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686B1 - 무선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시간 최소화 방법과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 Google Patents

무선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시간 최소화 방법과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686B1
KR101568686B1 KR1020090101349A KR20090101349A KR101568686B1 KR 101568686 B1 KR101568686 B1 KR 101568686B1 KR 1020090101349 A KR1020090101349 A KR 1020090101349A KR 20090101349 A KR20090101349 A KR 20090101349A KR 101568686 B1 KR101568686 B1 KR 101568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
oem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4592A (ko
Inventor
도동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1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686B1/ko
Publication of KR20110044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인터넷 접속 시스템은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상기 서버에 단말기가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 및 사용자의 무선인터넷 서비스 요청시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전에 상기 통신망과의 연결을 요청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함으로써, 무선인터넷의 초기 접속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서버, 인터넷, 단말기, OEM 모듈, 플랫폼 모듈, 어플리케이션 모듈, 브라우저

Description

무선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시간 최소화 방법과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SYSTEM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ETHOD FOR SHORTING INITIAL CONNECTING TIME OF WIRELESS INTERNET AND MOBILE PHONE THEREOF}
본 발명은 무선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시간 최소화 방법과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상기 서버에 단말기가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 및 사용자의 무선인터넷 서비스 요청시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전에 상기 통신망과의 연결을 요청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여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무선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시간 최소화 방법과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의 눈부신 발달로 인해 모바일 단말기의 대중화가 이루어져 우리나라의 경우 이동 통신 가입자 수가 2007년 기준 4300만 여명에 이를 정도로 대부분 의 일반인들이 휴대폰, PDA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항상 소지하고 있다.
휴대폰이 처음 등장했을 때에는 단순히 이동 중에 음성 통화를 하는 기능만이 중요시되었으나,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휴대폰에 일정 관리 기능, 카메라 기능, MP3 플레이어 기능,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 기능, 위성/지상파 DMB 방송기능, 영상 통화 기능 등 새로운 기능들이 휴대폰의 기능에 부가되었고, 휴대폰 구매시 이러한 기능들이 구매의 주요한 기준으로 자리 잡을 정도로, 이제 휴대폰 등 모바일 단말기는 단순히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한 수단을 넘어서 일상에서의 필수품이 되었다.
또한 최근 WIBRO, WCDMA, HSDPA 등의 제 3세대 이동 통신 서비스가 상용화되어,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인터넷 서비스 사용자들은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만 있다면, 굳이 PC(Personal Computer)가 구비된 장소를 찾아갈 필요없이 어디서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PC를 통해 보는 웹 사이트와 동일한 형태로 무선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풀 브라우징(Full Browsing)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풀 브라우징"이란 휴대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로 인터넷 직접 연결을 통해 PC로 보는 웹 사이트와 동일한 형태로 웹 사이트를 구현하는 것으로서,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들이 직접 URL을 입력하여 유선 웹 사이트로 직접 접속하여 기존 무선 포털이 제공하는 콘텐츠의 범위를 넘어서 PC상으로 볼 수 있는 모든 인터넷 콘텐츠들을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주요 고객은 10대에서 30대의 학생이나 직장인 등 젊은 계층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젊은 계층의 사람들은 많은 수가 블로그나 미니 홈피 등 개인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고, 동호회 등 인터넷 커뮤니티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지인들과의 안부 인사나 정보 교환 등을 블로그나 미니 홈피의 방명록 등을 통해 주고 받는 경향이 강하다. 이러한 경향을 고려할 때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활용 가능성은 높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단말기 내의 위피, 브라우저 등의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야 하고 또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망 연결 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모바일 단말기에서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 요청에서 통신망 연결까지 접속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무선인터넷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상기 서버에 단말기가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 및 사용자의 무선인터넷 서비스 요청시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전에 상기 통신망과의 연결을 요청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시간 최소화 방법과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인터넷 접속 시스템은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상기 서버에 단말기가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 및 사용자의 무선인터넷 서비스 요청시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전에 상기 통신망과의 연결을 요청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입력부,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를 전송받아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입력부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의 OEM 모듈,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 