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719B1 - Smartphone cradle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Smartphone cradle f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719B1
KR101570719B1 KR1020140054950A KR20140054950A KR101570719B1 KR 101570719 B1 KR101570719 B1 KR 101570719B1 KR 1020140054950 A KR1020140054950 A KR 1020140054950A KR 20140054950 A KR20140054950 A KR 20140054950A KR 101570719 B1 KR101570719 B1 KR 101570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usb connection
smartphone
termina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9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28117A (en
Inventor
오석철
Original Assignee
(주)코리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아하이텍 filed Critical (주)코리아하이텍
Priority to KR1020140054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719B1/en
Publication of KR20150128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1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7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스마트 폰 충전용 USB 연결단자를 회전시켜서 스마트 폰을 거치하기 위한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성 향상 및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만을 스마트 폰의 기종에 따라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스마트 폰을 지지고정되게 거치하는 거치부(100)와, 차량의 대시보드에 장착하는 베이스(200) 및 상기 거치부(100)와 베이스(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거치부(100)의 일측 내,외부에 스마트 폰(M)의 통신/충전 겸용 포트에 연결되어 차량의 전원이 인가되는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50)의 USB 연결단자(51)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서 상기 스마트 폰(M)을 거치하여 충전하도록 상기 거치부(100)의 제1 전면커버(110a)와 제1 후면커버(130a)의 결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10);
상기 회전부재(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설되며, 상기 USB 연결단자(51)를 연결하는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50)의 단자몰딩부(52)가 삽입 지지되는 슬라이드부재(20);
상기 회전부재(10)에 걸림 방식으로 고정설치되는 커버(30);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20)와 커버(30) 사이에 탄력설치되는 스프링(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4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hone holder for a vehicle, and its main object is to facilitate the detachment of the USB connector terminal rotation device for rotating the USB connection terminal for charging a smart phone, Only the assembly can be easily replaced according to the model of the smartphone.
The present invention made for such a purpose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art 100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and supporting and fixing a smart phone, a base 200 mounted on a dashboard of a vehicle, and a base 200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100 and the base 200 And a connecting portion 300 connecting the connecting portion 300 and the connecting portion 300,
The USB connection terminal 51 of the USB connection terminal cord assembly 50 connected to the port for communication / charging of the smartphone M is connected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ounting part 100 at a predetermined angle A rotary member 10 rotatably mounted on the first rear cover 130a by engaging the first front cover 110a and the first rear cover 130a of the mounting portion 100 to be charged through the smartphone M;
A slide member 20 slidably inserted into the rotary member 10 and inserted and supported by the terminal molding portion 52 of the USB connection terminal cord assembly 50 connecting the USB connection terminal 51;
A cover 30 fixedly installed on the rotary member 10 in a locking manner; And
And a spring 40 installed between the slide member 20 and the cover 30 to elastically support the USB connection terminal rotation device 400.

Description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Smartphone cradle for vehicles}Smartphone cradle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폰 충전용 USB 연결단자를 회전시켜서 스마트 폰을 거치하여 충전하기 위한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만을 스마트 폰의 기종에 따라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hone hold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phone holder for a car, which is capable of rotating a USB connection terminal for charging a smart ph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in which a USB connector terminal cord assembly is simply replaced according to a model of a smartphone.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인 휴대폰은 최근에 이르러서 매우 발전 되어 가고 있으며, 인터넷과 사진, 동영상, 음악 등을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폰이라 불리는 휴대폰이 탄생하였다.In general, a mobile phone, which is a portable phone, has been developed very recently and a cell phone called a smart phone that can freely use the Internet, photos, videos, and music has been born.

