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173B1 - Dc­hsdpa 및 sfdc­hsdpa 사이의 동적 스위칭 - Google Patents

Dc­hsdpa 및 sfdc­hsdpa 사이의 동적 스위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173B1
KR101575173B1 KR1020137008971A KR20137008971A KR101575173B1 KR 101575173 B1 KR101575173 B1 KR 101575173B1 KR 1020137008971 A KR1020137008971 A KR 1020137008971A KR 20137008971 A KR20137008971 A KR 20137008971A KR 101575173 B1 KR101575173 B1 KR 101575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serving
serving cell
carrier frequency
cell
user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8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4417A (ko
Inventor
샤라드 디파크 삼브와니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54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36/28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invol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및 프로세싱 시스템은 다양한 이용가능한 2차 서빙 셀들 중에서의 2차 서빙 셀의 동적 선택을 제공하고, 이들은 (SFDC-HSDPA에서와 같이) 1차 서빙 셀(704)과 동일한 주파수에 있거나, (DC-HSDPA에서와 같이) 1차 서빙 셀(704)과 상이한 주파수이나 동일한 대역에 있거나, 또는 (DB-DC-HSDPA에서와 같이) 1차 서빙 셀(704)과 상이한 대역에 있다. 여기서, UE(310)는 이용가능한 2차 서빙 셀들 각각에 대하여 사전 구성될 수 있으며, UE 배터리 소비, 이용가능한 2차 서빙 셀들에 대응하는 CQI들, 2차 서빙 셀들의 로딩 또는 UE 전력 헤드룸 제한들과 같은 팩터들에 기초하여 이용가능한 2차 서빙 셀들 중 하나 사이에서 선택하기 위해서 구성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기술들을 수신할 수 있는 진화된 UE(310)는 팩터들에 따라 최상의 이용가능한 2차 서빙 셀을 동적으로 선택하는 것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DC­HSDPA 및 SFDC­HSDPA 사이의 동적 스위칭{DYNAMIC SWITCHING BETWEEN DC-HSDPA AND SFDC-HSDPA}
본 출원은 2010년 9월 9일자로 미국 특허상표국에 출원된 가특허 출원 제61/381,395호 및 2010년 9월 10일자로 미국 특허상표국에 출원된 가특허 출원 제61/381,877호의 이익 및 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가특허 출원들의 전체 내용들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개시의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둘 이상의 기술로 다수의 서빙 셀들을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복수의 이용가능한 2차 서빙 셀들 중에서 동적으로 선택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텔레포니,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들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인 이러한 네트워크들은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통신들을 지원한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례는 UMTS 지상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UTRAN)이다. UTRAN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해 지원되는 3세대(3G) 모바일 폰 기술인 유니버셜 모바일 전기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로서 정의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RAN)이다.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SM) 기술들에 대한 계승자인 UMTS는 현재,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 시분할-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D-CDMA) 및 시분할-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D-SCDMA)와 같은 다양한 무선 인터페이스 표준들을 지원한다. UMTS는 또한, 연관된 UMTS 네트워크들에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들 및 용량을 제공하는 고속 패킷 액세스(HSPA)와 같은 개선된 3G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한다.
모바일 광대역 액세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를 계속함에 따라, 모바일 광대역 액세스에 대한 증가하는 요구를 충족시키고 모바일 통신들에 의한 사용자 경험을 진보 및 개선시키기 위해서, UMTS 기술들을 진보시키기 위한 연구 및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3GPP 표준들의 현재 릴리스(release)들은 듀얼-채널(DC)-HSDPA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UE는 동일한 노드 B에 의해 송신된 듀얼 전송 블록들을 상이한 5-MHz 캐리어들에서(동일한 대역에서 또는 상이한 대역들에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3GPP에서의 진행중인 개발을 경험하는 더 최근의 진보들은 단일-주파수 듀얼 셀(SFDC)-HSDPA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UE는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를 이용하는 다운링크 송신들에서 (동일한 노드 B에 의해 또는 별개의 노드 B들에 의해 송신된) 상이한 섹터들로부터 듀얼 전송 블록들을 수신할 수 있다. 상이한 캐리어들에서의 듀얼 전송 블록들이 별개의 노드 B들에 의해 송신될 수 있는 이외에는 DC-HSDPA과 유사한 듀얼-주파수 듀얼-셀 HSDPA를 포함하는 이러한 패러다임들 및 다른 패러다임들에 의해 많은 기능들 또는 심지어 이러한 기능들 모두를 위해서 구성되는 특정 UE가 임의의 수의 팩터들에 따라 다양한 기술들 사이에서 선택하는 것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시나리오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은 다양한 이용가능한 2차 서빙 셀들 중에서의 2차 서빙 셀의 동적 선택을 제공하고, 이들은 (SFDC-HSDPA에서와 같이) 1차 서빙 셀과 동일한 주파수에 있거나, (DC-HSDPA에서와 같이) 1차 서빙 셀과 상이한 주파수이나 동일한 대역에 있거나, 또는 (DB-DC-HSDPA에서와 같이) 1차 서빙 셀과 상이한 대역에 있다. 여기서, UE는 이용가능한 2차 서빙 셀들 각각에 대하여 사전 구성될 수 있으며, UE 배터리 소비, 이용가능한 2차 서빙 셀들에 대응하는 CQI들, 2차 서빙 셀들의 로딩 또는 UE 전력 헤드룸 제한들과 같은 팩터들에 기초하여 이용가능한 2차 서빙 셀들 중 하나 사이에서 선택하기 위해서 구성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기술들을 수신할 수 있는 진화된 UE는 팩터들에 따라 최상의 이용가능한 2차 서빙 셀을 동적으로 선택하는 것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일 양상은 2차 서빙 셀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방법은,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1차 서빙 셀을 사용자 장비(UE)에 송신하는 단계, 제 2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1의 2차 서빙 셀을 그리고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2의 2차 서빙 셀을 수신하도록 UE를 사전 구성하는 단계 및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 구성 메시지를 UE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은,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1차 서빙 셀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 2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UE를 사전 구성하기 위해서 사전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선택된 2차 서빙 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 UE에 대한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된 2차 서빙 셀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은, 2차 서빙 셀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장치는,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1차 서빙 셀을 UE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 제 2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1의 2차 서빙 셀을 그리고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2의 2차 서빙 셀을 수신하도록 UE를 사전 구성하기 위한 수단 및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 구성 메시지를 UE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은,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1차 서빙 셀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제 2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UE를 사전 구성하기 위해서 사전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선택된 2차 서빙 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 UE에 대한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선택된 2차 서빙 셀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1차 서빙 셀을 UE에 송신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컴퓨터로 하여금, 제 2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1의 2차 서빙 셀을 그리고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2의 2차 서빙 셀을 수신하도록 UE를 사전 구성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및 컴퓨터로 하여금,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 구성 메시지를 UE에 송신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제공하고,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1차 서빙 셀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컴퓨터로 하여금, 제 2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사전 구성하기 위해서 사전 구성 정보를 수신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컴퓨터로 하여금,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선택된 2차 서빙 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및 컴퓨터로 하여금, 선택된 2차 서빙 셀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가진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은, 2차 서빙 셀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1차 서빙 셀을 UE에 송신하고, 제 2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1의 2차 서빙 셀을 그리고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2의 2차 서빙 셀을 수신하도록 UE를 사전 구성하고, 그리고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 구성 메시지를 UE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1차 서빙 셀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 2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도록 사전 구성하기 위해서 사전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선택된 2차 서빙 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리고 선택된 2차 서빙 셀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상들 및 다른 양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의 검토 시에 보다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프로세싱 시스템을 사용하는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사용자 및 제어 플레인에 대한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전기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전기통신 시스템에서 UE와 통신하는 노드 B의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SFDC-HSDPA 서비스를 송신하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어느 하나의 기술로 적어도 하나의 2차 서빙 셀을 수신할 수 있는 UE로의 DC-HSDPA 및 SFDC-HSDPA의 제공을 도시하는 개념도들이다.
도 8-10은 DC-HSDPA 또는 SFDC-HSDPA 중 어느 하나로 적어도 하나의 2차 서빙 셀을 수신할 수 있는 UE에 대한 2차 서빙 셀들 중에서 동적으로 선택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며,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개념들이 실시될 수 있는 구성들만을 표현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개념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할 목적으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개념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일부 경우들에서, 잘-알려져 있는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이러한 개념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르면,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의 임의의 부분,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의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들, 상태 머신들, 게이티드 로직(gated logic), 이산 하드웨어 회로들 및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다른 적합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시스템 내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든, 펌웨어로 지칭되든, 미들웨어로 지칭되든, 마이크로코드로 지칭되든, 하드웨어 설명 언어로 지칭되든 또는 그 외의 것들로 지칭되든 간에, 명령들, 명령 세트들,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객체들, 실행가능한 것들(exeutables), 실행 스레드들, 프로시저들, 함수들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해석될 것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상주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일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예로서, 자기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광학 디스크(예를 들어,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 스마트 카드, 플래쉬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램가능 ROM(PROM), 삭제가능 PROM(EPROM), 전기적으로 삭제가능한 PROM(EEPROM), 레지스터, 이동식(removable) 디스크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및 판독될 수 있는 명령들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또한, 예로서, 반송파, 송신 라인,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되고 판독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송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프로세싱 시스템의 내부에 또는 프로세싱 시스템의 외부에 상주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수의 엔티티들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로서, 컴퓨터-프로그램 물건은 패키지물(packaging material)들에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전체 시스템 상에 부과되는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제시되는 설명되는 기능을 구현할 최상의 방법을 인지할 것이다.
도 1은 프로세싱 시스템(114)을 사용하는 장치(100)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예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러한 예에서, 프로세싱 시스템(114)은, 일반적으로 버스(102)로 표현되는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 있다. 버스(102)는 프로세싱 시스템(114)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임의의 수의 상호접속 버스들 및 브리지(bridge)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102)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들(일반적으로 프로세서(104)로 표현됨), 메모리(105)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일반적으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06)로 표현됨)를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한다. 또한, 버스(102)는, 당해 기술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더 추가로 설명되지 않을 것인, 타이밍 소스들, 주변장치들, 전압 레귤레이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할 수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108)는 버스(102)와 트랜시버(11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트랜시버(110)는 송신 매체를 통해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장치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112)(예를 들어,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104)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06)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하여, 버스(102) 및 일반적인 프로세싱의 관리를 담당한다. 프로세서(104)에 의해 실행될 때,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싱 시스템(114)으로 하여금 임의의 특정 장치에 대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106)는 또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서(104)에 의해 조작(manipulate)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무선 전기통신 시스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 셀룰러 네트워크 사이의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이제, 3GPP 고속 패킷 액세스(HSPA) 시스템에 대한 일례가, 통상적으로 노드 B로 지칭되는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UE) 사이의 사용자 및 제어 플레인들에 대한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 2를 참조하여 제시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 플레인 또는 데이터 플레인은 사용자 트래픽을 반송(carry)하는 한편, 제어 플레인은 제어 정보, 즉, 시그널링을 반송한다.
