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025B1 - A wood pellet stove - Google Patents

A wood pellet sto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025B1
KR101574025B1 KR1020140164450A KR20140164450A KR101574025B1 KR 101574025 B1 KR101574025 B1 KR 101574025B1 KR 1020140164450 A KR1020140164450 A KR 1020140164450A KR 20140164450 A KR20140164450 A KR 20140164450A KR 101574025 B1 KR101574025 B1 KR 101574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pellets
air
pellet
st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4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봉섭
Original Assignee
(주)신일실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일실업 filed Critical (주)신일실업
Priority to KR1020140164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0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0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3Grates; Ir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23B60/02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with combustion air supplied through a g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llet stove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pellet stove which uses pellets to reduce fuel costs of the stove installed for heating, and forms an additional storage tank to supply the pellets smoothly, and supplies the pellets filled in the storage tank to a connection pipe by operation of a screw formed in a discharge pipe automatically. The pellets discharged through the connection pipe falls on a combustion support case accommodated in the stove body, and the combustion support case has a protrusion in order to be separated from a support plate and to be fixed and also has a plurality of air holes to control fire. The combustion support case also comprises a storage part where ashes remained during the combustion are stored. Thus, a user can discard the ashes by taking out the combustion support case without constraints.

Description

펠릿 난로{A wood pellet stove}A wood pellet stove

본 발명은 펠릿 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난방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난로의 연료 비용 절감을 위하여 펠릿을 사용하고, 상기 펠릿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저장 탱크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저장 탱크 내부에 충전된 펠릿은 배출관에 형성된 스크루의 작용으로 연결관에 자동 공급되며, 상기 연결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펠릿은 난로 몸체 내부에 수용된 연소 받침통에 낙하되며, 상기 연소 받침통은 받침 플레이트에서 분리,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구가 형성됨과 함께 다수의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불 조절이 가능하고, 연소시 발생하는 타고 남은 재가 보관되는 저장부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자유롭게 연소 받침통을 외부로 인출시켜 타고 남은 재를 폐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펠릿 난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llet sto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llet stove used for heating a stove for reducing the fuel cost, and a separate storage tank is formed to smoothly supply the pellets, The pellets filled in the storage tank are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connection pipe by the action of a screw formed in the discharge pipe and the pellets discharged through the connection pipe fall down into the combustion support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stove body, A plurality of air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to allow the combustion chamber to be separat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So that the remaining ashes can be discarded.

일반적으로 추운 겨울에는 주택, 농장, 공장 등에서는 난방 장치를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Generally, in cold winter, heating devices are installed and operated in houses, farms, and factories.

그리고, 이러한 난방 장치의 연료로는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환경과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않는 친환경적으로 우수한 펠릿(Pellets) 연료가 사용되고 있다.And, as the fuel for such a heating device, pellets fuel which is low in cost but does not cause harm to the environment and the human body is used.

여기서, 펠릿은 나무의 부산물인 톱밥을 가공 건조하고, 펠릿 성형기를 이용하여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 작은 알갱이 형태의 펠릿으로 성형 되는 제품이다.Here, the pellets are processed by drying the sawdust, which is a by-product of wood, and molded into pellets in the form of small granules at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using a pellet molding machine.

여기서, 상기 펠릿은 나무에 리그닌 성분이 녹아 펠릿 모양으로 성형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다른 연료인 석유나 석탄의 구입 비용보다 저렴하여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Here, since the pellets are formed into pellets by melting lignin components in wood, they are inexpensive to manufacture and are inexpensive to purchase than other fuels such as petroleum and coal.

한편, 펠릿을 원료로 사용하는 난로에는 별도의 공급장치를 구성하여야 하고, 상기 공급장치에는 스크루 또는 컨베이어 벨트 등의 이송장치가 더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urnace using the pellets as a raw material must be provided with a separate feeding device, and the feeding device is further provided with a feeding device such as a screw or a conveyor belt.

그리고, 펠릿은 연소 되면서 다량의 재 가루를 발생시키고 상기 재 가루는 주기적인 청소 작업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켜야 하며, 펠릿이 연소 되는 공간을 최소화시켜 열효율을 최대로 높여야 한다. Then, the pellets are burned to generate a large amount of ash powder, and the ash powder mus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periodic cleaning work, and the space where the pellets are burnt is minimized to maximize thermal efficiency.

