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188B1 -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용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용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188B1
KR101569188B1 KR1020140018731A KR20140018731A KR101569188B1 KR 101569188 B1 KR101569188 B1 KR 101569188B1 KR 1020140018731 A KR1020140018731 A KR 1020140018731A KR 20140018731 A KR20140018731 A KR 20140018731A KR 101569188 B1 KR101569188 B1 KR 101569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sheet
thickness
thermoforming
plastic
dimensio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7338A (ko
Inventor
박철규
손호정
순영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오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오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오션
Priority to KR1020140018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188B1/ko
Publication of KR20150097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열성형 후 두께 편차가 최소화될 수 있는 플라스틱 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용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방법은 열성형을 통한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방법으로서, a) 치아배열을 나타내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한 열성형 수치 해석을 통해서 두께가 균일한 플라스틱 시트의 열성형 후 위치별 두께를 예측하는 단계와, b) 열성형 후 플라스틱 시트의 위치별 두께의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예측된 열성형 후 위치별 두께에 기초하여, 플라스틱 시트의 열성형 전 위치별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플라스틱 시트가 두께가 다른 복수의 영역을 구비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는 환자의 치아배열 상태를 고려하여 위치별로 두께를 달리한다. 따라서 이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하면, 열성형을 통해서 치아교정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치아교정장치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아지는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는 착용감 및 교정력이 우수한 치아교정장치의 제조에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용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방법{A method of producing a plastic sheet for plastic dental positioning appliance}
본 발명은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열성형 후 두께 편차가 최소화될 수 있는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합이란 입을 다물었을 때 위 아래 턱의 치아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를 말한다. 부정교합이란 어떤 원인에 의해 치아의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거나 위 아래 맞물림의 상태가 정상의 위치를 벗어나서 심미적, 기능적으로 문제가 되는 교합관계를 의미한다.
부정교합의 원인은 일반적으로 유전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치아의 모양이나 크기의 문제, 환경적 영향, 좋지 않은 습관, 잘못된 자세, 치아 우식증, 구순구개열과 같은 선천성 장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부정교합이 발생하면, 치아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아 치아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있기 쉽다. 정확한 잇솔질로 청결하게 관리하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에 구강 내 치태가 증가하게 되어 치아우식증이나 잇몸 염증 등 잇몸 질환으로 진행되기 쉽다. 또한, 정상 치열에서 많이 벗어난 치아가 있거나 턱의 위치가 비정상이라면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치아 파절 등 치아에 손상을 입을 가능성도 커진다.
이러한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것이 치열 교정치료이다. 치열 교정치료는 치아가 어떤 힘을 받으면 이동하는 성질을 이용한다. 부정교합의 치료는 원인이나 치료 시기에 따라 다양한 장치와 방법을 이용한다. 습관을 제거하도록 고안된 장치, 위아래 턱뼈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증진시키는 장치, 치아를 원하는 위치로 서서히 이동시키는 장치 등이 있으며, 구강 내에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는 가철성 장치와 치아에 부착한 후 치료가 끝날 때 떼어내는 고정식 장치로도 나눠 볼 수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브라켓이라는 장치를 치아에 부착하고 교정용 철사와 고무줄 등의 탄력을 사용해 치아를 이동시키는 고정식 치료법이며, 어떤 종류의 부정교합에도 흔히 사용된다. 브라켓은 금속으로 된 것이 일반적인데, 치료 기간 동안 눈에 잘 띄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투명 교정방법이 제안되었다. 투명 교정은 교정 전 치아의 상태에서 교정 후 치아의 상태로 단계별로 변화하는 투명한 치아교정장치들을 제작하고, 이를 치아에 갈아 끼면서 치열을 교정하는 시술이다. 투명 교정에 사용되는 치아교정장치는 투명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므로 심미감이 뛰어나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57724호에는 투명 교정에 사용되는 치아교정장치에 대해서 개시되어 있다.
투명 교정에 사용되는 치아교정장치는 치아의 본을 떠서 몰드를 만들고, 이 몰드에 0.75 내지 1mm 정도의 투명 플라스틱 시트를 올려놓고 열을 가하면서, 몰드에 음압을 걸어서 성형하는 진공성형방법으로 만든다. 성형 가공된 치아교정장치의 두께는 치아 형상의 굴곡에 따라서 다르며, 평균 두께는 0.2 내지 0.3mm 정도가 된다.
