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383B1 - Control method of ice maker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of ice m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383B1
KR101573383B1 KR1020140040137A KR20140040137A KR101573383B1 KR 101573383 B1 KR101573383 B1 KR 101573383B1 KR 1020140040137 A KR1020140040137 A KR 1020140040137A KR 20140040137 A KR20140040137 A KR 20140040137A KR 101573383 B1 KR101573383 B1 KR 101573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ice
evaporator
refrigera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1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15320A (en
Inventor
신성용
정창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0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3383B1/en
Publication of KR20150115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3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3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8Producing ice by immersing freezing chambers, cylindrical bodies or plates into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빙기의 제어방법은 물이 담기는 물받이와, 출력 가변이 가능한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송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냉매가 유입되는 상기 증발기의 입구와 냉매가 토출되는 상기 증발기의 출구 사이에 배열되어 각각이 상기 물받이 내의 물에 침지됨으로써 표면에 얼음의 생장이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침지봉을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압축기를 소정의 냉력으로 구동시키며, 상기 다수개의 침지봉 모두에서 소정 두께의 얼음을 성장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에서 보다 상기 압축기의 냉력을 증가시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control method for an ice-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trolling an ice maker comprising a water receiver for storing water, a compressor capable of varying the output, an evaporator for evaporating the refrigerant pumped by the compressor, an inlet of the evaporator, And a plurality of immersion rods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ice making chamber, wherein the immersion ice is immersed in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ing container, wherein ice is generated on the surfa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Growing ic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all of the plurality of dipstick; And (b) increasing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in the step (a).

Description

제빙기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ICE MAKER}[0001] CONTROL METHOD OF ICE MAKER [0002]

본 발명은 제빙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n ice maker.

제빙기는 물을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빙기는 냉매가 압축, 응축, 팽창, 증발되며 순환되는 냉매 순환 시스템을 통해 주변 공기와 냉매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특히 냉매 증발시 증발기 주변에 설치된 물받이에 담긴 물이 냉각됨으로써 얼음이 생성된다.An ice maker is a device that generates ice by cooling water. In this ice maker, heat is exchanged between the ambient air and the refrigerant through the refrigerant circulation system in which the refrigerant is compressed, condensed, expanded, evaporated and circulated, and in particular,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receiver installed around the evaporator is cooled to generate ice.

이러한 제빙기는 카페나 패스트 푸드점과 같은 시설에서 음료를 냉각시키는데 사용되거나, 일반적인 냉장고의 냉장/냉동 기능에 추가하여 사용자가 직접 얼음을 취출할 수 있도록 제공되거나, 원수가 필터를 통과하여 여과되는 정수기에 제공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Such an ice-maker may be used to cool a beverage in a facility such as a café or a fast-food restaurant, or to allow the user to take out ice directly in addition to the refrigerator / freezing function of a general refrigerator,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제빙기에는 압축기를 운전시켜 소정의 순환유로를 따라 냉매를 이송시키고, 냉매가 상기 순환유로 상에 설치된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주변의 열을 빼앗아 증발될 시, 증발기를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침지관이 냉각되어, 상기 침지관 표면에 얼음의 착상이 이루어지고,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계속됨에 따라 상기 착상된 얼음이 성장된다.Generally, a compressor is operated in an ice maker to transfer refrigerant along a predetermined circulating flow path. When refrigerant passes through an evaporator provided on the circulating flow path and takes heat away from the evaporator, a plurality of impeller tubes formed along the evaporator are cooled As a result, ice is conceived on the surface of the immersion tube, and as the driving of the compressor continues, the frozen ice is grown.

종래의 제빙기는 냉력 또는 출력이 일정한 정속형 압축기를 이용하여 냉매를 이송시키고, 냉매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증발기의 입구와, 냉매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증발기의 출구 사이에, 다수개의 침지관들이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조의 제빙기에서는 빠른 제빙을 위해 압축기가 항시 최대 냉력으로 구동되며, 증발기의 입구와 가장 첫번째 침지관에 어느 정도의 얼음이 성장되면 물과의 열교환 효율이 점점 감소하여, 다음번 침지관에서 얼음의 성장이 활발해지는 방식으로, 첫번째 침지관에서부터 차례로 얼음의 성장이 완료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각각의 침지관들에서 균일한 얼음이 생성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물과 증발기의 온도차가 클수록 각각의 침지관들 간에 생성된 얼음들은 두께나 투명도에 있어서 편차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In the conventional ice maker, a refrigerant is transferred using a constant-speed compressor having a constant cooling power or a constant output, and a plurality of acupressure tubes are arranged between the inlet of the evaporator in which the refrigerant is introduced and the outlet of the evaporator in which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Generally, in this type of ice maker, the compressor is always driven by the maximum cooling force for quick deicing. When the ice of the evaporator and the first penetration pipe are grown to some extent,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with water is gradually decreased. In a way that the growth of ice is active, the growth of ice is completed in turn from the first sink.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that uniform ice can not be generated in each of the intestinal tubes. Particularly, it was confirmed that the larger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and the evaporator, the more the ice produced between the respective irrigation tubes had a variation in the thickness and transparency.

또한, 얼음의 투명도는 덴트라이트나, 물이 어는 과정에서 빠져나가지 못하고 갖힌 기포들이 많을수록 낮아지는데, 종래의 제빙기는 증발기의 출구측과 가까운 침지관은 다른 침지관들에서 이미 얼음의 성장이 완료된 이후에도 얼음의 성장이 계속되기 때문에, 냉력이 집중되어 급속도로 물이 얼고, 그로 인해 기포가 미쳐 빠져나가지 못하고 투명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transparency of ice is lowered as dent light or water bubbles can not escape from the freezing process, and the more bubbles trapped in the ice, the lower the ice maker near the outlet of the evaporator, Since the growth of the ice continues, the cooling force is concentrated and the water freezes rapidly, so that the bubbles can not escape and the transparency deteriorates.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크기가 균일하면서도 투명한 얼음들을 생성할 수 있는 제빙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an ice maker capable of generating transparent ice with a uniform size.

본 발명의 제빙기의 제어방법은 물이 담기는 물받이와, 출력 가변이 가능한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송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냉매가 유입되는 상기 증발기의 입구와 냉매가 토출되는 상기 증발기의 출구 사이에 배열되어 각각이 상기 물받이 내의 물에 침지됨으로써 표면에 얼음의 생장이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침지봉을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압축기를 소정의 냉력으로 구동시키며, 상기 다수개의 침지봉 모두에서 소정 두께의 얼음을 성장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에서 보다 상기 압축기의 냉력을 증가시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control method for an ice-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trolling an ice maker comprising a water receiver for storing water, a compressor capable of varying the output, an evaporator for evaporating the refrigerant pumped by the compressor, an inlet of the evaporator, And a plurality of immersion rods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ice making chamber, wherein the immersion ice is immersed in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ing container, wherein ice is generated on the surfa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Growing ic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all of the plurality of dipstick; And (b) increasing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in the step (a).

