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544B1 - Smart beverage container - Google Patents

Smart beverage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544B1
KR101567544B1 KR1020140044145A KR20140044145A KR101567544B1 KR 101567544 B1 KR101567544 B1 KR 101567544B1 KR 1020140044145 A KR1020140044145 A KR 1020140044145A KR 20140044145 A KR20140044145 A KR 20140044145A KR 101567544 B1 KR101567544 B1 KR 101567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up body
beverage
protective cov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1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18380A (en
Inventor
정재영
Original Assignee
정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영 filed Critical 정재영
Priority to KR1020140044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544B1/en
Publication of KR20150118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3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5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6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기 위한 컵몸체와, 상기 컵몸체의 개구된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되, 상기 컵몸체는 상기 컵몸체의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하나 이상의 음료명을 이격 배치하여 상기 외주면에 표시한 메뉴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메뉴부를 지시하도록 상기 뚜껑의 일측 하부테두리에 하향으로 돌출된 지시부; 상기 지시부와 이격되어 상기 뚜껑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타측 하부테두리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보호커버부; 및 상기 뚜껑의 상면에 돌출된 빨대 형상의 흡입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beverage container, which comprises a cup body for storing contents and a lid rotatably coupled to an opened upper portion of the cup body, wherein the cup body is dispos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Wherein the lid has a downwardly protruding lower portion on one side of the lid to indicate the menu portion; A protective cover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lid and spaced apart from the directing part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dge of the other side of the lid; And a straw-shaped suctio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Description

스마트 음료용기{SMART BEVERAGE CONTAINER}{SMART 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스마트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컵몸체와 뚜껑을 세트로 구비하여, 음료수, 커피, 차 등의 내용물을 인지할 수 있는 스마트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beverag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beverage container having a cup body and a lid as a set to recognize contents of beverages, coffee, tea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고객이 페스트푸드점, 테이크아웃 커피전문점, 찻집 등에서 사가지고 가는 음료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종이컵과, 음료가 수용된 종이컵의 개구된 상부를 덮는 플라스틱 재질의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즉 종이컵과 뚜껑은 종이 플라스틱 패키징(paper-plastic packaging)의 형태로 사용된다.Generally, a beverage taken by a customer from a fast food restaurant, a take-out coffee shop, or a coffee shop is made of a paper cup formed of a paper material and a plastic lid covering an opened upper portion of the paper cup containing the beverage. Paper cups and lids are used in the form of paper-plastic packaging.

이러한 음료용기는 대개 일회용으로 편리하게 사용되며, 종이컵 내부로의 이물질 침투 방지 혹은 보온 또는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면서도, 뜨거운 음료의 경우 내용물을 대기 중에 노출시켜 차갑게 할 수 있도록, 종이컵과 뚜껑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These beverage containers are usually used in a disposable manner and can be separated from paper cups and lids so a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penetrating into the paper cups or to prevent the warming or leakage of contents, .

특히, 뚜껑은 그의 상면에 음용구멍을 형성하여 뚜껑을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컵 내부에 수용된 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 또한, 뚜껑의 상면에는 음용구멍과 근접되는 위치에 음료수용홈부를 형성하여 음용구멍을 통해 음용후 상면에 잔여된 일부의 음료수를 음료수용홈부로 수용하여, 상기 잔여된 일부의 음료수가 뚜껑 외부로 흐르는 것이 방지된다.Particularly, the lid forms a drinking hole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drink contained in the cup can be consumed even when the lid is not opened. The top surface of the lid is formed with a beverage receiving groove at a position close to the drinking hole so that some of the beverage remaining on the top surface after drinking through the drinking hole is received in the beverage receiving groove, Flow is prevented.

또한, 종이컵은 내부에 수용된 고온의 음료에 의해 화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종이컵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열전달을 차단 또는 최소화하기 위한 별도의 컵홀더 또는 슬리브를 부가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In addition, the cup is used by attaching a separate cup holder or sleeve for blocking or minimizing the heat transfer while enclo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per cup so that the image can be prevented by the high-temperature beverage contained therein.