이러한 스마트 폰은 인터넷이 됨과 동시에 각종 동영상, 게임 등 멀티미디어 기능을 포함하면서 매우 다양한 사용층을 갖게 되었는바. 스마트 폰의 여러 가지 멀티미디어적인 기능을 사용할 때 배터리의 용량 부족으로 스마트 폰을 사용하는 도중에 배터리가 쉽게 방전되어 특히 차량을 운전하는 사용자의 경우 스마트 폰 본연의 기능인 통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업무상 급한 통화를 필요로 하는 경우 통화를 하지 못하여 업무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도 대두하였다.Such a smartphone has become an Internet and has a wide variety of usage layers including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various videos and games. When using the multimedia functions of the smartphone, the battery is easily discharged during the use of the smartphone due to the lack of the capacity of the battery. Especially, the user who operates the vehicle can not perform the call function, which is the function of the smart phone, It was not possible to make a call.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0267호(2013.03.28. 등록)의 차량용 무접점충전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면패널에 고정되는 고정판(10)과 결합되어 일정한 높이까지 돌출되게 올라선 지지바(20), 상기 지지바(20)의 끝단에 고정되는 지지패널(30), 상기 지지패널(30)에 상응하는 크기로 밀착되는 충전패드(=1차기기;100)로 이루어진 차량용 휴대폰거치대; 상기 1차기기(100)인 충전패드에 전력이 공급되면, 휴대단말기(301)의 케이스(A)에 내장되어 휴대단말기(301)의 젠더연결부(310)를 통해 배터리(300)와 통전되는 2차기기(Gender; 200); 및 휴대단말기(301)의 전면을 제외한 배면과 측면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하되, 상부 케이스(210b)와 하부 케이스(210a)가 서로 맞물려 상기 휴대단말기(301)를 커버하는 단말기 케이스(A);를 포함하며, 지지패널(30)과 1차기기(100)는 1차기기(100)를 지지패널(30)의 내측에 수용하여, 일체형의 1차기기(100)를 형성하고, 상기 1차기기(100)와 2차기기(200)는, 배터리(300)가 부착된 휴대단말기(301)에 2차기기(Gender; 200)가 내장된 단말기 케이스(A)의 젠더 커넥터(270)로 연결된 상태에서 무접점충전기 위에 놓이면, 대기 전류 모드에서 에너지 발진 모드로 전환되고 고유주파수로 발진시켜 코일 및 페라이트(Ferrite)를 통해 상기 2차기기(Gender; 200)의 페라이트로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무접점충전기 본체인 1차기기(Pad; 100); 상기 1차기기(Pad; 100)로부터 코일 및 페라이트를 통해 상기 유도기전력을 수신받아 과충전이 방지되도록 충전하는 상기 휴대단말기(301)의 배터리(300)로 충전하고, 충전상태를 LED(250)로 표시하며, 만 충전 되었을때 휴대단말기(301)의 배터리(300) 충전을 자동으로 차단하도록 상기 1차기기(Pad; 100)로 RF 주파수 신호를 전송하는 2차기기(Gender; 200);를 포함하고, 상기 1차기기(Pad; 100)는, 휴대단말기(301)가 부착된 상기 휴대단말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210b, 210a)에 내장된 2차기기(Gender; 200)가 상기 1차기기(Pad; 100) 위에 놓이면, 상기 휴대단말기(301)의 상부 케이스(210b) 또는 하부 케이스(210a)에 내장된 2차기기(Gender; 200)의 페라이트 자석에 의해 상기 1차기기(Pad; 100)에서 미세한 전위차가 발생하고, 젠더로부터 RF주파수 신호를 통해 휴대단말기(301)의 종류 및 전압과 전류를 상기 1차기기(Pad; 100)로 전송하고, 상기 미세한 전위차가 감지되면 대기 전류 모드에서 에너지 발진 모드로 전환되어 즉시 고유주파수로 발진하여 유도기전력을 상기 휴대단말기(301) 상부 및 하부 케이스(210b, 210a)에 내장된 2차기기(Gender; 200)로 발생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휴대단말기(301) 상부 및 하부 케이스(210b, 210a)에 내장된 2차기기(Gender; 200)를 상기 1차기기(Pad; 100)에 위에서 충전중에 일정거리를 이격시키거나 만 충전시 상기 2차기기(Gender; 200)로부터 충전 차단을 위한 RF 주파수 신호를 1차기기(Pad; 100)로 수신하면, 상기 에너지 발진 모드로부터 상기 대기전류 모드로 전환되어 코일과 페라이트로 전압과 전류 공급을 차단하여 과충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휴대단말기(301)를 충전시킴에 있어서, 전원젝과 전원라인을 연결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단순하게 1차기기(Pad; 100)에 휴대단말기(301)를 올려놓는 작업만으로 충전을 완료할 수 있으며, 이동이 가능한 차량에 장착되고, 운행 중에 많은 흔들림이 있다 할지라도 휴대폰거치대에 정확히 위치하여 1차기기(Pad; 100)를 통해서 2차기기(Gender; 200)로 유도기전력을 전달하는 방법으로 충전시키기에 충전이 정확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2차기기(Gender; 200)의 구성을 휴대폰 케이스에 장착하기에, 현존하는 모든 휴대폰을 적용하여 무접점으로 충전할 수 있기에 활용가능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 단말기 케이스(A)의 젠더 커넥터(270)는 안드로이드(Android) 계열의 모바일 운영체계(OS)가 적용되는 휴대단말기(스마트 폰 등)는 마이크로 USB 단자를 사용하고 있고, 상기 안드로이드 계열의 모바일 운영체계가 적용되는 휴대단말기와 서로 다른 모바일 운영체계(예; iOS, iOS4)를 가지는 애플사의 휴대단말기(예; 아이폰, 아이팟 등)의 경우에는 안드로이드 계열의 모바일 운영체계가 적용되는 휴대단말기에서 사용하는 마이크로 USB 단자를 사용하지 못하고, 오로지 애플사에서 제공하는 특정 USB 단자(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9354호(2013.11.07. 등록) 참조)를 사용해야 하는 등 호환성을 제공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부 케이스(210b)와 하부 케이스(210a)가 서로 맞물려 상기 휴대단말기(301)를 커버하는 단말기 케이스(A)의 젠더 커넥터(270)에 의해 휴대단말기(301)의 기종에 따라 고가의 단말기 케이스(A)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고, 1차기기(Pad; 100)를 통해서 2차기기(Gender; 200)로 유도기전력을 전달하는 방법으로 충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휴대단말기(301) 상부 및 하부 케이스(210b, 210a)에 내장된 2차기기(Gender; 200)가 유도자기장 수신부(페라이트), 정류 회로, 충전회로, 충전량 감지회로, LED, 과충전 방지 회로 및 젠더 커넥터(270)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모바일 운영체계가 서로 다른 휴대단말기의 기종에 따라 통신/충전 겸용 포트인 휴대단말기(301)의 젠더 연결부와 연결되는 USB 단자인 젠더 커넥터(270)만을 별도로 교체하여 휴대폰거치대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 non-contact charger for a vehicle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50267 (registered on March 23, 2013) is disclosed. 1 to 3, the support bar 20 is fixed to an end of the support bar 20 by being coupled with a fixing plate 10 fixed to a front panel of the vehicle and protruding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A supporting panel 30, and a charging pad (= primary device) 100 closely attached to the supporting panel 30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ing panel 30;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harging pad serving as the primary device 100,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battery 300 through the gender connection part 310 of the portable terminal 301, which is built in the case A of the portable terminal 301, (Gender) 200; And a terminal case (A) covering the back sid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301) except the front side, the upper case (210b) and the lower case (210a) Wherein the support panel 30 and the primary device 100 accommodate the primary device 100 in the interior of the support panel 30 to form an integral primary device 100, The main body 100 and the secondary device 200 ar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301 to which the battery 300 is attached by the gender connector 270 of the terminal case A in which the secondary device Contact charger that is switched from the standby current mode to the energy generation mode and oscillates at a natural frequency to generate an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by the ferrite of the secondary device (Gender) 200 through a coil and a ferrite A primary device (Pad) 100 as a main body; The battery 300 of the portable terminal 301 which receives the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from the primary device 100 through the coil and the ferrite to prevent overcharging and charges the battery 300 through the LED 250 And a secondary device (Gender) 200 for transmitting an RF frequency signal to the primary device (Pad) 100 to automatically shut off the charging of the battery 300 of the portable terminal 301 when the battery 300 is fully charged And the primary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primary device 200 by a secondary device 200 built in the upper and lower cases 210b and 210a to which the portable device 301 is attached, 100 is placed on the primary device 100 by the ferrite magnets of the secondary device 200 built in the upper case 210b or the lower case 210a of the portable terminal 301, And the type and voltage of the portable terminal 301 through the RF frequency signal from the gender When the fine electric potential difference is sensed, it is switched from the standby current mode to the energy oscillation mode and immediately oscillates at the natural frequency to generate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to the upper and lower cases And a secondary device (Gender) 200 built in the upper and lower cases 210b and 210a of the portable terminal 301, The main body 100 may be provided with a pad 100 for receiving a RF frequency signal for charge cutoff from the secondary device 200 when the primary device 100 is charged, The power source is switched from the energy oscillation mode to the standby current mode and the voltage and current supply to the coil and the ferrite are interrupted to prevent overcharging. In charging the portable terminal, Hunger to connect The charging can be completed only by the operation of placing the portable terminal 301 on the primary device (Pad) 100, and even if the portable terminal 301 is mounted on a movable vehicle and there is a lot of fluctuation during operation, Positioned exactly in the cradle, the primary device (Pad; 100 to the secondary device (Gender) 200, the charging is accurate and the durability can be improv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ary device (Gender) 200 is mounted on the mobile phone case The gender connector 270 of the terminal case A may be a mobile operating system (OS) of the Android-based type, (E.g., iOS, iOS4) and a portable terminal (e.g., iOS, iOS4) using the micro-USB terminal and the Android-based mobile operating system, (Eg, iPhone, iPod, etc.), you can not use the micro USB terminal used in the mobile terminal to which the Android-based mobile operating system is applied, The upper case 210b and the lower case 210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a USB terminal provided by Apple Corporation (refer to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29354 (Registered on Nov. 11, 2013)). An expensive terminal case A must be additionally provided according to the model of the portable terminal 301 by means of the gender connector 270 of the terminal case A covering the portable terminal 301, The portable terminal 301 and the secondary case 210b and 210a of the portable terminal 301 are charged by the method of transferring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to the secondary device 200 via the first and second cases 210a and 210a. 200 is composed of an induction magnetic field receiving unit (ferrite), a rectifying circuit, a charging circuit, a charged amount detecting circuit, an LED, an overcharge preventing circuit and a gender connector 270, charge To replace only the connector gender 270, a USB terminal which is connected to the gender for the connection of the port the portable terminal 301 additionally has a problem can not be used as a mobile phone cradl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0267호(2013.03.28.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50267 (Registered on Mar. 31, 201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9354호(2013.11.07.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29354 (Registered on Nov. 31, 20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스마트 폰 충전용 USB 연결단자를 회전시켜서 스마트 폰을 거치하여 충전하기 위한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만을 스마트 폰의 기종에 따라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SB connector terminal for charging smart phones,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that allows only a USB connector terminal cord assembly to be easily replaced according to the type of a smartphone.

