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224B1 - manual mode switch for auto-vehicle - Google Patents

manual mode switch for auto-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224B1
KR101575224B1 KR1020140104471A KR20140104471A KR101575224B1 KR 101575224 B1 KR101575224 B1 KR 101575224B1 KR 1020140104471 A KR1020140104471 A KR 1020140104471A KR 20140104471 A KR20140104471 A KR 20140104471A KR 101575224 B1 KR101575224 B1 KR 101575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witching
contact
manual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4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철성
Original Assignee
파코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코스(주) filed Critical 파코스(주)
Priority to KR1020140104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22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2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A manual mode switch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bstantially improves switching reliability and stability between a manual mode and a main gear-shifting mode, and comprises: a switching circuit unit comprising a ground terminal disposed along the center thereof, a driving switching terminal disposed on one side of the ground terminal, a manual switching terminal divided by an insulation unit and disposed on a lower portion of the driving switching terminal, and a contact sensing terminal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terminal to generate a switching signal; a terminal unit provided with a first moving terminal having a first ground contact unit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terminal and branching therefrom and a first switching contact unit alternatel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driving switching terminal and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and branching therefrom, and a second moving terminal having a second ground contact unit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terminal and branching therefrom and a second switching contact unit selectivel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and branching therefrom, and arranged in parallel to be moved according an operation of a gear-shifting lever; and a control unit to incorporate a contact state of the second switching contact unit to switch a gear-shifting mode between a driving mode and the manual mode based on a contact state of the first switching contact unit.

Description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manual mode switch for auto-vehicl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al mode switch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뉴얼모드 및 메인변속 모드 간의 전환 신뢰성 및 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되는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al mode switch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nual mode switch for a vehicle in which reliability and safety for switching between a manual mode and a main shift mode are significantly improved.

일반적으로 자동차 관련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근래 시판 중인 자동차에는 자동변속기가 내장되어 있다.Due to the development of automobile related technology, automobiles currently on the market have an automatic transmission built in.

이들 자동변속기는 변속기 내 오일(oil)을 매개로 하여 동력을 전달하므로, 기어(gear)와 기어 사이의 직접적 전동 메커니즘(mechanism)을 갖는 수동변속기에 비하여 에너지 손실이 높아서 연비가 대체로 낮다. Since these automatic transmissions transmit power through oil in the transmission, they have a lower energy consumption because they have a higher energy loss than manual transmissions having a direct transmission mechanism between the gears and the gears.

이러한 자동변속기가 갖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변속 레버가 파킹(P)-후진(R)-중립(N)-주행(D)로 이루어지는 메인 변속부 이외에 별도의 메뉴얼 모드로서 업-다운(UP-DOWN) 방식으로 조작되는 메뉴얼 조작부에 연동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자동차 운행 상황별로 변속 단수를 조절하여 최대한의 연비 향상을 꾀하도록 하고 있다. To overcome such disadvantages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the shift lever may be provided as an up-down (UP) mode as a separate manual mode in addition to the main transmission including a parking (P) -backward (R) -DOWN) mode, so that a maximum fuel economy can be improv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shift stages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vehicle.

이러한 메뉴얼 조작부는 메인 변속부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변속 레버의 하단부와 연동하는 메뉴얼모드 스위치를 포함하며 그 동작 상태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자동변속기 제어부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전기 부품이다. The manual operation unit includes a manual mode switch provided at a side of the main transmission to interlock with a lower end of the shift lever, and converts the operation state of the manual operation unit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s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unit.

한편, 도 1은 종래의 메뉴얼모드 스위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메뉴얼모드 스위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메뉴얼모드 스위치의 접촉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manual mode switch,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manual mode switch,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manual mode switch.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메뉴얼모드 스위치(10)는 커버(20), 메뉴얼감지부(40), 업다운감지부(30), 그리고 케이스(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to 3, the conventional manual mode switch 10 includes a cover 20, a manual sensing unit 40, an up-down sensing unit 30, and a case 50.

여기서, 상기 커버(20)의 중앙부에는 변속 레버(100)의 일측에 연결된 작동간(110)이 삽입되는 홀(2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변속 레버(100)는 파킹(P)-후진(R)-중립(N)-주행(D)으로 이루어지는 메인 변속부에서 조작되며, 상기 주행(D) 부분에서 작동간(110)을 통해 메뉴얼모드 스위치(10)를 구동하여 업-다운(UP-DOWN) 방식으로 조작되는 메뉴얼모드(M)로 기어 조작 방식을 전환할 수 있다. A hole 2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ver 20 to insert the operation space 11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hift lever 100. At this time, the shift lever 100 is operated in the main speed change portion including the parking (P) -backward (R) -negative (N) -drive (D) The manual mode switch 10 can be switched to the manual mode M operated in the UP-DOWN manner by operating the manual mode switch 10.

상세히, 상기 메뉴얼모드 스위치(10)는 상기 작동간(110)과 연결된 메뉴얼감지부(40)의 상하 이동에 따라 메뉴얼모드(M) 및 메인 변속부의 주행(D) 모드로 상호 전환되며, 상기 메뉴얼감지부(40)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메뉴얼 모드(M)로 전환되면 상기 작동간(110)의 전후 이동에 따라 상기 업다운감지부(30)가 조작되어 기어를 수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In detail, the manual mode switch 10 is switched between a manual mode M and a running mode D of the main speed change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manual sensing portion 40 connected to the operation interval 110, When the sensing unit 40 is moved upward and is switched to the manual mode M, the up-down sensing unit 30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 backward movement of the operation unit 110 to manually convert the gear.

한편,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50)의 내면에는 상기 메뉴얼감지부(40)가 이동되는 경로를 따라 회로(51)가 실장되며, 상기 메뉴얼감지부(40)의 후면에는 접촉자(72)가 구비된다.2 to 3, a circuit 51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50 along a path along which the manual sensing unit 40 is mov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nual sensing unit 40, A contactor 72 is provided.

이때, 상기 메뉴얼감지부(40)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접촉자(72)가 상기 회로(51)에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며 메뉴얼 모드(M) 및 주행 모드(D)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as the manual sensing unit 40 is moved, the contactor 72 is sli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circuit 51, and the manual mode M and the driving mode D can be switched.

상세히, 상기 회로(51)는 그라운드 단자(51a) 및 상기 접촉자(72)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된 한쌍의 전환단자(51b,51c)가 구비되며, 상기 접촉자(72)의 하단에는 그라운드 접속부(72a) 및 전환 접속부(72b)가 구비된다. In detail, the circuit 51 is provided with a ground terminal 51a and a pair of switching terminals 51b and 51c spaced apart to sense movement of the contactor 72. In the lower end of the contactor 72, A connecting portion 72a and a switching connecting portion 72b.

이때, 상기 전환 접속부(72b)가 각 전환단자(51b,51c)에 접속/비접속되는 상태를 통해 메뉴얼 모드(M) 및 주행 모드(D)의 전환을 위한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signal for switching between the manual mode M and the traveling mode D can be generated through the state in which the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72b is connected / disconnected to the switching terminals 51b and 51c.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접촉자(72)가 하나로 구비되므로 상기 접촉자(72)의 전환 접속부(72b) 및 전환단자(51b,51c)가 반복적인 전환 동작이나 습기 등으로 변형 혹은 마모되는 경우에는 모드 전환을 위한 신호 발생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주행 중인 상황에서는 심각한 안전상의 문제를 유발할 우려가 있었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contactor 72 is provided as one unit, when the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72b and the switching terminals 51b and 51c of the contactor 72 are deformed or worn due to repetitive switching operation, moisture or the like,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a signal for generating a signal has not been generated and there has been a possibility of causing a serious safety problem in a running situation.

더욱이, 이러한 변형 및 마모는 정상적인 제품의 경우에도 발생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운전 습관이나 메뉴얼 스위치의 사용 환경에 따라 발생 시기를 예측하기 힘들어 접촉자 및 회로의 문제 발생을 예방하고 예측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Furthermore, such deformation and wear can occur even in the case of a normal product, and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occurrence time depending on the user's driving habits or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manual switch, so that development of technology capable of preventing and predicting the problem of the contactor and the circuit It is a matter of urgency.