다르게는, 본 발명의 제빙기의 제어방법은 물이 담기는 물받이와, 출력 가변이 가능한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송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냉매가 유입되는 상기 증발기의 입구와 냉매가 토출되는 상기 증발기의 출구 사이에 배열되어 각각이 상기 물받이 내의 물에 침지됨으로써 표면에 얼음의 생장이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침지봉을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소정의 냉력으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 및 (b) 상기 다수개의 침지봉 중 적어도 하나에서 얼음의 성장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압축기의 출력을 하강시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어방법.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rol method for an ice maker comprising a water reservoir containing water, a compressor capable of varying the output, an evaporator for evaporating the refrigerant pumped by the compressor, an inlet of the evaporator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nd a plurality of dip rods arranged between the outlet of the evaporator and being immersed in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ing container to cause ice to grow on the surfa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 And (b) driving the compressor by lowering the output of the compressor in a state where the ice is not completely grown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psticks.

본 발명의 제빙기의 제어방법은 균일한 크기의 얼음들을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ice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generating ice of uniform size.

또한, 본 발명의 제빙기의 제어방법은 얼음의 투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control method of the ice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transparency of ice.

또한, 본 발명의 제빙기의 제어방법은 제빙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ice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ice making and reduce power consum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구성들을 냉매의 순환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주요 구성들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refrigerant cycle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2 illustrates a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components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구성들을 냉매의 순환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주요 구성들간의 제어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에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refrigerant cycle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2 illustrates a control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components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는 냉매배관(31)을 따라 냉매를 이송시키는 압축기(10)와, 압축기(10)로부터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20)와, 응축기(20)를 통과하며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32)와, 팽창기(32)를 통과한 냉매를 증발시키고, 냉매가 증발하며 주변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얼음의 생장이 이루어지는 제빙유닛(100)을 포함한다.1 and 2, an ice mak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ressor 10 for transferring a refrigerant along a refrigerant pipe 31, a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10, A condenser 20 for condensing the condensed refrigerant, an expander 32 for expanding the condensed refrigerant through the condenser 20, a refrigerant evaporator for evaporating the refrigerant passed through the expander 32, And a ice making unit (100) for ice growth.

응축기(20)와 팽창기(32) 사이에는 냉매배관(31) 내의 수분을 제거하는 드라이어(3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증발기(110)와 압축기(10) 사이에 어큐뮬레이터(34)가 더 구비될 수 있다.A dryer (33) for removing moisture in the refrigerant pipe (31) may further be provided between the condenser (20) and the inflator (32). An accumulator 34 may further be provided between the evaporator 110 and the compressor 10.

압축기(10)는 용량 가변이 가능한 가변속 압축기일 수 있다. 상기 가변속 압축기로는 인버터(inverter) 회로를 통해 모터의 구동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는 인버터 압축기를 들 수 있다. 압축기(10)의 냉력은 구동 주파수에 비례한다.The compressor 10 may be a variable speed compressor capable of variable capacity. The variable compressor may be an inverter compressor capable of varying a driving frequency of a motor through an inverter circuit.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10 is proportional to the driving frequency.

제빙유닛(100)은 제빙에 필요한 물을 담는 물받이(120)와, 물받이(120) 내의 물을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시키는 냉각부(110)를 포함한다. 냉각부(110)는 팽창기(32)를 통과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111)와, 증발기(111)를 통과하며 이루어지는 냉매의 증발 작용에 의해 증발기(111)로 열을 빼앗겨 냉각되는 침지봉(112)을 포함한다.The ice making unit 100 includes a water receiver 120 for storing water required for ice making and a cooling unit 110 for cooling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er 120 to generate ice. The cooling unit 110 includes an evaporator 111 that evaporates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flator 32 and a suction pipe that is cooled by being deprived of heat by the evaporator 111 by the evaporation action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11 112).

물받이(120)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급수수단은 외부수원으로부터 물을 물받이(120)로 직접 공급하는 직수형 물공급장치일 수 있으며, 필터를 통과하며 정화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수조가 마련된 경우에는 상기 저수조에 모인 물을 물받이(120)로 공급하는 펌프 또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A water supply means (not shown)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receiver 120 may be provided. The water supply means may be a direct water supply device for directly supplying water from the external water source to the water receiver 120, And a pump or a valve for supplying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reservoir to the water receptacle 120 when a water reservoir for storing purified water is provided.

냉매배관(31)은 압축기(10), 응축기(20), 팽창기(32) 및 증발기(111)를 차례로 통과하며 냉매가 순환되는 전체 유로이다. 증발기(111)는 냉매배관(31) 중의 적어도 일부구간을 포함하며, 증발기(111)를 구성하는 냉매배관(31)은 냉매와 주변 매질(예를 들어, 외기나 물)과의 열교환 면적이 보다 넓게 확보되도록 타 구간에 비해 매우 가는 모세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frigerant pipe 31 is an entire flow path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circulates through the compressor 10, the condenser 20, the inflator 32 and the evaporator 111 in order. The evaporator 111 includes at least a part of the refrigerant pipe 31 and the refrigerant pipe 31 constituting the evaporator 111 has a heat exchange area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surrounding medium (for example, outside air or water) It can be made of a very thin capillary tube compared to the other sections to ensure wide.

침지봉(112)은 금속과 같은 열전도성 재질이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냉매가 증발기(11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침지봉(112)을 경유하도록 내측으로 냉매가 유동되는 중공을 갖는 냉각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르게는 증발기(111)와의 관계에서 냉매의 교류는 이루어지지 않고 열전도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settling rod 112 is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metal. In the embodiment, the settling rod 112 is a cooling tube having a hollow portion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through the settling rod 112 in the process of passing the refrigerant through the evaporator 111 Alternatively, the refrigeran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refrigerant is not exchanged in relation to the evaporator 111 but only the heat is transferred.

침지봉(112)은 적어도 일부분이 물받이(120)에 담긴 물에 침지된다. 냉매는 증발기(11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주변으로부터 열을 얻어 증발된다. 따라서, 침지봉(112)은 증발기(111)로 열을 빼앗겨 냉각되고, 물과 접촉되는 외주면을 따라 얼음을 생장시킨다. 침지봉(112)은 냉매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증발기(111)의 입구(111a) 측으로부터 냉매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증발기(111)의 출구(111b)측으로 다수개가 배열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dampening rod 112 is immersed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ray 120. The refrigerant is evaporat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11 by obtaining heat from the surroundings. Accordingly, the settling rod 112 is cooled by being deprived of heat by the evaporator 111, and the ice is grown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n contact with water. The settling rod 112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positions toward the outlet 111b of the evaporator 111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from the inlet 111a side of the evaporator 111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introduced.

