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426B1 - Baseboard of level adjustment - Google Patents

Baseboard of level adjus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426B1
KR101574426B1 KR1020140059453A KR20140059453A KR101574426B1 KR 101574426 B1 KR101574426 B1 KR 101574426B1 KR 1020140059453 A KR1020140059453 A KR 1020140059453A KR 20140059453 A KR20140059453 A KR 20140059453A KR 101574426 B1 KR101574426 B1 KR 101574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finishing
flooring
hook
protru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4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32911A (en
Inventor
김덕호
Original Assignee
김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호 filed Critical 김덕호
Priority to KR1020140059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426B1/en
Publication of KR20150132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9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4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벨조절용 걸레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바닥재(Flooring)와 벽면이 만나는 부위에 설치되는 걸레받이에 있어서, 바닥재의 평활도(平滑度,Smoothness) 개선과 더불어 바닥재 두께를 감안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레벨조절용 걸레받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브의 바탕과 벽면이 만나는 부위에 미리 설치하여 이후 시공되는 바닥재 마감부위를 떠받쳐 지지토록 한 고정패널; 및, 상기 고정패널에 연계결합시켜 이미 시공된 바닥재의 마감부위를 덮어 커버하되, 상기 바닥재 두께에 대응하여 조립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마감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ling mocass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veling mocassette which is improved in smoothness of the floor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ling mocassette which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oor panel comprising: a stationary panel installed in advance at a location where a base of a slab meets a wall surface, And a finishing board covering and covering the finishing portion of the flooring that has already been installed by being connected to the fixed panel, wherein height of the finishing position of the finishing floor can be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looring material.

Description

레벨조절용 걸레받이{BASEBOARD OF LEVEL ADJUSTMENT}{BASEBOARD OF LEVEL ADJUSTMENT}

본 발명은 레벨조절용 걸레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바닥재(Flooring)와 벽면이 만나는 부위에 설치되는 걸레받이에 있어서, 바닥재의 평활도(平滑度,Smoothness) 개선과 더불어 바닥재 두께를 감안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레벨조절용 걸레받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ling mocass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veling mocassette which is improved in smoothness of the floor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ling mocassette which can be adjusted.

고대(古代, Ancient)로부터 인간은 자연환경으로부터 보호해 줄 수 있는 공간마련을 추구해 왔으며, 이러한 공간은 시대흐름에 변화하고 발전하여 현대에 이르러서 가족 구성원의 안식처 외에 사회적 활동을 이어나가는 기능성 실내공간으로 점차 확대되면서 급속도로 변화하였다.From Ancient, human beings have sought to provide a space that can protect them from the natural environment. These spaces have changed and developed in the times, and they have become a functional interior space that continues social activities besides family members' It gradually changed and changed rapidly.

예컨대, 1980년대 이전까지는 재래식 대청마루가 주거용의 대부분이었으나 1990년대 중반부터는 재건축 및 신축 공동주택(共同住宅, An apartment house)을 중심으로 바닥재 시공이 급증하였으며, 최근 들어서는 항균(抗菌)·방충(防蟲, Insect resistance) 및 냄새제거는 물론이거니와 원적외선 방출·전자파 흡수 차단과 같은 다품종, 다규격, 다기능 제품구조로 바닥재 본래의 기능 이외에도 인테리어와 건강까지 생각하는 등 기술적으로 상당한 발전을 이룩해 왔다.For example, until the 1980s, most of the traditional Daejangmul was used for residential use. However, since the mid 1990s, the flooring construction has rapidly increased in reconstruction and new apartment houses (An apartment house). Recently, antimicrobial, Insect resistance and deodorization, as well as a multi-product, multi-standard, multi-functional product structure such as far infrared ray emission and electromagnetic wave absorption blocking, have made considerable technological advances, including not only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flooring but also the interior and health.

한편, 상기 바닥재 시공의 경우, 바닥재와 벽면의 경계를 구분함과 아울러 물걸레 등을 이용한 바닥 청소시 벽면의 하부가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코자 걸레받이를 더 설치하게 된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flooring construction, the boundary between the flooring material and the wall surface is distinguished, and the bottom of the wall surface is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when cleaning the floor using a wet cloth or the like.

상기 걸레받이(Baseboard)라 함은, 벽면의 맨 아래 부분에서 실내 바닥과 내벽이 이어지는 부분의 마무리를 위해 부착(테돌림)한 수평부재를 일컫는 것으로, 주요 재료는 목재·석재·타일·고무·금속판 등을 쓴다. 보통 벽보다 두드러지도록 하며 두께는 2.0~3.0㎝(보통 2.5㎝)이고, 나비는 10~20㎝의 널로 하고 빗켜서 쓰기도 한다.The baseboard refers to a horizontal member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wall for finishing the portion connecting the floor and the inner wall, and the main material is wood, stone, tile, rubber, Metal plate and so on. Thickness is 2.0 ~ 3.0㎝ (usually 2.5㎝) and the butterfly is 10 ~ 20㎝ wide.

여기서, 전술한 바닥재의 시공 및 걸레받이의 설치를 위하여는 건축물의 층간을 구분하는 슬라브 바탕(바닥면)의 미장공사(美裝工事, Plaster work)가 선행되는데, 모든 작업이 대부분 사람(미장공)에 의해 진행되는 작업과정의 특성상 바탕의 평활도를 100% 완벽히 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Her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above-mentioned floor material and the installation of the base, precedence is given to the plaster work of the slab base (bottom surface) for separating the interstices of the building. It is almost impossible to perfect the smoothness of the background 100%.

