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850B1 -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 Google Patents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850B1
KR101571850B1 KR1020130163994A KR20130163994A KR101571850B1 KR 101571850 B1 KR101571850 B1 KR 101571850B1 KR 1020130163994 A KR1020130163994 A KR 1020130163994A KR 20130163994 A KR20130163994 A KR 20130163994A KR 101571850 B1 KR101571850 B1 KR 101571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passage
branch
flow path
conditional ex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6342A (ko
Inventor
조기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63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850B1/ko
Publication of KR20150076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7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porosity, ionic conductivity or thickn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는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냉각수 유로가 형성되는 냉각판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 유로는 냉각수 유입 유로와 냉각수 배출 유로를 연결하고, 선행하는 유로와 서로 다른 길이 또는 서로 다른 지름을 갖는 복수의 분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본 발명은 냉각수의 유동저항을 경감시키는 냉각판 구조를 갖는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연료의 산화에 의해서 생기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킨다. 이러한 연료전지는 에너지 효율이 높고 소음이 적으며 공해물질을 거의 배출하지 않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을 지니고 있다.
여러 가지 형태의 연료전지 중 수소 연료전지는 수소를 연료로 이용하는 전지로서 소형화와 경량화가 가능하여 기존 연소기관을 대체할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가장 활발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다.
연료전지는 작동온도 대역에 따라 분류된다. 예를 들어,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 및 직접 메탄올형 연료전지는 상온 또는 100℃ 이하에서 작동하고, 인산형 연료전지는 150∼200℃ 부근에서 작동하며, 용융탄산염형 연료전지는 600∼700℃의 고온에서 작동하고, 고체 산화물형 연료전지는 1000℃ 이상의 고온에서 작동한다. 이러한 유형의 연료전지는 전기를 발생시키는 기본적인 원리가 유사하지만,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연료의 종류, 촉매, 전해질 등이 서로 다르다.
한편, 전술된 연료전지 중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는 비교적 저온에서 작동이 가능하고 수소개질기를 사용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므로, 최근에 이와 관련된 개발 및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는 애노드 전극, 분리판, 캐소드 전극이 반복 적층으로 이루어지는 셀팩을 포함한다. 여기서, 분리판은 연료전지의 수명 및 효율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의 분리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종래의 분리판(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유로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분리판(10)의 일 면에는 냉각수 유입구(16)와 냉각수 배출구(18)를 연결하는 냉각수 유로(14)가 형성되어 있다. 냉각수 유로(14)는 사행 형태를 가지며, 냉각수 유입구(16)로부터 냉각수 배출구(18)까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한편, 냉각수 유로(14)가 애노드 전극(미도시)과 대면하는 경우, 분리판(10)의 냉각수 유입구(16)를 통해 유입되는 메탄올은 냉각수 유로(14)를 따라 유동하면서 애노드 전극에 공급된다. 그리고 애노드 전극에서 메탄올의 반응 후 생성되는 이산화탄소는, 미반응한 메탄올과 함께 냉각수 유로(14)를 따라 유동하면서 냉각수 배출구(1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냉각수 유로(14)를 따라 이산화탄소와 메탄올이 함께 유동하게 되면, 이산화탄소의 부피만큼 메탄올과 애노드 전극이 접하는 면적이 줄게 되어, 유동저항이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아울러, 종래의 분리판(10)은 냉각수 유로(14)의 폭이 일정하므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냉각수 배출구(18)로 갈수록 늘어나면 애노드 전극에 공급되는 메탄올의 양이 냉각수 배출구(18)로 갈수록 점점 줄어드는 현상을 초래한다.
이러한 현상은 전해질막-전극 접합체에서 발생하는 전류량의 편차를 야기하여, 전해질막-전극 접합체 자체에서 내부 전류를 흐르게 하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연료전지의 출력을 떨어뜨리고 연료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참고로,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 및 2가 있다.
