that the carrier 21a can travel on the first rail means 21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ail wheel 21b.

도1에는 제1레일수단(21)으로서 2개의 I빔들이 천장(2)에 고정 설치되고, 그 2개의 I빔들의 각각에 캐리어(21a)가 결합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들(21a)에는 공통적으로 1개의 제2레일수단(22)이 결합되며, 이때 상기 제2레일수단(22)은 제1레일수단(21)이 설치된 방향과는 90°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마치 제1레일수단(21)이 X-Y 좌표계에서 X축 방향을 따라 설치되었다면, 제2레일수단(22)은 Y축 방향으로 설치되듯이, 제2레일수단(22)과 제1레일수단(21)의 배치 방향들이 서로 직교하는 상태를 이루는 것이다. In Fig. 1, it is shown that as the first rail means 21, two I beams are fixedly mounted on the ceiling 2, and the carrier 21a is coupled to each of the two I beams. One second rail means 22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carriers 21a and the second rail means 22 is arrang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ail means 21 is installed by 90 ° . That is, if the first rail means 21 is installed along the X-axis direction in the XY coordinate system, the second rail means 22 is arranged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rail means 22 and the first rail means 22, (21)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한편, 상기 제2레일수단(22) 역시 제1레일수단(21)과 마찬가지로 I빔으로써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rail means 22 is also formed by an I beam as in the case of the first rail means 21.

상기 제2레일수단(22)에 결합된 복수 개의 호이스트들(22a)은 각자 모터를 내장하고 있어서,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2레일수단(22)을 타고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각 호이스트들(22a)에는 권양기(22c)가 부설되어 있어서 권양기(22c)에 의해 로프(22b)의 늘어진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plurality of hoists 22a coupled to the second rail means 22 each have a built-in motor, so that it is possible to ride on the second rail means 22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Each hoist 22a is provided with a winch 22c so that the length of the rope 22b can be adjusted by the winch 22c.

상기 호이스트들(22a)의 각 권양기들(22c)로부터 늘어뜨려진 로프(22b)에 의해서 충전재 이송호스(23)의 각 부분들이 들려지게 되므로, 각 호이스트들(22a)의 위치와 로프들(22b)의 늘어뜨려진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충전재 이송호스(23)의 호스 헤드(23a)를 원하는 위치에 갖다 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e portions of the filler conveyance hose 23 are lifted by the ropes 22b hanging from the winches 22c of the hoists 22a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hoists 22a and the ropes 22b The hose head 23a of the filling material transfer hose 23 can be brought to a desired position.

도1에서 도면부호 L1은 실내 실탄사격장(1)의 발사대(5a)로부터 표적판(7)까지의 거리를 가리키고, L 2 는 표적판(7)으로부터 뒤쪽의 벽체(3)까지의 거리를 가리키는데, 통상적으로 우리나라의 군부대 또는 경찰청에서 운영하는 실내 실탄사격장들과 민간에서 운영하는 실내 실탄 사격장들은 공통적으로 50미터의 사거리를 갖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므로, 발사대(5a)로부터 표적판(7)까지의 거리(L1)는 50미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표적판(7) 뒤쪽부터 벽체(3)까지의 거리(L2)는 대략 3~7미터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탄두의 효과적인 포집을 위한 탄두 포집장치의 실제적인 설비 규모를 고려할 때 표적판 뒤쪽의 공간의 간격(L2)은 4.5~6미터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Figure reference numeral L 1 eseo 1 denotes a distance to the target plate (7) from the launcher (5a) of the interior ammunition firing range (1), L 2 is the distance to the wall (3) of the back from the target plate (7) In general, since the indoor chamber shot range operated by the Korean military or the police department and the indoor chamber shot range operated by the civilian are commonly based on having a range of 50 meters, the target plate 7 can be moved from the launching plate 5a, distance (L 1) is preferably set to 50 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L 2 ) from the rear of the target plate 7 to the wall 3 is preferably set in a range of approximately 3 to 7 meters. In particular,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the interval (L 2 ) of spaces behind the target plate to 4.5 to 6 meters.

도1에서 도면부호 L3는 상기 발사대(5a)로부터 표적판까지의 거리(L1)에 표적판으로부터 뒤쪽 벽체(3)까지의 거리(L2)를 합한 거리로서, 실내 실탄사격장(1)의 사격에 관한 전체 길이를 가리킨다. 실제로 국내의 군부대 및 경찰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실내 실탄사격장들에 본 발명이 적용된다고 할 경우를 예로 들면, L3는 53~57미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Figure 1 the reference numeral L 3 is a distance plus the distance (L 2) to the rear wall (3) from the target plate at a distance (L 1) to the target board from the launch pad (5a), an indoor ammunition firing range (1) The full length of the shooting.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indoor chamber shot ranges operated by domestic military units and police stations, L 3 is preferably 53 to 57 meters.

도1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H1은 탄두 포집장치(10)의 전체 높이를 가리키며, H2는 실내 실탄 사격장(1)의 바닥층(4a)으로부터 천장(2)까지의 높이를 의미하고, H3는 바닥층(4a)의 두께를 가리킨다. 1, H 1 denotes the total height of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H 2 denotes the height from the bottom layer 4 a to the ceiling 2 of the indoor chamber shooting range 1, H 3 Indicates the thickness of the bottom layer 4a.

도2는 도1에 도시된 실내 실탄사격장(1)의 평면도이다. 도2를 참고하면, 탄두 포집장치(10)의 상부 경사면에 배치된 고무블록들(11)은 평면모양이 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며, 고무블록들(11) 서로간에 긴밀히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고무블록들(11)이 놓인 영역의 아래쪽에는 하단 지지부(17a)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단 지지부(17a)는 바닥층(4a)에 고정된 지지턱(17)에 의해서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2 is a plan view of the indoor chamber shot range 1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2, the rubber blocks 11 disposed on the upper inclined surface of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are rectangular in plan view, and the rubber blocks 11 are in intimate contact with each other. A lower support portion 17a is provided below the region where the rubber blocks 11 are placed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17a is supported so as not to be slid downward by a support jaw 17 fixed to the bottom layer 4a have.

한편, 상기 고무블록들(11)이 깔린 면적 영역의 상방으로는 보호케이스(14a)가 배치되어 있으며, 그 보호케이스(14a)의 내부 공간에는 살수관(14, 도1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A protection case 14a is disposed above the area where the rubber blocks 11 are laid and a water spray pipe 14 (see FIG. 1)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protection case 14a .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 실탄 사격장(1)은 대체적으로 직사각형 모양으로 된 실내 공간을 가지고 있는데, 사격장(1)의 실내 공간에 있어서의 가로방향의 길이(L4)는 15~20 미터로 설정하고, 세로 방향의 길이(L3)는 53~57 미터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자가 실제 사격장의 규격과 운영 상태를 전부 고려하여 탄두 포집공간의 설치 면적과 그에 따른 탄두 포집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시뮬레이션한 바에 의하면, 상기 가로방향의 길이(L4)를 17미터로 설정하고, 세로 방향의 길이(L3)를 54.5~56 미터로 설정하는 경우가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s shown in FIG. 2, the indoor chamber shooting range 1 has a generally rectangular interior space. The length L 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indoor space of the shooting range 1 is 15 to 20 Meter, and the length L 3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eferably set to 53 to 57 meters.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inventors bar, to all considering the specification and the operating conditions of an actual shooting range comprehensive simulation in the installation area and the like warhead trapping effect hence the warhead trapping space, the length (L 4)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y 17 m And the length (L 3 )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et to 54.5 to 56 meters.

도2를 참고하면, 상기 탄두 포집장치(10) 내부의 탄두 포집공간(10a)에는 그 전체 폭 길이(L4)에 걸쳐서 4개의 격벽들(30)을 설치되어 있으며, 그 결과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은 5개의 작은 포집공간들(31, 32, 33, 34, 35)로 구분되고, 각각의 작은 포집공간들(31, 32, 33, 34, 35)은 서로 격리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즉,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은 4개의 격벽들(30)에 의해서 좌로부터 우로 제1 탄두 포집공간(31), 제2 탄두 포집공간(32), 제3 탄두 포집공간(33), 제4 탄두 포집공간(34) 및 제5 탄두 포집공간(35)으로 각각 구획되며, 그 각각의 탄두 포집공간들(31, 32, 33, 34, 35) 안에 위치한 고무 충전재들(13)은 서로 격리되어서, 다른 포집공간 안에 있는 고무 충전재들(13)과는 서로 섞이지 않게 된다. Referring to FIG. 2, the payload trapping device 10 warhead collecting space (10a) of the inside and is provided with the four partition walls (30) over its whole width length (L 4), so that the payload trapping space Each of the small collecting spaces 31, 32, 33, 34, and 35 is kept isolated from each other, and each of the small collecting spaces 31, 32, 33, 34 and 35 is divided into five small collecting spaces 31, have. That is, the bullet trapping space 10a is divided into four spaces, that is, a first bullet capturing space 31, a second bullet capturing space 32, a third bullet capturing space 33, And the rubber stuffings 13 located in the respective warhead capture spaces 31, 32, 33, 34 and 35 are partitioned into four warhead capture spaces 34 and fifth warhead capture spaces 35, So that they do not mix with the rubber fillers 13 in other collection spaces.

도2에서 도면부호 L5는 각 소 탄두 포집공간(31, 32, 33, 34, 35)의 폭을 가리키는데, 예를 들어 사격장(1)의 가로 폭을 17미터로 설정하고, 4개의 격벽(30)들의 두께를 각각 10㎝로 설정할 경우, 상기 각각의 작은 탄두 포집공간(31, 32, 33, 34, 35)의 폭(L5)은 3.32미터가 된다. 도2의 예에서는 일단 각각의 작은 탄두 포집공간들(31, 32, 33, 34, 35)의 폭을 균등한 것으로 설정하고 또 사격장(1)의 폭 방향을 따라서 상기 격벽들(3)이 서로 균등한 간격으로 이격된 것으로 상정하였지만, 이와 달리 특별한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격벽들(30)간의 이격 거리를 서로 다르게 세팅할 수도 있을 것이며, 그에 따라 상기 작은 탄두 포집공간들(31, 32, 33, 34, 35)의 폭을 서로 다르게 세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FIG. 2, reference numeral L 5 denotes the width of each small warhead capture space 31, 32, 33, 34 and 35. For example, the lateral width of the shooting range 1 is set to 17 meters, The width L 5 of each of the small warhead capture spaces 31, 32, 33, 34, and 35 is set to be 3.32 meters when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small warhead capture spaces 30 is set to 10 cm. 2, the widths of the respective small warhead capture spaces 31, 32, 33, 34, and 35 are set to be equal to each other, an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ooting range 1, The separation distances between the partition walls 30 may be set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small warhead capture spaces 31, 32, 33, 34, and 35 may be set differently from each other.