그로 인해, 여타의 실내 마감공사와 달리 상기 바닥재 시공에 따른 하자 발생률이 높을 수밖에 없으며, 공사의 특성상 하자보수에 필요한 기간과 비용의 소요가 상당하여 사후처리에 많은 어려움을 내포하고 있다.Therefore, unlike other indoor finishing works, the defect occurrence rate due to the above-mentioned flooring construction is inevitably high. Due to the nature of the construction, the period and cost required for the repair work are considerable, which is a great difficulty in post-processing.

이러한 제반문제점을 다소나마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5853호를 통해, 벽체의 시공 면이 불규칙하더라도 설치의 편의성을 갖는 걸레받이가 개시된바 있다.In order to solve all of these problem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20-0425853 has disclosed a racket receiving apparatus having convenience of installation even if the construction surface of the wall is irregula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걸레받이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로써, 종래 기술에 따른 걸레받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에 접착과정을 통해 부착되는 고정판(901a)을 구비하는 걸레받이 몸체(901)의 전면에는 하단에 바닥재(f)와 밀착되는 연질의 밀착편(902a)을 가진 하부 덮개(902)가 유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하부 덮개(902)의 하단과 상기 고정판(901a)에는 하부덮개(90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걸림편(903)과 걸림턱(904)을 각각 일체로 구비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걸레받이 몸체(901)의 고정판(901a)에 일체로 돌출 구성되는 다수의 리브(911)를 통해 고정판(901a)의 전면에 이격 상태로 일체 구성되는 고정 보강판(910)과; 상기 하부 덮개(902)에 일체로 돌출 구성되는 다수의 리브(921)를 통해 하부 덮개(902)의 내면에 이격 상태로 일체 구성되는 덮개 보강판(920)과; 상기 하부덮개(902)의 상단연부와 걸레받이 몸체(901)의 전면 하연부에 일체로 접착 고정되며 상기 하부덮개(902)를 걸레받이 몸체(901)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질의 연결편(9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 lath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Referring to FIG. 1, the lath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fixing plate 901a attached to a wall surface through an adhesive process A lower lid 902 having a soft contact piece 902a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material f is movably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lid 902, 901a has a known structure in which a latching piece 903 and a latching jaw 904 are integrally formed as a means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lower lid 902, A fixed reinforcing plate 910 integrally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plate 901a through a plurality of ribs 911 protruding integrally from the fixing plate 901a of the mopen body 901; A lid reinforcement plate 920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lid 902 through a plurality of ribs 921 integrally projected from the lower lid 902; The lower cover 902 is integrally adhered integrally with the upper edge of the lower cover 902 and the lower edg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cover 901 to be foldably connected to the lower cover 902, (930).

종래 기술에 따르면, 벽체에 고정되는 몸체(901)의 고정판(901a)과 이 고정판(901a)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덮개(902)에 일정길이의 리브(921)를 통해 일체 구성되는 고정 보강판(910)과 덮개 보강판(920)을 두어 해당 부위의 두께 증가를 통한 지지강도의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벽체의 시공 면이 불규칙하더라도 고정판(901a)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접착시공의 편의성과 하부 덮개의 로킹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 중 하부 덮개(902)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형태변형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여 파손이나 로킹 상태가 무단으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부 덮개(902)와 몸체(901)의 절첩 부위를 연질의 연결편(930)을 통해 연결 구성토록 함으로써 하부 덮개(902)를 여러 번 반복 절첩시키더라도 해당 부위의 절결 훼손이 방지되도록 내구성을 개선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fixed plate 901a of a body 901 fixed to a wall and a lower lid 902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xed plate 901a are integrally formed with ribs 921 of a predetermined length By providing the fixed reinforcing plate 910 and the cover reinforcing plate 920 to increase the supporting strength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fixing plate 901a even if the mounting surface of the wall is irregular So that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locking state of the lower lid and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shape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ower lid 902 during use so that the breakage or the locking state is released unauthorized Even if the lower cover 902 is repeatedly folded over a plurality of times by connecting the folded portions of the lower cover 902 and the body 901 to each other through the flexible connecting piece 930, One that will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above cutout damage is prevented.

하지만, 상술한 목적과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걸레받이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어 그에 따른 제조비용 및 판매비용 상승의 문제점을 초래해 왔다.However,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effect, the structure of the base is very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increase of the selling cost have been caused.

또한, 상기 연결편(930)이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짐임에 따라, 오랜 기간이 지난 후에는 탄성의 상실로 인해, 바닥재와 연결편(930)이 서로 맞닿는 부위로부터의 틈새 형성되고 이는 결국 바닥재가 들뜨게 만드는 문제점을 유발해 왔다.Further, since the connecting piece 930 is made of a soft material, after a long period of time, due to the loss of elasticity, a gap is formed from a portion where the flooring material and the connecting piece 930 are abutted with each other, Has caused problems.

