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517B1 - 모바일 단말에서의 관심키워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에서의 관심키워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517B1
KR101570517B1 KR1020140143138A KR20140143138A KR101570517B1 KR 101570517 B1 KR101570517 B1 KR 101570517B1 KR 1020140143138 A KR1020140143138 A KR 1020140143138A KR 20140143138 A KR20140143138 A KR 20140143138A KR 101570517 B1 KR101570517 B1 KR 101570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user
interest
user terminal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0525A (ko
Inventor
노경원
권기봉
Original Assignee
노경원
권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경원, 권기봉 filed Critical 노경원
Priority to KR1020140143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517B1/ko
Publication of KR20140140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517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 사용자를 위하여 관심키워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사용자단말 및 상기 키워드서버에 의하여 수행되고, 상기 사용자단말이 관심키워드가 삽입되도록 설정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호출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키워드서버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삽입될 관심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결정된 관심키워드를 삽입하여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키워드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선택된 관심키워드에 대한 검색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관심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를 추출하여 검색 결과로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광고를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광고가 노출되면, 해당 광고의 광고주에게 광고료를 과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단말 사용자가 관심을 갖고 있는 키워드를 디스플레이 일측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키워드를 입력하지 않아도 관련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에서의 관심키워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KEYWORDS OF INTEREST FOR MOBILE DEVICES}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에서의 관심키워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 사용자의 정보나 단말 사용 패턴에 따라 사용자가 관심을 갖고 있는 키워드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관심키워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단말의 판매 및 이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Smart-phone)이나 태블릿(Tablet) PC, 랩탑 컴퓨터, 그 외 각종 미디어 플레이어 등 휴대 가능한 소형 정보처리장치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무선 통신 기술도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통신 속도와 커버리지(Coverage)의 한계가 줄어들어 모바일 단말의 사용 환경이 점차 개선되고 있다.
그에 따라 점차 모바일 단말을 통해 구현되는 기능도 다양해지고 있다. 웹서핑이나 채팅, 게임, 동영상 스트리밍 등 유선 통신 환경의 일반 PC에서 구현되는 모든 기능들이 모바일 단말에서도 구현 가능해진 상황이다. 따라서 일반 PC 사용량의 많은 부분이 모바일 단말 사용량으로 전환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은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하드웨어 구성을 최소화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제한이 있다. 특히 키패드나 마우스 등의 하드웨어적인 입력장치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를 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에 따라 협소한 디스플레이 내에 사용자 입력을 받기 위한 가상의 입력수단까지 함께 출력되어 콘텐츠가 출력될 디스플레이가 더욱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협소한 디스플레이 내에서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데 불편함이 따를 뿐 아니라 오타에 의한 오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스마트폰 등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는 도중에 사용자가 특정 단어나 화제에 대해서 관심이 생기더라도 이를 검색하기 위해서 관련 키워드를 새로 입력하거나 복사하여 검색하는 과정이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기능을 다수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제공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에서는 광고 수익을 얻기 위해 다양한 광고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광고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팅(targeting)된 광고를 제공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무분별하게 제공되는 광고들은 협소한 디스플레이 내에서 상당한 영역을 침범하여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고 사용자의 불쾌감을 유발하며, 나아가 광고가 삽입된 애플리케이션 자체에 대한 반감을 초래하는 등 광고 효과를 발생시키기 보다는 많은 부작용을 낳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단말의 이용패턴 등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 이용 기록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최근 관심을 갖고 있는 화제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일측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에서의 관심키워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관심키워드를 제공하되, 키워드를 선택하는 동작만으로 키워드 검색 기능이 자동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키워드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에서의 관심키워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바일 단말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현재 시점까지의 모바일 단말의 이용 기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갖고 있는 관심키워드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검색에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스스로 자신의 관심분야에 대해 더 많은 지식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에서의 관심키워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에 광고가 제공되던 화면 영역보다 좁은 영역만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에게 관심키워드를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활용도를 높일 뿐 아니라 광고에 의한 사용자의 불쾌감을 줄일 수 있는 모바일 단말에서의 관심키워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제공된 관심키워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키워드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에 한하여 검색 결과로서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를 거부감 없는 간접적인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실제로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광고만이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으며 보다 향상된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모바일 단말에서의 관심키워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관심키워드 제공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키워드서버와 통신하는 사용자단말이 사용자의 관심키워드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 및 상기 키워드서버에 의하여 수행되고, 상기 사용자단말이 관심키워드가 삽입되도록 설정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호출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키워드서버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삽입될 