한국 등록특허 제10-0913535호Korean Patent No. 10-0913535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뉴얼모드 및 메인변속 모드 간의 전환 신뢰성 및 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되는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nual mode switch for a vehicle in which reliability and safety for switching between a manual mode and a main shift mode are remarkably improved.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중앙부를 따라 배치된 그라운드단자와, 상기 그라운드단자의 일측부에 배치된 주행전환단자와, 절연부에 의해 구획되어 상기 주행전환단자의 하부에 배치되는 메뉴얼전환단자와, 상기 그라운드단자의 타측부에 배치된 접촉센싱단자를 포함하여 스위칭 신호를 형성하는 전환회로부; 상기 그라운드단자에 접촉되는 제1그라운드접속부와 상기 주행전환단자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에 교번하여 접촉되는 제1전환접속부가 분지되어 구비되는 제1유동단자와, 상기 그라운드단자에 접촉되는 제2그라운드접속부와 상기 접촉센싱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제2전환접속부가 분지되어 구비되는 제2유동단자를 포함하여 변속레버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도록 병렬 배치되는 단자부; 상기 제1전환접속부의 접촉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제2전환접속부의 접촉 상태를 반영하여 변속모드를 주행모드 및 메뉴얼모드로 상호 전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2전환접속부가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접촉센싱단자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접촉센싱단자의 하부에 구비되는 더미단자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ground terminal disposed along a central portion, a traveling switching terminal disposed at one side of the ground terminal, A switching circuit part including a switching terminal and a contact sensing terminal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terminal to form a switching signal; A first ground connection portion contacting the ground terminal, a first switching terminal provided with a first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branched in contact with the driving switching terminal and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alternately, and a second ground connection portion contacting the ground terminal, And a second switching terminal provided with a second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that is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and is disposed in parallel to be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hift lever; A control unit for switching the transmission mode to the traveling mode and the manual mode by reflecting the contact state of the second switching connection unit based on the contact state of the first switching connection unit; And a dummy terminal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the dummy terminal being disposed apart from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such that the second switchable connection portion is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여기서, 상기 단자부의 위치 이동시 상기 접촉센싱단자의 접촉영역은 상기 주행전환단자의 접촉영역과 중첩되되 상기 메뉴얼전환단자의 접촉영역과 부분 중첩되도록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region of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is overlapped with the contact region of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when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portion is moved, and extends so as to partially overlap the contact region of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그리고, 상기 접촉센싱단자의 하단은 상기 메뉴얼전환단자의 상단 및 하단에 대응되는 높이범위 사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The lower end of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is preferably disposed between a height range corresponding to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manual switch terminal.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유동단자가 상기 주행전환단자가 접촉되되 상기 제2유동단자가 상기 접촉센싱단자에 접촉되지 않으면 상기 변속모드를 상기 주행모드로 전환하되 제1점검 안내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제1유동단자가 상기 주행전환단자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에 접촉되지 않고 상기 제2유동단자가 상기 접촉센싱단자에 접촉되지 않으면, 상기 변속모드를 상기 메뉴얼모드로 전환하되 제2점검 안내신호를 송출함이 바람직하다.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shift mode to the traveling mode when the first switching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traveling switching terminal and the second switching terminal is not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If the first flow terminal does not contact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and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and the second flow terminal does not contact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the shift mode is switched to the manual mode, .

삭제delete

본 발명의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e above-mentioned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단자부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모드전환을 위한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므로 각 유동단자 중 하나에 이상에 생긴 경우에도 다른 하나가 정상 작동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First, since the pair of terminal portions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for mode switching, even if one of the flow terminals is abnormal, the other terminal can be normally operated, and the safety of the product can be remarkably improved have.

둘째, 상기 전환회로부는 주행전환단자의 접촉영역과 중첩되되 메뉴얼전환단자의 접촉영역과 부분 중첩되는 접촉센싱단자를 통해 유동단자의 이상 상태에 대응되는 스위칭 신호를 구분할 수 있으며, 이상 상태시 정상적인 변속모드의 전환과 함께 점검 안내신호를 송출하여 정상적인 제품 구동을 통한 신뢰성 향상과 더불어 고장 부분을 미연에 점검하도록 하여 심각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Second, the switching circuit portion can distinguish the switch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state of the flow terminal through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which overlaps the contact region of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and partially overlaps the contact region of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In the abnormal state, In addition to the switching of the mode, a check guide signal is sent to improve the reliability through normal product operation and to check the failure part in advance, thereby preventing a serious safety accident.

셋째, 상기 전환회로부는 한쌍의 유동단자가 중앙부의 그라운드단자를 공유하도록 접촉된 상태에서 그라운드단자의 양측부에 배치된 각 전환단자의 접촉상태 변화를 통해 간소한 회로구조 내에서 다양한 스위칭 신호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컴팩트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이 가능하다. Third, the switching circuit portion forms various switching signals in a simple circuit structure by changing the contact state of the switching terminal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ground terminal in a state where a pair of the flow terminals are in contact so as to share the ground terminal of the central por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by making the product compact.

도 1은 종래의 메뉴얼모드 스위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메뉴얼모드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메뉴얼모드 스위치의 접촉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의 유동단자 및 전환회로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의 유동단자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manual mode switch.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manual mode switch.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ontact mode switch.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anual mode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anual mode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low terminal and a switching circuit portion of a manual mode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ating terminal of a manual mode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anual mode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의 유동단자 및 전환회로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의 유동단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nual mode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anual mode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low terminal of a manual mode switch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4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200)는 전환회로부(270), 단자부(260), 그리고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4 to 7, the automotive manual mode switch 200 includes a switching circuit unit 270, a terminal unit 260,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상기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200)는 메뉴얼모드 선택부(210) 및 기판(24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The automotive manual mode switch 200 includes a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and a board 240.

여기서, 상기 메뉴얼모드 스위치(200)는 자동변속장치에 구비되되, 파킹(P)-후진(R)-중립(N)-주행(D)으로 이루어지는 메인변속부와 별도로 업-다운(UP-DOWN) 방식으로 기어를 조작할 수 있는 메뉴얼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구비되는 스위치를 의미한다. The manual mode switch 200 is provided in the automatic transmission and is provided with a UP-DOWN switch (not shown) separately from the main speed change part consisting of parking (P) -backward (R) Quot;) < / RTI > mode to a manual mode in which gears can be operated.

이때, 상기 자동변속장치의 변속레버를 통해 상기 메인연속부의 각 모드(P,R,N,D)가 순차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속레버는 상기 메뉴얼모드 스위치(200)의 메뉴얼모드 선택부(210)를 조작하여 변속모드를 메뉴얼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mode (P, R, N, D) of the main continuous portion can be sequentially changed through the shift lever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The shift lever can switch the shift mode to the manual mode by operating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of the manual mode switch 200.

예를 들어, 상기 자동변속장치의 변속레버는 주행(D)모드에서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를 구동하도록 작동간이 구비될 수 있으며, 주행(D)모드에서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를 구동하는 버튼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For example, the shift lever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actuators so as to drive the manual mode selector 210 in the traveling (D) mode, an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anual mode selector 210 and the manual mode selector 210 in the traveling (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button switch for driving the button switch.

그리고,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는 상기 변속레버(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고,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이동시 상기 단자부(260)가 이동될 수 있다. The manual mode selecting unit 210 is selectively mov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hift lever (not shown), and the terminal unit 260 can be moved when the manual mode selecting unit 210 is moved.

상세히,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메뉴얼모드 스위치(200)는 메뉴얼모드 선택부(210), 커버(220), 작동로드(230), 기판(240), 그리고 케이스(25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4 to 5, the manual mode switch 200 includes a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a cover 220, an operation rod 230, a substrate 240, and a case 250 .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는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에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자동변속장치(미도시)의 일측에 배치된 커버(220)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의 일단이 상기 커버(2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타단이 탄발지지되어 구비될 수 있다.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may be mov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shift lever and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ver 220 disposed at one side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device, And the other end is elastically supported so as to protrude outwardly of the second housing 220.

이때,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일단이 상기 변속레버(미도시) 혹은 상기 변속 레버에 연결된 작동간(미도시), 버튼 스위치 등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가 상기 커버(22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이동될 수 있으며, 가압 해제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커버(220)의 외측으로 복원이동될 수 있다. When one end of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is pressed by an operation switch (not shown) or a button switch connected to the shift lever (not shown) or the shift lever,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selects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The cover 220 can be inserted and moved inside the cover 220 and can be restored and mov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220 by the elastic force when releasing the pressure.

또한, 상기 커버(220)의 일측에는 로드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로드홈부에는 상기 메뉴얼모드에서 기어를 수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작동로드(2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가 가압되어 변속모드가 메뉴얼모드 전환되면 상기 작동로드(230)를 통해 기어를 수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In addition, a rod groove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220, and an operation rod 230 for manually switching the gear in the manual mode may be provided in the rod groove portion. At this time, if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is pressed to change the shift mode to manual mode, the gear can be manually changed through the operation rod 230.

