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226B1 - 개방형 이어폰 - Google Patents
개방형 이어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6226B1 KR101566226B1 KR1020140091794A KR20140091794A KR101566226B1 KR 101566226 B1 KR101566226 B1 KR 101566226B1 KR 1020140091794 A KR1020140091794 A KR 1020140091794A KR 20140091794 A KR20140091794 A KR 20140091794A KR 101566226 B1 KR101566226 B1 KR 1015662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eaker
- ear
- earphone
- sound
- us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형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피커에서 발산되는 소리를 공중으로 분산, 확산되도록 하여 1차로 압력을 완화시켜 구 소리 파장이 공중을 거쳐 2차로 귀에 전달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귀를 보호하도록 하는 개방형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사용자의 귀에 일측이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스피커가 사용자 귀의 내측을 향하도록 일측에 내장된 하우징과,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연결전선 및 연결잭으로 구성되는 이어폰에 있어서, 하우징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을 분절하여 폐쇄하는 차폐벽이 형성되어, 차폐벽을 중심으로 개방부와 밀폐부로 나누어져 형성되고, 개방부의 외측 단부는 개방부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으로 돌출하여 끼움부가 형성되고, 끼움부의 외측에는 이어캡이 끼워져 형성되며, 밀폐부의 외측 단부에는 고정프레임으로 스피커가 외부를 향하도록 결합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사용자의 귀에 일측이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스피커가 사용자 귀의 내측을 향하도록 일측에 내장된 하우징과,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연결전선 및 연결잭으로 구성되는 이어폰에 있어서, 하우징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을 분절하여 폐쇄하는 차폐벽이 형성되어, 차폐벽을 중심으로 개방부와 밀폐부로 나누어져 형성되고, 개방부의 외측 단부는 개방부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으로 돌출하여 끼움부가 형성되고, 끼움부의 외측에는 이어캡이 끼워져 형성되며, 밀폐부의 외측 단부에는 고정프레임으로 스피커가 외부를 향하도록 결합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개방형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피커에서 발산되는 소리를 공중으로 분산, 확산되도록 하여 1차로 압력을 완화시켜 구 소리 파장이 공중을 거쳐 2차로 귀에 전달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귀를 보호하도록 하는 개방형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어폰은 사용자의 귀에 직접 끼워 사용하며, 이와 같은 이어폰은 스피커가 고막을 향하게 되어 있고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는 외이도를 따라 직접 사용자의 고막에 전달하게 되는 밀폐형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밀폐형의 구조에서는 소리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직접 사용자의 고막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장시간 이어폰을 착용하고 있으면, 청력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헤드폰의 경우에도 사용자의 귀를 덮고 외이도를 통하여 소리를 전달하는 밀폐형 구조로 이어폰과 동일한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스피커를 통한 소리 생성은 전기 신호가 폰 안에 내장된 울림판을 자극하면서 그 울림이 공기 중에 파장으로 확산 전달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귀에 꽂아 듣는 형태의 이어폰은 그 소리가 귀 안쪽의 고막, 소라관 등 내연 기관을 향해 일방 밀폐식으로 형성되어 있어, 귓속이라는 아주 협소한 공간에서 일방 밀폐 구조로 전달될 때, 소리 파장이 고막 등 내연기관을 자극하는 것 이외에 파장의 압력까지 흡수되는 형태가 되어진다. 핸드폰과 같은 스피커에서의 소리는 일차로 공기 중으로 소리 파장이 퍼지면서 압력이 분산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대화 형태로 소리의 진폭이 일정한 패턴이면서 만약 귀에서 받아들이기 거북한 고음은 핸드폰(스피커)를 귀에서 떼어내어 귀와의 거리를 만들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귀 건강을 스스로 지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반면, 이어폰의 일방 밀폐구조는 소리 파장이 귓속 좁은 공간안으로 밀집되어 그 파장의 압력을 모두 흡수되는 형태가 될 뿐만 아니라 이어폰의 사용 용도가 핸드폰 등의 대화만이 아니고 음악을 듣는 경우가 많아서, 이 음악의 청취는 특히 젊은이들에서 락 등의 무거운 고음 사운드를 듣게 되어 압력을 수반한 소리 파장이 귀속 내연기관을 타격하여 청력이 약해지거나 이명이 들리는 등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는 일이 큰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8-0058157호 "개방형 청취장치"(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도 7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부위에 밀착되는 압착지지부(10); 상기 압착지지부에 밀착되어 연결되며 개폐동작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내부에 스피커(20)를 구비한 스피커 하우징(30); 상기 압착지지부에 밀착되는 상기 스피커하우징을 사용자의 귀쪽으로 열릴 수 있는 구조로 연결시키는 연결부(40); 및 상기 압착지지부의 말단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착용부위에 고정되는 고정걸이부(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청취장치.'