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3288B1 - Speaker - Google Patents

Spe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3288B1
KR101573288B1 KR1020090131020A KR20090131020A KR101573288B1 KR 101573288 B1 KR101573288 B1 KR 101573288B1 KR 1020090131020 A KR1020090131020 A KR 1020090131020A KR 20090131020 A KR20090131020 A KR 20090131020A KR 101573288 B1 KR101573288 B1 KR 101573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mber
layer
vibration
vibration member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10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30251A (en
Inventor
강승원
김학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877,409 priority Critical patent/US8385585B2/en
Priority to EP10176379A priority patent/EP2299732A2/en
Priority to CN201010284757XA priority patent/CN102026071A/en
Publication of KR20110030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2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3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32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H04R7/12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025Diaphragms comprising polymer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장치는 스피커 본체; 상기 스피커 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진동부재; 및 상기 스피커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진동부재를 진동시키는 자기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부재는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재질이 층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131020

스피커, 스피커장치, 2중재질, 이종재질, 진동부재, 진동부재, 콘페이퍼

A speak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eaker body; An oscillating member movably supported by the speaker body; And a magnetic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speaker body for vibrating the vibrating member, wherein the vibrating member has a layer structure of at least two different materials.

Figure R1020090131020

Speaker, speaker device, double-interlaced material, different material, vibration member, vibration member, cone paper

Description

스피커장치{SPEAKER}Speaker device {SPEAKER}

본 발명은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device for converting an electric signal into an acoustic signal.

일반적인 스피커장치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가 자기장 속에 있으면 힘을 받아 특정방향으로 움직인다는 플레밍의 오른손법칙에 의해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스피커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은 동 출원인이 2005년 03월 11일자로 출원한 한국 출원번호 제10-2005-0020540호에 개시된 바 있다.A typical loudspeaker system is to convert an electrical signal into an acoustic signal by Fleming's right-hand rule, in which a current carrying conductor is in a magnetic field and moves in a specific direction.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speaker devic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5-0020540 filed on March 11, 2005 by the same applicant.

이와 같은 스피커장치는 기계적 에너지를 음향 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한 변환소자로 진동부재(cone paper)를 사용한다. 상기 진동부재는 보이스 코일의 진동을 전달받아 공기의 압력 변동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음질의 90% 이상을 좌우하며, 재질, 제조방법, 형상에 따라 음질 및 음색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Such a speaker device uses a cone paper as a conversion element for converting mechanical energy into acoustic energy. The vibration member plays a role of generating pressure fluctuation of the air by receiving the vibration of the voice coil. The vibration member affects 90% or more of sound quality, and sound quality and tone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and shape .

일반적으로 진동부재의 소재는 싸고, 음색 조절이 용이하며 성형이 쉬운 펄프(pulp)를 가장 많이 사용하며, 상대적으로, 미려한 외관 구현이 가능하며, 내충격성이 강한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수지를 사용하기도 한다.In general, synthetic resin such as polypropylene which has a high impact resistance can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vibration member is cheap, the tone color is easy to control, the molding is easy, and the pulp is used the most. .

그런데 펄프 재질의 진동부재는 다양한 재질을 혼합하여 성형할 수 있기 때 문에 다양한 음색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진동부재가 외부로 노출될 경우,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작은 충격에도 쉽게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pulp material vibration members can be molded by mixing various materials, various tone colors can be realiz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vibration member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appearance is not so good, There is a problem.

또한, 합성수지 재질의 진동부재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미려한 외관 성형이 가능하고, 내충격성이 강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소재 및 성형방법의 문제로 인해 펄프 재질의 진동부재에 비해 둔탁한 음색을 가지고 있어 특정 용도의 스피커에만 용처(用處)가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vibration member made of a synthetic resin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it is possible to form a beautiful appearance, and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impact resistance is strong. However, due to the problems of the material and the molding metho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 is restricted to the loudspeaker of a specific u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존 스피커장치와 차별되는 고유한 음색과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스피커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udspeaker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tone color and shape that is different from a conventional loudspeaker apparatu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피커장치는 스피커 본체; 상기 스피커 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진동부재; 및 상기 스피커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진동부재를 진동시키는 자기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부재는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재질이 층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peaker device comprising: a speaker body; An oscillating member movably supported by the speaker body; And a magnetic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speaker body for vibrating the vibrating member, wherein the vibrating member has a layer structure of at least two different materials.