관심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결정된 관심키워드를 삽입하여 표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키워드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선택된 관심키워드에 대한 검색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관심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를 추출하여 검색 결과로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광고를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광고가 노출되면, 해당 광고의 광고주에게 광고료를 과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른 키워드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단말의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을 일시적으로 잠식하면서 표시되는 가상키보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문자열을 입력받는 사용자단말과 통신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로 관심키워드를 제공하는 키워드서버에 있어서, 각각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사용자가 상기 가상키보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거나 선택한 문자열 정보, 그리고 사용자의 사용자단말 사용패턴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계정관리부와,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문자열 정보, 그리고 상기 사용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분석하는 사용자분석부와, 상기 사용자분석부에서 분석된 각각의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각각의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의 관심키워드로 추출하는 키워드추출부와, 상기 키워드추출부에서 추출된 관심키워드를 상기 가상키보드 인터페이스와 함께 표시되도록 각각의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키워드송신부 그리고 복수의 광고를 저장하고,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 요청된 관심키워드에 대한 검색을 수행할 때, 저장된 광고를 검색 대상으로 제공하는 광고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관리부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선택된 관심키워드에 대한 검색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관심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를 추출하여 검색 결과로서 상기 사용자단말로 광고를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광고가 노출되면, 해당 광고의 광고주에게 광고료를 과금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의 이용패턴 등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 이용 기록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최근 관심을 갖고 있는 화제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일측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관심키워드를 제공하되, 키워드를 선택하는 동작만으로 키워드 검색 기능이 자동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키워드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현재 시점까지의 모바일 단말의 이용 기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가 관심을 갖고 있는 관심키워드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검색에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스스로 자신의 관심분야에 대해 더 많은 지식을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기존에 광고가 제공되던 화면 영역보다 좁은 영역만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에게 관심키워드를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활용도를 높일 뿐 아니라 광고에 의한 사용자의 불쾌감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제공된 관심키워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키워드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에 한하여 검색 결과로서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를 거부감 없는 간접적인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실제로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광고만이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으며 보다 향상된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워드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제공 방법에서 사용자단말이 수행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제공 방법에서 키워드서버가 수행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제공 방법에서 키워드서버가 사용자단말에 제공할 키워드를 선정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제공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단말에 관심키워드가 제공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할 용어를 먼저 정의한다.
이하에서 ‘사용자계정’은 각각의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키워드 제공 방법에 따라 관심키워드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부여되는 권한을 사용자 별로 구분하는 단위로서, 사용자의 식별정보나 후술할 사용자단말과 관련된 식별정보에 따라 구분될 수 있고, 각각의 사용자계정에는 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사용자단말의 사용패턴 정보 등이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사용자 각각의 성별, 직업, 취미, 나이 등 후술할 사용자 관심키워드의 선정을 위해 참조될 수 있는 사용자에 대한 각종 정보로서, 사용자 스스로 입력하여 등록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아래에서 ‘사용자입력문자열’은, 웹브라우저에서 검색 요청 시 사용된 검색어, 웹브라우저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웹페이지의 URL 정보, 그 외 각종 애플리케이션에서 입력되는 문자열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패턴’은 현재 시점으로부터 역으로 적어도 일정 시간 범위 내의 사용자의 사용자단말 사용 이력에 기초한 통계에 따른 사용자의 사용자단말 사용패턴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나,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요청한 웹사이트 호스트의 성격,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에 입력하는 검색어,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시간이나 이용 시간대, 사용자단말의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아래에서 ‘키워드인터페이스”는 사용자단말의 운영체제 또는 사용자단말에 설치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예를 들어, 잠금 화면, 잠금 해제 화면, 바탕화면, 가상키보드 화면, 또는 웹브라우저 등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화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키워드인터페이스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는 사용자의 관심키워드가 삽입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 화면, 잠금 해제 화면, 바탕화면, 가상키보드 화면의 일측,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화면의 소정 영역 등에 관심키워드가 표시되는 키워드영역이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키워드인터페이스에 삽입되는 관심키워드는 일시적으로 표시되거나 키워드인터페이스의 표시상태에 종속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가상키보드’는 사용자단말의 디스플레이의 일정 영역을 잠식하며 표시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로서, 운영체제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제공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호출되면 일시적으로 표시되고, 사용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표시가 중단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이다. 가상키보드의 상단 일부영역이나 하단 일부영역 등에는 사용자의 관심키워드가 표시된 키워드영역이 삽입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제공되는 관심키워드는 가상키보드가 표시되면 함께 표시되고, 가상키보드의 표시가 중단되면 함께 사라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관심키워드’는 상술한 개인정보, 사용자입력문자열, 사용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각각의 사용자의 관심사가 반영되는 단어 등의 문자열을 의미한다.
