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921B1 -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 측정지표로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국제표준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 - Google Patents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 측정지표로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국제표준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921B1
KR101572921B1 KR1020130157616A KR20130157616A KR101572921B1 KR 101572921 B1 KR101572921 B1 KR 101572921B1 KR 1020130157616 A KR1020130157616 A KR 1020130157616A KR 20130157616 A KR20130157616 A KR 20130157616A KR 101572921 B1 KR101572921 B1 KR 101572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ehr
risk
rockall
archetype
eh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0892A (ko
Inventor
고순정
이수경
최덕주
김홍기
황보택근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57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921B1/ko
Publication of KR20150070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혈성 소화성궤양 치료가이드라인을 전산화된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함으로써 임상현장에서 준수하기 용이한 형태로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 모델을 정규표준에 기반한 방법론을 통해 표현하고, 구체적으로는 openEHR방법론인 Guideline Definition Language로서 상부위장관 출혈위험도평가지표인 Rockall Risk Score에 대한 표준지식모델을 개발하여 이를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 구현하기 위한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 측정지표로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표준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 측정지표로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국제표준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 {Standardized clinical decision support device using Rockall Risk Score of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본 발명은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 측정지표로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표준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혈성 소화성궤양 치료가이드라인을 전산화된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함으로써 임상현장에서 보다 쉽게 표준을 기반으로 준수하기 쉬운 형태로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 모델을 정규표준에 기반한 방법론을 표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openEHR방법론의 지식표현언어인 Guideline Definition Language로서 상부위장관 출혈위험도평가지표인 Rockall Risk Score에 대한 표준지식모델을 개발하여 이를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 구현하기 위한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 측정지표로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국제표준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인구고령화가 가속됨에 따라 질환에 대한 약물투여가 복합적인 고령환자들에게 상부위장관출혈 및 악성소화기종양 등이 증가해 큰 의료문제화 되고 있다.
최근에는 노인들뿐만 아니라 40대이상 남성들도위험성이 특히 높아지는 추세로 나타나고 있어 더욱 문제시되고 있으며, 또한 상부위장관 출혈의 주원인인 소화성궤양의 발생률 및 사망률은 여전히 현재까지도 줄어들지 않고 있어 주시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소화성궤양출혈은 응급실 내원환자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질환으로 환자가 내원시 혈역동학적인 상황 및 원인을 재빨리 평가해야하며, 이와 함께 위험도를 평가하여 치료의 원칙과 순서를 신속하게 정해야 한다.
치료이후 상부위장관출혈 위험요소들은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며, 향후 재출혈의 치명적 상태는 조기 발견이 필요하다고 보인다.
상부위장관출혈에서 가장 유용한 위험도지표로서 널리 쓰이는 것은 Rockall Score체계로서 수많은 의료현장에서 입증되어 왔다.
이는 위장관내시경 소견외에 환자의 나이, 혈압, 맥박지수, 다른 주요 합병증 유무 등을 고려해 각 항목에 따른 재출혈 및 사망가능성의 위험도를 점수화한 것이다.
이는 미리 위험요인을 추측할 수 있는 지수로써 경고나 주의조치를 하게 되면 환자의 재출혈을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대한소화기학회와 대한 Helicobacter 및 상부위장관 연구학회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지침으로서 출혈 소화성궤양 치료가이드라인(2009)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규제사항은 아니지만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의료기관의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과 환자의 의료이용의 필요에 의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임상진료가이드라인(Clinical Pathway Guideline, CPG)은 특정한 임상상황에서 적절한 진료 및 치료를 위한 결정에 도움을 주기위해 체계적으로 개발된 서술문이다.
이는 의료영역에서 진료의 질을 높이고 의료진 개개인에 따른 진료의 편차를 줄여주며, 비용감소를 위하여 근거기반의 지식을 전달하는 도구로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문서기반의 임상진료가이드라인은 대상 질병 및 환자에 대한 보편적인 내용을 포괄적으로만 표현하고 있어, 개별 환자의 상태에 따른 환자 특이적인 적용이 쉽지않기에 임상진료현장에서 이를 활용하여 좋은 성과를 내는 것이 어렵다.