또한, 본 발명은 USB 연결단자를 통해 스마트 폰에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which improves the convenience of a user by supplying power to the smartphone through the USB connection terminal to charge the battery.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스마트 폰을 지지고정되게 거치하는 거치부와, 차량의 대시보드에 장착하는 베이스 및 상기 거치부와 베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거치부의 일측 내,외부에 스마트 폰의 통신/충전 겸용 포트에 연결되어 차량의 전원이 인가되는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의 USB 연결단자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서 상기 스마트 폰을 거치하여 충전하도록 상기 거치부의 제1 전면커버와 제1 후면커버의 결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설되며, 상기 USB 연결단자를 연결하는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의 단자몰딩부가 삽입 지지되는 슬라이드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걸림 방식으로 고정설치되는 커버;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커버 사이에 탄력설치되는 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ase for mounting the smartphone on a dashboard of a vehicle,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base and the base.
The USB connection terminal of the vehicle is connected to a port for communication / charging of the smartphone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tationary part, A rotary member rotatably installed by a combination of the first front cover and the first rear cover;
A slide member slidably inserted into the rotary member and having a terminal molding portion of a USB connection terminal cord assembly for connecting the USB connection terminal inserted and supported;
A cover fixedly installed on the rotary member in a locking manner; And
A spring elastically installed between the slide member and the cover;
And a USB connection terminal rotating device including the USB connection terminal rotating device.

상기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는 상기 거치부의 제1 전면커버와 제1 후면커버의 결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설되며, 상기 USB 연결단자를 연결하는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의 단자몰딩부가 삽입 지지되는 슬라이드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걸림 방식으로 고정설치되는 커버;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커버 사이에 탄력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B connection terminal rotating device includes: a rotary member rotatably installed by a combination of a first front cover and a first rear cover of the mounting portion; A slide member slidably inserted into the rotary member and having a terminal molding portion of a USB connection terminal cord assembly for connecting the USB connection terminal inserted and supported; A cover fixedly installed on the rotary member in a locking manner; And a spring elastically installed between the slide member and the cover.

