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811B1 - Device for tightenning up a shoelace with locking lever - Google Patents

Device for tightenning up a shoelace with locking le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811B1
KR101570811B1 KR1020140051835A KR20140051835A KR101570811B1 KR 101570811 B1 KR101570811 B1 KR 101570811B1 KR 1020140051835 A KR1020140051835 A KR 1020140051835A KR 20140051835 A KR20140051835 A KR 20140051835A KR 101570811 B1 KR101570811 B1 KR 101570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lock lever
wheel
hol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8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24804A (en
Inventor
박춘배
Original Assignee
(주)경도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도상사 filed Critical (주)경도상사
Priority to KR1020140051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811B1/en
Publication of KR20150124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8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8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2Slide or glide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산화, 작업화, 운동화 등의 신발에 구비되는 와이어 형태의 신발끈을 잠금레버의 조작에 따라 신속 편리하게 조여 간편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부 내측에 신발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기어가 상방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중심에 축봉이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측에 상기 축봉이 관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신발끈이 외측에 감기며 상부에 회전기어가 설치되는 보빈휠; 상기 보빈휠의 상측에 상기 회전기어가 관통되게 설치되고 하부에 상부기어가 상기 하부기어와 치합되게 하방으로 형성되며 상부 내측에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휠라이너; 상기 휠라이너의 이동공간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으로 위치 이동시 상기 회전기어와 치합되는 클러치기어가 중심 내측에 형성되는 사이드클러치; 상기 축봉과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휠라이너의 상측에 고정되면서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을 덮고 상부에 장공이 형성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장공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커버 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장공에 삽입될 때 상기 클러치기어와 상기 회전기어가 치합되게 상기 사이드클러치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보빈휠과 상기 휠라이너가 상기 신발끈이 감기는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여 상기 신발끈이 풀리지 않게 고정하는 잠금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provided with a lock le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lace fastening device having a lock lev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provided with a lock lever which can be fix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oe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housing space in which a shoelace string is accommodated in an upper portion thereof, a lower gear formed upward along an edge of the housing space, and a shaft rod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housing space; A bobbin wheel install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housing so as to penetrate the shaft rod, the shoelace is wound on the outer side and the rotary gear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A wheel liner in which the rotary gear is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bobbin wheel and a lower space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so that an upper gear is engaged with the lower gear and a moving space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A side clutch movably installed in the moving space of the wheel liner and having a clutch gear meshed with the rotary gear when the position is shifted to one side; A cover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wheel liner by a fastening member engaged with the shaft rod to cover the housing sp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slot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braking mechanism for braking the braking force by moving the side clutch to one side so that the clutch gear and the rotary gea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braking device is pivotally mounted on the elongated hole of the cover, And a locking lever for locking the shoelace so that the shoelace is not loosened by rotating the shoelace only in a winding direction of the shoelace.

Description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Device for tightenning up a shoelace with locking leve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tightening a shoelace with a lock lever,

본 발명은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산화, 작업화, 운동화 등의 신발에 구비되는 와이어 형태의 신발끈을 잠금레버의 조작에 따라 신속 편리하게 조여 간편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having a lock le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lace fastening device having a lock lev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provided with a lock lever which can be fixed.

일반적으로 운동화, 등산화, 안전화 등의 신발에는 신발 내부에 수용되는 발이 신발과 일체를 이루어 걷거나 뛸 때 발이 신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신발끈이 구비된다. In general, shoes such as sneakers, mountaineering shoes, safety shoes, etc. are provided with shoelaces which are integrated with the shoe so that the shoes are not separated from the shoe when walking or running.

이러한 신발끈은 지그재그 형태로 신발의 발등 부분에 연결된 후 양단이 다양한 형태의 매듭으로 상호 풀어지지 않게 고정된 상태가 된다. 그러나 걷거나 뛸 때 발의 모양 변화에 따라 신발끈이 당겨지다가 느슨해지는 과정을 반복하는 등의 원인에 의해 매듭이 해제되면서 신발끈의 양단이 쉽게 풀리는 단점이 있었다. These shoelaces are connected in a zigzag form to the instep portion of the shoe, and the both ends are fixed so as not to be mutually loosened by various types of knots.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both ends of the shoelace are easily loosened because the knot is released due to the fact that the shoelace is pulled and loosened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foot when walking or leaning.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신발끈을 와이어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와이어 형태의 신발끈 양단을 조여서 고정하는 신발끈 조임장치가 개발되어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drawbacks, a shoelace fastening apparatus has been developed which is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wire as a shoelace and fastened at both ends of the wire-like shoelace.