도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우선 탄두 포집공간(10a) 안에 격벽(30)을 4개 설치한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상기 격벽(30)의 개수는 사격장의 규모 및 상기 사격장에 일체로 또는 별도로 설치된 탄두 분리 회수장치의 설비 규모에 따라서 얼마든지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 내의 고무 충전재들(13) 사이에 들어가 있는 탄두들(6b)을 분리 회수하기 위해서는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내의 고무 충전재(13)를 모두 밖으로 옮긴 다음 고무 충전재들(13)로부터 탄두(6b)를 걸러내는 작업을 거쳐야 하는데, 본 발명에 따라 1개의 실내 실탄 사격장에 채워져 있는 고무 충전재들(13)의 전체 부피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50kg짜리 곡물용 자루를 기준으로 할 경우 수백 포에 달할 정도로 그 부피가 크므로, 사격장 내의 고무 충전재들(13)을 한꺼번에 전부 다 밖으로 꺼내서 탄두 분리 회수작업을 진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가 있다. 따라서 탄두 포집 장치(10) 내의 고무 충전재들(13)을 일부분씩 밖으로 옮겨서 탄두 분리 회수작업을 진행한 다음 다시 탄두 포집장치(10)내로 돌려보내고, 그 다음의 일부분을 또 다시 밖으로 옮겨서 탄두 분리회수 작업을 진행하는 식으로, 전체의 고무 충전재를 여러 소 부분들로 나눠서 순차적으로 탄두 분리 회수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렇게 탄두 포집장치(10)내의 고무 충전재들(13)의 탄두 분리 회수작업을 나눠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탄두 포집장치(10)의 탄두 포집공간(10a)에다가 복수 개의 격벽들(30)을 설치하여 서로 구분된 소규모의 작은 탄두 포집공간들(31, 32, 33, 34, 35)을 만든 것이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four partition walls 30 are provided in the bullet trapping space 10a. However, the number of the partition walls 30 is not limited to the size of the shooting range, Or it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cale of the equipment of the separate separator recovery device installed separately. That is, as described later, in order to separate and recover the warheads 6b between the rubber fillers 13 in the warhead accommodation space 10a, all of the rubber fillers 13 in the warhead accommodation space 10a The total volume of the rubber fillers 13 filled in one indoor chamber shot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50 kg / cm < 2 >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take out the rubber fillers (13) in the shooting range all at once and carry out the recovery work for separating the bullets. Therefore, the rubber fillers 13 in the warhead collecting device 10 are moved outward by a portion, and the bullet-separating and collecting work is carried out and then returned to the bullet-trapping apparatus 10, It is more effective to divide the entire rubber filler into several small parts and sequentially carry out the separation and recovery of the bullet. In order to be able to divide and collect the warhead of the rubber fillers 13 in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in a divided mann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rhead collecting space 10a of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31, 32, 33, 34, 35) of small size,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installing a small warhead (30).

도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실내 실탄사격장(1)의 벽면에 복수 개의 제1 공기 흡입구들(201)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공기 흡입구들(201)은 제1 공기배출덕트들(201a)을 통해서 유인 송풍기(201b)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탄두 포집장치(10)의 상방에도 역시 복수 개의 제2 공기 흡입구들(20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공기흡입구들(202)은 제2 공기배출덕트(202a)를 통해서 유인 송풍기(202b)에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1)에는 충분한 환기장치(20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실내 실탄사격장(1) 내에서 집중적인 사격훈련에 의해 발생한 화약성분들과 분진들로 오염된 실내 공기('함진가스')는 제1, 제2 공기흡입구들(201, 202)과 제1, 제2 공기배출덕트들(201a, 202a)을 통해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며, 이렇게 빨려나간 오염 공기는 세정 집진 장치(204)와 같은 공기정화장치에 의해서 정화 처리된 후에 '청정가스'로 된다. 2,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irst air inlets 201 are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indoor chamber shot range 1, and the first air inlets 201 are connected to the first air outlets And is connected to the blower blower 201b through the blower 201a. A plurality of second air inlets 202 are also provided above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and the second air inlets 202 are connected to a blower 202b through a second air outlet duct 202a. ). Since the indoor ventilating area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ufficient ventilation device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indoor air from contaminated with explosive components and dusts generated by intensive shooting training within the indoor area Is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ir inlets 201 and 202 and the first and second air exhaust ducts 201a and 202a and the thus sucked polluted air is cleaned Clean gas "after being purified by an air purifier such as the dust collector 204.

본 발명에서 채택한 세정 집진 장치(204)는 유해 가스('함진가스')를 흡입해서 통과시키면서 스프레이 장치로 세정수를 분사하여 기체와 액체의 접촉에 의해서 기체 중 가용성 성분이 액상 중에 용해되도록 하는 장치인데, 화약성분과 분진 등의 공기 오염물질들은 세정수와의 접촉에 의해서 물속에 용해되므로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정 집진 장치(204)는 그 내부에서의 세정에 의한 기액(氣液) 접촉을 충분히 하기 위해 충전물을 사용해서 비표면적을 넓힌 충전층(미도시)을 갖고 있으며, 세정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데미스터(demister, 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다. The cleaning and dust collecting apparatus 204 adop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spraying cleaning water through a spray device while sucking and passing noxious gas ("dust gas") to dissolve soluble components in the liquid by contact of gas and liquid However, since air pollutants such as powder components and dust are dissolved in water by contact with washing water, air can be purified. The cleaning and dust collecting device 204 has a filling layer (not shown) having a specific surface area widened by using a filling material to sufficiently mak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chamber by the cleaning, And a demister (not in the city).

도2를 참고하면, 세정 집진 장치(204)에는 세정수로 사용되는 물이 투입되며, 세정 집진 장치(204)에서 배출되는 물에는 화약성분과 분진 등의 오염물질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수처리 장치(205)에 의해 폐수를 정화처리한 후에 하수관으로 배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water used as washing water is input to the washing / collecting device 204, and water discharged from the washing / collecting device 204 contains contaminants such as a powdered ingredient and dust, And then drained to the sewage pipe.

한편, 상기 실내 실탄사격장(1)의 벽면에는 공기 공급구(20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구(203)에는 공기공급덕트(203a)가 연결되고,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실내로 불어넣기 위한 환풍기(미도시)가 연결된다. 상기 실내 실탄사격장(1)에 투입되는 공기로는 외부의 공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세정 집진 장치(204)에 의해서 정화된 후의 '청정가스'를 전부 또는 일부 섞어서 투입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n air supply port 203 is provided on a wall surface of the indoor room shooting range 1. The air supply duct 203a is connected to the supply port 203, A ventilator (not shown) is connected. The outside air may be used as the air to be injected into the indoor chamber shooting range 1 or may be mixed with all or part of the 'clean gas' after being cleaned by the cleaning and dust collecting device 204.

도3 및 도4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실내 실탄사격장(1)에 있어서 탄두 포집장치(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3을 참고하면, 탄두 포집공간(10)의고무블록들(11)은 정사각형 혹은 직사각형으로 된 상면(11a) 모양을 갖는 블록체로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고무블록들(11)의 각 측면(11b)에는 돌출부(11c) 혹은 끼움홈(11d)이 마련되어서, 인접한 고무블록(11)과 결합할 때 돌출부(11c)가 그 옆의 고무블록의 끼움홈(11d)에 삽입되며, 고무블록들(12)끼리 서로 연결되어서, 한번 체결된 상태로 고무매트(12) 위에 덮여진 이후에는 쉽게 고무블록들(12)이 빠져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다. Figs. 3 and 4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in the indoor chamber shot range 1 shown in Figs. 1 and 2 in more detail. 3, it is preferable that the rubber blocks 11 of the warhead collecting space 10 are formed as block bodies having the shape of an upper surface 11a of a square or a rectangle. At this time, Each side face 11b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portion 11c or a fitting groove 11d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 11c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1d of the adjacent rubber block when the adjacent rubber block 11 is engaged, The rubber blocks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rubber blocks 12 can not be easily detached after the rubber blocks 12 are covered with the rubber blocks 12 once.

도3을 참고하면, 상기 고무블록(12)은 상면(11a)이 정사각형의 모양으로 되어 있고, 두께를 구성하는 측면(11b)에는 돌출부(11c) 혹은 끼움홈(11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무블록(12)은 두께를 30~150㎜로 하고, 평면 모양에 있어서의 한 변의 길이를 200~7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자가 실험한 바에 의하면, 상기 고무블록(12)의 두께를 50~70㎜로 설정하고 그 한 변의 길이를 500~700㎜로 설정하는 경우가 탄두(6b)의 일차적인 충격흡수 및 시공과 유지관리상의 편리성을 도모하는데 최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3, the rubber block 12 has a top surface 11a in the shape of a square, and a protruding portion 11c or a fitting groove 11d is formed in a side surface 11b constituting the thickness. The rubber block 12 preferably has a thickness of 30 to 150 mm and a length of one side in a plane shape of 200 to 700 mm.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experiment of the present inventor, when the thickness of the rubber block 12 is set to 50 to 70 mm and the length of one side thereof is set to 500 to 700 mm, the primary shock absorption and construction of the warhead 6b And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도2 내지 도4에서는 상기 고무블록(12)의 평면 모양을 사각형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 밖에도 고무블록(12)의 평면 모양은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정할 수 있으며, 고무블록들(12)끼리 서로 맞물려 빈틈없이 연결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평면 모양을 갖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2 to 4, the planar shape of the rubber block 12 is shown as a quadrilateral shape. However, the planar shape of the rubber block 12 can be determin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triangle, a pentagon, a hexagon,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ny planar shape as long as the projections 12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ightly connected with each other.