예컨대, 발명의 배경이 되는 특허문헌1의 일회용 컵의 홀더는 단열을 위한 엠보싱 돌기가 구비된 홀더와 일회용 컵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1은 일반적인 컵홀더 또는 슬리브와 같이 일회용 컵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서, 컵과 별개로 제작되어 상호 결합되어 사용된다.For example, the holder of the disposable cup of Patent Document 1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discloses a holder and a disposable cup provided with embossing projections for heat insulation. Patent Document 1 is a shape that enclose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posable cup such as a general cup holder or a sleeve, and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cup and us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따라서, 종래에는 뜨거운 음료를 파는 판매자 또는 뜨거운 음료를 사가는 고객이 홀더를 컵에 끼우지 않을 수 있는 개연성이 있고, 심한 경우, 화상 등의 의료 사고가 발생될 수도 있다. 또한, 홀더의 형상이 경사형 슬리브 형상으로서, 홀더가 컵의 테이퍼진 외주면에 단순히 끼워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컵만을 잡아들어 올릴 경우, 홀더와 컵이 서로 분리되는 단점이 있다.Therefore, conventionall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eller who sells hot drinks or a customer who buys hot drinks may not hold the holder in the cup, and in severe cases, a medical accident such as an image may occur. Further, since the holder is in the form of an inclined sleeve and the holder is simply fitted on the taper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holder and the cup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user holds the cup only.

한편, 특허문헌2의 음료 태그를 갖는 테이크아웃용 음료용기는 음료 토출구에 끼워지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의해 지지되는 음료 태그를 구비하고, 음료 태그의 표시 영역에 음료를 구분하기 위한 표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ake-out beverage container having the beverage tag of Patent Document 2 has a fixing portion fitted to the beverage dispensing opening and a beverage tag supported by the fixing portion, and displays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그러나, 특허문헌2는 음료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빙자 입장에서 각각의 음료별로 음료 태그를 마련하여야 하고, 음료 제공시마다 음료 태그 및 고정부를 음료 토출구에 결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However, in Patent Document 2,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a beverage tag should be prepared for each beverage in the case of a serving person who provides the beverage to the customer, and the beverage tag and the fixing portion must be coupled to the beverage outlet each time the beverage is provided.

또한, 특허문헌2의 음료 토출구 또는 특허문헌1의 음용구멍은 음료수용홈부보다 돌출된 벽체의 상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고객의 입술로 음용구멍 또는 음료 토출구가 있는 벽체 부위를 밀착시키더라도 입술 양측의 틈을 통해 음용중인 음료가 새어나와서 벽체의 상면 또는 음료수용홈부에 잔존하듯이 음료를 불필요하게 흘리거나 누출시키는 단점을 갖는다.
In addition, since the beverage dispensing port of Patent Document 2 or the drinking hole of Patent Document 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ll protruding from the beverage receiving groove portion, even if the mouth of the customer or the wall portion having the beverage dispensing opening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customer's lips, It has a disadvantage that the beverage is leaking or leaking unnecessarily as if the beverage is leaking out through the gap and remai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ll or the beverage receiving groove.

[특허문헌][Patent Literature]

(특허문헌1)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28487호(2014.03.10)(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28487 (Apr. 31, 2014)

(특허문헌2)등록실용신안 제20-0471384호(2014.02.12)
(Patent Document 2)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71384 (Feb.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컵몸체의 메뉴부와 뚜껑의 지시부를 통해 컵몸체에 담겨 있는 내용물을 고객에게 용이하게 식별시킬 수 있고, 빨대형 흡입부를 통해 음료의 불필요한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뚜껑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요철부가 형성된 보호커버부를 통해 화상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하면서 음료용기를 잡기 위한 그립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티백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 음료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ffee machine which can easily identify contents contained in a cup body through a menu part of a cup body and an instruction part of a lid,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grip force for catching the beverage container while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such as an image through the protective cover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lid and formed with the concavo-convex portion, .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기 위한 컵몸체와, 상기 컵몸체의 개구된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스마트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컵몸체는 상기 컵몸체의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하나 이상의 음료명을 이격 배치하여 상기 외주면에 표시한 메뉴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메뉴부를 지시하도록 상기 뚜껑의 일측 하부테두리에 하향으로 돌출된 지시부; 상기 지시부와 이격되어 상기 뚜껑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타측 하부테두리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보호커버부; 및 상기 뚜껑의 상면에 돌출된 빨대 형상의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음료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beverage container including a cup body for containing contents and a lid rotatably coupled to an opened upper portion of the cup body, Wherein the lid has a downwardly protruding lower portion on one side of the lid to indicate the menu portion; A protective cover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lid and spaced apart from the directing part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dge of the other side of the lid; And a straw-shaped suction part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뉴부는 세로 방향으로 적혀진 상기 음료명을 상기 컵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하고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nu portion is arrang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up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시부는 화살표 형상 또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icator is formed in an arrow shape or a triangle shap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시부의 외표면에는 상기 뚜껑과 구별되는 색상을 갖는 인쇄층 또는 스티커가 더 구비되어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inting layer or a sticker having a hue different from the lid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recting par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호커버부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굴곡된 형상에 의한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portion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concavo-convex portion formed by a bent shap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입부는 상기 뚜껑의 상면의 음료 배출 구멍의 테두리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수직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벤투리관 형상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at the rim of the beverage discharge ho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and protrude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o have a venturi shap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뚜껑은 상기 보호커버부의 일측변 상부에 구비된 티백 걸이용 홈부를 더 포함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d further includes a teabag-use groove porti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ne side of the protective cover portion.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스마트 음료용기는 복수개의 음료명으로 이루어진 메뉴부를 컵몸체에 구비하고, 메뉴부의 음료명을 지시하는 지시부를 뚜껑의 일측 하부테두리에 구비하여 컵몸체와 뚜껑의 결합을 통해 지시부가 음료명을 가리키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뚜껑을 열어보지 않더라도 컵몸체에 담길 내용물을 용이하게 식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 smart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enu portion made up of a plurality of beverage names on a cup body and an instruction portion indicating a beverage name on a menu portion is provided on a lower edge of one side of the lid, By allowing the indicating portion to indicate the beverage name through the coupling,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the contents to be contained in the cup body even if the user does not open the lid.