상기한 종래의 신발끈 조임장치 대부분은 다이얼캡을 상부로 들어 올리면 신발끈 고정기능이 상실되어 다이얼캡과 릴의 일방향 회전 조작으로 신발끈을 팽팽하게 조이거나 발을 움직이거나 손으로 신발끈을 느슨하게 할 수 있고 다이얼캡을 하부로 밀어 내리면 신발끈 고정기능이 발휘되어 신발끈이 느슨하게 풀리지 않게 할 수 있는 구조이다.Most of the conventional shoelace fastening devices described above are constructed such that when the dial cap is lifted to the upper side, the shoelace fastening function is lost and the shoelace string is tightly tightened by the one-directional rotation operation of the dial cap and reel, If the dial cap is pushed downward, the shoestring fixing function is exerted to prevent the shoestring from loosening.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신발끈 조임장치는 걷거나 뛸 때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이나 진동 등에 의해 원치 않게 쉽게 들어 올려지면서 신발끈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신발끈이 쉽게 느슨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hoelace fasten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the shoelace is easily loosened because the shoelace fastening device is released when the shoelace fastening device is unexpectedly lifted due to force or vibration applied from the outside when walking or running.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204938호, 2003.11.06.자 공개.U.S.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03/0204938, November 6, 200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신발에 구비되는 와이어 형태의 신발끈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이고 풀 수 있는 구조와 함께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ck lever having a structure that can quickly and conveniently fasten and loosen a wi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elace fastening device for a shoelac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는, 상부 내측에 신발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기어가 상방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중심에 축봉이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측에 상기 축봉이 관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신발끈이 외측에 감기며 상부에 회전기어가 설치되는 보빈휠; 상기 보빈휠의 상측에 상기 회전기어가 관통되게 설치되고 하부에 상부기어가 상기 하부기어와 치합되게 하방으로 형성되며 상부 내측에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휠라이너; 상기 휠라이너의 이동공간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으로 위치 이동시 상기 회전기어와 치합되는 클러치기어가 중심 내측에 형성되는 사이드클러치; 상기 축봉과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휠라이너의 상측에 고정되면서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을 덮고 상부에 장공이 형성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장공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커버 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장공에 삽입될 때 상기 클러치기어와 상기 회전기어가 치합되게 상기 사이드클러치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보빈휠과 상기 휠라이너가 상기 신발끈이 감기는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여 상기 신발끈이 풀리지 않게 고정하는 잠금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oelacech tighten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lock lever, comprising: a housing space in which a shoelace string is accommodated in an upper portion thereof; a lower gear is formed upwardly along an edge of the housing space; A housing in which a shaft rod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space; A bobbin wheel install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housing so as to penetrate the shaft rod, the shoelace is wound on the outer side and the rotary gear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A wheel liner in which the rotary gear is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bobbin wheel and a lower space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so that an upper gear is engaged with the lower gear and a moving space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A side clutch movably installed in the moving space of the wheel liner and having a clutch gear meshed with the rotary gear when the position is shifted to one side; A cover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wheel liner by a fastening member engaged with the shaft rod to cover the housing space of the housing and having a slot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braking mechanism for braking the braking force by moving the side clutch to one side so that the clutch gear and the rotary gea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braking device is pivotally mounted on the elongated hole of the cover, And a locking lever which is rotated onl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trap is wound so that the shoelace is not loosened.

상기 사이드클러치는, 상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이동공과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레버는, 일단이 힌지핀에 의해 상기 커버의 장공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 하측에 상기 잠금레버가 상기 장공에 삽입될 때 상기 위치이동공에 회동 삽입되면서 상기 사이드클러치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위치이동돌부가 돌설되며, 다단 하측에 상기 잠금레버가 상기 장공에 삽입될 때 상기 고정공에 삽입 고정되면서 상기 사이드클러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돌부가 돌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lock lever is pivotally coupled to the elongated hole of the cover by a hinge pin at one end thereof and the lock lever is pivotably connected to the elongated hole of the cover at one end of the lock lever, A position shifting protrusion for moving the side clutch to one side is inserted while being pivotally inserted into the position shifting hole when the locking lever is inserted into the slot, and when the locking lever is inserted into the slot, And a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fixing protrusion.

상기 사이드클러치의 고정공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잠금레버의 고정돌부에는, 고정턱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잠금레버가 상기 장공에 삽입될 때 상기 고정턱이 상기 걸림턱을 넘어서 걸림되면서 상기 잠금레버가 상기 장공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fixing hole of the side clutch, and a fix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locking lever so that when the locking lever is inserted into the slot, the fixing protrusion is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And the lock lever is inserted into the slot.

상기 잠금레버의 위치이동돌부 하측은, 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클러치의 위치이동공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레버가 상기 장공에 삽입될 때 상기 곡면이 상기 경사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위치이동돌부가 회동하여 상기 사이드클러치가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a curved surface is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position shifting projection of the lock lever and a sloped surfac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osition shift hole of the side clutch so that when the lock lever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And the movable stalk portion is rotated so that the side clutch is moved to one side.

상기 잠금레버의 단부에는, 상기 신발끈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잠금레버를 상기 커버의 장공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회동시킬 때 사용하는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groove is formed at an end of the lock lever for rotating the lock lever in an outward direction from the slot of the cover in order to release the shoelace fixation state.

