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987B1 - Tubing apparatus of the sink - Google Patents

Tubing apparatus of the si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987B1
KR101568987B1 KR1020090023563A KR20090023563A KR101568987B1 KR 101568987 B1 KR101568987 B1 KR 101568987B1 KR 1020090023563 A KR1020090023563 A KR 1020090023563A KR 20090023563 A KR20090023563 A KR 20090023563A KR 101568987 B1 KR101568987 B1 KR 101568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bushing
connector
tub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5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04872A (en
Inventor
손영욱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3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987B1/en
Publication of KR20100104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8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9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씽크대의 튜빙장치는 씽크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배관부와 상기 배관부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튜브가 통과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끝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튜브가 끼워지도록 삽입홀이 형성되는 부싱 및 상기 바디에 체결되어 상기 바디를 씽크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내주면 또는 상기 배관부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커넥터의 내주면 또는 상기 배관부의 외주면에는 가이드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A tub unit of a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aving a pipe portion installed to penetrate through a sink and a connector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pipe portion, And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body and fastening the body to the sink, w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or, or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And a guide rib may be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on which the guide groove is not formed or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씽크대, 튜빙장치 Sink unit, tubing unit

Description

씽크대의 튜빙장치{TUBING APPARATUS OF THE SINK}{TUBING APPARATUS OF THE SINK}

본 발명은 튜브를 씽크대에 용이하게 설치할수 있도록 하는 씽크대의 튜빙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 unit of a sink for facilitating installation of a tube on a sink.

일반적으로 씽크대 근처에는 정수기나 이온수기 같은 수처리기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처리기기에는 수돗물을 여과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타입이 있다.Generally, a water treatment device such as a water purifier or an ionizer can be installed near the sink. There is a type that the tap water is filtered to be able to drink.

상기 수처리기기와 수도관은 튜브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씽크대에 구멍을 뚫거나 절개부를 형성한 후 상기 구멍 또는 절개부에 튜브를 통과시킨다. 그리고, 상기 튜브의 양단부에 수처리기기 또는 수도관을 연결할 수 있다.The water treatment device and the water pipe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tube. At this time, a hole is formed in the sink or an incision is made, and the tube is passed through the hole or incision. The water treatment device or water pipe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tube.

그러나, 종래에는 씽크대에 구멍을 뚫거나 절개부를 형성한 후 수처리기기를 설치하므로, 수처리기기의 설치 시간과 설치 비용이 증가하고, 고객불만의 대상이 되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since a water treatment device is installed after a hole is formed in a sink or an incision is formed, the installation time and installation cost of the water treatment device increase, and the product becomes a subject of a customer's complaint.

또한, 상기 씽크대에서 설거지를 하는 동안에 상기 씽크대의 구멍이나 절개부를 통해 물이 씽크대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었다. 나아가, 씽크대의 내부에서 악취가 발생될 수 있었다.In addition, while the dishes were being washed in the sink, water could be introduced into the sink through holes or incisions in the sink. Furthermore, odor could be generated inside the sink.

또한, 상기 수처리기기가 다른 것으로 교체될 경우 상기 씽크대의 구멍이나 절개부가 튜브의 사이즈와 달라질 수 있었다. 이 경우 씽크대의 구멍이나 절개부를 다시 확장하거나 또는 튜브의 틈새를 메워야 했다. 따라서, 수처리기기의 교체 시간 및 교체 비용이 증가할 수 있었다.Also, whe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is replaced with another one, the hole or the incision portion of the sink may be different from the tube size. In this case, the hole or incision in the sink had to be extended again or the gap in the tube had to be filled. Therefore, the replacement time and the replacement cost of the water treatment equipment can be increased.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처리기기의 설치 시간과 설치 비용이 감소될 수 있는 씽크대의 튜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 a tub unit for a sink which can reduce installation time and installation cost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씽크대에서 물이 튀겨 상기 씽크대 내부로 물이 들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씽크대의 튜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ub unit for a sink that can prevent water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sink by splashing water on a sink.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른 수처리기기로 교체될 때에 튜브의 사이즈가 달라지더라도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씽크대의 튜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ub unit of a sink capable of flexibly coping with a change in size of a tube when the tub is changed to another water treatment apparatu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씽크대의 튜빙장치는, 씽크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배관부와 상기 배관부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튜브가 통과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끝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튜브가 끼워지도록 삽입홀이 형성되는 부싱; 및 상기 바디에 체결되어 상기 바디를 씽크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의 내주면 또는 상기 배관부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커넥터부의 내주면 또는 상기 배관부의 외주면에는 가이드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ubing device for a sink, comprising: a body having a pipe portion installed to penetrate through a sink and a connector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pipe portion; A bushing detach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body, the bushing having an insertion hole for fitting the tube therein; And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body and fixing the body to the sink, wherein a guide groove is formed i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portion or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portion,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portion Or a guide rib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portion.