KR 2002-0086641 A KR 2001-0091667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애노드 전극에서 발생하는 기체로 인해 냉각수의 흐름이 방해받지 않으며 애노드 전극 전체에 일정한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냉각수의 유동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는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냉각수 유로가 형성되는 냉각판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 유로는 냉각수 유입 유로와 냉각수 배출 유로를 연결하고, 선행하는 유로와 서로 다른 길이 또는 서로 다른 폭을 갖는 복수의 분기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분기 유로는, 상기 냉각수 유입 유로로부터 등비급수로 분기되는 제1분기 유로; 및 상기 냉각수 배출 유로로부터 등비급수로 분기되는 제2분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에서 상기 제1분기 유로는 하기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Di / Di+1 = 21/3
상기 조건식에서 Di는 상기 냉각수 유입 유로를 i번째 분할한 제1분기 유로의 폭이고, Di+1은 상기 냉각수 유입 유로를 i+1번째 분할한 제1분기 유로의 폭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에서 상기 제2분기 유로는 하기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Wi / Wi+1 = 21/3
상기 조건식에서 Wi는 상기 냉각수 배출 유로를 i번째 분할한 제2분기 유로의 폭이고, Wi+1은 상기 냉각수 배출 유로를 i+1번째 분할한 제2분기 유로의 폭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에서 상기 제1분기 유로는 하기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Li / Li+1 = 2
상기 조건식에서 Li는 상기 냉각수 유입 유로를 i번째 분할한 제1분기 유로의 길이이고, Li+1은 상기 냉각수 유입 유로를 i+1번째 분할한 제1분기 유로의 길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에서 상기 제2분기 유로는 하기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L'i / L'i+1 = 2
상기 조건식에서 L'i는 상기 냉각수 배출 유로를 i번째 분할한 제2분기 유로의 길이이고, L'i+1은 상기 냉각수 배출 유로를 i+1번째 분할한 제2분기 유로의 길이이다.
본 발명은 냉각수의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냉각수 순환에 필요한 동력을 경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반응 기체에 의한 냉각수 유로의 압력손실 및 연료공급면적의 축소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연료전지의 출력 향상 및 연료전지의 수명 연장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셀팩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각판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냉각판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의 압력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종래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의 분리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이하에서 설명되는 냉각판은 종래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의 분리판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임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셀팩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각판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냉각판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의 압력손실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100)는 연료 공급부(110), 연료 혼합부(120), 회수부(130), 전기 공급부(140), 셀팩(20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100)는 필요에 따라 냉각수 순환을 위한 펌프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100)는 자동차, 선박 등 기타 전기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운송수단이나 전기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설비 등에 장착될 수 있다.
다음에서는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100)의 주요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연료 공급부(110)는 연료전기의 화학작용에 필요한 연료를 공급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공급부(110)는 메탄올을 저장하는 저장용기일 수 있다. 연료 공급부(110)는 연료 혼합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공급부(110)는 제1배관을 통해 연료 혼합부(120)와 연결되어, 연료 혼합부(120)에 메탄올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연료 혼합부(120)는 연료와 다른 물질의 혼합이 이루어지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혼합부(120)는 메탄올과 물의 혼합이 이루어지는 용기일 수 있다. 한편, 연료 혼합부(120)는 메탄올과 물의 용이한 혼합이 가능하도록 교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혼합부(120)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복수의 회전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 혼합부(120)는 셀팩(20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혼합부(120)는 제2배관을 통해 셀팩(200)과 연결되어 혼합연료를 셀팩(200)에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연료 혼합부(120)는 회수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료 혼합부(120)는 제3배관을 통해 회수부(130)와 연결되어, 회수부(130)에 저장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회수부(130)는 셀팩(200)으로부터 생성되는 물질의 회수가 이루어지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수부(130)는 셀팩(20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회수가 이루어지는 저장용기일 수 있다. 회수부(130)는 셀팩(200)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수부(130)는 제4배관을 통해 셀팩(200)과 연결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셀팩(200)으로부터 생성되는 물과 이산화탄소를 회수할 수 있다.
전기 공급부(140)는 셀팩(200)을 구성하는 애노드 전극(230) 및 캐소드 전극(240)에 전기를 공급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공급부(140)는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갖는 전원일 수 있다.