그리고, 상기 커버(220)의 후방에는 케이스(250)가 결합되어 장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나 상기 작동로드(230)를 통해 변속모드 전환이나 기어의 전환을 위한 신호를 형성하는 각종 회로가 실장되는 기판(240)이 구비될 수 있다. A case 250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cover 220 to form a mounting space. The mounting space is provided with a manual mode selector 210 or an operating rod 230, A substrate 240 on which various circuits for forming a signal for switching can be mounted.

이때, 상기 전환회로부(270)는 상기 기판(240)에 실장될 수 있으며,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후면에 구비된 단자부(260)의 접촉 상태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The switching circuit unit 270 may be mounted on the substrate 240 and may generate a switching signal according to the contact state of the terminal unit 26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여기서,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단자부(260)가 이동되고, 상기 단자부(260) 및 상기 전환회로부(270)의 접촉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The terminal unit 260 is 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and the contact state of the terminal unit 260 and the switching circuit unit 270 can be changed.

그리고, 상기 스위칭 신호가 상기 기판(240)과 신호 연결된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되면, 발생된 스위칭 신호의 종류에 따라 변속모드가 메뉴얼모드에서 주행모드로, 혹은 주행모드에서 메뉴얼모드로 상호 전환될 수 있다. When the switch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substrate 240, the shift mode is switched from the manual mode to the traveling mode or from the traveling mode to the manual mode .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후면에는 상기 제1유동단자(260a) 및 제2유동단자(260b)를 포함하는 단자부(26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단자부(260)는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위치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병렬 배치된다. 6, a terminal unit 260 including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and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260) are arranged in parallel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그리고, 상기 제1유동단자(260a) 및 상기 제2유동단자(260b)는 생산 및 조립의 편의성 향상을 위해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and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production and assembly.

상세히,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단자부(260)의 각 유동단자(260a,260b)는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후면에 결합되는 몸체부(264)와, 상기 몸체부(264)의 하측으로 연장되되 단부에 형성된 라운드진 돌출부(263)가 상기 전환회로부(270)에 탄발 접촉되도록 구비된 한쌍의 접속부(261,26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7, each of the flow terminals 260a and 260b of the terminal unit 260 includes a body portion 264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And a pair of connecting portions 261 and 262 extending downward and provided with a rounded protrusion 263 formed at an end of the switching circuit portion 270 to elastically contact the switching circuit portion 270.

여기서, 상기 접속부(261,262)는 각 유동단자의 내측부에 형성된 그라운드접속부(262a,262b)와 각 유동단자의 외측부에 형성된 전환접속부(261a,261b)를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The connection portions 261 and 262 are preferably understood to include ground connection portions 262a and 262b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low terminals and switching connection portions 261a and 261b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flow terminals.

이때, 상기 그라운드접속부 및 상기 전환접속부는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배치 위치와 기능에 따라 명칭이 서로 다르게 부여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rou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may be provided in the same shape, an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names are give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function.

그리고, 내측부라는 말은 측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각 유동단자(260a,260b)에서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중앙에 대응되는 부분을 의미하며, 외측부라는 말은 상기 각 유동단자(260a,260b)에서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외곽에 대응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The inner side mean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in each of the flow terminals 260a and 260b disposed later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260b corresponding to the outer portion of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

또한, 상기 각 유동단자(260a,260b)는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에 결합되어,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와 일체로 이동될 수 있다. The flow terminals 260a and 260b may be coupled to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and may be moved integrally with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

이에 따라, 상기 각 유동단자(260a,260b)는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위치이동시 상기 전환회로부(27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전환회로부(270)의 각 전환단자(271,272,273)에 접촉되어 통전을 이루어거나 각 단자(271,272,273)로부터 벗어나 비접촉 상태로 절연될 수 있다. Each of the flow terminals 260a and 260b is slid along the switching circuit unit 270 when the manual mode selecting unit 210 is moved and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terminals 271, 272 and 273 of the switching circuit unit 270 Contacted and electrically isolated or can be isolated from each terminal 271, 272, 273 in a noncontact state.

이때, 상기 각 유동단자(260) 및 상기 전환회로부(270)의 각 단자 사이의 접촉/비접촉 상태에 따라 복수개의 스위칭 신호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각 스위칭 신호에 대응하여 변속모드를 전환하고, 점검 안내신호를 송출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At this time, a plurality of switching signals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contact / non-contact state between the respective terminals of the flow terminal 260 and the switching circuit unit 270, and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shift mode corresponding to each switching signal. And transmits an inspection guidance signal, for example.

그리고, 상기 각 접속부(261,262)는 단부에 라운드지게 돌출된 돌출부(263)를 통해 상기 전환회로부(270)의 각 단자(271,272,273,274,275)에 접촉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ortions 261 and 262 may be in contact with the respective terminals 271, 272, 273, 274 and 275 of the switching circuit portion 270 through the projecting portion 263 protruding roundly at the end portion.

이때, 상기 돌출부(263)는 라운드지게 돌출된 부분이 상기 전환회로부(270)와 대면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전환회로부(270)에서 각 단자(271,272,273,274,275)의 높이로 형성된 단턱에 걸리지 않고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위치이동시 마찰력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ding portion 263 is disposed such that a portion protruding roundly faces the switching circuit portion 27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moothly slide the manual mode selecting unit 210 in a state where the frictional force is minimized when the position of the manual mode selecting unit 210 is minimized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step formed by the height of each terminal 271, 272, 273, 274, 275 in the switching circuit unit 270.

또한, 상기 각 접속부(261,262)는 상기 돌출부를 통해 상기 전환회로부(270)의 각 단자(271,272,273,274,275)와 선접촉을 이루며, 상기 몸체부(264)는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환회로부(270)의 각 단자(271,272,273,274,275)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ortions 261 and 262 are in line contact with the terminals 271, 272, 273, 274 and 275 of the switching circuit portion 270 through the protrusions. The body portion 264 is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nual mode selection portion 210 272, 273, 274, and 275 of the switching circuit unit 270, respectively.

이에 따라, 상기 접속부(261,262) 및 상기 전환회로부(270)의 각 단자(271,272,273,274,275) 간의 접촉/비접촉 상태가 정확하게 전환될 수 있다. Thus, the contact / non-contact state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s 261, 262 and the respective terminals 271, 272, 273, 274, 275 of the switching circuit portion 270 can be accurately switched.

그리고, 상기 접속부(261)는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소 이상 분리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접속부의 일측부재(265)의 하측에 전기적 통전을 방해하는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분리된 타측부재(266)를 통해 전기적인 통전 내지 절연 상태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므로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오차발생을 최소화하고 각 접속부의 접촉/비접촉 상태 전환을 통한 스위칭 신호 형성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Further,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portion 261 is separated at least one pl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ly, even if a foreign matter obstructing the electric current flows into the lower side of the one side member 265 of the connection portion, the electric conduction or the insulation state can be accurately detected through the separated side member 266, And the switching signal formation through the contact / non-contact state switching of each connection part can be made more stably.

이처럼, 상기 단자부(260)는 변속 모드전환을 위한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전환회로부(270)의 각 전환단자(271,272,273)와의 접촉/비접촉 상태가 전환됨에 따라 여러 종류의 스위칭 신호를 형성하므로 변속모드 전환을 위한 이동방향과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이동방향이 일치되어 직관성인 조작성이 부여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unit 260 is mov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for changing the speed mode, and the contact / non-contact state of the switching unit 270 with the switching terminals 271, 272, Various types of switching signals are formed, so that the moving direction for the shift mode switching is matched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anual mode selecting unit 210, so that intuitive operability can be given.

더욱이, 상기 단자부(260)는 한쌍의 유동단자(260a,260b)가 이동방향과 수직하게 병렬 배치되므로 유동단자(260a,260b) 중 하나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도 다른 하나가 정상 작동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pair of the flow terminals 260a and 260b are arranged in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rminal unit 260, even if an abnormality occurs in one of the flow terminals 260a and 260b, Can be remarkably improved.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환회로부(270)는 그라운드단자(275), 주행전환단자(271), 메뉴얼전환단자(272), 그리고 접촉센싱단자(273)를 포함한다. 6, the switching circuit unit 270 includes a ground terminal 275, a driving switching terminal 271, a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and a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

여기서, 상기 그라운드단자(275)는 상기 각 유동단자(260a,260b)의 그라운드접속부(262a,262b)가 접촉되도록 상기 단자부(260)의 위치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중앙부에 대응되는 부분을 따라 배치된다. The ground terminal 275 is extend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erminal unit 260 so that the ground connection portions 262a and 262b of the flow terminals 260a and 260b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210, respectively.