상기 바디의 외측면에는 상기 씽크대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와 체결부재 사이에는 패킹이 끼워질 수 있다.A flange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bod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and a packing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lange portion and the fastening member.

상기 바디는, 상기 씽크대를 관통하는 배관부; 및 상기 배관부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부싱이 삽입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includes: a piping portion passing through the sink; And a connector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piping portion and into which the bushing is inserted.

상기 커넥터부는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배관부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or portion may be formed in a bent shape and may be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end portion of the piping portion.

상기 부싱에는 상기 부싱의 삽입홀이 개방될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bushing may be provided with a cutout to open the insertion hole of the bushing.

본 발명에 의하면, 수처리기기의 설치 시간과 설치 비용이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time and installation cost of the water treatment device can be reduced.

본 발명에 의하면, 씽크대에서 물이 튀겨 씽크대 내부로 물이 들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wa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sink by being splashed in the sink.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수처리기기로 교체될 때에 튜브의 사이즈가 달라지더라도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ize of the tube can be flexibly responded to when the tube is replaced with another water treatment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씽크대의 튜빙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concrete embodiment of a tub unit of a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씽크대의 튜빙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씽크대의 튜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tub unit of a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tub unit of a sink.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씽크대(10)의 테두리에는 씽크대의 튜빙장치(100)가 관통되어 설치된다. 상기 씽크대의 튜빙장치(100)에는 정수기, 이온수기와 같은 수처리기기(미도시)의 튜브(21,23)가 관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tub unit 100 of a sink unit is installed through a rim of the sink unit 10. Tubes 21 and 23 of a water treatment apparatus (not shown) such as a water purifier and an ionizer can be passed through the tub unit 100 of the sink.

상기 수처리기기에는 전처리 필터(미도시), 멤브레인 필터(미도시) 및 후처리 필터(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멤브레인 필터는 내부에 일정한 압력이 형성됨에 의해 원수를 여과하여 정수를 생성한다. 이때, 깨끗한 정수는 물탱크나 취출부로 유동되고, 이물질이 포함된 생활용수는 배수 튜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A pretreatment filter (not shown), a membrane filter (not shown) and a post-treatment filter (not shown) are installed i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The membrane filter forms a constant pressure therein, thereby filtering the raw water to generate purified water. At this time, the clean water flows to the water tank or the blowout part, and the domestic wate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age tube.

상기 수처리기기에는 급수 튜브(21)와 배수 튜브(23)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급수 튜브(21)는 수처리기기에 원수를 공급하기 위해 수도관(미도시)과 연결되고, 상기 배수 튜브(23)는 생활용수를 배수하기 위해 하수관(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A water supply tube 21 and a drain tube 23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The water supply tube 21 is connected to a water pipe (not shown) to supply raw water to a water treatment device, and the water discharge tube 23 can be connected to a sewage pipe (not shown) to drain domestic water.

상기 씽크대의 튜빙장치(100)는, 씽크대(1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끝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싱(120)과, 상기 바디(110)에 체결되어 상기 바디(110)를 씽크대(10)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130)를 포함한다.The tub unit 100 includes a body 110 installed to penetrate through the sink 10, a bushing 120 detach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body 110, And a fastening member 130 fastened to the body 10 to fasten the body 110 to the sink 10.

