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152B1 - One way data transfer system - Google Patents

One way data transf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152B1
KR101569152B1 KR1020140130526A KR20140130526A KR101569152B1 KR 101569152 B1 KR101569152 B1 KR 101569152B1 KR 1020140130526 A KR1020140130526 A KR 1020140130526A KR 20140130526 A KR20140130526 A KR 20140130526A KR 101569152 B1 KR101569152 B1 KR 101569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receiving
main server
transmission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5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지희
김종화
김진철
박성완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0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15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1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Abstract

Disclosed is a one-way data transmission apparatus. The one-way data transmission apparatus is a one-way data transmission system set to enable the data transmission from a transmission apparatus to a reception apparatus only in a single direction. The transmission apparatus includes: a main transmission server which transmits data to a reception device in an active mode; an auxiliary transmission server which is in a standby mode during an operation of the main transmission server and enters an active mode when an error occurs in the main transmission server to transmit the data to the reception device. The reception device includes: a main reception server which transmits the data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device to a network in an active mode; and an auxiliary reception server which is in a standby mode during an operation of the main reception server and is switched to an active mode when an error occurs in the main reception server to transmit the received data to the network.

Description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ONE WAY DATA TRANSFER SYSTEM}[0002] ONE WAY DATA TRANSFER SYSTEM [0003]

본 발명은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방향으로의 데이터 전송이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차단되어 있는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한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way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one-way data transmission system applicable to a network in which data transmission in one direction is physically or logically blocked.

데이터 전송환경은 크게 양방향 전송망과 일방향 전송망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양방향 전송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ARQ(Automatic Repeat Request)방식을 이용하여 전송로상에서 데이터 전송 오류가 발생하면 수신단에서 이를 검출하고, 양방향 채널을 통하여 송신단에 재전송을 요구하여 해당하는 데이터를 재수신 받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양방향 전송환경하에서는 데이터 전송이 오류없이 순차적으로 수신단의 버퍼에 저장되면서, 일정한 시간이 흐르면 송신단에서 보낸 것과 동일한 데이터가 수신단에 저장된다.The data transmission environmen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bi-directional transmission network and a one-way transmission network. A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through a bi-directional transmission network generally uses an ARQ (Automatic Repeat Request) method to detect a data transmission error on a transmission path, detects a reception error in the transmission path, requests retransmission of the data through the bidirectional channel, And the like. Therefore, under a bidirectional transmission environment, data transmission is sequentially stored in the buffer of the receiving end without error, and the same data as that transmitted by the transmitting end is stored in the receiving en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그러나 일방향 전송망은 높은 보안성을 요구하는 경우로 수신단에서 송신단으로의 데이터 전송이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차단되어 있는 경우이다. 따라서, 보안 레벨이 낮은 수신단측에서는 데이터 수신 여부에 대한 응답을 송신단측으로 보내 줄 수 없기 때문에 송신단측에서는 데이터 전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However, the one-way transmission network requires high security, and data transmission from the receiving end to the transmitting end is physically or logically blocked. Therefore, on the receiver side having a low security level, it is not possible to send a response to the data reception to the transmitter side, so that it is not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 data transmission is normally performed on the transmitter side.

일방향 전송망에서는 송신단과 수신단에서의 로그를 확인하여 데이터 패킷이 누락된 경우 사용자는 이를 확인할 수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통신 수행이 완료된 이후 명령어를 통하여 수동적인 확인이 가능한 것일 뿐이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데이터 전송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In the unidirectional transmission network, if the data packets are missing, the user can check the logs at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However, this method can only be manually confirmed through commands after the communication is comple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liability of data transmission can not be guarante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방향 전송 시스템의 서버 장애시 대기 상태에 있는 보조서버로 절체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함으로써 일방향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one-way data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and safety of one-way data transmission by transferring data to an auxiliary server in a standby state in case of a server failure of the one-way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송신장치로부터 수신장치로 일방향 데이터 전송만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는 활성 모드에서 상기 수신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주서버와; 상기 송신 주서버 동작시 대기 모드에 있으며 상기 송신 주서버의 장애 발생기 활성상태로 진입하여 상기 수신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보조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장치는 활성 모드에서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연결된 네트워크망으로 전달하는 수신 주서버와; 상기 수신 주서버 동작시 대기 모드 에 있으며 상기 수신 주서버의 장애발생시 활성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네트워크망으로 수신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수신 보조서버를 포함하는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one-way data transmission system in which a one-way data transmission from a transmitting apparatus to a receiving apparatus is enabled, the transmitting apparatus comprising: a transmitting main server for transmitting data from the active mode to the receiving apparatus; And a transmission auxiliary server which is in a standby mode when the transmission main server is in operation and enters the active state of the failure generator of the transmission main server to transmit data to the reception device, A receiving main server for transmitting data to a connected network; And a receiving auxiliary server which is in a standby mode when the receiving main server operates and switches to an active mode when the receiving main server fails and delivers data received to the network.