이러한 치아교정장치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성형과정에서 부분적으로 두께가 너무 얇아지는 현상이다. 플라스틱 시트는 두께가 균일하며, 치아의 형상이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성형과정에서 치아가 위치하는 부분은 늘어나면서 두께가 매우 얇아진다. 이렇게 두께가 얇아진 부분은 착용시 쉽게 찢어질 수 있으며, 교정력이 감소한다. 치아에 교정력을 가하는 부분은 성형시 많이 늘어나는 부분으로서 평균 두께에 비해서 두께가 얇다. 투명 교정에 있어서, 치아교정장치에 의한 교정력은 치아교정장치가 탄성 변형할 때 발생하는 탄성 회복력에 의존하는 것으로서, 탄성 회복력은 치아교정장치의 재료인 플라스틱 재질과 치아교정장치의 두께 및 변형량에 의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두께가 얇아지면 교정력이 감소한다.
교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두꺼운 투명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두께가 증가하면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 진공성형시 늘어나지 않는 부분은 지나치게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 피개 교합(overbite)이 생기는 문제 등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5772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성형 후 두께의 편차가 최소화될 수 있는 플라스틱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열성형 후 두께의 편차가 최소화될 수 있는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용 플라스틱 시트는 두께가 다른 복수의 영역을 구비하며, 열성형 후의 두께의 편차를 최소화하도록, 열성형 시에 많이 늘어나는 영역의 두께가 열성형 시에 덜 늘어나는 영역의 두께에 비해서 두껍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용 플라스틱 시트는 제1시트와, 상기 제1시트 위에 결합되는 제2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시트는 열성형 시에 많이 늘어나는 영역의 두께가 열성형 시에 덜 늘어나는 영역의 두께에 비해서 두꺼워지도록 재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용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방법은 열성형을 통한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방법으로서, a) 치아배열을 나타내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한 열성형 수치 해석을 통해서 두께가 균일한 플라스틱 시트의 열성형 후 위치별 두께를 예측하는 단계와, b) 열성형 후 플라스틱 시트의 위치별 두께의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예측된 열성형 후 위치별 두께에 기초하여, 플라스틱 시트의 열성형 전 위치별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플라스틱 시트가 두께가 다른 복수의 영역을 구비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b) 단계는, 두께가 균일한 플라스틱 시트의 표면에 예측된 열성형 후 위치별 두께에 기초하여 재단된 다른 플라스틱 시트를 부착하여 두께가 다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예측된 열성형 후 위치별 두께에 기초하여 형성된 캐비티를 구비한 몰드에 플라스틱 용액을 주입한 후 경화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교정 전 치아배열을 나타내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A)를 확보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이미지 데이터(A)를 푸리에변환 또는 웨이블릿변환을 통해서 단순화된 3차원 이미지 데이터(A')을 얻는 단계와, 상기 단순화된 3차원 이미지 데이터(A')를 이용하여 치아를 재배열하여 교정 후 치아배열을 나타내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C)를 얻는 단계와, 상기 교정 전 치아배열로부터 상기 교정 후 치아배열까지 진행되는 일련의 연속 치아배열을 나타내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 세트(B)를 만드는 단계와, 상기 교정 후 치아배열을 나타내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C)와 3차원 이미지 데이터 세트(B)를 이용하여 열성형 수치 해석을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는 환자의 치아배열 상태를 고려하여 위치별로 두께를 달리한다. 따라서 이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하면, 열성형을 통해서 치아교정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치아교정장치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아지는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시트는 착용감 및 교정력이 우수한 치아교정장치의 제조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용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방법의 제조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용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방법 중에 치아 형상의 몰드가 획득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용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방법 중에 교정 전 치아상태의 3차원 이미지를 단순화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용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방법 중에 만들어진 교정 후 치아상태의 3차원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용 플라스틱 시트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용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방법 중에 플라스틱 시트의 열성형 전 위치별 두께를 조절하는 단계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음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에 있어서,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용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방법의 제조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용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방법의 제조방법은 교정 전 치아배열을 나타내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A)를 확보하는 단계(S1)로 시작된다.