상기 바디(110)는 내부가 비어 있고 양단부가 개방된 형태의 배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10)의 외측면에는 플랜지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112)는 바디(110)가 씽크대(10)에 설치되었을 때에 상기 씽크대(10)의 상면에 접촉된다.The body 1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ipe having an open inside and open at both ends. A flange 112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10. The flange portion 112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table 10 when the body 110 is installed in the sink table 10.

상기 바디(110)의 외측면에는 상기 체결부재(1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선(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사선(113)은 바디(110)의 하단부와 플랜지부(112)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110)의 하단부와 플랜지부(112) 사이에는 바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평면부(114)가 서로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나사선(113)은 평면부(114)의 사이에 형성된다.A screw thread 113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110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130 can be fastened. At this time, the thread 113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body 110 and the flange portion 112.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body 110 and the flange portion 112, a pair of flat portions 114 may be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body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10. Therefore, the thread 113 is formed between the planar portions 114. [0050]

상기 바디(110)는, 상기 씽크대(10)를 관통하는 배관부(111)와, 상기 배관부(111)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부싱(120)이 삽입되는 커넥터부(117)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10)는 전체적으로 대략 "ㄱ"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110 includes a pipe portion 111 passing through the sink 10 and a connector portion 117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pipe portion 111 and inserted into the bushing 120. The body 11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a" shape.

이때, 상기 커넥터부(117)는 대략 "ㄱ"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배관부(111)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관부(111)의 상단부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원형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부(117)의 내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원형의 가이드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넥터부(117)가 배관부(111)에 결합되면 상기 가이드 리브가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At this time, the connector part 117 is bent in a substantially "a" form and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iping part 111. [ For example, a circular guide groove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pipe section 111, and a circular guide groove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section 117 along the circumference. At this time, when the connector portion 117 is coupled to the pipe portion 111, the guide rib is slidably fitted in the guide groove.

이러한 커넥터부(117)는 배관부(111)에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튜브의 인출방향을 조절 및 변경할 수 있다.The connector portion 117 can adjust and change the pulling direction of the tube as it is rotated by the piping portion 111.

상기 부싱(120)은 상기 바디(110)의 끝단부를 형성하는 커넥터부(117)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부싱(120)에는 상기 급수 튜브(21)와 배수 튜브(23)가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홀(121)은 2개 이상의 튜브(21,23)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bushing 120 may be inserted into a connector 117 forming an end of the body 110. The bushing 120 may be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121 to allow the water supply tube 21 and the drain tube 23 to be inserted. At this time, the insertion hole 121 may be formed long so that two or more tubes 21 and 23 can be inserted.

상기 부싱(120)에는 삽입홀(121)이 벌어져 개방될 수 있도록 절개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싱(120)을 벌린 다음에 상기 부싱(120)의 개방된 곳을 통해 튜브(21,23)를 삽입홀(121)에 끼워넣을 수 있다.The bushing 120 may be provided with a cutout 123 to allow the insertion hole 121 to open. Accordingly, after the bushing 120 is opened, the tubes 21 and 23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1 through the open portion of the bushing 120.

또한, 상기 부싱(120)은 커넥터부(117)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 튜브(21)와 배수 튜브(23)의 사이즈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부싱(120)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상기 튜브(21,23)의 사이즈 변경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수처리기기로 교체할 때에 교체 시간 및 교체 비용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The bushing 120 may b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connector portion 117. Therefore, even if the sizes of the water supply tube 21 and the drain tube 23 are changed, only the bushing 120 can be replaced, so that it is possible to flexibly cope with the size change of the tubes 21 and 23. Therefore, replacement time and replacement cos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when replacing with other water treatment equipment.

상기 플랜지부(112)와 상기 체결부재(130) 사이에는 패킹(14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패킹(140)은 씽크대(10)의 상면 또는 하면과 접촉됨에 의해 물이 씽크대(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Between the flange portion 112 and the fastening member 130, a packing 140 may be further included. The packing 14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sink 10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sink 10.

상기 체결부재(130)의 상부에는 상기 플랜지부(112)에 대향되도록 판형태의 압착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부(131)의 하부에는 손으로 잡고 돌릴 수 있도록 손잡이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33)는 방사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리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A plate-shaped pressing part 131 may be formed on the fastening member 130 so as to face the flange part 112. Further, a grip 133 may be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rimping portion 131 so as to be held by hand. The handle 133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radially formed rib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씽크대의 튜빙장치의 제1실시예에 관한 설치 과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install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ub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now be described.

