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613B1 -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613B1
KR101568613B1 KR1020140152176A KR20140152176A KR101568613B1 KR 101568613 B1 KR101568613 B1 KR 101568613B1 KR 1020140152176 A KR1020140152176 A KR 1020140152176A KR 20140152176 A KR20140152176 A KR 20140152176A KR 101568613 B1 KR101568613 B1 KR 101568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trol board
energy harvesting
piezoelectric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2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규
나영민
이현석
강태훈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52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의 움직임에 따라 압전에 최대한 많은 변형을 줄 수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함부가 형성된 상부본체와, 상부 본체 하부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통공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어 있는 하부 본체로 이루어진 부표; 상부 본체 함부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하부 본체 내측에 위치되는 무게중심 이동부; 무게중심 이동부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상부 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컨트롤보드; 및 컨트롤보드 하부에 위치되며, 하부 본체의 통공으로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면서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변위가 발생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부를 포함한다. 이에 물의 적은 흔들림에도 압전소자에 지속적인 변위가 발생하여 전기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의 움직임에 따라 압전에 최대한 많은 변형을 줄 수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은 예를 들어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과 같이, A 에너지를, 이와 상이한 성질을 갖는 B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중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은 외부로부터 기계적 변형을 가하면 전기분극이 나타나는 현상을 이용한 압전 재료(piezoelectric materials)를 매개체로 하여 외부의 기계적 에너지를 압전 재료의 변형에 의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을 말한다.
현재까지,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은 주로 WSN(Wireless Sensor Network), 도로나 차량 등에서 적용되고 있다. 한편, 해양의 경우, 항상 바람과 파도가 존재하는 바, 이러한 해양에서의 자연 에너지를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 제 10-1417844 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물의 움직임에 따라 압전에 최대한 많은 변형을 줄 수 있도록 형성된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입되는 물이 몸체 내부를 한바퀴 유동하고 배출시켜, 압전에 최대한 많은 변형을 줄 수 있도록 형성된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는 내측에 함부가 형성된 상부본체와, 상부 본체 하부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통공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어 있는 하부 본체로 이루어진 부표; 상부 본체 함부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하부 본체 내측에 위치되는 무게중심 이동부; 무게중심 이동부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상부 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컨트롤보드; 및 컨트롤보드 하부에 위치되며, 하부 본체의 통공으로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면서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변위가 발생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상부 본체의 외측 면과 컨트롤보드의 외측면 소정 위치에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홈에 결합되는 돌기가 일직선으로 양 끝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연결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부표는 발전부의 물접촉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무게중심 이동부는 상부 원판과, 상부 원판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외주연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외주연을 따라서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원판과, 레일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레일을 따라서 움직이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컨트롤보드는 발전부에 의해 발전된 전기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들로 이루어진 배터리부와, 배터리부의 배터리들의 충전상태를 체크하고, 발전부에 의해 발전된 전기에 의해 배터리들이이 충전되도록 제어하고, 배터리들에 충전된 전원을 부하단의 구동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컨트롤보드는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송출하는 GPS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컨트롤보드와 발전부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호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발전부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압전소자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발전부는 상부면 일측에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 일측에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유입공에 연결되어 있는 물유입구와, 배출공에 연결되어 있는 물 배출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본체의 내주면에 복수의 압전소자들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며, 본체 중심부에 회전가능하도록 회전봉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압전소자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한쌍의 압전소자들은 상호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회전봉은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오목형상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본체의 내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볼록형상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의 중심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압전소자들이 배열된 회전봉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물의 움직임에 따라 압전에 최대한 많은 변형을 줄 수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물의 적은 흔들림에도 압전소자에 지속적인 변위가 발생하여 전기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유입되는 물이 몸체 내부를 한바퀴 유동하고 배출시켜, 압전에 최대한 많은 변형을 줄 수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파도와 같은 현상으로 압전소자의 지속적인 변위가 발생하여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이 있는 장소라면, 장소의 위치와 무관하게 복수대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를 설치하여 군락형식의 발전소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산물(오염물질 등)을 만들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물을 제외한 직접적인 타격 및 접촉이 없기 때문에 수명이 길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의 흐름이 원동력이기 때문에 하천이나 해류의 흐름이 있는 바다에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크기가 작기 때문에 장소의 제약이 적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리 밑의 물 높이 측정 센서 또는 부표의 전등에 설치하여 별다른 전원 없이도 구동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적용된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가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무게중심 이동부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발전부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적용된 컨트롤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적용된 연결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가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무게중심 이동부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발전부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적용된 컨트롤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는 부표(100), 무게중심 이동부(200), 컨트롤보드(300), 발전부(400) 및 연결부재(500)로 이루어진다.
