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004B1 - 실총기 기반 사격 훈련이 가능한 모의 기관총 - Google Patents

실총기 기반 사격 훈련이 가능한 모의 기관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004B1
KR101567004B1 KR1020150108675A KR20150108675A KR101567004B1 KR 101567004 B1 KR101567004 B1 KR 101567004B1 KR 1020150108675 A KR1020150108675 A KR 1020150108675A KR 20150108675 A KR20150108675 A KR 20150108675A KR 101567004 B1 KR101567004 B1 KR 101567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gazine
bundle
knockout
machine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환
류지훈
장민옥
김성인
홍천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방위사업청장)
Priority to KR1020150108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1/00Barrels; Gun tubes; Muzzle attachments; Barrel mounting means
    • F41A21/26Barrels; Gun tubes; Muzzle attachments; Barrel moun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ecoil reinforcement, e.g. for train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6Recoil si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Abstract

실총기 기반 사격 훈련이 가능한 모의 기관총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총기 기반 사격 훈련이 가능한 모의 기관총은, 실 기관총의 노리쇠 기능을 하며, 에어 유입홀과 타격 돌기가 구비된 노리쇠부; 노리쇠부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실 기관총의 노리쇠 뭉치 기능을 하며, 기관총 본체의 해머가 타격 되는 공이가 구비된 노리쇠 뭉치부; 및 기관총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어 에어 유입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를 에어 유입홀로 유입시키며, 타격 돌기에 의해 타격 되어 전진 됨으로써 에어 유입 유로를 개방시키는 작동 로드가 구비된 탄창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총기 기반 사격 훈련이 가능한 모의 기관총{MIMETIC RIFLE}
본 발명은, 실총기 기반 사격 훈련이 가능한 모의 기관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군에서 실제 사용하고 있는 실화기에 어떠한 변형이나 개량을 하지 않고 간편하고 편리하게 장착하여 종래의 모의 전투 훈련에서 사용되는 공포탄을 대체할 수 있는 실총기 기반 사격 훈련이 가능한 모의 기관총에 관한 것이다.
공포탄은 소부대 훈련시 실전과 같은 상황을 부여하기 위하여 실제의 인마살 상용의 실탄과 구별되게 훈련목적을 위하여 실탄에서 탄자(bullet) 만을 제거한 것으로, 그 구성은 뇌관·탄피·추진장약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공포탄은 탄창에 장입되어 소총에 끼워 사용하게 되는데, 방아쇠 (trigger)를 당길 시 공이가 공포탄의 뇌관을 쳐서 뇌관이 기폭되어 추진 장약을 폭발시킴으로써 폭음소리만 나게 하여 훈련용의 목적으로 제작된 것으로, 훈련시 최소한의 안전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공포탄을 발사하여 사용하게 됨으로써 실전과 같은 효과를 얻고 있다.
그런데 공포탄을 취급함에 있어 훈련시 공포탄을 사용한 후 재활용을 하기 위해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한 공포탄 탄피회수에 대한 세심한 주의와, 또한 범행에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탄에 준한 관리운용절차를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공포탄을 제작함에 있어, 실탄과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어 지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고가의 제조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야전부대에서는 훈련시 실전감 있는 훈련 효과를 얻고자 공포탄 소요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국가예산의 소모가 크게 발생 되고 있는 실정이다. 차후 실전감 있는 훈련상황 묘사와 효과 증진을 위해서 추가적인 공포탄 소요가 크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그에 따른 비용도 더욱더 증대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어 소모성 비용이 계속적으로 증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고 있다.
한편 야전부대에서 공포탄 사용시 실탄에 비해 두려움이 없는 관계로 취급 부주의로 인한 화상·외상 등 신체상의 부상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은 물론, 안전사고로 인한 훈련 분위기를 훼손시키게 되고, 따라서 공포탄 취급에 대한 안전사고 예방교육 등에 노력 낭비가 심하였다.
또한 공포탄 사용으로 인한 총기 마모 및 부식 등의 총기수명 저하로 인한 감가 요인과, 야전에서의 총기손질 등으로 병사들의 정비시간이 증대되는 현상을 초래하게 되었다.
