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976B1 - Wooden Stool Made By Traditional Craft's Setting-up Method - Google Patents

Wooden Stool Made By Traditional Craft's Setting-up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976B1
KR101574976B1 KR1020140129849A KR20140129849A KR101574976B1 KR 101574976 B1 KR101574976 B1 KR 101574976B1 KR 1020140129849 A KR1020140129849 A KR 1020140129849A KR 20140129849 A KR20140129849 A KR 20140129849A KR 101574976 B1 KR101574976 B1 KR 101574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aft
present
stool
wooden s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8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경희
임은진
Original Assignee
(주)몬도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몬도미오 filed Critical (주)몬도미오
Priority to KR1020140129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97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9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5/00Chairs of special materials
    • A47C5/02Chairs of special materials of woven material, e.g. basket chair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oden stool using a traditional setting-up method, which is formed by alternately arranging multiple frames to overlap each other and coupling the frames by a setting-up method using shafts and side fixtures, wherein each of the frames comprises: an upper frame; a side frame which is inclined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upper frame at an obtuse angle; and a lower frame which is formed at an acute angle with the side frame and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frame. The wooden stool using a traditional setting-up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nyone to easily assemble or disassemble using a setting-up method without additional coupling members, maintains solidity while using plywood instead of hardwood, and improves space utilization by forming a receiving space inside the wooden stool.

Description

짜맞춤을 이용한 목재 스툴 {Wooden Stool Made By Traditional Craft's Setting-up Method}{Wooden Stool Made By Traditional Craft's Setting-up Method}

본 발명은 짜맞춤을 이용한 목재 스툴에 관한 것으로, 전통 짜맞춤 기법을 이용하여 나사못 등의 체결구 또는 접착제 등의 사용없이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된 상태에서 이음새가 밖으로 노출되지 않아 충돌에 의한 어린이의 상해위험을 줄일 수 있는 목재 스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od stool using cohesion, and it can be easily assembled without using fasteners such as screws or adhesives by using a traditional coastering technique. In the assembled state, seams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about wood stools that can reduce the risk.

일반적인 목재 스툴은 좌판, 다리 및 보강구 등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부품은 끼움결합 또는 나사못 등의 체결구로 결합된다. A typical wooden stool is formed of components such as a seat, a leg, and a reinforcement, and each component is coupled with a fastener such as a fitting or a screw.

나사못을 이용하거나 인서트 너트와 체결볼트를 이용한 결합은 조립을 위한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며, 조립 후에도 나사못 또는 체결볼트를 삽입한 위치에 구멍이 뚫려 있어 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The use of a screw or a combination of an insert nut and a fastening bolt requires a separate tool for assembling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hole is drilled at the position where the screw or fastening bolt is inserted even after assembling.

이에 반해, 전통적인 가구 또는 목조건축의 결합방법인 결구법은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결합하고자 하는 부재를 짜맞춤으로 결합시키는 방법으로서, 나사못 등을 사용한 맞춤보다 훨씬 더 견고하고, 외관의 형태가 수려한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joining method, which is a method of joining traditional furniture or wooden construction, is a method of joining together the members to be joined together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member and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much more rigid than the fitting using screws or the like, have.

하지만, 짜맞춤을 이용하여 가구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원목을 사용하여야 하며, 짜맞춤을 위해 결합 부위에 홈을 가공하고, 홈에 대응하는 돌기를 형성해야 하므로 가공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제품의 가격이 비싸지는 단점이 있다.  However, since it is necessary to use wood to manufacture the furniture by using the joining, it is necessary to process the groove in the joining portion and to form the project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so that the processing time is long and the price of the product is high have.

또한, 전통적인 짜맞춤 방식의 가구는 작용하는 하중이 상부에서 하부의 방향을 가지면, 짜맞춤의 방향도 상부에서 하부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가구의 형태를 변경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urniture of the traditional fitting typ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shape of the furniture because the direction of the fitting is made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if the load acting thereon is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또한, 일반적인 스툴은 의자로서의 기능만을 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는 공간만을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a general stool functions only as a chair,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takes up only space when not in use.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8620호(2010.08.30)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78620 (Aug. 30, 201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짜맞춤 결합에 의해 별도의 공구 없이 누구나 쉽게 조립 또는 해체할 수 있으며, 원목이 아닌 합판을 이용하면서도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목재 스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the same without any additional fastening members,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wood stool having a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은 현대 웰빙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친환경적인 재료를 활용하고, 친환경 원목 합판에 원하는 형상의 부품 모양을 디자인 설계한 후, CNC 머신을 이용하여 가공된 일정 형상의 동일한 부품들을 전통적인 결구법에 의해 짜맞춤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스툴의 제작 비용과 제작 공정을 단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in accordance with the modern well-being lifestyle, designs the desired shape of the parts on the eco-friendly plywood, and then uses the CNC machine to formulate the same parts of a certain shape, So as to shorten the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cost of the stool.