상기 송신 보조서버는 상기 송신 주서버와 하트비트(heartbeat) 메시지를 교환하고 상기 송신 주서버로부터 일정 횟수동안 하트비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활성 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수신 보조서버는 상기 수신 주서버와 하트비트 메시지를 교환하고 상기 수신 주서버로부터 일정 횟수동안 하트비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활성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Wherein the transmission auxiliary server exchanges a heartbeat message with the transmission main server and switches to an active mode when the transmission auxiliary server fails to receive a heartbeat signal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rom the transmission main server, And may switch to the active mode if it fails to receive the heartbeat signal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rom the receiving main server.

상기 송신장치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미러링하여 상기 수신 주서버 및 수신 보조서버로 전달하는 광 커플러(coupler)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d an optical coupler for mirror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the receiving main server and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상기 송신 장치는 상기 수신 장치로 하트비트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수신 보조서버는 활성 모드에 있는 상기 수신 주서버가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일정 횟수동안 상기 하트비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활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a heartbeat signal to the receiving apparatus and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enters an active mode when the receiving main server in the active mode fails to receive the heartbeat signal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

상기 송신장치에서 전송되는 상기 하트비트 신호를 미러링하여 상기 수신 주서버 및 상기 수신 보조 서버로 전달하는 광 커플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nd an optical coupler for mirroring the heartbea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the mirrored signal to the receiving main server and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본 발명인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서버 장애시 대기 상태에 있는 보조서버로 절체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함으로써 일방향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one-way data transmis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reliability and safety of one-way data transmission by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by switching to a standby server in a standby state in case of a server failure.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개념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하트비트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one-way dat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one-way dat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etting of a one-way dat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eartbeat signal of a one-way dat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one-way dat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one-way dat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one-way dat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he terms including ordinal, such as second, first,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one-way dat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송신장치(100), 수신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one-way dat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a receiving apparatus 2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송신장치(100)로부터 수신장치(200)로 일방향 데이터 전송만이 가능하며 수신장치(200)로부터 송신장치(100)로의 데이터 전송은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차단되어 있다. 송신장치(100)와 수신장치(200)는 예를 들면 광통신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송신장치(100)에 연결된 네트워크는 수신장치(200)에 연결된 네트워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보안 레벨이 높은 네트워크망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송신장치(100)에 연결된 네트워크는 제어망(300), 수신장치(200)에 연결된 네트워크는 업무망(400)일 수 있다. 제어망(300)은 중요망으로 보호되어 외부로부터의 접근이 허락되지 않는 네트워크망이며, 업무망(400)은 인터넷 등 외부와의 연계가 가능한 네트워크망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송신장치(100)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제어망(300), 수신장치(200)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업무망(400)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one-way dat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only one-way data transmission from the transmission apparatus 100 to the reception apparatus 200 and data transmission from the reception apparatus 200 to the transmission apparatus 100, .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the receiving apparatus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The network connec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may be a network having a relatively high security level as compared with a network connected to the receiving apparatus 200. For example, a network connec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control network 300, The network connected to the device 200 may be the business network 400. The control network 300 is a network that is protected by a critical network and is not allowed to be accessed from the outside. The business network 400 may be a network capable of linking with the outside such as the Internet. Hereinafter, a network connec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as a control network 300 and a network connected to the receiving apparatus 200 will be described as a business network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다.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one-way dat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100)는 송신 주서버(110)와 송신 보조서버(120) 및 송신망 스위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수신장치(200)는 수신 주서버(210)와 수신 보조서버(220) 및 수신망 스위치(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a transmit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ransmitting main server 110, a transmitting auxiliary server 120, and a transmitting network switch 130, The server 200 may include a receiving main server 210, a receiving auxiliary server 220, and a receiving network switch 230.