상기 진동부재는, 외부에 노출되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재질의 제 1 층 부재; 및 상기 제 1 층 부재의 하부에 접착제 또는 물리적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부착되는 펄프(pulp) 재질의 제 2 층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vibration member includes a first layer member made of polypropylene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second layer member made of a pulp material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layer member by an adhesive or a physical method.

상기 제 1 및 제 2 층 부재의 두께 비율은 1:1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ratio of the first and second layer members is preferably 1: 1.

한편, 상기 진동부재는, 중심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영역으로, 전체 진동부재 면적의 25% ~ 35% 가량을 차지하여, 더스트 캡이 결합되는 네크 접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네크 접착부의 상기 제 2 층 부재를 제거할 수도 있고, 이때, 상기 네크 접착부의 상기 제 1 층 부재의 두께를 101% ~ 200%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vibrating member includes a neck bonding portion to which a dust cap is bonded, occupying 25% to 35% of the total vibrating member area, and ha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ral portion, It is also possible to remove the layer member and adjust the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member of the neck bonding portion to be 101% to 200%.

또한, 상기 네크 접착부의 상기 제 1 층 부재를 제거하고, 상기 네크 접착부의 상기 제 2 층 부재의 두께를 101% ~ 200%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remove the first layer member of the neck bonding portion and adjust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ayer member of the neck bonding portion to be 101% to 200%.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당사 브랜드만의 고유 음색과 디자인으로 스피커장치를 제조할 수 있어, 제품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speaker device with a unique tone color and design of only our brand,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 competitivenes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스피커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aker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피커장치(100)는, 스피커 본체(110), 진동부재(120) 및 자기구동부(130)를 포함한다. 1, a speaker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eaker body 110, a vibration member 120, and a magnetic driving unit 130. [

상기 스피커 본체(110)는 상기 진동부재(120)와 자기구동부(130)를 지지하여, 상기 스피커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한다.The speaker body 110 supports the vibrating member 120 and the magnetic driving unit 130 to form an appearance of the speaker device 100.

상기 진동부재(120)는 상기 스피커 본체(110)에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상기 진동부재(120)는 도 1의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여, 음향을 발생시키기 위해 중심부분(121)이 개방된 콘(cone)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중심부분(121)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막기 위한 더스트 캡(122)이 결합된다. 진동부재(120)의 구성은 뒤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vibrating member 120 is movably supported by the speaker body 110. The vibration member 120 may be formed in a cone shape in which the center portion 121 is opened to vib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FIG. 1 to generate sound. A dust cap 122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center portion 121 is coupled. The structure of the oscillating member 12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상기 자기구동부(130)는 상기 스피커 본체(110)에 설치되며, 상기 진동부 재(120)를 진동시킨다. 상기 자기구동부(130)는 상부 및 하부금속플레이트(131)(132) 사이에 개재된 영구자석(133)을 포함하며, 상기 영구자석(133)의 내경과 마주하는 위치에는 상기 상부금속플레이트(131)의 내경측과 일정 갭을 갖도록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내측 자석(134)이 마련된다. The magnetic driving unit 130 is installed in the speaker body 110 to vibrate the vibration member 120. The magnetic driving unit 130 includes permanent magnets 133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etal plates 131 and 132. The upper metal plate 131 and the lower metal plate 131 are disposed at positions facing the inner diameters of the permanent magnets 133, And an inner magnet 134 protruding upward to have a constant gap with respect to the inner diameter side of the inner magnet 134.