상기 고무블록들(12)이 설치된 면적의 위 부분에는 보호케이스(14a)에 의해 감싸진 살수관(14)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살수관(14)은 탄두 포집장치(10)의 폭방향 길이 전체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살수관(14)에는 복수 개의 물분사공(14c)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어부(15, 도1 참조)의 제어명령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140)가 개방되면, 급수관(141)이 물이 그대로 살수관(14)으로 전달되고, 이어 물 분사공들(14c)을 통해서 고무 충전재들(13)이 있는 곳으로 물이 방출되게끔 되어 있다.  A water spray pipe 14 surrounded by a protective case 14a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area where the rubber blocks 12 are installed. As shown in FIG. The water spray pipe 1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ter spray holes 14c so that when the solenoid valve 140 is opened by a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ler 15 The water is delivered to the pipe 14 and then to the place where the rubber fillers 13 are present through the water jet holes 14c.

도4를 참고하면, 상기 보호케이스(14a)는 대체적으로 삼각형의 단면 구조를 가지며, 밑판(14d)에는 복수 개의 물 통과구멍들(14e)이 뚫려 있어서, 살수관(14)으로부터 물(W)이 방출되면, 그 물은 상기 보호케이스(14a)의 밑판(14d)에 마련된 물 통과구멍들(14e)을 통해서 그 아래의 고무 충전재들(13) 쪽으로 쉽게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케이스(14a)는 살수관(14)으로부터 물이 원활하게 아래쪽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그 단면 구조상 삼각형의 일부분이 개방부(14f)로서 열려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와 달리 상기 보호케이스(14a)에 개방부(14f)를 형성하지 않고 보호케이스(14a)의 모든 면을 다 막은 상태에서 상기 밑면(14d)에만 물 통과구멍들(14e)을 형성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4, the protective case 14a has a generally triang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water passage holes 14e are drilled in the bottom plate 14d so that the water W is discharged from the spray pipe 14, The water can be easily transmitted through the water passage holes 14e provided in the bottom plate 14d of the protective case 14a toward the rubber fillers 13 thereunder. The protective case 14a preferably has a portion of the triangle on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pened as an opening 14f in order to allow the water to smoothly escape downward from the water spray pipe 14.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water passage holes 14e only in the bottom surface 14d in a state in which the entire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14a is closed without forming the opening 14f in the protection case 14a It is possible.

도5 및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에 있어서 탄두 포집장치(10) 안에서 탄두의 충격에 따른 마찰열에 의해 화재(19)가 발생한 경우 살수관(14)에서 물(W)을 신속히 방출하여 소화하는 장면을 도시한다. 이 중 도5는 탄두 포집장치의 탄두 포집공간(10a) 안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살수관(14)에서 물(W)을 방출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6은 살수관(14)에서 방출한 물(W)에 의해 화재가 소화되는 장면을 도시한다.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recovering water W from a water spray pipe 14 when a fire 19 is generated by a frictional heat due to an impact of a warhead in a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in an empty chamber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o quickly extinguish and extinguish.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a fire occurs in the warhead collecting space 10a of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and starts to discharge the water W from the water draining tube 14, and FIG. And the fire is extinguished by a water (W).

도5를 참고하면, 탄두(6b)의 강한 충격으로 인한 마찰열 발생으로 인해 탄두 포집장치(10)안의 고무 충전재들(13) 속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감지센서(16)는 그 화재로 인한 온도 상승을 신속히 감지하여 센서 케이블(16a)을 통해서 제어부(15)로 신호를 전달한다. 제어부(15)가 화재감지센서(16)의 신호에 의해 탄두 포집장치(10)내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부(15)는 살수관 제어케이블(14b)을 통해 살수관(14)의 솔레노이드 밸브(140, 도3 참조)에게로 개방 제어신호를 인가하며, 이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브 밸브(140)가 개방되면 급수관(141, 도3 참조)의 물이 살수관(14)으로 공급되고, 살수관(14)으로부터는 물(W)이 방출된다. 5, when a fire occurs in the rubber fillers 13 in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due to the generation of frictional heat due to a strong impact of the warhead 6b, the fire detection sensor 16 detects the fire The temperature rise is detected promptly and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5 through the sensor cable 16a. When the control unit 15 determines that a fire has occurred in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by the signal of the fire detection sensor 16, the control unit 15 controls the water spray pipe 14 through the water spray pipe control cable 14b.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pipe 141 (see FIG. 3) is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pipe 14 when the solenoid valve 140 is opened, thereby supplying an open control signal to the solenoid valve 140 , And the water (W)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spray pipe (14).

이어서 도6을 참고하면, 상기 살수관(14)으로부터 방출된 다량의 물(W)이 신속하게 화재발생부분(19)을 덮침으로써 고무 충전재들(13)에서 발생되었던 화재는 조기에 진압되고, 이때 방출된 물(W)은 탄두 포집장치(10)의 하부에 마련된 배수시설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6, when a large amount of water W discharged from the water spray pipe 14 quickly covers the fire generating portion 19, the fire generated in the rubber fillers 13 is suppressed early, At this time, the discharged water (W)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drainage facility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탄두 포집장치(10a)의 바닥 부분에는 경사 집수관부(18a)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살수관(14)으로부터 방출된 물(W)은 경사 집수관부(18a)로 쉽게 모여들에 되는데, 이때 상기 탄두 포집장치(10a)의 바닥 부분에는 걸림망판(18b)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무 충전재들(13)은 걸림망판(18b)에 걸려 경사 집수관부(18a) 쪽으로 누출되지 않고, 오직 물(W)만이 경사 집수관부(18a)로 흘러 내려가게 된다. The water W discharged from the water spray pipe 14 is easily collected into the slop water collecting pipe 18a at the bottom of the warhead collecting device 10a, The rubber fillers 13 are caught by the engaging wall plate 18b and are not leaked toward the inclined water collecting pipe 18a because the engaging wall plate 18b is provided at the bottom portion of the warhead collecting device 10a, Only downward flows to the inclined water collecting pipe 18a.

상기 경사 집수관부(18a)로 흘러내린 물(W)은 배수관(18)을 거쳐서 외부에 마련된 배수 저장탱크(180)로 흘러가며, 상기 배수 저장탱크(180)는 이렇게 모아진 물을 보관한 후에 수처리 시설(181)로 보내서 정화처리 등 필요한 수처리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The water W flowing into the sloping water collecting pipe portion 18a flows to a drainage storage tank 180 provided outside through a drain pipe 18. The drainage storage tank 180 stores the collected water, And then sent to the facility 181 to perform water treatment operations such as purification treatment.

본 발명에서 상기 고무 충전재들(13)의 크기를 0.1~3㎜의 범위로 설정한 이유는, 우선 탄두를 훼손 없이 효과적으로 포집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함과 함께,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할 때 고무 충전재들의 입자 크기가 적어도 3㎜ 이하로 되어야만 고무 충전재들 사이의 틈새 공간이 작아져서 화재 발생에 필요한 공기의 함량 자체가 어느 정도 억제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reason for setting the size of the rubber fillers 13 in the range of 0.1 to 3 mm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the purpose of effectively collecting the warhead without damaging it, The particle size of the rubber fillers should be at least 3 mm or less so that the interstitial space between the rubber fillers is small and the air content necessary for the fire generation itself can be suppressed to some extent.

즉, 고무 충전재들(13)의 입자 크기가 3㎜ 이상으로 큰 경우에는 고무 충전재들 간의 틈새 사이의 공간이 커져서 그 틈새 공간들을 통해 공기가 통하기가 쉽고, 그러면 그 공기 중에 포함된 산소의 함량 역시 많아져서 화재가 보다 쉽게 발생할 위험이 있다. 반면, 고무 충전재들(13)의 크기를 1㎜ 이하로 유지할 경우에는, 고무 충전재들(13)간의 틈새 공간 자체가 대폭 감소되고, 그 결과 그 틈새 공간 안에 존재하는 산소의 함량 자체가 극히 적어지게 되므로, 탄두의 충격에 따른 마찰열이 발생하더라도 고무 충전재들(13) 속에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은 상당히 줄어들게 된다. That is, when the particle size of the rubber fillers 13 is larger than 3 mm, the space between the gaps between the rubber fillers becomes larger and the air easily passes through the gaps, so that the content of oxygen contained in the air There is a risk that the fire will occur more easi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size of the rubber fillers 13 is kept at 1 mm or less, the space between the rubber fillers 13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content of oxygen existing in the space is extremely small Therefore, even if friction heat is generated due to the impact of the warhead,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fire in the rubber fillers 13 is considerably reduced.