먼저, 상기 씽크대(10)에 바디(110)의 배관부(111)의 외경과 비슷한 크기의 홀을 뚫는다. 상기 배관부(111)를 씽크대(10)의 홀에 삽입된 후 상기 패킹(140)을 배관부(111)의 하단부에서 상측으로 끼운다. 이 경우 상기 패킹(140)은 씽크대(10)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First, a hole having a size similar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iping portion 111 of the body 110 is drilled in the sink 10. After the piping part 111 is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sink table 10, the packing 140 is inserted up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pipe part 111. In this case, the packing 140 may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sink table 10.

물론, 상기 배관부(111)에 패킹(140)을 끼운 후 상기 배관부(111)를 씽크대(10)의 홀에 삽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패킹(140)은 씽크대(1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Of course, the piping unit 111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sink table 10 after the packing 140 is inserted into the piping unit 111. In this case, the packing 140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table 10.

상기 체결부재(130)가 상기 패킹(140)을 압착할 때까지 체결부재(130)를 회전킨다. 이때, 상기 배관부(111)의 평면부(114)를 스패너(spanner)와 같은 공구로 잡은 후 상기 체결부재(130)를 회전시킨다. 상기 배관부(111)가 씽크대(10)에 고정되면 상기 배관부(111)의 끝단부에 커넥터부(117)를 결합시킨다.The fastening member 130 is rotated until the fastening member 130 presses the packing 140. At this time, the flat portion 114 of the pipe portion 111 is caught by a tool such as a spanner, and then the coupling member 130 is rotated. When the piping unit 111 is fixed to the sink 10, the connector unit 117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piping unit 111.

또한, 상기 부싱(120)을 벌린 후 상기 부싱(120)의 삽입홀(121)에 튜브(21,23)를 끼워 넣는다. 이렇게 튜브(21,23)가 끼워진 부싱(120)은 커넥터부(117)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튜브(21,23)의 인입 위치를 변경시키려면 상기 커넥터부(117)를 원하는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After the bushing 120 is opened, the tubes 21 and 23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s 121 of the bushing 120. The bushing 120 in which the tubes 21 and 23 are fitted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portion 117. At this time, in order to change the pull-in position of the tubes 21 and 23, the connector part 117 may be rotated as desired.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씽크대 튜빙장치의 제2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비해 상기 씽크대 튜빙장치의 바디 구조에 차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도번을 부여하기로 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Sinking-type tub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structure of the body of the Sink-type tubing device. Hereinafter,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drawing number will be give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씽크대의 튜빙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씽크대의 튜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tubing apparatus for a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tubing apparatus of a sink.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씽크대 튜빙장치(100a)의 바디(110a)는 일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110a)의 끝단부에는 부싱(120)이 삽입된다. 즉, 제2실시예의 바디(110a)는 실질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커넥터부(117)가 생략된 구조를 갖는다.4 and 5, a body 110a of the Sink-type tubing device 100a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and a bushing 120 is inserted into an end of the body 110a. That is, the body 110a of the second embodiment substantiall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or portion 117 is omitted in the first embodiment.

상기한 씽크대 튜빙장치(100a)의 제2실시예는 바디(110a)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제2실시예는 튜브(21,23)가 씽크대(10)에서 수직하게 배관되는 구조에 편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Sink-type tubing device 100a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structure of the body 110a,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conveniently applied to a structure in which the tubes 21 and 23 are vertically piped in the sink base 10.

