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495B1 -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495B1
KR101570495B1 KR1020140061678A KR20140061678A KR101570495B1 KR 101570495 B1 KR101570495 B1 KR 101570495B1 KR 1020140061678 A KR1020140061678 A KR 1020140061678A KR 20140061678 A KR20140061678 A KR 20140061678A KR 101570495 B1 KR101570495 B1 KR 101570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air compressor
snow
cylindrical housing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주
정성엽
하정석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061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4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3/00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ice or snow for winter sports or similar recreational purposes, e.g. for sporting installations; Producing artificial snow
    • F25C3/04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ice or snow for winter sports or similar recreational purposes, e.g. for sporting installations; Producing artificial snow for sledging or ski trails; Producing artificial sn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0Hyd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ship-testing tanks or water tun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는 외부에서 물을 공급받아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발생부(110); 상기 증기를 고속 분사시키는 제1 공기압축기(P1); 냉각된 압축 공기를 제공하는 제2 공기압축기(P2); 상기 제1 공기압축기(P1)에서 제공하는 증기 및 상기 제2 공기압축기(P2)에서 제공하는 냉각된 압축 공기를 제공받아 합성눈(artificial snow)을 생성하는 합성눈 생성부(120); 상기 합성눈 생성부(120)가 상기 인공 빙수조의 표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인공 빙수조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부(130); 및 상기 증기발생부(110), 제1 공기압축기(P1), 제2 공기압축기(P2), 합성눈 생성부(120) 및 레일부(1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Artificial Snow ge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합성눈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눈으로 덮여진 해빙상태를 운항시 빙해선박이 해빙과 눈을 동시에 쇄빙하면서 눈으로 인한 빙저항에 따른 쇄빙선의 쇄빙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원유가의 상승 추세가 오래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고유가 추세는 과거 유가 하향 안정적이었던 시절, 경제성이 떨어져 외면해 왔던 극지에서의 자원개발을 가능케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으며, 특히 고유가로 인한 러시아 경제력의 확대는 북극해에 연한 시베리아의 개발과 북극해 항로 이용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게 하였다.
빙해역 운송의 기존 방법은 유도쇄빙선에 의한 항로 개설인데 유도되는 선박의 크기가 유도하는 쇄빙선의 크기를 초과할 수 없기 때문에 북극해 항로에서 운용하게 될 선박이 지금까지 보다 규모가 더 증가하면 Arktika class와 같은 원자력 쇄빙선조차도 유도쇄빙선의 역할을 하기 어려워질 것이다.
따라서 현재의 빙해용 대형 쇄빙선의 부족현상은 북극해 항로에서 독립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쇄빙선의 설계와 건조가 곧 필요하리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현재 빙해역 운항 선박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러시아의 쇄빙선단에 대한 수요가 창출될 것이라는 예측되고 있다. 국내 조선사의 추정에 따르면 국제 원유/천연가스 가격의 상승으로 오는 2014년까지 쇄빙유조선 50척 가량이 발주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50억불 이상의 새로운 시장이 탄생하는 것이며 또 극지용 선박 시장은 쇄빙유조선 외에 쇄빙LNG, 쇄빙컨테이너선 등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러한 상황은 고부가가치 전략을 기조로 하고 있는 현재의 국내 조선산업에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국내 조선사가 수주하는 선박의 약 25%는 빙해역에서 운항할 수 있는 Ice Class 선박이며, 이 비율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쇄빙선 설계에 필요한 쇄빙능력을 100% 정밀하게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은 정립되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기 발표된 문헌과 자료의 분석을 통해, 쇄빙능력 산정 문제를 이해하고 빙해역 선급규정의 이론적인 근거를 파악하는 일은 충분히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에서도 최근 들어 쇄빙능력 산정에 관한 논문이 발표되고 있다(Choi and Lee 2004, Rim and Lee 2007).