도 2를 참조하면, UE 및 노드 B에 대한 라디오 프로토콜 아키텍처가 3 개의 계층들: 계층 1, 계층 2 및 계층 3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계층 1은 최하위 계층이고, 다양한 물리 계층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한다. 계층 1은 본 명세서에서 물리 계층(206)으로 지칭될 것이다. 계층 2(L2 계층)(208)라 칭해지는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 계층(206) 위에 있고, 물리 계층(206) 위에서 UE와 노드 B 사이의 링크를 담당한다.
계층 3에서, RRC 계층(216)은 UE와 노드 B 사이의 제어 플레인 시그널링을 핸들링(handle)한다. RRC 계층(216)은 상위 계층 메시지들을 라우팅하는 것, 브로드캐스트 및 페이징 기능들을 핸들링하는 것, 라디오 베어러들을 설정 및 구성하는 것 등을 위한 다수의 기능 엔티티들을 포함한다.
도시된 에어 인터페이스에서, L2 계층(208)은 서브계층들로 분할된다. 제어 플레인에서, L2 계층(208)은 2개의 서브계층들: 매체 액세스 제어(MAC) 서브계층(210) 및 라디오 링크 제어(RLC) 서브계층(212)을 포함한다. 사용자 플레인에서, L2 계층(208)은 추가적으로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서브계층(214)을 포함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UE는, 네트워크 측에서 PDN 게이트웨이에서 종료되는 네트워크 계층(예를 들어, IP 계층) 및 접속의 타단(예를 들어, 원단(far end) UE, 서버 등)에서 종료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하는 몇몇 상위 계층들을 L2 계층(208) 위에 가질 수 있다.
PDCP 서브계층(214)은 상이한 라디오 베어러들과 논리 채널들 사이에 멀티플렉싱을 제공한다. PDCP 서브계층(214)은 또한, 라디오 송신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상위 계층 데이터 패킷들에 대한 헤더 압축, 데이터 패킷들의 암호화에 의한 보안, 및 UE들에 대한 노드 B들 사이에서의 핸드오버 지원을 제공한다.
RLC 서브계층(212)은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에 기인한 비순차적(out-of-order) 수신을 보상하기 위해서, 상위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세그먼트화 및 리어셈블리, 손실된 데이터 패킷들의 재송신, 및 데이터 패킷들의 재순서화를 제공한다.
MAC 서브계층(210)은 논리 및 전송 채널들 사이에 멀티플렉싱을 제공한다. MAC 서브계층(210)은 또한 하나의 셀 내의 다양한 라디오 자원들(예를 들어, 자원 블록들)을 UE들 사이에 할당하는 것을 담당한다. MAC 서브계층(210)은 또한 HARQ 동작들을 담당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은 W-CDMA 에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유니버셜 모바일 전기통신 시스템(UMTS) 시스템(300)을 참조하여 예시된다. UMTS 네트워크는 3개의 상호작용하는 도메인들: 코어 네트워크(CN)(304), UMTS 지상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UTRAN)(302) 및 사용자 장비(UE)(310)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UTRAN(302)는, 텔레포니,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들 및/또는 다른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UTRAN(302)은 RNS(307)와 같은 복수의 라디오 네트워크 서브시스템(RNS)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은 RNC(306)와 같은 각각의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UTRAN(302)은, 도시된 RNC들(306) 및 RNS들(307)과 더불어 임의의 수의 RNC들(306) 및 RNS들(307)을 포함할 수 있다. RNC(306)는 무엇보다도, RNS(307) 내의 라디오 자원들을 할당, 재구성 및 릴리스하는 것을 담당하는 장치이다. RNC(306)는 임의의 적합한 전송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다이렉트 물리 접속, 가상 네트워크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UTRAN(302) 내의 다른 RNC들(미도시)에 상호접속될 수 있다.
UE(310)와 노드 B(308) 사이의 통신은 물리(PHY) 계층 및 매체 액세스 제어(MAC) 계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노드 B(308)를 통한 UE(310)와 RNC(306) 사이의 통신은 라디오 자원 제어(RRC) 계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RNS(307)에 의해 커버되는 지리적 영역은 다수의 셀들로 분할될 수 있고,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라디오 트랜시버 장치는 각각의 셀을 서빙한다. 라디오 트랜시버 장치는 UMTS 애플리케이션들에서는 통상적으로 노드 B로 지칭되지만, 또한, 기지국(BS),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 라디오 기지국, 라디오 트랜시버, 트랜시버 기능부, 기본 서비스 세트(BSS), 확장된 서비스 세트(ESS),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용어로 당업자들에 의해 지칭될 수 있다. 명료성을 위해서, 각각의 RNS(307)에 3개의 노드 B들(308)이 도시되어 있지만, RNS들(307)은 임의의 수의 무선 노드 B들을 포함할 수 있다. 노드 B들(308)은 임의의 수의 모바일 장치들에 대하여 코어 네트워크(CN)(304)로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제공한다. 모바일 장치의 예들은, 셀룰러 폰, 스마트폰,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폰, 랩탑, 노트북, 넷북, 스마트북,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위성 라디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디바이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카메라, 게임 콘솔,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기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는 UMTS 애플리케이션들에서는 통상적으로 사용자 장비(UE)로 지칭되지만, 또한, 이동국(MS),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AT), 모바일 단말, 무선 단말, 원격 단말, 핸드셋,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용어로 당업자들에 의해 지칭될 수 있다. UMTS 시스템에서, UE(310)는,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의 가입 정보를 포함하는 유니버셜 가입자 아이덴티티 모듈(USIM)(3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목적들로, 하나의 UE(310)가 다수의 노드 B들(308)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순방향 링크라 칭해지는 다운링크(DL)는 노드 B(308)로부터 UE(310)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또한 역방향 링크라 칭해지는 업링크(UL)는 UE(310)로부터 노드 B(308)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코어 네트워크(304)는 UTRAN(302)과 같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액세스 네트워크들과 인터페이싱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304)는 GSM 코어 네트워크이다. 그러나, 당업자들이 인지할 바와 같이,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제시되는 다양한 개념들은, GSM 네트워크들 이외의 코어 네트워크들의 타입들로의 액세스를 UE들에 제공하기 위해서, RAN 또는 다른 적합한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GSM 코어 네트워크(304)는 회선-교환(CS) 도메인 및 패킷-교환(PS) 도메인을 포함한다. 회선-교환 엘리먼트들 중 일부는 모바일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LR) 및 게이트웨이 MSC(GMSC)이다. 패킷-교환 엘리먼트들은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 및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를 포함한다. EIR, HLR, VLR 및 AuC와 같은 일부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은 회선-교환 및 패킷-교환 도메인들 모두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도시되는 예에서, 코어 네트워크(304)는 MSC(312) 및 GMSC(314)에 의해 회선-교환 서비스들을 지원한다.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에서, GMSC(314)는 미디어 게이트웨이(MGW)로 지칭될 수 있다. RNC(306)와 같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RNC들은 MSC(312)에 접속될 수 있다. MSC(312)는, 호출 셋업, 호출 라우팅 및 UE 이동성 기능들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MSC(312)는 또한, UE가 MSC(312)의 커버리지 영역에 있는 지속기간 동안 가입자-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LR)를 포함한다. GMSC(314)는 UE가 회선-교환 네트워크(316)에 액세스하도록 MSC(312)를 통한 게이트웨이를 제공한다. GMSC(314)는, 특정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들의 세부사항들을 반영하는 데이터와 같은 가입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홈 위치 레지스터(HLR)(315)를 포함한다. HLR은 또한, 가입자-특정 인증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증 센터(AuC)와 연관된다. 특정 UE에 대한 호출이 수신될 때, GMSC(314)는 UE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HLR(315)에 질의하고, 그 위치를 서빙하는 특정 MSC에 호출을 포워딩한다.
도시된 코어 네트워크(304)는 또한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318) 및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320)에 의해 패킷-데이터 서비스들을 지원한다. 일반적 패킷 라디오 서비스를 나타내는 GPRS는 표준 회선-교환 데이터 서비스들에 의해 이용가능한 것보다 더 빠른 속도로 패킷-데이터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GGSN(320)은 UTRAN(302)에 대하여 패킷-기반 네트워크(322)로의 접속을 제공한다. 패킷-기반 네트워크(322)는 인터넷, 사설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패킷-기반 네트워크일 수 있다. GGSN(320)의 주요 기능은 UE들(310)에 패킷-기반 네트워크 접속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데이터 패킷들은 SGSN(318)을 통해 GGSN(320)과 UE들(310)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고, SGSN(318)은, MSC(312)가 회선-교환 도메인에서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기능들을 주로 패킷-기반 도메인에서 수행한다.