상기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는 제1 후면커버의 일측단부 내부면에 고정설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B connection terminal rota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first rear cover.

상기 거치부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에 분할된 다수의 전,후면커버가 분리가능하게 각각 고정설치되어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un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ront and rear covers divided into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are detachably fixed to each other and bent in a " C "shape.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전면 둘레부에 다수의 걸림부가 각각 형성되고, "ㄴ"자로 절곡된 부분에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가 위치하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후면에 상기 제1 후면커버를 고정나사로 고정설치하기 위한 나사결합부가 상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fram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on its front periphery, an opening portion in which a USB connection terminal rotation device is located is formed at a portion bent in a "? &Quot;, and the first rear cover is fixed with a fixing screw And a screw-engaging portion for engaging the engaging portion.

상기 제1 후면커버에는 일측면 내부에 선단면이 호형 홈 형태로 형성된 지지부가 상,하부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전측에 나사결합부가 상,하부로 형성되며, 둘레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의 다수의 걸림부에 대응되게 삽입되어 걸림 고정 및 해제되는 걸림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나사결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first rear cover is formed with a supporting portion formed in a shape of arc-shaped groove in one side surface inside and a lower portion, and a threaded portion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ing portion, A latching piece inserted and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latching portions is fixed and released, and a screw coupling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wing portion of the first frame.

상기 회전부재는 양측면 상,하부에 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고, 내부의 상하좌우 면에 다수의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하단부에 지지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tation member has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both sides of a lower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slide grooves formed on upper, lower, right, and left sides of the rotation member, and support protrusions are formed on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의 단자몰딩부가 삽입 지지되는 지지소켓이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다수의 슬라이드 홈에 대응되게 삽입되어 슬라이드 가능한 다수의 슬라이드 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ide member is formed such that a support socket to which a terminal molding portion of a USB connection terminal cord assembly is inserted is protruded outward and a plurality of slide protrusions are formed so as to be slidable in correspondence with a plurality of slide grooves of the rotary member .

상기 커버는 상기 회전부재의 양측면 상,하부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가 대응되게 삽입되어 걸림 고정 및 해제되는 걸림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ver is formed with locking holes through which locking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ng member and protruding therefrom are inserted correspondingly and locked and unlocked.

상기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는 스마트 폰의 통신/충전 겸용 포트에 연결되어 차량의 전원이 인가되는 USB 연결단자와, 상기 USB 연결단자와 차량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코드를 연결하여 성형되는 단자몰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B connection terminal cord assembly is connected to a port for communication / charging of a smart phone and is connected to a USB connection terminal to which the vehicle is powered, and a terminal molding unit that is formed by connecting the USB connection terminal and a power cord for supplying power to the vehicle. .

상기 USB 연결단자는 안드로이드(Android) 계열의 모바일 운영체계(OS)가 적용되는 마이크로 USB 단자 또는 상기 안드로이드 계열의 모바일 운영체계(OS)와 서로 다른 운영체계(iOS, iOS4)가 적용되는 USB 단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B connection terminal may be a micro USB terminal to which an Android-based mobile operating system (OS) is applied or a USB terminal to which a different operating system (iOS, iOS4) is applied from the Android-based mobile operating system And is formed of any one of them.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의하면, 거치부의 제1 및 제2 프레임으로부터 분할된 다수의 전,후면커버를 전부 분해할 필요없이 후면 일측의 제1 후면커버만 분리시키면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구 없이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 부품들을 분해하여 손상된 부품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 중 스마트 폰의 기종에 따라 USB 연결단자가 바뀌더라도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를 분해하여 스마트 폰과 호환가능한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martphone compartmen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parating only the first rear cover at one side of the rear side without disassembling all the front and rear covers divided from the first and second frames of the mounting part, Because it can be easily separated, it can disassemble the parts of the USB connection terminal rotation device without any additional tool, and can replace the damaged part, and even if the USB connection termina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smartphone in use, the USB connection terminal rotation device is disassembled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replace only the USB connection terminal cord assembly compatible with the smartphone.

또한, 본 발명은 USB 연결단자를 통해 스마트 폰에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supplying power to the smart phone through the USB connection terminal to charge the battery.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와 휴대단말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에 휴대폰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서 거치부의 제1 전면커버를 탈거한 상태의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의 거치부에서 제1 후면커버가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의 배면 사시도,
도 11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의 거치부에 스마트 폰 거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의 거치부에 스마트 폰의 거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ellular phone holder and a portable terminal,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mobile phone is mounted on a cellular phone holder of FIG. 1;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mobile phone case,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SB connection terminal rot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agmentary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engagement of a USB connection terminal rot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USB connecting terminal rot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SB connection terminal rotat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a first front cover of a mounting part is removed from a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first rear cover is fixed in a mount portion of a smartphone crad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crad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a), 11 (b) and 11 (c) are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a smartphone in a mount portion of a smartphone stand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smartphone in a mounting part of a smartphone crad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고,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in order to emphasize a clearer explanation, and the same members in the drawings may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o be determined ar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서 거치부의 제1 전면커버를 탈거한 상태의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의 거치부에서 제1 후면커버가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11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의 거치부에 스마트 폰 거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의 거치부에 스마트 폰의 거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SB connection terminal rot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ain part of the USB connection terminal rot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SB connecting terminal rot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USB connector terminal rotat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a first front cover of a mounting part is removed from a smartphone compartmen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Fig. 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1 (a), (b) and (c)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smartphone is mounted on a mount portion of a smartphone crad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A)는, 도 4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스마트 폰(M)을 지지고정되게 거치하는 거치부(100)와, 차량의 대시보드에 장착하는 베이스(200) 및 상기 거치부(100)와 베이스(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00)의 일측 내,외부에 스마트 폰(M)의 통신/충전 겸용 포트에 연결되어 차량의 전원이 인가되는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50)의 USB 연결단자(51)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서 상기 스마트 폰(M)을 거치하여 충전하는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400)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4 to 12, the smartphone stand C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portion 100 that is adjustable in angle and supports the smartphone M for supporting and fixing, And a connection unit 300 connecting the mounting unit 100 and the base 200. The mounting base 100 includes a mounting portion 100 and a mounting portion 100. The mounting portion 100 includes a base 200 mounted on the board, And the USB connection terminal 51 of the USB connection terminal cord assembly 50 to which the power of the vehicle is applied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connect the smartphone M to the communication / And a USB connection terminal rotating device 400 for charging the USB connection terminal.