한편, 쇄빙능력은 쇄빙선과 해수면에 형성된 빙하와의 충돌에 따른 하중을 나타내며, 이러한 하중은 일부분은 빙하의 표면상에 형성된 눈의 무게와도 연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빙하의 표면상에 형성된 눈이 일정 이상의 높이로 적설된 상태일 경우, 쇄빙능력은 비례적으로 증가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쇄빙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빙하가 형성된 인공 빙수조의 표면상에 실제 극지방을 이동하는 쇄빙선의 표면에 가해지는 쇄빙능력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하여 인공 빙수조의 표면에 합성눈을 적설시켜 쇄빙선이 인공 빙수조를 이동시에 합성눈으로 인한 쇄빙선의 쇄빙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합성눈 발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2-0129862호(발명의 명칭: 합성눈 제조 장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쇄빙선과 빙하의 충돌에 따른 빙하저항은 실질적인 빙하와의 충돌에 따른 저항과 빙하의 표면에 형성된 눈의 저항을 포함하게 되며, 기존의 빙하저항 측정은 실질적인 빙하와의 충돌에 따른 저항만을 측정함으로써, 빙하의 표면상에 형성된 눈의 무게에 따른 저항은 간과되어왔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인공 빙수조에 형성된 빙하의 표면상에 사용자가 원하고자 하는 높이를 갖는 눈을 생성할 수 있는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는 외부에서 물을 공급받아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발생부(110); 상기 증기를 고속 분사시키는 제1 공기압축기(P1); 냉각된 압축 공기를 제공하는 제2 공기압축기(P2); 상기 제1 공기압축기(P1)에서 제공하는 증기 및 상기 제2 공기압축기(P2)에서 제공하는 냉각된 압축 공기를 제공받아 눈(snow)을 생성하는 합성눈 생성부(120); 상기 합성눈 생성부(120)가 상기 인공 빙수조의 표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인공 빙수조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부(130); 및 상기 증기발생부(110), 제1 공기압축기(P1), 제2 공기압축기(P2), 합성눈 생성부(120) 및 레일부(1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합성눈 생성부(120)는, 하부가 개구되며, 상기 증기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121a) 및 상기 냉각된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121b)가 형성된 원통형 하우징(121); 상기 원통형 하우징(121) 내측면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증기를 수직 방향으로 분사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N); 및 상기 원통형 하우징(121) 내측면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냉각된 압축 공기를 수평방향으로 분사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각팬(P);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노즐(N) 및 상기 냉각팬(P) 각각은 상기 제어부(140)를 통해 개폐가 제어되는 제어밸브(v1, v2)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통형 하우징(121)은, 상부에 상기 레일부(130)과 결속되어 상기 레일부(130)을 따라 이동하는 결속부재(122)가 구비되며, 상기 결속부재(122)는 유압식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부재(122)는 일단이 상기 원통형 하우징(121) 상부면과 체결되며, 유압식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가이드 암(122a); 및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레일부(1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 암(122a)의 타단과 체결되는 이동부(122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통형 하우징(121)은 내부에 상기 증기와 상기 냉각된 압축공기를 반응시키기 위한 구르부(groove) 형상의 반응공간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응공간의 기압은 상부가 하부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통형 하우징(121)은 상기 반응공간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통형 하우징(121)은 상기 인공 빙수조의 표면에 적층되는 눈의 높이를 감지하는 적설량 감지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밸브(v1, v2)는 게이트 밸브(gate valve), 글로브 밸브(globe valve), 제어 밸브(control valve), 체크 밸브(check valve),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 볼 밸브(ball valve), 다이어프램(diaphragm valve) 밸브 중 어느 하나이며, 전자식 또는 기계식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따른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를 이용하면 인공 빙수조에 생성된 빙하의 표면상에 사용자가 원하고자 하는 높이로 합성눈을 생성시킬 수 있어, 인공 빙수조에 형성된 빙하를 실제 극 지방의 상황과 유사한 형태로 설계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인공 빙수조 상부에 형성된 레일부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인공 빙수조에 형성된 빙하의 표면을 따라 사용자가 원하고자 하는 적층 높이의 합성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를 통해 인공 빙수조 상에 눈을 생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눈 발생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합성눈 생성부와 레일부가 결속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합성눈 생성부의 단면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를 통해 인공 빙수조 상에 합성눈을 생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합성눈 생성부와 레일부가 결속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합성눈 생성부의 단면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100)은 증기발생부(110), 제1 공기압축기(P1), 제2 공기압축기(P2), 합성눈 생성부(120), 레일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증기발생부(110)는 외부에서 물을 공급받아 증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 공기압축기(P1)는 상기 증기를 기 설정된 기압으로 고속 분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 공기압축기(P2)는 냉각된 공기를 압축시켜 상기 합성눈 생성부(12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합성눈 생성부(120)는 상기 제1 공기압축기(P1)에서 제공하는 압축된 증기 및 상기 제2 공기압축기(P2)에서 제공된 냉각된 압축 공기를 내부에서 제공받아 반응시켜 합성눈(artificial snow)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참고로, 상기 인공 빙수조 내의 실내 온도는 20도일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합성눈 생성부(120)는 원통형 하우징(121), 분사노즐(N), 팬(P)을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 하우징(121)은 하부가 개구되며, 상기 증기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121a) 및 상기 냉각된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121b)를 구비한다.
상기 분사노즐(N)은 상기 원통형 하우징(121) 내측면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상기 증기를 수직 방향으로 분사시킨다.
