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340B1 - Fixing means-feeding device - Google Patents

Fixing means-feed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340B1
KR101566340B1 KR1020140048178A KR20140048178A KR101566340B1 KR 101566340 B1 KR101566340 B1 KR 101566340B1 KR 1020140048178 A KR1020140048178 A KR 1020140048178A KR 20140048178 A KR20140048178 A KR 20140048178A KR 101566340 B1 KR101566340 B1 KR 101566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groove
block
front wall
fixed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1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22326A (en
Inventor
김경환
Original Assignee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8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340B1/en
Publication of KR20150122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3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3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4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feeding screw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공구의 비트가 삽입되는 비트삽입공을 포함하고, 스트립이 배출되는 스트립배출홈을 포함하는 고정블록과, 상기 비트가 삽입되면 상기 고정블록을 따라 전진하는 전진위치와 상기 비트가 배출되면 상기 고정블록을 따라 후진하는 후진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블록에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고정블록 내에 설치되며, 상기 스트립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래치와, 상기 비트가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립이 이송되는 스트립이송홈을 포함하는 이동블록과, 상기 고정블록과 상기 이동블록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스트립이송홈과 상기 스트립배출홈이 연통되는 이송위치와, 상기 스트립이송홈과 상기 스트립배출홈이 어긋나도록 상기 이동블록을 결합돌기에서 멀어지지게 하는 역 이송위치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는 고정수단 공급장치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tool comprising a fixed block including a bit insertion hole into which a bit of a power tool is inserted and including a strip discharge groove through which the strip is discharged and a forward position for advancing along the fixed block when the bit is inserted, A latch provided in the fixed block, the latch including a coupling protrusion that is fitted in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fixing block; A movable block provided on the fixed block so as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movable block is inserted, and including a strip conveying groove to which the strip is conveyed; And a conveying position where the strip discharging groove is communicated with a conveying position where the strip conveying groove and the strip discharging groove are offset Fixed supply means comprising a return spring to generate a restoring force in the reverse feed position to the support away from the moving block in the engaging projection is provided.

Description

고정수단 공급장치{FIXING MEANS-FEEDING DEVICE}[0001] FIXING MEANS-FEEDING DEVICE [0002]

본 발명은 고정수단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스트립의 역 방향 배출이 가능한 고정수단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means feed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xing means feeding device capable of releasing the strip in the reverse direction.

전동공구란, 전동기의 힘을 이용하여 쉽고 빠르게 작업할 수 있도록 만든 공구를 의미한다. 상기 전동공구는, 구멍을 뚫는 전동 드릴, 나사를 조이거나 푸는 전동 드라이버, 다듬질이나 연마에 사용되는 전기 그라인더나 전기 연마기 등이 있다. A power tool means a tool that can be easily and quickly operated by using the power of a motor. The power tool includes an electric drill for drilling a hole, an electric screwdriver for tightening or loosening a screw, an electric grinder used for finishing or polishing, or an electric grinder.

이러한 전동공구 중 못이나 스크류 등의 고정수단을 공급하는 고정수단 공급장치는 국내공개특허 제10-2007-0049967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이 장착된 스트립을 이송시키는 스트립 이송장치를 포함한다. A fixing means feeding device for supplying a fixing means such as a nail or a screw in such a power tool includes a strip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a strip equipped with fixing means as shown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7-0049967.

상기 스트립 이송장치는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운동을 하며 스트립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고정수단을 이송하는 휠과, 상기 휠에 형성되며, 고정수단이 장착되어 이송 가능한 고정수단 이송부재를 포함한다. The strip conveying apparatus includes a wheel for conveying a fixing means for rotating the strip with respect to a hinge axis, and a fixing means transferring means formed on the wheel for transferring the fixing means.

상기 휠은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며, 예를 들어, 스트립이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되도록 회전한다. 이와 같이 휠이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기 때문에 스트립이 이송되는 방향으로만 스트립을 이송시켜 스트립을 스트립 이송장치에서 분리해야 한다. The wheel rotates only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so that the strip is transport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Since the wheel rotates only in one direction, the strip must be transpor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rip is transported to separate the strip from the strip transport device.