모듈, 상기 OEM 모듈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OEM 모듈에서 구동 요청이 전송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을 요청할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을 요청하기 전에 상기 OEM 모듈로 상기 통신망과의 연결을 요청하는 플랫폼 모듈을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OEM 모듈은 상기 플랫폼 모듈의 통신망 연결 요청에 의해 통신부로 하여금 통신망과 연결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된 통신망 연결 통보를 상기 플랫폼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플랫폼 모듈로부터 전송된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 요청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플랫폼 모듈로 통신망과의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플랫폼 모듈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로부터 전송된 통신망 연결 요청과 상기 OEM 모듈로부터 전송된 통신망 연결 통보를 모두 받은 후에 상기 통신망 연결 통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통신망 연결 통보를 전송받으면 상기 통신망에 접속된 상기 서버로부터 초기 페이지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시간 최소화 방법은 사용자의 무선인터넷 서비스 요청받는 단계, 상기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기 위하여 통신망과의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통신망과의 연결 요청 후에 상기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시간 최소화 방법은 OEM 모듈이 사용자로부터 서버 접속 요청을 받아 플랫폼 모듈로 플랫폼 모듈의 구동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모듈이 상기 플랫폼 모듈 구동 요청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OEM 모듈로 상기 서버가 접속된 통신망과의 연결을 요청하고, 그 후에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플랫폼 모듈이 상기 OEM 모듈로 상기 서버가 접속된 통신망과의 연결을 요청한 후에, 상기 OEM 모듈이 상기 플랫폼 모듈의 통신망 연결 요청에 의해 통신부로 하여금 통신망과 연결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OEM 모듈이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통신망 연결 통보를 전송받아 상기 플랫폼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요청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플랫폼 모듈로 통신망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요청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플랫폼 모듈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로부터의 통신망 연결 요청 및 상기 OEM 모듈로부터의 통신망 연결 통보를 모두 받은 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통신망 연결 통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랫폼 모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통신망 연결 통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이 전송된 상기 통신망 연결 통보에 의해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플랫폼 모듈이 상기 OEM 모듈로 통신망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통신망 연결 요청에 의해 상기 통신망으로 연결을 요청한 상기 OEM 모듈이 상기 플랫폼 모듈로 통신망 연결 중임을 알리는 단계, 상기 OEM 모듈로부터 통신망 연결 중임을 전송받은 상기 플랫폼 모듈이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시간 최소화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는 OEM 모듈에서 구동 요청이 전송되어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을 요청할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을 요청하기 전에 상기 OEM 모듈로 통신망과의 연결을 요청하는 플랫폼 모듈을 포함하여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기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전에 통신망과의 접속을 요청함으로써 초기 접속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무선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시간 최소화 방법과 모바일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무선인터넷 접속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무선인터넷 접속 시스템은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상기 서버에 단말기가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 및 사용자의 무선인터넷 서비스 요청시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전에 상기 통신망과의 연결을 요청하는 모바일 단말기(1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한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예로 인터넷 포털 서버가 있다.
상기 통신망은 상기 서버에 접속을 시도하는 각종 단말기를 상기 서버에 접속시키는 요소로, 인터넷망, 무선통신망 등이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서버에서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서비스(데이터의 형태)를 전송받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 후 통신망과의 연결을 요청하게 된다. 그러나 이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후에 통신망과의 연결 요청을 수행함으로써 초기 접속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전에 통신망과의 연결 요청을 수행함으로써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입력부(110), 통 신망을 통하여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130)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를 전송받아 처리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고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 요소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11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통신부(130)는 통신망을 통하여 일정 서버와 통신하는 요소로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GPS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인터넷 모듈은 무선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인터 넷 모듈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항법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15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전달받게 되며,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소정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로 하여금 상기 서버에 접속하도록 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전송된 상기 서비스를 처리하게 된다.