증발기(111)의 출구(111b)에서 냉매의 온도(Cout)를 측정하는 증발기 출구 온도센서(62), 증발기(111)의 입구(111a)에서 냉매의 온도(Cin)를 측정하는 증발기 입구 온도센서(63), 증발기 표면의 온도(Ce)를 측정하는 증발기 온도센서(65) 및/또는 물받이(120) 내의 물의 온도(Cw)를 측정하는 수온센서(6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61)는 제빙기(1)의 작동 전반을 제어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값을 바탕으로 압축기(10)의 냉력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증발기 표면의 온도(Ce)는 증발기(111)의 임의의 지점에서의 온도일 수 있으며, 또한, 증발기 온도센서(65)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증발기 출구 온도센서(62) 또는 증발기 입구 온도센서(63)에 의해 측정된 값으로부터 추정될 수도 있다.An evaporator outlet temperature sensor 62 for measuring the refrigerant temperature Cout at the outlet 111b of the evaporator 111 and an evaporator inlet temperature sensor 62 for measuring the refrigerant temperature Cin at the inlet 111a of the evaporator 111. [ An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 65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Ce of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and / or a water temperature sensor 64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Cw of water in the water receiver 120. The controller 61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cemaker 1, and in particular controls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10 to vary based on the values measured by the sensors. Here, the temperature Ce of the evaporator surface may be a temperature at an arbitrary point of the evaporator 111, and when the evaporator temperature sensor 65 is not separately provided, the evaporator outlet temperature sensor 62 or the evaporator And may be estimated from the value measured by the inlet temperature sensor 63. [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5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은 압축기(10)를 소정의 냉력(또는, 구동 주파수)으로 구동시키며, 다수개의 침지봉(112) 모두에서 소정 두께의 얼음을 성장시키는 단계와, 압축기(10)의 냉력을 증가시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The controller 10 drives the compressor 10 at a predetermined cooling power (or driving frequency) , And driving the compressor (10) by increasing the cooling power.

보다 상세하게,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은 압축기(10)를 소정의 냉력으로 구동하는 단계(A1)와, 다수개의 침지봉(112) 모두에서 소정 두께의 얼음이 성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A2)와, A2단계에서 다수개의 침지봉(112) 모두에서 소정 두께의 얼음이 성장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압축기(10)의 냉력을 증가시켜 구동하는 단계(A3)와, 기 설정된 제빙완료 조건(A4)에 따라 압축기(1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A5)를 포함한다.3, 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1) driving a compressor (10) with a predetermined cooling force, and A step A2 of determining whether ic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has been grown, and a step of increasing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10 when it is determined that ic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grown in both of the plurality of dipsticks 112 in the step A2 A3)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deicing completion condition (A4).

이하, '저냉력'과 '고냉력'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A1단계에서와 A3단계에서의 압축기(10)의 냉력을 상대적으로 표시한 것으로, A3단계에서의 압축기(10)의 냉력이 A1단계에서의 압축기(10)의 냉력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할 뿐, 그 값들이 반드시 일정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low cooling power' and the 'high cooling power' are relative expressions of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10 in the step A1 and the step A3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10 in the step A3 Is greater than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10 in the step A1, and the values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constant.

A2단계에서, 제어부(61)는 다수개의 침지봉(112) 모두에서 일정 두께의 얼음의 성장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 이를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들은 후술하는 제 2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In step A2, the controller 61 determines whether ic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has been grown in all of the plurality of dipsticks 112. In step A2,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above can be variously performed, and detailed contents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second to fifth embodiments described later.

또한, A2단계에서는 일정한 조건 하에 압축기(10)의 냉력이 가변될 수 있으나, A3단계에서의 '고냉력'은 이렇게 가변된 냉력보다 더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tep A2,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10 can be varied under certain conditions,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high cooling power' in step A3 has a value higher than the variable cooling power.

제빙운전의 실시 초기에는 압축기(10)를 저냉력으로 구동(A1)시켜, 다수개의 침지봉(112) 모두에서 고르게 얼음을 성장시키는데, 특히, A2단계에서 다수개의 침지봉(112) 모두에서 소정 두께의 얼음이 성장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된 시점에는, 다수개의 침지봉(112) 중 어떤 것에서도 얼음의 성장이 최종 두께(제빙완료시의 목표 두께)까지 완료되지 않은 상태가 되도록 압축기(10)는 적절한 수준의 저냉력으로 구동되어야 한다. 다수개의 침지봉(112)이 증발기(111)의 입구(111a)와 출구(111b) 사이에서 배열되는 구조를 고려하면, A2단계에서 '예' 라고 판단되는 시점에는 증발기(111)의 입구(111a)와 가장 근접한 침지봉(112)에서도 아직 얼음의 성장이 완료되지 않아야 한다.In the initial stage of the ice-making operation, the compressor 10 is driven at a low cooling power (A1) so that ice is uniformly grown in all of the plurality of immersion rods 112. Particularly, At the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ick ice has been grown, the compressor 10 is designed so that the growth of ice in any of the plurality of immersion rods 112 is not completed up to the final thickness (the target thickness at the completion of the ice making) Level low cooling power. Considering th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dip rods 112 are arranged between the inlet 111a and the outlet 111b of the evaporator 111, at the time when it is determined as Yes in Step A2, the inlet 111a of the evaporator 111 ) And the nearest dipstick 112 should not yet complete ice growth.

이렇게, 제빙운전 초기에 다수개의 침지봉(112) 모두에 소정의 두께까지 얼음이 성장된 상태에서는, 각 침지봉(112)들에 착상된 얼음이 물과 침지봉(112) 간의 열전달을 낮추는 부하로 작용하며, 특히, 이러한 부하는 각 침지봉(112)들에 균일하게 작용하여, 물로부터 각 침지봉(112)으로 전달되는 열량들 간의 분포가 일정한 범위 내로 수렴한다. 따라서, 이후에 압축기(10)를 고냉력으로 구동하더라도, 종래와 같이 증발기(111)의 출구(111b)와 가까운 침지봉(112)에서 얼음이 급성장되지 않고, 다수개의 침지봉(112) 모두에서 두께가 균일하면서도 높은 투명도를 갖는 얼음을 성장시킬 수 있다.In the state where ice is grown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all of the plurality of settling rods 112 at the beginning of the ice making operation, the ice embedded in each of the settling rods 112 reduces the heat transfer between the water and the settling rod 112 In particular, such a load acts uniformly on each of the settling rods 112, so that the distribution between the amounts of heat transferred from the water to each settling rod 112 converges within a certain range. Therefore, even if the compressor 10 is driven with a high cooling power, ice is not rapidly grown in the settling rod 112 near the outlet 111b of the evaporator 111, Ice with uniform thickness and high transparency can be grown.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은 압축기(10)를 저냉력으로 구동하는 단계(A11)와, 압축기(10)가 저냉력으로 구동되는 중에 물받이(120) 내의 물온도(Cw)와 증발기(111) 표면의 온도(Ce)간에 차이(ΔC)가 기 설정된 소정의 기준치(ΔC1)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A12)와, A12단계에서의 온도차(ΔC)가 기준치(AC1) 이내인 경우 A11단계에서부터 압축기(10)가 구동된 시간, 즉 제빙시간(T)이 기 설정된 초기성장시간(Ts1) 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A13)와, A13단계에서 T가 Ts1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 압축기(10)를 고냉력으로 구동하는 단계(A14)를 포함한다. 초기성장시간(Ts1)은 침지봉(112)에 기 설정된 일정 두께(F)까지 얼음이 성장되기 충분한 시간으로, 외기 온도, 물받이(120)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method for controll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A11 of driving the compressor 10 with a low cooling power, a step A11 of driving the compressor 10 with a low- (A12) between the water temperature (Cw) in the evaporator (111) and the temperature (Ce) of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111) is within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13) when the compressor 10 is driven, that is, when the ice-making time T is greater than a preset initial growth time Ts1 in step A11, And driving (A14) the compressor (10) with high cooling pow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 is greater than Ts1. The initial growth time Ts1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outside air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receiver 120, for example, a time sufficient for the ice to grow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F set in the settling rod 112.