먼저, 송신장치(100)는 구동이 되면 상호간의 협상 메커니즘에 따라 활성 모드로 동작할 서버와 대기 모드로 동작할 서버를 결정할 수 있다. 상호간의 협상 메커니즘은 송신망 스위치(130)를 통하여 접근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First, wh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is driven, it can determine a server to operate in an active mode and a server to operate in a standby mode according to mutual negotiation mechanisms. Mutual negotiation mechanisms may be established through a user interface accessible through the transmission network switch 130. [

활성 모드로 동작하는 서버는 송신 주서버(110)로 제어망(30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 포트를 통하여 수신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서버는 송신 보조서버(120)로 송신 주서버(110)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활성 모드로 진입하여 동작하게 된다. 송신 보조서버(120)가 대기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전환되는 시점에 송신 주서버(110)는 활성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모드 절체가 완료된 이후에는 송신 보조서버(120)가 제어망(30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데이터 포트를 통하여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rver operating in the active mode can transmit data received from the control network 300 to the transmitting main server 110 through the data port to the receiving apparatus 200. [ The server operating in the standby mode enters the active mode and operates when the transmission auxiliary server 120 fails in the transmission main server 110. [ At the time when the transmission auxiliary server 120 is switched from the standby mode to the active mode, the transmission main server 110 switches from the active mode to the standby mode. After the mode switching is completed, the transmission auxiliary server 120 can transmit the data received from the control network 300 to the receiving apparatus 200 through the data port.

송신장치(10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광 커플러(coupler)(510, 520)에서 미러링되어 수신 주서버(210) 및 수신 보조서버(220)로 각각 전달될 수 있다.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may be mirrored by the optical couplers 510 and 520 and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main server 210 and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220, respectively.

송신 주서버(110)와 송신 보조서버(120)는 상호간에 하트비트(heart beat)신호를 교환하여 상호간의 통신 상태 및 장애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송신 보조서버(120)는 송신 주서버(110)로부터 일정 횟수 동안 연속하여 하트비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면 송신 주서버(110)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활성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이 때 모드 절체 동작은 송신망 스위치(130)를 통하여 수행되며 송신망 스위치(130)는 송신 보조서버(120)를 활성 모드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송신 주서버(110)를 대기 모드로 전환시키게 된다.The transmission main server 110 and the transmission auxiliary server 120 exchange heart beat signals with each other to detect mutual communication state and occurrence of a failure. When the transmission auxiliary server 120 fails to receive the heartbeat signal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consecutive times from the transmission main server 110, the transmission auxiliary server 120 determines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transmission main server 110 and switches to the active mode. At this time, the mode swi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transmission network switch 130, and the transmission network switch 130 switches the transmission auxiliary server 120 to the active mode and switches the transmission main server 110 to the standby mode .

송신 주서버(110)와 송신 보조서버(120)는 별도의 이더넷 인터페이스가 송신망 스위치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어 주기적으로 하트비트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송신 주서버(110)와 송신 보조서버(120)는 이외에도 상호간에 연결된 데이터 포트를 통하여서도 하트비트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main server 110 and the transmission auxiliary server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transmission network switch so that they can periodically exchange heartbeat signals. The transmission main server 110 and the transmission auxiliary server 120 may exchange heartbeat signals through data ports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송신 장치(100)는 수신 장치(200)로 하트비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송신 장치(100)에서 전송되는 하트비트 신호는 일방향 데이터 전송 포트를 통하여 출력되며, 광 커플러(510, 520)에서 미러링되어 수신 주서버(210)와 수신 보조서버(220)에 각각 전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can transmit the heartbeat signal to the receiving apparatus 200. [ The heartbea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is output through the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port and may be mirrored by the optical couplers 510 and 520 and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main server 210 and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220 .

