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242B1 - 전자책 복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책 복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242B1
KR101572242B1 KR1020140172843A KR20140172843A KR101572242B1 KR 101572242 B1 KR101572242 B1 KR 101572242B1 KR 1020140172843 A KR1020140172843 A KR 1020140172843A KR 20140172843 A KR20140172843 A KR 20140172843A KR 101572242 B1 KR101572242 B1 KR 101572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bage
character
characters
image fi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갑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알엠인사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알엠인사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알엠인사이드
Priority to KR1020140172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5Arrangements for software licens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e.g. for managing licenses at corporate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책 복제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더욱 상세히는 암호화된 전자책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표시하는 뷰어를 해킹하여 내용을 추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책 컨텐츠에 가비지 데이터를 삽입하여 난독화하며, 뷰어를 통해 표시된 전자책 컨텐츠를 캡처하여 생성된 클립보드나 파일을 자동 삭제하여 전자책의 복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자책 복제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책 복제 방지 시스템 및 방법{Preventing system and method for copying electronic book}
본 발명은 전자책 복제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더욱 상세히는 암호화된 전자책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표시하는 뷰어를 해킹하여 내용을 추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책 컨텐츠에 가비지 데이터를 삽입하여 난독화하며, 뷰어를 통해 표시된 전자책 컨텐츠를 캡처하여 생성된 클립보드나 파일을 자동 삭제하여 전자책의 복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자책 복제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컨텐츠 기술 및 데이터 전송 매체의 발달로 인해 데이터의 상호 교류 및 정보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영화, 음악, 문서, 사진 등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컨텐츠가 제작되고 인터넷, P2P 또는 웹 하드를 통해 공유되고 빠르게 유포됨으로써 컨텐츠의 습득이 용이해졌다.
이러한 컨텐츠 공유에 의해 사회적인 문제로 지적되는 것이 저작권이 있는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 공유로 인한 저작권자의 권리 침해 문제이다.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침해 사례들로 인해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워터마킹, 핑커프린팅 등의 기술이 적용되어 저작권자의 권리 보호 및 사용자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다.
일례로, EPUB(electronic publication) 표준에 따라 생성된 전자책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는 보통 개인 인증서를 기반으로 DRM 방식으로 컨텐츠를 암호화하여 사용자에게 배포하고, 사용자는 단말에 설치된 전용 뷰어를 통해 암호화된 컨텐츠를 개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복호화함으로써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컨텐츠를 복제하고자 하는 복제자는 이러한 전용 뷰어의 API를 해킹하거나 메모리에 덤프해 둔 내용을 해킹하여 용이하게 전자책의 내용을 복제한 복제물을 생성하여 배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용 뷰어를 통해 스크린에 표시된 컨텐츠 내용을 스크린 영상을 캡처하는 방식으로 획득하여 용이하게 복제물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현재의 저작권 보호 관련 기술만으로 완전한 보호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저작물 침해 형태에 대비하여 컨텐츠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별도의 장치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62821호
본 발명은 암호화된 전자책 컨텐츠를 복호화하는 과정에서 전자책 컨텐츠에 가비지 데이터를 삽입하되, 문자형 가비지 데이터의 길이와 원본 데이터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는 코드를 삽입하여 정상적으로 전자책 컨텐츠를 열람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가비지 데이터를 제외한 원본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해킹과 같은 비정상적인 접근을 통해 상기 전자책 컨텐츠를 추출한 사용자에 대해서 가비지 데이터를 원본 데이터와 함께 표시되도록 하여 난독화된 전자책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용이하게 전자책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용 뷰어를 통해 스크린에 표시된 전자책 컨텐츠 내용을 별도의 캡처 프로그램이나 키 입력을 통해 스크린 캡처하여 클립보드에 저장된 임시 파일이나 이미지 파일을 자동 삭제하여 전자책의 복제를 효율적으로 