또한, 본 발명은 뚜껑의 상면에 돌출된 빨대 형상의 흡입부를 구비하고 있음에 따라, 흡입부를 통해 음료의 불필요한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aw-shaped suctio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so that unnecessary leakage of the drink through the suction portion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은 뚜껑의 타측 하부테두리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보호커버부를 제공하여서, 컵몸체와 뚜껑의 결합만으로도 보호커버부가 컵몸체의 외주면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어서, 뜨거운 음료와 같은 내용물이 컵몸체의 내부에 담겨져 있더라도, 보호커버부를 통해 내용물의 열이 사용자의 손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화상을 방지할 수 있고, 종래에서 별도의 컵홀더 또는 슬리브를 컵몸체에 결합시키는 수고로움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tective cover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dge of the other side of the lid so that the protective cover is positioned outsid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body by the coupling of the cup body and the li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 of the contents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user's hand through the protective cover portion to prevent the imag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abor of attaching a separate cup holder or sleeve to the cup body It is effective.

또한, 본 발명은 보호커버부의 표면을 요철부로 형성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대신 그립력을 향상시키며, 컵몸체와의 접촉 면적 감소를 통해 과도한 열이 사용자 또는 고객의 손에 전달되지 않게 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part is formed as a concave-convex part to improve the gripping force instead of preventing slippage, and excessive he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user or the customer's hand by reduc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cup body.

또한, 본 발명은 보호커버부에 티백 걸이용 홈부가 더 구비되어서, 티백의 연장선을 홈부에 거치시킴에 따라, 뚜껑을 컵몸체로부터 분리시킬 때, 티백이 뚜껑과 함께 컵몸체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하여, 티백의 연장선 끝에 있는 종이손잡이부가 컵몸체의 내부로 빠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티백을 컵몸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cover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groove for using a tea bag, so that when the lid is separated from the cup body, the extension of the tea bag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so that the tea bag can be detached from the cup body together with the li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that the paper handle at the end of the extension of the tea bag is pulled into the inside of the cup body, and the tea bag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cup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음료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음료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음료용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음료용기의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 beverage container shown in FIG. 1. FIG.
FIGS. 3 and 4 are front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smart beverage container shown in FIG. 1;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smart beverage container shown in FIG. 1; FIG.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또는 응용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or application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하 본 발명의 스마트 음료용기의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들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smart beve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음료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음료용기의 분리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 beverage container shown in FIG. 1.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음료용기는 커피, 차, 온수, 냉수, 주스, 음료수, 액체, 유체 등을 담아 보관할 수 있는 컵몸체(100)와, 컵몸체(100)의 개구된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200)을 포함하여, 패키징 또는 세트로서 음료용기가 된다.1, the smart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up body 100 capable of containing coffee, tea, hot water, cold water, juice, beverage, liquid, fluid, And a lid 200 that is openably and closably coupled to the open top of the beverage container as a packaging or set.

컵몸체(100)와 뚜껑(200)의 재질은 예컨대, 컵몸체(100)용으로서 1회용 종이컵 재질인 종이 재질이거나, 또는 뚜껑(200)용으로서 사출 성형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고, 다만 음료용기로서 사용될 수 있는 소재군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특정 재질로 한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material of the cup body 100 and the lid 200 may be a paper material that is a disposable paper cup material for the cup body 100 or a plastic material that can be injection molded for the lid 200, And may be selected from a group of materials that can be used as the material.