본 발명은 씽크대에서 튜브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으로 현저한 이용 가능성이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a tube in a sink, and thus there is remarkable industrial applicabi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씽크대의 튜빙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tubing apparatus for a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씽크대의 튜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tubing apparatus of the Sink stand of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씽크대의 튜빙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tubing apparatus of a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씽크대의 튜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tub unit of the sink of FIG. 3;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씽크대 100: 씽크대 튜빙장치10: Sink unit 100: Sink unit Tubing unit

110: 바디 111: 배관부110: Body 111: Piping part

117: 커넥터부 120: 부싱117: connector portion 120: bushing

121: 삽입홀 123: 절개부121: insertion hole 123:

130: 체결부재 140: 패킹130: fastening member 140: packing

Claims (6)

씽크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배관부와 상기 배관부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튜브가 통과되는 바디;A body including a piping portion installed to penetrate through a sink and a connector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piping portion, wherein at least one tube is passed through; 상기 바디의 끝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튜브가 끼워지도록 삽입홀이 형성되는 부싱; 및A bushing detach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body, the bushing having an insertion hole for fitting the tube therein; And 상기 바디에 체결되어 상기 바디를 씽크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의 내주면 또는 상기 배관부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커넥터부의 내주면 또는 상기 배관부의 외주면에는 가이드 리브가 구비되는 씽크대의 튜빙장치.And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body and fixing the body to the sink, wherein a guide groove is formed i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portion or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portion,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or portion, And a guide rib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바디의 외측면에는 상기 씽크대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와 체결부재 사이에는 패킹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의 튜빙장치.Wherein a flange portion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so as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and a packing is fitted between the flange portion and the fasten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부싱은 상기 커넥터부에 삽입되는 씽크대의 튜빙장치.Wherein the bushing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커넥터부는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는 씽크대의 튜빙장치.Wherein the connector portion is formed in a bent shap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부싱에는 상기 부싱의 삽입홀이 개방될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대의 튜빙장치.Wherein the bushing is formed with a cut-out portion for opening the insertion hole of the bushing. 제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바디의 외측면에는 상기 씽크대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플랜지부에 대향되도록 판형태의 압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재의 하부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리브가 구비되는 씽크대의 튜빙장치.A flange portion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so as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A plate-shaped press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member so as to face the flange portion. The tubing unit of the sink.
KR1020090023563A 2009-03-19 2009-03-19 Tubing apparatus of the sink KR1015689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563A KR101568987B1 (en) 2009-03-19 2009-03-19 Tubing apparatus of the s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563A KR101568987B1 (en) 2009-03-19 2009-03-19 Tubing apparatus of the si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872A KR20100104872A (en) 2010-09-29
KR101568987B1 true KR101568987B1 (en) 2015-11-20

Family

ID=43009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563A KR101568987B1 (en) 2009-03-19 2009-03-19 Tubing apparatus of the si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98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8659A (en) * 2005-06-17 2006-12-28 Hatano Seisakusho:Kk Routing structure of hot water supply piping for bathtub in prefabricated bath, and waterproof sleeve for use in the rout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8659A (en) * 2005-06-17 2006-12-28 Hatano Seisakusho:Kk Routing structure of hot water supply piping for bathtub in prefabricated bath, and waterproof sleeve for use in the routing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872A (en)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3893B2 (en) Faucet with built-in filter units
KR101429823B1 (e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of faucet for sink
US20170101765A1 (en) Faucet main body fast detaching and replacing mehhod, and faucet structure for implementing the same
KR101177790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pop-up device and its contruction method
KR101568987B1 (en) Tubing apparatus of the sink
KR101679787B1 (en) Drinage for bathtub
KR200395202Y1 (en) Piping Coupler
KR20110007157U (en) fitting for connecting hose
KR20120098273A (en) A pop-up type opening/closing device for washstand
KR101265232B1 (en) Water purification filter case having clip for separation connector
CN104947745A (en) Sewage discharging and tank cleaning valve for water tank
KR102383886B1 (en) Drain apparatus for water purifier
KR20140078809A (en) Separable ashstand waterway plug equipment
KR101718736B1 (en) Drain plugs
KR101705126B1 (en) Catchment drainage
KR101217606B1 (en) Water-purifying device
KR200429502Y1 (en) Eccentric union
KR0139864Y1 (en) A sterilizing shower head
CN211025416U (en) Water purifier device convenient to dismouting
JP4779081B2 (en) Drainage equipment
JP3197961U (en) Branch faucet directly connected water purifier
KR20170067379A (en) Faucet water purifier
KR200178549Y1 (en) Water purifier for a tap connection
KR100374005B1 (en) Case structure of machine for soft water make
KR200330047Y1 (en) The soft-Water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