보호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복제 방지 시스템은 암호화된 전자책 컨텐츠를 복호화하면서 가비지 문자의 개수와 원본 문자의 개수에 대한 정보가 미리 설정된 비트 위치에 분산 삽입된 일련의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와 상기 가비지 문자의 개수에 따른 일반 가비지 문자를 포함하는 가비지 문자세트를 생성하는 가비지 생성부와, 상기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원본 문자 사이에 상기 가비지 문자세트를 삽입하여 난독화 문자열을 생성하는 가비지 삽입부와, 상기 난독화 문자열에 포함된 상기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를 해석한 후 상기 가비지 문자세트에 대응되는 각 문자를 비활성화하여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상기 전자책 컨텐츠의 내용에 대한 캡처 입력에 따라 생성된 임시 파일을 저장하는 클립보드 또는 상기 캡처에 따라 생성된 이미지 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의 생성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을 자동 삭제하는 삭제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가비지 문자세트에 대응되는 각 문자의 글자 크기를 0으로 하여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가비지 생성부는 상기 가비지 문자세트에 포함되는 각 문자를 미리 설정된 문자 코드표에서 상기 원본 문자와 동일 분류에 속한 문자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가비지 생성부는 상기 문자 코드표의 동일 분류에서 상기 원본 문자와 가장 인접한 문자로 상기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 및 일반 가비지 문자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가비지 생성부는 인덱스 정보 또는 코드북 정보가 삽입된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를 생성하여 상기 가비지 문자세트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의 생성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내용을 상기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과 비교하여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지 판단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삭제 처리부는 상기 비교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을 자동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의 생성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내용을 스캔 또는 인쇄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스캔 이미지를 상기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과 영역별로 비교하여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영역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표시부와 연동하여 상기 표시부의 활성화 상태에서만 상기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의 생성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복제 방지 방법은 가비지 생성부가 암호화된 전자책 컨텐츠를 복호화하면서 가비지 문자의 개수와 원본 문자의 개수에 대한 정보가 미리 설정된 비트 위치에 분산 삽입된 일련의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와 상기 가비지 문자의 개수에 따른 일반 가비지 문자를 포함하는 가비지 문자세트를 생성하는 가비지 생성 단계와, 가비지 삽입부가 상기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원본 문자 사이에 상기 가비지 문자세트를 삽입하여 난독화 문자열을 생성하는 가비지 삽입 단계와, 표시부가 상기 난독화 문자열에 포함된 상기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를 해석하여 상기 가비지 문자세트에 포함된 각 문자를 비활성화하여 표시하는 표시 단계와, 모니터링부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상기 전자책 컨텐츠의 내용에 대한 캡처 입력에 따라 생성된 임시 파일을 저장하는 클립보드 또는 상기 캡처 입력에 따라 생성된 이미지 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삭제 처리부가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의 생성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을 자동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책 컨텐츠를 복호하는 과정에서 가비지 문자를 원본 문자 사이에 삽입하여 난독화함으로써, 해킹을 통해 복제된 복제 컨텐츠에 남은 가비지 문자로 인해 복제 컨텐츠를 무용지물로 만들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효과적으로 텍스트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정상적으로 전자책 컨텐츠를 열람하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정상적으로 전자책 컨텐츠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저작물에 대한 효율적인 보안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책 컨텐츠의 내용이 표시된 화면을 스크린 캡처하여 복제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이미지 파일이나 임시 파일이 생성되는 즉시 생성된 이미지 파일 또는 임시 파일을 자동 삭제함으로써, 화면 캡처를 통해 복제물이 생성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 전자책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복제 방지 시스템이 구성된 전자책 복제 방지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비지 생성부 및 가비지 삽입부의 상세 동작 구성에 대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상적인 전자책 컨텐츠의 표시 형태와 해킹에 의해 추출된 보안 컨텐츠의 표시 형태에 대한 예시도.