예를 들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9-0006064호의 '펠릿 난로' 가 있으며 이는 연소실 내부에 점화부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어 청소를 하고자 하는 경우 섬세하게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음과 함께 난로를 청결하게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서 분진이 실내로 유입되어 사용자의 호흡기에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For example, there is a 'pellet stove'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2009-0006064. This is because the ignition part is integral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 dust may enter the room and cause problems with the user's respiratory syst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펠릿 난로의 열 효율을 증가시켜 높은 화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펠릿 난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llet stove which is improved in heat efficiency of a pellet stove to provide a high thermal power while being easy to us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난방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난로의 연료 비용 절감을 위하여 펠릿을 사용하고, 상기 펠릿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저장 탱크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저장 탱크 내부에 충전된 펠릿은 배출관에 형성된 스크루의 작용으로 연결관에 자동 공급되고, 상기 연결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펠릿은 난로 몸체 내부에 수용된 연소 받침통에 낙하되며, 상기 연소 받침통은 받침 플레이트에서 분리,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구가 형성됨과 함께 불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공기구멍이 형성되는 격벽과, 연소시 발생하는 타고 남은 재가 보관되는 저장부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자유롭게 연소 받침통을 외부로 인출시켜 타고 남은 재를 폐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펠릿 난로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ellet is used to reduce the fuel cost of a stove installed for heating purposes, and a separate storage tank is formed in order to smoothly supply the pellets. The pellets are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connection pipe by the action of a screw formed in the discharge pipe, and the pellets discharged through the connection pipe fall down into the combustion support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stove body, and the combustion support container can be separated and fixed from the support plate A plurality of air holes are formed on the partition wall to allow the fire to be regulated,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ashes remaining during burning, so that the user can freely draw out the combustion chamber from the outside, To a pellet heater.

본 발명은 펠릿 연료를 완전 연소시킬 수 있어 펠릿의 사용에 따른 연소효율은 물론 연료효율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pellet fuel can be completely burned, and combustion efficiency as well as fuel efficiency according to the use of the pellet can be increased.

그리고, 착화에서 완전 연소 과정을 거치므로 난방이나 소각을 위한 열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mbustion process is completed in ignition,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provide a heat source for heating or incineration.

또한, 본 발명은 연소 받침통을 별도로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청소 작업이 용이하면서 펠릿이 연소 되는 공간을 최소화시켜 화력을 집중하게 되므로 열효율을 최대로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capable of separately separating the combustion supporting tube, thereby minimizing the space in which the pellets are burned while facilitating the cleaning operation, and concentrating the thermal power, thereby maximizing thermal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되는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가 펠릿난로 내부에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연소 받침통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배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concav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re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inside a pellet stove.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ustion supporting tube,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rear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recessed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comprises a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control of the other compon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먼저,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 도 3과 같이 난방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난로(10)의 연료 비용 절감을 위하여 펠릿(11)을 사용하고, 상기 펠릿(11)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저장탱크(12)를 형성하게 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uses pellets 11 to reduce the fuel cost of the furnace 10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heating as shown in FIGS. 1, 2, and 3, and to smoothly supply the pellets 11 A separate storage tank 12 is formed.

여기서, 저장탱크(12) 내부에 충전된 펠릿(11)은 연결관(13)과 일체로 형성되는 배출관(14)을 통하여 연소 받침통(20) 내부로 낙하할 수 있는 구성이다.The pellets 11 filled in the storage tank 12 can be dropped into the combustion support tube 20 through the discharge pipe 14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on pipe 13.

그리고, 상기 연소 받침통(20)은 받침 플레이트(30)에서 분리,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구(21)와, 불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공기구멍(22)을 갖는 격벽(23)과, 연소시 발생하는 타고 남은 재가 보관되는 저장부(24)와, 연소 받침통(20)을 잡아주면서 지지하는 브래킷(25)으로 형성된다.The combustion support tube 20 includes a stopper 21 for separating and fixing the support plate 30, a partition 23 having a plurality of air holes 22 so as to be able to control the flame, And a bracket 25 for holding the combustion support tube 20 while holding the same.

한편, 연소 받침통(20)이 걸리는 받침 플레이트(30)의 후방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공급구(31)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받침 플레이트(30)의 전방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32)와 펠릿(11)을 점화시키기 위한 열선(40)이 고정되는 고정구(33)가 형성된다. An air supply port 31 through which the air flows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support plate 30 to which the combustion support tube 20 is caught and an air discharge port 32 And a fixture 33 to which a heat ray 40 for igniting the pellet 11 is fixed.

여기서, 받침 플레이트(30)는 45°기울기로 형성되어 공기 공급구(31)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효율적으로 공기 배출구(32)로 빠져나가도록 유도할 수 있는 구조이다.Here, the support plate 30 is formed to have a slope of 45 [deg.]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supply port 31 can be efficiently guided to the air outlet 32. [

그리고, 열선(40)은 제어부(42)의 조정으로 작동됨과 함께 펠릿이 점화될 수 있는 온도까지 상승하는 구성이다. Then, the heating line 40 is operated by the adjustment of the control unit 42 and is configured to rise to a temperature at which the pellet can be ignited.

또한, 난로(10) 내부에 형성된 감지기(41)는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42)의 표시창에 나타날 수 있게 하였다.Also, the detector 41 formed inside the stove 10 senses the temperature and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control unit 42.