또한, 본 발명은 일정 형상의 부재를 짜맞춤에 의해 결합하면서도 사용자의 체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형태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a user's body weight sufficiently while coupling members of a predetermined shape by coaptation.

또한, 본 발명은 사용시 작용하는 하중이 상부에서 하부의 방향을 가지더라도, 짜맞춤의 방향을 상부에서 하부가 아닌 횡방향으로 구현하여 다양한 형상의 제품을 짜맞춤 방직으로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realizing a product having various shapes by cohesive weaving, by implementing the direction of cohesion in a transverse direction rather than a downward direction, even when a load acting in use has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또한, 본 발명은 스툴의 내부에 책 또는 소품들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의자의 기능을 하지 않을 때에도 수납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목재 스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oden stool which can be used as a storage space even when a chair is not functioned by forming a space for storing books or small articles inside the stool.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분위기에 맞추어 목재 스툴의 크기를 쉽게 변동 시킬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지 않거나 이사 시에 쉽게 해체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목재 스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oden stool which can easily change the size of a wooden stool according to various atmospheres and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짜맞춤을 이용한 목재 스툴은, 상측 프레임과,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단에서 하방으로 둔각을 이루며 경사지게 형성되는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과 예각을 이루고 상기 상측 프레임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하측 프레임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 일정 길이를 갖는 사각 기둥 형태의 축; 및 일정한 두께를 갖는 십자 형태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부와 상기 측면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되는 측면 고정구;를 포함하여 형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ooden s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frame, a side frame formed obliquely downward at an obtuse angle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upper frame, an acute angle with the side frame, A plurality of frames having a lower frame formed parallel to the frame; A square pillar-shaped shaf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side fixture formed in a cross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ncluding a fixing part inserted into the side frame and a supporting part supporting the side frame.

또한, 상기 상측 프레임의 타단과 상기 하측 프레임의 자유단에는 상기 축이 관통하는 축홈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의 중간에는 상기 측면 고정구의 고정부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목재 스툴은 상기 프레임의 개구가 교대로 엇갈리게 중첩 배치되고, 상기 축 및 측면 고정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haft groove through which the shaft passes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upper frame and the free end of the lower frame,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part of the side fastener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side frame, And the openings of the frame are alternately stacked alternately and joined by the shaft and the side fixture.

또한, 상기 목재 스툴은 외부에 노출되는 프레임의 축홈 또는 고정홈 중 하나 이상의 외측이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wooden stool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shaft grooves or the fixing grooves of the frame exposed to the outside is sealed.

본 발명에 따른 짜맞춤을 이용한 목재 스툴은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짜맞춤 결합에 의해 별도의 공구 없이 누구나 쉽게 조립 또는 해체할 수 있으며, 원목이 아닌 합판을 이용하면서도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다.The wooden s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ssembled or disassembled without a separate tool by a joining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member, and the rigidity can be maintained while using a plywood rather than a wood.

또한, 현대 웰빙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친환경적인 재료를 활용하고, 친환경 원목 합판에 원하는 형상의 부품 모양을 디자인 설계한 후, CNC 머신을 이용하여 가공된 일정 형상의 동일한 부품들을 전통적인 결구법에 의해 짜맞춤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스툴의 제작 비용과 제작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eco-friendly materials in accordance with the modern well-being lifestyle, designing the shape of parts of desired shape on the eco-friendly plywood and then using the CNC machine,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cost of the stool can be shortened.

또한, 일정 형상의 부재를 짜맞춤에 의해 결합하면서도 사용자의 체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upport the weight of the user while coupling the members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by cohesion.