도 5는 전자책 컨텐츠가 표시된 화면에 대한 스크린 캡처를 통해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 및 임시 파일의 생성 및 저장 과정에 대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처 방지부의 상세 구성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처 방지부의 동작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복제 방지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상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복제 방지 시스템이 구성된 전자책 복제 방지 장치(100)의 상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호화된 전자책 컨텐츠(electronic book contents)를 수신하여 복호화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원본 문자 사이에 삽입될 가비지(garbage) 문자를 생성하는 가비지 생성부(110)와, 상기 가비지 문자를 상기 전자책 컨텐츠의 원본 문자 사이에 삽입하여 상기 전자책 컨텐츠의 식별이 어렵도록 난독화 문자열을 생성하는 가비지 삽입부(120)와, 상기 난독화 문자열을 해석한 후 가비지 문자를 비활성화하여 원본 문자를 식별가능하도록 정상 표시하는 표시부(130) 및 상기 표시부(130)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출력부(화면)(210)에 표시된 상기 전자책 컨텐츠의 내용에 대한 캡처(capture) 입력에 따라 생성되어 메모리부(220)에 저장되는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을 상기 표시부(130)를 통해 출력부(210)에 표시된 내용과 비교하여 유사도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을 자동 삭제하는 캡처 방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복제 방지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에 구성될 수 있으며, 암호화된 전자책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표시하는 프로그램 형태의 뷰어로 사용자 단말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사용자 단말은 통신 기능을 구비한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웨어러블 단말기(wearable personal station: WPS)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방식과 같은 보안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된 전자책 컨텐츠를 복호하는 과정에서 전용 뷰어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해킹하거나 메모리에 덤프된 내용을 복제하여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복제물을 용이하게 생성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자책 컨텐츠의 복호 과정에서 상기 전자책 컨텐츠를 난독화하기 위한 가비지 문자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책 컨텐츠의 원본 문자 사이에 삽입하여 난독화한 보안 컨텐츠를 생성함으로써 해당 보안 컨텐츠의 내용을 해킹을 통해 그대로 복제하더라도 내용을 식별하기 어렵도록 만들어 기존 보안 알고리즘의 취약점을 개선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술한 전자책 복제 방지 장치(100)를 통해 정상적으로 전자책 컨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보안 컨텐츠에 포함된 가비지 문자를 비활성화하여 전자책 컨텐츠의 원본 문자만이 표시되어 전자책 컨텐츠의 내용이 정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전자책 복제 방지 장치(100)에 수신된 전자책 컨텐츠를 중간에 해킹하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가비지 문자가 활성화된 상태의 보안 컨텐츠가 추출되도록 하여 전자책 컨텐츠의 내용을 읽을 수 없도록 난독화함으로써 저작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부(130)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출력부(화면)(210)에 표시(출력)된 내용을 스크린 캡처에 대한 키 입력이나 별도의 캡처 프로그램을 이용한 스크린 캡처 방식을 통해 상기 화면을 캡처하여 윈도우나 리눅스와 같은 운영체제 기반에서 클립보드에 임시 저장되는 임시 파일을 생성하거나 iOS나 안드로이드와 같은 모바일 운영체제 기반에서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여 이를 기반으로 복제물을 생성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클립보드나 메모리 영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부(220)를 감시하여 상기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 생성시 이를 표시부(130)를 통해 출력부(210)에 표시된 내용과 자동 비교하여 유사도가 높은 경우 상기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을 자동 삭제 처리함으로써 스크린 캡처를 이용한 복제물이 생성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복제 방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자책 복제 방지 장치(100)의 각 구성부를 이하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은 상기 가비지 생성부(110) 및 가비지 삽입부(120)의 상세 동작 구성에 대한 예시도로서, 우선 가비지 생성부(110)는 외부 서버나 사용자 단말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방식과 같은 미리 설정된 보안 알고리즘에 따라 암호화된 전자책 컨텐츠를 수신하여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또한, 가비지 생성부(110)는 수신된 전자책 컨텐츠를 복호하는 과정에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본 문자 사이에 삽입될 가비지(garbage) 문자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가비지 생성부(110)는 하나 이상의 원본 문자를 기준으로 가비지 문자의 개수와 원본 문자의 개수에 대한 정보가 미리 설정된 비트 위치에 분산 삽입된 일련의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비지 생성부(110)는 도 2(a)의 '나는 집으로 간다'로 구성된 다수의 원본 문자 중 가비지 문자가 삽입되기 위한 기준이 되는 하나 이상의 원본 문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나는'에서 '나'와 '는'을 각각 기준 원본 문자로 선택할 수 있다.