상기 영구자석(133)과 내측 자석(134) 사이에 보이스 코일(135)이 권선 되는 보빈(136)이 삽입되며, 이 보빈(136)의 상단은 진동부재(120)의 하단과 연결된다. 상기 진동부재(120)의 상단은 상기 상부금속플레이트(131)에 고정되는 스피커 본체(110)의 상측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전기신호(electric signal)에 따라 자기구동부(130)가 진동하고, 상기 자기구동부(130)의 진동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상기 진동부재(120)의 진동에 의해 음향이 발생된다.A bobbin 136 to which the voice coil 135 is wound is inserted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133 and the inner magnet 134 and the upper end of the bobbin 136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vibration member 120. The upper end of the vibration member 120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speaker body 110 fixed to the upper metal plate 131.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magnetic driving unit 130 vibrates according to an electric signal, and the sound is generated by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member 120 moving in conjunction with the vibration of the magnetic driving unit 130.

상기 자기구동부(130)의 구성 및 동작은 일반적인 스피커장치의 구성 및 동작과 동일하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agnetic driving unit 130 are the same as those of a general speaker apparatus,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진동부재(120)는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지는 층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2개의 서로 다른 재질을 접착제 또는 물리적으로 부착하는 층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층 부재(120a)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층 부재(120b)의 하부에는 펄프 재질로 형성되는 제 2 층 부재(120b)가 부착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층 부재(120a)(120b)의 두께 비율은 1:1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제 1 층 부재(120a)를 폴리프로플렌 재질로 구성하는 이유는, 폴리프로필렌 재질이 펄프 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려하게 제조할 수 있으면 서도 내구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 member 120 is formed to have a layer structure having different materials.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o have a layer structure in which two different materials are adhesively or physically attached. The first layer member 120a exposed to the outside is formed of polypropylene and the second layer member 120b formed of a pulp material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layer member 120b. At this time, the thickness ratio of the first and second layer members 120a and 120b may be 1: 1. The reason why the first layer member 120a exposed to the outside is made of polypropylene material is because the polypropylene material can be manufactured relatively cleanly as compared with the pulp material and has excellent durability.

이와 같이 2개 층으로 진동부재(120)를 형성하면, 동일한 음색을 구현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펄프, 알루미늄, 우드(wood) 등 단일 재료를 이용한 진동부재에 비해 10% 이상 중량을 가볍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내부층에 해당하는 상기 제 1 층 부재(120a)의 하부에 부착된 상기 제 2 층 부재(120b)가 펄프 재질로 구성되므로, 스피커장치의 내부에서의 음향손실을 줄여 비교적 평탄한 음향특성을 유지하면서 음압레벨(Sound pressure level, SPL)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vibration member 120 is formed in two layers as described above, the vibration member 120 can be configured to have a light weight of 10% or more as compared with a vibration member using a single material such as polypropylene, pulp, aluminum, have.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layer member 120b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layer member 120a corresponding to the inner layer is made of a pulp material, the acoustic loss in the speaker device can be reduced to provide a relatively flat acoustic characteristic While maintaining the sound pressure level (SPL).

도 2는 2개 층을 가지는 진동부재(120)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두께 및 면적을 가지도록 별도의 공정에서 제조된 제 1 층 부재(120a)와 제 2 층 부재(120b)를 각각 제 1 및 제 2 지그(J1)(J2)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층 부재(120a)(120b)가 서로 마주보는 면의 어느 한면 또는 양면 모두에 접착제(B)를 도포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그(J1)(J2)를 서로 밀착/가압하여 제조한다. 이때, 접착제(B)의 두께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한 음색의 변화를 설정할 수도 있다.Fig. 2 shows an example of attaching the vibration member 120 having two layers by using an adhesive. First,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layer member 120a and the second layer member 120b, which are manufactured in a separate process so as to have the same thickness and area, are bonded to the first and second jigs J1 and J2, . The first layer member 120a and the second layer member 120b are coated with an adhesive agent B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first layer member 120a and the second layer member 120b and the first and second jigs J1, Tightness / pressure.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set various tone colors depending on the thickness and type of the adhesive (B).