상기 커버는, 상기 휠라이너의 상측에서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휠라이너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1통공과 제2통공이 형성되는 플랜지휠; 및 상기 플랜지휠의 상측에 결합 고정되고 상면에 상기 제1통공과 제2통공과 연통되게 제3통공이 형성되는 휠커버;로 분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cover comprises: a flange wheel coupled to the housing at an upper side of the wheel liner and integrally fixed to the wheel liner and having a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through hole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And a wheel bar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lange wheel and having an upper surface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and a third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상기 커버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파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plurality of gripp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ver.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잠금레버의 회동 조작에 따라 신발끈이 견고하게 고정되거나 신속하게 고정 해제되는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신발끈 조임장치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킴으로써 등산화, 안전화, 운동화 등을 편리하게 착용하여 등산, 작업, 운동 등을 안전하게 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construction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the shoelace string is firmly fixed or quickly disengaged according to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lock lever operated by the user,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Safety, sneakers, and the like can be conveniently worn to perform climbing, work, and exercise safel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의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의 보빈휠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의 휠라이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의 사이드클러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의 사이드클러치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의 플랜지휠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의 휠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의 잠금레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의 잠금 해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lace fastening apparatus having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oe strap fastening apparatus having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using of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having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bbin wheel of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having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heel liner of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having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de clutch of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having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clutch of a shoe strap tightening device provided with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ange wheel of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having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heel bar of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having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ck lever of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having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locking state of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having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2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unlocked state of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having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등산화, 작업화, 운동화 등의 신발에 구비되는 신발끈을 묶고 푸는 수고를 덜어 보행 안전성을 보장하고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진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lace fastening apparatus having a lock lever for the purpose of ensuring walking safety by relieving the trouble of tying up and loosening a shoelace provided in shoes such as shoeing, work shoes and running shoes, and improving work efficiency.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는 신발끈이 조여서 고정된 상태에서 걷거나 뛸 때 사용자의 조작이 아닌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이나 진동 등에 의해 신발끈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는 폐단을 해소함으로써 상기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In particular, the shoelace tightening device provided with the lock l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hoelace is tightened and fixed, when the shoelace is not fixed by the physical force or vibration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above-mentioned object can be effectively achieved.

이러한 특징은 하부기어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신발끈이 일방향으로 감기며 회전기어가 구비된 보빈휠, 상기 보빈휠의 상측에 설치되고 하부기어와의 치합으로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하는 상부기어가 구비된 휠라이너, 상기 휠라이너의 상측 내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 위치에 따라 회전기어와 치합되는 클러치기어가 내측에 구비된 사이드클러치, 상기 휠라이너의 상측에서 하우징과 결합된 플랜지휠, 상기 플랜지휠의 상측에 설치되는 휠커버, 상기 휠커버의 내측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사이드클러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 조작에 따라 사이드클러치를 직선 이동시켜 회전기어와 치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잠금레버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The bobbin wheel is mounted on the bobbin wheel. The bobbin wheel is rotatable in one direction by engagement with the lower gear. A side clutch disposed inside the upper side of the wheel liner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and having a clutch gear meshed with the rotary gear according to a moving position, And the other e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ide clutch so that the side clutch is linearly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turning operation to engage with the rotary gear, Or separates the locking lever from the locking lever.

따라서 잠금레버를 하방으로 회동 조작하여 잠금레버의 타단을 사이드클러치에 결합시키면, 사이드클러치가 잠금레버에 의해 일측으로 직선 이동하여 사이드클러치의 클러치기어와 보빈휠의 회전기어가 치합되면서 보빈휠과 사이드클러치는 일체로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Therefore, when the lock lever is rotated downward and the other end of the lock lever is engaged with the side clutch, the side clutch is linearly moved to one side by the lock lever so that the clutch gear of the side clutch is engaged with the rotary gear of the bobbin wheel, The clutch can be rotated integrally in only one direction.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휠커버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보빈휠과 사이드클러치도 휠커버와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신발끈이 보빈휠에 일방향으로 감겨 팽팽하게 조여진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When the wheel barber is rotated in one direction in the above-described state, the bobbin wheel and the side clutch rotate in one direction together with the wheel barber, so that the shoelace is wound on the bobbin wheel in one direction to maintain a tightly tightened state.

그리고 잠금레버를 상방으로 회동 조작하여 잠금레버의 타단이 사이드클러치에서 분리시키면, 사이드클러치가 잠금레버에 의해 타측으로 직선 이동하여 사이드클러치의 클러치기어와 보빈휠의 회전기어가 분리되면서 보빈휠은 사이드클러치의 구속으로부터 벗어나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When the lock lever is rotated upward to release the other end of the lock lever from the side clutch, the side clutch is linearly moved to the other side by the lock lever, so that the clutch gear of the side clutch and the rotary gear of the bobbin wheel are disengaged, The clutch can be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out of the restraint of the clutch.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보빈휠이 휠라이너와 사이드클러치와 달리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되면서 신발끈을 풀어서 신발을 신고 벗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this state, the bobbin wheel is freely rotatable unlike the wheel liner and the side clutch, so that the shoelace can be loosened and the shoe can be taken off and taken off.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shoe strap fastening apparatus having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의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의 보빈휠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의 휠라이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lace fastening apparatus having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oe strap fastening apparatus having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ing of a shoelace tightening apparatus having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lace tightening apparatus having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heel liner of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having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의 사이드클러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의 사이드클러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의 플랜지휠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의 휠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의 잠금레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ide clutch of a shoelace tightening apparatus having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strap fastening apparatus having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ange wheel of a shoelace fastening apparatus having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ck lever of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having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ck lever of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110), 보빈휠(120), 휠라이너(130), 사이드클러치(140), 커버(150), 및 잠금레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 and 2, a shoe strap fastening apparatus 100 having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 a bobbin wheel 120, a wheel liner 130, A side clutch 140, a cover 150, and a lock lever 160. [