그런데, 종래의 스트립 이송장치는 스트립의 고정수단이 적게 배출된 경우와 같이 스트립을 이송방향의 역 방향으로 배출하는 경우가 편리할 경우에도 스트립을 한 방향으로만 배출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시 불편함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strip transporting device needs to discharge the strip only in one direction even when it is convenient to discharge the strip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transporting direction as in the case where the fixing means of the strip is discharged less, there wa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역 방향으로 스트립을 배출할 수 있는 고정수단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xing device feeding device capable of discharging a strip in a reverse direction.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고정수단 공급장치는, 전동공구의 비트가 삽입되는 비트삽입공을 포함하고, 스트립이 배출되는 스트립배출홈을 포함하는 고정블록과, 상기 비트가 삽입되면 상기 고정블록을 따라 전진하는 전진위치와 상기 비트가 배출되면 상기 고정블록을 따라 후진하는 후진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블록에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고정블록 내에 설치되며, 상기 스트립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래치와, 상기 비트가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스트립이 이송되는 스트립이송홈을 포함하는 이동블록과, 상기 고정블록과 상기 이동블록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스트립이송홈과 상기 스트립배출홈이 연통되는 이송위치와, 상기 스트립이송홈과 상기 스트립배출홈이 어긋나도록 상기 이동블록을 결합돌기에서 멀어지지게 하는 역 이송위치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xing device for a fixing device including a fixing block including a bit insertion hole into which a bit of a power tool is inserted and including a strip discharge groove through which the strip is discharged, A housing installed in the fixed block so as to be slidable between a forward position for advancing along the fixed block and a reverse position for retracting along the fixed block when the bit is ejected; A movable block provided on the fixed block so as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bit is inserted and including a strip conveyance groove to which the strip is conveyed; Wherein the strip transporting groove and the strip discharging groove are provided between the fixed block and the moving block, Includes a return spring to generate a restoring force in the reverse feed position to the support away from the transfer position, and the strip feed groove and the strip outlet so that the moving block grooves are displaced from the engaging projection.

상기 이동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위치에서 상기 스트립의 역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결합돌기보다 상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topper installed in the moving block, the stopper preventing movement of the strip in the reverse direction at the feeding position, wherein the stopper is provided above the engaging projection.

이때, 상기 이동블록은, 상기 결합돌기와 먼 방향에 위치한 제1 전방벽과, 상기 제1 전방벽과 마주하는 제1 후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방벽과 상기 제1 후방벽 사이에는 상기 스트립이송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전방벽 상단부에 상기 스토퍼가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moving block includes a first front wall positio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upling projection, and a first rear wall facing the first front wall, wherein the first front wall and the first rear wall A strip conveying groove is formed, and the stopper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front wall.

한편, 상기 제1 전방벽은 상기 스트립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후방벽보다 길게 형성된다. Meanwhile, the first front wall is formed longer than the first rear wall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trip is discharged.

상기 스토퍼의 상기 스트립과 인접한 단면은 상기 스트립의 이송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송위치 및 상기 역 이송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스토퍼 복원스프링을 포함한다.The stopper has a cross section that is adjacent to the strip and is incli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trip, and the stopper includes a stopper restoring spring to be movable between the conveying position and the reverse conveying position.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제1 전방벽 상에 위치하는 제2 전방벽과, 상기 제2 전방벽과 마주하며, 상기 제1 후방벽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2 후방벽을 포함한다. The fixed block includes a second front wall positioned on the first front wall and a second rear wall facing the second front wall and formed to extend in the first rear wall direction.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스트립을 고정수단 공급장치에서 역 배출하기 위하여 비트가 삽입되는 고정블록 내에 이동블록을 설치한다. 상기 고정블록과 이동블록 사이에는 복원스프링이 설치되어 스트립을 역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By means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ving block in a fixed block into which a bit is inserted to back-out the strip from the fixing means supply device. And a restoring spring is provided between the fixed block and the moving block, so that the strip can be discharged backwar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이동블록과 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고정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고정수단 공급장치의 작동도이며,
도 6은 도 5의 고정블록, 이동블록과 스토퍼의 설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device fee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ing block and the stopper of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xed block of FIG. 2,
Fig. 5 is an operational view of the fixing means feeding device of Fig. 1,
Fig. 6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relationship of the fixed block, the moving block and the stopper in Fig. 5;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set forth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o provide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dily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and a description will be given centering on the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이동블록과 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고정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고정수단 공급장치의 작동도이며, 도 6은 도 5의 고정블록, 이동블록과 스토퍼의 설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ing block and the stopper of FIG. 2,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block, FIG. 5 is an operational view of the fixing means feeding device of FIG. 1,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relationship of the fixed block, the moving block and the stopper of FIG.

도면 설명에 앞서, 도 1에 도시된 방향 표시를 중심으로 고정수단 공급장치(100)에서 비트(50)가 배출되는 방향을 전진, 비트(50)가 삽입되는 방향을 후진이라고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ssumed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bit 50 is discharged from the fixing means supply apparatus 100 is advanced forwar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bit 50 is inserted is reverse do.