한편, 받침 플레이트(30)에 밀착되어 걸리는 연소 받침통(20)의 앞 부분 역시 45°각도로 형성되어 있어 조립성이 용이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portion of the combustion support tube 20, which is closely attached to the support plate 30, is also formed at an angle of 45 degrees, which facilitates assembly.

여기서, 연소 받침통(20) 내부에 형성되는 격벽(23)의 표면에는 타공 작업에 의해 다수의 공기구멍(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구멍(22)으로는 공기 배출구(32)로 유입되는 공기가 바로 공급되는 구성이다.A plurality of air holes 22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23 formed inside the combustion supporting tube 20 by a punching operation and the air holes 22 are filled with air Air is supplied immediately.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난방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난로의 연료 비용 절감을 위하여 펠릿(11)을 사용하고, 상기 펠릿(11)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저장 탱크(12)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저장 탱크(12) 내부에 충전된 펠릿(11)은 연결관(13)을 통하여 배출관(14)으로 자동 공급된다.A pellet 11 is used to reduce the fuel cost of the stove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heating and a separate storage tank 12 is formed in order to smoothly supply the pellets 11. The storage tank 12 )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discharge pipe (14) through the connection pipe (13).

그리고, 배출관(14)에서 낙하되는 펠릿(11)은 난로(10) 내부 받침 플레이트(30)에 걸린 연소 받침통(20)의 격벽(23) 위에 쌓이게 된다.The pellets 11 dropped from the discharge pipe 14 are accumulated on the partition 23 of the combustion support tube 20 caught by the inner support plate 30 of the hearth 10.

이때, 사용자는 제어부(42)를 작동시켜 열선(40)에 전기를 공급하여 연소 받침통(20)에 쌓인 펠릿(11)을 점화시켜 불을 피우게 된다.At this time, the user activates the control unit 42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hot wire 40 to ignite the pellets 11 accumulated in the combustion support tube 20, thereby causing a fire.

한편, 제어부(42)는 회전팬(미도시됨)을 작동시켜 바람을 공기 공급구(31) 내부로 공급하게 됨과 함께 공기 공급구(31)로 빠지는 바람은 공기 배출구(32)를 통하여 연소 받침통(20) 내부의 격벽(23)에 형성된 공기구멍(22)으로 빠지면서 연소시킬 수 있는 연소통의 기능을 하게 된다. The control unit 42 operates the rotary fan (not shown) to supply the air into the air supply port 31 and the air to be drawn into the air supply port 31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32, So that it can function as a communication pipe which can be discharged while being sucked into the air hole 22 formed in the partition 23 inside the cylinder 20.

또한, 연소 받침통(20)을 지지하는 브래킷(25) 부분은 높은 열에 의해서 연소 받침통(20)이 뒤틀리는 상황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Further, the portion of the bracket 25 that supports the combustion supporting tube 20 can prevent the combustion supporting tube 20 from being warped by high heat in advance.

그리고, 연소 받침통(20) 하측에 형성되는 저장부(24)는 펠릿(11) 연소시 발생하는 가루가 낙하 되면서 쌓이게 된다.The storage portion 24 formed below the combustion support tube 20 accumulates the powder generated when the pellet 11 is burned down.

여기서, 연소시 발생하는 타고 남은 재가 보관되는 저장부(24)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연소 받침통(20)을 외부로 인출시켜 타고 남은 재를 폐기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can freely discharge the combustion-supporting tube 20 to the outside and discard the remaining material after storing the remaining raw material generated during combus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펠릿 연료를 완전 연소시킬 수 있어 펠릿의 사용에 따른 연소효율은 물론 연료효율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llet fuel can be completely burned, so that combustion efficiency as well as fuel efficiency according to the use of pellets can be increased.

그리고, 착화에서 완전 연소 과정을 거치므로 난방이나 소각을 위한 열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mbustion process is completed in ignition,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provide a heat source for heating or incineration.

또한, 본 발명은 연소 받침통을 별도로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청소 작업이 용이하면서 펠릿이 연소 되는 공간을 최소화시켜 화력을 집중하게 되므로 열효율을 최대로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capable of separately separating the combustion supporting tube, thereby minimizing the space in which the pellets are burned while facilitating the cleaning operation, and concentrating the thermal power, thereby maximizing thermal efficiency.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 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manner.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rang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난로 11. 펠릿
12. 저장탱크 13. 연결관
14. 배출관 20. 연소 받침통
21. 걸림구 22. 공기구멍
23. 격벽 24. 저장부
25. 브래킷 30. 받침 플레이트
31. 공기 공급구 32. 공기 배출구
33. 고정구 40. 열선
41. 감지기 42. 제어부
10. Stove 11. Pellet
12. Storage tank 13. Connector
14. Exhaust pipe 20. Combustion column
21. Hook 22. Air hole
23. Bulkhead 24. Storage
25. Bracket 30. Support plate
31. Air supply port 32. Air discharge port
33. Fixture 40. Heat line
41. Detector 42. Control unit