이때, 상기 그라운드단자(275)는 상기 제1유동단자(260a) 및 상기 제2유동단자(260b)의 그라운드접속부(262a,262b)가 모두 접촉될 수 있는 폭으로 구비되되,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위치이동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되어,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위치이동시 상기 각 유동단자(260a,260b)의 그라운드접속부(262a,262b)와 지속적인 통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round terminal 275 is provided such that the ground connection portions 262a and 262b of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and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are all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ground connection portions 262a and 262b of the flow terminals 260a and 260b can be continuously energized when the position of the manual mode selection portion 210 is moved .

그리고, 상기 각 유동단자(260a,260b)의 그라운드접속부(262a,262b)가 상기 그라운드단자(275)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각 유동단자(260)의 전환접속부(261a,261b)가 상기 각 전환단자(271,272,273)와 통전되거나 절연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스위칭 신호가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ground connection portions 262a and 262b of the respective flow terminals 260a and 260b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terminal 275, the switching connection portions 261a and 261b of the respective flow terminals 260 are connected As the terminals 271, 272, 273 are energized or isolated, various types of switching signals can be formed.

또한, 상기 주행전환단자(271)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는 상기 제1유동단자(260a)의 제1전환접속부(261a)가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그라운드단자(275)의 일측부에 배치되되 절연부(276)에 의해 구획되어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위치이동 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된다.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and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ground terminal 275 so that the first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a of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is selectively contacted. An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insulation part 276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manual mode selection part 210.

예를 들어, 상기 주행전환단자(271)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는 상기 그라운드단자(275)의 좌측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위치이동 방향을 따라 상측에는 상기 주행전환단자(271)가 배치되고, 하측에는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가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ravel changeover terminal 271 and the manual changeover terminal 272 may be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ground terminal 275, and on the upper side alo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may be disposed and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여기서, 상기 주행전환단자(271)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는 상기 그라운드단자(275)와 절연되도록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주행전환단자(271) 및 상기 그라운드단자(275)는 상기 주행전환단자(271)와 상기 제1유동단자(260a)의 접촉시 상기 제1유동단자(260a)의 제1전환접속부(261a) 및 상기 제1그라운드접속부(262a)를 통해서 통전될 수 있으며, 상기 주행전환단자(271)와 상기 제1유동단자(260a)의 비접촉시 상기 그라운드단자(275) 및 상기 주행전환단자(271)가 절연되어 통전시 신호와 절연시 신호가 구분될 수 있다. Here,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and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are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erminal 275.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and the ground terminal 275 are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ing terminal 260a of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when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and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ground connection portion 261a and the first ground connection portion 262a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ing terminal 271 and the second switching terminal 262. When the driving switching terminal 271 and the first switching terminal 260a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271) are insulated so that a signal at the time of energization and a signal at the time of insulation can be distinguished.

마찬가지로, 메뉴얼전환단자(272) 및 상기 그라운드단자(275)는 상기 제1유동단자와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의 접촉시 상기 제1유동단자(260a)의 제1전환접속부(261a) 및 상기 제1그라운드접속부(262a)를 통해서 통전될 수 있으며,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와 상기 제1유동단자(260a)의 비접촉시 절연될 수 있다.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and the ground terminal 275 are connected to the first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a of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and the second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2a of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when the first flow terminal and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Can be energized through the first ground connection portion 262a and can be isolated when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and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때, 상기 주행전환단자(271)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 사이에는 절연부(276)가 배치되며, 상기 절연부(276)는 상기 주행전환단자(271)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의 이격으로 노출된 부분의 기판(240)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At this time, an insulation portion 276 is disposed between the travel changeover terminal 271 and the manual changeover terminal 272. The insulation portion 276 is connected to the drive changeover terminal 271 and the manual changeover terminal 272, A portion of the substrate 240 ex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ubstrate 240.

그리고, 상기 주행전환단자(271)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는 서로 동일한 폭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위치이동시 상기 제1유동단자(260a)의 제1전환접속부(261a)가 선택적으로 접촉가능한 폭으로 구비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and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are provided with the same width as each other. When the manual mode selecting unit 210 is moved, The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a is provided with a width that allows selective contact.

여기서, 선택적으로 접촉가능하다는 말은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주행전환단자(271)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가 상기 제1유동단자(260a)와 접촉되거나 비접촉된다는 말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term "selectively contactable" means that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and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contact or are not in contact with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It is desirable to understand it in words.

그리고, 상기 주행전환단자(271)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의 길이는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위치이동시 상기 제1유동단자(260a)의 제1그라운드접속부(262a) 및 상기 그라운드단자(275)의 접촉영역 내에 상기 주행전환단자(271) 및 상기 제1유동단자(260a)의 접촉영역과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 및 상기 제1유동단자(260a)의 접촉영역이 포함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The length of the travel changeover terminal 271 and the manual changeover terminal 272 is set such that the first ground connection portion 262a of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and the grou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and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and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are included in the contact area of the terminal 275 Preferably set.

즉, 상기 제1유동단자(260a)의 제1그라운드접속부(262a) 및 상기 그라운드단자(275)가 접촉된 상태로 이동 가능한 범위 내에서 상기 제1유동단자(260a)의 제1전환접속부(261a)가 상기 주행전환단자(271), 상기 절연부(276), 그리고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에 순차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That is,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first ground connection portion 262a of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and the ground terminal 275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a of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May b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the insulation portion 276, and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이때, 상기 주행전환단자(271) 및 상기 절연부(276), 그리고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의 길이 합은 상기 그라운드단자(275)의 길이와 유사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주행전환단자(271) 및 상기 절연부(276), 그리고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의 길이 합은 상기 그라운드단자(275)의 길이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상기 주행전환단자(271)의 상단이 상기 그라운드단자(275)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 범위에 배치되고,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의 하단이 상기 그라운드단자(275)의 하단과 동일한 높이 범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the insulating portion 276, and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may be set to be similar to the length of the ground terminal 275, 271 and 272 and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are set to be equal to the length of the ground terminal 275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driving switching terminal 271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275 And the lower end of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is disposed in the same height range as the lower end of the ground terminal 275. [

또한, 상기 절연부(276)의 길이 즉, 상기 주행전환단자(271)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유동단자(260a)의 제1전환접속부(261a)가 상기 주행전환단자(271)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에 교번하여 접촉되도록 상기 돌출부의 길이에 대응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length of the insulation portion 276 or the interval between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and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is set such that the first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a of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is in the traveling And may be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so as to be alternately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witching terminal 271 and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이때, 상기 주행전환단자(271)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 사이의 간격은 상기 돌출부의 길이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interval between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and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이에 따라,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위치이동 과정에서 상기 제1유동단자(260a)의 제1전환접속부(261a)가 상기 주행전환단자(271)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에 동시에 접촉되지 않고, 상기 주행전환단자(271)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 중 어느 하나와만 접촉될 수 있다. The first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a of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is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driving switching terminal 271 and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at the same time during the movement of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And may be in contact with only one of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and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그리고, 상기 제1유동단자(260a) 및 상기 주행전환단자(271)의 접촉과 상기 제1유동단자(260a)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의 접촉이 정확하게 구분되어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위치이동에 따른 변속모드의 전환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and the travel changeover terminal 271 and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and the manual changeover terminal 272 are correct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e shifting of the shift mode can be more accurately performed.

또한, 상기 접촉센싱단자(273)는 상기 제2유동단자(260b)의 전환접속부(261b)가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그라운드단자(275)의 타측부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접촉센싱단자(273)는 상기 그라운드단자(275)의 우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terminal 275 so that the switch connection portion 261b of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is selectively contacted. For example,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may be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ground terminal 275.

이때, 상기 접촉센싱단자(273)는 상기 그라운드단자(275)와 절연되도록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접촉센싱단자(273) 및 상기 그라운드단자(275)는 상기 제2유동단자(260b) 및 상기 접촉센싱단자(273)의 접촉시 상기 제2유동단자(260b)의 제2전환접속부(261b) 및 상기 제2그라운드접속부(262b)를 통해서 통전되고, 상기 제2유동단자(260b) 및 상기 접촉센싱단자(273)의 비접촉시 절연되어 상기 그라운드단자(275) 및 상기 접촉센싱단자(273) 사이의 통전시 신호와 절연시 신호가 구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is preferably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terminal 275.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and the ground terminal 275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witching terminal 270b of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when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and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ground terminal 275 and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are energized through the second ground connection portion 261b and the second ground connection portion 262b and isolated when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and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273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during the energization and the insulation.

그리고, 상기 접촉센싱단자(273)는 상기 제2유동단자(260b)의 제2전환접속부(261b)가 선택적으로 접촉가능한 폭으로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위치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is disposed alo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with a width that allows the second switching connection unit 261b of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to be selectively contacted Do.