을 제안하여, 헤드폰, 이어폰 등의 착용시에 개폐가 가능하며 개폐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연결부를 구비하여, 장소에 따라 이어폰이나 소형 스피커의 기능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 상의 안정성을 증진시키고, 사용자의 청력을 보호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사용자의 귀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분리구조를 갖도록 하여 개폐가 어렵고 미관이 매끄럽지 못할 뿐만 아니라 스피커 하우징(30)을 열어 스피커의 기능을 갖도록 하기 때문에 귀와 멀리 떨어져 소리가 제대로 전달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일방 폐쇄 구조를 탈피하여 울림판의 스피커를 귀 반대방향의 외부로 향하게 하여 소리를 공중으로 분산, 확산되도록 하여 1차로 압력을 완화시켜 구 소리 파장이 공중을 거쳐 2차로 귀에 전달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귀를 보호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소음이 있는 장소라든가 미세한 소리를 들어야 하는 등 직접 전달 소리를 들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외부를 향했던 스피커를 반대로 돌려 귀에 꽂아 기존의 이어폰 구조로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개방형 이어폰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 이어폰과 동일한 형상을 갖으면서도 스피커에서 발산되는 소리를 공중으로 분산, 확산되도록 하여 1차로 압력을 완화시켜 구 소리 파장이 공중을 거쳐 2차로 귀에 전달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귀를 보호하도록 하는 개방형 이어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귀에 일측이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스피커가 사용자 귀의 내측을 향하도록 일측에 내장된 하우징과,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연결전선으로 구성되는 이어폰에 있어서, 하우징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을 분절하여 폐쇄하는 차폐벽이 형성되어, 차폐벽을 중심으로 개방부와 밀폐부로 나누어져 형성되고, 개방부의 외측 단부는 개방부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으로 돌출하여 끼움부가 형성되고, 끼움부의 외측에는 이어캡이 끼워져 형성되며, 밀폐부의 외측 단부에는 고정프레임으로 스피커가 외측를 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이어폰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하우징의 개방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외부 확산공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이어폰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밀폐부의 외측단부는 단면의 크기가 중앙부보다 확대되고, 밀폐부의 외측단부의 확대된 단면의 크기와 동일하게 확대된 크기의 스피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이어폰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차폐벽은 중앙부에 소리 유입공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밀폐부에서 차폐벽을 향하도록 내측으로 향하는 스피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이어폰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하우징의 외부 또는 연결전선의 일측에는 연결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가 형성되고, 스피커와 내측으로 향하는 스피커가 전선에 의하여 스위치에 연결되어, 스위치의 선택에 따라 스피커 또는 내측으로 향하는 스피커를 선택하여 소리가 발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이어폰을 제공하고자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개방형 이어폰의 제1 실시예는 기존의 일방 폐쇄 구조를 탈피하여 울림판의 스피커를 귀 반대방향의 외부로 향하게 하여 소리를 공중으로 분산, 확산되도록 하여 1차로 압력을 완화시켜 구 소리 파장이 공중을 거쳐 2차로 귀에 전달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귀를 보호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소음이 있는 장소라든가 미세한 소리를 들어야 하는 등 직접 전달 소리를 들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외부를 향했던 스피커를 반대로 돌려 귀에 꽂아 기존의 이어폰 구조로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기존 이어폰과 동일한 구조를 갖으면서도 스피커에서 발산되는 소리를 공중으로 분산, 확산되도록 하여 1차로 압력을 완화시켜 구 소리 파장이 공중을 거쳐 2차로 귀에 전달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귀를 보호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방형 