도 3은 2개 층을 가지는 진동부재(120)를 물리적으로 부착하여 제조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별도 공정에서 제조된 펄프 재질의 제 2 층 부재(120b)를 먼저 금형 베이스(10)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진동부재(120)의 형상을 가지는 금형 커버(11)를 상기 금형 베이스(10)에 밀착시킨 후 폴리프로필렌 재질을 상기 금형 커버(11)의 주입구(12)로 주입하여, 2층 구조를 가지는 진동부재(120)를 사출 성형한다. 이와 같은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접착제 도포 공정 없이, 서로 다른 재질 로 구성된 상기 제 1 및 제 2 층 부재(120a)(120b)를 가지는 진동부재(120)를 사출성형할 수 있다.Fig. 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vibrating member 120 having two layers is manufactured by physically attaching it. First, the second layer member 120b made of a pulp material manufactured in a separate step is first placed in the mold base 10. After the mold cover 11 having the shape of the vibration member 12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mold base 10 and the polypropylene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injection port 12 of the mold cover 11, The vibration member 120 is injection molded. According to this manufacturing method, the vibration member 120 having the first and second layer members 120a and 120b made of different materials can be injection-molded without an adhesive application process.

본 발명에 의한 층구조를 가지는 진동부재(120)는 상기한 2가지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지는 층구조를 가지는 진동부재(120)로서, 특히,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제 1 층 부재(120a)와 펄프 재질의 제 2 층 부재(120b)를 가지는 구성 모두가 본 발명에 해당된다.The vibration member 120 having the 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using one of the above two method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vibration member 120 having a layer structure having different materials , In particular, a configuration including a first layer member 120a made of polypropylene and a second layer member 120b made of a pulp material corresponds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2층 구조를 가지는 진동부재(120)의 주파수 대역별 음압레벨(SPL)을 기존의 폴리프로필렌 단일 재질로 형성된 진동부재 및 펄프 단일 재질로 형성된 진동부재와 비교한 그래프이다.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2층 구조를 가지는 진동부재(120)는 폴리프로필렌 단일 재질의 진동부재에 비해 평균 4dB 정도 음압레벨이 높으며, 펄프 단일 재질의 진동부재에 비해 평탄한 특성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4 is a graph comparing the sound pressure level SPL of each of the frequency bands of the vibration member 120 having a two-layer structure with that of a conventional vibration member formed of a single polypropylene material and a vibration member formed of a single material of pulp. As shown in the graph, the vibration member 120 having a two-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ound pressure level of about 4 dB higher than that of a vibration member made of a single polypropylene material, and has a flat characteristic .

도 5는 2층 구조를 가지는 진동부재(120)의 총고조파 왜곡(THD)을 기존의 폴리프로필렌 단일 재질의 진동부재 및 펄프 단일 재질의 진동부재와 비교한 그래프이다.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2층 구조를 가지는 진동부재(120)에 의하면, 진동부재(120)의 분할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어 깨끗한 음질을 재생할 수 있다. 다음의 표 1은 진동부재(120)의 중요 3요소인 영율, 전파속도, 내부손실을 정리한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재질과 펄프 재질로 구성된 2층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이 영율, 전파속도 및 내부 손실에 있어서, 단일 재질을 사용하는 경 우 보다 넓은 특성 범위를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5 is a graph comparing the total harmonic distortion (THD) of the vibration member 120 having a two-layer structure with that of a conventional single polypropylene vibration member and a single pulp vibration member. As shown in the graph, according to the vibration member 120 having the two-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vided vibration of the vibration member 120 can be minimized, and clean sound quality can be reproduced. The following Table 1 summarizes the three important components of the vibration member 120, namely, the Young's modulus, the propagation velocity, and the internal loss.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two-layer structure composed of a polypropylene material and a pulp material is shown in Table 1, It can be seen that a wider characteristic range can be secured when a single material is used.