여기서, 선택적이라는 말은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접촉센싱단자(273)가 상기 제2유동단자(260b)가 접촉되거나 비접촉된다는 말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term 'selective' is understood to mean that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contacts or does not contact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

그리고, 상기 접촉센싱단자(273)의 길이는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위치이동시 상기 제2유동단자(260b)의 제2그라운드접속부(262b) 및 상기 그라운드단자(275)의 접촉영역 내에서 상기 제2유동단자(260b)의 제2전환접속부(261b)가 상기 접촉센싱단자(273)에 접촉된 상태와 비접촉된 상태를 갖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The length of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is set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ground connection portion 262b of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and the ground terminal 275 The second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b of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in a non-contact state.

즉, 상기 제2유동단자(260b)의 제2그라운드접속부(262b) 및 상기 그라운드단자(275)가 접촉된 상태로 이동 가능한 범위 내에서 상기 제2유동단자(260b)의 제2전환접속부(261b)는 상기 접촉센싱단자(273)에 접촉되거나 상기 접촉센싱단자(273)로부터 벗어나 비접촉될 수 있다. That is,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second ground connection portion 262b of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and the ground terminal 275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econd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b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or away from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이처럼, 상기 전환회로부(270)는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그라운드단자(275) 및 그라운드단자(275)의 양측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전환단자(271,272,273)로 구비된다. The switching circuit unit 270 includes a plurality of switching terminals 271, 272 and 273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ground terminal 275 and the ground terminal 275 extend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anual mode selecting unit 210 do.

이에 따라, 병렬 배치된 한 쌍의 유동단자(260a,260b)가 하나의 그라운드단자(275)에 접촉된 상태에서 각 전환단자(271,272,273)에 선택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여러 종류의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when a pair of the flow terminals 260a and 260b arranged in parallel are in contact with one ground terminal 275 and selectively contact the switching terminals 271, 272 and 273, various kinds of switching signals can be generated have.

즉, 상기 전환회로부(270)은 한쌍의 유동단자(260a,260b)가 그라운드단자(275)를 공유하도록 접촉된 상태에서 그라운드단자의 양측부에 배치된 각 전환단자(271,272,273)의 접촉 상태 변화를 통해 간소한 회로구조 내에서 다양한 스위칭 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switching circuit unit 270 can change the contact state of the switching terminals 271, 272, and 273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ground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the flow terminals 260a and 260b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terminal 275 It is possible to form various switching signals within a simple circuit structure.

이에 따라, 제품의 컴팩트화 및 단순화될 수 있어 제품의 생산공정의 단순화와 재료비의 절감을 통해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product can be made compact and simplified, and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by simplify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product and reducing the material cost.

또한, 상기 접촉센싱단자(273)의 하부에는 상기 제2유동단자(260b)의 제2전환접속부(261b)가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접촉센싱단자(273)와 이격 배치되는 더미단자(274)가 구비될 수 있다. A dummy terminal 274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is formed below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so that the second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b of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is selectively contacted .

여기서, 상기 더미단자(274)는 각 유동단자(260) 및 각 전환단자(271,272,273) 간의 접촉/비접촉 상태에 따라 상기 전환회로부(270)에서 스위칭 신호가 발생될 때 전류 흐름의 종료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dummy terminal 274 may provide an end point of the current flow when the switching signal is generated in the switching circuit portion 270 according to the contact / non-contact state between the respective flow terminals 260 and the switching terminals 271, 272, have.

이에 따라, 각 전환단자(271,272,273)를 따라 유동되는 전류의 반사로 인한 스위칭 신호 발생시 오류를 최소화하고, 각 유동단자(260) 및 각 전환단자(271,272,273)의 접촉/비접촉 상태에서 대응되는 스위칭 신호가 정확하게 발생될 수 있다. Thus, errors in the generation of the switching signal due to the reflection of the current flowing along the switching terminals 271, 272 and 273 are minimized and the corresponding switching signals in the contact / noncontact states of the respective flow terminals 260 and the switching terminals 271, Can be accurately generated.

한편, 상기 단자부(260)는 제1유동단자(260a) 및 제2유동단자(260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각 유동단자(260a,260b)는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는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후면에 병렬 배치되며, 병렬 배치되는 방향은 상기 단자부(260) 및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이동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terminal unit 260 includes a first flow terminal 260a and a second flow terminal 260b. At this time, the respective flow terminals 260a and 260b are disposed in parallel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which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hift lever, And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lection unit 210.

그리고, 상기 제1유동단자(260a)는 상기 그라운드단자(275)에 접촉되는 제1그라운드접속부(262a)와, 상기 제1그라운드접속부(262a)와 분지되어 상기 주행전환단자(271)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에 교번하여 접촉되는 제1전환접속부(261a)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그라운드접속부(262a) 및 상기 제1전환접속부(261a)는 상기 제1유동단자(260a)의 양측에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includes a first ground connection portion 262a contacting the ground terminal 275 and a second ground connection portion 262b branched from the first ground connection portion 262a, And a first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a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witching terminal 272 in an alternate manner. That is, the first ground connection portion 262a and the first switch connection portion 261a may be extend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이때, 교번한다는 말은 상기 제1전환접속부(261a)가 상기 주행전환단자(271)에 접촉되면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와는 비접촉되고, 상기 제1전환접속부(261a)가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에 접촉되면 상기 주행전환단자(271)와는 비접촉됨을 의미한다. In this case, the term " alternate " means that the first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a is in non-contact with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when the first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a contacts the traveling switching terminal 271, 272, it means that they are not in contact with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물론, 상기 제1유동단자(260a)의 제1전환접속부(261a)가 상기 절연부에 배치되면, 상기 주행전환단자(271)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 양측과 모두 비접촉될 수 있다. Of course, when the first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a of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is disposed in the insulation portion, both of the traveling switching terminal 271 and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may be in noncontact.

또한, 상기 제2유동단자(260b)는 상기 그라운드단자(275)에 접촉되는 제2그라운드접속부(262b)와, 상기 제2그라운드접속부(262b)와 분지되어 상기 접촉센싱단자(273)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제2전환접속부(261b)를 포함한다.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may include a second ground connection portion 262b contacting the ground terminal 275 and a second ground connection portion 262b branched from the second ground connection portion 262b, And a second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b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b.

즉, 상기 제2그라운드접속부(262b) 및 상기 제2전환접속부(261b)는 상기 제2유동단자(260b)의 양측에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That is, the second ground connection portion 262b and the second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b may exten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여기서, 선택적으로 접촉된다는 말은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전환접속부(261b)가 상기 접촉센싱단자(273)에 접촉되기도 하며, 비접촉되기도 함을 의미한다. Here, the selective contact means that the second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b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anual mode selection portion 210 and is also in a non-contact state.

한편,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1전환접속부(261a)의 접촉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제2전환접속부(261b)의 접촉 상태를 반영하여 변속모드를 주행모드 및 메뉴얼모드로 상호전환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not shown) reflects the contact state of the second switching connection unit 261b based on the contact state of the first switching connection unit 261a to switch the transmission mode to the traveling mode and the manual mode.

즉, 각 유동단자(260a,260b)의 전환접속부 및 상기 각 전환단자(271,272,273) 간의 접촉/비접촉 상태에 따라 형성된 상기 스위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변속모드를 전환한다. That is, the switching signal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act / non-contact state between the switching connection portions of the respective flow terminals 260a and 260b and the switching terminals 271, 272 and 273 is received to switch the shift mode.

이때, 각 유동단자(260)의 전환접속부 및 상기 각 전환단자(271,272,273)가 접촉된 경우 상기 기판에는 0에 대응되는 신호가 형성되고, 비접촉된 경우 1에 대응되는 신호가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of each of the flow terminals 260 and the switching terminals 271, 272, 273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signal corresponding to 0 is formed on the substrate, and a signal corresponding to 1 when no switching is made.

그리고, 각 전환단자(271,272,273)별로 0,1의 신호가 구분되어 조합됨에 따라 여러 종류의 스위칭 신호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0 and 1 signals are divided and combined for each of the switching terminals 271, 272 and 273, various kinds of switching signals can be formed.

상세히, 상기 주행전환단자의 접촉/비접촉 상태에 따른 0,1의 신호, 상기 메뉴얼전환단자의 접촉/비접촉 상태에 따른 0,1의 신호, 상기 접촉센싱단자의 접촉/비접촉 상태에 따른 0,1의 신호를 조합하여 스위칭 신호가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a signal of 0,1 according to the contact / non-contact state of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a signal of 0,1 depending on the contact / non-contact state of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A switching signal can be formed.