이 경우, 사람 보행시의 소음 발생은 차치하더라도 바닥재의 이음새 부위로부터의 단차 발생에 따른 신체부상(발가락 또는 발바닥)의 원인이 되어 왔으며, 이로 인한 바닥재 전체의 파손으로 이어져 최악의 경우 기존의 바닥재를 모두 걷어내고 재시공해야만 함으로 인한 금전적 환경적 손실의 폐단을 불러 일으켜 왔다.
In this case, even when the person is walking, noises are generated, resulting in a physical injury (toe or sole) caused by a step from the joint part of the flooring material, resulting in the breakage of the entire flooring material. In the worst case, It has caused the financial and environmental damage caused by having to unload and rework everything.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5853호(등록일자 : 2006. 08. 31)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25853 (Registered Date: Aug. 31, 2006)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슬라브 바탕과 벽면이 이어지는 부위에 미리 접합된 상태로 바닥재의 마감부위를 고르게 떠받치게 된 고정패널을 이용하여, 벽면 및 슬라브 바탕의 미장선 불균일에 의한 바닥재의 마감을 개선하는 동시에 평활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레벨조절용 걸레받이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or panel which is made of a wall panel and a slab base And the smoothness of the floor can be improved while improving the finish of the floor material due to the unevenness of the lin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고정패널에 조립장착되되 높낮이 조절이 가능케 된 마감보드를 이용하여, 바닥재의 마감부를 커버토록 함과 아울러 다양한 규격으로 제조되는 바닥재의 그 두께에 맞춰 대응 설치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벨조절용 걸레받이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or panel which is mounted on the fixed panel and which is adjustable in height and can be easily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thickness of the floor material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directed to a leveling mocassett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라브의 바탕과 벽면이 만나는 부위에 미리 설치하여 이후 시공되는 바닥재 마감부위를 떠받쳐 지지토록 한 고정패널; 및, 상기 고정패널에 연계결합시켜 이미 시공된 바닥재의 마감부위를 덮어 커버하되, 상기 바닥재 두께에 대응하여 조립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마감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oor panel comprising: a fixed panel installed in advance at a location where a base of a slab meets a wall surface, And a finishing board covering and covering the finishing portion of the flooring that has already been installed by being connected to the fixed panel, wherein height of the finishing position of the finishing floor can be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looring material.

또한, 상기 고정패널은, 수직으로 일정높이를 갖되, 상기 바닥재 마감부위를 고르게 떠받치게 된 착지편이 최말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마감보드 상측부의 마감수용을 위한 두부가 최상단부로부터 상기 착지편과 동일 측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마감보드의 조립결합을 위한 "」"형 고리편이 상기 착지편과 상기 두부 사이의 측단부로부터 더 절곡형성되고, 상기 고리편을 바라보는 측단부 일부위로부터는, 상기 고리편에 결속시키기 위해 상기 마감보드 일측에 절곡형성된 걸이편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는 제1반구형돌기가 더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ed panel may include a landing piece having a vertically fixed height, the landing piece uniformly holding the flooring finishing part is bent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nd a head for finishing receiv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inishing board, Shaped hook piece for assembling the finishing board is further bent from the side end portion between the landing piece and the head portion, and from a part of the side end portion facing the loop piece, And a first hemispherical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ne end of the hook formed at one side of the finishing board so as to bind the hook to the hook.

더하여, 상기 마감보드는, 수직으로 일정높이를 갖되, 상기 바닥재의 마감부위를 덮어 외부노출을 커버하는 안착편이 최말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안착편의 대향 타측 최상단 근접 일부위로부터는, 선단이 뾰족한 포지션돌기편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고리편에 결속시킬 수 있는 "Г"형 걸이편이 상기 안착편과 상기 포지션돌기편 사이의 측단부로부터 더 절곡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nishing board may have a vertically fixed height, wherein the seating piece covering the exterior of the floor covering the finishing portion of the flooring is bent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seating member, And a "G" -shaped hook piece capable of binding to the loop piece is further bent from the side end portion between the seat piece and the position projection piece.

또한, 상기 착지편의 절곡부에는, 하측으로 비스듬한 완충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landing piece bending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buffer portion sloping downward.

더하여, 상기 두부의 돌출 하측에는, 상기 포지션돌기편이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연속되는 다수의 내향홈 마련을 위한 톱날형돌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awtooth-shaped protrusion for forming a plurality of inward grooves continuous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protruding lower side of the head so that the position protruding piece can be selectively inserted.

또한, 상기 고리편에는, 상기 걸이편의 타측을 우선 가압할 수 있는 제2반구형돌기가 상측 끝단 내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ing piece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hemispherical protrusion capable of first pressing the other side of the hook piece is protrud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더하여, 상기 고리편의 내측면 하부에는, 상기 걸이편의 선단 일측을 추가 가압하는 다수의 치형돌기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연속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걸이편의 하말단 일면으로부터는, 상기 치형돌기부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내향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고정되는 제2결착돌기가 더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ooth-shaped protrusions for further pressing one side of the tip end of the hook piece ar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ner side of the ring piece so as to project upwardly and downward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hook piece, And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and fix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inwardly-directed grooves formed by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is further protruded.

또한, 상기 안착편은, 탄성변형에 의한 바닥재 표면과의 밀착력 증대를 위해 선단이 하방을 지향하는 경사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at pie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p end thereof has an inclination angle directed downward in order to increase the adhesion with the floor surface due to elastic deformation.