본 발명은 탄두 포집장치(10) 내의 고무 충전재들(13) 사이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조속히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방수시설을 기본적으로 갖추었지만, 이보다 우선하여 상기 고무 충전재들(13)의 입자 크기를 1㎜ 이하의 미세한 사이즈로 설정하고 또 재질 자체를 내열성 및 내화성이 있는 실리콘 고무 계통의 재질로 함으로써 탄두의 마찰열로 인한 화재발생 위험을 대폭 낮추도록 한 것에 큰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equipped with a waterproofing facility capable of suppressing the fire in the event of a fire occurring in the space between the rubber fillers 13 in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However, Is set to a fine size of 1 mm or less and the material itself is made of a silicone rubber material having heat resistance and fire resistance,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risk of fire caused by frictional heat of the warhead.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에 있어서 탄두 포집장치(1)의 고무 충전재들(13) 사이에 탄두들(6b)이 다수 박혀서 포집된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은 탄두 포집장치(10)의 경사진 상면이 표적판(7)에 대해서 30~50°의 각도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표적판(7)을 통과한 탄두(6b)가 들어와서 박힐 때에 고무 충전재들(13) 속에서 비교적 긴 이동거리를 지나므로, 탄두(6b)의 운동에너지가 안전하고 충분하게 고무 충전재들(13)에 의해서 흡수되어 탄두(6b)가 파손됨이 없이 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탄두(6b)가 관통함에 의해서 고무블록들(11)과 고무매트(12)는 다수의 관통흔적을 갖게 되는데, 고무 재질의 특성상 벌어진 부분은 다시 오무려지는 성질이 있으므로 그 관통된 구멍들로 고무 충전재들(13)이 새어 나오는 일은 없다. 한편, 탄두(6b)에 의해서 지나치게 많이 파손된 고무블록들(11)과 고무매트(12)는 탄두의 분리회수 작업을 진행할 때에 함께 교체하는 식으로 보수작업을 진행하면 된다.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warheads 6b are trapped between the rubber fillers 13 of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 in the salvage collecting system of the indoor chamber shot r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loped upper surface of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has an angle of 30 to 50 with respect to the target plate 7, The kinetic energy of the warhead 6b is absorbed by the rubber fillers 13 safely and sufficiently so that the warhead 6b can be wound around the warp 6b, Can be maintained in a shape close to a circle without being damaged. As the warhead 6b penetrates, the rubber blocks 11 and the rubber mat 12 have a large number of penetration marks. Due to the nature of the rubber material, The rubber fillers (13) do not leak out. On the other hand, the rubber blocks 11 and the rubber mats 12, which are excessively damaged by the warhead 6b, may be repaired by replacing the rubber mats 12 when the warhead is separated and collected.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에 있어서 탄두(6b)를 회수하기 위한 1차 작업단계로서 탄두 포집공간(10a)안의 고무 충전재들(13)과 탄두(6b)들을 충전재 이송호스(23)를 이용해서 탄두 분리 회수 장치(40)로 이송하는 과정을 도시하며, 이와 함께 2차 작업단계로서 탄두 분리 회수장치(40)에서 고무 충전재들로부터 탄두를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ubber filling materials 13 and the warhead 6b in the warhead collecting space 10a are filled with the filler material 6b as a primary work step for collecting the warhead 6b in the salvage collecting system of the indoor chamber shot r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ing device 40 by using the hose 23. At the same time, a process of separating the warhead from the rubber fillers by the separator-collecting device 40 as a secondary working step is shown.

도8을 참고하면, 일정 분량의 사격훈련이 종료된 후에 탄두 포집장치(10) 내에 충분히 많은 양의 탄두들(6b)이 포집되었으면, 고무 충전재들(13) 중의 탄두(6b)를 회수하기 위해서 우선 탄두 포집공간(10a)을 덮고 있는 고무블록들(11)과 고무매트(12)를 걷어내고, 그 상방에 떠 있는 충전재 이송호스(23)를 이동시켜서 호스의 입구 부분에 해당하는 호스 헤드(23a)를 고무 충전재(13)가 있는 곳에 갖다 대고, 탄두 분리 회수장치(40)의 진공펌프(43)를 작동시켜, 고무 충전재들(13)이 충전재 이송호스(23)를 따라 탄두 분리 회수장치(40) 쪽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8, when a sufficient amount of warheads 6b have been collected in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after a certain amount of shooting training has been completed, in order to collect the warhead 6b in the rubber filling materials 13 The rubber blocks 11 and the rubber mat 12 covering the warhead capture space 10a are first removed and the filler transfer hose 23 floating above the rubber mats 12 is moved so that the hose head corresponding to the inlet portion of the hose 23a are placed at the location of the rubber filler 13 and the vacuum pump 43 of the salvage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40 is operated so that the rubber fillers 13 are conveyed along the filler conveying hose 23, (40).

충전재 교체장치(20)는 제1레일수단(21)을 따라 이동하는 2개의 캐리어들(21a)과 상기 캐리어들(21a)의 하부에 연결된 제2레일수단(22)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 개의 호이스트들(22a)에 의해서 충전재 이송호스(23)의 호스 헤드(23a)를 탄두 포집장치(10) 상방의 X-Y 좌표상에서 어느 지점이든간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또 호이스트들(22a)에 결합된 권양기(22c)의 로프 권양 정도에 따라 호스헤드(23a)의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들(21a)과 호이스트들(22a) 및 권양기들(22c)의 운전 상태는 리모콘(15a)에 의해서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하므로, 작업자는 리모콘(15a)을 조작해서 각각의 캐리어(21a)의 이동위치와 호이스트(22a)의 이동위치 및 권양기(22c)의 로프 길이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The filler material exchange apparatus 20 includes a plurality of hoists 22a and 22b which move along two rails 21a moving along the first rail means 21 and a second rail means 22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arriers 21a, The hose head 23a of the filler conveying hose 23 can be positioned at any position on the XY coordinate of the warhead collecting device 10 by the winder 22a and the winder 22a The height of the hose head 23a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height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pe winding of the hose head 22a. Since the operating states of the carriers 21a, the hoists 22a and the winches 22c can be remotely controlled by the remote controller 15a, the operator can operate the remote controller 15a to operate the respective carriers 21a, The moving position of the hoist 22a, and the rope length of the winch 22c can be adjusted as desired.

충전재 이송호스(23)의 호스 헤드(23a)가 아래로 내려가려면 충전재 이송호스(23)의 나머지 부분들도 그만큼 더 아래로 내려와야 하고, 또 호스 헤드(23a)의 위치에 맞춰 그 뒤의 나머지 호스 부분들도 이동해야 하므로, 호스 헤드(23a)의 위치를 탄두 포집장치(10) 상방의 XYZ 좌표상에서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호스(23)의 나머지 부분들의 위치도 함께 조정해야 한다. In order for the hose head 23a of the filler conveyance hose 23 to be lowered,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filler conveyance hose 23 must be lowered as much as possible. Further,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hose head 23a, The position of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hose 23 must be adjusted in order to move the position of the hose head 23a to a desired position on the XYZ coordinates above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as well.

상기 호이스트들(22a)은 제2레일수단(22) 상에서 레일바퀴(22e)가 이동함에 따라 주행할 수 있으며, 각각의 레일바퀴(22e)는 호이스트(22a)의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된 구동휠(22d)과 구동벨트(22f)로 연결되어 있어서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제2레일수단(22) 상에서 구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8 및 도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4개의 호이스트들(22a)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중에서 제1호이스트(22a-1)의 권양기(22c)에 연결된 로프(22b)에 호스 헤드(23a)가 고정되어 있으며, 제2호이스트(22a-2), 제3호이스트(22a-3) 및 제4호이스트(22a-4)에 연결된 로프들에는 충전재 이송호스(23)의 나머지 부분들이 매달려서 지지된다. The hoists 22a can travel as the rail wheels 22e move on the second rail means 22 and each of the rail wheels 22e is driven by a drive wheel (not shown)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of the hoist 22a 22d and the drive belt 22f so as to be able to roll on the second rail means 22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8 and 9, four hoists 22a are shown, of which the rope 22b connected to the hoist 22c of the first hoist 22a-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filler conveyance hose 23 are suspended in the ropes connected to the second hoist 22a-2, the third hoist 22a-3 and the fourth hoist 22a-4 .

상기 캐리어들(21a) 및 호이스트들(22a)과 권양기들(22c)의 계속적인 동작에 의해서, 상기 충전재 이송호스(23)의 호스 헤드(23a)는 고무 충전재(13)의 분량이 줄어듦에 따라서 그에 맞춰 위치가 수시로 재조정되며, 탄두 포집공간(10a) 내의 격벽(30, 도2 참조)으로 구분된 소규모 탄두 포집공간(31, 32, 33, 34, 35)안의 모든 고무 충전재들(13)을 모두 빨아들여 밖으로 이송완료할 때까지 계속 위치를 변경시켜 가면서 고무 충전재(13)를 흡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continuous operation of the carriers 21a and the hoists 22a and the winches 22c causes the hose head 23a of the filler conveying hose 23 to move in a direction All the rubber fillers 13 in the small warhead capture spaces 31, 32, 33, 34, and 35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30 (see FIG. 2) in the warhead capture space 10a And sucking the rubber filler 13 while continuing to change positions until it is completely conveyed out.

상기 충전재 교체장치(20)의 충전재 이송호스(23)에 의해서 밖으로 이동된 고무 충전재(13)는, 실내 실탄사격장(1)의 외부에 설치된 탄두 분리 회수장치(40)의 탄두 분리기(41)를 통과하게 되며, 이 탄두 분리기(41)에서 탄두(6b)는 필터(41a)에 걸러져 안내관(41b)을 따라 내려간 다음 탄두저장탱크(41c)에 수집되고, 입자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고무 충전재(13)는 필터(41a)를 그대로 통과해서 충전재 거름부(42)로 들어간다. 상기 충전재 거름부(42)는 고무 충전재(13)를 걸러내고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충전재 거름부(42)에 의해서 걸러진 고무 충전재(13)는 충전재 이송관(42a)을 따라 이동된 다음 충전재 저장호퍼(45)에 모이게 된다. The rubber filler 13 moved out by the filler transfer hose 23 of the filler exchanging device 20 is supplied to the bullet separator 41 of the bulle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40 provided outside the indoor chamber shooting range 1 The warhead 6b in the warhead separator 41 is filtered by the filter 41a and is collected along the guide pipe 41b and then collected in the warhead storage tank 41c to be filled with a rubber filler 13 passes through the filter 41a as it is and enters the filling material filtering section 42. [ The filler filtering section 42 functions to filter the rubber filler 13 and discharge the air to the outside. The rubber filler 13 filtered by the filler filtering section 42 flows along the filler conveying pipe 42a And is collected in the next filler storage hopper 45 after being moved.