또한, 사용시 작용하는 하중이 상부에서 하부의 방향을 가지지만, 짜맞춤의 방향을 상부에서 하부가 아닌 횡방향으로 구현하여 다양한 형상의 제품을 짜맞춤 방직으로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load applied at the time of use has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combinations of products in the weaving fashion by implementing the direction of the cohesion in the lateral direction rather than the upper direction.

또한, 스툴의 내부에 책 또는 소품들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의자의 기능을 하지 않을 때에도 수납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Further, a space for storing a book or a small article can be formed inside the stool, so that it can be utilized as a storage space even when the chair does not function.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분위기에 맞추어 목재 스툴의 크기를 쉽게 변동 시킬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지 않거나 이사 시에 쉽게 해체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hange the size of the wooden stool according to various moods,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pace utilization because it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또한, 결합부위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충돌에 의한 어린이의 상해위험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join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 beauty can be improved and the risk of injury to a child due to collision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스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스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4은 도 1의 B-B'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스툴 부품의 가공전 평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oden s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ooden s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
5 is a top plan view of a wooden stool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drawing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rawings,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additio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Fur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unless otherwise defined,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스툴(100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스툴(100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B-B'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스툴 부품의 가공전 평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ooden stool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ooden stool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And FIG. 5 is a plan view of the wooden stool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processing.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재 스툴(1000)은 복수 개의 프레임(100)이 서로 교대로 엇갈리게 중첩 배치되고, 각각의 프레임(100)은 일정 길이를 갖는 사각 기둥 형태의 축(200)과, 일정한 두께를 갖는 십자 형태의 형상의 측면 고정구(300)에 의해 결합되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1, the wooden stool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rames 100 alternately stacked alternately and each frame 100 includes a square shaft 20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side fixture 300 of a cross shap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도 2는 상기 목재 스툴(1000)의 부품과 결합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로, 프레임(100)은 상측 프레임(101)과 상기 상측 프레임(101)의 일단에서 하방으로 둔각을 이루며 경사지게 형성되는 측면 프레임(103)과 상기 측면 프레임(103)과 예각을 이루고 상기 상측 프레임(101)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하측 프레임(102)을 구비하여 형성된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how the wood stool 1000 is combined with parts of the stool 1000. The frame 100 includes an upper frame 101 and an upper frame 101. The upper frame 101 is inclined downward at an obtuse angle And a lower frame 102 formed at an acute angle to the side frame 103 and parallel to the upper frame 101. [

상기 프레임(100)의 형태적 특징에 의해 상기 프레임(100)의 개구가 서로 대향하여 교대로 엇갈리게 중첩 배치되어 결합된 본 발명의 목재 스툴(1000)은 단면이 사다리꼴의 형태를 갖게 되어 안정된 구조를 갖게 되고, 사용자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 wooden stool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penings of the frame 100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re stacked alternately and staggered according to a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frame 100, has a shape of a trapezoid in cross section, And the load of the user can be sufficiently supported.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형태적 특징에 의해 목재 스툴(1000)의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책 또는 소품들을 보관할 수 있다.In addition, a storage space is formed inside the wooden stool 1000 according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rame 100, so that books or small items can be stored.

또한, 상기 상측 프레임(101)의 타단과 상기 하측 프레임(102)의 자유단에는 상기 축(200)이 관통하는 축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103)의 중간에는 상기 측면 고정구(300)의 고정부(320)가 삽입되는 고정홈(120)이 형성된다.A shaft 110 through which the shaft 200 passes is formed at a free end of the upper frame 101 and a free end of the lower frame 102. In the middle of the side frame 103, 300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20.

상기 축홈(110) 및 고정홈(120)은 단면의 기본형태가 사각형인 관통홈으로 형성되되, 각 모서리에는 필렛이 형성되고, 상면과 하면 또는 좌면과 우면은 돌출 형성되어, 축(200) 또는 측면 고정구(400)와의 결합시 목재의 변형에 의해 돌출 형성된 부분이 압축되어 체결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shaft 110 and the fixing groove 120 are formed with through-holes having a rectangular basic shape in cross section. Fillets are formed at each corner, 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r the seat surface and the right surface are protruded, A portion protruded by the deformation of the wood is compressed when the side fastener 400 is coupled with the side fastener 400 so that the fastening force can be increased.