구분

division

영율[×1010N/㎡]

Young's modulus [× 10 10 N / ㎡]

전파속도[m/s]

Propagation speed [m / s]

내부 손실[tan δ]

Internal loss [tan 隆]
펄프pulp 0.03~0.60.03 to 0.6 1200~37001200 ~ 3700 0.02~0.10.02 to 0.1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2.0~4.02.0 to 4.0 1800~22001800-2200 0.070.07 폴리프로필렌+펄프Polypropylene + pulp 0.03~4.00.03 to 4.0 1200~22001200 to 2200 0.02~0.090.02 to 0.09

한편, 진동부재(120)는 중심부분(121)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영역으로, 진동부재(120) 전체 면적의 25% ~ 35% 가량을 차지하며, 더스트 캡(122)이 결합되는 네크 접착부(125)를 포함한다. 상기 네크 접착부(125)는 진동부재(120) 전체 면적의 30%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더스트 캡(122)의 크기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The vibrating member 120 is a region spaced from the center portion 12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occupies 25% to 35% of the total area of the vibration member 120 and has a necked portion 125). The neck bonding portion 125 preferably accounts for 30% of the entire area of the vibration member 120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dust cap 122.

이때, 상기 진동부재(120)의 상기 제 1 및 제 2 층 부재(120a)(120b)의 두께 비율을 1:1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네크 접착부(125)의 합지 두께를 다르게 하여 진동부재(120)의 용도별 설계가 가능하다. 상기 네크 접착부(125)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스트 캡(122)의 결합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스피커장치(100)의 외관은 훼손하지 않으면서, 원하는 음색을 구현할 수 있다.At this time, while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layer members 120a and 120b of the vibration member 120 is maintained at 1: 1, the thickness of the neck bond portion 125 is varied, (120) can be designed for each use. Since the neck bonding portion 125 is covered by the engagement of the dust cap 122 as shown in Figs. 6 to 8, a desired tone color can be realized without damaging the appearance of the speaker device 100 .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제 1 형태(Type-1)로 제 1 및 제 2 층 부재(120a)(120b)의 두께비가 1:1이 되면서, 면적이 동일하도록 진동부재(120)를 형성하면, 중심 주파수(fo)로부터 20kHz 대역에 대한 평탄 특성 구현이 가능하므로, 노출형 스피커장치의 전대역용 유닛에 사용하는 진동부재(120)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구성된 제 1 층 부재(120a)의 특성에 따라, 스피커장치(100, 도 1 참조)의 외관을 미려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고유한 음색을 구현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vibration member 120 is form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layer members 120a and 120b have a thickness ratio of 1: 1 with the first type (Type-1) shown in FIG. 6 and have the same area And the flat characteristic for the 20 kHz band from the center frequency f0 can be realiz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the vibration member 120 used in the full-band unit of the exposed speaker apparatus. In addition, the appearance of the speaker device 100 (see FIG. 1) can be made beautifu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layer member 120a made of a polypropylene material, and a unique tone color can be realized.

한편, 도 7에 도시된 제 2 형태(Type-2)로 더스트 캡(122)이 결합되는 상기 네크 접착부(125)에서, 상기 제 2 층 부재(120b)를 제거하면, 2웨이 스피커 시스템의 저음용 유닛의 진동부재(120)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층 부재(120b)가 제거된 상기 네크 접착부(125)의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형성된 제 1 층 부재(120a)의 두께가 전체 진동부재(120)의 두께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인 101% ~ 200% 사이의 값을 가지도록 조절하여, 중고역의 피크 및 신장력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layer member 120b is removed from the neck bonding portion 125 to which the dust cap 122 is coupled in the second type (Type-2) shown in FIG. 7, And can be used as the vibration member 120 of the unit for use.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member 120a formed of the polypropylene material of the neck bonding portion 125 from which the second layer member 120b has been removed is in the range of not exceeding the thickness of the entire vibration member 120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peak and elongation of the medium-range by adjusting the value to be between% and 200%.