상기 거치부(100)는 제1 프레임(120)과 제2 프레임(125)에 분할된 다수의 전,후면커버(110)(130)가 분리가능하게 각각 고정설치되어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프레임(120)의 전면에는 제1 전면커버(110a)가 분리가능하게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프레임(120)의 후면에는 제1 및 제2 후면커버(130a)(130b)가 각각 분리가능하게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부(100)의 제2 프레임(125)의 전면에는 제2 전면커버(110b)가 분리가능하게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프레임(125)의 후면에는 제3 후면커버(130c)가 분리가능하게 고정설치되어 있다.The mounting portion 100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front and rear covers 110 and 130 divided into a first frame 120 and a second frame 125 are detachably fixed to each other to form a " A first front cover 110a is detachably fixed to the front of the first frame 120 and first and second rear covers 130a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frame 120. [ A second front cover 110b is detachably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frame 125 of the mounting part 100, 125, a third rear cover 130c is detachably fixed.

상기 제1 프레임(120)에는 전면 둘레부에 다수의 걸림부(121a 내지 121e)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ㄴ"자로 절곡된 부분에 후술하는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400)가 위치하는 개방부(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에 상기 제1 후면커버(130a)를 고정나사(135)로 고정설치하기 위한 나사결합부(123)가 상하로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frame 12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latching portions 121a to 121e at the front periphery thereof and a plurality of latching portions 121a to 121e are formed in the first frame 120, And a screw coupling part 123 for fixing the first rear cover 130a by a fixing screw 135 is vertically formed on a rear surface thereof.

그리고, 상기 제1 후면커버(130a)에는 일측면 내부에 선단면이 호형 홈 형태로 형성된 지지부(131)가 상,하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131)의 전측에 나사결합부(132)가 상,하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둘레부에 상기 제1 프레임(120)의 다수의 걸림부(121a 내지 121e)에 대응되게 삽입되어 걸림 고정 및 해제되는 걸림편(133a 내지 113e)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프레임(120)의 나사결합부(123)와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결합공(134)이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rear cover 130a is formed with a support portion 131 having an arcuate groove shape at its one end in an upper side and a lower portion and a screw engagement portion 132 is formed at a front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31. [ And engaging pieces 133a to 113e which are inserted into the periphery of the first frame 120 in correspondence with the plurality of engaging portions 121a to 121e of the first frame 120 to be engaged and disengaged are protruded And a screw coupling hole 13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w coupling portion 123 of the first frame 120.

상기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50)는 스마트 폰(M)의 통신/충전 겸용 포트(도시생략)에 연결되어 차량의 전원이 인가되는 USB 연결단자(51)와, 상기 USB 연결단자(51)와 차량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코드(53)를 연결하여 성형되는 단자몰딩부(52)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USB 연결단자(5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도시한 애플사의 모바일 운영체계(예; iOS, iOS4)를 적용한 스마트 폰(M)의 경우에는 애플사에서 제공하는 특정 USB 단자(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9354호 참조)로 이루어지고, 안드로이드(Android) 계열의 모바일 운영체계(OS)가 적용되는 일반적인 스마트 폰(M)은 마이크로 USB 단자(도 7의 USB 연결단자(51) 형상 참조)로 이루어진다.The USB connection terminal cord assembly 50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 charging port (not shown) of the smartphone M and is connected to the USB connection terminal 51 to which power of the vehicle is applied, And a terminal molding portion 52 formed by connecting a power cord 53 for supplying power to the vehicle.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smartphone M using the mobile operating system of Apple (iOS, iOS4)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B connection terminal 51 may be connected to a specific USB terminal 10-1329354), and a general smartphone M to which an Android-based mobile operating system (OS) is applied includes a micro USB terminal (see the configuration of the USB connection terminal 51 in FIG. 7) ).

상기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400)는 상기 거치부(100)의 제1 전면커버(110a)와 제1 후면커버(130a)의 결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10)와, 상기 회전부재(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설되며, 상기 USB 연결단자(51)를 연결하는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50)의 단자몰딩부(52)가 삽입 지지되는 슬라이드부재(20)와, 상기 회전부재(10)에 걸림 방식으로 고정설치되는 커버(30)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20)와 커버(30) 사이에 탄력설치되는 스프링(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USB connection terminal rotation device 400 includes a rotation member 10 rotatably installed by coupling the first front cover 110a and the first rear cover 130a of the mounting portion 100, A slide member 20 slidably inserted in the housing 10 and inserted and supported by the terminal molding portion 52 of the USB connection terminal cord assembly 50 connecting the USB connection terminal 51, 10 and a spring 40 elastically installed between the slide member 20 and the cover 30. The cover 30 is fixed to the cover 30 in a fixed manner.