또한, 스트립(200)의 고정수단(250)이 고정수단 공급장치(100)에서 배출되기 위한 스트립(200)의 이송방향을 정방향이라고 가정하고, 상기 정방향은 고정수단 공급장치(100)의 하부에서 상부로의 방향으로 가정한다(도 5의 (a)의 화살표 참조). 이와 대응되게 스트립(200)이 상부에서 하부로 이송되는 방향은 스트립(200)이 고정수단 공급장치(100)에서 배출되는 역방향(도 5의 (b)의 화살표 참조)이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It is also assumed that the direction of conveyance of the strip 200 for ejecting the fixing means 250 of the strip 200 from the fixing means feeder 100 is a forward direction, (See arrows in Fig. 5 (a)). Correspondingly, it is assumed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rip 200 is transported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is the reverse direction (see the arrow in FIG. 5 (b)) in which the strip 200 is discharged from the fixing means feeding device 100.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부재는 후술할 래치(180)가 장착되는 캠부재(130) 및 슬라이드부재(170)를 중심으로 좌, 우에 배치된 부재가 결합되는 방식이다. 따라서, 좌, 우의 각 부재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는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며, 이하 설명에서는 우측의 부재를 선택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In addition, each member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in which a cam member 130 on which a latch 180 to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and a member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lide member 170 are combined.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 constitution of the left and right members and the effect therefor are the same, and the right member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 공급장치(100)는 전동공구의 비트(50)가 삽입되는 비트삽입공(미도시)을 포함하고, 스트립(200)이 배출되는 스트립배출홈(122)을 포함하는 고정블록(120)과, 상기 고정블록(120) 외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드부재(170)와, 상기 비트(50)가 삽입되면 슬라이드부재(170)를 따라 전진하는 전진위치와, 비트(50)가 배출되면, 슬라이드부재(170)를 따라 후진하는 후진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슬라이드부재(170)의 외측에 설치되며, 내벽에 슬라이드부재(170)가 장착되는 슬라이드홈(162)을 포함하는 하우징(160)과, 상기 하우징(160) 내에 설치되며, 스트립(200)에 형성된 결합홈(220)에 끼워지는 결합돌기(182)를 포함하는 래치(180)와, 상기 스트립(200)이 이송되는 스트립이송홈(142)이 형성되며, 상기 스트립이송홈(142)과 상기 스트립(200)이 배출되는 스트립배출홈(122)이 어긋나는 이송위치와 스트립이송홈(142)과 스트립배출홈(122)이 어긋나는 역이송위치 사이에서 비트(50)가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블록(120)에 설치되는 이동블록(140)과, 상기 고정블록(120)과 이동블록(140)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블록(140)을 이송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190)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182)는 이송위치에서 스트립이송홈(142)에 돌출되어 결합홈(220)에 끼워지며, 역 이송위치에 결합홈(220)과 해제되도록 형성된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fixing means suppl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it insertion hole (not shown) into which the bit 50 of the power tool is inserted, A slide block 170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fixed block 120 and a movable block 170 extending forward along the slide member 170 when the bit 50 is inserted, The slide member 170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slide member 170 so as to slide between a forward position and a backward position where the bit 50 is retracted along the slide member 170, A latch 180 including a housing 160 including a housing 162 and an engaging projection 182 installed in the housing 160 and fitted into an engaging groove 220 formed in the strip 200; A strip conveying groove 142 through which the strip 200 is conveyed is formed, The bit 50 is inserted between the conveying position where the strip discharging groove 122 in which the strip 200 is discharged and the reverse conveying position where the strip discharging groove 142 and the strip discharging groove 122 are displaced, And a movable block 140 installed between the fixed block 120 and the movable block 140 to return the movable block 140 to a transfer position, And a restoring spring 190. The engaging projection 182 protrudes from the strip conveying groove 142 in the conveying posi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220. The engaging groove 220 is formed do.

상기 고정블록(120)은 전동공구의 비트(50)가 고정수단 공급장치(100)에 삽입되면 고정수단 배출공(172)으로 밀어내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고정블록(120)에는 스트립(200)의 고정수단(250)을 스트립배출홈(122)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캠패스(123, 125)가 설치된다. The fixing block 120 is a device for pushing the bit 50 of the power tool into the fixing means discharge hole 172 when the bit is inserted into the fixing means supply device 100. To this end, the fixed block 120 is provided with cam paths 123 and 125 for transporting the fixing means 250 of the strip 200 to the strip discharge groove 122.