부표(100)는 내측에 함부가 형성된 상부본체(110)와, 상부 본체 하부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통공(130)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어 있는 하부 본체(1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부표(100)는 발전부(400)의 물접촉 높이를 조절한다.
무게중심 이동부(200)는 상부 본체(110)의 함부 하부에 위치되되, 하부 본체(120) 내측에 위치된다.
무게중심 이동부(200)는 상부 원판(210)과, 상부 원판(210)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외주연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외주연을 따라서 레일(221)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원판(220)과, 레일(221)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레일(221)을 따라서 움직이는 이동부재(2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동부재(230)는 구슬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중심 이동부(200)가 물의 흔들림에 따라 구슬인 이동부재(230)가 레일(221)을 따라 움직여 무게중심이 이동하게 되므로 발전부(400)가 그네 형태로 흔들게 되고, 이러한 발전부(400)의 움직임은 물과 압전소자(410)가 접촉하는 높이가 달라게 함으로써, 변위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 6의 점선 부위는 부표(100)와는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현되어 해류가 미미한 곳에서도 무게중심을 이동시켜 압전소자(410)와 물이 맞닿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컨트롤보드(300)는 무게중심 이동부(200) 하부에 위치되되, 상부 본체(1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컨트롤보드(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부(400)에 의해 발전된 전기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311)들로 이루어진 배터리부(310)와, 배터리부(310)의 배터리들의 충전상태를 체크하고, 발전부(400)에 의해 발전된 전기에 의해 배터리(311)들이 충전되도록 제어하고, 배터리(311)들에 충전된 전원을 부하단의 구동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320)와,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송출하는 GPS부(330)와,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가 설치된 주변환경을 주기적으로 촬영하는 촬영부(340)로 구성된다.
발전부(400)는 컨트롤보드(300) 하부에 위치되며, 하부 본체(120)의 통공(130)으로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면서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변위가 발생되어 전기를 발생시킨다.
이때, 컨트롤보드(300)와 발전부(400)는 볼트 및 나사 등과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상호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발전부(400)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압전소자(410)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연결부재(500)는 상부 본체(110)의 외측 면과 컨트롤보드(300)의 외측면 소정 위치에 홈(111)(301)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홈(111)에 결합되는 돌기(501)가 일직선으로 양 끝단부에 구비된다.
도 8 내지 도 11을 통해 도시된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는 도 1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며,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면,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는 상부면 일측에 유입공(610)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 일측에 배출공(620)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600)와, 유입공(610)에 연결되어 있는 물유입구(700)와, 배출공(620)에 연결되어 있는 물 배출구(800)로 이루어진다.
한편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에서 전기를 발생하는 발전부의 구성 또한 2가지로 실시할 수 있으며, 도 10 및 도 11을 통해 도시하였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600)의 내주면에 복수의 압전소자(900)들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며, 본체 중심부에 회전가능하도록 회전봉(950)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압전소자(900)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한쌍의 압전소자(900)들은 상호 인접하게 위치되며, 회전봉(950)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오목형상(95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에서 전기를 발생하는 발전부의 또다른 실시예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600a)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볼록 형상(610a)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600a)의 중심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압전소자(800a)들이 배열된 회전봉(950a)이 마련되어 있다.
이렇게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물이 유입구(700)를 통해 흘러들어오고 회전봉(950)(950a)이 회전하면서 물이 본체(600)(600a)를 한바퀴 돌아 배출구(800)를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이때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회전봉(950)이 오목현상을 이루고 있어, 물의 회전력을 높여줄 수 있고 이에 따라 본체(600) 내주연에 설치되어 있는 압전소자(900)의 변위를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의 회전봉(950a)에는 압전소자(900)가 회전하면서 물이 부딪치게 되고, 이에 따라 변위가 변화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경우 소정 깊이로 물이 있는 장소이며 어느 곳에서나 설치가 가능하며 복수개를 설치하여 군락형식의 발전소 운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물높이 측정센서가 다리 밑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물높이 측정센서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물의 흔들림에 의해 무게중심 이동부(200)가 무게중심을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발전부(400)의 압전소자(410)와 물이 닿는 높이가 지속적으로 달라지게 되고, 발전부(400)의 압전소자(410)는 전기를 발생시켜 컨트롤보드(300)에 구비된 배터리부(310)의 배터리(311)를 충전시킨다.