UMTS 에어 인터페이스는 확산 스펙트럼 다이렉트-시퀀스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DS-CDMA) 시스템일 수 있다. 확산 스펙트럼 DS-CDMA는, 칩(chip)들이라 칭해지는 의사랜덤 비트들의 시퀀스에 의한 곱셈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확산한다. UMTS를 위한 W-CDMA 에어 인터페이스는 이러한 DS-CDMA 기술에 기초하고 추가적으로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을 요구한다. FDD는 노드 B(308)와 UE(210) 사이에서 업링크(UL) 및 다운링크(DL)에 대하여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를 사용한다. DS-CDMA를 이용하고 시분할 듀플렉싱(TDD)을 사용하는 UMTS를 위한 다른 에어 인터페이스는 TD-SCDMA 에어 인터페이스이다.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양한 예들이 W-CDMA 에어 인터페이스를 참조할 수 있지만 기본적 원리들이 TD-SCDMA 에어 인터페이스에도 동등하게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도 4는, 예시적인 UE(450)와 통신하는 예시적인 노드 B(410)의 블록도이고, 여기서, 노드 B(410)는 도 4의 노드 B(408)일 수 있고, UE(450)는 도 4의 UE(410)일 수 있다. 도면은 단일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표현할 수 있는 블록들을 제공하지만, 본 개시의 양상들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캐리어 주파수들을 이용하는 다수의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채널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다운링크 통신에서, 노드 B(408)의 송신 프로세서(420)는 데이터 소스(412)로부터 데이터를 그리고 제어기/프로세서(440)로부터 제어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420)는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 뿐만 아니라 기준 신호들(예를 들어, 파일럿 신호들)에 대한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송신 프로세서(420)는, 에러 검출을 위한 사이클릭 리던던시 체크(CRC) 코드들, 순방향 에러 정정(FEC)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코딩 및 인터리빙, 다양한 변조 방식들(예를 들어, 바이너리 위상-시프트 키잉(BPSK), 직교 위상-시프트 키잉(QPSK), M-위상-시프트 키잉(M-PSK), M-직교 진폭 변조(M-QAM) 등)에 기초한 신호 성상도(constellation)들로의 맵핑, 직교 가변 확산 팩터들(OVSF)에 의한 확산, 및 일련의 심볼들을 생성하기 위한 스크램블링 코드들과의 곱셈을 제공할 수 있다. 채널 프로세서(444)로부터의 채널 추정치들은, 송신 프로세서(420)에 대한 코딩, 변조, 확산 및/또는 스크램블링 방식들을 결정하기 위해서 제어기/프로세서(44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 채널 추정치들은 UE(450)로부터의 피드백으로부터 또는 UE(450)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420)에 의해 생성된 심볼들은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기 위해서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430)에 제공된다.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430)는 제어기/프로세서(440)로부터의 정보와 심볼들을 멀티플렉싱함으로써 이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여, 일련의 프레임들을 도출한다. 이후, 프레임들은 송신기(432)에 제공되고, 송신기(432)는 안테나(434)를 통한 무선 매체 상에서의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서, 증폭, 필터링 및 프레임들의 캐리어 상으로의 변조를 포함하는 다양한 신호 컨디셔닝 기능들을 제공한다. 안테나(434)는, 예를 들어, 빔 스티어링 양방향 적응형 안테나 어레이들 또는 다른 유사한 빔 기술들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450)에서, 수신기(454)는 안테나(452)를 통해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하고, 그 송신을 프로세싱하여, 캐리어 상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한다. 수신기(454)에 의해 복원된 정보는 수신 프레임 프로세서(460)에 제공되고, 수신 프레임 프로세서(460)는 각각의 프레임을 파싱하고, 프레임들로부터의 정보를 채널 프로세서(494)에 제공하고, 데이터, 제어 및 기준 신호들을 수신 프로세서(470)에 제공한다. 이후, 수신 프로세서(470)는 노드 B(410)의 송신 프로세서(420)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싱의 역을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수신 프로세서(470)는 심볼들을 디스크램블링 및 역확산하고, 이후, 변조 방식에 기초하여, 노드 B(410)에 의해 송신된 가장 가능성 있는 신호 성상점들을 결정한다. 이 연판정들(soft decisions)은 채널 프로세서(494)에 의해 컴퓨팅되는 채널 추정치들에 기초할 수 있다. 이후, 데이터, 제어 및 기준 신호들을 복원하기 위해서, 연판정들이 디코딩 및 디인터리빙된다. 이후, 프레임들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CRC 코드들이 체크된다. 이후,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프레임들에 의해 반송된 데이터는 데이터 싱크(472)에 제공될 것이고, 데이터 싱크(472)는 UE(450) 및/또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표현한다.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프레임들에 의해 반송된 제어 신호들은 제어기/프로세서(490)에 제공될 것이다. 프레임들이 수신기 프로세서(470)에 의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않을 때, 제어기/프로세서(490)는 또한 이 프레임들에 대한 재송신 요청들을 지원하기 위한 확인응답(ACK) 및/또는 부정 확인응답(NACK)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업링크에서, 데이터 소스(478)로부터의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490)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이 송신 프로세서(480)에 제공된다. 데이터 소스(478)는 UE(450) 및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예를 들어, 키보드)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표현할 수 있다. 노드 B(410)에 의한 다운링크 송신과 관련하여 설명된 기능과 유사하게, 송신 프로세서(480)는, CRC 코드들, FEC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코딩 및 인터리빙, 신호 성상도들로의 맵핑, OVSF들에 의한 확산, 및 일련의 심볼들을 생성하기 위한 스크램블링을 포함하는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제공한다. 적절한 코딩, 변조, 확산 및/또는 스크램블링 방식들을 선택하기 위해서, 노드 B(410)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로부터 또는 노드 B(410)에 의해 송신된 미드앰블에 포함된 피드백으로부터 채널 프로세서(494)에 의해 유도되는 채널 추정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480)에 의해 생성된 심볼들은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기 위해서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482)에 제공될 것이다.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482)는 제어기/프로세서(490)로부터의 정보와 심볼들을 멀티플렉싱함으로써 이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여, 일련의 프레임들을 도출한다. 이후, 프레임들은 송신기(456)에 제공되고, 송신기(456)는 안테나(452)를 통한 무선 매체 상에서의 업링크 송신을 위해서, 증폭, 필터링 및 프레임들의 캐리어 상으로의 변조를 포함하는 다양한 신호 컨디셔닝 기능들을 제공한다.
업링크 송신은, UE(450)의 수신기 기능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노드 B(410)에서 프로세싱된다. 수신기(435)는 안테나(434)를 통해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고, 그 송신을 프로세싱하여, 캐리어 상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한다. 수신기(435)에 의해 복원된 정보는 수신 프레임 프로세서(436)로 제공되고, 수신 프레임 프로세서(436)는 각각의 프레임을 파싱하고, 프레임들로부터의 정보를 채널 프로세서(444)에 제공하고, 데이터, 제어 및 기준 신호들을 수신 프로세서(438)에 제공한다. 수신 프로세서(438)는 UE(450)의 송신 프로세서(480)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싱의 역을 수행한다. 이후,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프레임들에 의해 반송된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은 데이터 싱크(439) 및 제어기/프로세서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프레임들 중 일부가 수신 프로세서에 의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않았을 경우, 제어기/프로세서(440)는 또한 이 프레임들에 대한 재송신 요청들을 지원하기 위한 확인응답(ACK) 및/또는 부정 확인응답(NACK)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들(440 및 490)은 각각 노드 B(410) 및 UE(450)에서의 동작을 지시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프로세서들(440 및 490)은 타이밍, 주변기기 인터페이스들, 전압 조절, 전력 관리 및 다른 제어 기능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들(442 및 492)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각각 노드 B(410) 및 UE(450)에 대한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노드 B(410)에서의 스케줄러/프로세서(446)는 UE들에 자원들을 할당하고 UE들에 대한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송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제시되는 다양한 개념들은 다양한 전기통신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텍처들 및 통신 표준들에 걸쳐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HSPA를 이용할 수 있는 UMTS 지상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UTRAN) 아키텍처에서의 간략화된 액세스 네트워크(500)가 도시된다. 시스템은 셀들(502, 504, 506)을 포함하는 다수의 셀룰러 영역들(셀들)을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섹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셀들 및 섹터들은 예를 들어, 커버리지 영역에 의해 지리상으로 정의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주파수, 스크램블링 코드 등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지리상으로 정의된 셀들(502, 504, 506) 각각은, 예를 들어,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들 또는 스크램블링 코드들을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셀들로 추가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504a)은 제 1 캐리어 주파수 또는 스크램블링 코드를 이용할 수 있지만, 동일한 지리상 영역에 있으며 동일한 노드 B(544)에 의해 서빙되는 셀(504b)은 제 2 캐리어 주파수 또는 스크램블링 코드를 이용함으로써 구별될 수 있다.
섹터들로 분할되는 셀에서, 셀 내의 다수의 섹터들은 셀의 일부에서 UE들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각각의 안테나를 가지는 안테나들의 그룹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502)에서, 안테나 그룹들(512, 514, 516)은 각각 상이한 섹터에 대응할 수 있다. 셀(504)에서, 안테나 그룹들(518, 520, 522)은 각각 상이한 섹터에 대응한다. 셀(506)에서, 안테나 그룹들(524, 526, 528)은 각각 상이한 섹터에 대응한다.
셀들(502, 504, 506)은 각각의 셀(502, 504 또는 506)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섹터들과 통신할 수 있는 몇몇 UE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들(530, 532)은 노드 B(542)와 통신할 수 있고, UE들(534, 536)은 노드 B(544)와 통신할 수 있으며, UE들(538, 540)은 노드 B(546)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노드 B(542, 544, 546)는 각각의 셀들(502, 504, 506) 내의 모든 UE들(530, 532, 534, 536, 538, 540)에 대하여 액세스 포인트를 코어 네트워크(204)(도 2 참조)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소스 셀(504a)과의 통화(call) 동안 또는 임의의 다른 시간에, UE(536)는 소스 셀(504a)의 다양한 파라미터들 뿐만 아니라 셀들(504b, 506, 502)과 같은 이웃 셀들의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이 파라미터들의 품질에 따라, UE(536)는 이웃 셀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과의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이 시간 동안, UE(536)는 Active Set, 즉, UE(536)가 동시에 접속되는 셀들의 리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즉, 현재 다운링크 전용 물리 채널 DPCH 또는 부분적(fractional) 다운링크 전용 물리 채널 F-DPCH을 UE(536)에 할당하는 UTRA 셀들은 Active Set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셀들은 RRC 시그널링, 이를테면, 이벤트 1A 및 이벤트 1B라 칭해지는 메시지들 및 대응하는 재구성 메시지들을 이용하는 Active Set에 부가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삭제될 수 있다.
서빙 셀 변경(SCC) 프로시저에서, UE는 서빙 셀이 현재 서빙 소스 셀로부터 타겟 셀로 변경되는 것을 요청한다. 이 요청은 이벤트 1D라 칭해지는 RRC 메시지를 통해 UTRAN에 전송된다. UTRAN 및 UE는 몇몇 메시지들을 교환하고, 프로시저가 완료될 때 HS 데이터는 타겟 셀로부터 서빙된다.
고속 패킷 액세스(HSPA) 에어 인터페이스는 3G/W-CDMA 에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일련의 개선들을 포함하여, 스루풋을 더 크게 하는 것 및 레이턴시의 감소를 용이하게 한다. 이전의 릴리스들 상에서의 다른 변경들 중에서, HSPA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 공유 채널 송신 및 적응형 변조 및 코딩을 이용한다. HSPA를 정의하는 표준들은 HSDPA(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 및 HSUPA(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또한 개선된 업링크 또는 EUL로 지칭됨))를 포함한다.