교정 전 치아배열을 나타내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A)를 확보하는 단계는 교정 전 환자의 치아배열 상태를 나타내는 치아 형상의 몰드를 제공하는 단계와 몰드를 스캔하여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확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몰드를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치과의사 등 전문가가 알지네이트(alginate) 등 인상재가 배치되어 있는 트레이를 이용하여 환자의 치아의 본을 떠서 부정교합 치아 인상(impression)을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된 인상을 플라스틱이나 세라믹 등으로 채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형상의 몰드(1)를 만든다.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확보하는 단계에서는 레이저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치아 형상의 몰드(1)를 스캔하여 3차원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확보한다. 얻어진 데이터는 적절한 소프트웨어가 구비된 컴퓨터 시스템에 이미지로 표현될 수 있다.
다음, 교정 전 치아배열을 나타내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A)를 단순화한다(S2). 단순화는 복잡한 파나 신호들을 더욱 간단한 성분들로 변환시키는데 사용되는 푸리에변환(fourier transform) 또는 웨이블릿변환(wavelet transform)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고속푸리에변환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장치의 제조방법 중에 교정 전 치아상태의 3차원 이미지를 단순화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단순화되기 전의 치아 표면의 단면상태를 나타내며, (b)는 고속푸리에변환을 통해서 얻어진 삼각함수 중에서 저주파성분 3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며, (c)는 고속푸리에변환을 통해서 얻어진 삼각함수 중에서 저주파성분 3개를 합한 상태를 나타낸다.
치아배열을 나타내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는 도 3의 (a)와 같이 형상이 매우 복잡하다. 이러한 복잡한 3차원 이미지 데이터는 고속푸리에변환(Fast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하여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한 삼각함수들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삼각함수들을 모두 합하면 3차원 이미지 데이터와 아주 근사한 형상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삼각함수들은 저주파성분과 고주파성분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삼각함수 성분들 중에서 고주파성분들은 제외하고, 저주파성분들만을 합하면,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잡한 3차원 이미지 데이터에 근사한 단순하고, 부드러운 곡선(A')을 얻을 수 있다.
다음, 고속푸리에변환 등에 의해서 단순화된 교정 전 치아배열을 나타내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A')를 이용하여 치아를 재배열하여 교정 후 치아배열을 나타내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C)를 만든다(S3).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장치의 제조방법 중에 만들어진 교정 후 치아상태의 3차원 이미지를 나타낸다. 교정 후 치아배열을 나타내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C)는 치과 의사 등 전문적인 지식이 있는 사람이 이미지를 관찰하면서, 치아를 재배열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치아의 재배열을 돕는 알고리즘이 구비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재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교정 전 치아배열로부터 교정 후 치아배열까지 진행되는 일련의 연속 치아배열을 나타내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 세트(B)를 만든다(S4). 이 단계에서 3차원 이미지 데이터 세트에 포함되는 치아배열의 수는 환자의 치아상태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 치아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경우에는 10단계 정도의 단계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는 30 내지 40단계 정도를 포함한다. 일련의 연속 치아배열을 나타내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 세트(B)는 교정 전 치아배열과 교정 후 치아배열에 근거하여 생성된다.
일련의 연속 치아배열을 나타내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 세트(B)는 교정 전 치아배열의 각각이 치아를 분리하여 초기위치에서 최종위치로 이동하는 최단 경로를 결정하고, 그 경로를 따라서 이동하는 비율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만들 수 있다. 이동 경로 상에서 분리된 치아 간에 충돌이나 간섭이 일어나면, 충돌이나 간섭을 피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최단 경로를 설정한다. 이러한 단계는 치아 간의 충돌이나 간섭을 고려해서 최단 경도를 설정할 수 있는 검출 알고리즘을 갖춘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다.
다음, 상술한 단계에서 얻어진 3차원 이미지 데이터 세트(B)와 같은 형상의 몰드를 이용하여 두께가 균일한 플라스틱 시트를 열성형할 때 플라스틱 시트의 위치별 두께가 어떻게 변화할지를 수치 해석을 통해서 예측한다(S5).
열성형은 치아배열의 몰드 위에 플라스틱 시트를 올려놓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3차원 형태로 성형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열성형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시트는 진공 성형 장치에 따라서 원형 또는 사각형 형태일 수 있으며, 두께는 약 0.5 ~ 1 mm 이다. 재질은 PC, PET, Poly-urethane 등이 주로 사용된다. 종래의 플라스틱 시트는 두께가 균일하므로 열성형 과정에서 치아가 위치하는 부분은 늘어나면서 두께가 매우 얇아진다.