먼저, 상기 하우징(110)은 신발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신발끈의 양단이 수용되어 감기는 공간과 상기한 구성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 3과 같이 상부 내측에 수용공간(1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기어(112)가 상방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11)의 중심에 축봉(113)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As shown in FIG. 3, the housing 110 is provided with a housing space 111 (see FIG. 3) for accommodating both ends of the shoelace while the shoe strap is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shoe, A lower gear 112 is formed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1 and a shaft 113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1. [

즉, 신발끈의 양단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1) 내측에 후술할 보빈휠(120), 휠라이너(130), 사이드클러치(140)가 축봉(113)을 중심으로 차례대로 설치된 상태에서 후술할 커버(150)에 의해 수용공간(111)의 상부가 덮이는 것이다. In a state where the bobbin wheel 120, the wheel liner 130 and the side clutch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sequentially installed around the shaft rod 113 in the housing space 111 in which both ends of the shoelace are accommodated, And the upper part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1 is covered by the cover 150. [

이때 하우징(110)의 일측과 타측에는 신발끈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삽입되어 후술할 보빈휠(1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인출되는 신발끈삽입공(114)이 각각 형성된다. At this tim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hoelace are inserted in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10, respectively, and the shoelace insertion holes 114 are drawn out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bobbin wheel 120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상기 보빈휠(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1) 내측에서 수용공간(111)으로 수용되는 신발끈이 회전 방향에 따라 감기는 것으로, 도 4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1) 내측에 축봉(113)이 중심을 관통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신발끈이 감기며 상부에 회전기어(121)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Next, the bobbin wheel 120 is formed in a shape as shown in FIG. 4 by winding a shoelace string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1 inside the housing space 111 of the housing 110 along the rotating direction A shaft rod 113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center of the housing space 111 of the housing 110 and a shoelace string is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rotary gear 121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즉, 보빈휠(120)은 일측 방향으로 회전될 때 신발끈이 외주면에 감기면서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고, 타측 방향으로 회전될 때 외주면에 감긴 신발끈이 풀리면서 느슨하게 풀어지게 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bobbin wheel 12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shoelace string is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pulled tightly. When the bobbin wheel 12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shoelace string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loosened and loosened.

다음으로, 상기 휠라이너(130)는 상기 보빈휠(1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것으로, 도 5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보빈휠(120)의 상측에 회전기어(121)가 관통되게 설치되고 하부 양측에 상부기어(131)가 하우징(110)의 하부기어(112)와 치합되게 하방으로 형성되며 상부 내측에 이동공간(132)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The wheel liner 13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bbin wheel 120 and rotates only in one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The wheel liner 130 is formed as shown in FIG. And a moving space 132 is form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gear 131 so as to engage with the lower gear 112 of the housing 110. [ to be.

즉, 휠라이너(130)는 하우징(110)의 하부기어(112)에 치합되는 상부기어(131)에 의해 보빈휠(120)과는 별도로 보빈휠(120)에 의해 신발끈이 감기는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것이다. That is, the wheel liner 13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in which the shoelace is wound by the bobbin wheel 120 separately from the bobbin wheel 120 by the upper gear 131 engaged with the lower gear 112 of the housing 110 It is only rotated.

다음으로, 상기 사이드클러치(140)는 상기 휠라이너(130)의 이동공간(132) 내측에서 이동 위치에 따라 상기 보빈휠(120)과 휠라이너(130)가 일체로 회전되게 하는 것으로, 도 6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휠라이너(130)의 이동공간(132)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으로 이동시 상기 보빈휠(120)의 회전기어(121)와 치합되는 클러치기어(141)가 중심 내측에 형성되는 구성이다. The side clutch 140 causes the bobbin wheel 120 and the wheel liner 130 to rotate integrally according to the moving position inside the moving space 132 of the wheel liner 130, And a clutch gear 141 which is movably installed inside the movement space 132 of the wheel liner 130 and engages with the rotary gear 121 of the bobbin wheel 120 when it is moved to one side, As shown in Fig.

즉, 사이드클러치(140)는 일측으로 이동되면 클러치기어(141)가 보빈휠(120)의 회전기어(121)와 치합되면서 보빈휠(120)이 휠라이너(130)를 일체로 구성되어 휠라이너(130)와 동일하게 신발끈이 감기는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side clutch 140 is moved to one side, the clutch gear 141 is engaged with the rotary gear 121 of the bobbin wheel 120, and the bobbin wheel 1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wheel liner 130, The shoelace is rotated only in one direction in which the shoelace is wound in the same manner as the shoe 130.