이때, 상기 회전부재(10)는 양측면 상,하부에 걸림돌기(11)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내부의 상하좌우 면에 다수의 슬라이드 홈(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하단부에 지지돌기(1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10)의 지지돌기(13)는 제1 전면커버(110a)의 호형 홈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부(도시생략)와 제1 후면커버(130a)의 호형 홈 형태로 형성된 지지부(131)와의 결합에 의해 회전부재(1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At this time, a locking protrusion 11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rotary member 10, and a plurality of slide grooves 12 are formed on upper, lower, right and left sides of the rotary member 10, 13 are formed. At this time, the support protrusion 13 of the rotary member 10 is supported by a support portion (not shown) formed in an arcuate groove shape of the first front cover 110a and a support portion (not shown) formed in an arcuate groove shape of the first rear cover 130a 131 to rotate the rotatable member 10 in a rotatable manner.

상기 슬라이드부재(20)는 상기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50)의 단자몰딩부(52)가 삽입 지지되는 지지소켓(21)이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재(10)의 다수의 슬라이드 홈(12)에 대응되게 삽입되어 슬라이드 가능한 다수의 슬라이드 돌기(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The slide member 20 is formed such that a support socket 21 into which the terminal molding portion 52 of the USB connection terminal cord assembly 50 is inserted is protruded outwardly and a plurality of slides And a plurality of slide protrusions 22 are formed so as to be slidable in correspondence with the grooves 12, respectively.

상기 커버(30)는 상기 회전부재(10)의 양측면 상,하부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11)가 대응되게 삽입되어 걸림 고정 및 해제되는 걸림통공(31)이 형성되어 있다.The cover 30 is formed with a locking hole 31 through which the locking protrusions 11 protruded and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ng member 10 are inserted and locked.

상기 스프링(40)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상기 슬라이드부재(20)와 커버(30)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부재(20)의 지지소켓(21)으로부터 외향 돌출되게 위치되는 USB 연결단자(51)에 스마트 폰(M)의 통신/충전 겸용 포트(도시생략)를 연결(도 11의 (a) 참조)시킨 후 스마트 폰(M)을 밀게 되면 상기 스프링(40)이 압축되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20)가 USB 연결단자 인출공(111)을 통해 밀려 들어가게 되어(도 4 및 도 11의 (b) 참조) 상기 거치부(100)에 거치하기 용이한 위치로 스마트 폰(M)이 위치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 폰(M)을 회전시켜서 거치부(100)에 거치한 후 놓으면(도 11의 (c) 참조) 상기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부재(20)가 밀려나오게 되어 원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스마트 폰(M)을 견고하게 상기 거치부(100)에 거치할 수 있게 된다.The spring 40 is a compression coil spring, and is elastically provided between the slide member 20 and the cover 30. At this time, a communication / charging port (not shown) of the smartphone M is connected to the USB connection terminal 51 position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upport socket 21 of the slide member 2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0 The spring member 40 is compressed and the slide member 20 is pushed through the USB connection terminal draw-out hole 111 when the smartphone M is pushed in (see FIG. 11A) (See FIGS. 4 and 11B), the smartphone M is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it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00. In this state, the smartphone M is rotated, The slide member 20 is pushed out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0 and the smartphone M is firmly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100 while being placed in the mounting portion 100 (see Fig. 11 (c) (100).

또한, 상기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400)는 제1 후면커버(130a)의 일측단부 내부면의 나사결합부(132)에 고정나사(62)로 고정설치되는 탄성부재(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60)의 탄성지지부(61)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10)를 회전시키게 되어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USB 연결단자(51)를 소정 각도, 즉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방으로 경사지게 위치되는 각도로 회전시키게 되어 상기 USB 연결단자(51)에 스마트 폰(M)의 통신/충전 겸용 포트(도시생략)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The USB connection terminal rotating device 400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60 fixed to the screw engagement portion 132 of the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first rear cover 130a with a fixing screw 62 . At this time, the rotation member 10 is rot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upporting portion 61 of the elastic member 60, so that the USB connection terminal 51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Not shown) of the smartphone M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USB connection terminal 51 by being rotated at an angle inclined frontward when viewed from the plan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A)는, 상기 거치부(100)의 제1 및 제2 프레임(120)(125)으로부터 분할된 다수의 전,후면커버(110)(130) 중 제1 전면커버(110a)와 제2 전면커버(110b) 및 제2 후면커버(130b)와 제3 후면커버(130c)를 분해할 필요없이 후면 일측의 제1 후면커버(130a) 하나만 분리, 즉 상기 제1 프레임(120)의 나사결합부(123)에 고정설치한 상하 2개의 고정나사(135)를 풀고 다수의 걸림편(133a 내지 133e)을 상기 제1 프레임(120)의 걸림부(121a 내지 121e)로부터 걸림을 해제시켜서 상기 제1 후면커버(130a)를 분리시키기면 상기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400)를 외부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The smartphone cradl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plurality of front and rear covers 110 (130) 130 divided from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20 and 125 of the mount 100 Only one first rear cover 130a at one side of the rear side is separated without disassembling the first front cover 110a, the second front cover 110b, the second rear cover 130b and the third rear cover 130c The upper and lower fixing screws 135 fixed to the threaded portion 123 of the first frame 120 are unfastened and the plurality of locking pieces 133a to 133e are fastened to the locking portions of the first frame 120 The USB connector terminal rotating device 400 can be separated to the outside when the first rear cover 130a is detached by releasing the engagement from the first connector 121a to 121e.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외부로 분리되는 상기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400)는 별도의 공구 없이 커버(30)의 걸림통공(31)를 회전부재(10)의 걸림돌기(11)로부터 걸림을 해제시키면 회전부재(10)와 커버(30)가 분리되고, 상기 회전부재(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설된 슬라이드부재(20)와 상기 슬라이드부재(20)에 삽입 지지된 USB 연결단자(51)를 연결하는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50)의 단자몰딩부(52)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20)와 커버(30) 사이에 탄력설치된 스프링(40)을 분해하여 손상된 부품들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Thus, the USB connection terminal rotating device 400 separated from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can be released from the locking protrusion 31 of the rotary member 10 through the locking hole 31 of the cover 30 without a separate tool The slide member 20 slidably inserted into the rotary member 10 and the USB connection terminal 51 inserted into the slide member 20 are separated from the rotary member 10 and the cover 30, It is possible to disassemble the terminal molding portion 52 of the USB connection terminal cord assembly 50 and the spring 40 elastically provided between the slide member 20 and the cover 30 to replace damaged parts.