기타 공포탄을 취급함에 있어 실탄에 준하는 관리운용을 적용함에 따라 관리인원의 별도 낱발 관리 및 수불에 의한 훈련행정시간의 과다 소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084907호(김영준) 2011. 11. 1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군에서 실제 사용하고 있는 실화기에 어떠한 변형이나 개량을 하지 않고 간편하고 편리하게 장착하여 종래의 모의 전투 훈련에서 사용되는 공포탄을 대체할 수 있고, 내구성이 강한 기관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 기관총의 노리쇠 기능을 하며, 에어 유입홀과 타격 돌기가 구비된 노리쇠부; 상기 노리쇠부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실 기관총의 노리쇠 뭉치 기능을 하며, 기관총 본체의 해머가 타격 되는 공이가 구비된 노리쇠 뭉치부; 및 상기 기관총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어 에어 유입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를 상기 에어 유입홀로 유입시키며, 상기 타격 돌기에 의해 타격 되어 전진 됨으로써 상기 에어 유입 유로를 개방시키는 작동 로드가 구비된 탄창부를 포함하는 모의 기관총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노리쇠 뭉치부는, 상기 공이가 마련되는 노리쇠 뭉치 바디; 및 상기 노리쇠 뭉치 바디에 결합 되는 볼트 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 캐리어는 상기 노리쇠 뭉치 바디에 힌지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탄창부는, 상기 에어 유입 유로와, 상기 에어 유입 유로와 연통 되며 상기 에어 유입홀에 삽입 결합 되는 에어 주입구가 구비된 탄창 바디; 상기 탄창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작동 로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에어 유입 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 밸브; 및 상기 작동 로드와, 상기 작동 로드와 연결되며 상기 작동 로드와 같이 이동되어 상기 개폐 밸브의 개폐 로드를 타격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개폐 밸브를 작동시키는 밸브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리쇠부는, 상기 에어 유입홀이 마련된 노리쇠 바디; 및 상기 노리쇠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에어 유입홀과 연통 되며 상기 에어 유입홀과 연통 된 반대편이 개방된 에어 유로와, 상기 타격 돌기가 구비된 에어 오픈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창부에 마련되어 상기 탄창부를 분리 후 재결합 시 상기 노리쇠 뭉치부의 걸림을 방지하여 상기 노리쇠 뭉치부의 후퇴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노리쇠 뭉치 작동걸림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리쇠 뭉치 작동걸림방지부는, 상기 탄창부에 상기 노리쇠 뭉치부의 후방 방향으로만 접힘 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 방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존의 실총기와 같은 기능 및 형상을 갖도록 노리쇠부와, 노리쇠 뭉치부와, 탄창부를 마련하여 실총기에 전술한 구성을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해머의 타격 시 노리쇠 뭉치부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노리쇠부의 타격 돌기가 탄창부의 작동 로드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에어 유입 유로를 개방함으로써 노리쇠부로 에어를 공급시키므로 작동 메커니즘이 간단하여 고장이 적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총기 기반 사격 훈련이 가능한 모의 기관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노리쇠부와 노리쇠 뭉치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탄창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실시 예에서 기관총은 K3 기관총을 포함하고,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K3 기관총을 기준으로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총기 기반 사격 훈련이 가능한 모의 기관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노리쇠부와 노리쇠 뭉치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탄창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실총기 기반 사격 훈련이 가능한 모의 기관총(1)은, 기관총 본체(100)와, 실총기의 노리쇠 기능을 하며 에어 유입홀(211)과 타격 돌기(231)가 구비된 노리쇠부(200)와, 노리쇠부(200)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실총기의 노리쇠 뭉치 기능을 하며 기관총 본체(100)의 해머(미도시)가 타격 되는 공이(320)가 구비된 노리쇠 뭉치부(300)와, 기관총 본체(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어 에어 유입 유로(411)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를 에어 유입홀(211)로 유입시키며 타격 돌기(231)에 의해 타격 되어 전진 됨으로써 에어 유입 유로(411)를 개방시키는 작동 로드(431)가 구비된 탄창부(400)와, 탄창부(400)에 마련되어 탄창부(400)를 분리 후 재결합 시 노리쇠 뭉치부(300)의 후퇴 이동 걸림을 방지하는 노리쇠 뭉치 작동걸림방지부(500)를 구비한다.