나아가 이하에서 ‘관심 카테고리’는 복수의 키워드 각각이 속하는 범주를 복수의 카테고리로 구분한 것이며, 하나의 관심 카테고리에는 해당 관심 카테고리에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워드가 포함될 수 있다. 키워드들은 관심 카테고리에 연관되어 후술할 키워드서버나 키워드서버가 접근 가능한 다른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위에 정의된 용어를 사용하여,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네트워크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워드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N)를 중심으로 한다.
여기서 네트워크(N)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N)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단말(100)이 후술할 키워드서버(200)와 통신한다. 사용자단말(10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는 통신단말로서,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나아가 데스크탑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 인터넷 TV 등으로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단말(100)의 범위를 확장하여 적용 가능함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키워드 제공 시스템은 키워드서버(200)를 포함한다. 키워드서버(20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의 단말이나 타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컴퓨터로서, 사용자단말(100)로 광고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역할을 한다. 키워드서버(200)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하나의 서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서버를 포함하는 서버군이 될 수도 있고, 하나의 서버 내에 설치되는 서버 프로그램 모듈이 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키워드 제공 시스템은 서비스서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300)도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의 단말이나 타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컴퓨터로서, 사용자단말(100)로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역할을 한다. 서비스서버(300)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하나의 서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서버를 포함하는 서버군이 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서버 내에 설치되는 서버 프로그램 모듈이 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실제로는 키워드서버(200)와 서비스서버(300)가 하나의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고, 서비스서버(300)가 키워드서버(200)와 동일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다른 서버가 될 수 있다. 물론 키워드서버(200)와 서드파티 관계에 해당할 수도 있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사용자단말(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단말(100)에 설치된 키워드제공애플리케이션(또는 키워드서버(200)의 운영자가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키워드서버(200)의 통신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키워드제공애플리케이션은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키워드인터페이스로 설정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가 호출되면 관심키워드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키워드서버(200)의 운영자가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관심키워드를 삽입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함으로써,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미리 정해진 키워드인터페이스가 호출되면, 키워드서버(200)에서 제공하는 관심키워드가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키워드인터페이스 내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중 일부를 키워드인터페이스로 하여 관심키워드가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키워드제공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단말(100)을 사용하면서 사용자에게 자주 노출되거나, 사용자의 집중을 유도하는 각종 사용자인터페이스를 모두 키워드인터페이스로 설정하여 관심키워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웹브라우저나 그 외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API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도 관심키워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단말(100)을 이용하는 행위 전체에 대해, 통합적으로 관심키워드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키워드제공애플리케이션과 서드파티 관계의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은, 키워드서버(200)의 운영자가 제공하는API에 기초하여 사용자인터페이스 중 일부를 키워드인터페이스로 설정하고 설정된 키워드인터페이스가 호출되었을 때, 키워드서버(200)로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사용자단말(1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맞춤 관심키워드를 요청하도록 하여, 요청된 관심키워드가 수신되면 이를 키워드인터페이스에 삽입한다.
나아가 키워드제공애플리케이션은 운영체제나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되는 사용자입력이나 사용자단말의 사용패턴 등을 수집하여 키워드서버(200)에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키워드서버(200)에서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관심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단말(100)은 계정등록부(101)를 포함한다. 계정등록부(101)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입력 받아 키워드서버(200)에 전송함으로써, 키워드서버(200)가 사용자단말(100) 또는 사용자에 대해 부여한 사용자계정에 등록되도록 한다. 그리고 계정등록부(101)는 개인정보에 수정이나 추가사항이 발생한 경우, 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키워드서버(200)에 갱신한다.