수치 해석을 통해 예측된 위치별 두께 데이터는 예측된 두께가 동일한 구간을 동일한 색으로 표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 세트(B)를 이루는 각각의 3차원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위치별 두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다음, 열성형 후 플라스틱 시트의 위치별 두께의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예측된 열성형 후 위치별 두께에 기초하여, 플라스틱 시트의 열성형 전 위치별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플라스틱 시트가 두께가 서로 다른 복수의 영역을 구비하도록 한다(S6). 본 단계는 두께가 균일한 플라스틱 시트의 열성형 후 위치별 두께 데이터를 통해서 열성형 시 두께가 얇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의 두께를 다른 부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두껍게 함으로써, 열성형 후 플라스틱 시트의 위치별 두께의 편차를 최소화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는 두께가 균일한 플라스틱 시트의 표면에 예측된 열성형 후 위치별 두께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단된 다른 플라스틱 시트를 부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측된 두께에 따라서 플라스틱 시트를 세 영역으로 구별하고, 예측된 두께가 가장 두꺼운 영역에는 다른 플라스틱 시트를 부착하지 않고, 중간 영역에는 한 장의 플라스틱 시트를 부착하고, 가장 얇은 영역에는 두 장의 플라스틱 시트를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용 플라스틱 시트(1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용액을 열성형 후 위치별 두께 데이터에 기초하여 형성된 캐비티(3)를 가진 몰드(2)에 주입한 후 경화하여 두께가 서로 다른 복수의 영역을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캐비티는 두께가 균일한 플라스틱 시트의 열성형 후 두께가 얇은 것으로 예측되는 부분이 두껍게 성형되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단계를 거쳐 제조한 플라스틱 시트를 이용하여 치아교정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단순화된 3차원 이미지 데이터(B, C)들을 이용하여 치아배열의 몰드들을 제조한다. 몰드는 광조형(Sterolithography)기술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광조형기술은 광 경화성 수지에 빛을 조사하여 광 경화성 수지를 수 마이크로 미터 두께의 얇은 층으로 계속 경화 및 적층을 하여 물체를 만들어 내는 3차원 인쇄기술이다. 단순화된 3차원 이미지 데이터(B, C)를 이용하여 단면정보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단면정보를 이용하여 광경화성 수지에 빛을 조사하여 얇은 층을 계속 만들어서 단순화된 치아배열의 몰드를 제조한다. 제조된 몰드는 경화되지 않은 광 경화성 수지로부터 분리된다.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거쳐서 제조된 플라스틱 시트들을 단순화된 3차원 이미지 데이터(B, C)들을 이용하여 제조된 치아배열의 몰드 위에 올려놓고 가열하여 단순화된 치아배열 형상의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의 플라스틱 시트를 열성형한다. 본 단계는 진공 성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진공 성형은 플라스틱 시트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3차원 형태로 성형하는 열성형(thermoforming)의 일종이다. 진공 성형은 널리 알려진 성형 방법이므로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 진공 플레이트 위에 몰드를 올려놓고 그 위에 플라스틱 시트를 올리고, 플라스틱 시트의 연화점 이상으로 플라스틱 시트를 가열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유연하게 한다. 그리고 몰드의 아래에 진공을 형성하여 유연하게 된 플라스틱 시트가 몰드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플라스틱 시트를 성형한다. 열성형 과정에서 플라스틱 시트는 치아가 위치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많이 늘어나지만 성형 전에 두께가 두꺼웠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과도하게 얇아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 플라스틱 시트를 몰드에서 분리하여, 몰드의 치아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치아배열 형상의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시트를 얻는다. 플라스틱 시트에서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절단하여 치아교정장치를 완성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은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을 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치아형상의 몰드를 먼저 만든 후 이를 레이저를 이용하여 스캔하여 치료 전 치아배열을 나타내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X-레이 이미지, 컴퓨터 단층촬영법(CAT 스캔)에 의해 만들어진 이미지, 자기공명 단층촬영(MRI)에 의해 만들어진 이미지 등을 디지털화하는 통상적인 기술에 의해서 치료 전 치아배열을 나타내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열성형을 통한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방법으로서,
    a) 치아배열을 나타내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한 열성형 수치 해석을 통해서 두께가 균일한 플라스틱 시트의 열성형 후 위치별 두께를 예측하는 단계와,
    b) 열성형 후 플라스틱 시트의 위치별 두께의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예측된 열성형 후 위치별 두께에 기초하여, 플라스틱 시트의 열성형 전 위치별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플라스틱 시트가 두께가 다른 복수의 영역을 구비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교정 전 치아배열을 나타내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A)를 확보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이미지 데이터(A)를 푸리에변환 또는 웨이블릿변환을 통해서 단순화된 3차원 이미지 데이터(A')을 얻는 단계와,
    상기 단순화된 3차원 이미지 데이터(A')를 이용하여 치아를 재배열하여 교정 후 치아배열을 나타내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C)를 얻는 단계와,