물로부터 증발기(111)로 전달되는 열량은 ΔC에 비례하기 때문에, ΔC가 작은 경우는 물과 증발기(111) 간에 열교환이 완만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다수개의 침지봉(112) 각각에서 물로부터 흡수하는 열량은 일정한 범위내에서 비교적 균일해진다. 실험에 의하면, ΔC가 일정수준 이상인 경우에는 제빙운전 초기에 증발기(111)의 입구(111a)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침지봉(112)일수록 더 큰 냉력이 집중되어 증발기(111)의 입구(111a)와 가까운 몇몇 침지봉들에서만 얼음의 성장이 이루졌으며, 제빙이 완료된 상태에서 각 침지봉(112)들에서 성장된 얼음들의 크기가 편차를 갖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ΔC1은 각각의 침지봉(112)이 물로부터 흡수하는 열량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편차를 갖으므로써, 압축기(10)가 저냉력으로 운전되는 중에 모든 침지봉(112)들에서 얼음이 성장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Since the amount of heat transferred from the water to the evaporator 111 is proportional to? C, when? C is small, heat exchange between the water and the evaporator 111 is gently performed. Is relatively uniform within a certain range. Experiments have shown that when ΔC is higher than a certain level, a larger cooling force is concentrated in the immersion rod 112 located near the inlet 111a of the evaporator 111 at the beginning of the operation of the ice maker 111 and the inlet 111a of the evaporator 111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growth of ice only occurred in some of the nearby dipsticks and that the size of the ice grown in each of the dipsticks 112 had a variation in the state of the finished ice. Therefore, ΔC1 is such that the amount of heat absorbed by the immersion rods 112 from the water has a variation within a certain range, so that ice is grown on all the immersion rods 112 during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at low cooling power Lt; / RTI >

A12단계에서 ΔC가 ΔC1보다 큰 경우에는 압축기(10)의 냉력을 조절하는 단계(A17)가 실시될 수 있다. 냉력조절단계(A17)는 압축기(10)의 냉력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냉력에 따라 압축기(10)를 구동할 수 있다. 압축기(10)가 냉력이 감소된 상태로 운전됨으로써, 물로부터 침지봉(112)으로 흡수되는 열량이 감소하고, ΔC가 점점 ΔC1로 수렴된다. A17단계에서 조절된 냉력에 따라 압축기(10)가 구동되는 중에 다시 A12단계가 실시된다.If? C is larger than? C1 in step A12, step A17 of adjusting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10 may be performed. The cooling power control step A17 may reduce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10 and drive the compressor 10 according to the reduced cooling power. As the compressor 10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cooling power is reduced, the amount of heat absorbed from the water into the damping rod 112 decreases, and? C converges gradually to? C1. A12 is performed again while the compressor 10 is driven according to the cooling power adjusted in step A17.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A12단계에서 ΔC이 ΔC1보다 작은 경우, 다시 ΔC를 ΔC1보다 작은 ΔC11과 비교하는 단계가 더 실시될 수 있고, ΔC가 ΔC11보다 낮은 값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압축기(10)의 냉력이 필요 이상으로 낮은 경우이므로, 압축기(10)의 냉력을 일정 수준 증가시켜 구동하는 단계가 더 실시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when ΔC is smaller than ΔC1 in step A12, a step of comparing ΔC with ΔC11 smaller than ΔC1 may be further performed. If ΔC is determined to be lower than ΔC11,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10 may be further increased by a certain level.

ΔC가 ΔC1 보다 낮아진 상태에서 제빙시간(T)이 초기성장시간(Ts1)을 경과하면, 모든 침지봉(112)들에서 일정수준의 얼음이 성장되었다고 판단되며, 이 경우, 압축기(10)는 냉력이 증가된 고냉력으로 구동된다(A14). A14단계에서의 압축기(10)의 냉력은 A11단계에서 보다 높을 뿐만 아니라, A12단계 이후 압축기(10)의 냉력이 조절된 경우에 비해서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압축기(10)가 제공할 수 있는 최대 냉력일 수 있다.It is judged that a certain level of ice has grown in all the settling rods 112 when the ice making time T has passed the initial growth time Ts1 in a state where? C is lower than? C1. In this case, Is driven by the increased high cooling power (A14). It is preferable that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10 in the step A14 is higher than that in the step A11 and is higher than that in the case where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10 is controlled after the step A12. It can be the maximum cooling power.

제빙완료판단단계(A15)에서 제어부(61)는 전체 제빙시간(T)이 기 설정된 제빙완료시간(Te1)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T가 Te1보다 큰 경우, 제어부(61)는 목표하는 수준까지 얼음의 성장이 충분히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압축기(10)를 정지시킬 수 있다(A16). Te1은 제빙이 완료된 얼음의 두께가 목표수준에 이를기까지 경과한 시간으로, 외기 온도 및 물받이(120)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In the ice-making completion determination step A15, the control unit 61 determines whether the entire ice-making time T has elapsed the predetermined ice-making completion time Te1. When T is larger than Te1, the controller 61 determines that the ice has sufficiently grown up to the target level, and can stop the compressor 10 (A16). Te1 can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receiver 120, which is the time elapsed until the thickness of the ice that has been ice-cooled reaches the target level.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에 따르기로 하고 생략하고,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은 도 4의 A12단계 대신에 A12'단계가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12'단계에서는 증발기(111)의 출구(111b)에서의 냉매의 온도(Cout)와 증발기(111)의 입구(111a)에서의 냉매의 온도(Cin) 차(ΔC')가 기 설정된 기준치(ΔC2)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ΔC'가 큰 값을 갖을 수록, 냉매가 증발기(111)의 입구(111a)에서부터 출구(111b)로 진행되는 중에 물로부터 흡수한 열량이 큰 것을 의미하는 바, 이 경우는 압축기(10)가 저냉력으로 구동되는 중에 증발기(111)의 입구(111a)에 가까운 침지봉(112)에 과도한 냉력이 집중되어, 침지봉(112)들 간에 균일한 얼음의 성장이 이루어지지 못한다. 따라서, ΔC'가 일정한 수준 이하가 되게 하여 모든 침지봉(112)들에서 균일하게 얼음이 성장되도록 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step A12 'is performed instead of step A12 of FIG. In step A12 ', the temperature Cout of the refrigerant at the outlet 111b of the evaporator 111 and the temperature Cin difference (C') of the refrigerant at the inlet 111a of the evaporator 111 are set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C2 ). The larger the value of ΔC ', the larger the amount of heat absorbed from the water while the refrigerant is traveling from the inlet 111a to the outlet 111b of the evaporator 111. In this case, Excessive cooling power is concentrated in the immersion rod 112 near the entrance 111a of the evaporator 111 while being driven by the cooling force so that uniform ice growth can not be achieved between the immersion rods 112. Accordingly,? C 'is kept below a predetermined level so that ice is uniformly grown on all the dip rods 112.