그리고 사용자단말(100)에는 키워드수신부(102)가 구비된다. 키워드수신부(102)는 키워드서버(200)와 통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광고를 수신 받는다. 이때 키워드수신부(102)는 키워드서버(200)로부터 미리 사용자의 관심키워드를 수신하여 저장해 두거나, 관심키워드 제공 요청이 있을 때 키워드서버(200)로 관심키워드의 제공을 요청하여 각각의 사용자에게 특화된 관심키워드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100)에는 키워드수신부(102)에서 수신한 관심키워드를 키워드인터페이스에 삽입하는 키워드삽입부(103)가 구비된다. 키워드삽입부(103)는 사용자로부터 키워드인터페이스의 호출이 감지되면, 호출된 키워드인터페이스에 삽입될 관심키워드를 선택하여 키워드인터페이스에 삽입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문자열을 입력하고자 하면, 가상키보드가 호출되는데, 키워드삽입부(103)는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단말(100)이 잠금 상태이고, 사용자단말(100)의 디스플레이가 오프(off)인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온(on) 명령이 수신되어, 잠금 화면이 호출되면, 키워드삽입부(103)는 호출된 잠금 화면에 표시될 사용자의 관심키워드를 선택한다. 이때 키워드삽입부(103)는 키워드수신부(102)가 키워드서버(200)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관심키워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이때 키워드삽입부(103)는 키워드서버(200)로 관심키워드 제공을 요청하고, 키워드서버(200)가 미리 해당 사용자단말에 대응하여 선택해둔 관심키워드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단말(100)은 인터페이스제공부(104)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제공부(104)는 운영체제 또는 그 외 사용자단말(100)에 설치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상술한 키워드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인터페이스제공부(104)는 키워드삽입부(103)에 의해 관심키워드가 삽입된 키워드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키워드인터페이스는, 미리 선택될 수 있으며, 미리 선택된 키워드인터페이스의 어느 부분에 어떻게 관심키워드가 삽입될지 여부도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제공부(104)는 예를 들어, 운영체제 자체 또는 그 위에서 구동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키워드인터페이스를 표시하되, 키워드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를 상술한 서비스서버(300)로부터 수신하고, 키워드인터페이스에 삽입되는 관심키워드는 키워드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100)은 입력감지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감지부(105)는 사용자가 사용자단말(100)로 입력하는 각종 명령이나 데이터의 입력을 감지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입력문자열을 인식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100)에 제공된 관심키워드에 대한 사용자의 리액션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100)에는 나아가 사용패턴수집부(106)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패턴수집부(106)는 상술한 사용패턴 정보를 수집한다. 특히 사용패턴수집부(106)는 사용자단말(100)의 사용 히스토리 정보를 일정시간 이상 수집하여 통계화할 수 있으며, 사용 히스토리 정보를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키워드서버(200)로 제공하거나, 또는 사용 히스토리 정보를 통계화하여 키워드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단말(100)은 검색결과제공부(1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제공부(104)에서 사용자단말(100)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관심키워드가 삽입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여 관심키워드를 선택(클릭하거나 터치)하면, 검색결과제공부(107)는 선택된 관심키워드를 이용한 검색결과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검색결과제공부(107)는 관심키워드가 선택되었을 때, 선택된 관심키워드를 사용자단말(100)에 설치된 웹브라우저로 전송하여 검색결과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키워드서버(200)나 키워드서버(200)의 운영자가 제공한 다른 응용프로그램 또는 키워드서버(200)의 운영자가 운영하는 다른 서버로 선택된 관심키워드를 전송하여, 검색결과가 사용자단말(1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관심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결과로서, 광고가 제공될 수 있다. 키워드서버(200) 또는 키워드서버(200)의 운영자가 운영하는 다른 서버를 통해 관심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가 추출되어 사용자단말(100)로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1차적으로는 자신의 관심키워드를 제공받고, 이를 선택하였을 때에 한하여 2차적으로 광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키워드서버(200)의 구성을 설명하면, 키워드서버(200)는 계정관리부(201)를 포함한다. 계정관리부(201)는 각각의 사용자계정에 대하여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사용자단말(100)의 사용패턴 정보(또는 그 기초가 되는 사용 히스토리 정보)를 입력 받아 관리한다. 