서비스의 처리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음성 출력 모듈에서의 출력에 적합하도록 상기 서비스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가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것인 경우, 제어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OEM 모듈, 어플리케이션 모듈, 플랫폼 모듈을 구동시켜 사용자가 요구한 서비스를 서버로부터 전송받아 제공할 수 있다.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모듈은 통신망 접속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접속에 대해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한다.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브라우저 등 무선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해 모바일 단 말기 상에 시각 또는 청각으로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한다. 여기서 브라우저는 사용자가 요청한 무선인터넷 서비스 요청에 대한 데이터 처리를 위한 최상위 계층으로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데이터를 해석하여 친사용자 환경에 맞게 표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브라우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프로그램 등이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해당한다.
플랫폼 모듈은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브라우저 등의 어플리케이션 모듈과 OEM 모듈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단말 플랫폼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브라우저 등의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항상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무선인터넷 서비스 요청과 같이 통신망을 통하여 소정 서버로부터 서비스(데이터의 형태임)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에 구동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과 함께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연결된 통신망과의 접속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하게 된다.
도 4는 종래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통신망 접속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무선인터넷 접속 요청(포탈 사이트 서버와의 연결)과 같이 일정 서버에 접속을 요청하게 되면 OEM 모듈은 플랫폼 모듈을 구동시키게 된다. OEM 모듈에 의해 구동된 플랫폼 모듈은 다시 브라우저 등의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구동시키고 구동된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통신망에 연결할 것을 플랫폼 모듈에 요청하게 된다.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통신망 연결 요청을 전송받은 플랫폼 모듈은 OEM 모듈 로 통신망 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이에 따라 OEM 모듈은 통신망에 연결을 요청하게 된다.
그 후, OEM 모듈은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된 통신망 연결 통보를 플랫폼 모듈로 전송하고, 플랫폼 모듈은 다시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전송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모듈이 통신망에 연결되었음을 확인하도록 한다.
플랫폼 모듈로부터 통신망 연결 통보를 전송받은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통신망을 거쳐 서버로부터 초기 페이지(데이터)를 다운로드받게 되며, 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상의 과정을 살펴보면, 통신망 연결 요청은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이 완료된 후 구동된 어플리케이션 모듈로부터 시작됨을 알 수 있다. 이는 곧 통신망 연결 시간이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 시간만큼 지연되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부를 통한 입력 과정과 OEM 모듈에 의해 플랫폼 모듈이 구동되는 시간을 제외한 상태라 하더라도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 시간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 후에 이루어지는 통신망 접속 시간을 대기하여야 서버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 시간이 5초이고, 상기 OEM 모듈의 통신망 연결 요청부터 통신망 연결이 이루어지는 시점까지의 시간이 3초인 경우, 상기 OEM 모듈의 통신망 연결 요청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통신망 연결 요청 후,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 후에 이루어지는 것을 고려하면 적어도 총 8초의 초기 접속 시간을 요구하게 된다.
초기 접속 시간이 짧아질수록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부는 통신부 및 입력부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의 OEM 모듈,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 모듈, OEM 모듈과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며 OEM 모듈에서 구동 요청이 전송되어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을 요청할 경우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을 요청하기 전에 OEM 모듈로 통신망과의 연결을 요청하는 플랫폼 모듈을 구동한다.
살펴보면, 제어부에서 구동되는 플랫폼 모듈은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구동 요청을 전송하기 전, 즉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구동시키기 전에 OEM 모듈로 통신망 연결 요청을 하게 된다. OEM 모듈의 입장에서는 플랫폼 모듈로부터 전송된 통신망 연결 요청에 따라 동작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며,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된 통신망 연결 통보를 플랫폼 모듈로 전송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입장에서도 플랫폼 모듈에 의해 구동되고, 구동된 후 플랫폼 모듈로 통신망 연결 요청을 하는 것도 동일하다. 즉, 기존의 모듈에서 플랫폼 모듈만 수정함으로써 초기 접속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초기 접속 시간이 줄어드는 상태를 설명하면, 플랫폼 모듈에서 OEM 모듈로 통신망 연결 요청을 수행하는 시점이 어플리케이션 모듈로부터 통신망 연결 요청을 받은 이후가 아니라, OEM 모듈로부터 플랫폼 모듈 구동 요청을 받은 이후와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을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전송하기 이전 사이가 된다.