또한, 사용 중 스마트 폰(M)의 기종에 따라 상기 USB 연결단자(51)가 바뀌더라도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400)를 분해하여 스마트 폰(M)과 호환가능한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50)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USB 연결단자(51)를 통해 스마트 폰(M)에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A)를 제공할 수 있다.Also, even if the USB connection terminal 51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martphone M in use, the USB connection terminal rotation unit 400 is disassembled and the USB connection terminal cord assembly 50 compatible with the smartphone M, And the battery can be charged by supplying power to the smartphone M through the USB connection terminal 51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particular details of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회전부재 11 : 걸림돌기
12 : 슬라이드 홈 13 : 지지돌기
20 : 슬라이드부재 21 : 지지소켓
22 : 슬라이드 돌기 30 : 커버
31 : 걸림통공 40 : 스프링
50 :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 51 : USB 연결단자
52 : 단자몰딩부 53 : 전원코드
60 : 탄성부재 61 : 탄성지지부
62, 135 : 고정나사 100 : 거치부
110 : 전면커버 110a : 제1 전면커버
110b : 제2 전면커버 111 : USB 연결단자 인출공
120 : 제1 프레임
121a, 121b, 121c, 121d, 121e : 걸림부
122 : 개방부 123, 132 : 나사결합부
125 : 제2 프레임 130 : 후면커버
130a : 제1 후면커버 130b : 제2 후면커버
130c : 제3 후면커버 131 : 지지부
133a, 133b, 133c, 133d, 133e : 걸림편
134 : 나사결합공 200 : 베이스
300 : 연결부 400 :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
A :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M : 스마트 폰
10: rotating member 11:
12: slide groove 13: support projection
20: slide member 21: support socket
22: slide protrusion 30: cover
31: latching through hole 40: spring
50: USB connection terminal cord assembly 51: USB connection terminal
52: terminal molding part 53: power cord
60: elastic member 61: elastic support
62, 135: fixing screw 100: mounting part
110: front cover 110a: first front cover
110b: second front cover 111: USB connection terminal extractor
120: first frame
121a, 121b, 121c, 121d, 121e:
122: opening part 123, 132: screw part
125: second frame 130: rear cover
130a: first rear cover 130b: second rear cover
130c: Third rear cover 131: Support
133a, 133b, 133c, 133d, 133e:
134: screw coupling hole 200: base
300: connection part 400: USB connection terminal rotation device
A: Smart phone holder for car M: Smart phone