이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비지 생성부(110)는 '나'의 원본 문자를 기준으로 '나'의 이전에 삽입될 가비지 문자의 개수를 결정하여 상기 가비지 문자의 개수에 대응되는 비트코드를 미리 설정된 비트 위치에 포함하는 문자를 미리 설정된 문자 코드표를 참조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문자 코드표는 KSC 5601 문자 코드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문자 코드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일례로, 가비지 생성부(110)는 가비지 문자의 개수를 4개로 결정한 경우 상기 문자 코드표를 참조하여 4개에 대응되는 이진 비트코드인 0100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비트 위치인 9bit에서 12bit 사이에 포함하는 '눅'을 가비지 문자로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비지 문자의 개수에 대한 비트코드가 삽입된 가비지 문자를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가비지 생성부(110)는 가비지 문자 선택시 0100을 포함하는 다양한 문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나 기준 원본 문자인 '나'의 식별이 어렵도록 난독화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문자 코드표에서 '나'와 동종 분류에 속한 문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가비지 생성부(110)는 상기 문자 코드표에서 9~12bit 위치에 가비지 문자의 개수에 대한 비트코드인 0100을 포함하는 'ㄱ', 'ㄲ', '?' 등과 같은 다양한 문자 대신 상기 문자 코드표를 참조하여 기준 원본 문자인 '나'와 동종분류에 속하면서 9~12bit 위치에 가비지 문자의 개수에 대한 비트코드인 0100을 포함하는 '뇟' 이나 '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가비지 생성부(110)는 동종분류에 속하면서 9~12bit 위치에 가비지 문자의 개수에 대한 비트코드인 0100을 포함하는 '뇟'과 '눅' 중 어느 문자가 문자 코드표에서 기준 원본 문자인 '나'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여 선택할 수 있으며, 도시된 예에서는 '눅'이 '뇟'보다 더욱 '나'와 인접한 위치에 있으므로 '눅'을 선택하여 가비지 문자 길이에 대한 상기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가비지 생성부(110)는 상기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의 생성을 위한 가비지 문자 선택시 기준 원본 문자의 전체 비트와 상기 문자 코드표에서 가비지 문자 길이에 대한 비트코드를 포함하는 각 가비지 문자의 전체 비트를 비교하여, 비트 차이가 최소화되는 가비지 문자를 선택하여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로 생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가비지 문자 길이에 대한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 생성 방식과 마찬가지로, 가비지 생성부(110)는 가비지 문자와 구분하여 원본 문자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하여 원본 문자의 길이에 대한 비트코드를 포함하는 문자를 문자 코드표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일례로 기준 원본문자인 '나'의 개수가 1개이므로 '0001'을 비트코드로 포함하는 문자 코드표의 문자들 중 기준 원본문자인 '나'와 동종분류에 속하면서 가장 인접한 위치 또는 비트코드 차이가 최소화되는 문자인 '젬'을 선택하여 원본 문자의 길이에 대한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로 생성할 수 있다.
더하여, 가비지 생성부(110)는 미리 설정된 비트위치에 인덱스 코드 또는 코드북 코드를 포함하는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가비지 생성부(110)는 상기 가비지 문자 길이에 따라 상술한 가비지 문자 길이, 원본 문자 길이 및 인덱스 코드가 분산 삽입된 하나 이상의 코드 삽입 가비지 문자에 더하여 일반 가비지 문자를 추가 생성할 수 있으며, 일례로 가비지 문자 길이가 상술한 바와 같이 4개인 경우 코드 삽입 가비지 문자 3개에 더하여 일반 가비지 문자 1개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가비지 생성부(110)는 상기 기준 원본 문자인 '나'와 동일한 문자를 일반 가비지 문자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기준 원본 문자를 더욱 난독화할 수 있다.