이어폰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상기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c는 상기 도 4a와 도 4b의 외부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개방형 이어폰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개방형 이어폰의 제1 실시예의 착용 상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개방형 청취장치를 도시한 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방형 이어폰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상기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c는 상기 도 4a와 도 4b의 외부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개방형 이어폰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개방형 이어폰의 제1 실시예의 착용 상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개방형 청취장치를 도시한 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스피커에서 발산되는 소리를 공중으로 분산, 확산되도록 하여 1차로 압력을 완화시켜 구 소리 파장이 공중을 거쳐 2차로 귀에 전달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귀를 보호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개방형 이어폰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는 모두 동일하게, 스피커에서 발산되는 소리를 공중으로 분산, 확산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지만, 제1 실시예는 개방형과 폐쇄형의 구조를 모두 갖고 있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제2 실시예는 기존의 이어폰과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으나, 개방형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방형 이어폰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2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개방형 이어폰은 사용자의 귀에 일측이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스피커(20)가 사용자 귀의 내측을 향하도록 일측에 내장된 하우징(10)과,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연결전선(30)으로 구성되는 이어폰에 있어서, 하우징(10)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을 분절하여 폐쇄하는 차폐벽(11)이 형성되어, 차폐벽(11)을 중심으로 개방부(12)와 밀폐부(13)로 나누어져 형성되고, 개방부(12)의 외측 단부는 개방부(12)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으로 돌출하여 끼움부(14)가 형성되고, 끼움부(14)의 외측에는 이어캡(15)이 끼워져 형성되며, 밀폐부(13)의 외측 단부에는 고정프레임(131)으로 스피커(20)가 외부를 향하도록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스피커(20)가 사용자 귀의 내측을 향하도록 일측에 내장된 하우징(10)과,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연결전선(30)으로 구성되며, 스피커(20)가 귀를 향하도록 귀에 끼워 사용한다. 연결전선(30)은 연결잭이 구성되어 기기에 직접 끼워서 사용하거나, 블루투스 수신기(50)에 연결되어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도 1에서와 같이, 개방형과 폐쇄형의 양방향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형 구조를 선택하여 귀에 끼우면, 스피커(20)가 귀 반대방향의 외부로 향하게 하여 소리를 공중으로 분산, 확산되도록 하여 1차로 압력을 완화시켜 구 소리 파장이 공중을 거쳐 2차로 귀에 전달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귀를 보호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도 1b에서와 같이 폐쇄형 구조를 선택하여 귀에 끼우면, 소음이 있는 장소라든가 미세한 소리를 들어야 하는 등 직접 전달 소리를 들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도 1a에서 외부를 향했던 스피커(20)를 반대로 돌려 귀에 꽂아 기존의 이어폰 구조로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도 3a에서와 같이, 하우징(10)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을 분절하여 폐쇄하는 차폐벽(11)이 형성되어, 차폐벽(11)을 중심으로 개방부(12)와 밀폐부(13)로 나누어져 형성된다.
하우징(10)의 양단부는 모두 개방된 상태이며, 하우징(10)의 중앙부에 차폐벽(11)으로 차단되어 있는 형상이다.
개방부(12)의 외측 단부는 개방부(12)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으로 돌출하여 끼움부(14)가 형성되고, 끼움부(14)의 외측에는 이어캡(15)이 끼워져 형성된다.
끼움부(14)는 사용자의 귓속으로 인입이 용이한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부에 통공(141)이 형성되어 소리의 전달은 통공(141)을 통하여 전달된다.
이어캡(15)은 끼움부(14)의 외측에 끼워지며 합성수지, 실리콘 등 공지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에 완충작용을 하며 끼움부(14)가 끼워지도록 한다.
스피커(20)는 하우징(10)의 밀폐부(13)의 외측단부에 고정프레임(131)으로 고정되어 결합된다. 이때, 스피커(20)는 외부를 향하도록 하여 스피커(20)에서 나오는 소리는 직접 사용자의 귀의 내부로 전달되지 않고 외부의 대기중으로 확산되도록 하는 것이다.