그리고 각 사용자계정에 대한 관심키워드 제공 내역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키워드서버(200)는 사용자분석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분석부(202)는 각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사용자입력문자열, 사용패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취향이나 관심사 등을 분석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분석부(202)는 이를 위하여 사용자단말(100)로부터 현재 시간으로부터 적어도 일정시간 내에 수신된 사용자입력문자열과 사용패턴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사용자분석부(202)는 상술한 사용자입력문자열에 기초하여 일차적으로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추출하고, 사용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보완적으로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분석부(202)는 각각의 분야별 관련 문자열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이를 사용자입력문자열과 비교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키워드서버(200)에는 키워드추출부(203)가 포함된다. 키워드추출부(203)는 사용자분석부(202)를 통해 분석된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추출하여 각 사용자의 관심키워드를 결정한다. 이때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둘 이상 결정하고, 결정된 둘 이상의 관심분야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조합하여 완성되는 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는 관심키워드를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키워드서버(200)에는 키워드송신부(204)가 포함된다. 키워드송신부(204)는 키워드추출부(203)에서 추출된 사용자의 관심키워드를 사용자단말(100)로 전송한다. 키워드송신부(204)는 사용자분석부(202)에서 분석된 결과에 따라 추출된 관심키워드를 사용자단말(100)로 전송하거나, 사용자단말(100)에서 즉각적인 관심키워드의 제공이 요청되었을 때,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사용자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키워드서버(200)에는 선택적으로 검색부(205)가 제공될 수 있다. 검색부(205)는 사용자단말(100)에 제공된 관심키워드를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선택된 관심키워드 정보를 다시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수신하여, 선택된 관심키워드에 대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 결과를 다시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표시된 관심키워드를 선택하는 동작만으로, 관심키워드에 대한 검색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키워드서버(200)는 추가적으로 광고관리부(2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고관리부(206)는 사용자단말(100)에서 선택된 관심키워드에 대한 검색결과로서, 관심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를 검색부(205)로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검색부(205)는 관심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에 관심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를 포함시켜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키워드서버(200)의 운영자는 광고주들로부터 광고를 수주하고, 수주된 광고가 사용자의 관심키워드에 대응하면, 검색결과로서 사용자단말(100)로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광고수익을 얻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키워드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관심키워드 제공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제공 방법에서 사용자단말이 수행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제공 방법에서 키워드서버가 수행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제공 방법에서 키워드서버가 사용자단말에 제공할 관심키워드를 선정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제공 방법에 의하여, 사용자단말에 관심키워드가 제공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단말(100)에서는 우선 사용자정보를 등록하는 단계(S310)가 수행된다. 사용자는 상술한 키워드제공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사용자계정이 생성될 수 있도록 기본정보를 입력하고, 나아가 사용자의 관심키워드 선정이 가능하도록 각종 사용자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키워드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된 키워드제공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단말(100)로 입력되는 사용자입력문자열 및 사용자단말(100)의 사용패턴을 수집한다(S320). 사용패턴 수집을 위하여 사용 히스토리 정보를 먼저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집된 사용자입력문자열과 사용패턴 정보는 키워드서버(200)로 전달되어 각 사용자계정에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100)은 키워드인터페이스가 호출됨이 감지되면(S330), 키워드서버(200)로부터 키워드인터페이스에 삽입될 적어도 하나의 관심키워드를 수신한다(S340). 물론 키워드인터페이스가 호출되기 전에, 미리 키워드서버(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관심키워드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키워드서버(200)는 S320단계에서 현재 시간으로부터 적어도 일정 시간 내에 수집되어 키워드서버(200)로 전달된 사용자입력문자열 및/또는 사용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100)의 사용자에 대한 관심키워드를 선택하고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단말(100)은 미리 설정된 키워드인터페이스의 호출을 감지하면, 수신된 관심키워드 중 일부를 선택하여 호출된 키워드인터페이스에 삽입할 수 있다(S350).