뚜껑(200)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컵몸체(100)의 내부로의 이물질 침투 방지, 보온 또는 내용물의 유출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컵몸체(100)와의 결합 이후 마찰력을 이겨낼 수 있는 외력(예: 회전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런 경우, 뚜껑(200)과 컵몸체(100)는 음료용기로서 결합 또는 합체되어 사용함에 따라 스마트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s is well known, the lid 200 is capable of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of the cup body 100, preventing the foreign matter from being kept warm or leaking out of the contents, For example, rotational force). In this case, the lid 200 and the cup body 100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s a beverage container or used together to provide a smart function.

예컨대, 뚜껑(200)과 컵몸체(100)는 앞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컵몸체(100)의 외주면에 표시된 메뉴부(110)를 갖는다. 여기서, 메뉴부(110)는 세로 방향으로 적혀진 음료명을 컵몸체(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음료명은 음료용기를 사용하는 업소에서 요구되는 정보로 정해질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 종류(예: 아메리카노, 카페라떼, 카푸치노, 카페모카 등)에 해당하는 특정 음료명으로만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 종류(예: 홍차, 녹차, 허브차, 한방차)에 대응하게 정해질 수도 있다. 더 나아가서, 메뉴부(110)의 음료명은 단순히 문자로만 한정되지 않고, 해당 음료명에 대응하는 아이콘, 표식, 디자인 이미지, 색상, 기호로도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d 200 and the cup body 100 have a menu part 110 display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body 100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Here, the menu unit 110 may be arranged so that the beverage name writte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up body 100. Here, the name of the beverage can be determined as the information required in the establishment using the beverage container. As shown in Fig. 1, the name of the beverage can be used as the name of the specific beverage corresponding to the kind of coffee (e.g., Americanino, cafeteria, cappuccino, .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5, it may be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kind of car (for example, black tea, green tea, herbal tea, and herbal tea). Furthermore, the beverage name of the menu unit 110 is not limited to just letters, but may be composed of icons, markers, design images, colors, and symbols corresponding to the beverage names.

또한, 음료명의 폰트 크기, 글자 배경 디자인, 폰트 종류, 개수, 음료명간 간격 등의 세부적 사항은 본 발명의 스마트 음료용기를 사용하려는 매장에서 판매하는 제품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므로, 특정 사이즈, 개수, 종류 등으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details such as the font size of the drink name, the background design of the font, the type of the font, the number of the drink,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beverage names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oduct sold in the store where the smart beve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sed. Type and the like.

또한, 컵몸체(100)에는 메뉴부(110) 이외에 해당 상점의 로고, CI(Corporate Identity) 등의 도안 혹은 제품 소개 문구 등의 부가 정보 표시부(미 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p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information display unit (not shown) such as a logo of the shop, a corporate identity (CI) or a product introduction text in addition to the menu unit 110.

뚜껑(200)은 메뉴부(110)의 음료명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할 수 있도록, 뚜껑(20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지시부(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시부(210)는 뚜껑(200)의 사출 성형시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이때 뚜껑(200)의 일측 하부테두리에서 하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지시부(210)는 화살표 형상 또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해당 부위를 명확히 지시할 수 있다. 아울러, 지시부(210)의 외표면에는 뚜껑(200)과 구별되는 색상을 갖는 인쇄층 또는 스티커(211)가 더 구비되어 인식력 또는 구별력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lid 200 includes an instruction unit 210 formed integrally with the lid 200 so as to indicate any one of the drink names of the menu unit 110. Here, the indicator 210 is integral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f the lid 200, and is formed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a lower edge of one side of the lid 200. Further, the instruction unit 210 may be formed in an arrow shape or a triangle shape to clearly indicate a corresponding region. In addition, a printing layer or a sticker 211 having a hue different from that of the lid 20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truction unit 210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recognition or discrimination.

여기서, 뚜껑(200)은 일반적인 일회용 종이컵과 뚜껑의 결합방식을 이용하여 컵몸체(100)와 결합된다. 즉 뚜껑(200)의 테두리 부위에는 컵몸체(100)에 대하여 탄성을 이용한 삽입 결합이 가능하도록, 뚜껑(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컵테두리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컵테두리 삽입홈은 컵몸체(100)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뚜껑(200)의 컵테두리 삽입홈의 내측면과 컵몸체(100)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는 마찰력을 이격될 수 있는 회전에 의해 기밀한 접촉을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Here, the lid 200 is coupled to the cup body 100 using a general method of disposing a disposable paper cup and a lid. That is, at the edge of the lid 200, a cup edge insertion groov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id 200 so that the cup body 100 can be inserted and resiliently engaged with the cup body 100. These cup edge insertion grooves can be engaged with the edges of the open top of the cup body 100.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cup rim insertion groove of the lid 200 and the rim of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cup body 100 can be rotated while maintaining a hermetic contact by rotation capable of separating frictional force.