상기 냉각팬(P)은 상기 원통형 하우징(121) 내측면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상기 냉각된 압축 공기를 수평방향으로 분사시킨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N) 및 상기 냉각팬(P)은 상기 제어부(140)를 통해 개폐가 제어되는 제어밸브(v1)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밸브(v1)는 게이트 밸브(gate valve), 글로브 밸브(globe valve), 제어 밸브(control valve), 체크 밸브(check valve),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 볼 밸브(ball valve), 다이어프램(diaphragm valve) 밸브 중 어느 하나이며, 전자식 또는 기계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통형 하우징(121)은 상부에 상기 레일부(130)과 결속되어 상기 레일부(130)를 따라 이동하는 결속부재(122)가 구비된다. 상기 결속부재(122)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으로 높이가 조절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하우징(121)은 외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증기와 상기 냉각된 압축공기를 반응시키기 반응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속부재(122)는 가이드 암(122a) 및 이동부(122c)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암(122a)은 일단이 상기 원통형 하우징(121)의 상부면과 체결되며, 유압식 또는 공압식으로 높이가 조절된다.
상기 이동부(122c)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레일부(1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 암(122a)의 타단과 체결된다.
상기 원통형 하우징(121)은 상기 반응공간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하우징(121)은 상기 인공 빙수조의 표면에 적층되는 합성눈의 적설높이를 감지하는 적설량 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일부(130)은 상기 합성눈 생성부(120)가 상기 인공 빙수조의 표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인공 빙수조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증기발생부(110), 제1 공기압축기(P1), 제2 공기압축기(P2), 합성눈 생성부(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일 수 있으며, 상기 휴대 단말기는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폰,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스마트(Smart) 폰, 핸드폰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MP3 플레이어, MD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그리고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와 확장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 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하는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무선 랜 카드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GPS 칩이 탑재된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일정한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는 인공 빙수조에 생성된 빙하의 표면상에 사용자가 원하고자 하는 높이로 합성눈을 생성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는 인공 빙수조 내에서 실제 극 지방에 분포된 빙하와 유사한 형태의 빙하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신뢰성있는 쇄빙능력 실험을 실시 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기존에는 사람이 수작업으로 인공 빙수조에 형성된 빙하의 표면에 눈을 만들어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레일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인공 빙수조의 표면에 형성된 빙하의 표면상에 사용자가 원하고자 하는 적층 높이로 합성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쇄빙선의 거동방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레일을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쇄빙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합성눈 발생장치
110: 증기발생부 P1: 제1 공기압축기
P2: 제2 공기압축기 120: 합성눈 생성부
121: 원통형 하우징 122: 결속부재
122a: 가이드 암 122c: 이동부
121a: 제1 유입구 121b: 제2 유입구
130: 레일부 140: 제어부
N: 분사노즐 P: 냉각팬
v1, v2: 제어밸브

Claims (9)

  1. 외부에서 물을 공급받아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발생부(110);
    상기 증기를 고속 분사시키는 제1 공기압축기(P1);
    냉각된 압축 공기를 제공하는 제2 공기압축기(P2);
    상기 제1 공기압축기(P1)에서 제공하는 증기 및 상기 제2 공기압축기(P2)에서 제공하는 냉각된 압축 공기를 제공받아 합성눈(artificial snow)을 생성하는 합성눈 생성부(120);
    상기 합성눈 생성부(120)가 인공 빙수조의 표면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인공 빙수조 상부에 설치되는 레일부(130); 및
    상기 증기발생부(110), 제1 공기압축기(P1), 제2 공기압축기(P2), 합성눈 생성부(120) 및 레일부(1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합성눈 생성부(120)는,
    하부가 개구되며, 상기 증기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121a) 및 상기 냉각된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121b)가 형성된 원통형 하우징(121);
    상기 원통형 하우징(121)의 내측면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증기를 수직 방향으로 분사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N); 및
    상기 원통형 하우징(121)의 내측면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냉각된 압축 공기를 수평방향으로 분사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각팬(P);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노즐(N) 및 냉각팬(P) 각각은 상기 제어부(140)를 통해 개폐가 제어되는 제어밸브(v1, v2)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하우징(121)은,