때문에 임상진료현장에서 의료진이 진료나 치료시 해야하는 의사결정시 관련된 임상진료가이드라인 지식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해주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기술과 방법에 대한 연구들이 꾸준히 이루어져왔다.
이러한 연구는 주로 임상관련 의사결정시스템 연구분야의 핵심을 이루고 있으며, 주요 연구내용으로는 문서에 기술된 서술식 임상진료가이드라인의 지식을 컴퓨터시스템이 해독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해주어 컴퓨터가 이러한 변환된 지식을 바탕으로 환자의 상태에 적합한 지침을 제시해줄 수 있는 추론 알고리즘을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의사들이 스스로 숙지한 의료지식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 진료 시마다 정확한 판단지표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우리나라 출혈 소화성궤양 치료가이드라인에서도 소화성궤양 출혈환자 진단 및 감별을 위해 병력 및 증상, 진찰소견은 물론, 혈액검사 소견, 경비위관 삽입 흡인, 위험도 평가 등을 제안하고 있다.
특히 위험도 평가로서 Blatchford score와 Rockall score를 제안하고 있는데 내시경소견을 추가한 완전 Rockall score는 재출혈과 사망위험을 예측하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예측변수들은 임상가이드라인을 적용하는데 있어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지식모델으로서 상세화되고 구체화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지식모델은 병원정보시스템을 벗어나 응급의료시스템이나 더 나아가 향후 U-health 시스템, 개인건강모바일시스템 등에서도 활용될 수 있으려면 보다 범용적이고 호환이 가능한 표준모델로서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출혈 소화성궤양 치료가이드라인에서 위험도평가지표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Rockall score의 지식을 활용하여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수행된 지식모델을 개발하고 평가에 관한 것이다. 지식모델링을 위해 openEHR methodology에 기반하고 있는 표준지식모델링기법인 Guideline Definition Language(GDL)를 적용하였고, 이 지식모델이 실제 한 병원환자들의 Rockall score와 비교하여 봄으로써 적합도 및 순응도를 평가 및 검증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 측정지표로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표준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혈성 소화성궤양 치료가이드라인을 전산화된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함으로써 임상현장에서 보다 쉽게 표준을 기반으로 준수하기 쉬운 형태로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 모델을 정규표준에 기반한 방법론을 표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openEHR방법론의 지식표현언어인 Guideline Definition Language로서 상부위장관 출혈위험도평가지표인 Rockall Risk Score에 대한 표준지식모델을 개발하여 이를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 예에 의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인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 측정지표로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표준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100)는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상부위장관출혈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는
Rockall Risk Score 산출을 위하여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평가를 수행하는 openEHR의 표준아키타입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부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 데이터와 저장되어 있는 환자의 정보를 통합하여 Rockall Risk Score를 산출하는 산출부; 및
산출된 Rockall Ri나 Score를 이용하여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를 평가하여 임상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openEHR의 표준아키타입은
진단 및 문제목록을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의 openEHR-EHR-EVALUATION.problem-diagnosis.v1,
처방을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의 openEHR-EHR-INSTRUCTION.medication.v1 및
처방의 구조를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의 openEHR-EHR-ITEM_TREE.medication.v1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준아키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입력부는 상부위장관출혈 위험도평가를 위하여 내시경기록지 또는 상부위장관출혈에 관한 컨텐츠의 데이터를 더 입력받으며, 그 데이터를 입력받는 아키타입은
내시경 진단명을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EVALUATION.endoscopy-diagnosis.v1,
상부위장관질환 내시경 소견을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OBSERVATION.endoscopy-symptoms.v1,
출혈성 위궤양 소견에 대한 Forrest분류를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OBSERVATION.forrest_classification_of_ulcer_bleeding.v1,
미란성 위험 소견에 대한 LA분류를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OBSERVATION,la_classification_of_erosive_esophagitis.v1,
치료과정을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ACTION.procedure.v1,
LA분류를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CLUSTER_LAclassification.v1 및
Rockall Risk Score를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OBSERVATION.rockall_score_system.v1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아키타입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산출부는 Rockall Risk Score를 0이상 9이하로 제한하여 산출하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산출부는 환자의 나이(Age), 쇼크여부(Shock), 동반질환, 출혈상태 및 내시경적 진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항목으로 Rockall Risk Score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산출부는 Rockall Risk Score를 산출함에 있어
openEHR의 openEHR-EHR-EVALUATION.problem-diagnosis.v1,
openEHR의 openEHR-EHR-INSTRUCTION.medication.v1,
openEHR의 openEHR-EHR-ITEM_TREE.medication.v1,
내시경 진단명을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EVALUATION.endoscopy-diagnosis.v1,
상부위장관질환 내시경 소견을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OBSERVATION.endoscopy-symptoms.v1,
출혈성 위궤양 소견에 대한 Forrest분류를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OBSERVATION.forrest_classification_of_ulcer_bleeding.v1,
미란성 위험 소견에 대한 LA분류를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OBSERVATION,la_classification_of_erosive_esophagitis.v1,