또한, 도 8에 도시된 제 3 형태(Type-3)로 더스트 캡(122)이 결합되는 네크 접착부(125)에서, 상기 제 1 층 부재(120a)를 제거하면, 전대역용 유닛의 진동부재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층 부재(120a)가 제거된 네크 접착부(125)의 펄프 재질로 형성된 제 2 층 부재(120b)의 두께가 전체 진동부재(120)의 두께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인 101% ~ 200% 사이의 값을 가지도록 조절하여, 중고역(mid-high band)의 재생능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역별 특화된 음색을 스피커유닛의 외관 변경 없이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first layer member 120a is removed from the neck adhering portion 125 to which the dust cap 122 is coupled in the third type (Type-3) shown in Fig. 8, the vibration member of the full- Can be used.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layer member 120b formed of the pulp material of the neck bonding portion 125 from which the first layer member 120a has been removed is in the range of 101% to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entire vibration member 120, 200%,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eproduction capability of the mid-high band. Thu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region-specific tone color without changing the appearance of the speaker unit.

도 9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형태(Type-1,①),(Type-2,②),(Type-3,③)의 음압레벨(SPL)을 도시한 그래프이다.9 is a graph showing sound pressure levels SPL of the first to third types (Type-1, 1), (Type-2, 2), and (Type-3,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손실이 높은 펄프 재질로 구성된 제 2 층 부재(120b)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중고역의 피크/변위(peck/displacement)의 차이가 줄어들며, 탄성이 높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재질의 제 1 층 부재(120a)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중고역의 피크/변위(peck/displacement)의 차이가 크게 발생됨을 볼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thicker the second layer member 120b made of the pulp material having a high internal loss, the smaller the difference in peaks / displacements in the high and middle regions, and the higher the elasticity of the polypropylene (PP) It can be seen that as the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member 120a of the material is thicker, a difference in peak / displacement (peck / displacement) is generated in the middle and upper part.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및 펄프의 2층 구조를 가지는 진동부재(120)의 음향전달속도 대 내부손실의 관계를 알루미늄(AL), 우드(Wood), MDF, 펄프(pulp), 폴리프로필렌(PP) 등 단일 재질로 구성된 진동부재와 비교한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우상단 측에 위치할수록 더욱 우수한 음향특성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2층 구조의 진동부재(120)가 단일 재질로 형성된 다른 진동부재들보다 보다 우수한 음향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10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und transmission rate and the internal loss of the vibration member 120 having a two-layered structure of polypropylene and pul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luminum (AL), wood, MDF, pulp, Propylene (PP), and the like. As shown in the figure, the vibration member 120 of the two-laye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tter acoustic characteristics than other vibration members formed of a single material, As shown in Fi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노출층은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구성하고, 보이지 않는 내부층은 펄프로 구성하여, 이들을 1:1 두께 비율을 가지도록 접합하여 2층 구조를 가지는 진동부재를 구성하면,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장점인 다양한 형상 및 미려한 외관 성형과 내 충격성이 강한 특성과, 펄프 재질의 장점인 다양한 음색 구현성을 모두 살릴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outer exposed layer is made of a polypropylene material, the invisible inner layer is made of pulp, and the inner layer is joined to have a 1: 1 thickness ratio to form a vibration member having a two- It is possible to make use of various shapes which are advantages of materials, beautiful appearance molding, high impact resistance characteristics, and various tone colors which are advantages of pulp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장치를 도시한 단면도,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peak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장치의 진동부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2 and 3 are views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scillating member of a speak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6은 제 1 내지 제 3 형태의 진동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Figs. 4 to 6 are sectional views showing structures of the vibration members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Figs.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피커장치의 진동부재의 특성을 단일 재질의 진동부재와 비교한 그래프이다.7 to 10 are graphs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bration member of the speak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at of the vibration member of a single material.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스피커장치 110; 스피커본체100; Speaker device 110; Speaker body

120; 진동부재 120a; 제 1 층 부재120; An oscillating member 120a; The first layer member

120b; 제 2 층 부재 122; 더스트 캡120b; A second layer member 122; Dust cap

125; 네크 접착부 130; 자기구동부125; Neck adhesive 130; The magnetic-

Claims (7)