다음으로, 수신장치(200)는 구동이 되면 상호간의 협상 메커니즘에 따라 활성 모드로 동작할 서버와 대기 모드로 동작할 서버를 결정할 수 있다. 상호간의 협상 메커니즘은 수신망 스위치(230)를 통하여 접근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Next, when the receiving apparatus 200 is driven, the receiving apparatus 200 can determine a server to operate in an active mode and a server to operate in a standby mode according to mutual negotiation mechanisms. The mutual negotiation mechanism can be established through a user interface accessible via the network switch 230. [

활성 모드로 동작하는 서버는 수신 주서버(210)로 송신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업무망(4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서버는 수신 보조서버(220)로 수신 주서버(210)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활성 모드로 진입하여 동작하게 된다. 수신 보조서버(220)가 대기 모드에서 활성 모드로 전환되는 시점에 수신 주서버(210)는 활성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모드 절체가 완료된 이후에는 수신 보조서버(220)가 송신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업무망(400)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server operating in the active mode can transmit the data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apparatus 100 to the reception main server 210 to the business network 400. The server operating in the standby mode enters the active mode and operates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reception main server 210 by the reception auxiliary server 220. [ At the time when the reception auxiliary server 220 is switched from the standby mode to the active mode, the reception main server 210 switches from the active mode to the standby mode. After the mode switching is completed, the reception auxiliary server 220 can transmit the data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apparatus 100 to the business network 400.

수신 주서버(210)와 수신 보조서버(220)는 상호간에 하트비트(heart beat)신호를 교환하여 상호간의 통신 상태 및 장애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수신 보조서버(220)는 수신 주서버(210)로부터 일정 횟수 동안 연속하여 하트비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면 수신 주서버(210)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활성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이 때 모드 절체 동작은 수신망 스위치(230)를 통하여 수행되며 수신망 스위치(230)는 수신 보조서버(220)를 활성 모드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수신 주서버(210)를 대기 모드로 전환시키게 된다.The receiving main server 210 and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220 can exchange heart beat signals to detect mutual communication state and failure occurrence. If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220 fails to receive the heartbeat signal continuously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rom the receiving main server 210,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220 determines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receiving main server 210 and switches to the active mode. At this time, the mode swi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receiving switch 230, and the receiving switch 230 switches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220 to the active mode and switches the receiving main server 210 to the standby mode .

광 커플러(510, 520)를 통하여 미러링 된 데이터는 수신 주서버(210)와 수신 보조서버(220)에서 각각 수신하게 되며, 활성 모드로 동작하는 수신 주서버(210)를 통하여 업무망(400)에 전달된다. 이 때, 수신 보조서버(220)에서 수신한 데이터는 업무망(400)으로 전달되지 않고 폐기처리 되며, 이후 수신 보조서버(220)가 활성 모드로 전환되면 수신 보조서버(220)에서 수신한 데이터가 업무망(400)으로 전달된다.The data mirrored through the optical couplers 510 and 520 is received by the reception main server 210 and the reception auxiliary server 220 and is transmitted to the business network 400 through the reception main server 210 operating in the active mode. . At this time, the data received by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220 is discarded without being transferred to the business network 400. When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220 is switched to the active mode, the data received from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220 Is transmitted to the business network (400).

수신 주서버(210)와 수신 보조서버(220)는 별도의 이더넷 인터페이스가 수신망 스위치(23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어 주기적으로 하트비트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수신 주서버(210)와 수신 보조서버(220)는 이외에도 상호간에 연결된 데이터 포트를 통하여서도 하트비트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The receiving main server 210 and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2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Ethernet switch 230 so that they can periodically exchange heartbeat signals. The receiving main server 210 and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220 may exchange heartbeat signals through mutually connected data ports.