따라서, OEM 모듈에서 통신망으로 통신망 연결 요청을 하는 시기 또한 어플 리케이션 모듈이 구동 완료되기 전(플랫폼 모듈에서 OEM 모듈로 통신망 연결을 요청하는 시점과 어플리케이션 모듈에서 플랫폼 모듈로 통신망 연결을 요청하는 시점의 사이)에 수행될 것이며, 이에 따라 통신망으로부터 OEM 모듈로의 연결 통보도 통신망 사정에 따라 변동될 것이나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 완료 전에도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 시간이 5초이고, 상기 OEM 모듈의 통신망 연결 요청부터 통신망 연결이 이루어지는 시점까지의 시간이 3초인 경우, 상기 OEM 모듈의 통신망 연결 요청이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 개시전에 이루어지는 점을 고려하면 통신망 연결은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 중에 완료된다. 따라서, 초기 접속 시간은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간인 5초가 된다(서버 접속을 위해선 어플리케이션 구동이 필요함). 다른 예로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 시간이 5초이고, 통신망 연결 시간이 8초인 경우, 초기 접속 시간은 종래의 경우에는 5초+8초=13초가 될 것이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8초가 된다.
사용자가 인지하는 초기 접속 시간은 입력부를 통한 서버 접속 요청 시점부터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통하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초기 페이지가 표시되는 시점까지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서버로부터 초기 페이지를 다운로드하여야 하는데, 그 시점은 플랫폼 모듈로부터 통신망 연결 통보를 전송받은 후가 된다. 상기 플랫폼 모듈은 OEM 모듈로부터 통신망 연결 통보를 전송받은 후에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통신망 연결 통보를 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 전에 OEM 모듈로부터 통신망 연결 통보를 전송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플랫폼 모듈은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이 완료되기 전까지 어플리케이션 모듈로의 통신망 연결 통보를 대기하게 된다. 플랫폼 모듈에서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어플리케이션 모듈로부터 통신망 연결 요청이 전송된 것을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플랫폼 모듈은 어플리케이션 모듈로부터의 통신망 연결 요청과 OEM 모듈로부터의 통신망 연결 통보가 모두 전송된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통신망 연결 통보를 전송하게 된다.
플랫폼 모듈은 OEM 모듈로부터 통신망 연결 통보를 받기 전에 어플리케이션 모듈로부터 통신망 연결 요청을 받게 되면, 이미 OEM 모듈로 통신망 연결 요청을 해놓은 상태이므로 OEM 모듈로부터 통신망 연결 통보가 전송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OEM 모듈로부터 통신망 연결 통보가 전송되면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통신망 연결 통보를 전송하게 된다.