따라서, 뚜껑(200)은 회전 및 정지를 통해 컵몸체(100)와의 결합 위치가 확정될 때, 뚜껑(200)의 지시부(210)가 메뉴부(110)를 지시하거나, 더욱 상세하게, 컵몸체(100)의 내부에 담겨 있는 내용물에 대응하는 메뉴부(110)의 해당 음료명을 지시한다.When the lid 200 is rotated and stopped to determine the engagement position with the cup body 100 the indicator 210 of the lid 200 indicates the menu part 110 or more specifically, The name of the beverage of the menu part 110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inside of the food container 100 is indicated.

이를 통해서 고객은 지시부(210)가 가리키는 메뉴부(110)의 음료명을 인지함과 동시에, 뚜껑(200)을 열어보지 않더라도, 컵몸체(100)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The user can recognize the beverage name of the menu part 110 indicated by the instruction unit 210 and easily identify the contents of the cup body 100 without opening the lid 200. [

도 2를 참조하면, 뚜껑(200)은 지시부와 이격되어 상기 뚜껑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타측 하부테두리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보호커버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lid 200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cover 220 formed integrally with the lid, spaced apart from the indicator,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dge of the other side of the lid.

보호커버부(220)는 컵몸체(100)와 뚜껑(200)의 결합만으로도 컵몸체(100)의 외주면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어서, 뜨거운 음료와 같은 내용물이 컵몸체(100)의 내부에 담겨져 있더라도, 내용물의 열이 사용자 또는 고객의 손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화상을 방지할 수 있고, 기존과 달리 별도의 컵홀더 또는 슬리브(미 도시)를 컵몸체(100)에 결합시키는 수고로움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상기 컵홀더 또는 슬리브와 유사한 역할을 담당하는 보호커버부(220)는 뚜껑(200)에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적어도 컵몸체(100)에서 종래의 컵홀더 또는 슬리브처럼 아래로 빠지거나 분리되지 않고, 오직 뚜껑(200)을 컵몸체(100)에서 분리될 때만 컵몸체(100)에서 이격될 수 있다.The protective cover 220 is positioned outsid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body 100 by only the coupling between the cup body 100 and the lid 200 so that even if contents such as hot beverages are contained in the cup body 100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 of the contents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user or the customer's hand to prevent the imag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rouble of attaching a separate cup holder or sleeve (not shown) to the cup body 100 have. In addition, since the protective cover part 220, which is similar to the cup holder or the sleeve,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id 200, at least the cup body 100 can be pulled down or separated like a conventional cup holder or sleeve And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cup body 100 only when the lid 200 is detached from the cup body 100.

특히, 보호커버부(220)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굴곡된 형상에 의한 요철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요철부(221)는 보호커버부(220)에 접촉하는 사용자 또는 고객의 손이 미끄러지지 않게 그립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요철부(221)와 같은 형상적 특징에 의해서 보호커버부(220)는 부분적으로 컵몸체(100)의 외주면과 접촉하거나, 또는 비접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컵몸체(100)와의 접촉 면적 감소를 통해 열전도 비율을 줄일 수 있으므로, 과도한 열이 컵몸체(100)의 외주면 및 보호커버부(220)를 통해서 사용자 또는 고객의 손에 전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특히, 컵몸체(100)는 상광하협의 테이퍼 형상이므로, 뚜껑(200)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보호커버부(22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전까지 컵몸체(100)의 측면쪽 외표면에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컵몸체(100)의 열기에 의해 과열되지 않을 수 있다.Particularly, the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part 220 is formed with at least one concavo-convex part 221 formed by a curved shape. The concave / convex portion 221 can improve the gripping force of the user or the customer's hand contacting the protective cover portion 220 without slipping. The protective cover 220 can be partially or noncontact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body 100 by the shape of the protrusions 221 and thus the contact area with the cup body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hea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user or the customer's hand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body 100 and the protective cover portion 220. [ Particularly, since the cup body 100 has a tapered shape with a vertical light-tight conformation, the protective cover portion 22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lid 20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surface of the cup body 100 And may not be overheated by the heat of the cup body 100.