고정프레임(131)은 공지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 재질의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0)과 상호 치합되는 단턱을 각각 구성하여 결합하고 내측에 스피커(20)가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스피커(20)에서 나오는 소리가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는 것은 스피커(20)의 뒷편으로 전달되어 차폐판(11)을 한번 거치고 통공(141)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기 때문에 공중으로 분산, 확산되도록 하여 1차로 압력을 완화시켜 구 소리 파장이 공중을 거쳐 2차로 귀에 전달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귀를 보호하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10)의 개방부(12)에는 일정간격으로 외부 확산공(121)이 통공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외부 확산공(121)은 스피커(20)로 전달되는 소리가 개방부(12)의 작은 통로를 지나면서 너무 압력이 높지 않도록 외부로 확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면서도, 스피커(20)에서 확산되는 소리가 대기를 거쳐 다시 외부 확산공(121)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스피커(20)의 소리는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되지 않고, 대기를 거쳐 외부확산공(121)을 통하여 전달되거나, 스피커(20)의 뒷면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사용자의 귀의 내측으로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부(13)의 외측단부는 단면의 크기가 중앙부보다 확대되고, 밀폐부(13)의 외측단부의 확대된 단면의 크기와 동일하게 확대된 크기의 스피커(20)가 형성되도록 하여, 야외에서 스피커로 사용하거나 소리를 크게 듣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개방형 이어폰의 제1 실시예의 착용 상태도이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끼움부(14)를 사용자의 귀에 끼우게 되면, 스피커(20)가 귀 반대방향의 외부로 향하게 하여 소리를 공중으로 분산, 확산되도록 하여 1차로 압력을 완화시켜 구 소리 파장이 공중을 거쳐 2차로 귀에 전달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귀를 보호하도록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개방형 이어폰의 제1 실시예는 기존의 일방 폐쇄 구조를 탈피하여 울림판의 스피커를 귀 반대방향의 외부로 향하게 하여 소리를 공중으로 분산, 확산되도록 하여 1차로 압력을 완화시켜 구 소리 파장이 공중을 거쳐 2차로 귀에 전달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귀를 보호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소음이 있는 장소라든가 미세한 소리를 들어야 하는 등 직접 전달 소리를 들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외부를 향했던 스피커를 반대로 돌려 귀에 꽂아 기존의 이어폰 구조로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4a와 도 4b는 상기 도 3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c는 상기 도 4a와 도 4b의 외부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4a와 도 4b에서와 같이, 외부로 향하는 스피커(20)외에 하우징(10)의 내부에 내부로 향하는 스피커(21)를 추가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외부로 향하는 스피커(20) 또는 내부로 향하는 스피커(21)를 통하여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내부 스피커(21)는 하우징(10) 내부의 밀폐부(13)에서 차폐벽(11)을 향하도록 고정 결합되어, 외부로 향하는 스피커(20)와는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내부로 향하는 스피커(21)의 소리를 용이하게 청취하기 위하여, 차폐벽(11)은 중앙부에 소리 유입공(111)이 통공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도 4a에서와 같이, 외부 확산공(121)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고, 도 4b에서와 같이, 외부 확산공(121)이 통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양방향으로 스피커(20)(21)가 형성될 경우에는 사용자가 스피커를 선택하여 들을 수 있도록 선택이 가능한 스위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스위치(70)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외부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결전선(30)의 볼륨조절버튼 등이 형성되는 일측에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스위치(70)는 공지의 다양한 종류의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하우징(10)의 외부 또는 연결전선(30)의 일측에는 연결전선(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70)가 형성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개방형 이어폰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사용자의 귀에 일측이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스피커(20)가 사용자 귀의 내측을 향하도록 일측에 내장된 하우징(10)과,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연결전선(30)으로 구성되는 이어폰에 있어서, 하우징(10)은 스피커(20)의 전면부에 중앙부에 소리 유입공(111a)이 통공되는 차폐벽(11a)이 형성되고, 차폐벽(11a)에서 외측으로 돌출하여 연장되도록 확산부(10a)가 형성되며, 확산부(10a)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외부 확산공(121a)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확산부(10a)의 외측 단부에는 확산부(10a)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외측단부에 차단벽(141a)이 형성되는 끼움부(14a)가 형성되고, 끼움부(14a)의 외측에는 이어캡(15a)이 끼워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종래의 이어폰과 동일하게 스피커(20)가 사용자의 귀를 향하도록 하는 구조이나, 하우징(10)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부 확산공(121a)이 통공된 확산부(10a)를 형성하고, 스피커(20)의 전면부에 차폐벽(11a)으로 스피커(20)의 전면부를 차단하여, 스피커(20)에서 발산되는 소리는 차폐벽(11a)의 소리 유입공(111a)을 통과하여 외부 확산공(121a)을 통하여 발산되게 되기 때문에, 스피커(20)에서 발산되는 소리를 공중으로 분산, 확산되도록 하여 1차로 압력을 완화시켜 구 소리 파장이 공중을 거쳐 2차로 귀에 전달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귀를 보호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차폐벽(11a)은 스피커(20)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스피커(20)에서 발산되는 소리를 1차로 걸러주는 역할을 하지만, 중앙부에 소리 유입공(111a)이 통공되어 소리 유입공(111a)을 통하여 사용자의 귀 방향으로 소리가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차폐벽(11a)에서 외측으로 돌출하여 연장되도록 확산부(10a)가 형성되는데, 확산부(10a)는 하우징(10)이 연장되는 형상으로 내부가 비어 있어, 유입공(111a)을 통과한 소리가 이동하는 경로이다.