셀팩(200)은 다수의 애노드 전극(230), 다수의 캐소드 전극(240), 다수의 냉각판(25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셀팩(200)은 전술된 애노드 전극(230), 캐소드 전극(240), 냉각판(250)의 외부 표면을 감싸는 전해질막-전극 접합체(Membrane-Electrode Assembly : MEA, 2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셀팩(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엔드 플레이트(210, 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엔드 플레이트(210, 220)에는 연료 혼합부(120) 및 회수부(130)와 연결되는 연결관(212, 222)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전술된 구성에서 전해질막-전극 접합체(202)와 냉각판(250)은 셀팩(200)에 실질적으로 전기를 발생시키는 구실을 할 수 있으며, 하나의 단위 셀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 및 본 명세서에서는 셀팩(200)이 하나의 단위 셀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수개 내지 수십 개의 단위 셀이 적층된 형태일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냉각판(250)을 상세히 설명한다.
냉각판(250)은 대체로 사각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판(2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의 판 부재일 수 있다. 아울러, 냉각판(250)은 냉각수의 순환을 위한 유로(260)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유로(260)는 프랙탈(fractal) 또는 헤스앤머레이 법칙(Hess and Murray's Law)을 만족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판(250)의 일 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260)가 형성될 수 있다.
유로(260)는 냉각수 유입 유로(262), 냉각수 배출 유로(264), 및 다수의 분기 유로(270, 28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분기 유로(270, 280)는 냉각수 유입 유로(262)와 냉각수 배출 유로(264)를 다수의 유로로 분할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분기 유로(270)는 하나의 냉각수 유입 유로(262)를 2개 이상의 유로로 분할한 형태일 수 있다. 아울러, 제1분기 유로(270)는 연속적으로 분할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냉각수 유입 유로(262)로부터 6개로 분할된 제1분기 유로(272)는 12개의 제1분기 유로(274)로 재차 분할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12개의 제1분기 유로(274)는 다시 24개의 제1분기 유로(276)로 재차 분할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분기 유로(272, 274, 276)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수 유입 유로(262)를 1차로 분할하여 형성된 제1분기 유로(272)의 폭(D1)은 냉각수 유입 유로(262)의 폭(D0)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냉각수 유입 유로(262)를 2차로 분할하여 형성된 제1분기 유로(274)의 폭(D2)은 냉각수 유입 유로(262)를 1차로 분할하여 형성된 제1분기 유로(272)의 폭(D1)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냉각수 유입 유로(262)를 3번째 분할하여 형성된 제1분기 유로(276)의 폭(D3)은 냉각수 유입 유로(262)를 2번째 분할하여 형성된 제1분기 유로(274)의 폭(D2)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분기 유로(270; 272, 274, 276)는 하기 조건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 Di / Di+1 = 21/3
상기 조건식 1에서 Di는 상기 냉각수 유입 유로를 i(단, i는 0과 자연수)번째 분할한 제1분기 유로의 폭이고, Di+1은 상기 냉각수 유입 유로를 i+1번째 분할한 제1분기 유로의 폭이다.
이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제2분기 유로(280)는 냉각수 배출 유로(264)로부터 복수의 유로로 분할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분기 유로(284)는 하나의 냉각수 배출 유로(264)를 6개의 유로로 분할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제2분기 유로(282)는 각각의 제2분기 유로(284)를 재차 분할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제2분기 유로(282)는 제1분기 유로(276)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분기 유로(282, 284)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수 배출 유로(264)를 1차로 분할하여 형성된 제2분기 유로(284)의 폭(W1)은 냉각수 배출 유로(264)의 폭(W0)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냉각수 배출 유로(264)를 2차로 분할하여 형성된 제2분기 유로(282)의 폭(W2)은 냉각수 배출 유로(264)를 1차 분할하여 형성된 제2분기 유로(284)의 폭(W1)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분기 유로(280; 282, 284)는 하기 조건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2] Wi / Wi+1 = 21/3
상기 조건식 2에서 Wi는 상기 냉각수 배출 유로를 i(단, i는 0과 자연수)번째 분할한 제2분기 유로의 폭이고, Wi+1은 상기 냉각수 배출 유로를 i+1번째 분할한 제2분기 유로의 폭이다.