한편, 충전재 교체장치(20)가 탄두 포집장치(10)내의 고무 충전재들(13)을 빨아올리거나(도8 참조) 또는 탄두 분리 회수장치(40)로부터 다시 고무 충전재들(13)을 이송받아서 탄두 포집장치(10) 내에 쏟아 부을 때에는(도10 참조) 어쩔 수 없이 상당히 많은 분진과 먼지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탄두 포집장치(10)의 상방에 설치된 제2공기흡입구(202)가 이러한 분진과 먼지들을 신속하게 흡입해서 외부의 공기정화장치(204)로 배출하므로 실내 실탄사격장(1) 내부에는 먼지가 별로 날리지 않게끔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ller replacement device 20 sucks up the rubber fillers 13 (see FIG. 8) in the warhead collecting device 10 or the rubber fillers 13 is transferred again from the warhead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40 A large amount of dust and dust are inevitably generated when the dust is poured into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refer to FIG. 10). At this time, the second air intake port 202 provided above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And dusts are quickly suck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air purifying unit 204, so that dust can be prevented from flying inside the indoor chamber shooting range (1).

도8에서 도면부호 44a는 탄두 분리기(41)의 전방에 연결된 연결관을 가리키며, 도면부호 44는 상기 연결관(44a)과 충전재 이송호스(23)의 제2단부를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하는 관 연결부(44)를 가리킨다. 그리고 도면부호 43a는 상기 진공펌프(43)의 후단에 연결된 공기배출관을 가리키며, 도면부호 6d는 탄두 저장탱크(41c)안에 수집된 탄두 회수물을 가리킨다.Reference numeral 44a denotes a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warhead separator 41. Reference numeral 44 denotes a pipe connecting the connection pipe 44a and the second end of the filler conveyance hose 23 in a detachable manner. And indicates the connection portion 44. Reference numeral 43a denotes an air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vacuum pump 43. Reference numeral 6d denotes a recovered shell recovered in the shell storage tank 41c.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의 평면 구조도로서, 탄두 포집장치(10)의 상방에 설치된 충전재 교체장치(20)의 평면 배치구조를 도시함과 아울러 상기 탄두 포집장치(10)와 탄두 분리 회수 장치(40)간이 충전재 이송호스(23)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다. 9 is a plan view of the salvage collecting system of the indoor chamber shot r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the planar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lling material replacing apparatus 20 installed above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and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And the bullet-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ller-conveying hose 23.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1)의 천장(2)에는 제1레일수단(21)과 제2레일수단(22)이 직간접으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횡방향(사격장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제1레일수단(21)을 따라 캐리어들(21a)이 주행함으로써 제2레일수단(22)이 횡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2레일수단(22) 상에 설치된 호이스트들(22a)이 종방향(사격장의 길이방향)으로 주행함으로써 호이스트들(22a)에 매달린 충전재 이송호스(23)의 위치 및 자세가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9, the first rail means 21 and the second rail means 22 ar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ceiling 2 of the indoor chamber shot rang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for the second rail means 22 to move in the lateral direction by moving the carriers 21a along the first rail means 21 install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hooting range.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filler conveyance hose 23 hanging on the hoists 22a are changed by moving the hoists 22a provided on the second rail means 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ooting range) It is possible.

상기 탄두 포집장치(10)의 탄두 포집공간(10a)은 격벽들(30)에 의해서 복수 개의 소규모 탄두 포집공간들(31, 32, 33, 34, 35)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소규모 탄두 포집공간들(31, 32, 33, 34, 35)별로 하나씩 고무 충전재(13)의 방출과 탄두 분리작업을 거친 후에 다시 고무 충전재(13)들을 원래의 포집공간 안으로 되돌려 보내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Since the warhead collecting space 10a of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is divided into the plurality of small warhead capturing spaces 31, 32, 33, 34 and 35 by the partitions 30,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operation of returning the rubber fillers 13 back into the original collecting space after the release of the rubber filler 13 and the separation of the warhead are performed one by one for each of the spaces 31, 32, 33, 34 and 35.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에 있어서 탄두(6b)를 모두 분리해 낸 고무 충전재들(13)을 다시 충전재 이송호스(23)를 이용하여 탄두 포집장치(10)로 돌려보내서 탄두 포집공간(10a)을 원래대로 채워 넣는 과정을 도시한다.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ubber fillers 13 separated from the warhead 6b are returned to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by using the filler transfer hose 23 in the salvage collec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lling the bullet trapping space 10a with the original bullet trapping space 10a.

상기 충전재 저장호퍼(45)에 수집된 고무 충전재(13)는 충전재 저장호퍼(45)의 하부에 연결된 블로어(blower, 46)에 의해서 이송배관(46a)을 타고 다시 배출될 수 있는데, 상기 블로어(46)에는 에어 컴프레서(47)에서 생산된 압축공기가 공급되므로, 블로어(46)는 고압의 공기압으로 고무 충전재(13)를 불어서 내보낼 수 있다. The rubber filler 13 collected in the filler storage hopper 45 may be discharged again through the transfer pipe 46a by a blower 46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ller storage hopper 45, 46 are supplied with the compressed air produced by the air compressor 47, the blower 46 can blow out the rubber filler 13 with a high-pressure air pressure.

탄두 포집공간(10a) 내의 특정한 소규모 탄두 포집공간(31, 32, 33, 34, 35)안에 있는 고무 충전재(13)들이 모두 충전재 저장호퍼(45)로 보내지기까지는, 탄두 분리 회수 장치(40)의 진공펌프(43)를 비롯한 고무 충전재(13)의 이송과 탄두(6b)의 분리에 관여하는 부분들만이 작동하고, 고무 충전재(13)를 다시 탄두 포집공간(31, 32, 33, 34, 35)으로 되돌려 보내기 위한 블로어(46) 및 에어 컴프레서(47)는 작동하지 않는다. 즉, 특정한 소규모 탄두 포집공간(31, 32, 33, 34, 35)안의 고무 충전재들(13)이 깨끗이 비워진 이후에야, 비로소 충전재 저장호퍼(45)안에 수집된 고무 충전재들(13)을 블로어(46)로 불어서 충전재 이송호스(23)를 통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 보내 채우는 것이다. Until the rubber fillers 13 in the specific small warhead capture spaces 31, 32, 33, 34 and 35 in the warhead capture space 10a are all sent to the filler storage hopper 45, Only the parts involved in the transfer of the rubber filler 13 and the separation of the bullet 6b are activated and the rubber filler 13 is again introduced into the bullet trapping spaces 31, 32, 33, 34, The blower 46 and the air compressor 47 for returning the air to the air conditioner 35 are not operated. That is, only after the rubber fillers 13 in the specific small warhead capture spaces 31, 32, 33, 34, and 35 are cleaned, the rubber fillers 13 collected in the filler storage hopper 45 are blown 46), and is fed back to the original position through the filler transfer hose (23).

탄두 포집장치(10)의 고무 충전재(13)를 탄두 분리 회수장치(40)로 이송하는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도10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충전재 이송호스(23)의 제2단부(도8에서 ??부분)에 체결된 관 연결부(44)를 분리하여 충전재 이송호스(23)와 진공펌프(43)간의 연결을 해제하며, 대신 충전재 이송호스(23)의 제2단부(??부분)를 이송배관(46a)의 단부(??부분)와 연결하도록 한다. 이렇게 충전재 이송호스(23)의 제2단부를 이송배관(46a)과 연결한 다음 에어 컴프레서(47)와 블로어(46)를 작동시키면 충전재 저장호퍼(45) 안의 고무 충전재들(13)은 충전재 이송호스(23)를 따라 다시 원래의 있던 장소로 되돌아가게 된다. After the work of transferring the rubber filler 13 of the warhead collecting device 10 to the salvage collecting and collecting device 40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10, the second end of the filler conveying hose 23 The pipe connecting portion 44 connected to the filling material transfer hose 23 is disconnected to relea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lling material transfer hose 23 and the vacuum pump 43 and the second end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end portion of the transfer pipe 46a. When the second end of the filler transfer hose 23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46a and then the air compressor 47 and the blower 46 are operated, the rubber fillers 13 in the filler storage hopper 45 are filled with the filler And returns to the original place along the hose 23 again.

상기 충전재 이송호스(23)를 이용해서 고무 충전재(13)를 탄두 포집장치(10)로 되돌려 보낼 때도 리모콘(15a)으로 충전재 교체장치(20) 중의 캐리어들(21a)과 호이스트들(22a) 및 권양기들(22c)을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충전재 이송호스(23)의 호스 헤드(23a)를 탄두 포집공간(10a)내의 필요한 위치에 갖다 대어, 고무 충전재(13)들이 탄두 포집공간(10a) 안에 안전하게 쏟아 부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 carriers 21a and the hoists 22a and 22a of the filler replacement device 20 are connected to the remote controller 15a when the rubber filler 13 is returned to the warhead collector 10 by using the filler transfer hose 23. [ The hose head 23a of the filler conveyance hose 23 is brought into a necessary position in the warhead accommodation space 10a so that the rubber fillers 13 are held in the warhead accommodation space 10a by remote control of the winches 22c Ensure safe pour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탄두 분리 회수장치(40)는 실내 실탄사격장(1)의 외부에 별도로 시설을 구축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탄두 분리 회수장치(40)를 이동 가능한 차량안에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이동식 차량 안에 탄두 분리 회수장치(40)의 설비를 구성하게 되면, 실내 실탄사격장들마다 탄두 분리 회수장치(40)를 각각 시설할 필요가 없게 되고, 이동식 탄두 분리 회수장치 차량이 사격장을 방문하여 탄두의 분리와 회수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llet-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40 has been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a separate facility is constructed outside the indoor chamber shooting range 1. Alternatively, the bullet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40 may be installed in a movable vehicle It is also possible to build. When the facility of the bulle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40 is constructed in the portable vehicle,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the bulle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40 for each indoor area of the commercial shooting ranges. When the portable bulle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vehicle visits the shooting range The separation and recovery of the warhead can be carried out.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내 실탄사격장(1)의 천장 부근에 충전재 교체장치(20)를 설치하고 충전재 이송호스(23)의 위치 및 자세를 조절할 수 있는 캐리어(21a), 호이스트(22a) 및 권양기(22c) 등의 장비들을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와 달리 이동식 탄두 분리 회수장치 차량에 일체형으로 또는 이와 별도의 차량에 위치 이동이 가능한 붐(boom)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붐 장치에 충전재 이송호스를 매달아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실내 실탄사격장(1)에 충전재 교체장치(20)를 설치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렇게 실내 실탄사격장(1)에 충전재 교체장치(20)를 시설하지 않고 이동식 차량의 붐 장치를 이용하여 충전재 이송호스(23)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이동식 차량의 붐 장치와 충전재 이송호스가 사격장의 내부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어야 하므로, 사격장의 천장 또는 벽체 일부가 개방 가능하도록 건물의 구조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ler replacement device 20 is installed near the ceiling of the indoor room shooting range 1, and the carrier 21a, the hoist 22a, And a hoisting machine 22c. Alternatively, a boom device capable of being moved to a separate vehicle or a separate vehicle can be installed in the mobile salvage separating and recovering vehicle, and the boom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filler conveying hose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filler replacement device 20 from being installed in the indoor room shooting range 1. However, when the filling material transfer hose 23 is used by using the boom device of the mobile type vehicle without installing the filler material exchange device 20 in the indoor room shooting range 1, the boom device of the mobile type vehicle and the filler material transfer hose are moved to the shooting range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so that the ceiling of the shooting range or a part of the wall can be opened.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탄두 포집장치(10)의 탄두 포집공간(10a) 안에 화재감지센서(16)와 살수관(14)이 추가로 설치되어 탄두 포집공간(10a)안에서의 화재 발생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도시한다.FIG. 11 is a block diagram of an empty chamber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ire detection sensor 16 and a water spray pipe 14 are installed in a warhead collection space 10a of a warhead collector 10, So as to more effectively cope with the occurrence of fire in the warhead trapping space 10a.