3GPP 표준 패밀리의 릴리스 5에서,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가 도입되었다. HSDPA와 이전에 표준화된 회선-교환 에어-인터페이스 사이의 다운링크에 대한 하나의 차이는 HSDPA에서의 소프트 핸드오버의 부재이다. 이것은 데이터가 HSDPA 서빙 셀이라 칭해지는 단일 셀로부터 UE에 송신되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이동할 때 또는 하나의 셀이 다른 셀보다 선호될 때, HSDPA 서빙 셀은 변경될 수 있다.
Rel.5 HSDPA에서, 임의의 경우, UE는 하나의 서빙 셀을 가진다. 여기서, 서빙 셀은 UE가 캠핑되는 그 셀이다. 3GPP TS 25.331의 Rel.5에서 정의되는 이동성 프로시저들에 따라, HSPDA 서빙 셀을 변경하기 위한 라디오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 메시지들은 UE가 더 강한 셀(즉, 타겟 셀)이라는 것으로 보고하는 셀이 아닌 현재 HSDPA 서빙 셀(즉, 소스 셀)로부터 송신된다.
또한, Rel.5 HSDPA에 있어서, UE는 일반적으로 다운링크 채널의 품질을 결정하기 위해서 다운링크 채널의 특정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하고 다운링크 채널의 특정 파라미터들의 측정들을 수행한다. 이러한 측정들에 기초하여, UE는 업링크 송신 상에서 피드백을 노드 B에 송신할 수 있다. 이 피드백은 채널 품질 표시자(CQI)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노드 B는 다운링크 송신들 상에서, UE로부터 보고된 CQI에 기초하여 크기, 코딩 포맷 등을 가지는 후속하는 MAC-hs/MAC-ehs 패킷들을 UE에 송신할 수 있다.
HSDPA는 자신의 전송 채널로서 고속 다운링크 공유 채널(HS-DSCH)을 이용한다. HS-DSCH는 3개의 물리 채널들: 고속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HS-PDSCH), 고속 공유 제어 채널(HS-SCCH) 및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HS-DPCCH)에 의해 구현된다.
이 물리 채널들 중에서, HS-PDSCH는 다운링크 상에서 실제 데이터를 반송하는 한편, HS-SCCH는 대응하는 HS-PDSCH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제어 정보를 UE에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이다. HS-DPCCH는 대응하는 패킷 송신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는지의 여부를 표시하기 위해서 업링크 상에서 HARQ ACK/NACK 시그널링을 반송한다. 즉, 다운링크에 대하여, UE는 자신이 다운링크 상에서 패킷을 정확하게 디코딩하였는지의 여부를 표시하기 위해서 HS-DPCCH 상에서 피드백을 노드 B에 송신한다.
HS-DPCCH는 변조 및 코딩 방식에 대하여 올바른 판정을 취하고, 가중치 선택을 프리코딩할 시에 노드 B를 보조하기 위해서 UE로부터의 피드백 시그널링을 더 포함하며, 이러한 피드백 시그널링은 CQI 및 PCI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노드 B는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에 따라 다운링크 채널 상에서의 송신들을 적응시킬 수 있다.
HSPA-기반 모바일 인터넷 제공들은 매우 인기가 있으며, 데이터 사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HSPA는 둘 이상의 송신 안테나 또는 둘 이상의 캐리어 상에서 전개되기 시작하였다. 예로서, 단일 셀 다운링크 MIMO(MIMO-물리 계층) 특징은 노드 B가 한 쌍의 송신 안테나들 상에서 동일한 섹터로부터의 단일 UE에 2개의 전송 블록들을 송신하게 하도록 도입되었으며, 따라서 높은 기하학적 구조들에서의 데이터 레이트들을 향상시키고, 낮은 기하학 조건들에서 빔형성 이점을 UE에 제공한다. 후속적으로, 듀얼 셀 HSDPA(DC-HSDPA) 및 듀얼 대역(DB)-DC-HSDPA 특징들이 도입되었으며, 노드 B가 동일한 섹터에서 2개의 상이한 주파수 채널들 상의 HSDPA의 동시 동작에 의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사용자들을 서빙하게 하고, 따라서 전체 셀에 걸쳐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DC-HSDPA는 다운링크 상에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이용하는 HSDPA에 대한 추가적 개선이다. 즉, DC-HSDPA에서, 노드 B는 본질적으로 다운링크 스루풋을 2배 하기 위해서 2개의 캐리어 주파수들 상에서 2개의 HS-DSCH 채널들, 즉, (일반적으로 데이터 및 제어 시그널링을 반송하는) 1차 서빙 HS-DSCH 셀 및 (일반적으로 데이터 채널들만을 반송하는) 2차 서빙 HS-DSCH 셀을 UE에 송신할 수 있다. 특정된 바와 같이, DC-HSDPA는 UE로의 자원들의 스케줄링이 단일 섹터로 통합되도록 2개의 HS-DSCH 채널들을 단일 섹터로부터의 UE에 제공한다.
UE(534)(도 5 참조)가 2개의 이웃 섹터들의 경계에서 HSDPA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을 때, 이 서비스의 스루풋은 섹터-간 간섭 또는 서빙 섹터로부터의 낮은 신호 품질에 기인하여 종종 제한된다. 이웃 섹터로부터의 간섭에 기인하여 그리고/또는 서빙 섹터로부터의 약한 신호에 기인하여 단말은 단지 매우 제한된 데이터 레이트로 서빙될 수 있다. 따라서, DC-HSDPA 시스템에서, 하나 또는 2개의 HS-DSCH 채널들의 품질이 저하될 때, 섹터는 다른 섹터로 단순히 핸드오버할 수 있으며, 이는 이후 듀얼 셀들을 UE에 송신할 수 있다.
DC-HSDPA 및 듀얼 대역 DC-HSDPA의 공통 양상은 이들이 UE에서의 2개의 독립적 전송 블록들의 동시 다운링크 수신을 허용하는 것이며, 여기서 전송 블록들은 단일 노드 B 섹터에 의해 HS-DSCH 상에서 송신된다. 이러한 특징들은 셀 전역에서 피크 사용자 뿐만 아니라 평균 사용자 스루풋을 상당히 개선시키지만, 셀 커버리지의 외부 영역에서 심지어 더 양호하고 더 일관된 사용자 경험에 대한 분명한 요구가 존재한다.
앞으로도 오랫 동안, HSPA 네트워크들은 HSDPA를 위해서 단일 캐리어 주파수가 배치되는 많은 매크로-셀룰러 사이트들을 여전히 포함할 것임이 예상된다. 단일 주파수 동작에 대한 제한은 동작기가 제한된 스펙트럼을 가진다(예를 들어, 동작기가 단일 5 MHz 캐리어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에 기인할 수 있다. DC-HSDPA 가능 UE들이 이용가능해지는 이 단일 캐리어 주파수 네트워크들에서, 현재 UMTS 사양들은 이러한 UE들이 동일한 주파수 상에서 2개의 상이한 섹터들로부터 2개의 전송 블록들을 동시에 수신하게 허용하지 않는다. 결과로서, DC-HSDPA UE의 제 2 수신 체인은 이 네트워크들에서 유휴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유사하게, 가까운 미래에서, 많이 밀접한 도심 영역들에서, HSPA 네트워크들은 HSDPA를 위해서 듀얼 주파수들이 배치되는 많은 매크로-셀룰러 사이트들을 포함할 것임이 예상된다. 4C-HSDPA 가능 UE들이 이용가능해지는 이 듀얼 캐리어 주파수 네트워크들에서, 현재 UMTS 사양들은 이러한 UE들이 듀얼 주파수들에 걸쳐 한 쌍의 섹터들로부터 3 내지 4개의 전송 블록들을 동시에 수신하게 허용하지 않는다. 결과로서, 4C-HSDPA UE의 제 3 그리고 제 4 수신 체인들은 이 네트워크들에서 유휴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또한, 현실적인 배치에서, 시스템은 드물게 완전히 이용된다. 부분적으로 로딩된 시스템은 실제로 공통 시나리오이다. DC-HSDPA 또는 4C-HSDPA 가능 UE가 2개의 섹터들의 소프트(soft) 또는 소프터(softer) 핸드오버 커버리지 영역에 속하는 경우, 1차 서빙 HS-DSCH 셀로부터의 링크에 대응하는 섹터가 용량이 제약되고, 그 활성 세트 내의 넌-서빙 섹터가 부분적으로 로딩 ― 즉, 넌-서빙 섹터가 HS-PDSCH 상에서 완전히 이용되지 않는 코드들 및 이용가능한 전력을 가짐 ― 될 때, 넌-서빙 셀은 또한 UE 수신기 능력을 이용함으로써 이 UE로의 패킷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서빙 섹터에서의 사용자들에 대한 어그리게이트 스루풋 이득을 제공하는 동안 트래픽 오프로딩을 달성한다.
MIMO 및 DC-HSDPA와 유사하게, 다른 기법은 2개의 독립적인 전송 블록들을 소프트/소프터 핸드오버 영역 내의 UE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며, 여기서 전송 블록들이 단일 주파수 상에서 2개의 상이한 노드 B 섹터들로부터 동시에 송신된다. 각각의 구성된 주파수에서 타입 3i 구현이 가능한(즉, 간섭-인지 수신기를 포함하는) DC-HSDPA 또는 4C-HSDPA 유사 UE는 그 주파수 상에서 하나의 섹터로부터의 간섭을 상당히 억제할 수 있는 한편, 이는 다른 섹터로부터의 패킷을 디코딩한다. 또한, DC-HSDPA 또는 4C-HSDPA 유사 UE가 구성된 주파수 당 단 하나의 Rx 안테나가 가능한 경우, 임의의 주어진 TTI에서 2개의 섹터들 중 하나로부터의 단일 전송 블록(UE가 단일 주파수 상에서 구성되는 경우) 또는 듀얼 전송 블록들(UE가 듀얼 주파수들 상에서 구성되는 경우)의 동적 스케줄링을 허용함으로써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이러한 UE들에 제공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하여야 한다.