또한, 보호커버부(220)는 컵몸체(100)의 높이에 대응하여 컵몸체(100)의 높이 방향의 전영역을 다 커버할 수 있도록 도시된 것에 비하여 길게 형성되거나,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영역에 대응하여 컵몸체(100)의 일부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호커버부(220)는 복수개로 뚜껑(20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호커버부(220)는 지시부(210)로부터 이격 배치된 곳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메뉴부(110)의 음료명들 중에서 지시부(210)가 가리키는 음료명을 표출하는 대신 지시부(210)가 가리키지 않는 음료명을 가려주는 역할(도 1 참조)을 수행함으로써, 음료명 식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1 or 2, the protective cover 220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longer than that shown to cover the entire area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up body 100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cup body 100, As shown in the figure, the cap body 100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short so as to cover a part of the area of the cup body 100 corresponding to a region that can be held by the user. Also, the protective cover 220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lids 200. Since the cover part 220 is located apart from the instruction part 210, the instruction part 210 displays the beverage name indicated by the instruction part 210 among the beverage names of the menu part 110 (See Fig. 1), the beverage name discriminating power can be improved.

또한, 본 실시예는 뚜껑(200)의 상면에 돌출된 빨대 형상의 흡입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뚜껑(200)의 상면에는 흡입부(230)에 비해 매우 작은 사이즈의 공기 빠짐 홀(hole)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traw-shaped suction portion 230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200. In addition, an air vent hol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200 in a very small size as compared with the suction portion 230.

흡입부(230)는 뚜껑(200)의 상면의 음료 배출 구멍의 테두리에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수직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벤투리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uction portion 230 is integrally formed at the edge of the beverage discharge ho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200 and protrude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o have a venturi shape.

즉, 흡입부(230)가 빨대 형상과 같이 뚜껑(200)의 상면에 돌출되어 있으면서, 상기 벤투리관 형상과 같이 단면적이 축소되다가 증가되기 때문에, 고객의 입술이 흡입부(230)의 표면에 기밀하게 접촉되어 음료의 불필요한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suction portion 230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200 like a straw shap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ction portion 230 is reduced and increased as in the case of the venturi tube, So that unnecessary leakage of the beverage can be prevented.

이하, 본 발명의 스마트 음료용기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smart beverag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음료용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3 and 4 are front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smart beverage container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매장의 음료 서빙자일 수 있고, 해당 매장에 방문한 고객으로부터 음료를 주문 받는다. 이후, 사용자는 주문에 대응하게 해당 내용물(예: 아메리카노)을 컵몸체(100)에 담는다.Referring to FIG. 3, the user may be a beverageservice of a store, and receives a beverage order from a customer visiting the store. Thereafter, the user places the contents (e.g., Americano) in the cup body 100 in response to the order.

이후, 사용자는 상기 컵몸체(100) 사이즈에 대응하여 결합 가능한 뚜껑(200)으로 상기 컵몸체(100)의 개구된 상부를 덮듯이 뚜껑(200)을 결합시킨다.Then, the user joins the lid 200 as if covering the opened upper part of the cup body 100 with the lid 200 which can be coupled to the cup body 10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up body 100.

이후, 사용자는 뚜껑(200)을 회전 및 정지시켜서, 뚜껑(200)의 지시부(210)가 해당 주문 내용 및 상기 내용물에 상응하는 메뉴부(110)의 음료명(예: 아메리카노)을 지시하도록 한다.Thereafter, the user rotates and stops the lid 200 so that the instruction unit 210 of the lid 200 indicates the order content and the drink name (e.g. Americano) of the menu unit 110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

이렇게 지시부(210)가 해당 음료명을 지시한 상태로 컵몸체(100) 및 뚜껑(200)의 결합체, 즉 스마트 음료용기가 고객에게 서빙된다.Thus, the combined body of the cup body 100 and the lid 200, that is, the smart beverage container, is served to the customer in such a state that the instruction unit 210 indicates the beverage name.

특히, 사용자는 고객수가 많고, 고객마다 서로 다른 음료를 주문하였을 때, 기존의 경우, 일일이 뚜껑(200)의 상면에 유성펜을 이용하여 마킹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단순히 뚜껑(200)을 컵몸체(100)에 결합한 후, 자신이 만든 음료에 대응하게 뚜껑(200)을 회전 조작하는 것만으로 상기 불편함이 완전 해소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user has a large number of customers and orders different beverages for each customer,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marking must be performed using the oil pe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200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inconvenience can be completely solved by simply rotating the lid 200 corresponding to the beverage made by the user after the lid 200 is coupled to the cup body 100.