더하여, 상기 내향홈 각각의 상측 내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반복되는 다수의 요입홈이 더 내향형성되고, 상기 포지션돌기편의 선단부 상면으로부터에는, 상기 요입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고정되는 제1결착돌기가 더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concave grooves successively repe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urther formed inwar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inward grooves, an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osition projection, And the engaging projections are further protruded.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레벨조절용 걸레받이는, 바닥재 시공 이전 벽면과 슬라브 바탕이 만나는 부위에 고정패널을 미리 부착함을 통해, 바닥재 마감 불균일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으면서도 바닥재의 평활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다준다.As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leveling mocassette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various problems that may occur due to unevenness of the flooring finish, by attaching the fixing panel in advance to the portion where the wall surface before the flooring is joined with the slab base And the smoothness of the flooring material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상기 고정패널에 마감보드를 추가로 더 조립결합함을 통해, 실내 바닥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바닥재 마감부위 커버에 따른 시공성 극대화는 물론이거니와 바닥재의 두께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케 됨으로써, 다양한 규격으로 제조된 여러 종류의 바닥재 채택시에도 걸레받이 설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Further, by further assembling and assembling a finishing board to the fixed panel,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workability according to the cover of the finishing floor part which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oom floor, and to adjust the height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looring,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installation of the base.

이와 함께, 전술한 각종 효과의 달성으로, 바닥재 시공의 하자 발생률을 최소화하는 등 실내 마감공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그로 인한 공사기간의 획기적인 단축을 통해 실내 마감공사 비용의 절감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됨으로써, 건축 및 인테리어 관련산업의 발전과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In addition, by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various effect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indoor finishing work such as minimizing the occurrence rate of defects in flooring construction, and also to reduce the cost of indoor finishing work by remarkabl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contribute greatly to the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architecture and interior related industrie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걸레받이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벨조절용 걸레받이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벨조절용 걸레받이의 조립관계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벨조절용 걸레받이의 시공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예시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벨조절용 걸레받이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벨조절용 걸레받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단면도와 사용상태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a baseboard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ling-
3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ssembling relationship of the leveling mop under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p-by-step construction process of a leveling m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5A and 5B ar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use of the leveling moc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and a state-of-use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eveling mat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벨조절용 걸레받이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벨조절용 걸레받이의 조립관계를 나타낸 분해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벨조절용 걸레받이의 시공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예시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벨조절용 걸레받이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eveling mocasset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y relation of a leveling mocasset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 FIGS. 5A and 5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leveling mocasset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ep-by-step manner.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벨조절용 걸레받이(A)는, 슬라브의 바탕과 벽면이 만나는 부위에 미리 설치하여 이후 시공되는 바닥재 마감부위를 떠받쳐 지지토록 한 고정패널(1)과, 상기 고정패널(1)에 연계결합시켜 이미 시공된 바닥재의 마감부위를 덮어 커버하되 상기 바닥재 두께에 대응하여 조립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마감보드(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leveling mocassett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a base of a slab meets a wall surface, and is fixed to a fixed panel And a finishing board 2 covering the finishing portion of the flooring which has already been installed by being connected to the fixed panel 1 and covering the finishing portion of the flooring and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ssembly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looring material.

고정패널(1)은, 바닥재 마감부위의 평활도 향상 및 걸레받이의 설치구성을 위한 상기 마감보드(2)의 결착수단인 것으로, 수직으로 일정높이를 갖되, 벽면과 슬라브 바탕이 만나는 부위에 밀착된 상태로 바닥재의 마감부위를 고르게 떠받치게 된 착지편(11)이 최말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이어 절곡형성되고, 최상단부에는 상기 마감보드(2) 상부의 마감수용 및 밀착지지를 위한 두부(12)가 상기 착지편(11)과 동일 측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착지편(11)과 두부(12) 사이의 측단부로부터는 차후 후술할 상기 마감보드(2)의 걸이편 결속을 위한 "」"형 고리편(13)이 더 절곡형성되고, 상기 고리편(13)을 바라보는 측단부 일부위로부터는 상기한 마감보드(2) 걸이편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는 제1반구형돌기(14)가 더 돌출형성된다.The fixed panel 1 is a binding means of the finishing board 2 for improving the smoothness of the flooring finishing portion and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mopping base. The fixing panel 1 has a vertically fixed height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a portion where the wall surface and the slab base meet A landing piece 11 for holding the finishing portion of the flooring evenly is bent and formed continuously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nd a head 12 for finish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inishing board 2 and suppor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inishing board 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ide edge portion between the landing piece 11 and the head portion 12 in the same manner as the landing piece 11, A first hemispherical protrusion 14 capable of pressing one side of the hook of the finishing board 2 is further projected from a part of the side end facing the loop piece 13 .

상기 착지편(1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패널(1)의 최말단으로부터 연이어 절곡형성되되, 2차 절곡에 따라 하측으로 비스듬한 완충부(111)가 절곡부위에 더 형성된다. 이는, 미장선 불균일로 인해 벽면과 슬라브 바탕의 수직 불균형에 대응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패널(1) 시공시의 완충효과가 발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anding piece 11 is formed by bending from the outermost end of the fixed panel 1, and the buffer part 111, which is bent downwardly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ary bending, is further formed at the bending part. This is to cope with the vertical imbalance between the wall surface and the slab base due to unevenness of the fine lines, and at the same time, to exhibit the buffering effect at the time of constructing the fixed panel 1.