A12'단계에서 ΔC'가 ΔC2 이내가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냉력조절단계(A17)에서는 압축기(10)의 냉력을 감소시키고, 감소된 냉력에 따라 압축기(10)를 구동할 수 있다. 압축기(10)가 냉력이 감소된 상태로 운전됨으로써, 물로부터 침지봉(112)으로 흡수되는 열량이 감소하고, ΔC'가 점점 ΔC2로 수렴된다. A17단계에서 조절된 냉력에 따라 압축기(10)가 구동되는 중에 다시 A12'단계가 실시된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A12 'that ΔC' is not within ΔC2, the cooling power control step A17 may reduce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10 and drive the compressor 10 according to the reduced cooling power. As the compressor 10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cooling power is reduced, the amount of heat absorbed from the water into the damping rod 112 decreases, and? C 'gradually converges to? C2. The step A12 'is performed again while the compressor 10 is driven according to the cooling power adjusted in the step A17.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A12'단계에서 ΔC'가 ΔC2보다 작은 경우, 다시 ΔC'를 ΔC2보다 작은 ΔC21과 비교하는 단계가 더 실시될 수 있고, ΔC'가 ΔC21보다 낮은 값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압축기(10)의 냉력이 필요 이상으로 낮은 경우이므로, 압축기(10)의 냉력을 일정 수준 증가시켜 구동하는 단계가 더 실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ΔC 'is smaller than ΔC2 in step A12', a step of comparing ΔC 'with ΔC21 smaller than ΔC2 may be further performed. If ΔC' is less than ΔC21 Since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10 is lower than necessary, the step of increasing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10 by a certain level may be further performed.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에 따르기로 하고 생략하고,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6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은 도 4의 A13단계 대신 A13'단계가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A13'단계에서 제어부(61)는 기 설정된 두께(F)까지 얼음의 초기성장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물온도(Cw)를 기 설정된 초기성장 물온도(Cs1)와 비교한다. 얼음의 성장이 계속될수록 물받이(120) 내의 물의 온도가 하강하는 바, 실험을 통해 두께 F까지 얼음이 성장된 상태에서의 물온도를 알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초기성장 물온도(Cs1)가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A13 'is performed instead of step A13 of FIG. That is, in step A13 ', the controller 61 compares the water temperature Cw with a predetermined initial growth water temperature Cs1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initial growth of ice has been performed until a predetermined thickness F is reached . As the ice continues to grow,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er 120 drops and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state where the ice is grown up to the thickness F can be known through experiments. Based on this, the initial growth water temperature Cs1 is set .

초기성장 물온도(Cs1)는 침지봉(112)에 기 설정된 일정 두께(F)까지 얼음이 성장되에 충분할 정도로 하강된 물의 온도로, 외기 온도, 물받이(120)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The initial growth water temperature Cs1 is a temperature of water lowered sufficiently to allow the ice to grow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F set in the immersion rod 112, .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에 따르기로 하고 생략하고,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은 도 5의 A13단계 대신 A13'단계가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13'단계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며 이미 설명하였는바, 그에 따르기로 하고 설명을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7,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A13 'is performed instead of step A13 of FIG. The step A13 'has already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and the explanation will be omitted here.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제 6 내지 제 9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은 압축기(10)를 구동하되, 압축기(10)가 구동되기 시작하여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시점까지는 다수개의 침지봉(112) 중 증발기의 입구(111a)와 가까운 일부에서만 얼음이 생장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설정된 출력에 따라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와, 다수개의 침지봉(112) 중 적어도 하나에서 얼음의 성장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압축기(10)의 출력을 하강시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ice-maker according to the sixth to nin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ice-maker, the compressor 10 is driven, and until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compressor 10 starts to be driven, Driving the compressor according to an output set within a range in which ice can be grown only in a part of the ice-making chamber 112 close to the inlet 111a of the evaporator; and cooling the ice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mmersion rods 112 And lowering the output of the compressor (10) in a non-operating state.

이상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에서의 제빙완료시간(Te1), 초기성장시간(Ts1), 초기성장물온도(Cs1), 기준치(ΔC1), 기준치(ΔC2)는 외기온도와, 물받이(120)로 공급되는 물 온도를 고려하여 다음의 표 1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The ice making completion time Te1, the initial growth time Ts1, the initial growth water temperature Cs1, the reference value C1 and the reference value C2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Figs. 3 to 7, Can be set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1 in consideration of the water temperature supplied to the water receiver 120.

외기온도((℃)Outside temperature ((℃) 물받이(120)로 공급되는 물온도(℃)The water temperature (占 폚) supplied to the water receiver 120 Te1(sec)Te1 (sec) Ts1((얼음 4mm 성장 기준 ,sec)Ts1 ((ice 4 mm growth standard, sec) Cs1 (얼음 4mm 성장 기준, ℃) Cs1 (ice 4mm growth criterion, ℃) ΔC1(℃)ΔC1 (° C) ΔC2(℃)? C2 (占 폚) 55 77 33 1010 77 33 1515 77 33 2020 1010 650650 275275 6.56.5 77 33 1515 700700 300300 66 77 33 2020 750750 325325 55 77 33 2525 800800 350350 44 77 33 3030 850850 375375 33 77 33 2525 1515 700700 300300 66 77 33 2020 750750 325325 55 77 33 2525 800800 400400 44 77 33 3030 850850 425425 33 77 33 3535 900900 450450 22 77 33 3030 77 33 3535 77 33 4040 77 33 4343 77 33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은 압축기(10)를 소정의 냉력(이하, 고냉력이라고 함)으로 구동하는 단계(B1)와, 압축기(10)가 고냉력으로 구동되는 중에 다수개의 침지봉(112) 중 적어도 하나에서 얼음의 성장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침지봉(112)들에서 일정 수준까지 얼음의 성장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단계(B2)와, B2단계에서 얼음이 일정 수준까지 성장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압축기(10)의 출력을 하강시켜 저냉력으로 구동하는 단계(B3)와, 기 설정된 제빙완료 조건(B4)에 따라 압축기(1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B5)를 포함한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 method for controll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B1 of driving a compressor 10 with a predetermined cooling pow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igh cooling power) (B2) determining whether ice has grown to a certain level in the other immersion rods (112) in a state where the growth of the ice is not complet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mmersion rods (112) (B3) of lowering the output of the compressor (10) and driving the compressor (10) with a low cooling pow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ce has reached a certain level in step B2, (Step B5).

이하, '저냉력'과 '고냉력'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B1단계에서와 B3단계에서의 압축기(10)의 냉력을 상대적으로 표시한 것으로, B3단계에서의 압축기(10)의 냉력이 B1단계에서의 압축기(10)의 냉력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할 뿐, 그 값들이 반드시 일정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low cooling power' and the 'high cooling power' are relative expressions of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10 in the steps B1 and B3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10 in the step B3 It means that it is smaller than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10 in the B1 step, and the values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constant.