또한, 보호커버부(220)에 의해 상기 주문한 음료 이외의 명칭이 가려질 수 있기 때문에 고객 입장에서 컵몸체(100)의 내부에 담겨 있고 뚜껑(200)에 의해 가려져 있는 내용물이 더욱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name other than the ordered beverage can be obscured by the protective cover unit 220,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up body 100 and hidden by the lid 200 can be more easily identified .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다른 고객으로부터 다른 주문(예: 카페라떼)을 받은 경우, 해당 주문에 대응한 카페라떼와 같은 내용물을 새로운 컵몸체(100)에 담고, 이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뚜껑(200)을 결합 및 회전시켜서, 지시부(210)가 해당 주문에 대응한 음료명(예: 카페라떼)을 지시하도록 할 수 있다.4, when a user receives another order (e.g., cafe latte) from another customer, the user inserts contents such as a cafe latte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to a new cup body 100, The lid 200 may be engaged and rotated so that the instruction unit 210 indicates a drink name (e.g., caffe latte) corresponding to the order.

또한, 음료 제품을 받은 고객은 보호커버부(220)를 기준으로 컵몸체(100)를 감싸듯이 잡기 때문에, 컵몸체(100)의 열기가 보호커버부(220)에 의해 일부 차단되어서, 화상과 같은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Since the customer who receives the beverage product catches the cup body 100 on the basis of the protective cover part 220, the heat of the cup body 100 is partially blocked by the protective cover part 220, The same safety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컵몸체(100)에 담겨진 내용물이 적당히 식은 경우, 고객은 빨대 형상의 흡입부(230)를 통해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내용물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ent contained in the cup body 100 is appropriately cooled, the customer can drink the contents through the straw-shaped suction part 230, thereby preventing leakage of the contents.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음료용기의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smart beverage container shown in FIG. 1. FIG.

응용예는 티백 걸이용 홈부(222)를 더 포함하고, 메뉴부의 음료명이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하므로, 설명의 용이성을 위하여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The application example further includes a teabag walking slot 222 and is similar or very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one embodiment except that the drink name in the menu portion is different, so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can b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for ease of explanation have.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응용예에 따른 뚜껑(200)은 그의 보호커버부(220)의 일측변 상부에 티백 걸이용 홈부(222)가 더 구비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lid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teabag-use groove portion 222 on one side of the side of the protective cover portion 220 thereof.

티백 걸이용 홈부(222)는 보호커버부(220)의 일측변 쪽으로 개구된 입구부로부터 수평 연장되다가 하향으로 꺾인 안착부로 형성되어서, 전체적으로 한글 기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적 특징을 통해서, 티백(10)의 연장선(11)을 티백 걸이용 홈부(222)에 거치시키거나 또는 매달려 있을 수 있고, 티백(10)의 연장선(11) 끝에 있는 종이손잡이부(12)가 티백 걸이용 홈부(222)의 좁은 틈에 걸려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종이손잡이부(12) 및 연장선(11)이 컵몸체(100)의 내부로 빠지는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The tearbag latching groove portion 222 is formed as a seating portion which is horizontally extended from the inlet portion opened toward one side of the protective cover portion 220 and is formed as a downwardly bent seat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mount or extend the extended line 11 of the tea bag 10 to the tear bag holding groove 222 through the shape of the paper bag 10 Can be caught in the narrow gap of the tear-off groove 222 and can not be easily separated. Accordingly, an accident that the paper grip 12 and the extension line 11 are pulled into the cup body 100 can be prevented.

아울러, 도 5와 같이 컵몸체(100) 내부의 온수에 적정한 시간동안 담겨진 티백(10)을 제거하기 위하여, 뚜껑(200)을 컵몸체(100)로부터 분리시키는 원 액션만으로도, 티백(10), 연장선(11) 및 종이손잡이부(12)가 뚜껑(200)과 함께 동시에 분리될 수 있다. 이처럼, 티백(10)이 뚜껑(200)과 함께 움직여서 컵몸체(10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티백(10) 등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order to remove the tea bag 10 contained in the hot water in the cup body 100 for a proper time as shown in FIG. 5, the tea bag 10, The extension line 11 and the paper grip 12 can be removed together with the lid 200 at the same time. As described above, the tea bag 10 can be moved together with the lid 200 to be easily removed from the cup body 100, and the management of the tea bag 10 and the like is facilitated.