또한 S350단계에서, 삽입된 관심키워드와 호출된 키워드인터페이스를 사용자단말(100)에 노출한다(S360). 여기서 키워드제공애플리케이션 자체가 제공하는 키워드인터페이스에는 키워드제공애플리케이션에서 직접 관심키워드를 삽입하고 노출시킬 수 있으나, 다른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키워드인터페이스에 관심키워드가 삽입되는 경우에는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이 직접 키워드서버(200)로 관심키워드를 요청하거나 키워드제공애플리케이션에 관심키워드를 요청하여, 관심키워드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키워드인터페이스를 통해 관심키워드가 노출되면, 사용자는 노출된 관심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다(S370). 관심키워드의 선택은, 관심키워드가 표시된 영역을 클릭하거나 터치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단말(100)에서 노출된 관심키워드가 선택되면, 사용자단말(100)은 관심키워드에 대한 검색을 키워드서버(200)로 전달하거나, 서드파티 웹브라우저로 전달하여, 네트워크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하며, 수신된 검색 결과를 다시 사용자에게 출력한다(S380).
이때 관심키워드에 대한 검색을 키워드서버(200)로 요청한 경우, 키워드서버(200)는 검색 결과로서 관심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특정 광고가 사용자단말(100)에서 검색결과로 노출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키워드 제공방법에서, 키워드서버(200)는 키워드제공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하여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사용자입력문자열, 그리고 사용패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410)를 수행한다.
그리고 키워드서버(200)는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사용자입력문자열, 사용패턴 정보를 각 사용자계정에 연관하여 누적하고, 누적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사용자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분석하여, 각 사용자계정에 대응하는 관심키워드를 추출한다(S420). 이때, S420단계의 보다 구체적인 과정은 도 6에서 따로 설명한다.
또한 키워드서버(200)는 추출된 관심키워드를 각 사용자계정에 대응하는 사용자단말(100)로 전송한다(S430).
그리고 키워드서버(200)는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선택된 관심키워드에 대한 검색 요청이 수신되면, 관심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를 추출하여 검색 결과로서 사용자단말(100)로 광고를 전달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단말(100)에서 광고가 노출되면(S440), 해당 광고의 광고주에게 광고료를 과금할 수 있다(S450).
이하에서는 키워드서버(200)가 사용자단말(100) 사용자에 대한 관심키워드를 추출하는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키워드 제공 방법에서는, 키워드제공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각각의 사용자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사용자입력문자열, 그리고 사용패턴 정보를 수집한다(S500).
그리고 우선적으로 사용자입력문자열을 관심분야별로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에 포함된 문자열과 비교한다(S510).
그리고 S510단계에서의 비교결과, 사용자입력문자열과 일치하는 카테고리별 문자열이 존재하면(S520), 사용자입력문자열과 일치하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카테고리 중에서, 더 많은 문자열이 일치하는 카테고리를 우선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를 선택한다(S530).
한편, S520단계에서, 사용자입력문자열과 일치하는 업종별 문자열이 검색되지 않으면, 사용자입력문자열의 유사문자열을 추출한다(S540). 여기서 유사문자열은, 사용자입력문자열과 동의어나 유사어, 연관어, 확장어, 자동완성 문자열 등으로 미리 함께 그룹핑된 다른 문자열이다.
이에 따라 추출된 유사문자열을 다시 카테고리별 문자열과 비교하여(S550), 유사문자열과 문자열이 일치하는 카테고리가 검색되면(S560), 검색된 카테고리를 사용자의 관심 카테고리로 선택한다(S530). 이때에도 역시 유사문자열과 일치하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카테고리 중에서, 더 많은 문자열이 일치하는 카테고리를 우선적으로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다.
한편, S560단계에서 유사문자열과 문자열이 일치하는 카테고리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단말(100)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사용자단말(100)의 사용패턴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성분들을 각각의 카테고리에 매칭한 후, 점수화하고(S570), 동일한 카테고리에 매칭된 성분들의 점수끼리 합산하여 상위 점수의 카테고리를 우선적으로 하나 이상 사용자의 관심분야로 선택한다(S580).
그리고 S530단계 또는 S580단계에서 사용자의 관심분야로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사용자의 관심키워드로 선택하여 사용자단말(100)로 제공한다(S590). 이때 관심분야로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키워드 중 일부를 추출함에 있어서, 동일 카테고리의 키워드들 사이의 우선순위를 미리 결정하여 순위에 따라 키워드를 추출하거나, 동일 카테고리의 키워드들 중 일부를 무작위로 추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키워드 제공 방법의 일례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키워드 제공 방법에서, 사용자단말(100)에는 키워드인터페이스로서 가상키보드가 호출될 수 있다. 가상키보드는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것일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때 키워드제공애플리케이션에는 가상키보드가 키워드인터페이스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가상키보드가 호출되면 키워드제공애플리케이션은 이를 감지하여 가상키보드의 일측에 삽입될 관심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관심키워드는 미리 키워드서버(200)로부터 수신한 것일 수도 있고, 실시간으로 요청하여 수신하는 것일 수도 있다.