또한, 수신 장치(200)는 송신 장치(100)로부터 하트비트 신호를 수신하며, 활성 모드로 동작하는 수신 주서버(210)가 송신 장치(100)로부터 일정 횟수동안 연속하여 하트비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수신 보조서버(220)가 활성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하게 된다. 이 때 모드 절체 동작은 수신망 스위치(230)를 통하여 수행되며 수신망 스위치(230)는 수신 보조서버(220)를 활성 모드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수신 주서버(210)를 대기 모드로 전환시키게 된다.The receiving apparatus 200 receives the heartbeat signal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and the receiving main server 210 operating in the active mode receives the heartbeat signal continuously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100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220 switches to the active mode and operates. At this time, the mode swi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receiving switch 230, and the receiving switch 230 switches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220 to the active mode and switches the receiving main server 210 to the standby mode .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etting of a one-way dat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을 참조하면,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 구동 시 주서버와 보조서버가 결정되며 송신 주서버의 IP가 송신장치와 수신장치간의 일방향 데이터 통신을 위한 대표 IP로 설정된다. 데이터 IP는 각 서버의 송신망 또는 수신망 인터페이스에 설정되는 IP로 관리자의 접근을 위하여 사용되는 IP이며, 하트비트 IP는 주서버와 보조 서버간의 하트비트 신호 교환시 이용되는 IP이다.Referring to FIG. 3, the main server and the auxiliary server are determined wh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receiving apparatus are driven, and the IP of the transmitting main server is set as a representative IP for one-way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receiving apparatus. Data IP is the IP used for the access of the administrator in the transmission network or the receiving network interface of each server, and the heartbeat IP is the IP used in the heartbeat signal exchange between the main server and the auxiliary server.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하트비트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eartbeat signal of a one-way dat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를 참조하면, Sender는 하트비트 신호의 송신측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 정보, Status는 송신측의 상태 정보, Time Stamp는 하트비트 신호의 전송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송신 주서버, 송신 보조서버, 수신 주서버 및 수신 보조서버는 수신한 하트비트 신호의Status를 참조하여 각각의 서버에 대한 상태정보를 Status(SM), Status(SS), Status(RM), Status(RS)에 기록하여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4, the sender may b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sender of a heartbeat signal, Status may be status information of a sender, and Time Stamp may be a time of transmission of a heartbeat signal. Status information (SM), Status (SS), Status (RM), Status (RM), and Status (RM) are referenced by the sending main server, transmitting auxiliary server, receiving main server and receiving auxiliary server referring to the status of the received heartbeat signal. (RS).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one-way dat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를 참조하면 송신 보조서버(120)는 대기모드로 동작하고 있으며 송신 주서버(110)로부터 하트비트 신호를 일정 횟수 수신하지 못하면 송신망 스위치의 제어에 따라 활성 모드로 전환하여 수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광 커플러를 통하여 수신장치로 전송된 데이터는 수신 주서버(210) 및 수신 보조서버(220)에서 수신하게 되고, 활성 모드로 동작하는 수신 주서버(210)는 수신한 데이터를 업무망으로 전달한다.5, when the transmission auxiliary server 120 is operating in the standby mode and does not receive the heartbeat signal a certain number of times from the transmission main server 110, the transmission auxiliary server 120 switches to the active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transmission network switch, . The data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apparatus through the optical coupler is received by the receiving main server 210 and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220, and the receiving main server 210 operating in the active mode transmits the received data to the business network .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one-way dat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을 참조하면 활성 모드로 동작하는 송신 주서버(110)는 수신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광 커플러를 통하여 미러링 된 데이터는 수신 주서버(210)와 수신 보조서버(220)에서 수신하게 된다. 수신 보조서버(220)는 대기 모드로 동작하고 있으며 수신 주서버(210)로부터 하트비트 신호를 일정 횟수 수신하지 못하면 수신망 스위치의 제어에 따라 활성 모드로 전환한다. 활성 모드로 전환한 수신 보조서버(220)는 송신 주서버(1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업무망으로 전달한다.Referring to FIG. 6, the transmitting main server 110 operating in the active mode transmits data to the receiving device, and the mirrored data is received at the receiving main server 210 and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220 through the optical coupler . When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220 is operating in the standby mode and fails to receive the heartbeat signal a certain number of times from the receiving main server 210,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220 switches to the active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receiving network switch.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220 which has switched to the active mode transfers the data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main server 110 to the business network.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one-way dat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을 참조하면, 활성 모드로 동작하는 송신 보조서버(120)가 활성 모드로 동작하는 수신 주서버(210)를 통하여 일방향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 송신 보조서버(120)는 주기적으로 하트비트 신호를 출력하며, 하트비트 신호는 광 커플러에서 미러링되어 수신 주서버(210)와 수신 보조서버(220)로 전송된다. 수신 주서버(210)는 송신 보조서버(120)로부터 일정 횟수 하트비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이를 수신망 스위치에 알리고, 수신망 스위치는 수신 보조서버(220)를 활성 모드로 전환시켜 수신 보조서버(220)를 통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업무망으로 전달하게 한다.
Referring to FIG. 7, a transmission auxiliary server 120 operating in an active mode performs one-way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reception main server 210 operating in an active mode. The transmission auxiliary server 120 periodically outputs a heartbeat signal and the heartbeat signal is mirrored in the optical coupler and transmitted to the reception main server 210 and the reception auxiliary server 220. If the receiving main server 210 fails to receive the heartbeat signal a certain number of times from the transmitting auxiliary server 120, the receiving main server 210 notifies the receiving switch of the receiving switch, and the receiving switch switches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220 to the active mode, 220 to the business network.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As used in this embodiment, the term " portion " refers to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or an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or ASIC, and 'par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Quot; to "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play one or more processors. Thus, by way of example, 'parts' may refer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may be further combined with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components or further components and components. In addition,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back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0: 송신장치
110: 송신 주서버
120: 송신 보조섭
130: 송신망 스위치
200: 수신장치
210: 수신 주서버
220: 수신 보조서버
230: 수신망 스위치
100: transmitting apparatus
110: transmit main server
120: Transmission auxiliary subsystem
130: Transmission network switch
200: Receiver
210: receiving main server
220: receiving auxiliary server
230: Receiver switch