기관총 본체(100)는 실총기와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110)와, 탄창부(400)가 삽입되는 탄창 삽입부(120)와, 운반 손잡이(130)와, 양각대(140)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기관총 본체(100)는 실총기와 동일한 구성 즉 노리쇠부(200)와, 노리쇠 뭉치부(300)와, 탄창부(400)를 제외하고는 실총기와 동일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예를 들어 분대 모의 전투 훈련 시 실총기에 사용되는 노리쇠와 노리쇠 뭉치, 탄창을 분리하고 대신에 노리쇠부(200)와 노리쇠 뭉치부(300), 탄창부(400)를 기관총 본체(100)에 장착하여 훈련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노리쇠부(200)가 실총기의 노리쇠, 노리쇠 뭉치부(300)가 실총기의 노리쇠 뭉치, 탄창부(400)가 실총기의 탄창과 유사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므로 장착 및 교체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노리쇠부(200)는, 기관총 본체(100)의 내부에 마련되어 공이(320)가 타격 된 후 노리쇠 뭉치부(300)를 밀어내기 위해 탄창부(400)에서 공급되는 에어를 노리쇠 뭉치부(30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공이(320)를 타격된 후 실총기와 같은 느낌을 갖도록 하기 위해 노리쇠 뭉치부(3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고, 본 실시예는 이러한 동력으로 탄창부(400)에서 공급되는 에어를 사용하고, 탄창부(400)에서 공급되는 에어는 노리쇠부(200)를 통과한 후 노리쇠 뭉치부(300)로 공급되어 노리쇠 뭉치부(30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후퇴 고정시킨다.
본 실시 예에서 노리쇠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에 에어 유입홀(211)이 마련된 노리쇠 바디(210)와, 노리쇠 바디(210)의 전방부에 일체로 마련되는 노리쇠 로드(220)와, 노리쇠 바디(210)의 내부에 마련되어 노리쇠 바디(210)의 전진 이동시 탄창부(400)의 작동 로드(431)를 타격하여 에어 유입홀(211)로 에어를 유입시킴과 아울러 유입되는 에어를 통과시켜 노리쇠 뭉치부(3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에어 오픈 로드(230)를 포함한다.
노리쇠부(200)의 노리쇠 바디(210)에 마련되는 에어 유입홀(2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에어 유입홀(211)에는 탄창부(400)의 에어 주입구(412)가 삽입 결합 된다. 따라서 탄창부(400)의 에어 유입 유로(411)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는, 에어 주입구(412)와, 에어 유입홀(211)과, 에어 유로(232)를 통해 노리쇠 뭉치부(300)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노리쇠부(200)의 에어 오픈 로드(230)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방향으로 돌출 마련되어 탄창부(400)의 작동 로드(431)와 접하며 공이(320)의 타격 시 작동 로드(431)에 힘을 가하여 작동 로드(431)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에어 유입 유로(411)를 개방시키는 타격 돌기(231)와, 에어 유입홀(211)과 연통되어 에어의 통과 통로로 제공되는 에어 유로(232)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에어 유로(2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유입홀(211)과 연통 된다. 따라서 탄창부(400)에서 에어 유입 유로(411)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는, 개폐 밸브(420)를 통과한 후 에어 주입구(412)와 에어 유입홀(211)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에어 유로(232)로 공급된다.
본 실시 예에서 에어 유로(232)로 공급되는 에어는, 에어 유로(232)를 통해 에어 오픈 로드(230)의 단부까지 공급된 후 에어 오픈 로드(230)의 단부에 접해 에어 오픈 로드(230)의 개방된 단부를 막고 있는 공이(320)에 후방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그 결과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공이(320)가 결합 된 노리쇠 뭉치부(300)는 노리쇠부(200)와 분리되어 후방으로 이동된다. 후방으로 이동된 노리쇠 뭉치부(300)는 볼트 캐리어(330)에 수용 되는 복좌 용수철(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해 노리쇠부(200)에 결합 된다.