그에 따라 가상키보드(K)가 화면 일측에 제공되고 동시에 가상키보드 일측에 마련되는 키워드영역(A)에 삽입된 관심키워드가 함께 나타날 수 있다. 가상키보드(K)에 삽입되는 관심키워드는 하나 일수도 있고, 둘 이상이고 시간 경과에 따라 하나씩 전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입력창에 문자열을 입력하면, 키워드영역(A)에 표시되는 관심키워드가 입력된 문자열에 관련된 키워드로 전환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키워드제공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문자열을 키워드서버(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이미 메시지 영역(M)에 표시된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열에 대응하는 관심키워드가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메시지 입력이 완료되어 가상키보드(K)가 사라지면 키워드영역(A)이 가상키보드(K)와 함께 사라진다. 그에 따라 화면에는 메시지 영역(M)만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사용자가 새로운 문자열 입력을 위하여 가상키보드(K)를 호출하면, 가상키보드(K)가 다시 표시되면서 새로운 관심키워드가 키워드영역(A)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상키보드를 호출할 때 관심키워드를 함께 제공하는 경우, 실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였던 문자열을 관심키워드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문자열을 입력하는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웹브라우저에 검색어를 입력하거나 주소록에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가상키보드가 제공되면서 관심키워드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가상키보드를 키워드인터페이스로 하는 경우만을 예시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바탕화면의 일측에 구비되는 영역을 관심키워드 위젯으로 하여 여러 키워드가 전환되면서 표시되도록 하거나, 사용자단말(100)의 잠금 화면 또는 잠금 해제 화면 등을 키워드인터페이스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웹브라우저나 사용자단말(100)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추가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들도 키워드제공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키워드가 삽입되는 키워드인터페이스로 설정 가능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4 내지 7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단말 200: 키워드서버
300: 서비스서버

Claims (6)

  1. 네트워크를 통해 키워드서버와 통신하는 사용자단말이 사용자의 관심키워드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 및 상기 키워드서버에 의하여 수행되고,
    상기 사용자단말이 관심키워드가 삽입되도록 설정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호출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키워드서버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삽입될 관심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에 삽입되도록 결정된 관심키워드를 삽입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관심키워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입력이 감지되면, 선택된 관심키워드에 대한 검색요청을 상기 키워드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키워드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선택된 관심키워드에 대한 검색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관심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를 추출하고, 상기 검색요청에 대한 검색결과에 추출된 광고를 포함시켜 상기 사용자단말로 검색결과를 전달하며,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상기 광고가 노출되면, 해당 광고의 광고주에게 광고료를 과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관심키워드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의 개인정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거나 선택되는 문자열 정보, 그리고 상기 사용자단말의 사용패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키워드서버가, 상기 문자열 정보와 동일하거나 사용자입력문자열과 동의어, 유사어, 연관어, 확장어 및 자동완성 문자열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카테고리가 검색되면, 검색된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의 관심분야로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키워드서버가, 관심분야로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상기 삽입될 관심키워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심키워드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분야로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키워드서버가 상기 문자열 정보와 동일하거나 사용자입력문자열과 동의어, 유사어, 연관어, 확장어 및 자동완성 문자열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카테고리가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상기 사용자단말의 사용패턴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성분을 각각의 카테고리에 매칭하여 점수화하고, 동일한 카테고리에 매칭된 성분들의 점수를 합산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위 순위의 카테고리를 관심분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심키워드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서 표시된 관심키워드가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단말이 선택된 관심키워드에 대한 검색요청을 상기 키워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키워드서버가, 상기 검색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관심키워드에 대응하는 광고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사용자단말이, 전송된 광고를 검색결과로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관심키워드 제공 방법.