상기 두부(12)의 돌출 하측에는, 차후 후술할 상기 마감보드(2)의 포지션돌기편이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연속되는 다수의 내향홈 마련을 위한 톱날형돌기부(121-1)가 형성되는바, 상기한 내향홈 각각의 상측 내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반복되는 다수의 요입홈(121-11)이 더 형성되어 있다.Like protrusions 121 for forming a plurality of inward grooves continuous up and down along the length direction so that the position projection pieces of the finishing board 2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selectively inserted, -1)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ide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inward grooves, a plurality of concave grooves 121-11 are formed continuous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고리편(13)에는, 상기한 마감보드(2) 걸이편의 다른 일측을 우선 가압할 수 있는 제2반구형돌기(131)가 상기의 제1반구형돌기(141)와 마찬가지로 상측 끝단 내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다.A second hemispherical protrusion 131 capable of first pressing the other side of the hooking piece of the finishing board 2 is projected from the upper end inner surface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hemispherical projection 141, .

마감보드(2)는, 상기 고정패널(1)에 조립결합하여 바닥재 마감부를 커버토록 하는 걸레받이 구성의 마감수단인 것으로, 수직으로 일정높이를 갖되, 바닥재의 마감부위를 덮어 외부노출을 커버하는 안착편(21)이 최말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이어 절곡형성되고, 상기 안착편(21)의 대향 타측 최상단 근접 일부위로부터는 상기 고정패널(1) 두부(12) 하측의 톱날형돌기부(121-1) 형성에 의해 마련된 다수의 내향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선단이 뾰족한 단일의 포지션돌기편(22)이 돌출형성된다.The finishing board (2) is a finishing means of a clamper structure constituting a floor covering finishing portion by being assembled to the fixed panel (1) and having a vertical height and covering the finishing portion of the flooring, Like projecting portion 121-1 on the lower side of the head portion 12 of the fixed panel 1 from above a portion near the other uppermost end of the opposite side of the seat back piece 21, A single position projection piece 22 having a pointed tip is protruded so as to be inserted into any one of a plurality of inwardly directed grooves formed by the formation.

또한, 상기 안착편(21)과 포지션돌기편(22) 사이의 측단부로부터는, 상기 고정패널(1)의 고리편(13)에 결속시킬 수 있는 "Г"형 걸이편(23)이 더 절곡형성된다.Further, from the side end portion between the seat piece 21 and the position projection piece 22, there is further provided a "G" -shaped catching piece 23 which can be bound to the loop piece 13 of the fixed panel 1 And is bent.

한편, 상기한 안착편(21)은,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는 바닥재의 소재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바닥재 마감부위의 외부노출을 방지함에 적당한 길이로 돌출형성되는 한편, 선단이 하방을 지향(志向)토록 소정의 경사각을 가짐에 따라 바닥재 표면에 착지시 부여되는 압력에 대응한 탄성변형(彈性變形, elastic deformation)을 발휘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seat piece 21 is protruded to have an appropriate length to prevent external exposure of the flooring finishing part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floor material repeatedly expanding and contracting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change, It is preferable to exhibit an elastic de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applied upon landing on the surface of the bottom as it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toward the orientation.

그리고, 상기 포지션돌기편(22)의 선단부 상면으로부터에는, 상기 톱날형돌기부(121-1)에 의해 형성된 내향홈의 요입홈(121-11)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고정됨으로써, 상기한 포지션돌기편(22)의 분리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제1결착돌기(221)가 더 돌출형성되어 있다.The upper end of the position projection 22 is inserted and fixed into any one of the grooves 121-11 of the inward groove formed by the sawtoothed projection 121-1,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221 for preventing separation and release of the flap 22 is further protruded.

이와 함께,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벨조절용 걸레받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단면도와 사용상태단면도로써, 상기 고리편(13)의 구조를 달리하여 상기 고리편(13)에 결속되는 걸이편(23)의 결속상태가 더욱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6A and 6B are exploded cross-sectional views and cross-sectional view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leveling mattress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ring legs 13 is varied, So that the binding state of the hooking piece 23 can be more firmly maintained.

이를 위해, 상기 고리편(13)의 내측면 하부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편(23)의 선단을 추가 가압할 수 있는 다수의 치형돌기부(132)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연속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6A, a plurality of tooth-shaped protrusions 132, which can further press the tips of the hook pieces 23, are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ring piece 13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 And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continuously.

또한, 상기 걸이편(23)의 하말단 일면으로부터는, 상기 치형돌기부(132)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내향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고정됨으로써,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걸이편(23)의 분리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제2결착돌기(231)가 더 돌출형성되어 있다.6B, the hook piece 23 is inserted and fixed into one of a plurality of inward grooves formed by the toothed protrusion 132 from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hook piece 23. Thus,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s 231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further.