B2단계에서 일정 수준까지 얼음의 성장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들은 후술하는 제 7 실시예 내지 제 9 실시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 ice has grown to a certain level in step B2 can be performed in a variety of ways, and 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eventh to ninth embodiments described later.

B3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침지봉(112), 특히, 증발기(111)의 출구(111b)와 가장 근접한 침지봉(112)에서 얼음의 성장이 이루어지기 전에 실시된다. 증발기(111)의 출구(111b)에 가깝게 위치한 침지봉(112)에서의 얼음의 성장속도를 늦춰, 모든 침지봉(112)들에 균일한 크기이면서도 높은 투명도를 갖는 얼음의 형성이 이루어진다. 또한, 압축기(10)가 저냉력으로 구동되는 중에 모든 제빙이 완료되기 때문에 증발기(111)의 출구(111b)에서의 냉매의 온도 하강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증발기(111)로부터 액냉매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냉매가 과냉각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압축기(10)로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tep B3 is carried out before the ice is grown in at least one of the dip rods 112, in particular, the dip rods 112 closest to the outlet 111b of the evaporator 111. The growth speed of the ice in the immersion rod 112 located close to the outlet 111b of the evaporator 111 is slowed and ice having a uniform size and high transparency is formed on all the immersion rods 112. In addition, since all the ice making is completed while the compressor 10 is being driven with the low cooling power,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at the outlet 111b of the evaporator 111 is limited to be limited so that the liquid refrigerant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evaporator 111 can do. In particular, by preventing the refrigerant from being overcooled, the refrigeran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compressor (10).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은 압축기(10)를 고냉력으로 구동하는 단계(B11)와, 압축기(10)가 고냉력으로 구동되는 중에 압축기(10)가 구동된 시간(T), 즉 제빙시간(T)이 기 설정된 소정의 설정시간(Ts2) 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B12)와, B12단계에서 T가 Ts2보다 크다고 판단된 경우 압축기(10)를 저냉력으로 구동하는 단계(B13)를 포함한다. 설정시간(Ts2)은 일정 수준까지 얼음의 성장이 이루어지기에 충분한 시간으로, 실험에 의해 기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설정시간(Ts2)은 압축기(10)가 고냉력으로 구동되기 시작하여, 다수개의 침지봉(112) 중 60 내지 80% 이상의 침지봉(112)들에서 목표 두께의 80% 이상까지 얼음의 성장이 이루어지기까지 경과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외기 온도, 물받이(120)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9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 method for controll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B11 for driving a compressor 10 with a high cooling power, a step B11 for driving a compressor 10 (B12) of determining whether the time T at which the ice-making time T is driven, that is, the ice-making time T is greater than a preset predetermined time Ts2; (B13) driving the low-temperature-side heat exchanger (10) with low cooling power. The set time Ts2 is a time sufficient for the ice to grow to a certain level and can be set by experiment. For example, the set time Ts2 is set so that the compressor 10 starts to be driven with a high cooling power so that at least 60% to 80% or more of the plurality of settling rods 112 can reach 80% And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outside air temperatur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receiver 120, and the like.

B13단계 이후, 제빙완료판단단계(B14)에서 제어부(61)는 전체 제빙시간(T)이 기 설정된 제빙완료시간(Te2)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T가 Te2보다 큰 경우, 제어부(61)는 목표하는 수준까지 얼음의 성장이 충분히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압축기(10)를 정지시킬 수 있다(B15). Te2는 제빙이 완료된 얼음의 두께가 목표수준에 이르기까지 경과한 시간으로, 외기 온도 및 물받이(120)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After step B13, the controller 61 determines whether the entire ice-making time T has passed the pre-set ice-making completion time Te2 in the ice-making completion determination step B14. If T is larger than Te2, the controller 61 determines that the ice has sufficiently grown to the target level, and can stop the compressor 10 (B15). Te2 can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outside air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water receiver 120 as the elapsed time until the thickness of the ice that has been iced reaches the target level.

한편, B14단계에서 T가 Te2보다 작은 경우에는 증발기(111)의 출구(111b)에서의 냉매의 온도(Cout)가 액상의 냉매가 발생되기 시작하는 액냉매 발생온도(Cliq)보다 낮은지를 판단하는 단계(B16)가 더 실시될 수 있다. Cout가 Cliq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61)는 증발기(111)의 출구(111b)에서의 냉매 온도가 상승될 수 있도록 압축기(10)를 정지하거나, 압축기(10)를 더 낮은 냉력으로 구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B14 that T is smaller than Te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emperature Cout of the refrigerant at the outlet 111b of the evaporator 111 is lower than the liquid refrigerant generation temperature Cliq at which the liquid refrigerant starts to be generated Step B16 may be further carried out. The control unit 61 can stop the compressor 10 so that the refrigerant temperature at the outlet 111b of the evaporator 111 can be raised or drive the compressor 10 at a lower cooling power have.

냉매가 액화되는 시점은 온도와 압력에 따라 달라지고, 압축기(10)로 액상의 냉매가 유입되면, 냉매배관(31)의 막힘현상이 발생하여 압축기(10)에 과부하가 걸리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압축기(10)는 그 자체적으로 운전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운전을 정지시키는 보호 알고리즘을 갖는데, 과부하로 인한 압축기의 정지가 반복되는 경우, 제빙성능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압축기 운전의 신뢰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압축기(10)로 냉매가 유입되기 전에 냉매의 온도를 확인하여 액냉매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상기 냉매의 온도는 증발기(111)의 출구(111b) 뿐만 아니라, 증발기(111)의 표면이나, 입구(111a), 어큐뮬레이터(34), 냉매가 유입되는 압축기(10)의 입구단에서도 감지될 수 있다.When the liquid refrigerant flows into the compressor 10, the refrigerant pipeline 31 is clogged and the compressor 10 is overloaded. Generally, the compressor 10 has a protection algorithm for stopping the operation when an overload is applied in order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10 itself. When the stoppage of the compressor due to overload is repeated, Adversely affecting the reliability of oper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before the refrigerant is introduced into the compressor 10 to prevent the liquid refrigerant from being generated.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is controlled not only by the outlet 111b of the evaporator 111, The inlet 111a, the accumulator 34, and the inlet end of the compressor 10 into which the refrigerant flows.

도 1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에 따르기로 하고 생략하고,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10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은 도 9의 B12단계 대신 B12'단계가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12'단계에서 제어부(61)는 일정 수준까지 얼음의 성장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물온도(Cw)를 기 설정된 설정 물온도(Cs2)와 비교한다.Referring to FIG. 10,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B12 'is performed instead of step B12 of FIG. In step B12 ', the controller 61 compares the water temperature Cw with a predetermined set water temperature Cs2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whether ice growth is completed to a certain level.