  5.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단말의 디스플레이의 일부분을 일시적으로 잠식하면서 표시되는 가상키보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문자열을 입력받는 사용자단말과 통신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로 관심키워드를 제공하는 키워드서버에 있어서,
    각각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사용자가 상기 가상키보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거나 선택한 문자열 정보, 그리고 사용자의 사용자단말 사용패턴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계정관리부와;
    상기 개인정보와 상기 문자열 정보, 그리고 상기 사용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분석하는 사용자분석부와;
    상기 사용자분석부에서 분석된 각각의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각각의 사용자단말의 사용자의 관심키워드로 추출하는 키워드추출부와;
    상기 키워드추출부에서 추출된 관심키워드를 상기 가상키보드 인터페이스와 함께 표시되도록 각각의 사용자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관심키워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선택된 관심키워드에 대한 검색요청을 수신하는 키워드송신부;
    상기 키워드송신부를 통해 각각의 사용자단말로 전송된 관심키워드에 대한 검색 요청이 수신되면, 검색 요청된 관심키워드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여 상기 관심키워드에 대한 광고를 추출하고, 상기 검색 요청에 대한 검색 결과에 추출된 광고를 포함시켜 상기 사용자단말로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검색부; 그리고
    복수의 광고를 저장하고, 상기 검색부에서 검색 요청된 관심키워드에 대한 검색을 수행할 때, 저장된 광고를 검색 대상으로 제공하는 광고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고관리부는,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선택된 관심키워드에 대한 검색요청이 수신되어, 상기 검색부가 검색 요청된 관심키워드에 대한 광고를 포함하는 검색결과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광고가 노출되면, 해당 광고의 광고주에게 광고료를 과금하는, 키워드서버.
  6. 삭제
KR1020140143138A 2014-10-22 2014-10-22 모바일 단말에서의 관심키워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70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138A KR101570517B1 (ko) 2014-10-22 2014-10-22 모바일 단말에서의 관심키워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138A KR101570517B1 (ko) 2014-10-22 2014-10-22 모바일 단말에서의 관심키워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3006A Division KR101495514B1 (ko) 2013-03-27 2013-03-27 모바일 단말에서의 관심키워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525A KR20140140525A (ko) 2014-12-09
KR101570517B1 true KR101570517B1 (ko) 2015-11-20

Family

ID=52458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138A KR101570517B1 (ko) 2014-10-22 2014-10-22 모바일 단말에서의 관심키워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5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008B1 (ko) * 2016-06-20 2017-04-07 주식회사 포켓메모리 가상현실 광고 관리서버 및 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768B1 (ko) 2006-04-06 2007-09-03 엔에이치엔(주) 사용자별 맞춤 추천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상기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768B1 (ko) 2006-04-06 2007-09-03 엔에이치엔(주) 사용자별 맞춤 추천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 상기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525A (ko) 201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4484B2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the display of electronic content card information when providing users digital content
US11341153B2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pplications on a device for serving media
US10885076B2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search query auto-completion
CN110941778B (zh) 广告中的广告主标识符的自动验证
US10459981B2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providing interactive query suggestions within an electronic mail system
US9972034B2 (en) Frequent markup techniques for use in native advertisement placement
EP2165437A2 (en) Presenting content to a mobile communication facility based on contextual and behaviorial data relating to a portion of a mobile content
US10715612B2 (en) Identifying users' identity through tracking common activity
US9734519B2 (en) Native advertisement smart injection
US20160098416A1 (en) Auto complete search box based on the user's context to reduce user's input
US20140229289A1 (en) Enhanced shared screen experiences for concurrent users
KR20160006696A (ko) 추천 생성에서 소셜 정보를 고려하는 기법
JP2018538604A (ja) モバイル広告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US10269034B2 (en) Content guided techniques for use in native advertisement placement
US109227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ual video advertisement serving in guaranteed display advertising
US10582275B2 (en) Real-time digit string-based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using smart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1570517B1 (ko) 모바일 단말에서의 관심키워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53257B1 (ko) 모바일 단말에서의 관심키워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495514B1 (ko) 모바일 단말에서의 관심키워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30166594A1 (en) Advertisement, Feature and Data Provisioning Based on Dialed Numbers and Other Addresses
KR101682163B1 (ko) 광고 웹 페이지 내 연락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연락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140094051A (ko) 가상 키보드를 이용한 검색어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55576A (ko) 개인화된 광고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KR20150105753A (ko) 관심키워드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70278123A1 (en) System for managing membership, method for managing membership using registration of membership by user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