미설명부호, (13a)는 상기 고리편의 절곡형성으로 마련되어진 삽입홀이고, (24)는 마감보드의 조립장착을 용이케 하기 위한 손잡이이며, (s)는 건축물의 층간을 구획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의 바탕이고, (w)는 건축물의 실내공간을 구획하는 벽체의 벽면이다.Reference numeral 13a denotes an insertion hole formed by bending the annular member. Reference numeral 24 denotes a handle for facilitating mounting and assembly of the finishing board. (S) denotes a concrete slab (W) is the wall surface of the wall divid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벨조절용 걸레받이(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eveling mop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걸레받이(A)는, 미장공사가 마무리된 건축물 실내의 슬라브 바탕(s)과 벽면(s)이 만나는 부위에 설치하게 되는데, 우선 상기 고정패널(1)의 수직 외면을 벽면(w-1)에 밀착시키는 동시에 상기한 고정패널(1)의 착지편(11)을 슬라브 바탕(s)에 밀착시킨 상태로 별도의 접합수단(접착제 또는 스크류볼트 등)을 이용하여 유동이 방지되도록 단단히 접합한다.4, the clasp base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slab base s and the wall surface s meet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finished with the finishing work. First, The vertical outer surface of the stationary panel 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w-1 and at the same time the grounding piece 11 of the stationary panel 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lab base s, Etc.) to prevent flow.

이후, 상기 슬라브 바탕(s) 상에 마루판(f, 이하 "바닥재"라 함)를 시공하는바, 바닥재(f)의 마감부위가 상기 착지편(11) 상에 올려지도록 함으로써 슬라브 바탕(s)과 벽면(w)의 미장선이 고르지 못하더라도 상기 바닥재(f) 마감부위의 평활도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after, a floorboard (f)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looring material") is placed on the slab base s so that the finished portion of the floor material f is raised on the landing piece 11, The smoothness of the finishing area of the floor material f can be maintained even if the fine lines of the wall surface w are not uniform.

계속해서, 바닥재(f)의 시공이 마무리된 다음에는, 상기 마감보드(2)를 고정패널(1)에 조립결합하여 상기 바닥재(f)의 마감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벽면 하부의 오염을 방지를 위한 걸레받이의 설치를 마무리하게 되며, 바닥재(f)의 그 두께에 따라 상기 마감보드(2)의 높낮이를 달리할 수 있다.Subsequently, after finishing the construction of the bottom material f, the finishing board 2 is assembled to the fixed panel 1 to prevent the finishing portion of the bottom material f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height of the finishing board 2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looring material f.

이때, 상기한 마감보드(2)의 상끝단에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손잡이(24)를 이용하여 상술한 마감보드(2)의 조립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음이 가능하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assembly process of the finishing board 2 by using the handle 24 formed outwardly bent at the upper end of the finishing board 2.

상세하게는, 보통 6 내지 7mm 이내의 두께로 제조되는 바닥재(f) 시공시의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보드(2)의 걸이편(23)을 상기 고정패널(1)의 고리편(13)에 결속시킨다. 이때, 상기 걸이편(23)의 절곡 선단이 상기 삽입홀(13a)로 진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리편(13)의 제2반구형돌기(131)에 의해 일측이 우선 가압되고, 계속되는 삽입과정 도중 상기 고정패널(1)의 제1반구형돌기(14)에 의해 다른 일측이 추가 가압됨에 따라, 걸이편(23)의 결속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는 것이다.5A, when the flooring material f is manufactured to have a thickness of usually 6 to 7 mm or less, the hooking pieces 23 of the finishing board 2 are attached to the fixing panel 1 So that it is bound to the loop piece (13). At this time, one end of the hook piece 23 is pressed first by the second hemispherical protrusion 131 of the loop piece 13 i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insertion hole 13a, and during the subsequent insertion process, As the other hemispherical protrusion 14 of the fixed panel 1 further presses one side, the binding state of the hooking piece 23 is firmly maintained.

또한, 서로 다른 상,하 위치로부터 각각 돌출된 제1,2반구형돌기(14)에 의한 순차적 가압에 따라 상기 걸이편(23)의 선단부가 내측으로 휘어지는 형태변형을 이루게 됨으로써, 상기 고정패널(1)과 마감보드(2)가 상호 완전히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due to sequential pressurization by the first and second hemispherical protrusions 14 protruding from different upper and lower positions,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hook piece 23 is deformed inwardly so that the fixing panel 1 And the finishing board 2 can be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걸이편(23)을 삽입홀(13a) 내로 완전히 삽입시켜,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바닥재(f) 상면에 상기 안착편(21)의 바닥면 전체가 완전히 밀착되도록 마감보드(2)의 위치를 낮춰서 조립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감보드(2) 최상단 근접 일측에 돌출된 포지션돌기편(22)은 상기 두부(12)의 돌출 하측 톱날형돌기부(121-1)에 의해 마련된 다수의 내향홈들 중 하측에 위치한 내향홈에 삽입된다.The hook piece 23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a so that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the seat piece 21 is complete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relatively thinner bottom material f, The position can be lowered and assembled. At this time, the position projection piece 22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uppermost end of the finishing board 2 is inserted in the lower side of the plurality of inward grooves provided by the protruding lower side saw-like protrusion 121-1 of the head 12, Is inserted into the groove.

반면, 보통 9mm 이상의 두께로 제조되는 바닥재(f)의 시공시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편(23)을 고리편(13)에 결속시키되, 상기 삽입홀(13a) 내로 걸이편(23)의 일부만 삽입시키는 깊이조절에 따라, 마감보드(2)의 조립위치를 높일 수 있으며, 이때의 상기 포지션돌기편(22)은 다수의 상기 내향홈들 중 상측에 위치한 내향홈에 삽입된다.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constructing the flooring material f having a thickness of 9 mm or more, as shown in FIG. 5B, the hooking piece 23 is fastened to the looping piece 13, The position of the finishing board 2 can be increased by adjusting the depth of insertion of only a part of the piece 23, and the position projection piece 22 at this time can be inserted into the inward- do.