한편, 상기 접촉센싱단자(273)의 접촉영역은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위치이동에 따른 상기 단자부(260)의 위치 이동시 상기 주행전환단자(271)의 접촉영역과 중첩되되,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의 접촉영역과 부분 중첩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contact area of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is overlapped with the contact area of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when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unit 260 is 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It is preferable to partially overlap the contact region of the switching terminal 272.

여기서, 상기 접촉센싱단자(273)의 접촉영역은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위치이동시 상기 제2유동단자(260b)의 제2그라운드접속부(262b)가 상기 그라운드단자(275)에 접촉되어 이동가능한 영역 중 상기 제2전환접속부(261b)가 상기 접촉센싱단자(273)에 접촉되어 이동가능한 영역을 의미한다.The contact area of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is such that the second ground connection part 262b of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contacts the ground terminal 275 when the manual mode selection part 210 is moved And the second switchable contact portion 261b of the movable region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to move.

그리고, 상기 주행전환단자(271)의 접촉영역은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위치이동시 상기 제1유동단자(260a)의 제1그라운드접속부(262a)가 상기 그라운드단자(275)에 접촉되어 이동가능한 영역 중 상기 제1전환접속부(261a)가 상기 주행전환단자(271)에 접촉되어 이동가능한 영역을 의미한다.The contact area of the travel changeover terminal 271 is set such that the first ground connection portion 262a of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contacts the ground terminal 275 when the manual mode selection portion 210 is moved And the first switchable contact portion 261a of the movable region is in contact with the travel switch terminal 271 and is movable.

또한,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의 접촉영역은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위치이동시 상기 제1유동단자(260a)의 제1그라운드접속부(262a)가 상기 그라운드단자(275)에 접촉되어 이동가능한 영역 중 상기 제1전환접속부(261a)가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에 접촉되어 이동가능한 영역을 의미한다.The first ground connection portion 262a of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erminal 275 when the manual mode selection portion 210 is moved And the first switchable contact portion 261a among the movable regions is in contact with the manual switch terminal 272 and is movable.

즉,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위치이동시 상기 제1유동단자(260a) 및 상기 주행전환단자(271)가 접촉되는 범위에서 상기 제2유동단자(260b) 및 상기 접촉센싱단자(273)가 접촉되며, 상기 제1유동단자(260a)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가 접촉되는 범위 중 일부에서만 상기 제2유동단자(260b) 및 상기 접촉센싱단자(273)가 접촉된다. That is,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and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may be position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and the travel changeover terminal 27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is moved, And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and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are contacted only in a range where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and the manual switch terminal 27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여기서, 일부라는 말은 메뉴얼전환단자(272)의 상부를 의미하며,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의 전체 영역보다 작은 부분을 의미한다. Here, the part means the upper part of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which means a part smaller than the entire area of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그리고, 상기 제1유동단자(260a)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가 접촉되는 범위 중 상기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는 상기 제2유동단자(260b) 및 상기 접촉센싱단자(273)는 접촉되지 않는다.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and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except for a part of the range in which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and the manual switch terminal 27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이때, 상기 접촉센싱단자(273)의 길이는 상기 주행전환단자(271)의 길이보다는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주행전환단자(271), 상기 절연부(276),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의 길이 합보다는 짧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length of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The length of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the insulation portion 276, Is shorter than the sum of the lengths.

즉, 상기 제1전환접속부(261a) 및 상기 제2전환접속부(261b)는 동일한 높이 범위에 배치되어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단자부(260)의 이동 중 상기 제1전환접속부(261a)가 주행전환단자(271) 혹은 메뉴얼전환단자(272)에 접촉되는 부분의 높이는 상기 제2전환접속부(261b)가 상기 접촉센싱단자(273)에 접촉되는 부분의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first switchable connection portion 261a and the second switchable connection portion 261b can be disposed in the same height range and can be moved. The height of a portion of the first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a contacting the driving switching terminal 271 or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during the movement of the terminal portion 260 is determined by the height of the second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b,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is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portion contacting the contact portion 273.

예를 들어, 상기 각 유동단자(260a,260b)가 동일한 형태로 구비되고, 동일한 높이 범위에 배치된 경우에 상기 주행전환단자(271)의 상단 및 상기 접촉센싱단자(273)의 상단은 동일한 높이 범위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each of the flow terminals 260a and 260b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arranged in the same height range, the upper end of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and the upper end of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have the same height Or < / RTI >

그리고, 상기 접촉센싱단자(273)의 하단은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의 상단과 하단에 대응되는 높이범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may be disposed between a height range corresponding to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manual switch terminal 272.

물론, 상기 각 유동단자(260)가 상호 다른 높이에 배치된 경우에 각 전환단자(271,272,273)의 배치 위치는 달라질 수 있으나, 각 전환단자(271,272,273)의 길이는 상술된 바와 같은 차이를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Of course, when the flow terminals 260 are disposed at mutually different heights, the positions of the switching terminals 271, 272, and 273 may be different, but the lengths of the switching terminals 271, 272, and 273 are set to have the above- .

이처럼,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위치이동시 일체로 이동되되 하나의 그라운드단자(275)에 접촉되는 한 쌍의 유동단자(260)를 이용하여 회로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structure of the circuit can be simplified by using a pair of the flow terminals 260 which are integrally moved when the position of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is moved and are in contact with one ground terminal 275.

이와 더불어,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의 위치이동에 따라 구분되는 스위칭 신호의 종류를 증가시켜 변속모드의 전환과 함께 각 유동단자(260)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신호를 구분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 type of a switching signal, which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is increased so that a signal for detecting abnormality of each flow terminal 260 can be distinguished, Can be provided.

이하에는 각 스위칭 신호에 따른 변속모드 전환 과정을 상세히 살펴본다. Hereinafter, the shift mode switching process according to each switching sig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유동단자(260a)의 제1전환접속부(261a)가 상기 주행전환단자(271)에 접촉되되 상기 제2유동단자(260b)의 제2전환접속부(261b)가 상기 접촉센싱단자(273)에 접촉되면 상기 변속모드를 상기 주행모드로 전환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a of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contacts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and the second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b of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contacts the It is preferable to switch the shift mode to the running mode when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is contacted.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유동단자(260a)의 제1전환접속부(261a)가 상기 주행전환단자(271)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에 접촉되지 않고 상기 제2유동단자(260b)의 제2전환접속부(261b)가 상기 접촉센싱단자(273)에 접촉되면 상기 변속모드를 상기 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a of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is not in contact with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and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When the second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b contacts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the shift mode can be switched to the traveling mode.

이때, 상기 제1유동단자(260a)의 제1전환접속부(261a)가 상기 주행전환단자(271)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는 상기 제1유동단자(260a)의 제1전환접속부(261a)가 상기 주행전환단자(271)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 사이의 절연부에 접촉된 상태로 이해할 수 있다. A state in which the first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a of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is not in contact with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and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is the same as the state 1 switching contact portion 261a is in contact with the insulating portion between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and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유동단자의 제1전환접속부(261a)가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에 접촉되면 상기 변속모드를 메뉴얼모드로 전환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controller switches the shift mode to the manual mode when the first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a of the first flow terminal contacts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

주행전환단자Drive switching terminal 메뉴얼전환단자Manual switching terminal 접촉센싱단자Contact sensing terminal 수행기능Perform function 00 1One 00 주행모드 전환Toggle driving mode 1One 1One 00 주행모드 전환Toggle driving mode 1One 00 00 메뉴얼모드 전환Manual mode switching 1One 00 1One 메뉴얼모드 전환Manual mode switching

상기 표 1은 제1유동단자(260a) 및 제2유동단자(260b)가 정상적으로 상기 전환회로부와 접촉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스위칭 신호를 나타낸 것이다.Table 1 shows switching signals that may be generated when the first and second flow terminals 260a and 260b normally contact the switching circuit.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가 가압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동단자(260a)는 상기 주행전환단자(271)에 접촉되고, 상기 제2유동단자(260b)는 상기 접촉센싱단자(273)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는 절연된 상태이므로, 0,1,0의 스위칭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while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 At this time, since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is in an insulated state, switching signals of 0, 1, and 0 can be generated.

그리고,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가 상기 변속레버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유동단자(260a)가 상기 절연부(276)에 배치된 상태에서 주행전환단자(271) 및 메뉴얼전환단자(272)는 절연 상태이고, 상기 접촉센싱단자(273)는 통전되는 상태로 1,1,0의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When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is moved downward by the shift lever and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is disposed on the insulation unit 276, The terminal 272 is in an insulated state, and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can generate a switching signal of 1, 1, 0 in the energized state.