Claims (6)

송신장치로부터 수신장치로 일방향 데이터 전송만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는 활성 모드에서 상기 수신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주서버와; 상기 송신 주서버 동작시 대기 모드에 있으며 상기 송신 주서버의 장애 발생기 활성상태로 진입하여 상기 수신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 보조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장치는 활성 모드에서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연결된 네트워크망으로 전달하는 수신 주서버와; 상기 수신 주서버 동작시 대기 모드 에 있으며 상기 수신 주서버의 장애발생시 활성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네트워크망으로 수신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수신 보조서버;
상기 송신 주서버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미러링하여 상기 수신 주서버 및 수신 보조서버로 전달하는 주서버측 광 커플러(coupler)와 상기 송신 보조서버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미러링하여 상기 수신 주서버 및 수신 보조서버로 전달하는 보조서버측 광커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보조서버는 상기 송신 주서버와 하트비트(heartbeat) 메시지를 교환하고 상기 송신 주서버로부터 일정 횟수동안 하트비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활성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수신 보조서버는 상기 수신 주서버와 하트비트 메시지를 교환하고 상기 수신 주서버로부터 일정 횟수동안 하트비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활성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송신장치는 상기 광 커플러를 통하여 상기 수신 주서버와 상기 수신 보조서버에 하트비트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송신 주서버, 상기 송신 보조서버, 상기 수신 주서버 및 상기 수신 보조서버는 하트비트 신호에 포함된 송신측의 상태 정보를 참고하여 각각의 서버에 대한 상태를 기록하고,
상기 수신 주서버 및 수신 보조서버는 활성 모드 일 때 상기 광 커플러를 통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연결된 네트워크망에 전달하고, 대기 모드 일 때 상기 광 커플러를 통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폐기하는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
A one-way data transmission system in which only one-way data transmission from a transmitting apparatus to a receiving apparatus is possible,
The transmitting apparatus comprising: a transmitting main server for transmitting data from the active mode to the receiving apparatus; And a transmission auxiliary server that is in a standby mode when the transmission main server is in operation and enters the active state of the failure generator of the transmission main server to transmit data to the reception device,
The receiving apparatus includes: a receiving main server for transmitting data received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in an active mode to a connected network; A receiving auxiliary server which is in a standby mode when the receiving main server is in operation and transmits data received in the network by switching to an active mode when the receiving main server fails;
A main server side optical coupler for mirroring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main server and transmitting the mirrored data to the reception main server and the reception auxiliary server, and a controller for mirroring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auxiliary server, Side optical coupler,
The transmission auxiliary server exchanges a heartbeat message with the transmission main server and switches to an active mode when the transmission main server fails to receive a heartbeat signal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Wherein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exchanges a heartbeat message with the receiving main server and switches to an active mode when the receiving main server fails to receive a heartbeat signal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transmitting apparatus transmits a heartbeat signal to the receiving main server and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through the optical coupler,
The transmitting main server, the transmitting auxiliary server, the receiving main server, and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record the status of each server by referr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transmitting side included in the heartbeat signal,
Wherein the receiving main server and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transmit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optical coupler to the connected network when in the active mode and discard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optical coupler in the standby mo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보조서버는 활성 모드에 있는 상기 수신 주서버가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일정 횟수동안 상기 하트비트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활성 모드로 진입하는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enters the active mode when the receiving main server in the active mode fails to receive the heartbeat signal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rom the transmitting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에서 전송되는 상기 하트비트 신호를 미러링하여 상기 수신 주서버 및 상기 수신 보조 서버로 전달하는 광 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n optical coupler for mirroring the heartbea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the mirrored signal to the receiving main server and the receiving auxiliary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에 연결된 네트워크는 상기 수신장치에 연결된 네트워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보안 레벨이 높은 일방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etwork connected to the transmitting apparatus has a relatively higher security level than a network connected to the receiving apparatus.
KR1020140130526A 2014-09-29 2014-09-29 One way data transfer system KR1015691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526A KR101569152B1 (en) 2014-09-29 2014-09-29 One way data transf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526A KR101569152B1 (en) 2014-09-29 2014-09-29 One way data transfe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9152B1 true KR101569152B1 (en) 2015-11-13