본 발명은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에 있어서 탄두 포집장치(10a)안에 화재감지센서(16)와 살수관(14)을 설치함으로써, 고무 충전재(13)들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즉시 이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살수관(14)의 물을 방출하여 불을 끌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러한 화재방지기능을 보다 더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살수관 장치를 증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11과 같이 탄두 포집장치(10)의 내부 공간 안에 살수관(14)을 추가로 설치하였으며, 살수관(14)을 탄두(6b)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케이스(14a) 역시 추가로 더 설치하였다. 그리고 화재감지 기능을 보다 확실하게 담보하기 위하여 화재감지센서들(16)도 충분한 개수로 증설하는 것으로 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re detection sensor 16 and a water spray pipe 14 are installed in the warhead collecting device 10a in the empty chamber recovery system of the indoor room shooting range, and when a fire occurs in the rubber filling materials 13, And water is automatically discharged from the water spray pipe 14 so that the fire can be turned off. In order to more reliably perform the fire prevention function, it is necessary to add a water spray pipe device. 11, a water spray pipe 14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and the water spray pipe 14 is protected from the impact of the warhead 6b, And the protective case 14a for installing the protective case 14a is further provided. In order to more reliably secure the fire detection function, the fire detection sensors 16 are also installed in a sufficient numb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은 주로 50미터 정도의 사격거리를 가진 실내 사격장에 있어서 표적판의 뒤쪽에 고무충진재들을 경사진 사면의 형태로 쌓아올려 만든 탄두 포집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탄두들이 고무 충진재들로 이루어진 탄두 포집장치에 박혀 훼손없이 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고, 탄두 포집장치를 채우고 있는 고무 충전재들을 진공펌프에 연결된 호스를 통해서 외부의 탄두 분리 회수장치로 반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력을 많이 들일 필요없이 자동화된 설비에 의해서 고무 충전재들의 반출과 탄두 분리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의 탄두 분리 회수장치에 의해서 탄두 제거가 완료된 후에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블로어 장치를 이용해서 호스를 통해 고무 충전재들을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 보낼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도 역시 인력의 수고없이 자동화된 설비에 의해서 고무 충전재들의 반입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alvage collecting system of indoor chamber shot r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composed of a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in which rubber filling materials are piled up in the form of inclined slopes at the rear of the target plate in an indoor shooting range having a shooting distance of about 50 meters So that the warheads can be collected in a warhead collecting device made of rubber fillers so that they can be recovered in a shape close to the circular shape without any damage and the rubber filling materials filling the warhead collecting device can be collected through the hose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removal of the rubber fillers and the separation of the warhead by an automated facility without requiring a lot of manpower. In addition, after the removal of the warhead by an external bullet-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the rubber fillers can b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 through the hose by using a blower using a compressed air. In this case, too,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oading work of the rubber fillers can be completed by the automated equipmen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은 실내 사격장의 내부에 다수 개의 공기 흡입구들과 공기흡입덕트들을 설치함으로써 사격으로 인해 발생한 화약성분들과 분진들을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고 정화시킬 수 있으며, 그와 함께 외부의 신선한 공기 및/또는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신속하게 유입하도록 함으로써, 많은 사격활동에도 불구하고 사격장 내부의 실내 공기질을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여 사격훈련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의 건강을 잘 지켜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n shot recovery system of indoor chamber shot rang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ir inlets and air suction ducts in the indoor shooting range, so that the gunpowder components and dust generated due to shooting can be quickly discharged and purified to the outside , So that fresh air and / or purified air from outside can be rapidly introduced into the room, so that the indoor air quality inside the shooting range is always kept clean in spite of a lot of shooting activities, It is advantageous to protect it well.

1: 실내 사격장 2: 천장
2a: 차단판 3: 벽체
4: 지면 4a: 바닥층
5: 발사위치 5a: 발사대
6: 사격자 6a: 총기
6b: 탄두 6d: 탄두 회수물
7: 표적판 7a: 스탠드
10: 탄두 포집장치 11: 고무블록
11a: 상면 11b: 측면
11c: 돌출부 11d: 끼움홈
12: 고무매트 13: 고무 충전재
14: 살수관(撒水管) 14a: 보호케이스
14b: 살수관 제어케이블 14c: 물 분사공
14d: 밑판 14e: 물 통과구멍
14f: 개방부 15: 제어부
15a: 리모콘 16: 화재감지 센서
16a: 센서케이블 17: 지지턱
17a: 하단 지지부 18: 배수관
18a: 경사 집수관부 18b: 거름망 판
19: 화재발생부분 20: 충전재 교체장치
21: 제1레일수단 21a: 캐리어
21b: 레일바퀴 21c: 구동벨트
22: 제2레일수단 22a: 호이스트
22a-1, 22a-2, 22a-3, 22a-4: 제1, 제2, 제3 및 제4호이스트
22b: 로프 22c: 권양기
22d: 구동휠 22e: 레일바퀴
22f: 구동벨트 23: 충전재 이송호스
23a: 호스 헤드 30: 격벽
31, 32, 33, 34, 35: 탄두 포집공간 40: 탄두 분리 회수장치
41: 탄두 분리기 41a: 필터
41b: 안내관 41c: 탄두 저장 탱크
42: 충전재 거름부 42a: 충전재 이송관
43: 진공펌프 43a: 공기배출관
44: 관 연결부 44a: 연결관
45: 충전재 저장호퍼 46: 블로어(blower)
46a: 이송배관 47: 에어 컴프레서(air compressor)
100: 탄두 회수 시스템 110, 120: 파손부
140: 솔레노이드 밸브 141: 급수관
180: 배수저장탱크 181: 수처리시설
200: 환기 장치 201: 제1 공기 흡입구
201a: 제1 공기배출덕트 201b: 유인 송풍기
202: 제2 공기 흡입구 202a: 제2 공기배출덕트
202b: 유인 송풍기 203: 공기 공급구
203a: 공기 공급 덕트 204: 세정집진장치(wet scrubber)
205: 수처리 장치 W: 물
1: Indoor shooting range 2: Ceiling
2a: blocking plate 3: wall
4: Floor 4a: Floor
5: Launch position 5a: Launcher
6: Shooter 6a: Firearm
6b: Warhead 6d: Recovers the warhead
7: Target plate 7a: Stand
10: Warhead collecting device 11: Rubber block
11a: upper surface 11b: side surface
11c: projecting portion 11d: fitting groove
12: Rubber mat 13: Rubber filler
14: Sprinkler pipe 14a: Protective case
14b: Sprinkler pipe control cable 14c: Water spray hole
14d: Base plate 14e: Water passage hole
14f: opening part 15: control part
15a: remote control 16: fire detection sensor
16a: Sensor cable 17: Support jaw
17a: lower support portion 18: drain pipe
18a: inclined collecting pipe portion 18b:
19: Fire part 20: Filler replacement device
21: first rail means 21a: carrier
21b: rail wheel 21c: drive belt
22: second rail means 22a: hoist
22a-1, 22a-2, 22a-3, 22a-4: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hoists
22b: rope 22c: winch
22d: drive wheel 22e: rail wheel
22f: drive belt 23: filler feed hose
23a: Hose head 30:
31, 32, 33, 34, 35: warhead capture space 40:
41: Bullet separator 41a: Filter
41b: Guide tube 41c: Warhead storage tank
42: filling material filtering part 42a: filling material conveying pipe
43: Vacuum pump 43a: Air discharge pipe
44: pipe connection part 44a: connection pipe
45: filler storage hopper 46: blower
46a: transfer pipe 47: air compressor
100: Bullet recovery system 110, 120:
140: Solenoid valve 141: Water supply pipe
180: drainage storage tank 181: water treatment facility
200: Ventilation device 201: First air inlet
201a: first air exhaust duct 201b: manned blower
202: second air intake port 202a: second air exhaust duct
202b: manned blower 203: air supply port
203a: air supply duct 204: wet scrubber
205: water treatment device W: water

Claims (8)