    상부에 상기 레일부(130)과 결속되어 상기 레일부(130)을 따라 이동하는 결속부재(122)가 구비되며, 상기 결속부재(122)는 유압식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122)는,
    일단이 상기 원통형 하우징(121)의 상부면과 체결되며, 유압식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가이드 암(122a); 및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레일부(13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 암(122a)의 타단과 체결되는 이동부(122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하우징(121)은,
    상기 증기와 상기 냉각된 압축공기를 반응시키기 위한 반응공간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하우징(121)은,
    상기 인공 빙수조의 표면에 적층되는 합성눈의 높이를 감지하는 적설량 감지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v1, v2)는,
    게이트 밸브(gate valve), 글로브 밸브(globe valve), 제어 밸브(control valve), 체크 밸브(check valve),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 볼 밸브(ball valve), 다이어프램(diaphragm valve) 밸브 중 어느 하나이며, 전자식 또는 기계식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
KR1020140061678A 2014-05-22 2014-05-22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 KR101570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678A KR101570495B1 (ko) 2014-05-22 2014-05-22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678A KR101570495B1 (ko) 2014-05-22 2014-05-22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495B1 true KR101570495B1 (ko) 2015-11-19

Family

ID=54843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678A KR101570495B1 (ko) 2014-05-22 2014-05-22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49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1355A (zh) * 2018-04-17 2018-12-04 哈尔滨工程大学 一种研究气垫破冰平台冰下气垫扩散的试验装置
CN110696992A (zh) * 2019-10-28 2020-01-17 江苏科技大学 一种用于移动脉动载荷破冰研究的冰水池实验装置
CN112141290A (zh) * 2020-09-25 2020-12-29 哈尔滨工程大学 一种船模横截面流场或气泡场测试方法
CN113465246A (zh) * 2021-07-12 2021-10-01 南昌师范学院 一种行走式削冰造雪装置
CN113514235A (zh) * 2021-04-28 2021-10-19 北京建筑大学 一种造雪机用喷嘴及核子器测试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7577A (ja) 2003-10-22 2005-05-19 Mayekawa Mfg Co Ltd 造雪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7577A (ja) 2003-10-22 2005-05-19 Mayekawa Mfg Co Ltd 造雪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1355A (zh) * 2018-04-17 2018-12-04 哈尔滨工程大学 一种研究气垫破冰平台冰下气垫扩散的试验装置
CN110696992A (zh) * 2019-10-28 2020-01-17 江苏科技大学 一种用于移动脉动载荷破冰研究的冰水池实验装置
CN110696992B (zh) * 2019-10-28 2022-03-15 江苏科技大学 一种用于移动脉动载荷破冰研究的冰水池实验装置
CN112141290A (zh) * 2020-09-25 2020-12-29 哈尔滨工程大学 一种船模横截面流场或气泡场测试方法
CN113514235A (zh) * 2021-04-28 2021-10-19 北京建筑大学 一种造雪机用喷嘴及核子器测试设备
CN113514235B (zh) * 2021-04-28 2023-05-12 北京建筑大学 一种造雪机用喷嘴及核子器测试设备
CN113465246A (zh) * 2021-07-12 2021-10-01 南昌师范学院 一种行走式削冰造雪装置
CN113465246B (zh) * 2021-07-12 2022-07-05 成都体育学院 一种行走式削冰造雪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495B1 (ko) 쇄빙선의 쇄빙능력 측정시에 사용되는 합성눈 발생장치
KR101603166B1 (ko) 쇄빙 모형선의 자동 추적 시스템
KR101184917B1 (ko) 가변 펜더를 구비하는 접안 장치와 접안장치가 장착된 부유체 및 이동항구
ATE553025T1 (de) Landgangvorrichtung
US8991447B1 (en) Ship or air deployable automated buoy refueling station for multiple manned or unmanned surface vessels
WO2014185519A1 (ja) 水中移動体
CN202075300U (zh) Rfid井下车辆测速系统
CN105775062A (zh) 一种船舶防倾斜加压装置
KR20140001810U (ko) 발라스트 탱크의 결빙방지기구
KR101174236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실해역 해빙 두께의 실시간 계측 장치 및 시스템
KR101588679B1 (ko) 선저저항 감소장치
KR101797621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반전현상 방지 장치 및 방법
JP2021502302A (ja) 係留ブイ
RU92403U1 (ru) Аварийно-спасательный буй
KR200480972Y1 (ko) Lng fpso의 극저온 유체 선외 배출구조 및 이를 가지는 lng 운반선
KR20160009187A (ko)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선체구조
KR101625510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101369479B1 (ko) 쇄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681707B1 (ko) 냉각용 해수를 사용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CN208459170U (zh) 特种钢低温抗断裂性能检测装置
KR101304905B1 (ko) 슬로싱 억제 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JP2020135108A (ja) 管理システムおよび管理装置
Daley et al. Direct design of large ice class ships with emphasis on the midbody ice belt
US11486546B2 (en) LNG bunkering equipment test and evaluation system
KR101224933B1 (ko) 노즐타입 워터커튼장치를 구비한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