한편, 가비지 생성부(110)는 기준 원본문자인 '나'에 대응되어 인덱스 코드가 삽입된 문자인 '뎁'과, 가비지 문자 길이에 대한 코드가 삽입된 문자인 '눅'과, 원본 문자 길이에 대한 코드가 삽입된 문자인 '젬'으로 구성된 일련의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 및 상기 가비지 문자 길이에 따라 생성된 일반 가비지 문자인 '나'를 포함하는 가비지 문자 세트를 가비지 삽입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비지 삽입부(12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비지 생성부(110)와 연동하여 기준 원본 문자인 '나'의 이전에 상기 가비지 문자 세트에 포함된 일련의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 및 일반 가비지 문자를 상기 전자책 컨텐츠에서 상기 기준 원본 문자인 '나' 이전에 삽입하여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뎁눅젬나나'로 구성된 난독화 문자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비지 삽입부(120)는 동일 페이지에서 상기 기준문자인 '나' 이전에 다른 원본문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준 원본문자인 '나'와 상기 다른 원본 문자 사이에 상기 가비지 문자 세트를 삽입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기초로, 가비지 생성부(110) 및 가비지 삽입부(120)는 기준 원본 문자인 '나' 뒤에 이어지는 '는'에 대해서도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인 '돠', '냈', '좌'를 포함하는 가비지 문자 세트를 생성하여 기준 원본 문자인 '나'와 '는'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뎁눅젬나나돠냈좌는..'로 구성된 난독화 문자열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비지 생성부(110)는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문자인 '나는'을 '나'와 '는'의 개별 원본문자로 분리하였으나, '나는'과 같이 복수의 원본문자를 하나의 기준 원본문자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본 문자 길이를 2개로 하여 2개의 원본 문자 길이에 대한 비트코드를 포함하는 문자를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로 선택할 수 있다.
더하여, 가비지 생성부(110)는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로만 가비지 문자 세트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나'와 '는' 사이에 가비지 문자 길이를 3개로 설정하고 '나'와 '는' 사이에 3개의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만이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가비지 삽입부(120)는 전자책 컨텐츠를 복호하면서 상기 가비지 문자 세트를 원본 문자 사이에 삽입하여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뎁눅젬나나돠냈좌는..'과 같은 난독화 문자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전자책 컨텐츠를 기초로 상기 난독화 문자열이 포함된 보안 컨텐츠를 생성하여 표시부(13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보안 컨텐츠에서 상기 각 가비지 문자세트에 대응되는 각 문자를 비활성화함으로써 원본 문자만이 표시되도록 하여 정상적으로 텍스트를 읽을 수 있도록 제공하며, 상기 표시부(130)를 거치지 않고 해킹을 통해 상기 보안 컨텐츠를 추출하는 경우 각 가비지 문자세트에 대응되는 각 문자가 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되도록 하여 난독화할 수 있다.
이를 도 4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30)는 보안 컨텐츠에 적용된 난독화 문자열의 각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를 해석하여,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 및 일반 가비지 문자와 원본 문자를 구분하고 각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와 각 일반 가비지 문자의 글자 크기를 '0'으로 설정하여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130)는 원본 문자만이 정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여 정상적으로 전자책 컨텐츠의 내용을 읽을 수 있도록 제공한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책 복제 방지 장치(100)의 API를 해킹하거나 상기 메모리부(220)에 덤프된 내용을 복제하여 상기 보안 컨텐츠를 추출하는 경우 상기 보안 컨텐츠의 난독화 문자열에 포함된 모든 문자가 그대로 표시되어 권한 없는 사용자에게 내용을 확인할 수 없도록 난독화된 전자책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가비지 문자로 인해 전자책 컨텐츠의 복제가 무용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책 컨텐츠를 복호하는 과정에서 가비지 문자를 원본 문자 사이에 삽입하여 난독화함으로써, 해킹을 통해 복제된 복제 컨텐츠에 남은 가비지 문자로 인해 복제 컨텐츠를 무용지물로 만들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효과적으로 전자책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전자책 복제 방지 장치(100)를 통해 전자책 컨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에 대해서는 정상적으로 전자책 컨텐츠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저작물에 대한 효율적인 보안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보안 컨텐츠에서 상기 각 가비지 문자세트에 대응되는 각 문자를 비활성화하여 원본 문자만이 표시되도록 사용자 단말의 화면(디스플레이)을 포함하는 출력부(210)에 전자책 컨텐츠의 내용을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력부(210)에 표시된 전자책 컨텐츠에 대한 복제물을 생성하고자 하는 불법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사용자 단말(1)에 구성된 운영 체제에서 지원하는 프린트 스크린(PrintScreen)과 같은 화면 캡처 기능에 대한 키 입력이나 캡처 프로그램을 통한 화면 캡처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부(210)에 표시된 내용을 캡처(capture)함으로써, 이에 따라 자동 생성된 임시 파일이나 이미지 파일을 편집하여 상기 복제물을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S, 안드로이드와 같은 모바일 운영체제 기반에서 화면 캡처 기능에 대한 키 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이미지 파일이 자동 생성되어 이미지 저장을 위해 미리 설정된 메모리 영역에 이미지 파일이 자동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리눅스와 같은 운영체제 기반에서 실행되는 캡처 프로그램을 이용한 화면 캡처 기능이나 상기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상기 프린트 스크린과 같은 화면 캡처에 대응되는 키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출력부(210)에 표시된 내용이 캡처되어 임시 파일이 자동 생성되며, 상기 임시 파일은 운영 