노리쇠 뭉치부(300)는, 공이(320)의 타격 전에는 노리쇠부(200)와 연결되어 있고, 타격 후에는 에어 유로(232)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노리쇠 뭉치부(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리쇠 바디(210)와 연결되는 노리쇠 뭉치 바디(310)와, 노리쇠 뭉치 바디(310)에 고정 결합되며 타격 장소로 제공됨과 아울러 에어 오픈 로드(230)의 개방된 에어 유로(232)를 밀폐하는 공이(320)와, 노리쇠 뭉치 바디(310)에 힌지 결합 되는 볼트 캐리어(330)와, 노리쇠 뭉치 바디(310)와 볼트 캐리어(330)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 연결로드(340)와, 일측부는 볼트 캐리어(330)에 지지되고 타측부는 기관총 본체(100)의 내벽에 지지되어 노리쇠 뭉치 바디(31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좌 용수철(미도시)을 포함한다.
노리쇠 뭉치부(300)의 공이(320)는 양측부에 플랜지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좌측에 마련되는 플랜지는 에어 오픈 로드(230)의 에어 유로(232)를 밀폐하는 용도로, 우측에 마련되는 플랜지는 타격 접점을 높이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노리쇠 뭉치부(300)의 복좌 용수철(미도시)은, 후퇴 고정이 해제된 노리쇠 뭉치부(300)를 원상 복귀시키는 역할을 하고, 본 실시 예는 공압에 의한 충격이 복좌 용수철(340)로 그대로 전달되므로 복좌 용수철이 깨질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복좌 용수철을 연질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노리쇠 뭉치부(300)의 힌지 결합로드(340)는, 노리쇠 뭉치 바디(310)와 볼트 캐리어(330)를 힌지 결합시켜 모의 사격 시 서로 간에 유동이 있게 하여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탄창부(400)는, 도 1에 도시된 기관총 본체(100)의 탄창 삽입부(150)에 측면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며, 노리쇠 뭉치부(300)의 후퇴 이동에 필요한 에어를 노리쇠부(200)와 노리쇠 뭉치부(30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탄창부(4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유입 유로(411)와 에어 주입구(412)가 마련된 탄창 바디(410)와, 탄창 바디(410)에 마련되어 에어 유입 유로(411)를 개폐시키는 개폐 밸브(420)와, 탄창 바디(410)에 마련되어 노리쇠부(200)의 타격 돌기(231)의 타격에 의해 개폐 밸브(420)를 작동시키는 밸브 작동부(430)를 포함한다.
탄창부(400)의 에어 유입 유로(4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창 바디(410)의 바닥부에서 상측부까지 연속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에어 주입구(412)는 탄창 바디(410)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노리쇠 바디(210)의 에어 유입홀(211)에 삽입 결합 된다.
탄창부(400)의 개폐 밸브(42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유입 유로(411)에 마련되며 에어 유입구(421a)와 에어 배출구(421b)가 마련된 밸브 바디(421)와, 밸브 바디(421)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에어 유입구(421a)를 밀폐하는 밀폐 돌기(422a)와 밸브 타격돌기(422b)가 구비된 개폐 로드(422)와, 밸브 바디(421)의 내부에 마련되어 개폐 로드(422)를 탄성 이동시키는 탄성체(423)를 포함한다.
탄창부(400)의 밸브 작동부(4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창 바디(410)의 상측부에 에어 오픈 로드(230)의 타격 돌기(231)와 접하도록 배치되며 타격 돌기(231)의 타격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작동 로드(431)와, 작동 로드(431)와 연결되어 일체로 이동되며 개폐 밸브(420)의 밸브 타격돌기(422b)를 타격하여 에어 유입구(421a)를 개방시키는 타격 바(43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작동 로드(431)와 타격 바(432)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이하에서 탄창부(400)의 개폐 밸브(420) 작동으로 에어 유입 유로(411)가 개폐되는 것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방아쇠(110)의 걸림이 해제되기 전에는 에어 유입 유로(411)는 개폐 밸브(420)에 의해 막혀 있어 노리쇠 바디(210)의 에어 유입홀(211)로 에어는 공급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방아쇠(110)를 당기면 후방에서 방아쇠(110)에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던 노리쇠 뭉치부(300)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타격 돌기(231)가 작동 로드(431)를 타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작동 로드(431)와 일체로 이동되는 타격 바(432)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타격 바(432)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개폐 밸브(420)의 밸브 타격돌기(422b)를 타격하여 개폐 로드(422)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에어 유입구(421a)가 개방된다.