    상기 교정 전 치아배열로부터 상기 교정 후 치아배열까지 진행되는 일련의 연속 치아배열을 나타내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 세트(B)를 만드는 단계와,
    상기 교정 후 치아배열을 나타내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C)와 3차원 이미지 데이터 세트(B)를 이용하여 열성형 수치 해석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용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두께가 균일한 플라스틱 시트의 표면에 예측된 열성형 후 위치별 두께에 기초하여 재단된 다른 플라스틱 시트를 부착하여 두께가 다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인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용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예측된 열성형 후 위치별 두께에 기초하여 형성된 캐비티를 구비한 몰드에 플라스틱 용액을 주입한 후 경화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성형하는 단계인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용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018731A 2014-02-18 2014-02-18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용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방법 KR101569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731A KR101569188B1 (ko) 2014-02-18 2014-02-18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용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731A KR101569188B1 (ko) 2014-02-18 2014-02-18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용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338A KR20150097338A (ko) 2015-08-26
KR101569188B1 true KR101569188B1 (ko) 2015-11-13

Family

ID=54059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731A KR101569188B1 (ko) 2014-02-18 2014-02-18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용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1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61963A (zh) * 2015-12-07 2016-03-02 肖然 一种基于数控加工的隐形矫治器的制造方法
US10717208B1 (en) * 2019-12-04 2020-07-21 Oxili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thermoforming orthodontic aligners
CN111973296B (zh) * 2020-07-08 2022-03-11 深圳牙领科技有限公司 各向厚度可控的隐形矫治器及其制备方法
CN114788743A (zh) * 2022-03-28 2022-07-26 苏州博思美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齿科膜片及其制作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9729A (ja) * 2005-02-16 2008-08-07 デンツプラ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熱成形プラスチックタイプii
US20110039223A1 (en) * 2009-08-13 2011-02-17 Chunhua Li Dental appliance
KR101173548B1 (ko) 2011-12-20 2012-08-13 주식회사 메디오션 치아교정장치의 제조방법
KR101295611B1 (ko) * 2013-02-06 2013-08-13 주식회사 리얼오쏘 투명 교정기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9729A (ja) * 2005-02-16 2008-08-07 デンツプラ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熱成形プラスチックタイプii
US20110039223A1 (en) * 2009-08-13 2011-02-17 Chunhua Li Dental appliance
KR101173548B1 (ko) 2011-12-20 2012-08-13 주식회사 메디오션 치아교정장치의 제조방법
KR101295611B1 (ko) * 2013-02-06 2013-08-13 주식회사 리얼오쏘 투명 교정기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338A (ko)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4453B2 (en) Methods for direct fabrication of attachment placement appliances
US20220410438A1 (en) Mechanisms to automate removal of aligner from mold
KR101173548B1 (ko) 치아교정장치의 제조방법
US20060199140A1 (en) Disposable dental aligner
US20180271620A1 (en) Orthodontic applianc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US200902531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thodontic appliances
KR101569188B1 (ko)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용 플라스틱 시트의 제조방법
CN110215299B (zh) 牙齿矫正器打印方法、牙齿矫正器及3d打印装置
US20240217179A1 (en) Dental apparatuses with features to facilitate post-fabrication cleaning
KR101612846B1 (ko)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의 예비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98442A (ko)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12841B1 (ko)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의 제조방법
WO2022109191A1 (en) Dental apparatus with geometrical features to facilitate post-fabrication cleaning
KR20170132627A (ko)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의 제조방법
KR20160144850A (ko) 플라스틱 치아교정장치의 제조방법
KR101821038B1 (ko) 투명 디바이스의 두께 측정 방법
JP2022169352A (ja) アライナーを製造する方法
Jahng Forces and Moments Generated by Pressure Points in 3D-Printed Aligners During Rotation of a Maxillary Lateral Incisor: An In Vitro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