상기 캠패스(123, 125)는 고정블록(120)에 형성된 캠패스(123, 125)에 설치되고, 래치(180)의 결합돌기(182)가 스트립(200)의 결합홈(220)에 끼워지기 전의 대기위치와 결합돌기(182)가 결합홈(220)에 끼워져 스트립(200)이 이송되는 공급위치 사이에서 래치(180)를 회동시킨다. The cam paths 123 and 125 are provided in the cam paths 123 and 125 formed in the fixed block 120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182 of the latches 180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220 of the strip 200 And the latching projection 182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20 to rotate the latch 180 between the feeding position where the strip 200 is fed.

또한, 고정블록(120)은 후술할 이동블록(140)이 장착되면 고정블록(1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장착홀(128)을 더 포함하고, 이동블록(140)은 상기 장착홀(128)에 장착되는 장착부(148)를 더 포함한다. The fixed block 120 further includes a mounting hole 128 to be fixed to the fixed block 120 when the movable block 140 to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and the movable block 140 is fixed to the mounting hole 128, (Not shown).

상기 하우징(160)은 고정블록(120)에 비트(50)가 삽입되기 전의 초기 상태인 후진위치와 고정수단(250)을 밀어내는 전진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housing 160 is slidably installed between a backward position, which is an initial state before the bit 50 is inserted into the fixed block 120, and a forward position, at which the fixing means 250 is pushed.

이때, 하우징(160)과 고정블록(120) 사이에는 고정블록(120)을 지지하고, 하우징(160)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슬라이드부재(1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160)이 슬라이드부재(170)를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하우징(160) 내벽에는 슬라이드홈(162)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t this time, a slide block 170 is installed between the housing 160 and the fixed block 120 to support the fixed block 120 and to slide the housing 160.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slide groove (162)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60) so that the housing (160) slides along the slide member (170).

상기 래치(180)는 고정블록(120) 내에 설치되어 스트립(200)을 이송시키는 부재이다. 특히, 래치(180)는 스트립(200)이 이송되기 전(도 5의 (a) 참고)의 대기위치에서 스트립(200)이 이송되는(도 5의 (b) 참고)의 공급위치 사이에서 회동하게 설치된다. 즉, 래치(180)는 대기위치에서 스트립(200)의 결합홈(220)에 끼워진 뒤, 하나의 고정수단(250)을 고정블록(120)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는 공급위치로 이동한 후, 고정수단(250)이 고정수단 배출공(172)으로 배출되면 하부로 이동하여 다시 대기위치로 상태가 변경된다. 이와 같이 래치(180)가 고정수단 공급장치(100)의 상, 하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스트립(200)을 이송함에 따라 스트립(200)을 이동시키는 부재의 부피, 크기 등을 최소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atch 180 is a member installed in the fixing block 120 to transfer the strip 200. Particularly, the latch 180 rotates between the supply positions where the strip 200 is transported (see Fig. 5 (b)) at a standby position before the strip 200 is transported (see Fig. 5 Respectively. That is, after the latch 18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20 of the strip 200 at the standby position, the latch 180 is moved to a supply position for moving one fixing means 250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block 120 When the fixing means 250 is discharged to the fixing means discharge hole 172, the fixing means 250 moves downward and changes its state to the standby position. As the latch 180 rotates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of the fixing means feeder 100 and the strip 200 is transported, the volume, size and the like of the member moving the strip 200 can be minimized .

상기 이동블록(140)은 고정블록(120)에 설치되되, 전, 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왜냐하면, 필요에 따라 스트립(200)을 스트립(200)이 이송되는 이송방향과 역방향으로 이송시켜 고정수단 공급장치(100)에서 배출하기 위함이다. The moving block 140 is installed in the fixed block 120, and is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is is because if necessary, the strip 200 is transpor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ransport direction in which the strip 200 is transported and discharged from the stationary means supply device 100.

보다 자세하게, 스트립(200)은 고정수단 공급장치(100)에서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트립을 고정수단 공급장치에서 교체하기 위해서 스트립의 이송방향으로 스트립을 빼내거나, 스트립 이송방향과 역 방향으로 스트립을 빼내는 방법이 있다. 이 중, 스트립을 스트립의 이송방향과 역 방향으로 빼내기 위해서 래치(180)의 결합돌기(182)를 스트립(200)의 결합홈(220)에서 분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동블록(140)의 스트립이송홈(142)과 고정블록(120)의 스트립배출홈(122)이 어긋나게 하여 래치(180)의 결합돌기(182)를 스트립(200)의 결합홈(220)에서 분리시키고, 스트립(200)을 역방향으로 이송시켜 고정수단 공급장치(100)에서 배출할 수 있게 한다. More specifically, the strip 200 can be replaced in the fixation means feeder 100. In order to replace the strip in the fixing means feeder, there is a method of pulling the strip in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strip or pulling the strip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trip feeding direction. The engaging projection 182 of the latch 180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engaging groove 220 of the strip 200 in order to pull out the strip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strip. The strip transfer grooves 142 of the moving block 140 and the strip discharging grooves 122 of the fixing block 120 are shifted so that the engaging projections 182 of the latches 180 are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s 220 of the strip 200 And allows the strip 200 to be transpor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o be discharged from the stationary means feeder 100.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이동블록(140)과 고정블록(120) 사이에 설치된 복원스프링(190)은 이동블록(140)을 고정블록(120)에 대해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트립(200)이 고정수단 공급장치(100)에서 분리될 수 있게 한다.The restoring spring 190 installed between the movable block 140 and the fixed block 120 moves the movable block 14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fixed block 120 so that the strip 200 is fixed So that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means supply device 100.