그 결과 에어 유입 유로(411)가 개방되어 탄창 바디(410)의 바닥부에서 공급되는 에어는 개폐 밸브(420)를 통과한 후 에어 주입구(412)와, 에어 유입홀(211)과, 에어 유로(232)를 차례로 통과한 후 공이(320)에 공압을 가해 노리쇠 뭉치부(3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노리쇠 뭉치 작동걸림방지부(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창 바디(410)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탄창부(400)를 분리 후 재결합 시 탄창부(400)의 걸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탄창부(400)를 분리한 상태에서 타격 돌기(231)가 전방으로 세팅 위치보다 더 이동하게 되면 타격 돌기(231)가 작동 로드(431)에 걸려 노리쇠 뭉치부(300)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탄창부(400)의 삽입이 자유롭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 이를 고려하여 작동 로드(431)의 중앙 영역을 개방하여 걸림 방지편(510)을 마련하되 걸림 방지편(510)을 도 2를 기준으로 전방 방향으로는 회동되지 않고 후방 방향으로만 회동되게 하여 타격 돌기(231)가 세팅된 위치를 넘어 가더라도 후방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걸림 방지편(510)의 전방 방향 하단부에 별도의 걸림편을 마련하거나, 걸림 방지편(510)의 전방 방향 하단부 영역의 작동 로드(431)에 단턱을 두어 걸림 방지편(510)을 후방 방향으로만 회동 되게 마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기존의 실총기와 같은 기능 및 형상을 갖도록 노리쇠부와, 노리쇠 뭉치부와, 탄창부를 마련하여 실총기에 전술한 구성을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해머의 타격 시 노리쇠 뭉치부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노리쇠부의 타격 돌기가 탄창부의 작동 로드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에어 유입 유로를 개방함으로써 노리쇠부로 에어를 공급시키므로 작동 메커니즘이 간단하여 고장이 적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실총기 기반 사격 훈련이 가능한 모의 기관총
100 : 기관총 본체 110 : 방아쇠
120 : 탄창 삽입부 130 : 운반 손잡이
140 : 양각대 200 : 노리쇠부
210 : 노리쇠 바디 211 : 에어 유입홀
220 : 노리쇠 로드 230 : 에어 오픈 로드
231 : 타격 돌기 232 : 에어 유로
300 : 노리쇠 뭉치부 310 : 노리쇠 뭉치 바디
320 : 공이 330 : 볼트 캐리어
400 : 탄창부 410 : 탄창 바디
411 : 에어 유입 유로 412 : 에어 주입구
420 : 개폐 밸브 421 : 밸브 바디
421a : 에어 유입구 421b : 에어 배출구
422 : 개폐 로드 422a : 밀폐 돌기
422b : 밸브 타격돌기 423 : 탄성체
430 : 밸브 작동부 431 : 작동 로드
432 : 타격 바 500 : 노리쇠 뭉치 작동걸림방지부
510 : 걸림 방지편

Claims (6)

  1. 실 기관총의 노리쇠 기능을 하며, 에어 유입홀과 타격 돌기가 구비된 노리쇠부;
    상기 노리쇠부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실 기관총의 노리쇠 뭉치 기능을 하며, 기관총 본체의 해머가 타격 되는 공이가 구비된 노리쇠 뭉치부;
    상기 기관총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어 에어 유입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를 상기 에어 유입홀로 유입시키며, 상기 타격 돌기에 의해 타격 되어 전진 됨으로써 상기 에어 유입 유로를 개방시키는 작동 로드가 구비된 탄창부; 및
    상기 탄창부에 마련되어 상기 탄창부를 분리 후 재결합 시 상기 노리쇠 뭉치부의 걸림을 방지하여 상기 노리쇠 뭉치부의 후퇴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노리쇠 뭉치 작동걸림방지부를 포함하는 모의 기관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리쇠 뭉치부는,
    상기 공이가 마련되는 노리쇠 뭉치 바디; 및
    상기 노리쇠 뭉치 바디에 결합 되는 볼트 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 캐리어는 상기 노리쇠 뭉치 바디에 힌지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기관총.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창부는,
    상기 에어 유입 유로와, 상기 에어 유입 유로와 연통 되며 상기 에어 유입홀에 삽입 결합 되는 에어 주입구가 구비된 탄창 바디;
    상기 탄창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작동 로드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에어 유입 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 밸브; 및
    상기 작동 로드와, 상기 작동 로드와 연결되며 상기 작동 로드와 같이 이동되어 상기 개폐 밸브의 개폐 로드를 타격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개폐 밸브를 작동시키는 밸브 작동부를 포함하는 모의 기관총.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리쇠부는,
    상기 에어 유입홀이 마련된 노리쇠 바디; 및
    상기 노리쇠 바디에 마련되며, 상기 에어 유입홀과 연통 되며 상기 에어 유입홀과 연통 된 반대편이 개방된 에어 유로와, 상기 타격 돌기가 구비된 에어 오픈 로드를 포함하는 모의 기관총.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리쇠 뭉치 작동걸림방지부는,
    상기 탄창부에 상기 노리쇠 뭉치부의 후방 방향으로만 접힘 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 방지편을 포함하는 모의 기관총.