체제에 의해 클립보드에 자동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메모리 영역이나 클립보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1)의 메모리부(220)에 상기 이미지 파일 또는 임시 파일이 자동 저장되어, 불법 사용자는 상기 이미지 파일 또는 임시 파일을 이용하여 전자책 컨텐츠와 동일한 복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복제 방지 장치(100)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처 방지부(140)가 구성되며, 상기 캡처 방지부(140)는 화면 캡처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 파일 또는 임시 파일을 출력부(210)에 표시된 내용과 자동 비교하여 유사도가 높은 경우 자동 삭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용이하게 화면 캡처를 통한 복제물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도 6에 도시된 캡처 방지부(140)의 상세 구성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처 방지부(140)는 모니터링부(141), 비교부(142), 삭제 처리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모니터링부(141)는 표시부(130)를 통해 출력부(210)에 표시되는 전자책 컨텐츠의 내용을 상술한 화면 캡처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 파일 또는 임시 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 또는 클립보드를 포함하는 메모리부(220)를 모니터링하여, 이미지 파일 또는 임시 파일의 생성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비교부(142)는 상기 모니터링부(141)와 연동하여 상기 모니터링부(141)의 판단 결과 이미지 파일 또는 임시 파일이 생성된 경우 상기 비교부(142)는 상기 표시부(130)를 통해 상기 출력부(210)에 표시된 내용을 상기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과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비교하여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삭제 처리부(143)는 상기 비교부(142)의 판단 결과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을 상기 메모리부(220)에서 자동 삭제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운영체제 기반에서 비교부(142)는 모니터링부(141)를 통해 이미지 파일이 생성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1)의 출력부(210)에 표시된 이미지를 스캔 또는 인쇄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스캔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1)의 메모리부(220)에서 이미지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이미지 중 가장 최근에 자동 저장된 이미지 파일과 영역별로 비교하여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영역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삭제 처리부(143)는 상기 비교부(142)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파일을 자동 삭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또는 리눅스와 같은 운영체제 기반에서 비교부(142)는 모니터링부(141)의 검출을 통해 임시 파일이 생성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단말(1)의 출력부(210)에 표시된 이미지를 스캔 또는 인쇄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메모리부(220)의 클립보드에 임시 저장된 상기 임시 파일과 상기 스캔 이미지를 상호 영역별로 비교하여,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영역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삭제 처리부(143)는 상기 비교부(142)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클립보드에 저장된 상기 임시 파일을 자동 삭제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모니터링부(141), 비교부(142) 및 삭제 처리부(143)를 포함하는 캡처 방지부(140)는 상기 표시부(130)와 연동하여 상기 표시부(130)의 활성화시 활성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캡처 방지부(140)에 포함된 모니터링부(141)는 상기 캡처 방지부(140)의 활성화시 상기 표시부(130)를 통해 전자책 컨텐츠가 출력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3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만 상기 전자책 컨텐츠의 화면 캡처를 통한 이미지 파일 또는 임시 파일이 생성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부(141)는 표시부(130)를 통해 전자책 컨텐츠가 표시되는 상태에서만 화면 캡처 기능을 통해 이미지 파일이나 임시 파일의 생성 여부를 검출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비교부(142)로 제공함으로써 전자책 컨텐츠에 대응되는 불법적인 상기 이미지 파일 또는 임시 파일이 삭제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전자책 컨텐츠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일반적인 화면 캡처 기능에 따라 생성된 이미지 파일 또는 임시 파일의 생성은 검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전자책 컨텐츠와 관련 없는 이미지 파일 또는 임시 파일이 삭제 처리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면에 출력된 내용을 캡처하여 이미지 파일이나 임시 파일이 생성되는 즉시 화면에 출력된 내용과 이미지 파일 또는 임시 파일을 상호 비교하여 유사도가 높은 경우 전자책 컨텐츠와 관련하여 생성된 이미지 파일 또는 임시 파일을 자동 삭제하여 화면 캡처를 통해 복제물을 생성하는 것을 사전에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캡처 방지부(140)의 구성에서 상기 비교부(142)의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부(141)가 클립보드나 메모리 영역을 모니터링하여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의 생성을 검출하는 경우 검출 결과를 삭제 처리부(143)로 바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삭제 처리부(143)는 모니터링부(141)의 검출 결과에 따라 클립보드나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을 자동 삭제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복제 방지 방법에 대한 순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비지 생성부(110)는 암호화된 전자책 컨텐츠를 복호화하면서(S1) 가비지 문자의 개수와 원본 문자의 개수에 대한 정보가 미리 설정된 비트 위치에 분산 삽입된 일련의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와 상기 가비지 문자의 개수에 따른 일반 가비지 문자를 포함하는 가비지 문자세트를 생성할 수 있다(S2).