본 개시의 양상에서,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특정 기간의 시간 동안 UE(610)가 다수의 섹터들에 의해 서빙될 수 있도록, 각각의 노드 B들(602, 604)로부터의 둘 또는 셋 이상의 섹터들(614, 616) 사이의 지리적 오버랩을 가지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무선 전기통신 시스템은 단일 캐리어 주파수 상에서 복수의 섹터들로부터의 HSDPA 서비스(606, 608)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섹터들을 이용하는 셋업은 단일 주파수 듀얼 셀 HSDPA(SFDC-HSDPA)로 지칭될 수 있다. 그러나, 소프트 또는 소프터 어그리게이션, 조정된 멀티포인트 HSDPA(CoMP) 또는 단순히 멀티포인트 HSDPA를 포함하는(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음) 다른 용어가 자유롭게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UE(610)는 두 섹터들(614, 616) 모두에 대한 피드백을 포함하는 단일 업링크(612)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체 시스템 뿐만 아니라 섹터 경계들에서의 사용자들은 높은 스루풋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이한 섹터들은 동일한 노드 B에 의해 송신될 수 있거나, 또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이한 섹터들은 상이한 노드 B들(602, 604)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양상에 따른 SFDC-HSDPA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6에 도시되는 방식으로, 2개의 노드 B들(602, 604) 각각은 다운링크 채널(606, 608)을 각각 송신하고, 여기서 다운링크 채널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에 있다. 물론,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다른 양상에서, 두 다운링크 캐리어들(606 및 608) 모두는 동일한 노드 B의 상이한 섹터들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여기서, UE(610)는 다운링크 채널들을 수신하며, 업링크 채널(612)을 송신하고, 업링크 채널(612)은 두 노드 B들(602, 604) 모두에 의해 수신된다. UE(610)로부터의 업링크 채널(612)은 예를 들어, 대응하는 다운링크 채널들(606, 608)에 대한 다운링크 채널 상태에 대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당업자들은 SFDC-HSDPA의 특정 양상들이 소프트 핸드오버와 유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즉, 특정 업링크 송신들이 듀얼 섹터들 각각에 제공되는 동안, 사용자는 듀얼 섹터들로부터 다운링크 정보를 동시에 수신하여 스루풋 및 신뢰성 둘 다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2개의 섹터들의 경계에 있을 때, 예를 들어, 섹터-간 간섭으로부터 발생하는 예상되는 열악한 성능이 감소되거나 또는 회피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 1 섹터에 의해 서빙되는 경우, 그리고 제 2 섹터가 향상되는 경우, 서빙 섹터는 사용자가 더 적합한 섹터에 의해 서빙될 수 있도록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섹터들에 대응하는 영역들이 서로 오버랩하거나 또는 접촉하는 특정 지리적 위치에서, 어떤 섹터가 더 양호한지를 결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고, 추가로, 어떤 섹터가 더 양호한지에 대한 지정은 경계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급속히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두 섹터들 모두로부터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경계 영역에서 더 양호하게 서빙될 수 있다.
UE가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들에서 캐리어들을 어그리게이팅하는) DC-HSDPA 및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에서 캐리어들을 어그리게이팅하는) SFDC-HSDPA 둘 다가 가능한 경우, 일부 경우들에서는, 상이한 주파수 상에서 각각의 셀이 구성되는 한 쌍의 서빙 HS-DSCH 셀들로부터 전송 블록들을 동시에 수신하도록 UE를 구성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는 한편, 다른 경우들에서는, 동일한 주파수 상에서 각각의 셀이 구성되는 한 쌍의 서빙 HS-DSCH 셀들로부터 전송 블록들을 동시에 수신하도록 UE를 구성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즉, 1차 서빙 HS-DSCH 셀의 캐리어 주파수와는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 및 1차 서빙 HS-DSCH 셀과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2의 2차 서빙 HS-DSCH 셀 사이에서 선택하기 위한 능력을 제공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서, 각각의 셀들 사이에서 판정하기 위한 다양한 팩터들의 고려사항 및 이러한 두 모드들 사이에서 UE를 스위칭하기 위한 트리거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양상들은 네트워크가 이러한 두 모드들 사이에서 UE를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제공한다.
도 7a는 3개의 HS-DSCH 셀들(704, 706, 708)을 송신하는 노드 B(702) 및 셀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수신할 수 있는 적합한 위치에 있는 UE(710)의 개념도이다. 또한, 도시되는 바와 같은 UE(710)는 예를 들어, 노드 B(70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 송신(712)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송신(712)은 수신된 HSDPA 채널(들)에 대응하는, CQI 피드백과 같은 정보를 노드 B(702)에 반송하는 HS-DPCCH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b는 2개의 HS-DSCH 셀들(704, 706)을 송신하는 동일한 노드 B(702) 및 제 3 HS-DSCH 셀(708)을 송신하는 별개의 노드 B(703)의 개략도이다. 도시되는 예에서, 셀(704)은 제 1 캐리어 주파수 f1에서 송신되고, 셀(706)은 제 2 캐리어 주파수 f2에서 송신되며, 셀(708)은 제 1 캐리어 주파수 f1에서 송신된다. 도 7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서, 셀들 모두가 동일한 노드 B(702)에 의해 송신되는 것이 필수적이 아니라는 것을 도시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또한, 도면은 제 1 캐리어 주파수 f1에서 별개의 노드 B(703)가 셀(708)을 송신하는 것을 제공하는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양상들에서, 제 2 캐리어 주파수 f2에서 별개의 노드 B(703)가 셀(708)을 송신할 수 있다. 즉, DC-HSDPA에 대한 현재 사양들은 다운링크 송신들에 이용되는 듀얼 캐리어들이 동일한 노드 B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요구하지만, 본 개시의 양상들은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들에서의 듀얼 셀들이 별개의 노드 B들에 의해 송신되고, UE(710)에 의해 어그리게이팅되는 실시예들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 방식은 듀얼 주파수, 듀얼 셀(DF-DC)-HSDPA로 지칭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은 도 7a에 도시되는 구성을 참조하지만, 당업자들은 2차 서빙 셀들이 1차 서빙 셀을 송신하는 노드 B와 상이한 노드 B 또는 동일한 노드 B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서, 도 7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UE(710)는 제 1 캐리어 주파수 f1에서 1차 서빙 HS-DSCH 셀(704)에 의해 서빙될 수 있다. 여기서, 1차 서빙 HS-DSCH 셀(704)은 노드 B(702)에 의해 송신될 수 있거나, 또는 노드 B(702)를 이용하는 RNC(306)(도 3 참조)와 같은 네트워크에서 다른 노드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여기서, UE(710)는 (DC-HSDPA 또는 DB-DC-HSDPA에서와 같이) 1차 서빙 HS-DSCH 셀(704)이 구성되는, 제 1 캐리어 주파수와 상이한 제 2 캐리어 주파수 f2 상에서의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706) 뿐만 아니라, (SFDC-HSDPA에서와 같이) 1차 서빙 HS-DSCH 셀(704)이 구성되는 제 1 캐리어 주파수 f1 상에서의 제 2의 2차 서빙 HS-DSCH 셀(708)로 사전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2차 서빙 HS-DSCH 셀들(706, 708) 각각에 대응하는 HS-SCCH를 모니터링하도록 UE(710)에 명령함으로써 UE(710)는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706) 및 제 2의 2차 서빙 HS-DSCH 셀(708) 둘 다에 대하여 사전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HS-SCCH들을 판독함으로써, 선택된 각각의 HS-DSCH 셀을 신속히 디코딩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UE(710)에 제공될 수 있다.
물론, 1차 서빙 셀(704)로부터의 적합한 제어 채널 상에서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706) 및 제 2의 2차 서빙 HS-DSCH 셀(708) 각각에 대한 사전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것과 같이, 사전 구성의 다른 적합한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양상들에서, UE(710)를 사전 구성하기 위한 구성 메시지는 RNC로부터의 RRC 구성 메시지의 형태로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서, HS-SCCH 순서는 사전 구성 정보를 포함하여, 예를 들어, 1차 서빙 셀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물론, UE(710)를 사전 구성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메시지가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부 양상들에서, UE(710)의 사전 구성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고, UE(710)가 임의의 이러한 사전 구성을 요구하지 않고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캐리어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경우, UE(710)의 사전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10은 본 개시의 양상들 중 일부에 따라 2차 서빙 HS-DSCH 셀들(706, 708) 중에서 동적으로 선택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800a-800c)를 제공한다. 다음의 설명은 흐름도(800a-800c) 및 도 7a에 도시되는 대응하는 개략도를 참조할 것이다. 즉, 흐름도(800a-800c)에 도시되는 프로세스는 노드 B(702)에 의해, RNC(306)(도 3 참조)에 의해, 임의의 프로세싱 시스템(114)(도 1 참조)에 의해, 또는 임의의 적합한 장치 또는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명료성을 위해서, 도 7a에 도시되는 예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것이다.
블록(802)에서,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노드 B(702)의 대응하는 섹터로부터, 제 1 주파수 f1에서 1차 서빙 HS-DSCH 셀을 UE(710)에 제공할 수 있다. 블록(804)에서, 프로세스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제 2 주파수 f2에서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에 대하여 UE(710)를 사전 구성하며, 제 1 주파수 f1에서 제 2의 2차 서빙 HS-DSCH 셀에 대하여 UE(710)를 사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 구성 정보는 RRC 구성 메시지, HS-SCCH 순서,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포맷으로 송신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UE(710)가 활성인 경우, 즉, 블록(802)에서 제공되는 바와 같이 1차 서빙 HS-DSCH 셀(704)에 의해 서빙되는 경우, 노드 B(702)는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706) 또는 제 2의 2차 서빙 HS-DSCH 셀(708)을 활성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양상에 따라, 각각의 2차 서빙 HS-DSCH 셀들 사이에서의 선택은 UE 배터리 소비를 팩터로서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806)에서, 디폴트 구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프로세스는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706)에 대응하는 제 2 캐리어 주파수 f2가 1차 서빙 HS-DSCH 셀(704)에 대응하는 제 1 캐리어 주파수 f1과 동일한 대역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캐리어들이 동일한 대역 내에 있는 경우, 블록(808)에서, 프로세스는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706)을 활성화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706)이 1차 서빙 HS-DSCH 셀(704)이 구성되는 캐리어 주파수 f1을 포함하지 않는 대역 내에 구성되는 경우, 블록(810)에서, 프로세스는 제 2의 2차 서빙 HS-DSCH 셀(708)을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주파수 f2에서의)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706)이 (예를 들어, DC-HSDPA 구성에서) (주파수 f1에서의) 1차 서빙 HS-DSCH 셀(704)과 동일한 대역 내에 있는 경우, 두 셀들 모두를 수신하기 위해서 UE(710)에서 단일 수신 체인 또는 단일 RF 프론트-엔드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적은 배터리 전력을 이용한다. 한편, (예를 들어, DB-DC-HSDPA 구성에서) (주파수 f2에서의)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706)이 1차 서빙 HS-DSCH 셀(704)과 상이한 대역 내에 있는 경우,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706)이 수신되면, UE(710)는 일반적으로 듀얼 수신 체인들 또는 듀얼 RF 프론트-엔드들을 이용하라는 요구를 받아, 상대적으로 더 높은 배터리 전력 소비를 초래하고, 더 적합한 선택인 (예를 들어, SFDC-HSDPA 구성에서) 제 1 주파수 f1에서의 제 2의 2차 서빙 HS-DSCH 셀(708)의 선택을 수행한다.