스피커 본체;A speaker body; 상기 스피커 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진동부재; 및An oscillating member movably supported by the speaker body; And 상기 스피커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진동부재를 진동시키는 자기구동부;를 포함하며,And a magnetic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speaker body for vibrating the vibration member, 상기 진동부재는The vibrating member 외부에 노출되는 제 1층 부재; A first layer member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제1 층 부재의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층 부재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1 층 부재와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제 2 층 부재; 및 A second layer member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layer member and having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layer member and having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first layer member; And 상기 제1 층 부재의 일부 또는 상기 제 2 층 부재의 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부재의 중심부분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고, 더스트 캡이 결합하는 네크 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장치.And a neck attachment portion formed of a portion of the first layer member or a portion of the second layer member and spaced apart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vibration memb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o which the dust cap is couple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 1 층 부재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층 부재는 상기 제 1 층 부재의 하부에 접착제 또는 물리적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부착되는 펄프(pulp)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장치.Wherein the first layer member is made of polypropylene and the second layer member is made of a pulp material adhered to a lower part of the first layer member by an adhesive or a physical method Characterized by a speaker devi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네크 접착부는 전체 진동부재 면적의 25% ~ 35% 가량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장치.Wherein the neck bonding portion occupies 25% to 35% of the total vibration member area. 제 4 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네크 접착부를 이루는 제1 층 부재의 일부 또는 제 2 층 부재의 일부의 두께를 101% ~ 200%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장치.Wherein a thickness of a part of the first layer member or the thickness of a part of the second layer member constituting the neck bonding portion is adjusted to be from 101% to 200%.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131020A 2009-09-17 2009-12-24 Speaker KR1015732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77,409 US8385585B2 (en) 2009-09-17 2010-09-08 Speaker
EP10176379A EP2299732A2 (en) 2009-09-17 2010-09-13 Speaker
CN201010284757XA CN102026071A (en) 2009-09-17 2010-09-17 Sp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4327509P 2009-09-17 2009-09-17
US61/243,275 2009-09-17
US26093609P 2009-11-13 2009-11-13
US61/260,936 2009-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251A KR20110030251A (en) 2011-03-23
KR101573288B1 true KR101573288B1 (en) 2015-12-01

Family

ID=43936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020A KR101573288B1 (en) 2009-09-17 2009-12-24 Spe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32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175387A1 (en) * 2017-05-03 2018-11-04 Genelec Oy Diaphragm assembly, transducer and method of manufa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251A (en)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326143B2 (en) Face plate, vibration speaker having face plate,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CN103856874A (en) Loudspeaker vibration system
US8213671B2 (en) Speaker
KR20020046897A (en) A Magnetic circuit of micro speaker
WO1981002072A1 (en) Variable thickness a acoustic diaphragm,voice coil arrangements for electroacoustic transducers
KR100788476B1 (en) Structure of high quality sound microspeaker
WO2021007982A1 (en) Multi-path input-driving small loudspeaker and mid-treble loudspeaker
TWI322626B (en)
KR101755329B1 (en) Hybrid speaker and vibration module used therein
KR101184537B1 (en) Speaker
KR101000756B1 (en) Micro speaker diaphragm, the method thereof and micro speaker comprising the same diaphragm
JP2003333689A (en) Miniaturized loudspeaker
JPS6028200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KR101573288B1 (en) Speaker
WO2006088279A1 (en) Double diaphragm micro speaker
US8385585B2 (en) Speaker
JP3605223B2 (en) Inverted dome speaker
JP4006981B2 (en) Speaker
WO2021000459A1 (en) Multi-input driven loudspeaker
JP3687235B2 (en) Speaker
KR20070025875A (en) Structure of dual diaphragm and high quality and high power microspeaker
JP2004179792A (en) Loud speaker
KR100675507B1 (en) Micro speaker of having seperated diaphram
CN215222486U (en) Loudspeaker
CN219145587U (en) Loudsp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