예를 들어, 고정블록(120)에 비트(50)가 삽입되면, 이동블록(140)은 이송위치 상태이며, 스트립이송홈(142)과 스트립배출홈(122)이 연통되어 있다. 이때, 스트립(200)은 스트립이송홈(142)에서 스트립배출홈(122)으로 이송되는 정방향 상태이다. For example, when the bit 50 is inserted into the fixed block 120, the moving block 140 is in the feeding position, and the strip feeding groove 142 and the strip discharging groove 122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strip 200 is conveyed from the strip feed groove 142 to the strip discharge groove 122 in the forward direction.

이와 반대로, 스트립(200)을 역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별도의 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이동블록(140)을 정방향으로 당기면, 이동블록(140)의 스트립이송홈(142)을 따라 이송되는 스트립(200)의 결합홈(220)에서 래치(180)의 결합돌기(182)가 분리된다. 이때, 이동블록(140)은 정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이므로, 복원스프링(190)이 탄성 변형된다. 또한, 스트립이송홈(142)과 스트립배출홈(122)이 어긋난 상태이므로 스트립(200)의 정방향으로의 이동에 간섭이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역방향으로 스트립(200)을 당겨 스트립(200)을 고정수단 공급장치(100)에서 역 배출한다.On the contrary, when the moving block 140 is pulled in the forward direction by using a separate member (not shown) to discharge the strip 200 backward, the strip 140, which is conveyed along the strip feeding groove 142 of the moving block 140, The engaging projection 182 of the latch 180 is detached from the engaging groove 220 of the engaging portion 200. At this time, since the movable block 140 is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restoring spring 190 is elastically deformed. Further, since the strip feed groove 142 and the strip discharge groove 122 are shifted from each other, interference occurs in the movement of the strip 200 in the forward direction. As a result, the strip 200 is pulled backward and the strip 200 is discharged backward from the fixing means feeder 100.

이와 같이 상기 복원스프링(190)에 의하여 이동블록(140)을 전, 후로 이동시켜 이동블록(140)의 위치를 선택하여 스트립(200)을 고정수단 공급장치(100)에서 배출 또는 역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수단 공급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고정수단 공급장치(100)의 사용법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고정수단 공급장치(100)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The restoring spring 190 moves the moving block 140 forward and backward to select the position of the moving block 140 so that the strip 200 is discharged or discharged backward from the fixing means supply device 100 . Therefore, the reliability of the fixing means supply apparatus 100 can be improved because the use of the fixing means supply apparatus 100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user using the fixing means supply apparatus 100. [

또한, 고정수단 공급장치(100)는 이동블록(140)에 설치되고, 이송위치에서 스트립(200)의 역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150)를 더 포함한다. The fixing means supply device 100 further includes a stopper 150 installed in the moving block 140 and preventing the reverse movement of the strip 200 in the feeding positi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원스프링(190)이 이송위치일 때, 스트립배출홈(122)과 스트립이송홈(142)은 연통된 상태이다(도 5의 (a)). 이때, 스토퍼(150)의 단면은 스트립(200)의 이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스트립(200)이 이송될 때, 스트립(200)의 역 방향과 간섭이 일어나 스트립(200)이 역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storing spring 190 is in the feeding position, the strip discharge groove 122 and the strip feed groove 142 are in a communicated state (Fig. 5 (a)). At this time, the end face of the stopper 150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conveyance of the strip 200, so that when the strip 200 is conveyed, there occurs interference with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strip 200 and the strip 200 is conveyed in the reverse direction ≪ / RTI >

즉, 스트립(200)이 스트립이송홈(142)에서 스트립배출홈(122)으로 이송될 때, 스토퍼(150)의 단면과 스트립(200)은 대향되게 위치한다. 특히 스트립(200)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도 5의 (a) 화살표 참고)하므로, 스트립(200)과 스토퍼(150)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150)의 단면을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한다. That is, when the strip 200 is transported from the strip feed groove 142 to the strip discharge groove 122, the end face of the stopper 150 and the strip 200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particular, since the strip 200 moves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see arrows in FIG. 5A), the end face of the stopper 150 is inclin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in order to prevent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strip 200 and the stopper 150 .