실내 실탄사격장(1)에 있어서 실탄을 사용하는 총기(6a)로부터 탄두(6b)를 발사하는 총기 발사위치(5);
상기 총기 발사 위치(5)로부터 제1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며, 표적이 표시 또는 부착 설치된 표적판(7);
상기 표적판(7)의 후방에 위치하며,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충격 흡수부재들을 포함하여 상기 총기(6a)에 의해 발사되어 비행한 탄두(6b)를 포집하되, 그 내부공간은 직경이 0.1~3㎜인 고무 재질의 충전재들(13)로 채워진 탄두 포집장치(10);
상기 탄두 포집장치(10)에서 포집한 탄두(6b)를 고무 충전재(13)와 함께 탄두 분리 회수장치(40)로 이송하는 충전재 교체장치(20); 및
상기 충전재 교체장치(20)를 통하여 전달받은 탄두(6b) 및 고무 충전재(13)를 서로 분리하여 탄두(6b)를 회수하는 탄두 분리 회수장치(40);를 포함하며,
상기 탄두 포집장치(10)는,
상기 표적판(7)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실내 실탄사격장(1)의 뒤쪽 벽체(3)까지의 공간 안에 위치하며, 상면이 경사진 형태로 표적판(7) 쪽을 향하도록 하고, 후면은 실내 실탄사격장(1)의 뒤쪽 벽체(3)에 접함으로써, 그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단면 구조가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단면 구조를 갖고, 내부에는 고무 재질의 충전재들(13)이 채워진 탄두 포집공간(10a);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 안에 쌓인 고무 충전재들(13)의 위를 덮는 고무매트(12);
서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고무매트(12) 위에 설치되어서 고무매트(12)를 덮는 복수 개의 고무블록들(11);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의 상단에 설치된 살수관(14);
상기 살수관(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살수관(14)의 둘레를 감쌈으로써 상기 총기(6a)에서 발사된 탄두(6b)에 의해 상기 살수관(14)이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케이스(14a);
상기 살수관(14)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
상기 급수수단과 상기 살수관(14) 간의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에 의해서 개방 또는 폐쇄되는 솔레노이드 밸브(140);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의 내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재감지센서(16);
상기 화재감지센서(16) 및 솔레노이드 밸브(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화재감지센서(16)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의해서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 안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140)에 개방 제어신호를 출력해서 살수관(14)으로부터 물이 방출되도록 하는 제어부(15); 및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의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살수관(14)으로부터 방출된 물을 모아서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무매트(12)는 3~30㎜의 두께를 갖고, 상기 고무블록들(11)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평면 모양을 가지고 두께가 30~150㎜이며 상기 평면 모양에 있어서의 한 변의 길이가 200~7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
A firearm firing position 5 for firing a warhead 6b from a gun 6a using a field bullet in the indoor chamber gun shooting range 1;
A target plate (7) spaced a first distance from the gun firing position (5) and having a target displayed or attached thereto;
A plurality of impact absorbing members located behind the target plate 7 and containing a plurality of impact absorbing members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collecting the warhead 6b fired by the firearm 6a and having a diameter of 0.1 A warhead collecting device 10 filled with fillers 13 of rubber material of ~ 3 mm;
A filling material replacing device 20 for transferring the warhead 6b collected in the warhead collecting device 10 to the bulle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40 together with the rubber filling material 13; And
And a bulle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40) for separating the bullet (6b) and the rubber filling material (13) transferred through the filler replacement device (20)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Is located in a space from the rear of the target plate (7) to the rear wall (3) of the indoor room shot range (1), with its top surface facing the target plate (7) in an inclined manner, A sectional structur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has a triang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as a whole by abutting against the rear wall 3 of the shooting range 1 and a bullet capturing space 10a);
A rubber mat (12) covering the top of the rubber fillers (13) stacked in the warhead capture space (10a);
A plurality of rubber blocks (11) mounted on the rubber mat (12) in such a manner as to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covering the rubber mat (12);
A water spray pipe 14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warhead capture space 10a;
And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 spray pipe 14 and covers the circumference of the water spray pipe 14 to protect the water spray pipe 14 from breakage by the warhead 6b fired by the firearm 6a A protective case 14a;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pray pipe (14);
A solenoid valve 140 install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water supply means and the water spray pipe 14 and opened or closed by an electrical signal;
At least one fire detection sensor 16 installed inside the warhead capture space 10a;
When a fire is detected in the warhead trapping space 10a by a signal received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16, the solenoid valve 1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e detection sensor 16 and the solenoid valve 140, A control unit 15 for outputting an open control signal to discharge water from the water spray pipe 14; And
And draining mean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warhead capturing space 10a for collecting and discharg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spraying pipe 14,
The rubber mat (12) has a thickness of 3 to 30 mm and the rubber blocks (11) have a flat shape selected from a triangle, a quadrangle, a pentagon, a hexagon and an octagon, Wherein a length of one side in a plane shape is 200 to 700 m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두 포집장치(10)는,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의 전방 위치에서 실내 실탄사격장(1)의 바닥에 고정 설치된 지지턱(17); 및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의 전방 하단에 위치하며, 일측이 상기 지지턱(17)에 의해서 지지됨으로써 타측으로는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 안에 쌓인 고무 충전재들(13)과 그 위에 덮힌 상기 고무매트(12) 및 고무블록들(11)을 무너지지 않도록 지탱하는 하단 지지부(17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A supporting chin 17 fixed to the bottom of the indoor chamber shooting range 1 at a front position of the warhead capturing space 10a; And
The other end of the bullet trapping space 10a is located at a lower front end of the bullet trapping space 10a and one side thereof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rotrusion 17, And a lower support part (17a) for supporting the mat (12) and the rubber blocks (11) so as not to be collapsed.
실내 실탄사격장(1)에 있어서 실탄을 사용하는 총기(6a)로부터 탄두(6b)를 발사하는 총기 발사위치(5);
상기 총기 발사 위치(5)로부터 제1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며, 표적이 표시 또는 부착 설치된 표적판(7);
상기 표적판(7)의 후방에 위치하며,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충격 흡수부재들을 포함하여 상기 총기(6a)에 의해 발사되어 비행한 탄두(6b)를 포집하되, 그 내부공간은 직경이 0.1~3㎜인 고무 재질의 충전재들(13)로 채워진 탄두 포집장치(10);
상기 탄두 포집장치(10)에서 포집한 탄두(6b)를 고무 충전재(13)와 함께 탄두 분리 회수장치(40)로 이송하는 충전재 교체장치(20); 및
상기 충전재 교체장치(20)를 통하여 전달받은 탄두(6b) 및 고무 충전재(13)를 서로 분리하여 탄두(6b)를 회수하는 탄두 분리 회수장치(40);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재 교체장치(20)는, 상기 탄두 포집장치(10)와 상기 탄두 분리 회수장치(40) 간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고무 충전재(13)의 이송 통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충전재 이송호스(23); 및 상기 충전재 이송호스(23)의 배치 형태 및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호스 위치 가변수단;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 위치 가변 수단은,
상기 탄두 포집장치(10)가 설치된 영역의 상방에서 실내 실탄사격장(1)의 천장(2)에 고정되며, 상기 탄두 포집장치(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배치된 제1레일수단(21);
상기 제1레일수단(21)에 결합되어 상기 제1레일수단(21)을 따라서 주행 가능한 캐리어(21a);
상기 캐리어(21a)에 결합되어 상기 제1레일수단(21)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1레일수단(2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2레일수단(22); 및
상기 제2레일수단(22)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2레일수단(22)을 따라 주행 가능하며, 권양기(22c)에 의해 로프(22b)를 감아올리거나 풀어서 내릴 수 있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호이스트(hoist, 22a);를 포함하며,
상기 권양기(22c)에 연결된 로프(22b)에는 상기 충전재 이송호스(23)의 일부가 매달림으로써, 상기 충전재 이송호스(23)는 탄두 포집공간(10a)의 상방에서 공중에 떠진 상태로 지지되고,
상기 캐리어(21a) 및 호이스트(22a)는 리모콘(15a)에 의해 원격 운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
A firearm firing position 5 for firing a warhead 6b from a gun 6a using a field bullet in the indoor chamber gun shooting range 1;
A target plate (7) spaced a first distance from the gun firing position (5) and having a target displayed or attached thereto;
A plurality of impact absorbing members located behind the target plate 7 and containing a plurality of impact absorbing members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collecting the warhead 6b fired by the firearm 6a and having a diameter of 0.1 A warhead collecting device 10 filled with fillers 13 of rubber material of ~ 3 mm;
A filling material replacing device 20 for transferring the warhead 6b collected in the warhead collecting device 10 to the bulle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40 together with the rubber filling material 13; And
And a bulle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40) for separating the bullet (6b) and the rubber filling material (13) transferred through the filler replacement device (20)
The filler material exchange device 20 may include a filler transfer hose 23 that can be used as a transfer path of the rubber filler 13 by connecting the warhead collecting device 10 and the cartridge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40 to each other; And hose position varying means capable of varying the arrangement and position of the filling material transfer hose (23)
Wherein the hose position varying means comprises:
A first rail means 21 fixed to the ceiling 2 of the indoor chamber shot range 1 above the region where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is installed and arranged i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
A carrier (21a) coupled to the first rail means (21) and capable of traveling along the first rail means (21);
Second rail means (22) coupled to the carrier (21a) and positioned below the first rail means (21) and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rail means (21); And
At least one hoist that is coupled to the second rail means 22 and is capable of traveling along the second rail means 22 and is capable of lifting or lowering the rope 22b by the hoist 22c hoist, 22a,
A part of the filler conveyance hose 23 is suspended in the rope 22b connected to the winch 22c so that the filler conveyance hose 23 is supported in a state of being floating in the air above the warhead capture space 10a,
Wherein the carrier (21a) and the hoist (22a) can be operated remotely by a remote controller (15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두 분리 회수장치(40)는,
상기 탄두 포집장치(10)와 상기 탄두 분리 회수장치(40) 간을 서로 연결하는 충전재 이송호스(23)에 음압(陰壓)을 걸어서,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 안의 고무 충전재(13)를 상기 충전재 이송호스(23) 안으로 빨아들이고, 이어 상기 충전재 이송호스(23)를 따라 탄두 분리 회수 장치(40) 쪽으로 이동되게끔 하는 진공펌프(43);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 내의 고무 충전재(13) 및 포집된 탄두들(6b)을 상기 충전재 이송호스(23)를 통해서 전달받아 탄두(6b)를 분리하고 고무 충전재(13)는 그대로 통과시키는 탄두분리기(41);
상기 탄두분리기(41)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고무 충전재(13)를 골라내고 공기만을 통과시키는 충전재 거름부(42);
상기 탄두분리기(41)에 의해서 분리된 탄두들을 보관하는 탄두 저장탱크(41c); 및
상기 충전재 거름부(42)에 의해서 걸러진 고무 충전재(13)를 보관하는 충전재 저장호퍼(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warhead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40)
A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ller conveyance hose 23 connecting the warhead collecting apparatus 10 and the warhead separating and collecting apparatus 40 so that the rubber filler 13 in the warhead collecting space 10a A vacuum pump 43 for sucking the filler into the filler conveying hose 23 and then moving the filler conveying hose 23 toward the salvage collecting and collecting device 40;
The rubber filling material 13 in the warhead collecting space 10a and the collected warheads 6b are received through the filling material transfer hose 23 to separate the warhead 6b and the warp- A separator 41;
A filler pouring portion 42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bullet separator 41 to extract the rubber filler 13 and to allow only air to pass therethrough;
A warhead storage tank 41c for storing the warheads separated by the warhead separator 41; And
And a filler storage hopper (45) for storing the rubber filler (13) filtered by the filler filtering part (4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두 분리 회수장치(40)는,
상기 충전재 저장호퍼(45)의 하단에 연결되며, 충전재 저장호퍼(45) 안의 고무 충전재(13)를 압축공기를 이용해서 불어 내보내는 블로어(blower, 46); 및
압축공기를 생산해서 상기 블로어(46)로 공급하는 에어 컴프레서(4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재 이송호스(23)의 양 단부들 중 상기 탄두 분리 회수장치(40) 쪽에 배치된 단부는 상기 탄두분리기(41)와 상기 블로어(46)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연결이 가능하며, 상기 충전재 이송호스(23)가 상기 블로어(46)와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충전재 저장호퍼(45) 내의 고무 충전재들(13)이 상기 탄두 포집장치(10)으로 보내져서 상기 탄두 포집공간(10a)을 다시 채우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
7.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bulle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40)
A blower 46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ller storage hopper 45 and blowing the rubber filler 13 in the filler storage hopper 45 using compressed air; And
And an air compressor (47) for producing compressed air and supplying it to the blower (46)
The end portion of the both ends of the filler conveying hose 23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hell collecting and collecting device 40 can be selectively connected to either the shell separator 41 or the blower 46, When the filler transfer hose 23 is connected to the blower 46, the rubber fillers 13 in the filler storage hopper 45 are sent to the warhead collector 10 to return the warhead capture space 10a The salvage recovery system of indoor chamber shot range characterized by being filled.
제1항, 제6항 및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두 분리 회수장치(40)는 이동 가능한 차량에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실탄사격장의 탄두 회수 시스템.The empty shell recovery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6, and 7, wherein the bullet separating and collecting device (40) is mounted on a movable vehicle.
KR1020150033777A 2015-03-11 2015-03-11 System for recovering bullet warheads at indoor shooting ranges for firing with live ammunition KR1015752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777A KR101575273B1 (en) 2015-03-11 2015-03-11 System for recovering bullet warheads at indoor shooting ranges for firing with live ammun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777A KR101575273B1 (en) 2015-03-11 2015-03-11 System for recovering bullet warheads at indoor shooting ranges for firing with live ammun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5273B1 true KR101575273B1 (en) 2015-12-21