정리하면, 상기 플랫폼 모듈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로부터 전송된 통신망 연결 요청과 상기 OEM 모듈로부터 전송된 통신망 연결 통보를 모두 받은 후에 상기 통신망 연결 통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전송하게 된다. 물론, 이를 위해서 상기 OEM 모듈은 상기 플랫폼 모듈의 통신망 연결 요청에 의해 통신부로 하여금 통신망과 연결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된 통신망 연결 통보를 상기 플랫폼 모듈로 전송할 수 있어야 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플랫폼 모듈로부터 전송된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 요청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플랫폼 모듈로 통신망과의 연결을 요청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통신망 연결 통보를 전송받은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통신 망에 접속된 서버로부터 초기 페이지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디스플레이 모듈 등을 통하여 표시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서버 접속 요청을 받아 상기 서버에 연결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데이터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은 입력부, 통신부, 디스플레이 모듈, 제어부를 통해 이루어지며, 제어부는 다른 요소들을 제어함과 동시에 어플리케이션 구동 등을 수행하게 된다. 제어부에서 이루어지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등은 도 2에 도시된 OEM 모듈, 플랫폼 모듈, 어플리케이션 모듈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OEM 모듈, 플랫폼 모듈,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모바일 단말기 내 소정 메모리에 저장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시간 최소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이상에서 살펴본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과정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먼저, OEM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서버 접속 요청을 받아 플랫폼 모듈로 플랫폼 모듈의 구동을 요청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의 서버 접속 요청은 입력부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입력부는 사용자에 입력을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는 구동 중인 OEM 모듈을 적용하거나 또는 OEM 모듈을 구동시킨 후 구동된 OEM 모듈을 적용하게 된다.
상기 플랫폼 모듈은 상기 플랫폼 모듈 구동 요청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OEM 모듈로 상기 서버가 접속된 통신망과의 연결을 요청하고, 그 후에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요청한다. 이 과정은 OEM 모듈로부터 전송된 플랫폼 모 듈 구동 요청에 의해 구동된 플랫폼 모듈이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전에 OEM 모듈로 통신망 연결을 요청하는 과정이다.
상기 OEM 모듈은 상기 플랫폼 모듈의 통신망 연결 요청에 의해 통신부로 하여금 통신망과 연결하도록 요청한다. 플랫폼 모듈로부터 통신망 연결 요청을 받은 OEM 모듈은 통신부로 하여금 통신망으로 통신망 연결 요청 ⓐ를 하도록 한다. 통신망 연결 요청 ⓐ의 시점은 플랫폼 모듈에서 OEM 모듈로 통신망 연결 요청을 한 이후부터 플랫폼 모듈에서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을 하기 전까지이다.
이를 위해 플랫폼 모듈은 필요한 경우 통신망 연결 요청을 받은 OEM 모듈이 통신망으로 통신망 연결 요청 ⓐ를 수행할때까지 어플리케이션 모듈로의 구동 요청을 지연시킬 수 있다. 플랫폼 모듈에서 통신망 연결 요청 ⓐ가 이루어졌는지 자체적으로 알기는 어렵다. 따라서, OEM 모듈은 통신망 연결 요청 ⓐ를 수행한 후 플랫폼 모듈로 통신망 연결 요청 ⓐ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져 통신망과의 연결을 수행중임을 의미하는 통신망 연결 중 신호를 플랫폼 모듈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플랫폼 모듈은 OEM 모듈로부터 통신망 연결 중임을 알리는 신호(통신망 연결 중 신호)가 전송된 이후에 어플리케이션으로 구동 요청을 하게 된다.
만약, OEM 모듈로부터 통신망 연결 중 신호가 전송되지 않으면 플랫폼 모듈은 OEM 모듈로부터 통신망 연결 중 신호가 전송될 때까지 어플리케이션으로의 구동 요청을 지연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OEM 모듈로 통신망 연결 요청을 재차 시도할 수도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플랫폼 모듈로 통신망 연결을 요청한다. 상기 플랫폼 모듈은 OEM 모듈로 통신망 연결 요청을 한 후에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구동(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시키고, 플랫폼 모듈에 의해 구동이 완료된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플랫폼 모듈로 통신망 연결 요청을 전송한다.