따라서, 어떤 2차 서빙 HS-DSCH 셀을 이용할지를 선택할 시에 네트워크가 고려할 수 있는 하나의 팩터는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706)이 1차 서빙 HS-DSCH 셀(704)과 동일한 대역 내에 있는지의 여부일 수 있다. 여기서, 제 2 주파수 f2에서의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706)이 1차 서빙 HS-DSCH 셀(704)과 상이한 대역 내에 있는 경우, 블록(810)에서, 노드 B(702)는 소프터 어그리게이션 구성에서 제 1 주파수 f1(즉, 1차 서빙 HS-DSCH 셀(704)과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에서의 제 2의 2차 서빙 셀(708)을 선택할 수 있다.
제 1의 또는 제 2의 2차 서빙 HS-DSCH 셀의 선택을 표시하기 위한 네트워크와 UE(710) 사이의 시그널링은 임의의 적합한 포맷으로 송신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양상들에서, 네트워크(예를 들어, 노드 B(702))는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706) 또는 제 2의 2차 서빙 HS-DSCH 셀(708)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또는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706) 또는 제 2의 2차 서빙 HS-DSCH 셀(708)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활성화해제시키기 위해서 HS-SCCH 순서들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블록들(808, 810)은 노드 B(702)로부터 UE(710)로의 이러한 HS-SCCH 순서들의 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인하여, 본 개시의 일부 양상들에서, 4C-HSDPA를 위해서 도입된 기존의 Rel-10 HS-SCCH 순서 테이블이 재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2의 2차 서빙 HS-DSCH 셀을 활성화해제/활성화 그리고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을 활성화/활성화해제하는데 사용되는 순서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706)을 활성화해제/활성화 그리고 제 2의 2차 서빙 HS-DSCH 셀(708)을 활성화/활성화해제하기 위해서 목적을 변경(re-purpose)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서, 공적으로 이용가능한 3GPP Rel-10 표준들에 설명되는 표준화된 HS-SCCH 순서들과 상이한 새로운 HS-SCCH 순서 타입이 도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에서, 2차 서빙 HS-DSCH 셀들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활성화해제시키는 것이 RNC에 의해, 예를 들어, RRC 구성 메시지들 또는 다른 적합한 L3 구성 메시지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블록들(808, 810)은 RNC(306)로부터 UE(710)로의 이러한 RRC 구성 메시지들의 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들이 인지할 바와 같이, 이 프로시저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순서들을 이용하는 것보다 더 느릴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양상들에서, UE(710)는 둘 이상의 2차 서빙 HS-DSCH 셀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즉, 더 진보된 UE는 제 1 주파수 f1에서의 1차 서빙 HS-DSCH 셀(704)로부터, 제 2 주파수 f2에서의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706)로부터, 그리고 제 1 주파수 f1에서의 제 2의 2차 서빙 HS-DSCH 셀(708)로부터 다운링크 상에서 HS-DSCH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분명하게, 제 1의 또는 제 2의 2차 서빙 HS-DSCH 셀들(706, 708) 중 하나 또는 둘 다의 선택은 UE가 그 둘 다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의존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록(812)에서, 프로세스는 UE(710)가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706) 및 제 2의 2차 서빙 HS-DSCH 셀(708) 둘 다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C-HSDPA에 대하여, 3GPP TS 25.214, 릴리스 10 또는 후속 릴리스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이 CQI 보고 프로시저들을 이용하여, UE(710)가 가능한 경우, UE(710)는 상응하게 각각의 셀들 각각에 대한 P-CPICH를 모니터링하며, 1차 서빙 HS-DSCH 셀(704),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706) 및 제 2의 2차 서빙 HS-DSCH 셀(708) 각각에 대한 CQI 보고들을 송신할 수 있다. 물론, 이것은 명료성을 위해서 제공되는 오직 하나의 예이며, 각각의 다운링크 채널들에 대응하는 채널 품질 보고들을 송신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포맷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830)에서, 프로세스는 2차 서빙 HS-DSCH 셀들 둘 다에 대한 CQI 보고들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UE(710)로부터의 CQI 보고들에 따라, 그리고 이용가능한 경우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각각의 셀들의 로딩에 따라, 블록(832)에서, 노드 B(702)는 2차 서빙 HS-DSCH 셀들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활성화해제하기로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제, 블록(812)을 참조하면, UE(710)가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706) 및 제 2의 2차 서빙 HS-DSCH 셀(708) 둘 다를 동시에 수신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어떤 이유로든 프로세스가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706) 또는 제 2의 2차 서빙 HS-DSCH 셀(708) 중 오직 하나가 UE(710)에 의해 이용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프로세스는 블록(814)으로 이동할 것이다. 블록(814)에서, 네트워크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블록(808 또는 810)에서 선택된 바와 같이, 1차 서빙 HS-DSCH 셀(704) 및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706) 및 제 2의 2차 서빙 HS-DSCH 셀(708) 중 초기에 선택된 하나를 이용하는 UE(710)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될 수 있는 하나의 명명법(nomenclature)은 블록(808 또는 810)에서 선택되는 바와 같이, 1차 서빙 HS-DSCH 셀(704) 및 초기에 선택된 2차 서빙 HS-DSCH 셀을 통해 통신하는 UE(710)가 그 "디폴트" 구성에 있는 것이고, "디폴트" 구성으로부터 이용가능한 2차 서빙 HS-DSCH 셀들 사이의 동적 선택이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UE(710)에 대한 디폴트 구성을 결정하고, 선택된 2차 서빙 HS-DSCH 셀을 이용할 시에, 채널의 조건들은 변경될 수 있고, 따라서 네트워크가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706) 및 제 2의 2차 서빙 HS-DSCH 셀(708)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 각각의 서빙 HS-DSCH 셀들 사이에서의 선택은 UE(710)에 의해 송신되는 CQI 보고들, 각각의 셀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에서의 로딩 조건들 또는 UE(710)에 대한 커버리지 제한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816)에서, 네트워크는 1차 서빙 HS-DSCH 셀(704) 및 선택된 2차 서빙 HS-DSCH 셀로부터 CQI 보고들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812)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UE(710)가 단지 단일 2차 서빙 HS-DSCH 셀을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업링크 송신(712) 상에서 UE(710)에 의해 송신된 CQI 보고들은 단지 1차 서빙 HS-DSCH 셀(704) 및 2차 서빙 HS-DSCH 셀들(706 또는 708) 중 선택된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는 이용가능한 2차 서빙 HS-DSCH 셀들 중 비활성 셀에 대응하는 CQI 정보가 결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부 양상들에 따라, CQI 정보와 더불어 다른 고려사항들은 이용가능한 2차 서빙 HS-DSCH 셀들 사이에서 언제 선택되는지를 결정할 때 고려될 수 있다.
공통 노드 B(702)가 1차 서빙 HS-DSCH 셀(704), 제 1의 2차 서빙 HS-DSCH 셀(706) 및 제 2의 2차 서빙 HS-DSCH 셀(708)의 3개 모두를 송신하는 도 7a에 도시되는 예와 같은 본 개시의 일부 양상들에 따라, 각각의 서빙 HS-DSCH 셀들 각각 상에서의 로딩 조건들은 어떤 2차 서빙 HS-DSCH 셀을 선택할 것인지를 고려할 시에 용이하게 고려될 수 있다. 2차 서빙 셀들 중 하나가 1차 서빙 셀을 송신하는 노드 B와 상이한 별개의 노드 B에 의해 송신되는 도 7b에 도시되는 예와 같은 다른 예에서, 각각의 서빙 HS-DSCH 셀들 각각의 로딩 조건들을 고려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할 수 있지만, 노드 B들 사이의 통신, 또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노드에 있어서는 이러한 통신에 대하여 대응하는 지연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블록(818)에서, 프로세스는 활성화된 2차 서빙 HS-DSCH 셀에 대응하는 CQI 보고들이 낮은지, 예를 들어, 특정 기간의 시간 동안 임계치(예를 들어, 사전 결정된 임계치)보다 더 낮은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블록(818)에서, 네트워크가 활성화된 2차 서빙 HS-DSCH 셀에 대응하는 CQI가 적절한 채널 조건들을 표시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네트워크가 2차 서빙 HS-DSCH 셀을 변경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세스는 종료될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가 활성화된 2차 서빙 HS-DSCH 셀에 대응하는 CQI 보고들이 낮은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프로세스는 블록(820)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여기서 네트워크는 비활성 2차 서빙 HS-DSCH 셀이 과도하게 로딩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820)에서, 네트워크가 비활성 2차 서빙 HS-DSCH 셀이 과도하게 로딩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여, 따라서 이용가능한 경우, 프로세스는 블록(822)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여기서 네트워크는 활성 2차 서빙 HS-DSCH 셀을 활성화해제하고, 비활성 2차 서빙 HS-DSCH 셀을 활성화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블록(820)에서, 프로세스가 비활성 2차 서빙 HS-DSCH 셀이 과도하게 로딩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프로세스는 블록(824)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여기서 네트워크는 UE(710)가 커버리지 제한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UE 전력 헤드룸이 셀의 UE 이용에 대하여 제한들을 초래할 때 커버리지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록(824)에서, UE(710)가 커버리지 제한되는 것으로 네트워크가 결정하는 경우, 프로세스는 블록(826)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여기서 네트워크는 선택된 2차 서빙 HS-DSCH 셀을 활성화해제할 수 있다. 즉, 비활성 2차 서빙 HS-DSCH 셀의 로딩이 그렇지 않으면 활성화된 2차 서빙 HS-DSCH 셀로부터의 CQI 보고들에 관한 고려사항들을 무시할 수 있지만, UE(710)가 커버리지 제한되기 때문에 활성화된 2차 서빙 HS-DSCH 셀을 활성인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옵션이 아닌 경우, 활성 2차 서빙 HS-DSCH 셀은 활성화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UE(710)는 전통적 단일-셀 HSDPA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블록(824)에서, UE(710)가 커버리지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네트워크가 결정하는 경우, 프로세스는 블록(828)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여기서 네트워크는 활성화된 2차 서빙 HS-DSCH 셀을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비활성 2차 서빙 HS-DSCH 셀의 로딩은 활성화된 2차 서빙 HS-DSCH 셀을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도록 활성화된 2차 서빙 HS-DSCH 셀로부터의 CQI 보고들에 관한 고려사항들을 무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에서, 하나의 또는 다른 2차 서빙 HS-DSCH 셀의 선택을 위해서 고려될 수 있는 셀의 로딩이 임의의 적합한 수의 관련 팩터들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일부 양상들에서, 활성 2차 서빙 HS-DSCH 셀 또는 비활성 2차 서빙 HS-DSCH 셀의 로딩을 결정하기 위한 로딩 계산은 각각의 셀에 대한 슬롯 이용 또는 그 셀에서의 다운링크 송신 전력 이용에 의존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2차 서빙 HS-DSCH 셀들의 로딩은 노드 B(702)에 의해 이용되는 스케줄링 알고리즘들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 B가 라운드 로빈 또는 클래식 비례 공평(proportional fair) 스케줄러를 이용하는 경우, 로딩은 사용자들의 유효 수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활성이었던 마지막 시간 기간의 부분에 따라 사용자들의 유효 수로 카운팅될 수 있다. 시간 기간은 로딩 계산 알고리즘에 의해 구성되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따라서, 계산된 로딩은 새로운 2차 서빙 셀이 활성화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룰 수 있는 스루풋을 예측하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 보고된 CQI와 결합될 수 있다. 이후, 예측된 스루풋은 2차 서빙 셀의 상이한 구성들을 비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양상들에서, 스루풋 예측은 노드 B에 의해 계산되며, 특정 사용자에 대한 RNC로 포워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다른 양상들에서, RNC는 노드 B에 의해 보고되거나 또는 측정 보고들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CQI 정보 및 사용자 동작에 대한 그 지식에 기초하여 이러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2차 서빙 HS-DSCH 셀을 변경하기로 결정할 시에, 본 개시의 일부 양상들에서, 네트워크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HS-SCCH 순서를 UE(710)에 송신하여, 적절한 2차 서빙 HS-DSCH 셀을 활성화/활성화해제하도록 UE(710)에 명령할 수 있다.