Family

ID=55083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777A KR101575273B1 (en) 2015-03-11 2015-03-11 System for recovering bullet warheads at indoor shooting ranges for firing with live ammun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273B1 (en)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99908A1 (en) * 2015-10-16 2017-08-02 Hee Joung Kim Bullet collecting system for preventing occurrence of lead fume in indoor shooting range
KR101841656B1 (en) * 2017-03-30 2018-05-04 김인택 Warhead reclainer
KR101920269B1 (en) * 2018-05-31 2018-11-20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Mobile ammunition firing range to prevent enviromental pollution
KR101961686B1 (en) 2018-10-24 2019-03-25 김휘중 Mobile ammunition firing range of container type
KR102009459B1 (en) 2018-05-17 2019-08-09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Equipment system for indoor shooting ranges
KR102009462B1 (en) 2018-05-17 2019-08-09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Bullet warhead recovering apparatus of live ammunition
KR102009457B1 (en) 2018-09-28 2019-08-12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Mobile ammunition firing range to prevent enviromental pollution
KR102022827B1 (en) * 2019-03-30 2019-09-18 서형석 Sloped Bullet Recovery Device Using Natural Rubber Panel
KR102030426B1 (en) 2019-05-12 2019-11-08 주식회사 스위텍 The warhead return system which has dust removal function using energy harvesting
KR102077968B1 (en) * 2019-09-11 2020-02-14 (주)도심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otective equipment system for shooting ranges
KR102257194B1 (en) 2020-12-17 2021-05-28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Eco-friendly smart equipment system for indoor shooting ranges
KR102293658B1 (en) 2020-03-12 2021-08-26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Ventilation system for indoor shooting ranges
KR102378149B1 (en) 2021-06-28 2022-03-24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Eco-friendly ventilation system for indoor shooting ranges equipment and indoor shooting ranges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KR102381754B1 (en) 2020-09-29 2022-04-01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Ventilation system for indoor shooting ranges
KR102670073B1 (en) * 2022-03-04 2024-05-28 우순 Air-conditioning system for a indoor firing range using the difference in air press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74B2 (en) * 1984-02-22 1991-01-09 Masatoshi Ino
JPH0572143B2 (en) * 1982-11-18 1993-10-08 Tokyo Shibaura Electric Co
JP4300974B2 (en) * 2003-10-23 2009-07-22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Separation and collection device for stopping device
JP4572143B2 (en) * 2005-06-10 2010-10-27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Stop device and shooting training groun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143B2 (en) * 1982-11-18 1993-10-08 Tokyo Shibaura Electric Co
JPH03974B2 (en) * 1984-02-22 1991-01-09 Masatoshi Ino
JP4300974B2 (en) * 2003-10-23 2009-07-22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Separation and collection device for stopping device
JP4572143B2 (en) * 2005-06-10 2010-10-27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Stop device and shooting training ground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99908A1 (en) * 2015-10-16 2017-08-02 Hee Joung Kim Bullet collecting system for preventing occurrence of lead fume in indoor shooting range
US10190855B2 (en) 2015-10-16 2019-01-29 Hee Joung KIM Bullet collecting box capable of stacking and installing, and bullet collecting system for preventing occurrence of lead fume in indoor shooting range using the bullet collecting box
KR101841656B1 (en) * 2017-03-30 2018-05-04 김인택 Warhead reclainer
KR102009459B1 (en) 2018-05-17 2019-08-09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Equipment system for indoor shooting ranges
KR102009462B1 (en) 2018-05-17 2019-08-09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Bullet warhead recovering apparatus of live ammunition
KR101920269B1 (en) * 2018-05-31 2018-11-20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Mobile ammunition firing range to prevent enviromental pollution
KR102009457B1 (en) 2018-09-28 2019-08-12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Mobile ammunition firing range to prevent enviromental pollution
KR101961686B1 (en) 2018-10-24 2019-03-25 김휘중 Mobile ammunition firing range of container type
KR102022827B1 (en) * 2019-03-30 2019-09-18 서형석 Sloped Bullet Recovery Device Using Natural Rubber Panel
KR102030426B1 (en) 2019-05-12 2019-11-08 주식회사 스위텍 The warhead return system which has dust removal function using energy harvesting
KR102077968B1 (en) * 2019-09-11 2020-02-14 (주)도심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otective equipment system for shooting ranges
KR102293658B1 (en) 2020-03-12 2021-08-26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Ventilation system for indoor shooting ranges
KR102381754B1 (en) 2020-09-29 2022-04-01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Ventilation system for indoor shooting ranges
KR102257194B1 (en) 2020-12-17 2021-05-28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Eco-friendly smart equipment system for indoor shooting ranges
KR102378149B1 (en) 2021-06-28 2022-03-24 주식회사 에아가이아 Eco-friendly ventilation system for indoor shooting ranges equipment and indoor shooting ranges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KR102670073B1 (en) * 2022-03-04 2024-05-28 우순 Air-conditioning system for a indoor firing range using the difference in air pressure
KR102670066B1 (en) * 2022-03-04 2024-05-29 우순 Fire range using fire training system having a drone or robot targ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273B1 (en) System for recovering bullet warheads at indoor shooting ranges for firing with live ammunition
KR101644918B1 (en) Bullet head recovery system at indoor shooting ranges for firing with live ammunition,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the lead fume
KR102009459B1 (en) Equipment system for indoor shooting ranges
KR101961686B1 (en) Mobile ammunition firing range of container type
US20090206551A1 (en) Projectile Retrieval System
KR102257194B1 (en) Eco-friendly smart equipment system for indoor shooting ranges
CN101992426A (en) Blasting chamber
KR100927222B1 (en) Warhead recovery device
CN105288910A (en) Fire truck capable of automatically ejecting gravel
CN108016343A (en) One kind scraps the motor-driven destroying system of common ammunition and method
KR102077968B1 (en) Protective equipment system for shooting ranges
KR101920269B1 (en) Mobile ammunition firing range to prevent enviromental pollution
KR102009457B1 (en) Mobile ammunition firing range to prevent enviromental pollution
KR101160051B1 (en) Environment frinendly and automatic warhead recovery device
KR101667307B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warhead
CN107725095A (en) Grotto low and intermediate level radioac disposal site accident emergency radioactivity non-proliferation system
JP2007078297A (en) Bullet stopping and recovering device for shotgun pellet
CN207644230U (en) A kind of impulse charge emptying vehicle
JP2578303B2 (en) Bullet collection device
JP20090901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ttachment
KR102670073B1 (en) Air-conditioning system for a indoor firing range using the difference in air pressure
US20090102130A1 (en) Portable firing berm
CN214764314U (en) Gas-solid separation device of emergency rescue equipment and emergency rescue equipment thereof
KR102630502B1 (en) Apparatus for notifying replacement time of consumable article in bulletproof Protective wall
KR102381754B1 (en) Ventilation system for indoor shooting ran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