상기 OEM 모듈은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통신망 연결 통보를 전송받아 상기 플랫폼 모듈로 전송한다. 상기 OEM 모듈로부터 통신망 연결 요청 ⓐ를 받은 통신망은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부와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통신망 연결 통보 ⓑ를 전송한다. 통신망 연결 통보 ⓑ를 전송받은 OEM 모듈은 이를 플랫폼 모듈로 전송한다. 상기 통신망 연결 통보 ⓑ는 통신망 연결 요청 ⓐ 후에 이루어게 된다. 상기 통신망 연결 요청 ⓐ가 플랫폼 모듈로부터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 전에 이루어지게 되므로, 통신망 연결 통보 ⓑ는 어플리케이션 모듈로부터 플랫폼 모듈로 전송되는 통신망 연결 요청 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OEM 모듈에서 플랫폼 모듈로 전송되는 통신망 연결 통보 ⓒ 또한 어플리케이션 모듈로부터 플랫폼 모듈로 전송되는 통신망 연결 요청 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랫폼 모듈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로부터 전송된 통신망 연결 요청과 상기 OEM 모듈로부터 통신망 연결 통보 ⓒ를 모두 받은 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통신망 연결 통보를 전송한다.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되는 통신망 연결 통보 ⓑ의 시점은 통신망의 사정에 따라 유동적이므로 이에 따라 상기 통신망 연결 통보 ⓑ가 있은 후에 이루어지는 OEM 모듈로부터 플랫폼 모듈로의 통신망 연결 통보 ⓒ 또한 유동적이다. 이에 따라 상기 통신망 연결 통보 ⓒ는 어플리케이션 모듈로부터 플랫폼 모듈로 전송되는 통신망 연결 요청의 이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서버 접속을 통하여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향유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서버와 통신하여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전송받고, 상기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통하여 실행시켜야 한다. 따라서, 서버와의 통신 연결을 의미하는 통신망 연결 통보 ⓒ와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이 완료되었음을 의미하는 어플리케이션 모듈로부터의 통신망 연결 요청 모두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플랫폼 모듈은 상기 통신망 연결 통보 ⓒ와 어플리케이션 모듈로부터 플랫폼 모듈로 전송되는 통신망 연결 요청 중 늦게 전송받은 요소를 받은 시점 이후에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통신망 연결 통보를 하게 된다.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플랫폼 모듈로부터 전송된 통신망 연결 통보에 의해 서버에 접속하여 초기 페이지를 다운로드하게 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초기 접속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하고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는 플랫폼 모듈에서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구동시키기 전에 OEM 모듈로 통신망 연결을 요청함으로써 초기 접속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플랫폼 모듈에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요청 전에 통신망 연결 요청을 수행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OEM 모듈에서 플랫폼 모듈의 구동 요청 전에 바로 통신망에 대해 통신망 연결 요청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일정 서비스를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시간이 긴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모바일 단말기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모바일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을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시간 최소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종래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통신망 접속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입력부 130...통신부
150...제어부

Claims (11)

  1. 삭제
  2.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입력부;
    통신망을 통하여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를 전송받아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입력부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의 OEM 모듈,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 모듈, 상기 OEM 모듈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OEM 모듈에서 구동 요청이 전송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을 요청할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을 요청하기 전에 상기 OEM 모듈로 상기 통신망과의 연결을 요청하는 플 랫폼 모듈을 구동하는 모바일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OEM 모듈은 상기 플랫폼 모듈의 통신망 연결 요청에 의해 통신부로 하여금 통신망과 연결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된 통신망 연결 통보를 상기 플랫폼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상기 플랫폼 모듈로부터 전송된 어플리케이션 모듈의 구동 요청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플랫폼 모듈로 통신망과의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플랫폼 모듈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로부터 전송된 통신망 연결 요청과 상기 OEM 모듈로부터 전송된 통신망 연결 통보를 모두 받은 후에 상기 통신망 연결 통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전송하는 모바일 단말기.