상기 축(200)은 일정 길이를 갖는 사각 기둥 형태를 지니며, 축홈(110)에 삽입되어, 복수 개의 프레임(100)을 결합시키게 된다.The shaft 200 has a rectangular column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inserted into the shaft groove 110 to couple the plurality of frames 100 together.

상기 측면 고정구(30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십자 형태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 프레임(103)의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부(320)와 상기 측면 프레임(103)을 지지하는 지지부(310)로 구성되며, 고정부(320)가 측면 프레임(103)의 내부에 삽입되어 복수 개의 프레임(100)을 결합시키며, 지지부(3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이웃한 프레임(100)의 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The side fixture 300 is formed in a cross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ncludes a fixing part 320 inserted into the side frame 103 and a supporting part 310 supporting the side frame 103 The fixing part 320 is inserted into the side frame 103 to couple the plurality of frames 100 and supports the sides of the adjacent frame 100 in a state where the supporting parts 310 are coupled do.

상기 축(200)과 고정구(300)는 사용시 하중 작용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어 짜맞춤을 이루므로, 전통 짜맞춤 방식을 이용하면서도 견고성을 가지며, 가구의 형태를 다양하게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Since the shaft 200 and the fastener 300 are inserted and joined toge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ad acting direction during use, the shaft 200 and the fastener 300 are robust and utilize various shapes of the furniture while using the traditional fitting method.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310)의 폭은 상기 제1 프레임(100)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width of the support portion 310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frame 100.

또한, 축홈(110) 및 고정홈(120)의 단면의 기본 형태는 사각형 이외에도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단면의 기본 형태에 따라 축홈(110) 및 고정홈(120)에 삽입되는 축(200) 및 측면 고정구(300)의 고정부(320) 형태도 달라지게 된다.The basic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haft 110 and the fixing groove 120 may be circular, elliptical or polygonal in addition to a rectangle,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shaft groove 110 and the fixing groove 120 according to the basic shape of the cross- The shape of the fixing portion 320 of the shaft 200 and the side fastener 300 is changed.

또한,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목재 스툴(1000)은, 외부에 노출되는 프레임(100)의 축홈(110) 또는 고정홈(120) 중 하나 이상이 관통된 형태가 아닌 외측이 밀폐된 형태로 형성되어, 목재 스툴(10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축(200) 및 측면 고정구(30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충돌에 의한 어린이의 상해위험을 줄일 수 있다2 to 4, the wooden stool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shaft grooves 110 or the fixing grooves 120 of the frame 100 exposed to the outside is not penetrated, Since the shaft 200 and the side fastener 300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where the wooden stool 1000 is engaged, the aesthetic appearance can be improved and the risk of injury to a child by collision can be reduced Ca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스툴(1000)을 제작하기 위해 원목 합판에 부품의 모양을 설계한 평면도이다. 이와 같이 원목 합판에 원하는 형상의 부품 모양을 디자인 설계하고, CNC 머신을 이용하여 각 부품을 절단 한 후, 각 부품을 결합함으로써 손쉽게 목재 스툴(1000)을 조립 제작할 수 있다.FIG.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shape of a part of the wood plywood 1000 to manufacture the wooden stool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od stool 1000 can be easily assembled and manufactured by designing and designing parts of a desired shape on the wood plywood, cutting each part using a CNC machine, and then joining the parts.

특히, CAD 작업을 통해 원목 합판에 원하는 형상의 각 부품 모양을 미리 디자인하여 설계하고 배치함으로써, 재료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Particularly, by designing, designing and arranging each part shape of a desired shape on a wood plywood through CAD work, it is possible to reduce material loss.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00: 목재 스툴
100: 프레임
101: 상측 프레임
102: 하측 프레임
103: 측면 프레임
110: 축홈
120: 고정홈
200: 축
300: 측면 고정구
310: 지지부
320: 고정부
1000: Wood stool
100: frame
101: upper frame
102: Lower frame
103: side frame
110: Axis
120: Fixing groove
200: Axis
300: Side fixture
310: Support
320:

Claims (2)

상측 프레임(101)과
상기 상측 프레임(101)의 일단에서 하방으로 둔각을 이루며 경사지게 형성되는 측면 프레임(103)과
상기 측면 프레임(103)과 예각을 이루고 상기 상측 프레임(101)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하측 프레임(102)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100);
일정 길이를 갖는 사각 기둥 형태의 축(200); 및
일정한 두께를 갖는 십자 형태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 프레임(103)의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부(320)와 상기 측면 프레임(103)을 지지하는 지지부(310)로 구성되는 측면 고정구(300);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프레임(101)의 타단과 상기 하측 프레임(102)의 자유단에는 상기 축(200)이 관통하는 축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103)의 중간에는 상기 측면 고정구(300)의 고정부(320)가 삽입되는 고정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00)의 개구가 교대로 엇갈리게 중첩 배치되고, 상기 축(200) 및 측면 고정구(300)에 의해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짜맞춤을 이용한 목재 스툴(1000).