이때, 확산부(10a)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외부 확산공(121a)이 통공되어 형성되어, 외부 확산공(121a)을 통하여 소리가 대기중으로 발산되도록 한다.
확산부(10a)의 외측 단부에는 확산부(10a)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외측단부에 차단벽(141a)이 형성되는 끼움부(14a)가 형성되고, 끼움부(14a)의 외측에는 이어캡(15a)이 형성된다.
끼움부(14a)는 사용자의 귓속으로 인입이 용이한 형태로 형성되며, 외측단부에 차단벽(141a)이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귀 방향으로 직접 전달을 하지 않고 차단벽(141a)를 통하여 간접전달되도록 한다.
이어캡(15a)은 끼움부(14a)의 외측에 끼워지며 합성수지, 실리콘 등 공지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귀에 완충작용을 하며 끼움부(14a)가 끼워지도록 한다.
또한, 도 5b에서와 같이, 차단벽(141a)에는 소리 유입공(142a)이 통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스피커(20)가 사용자의 귀 방향으로 향하고 있지만, 외부 확산공(121a)을 통하여 소리가 대기중으로 발산되어 1차로 걸러지고, 차단벽(141a)에 의하여 2차로 걸러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소리의 양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차단벽(141a)에는 소리 유입공(142a)을 형성하도록 하여 소리의 전달이 소리 유입공(142a)을 통하여 전달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개방형 이어폰의 제2 실시예는 기존 이어폰과 동일한 구조를 갖으면서도 스피커에서 발산되는 소리를 공중으로 분산, 확산되도록 하여 1차로 압력을 완화시켜 구 소리 파장이 공중을 거쳐 2차로 귀에 전달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귀를 보호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 하우징
10a : 확산부
11, 11a : 차폐벽
111a : 소리 유입공
12 : 개방부
121, 121a : 외부 확산공
13 : 밀폐부
131 : 고정 프레임
14, 14a : 끼움부
141 : 통공
141a : 차단벽
142a : 소리 유입공
15, 15a : 이어캡
20 : 스피커
30 : 연결전선
50 : 블루투스 수신기
10a : 확산부
11, 11a : 차폐벽
111a : 소리 유입공
12 : 개방부
121, 121a : 외부 확산공
13 : 밀폐부
131 : 고정 프레임
14, 14a : 끼움부
141 : 통공
141a : 차단벽
142a : 소리 유입공
15, 15a : 이어캡
20 : 스피커
30 : 연결전선
50 : 블루투스 수신기
Claims (7)
- 사용자의 귀에 일측이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스피커(20)가 사용자 귀의 내측을 향하도록 일측에 내장된 하우징(10)과,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연결전선(30)으로 구성되는 이어폰에 있어서,
하우징(10)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을 분절하여 폐쇄하는 차폐벽(11)이 형성되어, 차폐벽(11)을 중심으로 개방부(12)와 밀폐부(13)로 나누어져 형성되고,
개방부(12)의 외측 단부는 개방부(12)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으로 돌출하여 끼움부(14)가 형성되고, 끼움부(14)의 외측에는 이어캡(15)이 끼워져 형성되며,
밀폐부(13)의 외측 단부에는 고정프레임(131)으로 스피커(20)가 외측을 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이어폰. -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10)의 개방부(12)에는 일정간격으로 외부 확산공(121)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이어폰. - 청구항 1에 있어서,
밀폐부(13)의 외측단부는 단면의 크기가 중앙부보다 확대되고,
밀폐부(13)의 외측단부의 확대된 단면의 크기와 동일하게 확대된 크기의 스피커(2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이어폰. - 청구항 1에 있어서,
차폐벽(11)은 중앙부에 소리 유입공(111)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밀폐부(13)에서 차폐벽(11)을 향하도록 내측을 향하는 스피커(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이어폰. -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10)의 외부 또는 연결전선(30)의 일측에는 연결전선(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70)가 형성되고,