이때 도 7과 같이 사이드클러치(140)의 상부 일측에는 위치이동공(142)이 형성되고 그 상부 타측에는 고정공(14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공(143)에는 걸림턱(143a)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위치이동공(142) 일측에는 경사면(142a)이 형성된다. 7, a position shift hole 14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side clutch 140, and a fixing hole 143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sition shift hole 142. [ A locking protrusion 143a protrudes from the fixing hole 143 and an inclined surface 142a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ositioning hole 142. [

다음으로, 상기 커버(150)는 상기 휠라이너(13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1)을 덮는 것으로, 축봉(113)과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휠라이너(130)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어 수용공간(111)을 완전히 덮는 구성이다. The cover 15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wheel liner 130 to cover the accommodation space 111 of the housing 110 and is fastened to the wheel liner 130 So as to completely cover the accommodation space 111. As shown in Fig.

즉, 커버(150)는 신발끈을 보빈휠(120)에 감기도록 휠라이너(130)를 외부에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이다. 이때 커버(150)의 상부에는 사이드클러치(140)의 위치이동공(142)과 고정공(143)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공(151)이 형성된다. That is, the cover 150 is a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wheel liner 130 to the outside so as to wind the shoelace string around the bobbin wheel 120. At this time, an elongated hole 151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150 such that the position shifting hole 142 and the fixing hole 143 of the side clutch 140 are exposed to the outside.

이때 커버(150)의 외주면에는 커버(150)의 회전 조작시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파지홈(152)이 빙둘러 형성된다. 한편, 커버(150)는 도 2와 같이 플랜지휠(150a)과 휠커버(150b)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plurality of gripping grooves 152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150 so as to prevent slippage dur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cover 150 and to easily rotate. The cover 150 may be divided into a flange wheel 150a and a wheel cover 150b as shown in FIG.

상기 플랜지휠(150a)은 하우징(110)의 수용공간을 덮고 휠라이너(130)에 고정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플랜지휠(150a)의 일측과 타측에는 사이드클러치(140)의 위치이동공(142)과 고정공(143)을 각각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통공(151a)과 제2통공(152a)이 형성된다. The flange wheel 150a covers the housing space of the housing 110 and is fixed to the wheel liner 130. As shown in FIG. 8,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lange wheel 150a are provided with a first through hole 151a and a second through hole 142b, respectively, which expose the position shift hole 142 and the fixing hole 143 of the side clutch 140, respectively, 152a are formed.

상기 휠커버(150b)는 플랜지휠(150a)의 상측에 결합 고정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도 9와 같이 휠커버(150b)의 상부에는 상기 플랜지휠(150a)의 제1통공(151a)과 제2통공(152a)과는 연통되는 제3통공(151b)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통공(151a)과 제2통공(152a) 및 제3통공(151b)은 커버(150)의 장공(151)과 대응되는 구성이다.
The wheel barber 150b is configured to be coupled and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flange wheel 150a. 9, a third through hole 151b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through hole 151a of the flange wheel 150a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52a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heel cover 150b. That is, the first through-hole 151a, the second through-hole 152a, and the third through-hole 151b correspond to the elongated hole 151 of the cover 150.

마지막으로, 상기 잠금레버(160)는 도 10과 같은 형태로서 커버(150)의 장공(15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커버(150) 측으로 회동되면서 커버(150)의 장공(151)에 삽입될 때 사이드클러치(140)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보빈휠(120)과 휠라이너(130)가 신발끈이 감기는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여 상기 신발끈이 풀리지 않게 고정하는 구성이다. 10, the lock lever 16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long hole 151 of the cover 150 and is pivoted toward the cover 150 to be inserted into the long hole 151 of the cover 150 The side clutch 140 is moved to one side so that the bobbin wheel 120 and the wheel liner 130 are rotated onl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hoelace string is wound so that the shoelace string is fixed without being loosened.

즉, 잠금레버(160)는 커버(150)의 장공(151)에 삽입되면서 사이드클러치(140)를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이드클러치(140)의 클러치기어(141)와 보빈휠(120)의 회전기어(121)가 상호 치합되어 사이드클러치(140)와 함께 회전하는 휠라이너(130)에 의해 보빈휠(120)이 신발끈이 감기는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여 신발끈이 풀리지 않게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lock lever 160 is inserted into the slot 151 of the cover 150 to move the side clutch 140 in one direction to rotate the clutch gear 141 of the side clutch 140 and the rotation of the bobbin wheel 120 The bobbin wheel 120 is rotated only i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shoelace by the wheel liner 130 rotating with the side clutch 140 so that the shoelace is not loosened.

이때 잠금레버(160)의 일단은 힌지핀(161)에 의해 커버(150)의 장공(15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At this time, one end of the lock lever 16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lot 151 of the cover 150 by the hinge pin 161.

그리고 잠금레버(160)의 일단 하측에는 잠금레버(160)가 장공(151)에 삽입될 때 사이드클러치(140)의 위치이동공(142)에 회동 삽입되면서 사이드클러치(140)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위치이동돌부(162)가 돌설된다. When the lock lever 160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151 at one end of the lock lever 160, the side clutch 140 is moved to one sid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position shift hole 142 of the side clutch 140 The locating protrusion 162 is projected.

또한, 잠금레버(160)의 다단 하측에는 잠금레버(160)가 장공(151)에 삽입될 때 사이드클러치(140)의 고정공(143)에 삽입 고정되면서 사이드클러치(140)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키는 고정돌부(163)가 돌설된다. The lock lever 160 is fixedly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43 of the side clutch 140 when the lock lever 160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151 at the lower end of the lock lever 160, A fixed protrusion 163 is formed.