치료과정을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ACTION.procedure.v1 및
LA분류를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CLUSTER_LAclassification.v1 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볼 수 있는 화면표시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를 평가하여 그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외부로 복사할 수 있는 외부연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를 평가하여 그 정보를 인쇄할 수 있는 인쇄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산출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또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 측정지표로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표준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혈성 소화성궤양 치료가이드라인을 전산화된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함으로써 임상현장에서 준수하기 용이한 형태로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 모델을 정규표준에 기반한 방법론을 통해 표현하고, 구체적으로는 openEHR방법론인 Guideline Definition Language로서 상부위장관 출혈위험도평가지표인 Rockall Risk Score에 대한 표준지식모델을 개발하여 이를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메인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전체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순서도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 예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 측정지표로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표준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100)는
Rockall Risk Score 산출을 위하여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평가를 수행하는 openEHR의 표준아키타입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110);
입력부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 데이터와 저장되어 있는 환자의 정보를 통합하여 Rockall Risk Score를 산출하는 산출부(120); 및
산출된 Rockall Ri나 Score를 이용하여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를 평가하여 임상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제어부(13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openEHR의 표준아키타입은
진단 및 문제목록을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의 openEHR-EHR-EVALUATION.problem-diagnosis.v1,
처방을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의 openEHR-EHR-INSTRUCTION.medication.v1 및
처방의 구조를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의 openEHR-EHR-ITEM_TREE.medication.v1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준아키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입력부는 상부위장관출혈 위험도평가를 위하여 내시경기록지 또는 상부위장관출혈에 관한 컨텐츠의 데이터를 더 입력받으며, 그 데이터를 입력받는 아키타입은
내시경 진단명을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EVALUATION.endoscopy-diagnosis.v1,
상부위장관질환 내시경 소견을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OBSERVATION.endoscopy-symptoms.v1,
출혈성 위궤양 소견에 대한 Forrest분류를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OBSERVATION.forrest_classification_of_ulcer_bleeding.v1,
미란성 위험 소견에 대한 LA분류를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OBSERVATION,la_classification_of_erosive_esophagitis.v1,
치료과정을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ACTION.procedure.v1,
LA분류를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CLUSTER_LAclassification.v1 및
Rockall Risk Score를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OBSERVATION.rockall_score_system.v1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아키타입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산출부는 Rockall Risk Score를 0이상 9이하로 제한하여 산출하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산출부는 환자의 나이(Age), 쇼크여부(Shock), 동반질환, 출혈상태 및 내시경적 진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항목으로 Rockall Risk Score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산출부는 Rockall Risk Score를 산출함에 있어
openEHR의 openEHR-EHR-EVALUATION.problem-diagnosis.v1,
openEHR의 openEHR-EHR-INSTRUCTION.medication.v1,
openEHR의 openEHR-EHR-ITEM_TREE.medication.v1,
내시경 진단명을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EVALUATION.endoscopy-diagnosis.v1,
상부위장관질환 내시경 소견을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OBSERVATION.endoscopy-symptoms.v1,
출혈성 위궤양 소견에 대한 Forrest분류를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OBSERVATION.forrest_classification_of_ulcer_bleeding.v1,
미란성 위험 소견에 대한 LA분류를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OBSERVATION,la_classification_of_erosive_esophagitis.v1,
치료과정을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ACTION.procedure.v1 및
LA분류를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CLUSTER_LAclassification.v1 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
그리고 제어부는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볼 수 있는 화면표시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를 평가하여 그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외부로 복사할 수 있는 외부연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를 평가하여 그 정보를 인쇄할 수 있는 인쇄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산출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또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따라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연구방법
가)상부위장관 출혈의 위험도 지수 Rockall Risk Score 임상표준지식모델 개발
우리나라 대한소화기학회에서는 2009년 "출혈 소화성궤양 치료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면서 내시경검사를 통해 입원치료여부를 판단하고 내시경 치료, 약물치료, 방사선 중재치료, 수술치료, 제균치료 등에 대한 자세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있다.