전기통신 시스템의 몇몇 양상들이 W-CDMA 시스템을 참조하여 제시되었다. 당업자들이 용이하게 인식할 바와 같이, 본 개시 전체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은 다른 전기통신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텍처들 및 통신 표준들로 확장될 수 있다. 예로서, 다양한 양상들은, TD-SCDMA 및 TD-CDMA와 같은 다른 UMTS 시스템들로 확장될 수 있다. 다양한 양상들은 또한, (FDD, TDD, 또는 두 모드들 모두에서의) 롱 텀 에볼루션(LTE), (FDD, TDD, 또는 두 모드들 모두에서의) LTE-어드밴스드(LTE-A), CDMA2000, EV-DO(Evolution-Data Optimized),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울트라-광대역(UWB), 블루투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시스템들을 사용하는 시스템들로 확장될 수 있다. 실제 전기통신 표준,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또는 사용되는 통신 표준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에 부과되는 전반적 설계 제약들에 의존할 것이다.
이전의 설명은 임의의 당업자가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을 실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이러한 양상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들은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해질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일반적인 원리들은 다른 양상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본 명세서에 나타낸 양상들에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들의 표현과 일치하는 전체 범위에 따를 것이며, 여기서 단수형의 엘리먼트에 대한 지칭은 특별히 "하나 그리고 오직 하나"로 표기되지 않는 한, "하나 그리고 오직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별도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일부"라는 용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지칭한다. 항목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칭하는 문구는 단일 멤버들을 포함하는 그 항목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예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및 a, b 및 c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당업자들에게 알려져 있거나, 추후에 알려질 본 개시의 전체에 걸쳐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그리고 기능적 등가물들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명백하게 포함되며, 청구항들에 의해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더욱이, 이러한 개시가 청구항들에서 명백하게 기술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어떠한 것도 공중에 전용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엘리먼트가 명백하게 기술되지 않거나, 또는 방법 청구항의 경우, 엘리먼트가 "~하기 위한 단계"라는 문구를 사용하여 기술되지 않는 한, 어떠한 청구항 엘리먼트도 35 U.S.C.§112 여섯 번째 단락의 조문들 하에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30)

  1. 2차 서빙 셀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는 방법으로서,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1차 서빙 셀로부터 사용자 장비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제 2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1의 2차 서빙 셀 그리고 상기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2의 2차 서빙 셀로부터의 송신을 수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장비를 사전 구성하는 단계―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은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dual cell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DC-HSDPA)에 대응하고,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은 단일-주파수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single frequency, dual cell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SFDC-HSDPA)에 대응함―;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의 로딩(loading) 및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채널 품질 표시자(CQI) 보고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과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하기 위해 구성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 메시지는,
    상기 제 1 캐리어 주파수와 상기 제 2 캐리어 주파수가 동일한 대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을 선택하고, 상기 제 1 캐리어 주파수와 상기 제 2 캐리어 주파수가 상이한 대역들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을 선택하도록 상기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2차 서빙 셀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메시지는, 기지국에 의해 생성된 고속 공유 제어 채널(high-speed shared control channel : HS-SCCH) 순서를 포함하는,
    2차 서빙 셀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메시지는,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생성된 라디오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 RRC) 구성 메시지를 포함하는,
    2차 서빙 셀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메시지는,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의 로딩 및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CQI 보고들에 기초하고,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의 로딩은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에서의 슬롯 이용(slot utilization)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2차 서빙 셀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는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서빙 셀,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및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은, 단일 노드 B에 속하는,
    2차 서빙 셀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서빙 셀,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및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은, 공동-위치되는,
    2차 서빙 셀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을 포함하고, 상기 1차 서빙 셀과 공동-위치되지 않는,
    2차 서빙 셀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는 방법.
  9. 2차 서빙 셀들을 동적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를 위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1차 서빙 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 2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1의 2차 서빙 셀 및 상기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2의 2차 서빙 셀로부터의 송신을 수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장비를 사전 구성하기 위한 사전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은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DC-HSDPA)에 대응하고,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은 단일-주파수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SFDC-HSDPA)에 대응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는 상기 DC-HSDPA와 상기 SFDC-HSDPA 사이에서 스위칭함으로써 2차 서빙 셀들을 동적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됨―;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선택된 2차 서빙 셀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수신을 지시하는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구성 메시지는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의 로딩 및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채널 품질 표시자(CQI) 보고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함―; 및
    상기 구성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2차 서빙 셀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 메시지는,
    상기 제 1 캐리어 주파수와 상기 제 2 캐리어 주파수가 동일한 대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을 선택하고, 상기 제 1 캐리어 주파수와 상기 제 2 캐리어 주파수가 상이한 대역들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을 선택하도록 상기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2차 서빙 셀들을 동적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를 위한 무선 통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메시지는, 기지국에 의해 생성된 고속 공유 제어 채널(HS-SCCH) 순서를 포함하는,
    2차 서빙 셀들을 동적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를 위한 무선 통신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메시지는,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생성된 라디오 자원 제어(RRC) 구성 메시지를 포함하는,
    2차 서빙 셀들을 동적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를 위한 무선 통신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메시지는,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의 로딩 및 상기 선택된 2차 서빙 셀에 대응하는 CQI 보고에 기초하고,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의 로딩은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에서의 슬롯 이용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2차 서빙 셀들을 동적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를 위한 무선 통신 방법.
