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955B1 - 플라스틱 사출용으로 확장형 인테리어 박스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사출용으로 확장형 인테리어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955B1
KR101574955B1 KR1020140092317A KR20140092317A KR101574955B1 KR 101574955 B1 KR101574955 B1 KR 101574955B1 KR 1020140092317 A KR1020140092317 A KR 1020140092317A KR 20140092317 A KR20140092317 A KR 20140092317A KR 101574955 B1 KR101574955 B1 KR 101574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interior box
outer case
coupling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균
손영석
Original Assignee
풍천실업 주식회사
김용균
손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풍천실업 주식회사, 김용균, 손영석 filed Critical 풍천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2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사출용으로 확장형 인테리어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다양한 형태로 성형이 가능하고, 인케이스와 아웃케이스를 고정부재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 누구나 편리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인케이스와 아웃케이스의 두 종류에 의해 인테리어 박스가 완성되기에 간소화된 구조로 실용성이 높으며, 인케이스의 테두리부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고, 플라스틱 사출시, 다양한 첨가물을 첨가하여 인케이스와 아웃케이스의 외부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어 어떠한 실내 배경에도 맞춰서 인테리어 박스를 꾸밀 수 있어 인테리어 측면에서도 뛰어나며, 상기 아웃케이스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다른 아웃케이스와 간단하게 연결됨으로써, 인테리어 박스를 손쉽게 확장할 수 있고, 그로 인해 공간의 제약없이 설치가능하면서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어 편리성이 강조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사출용으로 확장형 인테리어 박스{Expandable interior box for plastic injection}
본 발명은 플라스틱 사출용으로 확장형 인테리어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다양한 형태로 성형이 가능하고, 인케이스와 아웃케이스를 고정부재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 누구나 편리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인케이스와 아웃케이스의 두 종류에 의해 인테리어 박스가 완성되기에 간소화된 구조로 실용성이 높으며, 인케이스의 테두리부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고, 플라스틱 사출시, 다양한 첨가물을 첨가하여 인케이스와 아웃케이스의 외부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어 어떠한 실내 배경에도 맞춰서 인테리어 박스를 꾸밀 수 있어 인테리어 측면에서도 뛰어나며, 상기 아웃케이스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다른 아웃케이스와 간단하게 연결됨으로써, 인테리어 박스를 손쉽게 확장할 수 있고, 그로 인해 공간의 제약없이 설치가능하면서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어 편리성이 강조되는 플라스틱 사출용으로 확장형 인테리어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책, 패(牌) 등의 장식품을 수납하는 인테리어 박스는 전체적인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내부 좌우측에 고정핀이 동일높이로서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며, 고정핀에 대해 선반을 안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프레임의 전방에 먼지 등으로 부터 각종 장식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유리도어가 각각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종래의 인테리어 박스 구조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좌우로 측판을 구비하고, 상기 측판의 상 하단 및 후단부로 마감판을 조립시켜 내측으로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공간부에 받침판을 복수개 조립하여 상기 받침판에 책을 꽂아 보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인테리어 박스에서는 인테리어 박스를 배치하는 장소를 변경하기 위하여 인테리어 박스를 분리및 이동하는 과정에서 고정핀을 분실시이를 재구입 해야되는 문제점과, 수납되는 장식품이 중량인 경우 선반의 중앙부분이 휘어져 처지게되어 장식품의 가치를 떨어트리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인테리어 박스를 구입하는 시기에 그 전체적인 외곽 사이즈가 이미 결정되므로 실내구조를 변경시 인테리어 박스를 배치하는 장소가 한정되어 사용이 불편하고, 이사하는 경우 인테리어 박스의 프레임을 분리할 수 없어 전체적인 외형부피가 크게되므로 운반하는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0280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다양한 형태로 성형이 가능하고, 인케이스와 아웃케이스를 고정부재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 누구나 편리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인케이스와 아웃케이스의 두 종류에 의해 인테리어 박스가 완성되기에 간소화된 구조로 실용성이 높은 플라스틱 사출용으로 확장형 인테리어 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인케이스의 테두리부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고, 플라스틱 사출시, 다양한 첨가물을 첨가하여 인케이스와 아웃케이스의 외부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어 어떠한 실내 배경에도 맞춰서 인테리어 박스를 꾸밀 수 있어 인테리어 측면에서도 뛰어난 플라스틱 사출용으로 확장형 인테리어 박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아웃케이스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다른 아웃케이스와 간단하게 연결됨으로써, 인테리어 박스를 손쉽게 확장할 수 있고, 그로 인해 공간의 제약없이 설치가능하면서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어 편리성이 강조되는 플라스틱 사출용으로 확장형 인테리어 박스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인테리어 박스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되어 전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부면에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홀이 