0,1,0 스위칭 신호 및 1,1,0 스위칭 신호는 주행모드로 전환하는 신호로써 주행모드에서는 주행모드를 유지하는 신호로 이해할 수 있으며, 메뉴얼모드에서는 주행모드로 전환하는 신호로 이해할 수 있다. 0,1,0 switching signal and 1,1,0 switching signal are signals to switch to the traveling mode, which can be understood as a signal for maintaining the traveling mode in the traveling mode, and a signal for switching to the traveling mode in the manual mode .

또한,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가 계속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유동단자(260a)는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에 접촉되고, 상기 제2유동단자(260b)는 상기 접촉센싱단자(273)에 접촉되며, 1,0,0의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킨다. When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is continuously moved downward,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contacts the manual switch terminal 272 and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contacts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60. [ 0.0 > 273 < / RTI > and generates a switching signal of 1,0,0.

이때,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가 완전히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유동단자(260a)가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2유동단자(260b)가 상기 접촉센싱단자(273)로부터 떨어져 1,0,1의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is completely moved down,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is in contact with the manual changeover terminal 272 while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is in contact with the manual changeover terminal 272, It is possible to generate switching signals of 1, 0, 1 from the sensing terminal 273.

여기서, 1,0,0의 스위칭 신호 및 1,0,1의 스위칭 신호는 메뉴얼모드로 전환하는 신호로써, 주행모드에서 메뉴얼모드로 전환하는 신호로 이해할 수 있으며, 메뉴얼모드에서는 메뉴얼모드를 유지하는 신호로 이해할 수 있다. Here, switching signals 1, 0, and 0 and switching signals 1, 0, and 1 are signals for switching to the manual mode, which can be understood as signals for switching from the traveling mode to the manual mode. In the manual mode, It can be understood as a signal.

이처럼, 상기 제어부는 스위칭 신호를 구분하여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가 정확하게 이동된 상태에서 변속모드를 전환하므로 변속레버의 진동 및 차체의 진동으로 인한 변속모드 전환의 오류를 최소화하여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잦은 변속모드 전환으로 인한 연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controller divides the switching signals and switches the shift mode in a state in which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is correctly moved, minimizing the error of the shift mode switching due to the vibration of the shift lever and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body, Can be improv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fuel consumption deterioration due to frequent shift mode switching.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유동단자(260a)의 제1전환접속부(261a)가 상기 주행전환단자(271)에 접촉되되 상기 제2유동단자(260b)의 제2전환접속부(261b)가 상기 접촉센싱단자(273)에 접촉되지 않으면 상기 변속모드를 상기 주행모드로 전환하되, 제1점검 안내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a of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contacts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and the second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b of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contacts the If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is not contacted, the shift mode is switched to the traveling mode, and the first inspection guidance signal can be transmitted.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유동단자(260a)의 제1전환접속부(261a)가 상기 주행전환단자(271)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272)에 접촉되지 않고 상기 제2유동단자(260b)의 제2전환접속부(261b)가 상기 접촉센싱단자(273)에 접촉되지 않으면, 상기 변속모드를 상기 메뉴얼모드로 전환하되 제2점검 안내신호를 송출함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a of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is not in contact with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and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272, If the second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261b does not contact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it is preferable that the shift mode is switched to the manual mode and the second check guidance signal is transmitted.

주행전환단자Drive switching terminal 메뉴얼전환단자Manual switching terminal 접촉센싱단자Contact sensing terminal 수행기능Perform function 00 1One 1One 주행모드 전환 및
제1점검 안내신호 송출
Switching mode and
First inspection guide signal transmission
1One 1One 1One 메뉴얼모드 전환 및
제2점검 안내신호 송출
Manual mode switching and
Transmitting the second check guide signal

상기 표 2은 제1유동단자(260a) 및 제2유동단자(26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상 상태로 인해 상기 전환회로부(270)와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발생될 수 있는 스위칭 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Table 2 shows switching signals that may be generated when the switching circuit unit 270 is not in contact with the first switching unit 260 due to an abnormal stat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and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

먼저, 제2유동단자(260b)에 이상이 발생하여, 상기 전환회로부(270)와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가 가압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동단자(260a)는 상기 주행전환단자(271)에 접촉된 상태로, 0,1,1의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킨다. First, when an error occurs in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and no contact with the switching circuit unit 270 occurs,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is turned off, 260a are in contact with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271, and generate switching signals of 0, 1, 1, and 1, respectively.

이때, 상기 0,1,1의 스위칭 신호는 주행모드로 전환하는 신호로써, 주행모드에서는 주행모드를 유지하는 신호로 이해할 수 있으며, 메뉴얼모드에서는 주행모드로 전환하는 신호로 이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witching signal of 0, 1, 1 is a signal for switching to the traveling mode, which can be understood as a signal for maintaining the traveling mode in the traveling mode, and a signal for switching to the traveling mode in the manual mode.

여기서, 상기 0,1,1의 스위칭 신호는 유동단자(260)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발생될 수 없는 신호로 정상상태의 주행모드 전환에 대응되는 스위칭 신호와 구별될 수 있다. The switching signals of 0, 1, and 1 can not be generated when the flow terminal 260 is in a normal state, and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switching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normal mode switching.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0,1,1의 스위칭 신호시 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기본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제1점검 안내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점검 안내신호는 제2유동단자(260b)의 이상 접촉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perform the basic function of switching to the traveling mode at the switching signal of 0, 1, 1, and transmit the first inspection guidance signal. Here, the first check guide signal may indicate an abnormal contact state of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물론, 상기 제1점검 안내신호의 송출시 제2유동단자(260b)뿐만 아니라 접촉센싱단자(273)의 이상 여부에 대한 점검을 알려주는 신호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Of cours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it is a signal for notifying not only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but also the abnormality of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when sending out the first inspection guidance signal.

한편, 제1유동단자(260a)에 이상이 발생하여, 상기 전환회로부(270)와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상기 메뉴얼모드 선택부(210)가 완전히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2유동단자(260b)가 상기 접촉센싱단자(273)에서 이탈하여 1,1,1의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nual mode selection unit 210 is completely moved downward when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is not in contact with the switching circuit unit 270, 260b may be separated from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273 to generate the switching signals 1,1,1.

이때, 1,1,1의 스위칭 신호는 메뉴얼모드로 전환하는 신호로써, 주행모드에서는 메뉴얼모드로 전환하는 신호로, 메뉴얼모드에서는 메뉴얼모드를 유지하는 신호로 이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1,1,1의 스위칭 신호는 정상상태에서 메뉴얼모드 전환에 대응되는 신호와 구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witching signal of 1, 1, 1 is a signal for switching to the manual mode, which is a signal for switching to the manual mode in the traveling mode, and a signal for maintaining the manual mode in the manual mode. Similarly, the 1, 1, 1 switching signal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nual mode switching from the normal state.

물론, 상기 1,1,1의 스위칭 신호는 상기 제2유동단자(260b)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 상기 제1유동단자(260a)가 상기 절연부(276)에 접촉했을 때에도 발생될 수 있다. Of course, the switching signal of 1, 1, 1 may also be generated when the first flow terminal 260a contacts the insulation portion 276 when the second flow terminal 260b is abnormal .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1,1,1의 스위칭 신호시 메뉴얼모드로 전환하는 기본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제2점검 안내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제2점검 안내신호는 각 유동단자(260a,260b) 중 어느 하나에 이상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a basic function of switching to the manual mode at the switching signal of 1, 1, 1 and transmit the second inspection guidance signal. At this time, the second inspection guidance signal may indicate that any one of the flow terminals 260a and 260b is abnormal.

물론, 이와 더불어, 각 전환단자(271,272,273)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이상이 있을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Of course,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y one or more of the switching terminals 271, 272, 273 is abnormal.

이때, 상기 1,1,1의 스위칭 신호는 모든 유동단자(260a,260b)가 고장 상태일 때도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부는 상기 1,1,1의 스위칭 신호시 현재 변속모드가 주행모드일 때에만 변속모드를 메뉴얼모드로 전환하도록 추가적인 조건선택이 부가될 수도 있다. 즉, 1,1,1의 스위칭 신호시 이전 신호에 0의 신호가 하나라도 있을 때에만 메뉴얼모드로의 전환을 수행하도록 하여, 모든 유동단자(260a,260b)의 고장시 메뉴얼모드로 전환된 변속모드가 주행모드로 전환되지 않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witching signal of 1, 1, 1 may be formed when all of the flow terminals 260a, 260b are in a failure state. In the switching signal of 1, 1, 1, An additional condition selection may be added to switch the shift mode to the manual mode only. That is, only when there is at least one signal of 0 in the previous signal in the switching signal of 1, 1, 1, and 1, 1, switching to the manual mode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de from being switched to the traveling mode in advance.