한편, 잠금레버(160)의 고정돌부(163)에는 고정턱(163a)이 돌출 형성되어, 잠금레버(160)가 커버(150)의 장공(151)에 삽입될 때 상기 고정턱(163a)이 사이드클러치(140)의 걸림턱(143a)을 넘어 고정되면서 잠금레버(160)가 커버(150)의 장공(151)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The fixing protrusion 163a protrudes from the fixing protrusion 163 of the locking lever 160 so that when the locking lever 160 is inserted into the slot 151 of the cover 150, The state where the lock lever 160 is inserted into the slot 151 of the cover 150 is maintained while being fixed over the engaging step 143a of the side clutch 140. [

그리고 잠금레버(160)의 위치이동돌부(162) 하측은 곡면(162a)이 형성되어, 잠금레버(160)가 커버(150)의 장공(151)에 삽입될 때 위치이동돌부(162)의 곡면(162a)이 사이드클러치(140)의 경사면(142a)에 밀착되면서 위치이동돌부(162)가 회동하면서 사이드클러치(140)가 원활하게 일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A curved surface 162a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osition moving projection 162 of the lock lever 160 so that the curved surface 162a of the position moving projection 162 when the lock lever 160 is inserted into the slot 151 of the cover 150 The side clutch 140 is smoothly moved to one side while the position shifting protrusion 162 is rotated while the pinion gear 162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lant surface 142a of the side clutch 140. [

여기서 잠금레버(160)의 단부에는 도 10과 같이 요홈(164)이 형성되는데, 상기 요홈(164)은 신발끈을 풀기 위해 커버(150)의 장공(151)에 삽입된 잠금레버(160)를 외측방향으로 회동시킬 때 손끝으로 용이하게 당겨서 빼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a groove 164 is formed at the end of the lock lever 160. The groove 164 is formed in the lock lever 160 inserted in the slot 151 of the cover 150 to unlock the shoelace Thereby providing a space that can be easily pulled out by a fingertip when rotating it in the outward direc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의 작동 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n operation of a shoelace fastening apparatus having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의 잠금 해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FIG. 11 is a state view showing a locking state of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having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lace tightening device having a lock le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the unlocked state.

먼저, 도 11과 같이 잠금레버(160)가 커버(150)의 장공(151)에 삽입되면 잠금 상태가 되는데, 이때는 사이드클러치(140)가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클러치기어(141)가 보빈휠(120)의 회전기어(121)와 치합되어 보빈휠(120)이 사이드클러치(140)에 의해 휠라이너(130)와 함께 하우징(110)의 하부기어(112)를 따라 신발끈이 감기는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11, when the lock lever 160 is inserted into the slot 151 of the cover 150, the lock gear 160 is locked. At this time, as the side clutch 140 is moved to one side, the clutch gear 141 is moved to the bobbin wheel 120 The bobbin wheel 120 is engaged with the wheel liner 130 by the side clutch 140 only in one direction in which the shoelace is wound along the lower gear 112 of the housing 110 And is in a rotatable state.

상기 상태에서는 커버(150)를 통해 보빈휠(12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신발이 발에 맞도록 신발끈을 감으면 된다. 그러다가 신발끈이 적절하게 감긴 후에는 커버(150)를 그대로 놓으면 보빈휠(120)은 휠라이너(130)에 의해 신발끈이 풀리는 타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으므로 신발끈의 장력이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In this state, the bobbin wheel 12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rough the cover 150, and the shoelace is wound around the shoe so as to fit the foot. After the shoe strap is properly wound, if the cover 150 is left as it is, the bobbin wheel 120 is not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in which the shoe strap is loosened by the wheel liner 130, so that the tension of the shoelace string is maintained.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신발끈이 팽팽하게 감겨 고정된 상태에서 신발을 벗고자 할 때는 도 12와 같이 잠금레버(160)를 외측 방향으로 회동시켜 커버(150)의 장공(151)에서 빼내면 된다. Next, as shown in FIG. 12, when the shoe strap is tightly wound and fixed and the shoe is to be removed, the lock lever 160 is rotated outward to be taken out of the slot 151 of the cover 150 .

그러면 잠금레버(160)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된 사이드클러치(14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클러치기어(141)가 보빈휠(120)의 회전기어(121)와 이격되어 보빈휠(12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휠라이너(130)로부터 자유로워지면서 타방향으로도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The side clutch 140 moved to one side by the lock lever 16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clutch gear 141 is separated from the rotary gear 121 of the bobbin wheel 120, It is free from the wheel liner 130 rotatable only in one direction, and is also rotatable in the other direction.