형성된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며, 외부면에는 다수개의 연결홀이 형성되는 아웃케이스와;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되어 전면에 부재물이 구비되도록 선반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아웃케이스의 결합홈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홈과의 사이가 이격되고, 일측 끝단부에는 결합홈과의 이격된 사이 간격을 유지하는 동시에 외부에서 이격된 사이를 차단하도록 테두리부가 형성되는 인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아웃케이스는 다른 아웃케이스와 연결홀을 통해 고정부재가 연결되어 상,하,좌,우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용으로 확장형 인테리어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스틱 사출용으로 확장형 인테리어 박스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다양한 형태로 성형이 가능하고, 인케이스와 아웃케이스를 고정부재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 누구나 편리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인케이스와 아웃케이스의 두 종류에 의해 인테리어 박스가 완성되기에 간소화된 구조로 실용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인케이스의 테두리부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고, 플라스틱 사출시, 다양한 첨가물을 첨가하여 인케이스와 아웃케이스의 외부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어 어떠한 실내 배경에도 맞춰서 인테리어 박스를 꾸밀 수 있어 인테리어 측면에서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아웃케이스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다른 아웃케이스와 간단하게 연결됨으로써, 인테리어 박스를 손쉽게 확장할 수 있고, 그로 인해 공간의 제약없이 설치가능하면서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어 편리성이 강조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박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박스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인테리어 박스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되어 전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부면에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도록 홀이 형성된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며, 외부면에는 다수개의 연결홀이 형성되는 아웃케이스와;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되어 전면에 부재물이 구비되도록 선반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아웃케이스의 결합홈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홈과의 사이가 이격되고, 일측 끝단부에는 결합홈과의 이격된 사이 간격을 유지하는 동시에 외부에서 이격된 사이를 차단하도록 테두리부가 형성되는 인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아웃케이스는 다른 아웃케이스와 연결홀을 통해 고정부재가 연결되어 상,하,좌,우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박스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테리어 박스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스틱 사출용으로 확장형 인테리어 박스(40)는 다용도 목적으로써, 책 이외에 각종 장식이나 물품 등을 구비할 수 있는 인테리어 박스로 아웃케이스(10)와 인케이스(20)로 구성되고, 상기 아웃케이스(10)와 인케이스(20)가 상호 탈부착 가능한 구조이고, 상기 아웃케이스(10)와 인케이스(20)가 결합된 하나의 인테리어 박스가 상,하,좌,우로 연결되어 확장되는 구조이다.
우선, 상기 아웃케이스(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되어 전면에 결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의 내부면에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30)가 결합되도록 홀이 형성된 결합부(12)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12)는 하나 이상 형성되는데, 아웃케이스(10)의 꼭지점 부근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아웃케이스(10)는 도 1에서처럼,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정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지만,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10)의 결합홈(11) 내에는 아웃케이스(10)의 외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아웃케이스(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강대(13)가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웃케이스(10)의 외부면에는 도 에서처럼, 다수개의 연결홀(14)이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홀은 아웃케이스(10)의 사방면에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됨으로써, 다른 아웃케이스(10)가 상,하,좌,우에 확장되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홀(14)은 아웃케이스(10) 끼리 연통되도록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14)을 통해 볼트, 너트 등의 고정부재(30)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아웃케이스(10) 끼리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인케이스(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웃케이스(10)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되는데, 전면부가 책, 장식 등의 부재물이 구비되도록 선반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아웃케이스(10)의 결합홈(11)에 탈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인케이스(20)는 도 3에서처럼, 아웃케이스(10)의 결합홈(11)에 결합된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결합홈(11)과의 인케이스(20)의 외부면 사이가 이격되어 구비되는데, 그렇기 위해 상기 인케이스(20)는 아웃케이스(10)의 결합홈(11)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케이스(20)의 일측 끝단부에는 인케이스(20)가 결합홈(11)과의 이격된 사이 간격을 유지하는 동시에 외부에서 이격된 사이를 차단하도록 테두리부(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케이스(20)의 외부 일단면에는 도 3에서처럼, 아웃케이스 (10)의 결합홈(11)에 형성된 결합부(12)와 동일한 위치에 지지부(23)가 돌출 형성되어 인케이스(20)와 아웃케이스(10) 사이가 상호 이격되고, 상기 지지부(23)에도 결합부(12)의 홀을 통해 관통된 볼트 등의 고정부재(30)가 연결되도록 홀이 형성되어 인케이스(20)와 아웃케이스(10)를 상호 고정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12)의 홀과 지지부(23)의 홀은 고정부재(30)가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테두리부(22)는 도 3 내지 도 4에서처럼, 아웃케이스(10)의 끝단부와 접촉되도록 인케이스(20)의 외부면과 직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22)의 후면이 아웃케이스(10)의 끝단부와 접촉되는데, 이때, 후면에 결합단턱(24)이 형성되어 아웃케이스(10)의 결합홈(11)에 고정된다. 