여기서 위험도 평가는 소화성궤양 출혈환자에 있어 재출혈 및 사망률을 알 수 있는 지표로 이용되고 있기에 환자의 입원결정, 집중치료 여부, 내시경 검사시기 등을 결정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근거수준 : 높음, 권고 등급 높음)으로 기술하고 있다.
그중 Rockall score는 상부위장관출혈에서 가장 널리 쓰는 위험-계층화 기준으로 수많은 의료상황에서 입증되어 왔다.
하지만 아직도 의료현장에서 이러한 점수체계는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텍스로서만 지원하고 있어 사용성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의무기록시스템에서 이를 구현하여 컴퓨터로 자동계산할 수 있는 전산화된 임상가이드라인 모델을 개발하였다.
Rockall score는 우선적으로 국제내시경 표준용어집인 MST3.0을 적용하였으며, 표준용어체계로는 국내 및 국제적으로 많이 쓰이는 ICD10, SNOMED CT를 바인딩하였다.
우선적으로 Rockall risk score GDL를 개발하기 위해 구성항목들인 age, shock, diagnosis등의 표준컨텐츠모델을 openEHR Clinical Knowledge Manager : www.openehr.org/ckm.에서 검색하여 다운로드받아 활용하였다.
Figure 112013115681000-pat00001
openEHR Clinical Knowledge Manager - Online scrren shot
해당사이트는 현재 openEHRdml 모든 리소스를 개방하고 있으며, 각 나라별, 각 프로젝트별로 진행된 결과들도 같이 제공하고 있다.
찾고자 하는 모델을 키워드로 검색하거나 분류별 카테고리를 찾아들어가면 된다. 그러나 만약 찾고자 하는 모델이 아직 개발이 되지 않았다면, 그 상위개념의 모델을 다운로드받아 이를 확장하는 방법으로 사용해야 한다. 그래서 각 모델의 의미적 구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델을 기반으로 본 연구자는 GUI환경을 기반으로 한 일반사용자 친화적인 가이드라인 저작도구인 GDL editor를 사용하여 Rockall risk score에 대한 지식을 모델링하였다. 개발된 GDL guideline의 정확성을 입증하기 위해 임상의가 100개의 상부위장관 출혈 사례를 뽑아 Rockall score 점수를 Microsoft Excel에 입력하였다.
샘플사례를 추출해 에 대해 도출한 점수와 비교하여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모의실험을 통해 결과들이 제대로 도출되도록 모의실험을 반복적으로 시행했으며, 각 상황별로 제대로 계산됨을 입증했다.