스피커(20)와 내측을 향하는 스피커(21)가 전선에 의하여 스위치(70)에 연결되어, 스위치(70)의 선택에 따라 스피커(20) 또는 내측을 향하는 스피커(21)를 선택하여 소리가 발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이어폰.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8529 | 2014-04-23 | ||
KR20140048529 | 2014-04-2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2556A KR20150122556A (ko) | 2015-11-02 |
KR101566226B1 true KR101566226B1 (ko) | 2015-11-11 |
Family
ID=54599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1794A KR101566226B1 (ko) | 2014-04-23 | 2014-07-21 | 개방형 이어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622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62868A1 (ko) * | 2016-09-30 | 2018-04-05 | 최남식 | 외부음 차폐 전환 구조의 이어폰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57814A (ja) | 2008-12-26 | 2010-07-15 | Yamaha Corp | イヤホン構造体、挿入部材及びイヤホン |
KR101363989B1 (ko) | 2013-06-04 | 2014-02-18 | 윤영은 | 외부 음향의 유입이 가능한 이어팁 |
-
2014
- 2014-07-21 KR KR1020140091794A patent/KR1015662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57814A (ja) | 2008-12-26 | 2010-07-15 | Yamaha Corp | イヤホン構造体、挿入部材及びイヤホン |
KR101363989B1 (ko) | 2013-06-04 | 2014-02-18 | 윤영은 | 외부 음향의 유입이 가능한 이어팁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62868A1 (ko) * | 2016-09-30 | 2018-04-05 | 최남식 | 외부음 차폐 전환 구조의 이어폰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2556A (ko) | 2015-1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56351B2 (en) | Open earphone | |
US10694282B2 (en) | Earphone having a controlled acoustic leak port | |
US6704429B2 (en) | Earphone without impulse noise and surroundings blockade | |
TWI530199B (zh) | 具有聲學調諧機制之耳機 | |
US9307313B2 (en) | Flexible earphone cover | |
US20120275635A1 (en) | Earphone with mutually obliquely oriented sound holes | |
CN107950034A (zh) | 入耳式耳机的降噪 | |
US20160198781A1 (en) | Garment With Sound Absorbing Layer | |
KR101499412B1 (ko) | 통공부와 노이즈 제거 기능이 구비된 개인용 음향기기 | |
KR101446597B1 (ko) | 외부소음 조절용 커널이어폰 | |
EP3425922B1 (en) | Sound output device | |
KR100905252B1 (ko) | 개방형 청취장치 | |
KR101566226B1 (ko) | 개방형 이어폰 | |
US20080199035A1 (en) | In-Ear Phone | |
KR101446611B1 (ko) | 투웨이 커널형 이어폰 | |
KR20150127430A (ko) | 개방형 이어폰 | |
KR101382528B1 (ko) | 이어팁 및 이어폰 | |
KR20200081663A (ko) | 무선 모니터링 헤드셋 | |
KR102312006B1 (ko) | 마이크 실장 이어폰 | |
KR101898083B1 (ko) | 이어폰 구성 안대 | |
KR200253166Y1 (ko) | 휴대용 이어폰 | |
WO2004091252A1 (en) | Back sound reduction type headphone | |
JPH02116296A (ja) | 音響再生装置 | |
KR930023020A (ko) | 소음차단용 귀마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6 |