상기 상태에서 신발끈을 당기거나 발을 움직이면 보빈휠(120)만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팽팽하게 당겨진 신발끈이 쉽게 느슨하게 풀려 신발을 간편하게 벗을 수 있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shoelace is pulled or the foot is moved, only the bobbin wheel 120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shoelace string pulled up in tension can be easily loosened and the shoe can be easily removed.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include not only the above embodiments but also various other modifi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100: 신발끈 조임장치
110: 하우징
111: 수용공간
112: 하부기어
113: 축봉
114: 신발끈삽입공
120: 보빈휠
121: 회전기어
130: 휠라이너
131: 상부기어
132: 이동공간
140: 사이드클러치
141: 클러치기어
142: 위치이동공
142a: 경사면
143: 고정공
143a: 걸림턱
150: 커버
151: 장공
152: 파지홈
150a: 플랜지휠
151a: 제1통공
152a: 제2통공
150b: 휠커버
151b: 제3통공
160: 잠금레버
161: 힌지핀
162: 위치이동돌부
162a: 곡면
163: 고정돌부
163a: 고정턱
100: shoelace fastening device
110: Housing
111: accommodation space
112: Lower gear
113: shaft
114: shoelace insert ball
120: Bobbin wheel
121: rotary gear
130: Wheel Liner
131: Upper gear
132: Moving space
140: Side clutch
141: clutch gear
142: Positioning ball
142a:
143: Fixed ball
143a:
150: cover
151: Long hole
152: gripping groove
150a: Flange wheel
151a: first through hole
152a: second through hole
150b: wheel chair
151b: third through hole
160: Lock lever
161: Hinge pin
162:
162a:
163:
163a:

Claims (7)

상부 내측에 신발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기어(112)가 상방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11)의 중심에 축봉(113)이 설치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1) 내측에 상기 축봉(113)이 관통되게 설치되고 상기 신발끈이 외측에 감기며 상부에 회전기어(121)가 설치되는 보빈휠(120);
상기 보빈휠(120)의 상측에 상기 회전기어(121)가 관통되게 설치되고 하부에 상부기어(131)가 상기 하부기어(112)와 치합되게 하방으로 형성되며 상부 내측에 이동공간(132)이 형성되는 휠라이너(130);
상기 휠라이너(130)의 이동공간(132)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으로 위치 이동시 상기 회전기어(121)와 치합되는 클러치기어(141)가 중심 내측에 형성되는 사이드클러치(140);
상기 축봉(113)과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휠라이너(130)의 상측에 고정되면서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1)을 덮고 상부에 장공(151)이 형성되는 커버(150); 및
상기 커버(150)의 장공(15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커버(150) 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장공(151)에 삽입될 때 상기 클러치기어(141)와 상기 회전기어(121)가 치합되게 상기 사이드클러치(140)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보빈휠(120)과 상기 휠라이너(130)가 상기 신발끈이 감기는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여 상기 신발끈이 풀리지 않게 고정하는 잠금레버(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
A receiving space 111 in which a shoelace string is accommodated is formed inside the upper portion and a lower gear 112 is formed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receiving space 111 and a shaft 113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eceiving space 111 A housing 110 to be installed;
A bobbin wheel 120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space 111 of the housing 110 so as to penetrate the shaft rod 113 and having the shoelace string wound on the outer side and the rotary gear 121 installed on the upper side;
The rotary gear 121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bbin wheel 120 and the upper gear 131 is downwardly engaged with the lower gear 112 and the moving space 132 is formed inside the upper part. A wheel liner 130 formed;
A side clutch 140 movably installed in the movement space 132 of the wheel liner 130 and having a clutch gear 141 formed inside the center thereof to engage with the rotary gear 121 when the position is moved to one side;
A cover 150 which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wheel liner 130 by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shaft rod 113 and covers the housing space 111 of the housing 110 and has a slot 151 formed therein; And
The clutch gear 141 and the rotary gear 121 are rotatably mounted on the elongated hole 151 of the cover 150 and rotated toward the cover 150, A lock lever 160 for moving the side clutch 140 to one side so that the bobbin wheel 120 and the wheel liner 130 are rotated onl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hoelace string is wound so as to fix the shoe strap so as not to be loosened; Wherein the shoelace fasten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lock le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클러치(140)는,
상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이동공(142)과 고정공(143)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레버(160)는,
일단이 힌지핀(161)에 의해 상기 커버(150)의 장공(15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 하측에 상기 잠금레버(160)가 상기 장공(151)에 삽입될 때 상기 위치이동공(142)에 회동 삽입되면서 상기 사이드클러치(140)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위치이동돌부(162)가 돌설되며, 다단 하측에 상기 잠금레버(160)가 상기 장공(151)에 삽입될 때 상기 고정공(143)에 삽입 고정되면서 상기 사이드클러치(140)를 고정시키는 고정돌부(163)가 돌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clutch (140)
A positioning hole 142 and a fixing hole 143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respectively,
The lock lever (160)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longated hole 151 of the cover 150 by a hinge pin 161 at one end,
When the lock lever 160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151, the position shifting protrusion 162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 shift hole 142 to move the side clutch 140 to one side And a fixing protrusion 163 for fixing the side clutch 14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fixing hole 143 when the lock lever 160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151 at a lower end thereof. Wherein the shoelace fasten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lock lev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클러치(140)의 고정공(143)에는,
걸림턱(143a)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잠금레버(160)의 고정돌부(163)에는,
고정턱(163a)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잠금레버(160)가 상기 장공(151)에 삽입될 때 상기 고정턱(163a)이 상기 걸림턱(143a)을 넘어서 걸림되면서 상기 잠금레버(160)가 상기 장공(151)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fixing hole 143 of the side clutch 140,
A locking protrusion 143a is protruded,
On the fixed protruding portion 163 of the lock lever 160,
The fixing jaw 163a is formed to protrude,
When the lock lever 160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151, the fastening protrusion 163a is caught by the fastening protrusion 143a and the lock lever 160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151 Wherein the shoelace fasten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lock lev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160)의 위치이동돌부(162) 하측은,
곡면(162a)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클러치(140)의 위치이동공(142) 일측에,
경사면(142a)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레버(160)가 상기 장공(151)에 삽입될 때 상기 곡면(162a)이 상기 경사면(142a)에 밀착되면서 상기 위치이동돌부(162)가 회동하여 상기 사이드클러치(140)가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lower side of the locating protrusion 162 of the lock lever 160 is provided with a lock-
A curved surface 162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ositioning hole 142 of the side clutch 140,
An inclined surface 142a is formed,
When the lock lever 160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151, the curved surface 162a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142a and the position moving protrusion 162 is rotated to move the side clutch 140 to one side Wherein the shoelace fasten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lock le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160)의 단부에는,
상기 신발끈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잠금레버(160)를 상기 커버(150)의 장공(151)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회동시킬 때 사용하는 요홈(16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the end of the lock lever 160,
Wherein the lock lever is formed with a groove (164) used to turn the lock lever (160) outward from the slot (151) of the cover (150) in order to release the shoelace fixed state A shoelace fastening devic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50)는,
상기 휠라이너(130)의 상측에서 상기 하우징(110)과 결합되어 상기 휠라이너(130)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1통공(151a)과 제2통공(152a)이 형성되는 플랜지휠(150a); 및
상기 플랜지휠(150a)의 상측에 결합 고정되고 상면에 상기 제1통공(151a)과 제2통공(152a)과 연통되게 제3통공(151b)이 형성되는 휠커버(150b);로 분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150)
A first through hole 151a and a second through hole 152a ar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heel liner 130 and are integrally fixed to the wheel liner 130 by being coupled with the housing 110 A flange wheel 150a; And
And a wheel cover 150b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lange wheel 150a and has a first through hole 151a and a third through hole 151b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through hole 152a,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elace fasten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locking le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50)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파지홈(15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레버가 구비된 신발끈 조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150,
Wherein a plurality of gripping grooves (152) are formed in the shoe string fastening device.
KR1020140051835A 2014-04-29 2014-04-29 Device for tightenning up a shoelace with locking lever KR1015708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835A KR101570811B1 (en) 2014-04-29 2014-04-29 Device for tightenning up a shoelace with locking le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835A KR101570811B1 (en) 2014-04-29 2014-04-29 Device for tightenning up a shoelace with locking le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804A KR20150124804A (en) 2015-11-06
KR101570811B1 true KR101570811B1 (en) 2015-11-27