KR1020150108675A 2015-07-31 2015-07-31 실총기 기반 사격 훈련이 가능한 모의 기관총 KR101567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675A KR101567004B1 (ko) 2015-07-31 2015-07-31 실총기 기반 사격 훈련이 가능한 모의 기관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675A KR101567004B1 (ko) 2015-07-31 2015-07-31 실총기 기반 사격 훈련이 가능한 모의 기관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004B1 true KR101567004B1 (ko) 2015-12-11

Family

ID=55020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675A KR101567004B1 (ko) 2015-07-31 2015-07-31 실총기 기반 사격 훈련이 가능한 모의 기관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0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585B1 (ko) 2020-07-20 2021-12-14 주식회사 지비엘에스 모의 탄창 및 이를 이용한 총기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8153A (ja) * 2005-04-27 2006-11-09 Howa Mach Ltd 射撃訓練用の模擬火器
KR101046139B1 (ko) * 2010-11-12 2011-07-01 김영준 케이2 자동소총의 공포탄 반동력을 대체한 반동력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8153A (ja) * 2005-04-27 2006-11-09 Howa Mach Ltd 射撃訓練用の模擬火器
KR101046139B1 (ko) * 2010-11-12 2011-07-01 김영준 케이2 자동소총의 공포탄 반동력을 대체한 반동력발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585B1 (ko) 2020-07-20 2021-12-14 주식회사 지비엘에스 모의 탄창 및 이를 이용한 총기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23636A2 (en) Cartridge box of pneumatic toy gun
US9134089B2 (en) Airsoft guns structure with improved reality and safety gasification system for the compressed gas cartridge
US7111621B2 (en) Paintball marker pistol with slide action automatic re-cocking
US95413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resetting trigger mechanism
TWI708922B (zh) 玩具槍
US20110174148A1 (en) Firing Rate Reduction System for an Automatic Firearm
US10488148B2 (en) Toy gun with moveable magazines
KR101567010B1 (ko) 실총기 기반 사격 훈련이 가능한 모의 소총
US20190346231A1 (en) Reconfigurable Toy Gun
US20170138688A1 (en) Flex-fire technology
US20110041825A1 (en) Gun-lock assembly
US20150176941A1 (en) Magazine adapter for projectile launcher
KR101567004B1 (ko) 실총기 기반 사격 훈련이 가능한 모의 기관총
US20070272222A1 (en) Air gun chamber structure
KR101567017B1 (ko) 실화기 기반 모의 소총
US2482436A (en) Toy gun cartridge
KR101802427B1 (ko) 모의 사격 훈련을 위한 실화기용 반동력 발생장치
KR101084907B1 (ko) 반동력발생장치를 갖는 모의소총.
US7926405B2 (en) Simulated firearm
KR101791741B1 (ko) 압축가스를 이용한 총기의 반동장치 및 격발인식장치.
US20210222986A1 (en) Blank ammunition attachment
CN214173116U (zh) 一种用于实兵交战模拟对抗系统的仿真炮弹发射装置
US9664468B1 (en) Control of ejected firearm shells
EP2275768A2 (en) Toy gun with recoil mechanism
KR101698116B1 (ko) 실화기 베이스 모의 소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