  13. 삭제
  14. 2차 서빙 셀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1차 서빙 셀로부터 사용자 장비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수단;
    제 2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1의 2차 서빙 셀 및 상기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2의 2차 서빙 셀로부터의 송신을 수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장비를 사전 구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수단―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은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DC-HSDPA)에 대응하고,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은 단일-주파수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SFDC-HSDPA)에 대응함―;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의 로딩 및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채널 품질 표시자(CQI) 보고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과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수단; 및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하기 위해 구성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 메시지는,
    상기 제 1 캐리어 주파수와 상기 제 2 캐리어 주파수가 동일한 대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을 선택하고, 상기 제 1 캐리어 주파수와 상기 제 2 캐리어 주파수가 상이한 대역들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을 선택하도록 상기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2차 서빙 셀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메시지는, 기지국에 의해 생성된 고속 공유 제어 채널(HS-SCCH) 순서를 포함하는,
    2차 서빙 셀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메시지는,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생성된 라디오 자원 제어(RRC) 구성 메시지를 포함하는,
    2차 서빙 셀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메시지는,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의 로딩 및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CQI 보고들에 기초하고,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의 로딩은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에서의 슬롯 이용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2차 서빙 셀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
  18. 삭제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서빙 셀,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및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은, 단일 노드 B에 속하는,
    2차 서빙 셀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서빙 셀,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및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은, 공동-위치되는,
    2차 서빙 셀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을 포함하고, 상기 1차 서빙 셀과 공동-위치되지 않는,
    2차 서빙 셀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
  22. 사용자 장비에서 2차 서빙 셀들을 동적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1차 서빙 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수단;
    제 2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1의 2차 서빙 셀 및 상기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2의 2차 서빙 셀로부터의 송신을 수신하도록 사전 구성하기 위한 사전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수단―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은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DC-HSDPA)에 대응하고,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은 단일-주파수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SFDC-HSDPA)에 대응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DC-HSDPA와 상기 SFDC-HSDPA 사이에서 스위칭함으로써 2차 서빙 셀들을 동적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됨―;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선택된 2차 서빙 셀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수신을 지시하는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수단―상기 구성 메시지는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의 로딩 및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채널 품질 표시자(CQI) 보고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함―; 및
    상기 구성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2차 서빙 셀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 메시지는,
    상기 제 1 캐리어 주파수와 상기 제 2 캐리어 주파수가 동일한 대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을 선택하고, 상기 제 1 캐리어 주파수와 상기 제 2 캐리어 주파수가 상이한 대역들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을 선택하도록 상기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에서 2차 서빙 셀들을 동적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메시지는, 기지국에 의해 생성된 고속 공유 제어 채널(HS-SCCH) 순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서 2차 서빙 셀들을 동적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메시지는,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생성된 라디오 자원 제어(RRC) 구성 메시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에서 2차 서빙 셀들을 동적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메시지는,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의 로딩 및 상기 선택된 2차 서빙 셀에 대응하는 CQI 보고에 기초하고,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의 로딩은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에서의 슬롯 이용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사용자 장비에서 2차 서빙 셀들을 동적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26. 삭제
  27. 무선 통신을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1차 서빙 셀로부터 사용자 장비에 데이터를 송신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컴퓨터로 하여금, 제 2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1의 2차 서빙 셀 그리고 상기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2의 2차 서빙 셀로부터의 송신을 수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장비를 사전 구성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은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DC-HSDPA)에 대응하고,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은 단일-주파수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SFDC-HSDPA)에 대응함―;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의 로딩 및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채널 품질 표시자(CQI) 보고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과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및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하기 위해 구성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 메시지는,
    상기 제 1 캐리어 주파수와 상기 제 2 캐리어 주파수가 동일한 대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을 선택하고, 상기 제 1 캐리어 주파수와 상기 제 2 캐리어 주파수가 상이한 대역들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을 선택하도록 상기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8. 사용자 장비에서 2차 서빙 셀들을 동적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1차 서빙 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 2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1의 2차 서빙 셀 및 상기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2의 2차 서빙 셀로부터의 송신을 수신하도록 사전 구성하기 위한 사전 구성 정보를 수신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은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DC-HSDPA)에 대응하고,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은 단일-주파수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SFDC-HSDPA)에 대응함―;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선택된 2차 서빙 셀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수신을 지시하는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상기 구성 메시지는,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의 로딩 및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CQI 보고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고,
    상기 구성 메시지는,
    상기 제 1 캐리어 주파수와 상기 제 2 캐리어 주파수가 동일한 대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을 선택하고, 상기 제 1 캐리어 주파수와 상기 제 2 캐리어 주파수가 상이한 대역들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을 선택하도록 상기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하도록 구성됨―; 및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구성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2차 서빙 셀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9. 2차 서빙 셀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1차 서빙 셀로부터 사용자 장비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제 2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1의 2차 서빙 셀 및 상기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2의 2차 서빙 셀로부터의 송신을 수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장비를 사전 구성하고―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은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DC-HSDPA)에 대응하고,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은 단일-주파수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SFDC-HSDPA)에 대응함―;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의 로딩 및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채널 품질 표시자(CQI) 보고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과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하기 위해 구성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성 메시지는,
    상기 제 1 캐리어 주파수와 상기 제 2 캐리어 주파수가 동일한 대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을 선택하고, 상기 제 1 캐리어 주파수와 상기 제 2 캐리어 주파수가 상이한 대역들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을 선택하도록 상기 사용자 장비에게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2차 서빙 셀들 사이에서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
  30. 2차 서빙 셀들을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1차 서빙 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 2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1의 2차 서빙 셀 및 상기 제 1 캐리어 주파수에서 제 2의 2차 서빙 셀로부터의 송신을 수신하도록 사전 구성하기 위한 사전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은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DC-HSDPA)에 대응하고,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은 단일-주파수 듀얼 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SFDC-HSDPA)에 대응함―;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 중 선택된 2차 서빙 셀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수신을 지시하는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상기 구성 메시지는,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 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의 로딩 및 상기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CQI 보고들에 기초하고,
    상기 구성 메시지는,
    상기 제 1 캐리어 주파수와 상기 제 2 캐리어 주파수가 동일한 대역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2의 2차 서빙 셀을 선택하고, 상기 제 1 캐리어 주파수와 상기 제 2 캐리어 주파수가 상이한 대역들 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의 2차 서빙 셀을 선택하도록 상기 장치에게 지시하도록 구성됨―; 그리고
    상기 구성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2차 서빙 셀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2차 서빙 셀들을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KR1020137008971A 2010-09-09 2011-09-09 Dc­hsdpa 및 sfdc­hsdpa 사이의 동적 스위칭 KR101575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139510P 2010-09-09 2010-09-09
US61/381,395 2010-09-09
US38187710P 2010-09-10 2010-09-10
US61/381,877 2010-09-10
US13/227,858 US9191867B2 (en) 2010-09-09 2011-09-08 Dynamic switching between DC-HSDPA and SFDC-HSDPA
US13/227,858 2011-09-08
PCT/US2011/051029 WO2012034035A1 (en) 2010-09-09 2011-09-09 Dynamic switching between dc-hsdpa and sfdc-hsdp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417A KR20130054417A (ko) 2013-05-24
KR101575173B1 true KR101575173B1 (ko) 2015-12-08

Family

ID=44658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971A KR101575173B1 (ko) 2010-09-09 2011-09-09 Dc­hsdpa 및 sfdc­hsdpa 사이의 동적 스위칭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91867B2 (ko)
EP (1) EP2614674B1 (ko)
JP (1) JP5577468B2 (ko)
KR (1) KR101575173B1 (ko)
CN (1) CN103125134B (ko)
WO (1) WO20120340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1308916B2 (en) 2010-10-01 2016-06-3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for coordinating discontinuous reception, DRX
WO2012067333A1 (en) * 2010-11-16 2012-05-24 Lg Electronics Inc. Carrier aggregation management and related device and system
US9072099B2 (en) 2011-08-10 2015-06-30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HSDPA activation/de-activation
IN2014KN00951A (ko) * 2011-10-04 2015-10-09 Ericsson Telefon Ab L M
US20130272222A1 (en) * 2012-04-17 2013-10-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cheduling Based on UE Probing
US9320062B2 (en) 2012-04-17 2016-04-19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with carrier aggregation
EP2658324B1 (en) * 2012-04-26 2017-03-01 Alcatel Lucent Pilot transmission power adjustment in a multi-flow HSDPA network
CN103391526A (zh) * 2012-05-10 2013-11-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边界确定方法、指示信息发送方法及其装置
US9706451B2 (en) * 2012-11-07 2017-07-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onfiguring for a serving cell change to neighbor cells
CN103856291B (zh) * 2012-12-05 2017-04-1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基站间信息的传输方法及装置
US9854457B2 (en) * 2013-04-03 2017-12-26 Qualcomm Incorporated Management of communications with multiple access points based on inter-access point communications
CN105519183B (zh) * 2013-05-28 2019-11-29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多流传输的方法、基站和终端
CN103931236B (zh) * 2013-06-17 2018-02-06 华为技术有限公司 Hsdpa辅小区切换方法、网络设备及移动终端
US9344914B2 (en) * 2014-05-21 2016-05-17 Qualcomm Incorporated Modem assisted contention handling of multiple active connec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CN106332233B (zh) * 2015-06-30 2019-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基站、小区接入方法和数据传输方法
US9585072B1 (en) * 2015-07-22 2017-02-28 Sprint Spectrum L.P. SCell triggered handover notwithstanding good PCell condition
US20180294859A1 (en) * 2015-10-07 2018-10-11 Intel IP Corporation Dynamically beamformed control channel for beamformed cells
WO2018172136A1 (en) 2017-03-23 2018-09-2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Reliable data packet transmission among entities of a radio access network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O2018210205A1 (en) * 2017-05-15 2018-11-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Virtual carrier and virtual connection aggregation
CN113543179A (zh) * 2017-11-16 2021-10-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非连接态测量方法、终端及基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50238A1 (en) * 2005-10-27 2007-05-03 Motorola, Inc. Mobility enhancement for real-time service over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WO2009155480A1 (en) * 2008-06-19 2009-12-2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Optimized serving dual cell chang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31070B (en) 2005-10-06 2008-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s
GB2437128B (en) 2006-04-12 2008-07-23 Siemens Ag A Method Of Operation In A Dual Carrier Communication System
US8340664B2 (en) * 2007-08-03 2012-12-25 Qualcomm Incorporated Cell re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241130B1 (en) * 2008-02-08 2016-10-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user equipment in a communication network
EP2241135B1 (en) * 2008-02-08 2017-03-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node in a communications network
WO2009148381A1 (en) * 2008-06-04 2009-12-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s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O2010016741A2 (en) * 2008-08-08 2010-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ctivating and deactivating a supplementary cell for a wcdma system
KR101549572B1 (ko) * 2008-11-25 2015-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셀 hsdpa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인식자 전송용 물리제어채널의 전송전력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JP5578081B2 (ja) 2008-11-28 2014-08-27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装置、基地局装置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8565153B2 (en) 2009-05-19 2013-10-22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switching between MIMO and DC HSDPA
CN101594656B (zh) 2009-07-01 2011-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异系统切换处理方法、系统和装置
US8599772B2 (en) 2009-07-06 2013-12-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carrier radio receiver and method for receiving multiple carriers
US8867494B2 (en) * 2009-11-09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single frequency dual cell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50238A1 (en) * 2005-10-27 2007-05-03 Motorola, Inc. Mobility enhancement for real-time service over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WO2009155480A1 (en) * 2008-06-19 2009-12-2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Optimized serving dual cell cha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14674A1 (en) 2013-07-17
CN103125134B (zh) 2016-05-18
EP2614674B1 (en) 2017-01-04
US9191867B2 (en) 2015-11-17
WO2012034035A1 (en) 2012-03-15
US20120076021A1 (en) 2012-03-29
KR20130054417A (ko) 2013-05-24
JP5577468B2 (ja) 2014-08-20
JP2013541277A (ja) 2013-11-07
CN103125134A (zh)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173B1 (ko) Dc­hsdpa 및 sfdc­hsdpa 사이의 동적 스위칭
KR101575029B1 (ko) 멀티-포인트 hsdpa를 위한 스위칭-기반 다운링크 애그리게이션
JP5981054B2 (ja) ダウンリンクmimo構成を動的に改変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6499196B2 (ja) Dchの拡張による圧縮モード
KR20140133857A (ko) 이중-sim 이중-스탠바이 모바일 디바이스들에서 튠 어웨이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8737211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network configuration of user equipment communication modes in multiflow systems
TWI527484B (zh) 用於增強型移動功率管理的裝置和方法
KR20140123525A (ko) 듀얼―주파수 듀얼―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동성 이벤트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586002B1 (ko) 약한 커버리지의 영역 내의 다중 rab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회선 교환 음성 호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023771A (ko) 데이터 활동을 기초로 한 동적 사용자 장비 능력 보고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084907A (ko) 향상된 모빌리티 관리의 장치 및 방법들
US95102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application signaling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JP2015514372A (ja) 高速データ・チャネルのアベイラビリティ
JP5852260B2 (ja) Pciシグナリング設計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14003899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inter-radio-network-controller multiflow capability
US2015016371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vent reporting based spurious dpch removal in soft hand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