그리고, 상기 자동차의 계기판 혹은 상기 메뉴얼모드 스위치(210), 자동변속장치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상기 안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점등되는 안내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안내등을 확인하여 메뉴얼모드 스위치 내부에 유동단자 혹은 전환단자에 이상이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instrument panel of the automobile, the manual mode switch 210, and the automatic transmission may be provided with a guidance light selectively illuminated in accordance with the guidance signal.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the guide or the like to detect an abnormality in the flow terminal or the switch terminal inside the manual mode switch.

이처럼, 상기 전환회로부는 주행전환단자의 접촉영역과 중첩되되 메뉴얼전환단자의 접촉영역과 부분 중첩되는 접촉센싱단자를 통해 유동단자의 이상 상태에 대응되는 스위칭 신호를 구분하여 형성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switching circuit portion can be formed by separating the switch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state of the flow terminal through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which overlaps the contact region of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and partially overlaps the contact region of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즉, 병렬 배치된 유동단자(260) 및 각 유동단자와 상이한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복수개의 전환단자(271,272,273)를 통해 스위칭 신호가 다양화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다양화된 스위칭 신호 중 유동단자의 이상 상태에 대응되는 스위칭 신호시 정상적인 변속모드 전환과 함께 점검을 위한 안내신호를 송출한다. That is, switching signals may be diversified through a plurality of switching terminals 271, 272, and 273 that are in parallel contact with each other at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flow terminals 260 and the flow terminals, And transmits a guidance signal for inspection together with a normal shift mode changeover in a switching signal corresponding to an abnormal state of the terminal.

이에 따라, 유동단자의 이상 발생시에도 정상적으로 변속모드가 전환될 수 있어 제품 구동의 신뢰성이 개선되면서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점검 안내신호를 통해 완전한 고장 상태로 발생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을 원천적으로 예방하여 제품의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hift mode can be normally switched eve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flow terminal,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operation, and at the same time, preventing dangerous situations that may occur in a completely failed state through a user- The safe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더욱이, 제1점검 안내신호 및 제2점검 안내신호가 구분되어 각 유동단자 중 어느 것에 이상이 있는 지를 알려줄 수 있어 점검시 이상발생 부분을 한층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다. Furthermore, the first inspection guide signal and the second inspection guidance signal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o indicate which of the flow terminals is abnormal, so that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find the abnormality occurrence portion during the inspec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200: 메뉴얼모드 스위치 20,220: 커버
30: 업다운감지부 40: 메뉴얼감지부
50,250: 케이스 51: 회로
72: 접촉자 100: 변속 레버
210: 메뉴얼모드 선택부 230: 작동로드
240: 기판 260: 단자부
260a: 제1유동단자 260b: 제2유동단자
270: 전환회로부
10,200: Manual mode switch 20,220: Cover
30: up / down sensing unit 40: manual sensing unit
50, 250: Case 51: Circuit
72: contactor 100: shift lever
210: manual mode selection unit 230: operation load
240: substrate 260: terminal portion
260a: first flow terminal 260b: second flow terminal
270:

Claims (5)

중앙부를 따라 배치된 그라운드단자와, 상기 그라운드단자의 일측부에 배치된 주행전환단자와, 절연부에 의해 구획되어 상기 주행전환단자의 하부에 배치되는 메뉴얼전환단자와, 상기 그라운드단자의 타측부에 배치된 접촉센싱단자를 포함하여 스위칭 신호를 형성하는 전환회로부;
상기 그라운드단자에 접촉되는 제1그라운드접속부와 상기 주행전환단자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에 교번하여 접촉되는 제1전환접속부가 분지되어 구비되는 제1유동단자와, 상기 그라운드단자에 접촉되는 제2그라운드접속부와 상기 접촉센싱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제2전환접속부가 분지되어 구비되는 제2유동단자를 포함하여 변속레버의 조작에 따라 이동되도록 병렬 배치되는 단자부;
상기 제1전환접속부의 접촉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제2전환접속부의 접촉 상태를 반영하여 변속모드를 주행모드 및 메뉴얼모드로 상호 전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2전환접속부가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접촉센싱단자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접촉센싱단자의 하부에 구비되는 더미단자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
A manual switching terminal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raveling switching terminal and partitioned by an insulating portion, and a manual switching terminal disposed at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terminal, A switching circuit part including a contact sensing terminal arranged to form a switching signal;
A first ground connection portion contacting the ground terminal, a first switching terminal provided with a first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branched in contact with the driving switching terminal and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alternately, and a second ground connection portion contacting the ground terminal, And a second switching terminal provided with a second switching connection portion that is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and is disposed in parallel to be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hift lever;
A control unit for switching the transmission mode to the traveling mode and the manual mode by reflecting the contact state of the second switching connection unit based on the contact state of the first switching connection unit; And
And a dummy terminal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and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so that the second switchable connection portion is selectively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의 위치 이동시 상기 접촉센싱단자의 접촉영역은 상기 주행전환단자의 접촉영역과 중첩되되 상기 메뉴얼전환단자의 접촉영역과 부분 중첩되도록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ct region of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is overlapped with the contact region of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when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portion is moved, and extends to overlap the contact region of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센싱단자의 하단은 상기 메뉴얼전환단자의 상단 및 하단에 대응되는 높이범위 사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lower end of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is disposed between a height range corresponding to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유동단자가 상기 주행전환단자가 접촉되되 상기 제2유동단자가 상기 접촉센싱단자에 접촉되지 않으면 상기 변속모드를 상기 주행모드로 전환하되 제1점검 안내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제1유동단자가 상기 주행전환단자 및 상기 메뉴얼전환단자에 접촉되지 않고 상기 제2유동단자가 상기 접촉센싱단자에 접촉되지 않으면, 상기 변속모드를 상기 메뉴얼모드로 전환하되 제2점검 안내신호를 송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메뉴얼모드 스위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When the first flow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and the second flow terminal is not in contact with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the transmission mode is switched to the travel mode,
If the first flow terminal does not contact the travel switching terminal and the manual switching terminal and the second flow terminal does not contact the contact sensing terminal, the shift mode is switched to the manual mode, A manual mode switch for an automobile,
삭제delete
KR1020140104471A 2014-08-12 2014-08-12 manual mode switch for auto-vehicle KR1015752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471A KR101575224B1 (en) 2014-08-12 2014-08-12 manual mode switch for auto-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471A KR101575224B1 (en) 2014-08-12 2014-08-12 manual mode switch for auto-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5224B1 true KR101575224B1 (en) 2015-12-07

Family

ID=54872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471A KR101575224B1 (en) 2014-08-12 2014-08-12 manual mode switch for auto-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22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948B1 (en) * 2016-12-19 2018-05-14 제니스전장주식회사 Manual mode switch for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lever
KR101879624B1 (en) * 2016-05-17 2018-07-18 파코스(주) manual mode switch for auto-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5745A (en) * 2000-12-06 2002-06-21 Niles Parts Co Ltd Inhibitor switch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5745A (en) * 2000-12-06 2002-06-21 Niles Parts Co Ltd Inhibitor switc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624B1 (en) * 2016-05-17 2018-07-18 파코스(주) manual mode switch for auto-vehicle
KR101856948B1 (en) * 2016-12-19 2018-05-14 제니스전장주식회사 Manual mode switch for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le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2649B2 (en) Operation device
CN102365480B (en) Shift control device for vehicle
KR101730893B1 (en) Shift lever for vehicle
JPH1142954A (en) Control circuit for automatic transmission with manual shift function
CN104379383A (en) Shift device for vehicle
KR101575224B1 (en) manual mode switch for auto-vehicle
US20140117971A1 (en) Shift sensor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8754339B2 (en) Slide switch
US8079282B2 (en) Switch device for transmission and transmission using same
US20080210530A1 (en) Automatic transmission switch
JP5137197B2 (en) Position switch device
KR100913535B1 (en) Manual mode switch for auto-vehicle
CN111911617B (en) Shift lever device for vehicle
KR20070060735A (en) Double clutch automatic manual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for thereof
KR20160002400U (en) Automotive transmission
KR101856948B1 (en) Manual mode switch for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lever
CN112128360A (en) Switch monitoring device for vehicle speed change
US11495419B2 (en) Switch device
CN216589892U (en) Sliding type electronic gear shifter
KR100514879B1 (en) shift device for a manual transmission
KR100534890B1 (en) inhibitor switch structure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KR100250819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reverse forward and reverse driving
KR101827057B1 (en) Inhibitor switch for transmission
JPH10302569A (en) Push switch
JP2013113392A (en) Position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