설정 물온도(Cs2)는 일정 수준까지 얼음의 성장이 이루어지기에 충분한 수준으로 하강된 물온도로, 실험에 의해 기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설정 물온도(Cs2)는 압축기(10)가 고냉력으로 구동되기 시작하여, 다수개의 침지봉(112) 중 60 내지 80%이상의 침지봉(112)들에서 목표 두께의 80% 이상까지 얼음의 성장이 이루어지기까지 하강된 물온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외기 온도, 물받이(120)로 공급되는 물의 온도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The set water temperature (Cs2) can be preset by experiment, with the water temperature being lowered to a level sufficient to allow ice growth to a certain level. For example, the set water temperature (Cs2) is set so that the compressor (10) starts to be driven with a high cooling power so that at least 60% to 80% or more of the plurality of dipsticks (112)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to be supplied to the water receiver 120, and the like can be set.

B12'단계에서 Cw가 Cs2보다 낮은 경우, 제어부(61)는 B13단계를 포함한 일련의 단계들이 실시되도록 제어하며, 이들 단계들에 대한 설명은 이미 전술한 실시예를 통해 이루어졌는바, 그에 따르기로 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f Cw is lower than Cs2 in step B12 ', the control unit 61 controls the series of steps including the step B13 to be performed. Explanation of these steps has been made thr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11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에 따르기로 하고 생략하고,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11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제어방법은 도 9의 B12단계 대신 B12"단계가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12"단계에서 제어부(61)는 일정 수준까지 얼음의 성장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증발기(111)의 출구(111b)에서의 냉매의 온도(Cout)와 입구(111a)에서의 냉매의 온도(Cin) 간의 차이(ΔC)가 기 설정된 기준치(ΔC3)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침지봉(112)에 얼음이 얼기 시작하여 성장이 이루어질수록 얼음이 물과 침지봉(112) 간에 열전달을 차단하는 부하로써 작용하여 증발기(111)의 입구(111a)로 유입된 냉매가 물과 충분히 열교환하지 못하고 출구(111b)를 통해 토출되기 때문에 ΔC이 점점 작아진다. 따라서, ΔC를 바탕으로 얼음의 성장이 어느 정도 이루어졌는지가 판단될 수 있다. ΔC3은 ΔC가 충분히 작아져 일정 수준까지 얼음의 성장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될 수 있는 기준이며, ΔC가 점점 작아져 ΔC3에 이를 시, 다수개의 침지봉(112) 중 60 내지 80%이상의 침지봉(112)들에서 목표 두께의 80% 이상까지 얼음의 성장이 이루어진다.11, the control method of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B12 "is performed instead of the step B12 of Figure 9. In the step B12" The difference? C between the temperature Cout of the refrigerant at the outlet 111b of the evaporator 111 and the temperature Cin of the refrigerant at the inlet 111a is set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 C3). As the ice begins to freeze in the settling rod 112 and grows, the ice acts as a load that interrupts the heat transfer between the water and the settling rod 112, so that the refrigerant flowing into the inlet 111a of the evaporator 111 is filled with water Since heat is not exchanged but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11b,? C becomes smaller. Therefore, it can be judged to what extent the ice is grown based on? C. C is a criterion that can be judged that the ice has grown to a certain level by sufficiently decreasing? C. When? C becomes smaller and reaches? C3, 60 to 80% or more of the plurality of immersion rods 112 ), The ice is grown to at least 80% of the target thickness.

B12"단계에서 ΔC가 ΔC3 낮은 경우, 제어부(61)는 B13단계를 포함한 일련의 단계들이 실시되도록 제어하며, 이들 단계들에 대한 설명은 이미 전술한 실시예를 통해 이루어졌는바, 그에 따르기로 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troller 61 controls the series of steps including the step B13 to be performed, and the explanation of these steps has already been made thr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ccordingl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이상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에서의 제빙완료시간(Te2), 설정시간(Ts2), 설정 물온도(Cs2), 기준치(ΔC3), 액냉매 발생온도(Cliq)는 외기온도와, 물받이(120)로 공급되는 물 온도를 고려하여 다음의 표 2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ce-making completion time Te2, the set time Ts2, the set water temperature Cs2, the reference value C3, and the liquid refrigerant generation temperature Cliq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The outside temperature and the water temperature supplied to the water receiver 120 can be set as shown in Table 2 below.

외기온도(℃)Outside temperature (℃) 물받이(120)로 공급되는 물 온도(℃)The water temperature (占 폚) supplied to the water receiver 120 Te2(sec)Te2 (sec) Ts2(7개 이상의 침지봉에서6.8mm 두께 이상의 얼음 성장 기준, sec) Ts2 (based on ice growth of 6.8 mm or thicker at 7 or more immersion rods, sec) Cs2(7개 이상의 침지봉에서 6.8mm 두께 이상의 성장, ℃)Cs2 (growth over 6.8 mm thickness at 7 or more dipsticks, ℃) ΔC3(7개 이상의 침지봉에서 6.8mm 두께 이상의 얼음 성장 기준, ℃)ΔC3 (ice growth over 6.8 mm thickness at 7 or more dipsticks, ℃) Cliq(압축기 흡입구 기준, ℃)Cliq (based on compressor inlet, ° C) 55 0.50.5 00 1010 0.50.5 00 1515 0.50.5 00 2020 1010 650650 553553 1.21.2 0.50.5 00 1515 700700 595595 1One 0.50.5 00 2020 750750 638638 0.80.8 0.50.5 00 2525 800800 680680 0.60.6 0.50.5 00 3030 850850 723723 0.40.4 0.50.5 00 2525 1515 700700 595595 1One 0.50.5 00 2020 750750 638638 0.80.8 0.50.5 00 2525 800800 680680 0.60.6 0.50.5 00 3030 850850 723723 0.40.4 0.50.5 00 3535 900900 765765 0.20.2 0.50.5 00 3030 0.50.5 00 3535 0.50.5 00 4040 0.50.5 00 4343 0.50.5 00