Claims (11)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스마트 폰(M)을 지지고정되게 거치하는 거치부(100)와, 차량의 대시보드에 장착하는 베이스(200) 및 상기 거치부(100)와 베이스(200)를 연결하는 연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00)의 일측 내,외부에 스마트 폰(M)의 통신/충전 겸용 포트에 연결되어 차량의 전원이 인가되는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50)의 USB 연결단자(51)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서 상기 스마트 폰(M)을 거치하여 충전하도록 상기 거치부(100)의 제1 전면커버(110a)와 제1 후면커버(130a)의 결합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10);
상기 회전부재(1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설되며, 상기 USB 연결단자(51)를 연결하는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50)의 단자몰딩부(52)가 삽입 지지되는 슬라이드부재(20);
상기 회전부재(10)에 걸림 방식으로 고정설치되는 커버(30); 및
상기 슬라이드부재(20)와 커버(30) 사이에 탄력설치되는 스프링(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4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A mounting base 100 mounted on a dashboard of the vehicle and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and supporting and fixing the smartphone M; (300), characterized in that:
The USB connection terminal 51 of the USB connection terminal cord assembly 50 connected to the port for communication / charging of the smartphone M is connected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00 at a predetermined angle A rotary member 10 rotatably mounted on the first rear cover 130a by engaging the first front cover 110a and the first rear cover 130a of the mounting portion 100 to be charged through the smartphone M;
A slide member 20 slidably inserted into the rotary member 10 and inserted and supported by the terminal molding portion 52 of the USB connection terminal cord assembly 50 connecting the USB connection terminal 51;
A cover 30 fixedly installed on the rotary member 10 in a locking manner; And
A spring 40 elastically installed between the slide member 20 and the cover 30;
And a USB connection terminal rotating device (400) including the USB connection terminal rotating device (40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400)는 제1 후면커버(130a)의 일측단부 내부면에 고정설치되는 탄성부재(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SB connection terminal rotating device (400)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60)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first rear cover (130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00)는 제1 프레임(120)과 제2 프레임(125)에 분할된 다수의 전,후면커버(110)(130)가 분리가능하게 각각 고정설치되어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portion 100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front and rear covers 110 and 130 divided into a first frame 120 and a second frame 125 are detachably fixed to each other to form a " Wherein the base member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120)에는 전면 둘레부에 다수의 걸림부(121a 내지 121e)가 각각 형성되고, "ㄴ"자로 절곡된 부분에 USB 연결단자 회전장치(400)가 위치하는 개방부(122)가 형성되며, 후면에 제1 후면커버(130a)를 고정나사(135)로 고정설치하기 위한 나사결합부(123)가 상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frame 12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latching portions 121a to 121e at the front periphery thereof and an opening portion 122 in which the USB connection terminal rotation device 400 is located at the bent portion ' And a screw connection part (123) for fixing the first rear cover (130a) by a fixing screw (135) is vertically formed on the rear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면커버(130a)에는 일측면 내부에 선단면이 호형 홈 형태로 형성된 지지부(131)가 상,하부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31)의 전측에 나사결합부(132)가 상,하부로 형성되며, 둘레부에 상기 제1 프레임(120)의 다수의 걸림부(121a 내지 121e)에 대응되게 삽입되어 걸림 고정 및 해제되는 걸림편(133a 내지 113e)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120)의 나사결합부(123)와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결합공(13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rear cover 130a is formed with a support portion 131 having an arcuate groove shape in its one end and a threaded portion 132 on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31, And engaging pieces 133a to 113e are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first frame 120 so as to be inserted into corresponding engaging portions 121a to 121e of the first frame 120 to be engaged and disengaged, And a screw engagement hole (134)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w engagement portion (123) of the frame (1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10)는 양측면 상,하부에 걸림돌기(11)가 돌출형성되고, 내부의 상하좌우 면에 다수의 슬라이드 홈(12)이 형성되며, 상,하단부에 지지돌기(13)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slide grooves 12 are formed on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otary member 10, and support protrusions 13 are formed on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otary member 10, respectively. Wherein the base member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20)는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50)의 단자몰딩부(52)가 삽입 지지되는 지지소켓(21)이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재(10)의 다수의 슬라이드 홈(12)에 대응되게 삽입되어 슬라이드 가능한 다수의 슬라이드 돌기(22)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lide member 20 is formed such that a support socket 21 into which the terminal molding portion 52 of the USB connection terminal cord assembly 50 is inserted is protruded outward and a plurality of slide grooves 12. A smartphone cradle for a vehicle, comprising: a plurality of slide protrusions (22) slidably inserted into corresponding ones of said plurality of slide protrusions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0)는 상기 회전부재(10)의 양측면 상,하부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11)가 대응되게 삽입되어 걸림 고정 및 해제되는 걸림통공(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30) is formed with a locking through hole (31) in which locking protrusions (11) protruded and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ng member (10) are inserted correspondingly and locked and unlocked, hol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연결단자 코드 어셈블리(50)는 스마트 폰(M)의 통신/충전 겸용 포트에 연결되어 차량의 전원이 인가되는 USB 연결단자(51)와, 상기 USB 연결단자(51)와 차량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코드(53)를 연결하여 성형되는 단자몰딩부(5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B connection terminal cord assembly 50 includes a USB connection terminal 51 connected to a port for communication / charging of the smartphone M and powered by the vehicle, a USB connection terminal 51, And a terminal molding part (52) formed by connecting a power cord (53) to be suppl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연결단자(51)는 안드로이드(Android) 계열의 모바일 운영체계(OS)가 적용되는 마이크로 USB 단자 또는 상기 안드로이드 계열의 모바일 운영체계(OS)와 서로 다른 운영체계(iOS, iOS4)가 적용되는 USB 단자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폰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B connection terminal 51 is connected to a micro USB terminal to which an Android-based mobile operating system (OS) is applied or an operating system (iOS, iOS4) different from the Android-based mobile operating system A USB terminal, and a USB terminal.
KR1020140054950A 2014-05-08 2014-05-08 Smartphone cradle for vehicles KR1015707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950A KR101570719B1 (en) 2014-05-08 2014-05-08 Smartphone cradle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950A KR101570719B1 (en) 2014-05-08 2014-05-08 Smartphone cradle for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117A KR20150128117A (en) 2015-11-18
KR101570719B1 true KR101570719B1 (en) 2015-11-23

Family

ID=5483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950A KR101570719B1 (en) 2014-05-08 2014-05-08 Smartphone cradle for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7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7419A (en) * 2018-10-30 2019-01-08 王思橦 A kind of intelligent movable device
CN109547613A (en) * 2019-01-16 2019-03-29 浙江森凯汽车科技有限公司 The fixed device of cellular phone data line and handset bracke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161Y1 (en) * 2001-11-01 2002-01-19 주식회사 자티전자 a hands free cradle of a ph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161Y1 (en) * 2001-11-01 2002-01-19 주식회사 자티전자 a hands free cradle of a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117A (en)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0031B2 (en) Inductive charger with rotatable magnetic mount
US20180090940A1 (en) Power transmitter device for inductively providing power to a mobile device
KR101391547B1 (en) Chargible smart phone cradle for car
KR200482089Y1 (en) Charging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KR101751389B1 (en) Smartphone case built in a wireless rechargeable auxiliary battery
US20120113645A1 (en) Charging device and associated electrical appliances
US20130057203A1 (en) Assembly for mounting an inductive charger base station to a furniture work surface
JP2013516957A (en) Universal battery charger
US20210218277A1 (en) Wireless charging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s
KR101570719B1 (en) Smartphone cradle for vehicles
KR20140004290U (en) Smartphone case with a charge connector
KR101845832B1 (en) Integrated wireless charging device with adapter
KR101743286B1 (en) Stand for mobile
US92193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a battery pack
KR200481425Y1 (en) Cradle of smart-phone
KR200491593Y1 (en) A wireless charger that doubles as a rotary type holder for a car-mounted smart phone
KR101162362B1 (en) Battery pack with solar cell charger for portable device
KR102123453B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20160129511A (en) Charging apparatus
KR101627460B1 (en) Rotatable charging system for portable device
US20150069961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KR20160072437A (en) Terminal dock
KR20170092898A (en) External battery pack of portable electric device
CN104954517B (en) Mobile phone cover for contact type wireless charger
KR101520935B1 (en) Multi-function charging device with the Wireless Charging function installed in the dia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