Claims (2)

펠릿(11)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저장탱크(12)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저장탱크(12) 내부에 충전된 펠릿(11)은 배출관(14)에 형성된 스크루의 작용으로 연결관(13)에 자동 공급되는 펠릿 난로에 있어서,
연결관(13)을 통하여 배출되는 펠릿(11)은 난로(10) 내부에 수용된 연소 받침통(20)에 낙하 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연소 받침통(20)의 일 측 끝부분 상부에는 받침 플레이트(30)에서 분리,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구(21)가 형성되며,
상기 연소 받침통(20)의 내부 중심에는 불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공기구멍(22)이 형성되는 격벽(23)이 형성되고,
상기 연소 받침통(20)의 하부에는 연소시 발생하는 타고 남은 재가 보관되는 저장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연소 받침통(20)의 걸림구(21)와 격벽(23) 사이에는 연소 받침통(20)을 잡아주면서 지지하는 브래킷(25)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구(21)는 받침 플레이트(30) 상측에 걸리는 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걸림구(21)가 걸리는 받침 플레이트(30) 일 측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공급구(31)가 형성되고 그 타 측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32)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 배출구(32)의 상부에는 펠릿(11)을 점화시키기 위한 열선(40)이 고정되는 고정구(33)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30) 전면은 45°기울기로 형성되어 공기 공급구(31)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분산되지 않고 공기 배출구(32)로 빠져나가도록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난로.
The pellets 11 filled in the storage tank 12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13 by the action of the screw formed in the discharge pipe 14, In the pellet furnace,
The pellet 11 discharged through the connecting pipe 13 is dropped into the combustion support cylinder 20 accommodated in the hearth 10,
A stopper 21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one end of the combustion support tube 20 so as to be separated from and fixed to the support plate 30,
A plurality of air holes (22) are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combustion supporting tube (20)
A storage portion 24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support tube 20 for storing ash remaining during combustion,
A bracket 25 for holding and supporting the combustion supporting tube 20 is formed between the catching hole 21 of the combustion supporting tube 20 and the partition wall 23,
The stopper 21 is fixed by a means for catching on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plate 30,
An air supply port 31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flows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30 to which the stopper 21 is caught and an air discharge port 32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t the other side,
A fixing hole 33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outlet 32 to fix the heat ray 40 for igniting the pellet 11,
Wherei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30)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of 45 [deg.] So that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supply port (31) can be guided to escape to the air outlet (32) .
삭제delete
KR1020140164450A 2014-11-24 2014-11-24 A wood pellet stove KR1015740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450A KR101574025B1 (en) 2014-11-24 2014-11-24 A wood pellet sto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450A KR101574025B1 (en) 2014-11-24 2014-11-24 A wood pellet sto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025B1 true KR101574025B1 (en) 2015-12-02

Family

ID=54883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450A KR101574025B1 (en) 2014-11-24 2014-11-24 A wood pellet sto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02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649A1 (en) * 2021-12-02 2023-06-08 Aybar Volkan Improved pellet stov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649A1 (en) * 2021-12-02 2023-06-08 Aybar Volkan Improved pellet sto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73827A1 (en) Oven without dust rise
US10995945B2 (en) Biomass pellet combustion system
US11781749B2 (en) Furnace using biomass pellets as fuel
JP5379602B2 (en) Stirred combus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574025B1 (en) A wood pellet stove
KR20120039369A (en) Wood pellet fired stove
US20150184861A1 (en) Biomass fuel simulation fireplace
CN207907286U (en) A kind of outdoor heating stove
KR101576105B1 (en) Non-motorized Circulation Stove
KR101224417B1 (en) Pellet stove
KR101760201B1 (en) Pallet Stove
KR101794527B1 (en) The firewood and wood-pellet boiler
JP2010142161A (en) Hot-air heater for horticultural greenhouse
KR20150125288A (en) Horizontal type fuel wood and pellet gasification boilers
KR20160060300A (en) A stove
KR101533159B1 (en) Pellet burner
CN108180505A (en) A kind of outdoor heating stove
KR101257994B1 (en) Variable control type boiler using solid fuel
CN203538348U (en) Carbon type tobacco moisture regaining device
KR20110093121A (en) Device combustion for pellet boiler
CN209013182U (en) Biomass combustion furnace
JP2010019470A (en) Small solid fuel combustion apparatus, and stove provided with small solid fuel combustion apparatus in combustion chamber
KR101580414B1 (en) Pellet burner
CN105444209A (en) Clean-type biomass burning device
CN205447849U (en) Clean formula biomass combus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