즉, 상기 결합단턱(24)이 아웃케이스(10)의 결합홈(11) 내부면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인케이스(20)가 아웃케이스(10)의 결합홈(11) 내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테두리부(22)는 전면이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이격된 인케이스(20)와 아웃케이스(10) 사이를 막아주는 동시에 플라스틱 사출시 인테리어 박스의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인조대리석 부재물 등이 첨가되어 무늬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아웃케이스(10)와 인케이스(20)는 플라스틱 재질로써, 사출 성형되는데, 이때, 상기 플라스틱에 인조대리석, 꽃무늬 등의 무늬를 표현할 수 있는 첨가제가 더 첨가되어 사출 형성됨으로써, 실내 분위기에 맞춰 선택적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10 : 아웃케이스 11 : 결합홈
12 : 결합부 13 : 보강대
14 : 연결홀 20 : 인케이스
21 : 선반홈 22 : 테두리부
23 : 지지부 24 : 결합단턱
30 : 고정부재 40 : 인테리어 박스

Claims (3)

  1. 인테리어 박스(40)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되어 전면에 결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의 내부면에는 고정부재(30)가 결합되도록 홀이 형성된 결합부(12)가 돌출 형성되며, 외부면에는 다수개의 연결홀이 형성되는 아웃케이스(10)와;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되어 전면에 부재물이 구비되도록 선반홈(21)이 형성되면서 상기 아웃케이스(10)의 결합홈(11)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홈(11)과의 사이가 이격되고, 일측 끝단부에는 결합홈(11)과의 이격된 사이 간격을 유지하는 동시에 외부에서 이격된 사이를 차단하도록 테두리부(22)가 형성되는 인케이스(2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아웃케이스(10)는 다른 아웃케이스(10)와 연결홀을 통해 고정부재(30)가 연결되어 상,하,좌,우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용으로 확장형 인테리어 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케이스(20)의 테두리부(22)는 아웃케이스(10)의 끝단부와 접촉되는 일단면에 결합단턱(24)이 형성되어 아웃케이스(10)의 결합홈(11)에 고정되고, 인테리어 박스의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무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용으로 확장형 인테리어 박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케이스(20)의 외부 일단면에는 아웃케이스(10)의 결합홈(11)에 형성된 결합부(12)와 동일한 위치에 지지부(23)가 돌출 형성되어 인케이스(20)와 아웃케이스(10) 사이가 상호 이격되고, 상기 지지부(23)에도 결합부의 홀을 통해 관통된 고정부재(30)가 연결되도록 홀이 형성되어 인케이스(20)와 아웃케이스(10)를 상호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용으로 확장형 인테리어 박스.
KR1020140092317A 2014-07-22 2014-07-22 플라스틱 사출용으로 확장형 인테리어 박스 KR101574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317A KR101574955B1 (ko) 2014-07-22 2014-07-22 플라스틱 사출용으로 확장형 인테리어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317A KR101574955B1 (ko) 2014-07-22 2014-07-22 플라스틱 사출용으로 확장형 인테리어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955B1 true KR101574955B1 (ko) 2015-12-08

Family

ID=54872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317A KR101574955B1 (ko) 2014-07-22 2014-07-22 플라스틱 사출용으로 확장형 인테리어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9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447B1 (ko) 2020-05-06 2020-09-22 김유권 분해 조립이 가능한 장식용 아크릴 박스 제품 및 이를 이용한 멀티 결합형 장식용 아크릴 박스 제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447B1 (ko) 2020-05-06 2020-09-22 김유권 분해 조립이 가능한 장식용 아크릴 박스 제품 및 이를 이용한 멀티 결합형 장식용 아크릴 박스 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791774S1 (en) Rack mountable hardware with surface ornamentation
USD862767S1 (en) Lamp assembly
USD795682S1 (en) Lock for panel mount
USD773349S1 (en) Front bumper for automobile
USD792877S1 (en) Case for a cellular phone with a surface pattern
USD792878S1 (en) Case for a cellular phone with a surface pattern
USD792875S1 (en) Case for a cellular phone with a surface pattern
USD831636S1 (en) Mobile phone case
USD773350S1 (en) Front bumper for automobile
USD722654S1 (en) Pyramid sand mold
USD717219S1 (en) Front bumper for automobile
USD692803S1 (en) Front grille for automobiles
USD717230S1 (en) Bed bar light frame
USD813645S1 (en) Smart padlock
USD858097S1 (en) Case for head mounted audio-visual display system
USD737076S1 (en) Mattress
USD802499S1 (en) Front bumper for automobile
USD844130S1 (en) Pump base
USD792825S1 (en) License plate frame
USD814993S1 (en) Front bumper for automobile
USD810472S1 (en) Mattress
USD791665S1 (en) License plate frame
CA129714S (en) Vehicle grille guard
USD825543S1 (en) Case for electronic devices
USD717220S1 (en) Rear bumper for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