또한, 복원스프링(190)이 탄성 변형되어 이동블록(14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스트립이송홈(142)과 스트립배출홈(122)는 어긋난다(도 5의 (b) 및 도 6 참고). 이때, 스트립(200)은 스토퍼(150)과 접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블록(120)의 제2 후방벽(124)에서 이동블록(140)의 제1 전방벽(146)을 따라 위치한다. Further, when the restoring spring 190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moving block 140 moves forward, the strip feed groove 142 and the strip discharge groove 122 are shifted (see FIG. 5 (b) and FIG. 6). At this time, the strip 200 is positioned along the first front wall 146 of the moving block 140 at the second rear wall 124 of the fixed block 120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stopper 150.

즉,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이동블록(140)은 래치(180)의 결합돌기(182)와 먼 방향에 위치한 제1 전방벽(146)과, 제1 전방벽(146)과 마주하는 제1 후방벽(144)을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여 고정블록(120)은 제1 전방벽(146) 상에 위치하는 제2 전방벽(126)과 제2 전방벽(126)과 마주하며, 제1 후방벽(144)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2 후방벽(124)을 포함한다. 3 and 4, the moving block 140 includes a first front wall 146 positioned away from the coupling protrusion 182 of the latch 180 and a second front wall 146 located opposite the first front wall 146, And a first rear wall 144 that is substantially cylindrical. Correspondingly, the fixed block 120 faces the second front wall 126 and the second front wall 126, which are located on the first front wall 146, and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rear wall 144 And a second rear wall 124 formed thereon.

상기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스트립(200)이 역으로 배출되기 위하여 이동블록(14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스트립이송홈(142)와 스트립배출홈(122)은 어긋나있기 때문에 스트립(220)은 스트립이송홈(142)과 스트립배출홈(122) 내에서 굴곡되게 설치된다. 특히, 스트립(200)은 제2 후방벽(124)와 제1 전방벽(146)에 밀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When the movable block 140 is moved forward to discharge the strip 200 backward, the strip transfer groove 142 and the strip discharge groove 122 are shifted from each other. Therefore, And is provided so as to be bent in the feed groove (142) and the strip discharge groove (122). In particular, the strip 200 is positioned closely to the second back wall 124 and the first front wall 146.

이와 같이, 스트립(200)이제2 후방벽(124)와 제1 전방벽(146)에 밀접하게 위치한 굴곡된 상태이므로, 스트립(200)과 스토퍼(150)는 이격되기 때문에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트립(200)이 스포터(150)에 걸림되지 않으므로 스트립(200)의 역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us, since the strip 200 is now in a bent state closely located to the rear wall 124 and the first front wall 146, the strip 200 and the stopper 15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ly, since the strip 200 is not caught in the spatters 150, the strip 200 can be easily discharged backward.

한편, 상기와 같이 스트립이송홈(142)와 스트립배출홈(122)이 어긋난 상태일 때, 스토퍼(150)과 스트립(200)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150)은 결합돌기(182)보다 상측에 설치된다. 왜냐하면, 스토퍼(150)가 결합돌기(182)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면 이송하는 스트립(200)과 스토퍼(150) 사이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토퍼(150)를 결합돌기(182)보다 상측에 설치함으로써, 스트립(200)이 이송하는 동안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e stopper 150 and the strip 200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when the strip feed groove 142 and the strip discharge groove 122 are shift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This is because when the stopper 150 is form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engaging protrusion 182, interference may occur between the transporting strip 200 and the stopper 150. Therefore, by providing the stopper 150 on the upper side of the engaging projection 18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terference of the strip 200 during the conveyance.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이동블록(140)의 제1 전방벽(146)은 제2 후방벽(144)보다 길게 형성되고, 고정블록(120)의 제2 전방벽(146)은 제2 후방벽(144)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됨에 따라 스트립이송홈(142)과 스트립배출홈(122)이 어긋날 상태일 때, 스트립(200)은 굴곡되게 위치하여 제2 후방벽(124)에 접한 상태이므로, 스트립(200)이 제1 전방벽(146)의 상단에 걸림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전방벽(146)이 제1 후방벽(144)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제2 후방벽(124)에 접한 상태의 스트립(200)이 어긋난 스트립이송홈(142)을 따라 제1 후방벽(144)에 접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스트립이송홈(142)과 스트립배출홈(122)이 어긋난 상태에서도 주변의 부재에 걸림 되지 않은 채로 역 배출될 수 있다. 3 and 4, the first front wall 146 of the moving block 140 is formed longer than the second rear wall 144 and the second front wall 146 of the fixed block 120 is formed And is formed shorter than the second rear wall 144. The strip 200 is bent and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rear wall 124 when the strip transfer groove 142 and the strip discharge groove 122 are displaced from each other. And is not hook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front wall 146. Since the first front wall 146 is formed longer than the first rear wall 144, the strip 200 in contact with the second rear wall 124 is moved along the strip feeding groove 142, (144). Therefore, even when the strip feed groove 142 and the strip discharge groove 122 are misaligned, they can be discharged back without being caught by the peripheral members.