다만, 냉각수 배출 유로(264)를 2번째 분할하여 형성된 제2분기 유로(282)의 폭(W2)은 냉각수 유입 유로(262)를 3번째 분할하여 형성된 제1분기 유로(276)의 폭(D3)보다 클 수 있다.
한편, 냉각판(250)은 도 4에 도시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판(250)의 분기 유로(270, 280)는 분기 위치에 따라 폭과 길이가 다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냉각판(250)의 제1분기 유로(272)는 냉각수 유입 유로(262)의 폭(D0)보다 작은 폭(D1)을 가지면서, 냉각수 유입 유로(262)의 길이(L0)보다 작은 길이(L1)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1분기 유로(274)의 폭(D2) 및 길이(L2)는 제1분기 유로(272)의 폭(D1) 및 길이(L1)보다 작을 수 있고, 제1분기 유로(276)의 폭(D3) 및 길이(L3)는 제1분기 유로(274)의 폭(D2) 및 길이(L2)보다 작을 수 있고, 제1분기 유로(278)의 폭(D4) 및 길이(L4)는 제1분기 유로(276)의 폭(D3) 및 길이(L3)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1분기 유로(270; 272, 274, 276, 278)의 폭(D1, D2, D3, D4)과 길이(L1, L2, L3, L4)의 축소비율은 조건식 1과 조건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3] Li / Li+1 = 2
상기 조건식 3에서 Li는 상기 냉각수 유입 유로를 i(단, i는 0과 자연수)번째 분할한 제1분기 유로의 길이이고, Li+1(단, i는 0과 자연수)은 상기 냉각수 유입 유로를 i+1번째 분할한 제1분기 유로의 길이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냉각판(250)의 제2분기 유로(286)는 냉각수 배출 유로(264)의 폭(W0)보다 작은 폭(W1)을 가지면서, 냉각수 배출 유로(264)의 길이(L'0)보다 작은 길이(L'1)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2분기 유로(284)의 폭(W2) 및 길이(L'2)는 제2분기 유로(286)의 폭(W1) 및 길이(L'1)보다 작을 수 있고, 제2분기 유로(282)의 폭(W3) 및 길이(L'3)는 제2분기 유로(284)의 폭(W2) 및 길이(L'2)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2분기 유로(280; 282, 284, 286)의 폭(W3, W2, W1)과 길이(L'3, L'2, L'1)의 축소비율은 조건식 2와 조건식 4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4] L'i / L'i+1 = 2
상기 조건식 4에서 L'i는 상기 냉각수 배출 유로를 i(단, i는 0과 자연수)번째 분할한 제2분기 유로의 길이이고, L'i+1은 상기 냉각수 배출 유로를 i+1번째 분할한 제2분기 유로의 길이이다.