나)상부위장관 출혈 위험도 지수 Rockall score 지식모델 및 평가 개발
Rockall risk score GDL guideline 평가방법으로서는 후향적 코호트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대상환자는 인천의 3차병원인 G병원에서 2012년도 상부위장관출혈로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진단그룹기준으로는 상부위장관 출혈환자중 Rockall score를 계산한 후 처치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으로 나누었다. 두개 그룹의 데이터는 익명화한 이후에 분석되었다. 각 두개의 그룹은 인적정보, 진단목록, 처방목록 등이 조회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Rockall risk scoring작업을 진행하였다.
2.연구결과
상부위장관 출혈 위험도평가 모델은 여러 관련 아키타입 모델과 용어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가)위내시경결과 아키타입
우선적으로 개발된 아키타입 모델은 다음과 같다. 기본적인 아키타입들은 openEHR에서 이미 개발된 표준아키타입을 재사용하였다.
목록은 다음과 같다.
openEHR-EHR-EVALUATION.problem-diagnosis.v1 : 대표적인 아키타입모델로서 "진단 및 문제목록"으로 활용
openEHR-EHR-INSTRUCTION.medication.v1 : 대표적인 아키타입모델로서 "처방"으로 활용
openEHR-EHR-ITEM_TREE.medication.v1 : 대표적인 아키타입모델로서 "처방"의 구조로 활용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내시경기록지 및 컨텐츠를 위해 추가적으로 개발한 아키타입은 다음과 같다.
openEHR-EHR-EVALUATION.endoscopy_diagnosis.v1 : 내시경 진단명
openEHR-EHR-OBSERVATION.endoscopy_symptoms.v1 : 상부위장관질환 내시경 소견
openEHR-EHR-OBSERVATION.forrest_classification_of_ulcer_bleeding.v1: 출혈성 위궤양 소견에 대한 Forrest 분류
openEHR-EHR-OBSERVATION.la_classification_of_erosive_esophagitis.v1 : 미란성 위혐 소견에 대한 LA분류
openEHR-EHR-ACTION.procedure.v1 : 치료
openEHR-EHR-CLUSTER.LAclassification.v1 : LA 분류
openEHR-HER-OBSERVATION.rockall_score_system.v1 : Rockall score
openEHR의 Archetype을 활용하기 위해서 openEHR.org의 clinical Knowledge Manager를 통해 기본적 Achetype들을 다운로드받아 활용했다.
Rockall score처럼 의사가 환자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해 임상적 판단을 도와줄 수 있는 점수체계에 대한 모델을 개발하였다.
아래 표는 Rockcall score를 위한 각 5개 변수의 값의 범위로서 총계값을 계산할 수 있는 모델이다. Rockall Score Archetype모델은 각 변수에 대한 정의 및 점수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며 총계값은 0~9까지로 제한하였다
Variables and Scopy of Rockall Scoring System
Variable Score 0 Score 1 Score 2 Score 3
Age <60 60-79 >= 80
Shock No shock
Systolic BP > 100
Pulse<100 (/min)
Tachycardia
Systolic BP > 100
Pulse>100 (/min)
Hypotension
Systolic BP < 100
Comorbidity No major CHF,
IHD,
major morbidity
Renal failure,
liver failure,
metastatic cancer
Diagnosis Mallory-Weiss tear,
No lesion and no SRH
All other diagnoses GI malignancy
Evidence of bleeding None or dark spot
Blood in UGI tract, adherent clot,
visible or spurting vessel
* 약어설명 : SRH(stigmata of recent hemorrhage) BP(blood pressure, mmHg); GI(gastrointestinal)
위내시경검사를 통해 소화기관의 재출혈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Scoring system으로서 많이 쓰이는 것이 Rockcall Score이다. 이는 의사가 보다 쉽게 위장관 출혈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으나 간과하기 쉽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내시경결과값을 통해 Score를 산출해내는 모델을 개발하여 결과 보고시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Rockcall score는 총 5개의 항목의 각 개별 값을 총합하여 그 위험지수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개발하는 에디터상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위에서 개발된 Rockall Scroe Archetype을 기반으로 각 변수에 대한 개별 입력값을 프로세싱하여 시스템에서 그 결과값을 직접적으로 구현시켜 줄 수 있는 Rockal score GDL도 연계하여 개발하였다. 이에 앞서 개발한 Rockall score의 Archetype을 활용하여 이를 구현하는 GDL을 개발하였다. 이로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나이, 혈압수치 등 저장되어 있는 값을 위내시경 GDL모델안에서 활용하여 Rockcall 점수를 도출해 낼 수 있도록 하였다.