즉, 상기 제1 전방벽(146)과 제1 후방벽(144) 사이에는 스트립이송홈(14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전방벽(146)은 스트립(200)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제1 후방벽(144)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1 전방벽(146)이 제1 후방벽(144)보다 길게 형성되면서 스트립(200)이 역으로 배출될 때, 배출되는 스트립(200)과 제1 전방벽(146)의 상단이 걸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a strip conveyance groove 142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ront wall 146 and the first rear wall 144, and the first front wall 146 is connected to the first front wall 146, And is formed longer than the rear barrier 144. When the strip 200 is discharged backward while the first front wall 146 is longer than the first rear wall 144 as described above, the discharged strip 200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front wall 146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jamming.

또한, 제2 후방벽(124)은 제2 전방벽(126)보다 길게 형성된다. 왜냐하면, 상기 고정블록(120)과 이동블록(140)은 면접한 상태이다. 따라서, 제1 전방벽(146) 및 제1 후방벽(144)의 형상에 맞추어 제2 전방벽(126) 및 제2 후방벽(124)을 형성하게 되므로, 제2 후방벽(124)이 제2 전방벽(126)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rear wall 124 is formed longer than the second front wall 126. This is because the fixed block 120 and the moving block 140 are in an interview state. Accordingly, the second front wall 126 and the second rear wall 124 ar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s of the first front wall 146 and the first rear wall 144, 2 front barriers 126 as shown in FIG.

상기 제1 전방벽(146)은 스트립(200)의 전면과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제1 후방벽(144)보다 충분히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길이는 발명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first front wall 146 is formed to be sufficiently longer than the first back wall 144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trip 200, and the length may be changed according to conditions required in the invention .

한편, 스토퍼(150)에는 스토퍼복원스프링(15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복원스프링(152)은 이동블록(140)의 역 이송위치 시, 스토퍼(150)을 전방으로 밀어 스토퍼(150)와 스트립(200)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topper 150 is provided with a stopper restoring spring 152. The stopper restoring spring 152 prevents the stopper 150 and the strip 200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by pushing the stopper 150 forward when the moving block 140 moves backward.

상기와 같이 스트립(200)을 고정수단 공급장치(100)에서 역 배출하기 위하여 비트(50)가 삽입되는 고정블록(120) 내에 이동블록(140)을 설치한다. 상기 고정블록(120)과 이동블록(140) 사이에는 복원스프링(190)이 설치되어 스트립(200)을 역 배출할 때, 이동블록(140)을 고정블록(120)의 전방으로 이동시켜 스트립(200)을 역 배출할 수 있게 된다. The moving block 140 is installed in the fixing block 120 into which the bit 50 is inserted in order to reversely discharge the strip 200 from the fixing means feeding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A restoring spring 190 is provided between the fixed block 120 and the moving block 140 to move the moving block 140 forward of the fixing block 120 when the strip 200 is discharged backward, 200 can be discharged backwar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고정수단 공급장치 120: 고정블록
140: 이동블록 150: 스토퍼
160: 하우징 180: 래치
100: fixing means feeding device 120: fixing block
140: moving block 150: stopper
160: housing 180: latch

Claims (6)