그러면 컨트롤보드(300)의 제어부(320)는 물높이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다리밑의 수위를 입력받아 GPS부(330)를 통해 인식된 현재 위치정보와 함께 관제시스템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카메라부(340)를 통해 주변환경을 촬영하여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이 별도의 전원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부포
200 : 무게중심 이동부
300 : 컨트롤보드
400 : 발전부
500 : 연결부재

Claims (12)

  1. 내측에 함부가 형성된 상부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 하부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통공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어 있는 하부 본체로 이루어진 부표;
    상기 상부 본체 함부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하부 본체 내측에 위치되는 무게중심 이동부;
    상기 무게중심 이동부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상부 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컨트롤보드; 및
    상기 컨트롤보드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하부 본체의 통공으로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면서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변위가 발생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부;
    를 포함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의 외측 면과 상기 컨트롤보드의 외측면에 소정 위치에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에 결합되는 돌기가 일직선으로 양 끝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연결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는 상기 발전부의 물접촉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중심 이동부는 상부 원판과, 상기 상부 원판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외주연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외주연을 따라서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원판과, 상기 레일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상기 레일을 따라서 움직이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보드는 상기 발전부에 의해 발전된 전기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들로 이루어진 배터리부와, 상기 배터리부의 배터리들의 충전상태를 체크하고, 상기 발전부에 의해 발전된 전기에 의해 배터리들이이 충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들에 충전된 전원을 부하단의 구동전원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보드는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송출하는 GPS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보드와 상기 발전부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호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발전부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압전소자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는 상부면 일측에 유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 일측에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유입공에 연결되어 있는 물유입구와, 상기 배출공에 연결되어 있는 물 배출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복수의 압전소자들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 중심부에 회전가능하도록 회전봉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쌍의 압전소자들은 상호 인접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은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오목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볼록형상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중심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압전소자들이 배열된 회전봉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KR1020140152176A 2014-11-04 2014-11-04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KR101568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176A KR101568613B1 (ko) 2014-11-04 2014-11-04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2176A KR101568613B1 (ko) 2014-11-04 2014-11-04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8613B1 true KR101568613B1 (ko) 2015-11-11

Family

ID=54605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2176A KR101568613B1 (ko) 2014-11-04 2014-11-04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6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136A (ko) 2020-02-20 2021-08-30 김동완 스마트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3106B2 (ja) 2008-03-26 2013-01-30 国立大学法人埼玉大学 発電装置及び発光ブイ
KR101328842B1 (ko) 2012-08-31 2013-11-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계측용 로봇 부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3106B2 (ja) 2008-03-26 2013-01-30 国立大学法人埼玉大学 発電装置及び発光ブイ
KR101328842B1 (ko) 2012-08-31 2013-11-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계측용 로봇 부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136A (ko) 2020-02-20 2021-08-30 김동완 스마트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4462B2 (ja) 潮流発電装置
KR101367019B1 (ko)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KR101787581B1 (ko) 부유형 녹조 및 적조 예방장치
KR102107839B1 (ko) 수상 복합 발전시스템
KR20160025196A (ko) 부유식 파력발전장치
KR101568613B1 (ko)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CN110735758A (zh) 一种基于波浪能浮标灯的最大波能跟踪系统
KR101732543B1 (ko) 부유식 태양광 발전장치
KR101022346B1 (ko) 수력발전장치
KR20150048559A (ko) 수중 구조물의 조명을 위한 소형 수력 장치
CN204805021U (zh) 锚式低水头潜浮水力发电单体
Wu et al. Recent Progress in Flow Energy Harvesting and Sensing Based on Triboelectric Nanogenerators
CN202300810U (zh) 具有入口导叶可调整机构组的水动能转换装置
CN114136404A (zh) 一种水利工程水位预警系统
MX2013006448A (es) Generador hidroelectrico instalado en agua que fluye.
KR101280834B1 (ko) 조류 발전 장치
CN112684203A (zh) 一种节能环保适用于江河湖泊的水利发电水流速检测装置
BR112018003235A2 (pt) usina hidrelétrica sem barragem
KR100964813B1 (ko) 수류력 발전장치
JP2008017655A (ja) 水位検知装置
KR20150116709A (ko) 풍력 발전기용 회전체
JP2015534000A (ja) 流動媒体の運動エネルギを利用するための装置
CN108918807A (zh) 一种太阳能水环境监测装置
KR101256822B1 (ko) 수력 또는 풍력을 이용한 직접구동형 발전장치
JP5073087B1 (ja) 水流発電機、潮流発電機およびこれを用いた潮流発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