The upper frame 101
A side frame 103 formed at an obtuse angle inclined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upper frame 101;
A plurality of frames (100) having a lower frame (102) formed at an acute angle with the side frames (103) and parallel to the upper frames (101);
A square shaft-shaped shaft 20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side fixture 300 formed of a cruciform shap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and composed of a fixing part 320 inserted into the side frame 103 and a supporting part 310 supporting the side frame 103, Lt; / RTI >
A shaft 110 through which the shaft 200 passes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upper frame 101 and the free end of the lower frame 102,
A fixing groove 120 into which the fixing portion 320 of the side fixing member 30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side frame 103,
Wherein the openings of the frame (100) are alternately stacked alternately and joined together by the shaft (200) and the side fastener (3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스툴(1000)은,
외부에 노출되는 프레임(100)의 축홈(110) 또는 고정홈(120) 중 하나 이상의 외측이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짜맞춤을 이용한 목재 스툴(10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ood stool (1000)
Wherein the outer side of at least one of the shaft groove (110) or the fixing groove (120) of the frame (100) exposed to the outside is sealed.














KR1020140129849A 2014-09-29 2014-09-29 Wooden Stool Made By Traditional Craft's Setting-up Method KR1015749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849A KR101574976B1 (en) 2014-09-29 2014-09-29 Wooden Stool Made By Traditional Craft's Setting-up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9849A KR101574976B1 (en) 2014-09-29 2014-09-29 Wooden Stool Made By Traditional Craft's Setting-up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976B1 true KR101574976B1 (en) 2015-12-07

Family

ID=54872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849A KR101574976B1 (en) 2014-09-29 2014-09-29 Wooden Stool Made By Traditional Craft's Setting-up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97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441A (en) * 2018-06-22 2021-03-19 최효선 Chai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6043A (en) 1996-03-06 2000-05-23 マイルズ、ジョン、ラドウェイ Furniture sla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6043A (en) 1996-03-06 2000-05-23 マイルズ、ジョン、ラドウェイ Furniture sla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441A (en) * 2018-06-22 2021-03-19 최효선 Chair
KR102269551B1 (en) 2018-06-22 2021-06-24 최효선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6839B2 (en) Table structure
KR102439655B1 (en) Bent corner furniture connecting piece and a method of making such piece
KR20130072292A (en) Connection structure of bookshelf
US9370241B1 (en) Table structure
KR101574976B1 (en) Wooden Stool Made By Traditional Craft's Setting-up Method
KR100725230B1 (en) A bookcase for diy
KR20130005154U (en) Table legs and frame structure
KR20170002615U (en) Prefabricated wooden bookcase with metal parts
KR101535243B1 (en) Leg frame for DIY and Furniture for DIY using the same
KR102173966B1 (en) Table
KR20160001854U (en) Assembly typer furniture
US20140102590A1 (en) Monocoque furnitur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NL8220419A (en) CARCASE, PREFERRED FURNITURE CARCASE.
KR200456261Y1 (en) Knockdown bed
KR200487267Y1 (en) assemblable multi-purpose hanger
KR20200071516A (en) Desk for office work
US20190290003A1 (en) Composite structure for furniture
DK2508099T3 (en) Connection of a wooden board with one or more wooden stands and articles made using the connection
CN215583593U (en) Novel wood chair
KR102043676B1 (en) Shelf Assembly
KR102485656B1 (en) Split-type back plate for furniture with a fixed structure of a knock-down method using an expansion pressing tool
JP2018029692A (en) Ready-to-assemble table
TWI604133B (en) Furniture leg connecting component
KR200470471Y1 (en) Indoor furniture
KR200444412Y1 (en) Component of Furniture and Furniture Using the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