정리하자면, 바닥재(f)를 시공 이전, 슬라브 바탕(s)과 벽면(w)이 만나는 부위에 상기 고정패널(1)을 접합시켜 이후 시공되는 바닥재(f)의 마감부위를 떠받쳐 지지함을 통해, 벽면(w)과 슬라브 바탕(s)의 미장선이 고르지 못하더라도 상기한 바닥재(f)의 평활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The fixing panel 1 is bonded to a portion where the slab base s and the wall surface w meet before the flooring material f is applied so as to support the finished portion of the flooring material f, The smoothness of the floor material f can be improved even if the fine lines of the wall surface w and the slab base s are not uniform.

또한, 상기 마감보드(2)에 고정패널(1)을 조립결합하되, 바닥재(f) 두께에 따라 높낮이 조절을 이룰 수 있으면서도 마감이 불균일한 바닥재(f)의 테두리부위(마감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바닥재(f) 시공시에도 걸레받이 설치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를 더불어 거둘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ed panel 1 is assembled and coupled to the finishing board 2, and the edge portion (finishing portion) of the floor material f having the uneven finish can be adjusted to the height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bottom material f,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ffect of greatl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of installing the baseboard even when the floor material (f) of various standards is constructed.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 : 걸레받이, 1 : 고정패널, 2 : 마감보드
11 : 착지편, 12 : 두부, 13 : 고리편
13a : 삽입홀, 14 : 제1반구형돌기, 21 : 안착편
22 : 포지션돌기편, 23 : 걸이편, 111 : 완충부
121-1 : 톱날형돌기부, 121-11 : 요입홈, 131 : 제2반구형돌기
132 : 치형돌기부, 221 : 제1결착돌기, 231 : 제2결착돌기
A: Baseboard, 1: Fixed panel, 2: Finishing board
11: landing piece, 12: tofu, 13: hook piece
13a: insertion hole, 14: first hemispherical protrusion, 21:
22: position projection piece, 23: hook piece, 111: buffer portion
121-1: sawtooth-shaped protrusions, 121-11: concave groove, 131: second hemispherical protrusion
132: tooth-like projecting portion, 221: first binding projections, 231: second binding projections

Claims (9)

삭제delete 삭제delete 슬라브의 바탕과 벽면이 만나는 부위에 미리 설치하여 이후 시공되는 바닥재 마감부위를 떠받쳐 지지토록 한 고정패널; 및,
상기 고정패널에 연계결합시켜 이미 시공된 바닥재의 마감부위를 덮어 커버하되, 상기 바닥재 두께에 대응하여 조립위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마감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패널은, 수직으로 일정높이를 갖되,
상기 바닥재 마감부위를 고르게 떠받치게 된 착지편이 최말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마감보드 상측부의 마감수용을 위한 두부가 최상단부로부터 상기 착지편과 동일 측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마감보드의 조립결합을 위한 "」"형 고리편이 상기 착지편과 상기 두부 사이의 측단부로부터 더 절곡형성되고,
상기 고리편을 바라보는 측단부 일부위로부터는, 상기 고리편에 결속시키기 위해 상기 마감보드 일측에 절곡형성된 걸이편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는 제1반구형돌기가 더 돌출형성되며,
상기 고리편에는, 상기 걸이편의 타측을 우선 가압할 수 있는 제2반구형돌기가 상기 제1반구형돌기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측 끝단 내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상기 마감보드는, 수직으로 일정높이를 갖되,
상기 바닥재의 마감부위를 덮어 외부노출을 커버하는 안착편이 최말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절곡형성되고,
상기 안착편의 대향 타측 최상단 근접 일부위로부터는, 선단이 뾰족한 포지션돌기편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고리편에 결속시킬 수 있는 "Г"형 걸이편이 상기 안착편과 상기 포지션돌기편 사이의 측단부로부터 더 절곡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조절용 걸레받이.
A fixed panel installed in advance at a portion where a base of the slab meets a wall surface and supported on a floor finishing portion to be installed later; And
And a finishing board covering and covering the finishing portion of the already-installed flooring joined to the fixed panel, wherein height of the assembling position can be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looring,
The fixed panel has a vertical height,
A landing piece which is supposed to evenly support the flooring finish portion is bent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Wherein a head portion for finishing recep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nishing board is protruded from the uppermost portion in the same lateral direction as the landing piece,
A ""-shaped annular piece for assembling the finish board is further bent from the side end portion between the landing piece and the head portion,
A first hemispherical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part of the side end facing the ring piece is formed to be able to press one side of the hook formed at one side of the finishing board to bind the ring piece,
A second hemispherical projection capable of first pressing the other side of the hook piece is protruded from the upper end inner surface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hemispherical projection,
The finishing board has a vertical height,
A seat piece that covers the finish portion of the floor material and covers the external exposure is bent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A position projection piece having a sharp tip is protruded from a portion near the other uppermost end opposite to the seating piece,
And a "G" -shaped hook member capable of binding to the hook piece is further bent from a side end portion between the seat piece and the position projection pie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착지편의 절곡부에는, 하측으로 비스듬한 완충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조절용 걸레받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ent portion of the landing piece further comprises a buffer portion sloped downwar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의 돌출 하측에는, 상기 포지션돌기편이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연속되는 다수의 내향홈 마련을 위한 톱날형돌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조절용 걸레받이.
The method of claim 3,
And a sawtooth-shaped protrusion for forming a plurality of inward-facing grooves continuous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protruding lower side of the head portion so that the position protruding piece can be selectively inserted.
삭제delet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편의 내측면 하부에는, 상기 걸이편의 선단 일측을 추가 가압하는 다수의 치형돌기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연속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걸이편의 하말단 일면으로부터는, 상기 치형돌기부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내향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고정되는 제2결착돌기가 더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조절용 걸레받이.
The method of claim 3,
A plurality of tooth-shaped protrusions for further pressing one side of the tip end of the hook piece are formed upwardly and downwardly protru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and fixed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inward grooves formed by the toothed protrusions is further protruded from a lower end surface of the hook pie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편은, 탄성변형에 의한 바닥재 표면과의 밀착력 증대를 위해 선단이 하방을 지향하는 경사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조절용 걸레받이.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at piece has an inclination angle at which a tip of the seat piece is directed downward for increasing adhesion with the floor material surface due to elastic deformatio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향홈 각각의 상측 내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반복되는 다수의 요입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포지션돌기편의 선단부 상면으로부터에는, 상기 요입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고정되는 제1결착돌기가 더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벨조절용 걸레받이.
6. The method of claim 5,
A plurality of concave grooves successively repe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urther form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inward grooves,
And a first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and fixed to one of the concave grooves is further protrude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position protrusion.
KR1020140059453A 2014-05-19 2014-05-19 Baseboard of level adjustment KR1015744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453A KR101574426B1 (en) 2014-05-19 2014-05-19 Baseboard of level adjus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453A KR101574426B1 (en) 2014-05-19 2014-05-19 Baseboard of level adjust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911A KR20150132911A (en) 2015-11-27
KR101574426B1 true KR101574426B1 (en) 2015-12-03