  4. 삭제
  5. 삭제
  6. OEM 모듈이 사용자로부터 서버 접속 요청을 받아 플랫폼 모듈로 플랫폼 모듈의 구동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 모듈이 상기 플랫폼 모듈 구동 요청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OEM 모듈로 상기 서버가 접속된 통신망과의 연결을 요청하고, 그 후에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시간 최소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플랫폼 모듈이 상기 OEM 모듈로 상기 서버가 접속된 통신망과의 연결을 요청한 후에,
    상기 OEM 모듈이 상기 플랫폼 모듈의 통신망 연결 요청에 의해 통신부로 하여금 통신망과 연결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OEM 모듈이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통신망 연결 통보를 전송받아 상기 플랫폼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시간 최소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요청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 요청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플랫폼 모듈로 통신망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시간 최소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요청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플랫폼 모듈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로부터의 통신망 연결 요청 및 상기 OEM 모듈로부터의 통신망 연결 통보를 모두 받은 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통신망 연결 통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시간 최소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모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통신망 연결 통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이 전송된 상기 통신망 연결 통보에 의해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시간 최소화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플랫폼 모듈이 상기 OEM 모듈로 통신망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통신망 연결 요청에 의해 상기 통신망으로 연결을 요청한 상기 OEM 모듈이 상기 플랫폼 모듈로 통신망 연결 중임을 알리는 단계;
    상기 OEM 모듈로부터 통신망 연결 중임을 전송받은 상기 플랫폼 모듈이 어플리케이션 모듈로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시간 최소화 방법.
KR1020090101349A 2009-10-23 2009-10-23 무선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시간 최소화 방법과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KR101568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349A KR101568686B1 (ko) 2009-10-23 2009-10-23 무선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시간 최소화 방법과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349A KR101568686B1 (ko) 2009-10-23 2009-10-23 무선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시간 최소화 방법과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592A KR20110044592A (ko) 2011-04-29
KR101568686B1 true KR101568686B1 (ko) 2015-11-13

Family

ID=44049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349A KR101568686B1 (ko) 2009-10-23 2009-10-23 무선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시간 최소화 방법과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68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202B1 (ko) * 2000-12-29 2002-12-05 (주) 엘지텔레콤 서버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과이를 이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 통신방법과 서버의통신 방법
KR100629448B1 (ko) 2005-06-01 2006-09-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서 보안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하는시스템
KR100778605B1 (ko) 2000-03-30 2007-11-22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이동국 애플리케이션이 지정된 이벤트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605B1 (ko) 2000-03-30 2007-11-22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이동국 애플리케이션이 지정된 이벤트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363202B1 (ko) * 2000-12-29 2002-12-05 (주) 엘지텔레콤 서버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통신방법과이를 이용하는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 통신방법과 서버의통신 방법
KR100629448B1 (ko) 2005-06-01 2006-09-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인터넷 플랫폼에서 보안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하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592A (ko) 201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30370A1 (en) Custom idle screen for a mobile device
US9141725B2 (en) Integration of static and dynamic data for database entities and the unified presentation thereof
US8792934B2 (en) Selective update of core mobile device user interface through application marketplace
US2010005821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o generate a menu list
US2010029963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menu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8213972B2 (en) Mobile advertising packages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display messages on personal cellular telecommunications devices
CN105718568B (zh) 一种多应用统一交互的装置和方法
US20070192443A1 (en) Contents download system using wireless internet platform and method thereof
CN105100475A (zh) 信息推送装置及方法
CN104811565A (zh) 实现变声通话的方法及终端
CN105224647A (zh) 图片显示方法及装置
US9516095B2 (en)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US201201098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sns information
US20060084477A1 (en) Custom navigation menu for a mobile device
KR20000008813A (ko)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수신장치 및 메시지 정보 제공방법
KR101568686B1 (ko) 무선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모바일 단말기의 무선인터넷 초기 접속시간 최소화 방법과 이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US8577409B2 (en) Mobile terminal and broadcast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69221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이를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815240B1 (ko) Dmb와 연동하여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통신 단말기
US844727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KR101531309B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통화 종료 후의 서비스 제공방법
CN104253753A (zh) 传输管理装置、系统及方法
KR100911359B1 (ko) 콘텐츠의 무분별한 다운로드를 방지하는 시스템, 서버 및방법
CN104794188A (zh) 文件定位方法及装置
KR101062946B1 (ko) 메시지전송서비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