Family

ID=5460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835A KR101570811B1 (en) 2014-04-29 2014-04-29 Device for tightenning up a shoelace with locking le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81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684A (en) 2018-12-18 2020-06-26 정연도 Knotting device
WO2020209582A1 (en) * 2019-04-10 2020-10-15 하민우 Wire tighten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0127A (en) * 2018-08-31 2021-06-08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Automatic lacing footwear with elongate spool
JP2022090802A (en) * 2020-12-08 2022-06-20 日本電産株式会社 Racing module
CN215775934U (en) * 2021-07-19 2022-02-11 石狮市森科智能科技有限公司 Rotary push-pull rope wind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684A (en) 2018-12-18 2020-06-26 정연도 Knotting device
WO2020209582A1 (en) * 2019-04-10 2020-10-15 하민우 Wire tighten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804A (en) 2015-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811B1 (en) Device for tightenning up a shoelace with locking lever
KR101053551B1 (en) Apparatus for fastening shoe strip
KR101028468B1 (en) apparatus for fastening shoe strip
TWI577301B (en) Shoelace winding reel
KR100953398B1 (en) Apparatus for fastening shoe strip
JP5618244B2 (en) Shoelace fastening device
KR101025134B1 (en) Winding and unwinding apparatus for elastic string
US10945492B2 (en) Shoe lace tightening device
KR101438572B1 (en) apparatus for fastening wire
JPH07208A (en) Shoelace tightener
WO2018165990A1 (en) Ski boot
KR101839798B1 (en) Reel system for tightening wire
KR101648815B1 (en) apparatus for fastening wire
KR101572647B1 (en) Device for tightenning up a shoelace with locking cover
KR101723578B1 (en) apparatus for fastening wire
WO2019169581A1 (en) Ski boot
KR20170006160A (en) Shoelace fastening device
KR102197948B1 (en) Movable lacing apparatus for footwear
KR200418045Y1 (en) The shoes which has the means which it tightens
KR101651402B1 (en) Shoe's rope length controlling apparatus with an operating lever of a can lever type
US10575592B1 (en) Lace tightening apparatus and method
JP7140811B2 (en) Dial type wire tightening device
KR101017251B1 (en) Device for tightenning up a shoelace
KR101982599B1 (en) Apparatus for fastening lace of shoes
KR101810335B1 (en) Apparatus for fastening shoe str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