Family

ID=54847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453A KR101574426B1 (en) 2014-05-19 2014-05-19 Baseboard of level adjus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42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548B1 (en) * 2018-09-13 2019-05-29 (주)스위텍 Finishing materials of wall infrastructure
KR102250644B1 (en) 2020-07-31 2021-05-12 주식회사 락소 Hidden molding for ceiling and mop for easy finishing
KR20230055208A (en) 2021-10-18 2023-04-25 김명조 Skirting on the wal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706B1 (en) * 2018-02-20 2019-04-08 김종원 Mounting assembly of sink
KR102168585B1 (en) * 2018-05-17 2020-10-21 김종원 Mounting assembly of sink
KR102133409B1 (en) * 2018-05-17 2020-07-13 김종원 Mounting assembly of sink
KR102241841B1 (en) * 2018-12-07 2021-04-19 주식회사 퍼넥스이노베이션 Mounting assembly of sink
CN112554498B (en) * 2020-12-14 2022-03-29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Height self-adaptation joint skirting line
KR102532153B1 (en) * 2021-09-30 2023-05-12 주식회사 락소 Length adjustable plint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7041A (en) * 2001-09-25 2003-04-03 Panefuri Kogyo Kk Baseboard structure
KR101200130B1 (en) * 2010-05-31 2012-11-12 강학현 Washboar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7041A (en) * 2001-09-25 2003-04-03 Panefuri Kogyo Kk Baseboard structure
KR101200130B1 (en) * 2010-05-31 2012-11-12 강학현 Washboar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548B1 (en) * 2018-09-13 2019-05-29 (주)스위텍 Finishing materials of wall infrastructure
KR102250644B1 (en) 2020-07-31 2021-05-12 주식회사 락소 Hidden molding for ceiling and mop for easy finishing
KR20230055208A (en) 2021-10-18 2023-04-25 김명조 Skirting on the w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911A (en) 2015-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426B1 (en) Baseboard of level adjustment
JP6833097B2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RU2401920C2 (en) Element of fixture to wall moulding
JP5559315B2 (en) Tile alignment flattening device
RU2535572C2 (en) Method to assemble elastic parquet boards, which are equipped with mechanical blocking system
US20140305063A1 (en) Panel for Wall of a Set Building and Thereof Construction Method
US9885184B2 (en) Stucco crack reduction at corners
KR101604111B1 (en) Apparment Heating Pipe Retaining Clip
US9681789B2 (en) Floor mop with scrubber
CA2790630A1 (en) Hvac fit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therewith
US2153601A (en) Wringer mop
KR100911557B1 (en) High and low control function having wall surface corner final member for washboard
JP6917648B2 (en) Elastic fixing elements and skirting boards and skirting boards including such elastic fixing elements
US2677145A (en) Carpet securing device
KR101919663B1 (en) Drain finishing apparatus for remodeling
KR101602324B1 (en) A wipping limit plate
KR20130088655A (en) Assembly-type flooring member
KR101971133B1 (en) Deck plate connector
KR101284778B1 (en) Floor equipped with joist rails and construction method
JP6931554B2 (en) Architectural lumber
KR102532153B1 (en) Length adjustable plinth
KR200489333Y1 (en) A suction pipe of suction cleaner comprising
KR101438280B1 (en) A device of fitting floor-board on the ondol-floor
TWM529027U (en) Open type board material with metal support frame
KR101203961B1 (en) Assembly type door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