전동공구의 비트가 삽입되는 비트삽입공을 포함하고, 스트립이 배출되는 스트립배출홈을 포함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 외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드부재;
상기 비트가 삽입되면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따라 전진하는 전진위치와, 상기 비트가 배출되면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따라 후진하는 후진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외측에 설치되며, 내벽에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장착되는 슬라이드홈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고정블록 내에 설치되며, 상기 스트립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래치;
상기 스트립이 이송되는 스트립이송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트립이송홈과 상기 스트립이 배출되는 스트립배출홈이 연통되는 이송위치와, 상기 스트립이송홈과 상기 스트립배출홈이 어긋나는 역이송위치 사이에서 상기 비트가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블록에 설치되는 이동블록;
상기 고정블록과 상기 이동블록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블록을 상기 이송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이송위치에서 상기 스트립이송홈에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며 상기 역 이송위치에 상기 결합홈과 해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위치에서 상기 스트립의 역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결합돌기보다 상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수단 공급장치.
A fixing block including a bit insertion hole into which a bit of the power tool is inserted, the fixing block including a strip discharge groove through which the strip is discharged;
A slide member installed outside the fixed block;
The slide member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slide member so as to slide between a forward position for advancing along the slide member when the bit is inserted and a reverse position for retreating along the slide member when the bit is ejected, A housing including a slide groove formed therein;
A latch installed in the fixed block and including a coupling protrusion that is fitted in a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strip;
Wherein the strip transporting groove is formed in the strip transporting groove and the transporting position where the strip transporting groove is communicated with the strip discharging groove from which the strip is discharged and the reverse transporting position where the strip transporting groove is displaced from the strip discharging groove, A movable block installed on the fixed block so as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movable block is inserted;
A restoring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fixed block and the moving block to restore the moving block to the transporting position; / RTI >
Wherein the engaging projection is protruded from the strip conveying groove at the conveying position to be fitted into the engaging groove and is formed to be released from the engaging groove at the reverse conveying position,
Further comprising a stopper installed in the moving block and preventing reverse movement of the strip at the transporting position,
Wherein the stopper is installed above the engaging projec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은,
상기 결합돌기와 먼 방향에 위치한 제1 전방벽과,
상기 제1 전방벽과 마주하는 제1 후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방벽과 상기 제1 후방벽 사이에는 상기 스트립이송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전방벽 상단부에 상기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수단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block includes:
A first front wall positioned away from the coupling protrusion,
And a first rear wall facing the first front wall,
The strip conveying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ront wall and the first rear wall,
And the stopper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front wal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방벽은 상기 스트립이 배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후방벽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수단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front wall is longer than the first rear wall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trip is discharg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상기 스트립과 인접한 단면은 상기 스트립의 이송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수단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ross section of the stopper adjacent to the strip is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conveying direction of the strip.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제1 전방벽 상에 위치하는 제2 전방벽과,
상기 제2 전방벽과 마주하며, 상기 제1 후방벽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2 후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수단 공급장치.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3, or 4,
The fixed block includes:
A second front wall positioned on the first front wall,
And a second rear wall facing the second front wall and extending in the first rear wall direction.
KR1020140048178A 2014-04-22 2014-04-22 Fixing means-feeding device KR1015663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178A KR101566340B1 (en) 2014-04-22 2014-04-22 Fixing means-feed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178A KR101566340B1 (en) 2014-04-22 2014-04-22 Fixing means-feed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326A KR20150122326A (en) 2015-11-02
KR101566340B1 true KR101566340B1 (en) 2015-11-06

Family

ID=54599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178A KR101566340B1 (en) 2014-04-22 2014-04-22 Fixing means-feed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34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23185A1 (en) * 2005-02-25 2008-09-18 Massari Donald J Attachment with collapsible front end for portable screw driving too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23185A1 (en) * 2005-02-25 2008-09-18 Massari Donald J Attachment with collapsible front end for portable screw driving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326A (en) 201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1500B1 (en) Apparatus for storing and loading ammunition
US10385916B2 (en) Slide rail assembly
US5765933A (en) Cam assisted ejection handle for a removable drive carrier
US9375854B2 (en) Out the front assisted knife with a secondary pusher
WO2012111390A1 (en) Din-rail mount type device
JP2013167911A5 (en)
CN104514449A (en) Latch apparatus
US9228788B1 (en) Ammunition magazine having guide surfaces
US8672431B2 (en) Slide rail assembly
US20130152744A1 (en) Automatic screw feeding device
US20190045924A1 (en) Slide Rail Assembly and Rail Kit Thereof
KR101566340B1 (en) Fixing means-feeding device
JP6083902B2 (en) Screw supply cartridge
KR101578775B1 (en) Fixing means-feeding device
CN107621768B (en) Process cartridge and drive assembly
CN209853380U (en) Sheet feeding device
EP4048973A1 (en) Automated apparatus for storing, transporting, dispensing and assembling initiation devices configurable for initiating explosive material compositions
JP2015147678A (en) Device for supplying component box to assembly station
WO2019229824A1 (en) Tape feeder
JP6018067B2 (en) Positioning device for positioning of a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movable furniture parts
KR101668026B1 (en) Transfer Car having Device for preventing Circuit Breaker from drawing out
US10059546B2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238053B2 (en) Robot hand and library device
JP2010078901A (en) Transport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70063422A1 (en) Housing mounting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