Family

ID=54610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526A KR101569152B1 (en) 2014-09-29 2014-09-29 One way data transf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15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240B1 (en) * 2012-09-20 2013-11-28 한국전력공사 System for transferring data only in one dire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240B1 (en) * 2012-09-20 2013-11-28 한국전력공사 System for transferring data only in one dir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8616B2 (en) Packet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interconnect interface
US6725393B1 (en) System, machine, and method for maintenance of mirrored datasets through surrogate writes during storage-area network transients
US5968189A (en) System of reporting errors by a hardware element of a distributed computer system
US11251898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unidirectional transmission of data
US83327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ommunication lane failover in a serial link
US6594776B1 (en) Mechanism to clear MAC address from Ethernet switch address table to enable network link fail-over across two network segments
CN101980468A (en) Network hot backup data transmission method
CN101984573A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realization of LACP standard state machine
CN101150458A (en) Method and device for single board detection
US5923840A (en) Method of reporting errors by a hardware element of a distributed computer system
US10701101B2 (en) Method and device for averting a manipulation on a CAN bus using a node connected to the bus by a CAN controller
US20090077275A1 (en) Multiple I/O interfacing system for a storage device and communicating method for the same
US20090196178A1 (en) Disconnected Transport Protocol Connectivity
EP3502911A1 (en) Securing digital data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 link
US200801683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agnosing faults in a multiple domain storage system
KR101569152B1 (en) One way data transfer system
US1023062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CN1976259B (en) Directive non-feedback optical fiber one-way transmitting physical isolating method and one-way transmitting system therefor
KR20050002865A (en) A method for providing redundancy for channel adapter failure
KR101562309B1 (en) Unidirectional data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capable of re-transmitting data through plurality of communication lines, and method of transferring data using the same
JP6134720B2 (en) Connection method
CN101848165A (en) Method for controlling recovery of interrupted communication link and interface board
US20180138922A1 (en) Transmission checking method, node, syste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TW200425681A (en) De-activation, at least in part, of receiver, in response, at least in part, to determination that an idle condition exists
WO2007096987A1 (en) Error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