이후, 가비지 삽입부(120)는 상기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원본 문자 사이에 상기 가비지 문자세트를 삽입하여 난독화 문자열을 생성할 수 있다(S3).
다음, 표시부(130)는 상기 난독화 문자열에 포함된 상기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를 해석하여 상기 가비지 문자세트에 포함된 각 문자를 비활성화하여(S4) 표시할 수 있다(S5).
이때, 모니터링부(141)는 상기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된 상기 전자책 컨텐츠의 내용에 대한 캡처 입력에 따라 생성된 임시 파일을 저장하는 클립보드 또는 상기 캡처 입력에 따라 생성된 이미지 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의 생성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6).
이에 따라, 상기 비교부(142)는 상기 모니터링부(141)를 통해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의 생성이 검출되는 경우(S7) 상기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된 내용을 상기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과 비교하여(S8)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9).
삭제 처리부(143)는 상기 비교부(142)의 판단 결과에 따라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을 자동 삭제할 수 있다(S10).
이후, 상기 표시부(130)의 활성화에 따른 상기 전자책 컨텐츠의 표시가 지속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부(141), 비교부(142) 및 삭제 처리부(143)에 의한 단계를 반복하며, 상기 표시부가 비활성화되어 전자책 컨텐츠의 표시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부(141), 비교부(142) 및 삭제 처리부(143)를 포함하는 캡처 방지부(14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S11).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자책 복제 방지 장치
110: 가비지 생성부 120: 가비지 삽입부
130: 표시부 140: 캡처 방지부
141: 모니터링부 142: 비교부
143: 삭제 처리부 210: 출력부
220: 메모리부

Claims (9)

  1. 암호화된 전자책 컨텐츠를 복호화하면서 가비지 문자의 개수와 원본 문자의 개수에 대한 정보가 미리 설정된 비트 위치에 분산 삽입된 일련의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와 상기 가비지 문자의 개수에 따른 일반 가비지 문자를 포함하는 가비지 문자세트를 생성하는 가비지 생성부;
    상기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원본 문자 사이에 상기 가비지 문자세트를 삽입하여 난독화 문자열을 생성하는 가비지 삽입부;
    상기 난독화 문자열에 포함된 상기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를 해석한 후 상기 가비지 문자세트에 대응되는 각 문자를 비활성화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상기 전자책 컨텐츠의 내용에 대한 캡처 입력에 따라 생성된 임시 파일을 저장하는 클립보드 또는 상기 캡처에 따라 생성된 이미지 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의 생성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을 자동 삭제하는 삭제 처리부
    를 포함하는 전자책 복제 방지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가비지 문자세트에 대응되는 각 문자의 글자 크기를 0으로 하여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복제 방지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비지 생성부는 상기 가비지 문자세트에 포함되는 각 문자를 미리 설정된 문자 코드표에서 상기 원본 문자와 동일 분류에 속한 문자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복제 방지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비지 생성부는 상기 문자 코드표의 동일 분류에서 상기 원본 문자와 가장 인접한 문자로 상기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 및 일반 가비지 문자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복제 방지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비지 생성부는 인덱스 정보 또는 코드북 정보가 삽입된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를 생성하여 상기 가비지 문자세트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복제 방지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의 생성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내용을 상기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과 비교하여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지 판단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삭제 처리부는 상기 비교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을 자동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복제 방지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의 생성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내용을 스캔 또는 인쇄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스캔 이미지를 상기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과 영역별로 비교하여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영역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복제 방지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표시부와 연동하여 상기 표시부의 활성화 상태에서만 상기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의 생성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복제 방지 시스템.