국제/국내 내시경용어집 MST3.0 적용
기초 자료로서는 대한위장관학회에서 제안하고 있는 ‘2012 위내시경 표준용어집’을 바탕으로 개발하였으며, 국제내시경학회에서 내시경용어집으로 제안하고 있는 MST 3.0을 참고하였다. 또한 진단의 세부적 분류표기법들도 모델링함으로써 활용을 쉽게 하도록 하였다.
국제 표준용어체계 SNOMED CT 적용
2. Rockall Risk Score 표준정보모델을 바탕으로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 모듈 개발
openEHR GDL Methodology를 통한 Rockall Risk Score GDL 개발
이에 앞서 개발한 Rockall score의 Archetype을 활용하여 이를 구현하는 GDL을 개발하였다. 이로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나이, 혈압수치 등 저장되어 있는 값을 위내시경 GDL모델안에서 활용하여 Rockcall 점수를 도출해 낼 수 있도록 하였다
3.상부위장관 출혈 임상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한 개발모델 평가 및 검증
임상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실제 환자들 치료 순응도 평가 : CDS workbench 사용
위해 본 연구에서는 내시경결과값을 통해 Score를 산출해내는 모델을 개발하여 결과 보고시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Rockcall score는 총 5개의 항목의 각 개별 값을 총합하여 그 위험지수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10)

  1. Rockall Risk Score 산출을 위하여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평가를 수행하는 openEHR의 표준아키타입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부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 데이터와 저장되어 있는 환자의 정보를 통합하여 Rockall Risk Score를 산출하는 산출부; 및
    산출된 Rockall Ri나 Score를 이용하여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를 평가하여 임상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는 하는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 측정지표로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표준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openEHR의 표준아키타입은
    진단 및 문제목록을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의 openEHR-EHR-EVALUATION.problem-diagnosis.v1,
    처방을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의 openEHR-EHR-INSTRUCTION.medication.v1 및
    처방의 구조를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의 openEHR-EHR-ITEM_TREE.medication.v1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준아키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는 하는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 측정지표로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표준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입력부는 상부위장관출혈 위험도평가를 위하여 내시경기록지 또는 상부위장관출혈에 관한 컨텐츠의 데이터를 더 입력받으며, 그 데이터를 입력받는 아키타입은
    내시경 진단명을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EVALUATION.endoscopy-diagnosis.v1,
    상부위장관질환 내시경 소견을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OBSERVATION.endoscopy-symptoms.v1,
    출혈성 위궤양 소견에 대한 Forrest분류를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OBSERVATION.forrest_classification_of_ulcer_bleeding.v1,
    미란성 위험 소견에 대한 LA분류를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OBSERVATION,la_classification_of_erosive_esophagitis.v1,
    치료과정을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ACTION.procedure.v1,
    LA분류를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CLUSTER_LAclassification.v1 및
    Rockall Risk Score를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OBSERVATION.rockall_score_system.v1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아키타입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는 하는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 측정지표로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표준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산출부는 Rockall Risk Score를 0이상 9이하로 제한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는 하는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상부위장관출혈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산출부는 환자의 나이(Age), 쇼크여부(Shock), 동반질환, 출혈상태 및 내시경적 진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항목으로 Rockall Risk Score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는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 측정지표로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표준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산출부는 Rockall Risk Score를 산출함에 있어
    openEHR의 openEHR-EHR-EVALUATION.problem-diagnosis.v1,
    openEHR의 openEHR-EHR-INSTRUCTION.medication.v1,
    openEHR의 openEHR-EHR-ITEM_TREE.medication.v1,
    내시경 진단명을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EVALUATION.endoscopy-diagnosis.v1,
    상부위장관질환 내시경 소견을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OBSERVATION.endoscopy-symptoms.v1,
    출혈성 위궤양 소견에 대한 Forrest분류를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OBSERVATION.forrest_classification_of_ulcer_bleeding.v1,
    미란성 위험 소견에 대한 LA분류를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OBSERVATION,la_classification_of_erosive_esophagitis.v1,
    치료과정을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ACTION.procedure.v1 및