Claims (17)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물이 담기는 물받이와, 출력 가변이 가능한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송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냉매가 유입되는 상기 증발기의 입구와 냉매가 토출되는 상기 증발기의 출구 사이에 배열되어 각각이 상기 물받이 내의 물에 침지됨으로써 표면에 얼음의 생장이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침지봉을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소정의 냉력으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 및
(b) 상기 다수개의 침지봉 중 적어도 하나에서 얼음의 성장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압축기의 출력을 하강시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상기 다수개의 침지봉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얼음의 성장이 실시되되, 상기 다수개의 침지봉 중 상기 증발기의 출구와 가장 가깝게 위치한 침지봉에서는 아직 얼음의 성장이 시작되기 전에 실시되는 제빙기의 제어방법.
An evaporator for evaporating the refrigerant pumped by the compressor, an inlet of the evaporator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introduced, and an outlet of the evaporator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And a plurality of immersion rods that are immersed in water in the water receiver to cause ice growth on the surface, the method comprising:
(a) driving the compressor with a predetermined cooling force; And
(b) driving the compressor by lowering the output of the compressor in a state where the ice is not completely grown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pstick,
The step (b)
Wherein the ice is grown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ettling rods, wherein the settling rod located closest to the outlet of the plurality of settling rods is before the start of ice growth.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a)단계에 따른 상기 압축기의 구동시간이 소정의 설정시간에 도달하면 실시되는 제빙기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b)
Wherein the operation of the ice maker is performed when the driving time of the compressor according to the step (a) reaches a predetermined set time.
삭제delet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증발기의 출구와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차가 소정의 기준치까지 감소되면 실시되는 제빙기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b)
Wherein the control is performed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refrigerant at the outlet and the inlet of the evaporator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 따라 압축기가 구동된 이후, 상기 증발기의 토출구에서의 냉매의 온도가 액냉매 발생온도까지 하강되면,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at the discharge port of the evaporator is lowered to the liquid refrigerant generating temperature after the compressor is driven according to the step (b).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 따라 압축기가 구동된 이후, 기 설정된 제빙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when a predetermined ice-making time elapses after the compressor is driven according to the step (b).
물이 담기는 물받이와, 출력 가변이 가능한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송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냉매가 유입되는 상기 증발기의 입구와 냉매가 토출되는 상기 증발기의 출구 사이에 배열되어 각각이 상기 물받이 내의 물에 침지됨으로써 표면에 얼음의 생장이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침지봉을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압축기를 소정의 냉력으로 구동시키며, 상기 다수개의 침지봉 모두에서 소정 두께의 얼음을 성장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에서 보다 상기 압축기의 냉력을 증가시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상기 물받이 내의 물온도와 상기 증발기 표면의 온도차가 소정의 기준치 이내인 상태에서 상기 물받이 내의 물온도가 기 설정된 초기성장 물온도까지 하강하면 실시되는 제빙기의 제어방법.
An evaporator for evaporating the refrigerant pumped by the compressor, an inlet of the evaporator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introduced, and an outlet of the evaporator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And a plurality of immersion rods that are immersed in water in the water receiver to cause ice growth on the surface, the method comprising:
(a) driving the compressor with a predetermined cooling force, and growing ic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all of the plurality of dipstick; And
(b) driving the compressor by increasing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in the step (a)
The step (b)
And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water receiver is lowered to a predetermined initial growth temperature in a state where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water receiver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evaporator surface and the water receiver are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물이 담기는 물받이와, 출력 가변이 가능한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송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냉매가 유입되는 상기 증발기의 입구와 냉매가 토출되는 상기 증발기의 출구 사이에 배열되어 각각이 상기 물받이 내의 물에 침지됨으로써 표면에 얼음의 생장이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침지봉을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압축기를 소정의 냉력으로 구동시키며, 상기 다수개의 침지봉 모두에서 소정 두께의 얼음을 성장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에서 보다 상기 압축기의 냉력을 증가시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상기 증발기의 출구와 입구에서의 냉매의 온도차가 소정의 기준치까지 감소한 상태에서 상기 물받이 내의 물온도가 기 설정된 초기성장 물온도까지 하강하면 실시되는 제빙기의 제어방법.
An evaporator for evaporating the refrigerant pumped by the compressor, an inlet of the evaporator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introduced, and an outlet of the evaporator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And a plurality of immersion rods that are immersed in water in the water receiver to cause ice growth on the surface, the method comprising:
(a) driving the compressor with a predetermined cooling force, and growing ic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all of the plurality of dipstick; And
(b) driving the compressor by increasing the cooling power of the compressor in the step (a)
The step (b)
Wherei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er is lowered to a predetermined initial growth temperature in a state wher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refrigerant at the outlet and the inlet of the evaporator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물이 담기는 물받이와, 출력 가변이 가능한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송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와, 냉매가 유입되는 상기 증발기의 입구와 냉매가 토출되는 상기 증발기의 출구 사이에 배열되어 각각이 상기 물받이 내의 물에 침지됨으로써 표면에 얼음의 생장이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침지봉을 포함하는 제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소정의 냉력으로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단계; 및
(b) 상기 다수개의 침지봉 중 적어도 하나에서 얼음의 성장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압축기의 출력을 하강시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는,
상기 물받이 내의 물의 온도가 소정의 기준온도까지 하강하면 실시되는 제빙기의 제어방법.
An evaporator for evaporating the refrigerant pumped by the compressor, an inlet of the evaporator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introduced, and an outlet of the evaporator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is discharged, And a plurality of immersion rods that are immersed in water in the water receiver to cause ice growth on the surface, the method comprising:
(a) driving the compressor with a predetermined cooling force; And
(b) driving the compressor by lowering the output of the compressor in a state where the ice is not completely grown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pstick,
The step (b)
And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er is lowered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temperature.
KR1020140040137A 2014-04-03 2014-04-03 Control method of ice maker KR1015733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137A KR101573383B1 (en) 2014-04-03 2014-04-03 Control method of ice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137A KR101573383B1 (en) 2014-04-03 2014-04-03 Control method of ice m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320A KR20150115320A (en) 2015-10-14
KR101573383B1 true KR101573383B1 (en) 2015-12-01

Family

ID=5435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137A KR101573383B1 (en) 2014-04-03 2014-04-03 Control method of ice m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38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1960A1 (en) * 2022-03-08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Ice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WO2024029791A1 (en) * 2022-08-03 2024-02-08 (주)원봉 Ice-making control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126B1 (en) * 2021-10-21 2022-07-01 주식회사 스키피오 Ice machin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2210B1 (en) * 1998-03-30 2000-11-15 유세훈 Control device of ice machine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2004278991A (en) * 2003-03-18 2004-10-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ce making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2210B1 (en) * 1998-03-30 2000-11-15 유세훈 Control device of ice machine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2004278991A (en) * 2003-03-18 2004-10-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ce making ma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1960A1 (en) * 2022-03-08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Ice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WO2024029791A1 (en) * 2022-08-03 2024-02-08 (주)원봉 Ice-making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320A (en)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33773A1 (en) Refriger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8592511B (en) Temperature control method and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refrigerator ice-temperature chamber and refrigerator
KR101602741B1 (en) Constant temperature liquid circul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07057221A (en) Refrigerating apparatus
US9829242B2 (en) Refrigeration device
JP2009085501A (en) Refrigeration device
KR101573383B1 (en) Control method of ice maker
JP4609590B2 (en) Refrigeration equipment
RU2596138C2 (en) Hybrid refrigerator using two step cooling process
JP2005180874A (en) Refrigerator
JP2004218861A (en) Drain pan anti-freezing structure in heat pump-type hot water supply unit
KR20110086345A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refrigerator with two evaporators
WO2020221635A1 (en) Refrigerating device
CN108562092B (en) Temperature control method and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refrigerator ice-temperature chamber and refrigerator
KR101529626B1 (en) Employment defroster in cold storage
JP5607505B2 (en) Vacuum cooling device
KR101716138B1 (en) A drinking water coole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rinking water cooler
JP2008051367A (en) Low-temperature storage for agricultural product
KR101584534B1 (en) Ice m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291933B2 (en) Vacuum cool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08731369B (en) Refrigeratio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04233009A (en) Operation control method of ice storage type water cooler
CN106196846B (en) Refrigerator with a door
US20230304715A1 (en) Refrigeration apparatus
JP4234854B2 (en) Vacuum cooling device with stepwise coo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