  9. 가비지 생성부가 암호화된 전자책 컨텐츠를 복호화하면서 가비지 문자의 개수와 원본 문자의 개수에 대한 정보가 미리 설정된 비트 위치에 분산 삽입된 일련의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와 상기 가비지 문자의 개수에 따른 일반 가비지 문자를 포함하는 가비지 문자세트를 생성하는 가비지 생성 단계;
    가비지 삽입부가 상기 전자책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원본 문자 사이에 상기 가비지 문자세트를 삽입하여 난독화 문자열을 생성하는 가비지 삽입 단계;
    표시부가 상기 난독화 문자열에 포함된 상기 코드삽입 가비지 문자를 해석하여 상기 가비지 문자세트에 포함된 각 문자를 비활성화하여 표시하는 표시 단계;
    모니터링부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상기 전자책 컨텐츠의 내용에 대한 캡처 입력에 따라 생성된 임시 파일을 저장하는 클립보드 또는 상기 캡처 입력에 따라 생성된 이미지 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삭제 처리부가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의 생성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임시 파일 또는 이미지 파일을 자동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책 복제 방지 방법.
KR1020140172843A 2014-12-04 2014-12-04 전자책 복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572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843A KR101572242B1 (ko) 2014-12-04 2014-12-04 전자책 복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843A KR101572242B1 (ko) 2014-12-04 2014-12-04 전자책 복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242B1 true KR101572242B1 (ko) 2015-11-26

Family

ID=5484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843A KR101572242B1 (ko) 2014-12-04 2014-12-04 전자책 복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2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756B1 (ko) * 2022-08-08 2023-01-27 미러 주식회사 암호화된 문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와 그 문서 컨텐츠의 뷰어 디바이스
WO2024101597A1 (ko) * 2022-11-11 2024-05-16 주식회사 리로소프트 콘텐츠 무단 복사 무력화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756B1 (ko) * 2022-08-08 2023-01-27 미러 주식회사 암호화된 문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와 그 문서 컨텐츠의 뷰어 디바이스
WO2024101597A1 (ko) * 2022-11-11 2024-05-16 주식회사 리로소프트 콘텐츠 무단 복사 무력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7547B2 (en)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ent protection program
KR101311286B1 (ko) 워터마크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73452B1 (ko) 기업 내부 정보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US8811612B2 (en) Using file metadata for data obfuscation
US20110154063A1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and encryption method and program
US20070014403A1 (en) Controlling distribution of protected content
CN109145617B (zh) 一种基于区块链的数字版权保护方法及系统
CN107784207B (zh) 金融app界面的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559380B1 (ko) 컨텐츠 난독화 장치 및 방법
US8887290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 protection for a browser based content viewer
WO2018006576A1 (zh) 一种pdf文档按页保护的方法
CN104517045B (zh) 数字文档保护方法及系统
Alkawaz et al. Concise analysis of current text automation and watermarking approaches
US8972747B2 (en) Managing information in a document serialization
CN110874456B (zh) 水印嵌入和水印提取方法、装置及数据处理方法
KR101572242B1 (ko) 전자책 복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N103559251A (zh) 基于信息隐藏的数据安全保护方法
Saini A survey on watermarking web contents for protecting copyright
CN107862210A (zh) 加密处理方法、系统和计算机设备
JP6013233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34351A (ko) 보안 유에스비 메모리를 통한 정보 유출 방지시스템 및 방법
KR20110085156A (ko) Usb를 이용한 drm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재생 방법
CN103971032A (zh) 文件防拷贝方法及其系统
KR20190135700A (ko) 스프레드시트 전자 문서의 개체 보호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lfagi et al. Survey on relational database watermarking techn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