이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illustra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컵몸체 110 : 메뉴부
200 : 뚜껑 210 : 지시부
220 : 보호커버부 221 : 요철부
222 : 티백 걸이용 홈부 230 : 흡입부
100: cup body 110: menu part
200: lid 210: indicator
220: protective cover part 221: concave /
222: a teabag walking groove 230:

Claims (7)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기 위한 컵몸체와, 상기 컵몸체의 개구된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상면에 돌출된 빨대 형상의 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컵몸체가 상기 컵몸체의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하나 이상의 음료명을 이격 배치하여 상기 외주면에 표시한 메뉴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이 상기 메뉴부를 지시하도록 상기 뚜껑의 일측 하부테두리에 하향으로 돌출된 지시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지시부와 이격되어 상기 뚜껑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타측 하부테두리에서 하향으로 연장된 보호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커버부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굴곡된 형상에 의한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뉴부는 세로 방향으로 적혀진 상기 음료명을 상기 컵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하고 있고,
상기 보호커버부는 상기 컵몸체의 외주면과 비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음료용기.
A lid rotatably coupled to an opened top of the cup body; and a straw-shaped suction part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lid, wherein the cup body is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body, Wherein the lid has a downwardly protruding lower portion on one side of the lid so as to indicate the menu portion, As a result,
Wherein the li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id and spaced apart from the indicator, and includes a protective cover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a lower edge of the other side of the lid,
Wherei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rotective cov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ncavo-convex portion formed by a bent shape,
Wherein the menu portion is arrang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up body,
And the protective cover portion is not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부의 외표면에는 상기 뚜껑과 구별되는 색상을 갖는 인쇄층 또는 스티커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음료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int layer or a stick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dicator, the print layer having a color distinguishable from the li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044145A 2014-04-14 2014-04-14 Smart beverage container KR1015675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145A KR101567544B1 (en) 2014-04-14 2014-04-14 Smart beverage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145A KR101567544B1 (en) 2014-04-14 2014-04-14 Smart beverage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380A KR20150118380A (en) 2015-10-22
KR101567544B1 true KR101567544B1 (en) 2015-11-20

Family

ID=54426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145A KR101567544B1 (en) 2014-04-14 2014-04-14 Smart beverage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54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059A (en) * 2017-12-14 2019-06-24 박갑환 the closer of a contai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9870A (en) * 2015-10-29 2017-05-11 주식회사 케이앤랩 Cover of cup with a panel for blocking leaking bever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9718A1 (en) * 1992-04-07 1993-10-14 Mandy Nicola Haberman Drinking vessel suitable for use as a trainer cup or the like
US20030192891A1 (en) * 2002-04-10 2003-10-16 Ziegler Scott W. Paper cup sip adaptor
JP2008093368A (en) 2006-10-05 2008-04-24 Takeyoshi Yokosuka Lid of disposable cup including small chamber for storing tea bag
KR101212940B1 (en) * 2011-07-26 2012-12-18 (주)연우 A pills vess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9718A1 (en) * 1992-04-07 1993-10-14 Mandy Nicola Haberman Drinking vessel suitable for use as a trainer cup or the like
US20030192891A1 (en) * 2002-04-10 2003-10-16 Ziegler Scott W. Paper cup sip adaptor
JP2008093368A (en) 2006-10-05 2008-04-24 Takeyoshi Yokosuka Lid of disposable cup including small chamber for storing tea bag
KR101212940B1 (en) * 2011-07-26 2012-12-18 (주)연우 A pills vess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059A (en) * 2017-12-14 2019-06-24 박갑환 the closer of a container
KR102108267B1 (en) * 2017-12-14 2020-05-07 박갑환 the closer of a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380A (en)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47998A1 (en) Beverage container
US8364542B2 (en) Reusable sleeve cover
US6176390B1 (en) Container lid with cooling reservoir
JP4722139B2 (en) Lid and brewing unit for beverage containers
US6314866B1 (en) Lid for beverage container with removable inner cover having an attached infuser unit
US6116446A (en) Stoppers for individual bottle-type beverage container
US5913964A (en) Infuser unit for making beverages
JP3184026U (en) Beverage container sealing lid
US20110248033A1 (en) Lid container apparatus
US9930982B2 (en) Beverage container housings
US20090050641A1 (en) Cup lid with an anti-splash ergonomic shape
US10932476B2 (en) Combined vessel lid and tea bag receptacle and method of using
JP4802590B2 (en) Cap and package with opening function
JP2015145281A (en) beverage container
US20160270573A1 (en) Container and Container Lid
KR101567544B1 (en) Smart beverage container
US20180009570A1 (en) Bottle cap accessory
US20100037781A1 (en) Attachment for a cup
KR20190118238A (en) Tumbler
KR102142915B1 (en) Beverage container
KR101741646B1 (en) Disposable cups that ensure the identification and selection of printed patterns or letters
JPH02283309A (en) Water bottle with straw and straw
CN210708650U (en) Cup cover for beverage cup
JP3083368U (en) Beverage material leaching tool for PET bottles
JP3080115U (en) Beverage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