위와 같은 구조의 냉각판(250)을 포함하는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100)의 압력손실(삼각형 및 역삼각형의 표시를 연결한 곡선)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연료전지의 압력손실(원형의 표시를 연결한 곡선)보다 매우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100)는 냉각수 순환에 필요한 동력을 경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료전지의 출력 향상 및 연료전지의 수명 연장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형태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사항은 그와 반대되는 설명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100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110 연료 공급부
120 연료 혼합부
130 회수부
140 전기 공급부
200 (연료 전지) 셀팩
210, 220 엔드 플레이트
230 애노드 전극
240 캐소드 전극
250 냉각판
260 유로
270 제1분기 유로
280 제2분기 유로

Claims (6)

  1.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냉각수 유로가 형성되는 냉각판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 유로는 냉각수 유입 유로와 냉각수 배출 유로를 연결하고, 선행하는 유로와 서로 다른 길이 또는 서로 다른 폭을 갖는 복수의 분기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분기 유로는,
    상기 냉각수 유입 유로로부터 등비급수로 분기되는 제1분기 유로; 및
    상기 냉각수 배출 유로로부터 등비급수로 분기되는 제2분기 유로;
    를 포함하는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기 유로는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조건식] Di / Di+1 = 21/3
    (상기 조건식에서 Di는 상기 냉각수 유입 유로를 i번째 분할한 제1분기 유로의 폭이고, Di+1은 상기 냉각수 유입 유로를 i+1번째 분할한 제1분기 유로의 폭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기 유로는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조건식] Wi / Wi+1 = 21/3
    (상기 조건식에서 Wi는 상기 냉각수 배출 유로를 i번째 분할한 제2분기 유로의 폭이고, Wi+1은 상기 냉각수 배출 유로를 i+1번째 분할한 제2분기 유로의 폭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기 유로는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조건식] Li / Li+1 = 2
    (상기 조건식에서 Li는 상기 냉각수 유입 유로를 i번째 분할한 제1분기 유로의 길이이고, Li+1은 상기 냉각수 유입 유로를 i+1번째 분할한 제1분기 유로의 길이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기 유로는 하기 조건식을 만족하는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조건식] L'i / L'i+1 = 2
    (상기 조건식에서 L'i는 상기 냉각수 배출 유로를 i번째 분할한 제2분기 유로의 길이이고, L'i+1은 상기 냉각수 배출 유로를 i+1번째 분할한 제2분기 유로의 길이이다)
KR1020130163994A 2013-12-26 2013-12-26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KR101571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994A KR101571850B1 (ko) 2013-12-26 2013-12-26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994A KR101571850B1 (ko) 2013-12-26 2013-12-26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342A KR20150076342A (ko) 2015-07-07
KR101571850B1 true KR101571850B1 (ko) 2015-11-26

Family

ID=53789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994A KR101571850B1 (ko) 2013-12-26 2013-12-26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18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364B1 (ko) 2018-10-15 2020-09-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0692A (ja) 2001-02-12 2004-07-08 ザ・モーガン・クルーシブル・カンパニー・ピーエルシー フローフィールドプレートジオメトリ
JP2008021652A (ja) 2006-07-10 2008-01-31 Samsung Sdi Co Ltd 冷却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0692A (ja) 2001-02-12 2004-07-08 ザ・モーガン・クルーシブル・カンパニー・ピーエルシー フローフィールドプレートジオメトリ
JP2008021652A (ja) 2006-07-10 2008-01-31 Samsung Sdi Co Ltd 冷却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342A (ko) 201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2627B2 (en) Bipolar plate which has reactant gas channels with variable cross-sectional areas, fuel cell stack, and vehicle comprising such a fuel cell stack
Lim et al. Effects of flow field design on water management and reactant distribution in PEMFC: a review
KR100549683B1 (ko) 고체고분자형 연료전지 어셈블리, 연료전지스택, 및연료전지의 반응가스 공급방법
US20170149071A1 (en) Bipolar plate for a fuel cell and fuel cell stack including a fuel cell
KR102055514B1 (ko) 전지 시스템용 조립 방법과 배열체
US10938040B2 (en) Bipolar plate and a fuel cell stack comprising same
WO2008115559A1 (en) New design of fuel cell and electrolyzer
US7041407B2 (en) Separator plate structure for fuel cell stack
US11108058B2 (en) Bipolar plate and fuel cell
KR101571850B1 (ko)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
CN109830704B (zh) 基于树状流道结构的氢燃料电池双极板
KR101636613B1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이를 갖는 고온형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JP2005056671A (ja) 燃料電池
KR20130076118A (ko) 분기유로를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US20090311576A1 (en) Direct methanol type fuel cell stack and direct methanol type fuel cell system
JP2004134130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2009152069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5123824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および燃料電池スタックの運転方法
US8753784B2 (en) Separator for molten carbonate fuel cell
US8251093B2 (en) Fuel supply apparatus for a combustor
CN210805926U (zh) 一种燃料电池氧极板
KR102540924B1 (ko) 연료전지 스택
US20140377674A1 (en) Fuel cell air flow method and system
KR102601882B1 (ko) 연료전지용 매니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JP5772681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