    LA분류를 입력하는 아키타입인 openEHR-EHR-CLUSTER_LAclassification.v1 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는 하는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 측정지표로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표준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볼 수 있는 화면표시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는 하는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 측정지표로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표준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를 평가하여 그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외부로 복사할 수 있는 외부연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는 하는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 측정지표로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표준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를 평가하여 그 정보를 인쇄할 수 있는 인쇄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는 하는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 측정지표로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표준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산출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또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는 하는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 측정지표로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표준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
KR1020130157616A 2013-12-17 2013-12-17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 측정지표로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국제표준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 KR101572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616A KR101572921B1 (ko) 2013-12-17 2013-12-17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 측정지표로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국제표준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616A KR101572921B1 (ko) 2013-12-17 2013-12-17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 측정지표로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국제표준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892A KR20150070892A (ko) 2015-06-25
KR101572921B1 true KR101572921B1 (ko) 2015-12-02

Family

ID=53517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616A KR101572921B1 (ko) 2013-12-17 2013-12-17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 측정지표로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국제표준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9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91276B (zh) * 2017-03-17 2020-01-21 浙江大学 一种基于openEHR模板的数据接口动态生成方法
CN108564988A (zh) * 2018-03-20 2018-09-21 深圳中兴网信科技有限公司 基于OpenEHR的档案存储方法、档案存储系统
CN110209699B (zh) * 2019-05-22 2021-04-06 浙江大学 一种基于openEHR Composition模板的数据接口动态生成与执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892A (ko) 2015-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entnall et al. Long-term accuracy of breast cancer risk assessment combining classic risk factors and breast density
Schuler et al. Is there a role for abdominal computed tomographic scans in appendicitis?
Fendrick et al. Clinical and economic effects of population-based Helicobacter pylori screening to prevent gastric cancer
Canzanello et al. Are aneroid sphygmomanometers accurate in hospital and clinic settings?
JP7479168B2 (ja) 問診装置
Frazier et al. Cost-effectiveness of screening for colorectal cancer in the general population
Eagle et al. A validated prediction model for all forms of acute coronary syndrome: estimating the risk of 6-month postdischarge death in an international registry
Alexander et al. Evaluating hypertension control in a managed care setting
Oakland et al. External validation of the Oakland score to assess safe hospital discharge among adult patients with acute lower gastrointestinal bleeding in the US
US201700687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device security, data tracking and outcomes analysis
Lamontagne et al. qSOFA for identifying sepsis among patients with infection
Schoen et al. Patient satisfaction with screening flexible sigmoidoscopy
Katz et al. The use of empiric clinical data in the evaluation of practice guidelines for unstable angina
Ziogas et al. Clinically relevant changes in family history of cancer over time
US20190392952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s,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diagnosing a condition
Almoudaris et al. Failure to rescue patients after reintervention in gastroesophageal cancer surgery in England
US20120130197A1 (en) Quality measurements reporting for patient care
McGlynn et al. What makes a good quality measure?
Anderson et al. Brief tool to measure risk-adjusted surgical outcomes in resource-limited hospitals
Joo et al. Association of language barriers with perioperative and surgical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Pirruccello et al. Development of a prediction model for ascending aortic diameter among asymptomatic individuals
Ashrafiana Artificial intelligence in surgery: the future is now
KR101572921B1 (ko) 상부위장관출혈의 위험도 측정지표로 Rockall Risk Score를 이용한 국제표준기반 임상의사결정지원장치.
Hakimian et al. Assessment of video capsule endoscopy in the management of acute gastrointestinal bleed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hren Giving Scale New Meaning in Dermatology: Measurement Mat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